KR101914170B1 - 골프공 수거구 - Google Patents

골프공 수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4170B1
KR101914170B1 KR1020170113037A KR20170113037A KR101914170B1 KR 101914170 B1 KR101914170 B1 KR 101914170B1 KR 1020170113037 A KR1020170113037 A KR 1020170113037A KR 20170113037 A KR20170113037 A KR 20170113037A KR 101914170 B1 KR101914170 B1 KR 1019141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lf ball
club
golf
connector
collectio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3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창우
Original Assignee
(주)희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희창 filed Critical (주)희창
Priority to KR1020170113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41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4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41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7/00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 A63B47/02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for picking-up or collecting

Abstract

본 발명은 골프공 수거구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골프공이 수용될 수 있는 수거몸체와, 상기 수거몸체의 일측에 구비되며, 골프클럽의 그립부에 끼워 골프클럽에 장착될 수 있는 클럽커넥터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골퍼가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으면서 사용시에는 골프클럽에 장착하여 용이하게 골프공을 수거할 수 있으므로 휴대상의 편리성과 사용상의 용이성을 모두 만족시키며, 필요시 골프공의 가이드라인 마킹용으로도 활용할 수 있어 활용성 또한 우수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골프공 수거구 {Golf ball retriever}
본 발명은 골프공 수거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가 간편하면서, 골프공이 호수 등에 빠진 경우 사용하던 골프클럽에 바로 장착하여 골프공을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는 골프공 수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Golf)는 코스 위에 정지하여 있는 골프공을 골프클럽(Golf Club)으로 타격하여 정해진 위치의 홀겁에 넣어 그때까지 소요된 타수로 우열을 가리게 되는 스포츠로서, 과거에는 일부 부유층 정도만이 향유하는 귀족 스포츠로 인식되었으나, 생활수준이 향상되고 건강 및 여가생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최근에는 생활스포츠로 자리잡아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많은 사람들이 즐기게 되었다.
그런데, 골프 게임이 이루어지는 골프코스에는 호수나 강, 수풀 등이 많이 존재하기 때문에, 골퍼가 골프공을 목표지점으로 정확하게 타격하지 못하는 경우 골프공이 호수나 강에 빠지거나 수풀 속으로 들어가는 일이 비일비재하게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골퍼나 캐디가 직접 물이나 수풀 속으로 들어가서 골프공을 수거해야만 하므로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그러한 문제로 인하여 제대로 골프공을 수거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 골프공이 낭비되어 경제적인 손실을 초래함과 함께, 수거되지 않은 골프공으로 인해 환경이 오염될 수도 있는 추가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한 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종래에도 다양한 골프공 수거기구들이 제안되어 왔으나, 종래의 골프공 수거기구들은 구조가 복잡한 문제점과 함께, 대부분 일정길이의 지지막대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골퍼가 간편하게 휴대하면서 필요시에만 사용하기에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 제10-0650995호 : 골프공 수거장치 등록실용신안 제20-0261049호 : 골프공 수거기구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고 부피가 최소화되어 간편한 휴대가 가능하면서 골프클럽에 장착하여 용이하게 사용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휴대 편의성과 사용 편의성을 모두 만족시키는 골프공 수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골프공의 수거 뿐만 아니라 골프공에 가이드라인을 간편하게 표시할 수 있는 용도로도 활용되도록 함으로써 활용성이 향상된 골프공 수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해결수단으로서,
내부에 골프공이 수용될 수 있는 수거몸체와, 상기 수거몸체의 일측에 구비되며, 골프클럽의 그립부에 끼워 골프클럽에 장착될 수 있는 클럽커넥터를 포함하되, 상기 클럽커넥터는 골프클럽의 그립부가 내부로 삽입되는 원형의 클럽삽입부를 가지며, 상기 클럽삽입부에는 선단에서부터 후단까지 연장되게 돌출되어 삽입되는 그립부의 둘레에 가압 밀착되는 다수의 가압편이 배열되되, 상기 가압편은 길이의 중간부분을 기준으로 선단쪽의 소가압부와, 상기 소가압부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게 돌출된 후단쪽의 대가압부로 이루어지는 골프공 수거구가 개시된다.
삭제
또한, 상기 수거몸체의 일측에는 출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클럽커넥터는 상기 출입구를 관통하여 수거몸체의 내부로 인입되거나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클럽커넥터의 전후 양단에는 인입 및 인출시 각각 상기 출입구에 걸림되는 돌출테가 형성됨과 함께, 수거몸체의 출입구에는 상기 돌출테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지지편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거몸체는 상부가 개방된 반구형의 형상을 가지며, 그 저면에는 물이 통과되는 통수구멍이 형성됨과 함께 골프공에 대응하는 곡률로 요입된 안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치홈의 중앙에는 표시도구의 통과가 가능한 직선의 마킹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골프공 수거구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와 최소화된 부피를 가짐으로써 골퍼가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으면서 사용시에는 골프클럽에 장착하여 용이하게 골프공을 수거할 수 있으므로 휴대상의 편리성과 사용상의 용이성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휴대하면서 골프공의 수거뿐만 아니라 필요시 골프공의 가이드라인 마킹용으로도 활용할 수 있어 활용성 또한 우수한 장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명시한 효과 이외에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으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되고 기대될 수 있는 특유한 효과 또한 본 발명의 효과에 포함될 수 있음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공 수거구를 일 예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골프공 수거구의 측단면을 일 예시한 도면,
도 3은 가압편에 의해 남성용 및 여성용 골프클럽이 클럽커넥터에 장착되는 상태를 각각 일 예시한 도면,
도 4는 클럽커넥터가 수거몸체에 출입가능하게 구성된 골프공 수거구를 일 예시한 도면,
도 5는 도 4의 골프공 수거구에 있어, 클럽커넥터가 수거몸체로부터 인출된 상태를 일 예시한 도면,
도 6은 도 4의 골프공 수거구에 있어, 클럽커넥터가 수거몸체 내부로 인입된 상태를 일 예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프공 수거구의 측단면을 일 예시한 도면,
도 8은 도 7의 골프공 수거구에 있어, 골프공에 가이드라인을 마킹하는 것을 일 예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공 수거구로 골프공을 수거하는 사용예를 일 예시한 도면,
도 10은 도 9에서 골프공 수거구의 부분을 상세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골프공 수거구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으로서, 첨부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크기, 요소간의 간격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축소되거나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형성되어”, “구비되어”, “결합되어”, “연결되어”, “설치되어”있다고 기재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형성, 구비, 결합, 연결,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원칙적으로 관련된 공지의 기능이나 공지의 구성과 같이 이미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공 수거구(1)가 일 예시되어 있는 바, 상기 도면들에 예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공 수거구(1)는 수거몸체(10)와, 클럽커넥터(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수거몸체(10)는 내부에 골프공(B)을 수용함으로써 수거하는 부분이다.
이를 위한 수거몸체(10)는 내부에 골프공(B)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부(11)를 가지며, 대략 반구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수거몸체(10)는 상측으로부터 골프공(B)이 수용공간부(11)로 인입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며, 저면에는 골프공(B)의 수거시 물이 통과되면서 빠질 수 있도록 통수구멍(12)이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클럽커넥터(20)는 골프클럽(C)에 끼워 장착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클럽커넥터(20)는 상기 수거몸체(10)의 일측에 구비된다.
상기 클럽커넥터(20)는 일정길이로 연장되면서, 골프클럽(C)의 그립부(g)가 내부로 삽입되어 끼워질 수 있는 원형의 클럽삽입부(21)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클럽삽입부(21)에는 내주면을 따라 선단에서부터 후단까지 연장되게 돌출된 다수의 가압편(22)이 배열 형성된다.
이러한 다수의 가압편(22)은 클럽삽입부(21)로 삽입되는 그립부(g)의 둘레에 가압 밀착됨으로써, 삽입된 그립부(g)가 쉽게 빠지지 않도록 소정의 고정력을 제공한다.
여기서, 일반적으로 골프클럽(C)은 남성용과 여성용으로 구분되면서 남성용이 여성용에 비하여 그립부(g)의 직경이 약간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남성용과 여성용 모두에 호환이 가능하도록, 상기 가압편(22)은 도 2에 일 예시된 것처럼, 길이의 중간부분을 기준으로 선단쪽의 소가압부(22a)와, 상기 소가압부(22a)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돌출된 후단쪽의 대가압부(22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의해,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남성용 골프클럽(C(m))에 장착되는 경우에는, 도 3의 (a)에 일 예시된 것처럼 선단쪽의 소가압부(22a)가 그립부(g)에 가압 밀착되면서 소정의 고정력을 제공하고,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여성용 골프클럽(C(f))에 장착되는 경우에는, 도 3의 (b)에 일 예시된 것처럼 후단쪽의 대가압부(22b)가 그립부(g)에 가압 밀착되면서 소정의 고정력을 제공함으로써, 남성용 및 여성용 골프클럽에 모두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구성의 클럽커넥터(20)는 기본적으로 상기 수거몸체(10)와 일체화되어 고정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는데, 휴대시 부피의 최소화를 통해 휴대 편의성이 더욱 향상되도록, 실시예에 따라서는 수거몸체(10)와 분리 구성되면서 수거몸체(10)에 출입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도 4에 일 예시된 것처럼, 상기 수거몸체(10)의 일측에는 클럽커넥터(20)의 출입을 위한 출입구(13)가 형성되고, 상기 클럽커넥터(20)는 상기 출입구(13)를 관통하여 설치됨으로써, 휴대시에는 수거몸체(10)의 내부, 즉 수용공간부(11)로 인입되고, 골프공(B)의 수거를 위한 사용시에는 수용공간부(11)로부터 외부로 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클럽커넥터(20)의 전후 양단에는 수거몸체(10)로 인입되거나 인출될 때 클럽커넥터(20)가 출입구(13)로부터 완전히 빠지면서 이탈되지 않도록, 출입구(13)에 걸림되는 돌출테(23)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거몸체(10)에는 클럽커넥터(20)의 후단측 돌출테(23)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지지편(14)이 출입구(13)의 내면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지지편(14)은 사용을 위해 클럽커넥터(20)를 인출시켰을 때, 인출된 클럽커넥터(20)의 후단 돌출테(23)를 탄성적으로 지지함으로써 사용시에 클럽커넥터(20)가 임의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탄성지지편(14)은 출입구(13)의 외면 양측에 더 형성됨으로써, 휴대시에도 인입된 클럽커넥터(20)의 선단측 돌출테(23)를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인입된 클럽커넥터(20)가 임의로 움직이지 않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7 내지 도 8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프공 수거구(1)가 일 예시되어 있는 바, 상기 도면들에 예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프공 수거구는 전술한 일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갖되, 골프공(B)에 가이드라인을 마킹할 수 있는 구성이 더 포함되는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 설명함에 있어서는, 전술한 일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면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추가되는 구성부분을 위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프공 수거구는 골프공(B)의 수거뿐만 아니라, 원하는 방향으로 골프공(B)을 타구할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을 골프공(B)에 마킹하는 용도로 활용할 수 있게 하는 구성으로서, 이를 위하여 상기 수거몸체(10)의 저면에는 안치홈(15)이 형성되고, 상기 안치홈(15)의 중앙에는 마킹슬릿(16)이 절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치홈(15)은 수거몸체(10)의 저면에서 골프공(B)에 대응하는 곡률의 원호 형태로 요입 형성되며, 이에 따라 도 7에 일 예시된 것처럼, 상기 안치홈(15)에는 골프공(B)의 일부분이 정확하게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킹슬릿(16)은 상기 안치홈(15)의 중앙에 직선 형태로 절개 형성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펜 등의 표시도구(M)로 상기 마킹슬릿(16)을 따라 표시함으로써 상기 안치홈(15)에 안착된 골프공(B)에 가이드라인을 용이하게 마킹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면들에는 예시되어 있지 않으나, 상기 수거몸체(10)의 내부에는 안착된 공프공(B)을 탄성적으로 잡아주기 위한 탄성홀더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탄성홀더는 안치홈(15)의 둘레 양쪽에 마련되면서 탄성력을 갖는 띠 형태로 이루어져, 평상시에는 수거몸체(10)의 내측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사용자가 끝을 잡고 수거몸체(10)의 중심쪽으로 당겨주면 안치홈(15)에 안착된 골프공(B)에 탄성적으로 밀착되면서 골프공(B)이 안치홈(15)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잡아주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공 수거구(1)를 설명하였는 바, 이하에서는 그 사용에 대하여 간단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골프공 수거구(1)는 수거몸체(10)와 클럽커넥터(20)의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면서 최소화된 부피를 갖기 때문에 골퍼가 바지주머니 등에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다.
특히, 클럽커넥터(20)가 출입가능 구조인 경우, 도 6에 일 예시된 것과 같이, 수거몸체(10) 내부로 클럽커넥터(20)를 인입시키게 되면, 수거몸체(10) 만으로 구성된 것과 다를바 없어 더욱 부피가 최소화되므로 보다 편리한 휴대가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휴대한 상태에서 골프를 즐기다 골프공(B)이 물에 빠진 경우, 휴대하던 골프공 수거구(1)의 클럽커넥터(20)에 사용하던 골프클럽(C)의 그립부(g)를 끼워줌으로써 골프공 수거구를 골프클럽(C)에 장착시킨다.
이때, 클럽커넥터(20)가 출입가능 구조인 경우, 먼저 도 5에 일 예시된 것과 같이, 인입 상태인 클럽커넥터(20)를 수거몸체(10)의 외부로 인출시키면서 돌출테(23)가 탄성지지편(14)에 의해 지지되어 움직이지 않도록 해준 후, 인출된 클럽커넥터(20)에 골프클럽(C)의 그립부(g)를 끼워 장착시키면 된다.
이렇게 골프클럽(C)에 클럽커넥터(20)가 장착되면, 클럽커넥터(20)의 가압편(22)에 의해 골프클럽(C)이 일정 고정력으로 고정되므로 마치 골프클럽(C)과 본 발명의 골프공 수거구가 한 몸체인 것처럼 사용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도 9와 도 10에 일 예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는 골프클럽(C)의 헤드부 쪽을 잡고 골프공(B)이 위치한 쪽으로 팔을 뻗어 반대쪽 그립부(g)에 장착된 골프공 수거구(1)에 골프공(B)이 수용되도록 함으로써, 물에 빠진 골프공(B)을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골프공(B)의 수거가 완료되면, 다시 클럽커넥터(20)로부터 골프클럽(C)을 빼 분리시킨 후, 골프공 수거구(1)는 다시 간편하게 휴대하고 골프클럽(C)은 원래대로 사용을 하면 되는 것이다.
한편, 퍼팅이나 티샷시 골프공(B)에 타구방향에 대한 가이드라인의 표시가 필요한 경우에는, 먼저 도 8에 일 예시된 것처럼, 바닥에 놓거나 손바닥 위에 놓인 골프공(B) 위에 수거몸체(10)를 놓아 골프공(B)의 상면 일부분이 수거몸체(10)의 안치홈(15)으로 안착되게 한다.
이어서, 펜 등의 표시도구(M)를 가지고 안치홈(15)에 형성된 마킹슬릿(16)을 따라 표시해주면 골프공(B)에 간편하게 가이드라인을 마킹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골프공 수거구에 의하면, 무엇보다 골퍼가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으면서 사용시에는 골프클럽에 장착하여 용이하게 골프공을 수거할 수 있으므로 휴대상의 편리함과 사용상의 용이성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더불어 골프공 수거뿐만 아니라 골프공의 가이드라인 마킹용으로도 활용할 수 있어 활용성 또한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라 할 것이다.
첨부된 도면들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0: 수거몸체 11: 수용공간부
12: 통수구멍 13: 출입구
14: 탄성지지편 15: 안치홈
16: 마킹슬릿 20: 클럽커넥터
21: 클럽삽입부 22: 가압편
23: 돌출테

Claims (4)

  1. 내부에 골프공(B)이 수용될 수 있는 수거몸체(10);
    상기 수거몸체(10)의 일측에 구비되며, 골프클럽(C)의 그립부(g)에 끼워 골프클럽(C)에 장착될 수 있는 클럽커넥터(20);를 포함하되,
    상기 클럽커넥터(20)는 골프클럽(C)의 그립부(g)가 내부로 삽입되는 클럽삽입부(21)를 가지며,
    상기 클럽삽입부(21)에는 선단에서부터 후단까지 연장되게 돌출되어 삽입되는 그립부(g)의 둘레에 가압 밀착되는 다수의 가압편(22)이 배열되되, 상기 가압편(22)은 길이의 중간부분을 기준으로 선단쪽의 소가압부(22a)와, 상기 소가압부(22a)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게 돌출된 후단쪽의 대가압부(22b)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수거구.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몸체(10)의 일측에는 출입구(13)가 형성되고, 상기 클럽커넥터(20)는 상기 출입구(13)를 관통하여 수거몸체(10)의 내부로 인입되거나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클럽커넥터(20)의 전후 양단에는 인입 및 인출시 각각 상기 출입구(13)에 걸림되는 돌출테(23)가 형성됨과 함께, 수거몸체(10)의 출입구(13)에는 상기 돌출테(23)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지지편(1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수거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몸체(10)는 상부가 개방된 반구형의 형상을 가지며, 그 저면에는 물이 통과되는 통수구멍(12)이 형성됨과 함께 골프공(B)에 대응하는 곡률로 요입된 안치홈(15)이 형성되고, 상기 안치홈(15)의 중앙에는 표시도구(M)의 통과가 가능한 직선의 마킹슬릿(1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수거구.
KR1020170113037A 2017-09-05 2017-09-05 골프공 수거구 KR1019141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037A KR101914170B1 (ko) 2017-09-05 2017-09-05 골프공 수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037A KR101914170B1 (ko) 2017-09-05 2017-09-05 골프공 수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4170B1 true KR101914170B1 (ko) 2018-11-01

Family

ID=64398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3037A KR101914170B1 (ko) 2017-09-05 2017-09-05 골프공 수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41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1020944S1 (en) 2023-05-01 2024-04-02 Jason Lee Golf ball pickup device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9125A (ja) 1999-11-01 2001-05-15 Tokai Rubber Ind Ltd 掴持部材
KR200253517Y1 (ko) 1999-03-09 2001-11-16 정재학 골프공 채집기
JP2003062129A (ja) * 2001-08-23 2003-03-04 Minoru Sakurai ゴルフボールキャッチング
KR200359322Y1 (ko) * 2004-05-06 2004-08-21 김석헌 골프공용 홀더
KR200455861Y1 (ko) 2008-11-25 2011-10-11 주식회사 코비스 스포츠 골프공 픽업구
US8844990B2 (en) 2008-01-07 2014-09-30 Ball Pro, Inc. Advertising device for an improved golf ball retriever with magnetic element
US20160346653A1 (en) 2015-05-26 2016-12-01 Aviartech, LLC Multipurpose Golf Tool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3517Y1 (ko) 1999-03-09 2001-11-16 정재학 골프공 채집기
JP2001129125A (ja) 1999-11-01 2001-05-15 Tokai Rubber Ind Ltd 掴持部材
JP2003062129A (ja) * 2001-08-23 2003-03-04 Minoru Sakurai ゴルフボールキャッチング
KR200359322Y1 (ko) * 2004-05-06 2004-08-21 김석헌 골프공용 홀더
US8844990B2 (en) 2008-01-07 2014-09-30 Ball Pro, Inc. Advertising device for an improved golf ball retriever with magnetic element
KR200455861Y1 (ko) 2008-11-25 2011-10-11 주식회사 코비스 스포츠 골프공 픽업구
US20160346653A1 (en) 2015-05-26 2016-12-01 Aviartech, LLC Multipurpose Golf Tool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3055693 U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1020944S1 (en) 2023-05-01 2024-04-02 Jason Lee Golf ball pickup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146367A1 (en) Portable golf caddy
US2609198A (en) Device for setting golf balls and tees
US7854664B1 (en) Golf club supporting accessory
US4526369A (en) Golf aid
US5641103A (en) Ball sleeve
US6216587B1 (en) Golf ball marking device
US7390268B2 (en) Golf ball retrieval and positioning system
US5499813A (en) Golf ball teeing device
US20120115629A1 (en) Divot Caddy
US20220409968A1 (en) Golf tee tool
US20140135142A1 (en) Golf Club Stand and Accessory
KR101914170B1 (ko) 골프공 수거구
US20120178547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intaining multiple golf clubs
CN109078309A (zh) 一种可捡球羽毛球拍
US5679080A (en) Golf club swing training device
US6077170A (en) Golf ball retrieval attachment
US20020193183A1 (en) Golf tee and ball placement aid
CN112807639A (zh) 测量风力及风向的测风球标及包括其的高尔夫球配件组
US20220314085A1 (en) Automatic winding device for golf towel
US20060073904A1 (en) Object retrieving device
US20060240904A1 (en) Putter with integral ball retriever
KR20120103247A (ko) 휴대용 골프공 케이스
KR200478458Y1 (ko) 골프공용 라인 마커
CN211863773U (zh) 一种球拍类运动器械收纳装置
KR20190071429A (ko) 골프용 퍼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