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9502B1 - 홈네트워크 가전기기 제어 시스템의 서비스 커버리지 확대를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홈네트워크 가전기기 제어 시스템의 서비스 커버리지 확대를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9502B1
KR101909502B1 KR1020120111237A KR20120111237A KR101909502B1 KR 101909502 B1 KR101909502 B1 KR 101909502B1 KR 1020120111237 A KR1020120111237 A KR 1020120111237A KR 20120111237 A KR20120111237 A KR 20120111237A KR 101909502 B1 KR101909502 B1 KR 1019095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network
user terminal
control
ho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1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5109A (ko
Inventor
최기만
채태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20111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9502B1/ko
Publication of KR20140045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51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9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95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18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from a device located outside both the home and the hom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34Switching of information between an external network and a home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M2M(Machine to Machine, 사물지능통신) 프로토콜 기반의 가전기기 제어 서비스(이하 'M2M 서비스'라 함)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서비스 커버리지를 확장시키기 위해 동일 사업자의 M2M 서비스 플랫폼 혹은 둘 이상의 사업자 간의 연동을 위한 M2M 서비스 연동 플랫폼을 통해, 사용자가 자사 또는 타사의 다른 홈네트워크 지역에서도 사용자 단말을 이용해 언제든지 댁내 홈네트워크 상의 가전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가전기기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홈네트워크 가전기기 제어 시스템의 서비스 커버리지 확대를 위한 방법{Method for Enhancement of Service Coverage in System Controlling Appliances on Home Network}
본 발명은 홈네트워크 상의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가전기기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M2M(Machine to Machine, 사물지능통신) 프로토콜 기반의 가전기기 제어 서비스(이하 'M2M 서비스'라 함)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서비스 커버리지를 확장시키기 위해 동일 사업자의 M2M 서비스 플랫폼 혹은 둘 이상의 사업자 간의 연동을 위한 M2M 서비스 연동 플랫폼을 통해, 사용자가 자사 또는 타사의 다른 홈네트워크 지역에서도 사용자 단말을 이용해 언제든지 댁내 홈네트워크 상의 가전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가전기기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M2M 서비스 표준과 관련된 ETSI M2M 서비스 요구사항(ETSI TS 102 689)에 따르면 'M2M 시스템은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연결 객체의 개수라는 관점에서 확장 가능해야 함'을 명시하고 있다. ETSI M2M 기능 구조 문서(ETSI TS 101 690)에 따르면, '네트워크 도메인 내의 M2M 서비스 기능은 개방형 인터페이스를 통해 구현된 기능에 접근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함'이 명시되어 있다. 또한, 네트워크 도달가능성, 주소할당 및 저장소(NRAR) 기능에 따르면 'NA(Network Application)과 SCL(Service Capability Layer) 데이터를 저장하고 접근권한과 승인에 따라 요청이 있거나 또는 가입상태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 가능함'이 명시되어 있다. 따라서, SCL에 저장된 데이터를 적절히 활용하고 M2M 서비스 기능의 개방형 인터페이스에 기반하여 M2M 플랫폼의 연동기능의 확장과 서비스의 커버리지 확대를 위한 접근권한 확대를 통해 M2M 플랫폼의 연동 서비스 제공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종래의 M2M 서비스를 위한 통신 기술은 전통적으로 홈네트워크 분야에서 많은 기술이 발굴되어 있으며 이때 서비스 사업자는 사용자 댁내 혹은 외부에서 댁내 가전기기를 제어 혹은 감시할 수 있는 장치를 관리하고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하지만, 종래의 M2M 서비스의 경우에는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수신하여 해당 가전을 제어하는 역할의 대부분을 댁내에 구비된 게이트웨이가 수행하고 있으며 서비스 사업자의 플랫폼은 전체 사용자의 서비스를 감시 및 관리하는 기능만을 주로 수행하고 있다. 하지만 표준화 문서에 기술된 M2M 플랫폼은 종래의 홈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에 비해 기능적으로 확장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서비스 기능별로 개방형 구조를 지향하는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하나의 M2M 서비스 사업자가 자신들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기능에 대한 내용일 뿐 사용자간 서비스 연동 혹은 M2M 서비스 사업자간 연동에 대한 부분은 배제되어 있다.
종래의 M2M 표준에 따라 제공되는 서비스의 경우, 하나의 M2M 서비스 사업자에 소속된 사용자는 자신이 제공받고 있는 특정 서비스를 정해진 커버리지 내에서(예를 들어 사용자 댁내)만 이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경우에 따라 사용자가 정해진 커버리지를 이동한 경우에는 현재 이용중인 서비스에 대한 연속성이 보장되지 않으며 결국, 서비스 이용 커버리지 확장의 측면에서도 제한적인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A가 유아의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목적으로 댁내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안전잠금모드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을 때 상기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지 않는 지인의 집(사용자B)을 방문하는 경우에 사용자A는 기존 서비스를 사용자B의 집에서 연속적으로 제공받을 수 없다. 또한 사용자A가 다른 M2M 서비스 사업자의 고객인 사용자C(안전잠금모드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음)의 집을 방문한 경우에도 상이한 M2M 서비스 사업자간 연동 이슈로 인해 사용자A의 상기 서비스의 커버리지 확장에는 제약이 존재한다.
추가적으로 종래의 M2M 서비스 사업자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을 확장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 플랫폼 및 인프라를 직접적으로 구축 및 관리해야 하므로 비용이 추가적으로 발생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하지만 M2M 서비스 사업자간 협약을 기반으로 한 연동이 이루어진다면 상기 발생 가능한 문제는 해결될 수 있으나 아직 사업자간 협약 기반의 연동체계 구축에 대한 부분은 M2M 플랫폼의 기능적인 측면에서 고려가 되고 있지 않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에게 서비스 커버리지를 확장시키기 위해 서비스 제공 지역의 확대와 서비스 영역의 확장을 용이하게 하는 동일 사업자의 M2M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하고, 해당 M2M 서비스 플랫폼의 기능을 통해 사용자가 사업자의 다른 홈네트워크 지역에서도 사용자 단말을 이용해 언제든지 댁내 홈네트워크 상의 가전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가전기기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상이한 M2M 서비스 사업자에 속한 사용자 간에도 연동 서비스 제공을 통해 서비스 커버리지를 확장시키기 위해, 사업자 간의 협약으로 서비스 제공 지역의 확대와 서비스 영역의 확장을 용이하게 하는 M2M 서비스 연동 플랫폼을 제공하고, 해당 M2M 서비스 연동 플랫폼의 기능을 통해 사용자가 다른 사업자의 홈네트워크 지역에서도 사용자 단말을 이용해 언제든지 댁내 홈네트워크 상의 가전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가전기기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먼저, 본 발명의 특징을 요약하면,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서비스 커버리지 확대를 위한 홈네트워크 가전기기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네트워크 상의 복수의 홈네트워크 간의 연동을 지원하는 서비스 플랫폼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홈네트워크 각각은 각각의 커버리지에 등록된 사용자 단말이 내부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제어 명령에 따라 해당 제어코드의 신호를 발생시켜 해당 커버리지의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게이트웨이를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 플랫폼은, 다른 홈네트워크에 등록된 사용자 단말이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연동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는 요청 인터페이스;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현재 위치의 홈네트워크에서의 게이트웨이와 해당 내부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으로 상기 현재 위치의 홈네트워크의 커버리지 내에 있는 가전기기를 제어하도록 세션을 설정하는 제어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사용자 단말로 홈네트워크의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가전기기 제어 방법은, 네트워크 상의 서비스 플랫폼에서 다른 홈네트워크에 등록된 사용자 단말이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연동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플랫폼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현재 위치의 홈네트워크의 커버리지 내에 있는 가전기기를 제어하도록 세션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현재 위치의 홈네트워크 커버리지의 게이트웨이로 내부 네트워크를 통해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게이트웨이가 상기 내부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제어코드를 전송하여 상기 가전기기를 제어하도록 중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세션을 설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연동 서비스 요청에 대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서비스 대상인지 여부를 인증하고, 상기 연동 서비스 요청에 포함된 상기 현재 위치의 홈네트워크 정보에 따라 상기 현재 위치의 홈네트워크의 커버리지의 게이트웨이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참조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다른 홈네트워크에서의 제어 시나리오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어 시나리오 정보에 따라 상기 가전기기를 제어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과의 세션 설정을 제어한다.
상기 세션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플랫폼에서 네트워크 상의 다른 사업자의 제2 서비스 플랫폼과 연동하여, 다른 사업자가 관리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현재 위치한 홈네트워크 커버리지의 게이트웨이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현재 위치한 홈네트워크의 커버리지 내에 있는 가전기기를 제어하도록 세션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세션을 설정하기 위하여, 상기 연동 서비스 요청에 따라 상기 서비스 플랫폼과 상기 제2 서비스 플랫폼 간의 연동을 중계하는 사업자 연동 플랫폼을 더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플랫폼으로부터의 상기 연동 서비스를 위한 연동 서비스 제공 명령을 상기 제2 서비스 플랫폼으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동 서비스 제공 명령에 따라 상기 제2 서비스 플랫폼이 상기 서비스 플랫폼과 연동하여 설정한 상기 세션을 이용해 상기 사용자 단말이 현재 위치한 홈네트워크 커버리지의 게이트웨이를 통하여 상기 연동 서비스를 이용한 후에 해당 서비스 이용 내역 정보를 상기 사업자 연동 플랫폼의 데이터베이스에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세션을 설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서비스 플랫폼에서 상기 연동 서비스 요청에 대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서비스 대상인지 여부를 인증하고, 상기 연동 서비스 요청에 포함된 상기 현재 위치의 홈네트워크에 대한 정보에 따라 해당 연동 사업자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연동 서비스를 위한 연동 서비스 제공 명령을 상기 제2 서비스 플랫폼으로 전송하고, 상기 제2 서비스 플랫폼에서 상기 연동 서비스 제공 명령에 포함된 상기 현재 위치의 홈네트워크에 대한 정보에 따라 상기 현재 위치의 홈네트워크의 커버리지의 게이트웨이를 확인한 후, 상기 서비스 플랫폼으로 요청하여 수신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다른 홈네트워크에서의 제어 시나리오 정보를 상기 현재 위치의 홈네트워크의 커버리지의 게이트웨이로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어 시나리오 정보에 따라 상기 가전기기를 제어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과의 세션 설정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는 신호는 이동통신 네트워크 또는 IP 네트워크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내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는 신호는 유선 통신,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전기기 제어 시스템 그 방법에 따르면, M2M 서비스 플랫폼의 연동 기능에 따라 사용자에게 서비스 커버리지 확장을 통해 서비스 이용의 편의성과 만족도를 증대시켜 줄 수 있고, M2M 서비스 사업자에게는 서비스 제공 지역 및 사업 영역을 용이하게 확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M2M 서비스 사업자는 국내 각 지역 혹은 세계의 각 대륙마다 M2M 서비스를 직접 제공하기 위한 플랫폼 및 인프라를 추가적으로 구축, 관리할 필요가 없이 기존에 이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타 M2M 서비스 사업자와의 협약을 통해 서비스 제공 지역 및 서비스 종류를 용이하게 확장할 수 있다. 따라서, 향후 M2M 서비스가 활성화되는 경우에 M2M 서비스 사업자의 서비스 제공 지역 확장 및 M2M 서비스 사업자간 연동을 위해서는 플랫폼간 연동 기능이 기본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며 이때 필요한 기술로 본 발명의 연동 플랫폼 구조가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일 사업자의 M2M 서비스 플랫폼을 이용해 서비스 커버리지가 확대된 홈 네트워크의 가전기기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M2M 서비스 플랫폼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의 가전기기 제어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이한 사업자들의 M2M 서비스 플랫폼 간 연동을 이용해 서비스 커버리지가 확대된 홈 네트워크의 가전기기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구조에 사업자 연동 플랫폼을 추가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가전기기 제어 시스템의 글로벌 사업 영역의 확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4 와 도 5의 가전기기 제어 시스템을 통해 사업자들간의 연동으로 서비스 커버리지가 확대되는 다양한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4의 M2M 서비스 플랫폼들의 구성도이다.
도 9는 도 5의 M2M 서비스 플랫폼들과 사업자 연동 플랫폼의 구성도이다.
도 10은 도 4 와 도 5의 가전기기 제어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일 사업자의 M2M 서비스 플랫폼을 이용해 서비스 커버리지가 확대된 홈 네트워크의 가전기기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며, 도 4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이한 사업자들의 M2M 서비스 플랫폼 간 연동을 이용해 서비스 커버리지가 확대된 홈 네트워크의 가전기기 제어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일 사업자의 M2M 서비스 플랫폼을 이용해 서비스 커버리지가 확대된 홈 네트워크의 가전기기 제어 시스템(10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 제어 시스템(100)은, 제1 M2M 서비스 플랫폼(110), 사용자 단말(120), 제1 홈네트워크(130), 제2 홈네트워크(1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홈네트워크(130)의 서비스 커버리지에서 사용되도록 등록된 사용자 단말(120)을 예로 들어 설명하며, 이외에도 많은 사용자들의 각 사용자 단말이 각각의 댁내 해당 홈네트워크의 서비스 커버리지 등 각각의 홈네트워크 서비스 커버리지에서 사용되도록 등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 제어 시스템(100)에서는, 제 1 M2M 서비스 플랫폼(110)의 연동 서비스 지원에 따라, 사용자의 이동(예, 제1 홈네트워크(130)에서 제2 홈네트워크(140) 지역으로 이동) 시에 제 1 M2M 서비스 플랫폼(110)에 등록된 홈네트워크가 구축된 어느 곳이라도 M2M 서비스의 연속성을 지원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20)을 통해 자신의 집, 즉, 제1 홈네트워크(130)의 서비스 커버리지에서 가전기기 제어 서비스를 이용하던 사용자가, 타인의 집 등 방문 장소, 즉, 제2 홈네트워크(140)의 서비스 커버리지에서도 동일한 가전기기 제어 서비스를 이용하기를 원하는 경우에, 사용자 단말(120)을 통해 제 1 M2M 서비스 플랫폼(110)로 연동 서비스를 요청함으로써 현재 위치에서의 댁내의 가전기기(142)에 대한 제어 서비스를 지원받을 수 있다.
여기서, 가전기기 제어 서비스는, M2M 프로토콜에 따른 연동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소정의 NA(Network Application)을 탑재한 사용자 단말(120)을 통해 사용자가 미리 정해진 냉장고, TV, 도어락, 컴퓨터, 밥솥(통), 세탁기, 에어컨 등 각 가전기기(132)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선택함으로써, 냉장고 파워 온/오프, TV 채널 상승/하강, 도어락 오픈/클로우즈, 컴퓨터 소프트웨어 실행, 밥솥(통) 기능 선택, 세탁기 시작/중지, 에어컨 온도 상승/하강 등 가전기기(132)에 대한 다양한 동작의 제어가 이루어지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가전기기 제어 서비스를 위하여, 사용자 단말(120)에 대한 정보가 자신의 댁내, 즉, 제1 홈네트워크(130)의 서비스 커버리지에서 사용되도록 등록, 즉, 제1 홈네트워크(130)의 서비스 커버리지에 설치된 제1게이트웨이(131)과 제 1 M2M 서비스 플랫폼(110)에 등록되어 있으며, 제 1 M2M 서비스 플랫폼(110)은 이와 같이 등록된 사용자 단말들을 관리하며, 사용자들의 각 게이트웨이(131, 141)와 통신하여 각 홈네트워크(130, 140)의 서비스 커버리지의 가전기기들(132, 142)에 대한 현재 상태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고, 필요시 가전기기들(132, 142)의 상태 정보를 해당 사용자 단말들에 통보하여 각 사용자가 제 1 M2M 서비스 플랫폼(110)에 등록된 홈네트워크가 구축된 어느 곳에 이동해 있더라도 필요한 가전기기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여기서, 각 홈네트워크의 게이트웨이(131, 141)는 이동통신 네트워크 또는 IP(Internet Protocol) 네트워크 등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해당 통신 방식에 따른 신호로 인터넷 상의 제 1 M2M 서비스 플랫폼(110)과 통신하며, 외부 네트워크의3G(WCDMA)/4G(LTE) 이동통신을 위한 이동통신 네트워크와 유무선 인터넷 통신을 지원하는 IP 네트워크는 서로 연동 가능하다. 또한, 위와 같은 각 홈네트워크에서 가전기기(예, 132), 게이트웨이(예, 131), 및 사용자 단말(120) 간에는 유선 통신(예, 시리얼 통신 등),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예, 블루투스, 지그비,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 등 내부 네트워크의 통신 방식에 따른 신호로 통신하며 M2M 프로토콜 기반의 규약에 따른 서로 간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각 가전기기(132)는 게이트웨이(예, 131) 및 사용자 단말(예, 120)과 위와 같은 유무선 통신을 위한 유선 통신(예, 시리얼 통신 등),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용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120)의 제어 명령 전송에 따라 게이트웨이(예, 131)가 해당 제어 코드의 신호를 발생시켜 전송할 때 해당 가전기기의 위와 같은 제어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사용자 단말(120)는 홈네트워크에서 위와 같이 유무선 통신으로 게이트웨이(120)와 통신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외부에서는 이동통신 네트워크 또는 IP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할 수 있는 단말로서, 이동통신 기지국이나 무선 인터넷을 지원하는 AP(Access Point)를 통해 네트워크(이동통신 네트워크 또는 IP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용자 단말(120)은 스마트폰, 아이폰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두가지 통신이 항상 가능한 단말뿐만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3G(WCDMA) 또는 4G(LTE) 이동통신 서비스만을 받을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일 수도 있고, AP를 통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만을 제공받을 수 있는 노트북, PC, PDA 등의 단말일 수도 있다.
이하, 위와 같은 네트워크 환경을 통해, 제 1 M2M 서비스 플랫폼(110)에서 방문지의 제2 홈네트워크(140)에 있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20)을 통하여 제2홈네트워크(140)의 가전기기(142)를 제어하도록 중계할 수 있는 구성을 실현하기 위하여, 도 2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즉, 네트워크 상에서 홈네트워크들 간의 연동을 지원하는 제 1 M2M 서비스 플랫폼(110)에서 방문지의 홈네트워크(140)가 아닌 자신의 제1홈네트워크(130)에 등록된 사용자 단말(120)이 위와 같은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연동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면, 사용자 단말(120)이 자신의 제2홈네트워크(140)의 커버리지 내에 있는 가전기기(142)를 제어하도록 세션을 설정함으로써, 사용자 단말(120)이 현재 방문지 위치의 제2홈네트워크(140) 커버리지의 게이트웨이(142)로 해당 내부 네트워크를 통해 제어 시나리오에 따른 제어 명령을 전송할 때, 해당 제어 코드를 게이트웨이(141)로 전송함으로써 가전기기(142)를 제어하도록 중계할 수 있는 구성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제1 M2M 서비스 플랫폼(110)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M2M 서비스 플랫폼(110)은 기본 서비스 처리부(111) 및 연동 서비스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인터페이스는 요청 인터페이스(112), 로깅(logging) 인터페이스(113), 정보 인터페이스(114), 및 제어 인터페이스(115)를 포함한다. 위와 같은 제1 M2M 서비스 플랫폼(110)의 각 구성 요소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먼저, 위와 같은 제1 M2M 서비스 플랫폼(110)의 각 구성 요소의 개략적인 설명을 하고, 자세한 동작은 도 3의 흐름도를 설명할 때 좀더 설명하기로 한다.
기본 서비스 처리부(111)는 제1 M2M 서비스 플랫폼(1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각 홈네트워크(130, 140)의 각 게이트웨이(131, 141)의 상태를 관리하며, 각 홈네트워크(130, 140)의 서비스 커버리지의 가전기기들(132, 142)에 대한 현재 상태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고, 필요시 가전기기들(132, 142)의 상태 정보를 해당 사용자 단말들에 통보하여 각 사용자가 제 1 M2M 서비스 플랫폼(110)에 등록된 홈네트워크가 구축된 어느 곳에 이동해 있더라도 필요한 가전기기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요청 인터페이스(112)는 사용자의 댁내인 제1 홈네트워크(130)에 등록된 사용자 단말(120)이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연동 서비스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도 4와 같이 다른 이동 통신사 등 타 M2M 서비스 사업자와 연동하는 경우에는 타 M2M 사업자(하위 서비스 사업자)를 결정하고 해당 타 M2M 사업자의 제2 M2M 서비스 플랫폼(210)(도 4참조)으로 연동 서비스 제공 명령을 전송하여 연동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로깅 인터페이스(113)는 제1 M2M 서비스 플랫폼(110)을 통하여 가전기기 제어 서비스의 연동 서비스가 이루어지면, 게이트웨이로부터 가전기기에 대한 제어 서비스 종류, 서비스 이용 시간, 서비스 성공률 등 연동 서비스 성능 등 연동 서비스 사용 내역 정보를 수신하여, 이와 같은 내역 정보를 사용자별, 기간별, 또는 지역별 등으로 통계 처리하여 데이터베이스에 관리할 수 있다.
정보 인터페이스(114)는 데이터베이스에 사용자 단말의 식별자(예, 전화번호 등) 등 연동 서비스 대상 단말들에 대한 정보와 관리되는 각 홈네트워크에 대한 식별 정보 및 해당 홈네트워크의 커버리지의 게이트웨이들에 대한 정보(예, 주소 정보 등)를 저장 관리하며, 사용자 단말(120)의 연동 서비스 요청에 대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서비스 대상인지 여부를 인증할 수 있으며, 상기 연동 서비스 요청에 포함될 수 있는 방문지인 사용자 단말(120)의 현재 위치의 제2홈네트워크(140)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제2홈네트워크(140)의 커버리지의 게이트웨이(141)를 확인하고 관련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인증 성공 시 정보 인터페이스(114)는 제2홈네트워크(140) 정보 및 해당 게이트웨이(141) 정보와 데이터베이스에서 참조된 사용자 단말(120)에 대하여 등록된 제1홈네트워크(130)에서의 제어 시나리오 정보(가전기기의 종류, 제어명령, 제어 코드 등) 등을 추출할 수 있다.
제어 인터페이스(115)는 가전기기 제어 서비스의 연동 서비스를 위한 필요한 인증이나 구동을 제어하고, 연동 활성화를 위한 각종 설정을 수행하며,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20)이 방문지인 현재 위치의 제2홈네트워크(140)에서의 게이트웨이(141)와 해당 내부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으로 제어 시나리오 정보에 따라 제2홈네트워크(140)의 커버리지 내에 있는 가전기기(142)를 제어하도록 세션 설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가전기기 제어 시스템(1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사용자 단말(120)을 통해 자신의 댁내, 즉, 제1 홈네트워크(130)의 커버리지에서 가전기기(132)에 대한 제어 서비스를 이용하던 사용자가, 타인의 집 등 방문지, 즉, 제2 홈네트워크(140)의 커버리지에서도 동일하게 가전기기(142)에 대한 제어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M2M 기반의 NA를 탑재한 사용자 단말(120)을 통해 소정의 메뉴에서 제2 홈네트워크(140)를 통한 서비스 신청을 선택함으로써(S410), 사용자 단말(120)은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연동 서비스 요청 (메시지)을 전송하고, 이에 따라 요청 인터페이스(112)가 사용자의 댁내인 제1 홈네트워크(130)에 등록된 사용자 단말(120)이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연동 서비스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S411). 상기 연동 서비스 요청에는, 사용자 단말(120)이 서비스 신청을 선택할 때, 사용자 단말(120)의 식별자(예, 전화번호 등), 제2 홈네트워크(140)의 게이트웨이(141)로부터 획득되는 현재 위치의 제2 홈네트워크(140)에 대한 식별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M2M 서비스 플랫폼(110)에서 사용자 단말(120)이 제2 홈네트워크(140) 커버리지 내에 있는 가전기기(142)를 제어하도록 세션을 설정(게이트웨이(141)와 사용자 단말(120) 간 세션을 설정)하기 위하여, 먼저, 요청 인터페이스(112)는 해당 연동 서비스 요청을 정보 인터페이스(114)로 전송하여 연동 서비스 제공 여부의 확인을 요청한다(S420).
정보 인터페이스(114)는 데이터베이스에 사용자 단말의 식별자(예, 전화번호 등) 등 연동 서비스 대상 단말들에 대한 정보와 관리되는 각 홈네트워크에 대한 식별 정보 및 해당 홈네트워크의 커버리지의 게이트웨이들에 대한 정보(예, 주소 정보 등)를 저장 관리하며, 요청 인터페이스(112)로부터 사용자 단말(120)의 연동 서비스 요청을 전달받으면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서비스 대상인지 여부를 인증할 수 있으며, 상기 연동 서비스 요청에 포함될 수 있는 방문지인 사용자 단말(120)의 현재 위치의 제2홈네트워크(140)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제2홈네트워크(140)의 커버리지의 게이트웨이(141)를 확인하고 관련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S421). 인증 성공 시 정보 인터페이스(114)는 제2홈네트워크(140) 정보 및 해당 게이트웨이(141) 정보와 데이터베이스에서 참조된 사용자 단말(120)에 대하여 등록된 제1홈네트워크(130)에서의 제어 시나리오 정보(가전기기의 종류, 제어 명령, 제어 코드 등) 등을 추출할 수 있다.
정보 인터페이스(114)는 위와 같이 서비스 대상인지 여부를 인증하고 제2홈네트워크(140)의 커버리지의 게이트웨이(141)를 확인하면 해당 결과와 게이트웨이(141) 정보 등 추출된 정보를 포함한 결과 메시지를 요청 인터페이스(112)로 전송하며, 인증 실패의 경우에도 해당 실패 결과에 대한 결과 메시지를 요청 인터페이스(112)로 전송한다(S422).
요청 인터페이스(112)는 정보 인터페이스(114)로부터 받는 결과 메시지에 따라 인증이 실패된 경우에는(S423),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120)로 연동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한다(S424). 요청 인터페이스(112)는 정보 인터페이스(114)로부터 받는 결과 메시지에 따라 인증 성공에 따른 게이트웨이(141) 정보 등을 받은 경우에는 연동 서비스 제공 명령을 제어 인터페이스(115)로 전송한다(S425). 연동 서비스 제공 명령에는 제2홈네트워크(140) 정보 및 해당 게이트웨이(141) 정보와 데이터베이스에서 참조된 사용자 단말(120)에 대한 제1홈네트워크(130)에서의 제어 시나리오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어 인터페이스(115)는, 제2홈네트워크(140)의 게이트웨이(141)로 제1홈네트워크(130)에서의 제어 시나리오 정보를 전송하여 사용자 단말(120)이 상기 제어 시나리오 정보에 따라 가전기기(142)를 제어하고 사용자 단말(120)과의 세션 설정을 통하여 연동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게이트웨이(141)의 구동을 제어한다(S426).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120)이 제2 홈네트워크(140) 커버리지 내에 있는 가전기기(142)를 제어하도록 게이트웨이(141)와 세션을 설정하면, 게이트웨이(141)는 수신된 제어 시나리오 정보(가전기기의 종류, 제어 명령, 제어 코드 등)에 따라 사용자 단말(120)의 제어 명령에 응답하여 가전기기(142)의 제어를 중계할 수 있다(S430).
예를 들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20)에 탑재된 소정의 M2M서비스를 위한 NA를 실행하여 사용자 단말(120)을 통해 소정 메뉴에서 가전기기(142) 제어 명령을 선택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120)은 현재 위치의 홈네트워크(140) 커버리지의 게이트웨이(141)로 해당 내부 네트워크를 통해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2홈네트워크(140) 커버리지의 게이트웨이(141)가 사용자 단말(120)의 제어 명령을 수신하면 해당 제어 시나리오 정보(가전기기의 종류, 제어 명령, 제어 코드 등)에 따른 대응된 제어 코드를 게이트웨이(142)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B 댁내의 가전기기(142)를 제어하도록 중계할 수 있다.
방문지의 게이트웨이(141)를 통한 가전기기의 제어가 끝나면, 게이트웨이(141)는 해당 서비스 이용 내역 정보(예, 가전기기에 대한 제어 서비스 종류, 서비스 이용 시간, 서비스 성공률 등 연동 서비스 성능 등)를 로깅 인터페이스(113)로 통보하며, 로깅 인터페이스(113)는 이와 같은 내역 정보를 사용자별, 기간별, 또는 지역별 등으로 통계 처리하여 데이터베이스에 관리할 수 있다(S440).
이하, 도 4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이한 M2M 서비스 사업자들의 M2M 서비스 플랫폼 간 연동을 이용해 서비스 커버리지가 확대된 홈 네트워크의 가전기기 제어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이한 사업자들의 M2M 서비스 플랫폼 간 연동을 이용해 서비스 커버리지가 확대된 홈 네트워크의 가전기기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 제어 시스템은, 제1 M2M 서비스 사업자 시스템(100), 제2 M2M 서비스 사업자 시스템(200)을 포함하며, 도 5와 같이, 사업자 연동 플랫폼(31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제1 M2M 서비스 사업자 시스템(100)은 도 1내지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 사용자 단말이 제 1 M2M 서비스 플랫폼(110)에 등록된 홈네트워크들(130, 140)이 구축된 어느 곳에 이동해 있더라도 댁내의 필요한 가전기기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역시 제2 M2M 서비스 사업자 시스템(200)도 해당 사업자의 서비스에 가입된 각 사용자 단말이 이와 유사한 방식으로 해당 사업자의 서비스 플랫폼(210)에 등록된 홈네트워크들(220 등)이 구축된 어느 곳에 이동해 있더라도 댁내의 필요한 가전기기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즉, 제 2 M2M 서비스 플랫폼(210), 게이트웨이(221), 가전기기(222)는 해당 사업자의 서비스 지역에서 도 1과 같은 제 1 M2M 서비스 플랫폼(110), 게이트웨이(131/141), 가전기기(132/142)와 유사하게 동작한다.
다만, 여기서는 사업자 연동 플랫폼(310)을 구비하거나 또는 이를 구비하지 않고, 상이한 M2M 서비스 사업자들의 M2M 서비스 플랫폼(110, 120) 간 연동을 이용해, 제 1 M2M 서비스 플랫폼(110)에 등록된 사용자 단말(120)이 제2 M2M 서비스 사업자 시스템(200)의 홈네트워크(220)가 구축된 지역에 이동해 있더라도 제2 M2M 서비스 사업자의 게이트웨이(221)를 통하여 댁내의 필요한 가전기기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식을 자세히 설명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이한 사업자들의 M2M 서비스 플랫폼 간 연동을 위한 홈 네트워크의 가전기기 제어 시스템 환경에서, 본 발명의 가전기기 제어 시스템은 도 6과 같이 세계 각 지역에서 해당 사업자가 자사의 서비스(예, 한국에서 NA1을 탑재한 서비스)를 위해 구축되기만 하면, 이하와 같은 사업자 연동 방식에 따라, 자사의 NA (예, 한국에서 NA1)이외에 타 사업자의 NA(예, NA2, NA3, NA4)를 서비스 플랫폼, 사용자 단말, 게이트웨이 등에 탑재하여 해당 지역(예, 유럽)과 본 발명의 사업자간 연동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M2M 서비스 사업자 시스템(100)은 국내 한국 사용자를 대상으로 NA1의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가정하자. 이때 NA1은 특정 가전사의 가전 제어 서비스를 지원하는 것으로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특정 가전사의 가전이 해외로 널리 유통됨에 따라 제1 M2M 서비스 사업자 시스템(100)의 사업자가 사업 영역을 해외로 확장하고자 할 때, 제1 M2M 서비스 사업자 시스템(100)의 사업자는 NA1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플랫폼, 게이트웨이 등의 인프라를 해외에 별도로 구축할 필요 없이 기존의 M2M 서비스 사업자와 상호 협약을 통해 그들의 플랫폼, 게이트웨이를 활용하되 NA1의 서비스 제공을 위한 연동 기능 및 추후 정산을 위한 기능을 본 발명의 연동 플랫폼을 통해 구현하면 된다. 이때, 도1 내지 도 3과의 차이점은 서비스 요청이 제1 M2M 서비스 사업자 시스템(100)의 모든 사용자 (단말)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상호 협약된 M2M 서비스 사업자의 사용자 (단말)에 의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1 M2M 서비스 사업자 시스템(100)은 제2 M2M 서비스 사업자 시스템(200), 제3 M2M 서비스 사업자 시스템(300), 제4 M2M 서비스 사업자 시스템(400)이 각각 서비스 하고 있는 지역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가전사의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NA1의 서비스를 제공하게 됨으로써 사업 영역을 해외로 용이하게 확장 할 수 있다. 단, 추후 정산을 위한 사업자간 협약은 계약 관계를 따른다. 이는 제1 M2M 서비스 사업자 시스템(100)의 사용자 (단말)가 수입 가전을 사용하는 경우(예를 들어 제어 서비스가 NA2라 가정함)에도 역으로 설명될 수 있다. 제1 M2M 서비스 사업자 시스템(100)이 해당 수입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 않으나 NA2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2 M2M 서비스 사업자 시스템(200)과 연동을 통해 연동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다. 제3 M2M 서비스 사업자 시스템(300), 제4 M2M 서비스 사업자 시스템(400)이 제공하는 NA3, NA4의 서비스와도 유사하게 연동될 수 있다.
제1 M2M 서비스 사업자 시스템(100)과 제2 M2M 서비스 사업자 시스템(200) 간에는 서로 연동하여 서로 간에 타 사업자의 홈네트워크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120)에도 본 발명의 연동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으며, 도 5와 같은 사업자 연동 플랫폼(310) 없이도 이와 같은 연동 서비스의 구현이 가능하며, 사업자 연동 플랫폼(310)을 두어 필요한 데이터의 송수신이나 로그 데이터 등의 저장이 원활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의 (a)와 같이 상이한 두 M2M 서비스 사업자간에 직접 연동하는 경우, 도 7의 (b)와 같이 상이한 두 M2M 서비스 사업자간에 사업자 연동 플랫폼(310)을 통해 연동하는 경우, 도 7의 (c)와 같이 상이한 셋 이상의 M2M 서비스 사업자들 간에 각각 직접 연동하는 경우, 도 7의 (d)와 같이 상이한 셋 이상의 M2M 서비스 사업자들 간에 사업자 연동 플랫폼(310)의 중계로 연동하는 경우 등 M2M 서비스 사업자간 연동은 사업자 수에 상관없이 메쉬(mesh) 구조로 연결될 수 있다.
이하, 위와 같은 네트워크 환경을 통해, 제1 M2M 서비스 사업자 시스템(100)의 제 1 M2M 서비스 플랫폼(110)에서 제2 M2M 서비스 사업자 시스템(200)의 제 2 M2M 서비스 플랫폼(210)과 연동하여, 사용자 단말(120)이 현재 위치한 방문지의 홈네트워크(220) 커버리지의 게이트웨이(221)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120)이 사용자 C 댁내의 가전기기(222)를 제어하도록 세션을 설정하고 중계할 수 있는 구성을 실현하기 위하여, 도 8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좀 더 자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도 4의 M2M 서비스 플랫폼들(110, 210)의 구성도이고, 도 9는 여기에 사업자 연동 플랫폼(310)이 추가적으로 구성된 도면이다. 사업자 연동 플랫폼(310)은 있어도 되고 없어도 되는 옵션(option) 구성이다.
도 8와 같이, 제1 M2M 서비스 플랫폼(110)은 도 2와 같은 구성으로서, 기본 서비스 처리부(111), 요청 인터페이스(112), 로깅 인터페이스(113), 정보 인터페이스(114), 및 제어 인터페이스(115)를 포함한다. 제2 M2M 서비스 플랫폼(210)은 역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는 기본 서비스 처리부(211), 요청 인터페이스(212), 로깅 인터페이스(213), 정보 인터페이스(214), 및 제어 인터페이스(215)를 포함한다. 제2 M2M 서비스 플랫폼(210)은 해당 홈네트워크에 등록된 사용자 단말들에 연동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도 1내지 도 3에서 설명된 제1 M2M 서비스 플랫폼(110)과 유사하게 동작할 수 있다.
다만, 여기서는, 사업자간 연동을 위하여 옵션 구성인 사업자 연동 플랫폼(310)이 더 포함될 수 있으며, 구성인 사업자 연동 플랫폼(310)은 사업자의 요청 인터페이스들(112, 212) 간에 송수신되는 신호를 전달하는 요청 인터페이스(311)와 사업자의 로깅 인터페이스들(113, 213) 간에 송수신되는 신호를 전달하는 로깅 인터페이스(312)를 포함한다. 로깅 인터페이스(312)는 연동되는 서비스 플랫폼들(110, 210)을 통하여 가전기기 제어 서비스의 연동 서비스가 이루어지면, 방문지의 게이트웨이로부터 가전기기에 대한 제어 서비스 종류, 서비스 이용 시간, 서비스 성공률 등 연동 서비스 성능 등 연동 서비스 사용 내역 정보를 수신하여, 이와 같은 내역 정보를 사용자별, 기간별, 또는 지역별 등으로 통계 처리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별도로 관리할 수 있다.
이하, 도 10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도 4 또는 도 5의 가전기기 제어 시스템의 동작을 좀 더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 단말(120)을 통해 자신의 댁내, 즉, 제1 홈네트워크(130)의 커버리지에서 가전기기(132)에 대한 제어 서비스를 이용하던 사용자가, 타사업자에 의해 서비스되고 있는 장소 등 방문지, 즉, 제3 홈네트워크(220)의 커버리지에서도 동일하게 가전기기(222)에 대한 제어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M2M 기반의 NA를 탑재한 사용자 단말(120)을 통해 소정의 메뉴에서 제3 홈네트워크(220)를 통한 서비스 신청을 선택함으로써(S810), 사용자 단말(120)은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연동 서비스 요청 (메시지)을 전송하고, 이에 따라 요청 인터페이스(112)가 사용자의 댁내인 제1 홈네트워크(130)에 등록된 사용자 단말(120)이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연동 서비스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S811). 상기 연동 서비스 요청에는, 사용자 단말(120)이 서비스 신청을 선택할 때, 사용자 단말(120)의 식별자(예, 전화번호 등), 제3 홈네트워크(220)의 게이트웨이(221)로부터 획득되는 현재 위치의 제3 홈네트워크(220)에 대한 식별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M2M 서비스 플랫폼(110)에서 사용자 단말(120)이 제3 홈네트워크(220) 커버리지 내에 있는 가전기기(222)를 제어하도록 세션을 설정(게이트웨이(221)와 사용자 단말(120) 간 세션을 설정)하기 위하여, 먼저, 요청 인터페이스(112)는 해당 연동 서비스 요청을 정보 인터페이스(114)로 전송하여 연동 서비스 제공 여부의 확인을 요청한다(S820).
정보 인터페이스(114)는 데이터베이스에 사용자 단말의 식별자(예, 전화번호 등) 등 사업자간 연동 서비스 대상 단말들에 대한 정보와 관리되는 각 홈네트워크에 대한 식별 정보 및 해당 홈네트워크의 커버리지의 게이트웨이들에 대한 정보(예, 주소 정보 등)를 저장 관리하며, 요청 인터페이스(112)로부터 사용자 단말(120)의 연동 서비스 요청을 전달받으면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서비스 대상인지 여부를 인증할 수 있으며, 상기 연동 서비스 요청에 포함될 수 있는 방문지인 사용자 단말(120)의 현재 위치의 제3홈네트워크(220)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제3홈네트워크(220)의 커버리지의 게이트웨이(221)를 확인하고 관련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S821). 인증 성공 시 정보 인터페이스(114)는 제3홈네트워크(220) 정보 및 해당 게이트웨이(221) 정보와 데이터베이스에서 참조된 사용자 단말(120)에 대하여 등록된 제1홈네트워크(130)에서의 제어 시나리오 정보(가전기기의 종류, 해당 제어명령, 제어 코드 등) 등을 추출할 수 있다.
정보 인터페이스(114)는 위와 같이 서비스 대상인지 여부를 인증하고 연동 사업자(제2 M2M 서비스 사업자)를 확인하면 해당 결과와 연동 사업자(제2 M2M 서비스 사업자) 정보 등 추출된 정보를 포함한 결과 메시지를 요청 인터페이스(112)로 전송하며, 인증 실패의 경우에도 해당 실패 결과에 대한 결과 메시지를 요청 인터페이스(112)로 전송한다(S822).
요청 인터페이스(112)는 정보 인터페이스(114)로부터 받는 결과 메시지에 따라 인증이 실패된 경우에는(S823),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120)로 연동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한다(S824). 요청 인터페이스(112)는 정보 인터페이스(114)로부터 받는 결과 메시지에 따라 인증 성공에 따른 게이트웨이(221) 정보 등을 받은 경우에는 연동 서비스 제공 명령을 외부 내트워크를 통해 제2 M2M 서비스 플랫폼(210)의 요청 인터페이스(212)로 전송한다(S825). 연동 서비스 제공 명령에는 연동 사업자(제2 M2M 서비스 사업자) 정보와, 제3홈네트워크(220) 정보 및 해당 게이트웨이(221)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M2M 서비스 플랫폼(210)의 요청 인터페이스(212)는 이를 정보 인터페이스(214)로 전달하여 확인을 요청한다(S826). 정보 인터페이스(214)는 제3홈네트워크(220)의 커버리지의 게이트웨이(221)를 확인하고(S830) 해당 게이트웨이(221) 정보 등 추출된 정보를 포함한 메시지를 요청 인터페이스(212)로 전송한다(S831).
이에 따라 요청 인터페이스(212)는 제1 M2M 서비스 플랫폼(130)의 제어 인터페이스(115)로 해당 구동 정보를 요청하며(S832), 제어 인터페이스(115)는, 제2 M2M 서비스 플랫폼(210)의 제어 인터페이스(215)로 해당 구동 정보(예, 사용자 단말(120)의 제1홈네트워크(130)에서의 제어 시나리오 정보 등)를 전송하고(S833), 제어 인터페이스(215)는 제3홈네트워크(220)의 게이트웨이(221)로 구동 정보,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20)의 제1홈네트워크(130)에서의 제어 시나리오 정보를 전송하여 사용자 단말(120)이 상기 제어 시나리오 정보에 따라 가전기기(222)를 제어하도록 사용자 단말(120)과의 세션 설정을 통하여 연동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게이트웨이(221)의 구동을 제어한다(S834).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120)이 제3 홈네트워크(220) 커버리지 내에 있는 가전기기(222)를 제어하도록 게이트웨이(221)와 세션을 설정하면, 게이트웨이(221)는 수신한 제어 시나리오 정보에 따라 사용자 단말(120)의 제어 명령에 응답하여 가전기기(222)의 제어를 중계할 수 있다(S840).
예를 들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20)에 탑재된 소정의 M2M서비스를 위한 NA를 실행하여 사용자 단말(120)을 통해 소정 메뉴에서 가전기기(222) 제어 명령을 선택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120)은 현재 위치의 홈네트워크(220) 커버리지의 게이트웨이(221)로 해당 내부 네트워크를 통해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게이트웨이(221)는 사용자 단말(120)의 제어 명령을 수신하면 해당 제어 시나리오 정보(가전기기의 종류, 제어 명령, 제어 코드 등)에 따른 해당 제어 코드를 사용자C 댁내의 가전기기(222)로 전송함으로써 해당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제어를 중계할 수 있다.
방문지의 게이트웨이(221)를 통한 가전기기의 제어가 끝나면, 게이트웨이(221)는 해당 서비스 이용 내역 정보(예, 가전기기에 대한 제어 서비스 종류, 서비스 이용 시간, 서비스 성공률 등 연동 서비스 성능 등)를 로깅 인터페이스(213)로 통보하며, 로깅 인터페이스(213)는 이와 같은 내역 정보를 사용자별, 기간별, 또는 지역별 등으로 통계 처리하여 데이터베이스에 관리할 수 있다(S850). 또한, 로깅 인터페이스(213)는 제1 M2M 서비스 사업자의 로깅 인터페이스(113)로 해당 서비스 이용 내역의 통계 정보를 전송하여 로깅 인터페이스(113)에서도 통계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관리하도록 한다(S851).
뿐만 아니라, 위와 같은 연동 서비스 요청(S811)에 대하여, 제1 M2M 서비스 사업자의 플랫폼(110)과 제2 M2M 서비스 사업자의 플랫폼(220)간의 연동을 중계하는 사업자 연동 플랫폼(310)이 사용되는 경우에, S825 단계의 제1 M2M 서비스 사업자의 플랫폼(110)으로부터의 상기 연동 서비스를 위한 연동 서비스 제공 명령을 사업자 연동 플랫폼(310)의 요청 인터페이스(311)가 제2 M2M 서비스 사업자의 플랫폼(22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은 연동 서비스 제공 명령에 따라 위와 같이 제2 M2M 서비스 사업자의 플랫폼(220)이 제1 M2M 서비스 사업자의 플랫폼(110)과 연동하여 설정한 위와 같은 세션(S834)을 이용해 사용자 단말(120)이 현재 위치한 홈네트워크(220) 커버리지의 게이트웨이(221)를 통하여 해당 연동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방문지의 게이트웨이(221)를 통한 가전기기의 제어가 끝나면, 게이트웨이(221)는 해당 서비스 이용 내역 정보(예, 가전기기에 대한 제어 서비스 종류, 서비스 이용 시간, 서비스 성공률 등 연동 서비스 성능 등)를 로깅 인터페이스(213)로 통보하고, 로깅 인터페이스(213)는 이와 같은 내역 정보를 사용자별, 기간별, 또는 지역별 등으로 통계 처리하여 데이터베이스에 관리할 수 있다(S850). 또한, 로깅 인터페이스(213)는 사업자 연동 플랫폼(310)의 로깅 인터페이스(312)로 해당 서비스 이용 내역의 통계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로깅 인터페이스(312)는 제1 M2M 서비스 사업자의 로깅 인터페이스(113)로 해당 서비스 이용 내역의 통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각 사업자의 로깅 인터페이스(113/213) 및 사업자 연동 플랫폼(310)의 로깅 인터페이스(312)는 각각의 데이터베이스에 해당 서비스 이용 내역의 통계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제1 M2M 서비스 사업자 시스템
200: 제2 M2M 서비스 사업자 시스템
110, 210: M2M 서비스 플랫폼
120: 사용자 단말
131, 141, 221: 게이트웨이
132, 142, 222: 가전기기

Claims (8)

  1. 서비스 커버리지 확대를 위한 홈네트워크 가전기기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네트워크 상의 복수의 홈네트워크 간의 연동을 지원하는 서비스 플랫폼을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플랫폼은, 다른 홈네트워크에 등록된 사용자 단말이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연동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는 요청 인터페이스; 상기 사용자 단말이 현재 위치의 홈네트워크에서의 게이트웨이와 해당 내부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으로 상기 현재 위치의 홈네트워크의 커버리지 내에 있는 가전기기를 제어하도록 세션을 설정하는 제어 인터페이스; 및 상기 연동 서비스 요청에 포함된 상기 현재 위치의 홈네트워크 정보에 따라 상기 현재 위치의 홈네트워크의 커버리지의 게이트웨이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다른 홈네트워크에서의 제어 시나리오 정보를 상기 요청 인터페이스로 전송하는 정보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다른 홈네트워크에서의 제어 시나리오 정보에 따른 상기 요청 인터페이스의 명령으로,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어 시나리오 정보에 따라 상기 가전기기를 제어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과의 세션 설정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 제어 시스템.
  2. 네트워크 상의 서비스 플랫폼에서 다른 홈네트워크에 등록된 사용자 단말이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연동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플랫폼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현재 위치의 홈네트워크의 커버리지 내에 있는 가전기기를 제어하도록 세션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현재 위치의 홈네트워크 커버리지의 게이트웨이로 내부 네트워크를 통해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게이트웨이가 상기 내부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제어코드를 전송하여 상기 가전기기를 제어하도록 중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세션을 설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연동 서비스 요청에 포함된 상기 현재 위치의 홈네트워크 정보에 따라 상기 현재 위치의 홈네트워크의 커버리지의 게이트웨이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다른 홈네트워크에서의 제어 시나리오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어 시나리오 정보에 따라 상기 가전기기를 제어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과의 세션 설정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을 설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연동 서비스 요청에 대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서비스 대상인지 여부를 인증하고, 상기 현재 위치의 홈네트워크의 커버리지의 게이트웨이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참조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다른 홈네트워크에서의 상기 제어 시나리오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 제어 방법.
  4. 삭제
  5. 네트워크 상의 서비스 플랫폼에서 다른 홈네트워크에 등록된 사용자 단말이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연동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플랫폼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현재 위치의 홈네트워크의 커버리지 내에 있는 가전기기를 제어하도록 세션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현재 위치의 홈네트워크 커버리지의 게이트웨이로 내부 네트워크를 통해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게이트웨이가 상기 내부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제어코드를 전송하여 상기 가전기기를 제어하도록 중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세션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플랫폼에서 네트워크 상의 다른 사업자의 제2 서비스 플랫폼과 연동하여, 다른 사업자가 관리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현재 위치한 홈네트워크 커버리지의 게이트웨이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현재 위치한 홈네트워크의 커버리지 내에 있는 가전기기를 제어하도록 세션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연동 서비스 요청에 따라 상기 서비스 플랫폼과 상기 제2 서비스 플랫폼 간의 연동을 중계하는 사업자 연동 플랫폼을 더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플랫폼으로부터의 상기 연동 서비스를 위한 연동 서비스 제공 명령을 상기 제2 서비스 플랫폼으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연동 서비스 제공 명령에 따라 상기 제2 서비스 플랫폼이 상기 서비스 플랫폼과 연동하여 설정한 상기 세션을 이용해 상기 사용자 단말이 현재 위치한 홈네트워크 커버리지의 게이트웨이를 통하여 상기 연동 서비스를 이용한 후에 해당 서비스 이용 내역 정보를 상기 사업자 연동 플랫폼의 데이터베이스에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 제어 방법.
  6. 네트워크 상의 서비스 플랫폼에서 다른 홈네트워크에 등록된 사용자 단말이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연동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플랫폼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현재 위치의 홈네트워크의 커버리지 내에 있는 가전기기를 제어하도록 세션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현재 위치의 홈네트워크 커버리지의 게이트웨이로 내부 네트워크를 통해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게이트웨이가 상기 내부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제어코드를 전송하여 상기 가전기기를 제어하도록 중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세션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플랫폼에서 네트워크 상의 다른 사업자의 제2 서비스 플랫폼과 연동하여, 다른 사업자가 관리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현재 위치한 홈네트워크 커버리지의 게이트웨이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현재 위치한 홈네트워크의 커버리지 내에 있는 가전기기를 제어하도록 세션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세션을 설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서비스 플랫폼에서 상기 연동 서비스 요청에 대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서비스 대상인지 여부를 인증하고, 상기 연동 서비스 요청에 포함된 상기 현재 위치의 홈네트워크에 대한 정보에 따라 해당 연동 사업자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연동 서비스를 위한 연동 서비스 제공 명령을 상기 제2 서비스 플랫폼으로 전송하고, 상기 제2 서비스 플랫폼에서 상기 연동 서비스 제공 명령에 포함된 상기 현재 위치의 홈네트워크에 대한 정보에 따라 상기 현재 위치의 홈네트워크의 커버리지의 게이트웨이를 확인한 후,
    상기 서비스 플랫폼으로 요청하여 수신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다른 홈네트워크에서의 제어 시나리오 정보를 상기 현재 위치의 홈네트워크의 커버리지의 게이트웨이로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어 시나리오 정보에 따라 상기 가전기기를 제어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과의 세션 설정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 제어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는 신호는 이동통신 네트워크 또는 IP 네트워크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 제어 방법.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는 신호는 유선 통신,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 제어 방법.
KR1020120111237A 2012-10-08 2012-10-08 홈네트워크 가전기기 제어 시스템의 서비스 커버리지 확대를 위한 방법 KR1019095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1237A KR101909502B1 (ko) 2012-10-08 2012-10-08 홈네트워크 가전기기 제어 시스템의 서비스 커버리지 확대를 위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1237A KR101909502B1 (ko) 2012-10-08 2012-10-08 홈네트워크 가전기기 제어 시스템의 서비스 커버리지 확대를 위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5109A KR20140045109A (ko) 2014-04-16
KR101909502B1 true KR101909502B1 (ko) 2018-10-19

Family

ID=50652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1237A KR101909502B1 (ko) 2012-10-08 2012-10-08 홈네트워크 가전기기 제어 시스템의 서비스 커버리지 확대를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95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1645B1 (ko) 2015-05-22 2022-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게이트웨이와 그 제어 방법
US11137161B2 (en) 2017-03-30 2021-10-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ata learning server and method for generating and using learning model thereof
US10970128B2 (en) 2018-04-13 2021-04-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rver,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2412308B1 (ko) * 2020-02-26 2022-06-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장치 간 연동에 기초한 장치 제어 기능을 제공하는 인공 지능 장치 및 그 방법
CN114143143B (zh) * 2021-10-29 2024-03-22 青岛海尔科技有限公司 网关设备的确定方法和装置、存储介质及电子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3465B1 (ko) * 2005-11-25 2006-12-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단말기 이동성을 고려한 댁내 장치의 원격 제어 지원 장치및 이를 구비한 홈 게이트웨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2959B1 (ko) * 2003-04-12 2005-09-07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홈 서비스 시스템
KR20060001903A (ko) * 2005-12-13 2006-01-06 주식회사 라이징테크놀러지 실시간 연동서버를 이용한 지역단위 홈네트워크시스템 및이의 제어시스템
KR100711127B1 (ko) * 2006-06-05 2007-04-2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홈게이트웨이 및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3465B1 (ko) * 2005-11-25 2006-12-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단말기 이동성을 고려한 댁내 장치의 원격 제어 지원 장치및 이를 구비한 홈 게이트웨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5109A (ko) 2014-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84443A1 (en) Methods of joint registration and de-registration for proximity services and internet of things services
US962869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a physical IoT device
US11277278B2 (en) Smart home service serve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1679428B1 (ko) Cpns 서비스 제공을 위한 개인망 형성 장치 및 방법
CN102349319B (zh) 中继节点的设置和配置
CN101341710B (zh) 对于集成wlan热点客户端的支持
KR20170014707A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방문자 호출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438343B1 (ko) 융합형 네트워크에서 사용자 키를 할당하기 위한 방법
KR101909502B1 (ko) 홈네트워크 가전기기 제어 시스템의 서비스 커버리지 확대를 위한 방법
KR102296162B1 (ko) 무선랜 통신 연결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60055902A (ko) 사용자 상호작용적 애플리케이션 가능 게이트웨이
EP4007326A1 (en) Method and device for activating 5g user
KR101680715B1 (ko) 개인 네트워크 등록을 위한 장치 및 방법
JP6944950B2 (ja) モノのインターネット(IoT)デバイスのグループのための連携サービス
CN102812749A (zh) Wan与lan之间的数据业务的重定向
AU2016361086A1 (en) Smart home service serve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EP414231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network access information between terminal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120087635A (ko) 무선 pan 프록시 장치를 이용하여 원격으로 가전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30028316A (ko) 홈 네트워크의 단말에 대한 원격 접속 제공 장치 및 방법
EP3163919B1 (en) D2d service authorizing method and device and home near field communication server
KR20120137706A (ko) 통신 시스템, 그의 펨토 기지국 및 그의 클러스터링 및 핸드오버 수행 방법
KR101782554B1 (ko) 가상 스위치를 이용한 개인 공간 구성 장치 및 그 방법
JP3894189B2 (ja) 中継基地局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方法並びに無線通信用プログラム
JP5454116B2 (ja) ゲートウェイ装置、通信システム、並びに通信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3765933A (zh) 用于漫游服务的优选被访问nsp的信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