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2554B1 - 가상 스위치를 이용한 개인 공간 구성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가상 스위치를 이용한 개인 공간 구성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2554B1
KR101782554B1 KR1020100134095A KR20100134095A KR101782554B1 KR 101782554 B1 KR101782554 B1 KR 101782554B1 KR 1020100134095 A KR1020100134095 A KR 1020100134095A KR 20100134095 A KR20100134095 A KR 20100134095A KR 101782554 B1 KR101782554 B1 KR 1017825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virtual
network
layer
swi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4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2257A (ko
Inventor
주성순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134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2554B1/ko
Priority to US13/335,622 priority patent/US20120163237A1/en
Publication of KR20120072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22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25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25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48Program initiating; Program switching, e.g. by interrupt
    • G06F9/4806Task transfer initiation or dispatching
    • G06F9/4843Task transfer initiation or dispatching by program, e.g. task dispatcher, supervisor, operating system
    • G06F9/485Task life-cycle, e.g. stopping, restarting, resuming execution
    • G06F9/4856Task life-cycle, e.g. stopping, restarting, resuming execution resumption being on a different machine, e.g. task migration, virtual machine mig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95Configuration of virtualised networks or elements, e.g. virtualised network function or OpenFlow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5Emulation; Interpretation; Software simulation, e.g. virtualisation or emulation of application or operating system execution engines
    • G06F9/45533Hypervisors; Virtual machine monitors
    • G06F9/45558Hypervisor-specific management and integration aspects
    • G06F2009/4557Distribution of virtual machine instances; Migration and load balan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12Discovery or management of network topolog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4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using virtualisation of network functions or resources, e.g. SDN or NFV ent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2Setup of transport tu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6Gateway arrang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가상 스위치를 이용하여 개인 공간을 구성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가상 스위치를 이용하여 이종 통신망에 연동된 디바이스들을 가상 통합시켜 개인을 지원하는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개인 공간 구성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서로 다른 통신망에 접속하는 단말들 간 연동을 위한 구성을 네트워크 계층 상위에 적응 계층으로 부가시키고 이를 통해 가상 스위칭을 구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개인 공간에 최적인 환경을 구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개인화 서비스를 빠르게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상 스위치를 이용한 개인 공간 구성 장치 및 그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configuring the personal space with virtual switch}
본 발명은 개인 공간을 구성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가상 스위치를 이용하여 개인 공간을 구성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디바이스(device)가 접속할 수 있는 통신망은 WSN(Wireless Sensor Network),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3G 이동통신망 등 점차 다양해지고 있다. 그런데, 통상적으로 개인 환경을 구성하는 디바이스는 접속 통신망에 따라 수직적으로 관리 운용된다. 일례로, WSN에 연결되는 지그비 센서 노드, WLAN에 연결되는 미디어 서버, 유선 라우터에 연결되는 센서, 3G 이동통신망에 연결되는 M2M 서버나 개인 단말 등 일정 공간 내에 위치하는 디바이스들이 접속 통신망에 따라 수직적으로 운용되고 있다. 그래서, 종래 디바이스들은 물리적으로 하나의 공간에 위치하더라도 접속망과 코어망의 관리 사업자에 따라 분리된 망으로 동작하여 위치에 따라 개인을 지원하는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가상 스위치를 이용하여 이종 통신망에 연동된 디바이스들을 가상 통합시켜 개인을 지원하는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개인 공간 구성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제1 단말(device)과 이종 통신망에 연동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을 검색하는 단말 검색부; 네트워크 계층 상위에 위치하는 계층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가상 스위치로 제1 단말과 검색된 제2 단말을 가상 스위칭시키는 가상 스위칭부; 및 제1 단말, 검색된 제2 단말 및 가상 스위치를 포함하여 사용자 개인 공간을 구성하는 개인 공간 구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공간 구성 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가상 스위칭부는, 제2 단말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제2 단말을 미리 정해진 네트워크에 등록시키는 단말 등록부; 등록된 제2 단말의 메모리를 처리하여 가상 스위칭 대상 단말로 설정하는 단말 설정부; 및 설정된 제2 단말을 제1 단말과 가상 스위칭시키는 스위칭부를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단말 설정부는 등록된 제2 단말의 스택(stack) 영역을 처리시킨다.
바람직하게는, 개인 공간 구성부는, 가상 스위칭 때에 제2 단말에 부가된 스위칭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용자 개인 공간과 관련된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네트워크 접속부; 사용자 개인 공간 구성을 위한 프로파일을 고려하여 네트워크 접속된 제2 단말에 적용시킬 응용 프로그램을 추출하는 응용 프로그램 추출부; 및 추출된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용자 개인 공간을 구성하는 공간 구성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가상 스위칭부는 네트워크 계층 상위에 위치하는 계층으로 가상 스위칭을 위한 네트워크 적응(adaptation) 계층을 이용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가상 스위칭부는 네트워크 적응 계층으로 제1 단말과 제2 단말 간에 프로토콜을 연동시키기 위한 컨버터 계층, 제2 단말의 아이디와 어드레스를 해석하기 위한 트랜스레이터 계층, 제1 단말과 제2 단말의 연동과 관련된 가상 공간을 스위칭시키기 위한 가상 공간 스위치 계층, 및 사용자 개인 공간 구성과 관련된 응용 프로그램을 처리하는 어플리케이션 계층을 이용한다.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가상 스위칭부는 제1 단말로부터 제2 단말로 제공될 가상 콘텐츠를 스위칭시키기 위한 가상 콘텐츠 스위치 계층, 및 가상 스위칭을 위한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네트워크 관리 계층을 네트워크 적응 계층으로 더욱 이용한다.
바람직하게는, 가상 스위칭부는, 제2 단말에 대한 정보로 제2 단말의 내용 정보나 제2 단말과 관련된 환경 정보를 수집하는 단말 정보 수집부를 더욱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단말 검색부는 제1 단말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 내에 위치한 제2 단말을 검색하거나, 제1 단말과 동종 통신망에 연동된 단말을 더욱 검색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단말(device)과 이종 통신망에 연동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을 검색하는 단말 검색 단계; 네트워크 계층 상위에 위치하는 계층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가상 스위치로 제1 단말과 검색된 제2 단말을 가상 스위칭시키는 가상 스위칭 단계; 및 제1 단말, 검색된 제2 단말 및 가상 스위치를 포함하여 사용자 개인 공간을 구성하는 개인 공간 구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공간 구성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가상 스위칭 단계는, 제2 단말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제2 단말을 미리 정해진 네트워크에 등록시키는 단말 등록 단계; 등록된 제2 단말의 메모리를 처리하여 가상 스위칭 대상 단말로 설정하는 단말 설정 단계; 및 설정된 제2 단말을 제1 단말과 가상 스위칭시키는 스위칭 단계를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단말 설정 단계는 등록된 제2 단말의 스택(stack) 영역을 처리시킨다.
바람직하게는, 개인 공간 구성 단계는, 가상 스위칭 때에 제2 단말에 부가된 스위칭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용자 개인 공간과 관련된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네트워크 접속 단계; 사용자 개인 공간 구성을 위한 프로파일을 고려하여 네트워크 접속된 제2 단말에 적용시킬 응용 프로그램을 추출하는 응용 프로그램 추출 단계; 및 추출된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용자 개인 공간을 구성하는 공간 구성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가상 스위칭 단계는 네트워크 계층 상위에 위치하는 계층으로 가상 스위칭을 위한 네트워크 적응(adaptation) 계층을 이용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가상 스위칭 단계는 네트워크 적응 계층으로 제1 단말과 제2 단말 간에 프로토콜을 연동시키기 위한 컨버터 계층, 제2 단말의 아이디와 어드레스를 해석하기 위한 트랜스레이터 계층, 제1 단말과 제2 단말의 연동과 관련된 가상 공간을 스위칭시키기 위한 가상 공간 스위치 계층, 및 사용자 개인 공간 구성과 관련된 응용 프로그램을 처리하는 어플리케이션 계층을 이용한다.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가상 스위칭 단계는 제1 단말로부터 제2 단말로 제공될 가상 콘텐츠를 스위칭시키기 위한 가상 콘텐츠 스위치 계층, 및 가상 스위칭을 위한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네트워크 관리 계층을 네트워크 적응 계층으로 더욱 이용한다.
바람직하게는, 가상 스위칭 단계는, 제2 단말에 대한 정보로 제2 단말의 내용 정보나 제2 단말과 관련된 환경 정보를 수집하는 단말 정보 수집 단계를 더욱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단말 검색 단계는 제1 단말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 내에 위치한 제2 단말을 검색하거나, 제1 단말과 동종 통신망에 연동된 단말을 더욱 검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상 스위치를 이용하여 이종 통신망에 연동된 디바이스들을 가상적으로 통합 연동시킴으로써, 개인을 지원하는 통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개인 공간에 최적인 환경을 구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개인화 서비스를 빠르게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인 공간 구성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개인 공간 구성 장치의 내부 구성을 세부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스위칭 게이트웨이에 의한 개인 공간 네트워크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가상 스위칭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가상 스위치와 가상 스위칭 네트워크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인 공간 구성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스위칭 네트워크의 구성 단계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 스위칭 네트워크 개념도이다.
도 8은 도 7의 가상 스위칭 네트워크를 이용한 개인 공간 구성 서비스에 대한 일실시 예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인 공간 구성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개인 공간 구성 장치의 내부 구성을 세부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설명은 도 1과 도 2를 참조한다.
도 1에 따르면, 개인 공간 구성 장치(100)는 단말 검색부(110), 가상 스위칭부(120), 개인 공간 구성부(130) 및 주제어부(140)를 포함한다.
단말 검색부(110)는 제1 단말(device)과 이종 통신망에 연동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을 검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단말 검색부(110)는 제1 단말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 내에 위치한 제2 단말을 검색한다. 더불어, 단말 검색부(110)는 제1 단말과 동종 통신망에 연동된 단말을 더욱 검색할 수 있다. 단말 검색부(110)가 미리 정해진 거리 내에 위치한 단말을 검색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위치 기반 개인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이다. 따라서, 미리 정해진 거리는 예컨대 10m~100m로 정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미리 정해진 거리가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단말은 사용자가 접속하는 사용자 단말에 해당한다. 그러나, 제1 단말이 사용자 단말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상 스위칭부(120)는 서로 다른 통신망에 접속하는 단말들 간 연동을 위해 부가된 계층으로서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 상위에 위치하는 계층을 이용하여 가상 스위치로 제1 단말과 검색된 제2 단말을 가상 스위칭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가상 스위칭부(120)는 가상 스위치와 연동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가상 스위치는 사용자 단말에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과 별도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네트워크 계층은 OSI(Open Systems Interconnection) 7 layer에서 상대까지 데이터를 보내기 위한 통신 경로의 선택이나, 통신 경로 내의 어드레스의 관리를 수행하는 제3층을 말한다.
가상 스위칭부(120)는 네트워크 계층 상위에 위치하는 계층으로 가상 스위칭을 위한 네트워크 적응(adaptation) 계층을 이용한다. 구체적으로, 가상 스위칭부(120)는 네트워크 적응 계층으로 제1 단말과 제2 단말 간에 프로토콜을 연동시키기 위한 컨버터 계층, 제2 단말의 아이디와 어드레스를 해석하기 위한 트랜스레이터 계층, 제1 단말과 제2 단말의 연동과 관련된 가상 공간을 스위칭시키기 위한 가상 공간 스위치 계층, 및 사용자 개인 공간 구성과 관련된 응용 프로그램을 처리하는 어플리케이션 계층을 이용한다. 가상 스위칭부(120)는 제1 단말로부터 제2 단말로 제공될 가상 콘텐츠를 스위칭시키기 위한 가상 콘텐츠 스위치 계층, 및 가상 스위칭을 위한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네트워크 관리 계층을 네트워크 적응 계층으로 더욱 이용할 수 있다.
가상 스위칭부(120)는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등록부(121), 단말 설정부(122) 및 스위칭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 등록부(121)는 개인 공간 서비스에 가입한 단말이 단말의 환경 정보를 미리 정해진 네트워크의 가상 스위치에 등록하거나 검색된 제2 단말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미리 정해진 네트워크의 가상 스위치에 등록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에서, 미리 정해진 네트워크는 예컨대 사용자 개인 공간 구성을 위한 가상 개인 공간 네트워크일 수 있다. 단말 설정부(122)는 등록된 제2 단말의 메모리를 처리하여 가상 스위칭 대상 단말로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단말 설정부(122)는 제2 단말에 내장된 메모리를 가상 스위칭 대상 단말 설정에 필요한 프로토콜 연동 컨버터 계층, 단말의 아이디/어드레스 트랜스레이터 계층, 가상 공간 스위치 계층, 사용자 개인 공간 구성 응용 프로그램을 위한 영역으로 관리한다. 스위칭부(123)는 설정된 제2 단말을 제1 단말과 가상 스위칭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가상 스위칭부(120)는 단말 정보 수집부(124)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단말 정보 수집부(124)는 제2 단말에 대한 정보로 제2 단말의 내용 정보나 제2 단말과 관련된 환경 정보를 수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2 단말의 내용 정보는 제2 단말의 특성을 나타내는 정보로서, 예컨대, 제2 단말의 사양이 이에 해당될 수 있다. 제2 단말과 관련된 환경 정보는 제2 단말이 접속하는 통신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개인 공간 구성부(130)는 제1 단말, 검색된 제2 단말, 및 가상 스위치를 포함하여 사용자 개인 공간을 구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 개인 공간을 구성하는 것은 위치에 따라 개인을 지원하는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이며, 예컨대 사용자에게 개인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이다.
개인 공간 구성부(130)는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접속부(131), 응용 프로그램 추출부(132) 및 공간 구성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접속부(131)는 가상 스위칭 때에 제2 단말에 부가된 스위칭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용자 개인 공간과 관련된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응용 프로그램 추출부(132)는 사용자 개인 공간 구성을 위한 프로파일을 고려하여 네트워크 접속된 제2 단말에 적용시킬 응용 프로그램을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사용자 개인 공간 구성을 위한 프로파일은 개인 공간 구성에 필요한 다양한 클래스(ex. 지역별 구분 식별자, 접속망 특성, 정보 능력, 단말 능력, 사용자 서비스 종류, ISO 표준으로 제정되어 있는 단말의 다양한 클래스 등)가 이에 해당될 수 있으며, 사전에 단말들 간에 가상 환경과 관련하여 합의된 내용도 이에 해당될 수 있다. 응용 프로그램 추출부(132)에 의해 추출되는 응용 프로그램은 제2 단말의 특성이 고려된 응용 프로그램이다. 공간 구성부(133)는 추출된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용자 개인 공간을 구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주제어부(140)는 개인 공간 구성 장치(100)를 구성하는 각 부의 전체 작동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개인 공간 구성 장치(100)는 가상 스위치를 이용하여 이종 통신망에 연동된 디바이스들을 가상적으로 통합시켜 개인 공간을 구성한다. 이때, 가상 스위치는 개인 공간을 구성하기 위해 주변 디바이스들을 기존 접속망에 관계없이 가상적으로 연동한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스위칭 게이트웨이에 의한 개인 공간 네트워크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개인 공간 구성 가상 스위칭 장치를 살펴보면 개인 단말 형태의 가상 스위칭 게이트웨이(310)가 개인 공간(300)에 추가되면, 개인 공간을 구성할 수 있는 디바이스(320)를 찾아 가상 스위칭이 가능하도록 기존 접속망을 이용하여 관련 프로그램을 로딩하여 개인 공간 스위칭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기능을 추가한 후 가상 스위칭 네트워크에 접속한다.
도 4는 가상 스위칭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가상 스위치(400)와 가상 스위칭 네트워크 단말(410)의 구성을 나타낸다. 가상 스위치(400)와 가상 스위칭 네트워크 단말(410)은 모두 기존 접속망의 PHY/MAC과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적용하며, 이들 네트워크 계층 이상에 가상 스위칭 네트워크용 적응(adaptation) 계층(420)을 이용하여 상위에 가상 스위칭 네트워크 기능이 추가된다. 네트워크용 적응 계층(420)은 프로토콜 연동기(protocol converter; 421), 아이디/어드레스 번역기(ID/addr translator; 422), 가상 공간 스위치(virtual space switch; 423), 개인 공간 응용(personal space applications; 424), 가상 콘텐츠 스위치(virtual content switch; 425), 가상 스위칭 네트워크 관리(virtual NWK manager; 426)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로토콜 연동기(421)는 도 1의 컨버터 계층에 대응하는 개념이며, 아이디/어드레스 번역기(422)는 도 1의 트랜스레이터 계층에 대응하는 개념이다. 또한, 가상 공간 스위치(423)는 도 1의 가상 공간 스위치 계층에 대응하는 개념이며, 개인 공간 응용(424)은 도 1의 어플리케이션 계층에 대응하는 개념이다. 또한, 가상 콘텐츠 스위치(425)는 도 1의 가상 콘텐츠 스위치 계층에 대응하는 개념이며, 가상 스위칭 네트워크 관리(426)는 도 1의 네트워크 관리 계층에 대응하는 개념이다. 가상 스위치(400)에는 네트워크용 적응 계층(420)을 구성하는 모든 계층들(421~426)이 구비될 수 있으나, 가상 스위칭 네트워크 단말(410)에는 가상 콘텐츠 스위치(425)와 가상 스위칭 네트워크 관리(426)를 제외한 나머지 계층들(421~424)이 구비될 수 있다.
도 7은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 스위칭 네트워크를 나타낸다. 개인 공간망은 개인 공간망 서비스를 등록받고 서비스 관련 정보를 유지하고 제공하는 개인 공간 서비스 플랫폼(Personal space platform; 710), 개인 공간망을 구성하고 개인 공간 서비스를 중재하는 개인 공간 가상 스위치(Virtual switch; 720), 개인 공간 서비스를 실현하는 디바이스(Device; 730)로 구성된다. 개인 공간 가상 스위치(720)는 디바이스와 통합된 형태로 제공되거나, 개인 공간 서비스 플랫폼(710)에 위치할 수 있다.
개인 공간 서비스 플랫폼(710)은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입력되는 응용 서비스를 등록하고 개인 공간 서비스 DB(Personal service apps DB; 711)를 관리하는 개인 공간 서비스 관리부(Personal space service register; 712), 특정 장소별로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등록되는 개인 공간 가상 네트워크 DB(Registered virtual network DB; 713)와 장소별로 위치하는 디바이스의 프로파일 DB를 관리하는 가상 네트워크 관리부(Virtual network manager; 714), 개인 공간 서비스의 제어 및 데이터 교환을 지원하는 가상 콘텐츠 스위치(Virtual content switch; 715) 등으로 구성된다. 개인 공간 가상 네트워크 DB(713)는 특정 장소별로 지리적 위치를 표시하는 위치 식별자, 설치되어 있는 접속망의 address 체계, 접속 address, 통신 클래스, 대역폭, 통신 범위, QoS 등의 정보로 구성된다. 디바이스 프로파일 DB(Registered device profile DB; 716)는 접속망 종류, 접속망 내 식별자, 정보 처리 능력(센싱, 데이터, 비디오, 오디오, bit rate, 데이터 생성 주기), 프로세싱 능력(전원, 프로세서, 메모리 능력) 등의 정보로 구성된다. 한편, 개인 공간 DB(Current personal space DB; 717)는 등록된 개인 공간 가상 네트워크 DB 중에서 현재 운용중인 개인 공간 가상 네트워크 DB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한다.
개인 공간 가상 스위치(720)는 특정 장소의 가상 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위하여 해당 공간 내 디바이스 탐색, 디바이스에 가상 네트워크 구성용 프로토콜 소프트웨어 제공, 가상 네트워크 구성 관리 등을 수행하는 가상 네트워크 코디네이터(Virtual network coordinator; 722)와 디바이스에 개인 공간 서비스 소프트웨어를 제공하고 개인 공간 서비스 수행을 위하여 디바이스간 제어나 데이터의 교환을 중재하거나 서비스 플랫폼의 콘텐츠 스위치 기능을 제공하는 개인 공간 스위치(Personal space switch; 723)를 포함한다. 가상 네트워크 코디네이터(722)는 로컬 개인 공간 DB(Local personal space DB/apps; 724)와 연동하여 디바이스에 가상 네트워크 구성용 프로토콜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며, 개인 공간 관리부(Personal space manager; 721)와 연동하여 가상 네트워크 구성 관리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아이디 트랜스레이터/프로토콜 컨버터(ID translator/Protocol converter; 725)는 도 4의 프로토콜 연동기(421)와 아이디/어드레스 번역기(422)에 대응하는 개념이다.
개인 공간 가상 스위치(720)는 특정 장소로 이동시 위치 식별자를 이용하여 해당 지역의 가상 네트워크 정보를 플랫폼으로 요청하고, 등록되어 있는 디바이스의 프로파일 정보를 획득한다. 디바이스의 특성에 따라 해당 디바이스 접속망을 통해 연결을 시도하며, 응답한 디바이스에 필요한 프로토콜 스택을 제공하여 가상 네트워크 구성을 완성한다.
개인 공간 가상 스위치(720)는 개인 공간 서비스 종류에 따라 자신이 갖고 있는 응용 서비스 소프트웨어를 디바이스로 제공하거나 플랫폼에 요청하여 소프트웨어를 제공하여 개인공간 응용 서비스 구성을 완료한다.
개인 공간 서비스의 진행에 따라 제어 및 데이터의 디바이스간 교환은 개인 공간 가상 스위치(720)가 수행하며, 개인 공간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플랫폼의 콘텐츠 스위칭이 필요한 경우 개인 공간 가상 스위치(720)를 통하여 전달된다.
디바이스(730)는 개인 공간 서비스에 등록하고, 가상 네트워크 구성에 응답하는 개인 공간 관리부(Personal space manager; 731)와 개인 공간 서비스 소프트웨어를 받거나 개인 공간 서비스 중 발생하는 제어 및 데이터의 전달을 수행하는 개인 공간 스위치(Personal space switch; 732)로 구성된다. 한편, 로컬 개인 공간 어플리케이션(Local personal space apps; 733), 아이디 트랜스레이터/프로토콜 컨버터(ID translator/Protocol converter; 734)는 각각 로컬 개인 공간 DB(724), 아이디 트랜스레이터/프로토콜 컨버터(725)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도 8은 도 7의 가상 스위칭 네트워크를 이용한 개인 공간 구성 서비스에 대한 일실시 예시 흐름도를 나타낸다.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 공간 구성 서비스는 개인 공간(Personal space) 서비스 등록 과정(S810), 가상 네트워크(Virtual network) 구성 과정(S820), 개인 공간(Personal space) 서비스 구성 과정(S830), 가상 콘텐츠(Virtual content) 스위칭 과정(S840) 등으로 구성된다.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 공간 구성 서비스는 디바이스가 2개인 경우를 가정한 것이며, 본 실시예에서 디바이스의 개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개인 공간 서비스 등록 과정(S810)은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먼저, 개인 공간 플랫폼(Personal space platform)이 선택된 단말에 대한 가상 네트워크(Virtual network) 등록을 수행한다(S811). 이후, 개인 공간 플랫폼이 개인 공간 서비스(Personal space service) 등록을 수행한다(S812). 이후, 가상 스위치(Virtual switch), 제1 디바이스(Personal space device 1), 제2 디바이스(Personal space device 2) 등이 개인 공간 플랫폼을 통해 스위치(switch) 또는 디바이스(device)로 자신을 등록시킨다(S813~S815).
가상 네트워크 구성 과정(S820)은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먼저, 가상 스위치가 개인 공간 플랫폼에 로컬 스페이스(local space) 정보를 요청한다(S821). 그러면, 개인 공간 플랫폼이 이에 대한 응답을 수행한다(S822). 이후, 가상 스위치가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에 가상 네트워크 구성을 요청한다(S823, S825). 그러면,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가 이에 대해 응답한다(S824, S826). 제1 디바이스에 대한 가상 네트워크 구성 요청(S823), 가상 네트워크 구성 응답(S824)이 먼저 수행된 뒤, 제2 디바이스에 대한 가상 네트워크 구성 요청(S825), 가상 네트워크 구성 응답(S826)이 이후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개인 공간 서비스 구성 과정(S830)은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먼저, 가상 스위치가 개인 공간 플랫폼에 개인 공간 응용 소프트웨어(Personal space apps)를 요청한다(S831). 그러면, 개인 공간 플랫폼이 이에 대한 응답을 수행한다(S832). 이후, 가상 스위치가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에 개인 공간 응용 소프트웨어 구성을 요청한다(S833, S835). 그러면,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가 이에 대해 응답한다(S834, S836). 제1 디바이스에 대한 개인 공간 응용 소프트웨어 구성 요청(S833), 개인 공간 응용 소프트웨어 구성 응답(S834)이 먼저 수행된 뒤, 제2 디바이스에 대한 개인 공간 응용 소프트웨어 구성 요청(S835), 개인 공간 응용 소프트웨어 구성 응답(S836)이 이후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가상 콘텐츠(Virtual content) 스위칭 과정(S840)은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먼저, 제1 디바이스가 가상 스위치로 개인 공간 서비스 정보 제어를 요청한다(S841). 이후, 가상 스위치가 제2 디바이스로 개인 공간 서비스 정보 제어가 필요한지 질의한다(S842). 제2 디바이스가 제어가 필요하다고 응답하면(S843), 가상 스위치는 개인 공간 플랫폼으로 개인 공간 서비스 정보 제어를 요청한다(S844). 개인 공간 플랫폼이 이에 대해 응답하면(S845), 가상 스위치는 제1 디바이스에 대해 개인 공간 서비스 정보 제어를 수행한다(S846). 이때, 제2 디바이스에 대해서 개인 공간 서비스 정보 제어를 함께 수행함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개인 공간 구성 장치(100)의 개인 공간 구성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인 공간 구성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설명은 도 5를 참조한다.
먼저, 제1 단말(device)과 이종 통신망에 연동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을 검색한다(단말 검색 단계, S500). 단말 검색 단계(S500)는 제1 단말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 내에 위치한 제2 단말을 검색한다. 단말 검색 단계(S500)는 제1 단말과 동종 통신망에 연동된 단말을 더욱 검색할 수 있다.
이후, 서로 다른 통신망에 접속하는 단말들 간 연동을 위해 부가된 계층으로서 네트워크 계층 상위에 위치하는 계층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가상 스위치로 제1 단말과 검색된 제2 단말을 가상 스위칭시킨다(가상 스위칭 단계, S510). 이를 고려할 때, 가상 스위칭 단계(S510)는 단말 등록 단계, 단말 설정 단계 및 스위칭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 등록 단계는 제2 단말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제2 단말을 미리 정해진 네트워크에 등록시키는 단계이다. 단말 설정 단계는 등록된 제2 단말의 메모리를 처리하여 가상 스위칭 대상 단말로 설정하는 단계이다. 특히, 단말 설정 단계는 등록된 제2 단말의 스택(stack) 영역을 처리시킨다. 스위칭 단계는 설정된 제2 단말을 제1 단말과 가상 스위칭시키는 단계이다. 한편, 가상 스위칭 단계(S510)는 단말 정보 수집 단계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단말 정보 수집 단계는 제2 단말에 대한 정보로 제2 단말의 내용 정보나 제2 단말과 관련된 환경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이다. 본 실시예에서 단말 정보 수집 단계는 단말 등록 단계 이전에 수행된다.
가상 스위칭 단계(S510)는 네트워크 계층 상위에 위치하는 계층으로 가상 스위칭을 위한 네트워크 적응(adaptation) 계층을 이용한다. 보다 자세하게는, 가상 스위칭 단계(S510)는 네트워크 적응 계층으로 제1 단말과 제2 단말 간에 프로토콜을 연동시키기 위한 컨버터 계층, 제2 단말의 아이디와 어드레스를 해석하기 위한 트랜스레이터 계층, 제1 단말과 제2 단말의 연동과 관련된 가상 공간을 스위칭시키기 위한 가상 공간 스위치 계층, 및 사용자 개인 공간 구성과 관련된 응용 프로그램을 처리하는 어플리케이션 계층을 이용한다. 한편, 가상 스위칭 단계(S510)는 제1 단말로부터 제2 단말로 제공될 가상 콘텐츠를 스위칭시키기 위한 가상 콘텐츠 스위치 계층, 및 가상 스위칭을 위한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네트워크 관리 계층을 네트워크 적응 계층으로 더욱 이용할 수 있다.
이후, 제1 단말, 검색된 제2 단말 및 가상 스위치를 포함하여 사용자 개인 공간을 구성한다(개인 공간 구성 단계, S520). 이를 고려할 때, 개인 공간 구성 단계(S520)는 네트워크 접속 단계, 응용 프로그램 추출 단계 및 공간 구성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접속 단계는 가상 스위칭 때에 제2 단말에 부가된 스위칭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용자 개인 공간과 관련된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단계이다. 응용 프로그램 추출 단계는 사용자 개인 공간 구성을 위한 프로파일을 고려하여 네트워크 접속된 제2 단말에 적용시킬 응용 프로그램을 추출하는 단계이다. 공간 구성 단계는 추출된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용자 개인 공간을 구성하는 단계이다.
다음으로, 가상 스위칭 네트워크 구성을 일실시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스위칭 네트워크의 구성 단계를 도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가상 스위칭 네트워크 구성은 제1 단계(S600) 내지 제5 단계(S640)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단계(S600)는 가상 스위칭 게이트웨이가 개인 공간을 구성할 수 있는 디바이스를 찾는 단계(Device searching)이다. 제2 단계(S610)는 디바이스의 특성과 환경 적응을 위하여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여 해당 디바이스를 가상 스위칭 네트워크에 등록하는 단계(Device registration)이다. 제3 단계(S620)는 가상 스위칭 네트워크 단말로 추가하기 위하여 필요한 스택을 로딩하는 단계(Virtual NWK loading)이다. 제4 단계(S630)는 단말에 적용된 가상 스위칭 프로그램에 의하여 가상 스위칭 네트워크에 초기 접속하는 단계(Virtual NWK initialization)이다. 제5 단계(S640)는 개인 공간 구성 프로파일에 따라 단말의 특성별 추가 응용 프로그램을 로딩하는 단계(Personal APPS loading)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가상 스위치를 이용하여 개인 공간을 구성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개인 공간 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위한 네트워크 플랫폼, 특히 무선센서 네트워크 플랫폼을 구축하는 데에 적용될 수 있다.
100 : 개인 공간 구성 장치 110 : 단말 검색부
120 : 가상 스위칭부 121 : 단말 등록부
122 : 단말 설정부 123 : 스위칭부
124 : 단말 정보 수집부 130 : 개인 공간 구성부
131 : 네트워크 접속부 132 : 응용 프로그램 추출부
133 : 공간 구성부 140 : 주제어부
300 : 개인 공간 310 : 가상 스위칭 네트워크
320 : 디바이스 400 : 가상 스위치
410 : 가상 스위칭 네트워크 단말 420 : 네트워크용 적응 계층
421 : 프로토콜 연동기 422 : 아이디/어드레스 번역기
423 : 가상 공간 스위치 424 : 개인 공간 응용
425 : 가상 콘텐츠 스위치 426 : 가상 스위칭 네트워크 관리

Claims (18)

  1. 제1 단말(device)과 이종 통신망에 연동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을 검색하는 단말 검색부;
    서로 다른 통신망에 접속하는 단말들 간 연동을 위해 부가된 계층으로서 네트워크 계층 상위에 위치하는 계층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가상 스위치로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검색된 제2 단말을 가상 스위칭시키는 가상 스위칭부; 및
    제1 단말, 검색된 제2 단말, 및 상기 가상 스위치를 포함하여 사용자 개인 공간을 구성하는 개인 공간 구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인 공간 구성부는,
    가상 스위칭 때에 상기 제2 단말에 부가된 스위칭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용자 개인 공간과 관련된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네트워크 접속부;
    사용자 개인 공간 구성을 위한 프로파일을 고려하여 네트워크 접속된 제2 단말에 적용시킬 응용 프로그램을 추출하는 응용 프로그램 추출부; 및
    추출된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용자 개인 공간을 구성하는 공간 구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공간 구성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스위칭부는,
    상기 제2 단말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2 단말을 미리 정해진 네트워크에 등록시키는 단말 등록부;
    상기 등록된 제2 단말의 메모리를 처리하여 가상 스위칭 대상 단말로 설정하는 단말 설정부; 및
    상기 설정된 제2 단말을 상기 제1 단말과 가상 스위칭시키는 스위칭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공간 구성 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스위칭부는 네트워크 계층 상위에 위치하는 계층으로 가상 스위칭을 위한 네트워크 적응(adaptation) 계층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공간 구성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스위칭부는 네트워크 적응 계층으로 제1 단말과 제2 단말 간에 프로토콜을 연동시키기 위한 컨버터 계층, 제2 단말의 아이디와 어드레스를 해석하기 위한 트랜스레이터 계층, 제1 단말과 제2 단말의 연동과 관련된 가상 공간을 스위칭시키기 위한 가상 공간 스위치 계층, 및 사용자 개인 공간 구성과 관련된 응용 프로그램을 처리하는 어플리케이션 계층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공간 구성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스위칭부는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상기 제2 단말로 제공될 가상 콘텐츠를 스위칭시키기 위한 가상 콘텐츠 스위치 계층, 및 가상 스위칭을 위한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네트워크 관리 계층을 네트워크 적응 계층으로 더욱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공간 구성 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스위칭부는,
    상기 제2 단말에 대한 정보로 상기 제2 단말의 내용 정보나 상기 제2 단말과 관련된 환경 정보를 수집하는 단말 정보 수집부
    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공간 구성 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설정부는 등록된 제2 단말의 스택(stack) 영역을 처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공간 구성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검색부는 상기 제1 단말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 내에 위치한 제2 단말을 검색하거나, 상기 제1 단말과 동종 통신망에 연동된 단말을 더욱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공간 구성 장치.
  10. 제1 단말(device)과 이종 통신망에 연동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을 검색하는 단말 검색 단계;
    서로 다른 통신망에 접속하는 단말들 간 연동을 위해 부가된 계층으로서 네트워크 계층 상위에 위치하는 계층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가상 스위치로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검색된 제2 단말을 가상 스위칭시키는 가상 스위칭 단계; 및
    상기 제1 단말, 상기 검색된 제2 단말 및 상기 가상 스위치를 포함하여 사용자 개인 공간을 구성하는 개인 공간 구성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개인 공간 구성 단계는,
    가상 스위칭 때에 제2 단말에 부가된 스위칭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용자 개인 공간과 관련된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네트워크 접속 단계;
    사용자 개인 공간 구성을 위한 프로파일을 고려하여 네트워크 접속된 제2 단말에 적용시킬 응용 프로그램을 추출하는 응용 프로그램 추출 단계; 및
    추출된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용자 개인 공간을 구성하는 공간 구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공간 구성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스위칭 단계는,
    상기 제2 단말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2 단말을 미리 정해진 네트워크에 등록시키는 단말 등록 단계;
    등록된 제2 단말의 메모리를 처리하여 가상 스위칭 대상 단말로 설정하는 단말 설정 단계; 및
    설정된 제2 단말을 상기 제1 단말과 가상 스위칭시키는 스위칭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공간 구성 방법.
  12. 삭제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스위칭 단계는 네트워크 계층 상위에 위치하는 계층으로 가상 스위칭을 위한 네트워크 적응(adaptation) 계층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공간 구성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스위칭 단계는 네트워크 적응 계층으로 제1 단말과 제2 단말 간에 프로토콜을 연동시키기 위한 컨버터 계층, 제2 단말의 아이디와 어드레스를 해석하기 위한 트랜스레이터 계층, 제1 단말과 제2 단말의 연동과 관련된 가상 공간을 스위칭시키기 위한 가상 공간 스위치 계층, 및 사용자 개인 공간 구성과 관련된 응용 프로그램을 처리하는 어플리케이션 계층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공간 구성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스위칭 단계는 제1 단말로부터 제2 단말로 제공될 가상 콘텐츠를 스위칭시키기 위한 가상 콘텐츠 스위치 계층, 및 가상 스위칭을 위한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네트워크 관리 계층을 네트워크 적응 계층으로 더욱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공간 구성 방법.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스위칭 단계는,
    상기 제2 단말에 대한 정보로 상기 제2 단말의 내용 정보나 상기 제2 단말과 관련된 환경 정보를 수집하는 단말 정보 수집 단계
    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공간 구성 방법.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설정 단계는 등록된 제2 단말의 스택(stack) 영역을 처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공간 구성 방법.
  18.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검색 단계는 상기 제1 단말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 내에 위치한 제2 단말을 검색하거나, 상기 제1 단말과 동종 통신망에 연동된 단말을 더욱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공간 구성 방법.
KR1020100134095A 2010-12-23 2010-12-23 가상 스위치를 이용한 개인 공간 구성 장치 및 그 방법 KR1017825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4095A KR101782554B1 (ko) 2010-12-23 2010-12-23 가상 스위치를 이용한 개인 공간 구성 장치 및 그 방법
US13/335,622 US20120163237A1 (en) 2010-12-23 2011-12-22 Apparatus and method for configuring personal space with virtual switc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4095A KR101782554B1 (ko) 2010-12-23 2010-12-23 가상 스위치를 이용한 개인 공간 구성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2257A KR20120072257A (ko) 2012-07-03
KR101782554B1 true KR101782554B1 (ko) 2017-10-10

Family

ID=46316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4095A KR101782554B1 (ko) 2010-12-23 2010-12-23 가상 스위치를 이용한 개인 공간 구성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20163237A1 (ko)
KR (1) KR1017825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05715B2 (en) * 2015-05-07 2019-02-1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personal content
KR102479059B1 (ko) * 2015-05-07 2022-12-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개인화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12839068B (zh) * 2019-11-22 2023-09-12 厦门网宿有限公司 一种采用nfv部件部署的网络节点的管理方法及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59697A1 (en) * 2006-09-06 2008-03-06 Hitachi, Ltd. Storage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US20090164627A1 (en) * 2007-12-21 2009-06-25 Fujitsu Limited Data transmission/recep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inserting and extracting maintenance management data
US20100312941A1 (en) * 2004-10-19 2010-12-09 Eliezer Aloni Network interface device with flow-oriented bus interfac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12554B2 (en) * 2001-11-14 2005-06-28 Omron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garbage collection using advanced marking techniques and restricted barrier to protect the data
US8478907B1 (en) * 2004-10-19 2013-07-02 Broadcom Corporation Network interface device serving multiple host operating systems
KR20070096261A (ko) * 2006-03-23 2007-10-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링크 계층의 데이터 처리 방법
US20080039086A1 (en) * 2006-07-14 2008-02-14 Gallagher Michael D Generic Access to the Iu Interface
JP2010097376A (ja) * 2008-10-16 2010-04-30 Hitachi Ltd ストレージシステムおよびリモートコピー制御方法
US7962647B2 (en) * 2008-11-24 2011-06-14 Vmware, Inc. Application delivery control module for virtual network switch
US20120221621A1 (en) * 2009-10-15 2012-08-30 Tomoyoshi Sugawara Distributed system, communication means selec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means selection progra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312941A1 (en) * 2004-10-19 2010-12-09 Eliezer Aloni Network interface device with flow-oriented bus interface
US20080059697A1 (en) * 2006-09-06 2008-03-06 Hitachi, Ltd. Storage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US20090164627A1 (en) * 2007-12-21 2009-06-25 Fujitsu Limited Data transmission/recep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inserting and extracting maintenance management dat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163237A1 (en) 2012-06-28
KR20120072257A (ko) 2012-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267327B (zh) 业务传输方法及装置
US928242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connection status and location information in a wireless networking environment
CN104247505B (zh) 用于利用anqp服务器能力增强andsf的系统和方法
US2011009088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stablishing a personal network for providing a cpns service
CN106375987A (zh) 一种网络切片的选择方法及系统
CN103828397A (zh) 用于经由WiFi热点发现和接入本地服务的终端和管理器
CN104770020A (zh) 用于hessid中的公共属性以及关联查询的系统和方法
WO2014019420A1 (zh) 无线接入点信息的发送方法、装置及移动终端
CN108738022B (zh) 一种无线通信网络移动管理方法及系统
EP2491732B1 (en) Wireless access point
US8665849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implementing inter-network roam, querying and attaching network
KR20080024460A (ko) 엔드 노드를 이용한 긴급 호출 라우팅 방법 및 장치
JP4531549B2 (ja) 通信システム、通信端末および通信プログラム
JP2013509109A (ja) 移動局のcsgメンバーシップで、サービング基地局を更新するメカニズム
KR101357669B1 (ko) 위치 기반 네트워크 접속 시스템 및 방법
KR101782554B1 (ko) 가상 스위치를 이용한 개인 공간 구성 장치 및 그 방법
KR101909502B1 (ko) 홈네트워크 가전기기 제어 시스템의 서비스 커버리지 확대를 위한 방법
CN101715183B (zh) 网络接入方法和装置
JP2005039317A (ja) ネットワーク中継システムおよび中継装置ならびにユーザ端末
EP3522478B1 (en) Device provisioning
KR20120064954A (ko) 이동통신 단말에서 무선 접속점을 이용한 인터넷 접속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
KR101730429B1 (ko) 지역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JP6891178B2 (ja) 通信ネットワークを動作させるデバイス及び方法
EP2965566A1 (en)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network selection
KR100876363B1 (ko) 무선랜 및 휴대 인터넷 기능을 가진 다중 모드휴대단말장치를 이용한 이동 접속 장치 및 복합 단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