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6363B1 - 무선랜 및 휴대 인터넷 기능을 가진 다중 모드휴대단말장치를 이용한 이동 접속 장치 및 복합 단말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랜 및 휴대 인터넷 기능을 가진 다중 모드휴대단말장치를 이용한 이동 접속 장치 및 복합 단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6363B1
KR100876363B1 KR1020080045334A KR20080045334A KR100876363B1 KR 100876363 B1 KR100876363 B1 KR 100876363B1 KR 1020080045334 A KR1020080045334 A KR 1020080045334A KR 20080045334 A KR20080045334 A KR 20080045334A KR 100876363 B1 KR100876363 B1 KR 1008763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ata message
portable internet
wlan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5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현
박동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뉴정보통신
이주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뉴정보통신, 이주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뉴정보통신
Priority to KR10200800453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63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6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6363B1/ko
Priority to PCT/KR2009/002470 priority patent/WO2009139562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09Mapping addresses
    • H04L61/25Mapping addresses of the same type
    • H04L61/2503Translation of 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 H04L61/256NAT travers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4Network layer protocols, e.g. mobile IP [Internet Protoc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랜 단말(91,92,93)들에게 무선랜을 통하여 휴대 인터넷 망에 대한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는 접속 장치(AP : Access Point) 또는 이러한 접속 장치의 기능을 가진 복합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무선랜 클라이언트 기능 및 휴대 인터넷 클라이언트 기능을 가진 통상의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를 제조하기 위한 하드웨어 플랫폼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기능블록들을 탑재하여 제조하거나, 무선랜 클라이언트 기능 및 휴대 인터넷 클라이언트 기능을 가진 통상의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에서 컨텐츠 다운로드에 의해 필요한 소프트웨어 기능블록들을 설정 또는 설치함으로써, 이동 접속 장치(100) 또는 복합 단말 장치(101)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이동 접속 장치(100) 또는 복합 단말 장치(101)는 적은 비용으로 쉽게 획득될 수 있고, 사용자가 이동 접속 장치(100)의 기능을 포함하는 장치를 보다 쉽게 휴대할 수 있도록 하며, 이동 접속 장치(100) 또는 복합 단말 장치(101)를 상용화하기 위해, 개발·인증에 필요한 비용 및 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도록 한다.
접속 장치, Access Point, 휴대 인터넷, 무선랜, 전환, WiFi

Description

무선랜 및 휴대 인터넷 기능을 가진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를 이용한 이동 접속 장치 및 복합 단말 장치{Mobile access point and compound station using multi-mode mobile station having wireless LAN and mobile internet function}
본 발명은 휴대 인터넷 망에 대한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는 접속 장치(AP : Access Point)에 관한 것이며, 특히 접속 장치가 이동 가능성을 갖춘 이동 접속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 접속 장치의 기능을 포함하는 복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복합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 접속 장치로의 전환, 또는 상기 이동 접속 장치의 기능을 포함하는 복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이하 '복합 단말 장치'라 한다)로의 전환에 관한 것이다.
무선랜(Wireless LAN)은 접속장치(AP : Access Point)가 설치된 곳을 중심으로 일정 거리 이내에서 PDA, 노트북 컴퓨터 등을 통해 초고속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게 한다. 그런데, 무선랜은 전파 도달거리가 짧아서 사용자가 이동중일 때나 접속장치에서 멀어지면 사용이 잘 안되는 문제점이 있고, 무선랜은 특정한 서비스 영역('핫 스폿'이라고도 한다)을 중심으로 설치되어 넓은 지역을 모두 커버하지는 못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휴대 인터넷(한 서비스 형태로서 한국에서의 '와이브로(Wibro)'라는 것을 들 수 있다)은 무선랜과 비슷한 개념이지만, 이동 통신 단말기처럼 어디서나 이동하면서 초고속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게 한다. 휴대 인터넷은 2.3GHz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무선랜의 한계를 극복하고 이용자가 요구하는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를 이동 중에도 제공할 수 있다.
그런데, 현재 보급되고 있는 대부분의 PDA, 노트북 컴퓨터 등의 장치는 무선랜(IEEE 802.11) 모듈만을 가지고 있고 휴대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모듈을 가지고 있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무선랜 기능을 가진 PDA, 노트북 컴퓨터 등과 같은 무선랜 단말들이 휴대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이동 접속 장치(Mobile Access Point)'에 관한 기술이 대두되고 있다.
이동 접속 장치는 무선랜의 접속 장치(AP : Access Point)인 동시에 접속된 단말을 휴대 인터넷 망과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이동 접속 장치는 무선랜과 휴대 인터넷을 중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중계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이동 접속 장치는 무선랜 단말을 위한 접속 장치(AP : Access Point)의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과, 휴대 인터넷망과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부분을 모두 내장하며, 상기 두 부분을 연동하여 중계기능을 수행한다. {'이동 접속 장치'라는 용어에 대해 살펴보면, 이동 접속 장치는 유선 통신망과의 직접 연결이 필요 없어 쉽게 이동 가능하다는 의미에서 '이동'이라는 단어를 사용하였으며, 반드시 이동형으로 제작된다는 의 미는 아니며 고정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그런데, 무선랜 기능을 가진 PDA, 노트북 컴퓨터 등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휴대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별도의 상기한 이동 접속 장치를 직접 구입하여 이용하고자 하면, 적지 않은 비용 지출을 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사용자에 따라서는 자신만이 사용하는 전용의 이동 접속 장치를 구입하고 싶어 한다. 서비스 이용자들이 함께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주요 장소나 교통수단 등에 공용의 이동 접속 장치를 설치하여 운용할 수 있으나, 이러한 이동 접속 장치의 설치 위치와 숫자는 제한적일 수 있으므로 자신을 위한 전용의 이동 접속 장치를 소유하려는 욕구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이동 접속 장치를 구입하여 이용하는 경우에, 이동 접속 장치를 항상 휴대하여 다니는 것은 귀잖은 일이다. 특히, 무선랜 기능을 가진 장치를 사용자가 복수 개 보유하고 있고, 사용자는 단일의 이동 접속 장치만을 가진 경우에는 더욱 그러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자신의 차량에 부착되어 있는 차량용 컴퓨터와 집의 컴퓨터에서 모두 상기 이동 접속 장치를 이용하고 싶어할 수 있다. 또한 PDA 또는 노트북 컴퓨터와 같이 사용자가 휴대하는 장치에서 이동 접속 장치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이동 접속 장치를 휴대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다.
한편, 이동 접속 장치를 생산하고자 하는 자가 이동 접속 장치를 개발하여 시장에 출시하기 까지는 적지 않은 비용과 시간이 소모된다. 특히, 이동 접속 장치를 구성하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각각 설계하여야 하며, 이동 접속 장치를 시장에 출시하기 위해서는 필요한 인증도 받아야 한다. 예를 들면, 무선랜 부분과 관 련하여, WECA(Wireless Ethernet Compatibility Alliance)라는 단체를 중심으로 해서 일련의 호환성 시험을 통과한 제품들에 대해서 WiFi(Wireless Fidelity)라는 인증을 제공한다. 따라서 이동 접속 장치를 개발하여 상용화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인증에 필요한 시간이 별도로 소요된다. 특정한 사용자가 전용하는 이동 접속 장치뿐만 아니라, 복수의 서비스 이용자들이 공용하는 이동 접속 장치를 개발하여 상용화하기까지, 상기한 개발 및 인증에 필요한 시간과 비용은 모두 적지 아니 소요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배경 기술들이 가진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또는 상기한 배경 기술들이 처한 상황들을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한 목적은 사용자가 이동 접속 장치 또는 이동 접속 장치의 기능을 포함하는 장치를 작은 비용으로 쉽게 획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이동 접속 장치 또는 이동 접속 장치의 기능을 포함하는 장치를 보다 쉽게 휴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 접속 장치 또는 이동 접속 장치의 기능을 포함하는 장치를 상용화하기 위해, 개발·인증에 필요한 비용 및 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 질 수 있으며, 상기한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무선랜 단말(91,92,93)에 대해 휴대 인터넷 망으로의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 접속 장치(100)로서, 무선랜 클라이언트 기능 및 휴대 인터넷 클라이언트 기능을 가진 통상의 다중 모드 휴 대단말장치(10)를 제조하기 위한 하드웨어 플랫폼에, 상기 무선랜 단말(91,92,93)로부터의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또는 상기 무선랜 단말(91,92,93)로의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프로토콜 처리를 수행하는 소프트 AP부(220); 상기 휴대 인터넷 망으로부터의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또는 상기 휴대 인터넷 망으로의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프로토콜 처리를 수행하는 휴대인터넷 클라이언트부(213); 상기 소프트 AP부(220)로부터의 데이터 메시지 또는 상기 휴대 인터넷 클라이언트부(213)로부터의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IP 주소 변환을 수행하는 NAT 기능부(221);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기능 블록들을 탑재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무선랜 단말(91,92,93)에 대해 휴대 인터넷망으로의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 접속 장치(100)로서, 무선랜 클라이언트 기능 및 휴대 인터넷 클라이언트 기능을 가진 통상의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에 컨텐츠 다운로드에 의해, 상기 무선랜 단말(91,92,93)로부터의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또는 상기 무선랜 단말(91,92,93)로의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프로토콜 처리를 수행하는 소프트 AP부(220); 상기 소프트 AP부(220)로부터의 데이터 메시지 또는 휴대 인터넷 클라이언트부(213)로부터의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IP 주소 변환을 수행하는 NAT 기능부(221);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기능 블록들이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무선랜 클라이언트 기능 및 휴대 인터넷 클라이언트 기능으로 동작하는 통상 모드와, 무선랜 단말(91,92,93)에 대해 휴대 인터넷 망으로의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중계 모드 사이에 전환이 가능한 복합 단말 장치로서, 상기 무선랜 클라이언트 기능 및 휴대 인터넷 클라이언트 기능을 가진 통상의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를 제조하기 위한 하드웨어 플랫폼에, 상기 무선랜 단말(91,92,93)로부터의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또는 상기 무선랜 단말(91,92,93)로의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프로토콜 처리를 수행하는 소프트 AP부(220); 상기 휴대 인터넷 망으로부터의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또는 상기 휴대 인터넷 망으로의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프로토콜 처리를 수행하는 휴대인터넷 클라이언트부(213); 상기 소프트 AP부(220)로부터의 데이터 메시지 또는 상기 휴대 인터넷 클라이언트부(213)로부터의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IP 주소 변환을 수행하는 NAT 기능부(221);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기능 블록들을 탑재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무선랜 클라이언트 기능 및 휴대 인터넷 클라이언트 기능으로 동작하는 통상 모드와, 무선랜 단말(91,92,93)에 대해 휴대 인터넷 망으로의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중계 모드 사이에 전환이 가능한 복합 단말 장치로서, 상기 무선랜 클라이언트 기능 및 휴대 인터넷 클라이언트 기능을 가진 통상의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를 제조하기 위한 하드웨어 플랫폼에, 상기 무선랜 단말(91,92,93)로부터의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또는 상기 무선랜 단말(91,92,93)로의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프로토콜 처리를 수행하는 소프트 AP부(220); 상기 휴대 인터넷 망으로부터의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또는 상기 휴대 인터넷 망으로의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프로토콜 처리를 수행하는 휴대인터넷 클라이언트부(213); 상기 소프트 AP부(220)로부터의 데이터 메시지 또는 상기 휴대 인터넷 클라이언트부(213)로부터의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IP 주소 변환을 수행하는 NAT 기능부(221);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기능 블록들을 탑재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무선랜 클라이언트 기능 및 휴대 인터넷 클라이언트 기능을 가진 통상의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에서, 상기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가 중계 모드 - 상기 중계 모드는 무선랜 단말(91,92,93)에 대해 휴대 인터넷 망으로의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는 한 모드이다- 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302); 상기 단계(302)에서의 판단결과 중계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중계 모드로 동작하기 위해 필요한 소프트웨어 기능블록들이 상기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 내에 존재하는 지를 판단하고 상기 소프트웨어 기능블록들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소프트웨어 기능블록들이 포함된 컨텐츠를 다운로드하여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과정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를 복합 단말 장치로 전환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무선랜 클라이언트 기능 및 휴대 인터넷 클라이언트 기능을 가진 통상의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에서, 상기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가 이동 접속 장치(100) -상기 이동 접속 장치(100)는 무선랜 단말(91,92,93)에 대해 휴대 인터넷 망으로의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이다- 로서 동작하기 위해 필요한 소프트웨어 기능블록들이 상기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 내에 존재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303); 상기 단계(303)의 판단 결과 상기 소프트웨어 기능블록들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소프트웨어 기능블록들이 포함된 컨텐츠를 다운로드하여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과정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를 이동 접속 장치로 전환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은 기존의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에서 컨텐츠 다운로드를 통하여 이동 접속 장치 또는 이동 접속 장치의 기능을 포함하는 장치(복합 단말 장치)로 전환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이동 접속 장치 또는 이동 접속 장치의 기능을 포함하는 장치(복합 단말 장치)를 작은 비용으로 쉽게 획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기존의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에 사용되던 하드웨어 플랫폼에 소프트웨어의 변경만으로 이동 접속 장치 또는 이동 접속 장치의 기능을 포함하는 장치(복합 단말 장치)를 생산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이동 접속 장치 또는 이동 접속 장치의 기능을 포함하는 장치(복합 단말 장치)를 작은 비용으로 쉽게 획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기존의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에 소프트웨어의 변경만으로 이동 접속 장치의 기능을 부가할 수 있으므로,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와 이동 접속 장치의 기능을 모두 가진 복합 단말 장치를 쉽게 구현할 수 있으며,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와 이동 접속 장치를 별개로 가지고 다닐 필요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전화 서비스 또는 인터넷 서비스를 받기 위해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를 휴대하는 것에 부가하여 별도의 장치를 휴대하지 않고도 이동 접속 장치의 기능을 함께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이동 접속 장치 또는 이동 접속 장치의 기능을 포함하는 장치(복합 단말 장치)를 보다 쉽게 휴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기존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의 하드웨어와 물리계층 및 링크계층을 그대로 이용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동 접속 장치 또는 이동 접속 장치의 기능을 포함하는 장치(복합 단말 장치)를 상용화하기 위해, 개발·인증에 필요한 비용 및 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동 접속 장치 또는 이동 접속 장치의 기능을 포함하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무선랜 클라이언트 기능 및 휴대 인터넷 클라이언트 기능을 가진 기존의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를 이용하는 점에 가장 큰 특징이 있다. 흔히 'WiFi 폰'이라 불리는 듀얼 모드 폰은 무선랜 서비스와 광역 이동 통신 서비스를 각각 제공받기 위한 모듈을 각각 탑재하고 있다. 이동 통신 서비스가 휴대 인터넷 망을 통해 제공되는 경우에는, 무선랜용 모듈과 휴대 인터넷용 모듈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를 상정할 수 있다.
이러한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에서 무선랜 서비스를 위한 모듈은 무선랜 클라이언트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출시된다. 그러나, 소프트웨어의 변경 또는 업그레이드를 통하여, 무선랜 클라이언트의 기능을 가진 모듈이, 무선랜 단말에 대해 접속 장치(AP : Access Point)의 기능을 가지도록 변경될 수 있으며, 무선랜 접속을 위한 모듈과 휴대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연동하여 중계하는 것도 소프트웨어적으로 가능하다는 점에 착안하여, 본 발명이 출발하였다.
도 1은 무선랜 모듈과 휴대 인터넷 모듈을 가진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가 기존의 서비스를 제공받는 상황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은 기존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의 일반적 사용 상황을 보여주고 있다.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가 접속장치(50)(AP : Access Point)의 서비스 영역(80) 내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가 접속장치(50)를 통하여 이더넷 스위치/라우터(60)와 IP망(40)에 연결되어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무선랜의 서비스 영역(80)을 벗어나고 휴대 인터넷의 서비스 영역(70) 안에 있는 경우에는 휴대인터넷의 RAS(Radio Access Station : 무선 접속 기지국, 휴대 인터넷 기지국 )(20)와 ACR(Access Control Router : 접속 제어 라우터, 휴대 인터넷 제어국)(30)을 통하여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이때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는 휴대 전화 서비스와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1의 하단부에는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가 무선랜을 통해 접속하는 경우와 휴대 인터넷을 통해 접속하는 경우, 각각의 프로토콜 스택을 도시하고 있다.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가 접속장치(50)를 통해 접속한 경우,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는 접속장치(50)의 DHCP 서버부로부터 수신한 무선랜 접속용 IP 주소를 이용하여, 802.11 링크계층(13) 및 802.11 물리계층(14)을 통하여 휴대 전화 서비스 또는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한편, 무선랜 서비스 영역(80)을 벗어나고 휴대 인터넷의 서비스 영역(70) 내에 있는 경우,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는 ACR(30)과의 접속과정에서 생성된 휴대인터넷 접속용 IP 주소를 기반으로 802.16 링크계층(16) 및 802.16 물리계층(17)을 통하여 휴대 전화 서비스 또는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기존의 무선랜 클라이언트 기능 및 휴대 인터넷 클라이언트 기능을 가진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를 이동 접속 장치(100) 또는 이동 접속 장치의 기능을 포함하는 장치(101)로 전환시킨 후, 그 사용 상황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무선랜 클라이언트 기능을 가진 단말(91, 92, 93)이 전환된 상기 이동 접속 장치(100) 또는 복합 단말 장치(101)(이하, 이동 접속 장치와 복합 단말 장치를 통칭하여 '이동 접속 장치 등(100,101)'이라고도 한다)를 통하여 휴대인터넷 망에 접속되는 상황을 도시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접속 장치 등(100,101)은 휴대 인터넷 서비스 영역(70) 내에서 휴대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휴대 인터넷 클라이언 트이다. 동시에 이동 접속 장치 등(100,101)은 무선랜 접속 장치의 기능을 가진 것으로서, 자신의 서비스 범위(90) 안에 들어오는 무선랜 클라이언트 기능을 가진 휴대 단말 장치(91), PDA(92) 또는 노트북 컴퓨터(93)(이하 '무선랜 단말'이라 한다)에게 접속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한다.
한편, 본 발명은 크게 2가지 종류의 장치, 즉, '이동 접속 장치'와 '복합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 접속 장치'는 무선랜 단말에게 무선랜을 이용하여 휴대 인터넷 망에 대한 무선 접속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이며, '복합 단말 장치'는 무선랜 단말에게 무선랜을 이용하여 휴대 인터넷 망에 대한 무선 접속 기능을 제공하는 외에, 무선랜 클라이언트로서의 기능과 휴대 인터넷 클라이언트로서의 기능을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장치이다. 복합 단말 장치는 이동 접속 장치로서의 기능 외에, 무선랜 클라이언트 또는 휴대 인터넷 클라이언트로서의 기능을 복합적으로 가진 단말을 지칭한다. 이러한 복합 단말 장치가 이동 접속 장치로서 기능할 때의 모드를 이하 '중계 모드'라 하고, 무선랜 클라이언트 또는 휴대 인터넷 클라이언트로서 기능할 때의 모드를 '통상 모드'라 지칭하기로 한다. 복합 단말 장치는 중계 모드와 통상 모드 사이의 변경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복합 단말 장치는 중계 모드일 때, 무선랜 단말에 대해서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시에 복합 단말 장치는 스스로 VoPI부를 이용하여 음성 통화 기능도 제공할 수 있다(자세한 사항은 후술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기존 무선랜 클라이언트의 기능 및 휴대 인터넷 클라이언트의 기능을 가진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를 전환하여, 이동 접속 장치 또는 복합 단말 장치를 얻는다. 그 전환은 소프트웨어의 변경, 특히 프로토콜 스택 중에서 응용 계층 부분만을 변경하여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라 기존의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를 이동 접속 장치 또는 복합 단말 장치로 변경하는 방법에는 크게 2가지가 있다. 그 하나는 생산 과정 중에 변경된 소프트웨어를 탑재하여 이동 접속 장치 또는 복합 단말 장치로 판매하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기존의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에서 필요한 소프트웨어 블록들이 포함되거나 필요한 소프트웨어 블록들을 생성할 수 있는 컨텐츠를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으로 다운로드하여 환경 설정함으로써, 기존의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를 이동 접속 장치 또는 복합 단말 장치로 변경하는 것이다.
도 2로 다시 돌아가서, 도 2의 하단부에는 이동 접속 장치(100)의 프로토콜 스택, 또는 복합 단말 장치(101)가 중계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의 프로토콜 스택을 도시하고 있다. 이동 접속 장치 등(100, 101)은 무선랜을 통한 접속을 제공하기 위하여, 802.11 무선랜 물리계층(14), 802.11 링크계층(13), IP 계층(18), 및 응용 계층(19)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이동 접속 장치 등(100, 101)은 휴대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802.16 물리계층(17), 802.16 링크계층(16), IP 계층(15), 및 응용 계층(19)을 지니고 있다.
응용 계층(19)에는 무선랜 단말(91,92,93)들에게 접속을 제공하기 위한 DHCP 서버 및 무선랜 인증과, 휴대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DHCP 클라이언트, IP관리 및 VoIP를 구비하며, 데이터 교환시 주소 변환을 처리하는 NAT를 포함하거나, 경로 설정을 위한 라우터를 포함한다. DHCP 서버와 무선랜 인증은 무선랜측 응용계 층이고, DHCP 클라이언트, IP관리 및 VoIP는 휴대인터넷측 응용계층이며, NAT 또는 라우터는 양측을 연동하는 응용계층이다.
도 3은 무선랜 모듈부와 휴대 인터넷 모듈부를 가진 기존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의 내부 하드웨어 구성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의 하드웨어 구성은 본 발명의 이동 접속 장치 등(100)의 하드웨어 구성으로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도 3은 본 발명의 이동 접속 장치(100) 또는 복합 단말 장치(101)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기도 하다.
휴대단말장치(10) 또는 이동 접속 장치 등(100, 101)은, CPU(160)을 중심으로 사용자에게 화면을 제공하기 위한 LCD(111), 음성을 처리하기 위한 오디오(112), 사용자의 입력을 처리할 터치 버튼(113), 영상 입력을 위한 카메라(114), 그리고 외부 USB 접속이나 타 장치 접속을 위한 외부 인터페이스(115)를 포함하는 주변장치(110)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휴대단말장치(10) 또는 이동 접속 장치 등(100,101)은, 무선랜 접속을 위한 무선랜 모듈부(120)와 휴대인터넷 접속을 위한 휴대인터넷 모듈부(150)를 구비한다. 또한, 휴대단말장치(10) 또는 이동 접속 장치 등(100,101)은, 전원인가를 위한 전원공급부(142)와 과부하시 장치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회로부(141)로 구성되는 전원 처리장치(140)를 구비하고, 중요한 데이터의 저장을 위한 기록용 NVRAM(133), 프로그램 실행에 사용되는 SDRAM(132) 및 외부 백업이나 데이터 저장을 위한 외부메모리(131)를 가진 메모리부(130)를 구비한다. 상기 메모리부(130)의 메모리들은 휴대단말장치(10) 또는 이동 접속 장치 등(100,101)에서 필요한 개인정보의 저장뿐만 아니라, 휴대단말장치(10)를 이동 접속 장치 등(100,101)으로 전환시키는 경우 그 소프트웨어의 저장용으로도 사용된다.
도 4는 일반적인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에서 동작되는 소프트웨어 구조(200), 또는 복합 단말 장치(101)에서 통상의 무선랜 클라이언트 또는 휴대인터넷 클라이언트로 동작할 때(통상 모드)의 소프트웨어 구조(2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하드웨어 구조가 아니라 소프트웨어 구조(200)에 관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IP관리부(210)는 무선랜 접속시 무선랜 클라이언트(211)를 통하여 무선랜의 AP(50)로부터 IP 주소를 수신받아 관리하고, 휴대인터넷 접속시에는 휴대인터넷 클라이언트(213)를 통하여 ACR(30)로부터 IP 주소를 수신하여 관리한다. 환경설정부(212)는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의 환경 설정을 관장하고, 메뉴를 제공하며, 사용자의 입력을 처리하는 기능 블록이다. 다운로드부(214)는 환경설정부(212)의 제어를 받아 실제 다운로드를 관장하는 기능 블록이다. 환경설정부(212)는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컨텐츠를 다운로드한 경우 다운로드된 컨텐츠를 이용하여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에 대해 환경 설정을 할 수 있다. 특히,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를 이동 접속 장치(100) 또는 복합 단말 장치(101)로 전환하는 경우, 상기 다운로드부(214)가 컨텐츠를 다운로드하고 환경설정부(212)가 다운로드된 컨텐츠를 이용하여 이동 접속 장치(100) 또는 복합 단말 장치(101)로 전환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다운로드부(214) 및 환경설정부(214)는 일반적인 다중모드 휴대단말장치(10)라면 통상적으로 구비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이동 접속장치(100) 또는 복합 단말장치(101)를 구현하기 위하여 별도로 가진 것으로 볼 수는 없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한편, 다중모드 휴대단말장치(10) 또는 통상 모드에서의 복합 단말 장치(101)는 일반 휴대폰과 동일하게 음성통화처리부(215)를 이용하여 음성 통화 서비스를 제공받거나 인터넷 데이터 처리부(216)를 통하여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5는 이동 접속 장치(100)의 소프트웨어 구조(200) 또는 복합 단말 장치(101)에서 중계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의 소프트웨어 구조(200)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동 접속 장치(100) 또는 복합 단말 장치(101)는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로 사용중 이동 접속 장치(100) 또는 복합 단말 장치(101)로 전환된 것일 수도 있고, 생산과정에서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의 하드웨어 플랫폼에 소프트웨어 탑재를 통하여 이동 접속 장치(100) 또는 복합 단말 장치(101)로 구현된 것일 수도 있다. 여하한 경우이든, 도 5는 이동 접속 장치(100)의 소프트웨어 구조(200) 또는 복합 단말 장치(101)에서 중계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의 소프트웨어 구조(200)를 보여주고 있다.
도 4에서 도시되었던 것을 참조하면,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에서는 무선랜 클라이언트 기능이 있었으나, 도 5의 이동 접속 장치 등(100,101)에서는 무선랜 클라이언트 기능은 동작하지 않도록 되고, 대신 무선랜의 접속 장치로 기능하기 위해 소프트 AP부(220), DHCP 서버부(222), 및 무선랜 인증부(223)가 생성되었다. 그리고 무선랜과 휴대 인터넷을 연동시키기 위하여 NAT 기능부(221)가 생성되었다.
IP관리부(210)는 휴대인터넷 클라이언트부(213)를 통해 ACR(30)로 IP주소를 요청하고 수신된 IP 주소를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 블록이다. IP관리부(210)는 휴대인터넷 클라이언트부(213)를 통해 수신한 IP 주소를 NAT기능부(221)에 기록한다.
휴대인터넷 클라이언트부(213)는 휴대인터넷 접속을 위한 기능블록이다. 휴대인터넷 클라이언트부(213)는 IP관리부(210) 및 NAT기능부(221)로부터의 제어 메시지 및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프로토콜 처리를 수행하거나, 반대로 휴대인터넷 망으로부터의 제어 메시지 및 데이터 메시지에 대한 프로토콜 처리를 수행하는 기능블록이다. 휴대인터넷 클라이언트부(213)는 802.16 물리계층과 802.16MAC 계층의 동작을 통하여 프로토콜 처리를 수행한다.
환경설정부(212)는 통상적인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 또는 본 발명의 이동 접속 장치(100) 및 복합 단말 장치(101)에서 모두 동일한 소프트웨어 기능블록이다. 환경설정부(212)는 일반적으로 사용자에게 메뉴를 제공하고 메뉴 설정에 따라 장치 설정을 변경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환경설정부(212)는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를 이동 접속 장치 등(100,101)으로 전환하는 경우에 환경설정에 관여하게 될 것이며, 또한 복합 단말 장치(101)에서 중계 모드로 모드 변경하는 경우의 환경설정에도 관여하게 될 것이다. 환경 설정부(212)는 통상 모드와 중계 모드 사이의 변경이 요청되는 경우, 그 변경에 필요한 설정을 처리한다.
다운로드 방식에 의해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를 이동 접속 장치(100) 또는 복합 단말 장치(101)로 전환하는 경우,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의 환경설 정부(212)(전환 후의 이동 접속 장치(100) 또는 복합 단말 장치(101)의 환경설정부(212)와 동일하다)는 다운로드된 컨텐츠로부터 소프트AP부(220), DHCP서버부(222), 무선랜 인증부(223), 및 NAT기능부(221)를 추출하고 이를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에 설치 또는 설정함으로써 이동 접속 장치(100) 또는 복합 단말 장치(101)가 되도록 한다. 한편, 복합 단말 장치(101)가 통상 모드에서 중계 모드로 변경되는 경우에도, 환경설정부(212)는 소프트AP부(220), DHCP서버부(222), 무선랜 인증부(223), 및 NAT기능부(221)가 설치 또는 설정될 수 있도록 기능한다.
소프트AP부(220)는 무선랜 단말(91,92,93)에게 무선랜 접속을 제공하기 위한 기능블록이다. 소프트AP부(220)는 환경설정부(212)의 환경설정에 따라 동작되며 무선랜 단말(91,92,93)로부터의 제어메시지 및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프로토콜 처리를 수행하고, 무선랜 인증부(223), NAT 기능부(221) 및 DHCP 서버부(222)로부터의 제어 메시지 및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프로토콜 처리를 수행하는 기능블록이다. 소프트AP부(220)는 802.11 물리계층과 802.11MAC 계층의 동작을 통하여 프로토콜 처리를 수행한다.
무선랜 인증부(223)는 무선랜 단말(91,92,93)의 접속을 제한하기 위한 인증기능을 수행하는 블록이다. 무선랜 인증부(223)는 WEP, WPA, WPA2 등과 같은 표준 암호화 인증 방법에 따라 인증절차를 수행하고 인증된 단말의 정보를 관리를 한다.
DHCP서버부(223)는 무선랜 단말(91,92,93)의 IP 주소 요청에 대하여 IP 주소를 제공하는 기능블록이다. DHCP서버부(223)는 무선랜 단말(91,92,93)의 IP 주소 요청에 따라 무선랜 인증부(223)에 인증된 단말인지 확인을 요청하고 확인된 단말 에 대해서만 IP 주소를 부여할 수 있다. DHCP서버부(223)에서 무선랜 단말(91,92,93)의 요청에 의하여 할당된 IP 주소는 NAT기능부(221)에 기록하여 휴대인터넷 서비스 중계 기능을 수행할 때 사용된다.
NAT기능부(221)는 휴대인터넷과 무선랜 사이에 전송되는 데이터 메시지의 주소를 변환하는 기능블록이다. NAT기능부(221)는 IP관리부(210)로 부터 휴대인터넷용 IP 주소를 제공받고, DHCP서버부(222)로부터 인증된 무선랜 단말들에 대한 IP 주소를 제공받는다. NAT기능부(221)가 주소를 변환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으며, 예를 들면 NAT기능부(221)는 휴대인터넷 망으로부터 데이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수신된 데이터 메시지의 IP 주소와 포트를 확인하여 무선랜 단말의 IP 주소와 포트를 찾아서 매핑하며, 무선랜 단말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메시지의 경우에는 무선랜 단말의 IP 주소와 포트를 확인하여 휴대인터넷용 IP 주소와 포트로 매핑하여 전송한다.
VoIP부(225)는 복합 단말 장치의 중계 모드로 동작될 때 음성 통화에 사용되며, NAT 기능부(221)를 통하거나 직접 휴대인터넷 클라이언트부(213)를 통하여 외부 휴대 인터넷 망에 접속된다. 복합 단말 장치가 무선랜 단말에 대하여 NAT 중계기능을 수행하는 중에도 복합 단말 장치가 음성 통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VPN 클라이언트부(224)는 NAT 기능부(221)에서 휴대 인터넷 망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휴대 인터넷 망으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할 때 보안 데이터 송수신에 사용된다. VPN 클라이언트부(224)는 L2TP, PPTP, IPSec 등의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가상 사설망을 구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6은 이동 접속 장치(100)의 소프트웨어 구조(200) 또는 복합 단말 장치(101)에서 중계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라우팅 기능을 동작할 때의 소프트웨어 구조(250)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NAT 기능부(221)를 대신하여 라우팅부(230)가 환경설정부(212)에 의하여 설정된 경우이며, IP 라우팅 프로토콜에 의해 라우팅 테이블을 구축하며, 소프트 AP부(220)로부터의 데이터 메시지 또는 휴대 인터넷 망으로부터의 데이터 메시지를 구축된 라우팅 테이블에 의하여 포워딩한다. 라우팅부(230)은 환경설정부(212)의 설정에 따라 고정된 형태의 스테틱 라우팅과 라우팅 프로토콜에 의한 가변 망 상황을 반영하는 다이나믹 라우팅을 처리하며, 이때 결과적으로 생성되는 것이 라우팅 테이블과 데이타 포워딩 테이블이다.
도 7은 다운 로드 방식에 의해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가 복합 단말 장치(101)로 전환되는 과정과 상기 복합 단말 장치(101)로 전환된 후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당초부터 복합 단말 장치(101)로 생산된 경우 복합 단말 장치(101)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다운 로드 방식에 의해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가 복합 단말 장치(101)로 전환되는 과정과 상기 복합 단말 장치(101)로 전환된 후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당초부터 복합 단말 장치(101)로 생산된 경우 복합 단말 장치(101)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 장치(10) 또는 복합 단말 장치(101)는 먼저 필 요한 초기화 단계(301)를 수행한다(필요한 컨텐츠가 다운로드되어 설치·설정되기 전에는 휴대 단말 장치(10)라고 할 수 있으나, 이하 편의상 '복합 단말 장치(101)'라고 지칭한다). 그 후 단계(302)에서는 복합 단말 장치(101)가 중계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중계 모드로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통상 모드로 동작한다(305). 한편, 중계 모드로 설정된 경우에는 필요한 소프트웨어 블록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303), 존재하지 않은 경우에는 컨텐츠 제공자가 상기 소프트웨어 블록이 포함된 컨텐츠를 제공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304). 컨텐츠 제공자가 상기 컨텐츠를 제공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복합 단말 장치(101)가 통상 모드로 동작하도록 한다(305)(이는 엄밀히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로서 동작하는 것이다). 한편, 컨텐츠 제공자가 상기 컨텐츠를 제공하고 잇는 경우에는 해당 컨텐츠를 다운로드하여 설정한다(306).
한편 단계(303)에서 필요한 소프트웨어 블록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중계 모드의 동작을 개시한다(307). 단계(308)에서 복합 단말 장치(101)는 인증 정보를 결합하여 SSID(Service Set ID)를 포함한 비콘 신호를 브로드캐스트하며, 무선랜 클라이언트의 메시지를 수신한다. 그리고 수신된 메시지가 제어메시지인지 판단하여(309), 제어메시지일 경우 제어 메시지 처리 서브루틴(400)으로 진행하며, 제어 메시지가 아닌 경우에는 데이터 메시지로 보고 NAT 처리 서브루틴 또는 라우팅 처리 서브루틴(500)으로 진행한다.
도 8은 당초부터 복합 단말 장치(101)로 생산된 경우 복합 단말 장치(101)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복합 단말 장치(101)로서 동작하기 위하여 필요한 소프트웨어 블록들이 복합 단말 장치(101)의 생산 과정에서 이미 탑재되어 있는 경우이므로, 소프트웨어 블록들을 다운로드할 필요가 없다. 다만, 복합 단말 장치(101)를 생산하는 과정은, 무선랜 클라이언트 기능 및 휴대 인터넷 클라이언트 기능을 가진 통상적인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를 제조하기 위한 하드웨어 플랫폼에 본 발명의 소프트웨어 기능 블록들을 탑재하기만 하면 되는 것이다.
도 8은 도 7의 과정들과 비교하여 소프트웨어 블록들을 다운로드하기 위한 단계들인 단계(303), 단계(304) 및 단계(306)만을 제거한 것과 동일하므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도 9는 다운 로드 방식에 의해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가 이동 접속 장치(100)로 전환되는 과정과 상기 이동 접속 장치(101)로 전환된 후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당초부터 이동 접속 장치(100)로 생산된 경우 이동 접속 장치(100)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동 접속 장치(100)는 중계 모드로만 동작하는 것이기 때문에 모드 전환 과정이 필요 없다. 도 9는 도 7과 비교하여, 중계 모드 설정인지를 판단하는 과정(302)이 제거되면 거의 동일하게 된다.
도 9를 참조하면,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 또는 이동 접속 장치(101)는 먼저 필요한 초기화 단계(301)를 수행한다(필요한 컨텐츠가 다운로드되어 설치·설정되기 전에는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라고 할 수 있으나, 이하 편의상 '이동 접속 장치(100)'라고 지칭한다). 단계(303)에서 필요한 소프트웨어 블록이 존재하 는지를 판단하여, 존재하지 않은 경우에는 컨텐츠 제공자가 상기 소프트웨어 블록이 포함된 컨텐츠를 제공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304). 컨텐츠 제공자가 상기 컨텐츠를 제공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로서의 기능에 따라 동작하도록 한다(305). 한편, 컨텐츠 제공자가 상기 컨텐츠를 제공하고 있는 경우에는 필요한 해당 컨텐츠를 다운로드하여 설정한다(306).
한편 단계(303)에서 필요한 소프트웨어 블록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이동 접속 장치(10)로서의 동작을 개시한다(307). 단계(308)에서 이동 접속 장치(101)는 인증 정보를 결합하여 SSID(Service Set ID)를 포함한 비콘 신호를 브로드캐스트하며, 무선랜 클라이언트의 메시지를 수신한다. 그리고 수신된 메시지가 제어메시지인지 판단하여(309), 제어메시지일 경우 제어 메시지 처리 서브루틴(400)으로 진행하며, 제어 메시지가 아닌 경우에는 데이터 메시지로 보고 NAT 처리 서브루틴 또는 라우팅 처리 서브루틴(500)으로 진행한다.
도 10은 당초부터 이동 접속 장치(100)로 생산된 경우 이동 접속 장치(100)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에서 설명된 이동 접속 장치(100)는 이동 접속 장치(100)로서 동작하기 위하여 필요한 소프트웨어 블록들이 이동 접속 장치(100)의 생산 과정에서 이미 탑재되어 있는 경우이므로, 소프트웨어 블록들을 다운로드할 필요가 없다. 다만, 이동 접속 장치(100)를 생산하는 과정은, 무선랜 클라이언트 기능 및 휴대 인터넷 클라이언트 기능을 가진 통상적인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를 제조하기 위한 하드웨어 플랫폼에 본 발명의 소프트웨어 기능 블록들을 탑재하기만 하면 되는 것이다.
도 11은 NAT 기능부을 이용하는 경우 제어 메시지 처리 서브루틴(400)을 도시한 도면이다.
무선랜 단말로부터 수신메시지를 확인하고(401), 수신 메시지가 IP 주소 제어메시지인지를 확인하여(402), IP 주소 제어메시지가 아닌 경우에는 단계(403)으로 진행한다. 단계(403)에서 인증 메시지인 경우에는 암호를 확인하고 인증절차를 수행하게 되고(406), 인증 메시지가 아닌 경우에는 수신메시지를 폐기한다(407). 단계(402)에서 IP 주소 제어 메시지인 경우에는 단계(404)로 진행하여 IP주소 요청인지를 판단한다. 판단결과 IP주소 요청인 경우에는 해당 단말에 이미 할당된 IP 주소가 존재하는 지를 판단한다(408). 이미 할당된 IP 주소가 존재하지 않은 경우에는 새로운 IP주소를 링크계층의 MAC 주소와 결합하여 관리하고 NAT 테이블에 신규 IP를 기록한다(410). 한편, 이미 할당된 IP 주소가 있는 경우에는 기존 IP 할당정보와 링크계층의 MAC 주소를 비교하여 동일하다면 기존 IP 주소를 할당하고 NAT 테이블에 등록(409)한다. 한편, 단계(404)에서 IP 주소 요청이 아닌 경우에는 IP 주소 해제 요청으로 판단하여, IP 주소를 해제하고 NAT 테이블에 등록되었던 IP 주소와 포트 정보를 제거한다(405).
도 12는 NAT 처리 서브루틴(500)을 도시한 도면이다.
데이터 메시지를 수신하고(501), 발신지의 IP 주소가 무선랜 단말로부터인지를 판단하여(502), 발신지가 무선랜 단말인 경우에는 목적지가 외부 인터넷 망인지를 판단한다(503). 만약 목적지가 외부 인터넷 망이라면 NAT 테이블에 등록된 정보를 확인하여 발신지의 IP 주소가 있는지 판단하고(506), 판단결과 NAT 테이블에 발 신지의 IP 주소가 있는 경우, NAT 테이블에 따라 메시지의 주소를 변환하고 재조립하여 외부 휴대 인터넷으로 메시지를 전송하며(510), 그 로그를 기록하게 된다(512). 만약 단계(506)에서 NAT 테이블에 발신지 IP 주소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비인가 단말의 메시지로 간주하고 메시지를 폐기하고(507) 그 로그를 기록한다(512). 한편 단계(503)에서 목적지가 외부 인터넷 망이 아닌 경우에는 내부 단말간의 통신으로 판단하여 해당하는 무선랜 단말로 전송하고(504), 로그를 기록하게 된다(512). 단계(502)에서 발신지가 무선랜이 아닌 경우 단계(505)로 진행하여 발신지가 외부 인터넷망인지를 판단한다(505). 발신지가 외부 인터넷 망인 경우에는 단계(508)로 진행하여 NAT 테이블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508), NAT 테이블에 존재한다면 NAT 테이블의 변환 정보에 따라 메시지 주소를 변환하고 재조립을 통하여 무선랜으로 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511). 단계(505)에서 발신지가 외부 인터넷망이 아니거나, 단계(508)에서 NAT 테이블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데이터를 폐기하고(509), 그 로그를 기록한다(512).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무선랜 모듈과 휴대 인터넷 모듈을 가진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가 기존의 서비스를 제공받는 상황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기존의 무선랜 클라이언트 기능 및 휴대 인터넷 클라이언트 기능을 가진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를 이동 접속 장치(100) 또는 이동 접속 장치의 기능을 포함하는 장치(101)로 전환시킨 후, 그 사용 상황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무선랜 모듈과 휴대 인터넷 모듈을 가진 기존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의 내부 하드웨어 구성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반적인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에서 동작되는 소프트웨어 구조(200), 또는 복합 단말 장치(101)에서 통상적인 무선랜 클라이언트 또는 휴대인터넷 클라이언트로 동작할 때(통상 모드)의 소프트웨어 구조(2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이동 접속 장치(100)의 소프트웨어 구조(200) 또는 복합 단말 장치(101)에서 중계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의 소프트웨어 구조(200)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이동 접속 장치(100)의 소프트웨어 구조(200) 또는 복합 단말 장치(101)에서 중계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라우팅 기능을 동작할 때의 소프트웨어 구조(250)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다운 로드 방식에 의해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가 복합 단말 장 치(101)로 전환되는 과정과 상기 복합 단말 장치(101)로 전환된 후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당초부터 복합 단말 장치(101)로 생산된 경우 복합 단말 장치(101)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다운 로드 방식에 의해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가 이동 접속 장치(100)로 전환되는 과정과 상기 이동 접속 장치(101)로 전환된 후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당초부터 이동 접속 장치(100)로 생산된 경우 이동 접속 장치(100)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제어 메시지 처리 서브루틴(40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NAT 처리 서브루틴(500)을 도시한 도면이다.

Claims (23)

  1. 무선랜 단말(91,92,93)에 대해 휴대 인터넷 망으로의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 접속 장치(100)로서,
    무선랜 클라이언트 기능 및 휴대 인터넷 클라이언트 기능을 가진 통상의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를 제조하기 위한 하드웨어 플랫폼에,
    상기 무선랜 단말(91,92,93)로부터의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또는 상기 무선랜 단말(91,92,93)로의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프로토콜 처리를 수행하는 소프트 AP부(220);
    상기 휴대 인터넷 망으로부터의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또는 상기 휴대 인터넷 망으로의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프로토콜 처리를 수행하는 휴대인터넷 클라이언트부(213);
    상기 소프트 AP부(220)로부터의 데이터 메시지 또는 상기 휴대 인터넷 클라이언트부(213)로부터의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IP 주소 변환을 수행하는 NAT 기능부(221);
    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기능 블록들을 탑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접속 장치.
  2. 무선랜 단말(91,92,93)에 대해 휴대 인터넷망으로의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 접속 장치(100)로서,
    무선랜 클라이언트 기능 및 휴대 인터넷 클라이언트 기능을 가진 통상의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에 컨텐츠 다운로드에 의해,
    상기 무선랜 단말(91,92,93)로부터의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또는 상기 무선랜 단말(91,92,93)로의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프로토콜 처리를 수행하는 소프트 AP부(220);
    상기 소프트 AP부(220)로부터의 데이터 메시지 또는 상기 휴대 인터넷 망으로부터의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IP 주소 변환을 수행하는 NAT 기능부(221);
    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기능 블록들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접속 장치.
  3. 무선랜 단말(91,92,93)에 대해 휴대 인터넷 망으로의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 접속 장치(100)로서,
    무선랜 클라이언트 기능 및 휴대 인터넷 클라이언트 기능을 가진 통상의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를 제조하기 위한 하드웨어 플랫폼에,
    상기 무선랜 단말(91,92,93)로부터의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또는 상기 무선랜 단말(91,92,93)로의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프로토콜 처리를 수행하는 소프트 AP부(220);
    상기 휴대 인터넷 망으로부터의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또는 상기 휴대 인터넷 망으로의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프로토콜 처리를 수행하는 휴대인터넷 클라이언트부(213);
    상기 소프트 AP부(220)로부터의 데이터 메시지 또는 상기 휴대 인터넷 클라이언트부(213)로부터의 데이터 메시지를 라우팅 테이블에 의해서 포워딩하는 라우팅부(230);
    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기능 블록들을 탑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접속 장치.
  4. 무선랜 단말(91,92,93)에 대해 휴대 인터넷망으로의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 접속 장치(100)로서,
    무선랜 클라이언트 기능 및 휴대 인터넷 클라이언트 기능을 가진 통상의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에 컨텐츠 다운로드에 의해,
    상기 무선랜 단말(91,92,93)로부터의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또는 상기 무선랜 단말(91,92,93)로의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프로토콜 처리를 수행하는 소프트 AP부(220);
    상기 소프트 AP부(220)로부터의 데이터 메시지 또는 휴대 인터넷 망으로부터의 데이터 메시지를 라우팅 테이블에 의해서 포워딩하는 라우팅부(230);
    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기능 블록들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접속 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 기능블록들은,
    상기 휴대 인터넷 망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상기 휴대 인터넷 망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때, 가상 사설망을 구축하도록 하는 VPN 클라이언트부(224);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접속 장치.
  6.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 기능블록들은,
    상기 휴대 인터넷 망으로부터의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또는 휴대 인터넷 망으로의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프로토콜 처리를 수행하는 휴대 인터넷 클라이언트부(213)를 더 포함하며,
    상기 소프트웨어 기능 블록들과는 별도로,
    원래부터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에 탑재되어 있으며, 상기 소프트웨어 기능 블록들이 다운로드되는 경우, 상기 소프트웨어 기능블록들이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에 설정되도록 기능하는 환경 설정부(212);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접속 장치.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 기능 블록들은,
    상기 무선랜 단말(91,92,93)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된 무선랜 단말(91,92,93)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는 무선랜 인증부(223);
    상기 무선랜 인증부(223)가 인증한 무선랜 단말(91,92,93)에 대하여 IP 주소 를 할당하고 할당 정보를 관리하는 DHCP 서버부(222);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접속 장치.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 기능 블록들과는 별도로,
    상기 휴대 인터넷 클라이언트부(213)를 통해 IP주소를 요청·수신하고 수신된 IP주소를 관리하는 IP 관리부(21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접속 장치.
  9. 무선랜 클라이언트 기능 및 휴대 인터넷 클라이언트 기능으로 동작하는 통상 모드와, 무선랜 단말(91,92,93)에 대해 휴대 인터넷 망으로의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중계 모드 사이에 전환이 가능한 복합 단말 장치로서,
    상기 무선랜 클라이언트 기능 및 휴대 인터넷 클라이언트 기능을 가진 통상의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를 제조하기 위한 하드웨어 플랫폼에,
    상기 무선랜 단말(91,92,93)로부터의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또는 상기 무선랜 단말(91,92,93)로의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프로토콜 처리를 수행하는 소프트 AP부(220);
    상기 휴대 인터넷 망으로부터의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또는 상기 휴대 인터넷 망으로의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프로토콜 처리를 수행하는 휴대인터넷 클라이언트부(213);
    상기 소프트 AP부(220)로부터의 데이터 메시지 또는 상기 휴대 인터넷 클라이언트부(213)로부터의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IP 주소 변환을 수행하는 NAT 기능부(221);
    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기능 블록들을 탑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단말 장치.
  10. 무선랜 클라이언트 기능 및 휴대 인터넷 클라이언트 기능으로 동작하는 통상 모드와, 무선랜 단말(91,92,93)에 대해 휴대 인터넷 망으로의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중계 모드 사이에 전환이 가능한 복합 단말 장치로서,
    상기 무선랜 클라이언트 기능 및 휴대 인터넷 클라이언트 기능을 가진 통상의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에 컨텐츠 다운로드에 의해,
    상기 무선랜 단말(91,92,93)로부터의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또는 상기 무선랜 단말(91,92,93)로의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프로토콜 처리를 수행하는 소프트 AP부(220);
    상기 소프트 AP부(220)로부터의 데이터 메시지 또는 상기 휴대 인터넷 망으로부터의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IP 주소 변환을 수행하는 NAT 기능부(221);
    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기능 블록들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단말 장치.
  11. 무선랜 클라이언트 기능 및 휴대 인터넷 클라이언트 기능으로 동작하는 통상 모드와, 무선랜 단말(91,92,93)에 대해 휴대 인터넷 망으로의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중계 모드 사이에 전환이 가능한 복합 단말 장치로서,
    상기 무선랜 클라이언트 기능 및 휴대 인터넷 클라이언트 기능을 가진 통상의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를 제조하기 위한 하드웨어 플랫폼에,
    상기 무선랜 단말(91,92,93)로부터의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또는 상기 무선랜 단말(91,92,93)로의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프로토콜 처리를 수행하는 소프트 AP부(220);
    상기 휴대 인터넷 망으로부터의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또는 상기 휴대 인터넷 망으로의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프로토콜 처리를 수행하는 휴대인터넷 클라이언트부(213);
    상기 소프트 AP부(220)로부터의 데이터 메시지 또는 상기 휴대 인터넷 클라이언트부(213)로부터의 데이터 메시지를 라우팅 테이블에 의하여 포워딩하는 라우팅부(230);
    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기능 블록들을 탑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단말 장치.
  12. 무선랜 클라이언트 기능 및 휴대 인터넷 클라이언트 기능으로 동작하는 통상 모드와, 무선랜 단말(91,92,93)에 대해 휴대 인터넷 망으로의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중계 모드 사이에 전환이 가능한 복합 단말 장치로서,
    상기 무선랜 클라이언트 기능 및 휴대 인터넷 클라이언트 기능을 가진 통상 의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에 컨텐츠 다운로드에 의해,
    상기 무선랜 단말(91,92,93)로부터의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또는 상기 무선랜 단말(91,92,93)로의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프로토콜 처리를 수행하는 소프트 AP부(220);
    상기 소프트 AP부(220)로부터의 데이터 메시지 또는 휴대 인터넷 망으로부터의 데이터 메시지를 라우팅 테이블에 의하여 포워딩하는 라우팅부(230);
    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기능 블록들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단말 장치.
  13. 청구항 9 또는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 기능블록들은,
    상기 휴대 인터넷 망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상기 휴대 인터넷망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때, 가상 사설망을 구축하도록 하는 VPN 클라이언트부(224);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단말 장치.
  14. 청구항 10 또는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 기능블록들은,
    상기 휴대 인터넷 망으로부터의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또는 휴대 인터넷 망으로의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프로토콜 처리를 수행하는 휴대 인터넷 클라이언트부(213)를 더 포함하며,
    상기 소프트웨어 기능 블록과는 별도로,
    원래부터 상기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에 탑재되어 있으며, 상기 소프트웨어 기능 블록들이 다운로드되는 경우, 상기 소프트웨어 기능블록들이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에 설정되도록 기능하는 환경 설정부(212);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단말 장치.
  15. 청구항 9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 기능 블록들은,
    상기 무선랜 단말(91,92,93)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된 무선랜 단말(91,92,93)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는 무선랜 인증부(223);
    상기 무선랜 인증부(223)가 인증한 무선랜 단말(91,92,93)에 대하여 IP 주소를 할당하고 할당 정보를 관리하는 DHCP 서버부(222);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단말 장치.
  16. 청구항 9 또는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 기능 블록들과는 별도로,
    상기 휴대 인터넷 클라이언트부(213)를 통해 IP주소를 요청·수신하고 수신된 IP주소를 관리하는 IP 관리부(21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단말 장치.
  17. 청구항 9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 기능 블록들은,
    무선랜 단말(91,92,93)에 대하여 상기 중계 서비스를 수행하는 중에도 복합 단말 장치에 대해 음성 통화 기능을 제공하는 VoIP부(225);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단말 장치.
  18. 무선랜 클라이언트 기능 및 휴대 인터넷 클라이언트 기능을 가진 통상의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에서,
    상기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가 중계 모드 - 상기 중계 모드는 무선랜 단말(91,92,93)에 대해 휴대 인터넷 망으로의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는 한 모드이다- 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302);
    상기 단계(302)에서의 판단결과 중계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중계 모드로 동작하기 위해 필요한 소프트웨어 기능블록들이 상기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 내에 존재하는 지를 판단하고 상기 소프트웨어 기능블록들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소프트웨어 기능블록들이 포함된 컨텐츠를 다운로드하여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과정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를 복합 단말 장치로 전환하는 방법.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 기능블록들은,
    상기 무선랜 단말(91,92,93)로부터의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또는 상기 무선랜 단말(91,92,93)로의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프로토콜 처리를 수행하는 소프트 AP부(220);
    상기 소프트 AP부(220)로부터의 데이터 메시지 또는 상기 휴대 인터넷 망으로부터의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IP 주소 변환을 수행하는 NAT 기능부(221);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를 복합 단말 장치로 전환하는 방법.
  20.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 기능블록들은,
    상기 무선랜 단말(91,92,93)로부터의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또는 상기 무선랜 단말(91,92,93)로의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프로토콜 처리를 수행하는 소프트 AP부(220);
    상기 소프트 AP부(220)로부터의 데이터 메시지 또는 휴대 인터넷 망으로부터의 데이터 메시지를 라우팅 테이블에 의하여 포워딩하는 라우팅부(2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를 복합 단말 장치로 전환하는 방법.
  21. 무선랜 클라이언트 기능 및 휴대 인터넷 클라이언트 기능을 가진 통상의 다 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에서,
    상기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가 이동 접속 장치(100) -상기 이동 접속 장치(100)는 무선랜 단말(91,92,93)에 대해 휴대 인터넷 망으로의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이다- 로서 동작하기 위해 필요한 소프트웨어 기능블록들이 상기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 내에 존재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303);
    상기 단계(303)의 판단 결과 상기 소프트웨어 기능블록들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소프트웨어 기능블록들이 포함된 컨텐츠를 다운로드하여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과정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를 이동 접속 장치로 전환하는 방법.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 기능블록들은,
    상기 무선랜 단말(91,92,93)로부터의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또는 상기 무선랜 단말(91,92,93)로의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프로토콜 처리를 수행하는 소프트 AP부(220);
    상기 소프트 AP부(220)로부터의 데이터 메시지 또는 상기 휴대 인터넷 망으로부터의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IP 주소 변환을 수행하는 NAT 기능부(221);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를 이동 접속 장치로 전환하는 방법.
  23.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 기능블록들은,
    상기 무선랜 단말(91,92,93)로부터의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또는 상기 무선랜 단말(91,92,93)로의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프로토콜 처리를 수행하는 소프트 AP부(220);
    상기 소프트 AP부(220)로부터의 데이터 메시지 또는 휴대 인터넷 망으로부터의 데이터 메시지를 라우팅 테이블에 의하여 포워딩하는 라우팅부(2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를 이동 접속 장치로 전환하는 방법.
KR1020080045334A 2008-05-16 2008-05-16 무선랜 및 휴대 인터넷 기능을 가진 다중 모드휴대단말장치를 이용한 이동 접속 장치 및 복합 단말 장치 KR1008763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5334A KR100876363B1 (ko) 2008-05-16 2008-05-16 무선랜 및 휴대 인터넷 기능을 가진 다중 모드휴대단말장치를 이용한 이동 접속 장치 및 복합 단말 장치
PCT/KR2009/002470 WO2009139562A2 (ko) 2008-05-16 2009-05-11 무선랜 및 휴대 인터넷 기능을 가진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를 이용한 이동 접속 장치 및 복합 단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5334A KR100876363B1 (ko) 2008-05-16 2008-05-16 무선랜 및 휴대 인터넷 기능을 가진 다중 모드휴대단말장치를 이용한 이동 접속 장치 및 복합 단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6363B1 true KR100876363B1 (ko) 2008-12-31

Family

ID=40373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5334A KR100876363B1 (ko) 2008-05-16 2008-05-16 무선랜 및 휴대 인터넷 기능을 가진 다중 모드휴대단말장치를 이용한 이동 접속 장치 및 복합 단말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76363B1 (ko)
WO (1) WO200913956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55606B2 (en) 2009-05-15 2015-06-09 Novatel Wireles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 connection with a wireless network
JP5682610B2 (ja) * 2012-11-07 2015-03-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載通信装置、車載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2336B1 (ko) * 2005-09-27 2006-11-29 주식회사 케이티 무선랜/휴대인터넷 연동 기능을 가지는 이동접속장치 및그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6798A (ko) * 2003-08-04 2005-02-21 장부중 네트워크 주소 변환을 이용한 무선 인터넷 시스템
KR100605934B1 (ko) * 2003-09-30 2006-08-0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과 무선랜간의 연동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0722472B1 (ko) * 2005-10-28 2007-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엑세스 포인트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US8837441B2 (en) * 2006-03-28 2014-09-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Versatile system for WLAN/CDMA2000 interworki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2336B1 (ko) * 2005-09-27 2006-11-29 주식회사 케이티 무선랜/휴대인터넷 연동 기능을 가지는 이동접속장치 및그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139562A3 (ko) 2010-02-25
WO2009139562A2 (ko) 2009-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26737B2 (en) Mobile hotspot managed by access controller
US10342059B2 (en) Wireless Internet system and method
CN102057716B (zh) 接入点
US9219816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whitelist management in an enterprise small cell network environment
KR101780021B1 (ko)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자동 설정에 기초해 인터넷 연결을 공유하는 방법 및 장치
US7016334B2 (en) Device, system,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fast recovery of IP address change
EP3174325B1 (en) Hotspot configuration method, access method and device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RU2500086C1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ы построения сетей с универсальным интерфейсом услуг
WO2014117376A1 (zh) 可定制的移动宽带网络系统和定制移动宽带网络的方法
KR101640209B1 (ko) 휴대 모바일 가상사설망 서비스 지원장치 및 그 방법
CN104247505A (zh) 用于利用anqp服务器能力增强andsf的系统和方法
WO2008006314A1 (en) A gateway system and the method for implementing various media accesses
US20040259585A1 (en) Wireless device having dual bus archeticure for interfacing with cellular signals and short-range radio signals
KR100876363B1 (ko) 무선랜 및 휴대 인터넷 기능을 가진 다중 모드휴대단말장치를 이용한 이동 접속 장치 및 복합 단말 장치
JP5980733B2 (ja) モバイルトラフィックのオフロードシステム
CN115669185A (zh) 数据传输方法、设备及存储介质
KR100909070B1 (ko) 무선랜 및 모바일 패킷 서비스 기능을 가진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를 이동 접속 장치 및 복합 단말 장치로 전환하는 방법
KR100944362B1 (ko) 무선랜 및 모바일 패킷 서비스 기능을 가진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를 이용한 이동 접속 장치 및 복합 단말 장치
KR20100047076A (ko) 무선랜 및 휴대 인터넷 기능을 가진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를 이용한 이동 접속 장치 및 복합 단말 장치
KR20120072257A (ko) 가상 스위치를 이용한 개인 공간 구성 장치 및 그 방법
KR20100010114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다수의 아이피 주소설정을 위한 장치및 방법
KR20100047065A (ko) 무선랜 및 모바일 패킷 서비스 기능을 가진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를 이용한 이동 접속 장치 및 복합 단말 장치
KR20100047077A (ko) 무선 개인영역통신망 모듈과 무선 중거리통신망/광역통신망모듈을 가진 휴대단말장치를 이용한 이동 접속 장치 및 복합 단말 장치
JP2020113926A (ja) スモールセルネットワークへの無線接続システム及び方法
Kabinad STRATEGIC USE OF WI-FI IN MOBILE BROADBAND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9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