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4362B1 - 무선랜 및 모바일 패킷 서비스 기능을 가진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를 이용한 이동 접속 장치 및 복합 단말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랜 및 모바일 패킷 서비스 기능을 가진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를 이용한 이동 접속 장치 및 복합 단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4362B1
KR100944362B1 KR1020090023727A KR20090023727A KR100944362B1 KR 100944362 B1 KR100944362 B1 KR 100944362B1 KR 1020090023727 A KR1020090023727 A KR 1020090023727A KR 20090023727 A KR20090023727 A KR 20090023727A KR 100944362 B1 KR100944362 B1 KR 1009443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mobile packet
unit
data message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3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9685A (ko
Inventor
이주현
박동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뉴정보통신
이주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뉴정보통신, 이주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뉴정보통신
Priority to KR1020090023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4362B1/ko
Publication of KR20090119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96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4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43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4Network layer protocols, e.g. mobile IP [Internet Protoc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09Mapping addresses
    • H04L61/25Mapping addresses of the same type
    • H04L61/2503Translation of 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 H04L61/256NAT travers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04L61/5007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 H04L61/5014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using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DHCP] or bootstrap protocol [BOO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2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separating internal from external traffic, e.g. firewalls
    • H04L63/0272Virtual private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랜 단말(91,92,93)들에게 무선랜을 통하여 이동 통신 기반의 고속 패킷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는 접속 장치(AP : Access Point) 또는 이러한 접속 장치의 기능을 가진 복합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무선랜 클라이언트 기능 및 모바일 패킷 서비스(CDMA 2000, EVDO, EVDO revision A, WCDMA, HSDPA, HSUPA 등의 패킷 전송 서비스)에 대한 클라이언트 기능을 가진 통상의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를 제조하기 위한 하드웨어 플랫폼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기능블록들을 탑재하여 제조하거나, 무선랜 클라이언트 기능 및 모바일 패킷 서비스에 대한 클라이언트 기능을 가진 통상의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에서 컨텐츠 다운로드에 의해 필요한 소프트웨어 기능블록들을 설정 또는 설치함으로써, 이동 접속 장치(100) 또는 복합 단말 장치(101)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이동 접속 장치(100) 또는 복합 단말 장치(101)는 적은 비용으로 쉽게 획득될 수 있고, 사용자가 이동 접속 장치(100)의 기능을 포함하는 장치를 보다 쉽게 휴대할 수 있도록 하며, 이동 접속 장치(100) 또는 복합 단말 장치(101)를 상용화하기 위해, 개발·인증에 필요한 비용 및 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도록 한다.
Figure R1020090023727
접속 장치, Access Point, revision A, WCDMA, HSDPA, HSUPA, 무선랜, 전환, WiFi

Description

무선랜 및 모바일 패킷 서비스 기능을 가진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를 이용한 이동 접속 장치 및 복합 단말 장치{Mobile access point and compound station using multi-mode mobile station having wireless LAN and mobile packet service function}
본 발명은 고속 패킷 서비스에 대한 접속(CDMA 2000, EVDO, EVDO revision A, WCDMA, HSDPA, HSUPA 등)을 제공하는 접속 장치(AP : Access Point)에 관한 것이며, 특히 접속 장치가 이동 가능성을 갖춘 이동 접속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 접속 장치의 기능을 포함하는 복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복합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 접속 장치로의 전환, 또는 상기 이동 접속 장치의 기능을 포함하는 복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이하 '복합 단말 장치'라 한다)로의 전환에 관한 것이다.
무선랜(Wireless LAN)은 접속장치(AP : Access Point)가 설치된 곳을 중심으로 일정 거리 이내에서 PDA, 노트북 컴퓨터 등을 통해 초고속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게 한다. 그런데, 무선랜은 전파 도달거리가 짧아서 사용자가 이동중일 때나 접 속장치에서 멀어지면 사용이 잘 안되는 문제점이 있고, 무선랜은 특정한 서비스 영역('핫 스폿'이라고도 한다)을 중심으로 설치되어 넓은 지역을 모두 커버하지는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2000, EVDO(Evolution Data Only), EVDO revision A,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등의 서비스에서는, 이동 통신 망을 기반으로 패킷 대역의 주파수를 할당하여 어디서나 이동하면서 고속으로 패킷 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한다.
그런데, 현재 보급되고 있는 대부분의 PDA, 노트북 컴퓨터 등의 장치는 무선랜(IEEE 802.11) 모듈만을 가지고 있고, CDMA 2000, EVDO, EVDO revision A, WCDMA, HSDPA, HSUPA 등에서의 패킷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모듈을 가지고 있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무선랜 기능을 가진 PDA, 노트북 컴퓨터 등과 같은 무선랜 단말들이 CDMA 2000, EVDO, EVDO revision A, WCDMA, HSDPA, HSUPA 등에서의 패킷 서비스(이하 간단히 '모바일 패킷 서비스'라 하며, 상기 모바일 패킷 서비스를 제공하는 망을 '모바일 패킷 망'이라 한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이동 접속 장치(Mobile Access Point)'에 관한 기술이 대두되고 있다.
이동 접속 장치는 무선랜의 접속 장치(AP : Access Point)인 동시에 접속된 단말을 모바일 패킷 서비스를 제공하는 망과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이동 접속 장치는 무선랜과 모바일 패킷 서비스를 중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중계 기능 을 수행하기 위해, 이동 접속 장치는 무선랜 단말을 위한 접속 장치(AP : Access Point)의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과, 모바일 패킷 서비스에 대한 접속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부분을 모두 내장하며, 상기 두 부분을 연동하여 중계기능을 수행한다. {'이동 접속 장치'라는 용어에 대해 살펴보면, 이동 접속 장치는 유선 통신망과의 직접 연결이 필요 없어 쉽게 이동 가능하다는 의미에서 '이동'이라는 단어를 사용하였으며, 반드시 이동형으로 제작된다는 의미는 아니며 고정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그런데, 무선랜 기능을 가진 PDA, 노트북 컴퓨터 등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모바일 패킷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별도의 상기한 이동 접속 장치를 직접 구입하여 이용하고자 하면, 적지 않은 비용 지출을 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사용자에 따라서는 자신만이 사용하는 전용의 이동 접속 장치를 구입하고 싶어 한다. 서비스 이용자들이 함께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주요 장소나 교통수단 등에 공용의 이동 접속 장치를 설치하여 운용할 수 있으나, 이러한 이동 접속 장치의 설치 위치와 숫자는 제한적일 수 있으므로 자신을 위한 전용의 이동 접속 장치를 소유하려는 욕구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이동 접속 장치를 구입하여 이용하는 경우에, 이동 접속 장치를 항상 휴대하여 다니는 것은 귀잖은 일이다. 특히, 무선랜 기능을 가진 장치를 사용자가 복수 개 보유하고 있고, 사용자는 단일의 이동 접속 장치만을 가진 경우에는 더욱 그러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자신의 차량에 부착되어 있는 차량용 컴퓨터와 집의 컴퓨터에서 모두 상기 이동 접속 장치를 이용하고 싶어할 수 있다. 또 한 PDA 또는 노트북 컴퓨터와 같이 사용자가 휴대하는 장치에서 이동 접속 장치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이동 접속 장치를 휴대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다.
한편, 이동 접속 장치를 생산하고자 하는 자가 이동 접속 장치를 개발하여 시장에 출시하기 까지는 적지 않은 비용과 시간이 소모된다. 특히, 이동 접속 장치를 구성하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각각 설계하여야 하며, 이동 접속 장치를 시장에 출시하기 위해서는 필요한 인증도 받아야 한다. 예를 들면, 무선랜 부분과 관련하여, WECA(Wireless Ethernet Compatibility Alliance)라는 단체를 중심으로 해서 일련의 호환성 시험을 통과한 제품들에 대해서 WiFi(Wireless Fidelity)라는 인증을 제공한다. 따라서 이동 접속 장치를 개발하여 상용화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인증에 필요한 시간이 별도로 소요된다. 특정한 사용자가 전용하는 이동 접속 장치뿐만 아니라, 복수의 서비스 이용자들이 공용하는 이동 접속 장치를 개발하여 상용화하기까지, 상기한 개발 및 인증에 필요한 시간과 비용은 모두 적지 아니 소요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배경 기술들이 가진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또는 상기한 배경 기술들이 처한 상황들을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한 목적은 사용자가 이동 접속 장치 또는 이동 접속 장치의 기능을 포함하는 장치를 작은 비용으로 쉽게 획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이동 접속 장치 또는 이동 접속 장치의 기능을 포함하는 장치를 보다 쉽게 휴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 접속 장치 또는 이동 접속 장치의 기능을 포함하는 장치를 상용화하기 위해, 개발·인증에 필요한 비용 및 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 질 수 있으며, 상기한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이동 접속 장치는 무선랜 단말(91,92,93)에 대해 모바일 패킷 망으로의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 접속 장치(100)로서, 무선랜 클라이언트 기능 및 모바일 패킷 클라이언트 기능을 가지는 통상의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에 탑재된 무선랜 장치와 모바일 패킷 장치를 소프트웨어적으로 연동하여 중계기능이 가능하도록 통상의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의 하드웨어 플랫폼에, 무선랜 단말(91,92,93)로부터의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또는 상기 무선랜 단말(91,92,93)로의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프로토콜 처리를 수행하는 소프트 AP(Access Point)부(220); 모바일 패킷 망으로부터의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또는 상기 모바일 패킷 망으로의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프로토콜 처리를 수행하는 모바일 패킷 서비스 클라이언트부(213); 상기 소프트 AP(Access Point)부(220)로부터의 데이터 메시지 또는 상기 모바일 패킷 서비스 클라이언트부(213)로부터의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IP 주소 변환을 수행하는 NAT 기능부(221);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기능 블록들을 탑재하고, 상기 소프트웨어 기능블록들이 상기 통상의 다중모드 휴대단말장치(10)에 설정되도록 기능하는 환경설정부(212)를 탑재하여 상기 통상의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의 하드웨어와 물리계층 및 링크계층을 그대로 이용함으로써 별도의 이동접속장치 및 인증없이 무선랜 단말(91,92,93)에 대해 모바일 패킷망으로의 중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이동 접속 장치는, 무선랜 단말(91,92,93)에 대해 모바일 패킷 망으로의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 접속 장치(100)로서, 무선랜 클라이언트 기능 및 모바일 패킷 클라이언트 기능을 가지는 통상의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에 탑재된 무선랜 장치와 모바일 패킷 장치를 소프트웨어적으로 연동하여 중계기능이 가능하도록 통상의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에, 무선랜 단말(91,92,93)로부터의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또는 상기 무선랜 단말(91,92,93)로의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프로토콜 처리를 수행하는 소프트 AP(Access Point)부(220); 모바일 패킷 망으로부터의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또는 모바일 패킷 망으로의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프로토콜 처리를 수행하는 모바일 패킷 서비스 클라이언트부(213); 상기 소프트 AP(Access Point)부(220)로부터의 데이터 메시지 또는 상기 모바일 패킷 망으로부터의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IP 주소 변환을 수행하는 NAT 기능부(221);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기능 블록들 또는 상기 소프트웨어 기능블록들을 포함하고 있거나 상기 소프트웨어 기능블록들을 생성할 수 있는 컨텐츠를 다운로드하여 설치하고, 환경설정부(212)에 의해 상기 소프트웨어 기능 블록들이 상기 통상의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에 설정되도록하여 상기 통상의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의 하드웨어와 물리계층 및 링크계층을 그대로 이용함으로써 별도의 이동접속장치 및 인증없이 무선랜 단말(91,92,93)에 대해 모바일 패킷망으로의 중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이동 접속 장치는, 무선랜 단말(91,92,93)에 대해 모바일 패킷 망으로의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 접속 장치(100)로서, 무선랜 클라이언트 기능 및 모바일 패킷 클라이언트 기능을 가지는 통상의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에 탑재된 무선랜 장치와 모바일 패킷 장치를 소프트웨어적으로 연동하여 중계기능이 가능하도록 통상의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의 하드웨어 플랫폼에, 무선랜 단말(91,92,93)로부터의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또는 상기 무선랜 단말(91,92,93)로의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프로토콜 처리를 수행하는 소프트 AP(Access Point)부(220); 모바일 패킷 망으로부터의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또는 상기 모바일 패킷 망으로의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프로토콜 처리를 수행하는 모바일 패킷 서비스 클라이언트부(213); 상기 소프트 AP(Access Point)부(220)로부터의 데이터 메시지 또는 상기 모바일 패킷 서비스 클라이언트부(213)로부터의 데이터 메시지를 라우팅 테이블에 의하여 포워딩하는 라우팅부(230);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기능 블록들을 탑재하고, 상기 소프트웨어 기능블록들이 상기 통상의 다중모드 휴대단말장치(10)에 설정되도록 기능하는 환경설정부(212)를 탑재하여 상기 통상의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의 하드웨어와 물리계층 및 링크계층을 그대로 이용함으로써 별도의 이동접속장치 및 인증없이 무선랜 단말(91,92,93)에 대해 모바일 패킷망으로의 중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이동 접속 장치는, 무선랜 단말(91,92,93)에 대해 모바일 패킷 망으로의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 접속 장치(100)로서, 무선랜 클라이언트 기능 및 모바일 패킷 클라이언트 기능을 가지는 통상의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에 탑재된 무선랜 장치와 모바일 패킷 장치를 소프트웨어적으로 연동하여 중계기능이 가능하도록 통상의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에, 무선랜 단말(91,92,93)로부터의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또는 상기 무선랜 단말(91,92,93)로의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프로토콜 처리를 수행하는 소프트 AP(Access Point)부(220); 모바일 패킷 망으로부터의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또는 상기 모바일 패킷 망으로의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프로토콜 처리를 수행하는 모바일 패킷 서비스 클라이언트부(213); 상기 소프트 AP(Access Point)부(220)로부터의 데이터 메시지 또는 상기 모바일 패킷 망으로부터의 데이터 메시지를 라우팅 테이블에 의하여 포워딩하는 라우팅부(230); 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기능 블록들 또는 상기 소프트웨어 기능블록들을 포함하고 있거나 상기 소프트웨어 기능블록들을 생성할 수 있는 컨텐츠를 다운로드하여 설치하고, 환경설정부(212)에 의해 상기 소프트웨어 기능 블록들이 상기 통상의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에 설정되도록하여 상기 통상의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의 하드웨어와 물리계층 및 링크계층을 그대로 이용함으로써 별도의 이동접속장치 및 인증없이 무선랜 단말(91,92,93)에 대해 모바일 패킷망으로의 중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라, 본 발명의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를 복합 단말 장치로 전환하는 방법은, 무선랜 클라이언트 기능 및 모바일 패킷 서비스에 대한 클라이언트 기능을 가진 통상의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에서, 상기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가 중계 모드 - 상기 중계 모드는 무선랜 단말(91,92,93)에 대해 모바일 패킷 망으로의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는 한 모드이다- 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302); 상기 단계(302)에서의 판단결과 중계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중계 모드로 동작하기 위해 필요한 소프트웨어 기능블록들이 상기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 내에 존재하는 지를 판단하고 상기 소프트웨어 기능블록들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소프트웨어 기능블록들이 포함된 컨텐츠를 다운로드하여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과정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라, 본 발명의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를 이동 접속 장치로 전환하는 방법은, 무선랜 클라이언트 기능 및 모바일 패킷 서비스에 대한 클라이언트 기능을 가진 통상의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에서, 상기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가 이동 접속 장치(100) -상기 이동 접속 장치(100)는 무선랜 단말(91,92,93)에 대해 모바일 패킷 망으로의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이다- 로서 동작하기 위해 필요한 소프트웨어 기능블록들이 상기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 내에 존재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303); 상기 단계(303)의 판단 결과 상기 소프트웨어 기능블록들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소프트웨어 기능블록들이 포함된 컨텐츠를 다운로드하여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과정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기존의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에 소프트웨어 기능블록들이 포함된 컨텐츠를 다운로드함으로써 이동 접속 장치 또는 이동 접속 장치의 기능을 포함하는 장치(복합 단말 장치)로 전환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이동 접속 장치 또는 이동 접속 장치의 기능을 포함하는 장치(복합 단말 장치)를 작은 비용으로 쉽게 획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기존의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에 사용되던 하드웨어 플랫폼에 소프트웨어의 변경만으로 이동 접속 장치 또는 이동 접속 장치의 기능을 포함하는 장치(복합 단말 장치)를 생산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이동 접속 장치 또는 이동 접속 장치의 기능을 포함하는 장치(복합 단말 장치)를 작은 비용으로 쉽게 획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기존의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에 소프트웨어의 변경만으로 이동 접속 장치의 기능을 부가할 수 있으므로,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와 이동 접속 장치의 기능을 모두 가진 복합 단말 장치를 쉽게 구현할 수 있으며,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와 이동 접속 장치를 별개로 가지고 다닐 필요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전화 서비스 또는 인터넷 서비스를 받기 위해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를 휴대하는 것에 부가하여 별도의 장치를 휴대하지 않고도 이동 접속 장치의 기능을 함께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이동 접속 장치 또는 이동 접속 장치의 기능을 포함하는 장치(복합 단말 장치)를 보다 쉽게 휴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기존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의 하드웨어와 물리계층 및 링크계층을 그대로 이용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동 접속 장치 또는 이동 접속 장치의 기능을 포함하는 장치(복합 단말 장치)를 상용화하기 위해, 개발·인증에 필요한 비용 및 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동 접속 장치 또는 이동 접속 장치의 기능을 포함하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무선랜 클라이언트 기능 및 모바일 패킷 서비스에 대한 클라이언트 기능을 가진 기존의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를 이용하는 점에 가장 큰 특징이 있다. 흔히 'WiFi 폰'이라 불리는 듀얼 모드 폰은 무선랜 서비스와 광역 이동 통신 서비스를 각각 제공받기 위한 모듈을 각각 탑재하고 있다. 무선랜 서비스와 이동 통신 망을 통한 모바일 패킷 서비스를 제공받는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를 상정할 수 있다.
이러한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에서 무선랜 서비스를 위한 모듈은 무선랜 클라이언트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출시된다. 그러나, 소프트웨어의 변경 또는 업그레이드를 통하여, 무선랜 클라이언트의 기능을 가진 모듈이, 무선랜 단말에 대해 접속 장치(AP : Access Point)의 기능을 가지도록 변경될 수 있으며, 무선랜 접속을 위한 모듈과 모바일 패킷 서비스를 제공 받기 위한 모듈을 연동하여 중계하는 것도 소프트웨어적으로 가능하다는 점에 착안하여, 본 발명이 출발하였다.
도 1은 무선랜 모듈과 모바일 패킷 서비스 모듈을 가진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가 기존의 서비스를 제공받는 상황을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은 모바일 패킷 망으로서 WCDMA 망을 예로 들어, 기존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의 일반적 사용 상황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WCDMA 망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이동 통신 망에 모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므로, WCDMA 망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가 접속장치(40)(AP : Access Point)의 서비스 영역(41) 내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가 접속장치(40)를 통하여 이더넷 스위치/라우터(42)와 IP망(50)에 연결되어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무선랜의 서비스 영역(41)을 벗어나고 모바일 패킷 망의 서비스 영역(60) 안에 있는 경우에는 모바일 패킷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BS(Base Station : 이동통신 무선 접속 기지국 )(30)와 RNC( Radio Network Controller :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31), SGSN( Serving GPRS Support Node : 패킷 교환 지원 노드)(32), GGSN( Gateway GPRS Support Node : 패킷 관문 지원 노드 )(33)을 통하여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이때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는 휴대 전화 서비스와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1의 하단부에는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가 무선랜을 통해 접속하는 경우와 모바일 패킷 망에 접속하는 경우, 각각의 프로토콜 스택을 도시하고 있다.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가 접속장치(40)를 통해 접속한 경우,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는 접속장치(40)의 DHCP 서버부로부터 수신한 무선랜 접속용 IP 주소를 이용하여, 802.11 MAC 계층(14) 및 802.11 물리계층(15)을 통하여 휴대 전화 서비스 또는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한편, 무선랜 서비스 영역(41)을 벗어나고 모바일 패킷 망의 서비스 영역(60) 내에 있는 경우,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는 BS(30), RNC(31), SGSN(32), GGSN(33)과 접속과정에서 생성된 모바일 패킷 접속용 IP 주소를 기반으로 PDCP(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 패킷 데이타 융합 프로토콜)(18), RLC( Radio Link Control : 무선 링크 제어 )(19), MAC 계층(20) 및 물리계층(21)을 통하여 휴대 전화 서비스 또는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도 2는 모바일 패킷 서비스를 제공할 때 연결되는 서버와 장치들의 연동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모바일 패킷 망으로서 WCDMA 망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2는 이동통신 단말의 프로토콜 계층 구조, 무선 접속장치인 BS의 미디어 접속을 위한 프로토콜 계층구조, 무선 네트워크 제어와 연동시 이동통신 단말과 SGSN의 연동을 위한 프로토콜 계층구조,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과 GGSN의 연결에서 사용되는 IP/PPP 프로토콜의 계층구조를 보여준다.
도 2의 이동통신 단말은 무선 접속 구간에는 BS와 연동을 위한 무선 L1 물리계층과, 데이터 링크 계층의 MAC 프로토콜 정합이 이루어진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은 RNC와 연동을 위하여 상위 MAC 일부와 RLC 및 PDCP의 프로토콜 계층 정합이 이루어 진다. 최종적으로 이동통신 단말은 인터넷 접속을 위하여 GGSN과 IP계층의 프로토콜 정합이 이루어진다. 도 2에서 도시한 프로토콜 계층 구조는 통상의 이동통신 망에서의 패킷 데이타 통신에서 적용되는 형태이다. 한편, 이동통신 단말은 GGSN과 컨텍스트 교환과정에서 IP 주소를 할당받는다.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라 기존의 무선랜 클라이언트 기능 및 모바일 패킷 서비스에 대한 클라이언트 기능을 가진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를 이동 접속 장치(100) 또는 이동 접속 장치의 기능을 포함하는 장치(101)로 전환 시킨 후, 그 사용 상황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무선랜 클라이언트 기능을 가진 단말(91, 92, 93)이 전환된 상기 이동 접속 장치(100) 또는 복합 단말 장치(101)(이하, 이동 접속 장치와 복합 단말 장치를 통칭하여 '이동 접속 장치 등(100,101)'이라고도 한다)를 통하여 모바일 패킷 망에 접속되는 상황을 도시하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접속 장치 등(100,101)은 모바일 패킷 망의 서비스 영역(60) 내에서 고속 패킷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모바일 패킷 서비스에 대한 클라이언트이다. 동시에 이동 접속 장치 등(100,101)은 무선랜 접속 장치의 기능을 가진 것으로서, 자신의 서비스 범위(90) 안에 들어오는 무선랜 클라이언 트 기능을 가진 휴대 단말 장치(91), PDA(92) 또는 노트북 컴퓨터(93)(이하 '무선랜 단말'이라 한다)에게 접속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한다.
한편, 본 발명은 크게 2가지 종류의 장치, 즉, '이동 접속 장치'와 '복합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 접속 장치'는 무선랜 단말에게 무선랜을 이용하여 3G 고속 패킷 서비스망에 대한 무선 접속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이며, '복합 단말 장치'는 무선랜 단말에게 무선랜을 이용하여 모바일 패킷 망에 대한 무선 접속 기능을 제공하는 외에, 무선랜 클라이언트로서의 기능과 모바일 패킷 서비스에 대한 클라이언트로서의 기능을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장치이다. 복합 단말 장치는 이동 접속 장치로서의 기능 외에, 무선랜 클라이언트 또는 모바일 패킷 서비스에 대한 클라이언트로서의 기능을 복합적으로 가진 단말을 지칭한다. 이러한 복합 단말 장치가 이동 접속 장치로서 기능할 때의 모드를 이하 '중계 모드'라 하고, 무선랜 클라이언트 또는 모바일 패킷 서비스에 대한 클라이언트로서 기능할 때의 모드를 '통상 모드'라 지칭하기로 한다. 복합 단말 장치는 중계 모드와 통상 모드 사이의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복합 단말 장치는 중계 모드로 동작하며서, 복합 단말 장치가 스스로 VoIP를 이용하여 음성 통화를 수행하는 것도 가능함을 밝혀 둔다(상세한 사항은 후술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기존 무선랜 클라이언트의 기능 및 모바일 패킷 서비스에 대한 클라이언트의 기능을 가진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를 전환하여, 이동 접속 장치 또는 복합 단말 장치를 얻는다. 그 전환은 소프트웨어의 변경, 특히 프로토콜 스택 중에서 응용 계층 부분만을 변경하여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라 기존의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를 이동 접속 장치 또는 복합 단말 장치로 변경하는 방법에는 크게 2가지가 있다. 그 하나는 생산 과정 중에 변경된 소프트웨어를 탑재하여 이동 접속 장치 또는 복합 단말 장치로 판매하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기존의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에서 필요한 소프트웨어 블록들이 포함되거나 필요한 소프트웨어 블록들을 생성할 수 있는 컨텐츠를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으로 다운로드하여 환경 설정함으로써, 기존의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를 이동 접속 장치 또는 복합 단말 장치로 변경하는 것이다.
*도 3으로 다시 돌아가서, 도 3의 하단부에는 이동 접속 장치(100)의 프로토콜 스택, 또는 복합 단말 장치(101)가 중계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의 프로토콜 스택을 도시하고 있다. 이동 접속 장치 등(100, 101)은 무선랜을 통한 접속을 제공하기 위하여, 802.11 무선랜 물리계층(15), 802.11 링크계층(14), IP 계층(13), TCP/UDP 전송 계층(12) 및 응용 계층(22)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이동 접속 장치 등(100, 101)은 모바일 패킷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동통신 무선 물리계층(21), MAC 계층(20), 무선 링크 제어 계층(19), 패킷 데이타 제어 프로토콜 계층(18), IP/PPP 계층(17), TCP/UDP 전송 계층(16) 및 응용 계층(22)을 지니고 있다.
응용 계층(22)에는 무선랜 단말(91,92,93)들에게 접속을 제공하기 위하여 DHCP 서버 및 무선랜 인증 등을 구비하며, 모바일 패킷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IP 관리 및 VoIP를 구비하며, 데이터 교환시 주소 변환을 처리하는 NAT 또는 경로 설정을 위한 라우터를 포함한다. DHCP 서버 및 무선랜 인증은 무선랜측 응용계층이 고, IP 관리 및 VoIP는 모바일 패킷 망측 응용계층이며, NAT 및 라우터는 양측을 연동하는 응용계층이다.
도 4는 무선랜 모듈부와 모바일 패킷 서비스 모듈부를 가진 기존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의 내부 하드웨어 구성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의 하드웨어 구성은 본 발명의 이동 접속 장치 등(100)의 하드웨어 구성으로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도 3은 본 발명의 이동 접속 장치(100) 또는 복합 단말 장치(101)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기도 하다.
휴대단말장치(10) 또는 이동 접속 장치 등(100, 101)은, CPU(160)를 중심으로 사용자에게 화면을 제공하기 위한 LCD(111), 음성을 처리하기 위한 오디오(112), 사용자의 입력을 처리할 터치 버튼(113), 영상 입력을 위한 카메라(114), 그리고 외부 USB 접속이나 타 장치 접속을 위한 외부 인터페이스(115)를 포함하는 주변장치(110)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휴대단말장치(10) 또는 이동 접속 장치 등(100,101)은, 무선랜 접속을 위한 무선랜 모듈부(120)와 모바일 패킷 망에 대한 접속을 위한 모바일 패킷 서비스 모듈부(150)를 구비한다. 또한, 휴대단말장치(10) 또는 이동 접속 장치 등(100,101)은, 전원인가를 위한 전원공급부(142)와 과부하시 장치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회로부(141)로 구성되는 전원 처리장치(140)를 구비하고, 중요한 데이터의 저장을 위한 기록용 NVRAM(133), 프로그램 실행에 사용되는 SDRAM(132) 및 외부 백업이나 데이터 저장을 위한 외부메모리(131)를 가진 메모리부(130)를 구비한다. 상기 메모리부(130)의 메모리들은 휴대단말장치(10) 또는 이 동 접속 장치 등(100,101)에서 필요한 개인정보의 저장뿐만 아니라, 휴대단말장치(10)를 이동 접속 장치 등(100,101)으로 전환시키는 경우 그 소프트웨어의 저장용으로도 사용된다.
도 5는 일반적인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에서 동작되는 소프트웨어 구조(200), 또는 복합 단말 장치(101)에서 통상의 무선랜 클라이언트 또는 모바일 패킷 서비스에 대한 클라이언트로 동작할 때(통상 모드)의 소프트웨어 구조(2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하드웨어 구조가 아니라 소프트웨어 구조(200)에 관한 것임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IP관리부(210)는 무선랜 접속시 무선랜 클라이언트부(211)를 통하여 무선랜의 AP(50)로부터 IP 주소를 수신받아 관리한다. 모바일 패킷 서비스에 대한 접속시에는 IP 관리부(210)의 요청에 따라 모바일 패킷 서비스 제어부(217)가 모바일 패킷 서비스 클라이언트부(213)를 통하여 GGSN(33)으로부터 필요한 IP 주소를 수신하고 수신된 IP주소를 IP관리부(210)에 전달한다.
모바일 패킷 서비스 제어부(217)는 모바일 패킷 서비스 클라이언트부(213)의 동작을 제어하여, GGSN과 ID를 교환하고, 위치기록과 사용자 인증을 제어한다. 모바일 패킷 서비스 클라이언트부(213)의 물리계층과 MAC 계층 및 상위 제어 계층들의 동작을 바탕으로 장치 접속과 인증 및 위치 정보를 처리한다. 모바일 패킷 서비스 제어부(217)는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 등(10,101)의 고속 패킷 접속 기능의 제어를 담당하며, 예를 들면 패킷 접속 연결과 해제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모바일 패킷 서비스 클라이언트부(213)는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 등(10,101)의 물리계층 과 링크계층의 역할을 수행하며, 모바일 패킷 서비스 제어부(217)의 제어를 받아 BS(30), RNC(31) 및 GGSN(33) 등에 접속을 수행한다.
환경설정부(212)는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101)의 환경 설정을 관장하고, 메뉴를 제공하며, 사용자의 입력을 처리하는 기능 블록이다. 다운로드부(214)는 환경설정부(212)의 제어를 받아 실제 다운로드를 관장하는 기능 블록이다. 환경설정부(212)는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컨텐츠를 다운로드한 경우 다운로드된 컨텐츠를 이용하여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에 대해 환경 설정을 할 수 있다. 특히,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를 이동 접속 장치(100) 또는 복합 단말 장치(101)로 전환하는 경우, 상기 다운로드부(214)가 컨텐츠를 다운로드하고 환경설정부(212)가 다운로드된 컨텐츠를 이용하여 이동 접속 장치(100) 또는 복합 단말 장치(101)로 전환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다운로드부(214) 및 환경설정부(214)는 일반적인 다중모드 휴대단말장치(10)라면 통상적으로 구비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이동 접속장치(100) 또는 복합 단말장치(101)를 구현하기 위하여 별도로 가진 것으로 볼 수는 없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한편, 다중모드 휴대단말장치(10) 또는 통상 모드에서의 복합 단말 장치(101)는 일반 휴대폰과 동일하게 음성통화처리부(215)를 이용하여 음성 통화 서비스를 제공받거나 인터넷 데이터 처리부(216)를 통하여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6은 이동 접속 장치(100)의 소프트웨어 구조(240) 또는 복합 단말 장치(101)에서 중계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의 소프트웨어 구조(240)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동 접속 장치(100) 또는 복합 단말 장치(101)는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로 사용중 이동 접속 장치(100) 또는 복합 단말 장치(101)로 전환된 것일 수도 있고, 생산과정에서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의 하드웨어 플랫폼에 소프트웨어 탑재를 통하여 이동 접속 장치(100) 또는 복합 단말 장치(101)로 구현된 것일 수도 있다. 여하한 경우이든, 도 6은 이동 접속 장치(100)의 소프트웨어 구조(240) 또는 복합 단말 장치(101)에서 중계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의 소프트웨어 구조(240)를 보여주고 있다.
도 5에서 도시되었던 것을 참조하면,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에서는 무선랜 클라이언트 기능이 있었으나, 도 6의 이동 접속 장치 등(100,101)에서는 무선랜 클라이언트 기능은 동작하지 않도록 되고, 대신 무선랜의 접속 장치로 기능하기 위해 소프트 AP부(220), DHCP 서버부(222), 및 무선랜 인증부(223)가 생성되었다. 그리고 무선랜과 모바일 패킷 서비스 망을 연동시키기 위하여 NAT 기능부(221)가 생성되었다.
IP 관리부(210)의 요청에 따라, 모바일 패킷 서비스 제어부(217)는 모바일 패킷 서비스 클라이언트부(213)를 통하여 GGSN(33)으로부터 필요한 IP 주소를 수신하고, 수신된 IP주소를 IP관리부(210)에 전달한다. IP관리부(210)는 모바일 패킷 서비스 제어부(217)로부터 IP주소를 전달받아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 블록이다. IP관리부(210)는 수신된 IP 주소를 NAT기능부(221)에 기록한다.
모바일 패킷 서비스 클라이언트부(213)는 IP관리부(210) 및 NAT기능부(221)로부터의 제어 메시지 및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프로토콜 처리를 수행하거나, 반대 로 모바일 패킷 망으로부터의 제어 메시지 및 데이터 메시지에 대한 프로토콜 처리를 수행한다.
환경설정부(212)는 통상적인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 또는 본 발명의 이동 접속 장치(100) 및 복합 단말 장치(101)에서 모두 동일한 소프트웨어 기능블록이다. 환경설정부(212)는 일반적으로 사용자에게 메뉴를 제공하고 메뉴 설정에 따라 장치 설정을 변경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환경설정부(212)는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를 이동 접속 장치 등(100,101)으로 전환하는 경우에 환경설정에 관여하게 될 것이며, 또한 복합 단말 장치(101)에서 중계 모드로 모드 변경하는 경우의 환경설정에도 관여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환경 설정부(212)는 중계 모드에서 보안 기능을 활성화 할 수 있는 VPN 클라이언트부(224)의 환경설정에도 관여하게 될 것이다. 환경 설정부(212)는 통상 모드와 중계 모드 사이의 변경이 요청되는 경우, 그 변경에 필요한 설정을 처리한다.
다운로드 방식에 의해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를 이동 접속 장치(100) 또는 복합 단말 장치(101)로 전환하는 경우,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의 환경설정부(212)(전환 후의 이동 접속 장치(100) 또는 복합 단말 장치(101)의 환경설정부(212)와 동일하다)는 다운로드된 컨텐츠로부터 소프트AP부(220), DHCP서버부(222), 무선랜 인증부(223), NAT기능부(221) VoIP부(225) 및 VPN 클라이언트부(224)를 추출하고 이를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에 설치 또는 설정함으로써 이동 접속 장치(100) 또는 복합 단말 장치(101)가 되도록 한다. 한편, 복합 단말 장치(101)가 통상 모드에서 중계 모드로 변경되는 경우에도, 환경설정부(212)는 소 프트AP부(220), DHCP서버부(222), 무선랜 인증부(223), NAT기능부(221) VoIP부(225) 및 VPN 클라이언트부(224)가 설치 또는 설정될 수 있도록 기능한다.
소프트AP부(220)는 무선랜 단말(91,92,93)에게 무선랜 접속을 제공하기 위한 기능블록이다. 소프트AP부(220)는 환경설정부(212)의 환경설정에 따라 동작되며 무선랜 단말(91,92,93)로부터의 제어메시지 및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프로토콜 처리를 수행하고, 무선랜 인증부(223), NAT 기능부(221) 및 DHCP 서버부(222)로부터의 제어 메시지 및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프로토콜 처리를 수행하는 기능블록이다. 소프트AP부(220)는 802.11 물리계층과 802.11MAC 계층의 동작을 통하여 프로토콜 처리를 수행한다.
무선랜 인증부(223)는 무선랜 단말(91,92,93)의 접속을 제한하기 위한 인증기능을 수행하는 블록이다. 무선랜 인증부(223)는 WEP, WPA, WPA2 등과 같은 표준 암호화 인증 방법에 따라 인증절차를 수행하고 인증된 단말의 정보를 관리를 한다.
DHCP서버부(223)는 무선랜 단말(91,92,93)의 IP 주소 요청에 대하여 IP 주소를 제공하는 기능블록이다. DHCP서버부(223)는 무선랜 단말(91,92,93)의 IP 주소 요청에 따라 무선랜 인증부(223)에 인증된 단말인지 확인을 요청하고 확인된 단말에 대해서만 IP 주소를 부여할 수 있다. DHCP서버부(223)에서 무선랜 단말(91,92,93)의 요청에 의하여 할당된 IP 주소는 NAT기능부(221)에 기록하여 모바일 패킷 서비스에 대한 중계 서비스를 수행할 때 사용된다.
NAT기능부(221)는 모바일 패킷 망과 무선랜 사이에 전송되는 데이터 메시지의 주소를 변환하는 기능블록이다. NAT기능부(221)는 IP관리부(210)로 부터 모바일 패킷 서비스용 IP 주소를 제공받고, DHCP서버부(222)로부터 인증된 무선랜 단말들에 대한 IP 주소를 제공받는다. NAT기능부(221)가 주소를 변환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으며, 예를 들면 NAT기능부(221)는 모바일 패킷 서비스 망으로부터 데이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수신된 데이터 메시지의 IP 주소와 포트를 확인하여 무선랜 단말의 IP 주소와 포트를 찾아서 매핑하며, 무선랜 단말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메시지의 경우에는 무선랜 단말의 IP 주소와 포트를 확인하여 모바일 패킷 서비스용 IP 주소와 포트로 매핑하여 전송한다.
VoIP부(225)는 복합 단말 장치(101)가 중계 모드로 동작될 때 음성 통화에 사용되며, NAT 기능부를 통하여, 또는 직접 모바일 패킷 서비스 클라이언트부(213)를 통하여 모바일 패킷 망에 접속된다. VoIP부(225)를 구비함으로써, 복합 단말 장치(101)가 무선랜 단말(91,92,93)에 대하여 NAT 중계기능을 수행하는 중에도 복합 단말 장치(101)가 음성 통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VPN 클라이언트부(224)는 NAT 기능부(221)에서 모바일 패킷 망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모바일 패킷 망으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할 때 보안 데이터 송수신에 사용된다. VPN 클라이언트부(224)는 L2TP, PPTP, IPSec 등의 가상 사설망 접속에 이용이 되며, 가상 사설망의 일원으로 만드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7은 이동 접속 장치(100)로 동작하는 경우 또는 복합 단말 장치(101)에서 중계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라우팅 기능을 동작시킬 때의 소프트웨어 구조(250)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NAT 기능부(221)를 대신하여 라우팅부(230)가 환경설정 부(212)에 의하여 설정된 경우이며, IP 라우팅 프로토콜에 의한 라우팅 테이블을 구축하며, 소프트 AP부(220)로부터의 데이터 메시지 또는 상기 모바일 패킷 망으로부터의 데이터 메시지를, 구축된 라우팅 테이블에 의하여 포워딩한다. 라우팅부(230)는 환경설정부(212)의 설정에 따라 고정된 형태의 스테틱 라우팅과 라우팅 프로토콜에 의한 가변 망 상황을 반영하는 다이나믹 라우팅을 처리하며, 이때 결과적으로 생성되는 것이 라우팅 테이블과 데이터 포워딩 테이블이다.
도 8은 다운 로드 방식에 의해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가 복합 단말 장치(101)로 전환되는 과정과 상기 복합 단말 장치(101)로 전환된 후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당초부터 복합 단말 장치(101)로 생산된 경우 복합 단말 장치(101)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 또는 복합 단말 장치(101)는 먼저 필요한 초기화 단계(301)를 수행한다(필요한 컨텐츠가 다운로드되어 설치·설정되기 전에는 휴대 단말 장치(10)라고 할 수 있으나, 이하 편의상 '복합 단말 장치(101)'라고 지칭한다). 그 후 단계(302)에서는 복합 단말 장치(101)가 중계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중계 모드로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통상 모드로 동작한다(305). 한편, 중계 모드로 설정된 경우에는 필요한 소프트웨어 블록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303), 존재하지 않은 경우에는 컨텐츠 제공자가 상기 소프트웨어 블록이 포함된 컨텐츠를 제공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304). 컨텐츠 제공자가 상기 컨텐츠를 제공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복합 단말 장치(101)가 통상 모드로 동작하도록 한다(305)(이는 엄밀히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로서 동작하는 것이다). 한편, 컨텐츠 제공자가 상기 컨텐츠를 제공하고 있는 경우에는 해당 컨텐츠를 다운로드하여 설정한다(306).
한편 단계(303)에서 필요한 소프트웨어 블록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모바일 패킷 망 접속후 중계 모드의 동작을 개시한다(307). 단계(308)에서 복합 단말 장치(101)는 인증 정보를 결합하여 SSID(Service Set ID)를 포함한 비콘 신호를 브로드캐스트하며, 무선랜 클라이언트의 메시지를 수신한다. 그리고 수신된 메시지가 제어메시지인지 판단하여(309), 제어메시지일 경우 제어 메시지 처리 서브루틴(400)으로 진행하며, 제어 메시지가 아닌 경우에는 데이터 메시지로 보고 NAT 처리 서브루틴 또는 라우팅 처리 서브루틴(500)으로 진행한다.
도 9는 당초부터 복합 단말 장치(101)로 생산된 경우 복합 단말 장치(101)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복합 단말 장치(101)로서 동작하기 위하여 필요한 소프트웨어 블록들이 복합 단말 장치(101)의 생산 과정에서 이미 탑재되어 있는 경우이므로, 소프트웨어 블록들을 다운로드할 필요가 없다. 다만, 복합 단말 장치(101)를 생산하는 과정은, 무선랜 클라이언트 기능 및 모바일 패킷 서비스에 대한 클라이언트 기능을 가진 통상적인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를 제조하기 위한 하드웨어 플랫폼에 본 발명의 소프트웨어 기능 블록들을 탑재하기만 하면 되는 것이다.
도 9는 도 8의 과정들과 비교하여 소프트웨어 블록들을 다운로드하기 위한 단계들인 단계(303), 단계(304) 및 단계(306)만을 제거한 것과 동일하므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은 다운 로드 방식에 의해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가 이동 접속 장치(100)로 전환되는 과정과 상기 이동 접속 장치(101)로 전환된 후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당초부터 이동 접속 장치(100)로 생산된 경우 이동 접속 장치(100)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동 접속 장치(100)는 중계 모드로만 동작하는 것이기 때문에 모드 전환 과정이 필요 없다.
도 10은 도 9와 비교하여, 중계 모드 설정인지를 판단하는 과정(302)이 제거되면 거의 동일하게 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 또는 이동 접속 장치(101)는 먼저 필요한 초기화 단계(301)를 수행한다(필요한 컨텐츠가 다운로드되어 설치·설정되기 전에는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라고 할 수 있으나, 이하 편의상 '이동 접속 장치(100)'라고 지칭한다). 단계(303)에서 필요한 소프트웨어 블록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 존재하지 않은 경우에는 컨텐츠 제공자가 상기 소프트웨어 블록이 포함된 컨텐츠를 제공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304). 컨텐츠 제공자가 상기 컨텐츠를 제공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로서의 기능에 따라 동작하도록 한다(305). 한편, 컨텐츠 제공자가 상기 컨텐츠를 제공하고 있는 경우에는 필요한 해당 컨텐츠를 다운로드하여 설정한다(306).
한편 단계(303)에서 필요한 소프트웨어 블록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모바일 패킷 망 접속 후 이동 접속 장치(100)로서의 동작을 개시한다(307). 단계(308)에서 이동 접속 장치(101)는 인증 정보를 결합하여 SSID(Service Set ID)를 포함한 비콘 신호를 브로드캐스트하며, 무선랜 클라이언트의 메시지를 수신한다. 그리고 수신된 메시지가 제어메시지인지 판단하여(309), 제어메시지일 경우 제어 메시지 처리 서브루틴(400)으로 진행하며, 제어 메시지가 아닌 경우에는 데이터 메시지로 보고 NAT 처리 서브루틴 또는 라우팅 처리 서브루틴(500)으로 진행한다.
도 11은 당초부터 이동 접속 장치(100)로 생산된 경우 이동 접속 장치(100)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에서 설명된 이동 접속 장치(100)는 이동 접속 장치(100)로서 동작하기 위하여 필요한 소프트웨어 블록들이 이동 접속 장치(100)의 생산 과정에서 이미 탑재되어 있는 경우이므로, 소프트웨어 블록들을 다운로드할 필요가 없다. 다만, 이동 접속 장치(100)를 생산하는 과정은, 무선랜 클라이언트 기능 및 모바일 패킷 서비스 클라이언트 기능을 가진 통상적인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를 제조하기 위한 하드웨어 플랫폼에 본 발명의 소프트웨어 기능 블록들을 탑재하기만 하면 된다.
도 12는 NAT 기능부를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제어 메시지 처리 서브루틴(400)을 도시한 도면이다.
무선랜 단말로부터 수신메시지를 확인하고(401), 수신 메시지가 IP 주소 제어메시지인지를 확인하여(402), IP 주소 제어메시지가 아닌 경우에는 단계(403)으로 진행한다. 단계(403)에서 인증 메시지인 경우에는 암호를 확인하고 인증절차를 수행하게 되고(406), 인증 메시지가 아닌 경우에는 수신메시지를 폐기한다(407). 단계(402)에서 IP 주소 제어 메시지인 경우에는 단계(404)로 진행하여 IP주소 요청인지를 판단한다. 판단결과 IP주소 요청인 경우에는 해당 단말에 이미 할당된 IP 주소가 존재하는 지를 판단한다(408). 이미 할당된 IP 주소가 존재하지 않은 경우에는 새로운 IP주소를 링크계층의 MAC 주소와 결합하여 관리하고 NAT 테이블에 신규 IP를 기록한다(410). 한편, 이미 할당된 IP 주소가 있는 경우에는 기존 IP 할당정보와 링크계층의 MAC 주소를 비교하여 동일하다면 기존 IP 주소를 할당하고 NAT 테이블에 등록(409)한다. 한편, 단계(404)에서 IP 주소 요청이 아닌 경우에는 IP 주소 해제 요청으로 판단하여, IP 주소를 해제하고 NAT 테이블에 등록되었던 IP 주소와 포트 정보를 제거한다(405).
도 13은 NAT 처리 서브루틴(500)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데이터 메시지를 수신하고(501), 발신지의 IP 주소가 무선랜 단말(91,92,93)로부터인지를 판단하여(502), 발신지가 무선랜 단말인 경우에는 목적지가 모바일 패킷 망인지를 판단한다(503). 만약 목적지가 모바일 패킷 망이라면 NAT 테이블에 등록된 정보를 확인하여 발신지의 IP 주소가 있는지 판단하고(506), 판단 결과 NAT 테이블에 발신지의 IP 주소가 있는 경우, NAT 테이블에 따라 메시지의 주소를 변환하고 재조립하여 모바일 패킷 망으로 메시지를 전송하며(510), 그 로그를 기록하게 된다(512). 만약 단계(506)에서 NAT 테이블에 발신지 IP 주소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비인가 단말의 메시지로 간주하고 메시지를 폐기하고(507) 그 로그를 기록한다(512). 한편 단계(503)에서 목적지가 모바일 패킷 망이 아닌 경우에는 내부 단말 간의 통신으로 판단하여 해당하는 무선랜 단말로 전송하고(504), 로그를 기록하게 된다(512). 단계(502)에서 발신지가 무선랜이 아닌 경우 단계(505)로 진행하여 발신지가 모바일 패킷 망인지를 판단한다(505). 발신지가 모 바일 패킷 망인 경우에는 단계(508)로 진행하여 NAT 테이블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508), NAT 테이블에 존재한다면 NAT 테이블의 변환 정보에 따라 메시지 주소를 변환하고 재조립을 통하여 무선랜으로 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511). 단계(505)에서 발신지가 모바일 패킷 망이 아니거나, 단계(508)에서 NAT 테이블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데이터를 폐기하고(509), 그 로그를 기록한다(512).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무선랜 모듈과 모바일 패킷 서비스 모듈을 가진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가 기존의 서비스를 제공받는 상황을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모바일 패킷 서비스를 제공할 때 연결되는 서버와 장치들의 연동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라 기존의 무선랜 클라이언트 기능 및 모바일 패킷 서비스에 대한 클라이언트 기능을 가진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를 이동 접속 장치(100) 또는 이동 접속 장치의 기능을 포함하는 장치(101)로 전환 시킨 후, 그 사용 상황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무선랜 모듈부와 모바일 패킷 서비스 모듈부를 가진 기존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의 내부 하드웨어 구성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일반적인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에서 동작되는 소프트웨어 구조(200), 또는 복합 단말 장치(101)에서 통상의 무선랜 클라이언트 또는 모바일 패킷 서비스에 대한 클라이언트로 동작할 때(통상 모드)의 소프트웨어 구조(2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이동 접속 장치(100)의 소프트웨어 구조(240) 또는 복합 단말 장치(101)에서 중계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의 소프트웨어 구조(240)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이동 접속 장치(100)로 동작하는 경우 또는 복합 단말 장치(101)에서 중계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라우팅 기능을 동작시킬 때의 소프트웨어 구조(250)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다운 로드 방식에 의해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가 복합 단말 장치(101)로 전환되는 과정과 상기 복합 단말 장치(101)로 전환된 후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당초부터 복합 단말 장치(101)로 생산된 경우 복합 단말 장치(101)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다운 로드 방식에 의해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가 이동 접속 장치(100)로 전환되는 과정과 상기 이동 접속 장치(101)로 전환된 후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당초부터 이동 접속 장치(100)로 생산된 경우 이동 접속 장치(100)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NAT 기능부를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제어 메시지 처리 서브루틴(40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NAT 처리 서브루틴(500)을 도시한 도면이다.

Claims (17)

  1. 무선랜 클라이언트 기능 및 모바일 패킷 클라이언트 기능을 가지는 통상의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에 탑재된 무선랜 장치와 모바일 패킷 장치를 소프트웨어적으로 연동하여 중계기능이 가능하도록 통상의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의 하드웨어 플랫폼에, 무선랜 단말(91,92,93)로부터의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또는 상기 무선랜 단말(91,92,93)로의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프로토콜 처리를 수행하는 소프트 AP(Access Point)부(220); 모바일 패킷 망으로부터의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또는 상기 모바일 패킷 망으로의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프로토콜 처리를 수행하는 모바일 패킷 서비스 클라이언트부(213); 상기 소프트 AP(Access Point)부(220)로부터의 데이터 메시지 또는 상기 모바일 패킷 서비스 클라이언트부(213)로부터의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IP 주소 변환을 수행하는 NAT 기능부(221);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기능 블록들을 탑재하고, 상기 소프트웨어 기능블록들이 상기 통상의 다중모드 휴대단말장치(10)에 설정되도록 기능하는 환경설정부(212)를 탑재하여 상기 통상의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의 하드웨어와 물리계층 및 링크계층을 그대로 이용함으로써 별도의 이동접속장치 및 인증없이 무선랜 단말(91,92,93)에 대해 모바일 패킷망으로의 중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접속 장치
  2. 무선랜 클라이언트 기능 및 모바일 패킷 클라이언트 기능을 가지는 통상의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에 탑재된 무선랜 장치와 모바일 패킷 장치를 소프트웨어적으로 연동하여 중계기능이 가능하도록 통상의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에, 무선랜 단말(91,92,93)로부터의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또는 상기 무선랜 단말(91,92,93)로의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프로토콜 처리를 수행하는 소프트 AP(Access Point)부(220); 모바일 패킷 망으로부터의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또는 모바일 패킷 망으로의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프로토콜 처리를 수행하는 모바일 패킷 서비스 클라이언트부(213); 상기 소프트 AP(Access Point)부(220)로부터의 데이터 메시지 또는 상기 모바일 패킷 망으로부터의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IP 주소 변환을 수행하는 NAT 기능부(221);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기능 블록들 또는 상기 소프트웨어 기능블록들을 포함하고 있거나 상기 소프트웨어 기능블록들을 생성할 수 있는 컨텐츠를 다운로드하여 설치하고, 환경설정부(212)에 의해 상기 소프트웨어 기능 블록들이 상기 통상의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에 설정되도록하여 상기 통상의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의 하드웨어와 물리계층 및 링크계층을 그대로 이용함으로써 별도의 이동접속장치 및 인증없이 무선랜 단말(91,92,93)에 대해 모바일 패킷망으로의 중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접속 장치
  3. 무선랜 클라이언트 기능 및 모바일 패킷 클라이언트 기능을 가지는 통상의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에 탑재된 무선랜 장치와 모바일 패킷 장치를 소프트웨어적으로 연동하여 중계기능이 가능하도록 통상의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의 하드웨어 플랫폼에, 무선랜 단말(91,92,93)로부터의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또는 상기 무선랜 단말(91,92,93)로의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프로토콜 처리를 수행하는 소프트 AP(Access Point)부(220); 모바일 패킷 망으로부터의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또는 상기 모바일 패킷 망으로의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프로토콜 처리를 수행하는 모바일 패킷 서비스 클라이언트부(213); 상기 소프트 AP(Access Point)부(220)로부터의 데이터 메시지 또는 상기 모바일 패킷 서비스 클라이언트부(213)로부터의 데이터 메시지를 라우팅 테이블에 의하여 포워딩하는 라우팅부(230);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기능 블록들을 탑재하고, 상기 소프트웨어 기능블록들이 상기 통상의 다중모드 휴대단말장치(10)에 설정되도록 기능하는 환경설정부(212)를 탑재하여 상기 통상의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의 하드웨어와 물리계층 및 링크계층을 그대로 이용함으로써 별도의 이동접속장치 및 인증없이 무선랜 단말(91,92,93)에 대해 모바일 패킷망으로의 중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접속 장치
  4. 무선랜 클라이언트 기능 및 모바일 패킷 클라이언트 기능을 가지는 통상의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에 탑재된 무선랜 장치와 모바일 패킷 장치를 소프트웨어적으로 연동하여 중계기능이 가능하도록 통상의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에, 무선랜 단말(91,92,93)로부터의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또는 상기 무선랜 단말(91,92,93)로의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프로토콜 처리를 수행하는 소프트 AP(Access Point)부(220); 모바일 패킷 망으로부터의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또는 상기 모바일 패킷 망으로의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프로토콜 처리를 수행하는 모바일 패킷 서비스 클라이언트부(213); 상기 소프트 AP(Access Point)부(220)로부터의 데이터 메시지 또는 상기 모바일 패킷 망으로부터의 데이터 메시지를 라우팅 테이블에 의하여 포워딩하는 라우팅부(230); 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기능 블록들 또는 상기 소프트웨어 기능블록들을 포함하고 있거나 상기 소프트웨어 기능블록들을 생성할 수 있는 컨텐츠를 다운로드하여 설치하고, 환경설정부(212)에 의해 상기 소프트웨어 기능 블록들이 상기 통상의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에 설정되도록하여 상기 통상의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의 하드웨어와 물리계층 및 링크계층을 그대로 이용함으로써 별도의 이동접속장치 및 인증없이 무선랜 단말(91,92,93)에 대해 모바일 패킷망으로의 중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접속 장치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 기능블록들은,
    상기 모바일 패킷 망으로 데이타를 전송하거나, 상기 모바일 패킷 망으로부터 데이타를 수신할 때 가상 사설망을 구축하도록 하는 VPN 클라이언트부(224);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접속 장치.
  6. 삭제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 기능 블록들은,
    상기 무선랜 단말(91,92,93)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된 무선랜 단말(91,92,93)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는 무선랜 인증부(223);
    상기 무선랜 인증부(223)가 인증한 무선랜 단말(91,92,93)에 대하여 IP 주소를 할당하고 할당 정보를 관리하는 DHCP 서버부(222);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접속 장치.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 기능 블록들과는 별도로,
    상기 모바일 패킷 서비스 클라이언트부(213)를 통해 IP주소를 요청·수신하고 수신된 IP주소를 관리하는 IP 관리부(21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접속 장치.
  9. 무선랜 클라이언트 기능 및 모바일 패킷 클라이언트 기능을 가지는 통상의 복합단말장치(101)에 탑재된 무선랜 장치와 모바일 패킷 장치를 소프트웨어적으로 연동하여 중계기능이 가능하도록 통상의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의 하드웨어 플랫폼에, 무선랜 단말(91,92,93)로부터의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또는 상기 무선랜 단말(91,92,93)로의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프로토콜 처리를 수행하는 소프트 AP(Access Point)부(220); 모바일 패킷 망으로부터의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또는 모바일 패킷 망으로의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프로토콜 처리를 수행하는 모바일 패킷 서비스 클라이언트부(213); 상기 소프트 AP(Access Point)부(220)로부터의 데이터 메시지 또는 상기 모바일 패킷 서비스 클라이언트부(213)로부터의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IP 주소 변환을 수행하는 NAT 기능부(221); 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기능 블록들을 탑재하고, 상기 소프트웨어 기능블록들이 상기 통상의 복합단말장치(101)에 설정되도록 기능하는 환경설정부(212)를 탑재하여 상기 통상의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의 하드웨어와 물리계층 및 링크계층을 그대로 이용함으로써 별도의 이동접속장치 및 인증없이 무선랜 클라이언트 기능 및 모바일 패킷 서비스에 대한 클라이언트 기능으로 동작하는 통상 모드와, 무선랜 단말(91,92,93)에 대해 모바일 패킷 망으로의 중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중계 모드 사이에 전환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단말 장치
  10. 무선랜 클라이언트 기능 및 모바일 패킷 클라이언트 기능을 가지는 통상의 복합단말장치(101)에 탑재된 무선랜 장치와 모바일 패킷 장치를 소프트웨어적으로 연동하여 중계기능이 가능하도록 통상의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에, 무선랜 단말(91,92,93)로부터의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또는 상기 무선랜 단말(91,92,93)로의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프로토콜 처리를 수행하는 소프트 AP(Access Point)부(220); 모바일 패킷 망으로부터의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또는 상기 모바일 패킷 망으로의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프로토콜 처리를 수행하는 모바일 패킷 서비스 클라이언트부(213); 상기 소프트 AP(Access Point)부(220)로부터의 데이터 메시지 또는 상기 모바일 패킷 망으로부터의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IP 주소 변환을 수행하는 NAT 기능부(221);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기능 블록들 또는 상기 소프트웨어 기능블록들을 포함하고 있거나 상기 소프트웨어 기능블록들을 생성할 수 있는 컨텐츠를 다운로드하여 설치하고, 환경설정부(212)에 의해 상기 소프트웨어 기능 블록들이 상기 통상의 복합단말장치(101)에 설정되도록하여 상기 통상의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의 하드웨어와 물리계층 및 링크계층을 그대로 이용함으로써 별도의 이동접속장치 및 인증없이 무선랜 클라이언트 기능 및 모바일 패킷 서비스에 대한 클라이언트 기능으로 동작하는 통상 모드와, 무선랜 단말(91,92,93)에 대해 모바일 패킷 망으로의 중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중계 모드 사이에 전환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단말 장치
  11. 무선랜 클라이언트 기능 및 모바일 패킷 클라이언트 기능을 가지는 통상의 복합단말장치(101)에 탑재된 무선랜 장치와 모바일 패킷 장치를 소프트웨어적으로 연동하여 중계기능이 가능하도록 통상의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의 하드웨어 플랫폼에, 무선랜 단말(91,92,93)로부터의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또는 상기 무선랜 단말(91,92,93)로의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프로토콜 처리를 수행하는 소프트 AP(Access Point)부(220); 모바일 패킷 망으로부터의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또는 상기 모바일 패킷 망으로의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프로토콜 처리를 수행하는 모바일 패킷 서비스 클라이언트부(213); 상기 소프트 AP(Access Point)부(220)로부터의 데이터 메시지 또는 상기 모바일 패킷 서비스 클라이언트부(213)로부터의 데이터 메시지를 라우팅 테이블에 의하여 포워딩하는 라우팅부(230);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기능 블록들을 탑재하고, 상기 소프트웨어 기능블록들이 상기 통상의 복합단말장치(101)에 설정되도록 기능하는 환경설정부(212)를 탑재하여 상기 통상의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의 하드웨어와 물리계층 및 링크계층을 그대로 이용함으로써 별도의 이동접속장치 및 인증없이 무선랜 클라이언트 기능 및 모바일 패킷 서비스에 대한 클라이언트 기능으로 동작하는 통상 모드와, 무선랜 단말(91,92,93)에 대해 모바일 패킷 망으로의 중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중계 모드 사이에 전환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단말 장치
  12. 무선랜 클라이언트 기능 및 모바일 패킷 클라이언트 기능을 가지는 통상의 복합단말장치(101)에 탑재된 무선랜 장치와 모바일 패킷 장치를 소프트웨어적으로 연동하여 중계기능이 가능하도록 통상의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에, 무선랜 단말(91,92,93)로부터의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또는 상기 무선랜 단말(91,92,93)로의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프로토콜 처리를 수행하는 소프트 AP(Access Point)부(220); 모바일 패킷 망으로부터의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또는 상기 모바일 패킷 망으로의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 메시지에 대해 프로토콜 처리를 수행하는 모바일 패킷 서비스 클라이언트부(213); 상기 소프트 AP(Access Point)부(220)로부터의 데이터 메시지 또는 상기 모바일 패킷 망으로부터의 데이터 메시지를 라우팅 테이블에 의하여 포워딩하는 라우팅부(230);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기능 블록들 또는 상기 소프트웨어 기능블록들을 포함하고 있거나 상기 소프트웨어 기능블록들을 생성할 수 있는 컨텐츠를 다운로드하여 설치하고, 환경설정부(212)에 의해 상기 소프트웨어 기능 블록들이 상기 통상의 복합단말장치(101)에 설정되도록하여 상기 통상의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10)의 하드웨어와 물리계층 및 링크계층을 그대로 이용함으로써 별도의 이동접속장치 및 인증없이 무선랜 클라이언트 기능 및 모바일 패킷 서비스에 대한 클라이언트 기능으로 동작하는 통상 모드와, 무선랜 단말(91,92,93)에 대해 모바일 패킷 망으로의 중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중계 모드 사이에 전환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단말 장치
  13. 청구항 9 또는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 기능블록들은,
    상기 모바일 패킷 망으로 데이타를 전송하거나, 상기 모바일 패킷 망으로부 터 데이타를 수신할 때 가상 사설망을 구축하도록 하는 VPN 클라이언트부(224);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단말 장치.
  14. 삭제
  15. 청구항 9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 기능 블록들은,
    상기 무선랜 단말(91,92,93)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된 무선랜 단말(91,92,93)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는 무선랜 인증부(223);
    상기 무선랜 인증부(223)가 인증한 무선랜 단말(91,92,93)에 대하여 IP 주소를 할당하고 할당 정보를 관리하는 DHCP 서버부(222);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단말 장치.
  16. 청구항 9 또는 청구항11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 기능 블록들과는 별도로,
    상기 모바일 패킷 서비스 클라이언트부(213)를 통해 IP주소를 요청·수신하고 수신된 IP주소를 관리하는 IP 관리부(21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단말 장치.
  17. 청구항 9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 기능 블록들은,
    무선랜 단말(91,92,93)에 대하여 상기 중계 서비스를 수행하는 중에도 복합 단말 장치(101)에 대해 음성 통화 기능을 제공하는 VoIP부(225);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단말 장치.
KR1020090023727A 2009-03-20 2009-03-20 무선랜 및 모바일 패킷 서비스 기능을 가진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를 이용한 이동 접속 장치 및 복합 단말 장치 KR1009443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3727A KR100944362B1 (ko) 2009-03-20 2009-03-20 무선랜 및 모바일 패킷 서비스 기능을 가진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를 이용한 이동 접속 장치 및 복합 단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3727A KR100944362B1 (ko) 2009-03-20 2009-03-20 무선랜 및 모바일 패킷 서비스 기능을 가진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를 이용한 이동 접속 장치 및 복합 단말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5333A Division KR100909070B1 (ko) 2008-05-16 2008-05-16 무선랜 및 모바일 패킷 서비스 기능을 가진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를 이동 접속 장치 및 복합 단말 장치로 전환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9685A KR20090119685A (ko) 2009-11-19
KR100944362B1 true KR100944362B1 (ko) 2010-03-02

Family

ID=41603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3727A KR100944362B1 (ko) 2009-03-20 2009-03-20 무선랜 및 모바일 패킷 서비스 기능을 가진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를 이용한 이동 접속 장치 및 복합 단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43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9720B1 (ko) * 2011-09-26 2013-04-30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Wi-Fi 액세스 포인트, Wi-Fi 게이트웨이, 이동통신단말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6401A (ko) * 2002-05-13 2005-02-21 에어 브로드밴드 커뮤니케이션스, 인코포레이티드 Dsl 이동 액세스 라우터 시스템 및 방법
KR20050097674A (ko) * 2004-04-02 2005-10-10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노드의 인터넷 접속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US20060198361A1 (en) 2005-03-02 2006-09-07 Liren Ch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mobile wireless access points
KR20070076327A (ko) * 2006-01-18 2007-07-24 삼성전자주식회사 와이브로 시스템을 이용하여 무선랜 서비스를 제공하기위한 연동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6401A (ko) * 2002-05-13 2005-02-21 에어 브로드밴드 커뮤니케이션스, 인코포레이티드 Dsl 이동 액세스 라우터 시스템 및 방법
KR20050097674A (ko) * 2004-04-02 2005-10-10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노드의 인터넷 접속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US20060198361A1 (en) 2005-03-02 2006-09-07 Liren Ch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mobile wireless access points
KR20070076327A (ko) * 2006-01-18 2007-07-24 삼성전자주식회사 와이브로 시스템을 이용하여 무선랜 서비스를 제공하기위한 연동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9685A (ko) 2009-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26737B2 (en) Mobile hotspot managed by access controller
KR101780021B1 (ko)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자동 설정에 기초해 인터넷 연결을 공유하는 방법 및 장치
EP3174325B1 (en) Hotspot configuration method, access method and device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7646745B2 (en)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mobile device, such as providing an out of box connection system for UMA type mobile devices
US7016334B2 (en) Device, system,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fast recovery of IP address change
US20080095086A1 (en) Method of deploying an access point for an ip-based wireless network
RU2500086C1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ы построения сетей с универсальным интерфейсом услуг
WO2023279776A1 (zh) 多模终端接入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WO2014117376A1 (zh) 可定制的移动宽带网络系统和定制移动宽带网络的方法
TW200810408A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access profile system associated with a broadband wireless access network
CN104247505A (zh) 用于利用anqp服务器能力增强andsf的系统和方法
EP1947818B1 (en) A communication system and a communication method
WO2010015188A1 (zh) 接入点接入移动核心网的方法、设备及系统
US8504023B2 (en) Method and system for wireless data flow
WO2006074592A1 (fr) Procede et dispositif de prise en charge de reseaux logiques multiples dans un reseau wlan
WO2022062929A1 (zh) 一种会话建立方法及装置
KR100909070B1 (ko) 무선랜 및 모바일 패킷 서비스 기능을 가진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를 이동 접속 장치 및 복합 단말 장치로 전환하는 방법
KR100876363B1 (ko) 무선랜 및 휴대 인터넷 기능을 가진 다중 모드휴대단말장치를 이용한 이동 접속 장치 및 복합 단말 장치
KR100944362B1 (ko) 무선랜 및 모바일 패킷 서비스 기능을 가진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를 이용한 이동 접속 장치 및 복합 단말 장치
WO2013182087A2 (zh) 一种信息推送的方法及移动终端
US20190200226A1 (en) Method of authenticating access to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corresponding apparatus
KR20100047065A (ko) 무선랜 및 모바일 패킷 서비스 기능을 가진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를 이용한 이동 접속 장치 및 복합 단말 장치
KR20100010114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다수의 아이피 주소설정을 위한 장치및 방법
KR20100047076A (ko) 무선랜 및 휴대 인터넷 기능을 가진 다중 모드 휴대단말장치를 이용한 이동 접속 장치 및 복합 단말 장치
WO2023142717A1 (zh) 一种确定用户设备路由选择策略的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