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5902A - 사용자 상호작용적 애플리케이션 가능 게이트웨이 - Google Patents

사용자 상호작용적 애플리케이션 가능 게이트웨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5902A
KR20160055902A KR1020167009848A KR20167009848A KR20160055902A KR 20160055902 A KR20160055902 A KR 20160055902A KR 1020167009848 A KR1020167009848 A KR 1020167009848A KR 20167009848 A KR20167009848 A KR 20167009848A KR 20160055902 A KR20160055902 A KR 201600559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device
user
data
devices
wireless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9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이삭 데이비드 게달리아
라빈더 폴 찬독
제이콥 게달리아
클리프턴 유진 스코트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60055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59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6Interconnection of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28Restricting access to network management systems or functions, e.g. using authorisation function to access network configuration
    • H04L47/1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0Traffic poli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8Access secu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8Access security
    • H04W12/084Access security using delegated authorisation, e.g. open authorisation [OAuth] protocol
    • H04W4/00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dium used
    • H04L2012/2841Wirel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8Protocols for interworking; Protocol conver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4Registration at HLR or HSS [Home Subscriber Ser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들 사이에 상호접속성을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무선 상호접속성 디바이스는, 제 1 로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들의 제 1 사용자 디바이스에 접속하고, 제 2 로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들의 제 2 사용자 디바이스에 접속하며, 제 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제 2 사용자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제 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의 요청을 수신하고, 제 3 사용자 디바이스가 제 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제 2 사용자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허가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하며, 그리고, 제 3 사용자 디바이스가 제 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제 2 사용자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허가한 것에 기초하여, 제 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제 2 사용자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Description

사용자 상호작용적 애플리케이션 가능 게이트웨이{A USER INTERACTIVE APPLICATION ENABLED GATEWAY}
관련 출원들에 대한 상호 참조
본 특허출원은 "A USER INTERACTIVE APPLICATION ENABLED GATEWAY" 라는 제목으로 2013년 9월 16일자로 출원되었고,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도되었으며, 본원에 그 전체가 참조에 의해 명시적으로 통합된 미국 가출원 제61/878,522호의 이익을 주장한다.
본 개시의 분야
본 개시물은 사용자 상호작용적 애플리케이션 가능 게이트웨이에 관한 것이다.
관련 기술의 설명
인터넷은 서로 통신하기 위해 표준 인터넷 프로토콜 묶음 (예를 들어, 송신 제어 프로토콜 (TCP) 및 인터넷 프로토콜 (IP)) 을 사용하는 상호연결된 컴퓨터들 및 컴퓨터 네트워크들의 글로벌 시스템이다. IoT (Internet of Things) 는 컴퓨터들 및 컴퓨터 네트워크들뿐만 아니라 일상적인 오브젝트들이 IoT 통신 네트워크 (예를 들어, 애드혹 시스템 또는 인터넷) 를 통해 판독가능하고, 인식가능하고, 로케이팅가능하고, 어드레싱가능하며, 제어가능하다는 생각에 기초한다.
다수의 시장 경향들은 IoT 디바이스들의 개발을 추진시키고 있다. 예를 들어, 에너지 비용들의 증가는 스마트 그리드들에서의 정부의 전략적 투자들 그리고 예컨대 전기 차량들 및 공공 충전 스테이션들에 대한, 장래 소비에 대한 지원을 추진시키고 있다. 헬스 케어 비용들 및 노령화 인구들의 증가는 원격/연결형 헬스 케어 및 피트니스 서비스들에 대한 개발을 추진시키고 있다. 홈에서의 기술적 변혁은, 'N' 플레이 (예를 들어, 데이터, 음성, 비디오, 보안, 에너지 관리 등) 를 마케팅하고 홈 네트워크들을 확장시키는 서비스 제공자들에 의한 통합을 포함하여, 새로운 "스마트" 서비스들에 대한 개발을 추진시키고 있다. 빌딩들은 기업체 설비들에 대한 운용 비용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보다 스마트해지고 더욱 편리해지고 있다.
IoT 에 대한 다수의 주요한 애플리케이션들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스마트 그리드들 및 에너지 관리의 영역에서, 유틸리티 회사들은 홈들 및 사업체들에 대한 에너지 전달을 최적화할 수 있는 한편, 고객들은 에너지 사용을 보다 양호하게 관리할 수 있다. 홈 및 빌딩 자동화의 영역에서, 스마트 홈들 및 빌딩들은, 어플라이언스들에서부터 PEV (plug-in electric vehicle) 보안 시스템들까지, 홈 또는 오피스에서의 사실상 임의의 디바이스 또는 시스템을 통한 제어를 중앙집중화하고 있을 수 있다. 자산 추적 분야에서, 기업체들, 병원들, 공장들, 및 다른 큰 조직들은 고가의 장비, 환자들, 차량들 등의 로케이션들을 정확히 추적할 수 있다. 헬스 및 웰니스 (wellness) 의 영역에서, 의사들은 환자의 건강상태를 원격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한편, 사람들은 피트니스 루틴들의 진행을 추적할 수 있다.
다음은 본원에 개시된 메커니즘들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양태들 및/또는 실시형태들에 관한 간단한 요약을 제시한다. 이와 같이, 다음의 요약은 모든 고려되는 양태들 및/또는 실시형태들에 관련된 포괄적인 개요인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되고, 다음의 요약은 모든 고려되는 양태들 및/또는 실시형태에 관련된 주요한 또는 중대한 엘리먼트들을 식별하거나 임의의 특정 양태 및/또는 실시형태와 연관된 범위를 기술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도 안된다. 이에 따라, 다음의 요약은 아래에 제시되는 상세한 설명에 선행하여 단순화된 형태로 사용자 상호작용적 애플리케이션 가능 게이트웨이 (user interactive application enabled gateway) 에 대해 본원에 개시된 메커니즘들에 관한 하나 이상의 양태들 및/또는 실시형태들에 관련된 특정 개념들을 제시하기 위한 유일한 목적을 갖는다.
본 개시는, 무선 상호접속성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들 사이에 상호접속성 (interconnectivity) 을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무선 상호접속성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들 사이에 상호접속성을 제공하는 방법은, 제 1 로컬 무선 네트워크 (local wireless network) 를 통해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들의 제 1 사용자 디바이스에 접속하는 단계, 제 2 로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들의 제 2 사용자 디바이스에 접속하는 단계, 제 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제 2 사용자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제 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제 3 사용자 디바이스가 제 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제 2 사용자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허가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제 3 사용자 디바이스가 제 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제 2 사용자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허가한 것에 기초하여, 제 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제 2 사용자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들 사이에 상호접속성을 제공하기 위한 무선 상호접속성 디바이스는, 제 1 로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들의 제 1 사용자 디바이스에 접속하도록 구성된 제 1 트랜시버, 제 2 로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들의 제 2 사용자 디바이스에 접속하도록 구성된 제 2 트랜시버로서, 제 1 트랜시버는 제 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제 2 사용자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제 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의 요청을 수신하도록 더 구성되는, 상기 제 2 트랜시버, 및 제 3 사용자 디바이스가 제 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제 2 사용자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허가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프세서를 포함하고, 제 2 트랜시버는, 제 3 사용자 디바이스가 제 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제 2 사용자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허가한 것에 기초하여, 제 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제 2 사용자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더 구성된다.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들 사이에 상호접속성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는, 제 1 로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들의 제 1 사용자 디바이스에 접속하도록 구성된 로직 (logic), 제 2 로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들의 제 2 사용자 디바이스에 접속하도록 구성된 로직, 제 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제 2 사용자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제 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의 요청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제 3 사용자 디바이스가 제 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제 2 사용자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허가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하하도록 구성된 로직, 및 제 3 사용자 디바이스가 제 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제 2 사용자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허가한 것에 기초하여, 제 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제 2 사용자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로직을 포함한다.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들 사이에 상호접속성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는, 제 1 로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들의 제 1 사용자 디바이스에 접속하기 위한 수단, 제 2 로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들의 제 2 사용자 디바이스에 접속하기 위한 수단, 제 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제 2 사용자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제 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의 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제 3 사용자 디바이스가 제 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제 2 사용자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허가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제 3 사용자 디바이스가 제 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제 2 사용자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허가한 것에 기초하여, 제 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제 2 사용자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들 사이에 상호접속성을 제공하기 위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무선 상호접속성 디바이스로 하여금 제 1 로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들의 제 1 사용자 디바이스에 접속하게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 무선 상호접속성 디바이스로 하여금 제 2 로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들의 제 2 사용자 디바이스에 접속하게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 무선 상호접속성 디바이스로 하여금 제 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제 2 사용자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제 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의 요청을 수신하게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 무선 상호접속성 디바이스로 하여금 제 3 사용자 디바이스가 제 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제 2 사용자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허가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하게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 및 무선 상호접속성 디바이스로 하여금 제 3 사용자 디바이스가 제 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제 2 사용자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허가한 것에 기초하여, 제 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제 2 사용자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전송하게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포함한다.
본원에 개시된 메커니즘들과 연관된 다른 목적들 및 이점들은 첨부 도면들 및 상세한 설명에 기초하여,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 (이하, '통상의 기술자' 라 함) 에게 명백할 것이다.
본 개시물의 제한이 아닌 예시를 위해서만 제시되는 첨부 도면들과 관련하여 고려될 때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여 더 잘 이해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본 개시물의 양태들 및 그 수반되는 많은 이점들의 보다 완전한 이해가 쉽게 획득될 것이다.
도 1a 는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하이-레벨 시스템 아키텍처를 나타낸다.
도 1b 는 본 개시의 다른 양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하이-레벨 시스템 아키텍처를 나타낸다.
도 1c 는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하이-레벨 시스템 아키텍처를 나타낸다.
도 1d 는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하이-레벨 시스템 아키텍처를 나타낸다.
도 1e 는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하이-레벨 시스템 아키텍처를 나타낸다.
도 2a 는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른 예시적인 사물 인터넷 (IoT)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한편, 도 2b 는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른 예시적인 수동적 IoT 디바이스를 나타낸다.
도 3 은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른 기능성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로직을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를 나타낸다.
도 4 는 본 개시의 다양한 양태들에 따른 예시적인 서버를 나타낸다.
도 5 는 본 개시의 하나의 양태에 따라, 발견가능 (discoverable) 피어-투-피어 (P2P) 서비스들을 지원할 수도 있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나타낸다.
도 6 은 본 개시의 하나의 양태에 따라, 다양한 디바이스들이 통신할 수도 있는 근접도-기반 분산된 버스 (distributed bus) 를 확립하기 위해 발견가능 P2P 서비스들이 사용될 수도 있는 예시적인 환경을 나타낸다.
도 7 은 본 개시의 하나의 양태에 따라, 다양한 디바이스들이 통신할 수도 있는 근접도-기반 분산된 버스를 확립하기 위해 발견가능 P2P 서비스들이 사용될 수도 있는 예시적인 메시지 시퀀스를 나타낸다.
도 8 은 차량 오디오 시스템과 플레이리스트를 공유하기 위해 큐브를 이용하기 위한 예시적인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다.
도 9a 및 도 9b 는 도 8 에서 예시된 차량 오디오 시스템과 플레이리스트를 공유하기 위해 도 8 에서 예시된 큐브를 이용하기 위한 예시적인 플로우 (flow) 를 나타낸다.
도 10 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형태들에 따른,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들 사이의 상호접속성을 제공하기 위한 예시적인 플로우를 나타낸다.
도 11 은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른 예시적인 무선 상호접속성 디바이스를 나타낸다.
사용자 상호작용적 애플리케이션 가능 게이트웨이에 대한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에 관한 구체적인 예들을 보여주기 위해, 이하의 설명 및 관련 도면들에서 다양한 양태들이 개시된다. 일 양태에서, 무선 상호접속성 디바이스는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들 간의 상호접속성을 제공할 수 있다. 상호접속성 디바이스는, 제 1 로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들의 제 1 사용자 디바이스에 접속하고, 제 2 로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들의 제 2 사용자 디바이스에 접속하며, 제 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제 2 사용자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제 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의 요청을 수신하고, 제 3 사용자 디바이스가 제 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제 2 사용자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허가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하며, 그리고, 제 3 사용자 디바이스가 제 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제 2 사용자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허가한 것에 기초하여, 제 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제 2 사용자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다.
대안적인 실시형태들은 이 개시물을 읽으면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 자명할 것이고, 본 개시의 범위 또는 사상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구성 및 실시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잘 알려진 엘리먼트들은 자세히 설명되지 않을 것이고, 본원에 개시된 양태들 및 실시형태들의 관련 상세들을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 생략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이라는 단어는 "예, 실례, 또는 예시로서 기능하는" 것을 의미하도록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다.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임의의 실시형태는 다른 실시형태들에 비해 반드시 선호되거나 유리한 것으로서 해석될 필요는 없다. 마찬가지로, 용어 "실시형태들" 은 모든 실시형태들이 논의된 특징, 이점 또는 동작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요구하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형태들을 기술하고, 본원에 개시된 임의의 실시형태들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a", "an", 및 "the" 와 같은 부정관사 및 정관사의 단수 형태들은, 문맥에서 분명하게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 역시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용어들 "구비하다", "구비하는", "포함하다", 및/또는 "포함하는" 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이는 진술된 특징들, 정수들, 단계들, 동작들, 엘리먼트들, 및/또는 컴포넌트들의 존재를 특정하고, 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정수들, 단계들, 동작들, 엘리먼트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이들의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지 않는다는 것이 추가적으로 이해될 것이다.
또한, 많은 양태들이, 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의 엘리먼트들에 의해 수행되는 액션들의 시퀀스들의 관점에서 설명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액션들은, 특정 회로들 (예를 들어, 주문형 집적 회로 (ASIC)) 에 의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명령들에 의해, 또는 이들 양쪽의 조합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부가적으로, 여기에 설명되는 액션들의 이들 시퀀스는, 실행시 관련 프로세서로 하여금 여기에 설명된 기능성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명령들의 대응하는 셋트가 저장된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내에서 완전히 구현되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물의 다양한 양태들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들로 구현할 수도 있으며, 이들 형태들 모두는 청구된 요지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부가적으로, 여기에 설명된 양태들 각각에 대해, 임의의 그러한 양태들의 대응하는 형태는, 예를 들어, 설명된 액션을 수행 "하도록 구성된 로직" 으로서 여기에 설명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사물 인터넷 (Internet of Things) 디바이스" (또는 "IoT 디바이스") 는 어드레싱가능한 인터페이스 (예를 들어, 인터넷 프로토콜 (IP) 어드레스, 블루투스 식별자 (ID), 근거리장 통신 (NFC) ID 등) 을 갖는 임의의 오브젝트 (예를 들어, 어플라이언스, 센서, 스마트폰 등) 를 지칭하는데 사용되고,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하나 이상의 다른 디바이스들에게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IoT 디바이스는 QR (quick response) 코드, RFID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 NFC 태그 등과 같은 수동 통신 인터페이스, 또는 모뎀, 트랜시버, 송신기-수신기 등과 같은 능동 통신 인터페이스를 가질 수도 있다. IoT 디바이스는 특정 속성 셋트 (예를 들어, IoT 디바이스가 온인지 아니면 오프인지, 개방되었는지 아니면 폐쇄되었는지, 유휴 상태인지 아니면 활성 상태인지, 태스크 실행을 위해 이용가능한지 아니면 비지 (busy) 상태인지 여부와 같은 디바이스 상태 또는 스테이터스 (status), 냉각 또는 가열 기능, 환경 모니터링 또는 기록 기능, 발광 기능, 사운드 방출 기능 등) 을 가질 수 있으며, 이 속성 셋트는 중앙 프로세싱 유닛 (CPU), 마이크로프로세서, ASIC 등에 임베딩되거나 및/또는 이들에 의해 제어/모니터링될 수 있고, 로컬 애드혹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과 같은 IoT 네트워크로의 연결을 위해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IoT 디바이스들은, 그 디바이스들이 IoT 네트워크와 통신하기 위한 어드레싱가능한 통신 인터페이스들을 구비하고 있다면, 냉장고들, 토스터들, 오븐들, 전자레인지들, 냉동고들, 식기세척기들, 접시들, 공구들, 세탁기들, 건조기들, 보일러들, 에어컨들, 서모스탯들, 텔레비전들, 조명 기구들, 진공 청소기들, 스프링클러들, 전기 계량기들, 가스 계량기들 등을 포함할 수도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IoT 디바이스들은 또한, (스마트폰들을 포함하는) 휴대폰들, 데스크톱 컴퓨터들, 랩톱 컴퓨터들, 태블릿 컴퓨터들,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들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IoT 네트워크는 통상적으로 인터넷 연결성을 갖지 않는 디바이스들 (예를 들어, 식기세척기들 등) 에 부가적으로, "레거시 (legacy)" 인터넷 액세스가능 디바이스들 (예를 들어, 랩톱 또는 데스크톱 컴퓨터들, 휴대폰들 등) 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a 는 본 개시물의 일 양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 (100A) 의 하이-레벨 시스템 아키텍처를 예시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 (100A) 은 텔레비전 (110), 실외 에어 컨디셔닝 유닛 (112), 서모스탯 (114), 냉장고 (116) 및 세탁기와 건조기 (118) 를 포함하는 복수의 IoT 디바이스들을 포함한다.
도 1a 를 참조하면, IoT 디바이스들 (110 내지 118) 은 도 1a 에 에어 인터페이스 (108) 및 직접 유선 연결 (109) 로서 도시된 물리적 통신 인터페이스 또는 계층을 통해 액세스 네트워크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 (125)) 와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에어 인터페이스 (108) 는 IEEE 802.11 과 같은 무선 인터넷 프로토콜 (IP) 을 따를 수도 있다. 도 1a 가 에어 인터페이스 (108) 를 통해 통신하는 IoT 디바이스들 (110 내지 118) 및 직접 유선 연결 (109) 을 통해 통신하는 IoT 디바이스 (118) 를 예시하지만, 각각의 IoT 디바이스는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또는 이들 양쪽을 통해 통신할 수도 있다.
인터넷 (175) 은 (편의를 위해 도 1a 에 도시되지 않은) 다수의 라우팅 에이전트들 및 프로세싱 에이전트들을 포함한다. 인터넷 (175) 은 상이한 디바이스들/네트워크들 중에서 통신하기 위해 표준 인터넷 프로토콜 묶음 (예를 들어, 송신 제어 프로토콜 (TCP) 및 IP) 을 사용하는, 상호연결된 컴퓨터들 및 컴퓨터 네트워크들의 글로벌 시스템이다. TCP/IP 는 데이터가 목적지에서 어떻게 포맷화되고, 어드레싱되고, 송신되고, 라우팅되며 수신되어야만 하는지를 특정하는 종단간 연결성을 제공한다.
도 1a 에서, 데스크톱 또는 퍼스널 컴퓨터 (PC) 와 같은 컴퓨터 (120) 는 (예를 들어, 이더넷 연결 또는 Wi-Fi 또는 802.11-기반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 (175) 에 직접적으로 연결하고 있는 것으로 도시된다. 컴퓨터 (120) 는, 일 예에서, (예를 들어, 유선 및 무선 연결성 양쪽을 갖는 Wi-Fi 라우터에 대해) 액세스 포인트 (125) 자체에 대응할 수 있는, 모뎀 또는 라우터로의 직접 연결과 같은, 인터넷 (175) 으로의 유선 연결을 가질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유선 연결을 통해 액세스 포인트 (125) 및 인터넷 (175) 에 연결되는 것보다, 컴퓨터 (120) 는 에어 인터페이스 (108) 또는 다른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액세스 포인트 (125) 에 연결되고, 에어 인터페이스 (108) 를 통해 인터넷 (175) 에 액세스 (access) 할 수도 있다. 데스크톱 컴퓨터로서 예시되지만, 컴퓨터 (120) 는 랩톱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PDA, 스마트폰 등일 수도 있다. 컴퓨터 (120) 는 IoT 디바이스일 수도 있거나 및/또는 IoT 디바이스들 (110 내지 118) 의 네트워크/그룹과 같은 IoT 네트워크/그룹을 관리하기 위한 기능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액세스 포인트 (125) 는, 예를 들어, FiOS 와 같은 광학 통신 시스템, 케이블 모뎀, 디지털 가입자 라인 (DSL) 모뎀 등을 통해, 인터넷 (175) 에 연결될 수도 있다. 액세스 포인트 (125) 는 표준 인터넷 프로토콜들 (예를 들어, TCP/IP) 을 사용하여 IoT 디바이스들 (110 내지 120) 및 인터넷 (175) 과 통신할 수도 있다.
도 1a 를 참조하면, IoT 서버 (170) 는 인터넷 (175) 에 연결된 것으로 도시된다. IoT 서버 (170) 는 복수의 구조적으로 별개의 서버들로서 구현될 수 있거나, 대안적으로 단일 서버에 대응할 수도 있다. 일 양태에서, IoT 서버 (170) 는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선택적이고, IoT 디바이스들 (110 내지 120) 의 그룹은 피어-투-피어 (P2P) 네트워크일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IoT 디바이스들 (110 내지 120) 은 에어 인터페이스 (108) 및/또는 직접 유선 연결 (109) 을 통해 서로 직접 통신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IoT 디바이스들 (110 내지 120) 중 일부 또는 전부는 에어 인터페이스 (108) 및 직접 유선 연결 (109) 과 독립적인 통신 인터페이스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에어 인터페이스 (108) 가 Wi-Fi 인터페이스에 대응한다면, IoT 디바이스들 (110 내지 120) 중 하나 이상은 서로 또는 다른 블루투스 또는 NFC-가능 디바이스들과 직접 통신하기 위한 블루투스 또는 NFC 인터페이스들을 가질 수도 있다.
피어-투-피어 네트워크에서, 서비스 발견 방식들은 노드들의 존재, 그들의 능력들, 및 그룹 멤버십을 멀티캐스팅할 수 있다. 피어-투-피어 디바이스들은 이러한 정보에 기초하여 연관들 및 후속하는 상호작용들을 확립할 수 있다.
본 개시물의 일 양태에 따라, 도 1b 는 복수의 IoT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다른 무선 통신 시스템 (100B) 의 하이-레벨 아키텍처를 예시한다. 일반적으로, 도 1b 에 도시된 무선 통신 시스템 (100B) 은 더 상세히 위에서 설명되었던 도 1a 에 도시된 무선 통신 시스템 (100A) 과 동일한 및/또는 실질적으로 유사한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에어 인터페이스 (108) 및/또는 직접 유선 연결 (109) 을 통해 액세스 포인트 (125) 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텔레비전 (110), 실외 에어 컨디셔닝 유닛 (112), 서모스탯 (114), 냉장고 (116), 및 세탁기와 건조기 (118) 를 포함하는 다양한 IoT 디바이스들, 인터넷 (175) 에 직접적으로 연결하거나 및/또는 액세스 포인트 (125) 를 통해 인터넷 (175) 에 연결하는 컴퓨터 (120), 및 인터넷 (175) 을 통해 액세스가능한 IoT 서버 (170) 등). 이와 같이, 설명의 간결함 및 용이함을 위해, 도 1b 에 도시된 무선 통신 시스템 (100B) 에서의 특정 컴포넌트들에 관련된 다양한 상세들은, 그 동일하거나 유사한 상세들이 도 1a 에 예시된 무선 통신 시스템 (100A) 과 관련하여 위에서 이미 제공되었던 정도까지는 여기에서 생략될 수도 있다.
도 1b 를 참조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 (100B) 은 대안적으로 IoT 관리자 (130) 또는 IoT 관리자 디바이스 (130) 라고 지칭될 수도 있는 수퍼바이저 디바이스 (130)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다음 설명이 용어 "수퍼바이저 디바이스" (130) 를 사용할 경우, 통상의 기술자는 IoT 관리자, 그룹 소유자 또는 유사한 기술용어에 대한 어떠한 언급들도 수퍼바이저 디바이스 (130) 또는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유사한 기능성을 제공하는 다른 물리적 또는 논리적 컴포넌트를 지칭할 수도 있음을 인지할 것이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수퍼바이저 디바이스 (130) 는 무선 통신 시스템 (100B) 에서 다양한 다른 컴포넌트들을 일반적으로 관찰하거나, 모니터링하거나, 제어하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관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수퍼바이저 디바이스 (130) 는 에어 인터페이스 (108) 및/또는 직접 유선 연결 (109) 을 통해 액세스 네트워크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 (125)) 와 통신하여 무선 통신 시스템 (100B) 에서 다양한 IoT 디바이스들 (110 내지 120) 과 연관된 속성들, 활동들 또는 다른 상태들을 모니터링하거나 관리할 수 있다. 수퍼바이저 디바이스 (130) 는 인터넷 (175) 으로의 및 선택적으로 (점선으로 도시된) IoT 서버 (170) 로의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가질 수도 있다. 수퍼바이저 디바이스 (130) 는 다양한 IoT 디바이스들 (110 내지 120) 과 연관된 속성들, 활동들 또는 다른 상태들을 추가로 모니터링하거나 관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정보를 인터넷 (175) 및/또는 IoT 서버 (170) 로부터 획득할 수도 있다. 수퍼바이저 디바이스 (130) 는 컴퓨터 (120) 와 같은 IoT 디바이스들 (110 내지 120) 중 하나 또는 자립형 디바이스일 수도 있다. 수퍼바이저 디바이스 (130) 는 물리적 디바이스 또는 물리적 디바이스 상에서 실행하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일 수도 있다. 수퍼바이저 디바이스 (130) 는, IoT 디바이스들 (110 내지 120) 과 연관된 모니터링된 속성들, 활동들 또는 다른 상태들과 관련된 정보를 출력하고, 연관된 속성들, 활동들 또는 다른 상태들을 제어하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관리하기 위해 입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수퍼바이저 디바이스 (130) 는 무선 통신 시스템 (100B) 에서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관찰하거나, 모니터링하거나, 제어하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관리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포함하고 다양한 유선 및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들을 지원할 수도 있다.
도 1b 에 도시된 무선 통신 시스템 (100B) 은, 무선 통신 시스템 (100B) 에 커플링되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무선 통신 시스템 (100B) 의 부분을 이룰 수 있는 (능동 IoT 디바이스들 (110 내지 120) 과는 대조적인) 하나 이상의 수동 IoT 디바이스들 (105) 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수동 IoT 디바이스들 (105) 은 바코드 디바이스들, 블루투스 디바이스들, 무선 주파수 (RF) 디바이스들, RFID 태그 디바이스들, 적외선 (IR) 디바이스들, NFC 태그 디바이스들, 또는 단거리 인터페이스를 통해 질의될 경우 그 식별자 및 속성들을 다른 디바이스에 제공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능동 IoT 디바이스들은 수동 IoT 디바이스들의 속성들에 있어서의 변화들을 검출하고, 저장하고, 통신하고, 영향을 주는 것 등을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수동 IoT 디바이스들 (105) 은 각각 RFID 태그 또는 바코드를 갖는 커피잔 및 오렌지주스 용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캐비닛 IoT 디바이스 및 냉장고 IoT 디바이스 (116) 는 각각, 커피잔 및/또는 오렌지주스 용기 수동 IoT 디바이스들 (105) 이 부가되거나 제거되었을 때를 검출하기 위해 RFID 태그 또는 바코드를 판독할 수 있는 적절한 스캐너 또는 판독기를 가질 수도 있다. 캐비닛 IoT 디바이스가 커피잔 수동 IoT 디바이스 (105) 의 제거를 검출하는 것 및 냉장고 IoT 디바이스 (116) 가 오렌지주스 용기 수동 IoT 디바이스의 제거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수퍼바이저 디바이스 (130) 는 캐비닛 IoT 디바이스 및 냉장고 IoT 디바이스 (116) 에서 검출된 활동들과 관련된 하나 이상의 신호들을 수신할 수도 있다. 수퍼바이저 디바이스 (130) 는 그 후에, 사용자가 커피잔으로부터의 오렌지주스를 마시고 있음 및/또는 커피잔으로부터의 오렌지주스를 마시기를 원함을 추론할 수도 있다.
전술한 것은 수동 IoT 디바이스들 (105) 이 RFID 태그 또는 바코드 통신 인터페이스의 일부 형태를 갖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수동 IoT 디바이스들 (105) 은 이러한 통신 능력들을 갖지 않는 다른 물리적 오브젝트들 또는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특정 IoT 디바이스들은 수동 IoT 디바이스들 (105) 을 식별하기 위해 수동 IoT 디바이스들 (105) 과 연관된 형상들, 사이즈들, 컬러들, 및/또는 다른 관찰가능한 피처들을 검출할 수 있는 적절한 스캐너 또는 판독기 메커니즘들을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임의의 적합한 물리적 오브젝트는 그 식별자 및 속성들을 통신하고 무선 통신 시스템 (100B) 의 부분이 되고, 수퍼바이저 디바이스 (130) 로 관찰되거나, 모니터링되거나, 제어되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관리될 수도 있다. 추가로, 수동 IoT 디바이스들 (105) 은 도 1a 의 무선 통신 시스템 (100A) 에 커플링되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그 부분을 이룰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유사한 방식으로 관찰되거나, 모니터링되거나, 제어되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관리될 수도 있다.
본 개시물의 다른 양태에 따라, 도 1c 는 복수의 IoT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다른 무선 통신 시스템 (100C) 의 하이-레벨 아키텍처를 예시한다. 일반적으로, 도 1c 에 도시된 무선 통신 시스템 (100C) 은 더 상세히 위에서 설명되었던 도 1a 및 도 1b 에 각각 도시된 무선 통신 시스템들 (100A 및 100B) 과 동일한 및/또는 실질적으로 유사한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설명의 간결함 및 용이함을 위해, 도 1c 에 도시된 무선 통신 시스템 (100C) 에서의 특정 컴포넌트들에 관련된 다양한 상세들은, 그 동일하거나 유사한 상세들이 각각 도 1a 및 도 1b 에 예시된 무선 통신 시스템들 (100A 및 100B) 과 관련하여 위에서 이미 제공되었던 정도까지는 여기에서 생략될 수도 있다.
도 1c 에 도시된 통신 시스템 (100C) 은 IoT 디바이스들 (110 내지 118) 과 수퍼바이저 디바이스 (130) 사이의 예시적인 피어-투-피어 통신들을 예시한다. 도 1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퍼바이저 디바이스 (130) 는 IoT 수퍼바이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IoT 디바이스들 (110 내지 118) 각각과 통신한다. 추가로, IoT 디바이스들 (110 및 114), IoT 디바이스들 (112, 114, 및 116), 및 IoT 디바이스들 (116 및 118) 은 서로 직접 통신한다.
IoT 디바이스들 (110 내지 118) 은 IoT 그룹 (160) 을 형성한다. IoT 디바이스 그룹 (160) 은 로컬로 연결된 IoT 디바이스들, 예컨대, 사용자의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IoT 디바이스들의 그룹이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다수의 IoT 디바이스 그룹들은 인터넷 (175) 에 연결된 IoT 수퍼에이전트 (140) 를 통해 서로 통신하거나 및/또는 연결될 수도 있다. 하이-레벨에서, 수퍼바이저 디바이스 (130) 는 그룹내 통신들을 관리하는 한편, IoT 수퍼에이전트 (140) 는 그룹간 통신들을 관리할 수 있다. 별개의 디바이스들로 도시되었지만, 수퍼바이저 디바이스 (130) 및 IoT 수퍼에이전트 (140) 는 동일한 디바이스 (예를 들어, 도 1a 의 컴퓨터 (120) 와 같은 IoT 디바이스 또는 자립형 디바이스) 이거나, 그 동일한 디바이스 상에 상주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IoT 수퍼에이전트 (140) 는 액세스 포인트 (125) 의 기능성에 대응하거나 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 다른 대안으로서, IoT 수퍼에이전트 (140) 는 IoT 서버 (170) 와 같은 IoT 서버의 기능성에 대응하거나 이를 포함할 수도 있다. IoT 수퍼에이전트 (140) 는 게이트웨이 기능성 (145) 을 함축할 수도 있다.
각각의 IoT 디바이스 (110 내지 118) 는 수퍼바이저 디바이스 (130) 를 피어 (peer) 로서 취급할 수 있고, 속성/스키마 업데이트들을 수퍼바이저 디바이스 (130) 에 송신할 수 있다. IoT 디바이스가 다른 IoT 디바이스와 통신할 필요가 있을 때, 그 IoT 디바이스는 수퍼바이저 디바이스 (130) 로부터 그 IoT 디바이스까지의 포인터를 요청하고, 그 후에 피어로서 타깃 IoT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다. IoT 디바이스들 (110 내지 118) 은 공통 메세징 프로토콜 (CMP) 을 사용하여 피어-투-피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통신한다. 2개의 IoT 디바이스들이 CMP-인에이블되고, 공통 통신 전송을 통해 연결되기만 한다면, 이 디바이스들은 서로 통신할 수 있다. 프로토콜 스택에서, CMP 계층 (154) 은 애플리케이션 계층 (152) 밑에 있고, 전송 계층 (156) 및 물리 계층 (158) 위에 있다.
본 개시물의 다른 양태에 따라, 도 1d 는 복수의 IoT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다른 무선 통신 시스템 (100D) 의 하이-레벨 아키텍처를 예시한다. 일반적으로, 도 1d 에 도시된 무선 통신 시스템 (100D) 은 더 상세히 위에서 설명되었던 도 1c 에 각각 도시된 무선 통신 시스템들 (100A 내지 100C) 과 동일한 및/또는 실질적으로 유사한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설명의 간결함 및 용이함을 위해, 도 1d 에 도시된 무선 통신 시스템 (100D) 에서의 특정 컴포넌트들에 관련된 다양한 상세들은, 그 동일하거나 유사한 상세들이 각각 도 1a 내지 도 1c 에 예시된 무선 통신 시스템들 (100A 내지 100C) 과 관련하여 위에서 이미 제공되었던 정도까지는 여기에서 생략될 수도 있다.
인터넷 (175) 은 IoT 의 개념을 사용하여 규제될 수 있는 "리소스 (resource)" 이다. 그러나, 인터넷 (175) 은 규제되는 리소스의 단 하나의 예이고, 어떤 리소스라도 IoT 의 개념을 사용하여 규제될 수 있다. 규제될 수 있는 다른 리소스들은 전기, 가스, 스토리지, 보안물 등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IoT 디바이스는 리소스에 연결되어 리소스를 규제할 수도 있거나, 또는 리소스는 인터넷 (175) 을 통해 규제될 수 있다. 도 1d 는 천연 가스, 가솔린, 온수, 및 전기와 같은 몇몇 리소스들 (180) 을 도시하며, 여기서 리소스들 (180) 은 인터넷 (175) 에 부가적으로 및/또는 인터넷 (175) 을 통해 규제될 수 있다.
IoT 디바이스들은 리소스 (180) 의 사용을 규제하기 위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스터, 컴퓨터 및 헤어드라이어와 같은 IoT 디바이스들은 전기 (리소스 (180)) 의 사용을 규제하기 위해 블루투스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서, 데스크톱 컴퓨터, 전화기, 및 태블릿 컴퓨터와 같은 IoT 디바이스들은 인터넷 (175) (리소스 (180)) 으로의 액세스를 규제하기 위해 Wi-Fi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난로, 의류 건조기, 및 온수기와 같은 IoT 디바이스들은 가스의 사용을 규제하기 위해 Wi-Fi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각각의 IoT 디바이스는 IoT 디바이스들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리소스 (180) 의 사용을 규제하기 위한 로직을 갖는 IoT 서버, 예컨대, IoT 서버 (170) 에 연결될 수도 있다.
본 개시물의 다른 양태에 따라, 도 1e 는 복수의 IoT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다른 무선 통신 시스템 (100E) 의 하이-레벨 아키텍처를 예시한다. 일반적으로, 도 1e 에 도시된 무선 통신 시스템 (100E) 은 더 상세히 위에서 설명되었던 도 1d 에 각각 도시된 무선 통신 시스템들 (100A 내지 100D) 과 동일한 및/또는 실질적으로 유사한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설명의 간결함 및 용이함을 위해, 도 1e 에 도시된 무선 통신 시스템 (100E) 에서의 특정 컴포넌트들에 관련된 다양한 상세들은, 그 동일하거나 유사한 상세들이 각각 도 1a 내지 도 1d 에 도시된 무선 통신 시스템들 (100A 내지 100D) 과 관련하여 위에서 이미 제공되었던 정도까지는 여기에서 생략될 수도 있다.
통신 시스템 (100E) 은 2개의 IoT 디바이스 그룹들 (160A 및 160B) 을 포함한다. 다수의 IoT 디바이스 그룹들은 인터넷 (175) 에 연결된 IoT 수퍼에이전트를 통해 서로 통신하거나 및/또는 연결될 수도 있다. 하이-레벨에서, IoT 수퍼에이전트는 IoT 디바이스 그룹들 중에서 그룹간 통신들을 관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e 에서, IoT 디바이스 그룹 (160A) 은 IoT 디바이스들 (116A, 122A, 및 124A) 과 IoT 수퍼에이전트 (140A) 를 포함하는 한편, IoT 디바이스 그룹 (160B) 은 IoT 디바이스들 (116B, 122B, 및 124B) 과 IoT 수퍼에이전트 (140B) 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IoT 수퍼에이전트들 (140A 및 140B) 은 IoT 디바이스 그룹들 (160A 및 160B) 간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도록, 인터넷 (175) 에 연결하고, 인터넷 (175) 을 통해 서로 통신하거나 및/또는 서로 직접 통신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e 가 IoT 수퍼에이전트들 (140A 및 140B) 을 통해 서로 통신하는 2개의 IoT 디바이스 그룹들 (160A 및 160B) 을 예시하지만, 통상의 기술자는 임의의 수의 IoT 디바이스 그룹들이 IoT 수퍼에이전트들을 사용하여 서로 적절히 통신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인지할 것이다.
도 2a 는 본 개시물의 양태들에 따른 IoT 디바이스 (200A) 의 하이-레벨 예를 예시한다. 외부의 외관들 및/또는 내부 컴포넌트들이 IoT 디바이스들 중에서 상당히 상이할 수 있지만, 대부분의 IoT 디바이스들은 디스플레이 및 사용자 입력을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는 임의의 종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질 것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없는 IoT 디바이스들은 도 1a 및 도 1b 에서의 에어 인터페이스 (108) 와 같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으로 통신될 수 있다.
도 2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IoT 디바이스 (200A) 에 대한 일 예시적인 구성에서, IoT 디바이스 (200A) 의 외부 케이싱은, 당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이, 다른 컴포넌트들 중에서도, 디스플레이 (226), 전원 버튼 (222), 및 2개의 제어 버튼들 (224A 및 224B) 로 구성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226) 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일 수도 있고, 이 경우에 제어 버튼들 (224A 및 224B) 이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 IoT 디바이스 (200A) 의 부분으로서 명시적으로 도시된 것은 아니지만, IoT 디바이스 (200A) 는, Wi-Fi 안테나들, 셀룰러 안테나들, 위성 포지션 시스템 (SPS) 안테나들 (예를 들어,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 (GPS) 안테나들) 등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 외부 케이싱 내에 장착된 하나 이상의 외부 안테나들 및/또는 하나 이상의 통합형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IoT 디바이스 (200A) 와 같은 IoT 디바이스들의 내부 컴포넌트들이 상이한 하드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지만, 내부 하드웨어 컴포넌트들에 대한 기본 하이-레벨 구성은 도 2a 에 플랫폼 (202) 으로서 도시된다. 플랫폼 (202) 은 도 1a 및 도 1b 에서의 에어 인터페이스 (108) 와 같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또는 유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송신된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들, 데이터 및/또는 커맨드들을 수신하고 실행할 수 있다. 플랫폼 (202) 은 또한 로컬로 저장된 애플리케이션들을 독립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플랫폼 (202) 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208), 예컨대, 일반적으로 프로세서 (208) 라고 지칭되는, 마이크로제어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주문형 집적 회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SP), 프로그래밍가능 로직 회로, 또는 다른 데이터 프로세싱 디바이스에 동작가능하게 커플링된,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 하나 이상의 트랜시버들 (206) (예를 들어, Wi-Fi 트랜시버, 블루투스 트랜시버, 셀룰러 트랜시버, 위성 트랜시버, GPS 또는 SPS 수신기 등) 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 (208) 는 IoT 디바이스의 메모리 (212) 내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명령들을 실행할 수 있다. 메모리 (212) 는 판독 전용 메모리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M), 전기적으로 소거가능한 프로그래밍가능 ROM (EEPROM), 플래시 카드들, 또는 컴퓨터 플랫폼들에 공통인 임의의 메모리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입력/출력 (I/O) 인터페이스들 (214) 은, 프로세서 (208) 로 하여금 예시된 디스플레이 (226), 전원 버튼 (222), 제어 버튼들 (224A 및 224B) 과 같은 다양한 I/O 디바이스들 및 IoT 디바이스 (200A) 과 연관된 센서들, 액추에이터들, 중계기들, 밸브들, 스위치들 등과 같은 임의의 다른 디바이스들과 통신하게 하고 이들을 제어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b 는 본 개시물의 양태들에 따른 수동 IoT 디바이스 (200B) 의 하이-레벨 예를 예시한다. 일반적으로, 도 2b 에 도시된 수동 IoT 디바이스 (200B) 는 더 상세히 위에서 설명되었던 도 2a 에 도시된 IoT 디바이스 (200A) 와 동일한 및/또는 실질적으로 유사한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설명의 간결함 및 용이함을 위해, 도 2b 에 도시된 수동 IoT 디바이스 (200B) 에서의 특정 컴포넌트들에 관련된 다양한 상세들은, 그 동일하거나 유사한 상세들이 도 2a 에 예시된 IoT 디바이스 (200A) 과 관련하여 위에서 이미 제공되었던 정도까지는 여기에서 생략될 수도 있다.
도 2b 에 도시된 수동 IoT 디바이스 (200B) 는, 수동 IoT 디바이스 (200B) 가 프로세서, 내부 메모리, 또는 특정한 다른 컴포넌트들을 갖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에서, 일반적으로 도 2a 에 도시된 IoT 디바이스 (200A) 와 상이할 수도 있다. 대신에,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수동 IoT 디바이스 (200B) 는 오직 I/O 인터페이스 (214) 또는 수동 IoT 디바이스 (200B) 가 제어형 IoT 네트워크 내에서 관찰되거나, 모니터링되거나, 제어되거나, 관리되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알게 되는 다른 적합한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수동 IoT 디바이스 (200B) 와 연관된 I/O 인터페이스 (214) 는 바코드, 블루투스 인터페이스, 무선 주파수 (RF) 인터페이스, RFID 태그, IR 인터페이스, NFC 인터페이스, 또는 단거리 인터페이스를 통해 질의될 경우 수동 IoT 디바이스 (200B) 와 연관된 식별자 및 속성들을 다른 디바이스 (예를 들어, 수동 IoT 디바이스 (200B) 와 연관된 속성들과 관련된 정보를 검출하거나, 저장하거나, 통신하거나, 그에 작용하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프로세싱할 수 있는 능동 IoT 디바이스, 예컨대, IoT 디바이스 (200A)) 에 제공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I/O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전술한 것이 수동 IoT 디바이스 (200B) 가 RF, 바코드, 또는 다른 I/O 인터페이스 (214) 를 갖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수동 IoT 디바이스 (200B) 는 이러한 I/O 인터페이스 (214) 를 갖지 않는 디바이스 또는 다른 물리적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특정 IoT 디바이스들은 수동 IoT 디바이스 (200B) 를 식별하기 위해 수동 IoT 디바이스 (200B) 와 연관된 형상들, 사이즈들, 컬러들, 및/또는 다른 관찰가능한 피처들을 검출할 수 있는 적절한 스캐너 또는 판독기 메커니즘들을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임의의 적절한 물리적 오브젝트는 그 식별자 및 속성들을 통신하고, 제어형 IoT 네트워크 내에서 관찰되거나, 모니터링되거나, 제어되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관리될 수도 있다.
도 3 은 기능성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로직을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 (300) 를 예시한다. 통신 디바이스 (300) 는 IoT 디바이스들 (110 내지 120), IoT 디바이스 (200A), 인터넷 (175) 에 커플링된 임의의 컴포넌트들 (예를 들어, IoT 서버 (170)) 등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 전술된 통신 디바이스들 중 임의의 것에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통신 디바이스 (300) 는 도 1a 및 도 1b 의 무선 통신 시스템들 (100A 및 100B) 을 통해 하나 이상의 다른 엔티티들과 통신하도록 (또는 그들과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전자 디바이스에 대응할 수 있다.
도 3 을 참조하면, 통신 디바이스 (300) 는 정보를 수신 및/또는 송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305) 을 포함한다. 일 예에서, 통신 디바이스 (300) 가 무선 통신 디바이스 (예를 들어, IoT 디바이스 (200A) 및/또는 수동 IoT 디바이스 (200B)) 에 대응한다면, 정보를 수신 및/또는 송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305) 은 무선 트랜시버 및 연관된 하드웨어 (예를 들어, RF 안테나, MODEM, 변조기 및/또는 복조기 등) 와 같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 (예를 들어, 블루투스, Wi-Fi, Wi-Fi 다이렉트, 롱-텀 에볼루션 (LTE) 다이렉트 등) 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정보를 수신 및/또는 송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305) 은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 (예를 들어, 직렬 연결, USB 또는 파이어와이어 연결, 인터넷 (175) 이 액세스될 수 있는 이더넷 연결 등) 에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통신 디바이스 (300) 가 몇몇 타입의 네트워크 기반 서버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170)) 에 대응한다면, 정보를 수신 및/또는 송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305) 은, 일 예에서, 이더넷 프로토콜을 통해 네트워크 기반 서버를 다른 통신 엔티티들에 연결하는 이더넷 카드에 대응할 수 있다. 추가의 예에서, 정보를 수신 및/또는 송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305) 은 통신 디바이스 (300) 가 그의 로컬 환경 (예를 들어, 가속도계, 온도 센서, 광 센서, 로컬 RF 신호들을 모니터링하는 안테나 등) 을 모니터링할 수 있게 하는 센서류 또는 측정 하드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를 수신 및/또는 송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305) 은 또한, 실행될 경우, 정보를 수신 및/또는 송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305) 의 연관된 하드웨어가 그의 수신 및/또는 송신 기능(들) 을 수행하게 하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정보를 수신 및/또는 송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305) 은 소프트웨어 단독으로만 대응하는 것은 아니며, 정보를 수신 및/또는 송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305) 은 그의 기능성을 달성하도록 하드웨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의존한다.
도 3 을 참조하면, 통신 디바이스 (300) 는 정보를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된 로직 (310) 을 더 포함한다. 일 예에서, 정보를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된 로직 (310) 은 적어도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를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된 로직 (310) 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세싱 타입의 예시적 구현들은 결정들을 수행하는 것, 연결들을 확립하는 것, 상이한 정보 옵션들 사이에서 선택들을 하는 것, 데이터에 관련된 평가들을 수행하는 것, 통신 디바이스 (300) 에 커플링된 센서들과 상호작용하여 측정 동작들을 수행하는 것, 하나의 포맷으로부터 다른 포맷으로 (예를 들어, .wmv 내지 .avi 등과 같은 상이한 프로토콜들 사이에서) 정보를 변환하는 것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정보를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된 로직 (310) 에 포함된 프로세서는 범용 프로세서, DSP, ASIC, 필드 프로그래밍가능 게이트 어레이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가능 로직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여기에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대응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도 있지만, 대안적으로,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조합 (예를 들어, DSP 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결합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이러한 구성) 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정보를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된 로직 (310) 은 또한, 실행될 경우, 정보를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된 로직 (310) 의 연관된 하드웨어가 그의 프로세싱 기능(들) 을 수행하게 하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정보를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된 로직 (310) 은 소프트웨어 단독으로만 대응하는 것은 아니며, 정보를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된 로직 (310) 은 그의 기능성을 달성하도록 하드웨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의존한다.
도 3 을 참조하면, 통신 디바이스 (300) 는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로직 (315) 을 더 포함한다. 일 예에서,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로직 (315) 은 적어도 비일시적 메모리 및 연관된 하드웨어 (예를 들어, 메모리 제어기 등) 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로직 (315) 에 포함된 비일시적 메모리는 RAM, 플래시 메모리, ROM, 소거가능한 프로그래밍가능 ROM (EPROM), EEPROM, 레지스터들, 하드 디스크, 탈착가능한 디스크, CD-ROM, 또는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대응할 수 있다.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로직 (315) 은 또한, 실행될 경우,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로직 (315) 의 연관된 하드웨어가 그의 저장 기능(들) 을 수행하게 하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로직 (315) 은 소프트웨어 단독으로만 대응하는 것은 아니며,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로직 (315) 은 그의 기능성을 달성하도록 하드웨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의존한다.
도 3 을 참조하면, 통신 디바이스 (300) 는 정보를 제시하도록 구성된 로직 (320) 을 선택적으로 더 포함한다. 일 예에서, 정보를 제시하도록 구성된 로직 (320) 은 적어도 출력 디바이스 및 연관된 하드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 디바이스는 비디오 출력 디바이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스크린, USB, HDMI 와 같이 비디오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포트 등) 및 오디오 출력 디바이스 (예를 들어, 스피커들, 마이크로폰 잭, USB, HDMI 와 같은 오디오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포트 등), 진동 디바이스 및/또는 정보가 출력을 위해 포맷화될 수 있게 하거나 또는 통신 디바이스 (300) 의 사용자 또는 오퍼레이터에 의해 실질적으로 출력될 수 있게 하는 임의의 다른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디바이스 (300) 가 도 2a 에 도시된 것과 같은 IoT 디바이스 (200A) 및/또는 도 2b 에 도시된 것과 같은 수동 IoT 디바이스 (200B) 에 대응한다면, 정보를 제시하도록 구성된 로직 (320) 은 디스플레이 (226) 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의 예에서, 정보를 제시하도록 구성된 로직 (320) 은 특정 통신 디바이스들, 예컨대, 로컬 사용자를 갖지 않는 네트워크 통신 디바이스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스위치들 또는 라우터들, 원격 서버들 등) 에 대해 생략될 수 있다. 정보를 제시하도록 구성된 로직 (320) 은 또한, 실행될 경우, 정보를 제시하도록 구성된 로직 (320) 의 연관된 하드웨어가 그의 프리젠테이션 기능(들) 을 수행하게 하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정보를 제시하도록 구성된 로직 (320) 은 소프트웨어 단독으로만 대응하는 것은 아니며, 정보를 제시하도록 구성된 로직 (320) 은 그의 기능성을 달성하도록 하드웨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의존한다.
도 3 을 참조하면, 통신 디바이스 (300) 는 로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325) 을 선택적으로 더 포함한다. 일 예에서, 로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325) 은 적어도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 및 연관된 하드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는 버튼들,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키보드, 카메라, 오디오 입력 디바이스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 또는 마이크로폰 잭과 같이 오디오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포트 등), 및/또는 정보가 통신 디바이스 (300) 의 사용자 또는 오퍼레이터로부터 수신될 수 있게 하는 임의의 다른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디바이스 (300) 가 도 2a 에 도시된 것과 같은 IoT 디바이스 (200A) 및/또는 도 2b 에 도시된 것과 같은 수동 IoT 디바이스 (200B) 에 대응한다면, 로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325) 은 버튼들 (222, 224A, 및 224B), (터치스크린인 경우) 디스플레이 (22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의 예에서, 로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325) 은 특정 통신 디바이스들, 예컨대, 로컬 사용자를 갖지 않는 네트워크 통신 디바이스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스위치들 또는 라우터들, 원격 서버들 등) 에 대해 생략될 수 있다. 로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325) 은 또한, 실행될 경우, 로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325) 의 연관된 하드웨어가 그의 입력 수신 기능(들) 을 수행하게 하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로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325) 은 소프트웨어 단독으로만 대응하는 것은 아니며, 로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325) 은 그의 기능성을 달성하도록 하드웨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의존한다.
도 3 을 참조하면, 구성된 로직들 (305 내지 325) 이 도 3 에서 개별적인 또는 별개의 블록들로서 도시되어 있지만, 각각의 구성된 로직이 그의 기능성을 수행하게 하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는 부분적으로 중첩할 수 있음이 인지될 것이다. 예를 들어, 구성된 로직들 (305 내지 325) 의 기능성을 용이하게 하는 데 사용되는 임의의 소프트웨어는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로직 (315) 과 연관된 비일시적 메모리에 저장되어, 305 내지 325 의 구성된 로직들 각각이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로직 (315) 에 의해 저장된 소프트웨어의 동작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그들의 기능성 (즉, 이 경우에서, 소프트웨어 실행) 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구성된 로직들 중 하나와 직접적으로 연관된 하드웨어는 가끔 다른 구성된 로직들에 의해 대여되거나 또는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를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된 로직 (310) 의 프로세서는, 정보를 수신 및/또는 송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305) 에 의해 송신되기 전에, 데이터를 적절한 포맷으로 포맷화하여, 정보를 수신 및/또는 송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305) 이 정보를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된 로직 (310) 과 연관된 하드웨어 (즉, 프로세서) 의 동작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그의 기능성 (즉, 이 경우에서, 데이터의 송신) 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명시적으로 다르게 언급되지 않는다면, 본 개시물 전반에 걸쳐 사용된 어구 "하도록 구성된 로직" 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드웨어로 구현되는 양태를 호출하려고 의도된 것이며, 하드웨어와 독립적인 소프트웨어 전용 구현들에 맵핑하려고 의도된 것이 아니다. 또한, 다양한 블록들에서 구성된 로직 또는 "하도록 구성된 로직" 은 특정 로직 게이트들 또는 엘리먼트들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일반적으로 (하드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을 통해) 여기에 설명된 기능성을 수행하기 위한 능력을 지칭한다. 따라서, 다양한 블록들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 로직들 또는 "하도록 구성된 로직" 은 단어 "로직" 을 공유하지만 로직 게이트들 또는 로직 엘리먼트들로서 반드시 구현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블록들에서의 로직 간의 다른 상호작용들 또는 협력은 아래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양태들의 검토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해질 것이다.
다양한 실시형태들은 도 4 에 예시된 서버 (400) 와 같은 다양한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서버 디바이스들 중 임의의 것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일 예에서, 서버 (400) 는 상술된 IoT 서버 (170) 의 하나의 예시적인 구성에 대응할 수도 있다. 도 4 에서, 서버 (400) 는 휘발성 메모리 (402) 및 대용량 비휘발성 메모리, 예컨대, 디스크 드라이브 (403) 에 커플링된 프로세서 (401) 를 포함한다. 서버 (400) 는 또한 프로세서 (401) 에 커플링된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 콤팩트 디스크 (CD) 또는 DVD 디스크 드라이브 (406)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서버 (400) 는 또한, 다른 브로드캐스트 시스템 컴퓨터들과 서버들에 또는 인터넷에 커플링된 로컬 영역 네트워크와 같은 네트워크 (407) 와의 데이터 연결들을 확립하기 위해 프로세서 (401) 에 커플링된 네트워크 액세스 포트들 (404) 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3 의 맥락에서, 도 4 의 서버 (400) 는 통신 디바이스 (300) 의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을 예시하고, 그에 따라 정보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305) 은 네트워크 (407) 와 통신하기 위해 서버 (400) 에 의해 사용된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들 (404) 에 대응하고, 정보를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된 로직 (310) 은 프로세서 (401) 에 대응하며,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로직 구성 (315) 은 휘발성 메모리 (402), 디스크 드라이브 (403) 및/또는 디스크 드라이브 (406) 의 임의의 조합에 대응한다는 것이 인지될 것이다. 정보를 제시하도록 구성된 선택적 로직 (320) 및 로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선택적 로직 (325) 은 도 4 에 명시적으로 도시되지 않으며, 도 4 에 포함될 수도 있고 또는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도 4 는, 통신 디바이스 (300) 가 도 2a 에서와 같은 IoT 디바이스 구현에 부가적으로, 서버로 구현될 수도 있다는 것을 입증하는 것을 돕는다.
일반적으로, 전화기들, 태블릿 컴퓨터들, 랩톱 및 데스크톱 컴퓨터들, 어떤 운송체들, 등과 같은, 사용자 장비 (UE) 들은 로컬로 (예컨대, 블루투스, 로컬 Wi-Fi, 등으로) 또는 원격으로 (예컨대, 셀룰러 네트워크들, 인터넷, 등을 통해서) 서로 접속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욱이, 어떤 UE 들은 또한 디바이스들로 하여금 일-대-일 접속을 행할 수 있게 하거나 또는 서로 직접 통신하기 위해서 여러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그룹에 동시에 접속가능하게 하는 어떤 무선 네트워킹 기술들 (예컨대, Wi-Fi, 블루투스, Wi-Fi 다이렉트, 등) 을 이용하여 근접도-기반의 피어-투-피어 (P2P) 통신을 지원할 수도 있다. 그 목적을 위해, 도 5 는 발견가능 P2P 서비스들을 지원할 수도 있는 예시적인 무선 통신 네트워크 또는 WAN (500) 을 예시한다. 예를 들어, 일 실시형태에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 (500) 는 여러 기지국들 (510) 및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들을 포함하는 LTE 네트워크 또는 또 다른 적합한 WAN 을 포함할 수도 있다. 간결성을 위해, 단지 3개의 기지국들 (510a, 510b 및 510c), 하나의 네트워크 제어기 (530), 및 하나의 동적 호스트 구성 프로토콜 (DHCP) 서버 (540) 가 도 5 에 도시된다. 기지국 (510) 은 디바이스들 (520) 과 통신하는 엔티티 (entity) 일 수도 있으며, 또한 노드 B, 진화된 노드 B (eNB), 액세스 포인트, 등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각각의 기지국 (510) 은 특정의 지리적 영역에 대해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도 있으며, 커버리지 영역 내에 로케이트된 디바이스들 (520) 에 대해 통신을 지원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 용량을 향상시키기 위해, 기지국 (510) 의 전체 커버리지 영역은 다수의 (예컨대, 3개의) 더 작은 영역들로 파티셔닝될 수도 있으며, 여기서 각각의 더 작은 영역은 각각의 기지국 (510) 에 의해 서빙될 수도 있다. 3GPP 에서, 용어 "셀" 은 그 용어가 사용되는 상황에 따라서, 기지국 (510) 의 커버리지 영역 및/또는 이 커버리지 영역을 서빙하는 기지국 서브시스템 (510) 을 지칭할 수 있다. 3GPP2 에서, 용어 "섹터" 또는 "셀-섹터" 는 기지국 (510) 의 커버리지 영역 및/또는 이 커버리지 영역을 서빙하는 기지국 서브시스템 (510) 을 지칭할 수 있다. 명료성을 위해, "셀" 의 3GPP 컨셉이 본원의 설명에서 사용될 수도 있다.
기지국 (510) 은 매크로 셀, 피코 셀, 펨토 셀, 및/또는 다른 셀 유형들에 대해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도 있다. 매크로 셀은 상대적으로 큰 지리적 영역 (예컨대, 반경으로 수 킬로미터) 을 커버할 수도 있으며, 서비스 가입한 디바이스들 (520) 에 의한 비제한된 액세스를 허용할 수도 있다. 피코 셀은 상대적으로 작은 지리적 영역을 커버할 수도 있으며, 서비스 가입한 디바이스들 (520) 에 의한 비제한된 액세스를 허용할 수도 있다. 펨토 셀은 상대적으로 작은 지리적 영역 (예컨대, 홈) 을 커버할 수도 있으며, 펨토 셀과 연관하는 디바이스들 (520) (예컨대, 폐쇄 가입자 그룹 (CSG) 에서의 디바이스들 (520)) 에 의한 제한된 액세스를 허용할 수도 있다. 도 5 에 나타낸 예에서, 무선 네트워크 (500) 는 매크로 셀들을 위한 매크로 기지국들 (510a, 510b 및 510c) 을 포함한다. 무선 네트워크 (500) 는 또한 피코 셀들을 위한 피코 기지국들 (510) 및/또는 펨토 셀들 (도 5 에 미도시) 을 위한 홈 기지국들 (510) 을 포함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 제어기 (530) 는 기지국들 (510) 의 셋트에 커플링될 수도 있으며, 이들 기지국들 (510) 에 대해 조정 및 제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 제어기 (530) 는 기지국들과 백홀을 통해서 통신할 수 있는 단일 네트워크 엔티티 또는 네트워크 엔티티들의 컬렉션일 수도 있다. 기지국들은 또한 서로, 예컨대,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무선 또는 유선 백홀을 통해서 통신할 수도 있다. DHCP 서버 (540) 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P2P 통신을 지원할 수도 있다. DHCP 서버 (540) 는 무선 네트워크 (500) 의 일부이거나, 무선 네트워크 (500) 의 외부에 있거나, 인터넷 접속 공유 (ICS) 를 통해서 실행되거나, 또는 임의의 적합한 이들의 조합일 수도 있다. DHCP 서버 (540) 는 (예컨대,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별개의 엔티티일 수도 있거나 또는 기지국 (510), 네트워크 제어기 (530), 또는 일부 다른 엔티티의 일부일 수도 있다. 어쨌든, DHCP 서버 (540) 는 피어-투-피어 통신하기를 원하는 디바이스들 (520) 에 의해 도달가능할 수도 있다.
디바이스들 (520) 은 무선 네트워크 (500) 전체에 걸쳐서 흩어져 있을 수도 있으며, 각각의 디바이스 (520) 는 정지하고 있거나 또는 이동하고 있을 수도 있다. 디바이스 (520) 는 또한 노드, 사용자 장비 (UE), 스테이션, 이동국, 단말, 액세스 단말, 가입자 유닛, 등으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디바이스 (520) 는 셀룰러폰, 개인 휴대정보 단말기 (PDA), 무선 모뎀, 무선 통신 디바이스, 핸드헬드 디바이스, 랩톱 컴퓨터, 코드리스 폰, 무선 가입자 회선 (WLL) 국, 스마트 폰, 넷북, 스마트북, 태블릿, 등일 수도 있다. 디바이스 (520) 는 무선 네트워크 (500) 에서의 기지국들 (510) 과 통신할 수도 있으며, 다른 디바이스들 (520) 과 추가로 피어-투-피어 통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바이스들 (520a 및 520b) 은 피어-투-피어 통신할 수도 있으며, 디바이스들 (520c 및 520d) 은 피어-투-피어 통신할 수도 있으며, 디바이스들 (520e 및 520f) 은 피어-투-피어 통신할 수도 있으며, 디바이스들 (520g, 520h, 및 520i) 은 피어-투-피어 통신할 수도 있으며, 한편 나머지 디바이스들 (520) 은 기지국들 (510) 과 통신할 수도 있다. 도 5 에 추가로 나타낸 바와 같이, 디바이스들 (520a, 520d, 520f, 및 520h) 은 또한 예컨대, P2P 통신에 참가하지 않았을 때 또는 어쩌면 P2P 통신을 동반하여, 기지국들 (500) 과 통신할 수도 있다.
본원의 설명에서, WAN 통신은 예컨대, 또 다른 디바이스 (520) 와 같은 원격 엔티티와의 콜을 위해 무선 네트워크 (500) 에서 디바이스 (520) 과 기지국 (510) 사이의 통신을 지칭할 수도 있다. WAN 디바이스는 WAN 통신에 관련되거나 또는 관여되는 디바이스 (520) 이다. P2P 통신은 임의의 기지국 (510) 을 거치지 않는, 2개 이상의 디바이스들 (520) 사이의 직접 통신을 지칭한다. P2P 디바이스는 P2P 통신에 관련되거나 또는 관여되는 디바이스 (520), 예컨대, P2P 디바이스의 근접도 내에서 또 다른 디바이스 (520) 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를 가지는 디바이스 (520) 이다. 2개의 디바이스들은 예를 들어, 각각의 디바이스 (520) 가 다른 디바이스 (520) 를 검출할 수 있으면, 서로의 근접도 이내인 것으로 간주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디바이스 (520) 는 또 다른 디바이스 (520) 와, P2P 통신에 대해서는 직접, 또는 WAN 통신에 대해서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510) 을 통해서 통신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P2P 디바이스들 (520) 사이의 직접 통신은 P2P 그룹들로 조직화될 수도 있다. 좀더 자세하게 설명하면, P2P 그룹은 일반적으로 P2P 통신에 관련되거나 또는 관여되는 2개 이상의 디바이스들 (520) 의 그룹을 지칭하며 P2P 링크는 P2P 그룹에 대한 통신 링크를 지칭한다. 더욱이, 일 실시형태에서, P2P 그룹은 하나의 디바이스 (520) 지정 P2P 그룹 소유자 (또는, P2P 서버) 및 P2P 그룹 소유자에 의해 서빙되는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들 (520) 지정 P2P 클라이언트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P2P 그룹 소유자는 WAN 과 시그널링을 교환하는 것, P2P 그룹 소유자와 P2P 클라이언트들 사이의 데이터 송신을 조정하는 것, 등과 같은 어떤 관리 기능들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P2P 그룹은 기지국 (510a) 의 커버리지 하에서 디바이스들 (520a 및 520b) 을 포함하며, 제 2 P2P 그룹은 기지국 (510b) 의 커버리지 하에서 디바이스들 (520c 및 520d) 을 포함하며, 제 3 P2P 그룹은 상이한 기지국들 (510b 및 510c) 의 커버리지 하에서 디바이스들 (520e 및 520f) 을 포함하며, 제 4 P2P 그룹은 기지국 510c 의 커버리지 하에서 디바이스들 (520g, 520h 및 520i) 을 포함한다. 디바이스들 (520a, 520d, 520f, 및 520h) 은 그들의 각각의 P2P 그룹들에 대한 P2P 그룹 소유자들일 수도 있으며, 디바이스들 (520b, 520c, 520e, 520g, 및 520i) 은 그들의 각각의 P2P 그룹들에서 P2P 클라이언트들일 수도 있다. 도 5 에서 다른 디바이스들 (520) 은 WAN 통신에 참가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P2P 통신은 단지 P2P 그룹 내에서 발생할 수도 있으며, P2P 그룹 소유자와 그와 연관되는 P2P 클라이언트들 사이에서 단지 추가로 발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P2P 그룹 내 2개의 P2P 클라이언트들 (예컨대, 디바이스들 (520g 및 520i)) 이 정보를 교환하기를 원하면, P2P 클라이언트들 중 하나는 그 정보를 P2P 그룹 소유자 (예컨대, 디바이스 (520h)) 로 전송할 수도 있으며, P2P 그룹 소유자는 그후 송신들을 다른 P2P 클라이언트로 중계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특정의 디바이스 (520) 는 다수의 P2P 그룹들에 속할 수도 있으며, 각각의 P2P 그룹에서 P2P 그룹 소유자 또는 P2P 클라이언트로서 거동할 수도 있다. 더욱이, 일 실시형태에서, 특정의 P2P 클라이언트는 오직 하나의 P2P 그룹에 속하거나 또는 다수의 P2P 그룹에 속할 수도 있으며, 다수의 P2P 그룹들 중 임의의 그룹에서 P2P 디바이스들 (520) 과 임의의 특정의 순간에 통신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통신은 다운링크 및 업링크 상에서의 송신들을 통해서 촉진될 수도 있다. WAN 통신에 있어, 다운링크 (또는, 순방향 링크) 는 기지국들 (510) 로부터 디바이스들 (520) 로의 통신 링크를 지칭하며, 업링크 (또는, 역방향 링크) 는 디바이스들 (520) 로부터 기지국들 (510) 로의 통신 링크를 지칭한다. P2P 통신에 있어, P2P 다운링크는 P2P 그룹 소유자들로부터 P2P 클라이언트들로의 통신 링크를 지칭하며, P2P 업링크는 P2P 클라이언트들로부터 P2P 그룹 소유자들로의 통신 링크를 지칭한다. 어떤 실시형태들에서, P2P 를 통신하는데 WAN 기술들을 이용하기 보다는, 2개 이상의 디바이스들은 더 작은 P2P 그룹들을 형성하고, Wi-Fi, 블루투스, 또는 Wi-Fi 다이렉트와 같은 기술들을 이용하여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 (WLAN) 상에서 P2P 통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Wi-Fi, 블루투스, Wi-Fi 다이렉트, 또는 다른 WLAN 기술들을 이용한 P2P 통신은 2개 이상의 모바일 폰들, 게임 콘솔들, 랩톱 컴퓨터들, 또는 다른 적합한 통신 엔티티들 사이에 P2P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도 6 은 여러 디바이스들 (610, 630, 640) 이 통신할 수도 있는 근접도-기반의 분산된 버스를 확립하는데 발견가능 P2P 서비스들이 사용될 수도 있는 예시적인 환경 (600) 을 예시한다. 예를 들어, 일 실시형태에서, 단일 플랫폼 상에서 애플리케이션들 및 기타 등등 사이의 통신들은, 애플리케이션들이 서비스들을 다른 애플리케이션들에 제공하기 위해 분산된 버스 (625) 에 등록하며 다른 애플리케이션들이 등록된 애플리케이션들에 관한 정보에 대해 분산된 버스 (625) 에 쿼리하는 네트워크화된 컴퓨팅 환경에서 애플리케이션-대-애플리케이션 통신들을 가능하게 하는데 사용되는 소프트웨어 버스를 포함할 수도 있는 분산된 버스 (625) 를 통해 프로세스간 통신 프로토콜 (IPC) 프레임워크를 이용하여 촉진될 수도 있다. 이러한 프로토콜은 신호 메시지들 (예컨대, 통지들) 이 점-대-점 또는 브로드캐스트일 수도 있고 메소드 콜 메시지들 (method call messages) (예컨대, RPCs) 이 동기적 또는 비동기적일 수도 있고 그리고 분산된 버스 (625) (예컨대, "데몬" 버스 프로세스) 가 여러 디바이스들 (610, 630, 640) 사이의 메시지 라우팅을 처리할 수도 있는, 비동기적 통지들 및 원격 프로시저 콜들 (RPCs) 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분산된 버스 (625) 는 다양한 전송 프로토콜들 (예컨대, 블루투스, TCP/IP, Wi-Fi, CDMA, GPRS, UMTS, 등) 에 의해 지원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일 양태에 따르면, 제 1 디바이스 (610) 는 분산된 버스 노드 (612) 및 하나 이상의 로컬 엔드포인트들 (614) 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여기서, 분산된 버스 노드 (612) 는 분산된 버스 (625) 를 통한 (예컨대, 제 2 디바이스 (630) 및 제 3 디바이스 (640) 상의 분산된 버스 노드들 (632 및 642) 을 통한) 제 1 디바이스 (610) 와 연관되는 로컬 엔드포인트들 (614) 과, 제 2 디바이스 (630) 및 제 3 디바이스 (640) 와 연관되는 로컬 엔드포인트들 (634 및 644) 사이의 통신들을 촉진시킬 수도 있다. 도 7 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좀더 자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분산된 버스 (625) 는 대칭 멀티-디바이스 네트워크 토폴로지들을 지원할 수도 있으며, 디바이스 탈퇴 (drops-outs) 의 존재 시에 강건한 동작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임의의 하부의 전송 프로토콜 (예컨대, 블루투스, TCP/IP, Wi-Fi, 등) 과는 일반적으로 독립적일 수도 있는, 가상 분산된 버스 (625) 는 여러 보안 옵션들을, 비보안 (예컨대, 개방) 으로부터 보안 (예컨대, 인증 및 암호화) 까지 허용할 수도 있으며, 여기서, 보안 옵션들은 여러 디바이스들 (610, 630, 640) 이 서로에 대한 범위 또는 근접도에 들어갈 때 개입없이, 제 1 디바이스 (610), 제 2 디바이스 (630), 및 제 3 디바이스 (640) 사이의 자발적 (spontaneous) 접속들을 촉진하는 것과 동시에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물의 일 양태에 따르면, 도 7 은 제 1 디바이스 ("디바이스 A") (710) 및 제 2 디바이스 ("디바이스 B") (730) 가 통신하는 근접도-기반의 분산된 버스를 확립하는데 발견가능 P2P 서비스들이 사용될 수도 있는 예시적인 메시지 시퀀스 (700) 를 예시한다. 일반적으로, 디바이스 A (710) 는 디바이스 B (730) 와 통신하도록 요청할 수도 있으며, 여기서, 디바이스 A (710) 는 이러한 통신들을 촉진시키는 것을 도울 수도 있는 버스 노드 (712) 에 더해서 통신하도록 요청을 행할 수도 있는 로컬 엔드포인트 (714) (예컨대, 로컬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등) 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 디바이스 B (730) 는 로컬 엔드포인트 (714) 가 디바이스 A (710) 상의 로컬 엔드포인트 (714) 와 디바이스 B (730) 상의 로컬 엔드포인트 (734) 사이의 통신들을 촉진시키는 것을 도울 수도 있는 버스 노드 (732) 에 더해서 통신하려고 시도하고 있을 수도 있는 로컬 엔드포인트 (734)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버스 노드들 (712 및 732) 은 메시지 시퀀스 단계 754 에서 적합한 발견 메카니즘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 TCP/IP, UNIX, 또는 기타 등등에 의해 지원되는 접속들을 발견하는 메카니즘들이 사용될 수도 있다. 메시지 시퀀스 단계 756 에서, 디바이스 A (710) 상의 로컬 엔드포인트 (714) 는 버스 노드 (712) 를 통해서 이용가능한, 엔티티, 서비스, 엔드포인트 등에 접속하도록 요청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요청은 로컬 엔드포인트 (714) 와 버스 노드 (712) 사이의 요청-및-응답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메시지 시퀀스 단계 758 에서, 분산된 메시지 버스는 버스 노드 (712) 를 버스 노드 (732) 에 접속하고 이에 의해 디바이스 A (710) 와 디바이스 B (730) 사이에 P2P 접속을 확립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버스 노드들 (712 및 732) 사이에 분산된 버스를 형성하는 통신들은 적합한 근접도-기반의 P2P 프로토콜 (예컨대, 근위의 네트워크들을 동적으로 생성하여 근위의 P2P 통신을 촉진시키기 위해 상이한 제조업자들로부터의 접속된 제품들 및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들 사이의 상호운용성을 가능하도록 설계된 AllJoyn™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 를 이용하여 촉진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일 실시형태에서, 서버 (미도시) 는 버스 노드들 (712 및 732) 사이의 접속을 촉진시킬 수도 있다. 더욱이, 일 실시형태에서, 적합한 인증 메카니즘이 버스 노드들 (712 및 732) 사이에 접속을 형성하기 전에 사용될 수도 있다 (예컨대, 클라이언트가 인증 대화를 개시하기 위해 인증 커맨드를 전송할 수도 있는 SASL 인증 (authentication)). 또한, 메시지 시퀀스 단계 758 동안, 버스 노드들 (712 및 732) 은 다른 가용 엔드포인트들 (예컨대, 도 6 에서 디바이스 C (640) 상의 로컬 엔드포인트들 (644)) 에 관한 정보를 교환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들에서, 버스 노드가 유지하는 각각의 로컬 엔드포인트는 다른 버스 노드들로 광고될 수도 있으며, 여기서, 광고는 고유 엔드포인트 명칭들, 전송 유형들, 접속 파라미터들, 또는 다른 적합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메시지 시퀀스 단계 760 에서, 버스 노드 (712) 및 버스 노드 (732) 는 획득된 로컬 엔드포인트들 (734 및 714) 과 연관되는 정보를 각각 이용하여, 여러 버스 노드들을 통해서 이용가능한 실제 획득된 엔드포인트들을 나타낼 수도 있는 가상 엔드포인트들을 생성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버스 노드 (712) 상에서 라우팅하는 메시지는 실제 및 가상 엔드포인트들을 이용하여, 메시지들을 전달할 수도 있다. 또, 원격 디바이스들 (예컨대, 디바이스 A (710)) 상에 존재하는 모든 엔드포인트에 대해 하나의 로컬 가상 엔드포인트가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가상 엔드포인트들은 분산된 버스 (예컨대, 버스 노드 (712) 와 버스 노드 (732) 사이의 접속) 를 통해서 전송된 메시지들을 멀티플렉싱하거나 및/또는 디-멀티플렉싱할 수도 있다. 일 양태에서, 가상 엔드포인트들은 마치 실제 엔드포인트들처럼 로컬 버스 노드 (712 또는 732) 로부터 메시지들을 수신할 수도 있으며, 메시지들을 분산된 버스를 통해서 포워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가상 엔드포인트들은 메시지들을 엔드포인트 멀티플렉싱된 분산된 버스 접속으로부터 로컬 버스 노드들 (712 및 732) 로 포워딩할 수도 있다. 더욱이, 일 실시형태에서, 원격 디바이스 상의 가상 엔드포인트들에 대응하는 가상 엔드포인트들은 특정의 전송 유형들의 원하는 토폴로지들을 받아들이기 위해서 임의의 시간에 재접속될 수도 있다. 이러한 양태에서, UNIX 기반의 가상 엔드포인트들은 로컬로 간주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서, 재접속을 위한 후보들로서 간주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 TCP-기반의 가상 엔드포인트들은 하나의 홉 라우팅 (hop routing) 용으로 최적화될 수도 있다 (예컨대, 각각의 버스 노드 (712 및 732) 가 서로 직접 접속될 수도 있다). 또한, 블루투스-기반의 가상 엔드포인트들은 블루투스-기반의 마스터가 로컬 마스터 노드와 동일한 버스 노드일 수도 있는 단일 피코-넷 (single pico-net) (예컨대, 하나의 마스터 및 n 개의 슬레이브들) 용으로 최적화될 수도 있다.
메시지 시퀀스 단계 762 에서, 버스 노드 (712) 및 버스 노드 (732) 는 버스 인스턴스들을 병합하고 분산된 버스를 통해서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버스 상태 정보를 교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형태에서, 버스 상태 정보는 잘 알려진 고유한 엔드포인트 명칭 맵핑, 매칭 규칙들, 라우팅 그룹, 또는 다른 적합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태 정보는 분산된 버스 기반의 로컬 명칭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로컬 엔드포인트들 (714 및 734) 과의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버스 노드 (712) 및 버스 노드 (732) 인스턴스들 사이에 통신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버스 노드 (712) 및 버스 노드 (732) 는 분산된 버스에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을 담당하는 로컬 버스 제어기를 각각 유지할 수도 있으며, 여기서, 버스 제어기는 글로벌 메소드들 (global methods), 인수들 (arguments), 신호들, 및 다른 정보를 분산된 버스와 연관되는 표준들로 변환할 수도 있다. 메시지 시퀀스 단계 764 에서, 버스 노드 (712) 및 버스 노드 (732) 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버스 노드 접속들 동안 도입되는 임의의 변화들에 대해 각각의 로컬 엔드포인트들 (714 및 734) 에게 통지하기 위해 신호들을 통신 (예컨대, 브로드캐스트) 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새로운 및/또는 제거된 글로벌 및/또는 전환된 명칭들은 명칭 소유자 변경 신호들로 표시될 수도 있다. 더욱이, (예컨대, 명칭 충돌들로 인해) 로컬로 손실될 수도 있는 글로벌 명칭들 (global names) 은 명칭 손실 신호들로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명칭 충돌들로 인해 전달되는 글로벌 명칭들은 명칭 소유자 변경 신호들로 표시될 수도 있으며, 버스 노드 (712) 및 버스 노드 (732) 가 분리되는 경우 및/또는 분리될 때 사라지는 고유한 명칭들은 명칭 소유자 변경 신호들로 표시될 수도 있다.
위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잘 알려진 명칭들은 로컬 엔드포인트들 (714 및 734) 을 고유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통신들이 디바이스 A (710) 와 디바이스 B (730) 사이에 발생할 때, 상이한 잘 알려진 명칭 유형들이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 로컬 명칭은 버스 노드 (712) 가 직접 부착하는 디바이스 A (710) 와 연관되는 버스 노드 (712) 상에 오직 존재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에서, 글로벌 명칭은 모든 알려진 버스 노드들 (712 및 732) 상에 존재할 수도 있으며, 여기서 오직 그 명칭의 하나의 소유자만이 모든 버스 세그먼트들 상에 존재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버스 노드 (712) 및 버스 노드 (732) 가 결합되고 임의의 충돌들이 일어날 때, 소유자들 중 하나는 글로벌 명칭을 손실할 수도 있다. 또한 또 다른 예에서, 전환된 명칭은 클라이언트가 가상 버스와 연관되는 다른 버스 노드들에 접속될 때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양태에서, 전환된 명칭은 첨부된 말미 (end)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컨대, 글로벌 고유 식별자 (Globally Unique Identifier) "1234" 를 가진 분산된 버스에 접속된 잘 알려진 명칭 "org.foo" 를 가진 로컬 엔드포인트 (714) 는 "G1234.org.foo" 로서 발견될 수도 있다).
메시지 시퀀스 단계 766 에서, 버스 노드 (712) 및 버스 노드 (732) 는 다른 버스 노드들에게 엔드포인트 버스 토폴로지들에 대한 변화들을 통지하기 위해 신호들을 통신 (예컨대, 브로드캐스트) 할 수도 있다. 그후, 로컬 엔드포인트 (714) 로부터의 트래픽은 가상 엔드포인트들을 통과하여 디바이스 B (730) 상의 의도된 로컬 엔드포인트 (734) 에 도달할 수도 있다. 또, 동작 시, 로컬 엔드포인트 (714) 와 로컬 엔드포인트 (734) 사이의 통신들은 라우팅 그룹들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일 양태에서, 라우팅 그룹들은 엔드포인트들로 하여금, 엔드포인트들의 서브셋트로부터 신호들, 방법 콜들, 또는 다른 적합한 정보를 수신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라우팅 명칭은 버스 노드 (712 또는 732) 에 접속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P2P 애플리케이션은 애플리케이션에 내장된, 고유하고 잘 알려진 라우팅 그룹 명칭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 버스 노드들 (712 및 732) 은 라우팅 그룹들에의 로컬 엔드포인트들 (714 및 734) 의 등록 및/또는 등록해제 (de-registering) 를 지원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라우팅 그룹들은 현재의 버스 인스턴스를 넘어서 지속성을 갖지 않을 수도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애플리케이션들은 그들이 분산된 버스에 접속할 때마다 그들의 선호되는 라우팅 그룹들에 대해 등록할 수도 있다. 또한, 그룹들은 개방될 수도 있거나 (예컨대, 임의의 엔드포인트가 결합될 수 있다) 또는 폐쇄될 수도 있다 (예컨대, 오직 그룹의 생성자만이 그룹을 수정할 수 있다). 여전히 또한, 버스 노드 (712 또는 732) 는 다른 원격 버스 노드들에게 라우팅 그룹 엔드포인트들에 대한 추가들, 제거들, 또는 다른 변화들을 통지하기 위해 신호들을 전송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들에서, 버스 노드 (712 또는 732) 는 멤버가 그룹에 추가되거나 및/또는 그로부터 제거될 때는 언제나, 라우팅 그룹 변화 신호를 다른 그룹 멤버들에게 전송할 수도 있다. 또, 버스 노드 (712 또는 732) 는 라우팅 그룹으로부터 멤버들을 먼저 제거하지 않고, 라우팅 그룹 변화 신호를 그 분산된 버스로부터 분리하는 엔드포인트들로 전송할 수도 있다.
IoT 는 중요한 산업적 트렌드이다. 하지만, 기존의 초기의 IoT 솔루션들은 통일되지 않고 공통 인터페이스 또는 프로토콜을 공유하지 않는다. 상호접속할 필요성이 있을 수도 있는 다량의 IoT 디바이스들 및 포맷들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카 라디오를 스마트폰 및 오디오 플레이어에 접속하기를 희망할 수도 있다. 상호 통신할 기본적인 필요성 너머, 추가적인 미싱 (missing) 링크가 존재한다. 디바이스들 사이에 정보를 단지 전송하는 것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 애플리케이션 로직 및 사용자 입력을 통합할 필요성이 또한 존재한다.
따라서, 본 개시는 사용자 상호작용적 애플리케이션 가능 게이트웨이를 제공하는 무선 상호접속성 디바이스, 또는 "큐브 (Cube)" 를 제공한다. 큐브는, 근접 서비스들, 통지들, 애드 혹 (ad hoc) 네트워킹, 오디오 스트리밍, A2DP (Advanced Audio Distribution Profile) 파이프 서비스들, 텍스트-대-스피치 (text-to-speech) (TTS) 서비스들, 제어 서비스들, 및/또는 인증 서비스들과 같은, 다수의 IoT 서비스들을 지원할 수도 있다. 큐브는 게이트웨이 기능을 제공할 수 있고, 하지만 단순한 트랜슬레이터 (translator) 가 아니고, 그보다는 애플리케이션 트랜슬레이터이고, 사용자 입력이 트랜슬레이션 기능을 가이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큐브는 상이한 제조자들로부터의 디바이스들과 IoT 네트워크들 사이에 브릿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및/또는 상이한 오퍼레이팅 시스템들을 실행할 수 있다. 큐브는 이질적인 IoT 디바이스들이 서로 통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애드 혹 로컬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 로컬 무선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WiFi 네트워크, WiFi 다이렉트 네트워크, LTE 다이렉트 네트워크, 블루투스 네트워크 등일 수도 있다.
사용자가 IoT 디바이스를 그의/그녀의 개인 네트워크에 부가하거나 IoT 디바이스의 전원을 켤 때, 그 디바이스는 큐브에 등록할 수 있다. 등록하기 위해, 근접 서비스를 이용하여 큐브가 새로운 IoT 디바이스를 발견할 수도 있고 및/또는 새로운 IoT 디바이스가 먼저 큐브를 발견할 수도 있다. 이 개시물에서, IoT 디바이스들은, 그들이 동일한 방 또는 차량 내에 있는 경우에 서로 "근접 (proximate)" 한 것으로 고려되고, 이는 인증될 수 있다. 디바이스는 특정 사운드를 브로드캐스트하고 특정 응답을 리스닝 (listening) 함으로써 근접 디바이스를 식별할 수도 있다. 디바이스는 또한 특정 브로드캐스트 사운드를 또한 리스닝하고 브로드캐스트하는 디바이스에 대해 특정 응답을 제공할 수도 있다. 근접성은 또한 또는 대안적으로 디바이스의 큐브에 대한 그리고 동일한 서비스(들) 및 애플리케이션(들)을 위해 동일한 큐브에 접속되는 다른 디바이스들에 대한 근접도를 포함하도록 정의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다양한 디바이스들 및 사용자들이 참가하고 있는 곳에서, 디바이스는 그것이 큐브 및 다른 참가자들 가까이에 있는 경우에 근접한다.
일단 IoT 디바이스 및 큐브가 서로를 발견하면, 새로운 IoT 디바이스는 큐브에 접속할 수 있다. 큐브는 다른 IoT 디바이스들과 통신하기 위해 WiFi 액세스 포인트와 같은 로컬 무선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서 작용할 수도 있다. 일단 접속되면, IoT 디바이스는 큐브에 등록할 수 있고, 이는 큐브에 그것의 성능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큐브는 사용자의 IoT 네트워크 상의 모든 IoT 디바이스들의 성능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어느 시점에, 사용자는 사용자의 IoT 네트워크와 어떤 태스크 (task) 를 수행하기를 희망하거나 사용자의 IoT 네트워크로부터 어떤 정보를 취출 (retrieve) 하기를 희망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큐브를 액세스할 수 있고, 이 큐브는 IoT 네트워크가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태스크들, 또는 IoT 네트워크가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oT 네트워크는 통합된 온도계를 갖는 시계 (IoT 네트워크에서의 제 1 IoT 디바이스) 및 주위 온도를 또한 검출할 수 있는 비디오 카메라 (IoT 네트워크에서의 제 2 IoT 디바이스) 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 경우에, 큐브는 사용자가 비디오를 찍거나 현재의 실내 온도를 발견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아이콘들 (icons) 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가 예를 들어 온도 아이콘을 선택하는 경우에, 큐브는 현재 온도를 취출하기 위해 시계 또는 비디오 카메라 중 어느 것과 통신할 수 있다. 사용자는 큐브가 어느 디바이스로부터 이 정보를 취출할 것인지는 알 필요가 없다. 큐브는 그 다음, 취출된 온도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예를 들어,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큐브는 취출된 온도를 사용자의 스마트폰과 같은 다른 IoT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큐브는 또한 다른 기능성을 제공할 수도 있다. 다음 설명은 차량에서 플레이리스트를 공유하기 위해 큐브를 이용하는 일 예를 제공한다. 많은 차량들은 오디오 잭 및/또는 블루투스와 같은 다양한 접속 옵션들을 갖는다. 현재, 이들 차량 오디오 시스템들은 단일 디바이스만을 지원한다. 하지만, 차량 내에는 다수의 사람들이 존재할 수도 있고, 그들 각각은 그들이 차량의 오디오 시스템을 통해 플레이하기를 희망하는 노래들의 플레이리스트 및 미디어 플레이어 또는 스마트폰을 갖고 있다.
도 8 은 차량 오디오 시스템 (820) 과 플레이리스트를 공유하기 위해 큐브 (810) 를 이용하기 위한 일 예시적인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다. 호스트 (host) (830) 는 예를 들어 WiFi 를 통해 큐브 (810) 에 접속될 수도 있다. 큐브 (810) 는 예를 들어 블루투스를 통해 차량 오디오 시스템 (820) 에 접속될 수도 있다. 참가자들 (participants) (842, 844, 및 846) 은 예를 들어 WiFi 를 통해 큐브 (810) 에 접속될 수도 있다. 호스트 (830) 는 큐브 (810) 의 소유자 또는 오퍼레이터와 같이 큐브 (810) 에 대한 액세스를 갖는 사용자일 수도 있다. 호스트 (830) 는 차량 오디오 시스템 (820) 의 소유자 및/또는 오퍼레이터일 필요는 없지만, 아마도 차량 오디오 시스템 (820) 의 소유자 및/또는 오퍼레이터일 수도 있다.
도 9a 및 도 9b 는 차량 오디오 시스템 (820) 과 플레이리스트를 공유하기 위해 큐브 (810) 를 이용하기 위한 일 예시적인 플로우를 나타낸다. 도 9a 를 참조하면, 910 에서, 큐브 (810) 는 차량 오디오 시스템 (820) 과 통신하기 위해 애플리케이션을 론칭한다 (launches). 애플리케이션이 사전에 큐브 (810) 상에 다운로드 및 인스톨되지 않은 경우에, 호스트 (830) 는 이미 전원이 켜지지 않은 경우에 큐브 (810) 를 켤 수 있고, 그 다음,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및 인스톨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이 이미 큐브 (810) 상에 인스톨된 경우에, 호스트 (830) 는 예를 들어 큐브 (810) 상에서 이용가능한 애플리케이션들의 리스트를 스크롤함으로써 차량 오디오 시스템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다. 호스트 (830) 는 그 다음, 큐브 (810) 에 의해 확립된 로컬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그의/그녀의 UE 를 큐브 (810) 에 접속한다. 도 8, 도 9a, 및 도 9b 의 예에서, 로컬 무선 네트워크는 WiFi 네트워크이다.
920 에서, 큐브 (810) 는 차량 오디오 시스템 (820) 에 접속할 수 있다. 차량 오디오 시스템 (820) 은 발견가능한 로컬 무선 네트워크를 가질 수도 있다. 도 8, 도 9a, 및 도 9b 의 예에서, 로컬 무선 네트워크는 블루투스 네트워크이다. 호스트 (810) 는 큐브 (810) 를 차량 오디오 시스템 (820) 의 로컬 무선 네트워크와 페어링할 수 있다. 페어링 (pairing) 동안, 큐브 (810) 는 그것이 차량 오디오 시스템 (820) 의 로컬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있다는 통지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도 9b 를 참조하면, 930 에서, 참가자들 (842, 844, 및 846) 은 그들의 UE 들 상에 차량 오디오 시스템 애플리케이션을 론칭하고 큐브 (810) 에 접속할 수 있다. 참가자들 (842, 844, 및 846) 은 그들이 이미 그렇게 행하지 않은 경우에는 차량 오디오 시스템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및 인스톨할 수 있다. 큐브 (810) 및 참가자들 (842, 844, 및 846) 의 UE 들은, 그들이 서로 근접한지 결정하기 위해, 리슨 로케이션 (Listen Location) (LILO) 근접성 체크와 같은, 근접성 체크를 수행할 수 있다. LILO 는, 그것에 의해 사운드가 하나의 디바이스에 의해 방출되고 하나 이상의 다른 디바이스들에 의해 검출되는 메커니즘이다.
서로를 발견한 후에, 참가자들 (842, 844, 및 846) 의 UE 들은, 큐브 (810) 가 910 에서 확립한 로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큐브 (810) 에 접속할 수 있다. 참가자들 (842, 844, 및 846) 의 UE 들은, 도 5 내지 도 7 을 참조하여 상기 설명된 P2P 프로토콜과 같은 P2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큐브 (810) 에 접속할 수도 있다. 호스트 (830) 는, 예를 들어 큐브 (810) 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큐브 (810) 의 로컬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하도록 참가자들 (842, 844, 및 846) 을 개별적으로 허가할 수도 있고, 또는, 접속하기를 시도하는 모든 참가자들에 대해 허가할 수도 있다. 호스트 (830) 의 UE 는 참가자들 (842, 844, 및 846) 이 참여하고 있는 때 및/또는 어느 참가자들 (842, 844, 및 846) 이 참여하고 있다는 통지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고, 이용가능한 경우에, 차량 오디오 시스템 (820) 의 텍스트-대-스피치 (TTS) 시스템은 참여하고 있는 참가자들 (842, 844, 및 846) 을 명칭에 의해 알릴 수도 있다. 일단 접속되면, 참가자들 (842, 844, 및 846) 은 큐브 (810) 상에 프로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940 에서, 호스트 (830) 및 참가자들 (842, 844, 및 846) 은 그들의 각각의 플레이리스트들을 공유할 수 있다. 큐브 (810) 는 참가자들 (842, 844, 및 846) 및 호스트 (830) 가 노래들을 추가할 수 있는 글로벌 플레이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참가자들 (842, 844, 및 846) 및 호스트 (830) 의 UE 들은 글로벌 플레이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고, 요청된 노래들의 큐 (queue) 에 노래들을 추가하며, 글로벌 플레이리스트에 노래가 추가되었다는 통지들을 볼 수 있다. 호스트 (830) 는, 그의/그녀의 UE 를 통해, 요청된 노래들의 큐에서의 어느 노래들이 플레이리스트에 추가되는지, 노래들을 건너뛰는지, 노래들을 일시정지하는지 등을 제어하는 것과 같이, 글로벌 플레이리스트를 관리할 수 있다. 호스트 (830) 는 또한, 큐브 (810) 를 통해 차량 오디오 시스템 (820) 의 볼륨을 제어할 수도 있다. 큐브 (810) 는 다양한 참가자들 (842, 844, 및 846) 로부터 글로벌 플레이리스트 상의 노래들을 수신하고, 그것들을 차량 오디오 시스템 (820) 에 스트리밍한다. 일 예로서, 큐브 (810) 는 플레이리스트 상의 노래들을 수신하고 그것들을 차량 (820) 의 오디오 시스템에 실시간으로 스트리밍할 수도 있고, 또는, 한 번에 주어진 수의 노래들을 버퍼링한 다음, 그것들을 차량 오디오 시스템 (820) 에 실시간으로 스트리밍할 수도 있다. 차량 오디오 시스템 (820) 은 그 노래들을 플레이할 수 있고, 이용가능한 경우, 그것의 TTS 시스템을 이용하여 그것이 어느 노래를 플레이하려는지를 알릴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다수의 디바이스들이 합쳐져서 단일의 글로벌 디바이스를 형성할 수 있고, 여기서, 다수의 플레이리스트들은 큐브 (810) 에서 단일의 글로벌 플레이리스트 내로 결합된다. 이 글로벌 플레이리스트는 그러면 단일의 엔티티로서 어드레싱가능 (addressable) 하고, 이에 의해, 디바이스들의 분리 셋트 (즉, 호스트 (830) 및 참가자들 (842, 844, 및 846)) 의 새로운 표현을 제공한다.
도 10 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형태들에 따른,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들 사이에 상호접속성을 제공하기 위한 일 예시적인 플로우를 나타낸다. 사용자 디바이스들은 IoT 디바이스들일 수도 있다. 도 8, 도 9a, 및 도 9b 에서의 큐브 (810) 와 같은 무선 상호접속성 디바이스는 도 10 에 나타낸 플로우를 수행할 수도 있다.
도 10 의 플로우에서, 제 1 사용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디바이스들은 제 2 사용자 디바이스를 액세스하기를 희망할 수도 있다. 하지만, 제 2 사용자 디바이스는, 한 번에 오직 하나의 사용자 디바이스만이 그것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제 1 사용자 디바이스 및 제 2 사용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디바이스들은 서로 호환가능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무선 상호접속성 디바이스는 이들 사용자 디바이스들 사이에 상호접속성을 제공할 수 있다. 제 3 사용자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무선 상호접속성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을 관리할 수 있다.
1010 에서, 무선 상호접속성 디바이스는 제 1 사용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디바이스들을 발견할 수도 있다. 무선 상호접속성 디바이스는 근접 디바이스들을 검출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사용자 디바이스들을 발견할 수도 있다. 제 1 사용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디바이스들은 유사한 근접성 검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무선 상호접속성 디바이스를 발견할 수도 있다.
1020 에서, 무선 상호접속성 디바이스는 로컬 무선 네트워크를 확립하고, 제 1 사용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디바이스들에 접속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사용자 디바이스들 및 무선 상호접속성 디바이스는 P2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로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접속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사용자 디바이스들은 무선 상호접속성 디바이스를 액세스하기 위해 다운로드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도 있다.
1030 에서, 무선 상호접속성 디바이스는 제 2 사용자 디바이스에 접속할 수 있다. 무선 상호접속성 디바이스는 1020 에서 확립된 로컬 무선 네트워크와는 상이한 로컬 무선 네트워크 또는 상이한 유형의 로컬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제 2 사용자 디바이스에 접속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1020 에서, 무선 상호접속성 디바이스는 제 1 WiFi 네트워크를 확립할 수도 있는 한편, 1030 에서, 무선 상호접속성 디바이스는 제 2 WiFi 네트워크를 통해 제 2 사용자 디바이스에 접속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서, 1020 에서, 무선 상호접속성 디바이스는 WiFi 또는 WiFi 다이렉트 네트워크를 확립할 수도 있는 한편, 1030 에서, 무선 상호접속성 디바이스는 블루투스 연결을 통해 제 2 사용자 디바이스에 접속할 수도 있다. 제 3 사용자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무선 상호접속성 디바이스로 하여금 제 2 사용자 디바이스에 접속하도록 지시할 수도 있다.
비록 도 10 은 무선 상호접속성 디바이스가 하나 이상의 사용자 디바이스들을 발견하고 (블록 1010), 제 2 사용자 디바이스에 접속 (블록 1030) 하기 전에 로컬 무선 네트워크를 확립하고 하나 이상의 사용자 디바이스들에 접속 (블록 1020) 하는 것을 나타냈지만, 무선 상호접속성 디바이스는 이들 동작들을 역순으로, 즉, 블록 1030 다음에 블록들 1010 및 1020 을 수행할 수도 있고, 또는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다.
1040 에서, 무선 상호접속성 디바이스는 는 제 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제 2 사용자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제 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의 요청을 수신할 수도 있다.
1050 에서, 무선 상호접속성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제 3 사용자 디바이스를 통해, 제 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제 2 사용자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허가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제 3 사용자 디바이스는, 제 1 사용자 디바이스가 1020 에서 무선 상호접속성 디바이스에 접속하는 것을 허락함으로써, 제 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무선 상호접속성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허가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 3 사용자 디바이스는, 제 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무선 상호접속성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각각의 요청에 기초하여 제 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무선 상호접속성 디바이스에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하는 허가를 승인 또는 거부할 수도 있다.
1060 에서, 제 3 사용자 디바이스가 허가한 경우에, 무선 상호접속성 디바이스는 제 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제 2 사용자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 1070 에서, 제 3 사용자 디바이스가 허가하지 않은 경우에, 요청은 거부된다.
비록 도 10 에서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무선 상호접속성 디바이스는 제 4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제 2 사용자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디바이스들의 제 4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의 요청을 수신할 수도 있다. 무선 상호접속성 디바이스는 제 3 사용자 디바이스가 제 4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제 2 사용자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허가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제 3 사용자 디바이스가 허가한 경우에, 무선 상호접속성 디바이스는 제 4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제 2 사용자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다. 제 3 사용자 디바이스는, 데이터가 제 1 사용자 디바이스 및 제 4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제 2 사용자 디바이스로 전송되는 순서를 제어할 수도 있다. 무선 상호접속성 디바이스 는 제 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된 데이터 및 제 4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글로벌 플레이리스트를 생성할 수도 있다. 글로벌 플레이리스트는 단일 엔티티로서 어드레싱가능할 수도 있고, 제 1 사용자 디비이스 및 제 4 사용자 디바이스의 표현을 제공할 수도 있다.
도 11 은, 도 8 에서의 큐브 (810) 와 같은, 일 예시적인 무선 상호접속성 디바이스 (1100) 를 나타낸다. 무선 상호접속성 디바이스 (1100) 는 디스플레이 (1105), 터치스크린 및/또는 키패드 (1110), 스피커 (1115), 및 마이크로폰 (1120) 을 포함할 수도 있다. 무선 상호접속성 디바이스 (1100) 는 또한, 다른 IoT 디바이스들을 발견하고 그들과 통신하기 위한 2 개 이상의 트랜시버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1 의 예에서, 무선 상호접속성 디바이스 (1100) 는 제 1 트랜시버 (1125) 및 제 2 트랜시버 (1130) 를 포함하고, 선택적으로는, 제 3 트랜시버 (1135) 및/또는 제 4 트랜시버 (1140) 와 같은, 임의의 수의 추가적인 트랜시버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트랜시버들 (1125 내지 1140) 은 예를 들어, WiFi 네트워크들, WiFi 다이렉트 네트워크들, LTE 다이렉트 네트워크들, 블루투스 네트워크들 등과 같은 로컬 무선 네트워크들을 위한 트랜시버들일 수도 있다. 하나의 유형의 로컬 무선 네트워크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트랜시버가 존재하여야 하고 다른 유형의 네트워크에 대해 다른 트랜시버가 존재하여야 한다. 도 11 의 예에서, 트랜시버들 (1125 내지 1140) 중 2 개는 하나의 유형의 로컬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것일 수도 있고, 다른 2 개의 트랜시버들 (1125 및 1140) 은 다른 유형의 로컬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것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트랜시버들 (1125 및 1135) 은 WiFi 트랜시버들일 수도 있는 한편, 트랜시버들 (1130 및 1140) 은 블루투스 트랜시버들일 수도 있다.
무선 상호접속성 디바이스 (1100) 는 또한 전력 공급기 (1145) 및 가속도계 (1150)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전력 공급기 (1145) 는 WiPower™ 무선 전력 공급기와 같은 무선 전력 공급기일 수도 있다. 무선 상호접속성 디바이스 (1100) 는 메모리 (1155) 및 프로세서 (1160) 를 또한 포함할 수도 있다. 메모리 (1155) 는 ROM, RAM, EEPROM, 플래시 카드들, 또는 컴퓨터 플랫폼들에 대해 공통인 임의의 메모리일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1105), 터치스크린/키패드 (1110), 스피커 (1115), 마이크로폰 (1120), 트랜시버들 (1125 내지 1140), 메모리 (1155), 및 프로세서 (1160) 는 본원에 개시된 다양한 기능들을 로드, 저장 및 실행하기 위해 모두 협동하여 사용될 수도 있고, 따라서 이들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로직은 다양한 엘리먼트들을 통해 분포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기능은 하나의 별개의 컴포넌트 내로 통합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일 양태는 본원에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능력을 포함하는 무선 상호접속성 디바이스 (예컨대, 무선 상호접속성 디바이스 (1100)) 를 포함할 수 있다.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같이, 다양한 로직 엘리먼트들은 본원에 개시된 기능성을 달성하기 위해 이산 엘리먼트들, 프로세서 (예컨대, 프로세서 (1160)) 상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들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임의의 조합에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및 제 2 트랜시버들 (1125 및 1130), 프로세서 (1160), 메모리 (1155), 및/또는 터치스크린/키패드 (1110) 는 본원에 개시된 다양한 기능들을 로드, 저장 및 실행하기 위해 모두 협동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따라서 이들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로직은 다양한 엘리먼트들에 걸쳐 분산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기능성은 하나의 별개의 컴포넌트 내로 통합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도 11 에서의 무선 상호접속성 디바이스 (1100) 의 특징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고려되고, 본 개시는 예시된 특징들 또는 배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무선 상호접속성 디바이스가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들 사이에 상호접속성을 제공하는 곳에서, 제 1 또는 제 2 트랜시버 (1125 및 1130) 는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들 중 제 1 사용자 디바이스를 발견할 수도 있다. 제 1 또는 제 2 트랜시버들 (1125 및 1130) 중 다른 것은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들 중 제 2 사용자 디바이스를 발견할 수도 있다. 제 1 또는 제 2 트랜시버들 (1125 및 1130) 중 하나, 예컨대, 제 1 트랜시버 (1125) 는 WiFi 네트워크와 같은 제 1 로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제 1 사용자 디바이스에 접속할 수도 있다. 제 1 또는 제 2 트랜시버들 (1125 및 1130) 중 다른 것, 예컨대, 제 2 트랜시버 (1130) 는 블루투스 네트워크와 같은 제 2 로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제 2 사용자 디바이스에 접속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 (1160) 는, 제 1 트랜시버 (1125) 를 통해, 제 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제 2 사용자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제 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의 요청을 수신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 (1160) 는 제 3 사용자 디바이스가 제 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제 2 사용자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허가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일 양태에서, 제 3 사용자 디바이스는 제 1 로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무선 상호접속성 디바이스에 접속될 수도 있고, 프로세서 (1160) 는 제 1 트랜시버 (1125) 를 통해 제 3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허가를 수신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 (1160), 메모리 (1155), 및 제 1 및 제 2 트랜시버들 (1125 및 1130) 은, 제 3 사용자 디바이스가 제 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제 2 사용자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허가한 것에 기초하여 제 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제 2 사용자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협동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통상의 기술자들은 정보 및 신호들이 임의의 다양한 상이한 기술들 및 기법들을 사용하여 표현될 수도 있음을 인지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설명을 통해 언급될 수도 있는 데이터, 명령들, 커맨드들, 정보, 신호들, 비트들, 심볼들, 및 칩들은 전압들, 전류들, 전자기파들, 자기 필드들 또는 자기 입자들, 광학 필드들 또는 입자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표현될 수도 있다.
또한, 통상의 기술자들에게는 본원에 개시된 양태들에 관련하여 설명되는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양쪽 모두의 조합들로 구현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인지할 것이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이러한 상호교환가능성을 명백히 예시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적인 컴포넌트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이 일반적으로 이들의 기능성의 관점에서 설명되었다. 이러한 기능성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중 어느 것으로 구현되는지는 전체 시스템에 부과되는 설계 제약들 및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의존한다. 통상의 기술자들은 설명된 기능성을 각각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다양한 방법들로 구현할 수도 있지만, 이러한 구현 결정들은 본 개시물의 범위를 벗어나도록 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원에 개시된 실시형태들에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은 여기에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SP), 주문형 집적 회로 (ASIC), 필드 프로그래밍가능 게이트 어레이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가능 로직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되거나 수행될 수도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도 있지만, 대안적으로는, 그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조합 (예를 들어, DSP 및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협력하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이러한 구성) 으로도 구현될 수도 있다.
본원에 개시된 실시형태들과 관련하여 설명한 방법들, 시퀀스들 및/또는 알고리즘들은, 직접 하드웨어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또는 이들 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 디스크, 착탈식 디스크, CD-ROM 또는 당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가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정보를 저장 매체에 기입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에 커플링된다. 대안적으로는, 저장 매체가 프로세서에 통합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ASIC 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 는 IoT 디바이스에 상주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는,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이산 컴포넌트들로서 사용자 단말기에 상주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에서, 설명한 기능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그 기능들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에 하나 이상의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저장되거나 또는 송신될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은, 한 장소로부터 다른 장소로의 컴퓨터 프로그램의 전송을 용이하게 하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는 통신 매체들 및 컴퓨터 저장 매체들 양쪽 모두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들은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이용가능 매체들일 수도 있다. 제한이 아닌 예로서,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은,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 디스크 저장, 자기 디스크 저장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운반하거나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연결이 적절히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 지칭된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가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 (twisted pair), 디지털 가입자 라인 (DSL) 또는 무선 기술들, 예컨대, 적외선, 무선 및 마이크로파를 사용하여, 웹 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송신된다면,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 DSL, 또는 적외선, 무선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이 그 매체의 정의에 포함된다. 디스크 (disk) 및 디스크 (disc) 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콤팩트 디스크 (CD), 레이저 디스크, 광 디스크,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 (DVD), 플로피 디스크 및 블루레이 디스크를 포함하며, 여기서, 디스크 (disk) 들은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보통 재생하지만, 디스크 (disc) 들은 레이저로 데이터를 광학적으로 재생한다. 또한, 상술한 것들의 조합들도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전술한 개시물이 본 개시물의 예시적인 양태들을 나타내지만,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 규정되는 본 개시물의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일 없이 다양한 변화들 및 변경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여기에 설명된 본 개시물의 양태들에 따른 방법 청구항들의 기능들, 단계들 및/또는 액션들은 어떤 특정의 순서로 수행될 필요는 없다. 또한, 비록 본 개시물의 엘리먼트들이 단수로 설명되거나 또는 청구될 수도 있지만, 그 단수로의 제한이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복수가 고려된다.

Claims (30)

  1. 무선 상호접속성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들 사이에 상호접속성을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제 1 로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들의 제 1 사용자 디바이스에 접속하는 단계;
    제 2 로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들의 제 2 사용자 디바이스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제 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 2 사용자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상기 제 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제 3 사용자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 2 사용자 디바이스로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허가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 3 사용자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 2 사용자 디바이스로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허가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 2 사용자 디바이스로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들 사이에 상호접속성을 제공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사용자 디바이스는 상기 무선 상호접속성 디바이스를 액세스하기 위해 다운로드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들 사이에 상호접속성을 제공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사용자 디바이스는 상기 무선 상호접속성 디바이스가 상호접속성을 제공하지 않고서는 상기 제 2 사용자 디바이스를 액세스할 수 없는,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들 사이에 상호접속성을 제공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사용자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사용자 디바이스가 상기 무선 상호접속성 디바이스에 접속하는 것을 허락함으로써, 상기 제 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무선 상호접속성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허가하는,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들 사이에 상호접속성을 제공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사용자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무선 상호접속성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각각의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무선 상호접속성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허가 또는 허가거부하는,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들 사이에 상호접속성을 제공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제 4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 2 사용자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상기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들의 상기 제 4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3 사용자 디바이스가 상기 제 4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 2 사용자 디바이스로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허가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 3 사용자 디바이스가 허가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 4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 2 사용자 디바이스로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들 사이에 상호접속성을 제공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사용자 디바이스 및 상기 제 4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 2 사용자 디바이스로 상기 데이터가 전송되는 순서를 제어하는 상기 제 3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들 사이에 상호접속성을 제공하는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데이터 및 상기 제 4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데이터를 포함하는 글로벌 플레이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들 사이에 상호접속성을 제공하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글로벌 플레이리스트는 단일 엔티티로서 어드레싱가능하고, 상기 제 1 사용자 디바이스 및 상기 제 4 사용자 디바이스의 표현을 제공하는,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들 사이에 상호접속성을 제공하는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사용자 디바이스를 발견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사용자 디바이스를 발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들 사이에 상호접속성을 제공하는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상호접속성 디바이스는 근접도 검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사용자 디바이스를 발견하는,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들 사이에 상호접속성을 제공하는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상호접속성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 1 로컬 무선 네트워크를 확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들 사이에 상호접속성을 제공하는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상호접속성 디바이스는 상기 제 3 사용자 디바이스의 사용자로부터의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사용자 디바이스에 접속하는,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들 사이에 상호접속성을 제공하는 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로컬 무선 네트워크는 상기 제 2 로컬 무선 네트워크와 동일한 유형의 로컬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들 사이에 상호접속성을 제공하는 방법.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로컬 무선 네트워크는 상기 제 2 로컬 무선 네트워크와는 상이한 유형의 로컬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들 사이에 상호접속성을 제공하는 방법.
  16.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들 사이에 상호접속성을 제공하기 위한 무선 상호접속성 디바이스로서,
    제 1 로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들의 제 1 사용자 디바이스에 접속하도록 구성된 제 1 트랜시버;
    제 2 로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들의 제 2 사용자 디바이스에 접속하도록 구성된 제 2 트랜시버로서, 상기 제 1 트랜시버는 상기 제 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 2 사용자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상기 제 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의 요청을 수신하도록 더 구성되는, 상기 제 2 트랜시버; 및
    제 3 사용자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 2 사용자 디바이스로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허가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프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트랜시버는, 상기 제 3 사용자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 2 사용자 디바이스로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허가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 2 사용자 디바이스로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더 구성되는, 무선 상호접속성 디바이스.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사용자 디바이스는 상기 무선 상호접속성 디바이스가 상호접속성을 제공하지 않고서는 상기 제 2 사용자 디바이스를 액세스할 수 없는, 무선 상호접속성 디바이스.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사용자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사용자 디바이스가 상기 무선 상호접속성 디바이스에 접속하는 것을 허락함으로써, 상기 제 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무선 상호접속성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허가하는, 무선 상호접속성 디바이스.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사용자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무선 상호접속성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각각의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무선 상호접속성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허가 또는 허가거부하는, 무선 상호접속성 디바이스.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트랜시버는, 제 4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 2 사용자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상기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들의 상기 제 4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의 요청을 수신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3 사용자 디바이스가 상기 제 4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 2 사용자 디바이스로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허가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더 구성되며, 그리고
    상기 제 2 트랜시버는, 상기 제 3 사용자 디바이스가 허가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 4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 2 사용자 디바이스로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더 구성되는, 무선 상호접속성 디바이스.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사용자 디바이스 및 상기 제 4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 2 사용자 디바이스로 상기 데이터가 전송되는 순서를 제어하는 상기 제 3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하도록 더 구성되는, 무선 상호접속성 디바이스.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데이터 및 상기 제 4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데이터를 포함하는 글로벌 플레이리스트를 생성하도록 더 구성되는, 무선 상호접속성 디바이스.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글로벌 플레이리스트는 단일 엔티티로서 어드레싱가능하고, 상기 제 1 사용자 디바이스 및 상기 제 4 사용자 디바이스의 표현을 제공하는, 무선 상호접속성 디바이스.
  24.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트랜시버는 근접도 검출 애플리케이션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사용자 디바이스를 발견하도록 더 구성되는, 무선 상호접속성 디바이스.
  25.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트랜시버는 상기 제 1 로컬 무선 네트워크를 확립하도록 더 구성되는, 무선 상호접속성 디바이스.
  26.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트랜시버는 상기 제 3 사용자 디바이스의 사용자로부터의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사용자 디바이스에 접속하도록 더 구성되는, 무선 상호접속성 디바이스.
  2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로컬 무선 네트워크는 상기 제 2 로컬 무선 네트워크와 동일한 유형의 로컬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무선 상호접속성 디바이스.
  2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로컬 무선 네트워크는 상기 제 2 로컬 무선 네트워크와는 상이한 유형의 로컬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무선 상호접속성 디바이스.
  29.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들 사이에 상호접속성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로서,
    제 1 로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들의 제 1 사용자 디바이스에 접속하기 위한 수단;
    제 2 로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들의 제 2 사용자 디바이스에 접속하기 위한 수단;
    상기 제 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 2 사용자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상기 제 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의 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제 3 사용자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 2 사용자 디바이스로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허가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제 3 사용자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 2 사용자 디바이스로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허가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 2 사용자 디바이스로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들 사이에 상호접속성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30.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들 사이에 상호접속성을 제공하기 위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무선 상호접속성 디바이스로 하여금, 제 1 로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들의 제 1 사용자 디바이스에 접속하게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
    무선 상호접속성 디바이스로 하여금, 제 2 로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들의 제 2 사용자 디바이스에 접속하게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
    무선 상호접속성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제 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 2 사용자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상기 제 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의 요청을 수신하게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
    무선 상호접속성 디바이스로 하여금, 제 3 사용자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 2 사용자 디바이스로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허가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하게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 및
    무선 상호접속성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제 3 사용자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 2 사용자 디바이스로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허가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 2 사용자 디바이스로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게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KR1020167009848A 2013-09-16 2014-08-29 사용자 상호작용적 애플리케이션 가능 게이트웨이 KR2016005590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878522P 2013-09-16 2013-09-16
US61/878,522 2013-09-16
US14/472,083 US9843886B2 (en) 2013-09-16 2014-08-28 User interactive application enabled gateway
US14/472,083 2014-08-28
PCT/US2014/053547 WO2015038362A1 (en) 2013-09-16 2014-08-29 A user interactive application enabled gatewa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5902A true KR20160055902A (ko) 2016-05-18

Family

ID=51610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9848A KR20160055902A (ko) 2013-09-16 2014-08-29 사용자 상호작용적 애플리케이션 가능 게이트웨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843886B2 (ko)
EP (1) EP3047616B1 (ko)
JP (1) JP2016539587A (ko)
KR (1) KR20160055902A (ko)
CN (1) CN105531971B (ko)
WO (1) WO20150383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51068B2 (en) 2013-11-14 2018-08-14 Qualcomm Incorporated Mechanisms to route IoT notifications according to user activity and/or proximity detection
US10638190B2 (en) 2013-12-23 2020-04-28 Blutether Limited Personal area network proxy service for video systems
US11570281B2 (en) * 2013-12-23 2023-01-31 Blutether Limited Mobile application-based proxy service for connecting devices such as meters to a remote server
TWI503694B (zh) * 2014-02-14 2015-10-11 尚宏電子股份有限公司 網路系統及其設定方法
US20180356961A1 (en) 2014-06-09 2018-12-13 Google Inc. Low-friction, instant, private, personalized video sharing widget
US9571464B2 (en) * 2014-08-11 2017-02-14 Intel Corporation Network-enabled device provisioning
KR101605968B1 (ko) * 2014-10-08 2016-03-24 한국과학기술원 가상 객체의 동적 인스턴스 호스팅 서비스 변경 방법 및 시스템
US20160125470A1 (en) * 2014-11-02 2016-05-05 John Karl Myers Method for Marketing and Promotion Using a General Text-To-Speech Voice System as Ancillary Merchandise
US10127579B2 (en) * 2015-06-02 2018-11-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Personalizing advertisements based on proximate computing devices
US10038992B1 (en) * 2015-07-25 2018-07-31 Gary M. Zalewski Wireless coded communication (WCC) devices with power harvesting power sources used in switches
US9959558B2 (en) * 2015-08-18 2018-05-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lication cards as advertisements
WO2017107123A1 (en) * 2015-12-24 2017-06-29 Intel Corporation Universal interface for sensor devices
US10321193B2 (en) * 2016-09-02 2019-06-11 Google Llc Sharing a user-selected video in a group communication
US9949068B2 (en) * 2016-09-19 2018-04-1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a wearable device
EP3367289A1 (en) * 2017-02-27 2018-08-29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Internet connection setup between computing devices using blockchains
US10756924B2 (en) 2017-04-12 2020-08-25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System and method for encoding data within a vehicle communication network
EP3399722A1 (en) * 2017-05-02 2018-11-07 New Tinxs NV Mobile routing system and related platform
DE102017117130A1 (de) * 2017-07-28 2019-01-31 Ebm-Papst Mulfingen Gmbh & Co. Kg Drahtlosübertragung
US11144627B2 (en) * 2017-09-20 2021-10-12 Qualcomm Incorporated Peer assisted enhanced authentication
KR102414927B1 (ko) * 2018-03-21 2022-06-30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서비스를 사용하는 기기의 인증 방법 및 장치
CN110855539B (zh) * 2019-11-18 2021-11-23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设备发现方法、装置及存储介质
US11445057B2 (en) * 2020-06-17 2022-09-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ivate contact sharing
CN116339156A (zh) * 2021-12-16 2023-06-2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智能家居的控制方法、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282272T1 (de) 2000-01-31 2004-11-15 Aeptec Microsystems Inc Zugangsvorrichtung für breitbandkommunikationen
US20040044776A1 (en) 2002-03-22 2004-03-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eer to peer file sharing system using common protocols
US7522906B2 (en) 2002-08-09 2009-04-21 Wavelink Corporation Mobile unit configuration management for WLANs
US7343160B2 (en) * 2003-09-29 2008-03-11 Broadcom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servicing communications using both fixed and mobile wireless networks
CN1764134A (zh) * 2004-10-21 2006-04-26 上海贝尔阿尔卡特股份有限公司 通用接入点,网络通信系统及其方法
JP4145896B2 (ja) * 2005-03-16 2008-09-03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通信端末装置
EP1708446B1 (en) 2005-03-29 2008-06-04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managing Internet protocol based resources in a packet-based access network
WO2007098468A1 (en) 2006-02-21 2007-08-30 University Of Florida Research Foundation Inc. Modular platform enabling heterogeneous devices, sensors and actuators to integrate automatically into heterogeneous networks
US7769877B2 (en) 2006-04-27 2010-08-03 Alcatel Lucent Mobile gateway device
CN101512973A (zh) * 2006-08-29 2009-08-19 高通股份有限公司 在多个无线局域网中同时操作
US8230466B2 (en) 2006-11-16 2012-07-24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Home automation system and method including remote media access
EP2045970A1 (en) 2007-10-05 2009-04-08 STMicroelectronics Belgium N.V. Coexistence of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and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O2010091320A1 (en) 2009-02-06 2010-08-12 Slinker Scott W Determining associative intent in a database containing linked entities
US8325642B1 (en) 2009-05-14 2012-12-04 Cellco Partnership Redirection of message from mobile station based on identity of mobile station
US20120079092A1 (en) 2009-12-28 2012-03-29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anagement of data flows between user equipment nodes and clusters of networked resource nodes
JP5436345B2 (ja) * 2010-06-08 2014-03-05 Kddi株式会社 携帯端末を利用した無線lan設定方法およびシステム
CN101895962A (zh) * 2010-08-05 2010-11-24 华为终端有限公司 Wi-Fi接入方法、接入点及Wi-Fi接入系统
US20130137423A1 (en) 2011-05-27 2013-05-30 Qualcomm Incorporated Allocating access to multiple radio access technologies via a multi-mode access point
US20130078958A1 (en) 2011-09-23 2013-03-28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transient notifications using sensors
US20120130832A1 (en) 2011-11-16 2012-05-24 Freedompay Inc. Host to client payment
JP2015505694A (ja) 2011-12-07 2015-02-26 アクセス ビジネス グループ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 行動トラッキングおよび修正システム
US8352546B1 (en) 2011-12-08 2013-01-08 Google Inc. Contextual and location awareness for device interaction
US20130195091A1 (en) 2012-01-31 2013-08-01 North Pole Engineering, Inc. Wireless bridge device
WO2013123445A1 (en) 2012-02-17 2013-08-22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Smart internet of things services
US9147336B2 (en) 2012-02-29 2015-09-29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emergency notifications based on aggregate event data
JP6055904B2 (ja) * 2012-03-13 2016-12-27 ティヴォ インク ハンド・ヘルド・デバイスによるメディア記録の予約
US10089449B2 (en) * 2012-04-02 2018-10-02 David Avital System,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ed access to a network
US20140082702A1 (en) 2012-09-19 2014-03-20 Spark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nd communicating with connected devices
US9292832B2 (en) 2013-02-25 2016-03-22 Qualcomm Incorporated Collaborative intelligence and decision-making in an IoT device group
US20140244001A1 (en) 2013-02-25 2014-08-28 Qualcomm Incorporated Controlling many different devices from a smart controller
US10051068B2 (en) 2013-11-14 2018-08-14 Qualcomm Incorporated Mechanisms to route IoT notifications according to user activity and/or proximity dete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081904A1 (en) 2015-03-19
US9843886B2 (en) 2017-12-12
EP3047616A1 (en) 2016-07-27
EP3047616B1 (en) 2018-09-26
JP2016539587A (ja) 2016-12-15
WO2015038362A1 (en) 2015-03-19
CN105531971B (zh) 2019-05-14
CN105531971A (zh) 2016-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47616B1 (en) A user interactive application enabled gateway
AU201530197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an events dictionary in an Internet of Things (IoT) network
EP3146733B1 (en) Triggering commands on a target device in response to broadcasted event notifications
US962869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a physical IoT device
US20160128043A1 (en) Dynamic mobile ad hoc internet of things (iot) gateway
US20150071052A1 (en) Reconfiguring a headless wireless device
JP6622716B2 (ja) ユーザプリファレンスまたはデバイス構成を設定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6453338B2 (ja) データのインテリジェント同期による省電力化の向上
US20150071216A1 (en) Allowing mass re-onboarding of headless devices
KR20170027769A (ko) 사용자 디바이스들 간에 정보의 더 많은 양들을 점증적으로 공유하는 방법 및 장치
EP3152882B1 (en) Determining trust levels on a device receiving authoriz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