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8909B1 - Eai 영역 확대가 가능한 b2b 전용 글로벌 무역지원 플랫폼 및 이를 가지는 수출 비즈니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Eai 영역 확대가 가능한 b2b 전용 글로벌 무역지원 플랫폼 및 이를 가지는 수출 비즈니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8909B1
KR101908909B1 KR1020170115858A KR20170115858A KR101908909B1 KR 101908909 B1 KR101908909 B1 KR 101908909B1 KR 1020170115858 A KR1020170115858 A KR 1020170115858A KR 20170115858 A KR20170115858 A KR 20170115858A KR 101908909 B1 KR101908909 B1 KR 1019089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exporter
importer
transaction
ex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5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플래닛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플래닛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플래닛에이
Priority to KR1020170115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89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8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89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06Q30/0619Neutral ag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출업자의 단말기가 접속하여 상품의 등록 및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웹페이지를 제공하고, 수입업자의 단말기가 웹페이지에 접속하여 등록한 상품의 조회 및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웹서버; 웹서버에 정해진 수출업자의 단말기와 수입업자의 단말기가 웹서버에 접속하도록 관리하는 고객관리모듈; 수출업자의 단말기에 의해 상품의 수출과 관련된 업무를 수행하도록 하고, 수입업자의 단말기에 의해 상품의 수입과 관련된 업무를 수행하도록 하는 수출/수입관리모듈; 수출업자의 단말기와 수입업자의 단말기가 접속하여 서로 채팅을 수행하도록 하는 채팅관리모듈; 수출업자의 단말기에 의해 상품의 3D 이미지를 형성 내지 등록하도록 하고, 수출업자의 단말기 또는 수입업자의 단말기에 의해 디스플레이창에서 3D 이미지의 각도 조절과 확대 및 축소를 수행하도록 하는 3D이미지제공모듈; 채팅관리모듈에 의해 수행한 채팅 내용을 원하는 언어로 번역하도록 하는 번역모듈; 및 채팅관리모듈에 의해 수행한 채팅 내용을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도록 하고, 수출업자의 단말기 또는 수입업자의 단말기에 의해 요청시, 채팅 내용을 제공하도록 하는 회의록제공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품의 수출시, 국내 중소기업 형태의 무역 및 유통업체들에 대한 언어의 장벽, 업무적(실무적) 장벽, 비용적 장벽 등을 해소하도록 도와줌으로써, 전문 인력을 필요로 하지 않도록 하여 인건비 부담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EAI 영역 확대가 가능한 B2B 전용 글로벌 무역지원 플랫폼 및 이를 가지는 수출 비즈니스 시스템{B2B exclusive global trade support platform expanding EAI area and export business system with the same}
본 발명은 EAI 영역 확대가 가능한 B2B 전용 글로벌 무역지원 플랫폼 및 이를 가지는 수출 비즈니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품의 수출시, 국내 중소기업 형태의 무역 및 유통업체들에 대한 언어의 장벽, 업무적(실무적) 장벽, 비용적 장벽 등을 해소하도록 도와줌으로써, 전문 인력을 필요로 하지 않도록 하여 인건비 부담을 줄일 수 있고, 수출업자와 수입업자 간의 의사소통 부재로 인한 불필요한 비용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기업 간의 신뢰 문제 등으로 인해 유발되는 여러 가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실무자의 퇴사 후에도 업무의 연속성 및 원활함을 유지하도록 하는 EAI 영역 확대가 가능한 B2B 전용 글로벌 무역지원 플랫폼 및 이를 가지는 수출 비즈니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출은 국내의 상품 등을 외국으로 판매하는 것으로서, 상품 등을 외국에 팔게 되는 과정에서 지역별, 마켓별 그 밖의 판매와 관련된 조건 등에 따라 많은 주체가 관여하게 된다. 특히, 상품의 경우 소비자에게 판매되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주체가 관여하게 됨으로써 복잡한 유통을 보여주고 있다.
종래의 수출과 관련된 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 제10-2003-0049971호의 "인터넷을 통한 수출입 국제거래와 국내거래 및 수출입물류거래로 구성된 통합 비투비 이마켓플레이스와 연관된 각각의 거래방법으로 구성된 시스템"이 제시된 바 있는데, 이는 국내거래, 수출입 국제거래, 수출입 물류거래를 하나로 통합한 인터넷 통합 비투비(B2B) 마켓플레이스를 이용하여 국내업체와 해외업체 그리고 수출입 물류업체가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한 곳에서 일괄적으로 통합 거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수출에서 소비자에 대한 판매까지의 모든 과정에 관여하는 주체의 정보 교류에 대한 통합에 한계가 있고, 수입 주체에 대한 비용 정산과 상품 현황을 파악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국내 9인 미만의 영세 제조업 혹은 무역업, 유통업 분야에 종사하는 회사들은 해외 수출을 진행하고자 하는 경우, 미흡한 해외 무역 실무 경험과 높은 전문인력의 인건비 부담, 실무자들의 반복적인 퇴사 등의 다양한 변수 등으로 인해 어려움에 직면하게 되는 경우가 빈번한데, 종래 기술로는 이러한 문제점을 제대로 해소하지 못하기 때문에, 전문인력의 채용으로 인한 인건비 상승, 구매자와 판매자간의 의사소통 부재로 인한 불필요한 비용 발생, 그리고 기업 간의 신뢰 문제 등을 유발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품의 수출시, 국내 중소기업 형태의 무역 및 유통업체들에 대한 언어의 장벽, 업무적(실무적) 장벽, 비용적 장벽 등을 해소하도록 도와줌으로써, 전문 인력을 필요로 하지 않도록 하여 인건비 부담을 줄이고, 수출업자와 수입업자 간의 의사소통 부재로 인한 불필요한 비용 발생을 방지하며, 기업 간의 신뢰 문제 등으로 유발되는 여러 가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실무자의 퇴사후에도 업무의 연속성 및 원활함을 유지하도록 하며, 특히 실무 전개 과정에서 어려움들 즉, 업체/제품 소싱, 견적 요청, 제품의 세부 스펙, MOQ 수량, 가능 납기 일정, 주문 제작 내용 협의 및 대금 지급 조건 조율 등의 해외 영업, 관리, 무역 업무를 보다 간편하고 쉽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해 건실한 국내 중소기업들이 더욱 쉽고 편리하게 국외 업체들과 업무을 진행하여 성장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품의 수출 거래로 인해 발생되는 모든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기업과 기업 간, 기업과 e마켓플레이스 간, e마켓플레이스와 e마켓플레이스 간의 시스템을 통합하여 여러 기업이 참여하는 e마켓플레이스와 각 회원사의 내부 시스템 간, 또는 물류나 결제 등 제3자군 시스템과의 통합을 가능하도록 하고, 나아가서 서로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는 EAI(Enterprise Application Integration) 분야로까지 영역을 확대하여, 상품의 수출에서 소비자에 대한 판매까지 모든 과정에 관여하는 주체의 정보 교류를 가능하도록 하며, 이로 인해 상품의 국제 거래의 활성화, 편의성 및 수익성 증대에 기여하도록 시스템화하고, 그 방법을 제시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례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수출업자의 단말기가 접속하여 상품의 등록 및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웹페이지를 제공하고, 수입업자의 단말기가 상기 웹페이지에 접속하여 등록한 상품의 조회 및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웹서버; 상기 웹서버에 정해진 상기 수출업자의 단말기와 상기 수입업자의 단말기가 상기 웹서버에 접속하도록 관리하는 고객관리모듈; 상기 수출업자의 단말기에 의해 상품의 수출과 관련된 업무를 수행하도록 하고, 상기 수입업자의 단말기에 의해 상품의 수입과 관련된 업무를 수행하도록 하는 수출/수입관리모듈; 상기 수출업자의 단말기와 상기 수입업자의 단말기가 접속하여 서로 채팅을 수행하도록 하는 채팅관리모듈; 상기 수출업자의 단말기에 의해 상품의 3D 이미지를 형성 내지 등록하도록 하고, 상기 수출업자의 단말기 또는 상기 수입업자의 단말기에 의해 디스플레이창에서 3D 이미지의 각도 조절과 확대 및 축소를 수행하도록 하는 3D이미지제공모듈; 상기 채팅관리모듈에 의해 수행한 채팅 내용을 원하는 언어로 번역하도록 하는 번역모듈; 및 상기 채팅관리모듈에 의해 수행한 채팅 내용을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도록 하고, 상기 수출업자의 단말기 또는 상기 수입업자의 단말기에 의해 요청시, 상기 채팅 내용을 제공하도록 하는 회의록제공모듈;을 포함하는, EAI 영역 확대가 가능한 B2B 전용 글로벌 무역지원 플랫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EAI 영역 확대가 가능한 B2B 전용 글로벌 무역지원 플랫폼에서, 상기 수출업자의 단말기 또는 상기 수입업자의 단말기가 접속하여, 정해진 금액을 결제하도록 하는 결제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객관리모듈은, 상기 수출업자의 단말기가 상기 결제모듈에 의해 결제시, 상기 수출업자의 단말기에 본인의 아이디 및 패스워드와 수입업자의 단말기 접속을 가능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수입업자의 단말기가 상기 수출업자의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사용하여 접속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EAI 영역 확대가 가능한 B2B 전용 글로벌 무역지원 플랫폼에서, 상기 수출/수입관리모듈은, 상기 수출업자의 단말기에 의해, 상품관리, 발주관리, 출고관리, 견적관리, 결제정보관리, 재고관리, 선적관리를 수행하도록 하는 페이지를 제공하고, 상기 수입업자의 단말기에 의해, 발주관리, 입고관리, 견적관리, 결제정보관리, 재고관리, 선적관리, A/S요청, 반품을 수행하도록 하는 페이지를 제공하며, 상기 수출업자의 단말기와 상기 수입업자의 단말기 상호 간에 수출 관리 및 수입 관리에 필요한 데이터를 서로 주고받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품의 수출 및 수입 거래에 사용되는 플랫폼에 있어서, 거래 서버가 상기 상품의 수출 및 수입 거래에 필요한 주문, 결제 및 배송에 관련된 절차를 수행하도록 하는 서버거래부; 고객 단말기가 인터넷의 접속에 의해 상기 상품의 구입을 위한 절차를 수행하도록 하는 마켓거래부; 수출업자의 단말기와 수입업자의 단말기가 통신망의 접속에 의해 상기 상품의 수출 및 수입 거래에 필요한 주문, 결제 및 배송에 관련된 절차를 수행하도록 하는 기업거래부; 상기 서버거래부, 상기 마켓거래부 및 상기 기업거래부 상호간에 상기 상품의 거래에 필요한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도록 변환시킴으로써, 상기 서버거래부, 상기 마켓거래부 및 상기 기업거래부 각각의 데이터를 지정된 상기 거래 서버, 상기 고객 단말기 및 상기 수출업자의 단말기와 상기 수입업자의 단말기에 제공하도록 하는 서비스통합부; 및 상기 서버거래부, 상기 마켓거래부 및 상기 기업거래부에 입출력되거나, 산출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업거래부는,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EAI 영역 확대가 가능한 B2B 전용 글로벌 무역지원 플랫폼인, EAI 영역 확대가 가능한 B2B 전용 글로벌 무역지원 플랫폼을 가지는 수출 비즈니스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EAI 영역 확대가 가능한 B2B 전용 글로벌 무역지원 플랫폼을 가지는 수출 비즈니스 시스템에서, 상기 서버거래부 및 상기 기업거래부를 통해서 수출 및 수입 거래되는 상품의 상품명, 주문수량, 주문주체 및 상품 위치에 대한 데이터를 각각 획득하고, 획득한 데이터로부터 상기 상품의 수출 및 수입 거래에 따른 주문 및 수령 현황을 지정된 상기 거래 서버 또는 상기 수출업자의 단말기나 상기 수입업자의 단말기에 제공하는 거래현황산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EAI 영역 확대가 가능한 B2B 전용 글로벌 무역지원 플랫폼을 가지는 수출 비즈니스 시스템에서, 상기 거래현황산출부로부터 상기 수출 및 수입 거래에 따른 주문 및 수령 현황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서버거래부 및 상기 기업거래부를 통해서 수출 거래되는 상품의 결제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하며, 획득한 데이터들로부터 상기 상품의 수출 거래에 따른 정산 현황을 지정된 상기 거래 서버 또는 상기 수출업자의 단말기나 상기 수입업자의 단말기에 제공하는 거래정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EAI 영역 확대가 가능한 B2B 전용 글로벌 무역지원 플랫폼 및 이를 가지는 수출 비즈니스 시스템에 의하면, 상품의 수출시, 국내 중소기업 형태의 무역 및 유통업체들에 대한 언어의 장벽, 업무적(실무적) 장벽, 비용적 장벽 등을 해소하도록 도와줌으로써, 전문 인력을 필요로 하지 않도록 하여 인건비 부담을 줄일 수 있고, 수출업자와 수입업자 간의 의사소통 부재로 인한 불필요한 비용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기업 간의 신뢰 문제 등으로 인해 유발되는 여러 가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실무자의 퇴사 후에도 업무의 연속성 및 원활함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EAI 영역 확대가 가능한 B2B 전용 글로벌 무역지원 플랫폼 및 이를 가지는 수출 비즈니스 시스템에 의하면, 단순 업무의 주문 발주를 넘어 물류 관리 시스템을 접목하여, 물품의 특징 및 세부정보를 상대 업체와 함께 공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여러 변수의 요구를 플랫폼 상의 다국어 번역서비스가 지원되는 채팅창을 통하여 의견 협의 및 조율을 가능하도록 하며, 채팅을 통한 업무 협의시, 제품 형상을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3D 구현 창을 통해 함께 보면서 의견을 조율할 수 있고, 채팅창에 작성된 내용을 별도의 처리 과정없이 회의록으로 저장하여, 이를 데이터베이스에 구축함으로써, 향후 발생 가능한 분쟁의 소지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업체들이 제공하는 물류관리시스템의 기능 이외 새로운 편리성을 더하여 국내 중소기업의 요구에 최적화하도록 함과 아울러, 빠른 비즈니스 업무처리가 가능하도록 하고, 이로 인해 실무 전개 과정에서 어려움들, 즉 업체/제품 소싱, 견적 요청, 제품의 세부 스펙, MOQ 수량, 가능 납기 일정, 주문 제작 내용 협의 및 대금 지급 조건 조율 등의 해외 영업, 관리, 무역 업무를 보다 간편하고 쉽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해 건실한 국내 중소기업들이 더욱 쉽고 편리하게 국외 업체들과 업무을 진행하여 성장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EAI 영역 확대가 가능한 B2B 전용 글로벌 무역지원 플랫폼 및 이를 가지는 수출 비즈니스 시스템에 의하면, 상품의 수출 거래로 인해 발생되는 모든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기업과 기업 간, 기업과 e마켓플레이스 간, e마켓플레이스와 e마켓플레이스 간의 시스템을 통합하여 여러 기업이 참여하는 e마켓플레이스와 각 회원사의 내부 시스템 간, 또는 물류나 결제 등 제3자군 시스템과의 통합을 가능하도록 하고, 나아가서 서로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는 EAI(Enterprise Application Integration) 분야로까지 영역을 확대하여, 상품의 수출에서 소비자에 대한 판매까지 모든 과정에 관여하는 주체의 정보 교류를 가능하도록 하며, 이로 인해 상품의 국제 거래의 활성화, 편의성 및 수익성 증대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EAI 영역 확대가 가능한 B2B 전용 글로벌 무역지원 플랫폼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EAI 영역 확대가 가능한 B2B 전용 글로벌 무역지원 플랫폼에서 상품 리스트 및 상품 상세 정보를 나타낸 화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EAI 영역 확대가 가능한 B2B 전용 글로벌 무역지원 플랫폼에서 수출관리 및 수입관리를 나타낸 화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EAI 영역 확대가 가능한 B2B 전용 글로벌 무역지원 플랫폼에서 채팅창을 나타낸 화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EAI 영역 확대가 가능한 B2B 전용 글로벌 무역지원 플랫폼에서 채팅과 함께 상품의 3D 이미지에 대한 회전, 확대 및 축소를 나타낸 화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EAI 영역 확대가 가능한 B2B 전용 글로벌 무역지원 플랫폼에서 채팅의 번역을 나타낸 화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EAI 영역 확대가 가능한 B2B 전용 글로벌 무역지원 플랫폼에서 채팅에 의해 형성된 회의록 리스트를 나타낸 화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EAI 영역 확대가 가능한 B2B 전용 글로벌 무역지원 플랫폼에서 주문정보를 나타낸 화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EAI 영역 확대가 가능한 B2B 전용 글로벌 무역지원 플랫폼을 가지는 수출 비즈니스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EAI 영역 확대가 가능한 B2B 전용 글로벌 무역지원 플랫폼을 가지는 수출 비즈니스 시스템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례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례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식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상세히 설명하며,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EAI 영역 확대가 가능한 B2B 전용 글로벌 무역지원 플랫폼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EAI 영역 확대가 가능한 B2B 전용 글로벌 무역지원 플랫폼(20)은 웹서버(21), 고객관리모듈(22), 수출/수입관리모듈(23), 채팅관리모듈(24), 3D이미지제공모듈(25), 번역모듈(26) 및 회의록제공모듈(27)을 포함할 수 있고, 나아가서 결제모듈(2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품이란, 일례로서 화장품을 나타내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각종 생활용품이나 전자제품 뿐만 아니라, 농수산물 등을 비롯한 수출입이 가능한 다양한 상품이 해당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단말기(3,4)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뿐만 아니라, PC, 노트북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통신 및 정보처리 기기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수출업자와 수입업자는 수출업이나 수입업을 영위하는 기업체로서, 반드시 법인일 필요는 없다.
웹서버(21)는 수출업자의 단말기(3)가 통신망을 통해 접속하여 상품의 등록 및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웹페이지를 제공하고, 수입업자의 단말기(4)가 웹페이지에 통신망을 통해 접속하여 등록한 상품의 조회 및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웹서버(21)에 의해 제공되는 상품의 리스트 및 상품의 상세 정보를 일례로서 나타낸다.
고객관리모듈(22)은 웹서버(21)에 정해진 수출업자의 단말기(3)와 수입업자의 단말기(4)가 웹서버(21)에 접속하도록 관리한다. 고객관리모듈(22)은 수출업자의 단말기(3)가 후술하게 될 결제모듈(28)에 의해 결제시, 수출업자의 단말기(3)에 본인의 아이디 및 패스워드와 수입업자의 단말기(4) 접속을 가능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수입업자의 단말기(4)가 수출업자 또는 이의 단말기(3)로부터 제공되는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사용하여 접속하도록 한다. 고객관리모듈(22)은 수출업자의 단말기(3)를 통해서 결제를 마치면, 본인의 아이디 및 패스워드의 부여와 함께, 수출업자와 거래하고자 하거나 거래하는 수입업자가 사용하기 위한 정해진 개수의 아이디 및 그에 따른 패스워드를 각각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수출업자는 부여받은 본인 이외의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거래하고자 하거나 거래하는 수입업자에 제공하는데, 수입업자는 이렇게 부여받은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사용하여 단말기(4)를 사용하여 웹서버(21)에 의해 제공되는 웹페이지 접속을 통해서 미리 협의를 마친 수출업자의 단말기(3)에 의해 등록된 상품 조회 내지 거래를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수출업자는 수입업자의 수가 늘어가서 추가로 아이디와 패스워드가 필요한 경우, 결제를 통해 필요한 개수의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추가로 구입할 수 있다.
수출/수입관리모듈(23)은 수출업자의 단말기(3)에 의해 상품의 수출과 관련된 업무를 수행하도록 하고, 수입업자의 단말기(4)에 의해 상품의 수입과 관련된 업무를 수행하도록 한다. 수출/수입관리모듈(23)은 수출업자의 단말기(3)에 의해, 상품관리, 발주관리, 출고관리, 견적관리, 결제정보관리, 재고관리 및 선적관리를 수행하도록 하는 페이지를 제공하고, 수입업자의 단말기(4)에 의해, 발주관리, 입고관리, 견적관리, 결제정보관리, 재고관리, 선적관리, A/S요청 및 반품을 수행하도록 하는 페이지를 제공하며, 수출업자의 단말기(3)와 수입업자의 단말기(4) 상호 간에 수출 관리 및 수입 관리에 필요한 데이터를 서로 주고받도록 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수출/수입관리모듈(23)에 의한 수출관리 및 수입관리의 페이지를 나타낸다.
채팅관리모듈(24)은 수출업자의 단말기(3)와 수입업자의 단말기(4)가 접속하여 서로 채팅을 수행하도록 한다. 채팅관리모듈(24)은 채팅창에 수출업자의 단말기(3)나 수입업자의 단말기(4)에 의해 선택되는 상품 이미지가 상징적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채팅관리모듈(24)에 의해 수행되는 채팅창을 일례로서 나타낸다.
3D이미지제공모듈(25)은 수출업자의 단말기(3)에 의해 상품의 3D 이미지를 형성 내지 등록하도록 하고, 수출업자의 단말기(3) 또는 수입업자의 단말기(4)에 의해 디스플레이창에서 3D 이미지의 각도 조절과 확대 및 축소를 수행하도록 한다. 여기서 3D이미지제공모듈(25)은 상품의 3D 이미지 형성 내지 등록에 필요한 이미지 데이터를 수출업자의 단말기(3)에 요구하거나, 수출업자의 단말기(3)에 의해 필요한 데이터의 입력을 요구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3D이미지제공모듈(25)에 의해 상품의 3D 이미지의 확대, 축소 및 회전을 위한 조작화면을 일례로서 나타낸다. 따라서, 수출업자와 수입업자는 각각의 단말기(3,4)를 통해서 채팅을 하면서, 상품의 3D 이미지에서 필요한 부분의 제시를 통해, 색상이나 구조 또는 상표나 문구 등의 변경을 요구하거나, 이에 대한 설명을 나눌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번역모듈(26)은 채팅관리모듈(24)에 의해 수행한 채팅 내용을 원하는 언어로 번역하도록 한다. 여기서, 수출업자의 단말기(3) 또는 수입업자의 단말기(4)를 통해서 번역 대상 언어와 번역 결과 언어를 각각 선택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번역모듈(26)의 번역에 의해 서로 간에 채팅을 나누는 것을 나타낸다.
회의록제공모듈(27)은 채팅관리모듈(24)에 의해 수행한 채팅 내용을 데이터베이스부(17)에 저장하도록 하고, 수출업자의 단말기(3) 또는 수입업자의 단말기(4)에 의해 요청시, 채팅 내용을 제공하도록 한다. 여기서 수출업자의 단말기(3) 또는 수입업자의 단말기(4)에 의해 채팅 내용에 대해서 관련 정보를 입력하여, 회의록제공모듈(27)이 회의록으로서, 데이터베이스부(17)에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회의록제공모듈(27)에 의해 채팅 내용을 회의록으로서 관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담당자의 퇴사에도 불구하고 업무의 연속성과 원활함을 도모하도록 하고, 수출업자와 수입업자 간에 의사 불합치 등으로 인한 분쟁의 발생을 줄이도록 할 수 있다. 도 7에서는 회의록제공모듈(27)에 의한 채팅 내용의 회의록 저장 및 리스트화를 일례로서 나타낸다.
결제모듈(28)은 수출업자의 단말기(3) 또는 수입업자의 단말기(4)가 접속하여, 정해진 금액을 결제하도록 한다. 결제모듈(28)는 외부의 은행이나 카드사 등의 결제시스템과의 통신에 의해 수출업자의 단말기(3)를 통해서 정해진 방식에 따라 결제를 수행하도록 하는데, 여기서 정해진 금액이란 수출 관련 업무 수행에 대한 서비스 제공 비용으로서, 자신의 아이디와 패스워드, 그리고, 수입업자에게 부여될 수 있는 아이디와 패스워드의 개수에 따라 차등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결제모듈(28)은 상기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수출업자가 단말기(3)를 통해서 결제하는 것은 물론, 수입업자가 상품의 수입을 위해서 제공하는 비용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결제모듈(28)은 수출업자에게 상품의 수출로 발생하는 수익이나 상품값을 정해진 바에 따라 제공할 수 있다. 도 8에서는 결제를 마친후 주문기록 등을 조회할 수 있도록 제공한 화면을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EAI 영역 확대가 가능한 B2B 전용 글로벌 무역지원 플랫폼을 가지는 수출 비즈니스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EAI 영역 확대가 가능한 B2B 전용 글로벌 무역지원 플랫폼을 가지는 수출 비즈니스 시스템(10)은 서버거래부(11), 마켓거래부(12), 기업거래부 및 서비스통합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거래부(11)는 거래 서버(1)가 상품의 수출 및 수입 거래에 필요한 주문, 결제 및 배송에 관련된 절차를 수행하도록 하는데, 예컨대 상품의 수출 및 수입 거래에 필요한 주문 정보의 입출력, 결제 정보의 입출력이나 결제 진행, 배송의 신청, 조회 등을 수행하도록 한다. 거래 서버(1)는 일례로 상품의 직접적인 수출 및 수입 거래를 필요로 하는 기업의 서버로서, 판매자의 입장에서는 수출이 목적인 기업의 서버이고, 구매자의 입장에서는 수입이 목적인 기업의 서버일 수 있다. 또한 거래 서버(1)는 상품의 수출 및 수입 거래에 직접적인 당사자에 해당하는 기업뿐만 아니라, 다른 예로서, 수출 및 수입 거래에 부수적으로 요구되는 결제 수행 기업이나 물류나 배송 수행 기업 등의 서버가 해당될 수도 있으며, 이 밖에도 수출 및 수입 거래시 업무적으로 커뮤니케이션이나 프로세스의 수행이 필요한 다양한 기업의 서버가 포함될 수 있다.
마켓거래부(12)는 고객 단말기(2)가 인터넷의 접속에 의해 상품의 구입을 위한 절차를 수행하도록 하는데, 이는 e마켓플레이스를 제공하도록 하고, 이를 위해 고객 단말기(2)를 통해서 아이디 부여 및 패스워드 입력 등을 비롯한 다양한 본인 인증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고, 상품의 판매를 위하여 상품의 정보 제공 및 결제를 수행하도록 하는 웹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고객의 단말기(2)는 해당 서비스의 수행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및 인터넷 통신 등을 수행하도록 하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 뿐만 아니라, PC나 노트북을 비롯하여 다양한 정보처리 및 통신 기기가 사용될 수 있다.
기업거래부는 수출업자의 단말기(3)와 수입업자의 단말기(4)가 통신망, 예컨대 부가가치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의 접속에 의해 상품의 수출 및 수입 거래에 필요한 주문, 결제 및 배송에 관련된 절차를 수행하도록 하는데, 예컨대 상품의 수출 및 수입 거래에 필요한 주문 정보의 입출력, 결제 정보의 입출력이나 결제 진행, 배송의 신청, 조회 등을 수행하도록 한다. 수출업자의 단말기(3) 및 수입업자의 단말기(4)는 일례로 상품의 직접적인 수출 및 수입 거래를 필요로 하는 기업의 단말기로서, 해당 서비스의 수행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및 인터넷 통신 등을 수행하도록 하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 뿐만 아니라, PC나 노트북을 비롯하여 다양한 정보처리 및 통신 기기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기업거래부는 앞서 설명한 웹서버(21), 고객관리모듈(22), 수출/수입관리모듈(23), 채팅관리모듈(24), 3D이미지제공모듈(25), 번역모듈(26) 및 회의록제공모듈(27)을 포함할 수 있고, 나아가서 결제모듈(28)을 더 포함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EAI 영역 확대가 가능한 B2B 전용 글로벌 무역지원 플랫폼(20)이므로, 이에 대해서 이미 자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서비스통합부(14)는 서버거래부(11), 마켓거래부(12) 및 기업거래부 상호간에 상품의 거래에 필요한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도록 변환시킴으로써, 서버거래부(11), 마켓거래부(12) 및 기업거래부 각각의 데이터를 지정된 거래 서버(1), 고객 단말기(2) 및 수출업자의 단말기(3)와 수입업자의 단말기(4)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서비스통합부(14)는 서버거래부(11), 마켓거래부(12) 및 기업거래부 각각이 사용하는 이종의 어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의 한계를 극복하여 데이터를 상호간에 사용 내지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이를 위해 거래 서버(1), 고객 단말기(2), 수출업자의 단말기(3) 및 수입업자의 단말기(4) 각각에서 사용 내지 처리가 가능한 데이터로 변환하도록 함으로써, 거래 서버(1), 고객 단말기(2), 수출업자의 단말기(3) 및 수입업자의 단말기(4)는 각각의 해당 어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에서 이종 어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의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서비스통합부(14)에 의한 데이터의 변환은 서버거래부(11), 마켓거래부(12) 및 기업거래부 각각이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에 따라 미리 정해진 프로세스를 거쳐서 이루어지는데,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에 의해 그 변환 방식이 정해진다.
서비스통합부(14)는 변환된 데이터를 서버거래부(11), 마켓거래부(12) 및 기업거래부에 의해 거래 서버(1), 고객 단말기(2), 수출업자의 단말기(3) 및 수입업자의 단말기(4)에 제한없이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절차에 따라 주어진 권한, 계약상의 제한, 법적인 제한 등에 따라 지정된 대상으로 한정할 수 있으며, 지정된 대상인지를 확인하기 위한 다양한 인증 절차를 요구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17)는 서버거래부(11), 마켓거래부(12) 및 기업거래부에 입출력되거나, 산출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나아가서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각종 어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에는 거래 서버(1)의 주체, 고객 단말기(2) 소유의 고객, 수출업자의 단말기(3) 및 수입업자의 단말기(4) 소유의 기업 등에 대한 정보를 비롯하여, 허용되는 권한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EAI 영역 확대가 가능한 B2B 전용 글로벌 무역지원 플랫폼을 가지는 수출 비즈니스 시스템(10)은 거래 현황의 제공 및 거래 정산 여부의 확인을 위하여 거래현황산출부(16) 및 거래정산부(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거래현황산출부(16)는 서버거래부(11) 및 기업거래부를 통해서 수출 및 수입 거래되는 상품의 상품명, 주문수량, 주문주체 및 상품 위치에 대한 데이터를 각각 획득하고, 획득한 데이터로부터 상품의 수출 및 수입 거래에 따른 주문 및 수령 현황을 지정된 거래 서버(1) 또는 수출업자의 단말기(3)나 수입업자의 단말기(4)에 제공할 수 있다. 거래현황산출부(16)는 예컨대 상품 위치에 대한 데이터를 서버거래부(11)에 의해 배송 업체 서버와의 접속에 의해 획득할 수 있다.
거래정산부(15)는 거래현황산출부(16)로부터 수출 및 수입 거래에 따른 주문 및 수령 현황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하고, 서버거래부(11) 및 기업거래부를 통해서 수출 및 수입 거래되는 상품의 결제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하며, 획득한 데이터들로부터 상품의 수출 및 수입 거래에 따른 정산 현황을 지정된 거래 서버(1) 또는 수출업자의 단말기(3)나 수입업자의 단말기(4)에 제공할 수 있다. 거래정산부(15)는 예컨대 상품의 결제에 대한 데이터를 서버거래부(11)에 의해 결제 서버와의 접속에 의해 획득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EAI 영역 확대가 가능한 B2B 전용 글로벌 무역지원 플랫폼을 가지는 수출 비즈니스 시스템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EAI 영역 확대가 가능한 B2B 전용 글로벌 무역지원 플랫폼을 가지는 수출 비즈니스 시스템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EAI 영역 확대가 가능한 B2B 전용 글로벌 무역지원 플랫폼을 가지는 수출 비즈니스 시스템(10)의 이용방법으로서, 이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기재하며, 중복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EAI 영역 확대가 가능한 B2B 전용 글로벌 무역지원 플랫폼을 가지는 수출 비즈니스 시스템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은 먼저, 서버거래부(11)에 의해 거래 서버(1)가 상품의 수출 및 수입 거래에 필요한 주문, 결제 및 배송에 관련된 절차를 수행하도록 하고, 마켓거래부(12)에 의해 고객 단말기(2)가 인터넷의 접속에 의해 상품의 구입을 위한 절차를 수행하도록 하며, 기업거래부에 의해 수출업자의 단말기(3) 및 수입업자의 단말기(4)가 통신망, 예컨대 부가가치통신망의 접속에 의해 상품의 수출 및 수입 거래에 필요한 주문, 결제 및 배송에 관련된 절차를 수행하도록 한다(S11). 따라서, 서버거래부(11), 마켓커래부(12) 및 기업거래부는 각각의 고유 통신망을 통해서 정해진 범위 내의 서버나 단말기를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아 정해진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서비스통합부(14)에 의해 서버거래부(11), 마켓거래부(12) 및 기업거래부 상호간에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도록 변환시킴으로써, 서버거래부(11), 마켓거래부(12) 및 기업거래부 각각의 데이터를 지정된 거래 서버(1), 고객 단말기(2), 수출업자의 단말기(3) 및 수입업자의 단말기(4)에 제공한다(S12). 따라서, 거래 서버(1), 고객 단말기(2), 수출업자의 단말기(3) 및 수입업자의 단말기(4)는 주어진 권한 내에서 서버거래부(11), 마켓거래부(12) 및 기업거래부에 의해 제공되는 데이터의 송수신 내지 열람을 가능하도록 하고, 이에 따른 절차 수행 역시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서버거래부(11), 마켓거래부(12) 및 기업거래부 각각의 데이터를 지정된 거래 서버(1), 고객 단말기(2), 수출업자의 단말기(3) 및 수입업자의 단말기(4)에 제공하는 단계(S12) 이후, 거래현황산출부(16)에 의해 서버거래부(11) 및 기업거래부를 통해서 수출 및 수입 거래되는 상품의 상품명, 주문수량, 주문주체 및 상품 위치에 대한 데이터를 각각 획득하고, 획득한 데이터로부터 상품의 수출 및 수입 거래에 따른 주문 및 수령 현황을 지정된 거래 서버(1) 또는 수출업자의 단말기(3)나 수입업자의 단말기(4)에 제공할 수 있다(S13). 따라서, 상품의 수출과 관련된 해당국, 예컨대 중국 내의 각 에이전시에 대한 거래 주문 및 수령 현황을 지정된 자가 파악이 용이하도록 제공받을 수 있다.
그리고, 거래정산부(15)에 의해 거래현황산출부(16)로부터 수출 및 수입 거래에 따른 주문 및 수령 현황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하고, 서버거래부(11) 및 기업거래부를 통해서 수출 및 수입 거래되는 상품의 결제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하며, 획득한 데이터들로부터 상품의 수출 및 수입 거래에 따른 정산 현황을 지정된 거래 서버(1) 또는 수출업자의 단말기(3)나 수입업자의 단말기(4)에 제공할 수 있다(S14). 따라서, 상품의 수출 기업은 수출과 관련된 해당국, 예컨대 중국 내의 각 에이전시에 대한 거래 주문 및 수령 현황에 따른 정산 내역을 파악이 용이하도록 제공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EAI 영역 확대가 가능한 B2B 전용 글로벌 무역지원 플랫폼 및 이를 가지는 수출 비즈니스 시스템에 따르면, 상품의 수출시, 국내 중소기업 형태의 무역 및 유통업체들에 대한 언어의 장벽, 업무적(실무적) 장벽, 비용적 장벽 등을 해소하도록 도와줌으로써, 전문 인력을 필요로 하지 않도록 하여 인건비 부담을 줄일 수 있고, 수출업자와 수입업자 간의 의사소통 부재로 인한 불필요한 비용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기업 간의 신뢰 문제 등으로 인해 유발되는 여러 가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실무자의 퇴사 후에도 업무의 연속성 및 원활함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EAI 영역 확대가 가능한 B2B 전용 글로벌 무역지원 플랫폼 및 이를 가지는 수출 비즈니스 시스템에 의하면, 단순 업무의 주문 발주를 넘어 물류 관리 시스템을 접목하여, 물품의 특징 및 세부정보를 상대 업체와 함께 공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여러 변수의 요구를 플랫폼 상의 다국어 번역서비스가 지원되는 채팅창을 통하여 의견 협의 및 조율을 가능하도록 하며, 채팅을 통한 업무 협의시, 제품 형상을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3D 구현 창을 통해 함께 보면서 의견을 조율할 수 있고, 채팅창에 작성된 내용을 별도의 처리 과정없이 회의록으로 저장하여, 이를 데이터베이스에 구축함으로써, 향후 발생 가능한 분쟁의 소지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업체들이 제공하는 물류관리시스템의 기능 이외 새로운 편리성을 더하여 국내 중소기업의 요구에 최적화하도록 함과 아울러, 빠른 비즈니스 업무처리가 가능하도록 하고, 이로 인해 실무 전개 과정에서 어려움들, 즉 업체/제품 소싱, 견적 요청, 제품의 세부 스펙, MOQ 수량, 가능 납기 일정, 주문 제작 내용 협의 및 대금 지급 조건 조율 등의 해외 영업, 관리, 무역 업무를 보다 간편하고 쉽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해 건실한 국내 중소기업들이 더욱 쉽고 편리하게 국외 업체들과 업무을 진행하여 성장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EAI 영역 확대가 가능한 B2B 전용 글로벌 무역지원 플랫폼 및 이를 가지는 수출 비즈니스 시스템에 의하면, 상품의 수출 거래로 인해 발생되는 모든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기업과 기업 간, 기업과 e마켓플레이스 간, e마켓플레이스와 e마켓플레이스 간의 시스템을 통합하여 여러 기업이 참여하는 e마켓플레이스와 각 회원사의 내부 시스템 간, 또는 물류나 결제 등 제3자군 시스템과의 통합을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EAI 영역 확대가 가능한 B2B 전용 글로벌 무역지원 플랫폼 및 이를 가지는 수출 비즈니스 시스템에 의하면, 서로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는 EAI(Enterprise Application Integration) 분야로까지 영역을 확대하여, 상품의 수출에서 소비자에 대한 판매까지 모든 과정에 관여하는 주체의 정보 교류를 가능하도록 하며, 이로 인해 상품의 국제 거래의 활성화, 편의성 및 수익성 증대에 기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례에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 거래 서버 2 : 고객 단말기
3 : 수출업자의 단말기 4 : 수입업자의 단말기
11 : 서버거래부 12 : 마켓거래부
14 : 서비스통합부 15 : 거래정산부
16 : 거래현황산출부 17 : 데이터베이스부
20 : EAI 영역 확대가 가능한 B2B 전용 글로벌 무역지원 플랫폼
21 : 웹서버 22 : 고객관리모듈
23 : 수출/수입관리모듈 24 : 채팅관리모듈
25 : 3D이미지제공모듈 26 : 번역모듈
27 : 회의록제공모듈 28 : 결제모듈

Claims (6)

  1. 수출업자의 단말기가 접속하여 상품의 등록 및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웹페이지를 제공하고, 수입업자의 단말기가 상기 웹페이지에 접속하여 등록한 상품의 조회 및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웹서버;
    상기 웹서버에 정해진 상기 수출업자의 단말기와 상기 수입업자의 단말기가 상기 웹서버에 접속하도록 관리하는 고객관리모듈;
    상기 수출업자의 단말기에 의해 상품의 수출과 관련된 업무를 수행하도록 하고, 상기 수입업자의 단말기에 의해 상품의 수입과 관련된 업무를 수행하도록 하는 수출/수입관리모듈;
    상기 수출업자의 단말기와 상기 수입업자의 단말기가 접속하여 서로 채팅을 수행하도록 하는 채팅관리모듈;
    상기 수출업자의 단말기에 의해 상품의 3D 이미지를 형성 내지 등록하도록 하고, 상기 수출업자의 단말기 또는 상기 수입업자의 단말기에 의해 디스플레이창에서 3D 이미지의 각도 조절과 확대 및 축소를 수행하도록 하는 3D이미지제공모듈;
    상기 채팅관리모듈에 의해 수행한 채팅 내용을 원하는 언어로 번역하도록 하는 번역모듈; 및
    상기 채팅관리모듈에 의해 수행한 채팅 내용을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도록 하고, 상기 수출업자의 단말기 또는 상기 수입업자의 단말기에 의해 요청시, 상기 채팅 내용을 제공하도록 하는 회의록제공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수출업자의 단말기 또는 상기 수입업자의 단말기가 접속하여, 정해진 금액을 결제하도록 하는 결제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객관리모듈은,
    상기 수출업자의 단말기가 상기 결제모듈에 의해 결제시, 상기 수출업자의 단말기에 본인의 아이디 및 패스워드와 수입업자의 단말기 접속을 가능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수입업자의 단말기가 상기 수출업자의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사용하여 접속하도록 하고,
    상기 수출/수입관리모듈은,
    상기 수출업자의 단말기에 의해, 상품관리, 발주관리, 출고관리, 견적관리, 결제정보관리, 재고관리, 선적관리를 수행하도록 하는 페이지를 제공하고, 상기 수입업자의 단말기에 의해, 발주관리, 입고관리, 견적관리, 결제정보관리, 재고관리, 선적관리, A/S요청, 반품을 수행하도록 하는 페이지를 제공하며, 상기 수출업자의 단말기와 상기 수입업자의 단말기 상호 간에 수출 관리 및 수입 관리에 필요한 데이터를 서로 주고받도록 하는, EAI 영역 확대가 가능한 B2B 전용 글로벌 무역지원 플랫폼.
  2. 삭제
  3. 삭제
  4. 상품의 수출 및 수입 거래에 사용되는 플랫폼에 있어서,
    거래 서버가 상기 상품의 수출 및 수입 거래에 필요한 주문, 결제 및 배송에 관련된 절차를 수행하도록 하는 서버거래부;
    고객 단말기가 인터넷의 접속에 의해 상기 상품의 구입을 위한 절차를 수행하도록 하는 마켓거래부;
    수출업자의 단말기와 수입업자의 단말기가 통신망의 접속에 의해 상기 상품의 수출 및 수입 거래에 필요한 주문, 결제 및 배송에 관련된 절차를 수행하도록 하는 기업거래부;
    상기 서버거래부, 상기 마켓거래부 및 상기 기업거래부 상호간에 상기 상품의 거래에 필요한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도록 변환시킴으로써, 상기 서버거래부, 상기 마켓거래부 및 상기 기업거래부 각각의 데이터를 지정된 상기 거래 서버, 상기 고객 단말기 및 상기 수출업자의 단말기와 상기 수입업자의 단말기에 제공하도록 하는 서비스통합부; 및
    상기 서버거래부, 상기 마켓거래부 및 상기 기업거래부에 입출력되거나, 산출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업거래부는,
    청구항 1에 기재된 EAI 영역 확대가 가능한 B2B 전용 글로벌 무역지원 플랫폼인, EAI 영역 확대가 가능한 B2B 전용 글로벌 무역지원 플랫폼을 가지는 수출 비즈니스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서버거래부 및 상기 기업거래부를 통해서 수출 및 수입 거래되는 상품의 상품명, 주문수량, 주문주체 및 상품 위치에 대한 데이터를 각각 획득하고, 획득한 데이터로부터 상기 상품의 수출 및 수입 거래에 따른 주문 및 수령 현황을 지정된 상기 거래 서버 또는 상기 수출업자의 단말기나 상기 수입업자의 단말기에 제공하는 거래현황산출부를 더 포함하는, EAI 영역 확대가 가능한 B2B 전용 글로벌 무역지원 플랫폼을 가지는 수출 비즈니스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거래현황산출부로부터 상기 수출 및 수입 거래에 따른 주문 및 수령 현황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서버거래부 및 상기 기업거래부를 통해서 수출 거래되는 상품의 결제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하며, 획득한 데이터들로부터 상기 상품의 수출 거래에 따른 정산 현황을 지정된 상기 거래 서버 또는 상기 수출업자의 단말기나 상기 수입업자의 단말기에 제공하는 거래정산부를 더 포함하는, EAI 영역 확대가 가능한 B2B 전용 글로벌 무역지원 플랫폼을 가지는 수출 비즈니스 시스템.
KR1020170115858A 2017-09-11 2017-09-11 Eai 영역 확대가 가능한 b2b 전용 글로벌 무역지원 플랫폼 및 이를 가지는 수출 비즈니스 시스템 KR1019089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5858A KR101908909B1 (ko) 2017-09-11 2017-09-11 Eai 영역 확대가 가능한 b2b 전용 글로벌 무역지원 플랫폼 및 이를 가지는 수출 비즈니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5858A KR101908909B1 (ko) 2017-09-11 2017-09-11 Eai 영역 확대가 가능한 b2b 전용 글로벌 무역지원 플랫폼 및 이를 가지는 수출 비즈니스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8909B1 true KR101908909B1 (ko) 2018-10-17

Family

ID=64099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5858A KR101908909B1 (ko) 2017-09-11 2017-09-11 Eai 영역 확대가 가능한 b2b 전용 글로벌 무역지원 플랫폼 및 이를 가지는 수출 비즈니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890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4058A (ja) * 2001-05-10 2002-11-22 Beacon Information Technology:Kk メインフレームのアプリケーション実行方法、アプリケーション実行システム、プログラム
JP2006085315A (ja) * 2004-09-15 2006-03-30 Nec Corp 貿易管理システム、貿易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4058A (ja) * 2001-05-10 2002-11-22 Beacon Information Technology:Kk メインフレームのアプリケーション実行方法、アプリケーション実行システム、プログラム
JP2006085315A (ja) * 2004-09-15 2006-03-30 Nec Corp 貿易管理システム、貿易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63283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unified inventory and financial transaction management
US20120109772A1 (en) Integrated cloud based marketplace services
KR100665035B1 (ko) 무역거래 기능을 갖는 온라인 쇼핑몰의 운영방법
KR101908911B1 (ko) 셀러 중심의 eai 영역 확대가 가능한 b2b 전용 글로벌 무역지원 플랫폼 및 이를 가지는 수출 비즈니스 시스템
KR101908908B1 (ko) 셀러 중심의 b2b 전용 글로벌 무역지원 플랫폼을 가지는 거래물량 전환 가능 수출 비즈니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
KR20140114482A (ko) 다국적 소비자가 국제상품 수입가 추출기를 이용하여 국제상품을 구매하고, 다국적 파트너회원사간의 거래정보처리를 중개하기 위한 다국적 간 거래 중개 시스템
KR101908909B1 (ko) Eai 영역 확대가 가능한 b2b 전용 글로벌 무역지원 플랫폼 및 이를 가지는 수출 비즈니스 시스템
KR100975724B1 (ko) 실시간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KR101908912B1 (ko) B2b 전용 글로벌 무역지원 플랫폼을 가지는 거래물량 전환 가능 수출 비즈니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
KR20070087861A (ko) 보상 처리가 가능한 전자상거래 중개 시스템
KR20120080716A (ko) 오프라인 지역 판매점을 연계한 전자 상거래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33013A (ko) 인터넷을 통한 전자상거래 방법
KR20020068943A (ko) 반품 서비스 관리 시스템
KR20190132796A (ko) 소호 무역을 통한 수입물품의 판매 매장 관리 방법
US20020138644A1 (en) Internet-based transaction management system
KR20230087973A (ko) 육류유통기업의 정보를 공유하는 플랫폼
JP2002109330A (ja) 商品購入方法および商品購入システム
KR20040106820A (ko) 구매대리자를 통하여 상품을 구매하는 전자상거래 시스템및 방법
KR20110076658A (ko) 전자상거래 기능을 갖는 온라인 쇼핑몰의 운영 방법
KR20140103362A (ko) 해외전문판매자와 기업체를 연계하기 위한 판매대행 플랫폼
KR20000072114A (ko) 인터넷을 이용한 협동 구매 방법
JP2002150036A (ja) 商品販売システムおよび商品販売方法
KR20060123693A (ko) 온라인 쇼핑몰을 이용한 국가간 무역거래 방법
JP2002334232A (ja) 中古品等の買取方法およびその買取商品の在庫管理方法
KR20040042262A (ko) 인터넷 셋톱박스를 이용한 상품 판매시스템 및 판매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