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8470B1 - 문화재 옻칠 조습 건조기 - Google Patents

문화재 옻칠 조습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8470B1
KR101908470B1 KR1020170010324A KR20170010324A KR101908470B1 KR 101908470 B1 KR101908470 B1 KR 101908470B1 KR 1020170010324 A KR1020170010324 A KR 1020170010324A KR 20170010324 A KR20170010324 A KR 20170010324A KR 101908470 B1 KR101908470 B1 KR 1019084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rying
humidity
space
lacqu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0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6645A (ko
Inventor
김수철
장치영
Original Assignee
김수철
장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철, 장치영 filed Critical 김수철
Priority to KR1020170010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8470B1/ko
Publication of KR20180086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66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8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84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1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08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10Temperature;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칠기 문화재에 옻칠을 하여 건조시키는 조습(燥濕)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옻칠한 대상물(문화재)을 수납하여 상치(上置)하는 선반이 구비된 몸체프레임의 내부로 습도를 공급하고 통풍수단인 팬을 통해 몸체프레임 내부로 에어를 공급하여 옻칠한 대상물을 건조시킬 수 있도록 하되, 몸체프레임 내부에는 온습도를 측정하여 팬을 가동하는 온습센서와 소공이 무수히 많이 형성되는 천공판을 구비하여, 팬을 통해 공급되는 에어가 천공판을 통해 옻칠한 대상물까지 최대한 천천히 공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온·습도를 세밀하게 조정하고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의 경우 환경변화를 서서히 조절하여 급격한 수분 증발을 통해 일어나는 표면장력에 의한 수축변형을 막아주면서 문화재를 서서히 건조시켜 원형을 그대로 보존할 수 있도록 하는 문화재 옻칠 조습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문화재 옻칠 조습 건조기{A Cultual Assets Lacquering Drier}
본 발명은 칠기 문화재에 옻칠을 하여 건조시키는 조습(燥濕)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옻칠한 대상물(문화재)을 수납하여 상치(上置)하는 선반이 구비된 몸체프레임으로 습기를 공급하고 통풍수단인 팬을 통해 몸체프레임 내부로 에어를 공급하여 옻칠한 대상물을 건조시킬 수 있도록 하되, 몸체프레임 내부에는 온습도를 측정하여 팬을 가동하는 온습센서와 소공이 무수히 많이 형성되는 천공판을 구비하여, 팬을 통해 공급되는 에어가 천공판을 통해 옻칠한 대상물까지 최대한 천천히 공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온·습도를 세밀하게 조정하고 유지하며, 또한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의 경우 환경변화를 서서히 조절하여 급격한 수분 증발을 통해 일어나는 표면장력에 의한 수축변형을 막아주면서 문화재를 서서히 건조시켜 원형을 그대로 보존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문화재 옻칠 조습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옻은 옻나무의 내수피(內樹皮)의 유관(乳管)에서 나오는 유백색 수액으로 도료이자 접착제의 용도로 여러 가지 공예품이나 문화재 등의 표면에 칠하는 도료의 용도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도료용으로 사용되는 옻의 주성분은 우루시올(urushiol)이고 그 밖에 래콜·티오콜·수분 등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공기와 접촉하면 효소반응에 의해 고분자를 형성하면서 견고하게 고화되는 데, 상온에서 휘저어 보존하면 몇 시간 후에는 흑갈색으로 변하며 옻에 아마인유 등 여러 가지 안료를 첨가하여 정제칠(精製漆)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옻을 이용하여 칠(漆)을 할 경우에는 산이나 알칼리에도 녹지 않으며 내염성, 방부, 방출 효과를 가짐은 물론 옻칠은 도막(塗膜)이 단단하고 광택이 뛰어나면서 부착성과 내수성이 뛰어나 고급 도료에 속하지만, 값이 비싸고 숙련된 기술자의 도포기술이 요구된다.
특히, 목재에 옻칠을 할 경우에는 나무에 스며들어 벗겨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건조된 후에도 옻칠 자체가 습기를 품어 스스로 습기를 조절하며 나무의 내부가 썩지 않는 효과와 같이 내구성과 부패방지가 뛰어난 조건을 가짐으로써, 일상생활에 사용되는 각종 나무로 제작되는 가구나 상 또는 숟가락이나 젓가락, 제기 등에도 옻칠을 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렇게, 옻칠은 다양한 물품에 적용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우리들의 일상생활에서 제기와 식기, 컵세트 등에 주로 많이 활용되고 있고, 전통 문화재에서도 많이 사용되었다. 이러한 옻칠된 문화재의 옻칠이 훼손된 경우에 옻칠을 다시 하는 유지보수를 하게 된다.
그러나, 문화재의 옻칠은 물성이 많이 약해져 있는 재질을 포함하고 있는 바, 일반적인 옻칠의 건조조건에서 재질의 변형이 일어날 수 있어 정확한 건조조건의 유지가 필요하다. 일반적인 옻칠의 건조 조건은 15 ~ 30℃의 온도와, 70~80%의 습도에서 바람이 없는 상태로 자연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자연건조는 이러한 고습도의 조건에서 5 ~ 10 일정도 유지되어야 하나, 자연 건조는 자연적 및 환경적인 여건으로 지속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옻나무가 자라온 환경에 따라 달라지는 우루시올(urushiol) 비율에 대응되게 필요한 습도가 조금씩 다르고 문화재의 재질, 크기, 두께에 따라 온도가 달라져야 하므로 자연 건조로 옻칠을 건조시키는 것에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옻칠된 문화재를 건조시키기 위하여 편백나무로 된 상자 형태의 프레임(10)을 제작하고 그 내부에 옻칠된 문화재를 상치할 수 있는 선반(20)을 구비하여 옻칠 대상물(30)을 선반(20) 위에 올려놓고 말려주도록 하는 장치가 고작이었다.
특히 옻칠된 문화재는 옻의 원료인 옻나무 및 문화재의 형상에 따라 적절한 습도와 온도가 조금씩 차이가 있으나, 종래의 상자 형태의 프레임에는 습도를 제공해 주기 위해 상자 내부의 바닥부에 습기를 머금은 수건(40) 등을 구비하여 상기 수전(40)에 물을 수동으로 뿌려 필요한 습도를 공급하는 형식의 구성을 취하고 있다.
종래의 상기와 같이 공급되는 문화재 건조 장치는 바람이 없다는 점에서 장점이 있으나, 습기가 아래쪽에만 높고 위쪽에는 낮아 습기가 건조 장치 내에서 차이가 있고, 이러한 습기의 대류가 일어나지 않아 건조후의 문화재에서 옻칠이 균일하지 않고 건조 상태가 제각각인 문제가 있다.
또한, 옻나무에 따라 다른 우루시올(urushiol) 조성물 변화를 반영하기 어렵고, 습기를 위해 제공하는 물이 수동으로 제공되어 필요한 습도를 맞추는 것이 어려웠다.
KR 10-1253027 (등록번호) 2013.04.03. KR 10-0490785 (등록번호) 2005.05.12. KR 10-1590898 (등록번호) 2016.01.27.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옻칠한 문화재를 수납하여 상치(上置)하는 선반이 구비된 몸체프레임과 몸체프레임의 내부로 습기와 온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과급수단 및 에어공급수단(팬)을 구성하되 몸체프레임 내부에는 온습도를 측정하여 에어공급수단을 가동하는 온습센서와 소공이 무수히 많이 형성되어 에어의 공급이 미세하게 이루어지는 천공판을 구비하여, 팬을 통해 공급되는 에어가 천공판을 통해 옻칠한 대상물까지 최대한 천천히 공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급격한 수분 증발을 억제하도록 하는 동시에 표면장력에 의한 수축변형을 막아 문화재 등을 서서히 건조시켜 재질과 형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하여 원형을 그대로 보존할 수 있도록 하는 문화재 옻칠 조습 건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옻나무에 따라 달라지는 우루시올(urushiol) 조성물이 반영되어 습도와 온도가 조절되는 문화재 옻칠 조습 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습기와 온기가 문화재에 강하게 접촉되지 못하도록 하여 무풍에 가깝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건조후에 옻의 두께가 균일하도록 천연물질인 옻의 건조 환경을 최적의 상태로 조성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옻칠된 문화재의 건조에 필요한 습기가 지속적으로 접촉하되 가능한 낮은 속도로 접촉될 수 있는 문화재 옻칠 조습 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옻칠된 문화재를 하여 건조시키는 조습(燥濕) 건조기에 있어서, 개방손잡이가 달린 개폐도어가 구비되고, 압축기가 설치되는 기계실이 구비되는 몸체프레임과, 상기 몸체프레임 내부에 위치하며 상부공간부와 하부공간부로 구획되는 내부공간부에 설치되어 옻칠된 문화재가 상치되는 선반프레임, 상기 몸체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공간부에 온기와 습기를 담은 에어를 공급하는 구동팬, 상기 내부공간부의 상부면에는 다수의 미세구멍이 형성되는 천장천공판이 구비되고, 상기 내부공간부의 후면부에도 다수의 상기 미세구멍이 형성되는 후면천공판이 구비되며, 상기 천장천공판과 상기 몸체프레임의 상부면프레임 사이에는 상기 구동팬에서 공급된 에어가 유입되는 천장공간부가 형성 구비되고, 상기 후면천공판과 상기 몸체프레임의 후면프레임 사이에도 상기 구동팬에서 공급된 에어가 유입되는 후면공간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구동팬은 상기 내부공간부의 상부측 후면부에 다수 개 설치 구비되되 상기 후면공간부에는 상기 구동팬들의 사이를 막아 각각의 상기 구동팬에서 공급되는 에어가 서로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는 격벽플레이트가 설치 구비된다.
또한 상기 선반프레임의 양쪽 측면부에는 상기 선반프레임에 상치된 옻칠한 대상물을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전등이 더 설치 구비된다.
또한 상기 상부공간부의 양쪽 측면부에는 외부와 연통이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상부공간부의 온습도를 측정하는 케이블을 삽입하는 케이블삽입수단이 설치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삽입수단은 외부에서 상기 상부공간부까지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중공관과 상기 중공관의 양측단부를 각각 막아 상기 상부공간부의 에어 및 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막아주도록 설치된 캡 및 상기 중공관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캡을 개방하였을 때 상기 상부공간부의 에어가 상기 중공관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막아주도록 설치된 탄력성 있는 고무부재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내부공간부의 하부측에 형성되는 상기 하부공간부의 하부측에는 상기 내부공간부로 유입된 에어를 상기 후면공간부로 배출하여 순환시키는 에어순환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공간부의 바닥에는 에어를 상기 에어순환공간부로 유입시킬 수 있는 다수 개의 에어유입구가 형성 구비되며, 상기 에어유입구에는 상기 에어유입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에어유입구를 통과하는 에어량을 조절하도록 하는 에어조절판이 설치 구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문화재 옻칠 조습 건조기는 문화재로의 습기 접근 속도를 최소로 하여 급격한 수분 증발을 억제하도록 하는 동시에 표면장력에 의한 수축변형을 막아 옻의 두께가 균일하게 건조시킬 수 있어 문화재 등의 옻칠 대상물에 대한 원형을 그대로 보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옻칠한 문화재에 알맞은 온도와 습도를 공급 유지한 상태로 에어를 무풍에 가깝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최적의 환경에서 건조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은 옻나무에 따라 달라지는 우루시올(urushiol) 조성물이 반영되어 습도와 온도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습기의 대류를 제공하되 옻칠된 문화재로의 습기 접촉 속도(바람의 세기)를 최소로 할 수 있어, 건조후에 옻의 두께가 균일하게 되고, 문화재의 크기와 옻칠의 두께에 따라 바람의 세기를 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옻칠된 문화재의 건조에 필요한 습기가 지속적으로 문화재와 접촉되되 가능한 낮은 속도로 접촉되게 하여 자연 건조와 유사한 상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문화재 옻칠 조습 건조기의 외형을 나타내는 사시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문화재 옻칠 조습 건조기의 정면을 나타낸 상태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문화재 옻칠 조습 건조기의 측면을 나타낸 상태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문화재 옻칠 조습 건조기의 평면을 나타낸 상태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문화재 옻칠 조습 건조기의 내부에 옻칠한 문화재를 상치하여 조습 건조하는 개략적인 사시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문화재 옻칠 조습 건조기에 구비된 천공판의 확대도와 에어배출수단의 요부 확대도이고,
도 7은 종래의 문화재의 옻칠 건조기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문화재 옻칠 조습 건조기(100)는 도 1 내지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부측으로 개방손잡이(111a)가 달린 개폐도어(111)가 구비되고, 하부측으로 압축기(112a)가 설치되는 기계실(112)이 구비되며, 측면부측으로 제어부(113)가 구비되는 몸체프레임(110)과, 상기 몸체프레임(110) 내부의 상부공간부(120a)와 하부공간부(120b)로 구획되는 내부공간부(120)에 설치되어 문화재를 상치하는 선반프레임(121), 상기 몸체프레임(110)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공간부(120)의 온습도를 조절하는 드라이히터(130), 응축기(140), 가습히터(160) 및 상기 몸체프레임(110)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공간부(120)에 에어를 공급하는 구동팬(150)을 포함한다.
상기 몸체프레임(110)은 도 2 내지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그 내부에 상기 개폐도어(111)에 의해 개방되는 내부공간부(120)가 형성 구비되어 있다. 개폐도어(111)의 일부는 유리와 같이 투명한 재질로 되어 내부의 옻칠된 문화재의 건조 상태를 사용자가 직접 육안으로 살펴볼 수 있다. 개폐도어(111)와 내부 공간부(120) 사이에는 개폐 도어(111)가 개방되었을 시에 에어 압력의 순간적인 변화 및 습도의 변화를 방지할 수 있도록 비닐이 전체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도어(111)와 내부공간부(120) 사이에는 패킹처리가 되어 내부공간부(120)의 에어가 개폐도어(111) 밖으로 누설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내부공간부(120)는 그 중간부에 옻칠한 대상물(T,본 발명에서는 복원하고자 하는 문화재를 지칭하는 것이나, 일반 공예품 등도 해당 된다)을 상치(上置)할 수 있는 선반프레임(121)이 설치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선반프레임(121)은 슬라이딩식으로 전 후방향으로 밀어서 장착하거나 당겨서 꺼낼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공간부(120)는 상기 몸체프레임(110)의 내부에 형성 구비되되상기 선반프레임(121)의 윗측으로 상부공간부(120a)가, 상기 선반프레임(121)의 아랫측으로 하부공간부(120b)가 각각 양분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선반프레임(121)에는 공기가 소통할 수 있도록 하는 선반통기구(121a)가 다수 개 형성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내부공간부(120)의 상부면에는 수많은 미세구멍(h)이 형성되는 천장천공판(122)이 구비되고, 상기 내부공간부(120)의 후면부에는 수많은 상기 미세구멍(h)이 형성되는 후면천공판(123)이 설치 구비되어 있다.
상기 천장천공판(122) 및 후면천공판(123)의 천공 즉, 상기 미세구멍(h)의 크기는 서로 동일하여 어느 한쪽으로 에어의 흐름이 빠르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선반통기구(121a)의 천공의 크기는 상기 천장천공판(122) 및 후면천공판(123)의 천공 즉, 상기 미세구멍(h)의 크기보다 더 크게 하여 천장천공판(122) 및 후면천공판(123)으로 천천히 유입된 에어가 내부공간부(120)에서 장시간 머물러 있지 못하도록 하여 습기가 과도하게 높아지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천장천공판(122)과 상기 몸체프레임(110)의 상부면프레임(110a) 사이에는 에어가 유입될 수 있는 천장공간부(124)가 형성 구비되고, 상기 후면천공판(123)과 상기 몸체프레임(110)의 후면프레임(110b) 사이에도 에어가 유입될 수 있는 후면공간부(125)가 형성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후면공간부(125)는 하부측으로 상기 하부공간부(120b)와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후면공간부(125)의 상부측에는 공급되는 온습도를 측정하는 온습센서(S)가 설치되어 있다. 이는 상기 후면공간부(125)로 공급되는 에어의 온습도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123)로 해당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몸체프레임(110)의 측면부에는 상기 천장공간부(124) 및 상기 후면공간부(125)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측면공간부(120c)가 형성되어 이곳에 드라이히터(130)와 응축기(140)가 설치된다.
상기 드라이히터(130)와 상기 응축기(140)는 상기 제어부(113)에서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드라이히터(130)와 상기 응축기(140)는 상기 내부공간부(120)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113)에 의해 컨트롤된다. 본 발명에 따른 옻칠의 대상물은 문화재의 크기, 두께, 재질에 따라 15 ~ 25℃ 사이에서 온도가 결정된다.
본 발명은 상기 드라이히터(130)와 상기 응축기(140)는 각각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 모드전환을 통해 히터기능과 냉각기능을 상호 전환하여 사용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이에 구애받지 않고 각각 설치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드라이히터(130)와 상기 응축기(140)는 이들을 작동시키는 구동수단이 상기 기계실(112)에 설치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프레임(110)의 상부측 후면부에는 상기 천장공간부(124)가 상기 후면공간부(125)로 에어를 공급하는 구동팬(150)이 다수 개로 설치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팬(15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천장천공판(122)과 상기 후면천공판(123)을 통해 온기의 에어가 상기 내부공간부(120)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구동팬(150)은 구동모터(151)에 의해 구동될 수 있도록 연결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기계실(113)에는 상기 천장공간부(124) 및 상기 후면공간부(125)로 습도를 공급하는 가습히터(160)가 설치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옻칠의 대상물은 70 ~ 80%의 습도에서 장시간 건조되어야 하며, 이러한 습도를 위한 습기를 상기 가습히터(160)가 제공한다.
상기 천장공간부(124) 및 상기 후면공간부(125)로 공급되는 습기는 미세한 크기로 천공이 형성된 상기 천장천공판(122)과 상기 후면천공판(123)을 통해 상기 내부공간부(120)로 매우 천천히 공급될 수 있게 되어, 상기 가습히터(160)를 통해 상기 내부공간부(120)의 습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드라이히터(130)와 상기 응축기(140)를 통해 상기 내부공간부(120)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고 상기 가습히터(160)를 통해 상기 내부공간부(120)의 습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동팬(15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천장천공판(122)과 상기 후면천공판(123)을 통해 온기의 에어가 상기 내부공간부(120)로 천천히 공급되면서(이는 '무풍'이라고 일컬을 정도로 서서히 에어가 공급된다) 옻칠한 대상물을 건조시키게 된다. 이를 '무풍 건조'라고 한다.
상기 구동팬(15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공간부(120)의 상부측 후면부에 다수 개 설치 구비되되 상기 후면공간부(125)에는 상기 구동팬(150)들의 사이를 막아 각각의 상기 구동팬(150)에서 공급되는 에어가 서로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격벽플레이트(125a)가 지면에서 수직하게 설치 구비되어 있다. 즉, 상기 격벽플레이트(125a)의 수는 구동팬(150)의 수보다 하나 적게 구비된다. 이를 통하여 어느 하나의 구동팬에 의한 에어가 다른 구동팬에 의한 에어와 혼합되어 에어의 이동 속도가 빨라지지 않도록 하여, 모든 위치에서 가습된 에어를 동일한 양 및 속도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선반프레임(121)의 양쪽 측면부에는 상기 선반프레임(121)에 상치된 옻칠한 대상물을 외부에서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전등(126)이 더 설치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부공간부(120a)의 양쪽 측면부에는 외부와 연통이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상부공간부(120a)를 통하여 내부공간부(120)의 온습도를 직접 측정하는 케이블(미도시)을 삽입하는 케이블삽입수단(170)이 설치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후면공간부(125)의 상부측에 온습도를 측정하는 온습센서(S)가 설치되어 내부공간부(120)의 온도와 습도를 측정하고 있으나, 매우 작거나 두께가 얇은 문화재의 건조시에 보다 정확한 내부공간부(120)의 온도와 습도 정보가 필요한 경우에 상기 케이블삽입수단(170)을 통하여 상기 내부공간부(120)의 온도와 습도를 직접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삽입수단(170)은 외부에서 상기 상부공간부(120a)까지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중공관(171)과 상기 중공관(171)의 양측단부를 각각 막아 상기 상부공간부(120a)의 에어가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막아주도록 설치된 캡(172) 및 상기 중공관(171)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캡(172)을 개방하였을 때 상기 상부공간부(120a)의 에어와 습도가 상기 중공관(171)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 내부공간부(120)의 압력과 습도가 급격히 변화되는 것을 방지하여 에어의 흐름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탄력성 있는 고무부재(173)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내부공간부(120)의 온습도를 측정하기 위해 내외부의 상기 캡(172)를 개방하고 온습도 측정케이블을 상기 중공관(171)으로 삽입한다. 이때 측정케이블이 상기 고무부재(173) 사이를 관통하고 상기 상부공간부(120a)의 내부까지 진입하여 온습도를 측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고무부재(173)는 측정케이블을 용이하게 관통시킬 수 있도록 두께나 인장력 등을 감안하여 이에 해당하는 탄력성과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내부공간부(120)의 하부측에 형성되는 상기 하부공간부(120b)의 하부측에는 상기 내부공간부(120)로 유입된 에어를 상기 후면공간부(125)로 배출하여 순환시키는 에어순환공간부(120d)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공간부(120b)의 바닥에는 에어를 상기 에어순환공간부(120d)로 유입시킬 수 있는 다수 개의 에어유입구(127)가 형성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에어유입구(127)에는 슬라이딩으로 상기 에어유입구(127)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에어유입구(127)를 통과하는 에어량을 조절하는 에어조절판(128)이 설치 구비되어 있다. 상기 에어조절판(128)에는 작동노브(128a)가 설치 되어 있다.
상기 에어조절판(128)을 조절하여 상기 에어유입구(127)를 완전히 막아주면 상기 내부공간부(120)로 공급된 에어가 빠져나가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일어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에어유입구(127)를 완전히 막지 않고 상기 에어유입구(127)를 항상 부분적으로 개방하여 두되 그 개방면적을 상기 에어조절판(128)으로 조정하여 에어의 순환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개폐도어(111)는 이중의 유리창으로 하여 열전도가 최소화되도록 설치하였으며, 유리창에는 열선(미도시)을 설치하여 성애가 끼지 않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개폐도어(111)의 양측면부에는 개방의 편의성을 위한 실린더수단(111b)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상기 문화재 옻칠 조습 건조기(100)를 이용하여 옻칠한 문화재를 건조시키는 작동절차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원형으로 복원 처리하여 보존하고자 하는 문화재(목재, 다기, 제기, 수저 등)에 옻칠을 한다.
이어 옻칠한 문화재를 상기 몸체프레임(110)의 상기 내부공간부(120)에 구비된 상기 선반프레임(121)에 상치시킨다.
이때 상기 제어부(113)에서 해당 문화재에 요구되는 최적의 온도와 습도를 정하여 작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드라이히터(130), 응축기(140), 가습히터(160) 등이 작동되어 상기 몸체프레임(110)의 상기 내부공간부(120)의 온습도를 제공 유지시킨다.
또한 옻칠한 문화재는 최적의 온습도를 유지하는 동시에 이를 건조시켜야 하는데, 이때 상기 구동팬(150)을 작동시켜 상기 내부공간부(120)에 상치된 문화재를 건조시키게 된다.
상기 구동팬(150)이 작동되면 에어가 상기 천장공간부(124)와 상기 후면공간부(125)로 유입되고, 이어 에어는 상기 천장천공판(122)과 상기 후면천공판(123)을 통해 상기 내부공간부(120)로 공급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천장천공판(122)과 상기 후면천공판(123)은 아주 미세한 구멍들로 형성되어 있어 에어가 이들을 통해 공급되면 단순히 옻칠한 문화재 표면에 떨어지는 정도로 제공되기 때문에 바람이라고 할 수 없는 무풍에 가깝게 된다.
따라서 문화재에 칠한 옻이 에어(공기바람)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고 습한 상태에서 건조되게 된다. 이름하여 조습(燥濕) 건조기인 것이다.
조습(燥濕)이란 물기의 마름과 젖음을 일컫는 말로 몸이 신지대사를 통해 수분대사가 잘 조절되어야 한다는 뜻이나,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문화재에 옻칠을 한 후 수분을 공급하면서 공급된 수분이 서서히 마르도록 에어를 천공판을 통해 미량으로 공급하여 건조시킨다는 뜻으로 사용된다.
이어 상기 천장천공판(122)과 상기 후면천공판(123)을 통해 상기 내부공간부(120)로 공급된 에어는 상기 하부공간부(120b)에 구비된 상기 에어유입구(127)를 통해 상기 에어순환공간부(120d)로 빠져 나가면서 순환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공간부(120b)에 유입되는 에어가 상기 에어유입구(127)를 통해 상기 에어순환공간부(120d)로 빠져나가는 양은 상기 에어조절판(128)을 개폐하면서 조절하게 된다.
즉, 상기 작동노브(128a)를 밀어 상기 에어조절판(128)을 밀어주면 상기 에어유입구(127)를 열어 빠져나가는 에어의 양이 많아 에어 순환이 빨라지고 반대로 상기 작동노브(128a)를 당기면 상기 에어유입구(127)가 닫혀지면서 빠져나가는 에어 양이 적어져 에어 순환이 느려지게 된다.
한편, 후면공간부(125)의 하단에는 다수의 천공이 구비되어, 구동팬(150)의 회전으로 인하여 유입된 에어가 미세한 크기로 형성된 상기 천장천공판(122) 또는 상기 후면천공판(123)으로 인입하지 못할 경우 배출시킨다. 또한, 구동팬(150) 중 어느 하나의 속도가 빨라 에어가 많이 유입되었을 경우에도 상기 천장천공판(122)과 상기 후면천공판(123)으로 에어가 유입되지 않고 후면공간부(125)의 하면으로 바로 빠져나가도록 하여 건조 장치의 과부하를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로 옻칠한 문화재를 일정 시간 건조시키게 되면, 급격한 수분 증발을 억제할 수 있어 표면장력에 의한 수축변형을 막아 문화재 등을 서서히 건조시켜 재질과 형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완벽한 보존처리가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문화재 옻칠 조습 건조기는 옻칠한 문화재를 수납하여 상치(上置)하는 선반이 구비된 몸체프레임과 몸체프레임의 내부로 습도와 에어를 공급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과급수단 및 에어공급수단(팬)을 구성하되 몸체프레임 내부에는 온습도를 측정하여 에어공급수단을 가동하는 온습센서와 소공이 무수히 많이 형성되어 에어의 공급이 미세하게 이루어지는 천공판을 구비하여, 팬을 통해 공급되는 에어가 천공판을 통해 옻칠한 대상물까지 최대한 천천히 공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급격한 수분 증발을 억제하도록 하는 동시에 표면장력에 의한 수축변형을 막아 문화재 등을 서서히 건조시켜 재질과 형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하여 원형을 그대로 보존할 수 있게 된다.
100:문화재 옻칠 조습 건조기
110:몸체프레임
110a:상부면프레임 110b:후면프레임
111:개폐도어 111a:개방손잡이 111b:실린더수단
112:기계실 112a:압축기 113:제어부
120:내부공간부
120a:상부공간부 120b:하부공간부 120c:측면공간부
120d:에어순환공간부
121:선반프레임 121a:선바통기구 122:천장천공판
123:후면천공판 124:천장공간부 125a:격벽플레이트
125:후면공간부 126:전등 127:에어유입구 128:에어조절판
128a:작동노브
130:드라이히터 140:응축기
150:구동팬 151:구동모터
160:가습히터
170:케이블삽입수단
171:중공관 172:캡 173:고무부재
T:문화재 S:가습센서 h:미세구멍

Claims (6)

  1. 옻칠된 문화재를 하여 건조시키는 조습(燥濕) 건조기에 있어서,
    개방손잡이가 달린 개폐도어가 구비되고, 압축기가 설치되는 기계실이 구비되는 몸체프레임과,
    상기 몸체프레임 내부에 위치하며 상부공간부와 하부공간부로 구획되는 내부공간부에 설치되어 옻칠된 문화재가 상치되는 선반프레임,
    상기 몸체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공간부에 온기와 습기를 담은 에어를 공급하는 구동팬,
    상기 내부공간부의 상부면에는 다수의 미세구멍이 형성되는 천장천공판이 구비되고, 상기 내부공간부의 후면부에도 다수의 상기 미세구멍이 형성되는 후면천공판이 구비되며,
    상기 천장천공판과 상기 몸체프레임의 상부면프레임 사이에는 상기 구동팬에서 공급된 에어가 유입되는 천장공간부가 형성 구비되고, 상기 후면천공판과 상기 몸체프레임의 후면프레임 사이에도 상기 구동팬에서 공급된 에어가 유입되는 후면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부의 하부측에 형성되는 상기 하부공간부의 하부측에는 상기 내부공간부로 유입된 에어를 상기 후면공간부로 배출하여 순환시키는 에어순환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공간부의 바닥에는 에어를 상기 에어순환공간부로 유입시킬 수 있는 다수 개의 에어유입구가 형성 구비되며,
    상기 에어유입구에는 상기 에어유입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에어유입구를 통과하는 에어량을 조절하도록 하는 에어조절판이 설치 구비되는 문화재 옻칠 조습 건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팬은 상기 내부공간부의 상부측 후면부에 다수 개 설치 구비되되 상기 후면공간부에는 상기 구동팬들의 사이를 막아 각각의 상기 구동팬에서 공급되는 에어가 서로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는 격벽플레이트가 설치 구비되는 문화재 옻칠 조습 건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프레임의 양쪽 측면부에는 상기 선반프레임에 상치된 옻칠한 대상물을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전등이 더 설치 구비되는 문화재 옻칠 조습 건조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공간부의 양쪽 측면부에는 외부와 연통이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상부공간부의 온습도를 측정하는 케이블을 삽입하는 케이블삽입수단이 설치 구비되는 문화재 옻칠 조습 건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삽입수단은 외부에서 상기 상부공간부까지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중공관과 상기 중공관의 양측단부를 각각 막아 상기 상부공간부의 에어 및 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막아주도록 설치된 캡 및 상기 중공관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캡을 개방하였을 때 상기 상부공간부의 에어가 상기 중공관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막아주도록 설치된 탄력성 있는 고무부재로 구성되는 문화재 옻칠 조습 건조기.
  6. 삭제
KR1020170010324A 2017-01-23 2017-01-23 문화재 옻칠 조습 건조기 KR1019084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0324A KR101908470B1 (ko) 2017-01-23 2017-01-23 문화재 옻칠 조습 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0324A KR101908470B1 (ko) 2017-01-23 2017-01-23 문화재 옻칠 조습 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6645A KR20180086645A (ko) 2018-08-01
KR101908470B1 true KR101908470B1 (ko) 2018-10-16

Family

ID=63227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0324A KR101908470B1 (ko) 2017-01-23 2017-01-23 문화재 옻칠 조습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84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20236B (zh) * 2018-11-08 2020-09-29 东信烟花集团有限公司 一种烟花鞭炮药粉智能干燥冷却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6823B2 (ja) * 1982-09-28 1985-08-22 カシユ−株式会社 漆系塗料の塗膜の乾燥方法
JPS5976580A (ja) * 1982-10-25 1984-05-01 Kashiyuu Kk 漆系塗料の塗膜の乾燥方法
JPS59154168A (ja) * 1983-02-23 1984-09-03 Kanebo Ltd 漆乾燥機
JP2821110B2 (ja) * 1996-11-15 1998-11-05 福島県 紫外線硬化型含漆合成樹脂塗料及び秒速乾燥法
KR100490785B1 (ko) 2003-04-04 2005-05-19 오성엘에스티(주) 피디피 건조로의 급배기 장치
KR101171851B1 (ko) * 2009-12-16 2012-08-07 (주)에프티이앤이 건조 장치
KR101253027B1 (ko) 2012-12-31 2013-04-09 강우경 옻을 이용한 자수제품의 친환경 보존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101590898B1 (ko) 2014-01-06 2016-02-02 주식회사 옻향 옻칠 정제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6645A (ko) 2018-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8470B1 (ko) 문화재 옻칠 조습 건조기
US4727801A (en) Defrosting cabinet
JP5811166B2 (ja) 不織布の表面積の変化により加湿量が調節される自然加湿器(ahumidifier)
JP2002034675A (ja) 木製防湿保管庫
JPH0342785B2 (ko)
CN201804543U (zh) 乐器用湿度控制器
JP2732447B2 (ja) 冷蔵庫
KR20200029282A (ko) 의류건조기능 수납장
JPH07269894A (ja) 保管装置
CN109046899B (zh) 一种烘烤设备
KR200440090Y1 (ko) 농수산물 건조기
JP3069046B2 (ja) 水面可変式加湿器付き環境試験装置
KR200414627Y1 (ko) 건조공간의 조절이 가능한 건조기
CN206101294U (zh) 具有加湿功能的孵化设备
CN2170929Y (zh) 防潮盒
CN111351279A (zh) 湿度控制系统、其控制方法及冰箱
CN208332886U (zh) 一种脉冲真空干燥柜
CN209483042U (zh) 强化玻璃内置多功能门
KR200390583Y1 (ko) 건조기 겸용 전자렌지
JPH01260233A (ja) 空気調和機
CN212767699U (zh) 蛋白水解物防潮储存装置
KR102377169B1 (ko) 제습기용 물건 건조 키트
CN214397752U (zh) 一种乐器储存箱
KR100695479B1 (ko) 부화기
CN216947051U (zh) 一种干细胞培养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