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8447B1 -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기반 접속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기반 접속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8447B1
KR101908447B1 KR1020110104059A KR20110104059A KR101908447B1 KR 101908447 B1 KR101908447 B1 KR 101908447B1 KR 1020110104059 A KR1020110104059 A KR 1020110104059A KR 20110104059 A KR20110104059 A KR 20110104059A KR 101908447 B1 KR101908447 B1 KR 1019084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area
connection information
image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4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2656A (ko
Inventor
씬얀 메이
푸 펭
퀀 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040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8447B1/ko
Priority to US13/280,803 priority patent/US9210248B2/en
Publication of KR20120042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26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8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84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7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number of the calling subscriber at the called subscriber's set
    • H04M1/575Means for retrieving and displaying personal data about calling party
    • H04M1/576Means for retrieving and displaying personal data about calling party associated with a pictorial or graphical repres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40Data acquisition and log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이용하여 접속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속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은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 이미지의 기 설정된 영역이 선택되는지 감지하는 단계 및 기 설정된 영역이 선택되면 이미지에 포함된 접속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기반 접속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CONTACT INFORMATION BASED ON AN IMAGE EMBEDDED WITH CONTACT INFORMATION}
본 발명은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기반 접속정보 표시 방법 및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형적인 통신 장치에서는, 예컨대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등과 같은 접속정보(contact information)가 목록(list)의 형태로 사용자에게 표시된다. 사용자는 목록에 표시된 접속 이름에 따라 접속정보 및 접속방식 등을 검색한다. 사용자가 전형적인 통신 장치를 사용할 경우에, 접속 목록에 동일한 이름이 존재하면 혼선이 초래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접속 목록에 표시된 접속 이름을 잊게되면 올바른 접속을 할 수 없는 문제점도 발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통신 장치는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포함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얼굴 이미지는 접속정보를 포함하지 않고, 접속에 관한 어떠한 관련성도 내포하고 있지 않다. 그러므로 통신 장치의 사용자는 화면에 표시된 접속 이미지를 기초해서 해당 접속방식이나 접속정보를 전혀 검색할 수 없었다.
접속 이미지는 일반적인 이미지 형식(format), 예컨대 .bmp, .jpg, .png, .gif, .tga, 및 .tiff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러한 일반적인 이미지를 검색(browsing)할 경우에, 해당 이미지에 대응하는 접속정보를 확인할 수 없다. 즉, 사용자가 이미지를 검색하더라도 해당 이미지는 접속정보를 포함하고 있지 않으므로 해당 접속정보를 확인할 수가 없었다.
종전의 리스트 방식의 접속정보 표시방법의 경우에 사용자는 접속 이미지(예컨대, 서버 또는 상대방의 얼굴이나 캐릭터 이미지)에 대응하는 접속정보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없었다. 그래서 사용자는 접속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접속 이미지를 이용해서 서버 또는 상대방과 통신할 수 없었다.
결국, 종전의 리스트 방식의 접속정보 표시방법은 접속 이미지가 접속정보를 포함하고 있지 않고, 접속정보를 직관적으로 볼 수 없으므로, 사용자는 접속 이미지를 통해서 접속정보를 직관적으로 검색할 수 없고, 접속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별도의 조작이 필요하다는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종래 기술에 존재하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접속정보 및 이미지의 얼굴 영역의 위치 정보가 통신 장치에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형식으로 생성되어 저장된다. 사용자는 그러한 이미지의 하나 이상의 얼굴 영역을 클릭함으로써 접속정보를 시각적으로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접속정보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어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접속정보 표시 방법은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의 기 설정된 영역이 선택되는지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기 설정된 영역이 선택되면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접속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는,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 영역, 상기 이미지에 대응되는 접속정보를 저장하는 제2 영역 및 상기 이미지의 기 설정된 영역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제3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접속정보 표시 방법은 상기 접속정보에 기초하여 통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접속정보는 접속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및 생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 설정된 영역은 이미지의 얼굴 영역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얼굴 영역의 꼭지점 위치 정보, 너비 정보 및 길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얼굴 영역의 중심 위치 정보 및 반지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기 설정된 영역에 대응되는 복수의 접속정보가 존재하면, 복수의 접속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는, 접속정보 각각의 우선순위를 나타내는 지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선택된 영역에 대응되는 복수의 접속정보가 존재하면, 상기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접속정보 중 하나의 접속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접속정보를 통한 통신 빈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접속정보 표시 방법은 상기 이미지에 대응되는 접속정보를 편집하는 단계 및 상기 편집된 접속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미지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소록 생성 방법은,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주소록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는,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 영역, 상기 이미지에 대응되는 접속정보를 저장하는 제2 영역 및 상기 기 설정된 영역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제3 영역을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얼굴 영역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접속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이미지의 데이터, 상기 접속정보 및 상기 얼굴 영역의 위치 정보를 할당된 저장 영역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정보 표시 장치는,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이미지의 기 설정된 영역이 선택되는지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 설정된 영역이 선택되면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접속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는,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 영역, 상기 이미지에 대응되는 접속정보를 저장하는 제2 영역 및 상기 이미지의 기 설정된 영역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제3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접속정보 표시 장치는 상기 접속정보에 기초하여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접속정보는, 접속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및 생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 설정된 영역은, 이미지의 얼굴 영역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얼굴 영역의 꼭지점 위치 정보, 너비 정보 및 길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얼굴 영역의 중심 위치 정보 및 반지름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표시부는, 상기 선택된 기 설정된 영역에 선택된 영역에 대응되는 복수의 접속정보가 존재하면, 복수의 접속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는, 접속정보 각각의 우선순위를 나타내는 지시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선택된 영역에 대응되는 복수의 접속정보가 존재하면, 상기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접속정보 중 하나의 접속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접속정보를 통한 통신 빈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본 접속정보 표시 장치는, 상기 이미지에 대응되는 접속정보를 편집하는 편집부 및 상기 편집된 접속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미지를 갱신하는 갱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소록 생성 장치는,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생성하는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주소록을 형성하는 형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는,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 영역, 상기 이미지에 대응되는 접속정보를 저장하는 제2 영역 및 상기 기 설정된 영역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제3 영역을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생성부는, 얼굴 영역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정보획득부, 상기 접속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이미지의 데이터, 상기 접속정보 및 상기 얼굴 영역의 위치 정보를 할당된 저장 영역에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의 데이터 구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접속정보 데이터 구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얼굴 영역의 데이터 구조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기반 통신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기반 통신 장치의 블럭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기반 통신 장치의 보다 구체적인 블럭도이고,
도 8은 도 7의 생성부를 설명하기 위한 보다 구체적인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이 상세하게 설명되고, 그것의 예시적인 것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된다. 여기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식별번호는 도면 전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지시한다.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서 도면과 함께 참고적으로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의 데이터 구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는 이미지 데이터, 접속정보 및 얼굴 영역의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는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영역 이외의 저장 영역에 접속정보 및 얼굴 영역의 위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접속정보는 접속 이름(예컨대, 사용자 이름, ID 등), 전화 번호, 이메일, 주소, 생일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얼굴 영역의 속성값은 이미지의 얼굴 영역에 대한 위치 정보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얼굴 영역이 직사각형일 때, 위치 정보는 얼굴 영역의 꼭지점 위치 정보(예컨대, 좌상 꼭지점의 좌표), 얼굴 영역의 너비(width) 정보, 및 길이(length)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얼굴 영역이 원의 형태일 경우에, 위치 정보는 중심 위치 정보 및 얼굴 영역의 반지름(radius)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현 시에 위치 정보는 얼굴 영역의 모든 픽셀의 좌표 또는 외곽(outline) 픽셀의 좌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정보의 데이터 구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굴 영역의 데이터 구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생성하는 과정에 대해서 도 2,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생성방법은, 이미지를 판독하는 단계(S401), 데이터 저장 영역을 할당하는 단계(S402), 접속정보를 입력하는 단계(S403),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S404) 및 커스텀 이미지 형식으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S405)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각 단계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일반 형식의 이미지를 판독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401). 여기서 일반 이미지의 형식은 .bmp, .jpg, .png, .gif, .tga, tiff 등과 같은 이미지 포맷일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속 헤드 이미지, 즉 얼굴(face)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S401)에서는 이미지를 판독 방식을 이용하여 이미지의 얼굴 영역을 검출하며 얼굴 영역의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 여기서 얼굴의 위치 정보를 분석하는 기법은 이미지의 모든 픽셀에 대한 정보를 기초하여 얼굴 영역에 해당하는 픽셀과 해당하지 않는 픽셀을 구별함으로써 해당 얼굴 영역에 대한 데이터 정보를 획득한는 기법일 수 있다. 이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이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내용 이외에 이미지를 판독하는 방식은 각 이미지 포맷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분석될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 데이터 처리에 대해서는 본원 발명의 핵심적인 특징이 아니고, 해당 기술은 이미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에게 널리 알려진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더라도 본원 발명을 이해하는데 무리가 없다.
상술한 방법으로 일반 형식의 이미지의 얼굴 영역을 판독하고, 해당 얼굴 영역의 위치 좌표를 분석하여 이를 얼굴 영역의 위치 정보로 저장한다.
이러한 얼굴 영역의 위치 정보는 이후에 설명하는 사용자가 이미지를 클릭한 경우에, 기 설정된 영역이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에 의해서 터치된 영역(클릭 영역)의 좌표 정보를 해당 이미지의 얼굴 영역의 위치 정보와 비교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클릭 영역의 좌표 데이터가 얼굴 영역의 위치 좌표 데이터에 속하면, 클릭 영역은 얼굴 영역의 범위에 속한다고 판단될 수 있으며,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클릭 영역은 얼굴 영역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접속정보가 포함된 이미지를 저장할 데이터 저장 영역을 할당한다(S402). 할당된 데이터 저장 영역은 3개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영역은 판독된 이미지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영역이다. 제2 영역은 접속정보를 저장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영역이다. 제3 영역은 얼굴 영역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영역이다.
따라서, 판독 이미지의 데이터는 데이터 영역이 할당된 제1 영역에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영역은 판독된 이미지의 크기 및/또는 이미지가 포함된 접속 개수에 따라 할당될 수 있다. 데이터 저장 영역을 할당하는 단계(S402)는 수동으로 수행되거나 특정 프로그램에 의해서 자동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판독 이미지의 크기에 적합하도록 데이터 저장 영역이 디폴트 사이즈로 할당될 수 있다. 또는, 저장 영역은 데이터의 크기에 따라 자동 또는 수동으로 할당될 수 있다. 데이터 저장 영역 할당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본원 발명을 이해하는데 무리가 없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데이터 저장 영역이 할당된 후에, 접속정보를 입력받는다(S403). 도 2에서 도시된 것처럼, 접속정보의 키워드는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생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외의 접속 방식이나 접속 형식과 관련된 다양한 내용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접속정보의 키워드는 사용자에 의해서 수동으로 입력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의 접속정보를 독출하여 자동으로 입력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접속정보 및 얼굴 영역의 위치 정보를 저장한다(S404). 구체적으로, 입력된 접속정보는 대응하는 이미지와 매칭되도록 해당 저장 영역(대응 이미지의 데이터가 저장된 저장 영역의 제2 영역)에 저장될 수 있다. 만일 하나의 접속정보에 대해서 복수의 이미지가 존재하면, 해당 접속정보는 각각의 이미지에 저장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얼굴 영역이 직사각형일 때, 얼굴 영역의 위치 정보는 얼굴 영역의 꼭지점 위치 정보, 너비 정보 및 길이 정보를 포함한다.
한편, 얼굴 영역이 원일 경우에, 위치 정보는 얼굴 영역의 중심점의 위치 정보 및 반지름 정보을 포함한다.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얼굴 영역의 모양에 따라 얼굴 영역의 속성값을 얻는 알고리즘을 고려해볼 수 있다. 다만, 다양한 형태에 대해서는 기본형인 직사각형과 원형을 기초로 하여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렇게 생성된 접속정보는 할당된 제2 영역에 저장되고, 얼굴 영역의 위치 정보는 제3 영역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미지의 접속정보 형식(format)은 사용자의 요청(requirement)에 의해 설정 또는 변경될 수도 있다.
얼굴 영역의 위치 정보는 얼굴 인식 모듈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얻어질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먼저 얼굴 인식 모듈 엔진이 시작된다. 얼굴 인식 모듈 엔진에 이미지 데이터가 입력된다. 이에 따라 얼굴 인식 모듈은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얼굴 영역의 꼭지점의 위치 정보, 너비 정보 및 길이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얼굴 인식 모듈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설명하였지만, 위치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서 수동으로 산출될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수동으로 얼굴 영역의 꼭지점의 위치 정보, 얼굴 영역의 너비 정보 및 길이 정보를 입력부를 통해서 직접 입력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얼굴 영역의 위치 정보는 접속정보 각각의 우선 순위를 나타내는 지시 정보(indication information)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시 정보는 사용자가 선택한 이미지의 영역이 2개 이상의 얼굴 영역에 속할 경우에, 화면에 표시된 접속정보 중 어느 접속정보를 선택할 것인지에 대한 기준으로 사용된다. 이에 따라 표시부는 복수의 접속정보가 검출된 경우에 지시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접속정보 중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지시 정보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통신 빈도 정도(frequency degree)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즉, 접속의 빈도수의 다소에 따라, 해당 접속정보의 지시 정보의 값은 더 작은 값 또는 더 높은 값을 갖도록 입력할 수 있다. 택일적으로, 지시 정보는 접속정보를 생성하거나 설정하는 순서에 따라 내림 차순 또는 오름 차순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지시 정보는 사용자의 설정에 의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접속정보 및 얼굴 영역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S404) 이후에, 이미지의 데이터, 접속정보 및 얼굴 영역의 위치 정보는 할당된 데이터 영역에 커스텀 이미지 형식으로 저장된다. 즉,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형식으로 저장된다(S405).
제1 영역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는 대응하는 접속정보 및 얼굴 영역의 위치 정보와 각각 매칭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해당 이미지의 저장 영역 중 제1영역에는 이미지 데이터가 저장되고, 제2 영역에는 접속정보가 저장되며, 제3 영역에는 얼굴 영역의 위치 정보가 저장된다.
결국,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는, 이미지의 얼굴 영역을 선택할 경우에 해당 이미지와 매칭되어 저장되어 있는 접속정보를 화면에 표시하게 되므로, 실질적으로 이미지는 접속정보 및 얼굴 영역의 위치 정보와 상호 매칭되어 있다.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단계(S401 내지 S405)을 기초하여 접속정보 표시장치의 주소록를 생성하는 방법에 적용할 수 있다. 또는 단계(S401 내지 S405)에 의해서 생성된 접속 이미지가 포함된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접속정보 표시 장치의 주소록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주소록은 접속정보 리스트로 기록되는 대신에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리스트로 기록될 수 있다. 이를 달리 표현하면, 하나 이상의 이미지 목록으로 주소록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는, 이미지와 관련된 데이터가 저장된 영역에 이미지 데이터, 이미지에 대응하는 접속정보 및 이미지의 얼굴 영역의 위치 정보를 저장 영역에 각각 저장하고 있다. 하나의 이미지는 적어도 하나의 얼굴영역을 포함하고, 해당 얼굴 영역은 특정 접속정보와 매핑되어 있다.
이미지의 얼굴 영역을 클릭하는 일련의 동작에 의해서 데이터를 읽거나 쓰는 것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데이터(또는 파일) 쓰기 및 읽기 동작으로 이미 잘 알려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기반 접속정보 표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접속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은,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S501), 얼굴 영역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502) 및 접속정보를 표시하는 단계(S503)를 포함한다.
먼저,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표시한다(S501). 구체적으로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사용자가 클릭할 수 있도록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는 기 생성되어 저장 영역의 제1영역에 저장되어 있으며, 독출 신호에 따라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얼굴 영역인지 판단한다(S502). 구체적으로 화면에 표시된 이미지를 사용자가 입력부에 의해서 클릭한 경우에 사용자에 의해서 클릭된 영역이 이미지의 얼굴 영역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미지의 얼굴 영역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알고리즘은 사용자가 선택한 영역의 위치 정보를 해당 이미지의 얼굴 영역의 위치 정보와 비교하여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이미지의 얼굴 영역의 위치 정보는 해당 이미지와 매칭되어 소정의 저장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바, 소정의 저장영역에 저장된 위치 정보와 사용자가 선택한 영역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선택 영역이 얼굴 영역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접속정보를 표시한다(S503). 구체적으로 사용자에 의해서 이미지의 얼굴 영역이 선택되면, 해당 얼굴 영역에 대응하는 접속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만일 사용자에 의해서 얼굴 영역이 아닌 부분이 선택된 경우에는 아무런 응답을 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표시된 접속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표시된 접속정보를 수정하여 이미지의 접속정보를 편집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된 접속정보에 기초하여 통신한다(S504). 그리고 구체적으로 표시된 접속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접속정보 중 전화번호를 선택한 경우 전화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접속정보 중 이메일 주소를 선택한 경우 이메일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표시된 접속정보는 통신 방식, 통신 형식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한다. 이렇게 표시된 접속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는 상대방과의 통신이 이루어진다.
얼굴 영역의 위치 정보에는 접속정보 각각의 우선 순위를 나타내는 지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얼굴 영역이 직사각형일 경우에는, 얼굴 영역의 위치 정보는 꼭지점(vertex)의 위치 정보, 너비(width) 정보, 길이(length) 정보를 포함한다. 이러한 2차원적인 위치 정보에 지시 정보가 더해지면, 얼굴 영역의 위치 정보는 3차원 위치 정보가 될 수 있다. 즉, 3차원의 위치 정보는 3개의 좌표 (x,y,z)를 포함하고, 여기서 z 요소는 지시 정보를 의미한다. 가장 작은 z값을 갖는 얼굴 영역은 가장 낮은 층이고, 가장 큰 z값을 갖는 얼굴 영역은 가장 높은 층일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얼굴 영역이 하나의 이미지에 겹쳐지는 경우, 예컨대 하나의 이미지에 복수의 얼굴 영역이 존재하고 얼굴 영역이 서로 오버랩되는 부분이 발생하는 경우에 오버랩되는 부분을 사용자가 클릭하면 다수의 얼굴 영역이 하나의 이미지에서 겹쳐지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선택한 영역은 2개 이상의 얼굴 영역에 속하게 된다. 이때 화면에 표시되는 얼굴 영역은 z 좌표 요소에 따라 결정되는데, 즉 가장 큰 z값을 갖는 접속 얼굴 영역에 대응되는 접속정보가 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클릭 영역이 2개 이상의 접속얼굴 영역에 속하게 되면, 2개 이상의 접속정보는 사용자에 의해서 수동으로 선택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화면에 표시된 해당 이미지에 대응되는 접속정보를 편집할 수도 있다. 사용자에 의해서 접속정보가 편집되면, 편집된 접속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이미지가 갱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기반 접속정보 표시 방법은, 사용자가 특정 이미지의 얼굴 영역을 선택할 경우에는 해당 얼굴 영역과 매칭되어 있는 접속정보를 특정 이미지가 표시된 화면상에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해당 얼굴 영역의 접속정보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이를 기초하여 통신을 할 수 있으므로 간편한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이러한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기반 접속정보 표시방법은 접속정보 표시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접속정보 표시 장치는 예컨대 유무선 통신을 하는 통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접속 터미널 장치일 수 있다. 이런 접속정보 표시 장치는 접속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접속정보에 기초하여 외부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모듈 및 이러한 장치들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6을 참고하여 후술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속정보 표시방법은 이러한 제어부에 적용되어 접속정보를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하고, 표시된 접속정보에 기초하여 통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정보 표시 장치의 블럭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속정보 표시 장치는 표시부(601), 감지부(603) 및 통신부(605)를 포함한다.
표시부(601)는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표시부(601)는 터치 스크린 방식으로 작동하는 LCD, LED 또는 CRT등 다양한 방식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감지부(603)는 사용자에 의해서 화면에 표시된 이미지의 얼굴 영역이 클릭되었는지를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감지부(603)에 의해서 감지된 결과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영역이 얼굴 영역일 경우에는, 해당 얼굴 영역에 대응하는 접속정보가 표시부(601)에 의해서 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시부(601)는 감지부(603)에서 감지된 결과에 따라 이미지의 선택된 부분이 얼굴 영역에 속하는 경우에는, 표시부(601)는 해당 이미지와 매칭되어 있는 접속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얼굴 영역이 표시되어 있는 화면상에 겹쳐지도록 접속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새로운 화면창에 접속정보가 표시될 수도 있다. 이러한 표시부(601)는 터치 패널 방식의 LCD, LED 또는 CRT 등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605)는 표시부(601)에 표시된 접속정보에 기초하여 통신을 수행한다. 접속정보에 포함되는 접속 방식이나 접속 주소 등을 이용하여 해당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 방법은 널리 알려진 기술인 바 이에 대해서는 상세히 기재하지 않는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정보 표시 장치의 보다 상세한 블럭도를 도시한다.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입력부(701), 표시부(703), 감지부(705), 생성부(707) 및 통신부(709)를 포함한다.
입력부(701)는 외부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데 사용한다. 예컨대, 사용자는 입력부(701)를 이용하여 표시 장치에 정보를 제공하거나 입력부(701)를 통해서 표시 장치를 작동한다. 입력부(701)는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서 정보를 수신하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표시부(703)는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장치이다. 기 생성된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상술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장치로는 앞서 설명한 것처럼 LCD, LED 또는 CRT 방식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터치스크린이 적용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으로도 구현할 수 있다.
감지부(705)는 접속정보가 포함된 이미지를 사용자가 터치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터치된 영역이 이미지의 얼굴 영역인지를 판단한다. 감지부(705)는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한 영역이 이미지의 얼굴 영역일 경우에 이러한 감지 결과를 표시부(703)로 전달하여 해당 얼굴 영역에 대응하는 접속정보가 표시부(703)에 의해서 표시되도록 한다.
생성부(707)는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생성부(707)는 이미지의 데이터, 접속정보 및 이미지의 얼굴 영역의 위치 정보를 저장 영역에 저장한다. 즉, 생성부(707)는 일반 이미지를 해당 이미지에 대응하는 접속정보 및 얼굴 영역의 위치 정보와 함께 저장 영역에 저장한다. 생성부(707)는 해당 이미지가 접속정보 및 얼굴 영역의 위치 정보와 매칭되도록 한다.
통신부(709)는 표시된 접속정보에 기초하여 통신을 수행한다. 이때 표시된 접속정보가 이메일일 경우에는 TCP/IP 프로토콜에 의해서 외부 사용자 또는 서버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표시된 접속정보에 기반하여 통신부(705)에 의해서 통신을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접속정보 표시 장치의 생성부의 블럭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생성부(707)는 정보획득부(801), 할당부(803), 설정부(805) 및 저장부(807)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생성부(709)는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8을 참고하여 생성부(707)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정보획득부(801)가 적어도 하나의 얼굴 영역을 포함하는 일반적인 형식의 이미지를 판독한다. 이때 정보획득부(801)는 일반적인 형식의 이미지를 데이터 분석을 하여 이미지의 데이터를 판독하고, 얼굴 영역의 위치 정보를 검출한다. 정보획득부(801)에 의해서 판독된 이미지의 데이터에 대한 정보가 분석되고, 이때 얼굴 영역의 위치 정보에 대한 분석도 이뤄진다.
그 다음으로 할당부(803)는 접속정보가 포함된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해 요구되는 저장 영역을 할당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접속정보가 포함된 이미지에 대한 정보는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으로 할당할 수 있다.
입력부(805)는 접속정보, 이미지의 얼굴 영역의 위치 정보를 입력받거나 저장장치로부터 해당 정보를 독출하여 입력받을 수 있다.
저장부(807)는 접속정보, 얼굴 영역의 위치 정보 및 이미지의 데이터를 각각 저장 영역의 해당 영역에 저장한다. 저장부(807)에 저장된 접속정보 및 얼굴 영역의 위치 정보는 해당 이미지와 상호 매핑되어 있다. 해당 이미지의 얼굴 영역이 선택되면 해당 얼굴 영역의 이미지에 대응하는 접속정보가 독출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지에 대응되는 접속정보를 편집할 수 있는 편집부(미도시)와, 편집부에 의해서 접속정보가 편집되면 편집된 접속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이미지를 갱신하는 갱신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편집부 및 갱신부의 기능은 할당부(803), 입력부(805) 및 저장부(807)등에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거나 또는 별도의 구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접속정보를 표시하는 장치는 사용자가 접속정보를 검색하려 할 때, 접속에 관한 상세 정보는 얼굴 영역을 클릭함으로써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직관적인 클릭으로 해당 이미지의 접속 정보를 직관적으로 확인함으로써 직관적인 접속정보 표시가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접속정보에 대응하는 해당 인터페이스가 해당 접속정보에서 허용하는 기능(정보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해당 이미지를 클릭함으로써 간편하고 신속하게 통신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 및 적용예가 도시되고 설명되었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많은 변화 및 수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설명된 실시예는 예시적이지 제한적인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은 첨부된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제한되는 것이 아니지만 청구항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수정가능하다.

Claims (26)

  1. 접속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 설정된 제1 영역, 기 설정된 제2 영역, 상기 제1 영역과 연관된 제1 접속정보 및 상기 제2 영역과 연관된 제2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이 오버랩된 오버랩 영역이 선택되는지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오버랩 영역이 선택되면 상기 제1 접속정보 및 상기 제2 접속정보 각각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기 위한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접속정보 및 상기 제2 접속정보 중 하나의 접속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지시 정보는 통신 빈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접속정보 표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는,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이미지 영역, 상기 이미지에 대응되는 접속정보를 저장하는 접속정보 영역 및 상기 이미지의 기 설정된 영역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위치 정보 영역을 포함하는 접속정보 표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접속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통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정보 표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접속정보는 접속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및 생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정보 표시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제1 영역 및 상기 기 설정된 제2 영역은 이미지의 얼굴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정보 표시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얼굴 영역의 꼭지점 위치 정보, 너비 정보 및 길이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정보 표시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얼굴 영역의 중심 위치 정보 및 반지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정보 표시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에 대응되는 접속정보를 편집하는 단계; 및
    상기 편집된 접속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미지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정보 표시 방법.
  12. 주소록을 전자 장치에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상기 전자 장치가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가 주소록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는, 기 설정된 제1 영역, 기 설정된 제2 영역, 상기 제1 영역과 연관된 제1 접속정보 및 상기 제2 영역과 연관된 제2 접속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주소록은, 상기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이 오버랩된 오버랩 영역이 선택되면, 상기 제1 접속정보 및 상기 제2 접속정보 각각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기 위한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접속정보 및 상기 제2 접속정보 중 하나의 접속정보를 상기 전자 장치에 표시하고,
    상기 지시 정보는 통신 빈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주소록 생성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얼굴 영역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접속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이미지의 데이터, 상기 접속정보 및 상기 얼굴 영역의 위치 정보를 할당된 저장 영역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소록 생성 방법.
  14. 표시부;
    감지부; 및
    기 설정된 제1 영역, 기 설정된 제2 영역, 상기 제1 영역과 연관된 제1 접속정보 및 상기 제2 영역과 연관된 제2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는,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에서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이 오버랩된 오버랩 영역이 선택되는지 감지하면, 상기 제1 접속정보 및 상기 제2 접속정보 각각의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접속정보 및 상기 제2 접속정보 중 하나의 접속정보를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정보 표시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는,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이미지 영역, 상기 이미지에 대응되는 접속정보를 저장하는 접속정보 영역 및 상기 이미지의 기 설정된 영역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위치 정보 영역을 포함하는 접속정보 표시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접속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정보 표시 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접속정보는 접속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및 생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정보 표시 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제1 영역 및 상기 기 설정된 제2 영역은 이미지의 얼굴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정보 표시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얼굴 영역의 꼭지점 위치 정보, 너비 정보 및 길이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정보 표시 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얼굴 영역의 중심 위치 정보 및 반지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정보 표시 장치.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에 대응되는 접속정보를 편집하는 편집부; 및
    상기 편집된 접속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미지를 갱신하는 갱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정보 표시 장치.
  25. 주소록 생성 장치에 있어서,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생성하는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주소록을 형성하는 형성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는, 기 설정된 제1 영역, 기 설정된 제2 영역, 상기 제1 영역과 연관된 제1 접속정보 및 상기 제2 영역과 연관된 제2 접속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주소록은, 상기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이 오버랩된 오버랩 영역이 선택되면, 상기 제1 접속정보 및 상기 제2 접속정보 각각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기 위한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접속정보 및 상기 제2 접속정보 중 하나의 접속정보를 전자 장치에 표시하고,
    상기 지시 정보는 통신 빈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주소록 생성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부는,
    얼굴 영역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정보획득부;
    상기 접속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이미지의 데이터, 상기 접속정보 및 상기 얼굴 영역의 위치 정보를 할당된 저장 영역에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주소록 생성 장치.
KR1020110104059A 2010-10-09 2011-10-12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기반 접속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 KR1019084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4059A KR101908447B1 (ko) 2010-10-09 2011-10-12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기반 접속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
US13/280,803 US9210248B2 (en) 2010-10-09 2011-10-25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contact information based on an image embedded with contact inform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010508163.2A CN102447644B (zh) 2010-10-09 2010-10-09 基于嵌入有联系人信息的图像进行通信的方法
CN201010508163.2 2010-10-25
KR1020110104059A KR101908447B1 (ko) 2010-10-09 2011-10-12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기반 접속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2656A KR20120042656A (ko) 2012-05-03
KR101908447B1 true KR101908447B1 (ko) 2018-10-17

Family

ID=46018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4059A KR101908447B1 (ko) 2010-10-09 2011-10-12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기반 접속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210248B2 (ko)
KR (1) KR101908447B1 (ko)
CN (1) CN10244764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59271A1 (en) * 2011-12-15 2013-06-20 Rockmelt, Inc.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web browser
CN102622180B (zh) * 2012-03-09 2015-08-19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交互界面的展示控制方法及装置
CN103516881A (zh) * 2012-06-29 2014-01-15 华为技术有限公司 建立通信连接的方法与装置
TW201424380A (zh) 2012-12-07 2014-06-16 Ind Tech Res Inst 影像與訊息編碼系統、編碼方法、解碼系統及解碼方法
CN103873663B (zh) * 2012-12-14 2017-04-19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显示方法及电子设备
KR102158098B1 (ko) * 2013-01-07 2020-09-2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인식을 이용한 이미지 레이아웃 방법 및 장치
US9910865B2 (en) 2013-08-05 2018-03-06 Nvidia Corporation Method for capturing the moment of the photo capture
US20150085146A1 (en) * 2013-09-23 2015-03-26 Nvidia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storing contact information in an image using a mobile device
CN106210271A (zh) * 2016-06-28 2016-12-07 上海青橙实业有限公司 数据处理方法及移动终端
CN107018225B (zh) * 2017-02-15 2019-06-04 海尔优家智能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基于人脸信息绑定的通信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31229B1 (en) * 2003-03-16 2007-06-12 Palm, Inc. Communication device interface
CN1620081A (zh) * 2003-11-18 2005-05-25 神乎科技股份有限公司 利用移动电话通讯簿内建相片进行拨号的方法
US20060084478A1 (en) * 2004-10-18 2006-04-20 Mobile (R&D) Ltd. Most frequently used contact information display for a communication device
JP5203197B2 (ja) * 2005-08-12 2013-06-05 カンヌウ ピーティーワイ エルティーディー データベースからデータベース項目を選択するための改良した方法及び装置
US7945653B2 (en) * 2006-10-11 2011-05-17 Facebook, Inc. Tagging digital media
JP4264660B2 (ja) * 2006-06-09 2009-05-20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制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453721B2 (ja) * 2007-06-13 2010-04-21 ソニー株式会社 画像撮影装置及び画像撮影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9571675B2 (en) 2007-06-29 2017-02-14 Nokia Technologies Oy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using images in contact lists maintained in electronic devices
US8331924B1 (en) * 2007-07-03 2012-12-11 Kyocera Corporation Phone call by picture selection
US8774767B2 (en) * 2007-07-19 2014-07-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honebook using image in a portable terminal
KR101513616B1 (ko) * 2007-07-31 2015-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영상정보 관리방법
CN101247426A (zh) * 2008-03-10 2008-08-20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快速定位联系人并拨出电话的方法及通信终端
CN101247427A (zh) * 2008-03-19 2008-08-20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的联系人查找方法、系统及移动终端
US8805450B2 (en) * 2008-09-05 2014-08-12 Microsoft Corp. Intelligent contact management
KR101570037B1 (ko) * 2009-03-30 2015-11-1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1990031A (zh) * 2009-07-30 2011-03-23 索尼爱立信移动通讯股份有限公司 使用面部识别来更新个人联系人列表的系统和方法
US8798684B2 (en) * 2010-04-19 2014-08-05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447644B (zh) 2017-04-19
CN102447644A (zh) 2012-05-09
KR20120042656A (ko) 2012-05-03
US9210248B2 (en) 2015-12-08
US20120098861A1 (en) 2012-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8447B1 (ko)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기반 접속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
US11314804B2 (en) Information search method and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KR101357260B1 (ko) 증강 현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US10187520B2 (en) Terminal device and content displaying method thereof, serv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9852491B2 (en) Objects in screen images
KR101570116B1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컨텐츠 탐색 및 실행방법과 이를 이용한 장치
EP3413184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60086090A (ko)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이의 이미지 디스플레이 방법
CN104133589A (zh) 使用表情字符的便携式触摸屏设备、方法和图形用户界面
JP6020191B2 (ja) 表示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05446619B (zh) 用于识别物体的装置和方法
US20160124468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O2017165324A1 (en) Enhancing object representations using inferred user intents
JP2012064207A (ja) ホスト装置及びホスト装置のコンテンツ表示方法
KR102255087B1 (ko)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CN109544433B (zh) 水印嵌入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JP5389851B2 (ja) 地図提供サーバ、地図提供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6215718A (ja) 情報処理端末
CN113678099B (zh) 软件分析辅助系统及其计算机可读记录介质
WO2015163140A1 (ja) 表示装置およ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JP2011060155A (ja) 表示端末装置およびこの表示端末装置のためのプログラム
KR20150026382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연락처 관리 방법
JP6459470B2 (ja) 文書管理プログラム、方法及び文書管理装置
US1080267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storing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CN105739832A (zh) 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