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6382A -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연락처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연락처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6382A
KR20150026382A KR20130105136A KR20130105136A KR20150026382A KR 20150026382 A KR20150026382 A KR 20150026382A KR 20130105136 A KR20130105136 A KR 20130105136A KR 20130105136 A KR20130105136 A KR 20130105136A KR 20150026382 A KR20150026382 A KR 201500263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iness card
information
contact
business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5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동일
김현정
고동진
성정식
정의창
이유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05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26382A/ko
Publication of KR20150026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63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47Telephone sets including user guidance or feature selection means facilitating their use
    • H04M1/2473Telephone terminals interfacing a personal computer, e.g. using an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schedules, e.g. using calenda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7/00Prepayment of wireline communication system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or telephone systems
    • H04M17/30Prepayment of wireline communication system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or telephone systems using a code
    • H04M17/301Code input or reading
    • H04M17/304Optical code recognition [OCR], e.g. bar code rea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achieving an enlarged field of view, e.g. panoramic image cap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7/00Prepayment of wireline communication system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or telephone systems
    • H04M2017/25Prepayment of wireline communication system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or telephone systems using a code
    • H04M2017/2506Prepayment of wireline communication system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or telephone systems using a code code input or reading
    • H04M2017/2525Prepayment of wireline communication system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or telephone systems using a code code input or reading optical code recognition [OCR], e.g. bar code rea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42Graphical user inte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연락처 관리 방법과 관련된 다양한 실시예들이 기술된 바,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에 있어서, 일반 연락처 정보와 명함 연락처 정보를 포함하는 연락처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연락처 화면에서 명함 연락처 정보 요청에 따라 일반 연락처 정보를 제외한 명함 연락처 정보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다른 실시예들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연락처 관리 방법{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ACTS MANAGEMENT IN ELECTRONIC APPARATUS}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연락처를 관리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 장치는 통신이 가능하고, 개인이 휴대하고 다닐 수 있도록 휴대 단말로 개발되고 있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전자 장치에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각종 기능들 예를 들면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이 내장되고 있으며, 사용자 조작에 따라 각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여 해당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자 장치는 연락처 애플리케이션, 명함 애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하고, 연락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연락처를 관리하고, 명함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명함을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연락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성명과 그 성명에 해당하는 전화번호, 주소, 이메일 주소, 사진 등의 연락처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할 수 있고, 저장된 연락처 정보를 검색하여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는 명함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명함 정보를 획득하여 저장할 수 있고, 저장된 명함 정보를 검색하여 표시할 수 있다.
명함은 상대방의 정보를 포함하는 자료로써, 명함에는 성명, 사진, 회사이름, 직위, 이동전화번호, 회사전화번호, 자택전화번호, 기타 연락처, 이메일, 주소 등의 명함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전자 장치는 다양한 방식으로 명함에 포함된 명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런데 명함 정보에는 이름, 전화번호, 주소, 이메일 주소, 사진 등 거의 일반 연락처 정보와 동일한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연락처 애플리케이션과 명함 애플리케이션을 별도로 이용하지 않고, 하나의 연락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연락처 정보와 명함 정보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연락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일반 연락처 정보뿐만 아니라 명함 정보에 의해 획득된 명함 연락처 정보를 함께 관리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연락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일반 연락처 정보와 명함 연락처 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연락처 정보 표시 시 일반 연락처 정보와 명함 연락처 정보를 통합하여 제공하거나, 일반 연락처 정보와 명함 연락처 정보를 구분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는 명함 연락처 정보를 다양한 방식 예를 들면 무선 데이터 통신(ex. 블루투스(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등을 통해 획득할 수 있도록 하고, 획득한 방식에 따라 명함 연락처 정보를 각각 구분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에 있어서, 일반 연락처 정보와 명함 연락처 정보를 포함하는 연락처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연락처 화면에서 명함 연락처 정보 요청에 따라 일반 연락처 정보를 제외한 명함 연락처 정보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에서 연락처 관리 방법에 있어서, 일반 연락처 정보와 명함 연락처 정보를 포함하는 연락처 화면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연락처 화면에서 상기 명함 연락처 정보 요청에 따라 상기 일반 연락처 정보를 제외한 명함 연락처 정보 화면을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연락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일반 연락처 정보뿐만 아니라 명함 정보에 의해 획득된 명함 연락처 정보를 함께 관리할 수 있어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연락처 정보 표시 시 일반 연락처 정보와 명함 연락처 정보를 통합하여 제공하거나, 일반 연락처 정보와 명함 연락처 정보를 구분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있어 연락처에 대한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명함 연락처 정보를 다양한 방식 예를 들면 무선 데이터 통신(블루투스(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등을 통해 획득할 수 있도록 하고, 획득한 방식에 따라 명함 연락처 정보를 각각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어서 사용자가 명함 연락처를 보다 편리하게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명함 연락처 정보를 스케쥴러 기능과 같이 연동 가능한 기능에 이용할 수 있어서, 명함 연락처 정보를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연락처 화면 표시 일예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명함 연락처 화면 일예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명함 연락처 등록 동작의 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명함 등록 요청 시 화면 일예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명함 정보 획득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명함 촬영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1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명함 인식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복수의 명함을 촬영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7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명함들로부터 각각의 명함들을 인식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명함 정보 연동 기능 동작에 대한 흐름도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명함 정보를 이용하여 스케쥴러 기능을 수행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는, 통신 기능이 포함된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스마트 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전화기(mobile phone), 화상전화기, 전자북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camera),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예: 전자 안경과 같은 head-mounted-device(HMD), 전자 의복, 전자 팔찌, 전자 목걸이, 전자 앱세서리(appcessory), 또는 스마트 와치(smartwatch))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다양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제어부(110), 통신부(120), 카메라부(130),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모듈(140), 입출력부(150), 터치스크린(160), 저장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CPU(Central Processor Unit)(111)일 수 있다. 제어부(110)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자 장치(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프로그램이 저장된 롬(ROM)(112) 및 전자 장치(100)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기억하거나, 전자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작업을 위한 기억영역으로 사용되는 램(RAM)(113)을 포함할 수 있다. CPU는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또는 쿼드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CPU, 롬 및 램은 내부버스(bus)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10)는 통신부(120), 카메라부(130), OCR 모듈(140), 입출력부(150), 터치스크린(160), 저장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10)는 전자 장치(100)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각 구성부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10)는 연락처 정보를 획득하여 저장할 수 있다. 연락처 정보는 이름(상대방 이름, 회사 이름), 전화번호(이동 전화번호, 집 전화번호, 회사 전화번호, 팩스번호(집 팩스번호, 회사 팩스번호), 주소(회사 주소, 집 주소), 이메일 주소(개인 메일, 회사 메일), 사진 포함될 수 있다. 이 외에도 상대방과 연락 가능한 정보라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제어부(11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연락처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고, 명함 인식에 따라 명함 정보를 획득하고, 명함 정보로부터 연락처 정보를 추출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연락처 정보를 일반 연락처라 칭하고, 명함 정보로부터 추출된 연락처 정보를 명함 연락처 정보라 칭할 수 있다. 또한 이 때 명함 연락처는 실제 명함으로부터 광학 촬영으로 얻어진 것일 수도 있고, 명함의 포맷을 갖는 데이터일 수도 있다.
제어부(110)는 명함 정보 획득 시 명함 정보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더 획득하고, 명함 정보로부터 추출한 명함 연락처 정보와 부가 정보를 함께 추출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일반 연락처 정보와 명함 연락처 정보를 포함하는 연락처 화면을 표시하거나, 일반 연락처 정보와 명함 연락처 정보를 각각 구분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명함 정보 획득 요청에 따라 명함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명함 정보로부터 명함 연락처 정보를 추출하여 연락처 정보 DB(DataBase)에 저장하거나, 명함 연락처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명함 연락처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10)는 명함 정보를 무선 데이터 통신(ex. NFC, 블루투스) 또는 OCR 중 어느 하나를 통해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OCR을 통해 명함 정보를 획득하는 경우, 하나의 명함 이미지로부터 명함 정보를 획득하여 명함 연락처 정보를 추출거나, 복수의 명함 이미지로부터 복수의 명함 정보를 획득하여 복수의 명함 연락처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명함 정보 획득 시 전자 장치(100)에 명함 정보 중 적어도 일부 정보와 일치하는 정보가 존재하면, 명함 정보 중 적어도 일부 정보와 일치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기능을 판단하고, 해당 기능으로 명함 정보를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전자 장치(100)를 외부 장치(미도시)와 연결되도록 할 수 있고,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외부 장치는 다른 장치(도시되지 아니함), 휴대폰(도시되지 아니함), 스마트폰(도시되지 아니함), 태블릿PC(도시되지 아니함) 및 서버(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이동통신 모듈(122),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124), 블루투스 모듈(126)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동통신, NFC, 또는 블루투스 등의 통신을 이용하여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는 이동통신 모듈(122)을 통해 전자 장치(100)에 입력된 전화번호를 가지는 휴대폰(도시되지 아니함), 스마트폰(도시되지 아니함), 태블릿PC 또는 다른 장치(도시되지 아니함)와 음성 통화, 화상 통화, 문자메시지(SMS)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MMS)를 위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명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NFC 모듈(124)을 통해 외부 장치로부터 명함 정보를 수신하거나, 블루투스 모듈(126)을 통해 외부 장치로부터 명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부(120)는 NFC 모듈(124), 블루투스 모듈(126) 외에도 무선랜 모듈(미도시)과 다른 근거리통신 모듈(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고, 무선랜 모듈과 다른 근거리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명함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무선랜 모듈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무선 AP(access point)(미도시)가 설치된 장소에서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다. 무선랜 모듈은 미국전기전자학회(IEEE)의 무선랜 규격(IEEE802.11x)을 지원할 수 있다. 다른 근거리통신 모듈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 사이에 무선으로 근거리 통신을 할 수 있다. 다른 근거리 통신방식은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부(13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사진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부(13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피사체 예컨대 명함을 일반 방식으로 촬영하거나 파노라마 방식으로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부(130)는 촬영된 명함 이미지를 제어부(110)에 전송할 수 있다.
OCR 모듈(140)은 광학식 문자 판독기일 수 있다. OCR 모듈(140)은 촬영된 이미지 또는 스캔된 이미지에 포함된 문자를 인식하고, 인식된 문자를 텍스트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입출력부(150)는 버튼(152), 마이크(154), 스피커(156), 입력 유닛(158)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입출력부(150)는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마우스, 트랙볼, 조이스틱 또는 커서 방향 키들과 같은 커서 컨트롤(cursor control)이 제어부(110)와의 통신 및 터치 스크린(160) 상의 커서 움직임 제어를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버튼(152)은 적어도 하나 이상 상기 전자 장치(100)에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누름에 따른 각종 입력 신호를 상기 제어부(110)로 제공할 수 있다.
마이크(154)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각종 음원에 의한 음성(voice) 또는 각종 소리(sound)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스피커(156)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통신부(120) 또는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의한 다양한 신호(예, 무선신호, 방송신호, 디지털 오디오 파일, 디지털 동영상 파일 등)에 대응되는 소리를 전자 장치(100)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입력 유닛(158)은 전자 장치(100) 내부에 삽입되어 보관되거나 별도로 구성된 디바이스 또는 물체일 수 있으며, 내부에 삽입되어 보관되는 경우 상기 전자 장치(100)로부터 인출 또는 탈착될 수 있다. 입력 유닛(158)은 스타일러스 펜(이하 '펜'이라 함)등과 같이 터치스크린(160)에 근접 또는 터치 등의 입력이 가능한 입력 수단이거나, 사용자 손가락 등이 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160)은 '표시부'일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수행 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터치 스크린(160)은 사용자의 신체(예, 엄지를 포함하는 손가락)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유닛(158) 예컨대 펜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근접 또는 터치 등의 각종 제스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160)은 예를 들어, 저항막(resistive) 방식, 정전용량(capacitive) 방식, 적외선(infrared) 방식 또는 초음파(acoustic wave)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터치스크린(16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화면들 및 연락처 화면을 표시할 수 있고, 일반 연락처 화면과 명함 연락처 화면을 구분하여 별도로 표시할 수 있다.
저장부(17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통신부(120), 카메라부(130),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모듈(140), 입출력부(150), 터치스크린(160)의 동작에 대응되게 입/출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70)는 전자 장치(100) 또는 제어부(110)의 제어를 위한 복수의 프로그램 및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과 각종 기능들 예컨대 연락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5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명함 정보 및 일반 연락처 정보와 명함 연락처 정보를 포함하는 연락처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연락처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연락처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라는 용어는 제어부(110)내 롬(ROM)(112), 램(RAM)(113) 또는 단말(10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미도시)(예, SD 카드, 메모리 스틱)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70)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70)는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일 수 있으며, 기계로 읽을 수 있는 매체라는 용어는 기계가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기계로 데이터를 제공하는 매체로 정의될 수 있다. 기계로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저장 매체일 수 있다. 상기 저장부(170)는 비휘발성 매체(non-volatile media) 및 휘발성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모든 매체는 상기 매체에 의해 전달되는 명령들이 상기 명령들을 상기 기계로 읽어 들이는 물리적 기구에 의해 검출될 수 있도록 유형의 것이어야 한다. 상기 기계로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 플렉서블 디스크(flexible disk), 하드 디스크, 자기 테이프, 시디롬(compact disc read-only memory: CD-ROM), 광학 디스크, 펀치 카드(punch card), 페이퍼 테이프(paper tape), 램(RAM), 피롬(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이피롬(Erasable PROM: EPROM) 및 플래시-이피롬(FLASH-EPROM)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동작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210 과정에서 일반 연락처 정보와 명함 연락처 정보를 포함하는 연락처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연락처 화면에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획득된 일반 연락처 정보와 명함 인식을 통해 명함 정보로부터 획득된 명함 연락처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220 과정에서 명함 연락처 정보 표시 요청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는 연락처 화면에서 명함 연락처 정보 표시 요청을 위한 메뉴 선택이 있거나, 명함 연락처 항목들 중 어느 하나의 명함 연락처 항목이 선택되면 명함 연락처 정보 표시 요청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명함 연락처 정보 표시 요청이 있으면, 일반 연락처 정보를 제외한 명함 연락처 정보가 포함된 명함 연락처 화면을 별도로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전체 연락처 정보들 중 명함 정보로부터 획득된 명함 연락처 정보만을 별도로 확인 및 관리할 수 있어서 편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연락처 화면 및 명함 연락처 화면은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라 연락처 화면을 예를 들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에서 연락처 화면 표시 일예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도 3의 (a)와 같이 명함 연락처 정보(311, 312, 313)와 일반 연락처 정보(321, 322)를 포함하는 연락처 화면(300)을 표시할 수 있다. 명함 연락처 정보(311, 312, 313)는 명함 연락처 정보임을 알 수 있도록 명함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일반 연락처 정보(321, 322)는 일반 연락처 정보임을 알 수 있도록 일반 이미지(예컨대 상대방 사진)가 표시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도 3의 (b)와 같이 연락처 화면(300)에서 명함 연락처 정보 표시 요청을 위한 메뉴 예컨대 명함 메뉴(330)가 선택되면, 일반 연락처 정보를 제외한 명함 연락처 정보가 포함된 명함 연락처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도 3의 (c)와 같이 연락처 화면(300)에서 명함 연락처 정보 표시 요청을 위해 명함 연락처 정보(311, 312, 313)중 어느 하나(311) 내에 특정 위치가 선택되면, 일반 연락처 정보를 제외한 명함 연락처 정보가 포함된 명함 연락처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연락처 화면(300)의 명함 연락처(311)에서 등록된 명함의 이미지를 선택하게 되면 명함 연락처(311) 로 화면을 통해 명함 연락처 정보를 보여주고, 이름 부분을 선택하게 되면 일반 연락처 화면을 통해 일반 연락처 정보를표시할 수 있다.
명함 연락처 화면을 예를 들면,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명함 연락처 화면 일예도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라 도 4를 참조하면, 도 4의 (a)와 같이 명함 연락처 화면(400)에는 명함 연락처 등록 아이콘(401)과 명함 연락처 삭제 아이콘(403)이 표시될 수 있고, 기 등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명함 연락처들(410, 420)이 표시될 수 있다. 각각의 명함 연락처들(410, 420)은 명함 이미지(411, 412)와 명함 이미지에 해당하는 상대방에게 연락 가능한 연락 기능 실행 아이콘(420)을 포함할 수 있다. 연락 기능 실행 아이콘(420)은 전화걸기 아이콘(421), 문자 보내기 아이콘(422), 이메일 보내기 아이콘(42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상대방에게 연락 가능한 기능이라면 어떠한 기능 아이콘이라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도 4의 (b)와 같이 명함 연락처 화면(400)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명함 연락처들(410, 420)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렬 기준(430)에 따라 정렬시킬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렬 기준(430)은 날짜(최신순)(431), 날짜 오래된 순(432), 이름순(433), 회사순(434)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도 5를 참조하면, 도 5의 (a)와 같이 명함 연락처 화면(500)에는 명함 연락처 등록 아이콘(501)과 명함 연락처 삭제 아이콘(503)이 표시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명함 연락처들(510, 520)과 명함 연락처들(510, 520) 각각에 해당하는 부가 정보(512, 522)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부가 정보(512, 522)는 명함 연락처가 등록된(저장된) 날짜, 명함 연락처 등록 시 제목, 명함 연락처 등록 시점에 스케쥴 내용, 명함 연락처가 등록된 장소, 명함 연락처 등록 시 메모 내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부가 정보(512, 522)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명함 연락처들(510, 520)의 명함 이미지(511, 521) 내의 적어도 일부에 표시될 수 있다. 도 5의 (b)를 참조하면, 부가 정보는 명함 이미지(511, 521)에 해당하는 상대방에게 연락 가능한 연락 기능 실행 아이콘(530, 540)들 중 하나로서 부가 정보 표시 기능 아이콘(531, 541)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사용자에 의해 부가 정보 표시 기능 아이콘(531, 541)이 각각 선택되면, 명함 이미지(511, 521)에 해당하는 부가 정보가 각각 표시될 수 있다. 도 5의 (c)를 참조하면, 부가 정보는 명함 이미지(511)와 별도의 창이나 레이어로 구분되는 부가 정보 창 또는 레이어(518)가 표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도 6을 참조하면, 도 6의 (a)와 같이 명함 연락처 화면(600)에는 명함 연락처 등록 아이콘(601)과 명함 연락처 삭제 아이콘(603)이 표시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명함 연락처들을 그룹화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명함 연락처 그룹(610, 620)이 표시될 수 있다. 도 6의 (a)에서는 세 개의 명함 연락처(611, 612, 613)를 그룹화한 명함 연락처 그룹(610)과 두 개의 명함 연락처(621, 622)를 그룹화한 명함 연락처 그룹(620)이 예를 들어 도시되고 있다. 명함 연락처 그룹(610, 620) 각각은 그룹화 기준에 따라 그룹화될 수 있다. 그룹화 기준은 명함 연락처를 등록한 시점, 명함 연락처를 등록한 장소, 명함 연락처 제목 등 다양한 기준이 될 수 있다. 명함 연락처 그룹들(610, 620) 중 어느 하나의 명함 연락처 그룹(610)이 선택되면, 도 6의 (b)와 같이 명함 연락처 그룹(610)에 포함된 명함 연락처들(611, 612, 613)이 각각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명함 연락처 화면에서 명함 등록 아이콘이 선택됨에 따라 새로운 명함 연락처를 등록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명함 연락처 등록 동작의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710 과정에서 사용자에 의한 명함 등록 요청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명함 등록 요청이 있으면, 720 과정에서 명함 정보 획득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명함 등록 요청 시 화면 일예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도 8의 (a)와 같이 명함 연락처 화면(800)에서 사용자에 의해 명함 등록 아이콘(801)이 선택되면 명함 등록 요청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명함 등록 요청이 있으면, 도 8의 (b)와 같이 명함 정보 획득 방식 선택 메뉴(850)를 표시할 수 있다. 명함 정보 획득 방식 선택 메뉴(850)에는 블루투스(851), NFC(852), OCR(853)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는 블루투스(851), NFC(852), OCR(853)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선택하여 명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730 과정에서 상기 선택된 방식에 따라 명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는 블루투스(851), NFC(852), OCR(853)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통해 명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서는 명함 정보 획득 방식을 선택하는 예를 설명하였지만,어떤 실시 예에서는미리 정의된 명함 정보 획득 방식이 있는 경우 별도의 명함 정보 획득 방식 선택 없이 미리 정의된 명함 정보 획득 방식에 따라 명함 정보 획득이 이루어 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언급된 블루투스(851), NFC(852), OCR(853) 등의 방법 이외에도, 명함 형태로 가공될 수 있는 데이터를 전달 받을 수 있는 통신 수단이라면 어떤 통신 수단을 통하여서도 명함 정보 획득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명함 정보가 획득되면, 740 과정에서 명함 정보에 해당하는 연락처가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는 명함 정보에 포함된 정보들과 연락처에 존재하는 정보들을 비교하여 일치하는 정보가 있으면 명함 정보에 해당하는 연락처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만약 명함 정보에 해당하는 연락처가 존재하지 않으면, 전자 장치(100)는 750 과정에서 명함 정보를 이용하여 연락처 DB에 명함 연락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명함 정보에 해당하는 연락처가 존재하면, 전자 장치(100)는 760 과정에서 명함 정보를 이용하여 연락처 DB에 저장된 명함 연락처 정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명함 정보 획득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910 과정에서 명함 정보 획득 방식이 NFC 인지, 블루투스 인지, OCR 인지 판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명함 정보 획득 방식이 NFC 이면, 920 과정에서 NFC 모듈(124)을 활성화하고, 922 과정에서 외부 장치(미도시)에 태깅되면 NFC 모듈(124)을 통해 외부 장치(미도시)로부터 명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명함 정보 획득 방식이 블루투스이면, 930 과정에서 블루투스 모듈(126)을 활성화하고, 932 과정에서 블루투스 모듈(126)을 통해 외부 장치(미도시)와 연결하고, 외부 장치로부터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명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명함 정보 획득 방식이 OCR 이면, 940 과정에서 카메라부(130)를 활성화시켜 명함을 촬영하고, 942 과정에서 촬영된 명함 이미지로부터 명함 정보를 인식하고, 명함 정보 인식 결과 944 과정에서 명함 연락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명함 촬영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프리뷰 모드에서 명함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가이드(1010)를 표시하고, 촬영 버튼(1030) 입력에 따라 가이드(1010) 내에 명함(1020)을 촬영하여 인식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명함 인식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명함은 텍스트로 이루어진 명함일 수 있다. 텍스트로 이루어진 명함이 촬영된 경우, 전자 장치(100)는 명함 이미지에서 텍스트를 인식하여 회사 이름(1111), 이름(1112), 직급(1113), 주소(1114), 전화번호(1115), 팩스번호(1116), 이동 전화번호(1117)에 해당하는 명함 연락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명함은 텍스트와 수기로 작성된 내용이 포함된 명함일 수 있다. 텍스트와 수기로 작성된 내용이 포함된 명함이 촬영된 경우, 전자 장치(100)는 명함 이미지에서 텍스트(1211~1217)와 수기로 작성된 내용(1220)을 구분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텍스트를 인식하여 회사 이름(1211), 이름(1212), 직급(1213), 주소(1214), 전화번호(1215), 팩스번호(1216), 이동 전화번호(1217)에 해당하는 명함 연락처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수기로 작성된 내용(1220)은 이미지를 크롭하여 크롭된 이미지를 명함 연락처 정보로 또는 명함 연락처 정보에 해당하는 부가 정보로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부가 정보는 연락처 정보를 구성하는 필드 중 부가 정보에 해당하는 특정 필드에 저장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명함은 텍스트와 사진이 포함된 명함일 수 있다. 텍스트와 사진이 포함된 명함이 촬영된 경우, 전자 장치(100)는 명함 이미지에서 텍스트(1311~1317)와 사진(1330)을 구분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텍스트를 인식하여 회사 이름(1311), 이름(1312), 직급(1313), 주소(1314), 전화번호(1315), 팩스번호(1316), 이동 전화번호(1317)에 해당하는 명함 연락처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사진(1330)은 얼굴 인식을 수행하여 얼굴인 경우 얼굴 이미지를 명함 연락처 정보로 또는 명함 연락처 정보에 해당하는 부가 정보로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부가 정보는 연락처 정보를 구성하는 필드 중 부가 정보에 해당하는 특정 필드에 저장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명함은 텍스트와 QR 코드가 포함된 명함일 수 있다. 텍스트와 QR 코드가 포함된 명함이 촬영된 경우, 전자 장치(100)는 명함 이미지에서 텍스트(1411~1417)와 QR 코드(1440)을 구분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텍스트를 인식하여 회사 이름(1411), 이름(1412), 직급(1413), 주소(1414), 전화번호(1415), 팩스번호(1416), 이동 전화번호(1417)에 해당하는 명함 연락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QR 코드(1440)를 인식하여 명함 연락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QR 코드는 이미지, 텍스트, URL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QR 코드가 이미지인 경우, 얼굴 인식을 수행하여 얼굴인 경우 얼굴 이미지를 명함 연락처 정보로 획득할 수 있다. QR 코드가 텍스트인 경우 텍스트 인식하여 명함 연락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QR 코드가 URL 정보인 경우 URL 정보를 명함 연락처 정보로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100)는 QR 코드에 해당하는 ULR을 이용하여 외부 서버(미도시)에 접속하고, 외부 서버로부터 명함 연락처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한 명함 연락처 정보와 텍스트(1411~1417)를 통해 획득한 명함 연락처 정보가 다를 경우,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한 명함 연락처 정보와 텍스트(1411~1417)를 통해 획득한 명함 연락처 정보 중 최근의 명함 연락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획득된 명함 연락처 정보를 연락처 DB의 각 필드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는 텍스트 인식 결과 이메일 주소, 이름, 직급, 주소, 전화번호, 팩스번호, 이동 전화번호는 연락처 DB의 각 이메일 주소, 이름, 직급, 주소, 전화번호, 팩스번호, 이동 전화번호 필드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얼굴 인식 결과 얼굴 이미지는 연락처 DB의 얼굴 사진 필드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수기로 작성된 내용은 연락처 DB의 부가 정보 필드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QR 코드에 의해 획득한 이미지, 텍스트, URL 정보는 각각 연락처 DB의 부가 정보에 해당하는 필드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하나의 명함을 촬영하여 하나의 명함을 인식할 수도 있고, 복수의 명함을 촬영하여 복수의 명함을 각각 인식할 수도 있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복수의 명함을 촬영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파노라마 방식으로 일정한 촬영 방향에 따라 복수의 명함들(1510, 1520, 1530)을 촬영하여 복수의 명함들(1510, 1520, 1530)을 포함하는 파노라마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도 16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한 화면에 복수의 명함들(1610, 1620, 1630, 1640)을 촬영하여, 복수의 명함들(1610, 1620, 1630, 1640)을 포함하는 하나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하나의 이미지에 복수의 명함들이 포함된 경우, 복수의 명함들 전체를 각각 인식할 수 있고, 복수의 명함들 중 일부 명함을 각각 인식할 수도 있다. 하나의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명함들은 하나의 명함 그룹으로 취급될 수 있다.
도 17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명함들로부터 각각의 명함들을 인식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명함들(1710, 1720, 1730, 1740)이 촬영된 경우 복수의 명함들(1710, 1720, 1730, 1740) 각각의 포커싱 여부에 따라 포커스된 명함을 선택하여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7과 같이 1720의 명함에 포커스된 경우, 1720의 명함을 선택하여 인식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멀티 포커스가 가능한 경우, 포커스된 복수의 명함을 선택하여 인식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명함들(1810, 1820, 1830, 1840)이 촬영된 경우 복수의 명함들(1810, 1820, 1830, 1840) 각각을 분리하고, 분리된 복수의 명함들(1810, 1820, 1830, 1840) 각각을 인식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명함들(1910, 1920, 1930)이 촬영된 경우 복수의 명함들(1910, 1920, 1930) 중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인식할 명함을 선택받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인식할 명함(1910, 1920) 각각을 인식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명함들(2010, 2020)이 겹쳐서 촬영된 경우, 복수의 명함들(2010, 2020)을 하나의 그룹 단위로 인식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명함들(2010, 2020)이 겹쳐짐에 따라 겹쳐진 부분(2015)의 정보를 얻을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명함들(2010, 2020)이 겹쳐진 상태에서 명함을 인식하고, 명함 인식 결과 획득한 명함 정보들 중 복수의 명함들(2010, 2020)의 관계를 추론할 수 있는 명함 정보를 이용하여 겹쳐진 부분(2015)의 명함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명함들(2010, 2020)이 겹쳐진 상태에서 명함 인식 결과, 전자 장치(100)는 Name:홍길남, Company:Test Company3, Email:Hong1@Test3.com를 포함하는 제1 명함 정보(2030)를 얻고, Name:홍길북, Email:Hong2@Test3.com를 포함하는 제2 명함 정보(2040)를 얻었다면, 제1 명함 정보(2030)와 제2 명함 정보(2040)를 비교하여 같은 같은 정보 예컨대 Test3.com(2031, 2041)를 판단하고, 같은 정보 Test3.com이 회사 이메일 주소를 의미하므로, 제1 명함 정보(2030)와 제2 명함 정보(2040)의 회사 정보가 test3으로 같다는 것을 판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2 명함 정보(2040)를 얻을 수 없었을 지라도, 제1 명함 정보(2030)와 제2 명함 정보(2040)의 회사 정보가 test3으로 같다는 점을 이용해 제2 명함 정보(2040) 내의 회사 정보를 Company:Test Company3(2042)와 같이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획득한 명함 정보를 이용하여 연동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에서 명함 정보 연동 기능 동작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2110 과정에서 명함 정보 연동 기능이 설정된 상태인지 판단할 수 있다. 명함 정보 연동 기능은 명함 정보를 전자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기능과 연동시키는 기능일 수 있다. 전자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은 스케쥴러 기능 등 연락처 기능 외에 명함 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기능이라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전자 장치(100)는 명함 정보 연동 기능이 설정된 상태이면 2120 과정에서 전자 장치(100)내의 정보들 중 명함 정보와 일치하는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내의 정보들 중 명함 정보의 이름, 주소, 이메일 주소, 전화번호 등과 일치하는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2030 과정에서 전자 장치(100) 내의 정보들 중 명함 정보와 미리 정해진 기준 이상 일치하는 정보가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미리 정해진 기준은 글자수 등이 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명함 정보와 미리 정해진 기준 이상 일치하는 정보가 존재하면 2040 과정에서 명함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는 명함 정보와 미리 정해진 기준 이상 일치하는 스케쥴러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명함 정보를 스케쥴러 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명함 정보를 이용하여 스케쥴러 기능을 수행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명함 정보(2200)중 일부 정보 예컨대 Samsung(2210)과 수원시(2220)가 8월 30일(2240)의 스케쥴러 정보(2250)에 Samsung(2252)과 수원시(2254)와 같이 포함된 경우 명함 정보(2200)를 8월 31일(2240)의 스케쥴러 정보(2250) 내에 추가되도록 포함시킬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연락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일반 연락처 정보뿐만 아니라 명함 정보에 의해 획득된 명함 연락처 정보를 함께 관리할 수 있어 편리하고, 연락처 정보 표시 시 일반 연락처 정보와 명함 연락처 정보를 통합하여 제공하거나, 일반 연락처 정보와 명함 연락처 정보를 구분하여 제공할 수 있어 연락처에 대한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명함 연락처 정보를 다양한 방식 예를 들면 무선 데이터 통신(ex. NFC, 블루투스) 또는 OCR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등을 통해 획득할 수 있도록 하고, 획득한 방식에 따라 명함 연락처 정보를 각각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어서 사용자가 명함 연락처를 보다 편리하게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명함 연락처 정보를 스케쥴러 기능과 같이 연동 가능한 기능에 이용할 수 있어서, 명함 연락처 정보를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동작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락처 관리 방법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임의의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락처 관리 방법은 제어부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터 또는 전자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상기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현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의 청구항에 기재된 장치 또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 이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계(컴퓨터 등)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전달되는 통신 신호와 같은 매체를 통해 전자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와 균등한 것을 적절하게 포함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프로그램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제공 장치는 상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연락처 관리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상기 전자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와, 상기 전자 장치의 요청 또는 자동으로 해당 프로그램을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Claims (32)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일반 연락처 정보와 명함 연락처 정보를 포함하는 연락처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연락처 화면에서 상기 명함 연락처 정보 요청에 따라 상기 일반 연락처 정보를 제외한 명함 연락처 정보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명함 연락처 정보 화면은 적어도 하나의 명함에 대한 명함 이미지와 상기 명함의 상대방에게 연락 가능한 연락 기능 실행 아이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명함 연락처 정보 화면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함에 대한 부가 정보를 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함에 대한 명함 연락처가 등록된 날짜, 상기 명함 연락처 등록 시 제목, 상기 명함 연락처 등록 시점에 스케쥴 내용, 상기 명함 연락처가 등록된 장소, 상기 명함 연락처 등록 시 메모 내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명함 등록 요청에 따라 명함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명함 정보를 이용하여 명함 연락처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명함 등록 요청에 따라 명함 정보와 명함 정보에 관련된 부가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상기 명함 정보와 상기 부가 정보를 이용하여 명함 연락처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정보는 상기 명함에 포함된 QR 코드 정보를 이용하여 회득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정보는 상기 명함에 수기로 작성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정보는 상기 명함에 포함된 사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0. 제5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명함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촬영된 명함 이미지로부터 명함 정보를 인식하는 OCR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인식된 명함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는 파노라마 촬영에 따라 복수의 명함을 한번에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촬영된 복수의 명함 각각에 해당하는 명함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촬영된 복수의 명함이 겹쳐진 경우 복수의 명함 각각에 해당하는 명함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명함 정보를 이용하여 겹쳐진 부분에 해당하는 명함 정보를 추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명함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전자 장치 내에 상기 명함 정보와 미리 정해진 기준이상 일치하는 정보가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미리 정해진 기준이상 일치하는 정보가 존재하면, 상기 명함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 장치 내에 상기 명함 정보와 미리 정해진 기준이상 일치하는 스케쥴러 정보가 존재하면 상기 명함 정보를 상기 스케쥴러 정보의 내용에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6. 전자 장치에서 연락처 관리 방법에 있어서,
    일반 연락처 정보와 명함 연락처 정보를 포함하는 연락처 화면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연락처 화면에서 상기 명함 연락처 정보 요청에 따라 상기 일반 연락처 정보를 제외한 명함 연락처 정보 화면을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명함 연락처 정보 화면은 적어도 하나의 명함에 대한 명함 이미지와 상기 명함의 상대방에게 연락 가능한 연락 기능 실행 아이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명함 연락처 정보 화면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함에 대한 부가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함에 대한 명함 연락처가 등록된 날짜, 상기 명함 연락처 등록 시 제목, 상기 명함 연락처 등록 시점에 스케쥴 내용, 상기 명함 연락처가 등록된 장소, 상기 명함 연락처 등록 시 메모 내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16항에 있어서,
    명함 등록 요청에 따라 명함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
    상기 획득된 명함 정보를 이용하여 명함 연락처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16항에 있어서,
    명함 등록 요청에 따라 명함 정보와 명함 정보에 관련된 부가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
    상기획득된 상기 명함 정보와 상기 부가 정보를 이용하여 명함 연락처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정보는 상기 명함에 포함된 QR 코드 정보를 이용하여 획득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정보는 상기 명함에 수기로 작성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정보는 상기 명함에 포함된 사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제20항에 있어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명함 이미지로부터 OCR 모듈을 통해 인식된 명함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파노라마 촬영에 따라 복수의 명함이 한번에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된 복수의 명함 각각에 해당하는 명함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된 복수의 명함이 겹쳐진 경우 복수의 명함 각각에 해당하는 명함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명함 정보를 이용하여 겹쳐진 부분에 해당하는 명함 정보를 추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명함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전자 장치 내에 상기 명함 정보와 미리 정해진 기준이상 일치하는 정보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미리 정해진 기준이상 일치하는 정보가 존재하면, 상기 명함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 내에 상기 명함 정보와 미리 정해진 기준이상 일치하는 스케쥴러 정보가 존재하면 상기 명함 정보를 상기 스케쥴러 정보의 내용에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1. 전자 장치에서 연락처 관리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에 입력에 의해 획득된 일반 연락처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과,
    명함 인식을 통해 획득된 명함 연락처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일반 연락처 정보와 상기 명함 연락처 정보를 포함하는 연락처 화면을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명함 인식은 OCR을 통한 명함 인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20130105136A 2013-09-02 2013-09-02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연락처 관리 방법 KR201500263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5136A KR20150026382A (ko) 2013-09-02 2013-09-02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연락처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5136A KR20150026382A (ko) 2013-09-02 2013-09-02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연락처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6382A true KR20150026382A (ko) 2015-03-11

Family

ID=53022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5136A KR20150026382A (ko) 2013-09-02 2013-09-02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연락처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2638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6075B1 (ko) * 2018-10-18 2019-10-24 주식회사 에스트렐라노바 명함 정보 전달 방법 및 그 사용자 단말
KR20220163076A (ko) * 2021-06-02 2022-12-09 홍재창 명함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6075B1 (ko) * 2018-10-18 2019-10-24 주식회사 에스트렐라노바 명함 정보 전달 방법 및 그 사용자 단말
KR20220163076A (ko) * 2021-06-02 2022-12-09 홍재창 명함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905852B (zh) 通过使用呼叫方电话号码来提供附加信息的装置和方法
US10733716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image
KR102314274B1 (ko) 컨텐츠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06575361B (zh) 提供视觉声像的方法和实现该方法的电子设备
KR102001218B1 (ko) 객체와 관련된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디바이스
US20180275840A1 (en) Method for executing program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102165818B1 (ko) 입력 영상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
US9172879B2 (en) Image display control apparatus, image display apparatus,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and image display control method
KR102157327B1 (ko) 이미지 형식의 객체를 텍스트 형식으로 변환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9531871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extracting incoming/outgoing information and managing contacts
KR20160133781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3631510A (zh) 通过识别书写手势控制移动终端功能执行的方法及装置
KR20150024526A (ko) 콘텐트를 기반으로 하는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8013374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N106385537A (zh) 一种拍照方法及终端
US9357364B2 (en) Function cooperating method and portable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KR2016009347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090948B1 (ko) 대화 기록 장치 및 그 방법
KR20140012757A (ko) 시각 장애 사용자들에 의한 이미지 캡처 및 이미지 검토의 촉진
CN112236767A (zh) 用于通过输入单元向应用提供与图像相关的信息的电子装置和方法
US1084855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ile management
KR20150117043A (ko) 미디어 컨텐츠를 선별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전자장치
KR20220133326A (ko)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미디어 캡처 잠금 어포던스
US10915778B2 (en) User interface framework for multi-selection and operation of non-consecutive segmented information
KR20150026382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연락처 관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