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6075B1 - 명함 정보 전달 방법 및 그 사용자 단말 - Google Patents

명함 정보 전달 방법 및 그 사용자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6075B1
KR102036075B1 KR1020180124151A KR20180124151A KR102036075B1 KR 102036075 B1 KR102036075 B1 KR 102036075B1 KR 1020180124151 A KR1020180124151 A KR 1020180124151A KR 20180124151 A KR20180124151 A KR 20180124151A KR 102036075 B1 KR102036075 B1 KR 1020360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business card
user terminal
card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4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동준
유종현
신태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트렐라노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트렐라노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트렐라노바
Priority to KR1020180124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60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60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60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명함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명함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은 제1 명함의 QR(quick response) 코드를 스캔하여, 제1 명함 정보를 제공하는 제1 사용자에 대한 제1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 상기 획득된 제1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명함 정보에 대한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URL 정보에 기초하여 명함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에 접속하는 과정 및 상기 제1 명함 정보가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되면, 제1 사용자에 대한 컨텍스트(context)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명함 정보 전달 방법 및 그 사용자 단말 {METHOD FOR TRANSFERRING INFORMATION ON BUISINESS CARDS AND USER TERMINAL THEREOF}
본 발명은 명함 정보 전달 방법 및 그 사용자 단말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명함 교환 및 관리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명함 정보 전달 방법 및 그 사용자 단말 에 대한 것이다.
명함(예를 들어, 종이 명함, 플라스틱 명함, 전자 명함 등)을 전자 정보로 관리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이 제안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명함 교환 및 관리를 위한 사용자 단말(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용 애플리케이션이 개발되고 있다.
명함을 전자 정보화함으로써 명함을 사후 관리하는 데 드는 노력을 최소화하고, 명함을 편리하게 찾아볼 수 있다. 또한, 명함 정보를 제3 자에게도 손쉽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26382호(2015.03.11.)에 개시되어 있다.
다만, 기존에 명함을 전자 정보화하기 위해서는 명함을 사진으로 기록하거나, 명함에 포함된 정보를 타이핑하는 등의 불편함을 감수해야 했다. 또한, 명함은 제한적인 정보만을 제공할 뿐, 사용자의 이력 정보 등의 추가 정보를 제공하지 못했다. 이에 따라, 명함 정보를 더 편리하게 전자 정보화하고, 명함 사용자에 대한 추가 정보를 쉽게 제공하기 위한 방법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명함에 대한 코드를 이용하여 명함을 식별하고, 식별된 명함에 대한 정보를 서버에 등록함으로써 효율적인 명함 교환 및 관리가 가능한 명함 정보 전달 방법 및 그 사용자 단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명함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은 제1 명함의 QR(quick response) 코드를 스캔하여, 제1 명함 정보를 제공하는 제1 사용자에 대한 제1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 상기 획득된 제1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명함 정보에 대한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URL 정보에 기초하여 명함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에 접속하는 과정 및 상기 제1 명함 정보가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되면, 제1 사용자에 대한 컨텍스트(context)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은 카메라, 송수신기 및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여 제1 명함의 QR(quick response) 코드를 스캔하여 제1 명함 정보를 제공하는 제1 사용자에 대한 제1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제1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명함 정보에 대한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URL 정보에 기초하여 명함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에 접속하도록 상기 송수신기를 제어하고, 상기 제1 명함 정보가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되면, 제1 사용자에 대한 컨텍스트(context)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명함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은 제1 명함 정보를 제공하는 제1 사용자에 대한 제1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상기 제1 명함 정보에 대한 URL 정보(uniform resource locator)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URL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사용자의 제1 사용자 단말을 식별하는 과정, 상기 제1 명함 정보를 제2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기 위한 승인 여부를 문의하는 요청을 상기 식별된 제1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는 과정 및 상기 요청에 대한 승인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1 명함 정보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서버는 송수신기 및 제1 명함 정보를 제공하는 제1 사용자에 대한 제1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상기 제1 명함 정보에 대한 URL 정보(uniform resource locator)를 수신하도록 상기 송수신기를 제어하고, 상기 URL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사용자의 제1 사용자 단말을 식별하고, 상기 제1 명함 정보를 제2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기 위한 승인 여부를 문의하는 요청을 상기 식별된 제1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도록 상기 송수신기를 제어하고, 상기 요청에 대한 승인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1 명함 정보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명함 정보 전달 방법 및 그 사용자 단말은 명함에 대한 코드를 이용하여 명함을 식별하고, 식별된 명함에 대한 정보를 서버에 등록함으로써 효율적인 명함 교환 및 관리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명함 정보 전달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명함 정보 전달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세부 구성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명함 정보 전달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명함 정보 전달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발명에 대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하기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된 용어들의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 및 이에 상응한 기능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명함 정보 전달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명함 정보 전달 시스템(10)은 제1 사용자 단말(100), 제2 사용자 단말(200), 서버(300) 및 네트워크(4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100), 제2 사용자 단말(200) 및 서버(300)는 네트워크(400)를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명함이라 함은 종이 명함, 플라스틱 명함과 같은 물리적 명함뿐만 아니라, 전자적으로 기록되어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전자적 명함을 포함하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예로, 명함은 비즈니스 명함, 소셜 명함 등으로 칭해질 수 있을 것이나 명함의 명칭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을 것이다. 또한, 이름, 직장, 직책 등의 개인 정보뿐만 아니라, 이력서, 소셜 미디어 정보 등 다양한 정보가 명함에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정보는 취사 선택에 의해 일부 정보는 명함에 포함되고 일부 정보는 추가 정보로 제공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제1 사용자 단말(100) 및 제2 사용자 단말(100)은 서로 명함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사용자 단말(100)은 제1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이고, 제2 사용자 단말(200)은 제2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사용자 단말(200)은 제1 사용자의 명함에 포함된 QR(quick response) 코드를 스캔할 수 있다. QR 코드 스캔에 따라, 제1 사용자에 대한 제1 사용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정보는 제1 사용자의 ID(identification) 정보일 수 있다.
제2 사용자 단말(200)은 제1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사용자의 제1 명함 정보에 대한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URL 정보는 서버의 주소 정보, 계정 정보, 서비스 정보 및 제1 사용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사용자 단말(200)은 생성된 URL 정보에 기초하여 명함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300)에 접속할 수 있다. 또는, 제2 사용자 단말(200)은 생성된 URL 정보를 서버(300)로 송신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단말(200)은 제1 명함 정보가 서버(300)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제1 사용자에 대한 컨텍스트(context)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예로, 컨텍스트 정보는 상기 명함 정보 전달이 수행되는 위치에 대한 정보, 명함 정보 전달이 수행되는 날짜 및 시간 정보, 제1 사용자에 대한 그룹 정보, 제1 사용자에 대한 태그 정보 및 명함 정보 전달이 수행되는 미팅 장소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300)는 상술한 URL 정보를 제2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서버(300)는 URL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사용자 단말(100)을 식별할 수 있다. 서버(300)는 제1 명함 정보를 제2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하기 위한 승인 여부를 문의하는 요청을 제1 사용자 단말(100)에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요청에 대한 승인이 제1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네트워크(400)를 통해 제1 명함 정보를 제2 사용자 단말(200)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승인 여부를 문의하는 요청은 제1 명함 정보의 공개에 대한 기설정된 범위에 기초하여 송신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상술한 본원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QR 코드를 스캔하는 것만으로 간편하게 상대방 명함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므로, 명함 교환 및 명함 관리에 드는 노력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블록도이다.
사용자 단말(400)은 카메라(410), 송수신기(420) 및 프로세서(4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400)은 명함 정보를 다른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거나, 다른 사용자 단말로부터 명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카메라(410)는 촬영한다. 카메라(410)는 명함에 포함(또는 프린트)된 QR 코드를 스캔할 수 있다.
송수신기(420)는 통신을 수행한다. 송수신기(420)는 다른 사용자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여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예로, 송수신기(420)는 URL 정보, 명함 정보 등을 송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430)는 사용자 단말(400)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프로세서(430)는 명함의 QR 코드를 스캔하도록 카메라(41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430)는 스캔된 QR 코드에서 획득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URL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430)는 생성된 URL 정보에 기초하여 다른 사용자의 명함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에 접속할 수 있다. 프로세서(430)는 명함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다른 사용자에 대한 컨텍스트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블록도이다.
서버(500)는 송수신기(510) 및 프로세서(520)를 포함한다.
송수신기(510)는 통신을 수행한다. 송수신기(510)는 사용자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여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예로, 송수신기(510)는 URL 정보, 명함 정보 등을 송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520)는 서버(500)를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프로세서(520)는 URL 정보, 명함 정보 등을 송수신하도록 송수신기(51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520)는 URL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을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520)는 명함 정보 요청에 대한 승인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520)는 제1 명함 정보를 요청한 제2 사용자 단말에 제1 명함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승인을 문의하는 요청을 제1 사용자 단말에 송신할 수 있다. 제1 명함 정보에 대한 승인이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제1 명함 정보를 제2 사용자 단말에 송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명함 정보 전달 방법에 대한 실시 예를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명함 정보 전달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4에서, 제1 사용자 단말(600) 및 제2 사용자 단말(700)은 명함 정보 전달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구동될 수 있음을 가정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제1 사용자 단말(600), 제2 사용자 단말(700) 및 서버(800)의 동작으로 설명될 것이나, 제1 사용자 단말(600), 제2 사용자 단말(700) 및 서버(800)에 포함된 각각의 프로세서에 의해 동작이 수행된다고 해석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 예로, 제1 명함 정보는, 사용자가 속한 회사 로고, 회사 대표명, 부서명, 직책,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SNS 정보, 이력사항, 자기소개, 사진 등이 될 수 있다. 제1 명함 정보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저장부에 저장되거나 서버(800)에 저장될 수 있다. 제1 명함 정보에 포함된 정보 각각에 대하여 공개 범위가 기설정될 수 있다.
먼저, 제2 사용자의 제2 사용자 단말(700)은 제1 사용자의 제1 명함에 포함된 QR 코드를 스캔할 수 있다(401). 여기서, 제2 사용자 단말(700)은 QR 코드에 포함된 제1 사용자 ID(identification)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단말(700)은 사용자 ID 정보에 기초하여 URL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402). 일 예로, URL 정보는 서버(800)의 주소 정보, 계정 정보, 서비스 정보 및 제1 사용자 정보(상기 사용자 ID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단말(700)은 생성된 제1 명함 정보에 대한 URL 정보를 서버(800)로 송신할 수 있다(403). 이 경우, 제2 사용자 단말(700)은 추가 정보를 서버로(800) 송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추가 정보는 제2 사용자 단말(700)의 ID 정보(또는 제2 사용자 ID 정보)일 수 있다.
서버(800)는 URL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사용자 단말(600) 및 제2 사용자 단말(700)을 식별할 수 있다(404). 일 예로, URL 정보는 제1 사용자 ID 또는 제1 사용자 단말(600)의 ID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800)는 제1 사용자 ID 또는 제1 사용자 단말(600)의 ID에 기초하여 제1 사용자 단말(600)을 식별할 수 있다. 일 예로, 서버(800)는 URL 정보 송신과 함께 또는 별도로 제2 사용자 ID(또는 제2 사용자 단말(700)의 ID)를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800)는 제2 사용자 ID 또는 제2 사용자 단말(700)의 ID에 기초하여 제2 사용자 단말(700)을 식별할 수 있다.
서버(800)는 제1 명함 정보를 기저장할 수 있다. 서버(800)는 제1 명함 정보가 제2 사용자 단말(700)(또는 제2 사용자)에 공개가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405). 공개가 가능한 경우(예), 서버(800)는 제1 명함 정보를 제2 사용자 단말(700)에 송신한다(406). 공개가 불가한 경우(아니오), 서버(800)는 제1 명함 정보의 제공에 대하여 승인 여부에 대한 요청을 제1 사용자 단말(600)에게 송신한다(407).
제1 사용자 단말(600)은 제1 명함 정보 제공의 승인 여부에 대한 응답을 서버(800)로 송신할 수 있다(408). 일 예로, 제1 사용자 단말(600)은 제1 명함 정보 제공의 승인 여부를 문의하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생성하고 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1 사용자의 승인 또는 거절이 있는 경우, 제1 사용자 단말(600)은 그 결과에 대한 응답을 서버(800)로 송신한다.
서버(800)는 상기 응답이 승인 또는 거절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409). 상기 응답이 거절인 경우(아니오), 서버(800)는 제1 명함 정보 제공이 불가함을 제2 사용자 단말(700)에게 통지할 수 있다(410). 상기 응답이 승인인 경우(예), 서버(800)는 제1 명함 정보를 제2 사용자 단말(700)로 송신할 수 있다(411).
이 경우, 제2 사용자 단말(700)은 제1 명함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412). 또한, 제2 사용자 단말(700)은 제1 명함 정보와 함께 컨텍스트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텍스트 정보는, 명함 정보 전달이 수행되는 위치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복수 회 만남의 경우 복수 회의 위치 정보), 명함 정보 전달이 수행되는 날짜 및 시간 정보(예를 들어, 복수 회 만남의 경우 복수 회의 날짜 및 시간 정보), 제1 사용자에 대한 그룹 정보(예를 들어, 제1 사용자의 직업에 대한 그루핑 정보. 일 예로, 도소매업자, 프로그램 개발자 등), 제1 사용자에 대한 태그 정보(예를 들어, 제1 사용자에 대한 설명 문구) 및 명함 정보 전달이 수행되는 미팅 장소(예를 들어, 미팅 룸 정보)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단말(700)은 명함 정보 또는 컨텍스트 정보를 써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날짜 및 시간 정보, 미팅 위치 정보, 사용자에 대한 그룹 정보, 사용자에 대한 태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여 목적하는 사용자에 대한 명함 정보 또는 컨텍스트 정보를 써칭할 수 있다.
상술한 예에서, 제1 사용자 단말(600) 및 제2 사용자 단말(700)은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환경임을 가정하였다. 일 예로, 제2 사용자 단말이(700)이 상기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이 아닌 다른 환경에서 상술한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서버(800)는 상기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기 위한 페이지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700)을 유도할 수 있다.
상술한 예에서, 일 예로, 서버(800)는 제1 사용자에 대한 제1 명함 정보 중 제1 버전만이 기저장된 경우, 제2 사용자 단말(700)의 서버(800)에 대한 접근을 제1 사용자 단말(600)에게 공지하고, 제1 버전의 제1 명함 정보를 제2 사용자 단말(700)에 송신할 수 있다.
상술한 예에서, 제1 사용자 단말(600)이 제1 명함 정보를 제2 사용자 단말(700)에게 제공하는 예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 예는 제2 사용자 단말(700)이 제2 명함 정보를 제1 사용자 단말(600)에 제공하는 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예는 제1 사용자 단말(600) 및 제2 사용자 단말(700)이 제1 명함 정보 및 제2 명함 정보를 동시에 교환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예에서, 서버(800)는 제1 사용자 단말(600)로부터 제1 명함 정보의 제공을 위한 승인을 받음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서버(800)는 제2 사용자 단말에게 인증 코드를 입력하라는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일 예로, 인증 코드는 제1 명함에 기재된 사용자의 전화번호 중 일부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인증 코드는 제1 명함에 기재된 사용자의 주소일 수 있다. 인증 코드가 입력되는 경우, 서버(800)는 제1 명함 정보를 제2 사용자 단말(700)에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예에서, 제1 사용자 ID가 QR 코드의 스캔에 의해 획득됨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후술하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와 같이, 각 사용자 ID는 다양한 이벤트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사용자 단말(600) 및 제2 사용자 단말(700)의 흔들기(shake) 이벤트에 의해 제1 사용자 ID 및 제2 사용자 ID가 제1 사용자 단말(600) 및 제2 사용자 단말(700) 간에 교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사용자 단말(600)의 흔들기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제1 사용자 단말(600)은 제1 사용자 ID 및 제1 사용자 단말(600)의 위치 정보 및 상기 흔들기 이벤트가 발생된 시간 정보를 서버(800)로 송신할 수 있다. 서버(800)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600)의 위치 정보 및 상기 흔들기 이벤트가 발생된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사용자 단말(600) 및 제2 사용자 단말(700)의 흔들기 이벤트가 동시에 발생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사용자 단말(600) 및 제2 사용자 단말(700)이 일정한 위치 내에서 일정한 시간 내에 흔들기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 제1 사용자 ID 및 제2 사용자 ID가 제1 사용자 단말(600) 및 제2 사용자 단말(700) 간에 교환될 수 있다. 일 예로, 일정한 위치는 제1 사용자 단말(600) 및 제2 사용자 단말(700)이 10m 이내 있는 경우로 설정될 수 있다(GPS 정보 이용). 또한, 일정한 시간은 5초로 설정될 수 있다.
서버(800)는 제1 사용자 단말(600) 및 제2 사용자 단말(700)의 흔들기 이벤트가 동시에 발생한 경우, 제2 사용자 ID를 제1 사용자 단말(600)로 송신하고, 제1 사용자 ID를 제2 사용자 단말(700)로 송신할 수 있다. 상대방 사용자의 ID가 획득된 경우, 제1 사용자 단말(600) 및 제2 사용자 단말기(700)는 상술한 도 4의 과정 402 내지 412를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스와이프(swipe) 이벤트에 기초하여 제1 사용자 단말(600) 및 제2 사용자 단말(700) 간에 제1 사용자 ID 및 제2 사용자 ID 교환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단말(600)은 제1 명함에 대응된 제1 아이템(item)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1 아이템이 스와이프되는 경우, 제1 사용자 단말(600)은 상술한 도 4의 명함 정보 전달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사용자 단말(600)의 스와이프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제1 사용자 단말(600)은 제1 사용자 ID 및 제1 사용자 단말(600)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스와이프 이벤트가 발생된 시간 정보를 서버(800)로 송신할 수 있다. 서버(800)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600)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스와이프 이벤트가 발생된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사용자 단말(600) 및 제2 사용자 단말(700)의 스와이프 이벤트가 동시에 발생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사용자 단말(600) 및 제2 사용자 단말(700)이 일정한 위치 내에서 일정한 시간 내에 스와이프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 제1 사용자 ID 및 제2 사용자 ID가 제1 사용자 단말(600) 및 제2 사용자 단말(700) 간에 교환될 수 있다. 일 예로, 일정한 위치는 제1 사용자 단말(600) 및 제2 사용자 단말(700)이 10m 이내 있는 경우로 설정될 수 있다(GPS 정보 이용). 또한, 일정한 시간은 5초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아이템이 스와이프되는 방향이 고려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단말(600)은 제2 사용자 단말(700)의 위치를 서버(800) 또는 제2 사용자 단말(7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사용자 단말(600)은 제1 아이템이 스와이프되는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단말(600)은 제1 아이템이 스와이프되는 방향이 제2 사용자 단말(600)의 위치와 기설정된 각도 이하인 경우, 상기 스와이프 동작이 제2 사용자 단말(700)을 목적으로 함을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사용자 단말(600)은 제1 명함 정보를 제2 사용자 단말(700)에게 전달하기 위한 상술한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 ID가 교환될 수도 있다.
일 예로, 제1 사용자 단말(600) 및 제2 사용자 단말(700)은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상태에서 접촉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사용자 단말(600) 및 제2 사용자 단말(700)은 제1 사용자 ID 및 제2 사용자 ID를 교환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ID 및 제2 사용자 ID를 각각 획득한 제2 사용자 단말(700) 및 제1 사용자 단말(600)은 상술한 도 4의 과정 402 내지 412를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세부 구성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0)은 통신부(110), 저장부(120) 및 프로세서(130)를 포함한다.
통신부(110)는 통신을 수행한다.
통신부(110)는 BT(BlueTooth), WI-FI(Wireless Fidelity), Zigbee, IR(Infrared),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방식을 통해 다른 사용자 단말 또는 외부 서버(미도시)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10)는 URL 정보를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서버로부터 명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120)는 사용자 단말(100)을 구동시키기 위한 O/S(Operating System) 소프트웨어 모듈,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UI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저장부(12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RAM(131), ROM(132), 메인 CPU(133), 그래픽 처리부(13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35-1 ~ 135-n), 버스(136)를 포함한다.
RAM(131), ROM(132), 메인 CPU(133), 그래픽 처리부(13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35-1 ~ 135-n) 등은 버스(136)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35-1 내지 135-n)는 상술한 각종 구성요소들과 연결된다. 인터페이스들 중 하나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될 수도 있다.
메인 CPU(133)는 저장부(120)에 액세스하여, 저장부(12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저장부(12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ROM(132)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메인 CPU(133)는 ROM(132)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저장부(120)에 저장된 O/S를 RAM(131)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메인 CPU(133)는 저장부(120)에 저장된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RAM(131)에 복사하고, RAM(131)에 복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그래픽 처리부(134)는 연산부 및 렌더링부를 이용하여 아이콘,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명함 정보 전달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명함 정보 전달 방법은, 제1 명함의 QR(quick response) 코드를 스캔하여, 제1 명함 정보를 제공하는 제1 사용자에 대한 제1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610), 획득된 제1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명함 정보에 대한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URL 정보에 기초하여 명함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에 접속하는 과정(620) 및 제1 명함 정보가 서버로부터 수신되면, 제1 사용자에 대한 컨텍스트(context)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과정(63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생성된 URL 정보는 서버의 주소 정보, 계정 정보, 서비스 정보, 및 제1 사용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사용자 정보는 제1 사용자의 ID(identification) 정보일 수 있다.
상기 명함 정보 전달 방법은 제2 사용자 단말이 서버에 접속하는 경우, 제1 명함 정보를 획득하는 제2 사용자에 대한 ID 정보를 서버에 송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명함 정보 전달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명함 정보 전달 방법은, 제1 명함 정보를 제공하는 제1 사용자에 대한 제1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제1 명함 정보에 대한 URL 정보(uniform resource locator)를 수신하는 과정(710). URL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사용자의 제1 사용자 단말을 식별하는 과정(720), 제1 명함 정보를 제2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기 위한 승인 여부를 문의하는 요청을 식별된 제1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는 과정(730) 및 상기 요청에 대한 승인이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제1 명함 정보를 제2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과정(74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URL 정보는 서버의 주소 정보, 계정 정보, 서비스 정보, 및 제1 사용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사용자 정보는 제1 사용자의 ID(identification) 정보일 수 있다.
상기 명함 정보 전달 방법은, 제1 명함 정보를 획득하는 제2 사용자에 대한 ID 정보를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별된 제1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는 과정은 제1 명함 정보의 공개에 대한 기설정된 범위에 기초하여 수행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명함 정보 전달 방법은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로 구현되어 다양한 비 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된 상태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도록 각 서버 또는 기기들에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명함의 QR(quick response) 코드를 스캔하여, 제1 명함 정보를 제공하는 제1 사용자에 대한 제1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 획득된 제1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명함 정보에 대한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URL 정보에 기초하여 명함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에 접속하는 과정 및 제1 명함 정보가 서버로부터 수신되면, 제1 사용자에 대한 컨텍스트(context)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비 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 명함 정보 전달 시스템 100, 600: 제1 사용자 단말
200, 700: 제2 사용자 단말 300, 800: 서버
400: 네트워크

Claims (20)

  1. 제2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되는 명함 정보 처리 방법에 있어서,
    제1 명함의 QR(quick response) 코드를 스캔하여, 제1 명함 정보를 제공하는 제1 사용자에 대한 제1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
    명함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로부터 제1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수신하는 과정;
    제2 명함에 대응되는 제2 아이템(item)을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
    상기 제2 아이템에 대한 스와이프(swipe) 이벤트를 입력받는 과정;
    상기 제2 아이템이 스와이프되는 방향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상기 위치에 대한 방향 간의 각도가 기설정된 각도 이하인 경우, 제2 사용자에 대한 제2 사용자 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과정;
    상기 획득된 제1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명함 정보에 대한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URL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에 접속하는 과정;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하여 상기 제1 명함 정보의 공개가 불가한 경우, 상기 제1 명함 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인증 코드에 대한 요청이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과정, 여기서, 상기 인증 코드는 상기 제1 명함에 기재된 상기 제1 사용자의 전화번호 중 일부 및 상기 제1 명함에 기재된 상기 제1 사용자의 주소를 포함함;
    상기 인증 코드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받은 인증 코드를 상기 서버로 송신하는 과정;
    상기 제1 명함 정보가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되면, 제1 사용자에 대한 컨텍스트(context)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과정, 여기서,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상기 컨텍스트 정보는, 상기 명함 정보 전달이 수행되는 위치에 대한 정보, 상기 명함 정보 전달이 수행되는 날짜 및 시간 정보, 상기 제1 사용자의 직업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그룹 정보,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설명 문구를 포함하는 태그 정보 및 상기 명함 정보 전달이 수행되는 미팅 장소에 대한 정보를 포함함; 및
    상기 명함 정보 전달이 수행되는 상기 위치에 대한 정보, 상기 명함 정보 전달이 수행되는 상기 날짜 및 상기 시간 정보, 상기 제1 사용자의 직업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상기 그룹 정보,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설명 문구를 포함하는 상기 태그 정보 및 상기 명함 정보 전달이 수행되는 상기 미팅 장소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명함 정보를 검색하는 과정, 여기서, 상기 제1 명함 정보는, 상기 제1 사용자의 회사 로고, 상기 제1 사용자의 회사의 대표명, 상기 1 사용자의 직책, 상기 제1 사용자의 이름, 상기 제1 사용자의 전화번호, 상기 제1 사용자의 이메일 주소, 상기 제1 사용자의 SNS(social network service) 정보, 상기 제1 사용자의 이력사항, 상기 제1 사용자의 자기소개 및 상기 제1 사용자의 사진을 포함함;을 포함하는, 명함 정보 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URL 정보는,
    상기 서버의 주소 정보, 계정 정보, 서비스 정보, 및 상기 제1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명함 정보 처리 방법.
  3. 제1항 및 제2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정보는,
    제1 사용자의 ID(identification) 정보인, 명함 정보 처리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 접속하는 경우, 상기 제1 명함 정보를 획득하는 제2 사용자에 대한 ID 정보를 상기 서버에 송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명함 정보 처리 방법.
  5. 삭제
  6. 명함 정보를 처리하는 제2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카메라;
    송수신기; 및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여 제1 명함의 QR(quick response) 코드를 스캔하여 제1 명함 정보를 제공하는 제1 사용자에 대한 제1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고,
    명함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로부터 제1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수신하고,
    제2 명함에 대응되는 제2 아이템(item)을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제2 아이템에 대한 스와이프(swipe) 이벤트를 입력받고,
    상기 제2 아이템이 스와이프되는 방향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상기 위치에 대한 방향 간의 각도가 기설정된 각도 이하인 경우, 제2 사용자에 대한 제2 사용자 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도록 상기 송수신기를 제어하고,
    상기 획득된 제1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명함 정보에 대한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URL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에 접속하도록 상기 송수신기를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하여 상기 제1 명함 정보의 공개가 불가한 경우, 상기 제1 명함 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인증 코드에 대한 요청을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여기서, 상기 인증 코드는 상기 제1 명함에 기재된 상기 제1 사용자의 전화번호 중 일부 및 상기 제1 명함에 기재된 상기 제1 사용자의 주소를 포함함,
    상기 인증 코드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받은 인증 코드를 상기 서버로 송신하도록 상기 송수신기를 제어하고,
    상기 제1 명함 정보가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되면, 제1 사용자에 대한 컨텍스트(context)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여기서,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상기 컨텍스트 정보는, 상기 명함 정보 전달이 수행되는 위치에 대한 정보, 상기 명함 정보 전달이 수행되는 날짜 및 시간 정보, 상기 제1 사용자의 직업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그룹 정보,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설명 문구를 포함하는 태그 정보 및 상기 명함 정보 전달이 수행되는 미팅 장소에 대한 정보를 포함함,
    상기 명함 정보 전달이 수행되는 상기 위치에 대한 정보, 상기 명함 정보 전달이 수행되는 상기 날짜 및 상기 시간 정보, 상기 제1 사용자의 직업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상기 그룹 정보,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설명 문구를 포함하는 상기 태그 정보 및 상기 명함 정보 전달이 수행되는 상기 미팅 장소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명함 정보를 검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명함 정보는,
    상기 제1 사용자의 회사 로고, 상기 제1 사용자의 회사의 대표명, 상기 1 사용자의 직책, 상기 제1 사용자의 이름, 상기 제1 사용자의 전화번호, 상기 제1 사용자의 이메일 주소, 상기 제1 사용자의 SNS(social network service) 정보, 상기 제1 사용자의 이력사항, 상기 제1 사용자의 자기소개 및 상기 제1 사용자의 사진을 포함하는, 제2 사용자 단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URL 정보는,
    상기 서버의 주소 정보, 계정 정보, 서비스 정보, 및 상기 제1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사용자 단말.
  8. 제6항 및 제7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정보는,
    제1 사용자의 ID(identification) 정보인, 제2 사용자 단말.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서버에 접속하는 경우, 상기 명함 정보를 획득하는 제2 사용자에 대한 ID 정보를 상기 서버에 송신하는, 제2 사용자 단말.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80124151A 2018-10-18 2018-10-18 명함 정보 전달 방법 및 그 사용자 단말 KR1020360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4151A KR102036075B1 (ko) 2018-10-18 2018-10-18 명함 정보 전달 방법 및 그 사용자 단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4151A KR102036075B1 (ko) 2018-10-18 2018-10-18 명함 정보 전달 방법 및 그 사용자 단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6075B1 true KR102036075B1 (ko) 2019-10-24

Family

ID=68423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4151A KR102036075B1 (ko) 2018-10-18 2018-10-18 명함 정보 전달 방법 및 그 사용자 단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60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48340A1 (ko) * 2021-09-24 2023-03-30 주식회사 제제컴즈 모바일 명함 교환 정보 빅데이터를 이용한 인공지능 인맥 추천 방법 및 제공 서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07877A (ja) * 2003-09-30 2005-04-21 Intellaset:Kk 名刺、名刺情報管理システム、名刺情報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50026382A (ko) * 2013-09-02 2015-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연락처 관리 방법
KR101738467B1 (ko) * 2015-12-04 2017-05-23 조승철 사용자 고유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명함, 이를 이용한 개인정보 조회 또는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사용자 장치 및 클라우드 서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07877A (ja) * 2003-09-30 2005-04-21 Intellaset:Kk 名刺、名刺情報管理システム、名刺情報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50026382A (ko) * 2013-09-02 2015-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연락처 관리 방법
KR101738467B1 (ko) * 2015-12-04 2017-05-23 조승철 사용자 고유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명함, 이를 이용한 개인정보 조회 또는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사용자 장치 및 클라우드 서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48340A1 (ko) * 2021-09-24 2023-03-30 주식회사 제제컴즈 모바일 명함 교환 정보 빅데이터를 이용한 인공지능 인맥 추천 방법 및 제공 서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75615B2 (en) Method of establishing connection between mobile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obile device for performing the method
US10110767B2 (en) Method of generating workform by using BYOD service and mobile device for performing the method
US11687843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serving resources and notifying group members
US9602683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loud printing service
KR102001218B1 (ko) 객체와 관련된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디바이스
US10168968B2 (en) Communication system to perform data communication between a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a service providing apparatus
CN103916560A (zh) 支持近场通信功能的图像形成装置和设置图像作业的方法
US9749322B2 (en) Information sharing system and information sharing method
US20160085489A1 (en) System for remote printer pairing
US2020027251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and control method
KR20180006225A (ko) 모바일 기기에서의 인쇄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US10542103B2 (en) Location based multi-device communication
KR102036075B1 (ko) 명함 정보 전달 방법 및 그 사용자 단말
CN107111466B (zh) 通过使用byod服务生成工作表的方法和用于执行该方法的移动设备
US10708462B1 (en) Communication support device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US948934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corporating additional content in a printed document at a time of printing
JP6397200B2 (ja) 管理サーバ、およびデータ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2036076B1 (ko) 미팅 참석자의 위치 정보를 설정하는 방법 및 그 사용자 단말
US20160371677A1 (en) Electronic device and output device short range communication pairing system and method
JP2009196805A (ja) 物品管理システム、仮想管理サーバ、無線通信端末、物品管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CN107111718B (zh) 在移动设备与成像装置之间建立连接的方法、成像装置和移动设备
JP2006209183A (ja) 名刺情報管理サーバと名刺情報管理端末と名刺情報管理プログラムと記録媒体と名刺情報管理方法
US1173653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7172176B2 (ja) 画像出力システム、サーバ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2417060B1 (ko) 이미지 파싱 기반 혜택 수단 관리를 지원하는 사용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