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8467B1 - 사용자 고유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명함, 이를 이용한 개인정보 조회 또는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사용자 장치 및 클라우드 서버 - Google Patents

사용자 고유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명함, 이를 이용한 개인정보 조회 또는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사용자 장치 및 클라우드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8467B1
KR101738467B1 KR1020150172708A KR20150172708A KR101738467B1 KR 101738467 B1 KR101738467 B1 KR 101738467B1 KR 1020150172708 A KR1020150172708 A KR 1020150172708A KR 20150172708 A KR20150172708 A KR 20150172708A KR 101738467 B1 KR101738467 B1 KR 1017384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area
cloud server
identification code
unique ident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2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승철
Original Assignee
조승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승철 filed Critical 조승철
Priority to KR1020150172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84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8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84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2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use or purpose
    • B42D25/23Identity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9/00006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Q50/265Personal security, identity or safe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llating Specific Patter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고유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명함, 이를 이용한 개인정보 조회 또는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사용자 장치 및 클라우드 서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개인정보 조회 방법은, 제1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에 의하여 명함에 인쇄된 고유 식별코드를 스캔하는 단계로서, 상기 고유 식별코드는 개별 사용자를 특정하도록 클라우드 서버에 의해 발급된 것인, 상기 스캔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장치가 상기 고유 식별코드를 스캔하여 얻어진 코드 데이터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장치가,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미리 저장된 사용자별 코드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한 결과 획득된, 상기 코드 데이터에 대응되는 제2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개인을 특정하는 고유 식별코드를 발급하고 이를 종래의 종이명함에 인쇄되는 개인정보를 대체하여 또는 이와 병행하여 사용함으로써, 고유 식별코드를 스캔하는 것에 의하여 사용자들 사이의 개인정보 교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자 고유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명함, 이를 이용한 개인정보 조회 또는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사용자 장치 및 클라우드 서버 { NAMECARD WITH UNIQUE USER IDENTIFICATION CODE, METHODS FOR RETRIEVING OR PROVIDING PERSONAL INFORMATION USING THE SAME, AND USER DEVICE AND CLOUD SERVER FOR THE SAME }
본 발명은 사용자 고유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명함, 이를 이용한 개인정보 조회 또는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사용자 장치 및 클라우드 서버에 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개인 인식을 위한 고유의 식별코드를 명함에 인쇄하고 이를 플랫폼으로 하여 사용자들 간의 개인정보 교환이 일어날 수 있게 하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
명함은 사회생활을 하게 되면 소지하게 되는 필수품으로, 사용자들은 기존 명함이 모두 소진되면 다시 주문을 하여야 한다. 또한, 사용자들은 다방면에서 직업변경, 사업변경 또는 창업을 하여 새로운 명함을 필요로 하기도 하며, 또는 학생, 군인 등이 새롭게 사회인으로 합류하면 명함을 필요로 하게 되어 명함을 구매하는 고객이 된다. 따라서, 명함 시장에는 수많은 잠재고객이 존재하고 있다.
종이명함은 일정량이 소진되고 나면 재주문을 해야 하는 소모성 물품이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반복하여 판매가 이루어지고, 지속적으로 소비가 반복되기 때문에 시장이 무한하다. 그러나 명함은 그 소진 주기가 짧기 때문에 사용자들의 주문업체 이동이 심하고, 따라서 판매업체는 충성 고객을 확보하기가 힘들었다.
한편, 최근에는 스마트 기기가 급속히 활성화되면서 전자명함도 등장하였다. 그러나 전자명함의 등장 후에도 종이명함 시장에는 큰 변화가 없으며, 종이명함 관련 동종업체 사이의 가격 경쟁만 심해지고 있다. 이는 사업에 있어서 종이명함을 주고받음으로서 서로의 긴장을 완화하고 좀 더 쉽게 친숙해지게 되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기술 발전에 불구하고 앞으로도 종이명함이 꾸준히 사용될 것이라는 점을 시사한다.
그러나 명함을 받아서 관리함에 있어서 수없이 쌓여가는 명함을 하나도 빠지지 않고 일일이 잘 정리하기란 매우 힘들다. 관리를 위하여 스마트폰으로 명함을 촬영하여 저장하는 경우가 있으나, 이 경우에도 다시 하나하나 이름과 연락처를 전화번호부에 저장해야하고, 많은 수의 명함 중에 이름이나 회사를 찾아내서 전화번호를 알아내는 것은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36567호
따라서 본 발명은 오프라인(offline)의 종이명함과 온라인(online)의 전자명함을 결합하여 사용자에게 최상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 사용자 고유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명함, 이를 이용한 개인정보 조회 또는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사용자 장치 및 클라우드 서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은, 필름체; 및 상기 필름체상에 위치하며 사용자의 고유 식별코드가 인쇄된 코드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고유 식별코드는,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에게 발급된 것으로서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미리 저장된 상기 사용자의 개인정보에 대응되고, 카메라 또는 센서에 의하여 스캔될 수 있는 명함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고유 식별코드는, 원 또는 타원 형상으로 배치되어 사용자의 개인 식별정보를 나타내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의 외주부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지역정보를 나타내는 제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름체 상에 위치하며 상기 사용자의 개인정보가 인쇄된 명함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에 의하여 명함에 인쇄된 고유 식별코드를 스캔하는 단계로서, 상기 고유 식별코드는 개별 사용자를 특정하도록 클라우드 서버에 의해 발급된 것인, 상기 스캔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장치가 상기 고유 식별코드를 스캔하여 얻어진 코드 데이터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장치가,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미리 저장된 사용자별 코드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한 결과 획득된, 상기 코드 데이터에 대응되는 제2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인정보 조회 방법에 의해서도 상기 목적은 달성된다.
상기 스캔하는 단계는, 카메라 또는 지문인식센서에 의해 상기 고유 식별코드를 독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제1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에 의하여 명함에 인쇄된 고유 식별코드를 스캔함으로써 얻어진 코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고유 식별코드는 개별 사용자를 특정하도록 클라우드 서버에 의해 발급된 것인, 상기 수신하는 단계;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미리 저장된 사용자별 코드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함으로써 상기 코드 데이터에 대응되는 제2 사용자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미리 저장된 상기 제2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사용자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상기 제2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의 온라인 주소록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사용자에 의해 사용됨으로써, 개별 사용자를 특정하도록 클라우드 서버에 의해 발급되어 명함에 인쇄된 고유 식별코드를 스캔하도록 구성된 스캔부; 상기 고유 식별코드를 스캔함으로써 얻어진 코드 데이터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미리 저장된 사용자별 코드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한 결과 획득된, 상기 코드 데이터에 대응되는 제2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된 통신부; 및 상기 제2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포함하는 명함 정보를 관리하도록 구성된 명함 관리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치에 의해서도 상기 목적은 달성된다.
상기 스캔부는 카메라 또는 지문인식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별 코드 데이터 및 개인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제1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에 의하여 명함에 인쇄된 고유 식별코드를 스캔함으로써 얻어진 코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부;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함으로써, 상기 수신부에 수신된 상기 코드 데이터에 대응되는 제2 사용자를 결정하며, 상기 제2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사용자 장치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송신부를 포함하는 클라우드 서버에 의해서도 상기 목적은 달성된다.
사용자별 온라인 주소록을 저장하는 클라우드 명함 관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주소록 관리부는 상기 제2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의 온라인 주소록에 저장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은,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개인정보 조회 또는 제공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명함, 이를 이용한 개인정보 조회 또는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사용자 장치 및 클라우드 서버에 의하면, 주민등록번호와 같이 개인을 특정하는 고유의 식별코드를 발급하고 이를 종래의 종이명함에 인쇄되는 개인정보를 대체하여 또는 이와 병행하여 사용함으로써, 명함의 고유 식별코드를 스캔하는 것에 의하여 사용자들 사이의 온라인 개인정보 교환 및 온라인 주소록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명함, 이를 이용한 개인정보 조회 또는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사용자 장치 및 클라우드 서버에 의하면, 고유 식별코드가 원 또는 타원형으로 구성되어 최근 스마트폰(smartphone)에 활발히 도입되고 있는 지문인식센서에 의하여 인식 가능하도록 구현됨으로써 활용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명함의 개념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유 식별코드의 개념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 및 클라우드 서버를 이용한 개인정보 교환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5는 도 4의 사용자 장치를 이용한 개인정보 조회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7은 도 6의 클라우드 서버를 이용한 개인정보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명함, 이를 이용한 개인정보 조회 또는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사용자 장치 및 클라우드 서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명함의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명함은 필름체(100) 및 필름체(100)상에 위치한 코드 영역(1000)을 포함한다. 필름체(100)는 사용자의 소지가 용이할 정도의 얇은 두께를 가지며 그 위에 내용을 인쇄할 수 있는 임의의 물질 층을 지칭한다. 예컨대, 필름체(100)는 종래의 종이명함을 구성하는 종이 또는 임의의 물질이 코팅된 종이를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함의 코드 영역(1000)에는, 사용자의 고유 식별코드가 인쇄된다. 고유 식별코드는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명함의 사용자에게 발급된 것으로서 개별 사용자를 특정하기 위한 것이다. 고유 식별코드는 출생을 증명하는 주민등록번호와 같이 한번 생성된 코드와 일치하는 코드는 생성되지 않으며, 발급된 코드도 미 사용시에는 폐기할 수 있고 관련된 기존 정보의 제거 과정을 거쳐서 새로운 사용자에게 부여될 수도 있다. 제1 사용자로부터 명함을 건네받은 제2 사용자는, 고유 식별코드를 스캔(scan)하여 얻어진 코드 데이터를 이용하여 클라우드 서버를 조회함으로써 제1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필름체(100)는 사용자의 개인정보가 인쇄된 영역(1100, 1200)을 더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의 개인정보란, 사용자의 사진, 회사명, 직책, 이름, 회사주소, 전화번호, 팩스번호, 회사 홈페이지주소와 이-메일주소를 포함하는 회사 연락처, 전화번호와 이-메일주소를 포함하는 개인 연락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개인정보가 인쇄된 영역(1100, 1200)은 명함의 어느 한 면에만 존재할 수도 있으며, 또는 명함의 양면에 분산되어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고유 식별코드와 개인정보는 명함의 동일한 면에 인쇄될 수도 있으며, 서로 상이한 면에 인쇄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유 식별코드의 개념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들에 따른 고유 식별코드는 통상의 지문인식센서에 의한 인식이 가능하도록 원 또는 타원 형상으로 구성된다. 고유 식별코드는 지문인식센서에 의해 인식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점(2100) 및/또는 하나 이상의 선(22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선은 직선일 수도 있으며, 원호 또는 다른 임의의 곡선일 수도 있다. 도면에 도시된 코드 형상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고유 식별코드는 도면에 도시된 것과 상이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지문인식센서에 의해 인식 가능한 형태로 식별코드를 구성함으로써, 별도의 하드웨어를 추가로 구비하지 않더라도 사용자의 스마트폰(smartphone) 등에 구비된 지문인식센서를 이용하여 고유 식별코드를 독출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른 고유 식별코드는 지문인식센서 외에 카메라에 의해 인식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원 또는 타원 형상의 고유 식별코드는 상대적으로 내부에 위치하는 제1 영역(210) 및 제1 영역(210)을 둘러싸고 제1 영역(210)의 외주부에 위치하는 제2 영역(220)을 포함한다. 제1 영역(210)은 개인의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코드를 나타내도록 사용되며, 제2 영역(220)은 사용자에 대응되는 국가 및 도시 등 지역정보를 나타내도록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영역(220)은 원의 중심점을 경계로 동서남북(방위각) 4등분으로 분할되어 각각이 특정 지역군, 예컨대, 아시아, 유럽, 아프리카, 아메리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지역정보를 나타내는 제2 영역(220)은 복수 개의 하위 영역(221, 222, 223)으로 더 구분된다. 이 경우, 최외각에 위치한 하위 영역(221)은 국가 구분을 나타내며, 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안쪽에 위치한 하위 영역(222, 223)은 국가보다 규모가 작은 지역 구분으로서 도시, 동 또는 읍면과 같은 지역 구분을 나타낼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다른 실시예에서 제2 영역(220)은 전체가 하나의 영역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서는 고유 식별코드는 제1 영역(210) 및 제2 영역(220)으로 구분되지 않고 전체가 하나의 코드를 나타낼 수도 있다.
사용자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식별코드를 사용자 장치의 카메라 또는 지문인식센서에 의하여 스캔함으로써 코드 데이터를 독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영역(210)이 나타내는 개인 식별정보 및 제2 영역(220)이 나타내는 지역정보가 합쳐져 전체로서 사용자를 특정하는 코드 데이터를 구성할 수 있다. 코드 데이터는 점과 선으로 이루어진 식별코드를 소정의 변환 규칙에 따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한 것으로서, 코드 데이터는 일련의 숫자 및/또는 문자 배열을 포함한다. 코드 데이터는 개별 사용자를 특정하기 위하여 각 사용자에게 상이하게 부여되는 것이므로, 이를 이용하여 명함의 사용자를 특정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 및 클라우드 서버를 이용한 개인정보 교환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두 명의 사용자가 오프라인(offline)에서 서로 명함을 교환한 후 각자의 사용자 장치(1, 2)를 이용하여 온라인(online)상의 개인정보도 교환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두 명의 사용자 각각은 사전에 클라우드 서버(4)에 접속한 후 적절한 가입절차를 거쳐 고유 식별코드를 발급받은 것으로 가정한다. 식별코드는 주민등록번호와 같이 개별 사용자를 특정하는 인식 코드의 역할을 하는 것이며, 또한 가입 시 사용자는 자신의 개인정보를 클라우드 서버(4)에 전송함으로써 고유 식별코드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이 가능하도록 한다. 클라우드 서버(4)에 저장되는 개인정보는, 종래의 명함에 인쇄되는 개인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거나, 또는 그 외에 추가적인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클라우드 서버(4)에서는 가입 절차를 거친 사용자들에 대하여 임의의 방식으로 생성된 숫자 및/또는 문자 조합을 코드 데이터로서 부여하고, 이러한 코드 데이터를 소정의 변환 규칙에 따라 2차원 형상으로 변환함으로써 고유 식별코드를 생성하게 된다. 클라우드 서버(4)는 사용자에게 부여된 코드 데이터 및 고유 식별코드를 사용자에게 통지하거나, 또는 고유 식별코드만을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우드 서버(4)에서는 고유 식별코드 이미지 파일을 사용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와 같이 발급받은 고유 식별코드를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전술한 것과 같이 명함에 인쇄하여 오프라인에서 활용하게 된다.
제1 및 제2 사용자가 식별코드가 인쇄된 명함을 이용하여 개인정보를 교환하는 경우, 제1 사용자는, 자신의 사용자 장치(1)를 이용하여 제2 사용자로부터 받은 명함(100)에 인쇄된 제2 사용자의 고유 식별코드를 스캔하고, 그 결과 얻어진 코드 데이터를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3)를 통해 클라우드 서버(4)에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 장치(1)에는 식별코드의 스캔 및 코드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소정의 애플리케이션(또는, 앱(app))이 설치될 수도 있다.
도 3에서 사용자 장치(1)는 스마트폰 형태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사용자 장치(1)는 식별코드의 스캔을 위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수단이 구비될 수 있는 다른 임의의 장치일 수도 있다. 예컨대, 사용자 장치(1)는 임의의 모바일 컴퓨팅 장치,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넷북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IPTV를 위한 셋톱박스(set-top box)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3)는 객체와 객체가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임의의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 네트워크로서, 예컨대, LAN,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GSM(Global System for Mobile Network),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LTE Advanced, IEEE802.16m, WirelessMAN-Advanced, HSPA+, 3GPP Long Term Evolution (LTE), Mobile WiMAX (IEEE 802.16e), UMB (formerly EV-DO Rev. C), Flash-OFDM, iBurst and MBWA (IEEE 802.20) systems, HIPERMAN, Beam-Division Multiple Access (BDMA),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및 초음파 활용 통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임의의 통신 네트워크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클라우드 서버(4)에서는 사용자 장치(1)로부터 수신된 코드 데이터를 이용하여 코드와 일치하는 제2 사용자를 특정하고, 특정된 제2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제1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1)에 전송함으로써 개인정보의 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클라우드 서버(4)는 각 사용자의 온라인 주소록을 저장하도록 더 구성되며, 제1 사용자가 제2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조회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제1 사용자의 온라인 주소록에 제2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등록할 수도 있다.
제1 사용자는, 사용자 장치(1)를 이용하여 클라우드 서버(4)로부터 수신한 제2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사용자 장치(1)는 사용자 장치(1)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명함 정보를 관리하는 기능을 더 수행할 수도 있다. 명함 정보의 관리란, 클라우드 서버(4)로부터의 개인정보 수신, 수신된 개인정보의 가공, 저장, 그룹화 및 정렬, 저장된 개인정보에 대한 조회 및 활용 등 스마트폰 상에서 실행되는 종래의 명함 또는 연락처 관리 애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모든 종류의 기능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클라우드 서버(4)로부터 수신한 다른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활용하여 전화걸기, 문자메시지 보내기, 명함 정보를 다른 형식으로 내보내기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제2 사용자가 제1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조회하는 과정도 이상에 기술한 과정과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2 사용자는 자신의 사용자 장치(2)를 이용하여 제1 사용자로부터 받은 명함(200)의 고유 식별코드를 스캔하며, 스캔 결과 얻어진 코드 데이터를 마찬가지로 클라우드 서버(4)로 전송함으로써 제1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5는 도 4의 사용자 장치를 이용한 개인정보 조회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장치(1)의 스캔부(11)에 의하여 명함에 인쇄된 고유 식별코드를 스캔할 수 있다(S11). 스캔되는 명함은 사용자 장치(1)의 사용자(즉, 제1 사용자)가 오프라인에서 다른 사용자(즉, 제2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것일 수 있으며, 이때 두 사용자 중 적어도 상기 다른 사용자는 클라우드 서버가 제공하는 적절한 가입절차를 통하여 고유 식별코드를 발급받고 이를 자신의 명함에 인쇄한 사용자이다. 스캔부(11)는 고유 식별코드의 스캔을 위하여 카메라 또는 지문인식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고유 식별코드는 통상의 지문인식센서에 의해 인식 가능한 점과 선들로 이루어진 원 또는 타원 형상이다.
사용자 장치(1)의 통신부(12)는, 스캔부(11)가 고유 식별코드를 스캔함으로써 얻어진 코드 데이터를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고(S12),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코드 데이터에 상응하는 다른 사용자(즉, 제2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3). 수신되는 다른 사용자의 개인정보란, 클라우드 서버에 등록된 다른 사용자의 개인정보 전체일 수도 있으며, 또는 클라우드 서버에 등록된 다른 사용자의 개인정보 중 해당 사용자가 제3 자에게 공개될 것을 지정한 일부 정보일 수도 있다.
사용자 장치(1)의 명함 관리부(13)는,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수신한 하나 이상의 다른 사용자의 개인정보에 대한 관리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이를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관리 기능은 수신된 개인정보의 가공, 저장, 그룹화 및 정렬, 저장된 개인정보에 대한 조회 및 활용 등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의 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7은 도 6의 클라우드 서버를 이용한 개인정보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라우드 서버(4)의 데이터베이스(41)에는 사전에 가입 절차를 거친 사용자들에 대하여 발급된 고유 식별코드 및 각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개인정보가 상호 연관되어 저장된다. 고유 식별코드는 출생을 증명하는 주민등록번호와 같이 개별 사용자를 특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한번 생성된 코드와 일치하는 코드는 생성되지 않으며, 발급된 코드도 미 사용시에는 폐기할 수 있고 관련된 기존 정보의 제거 과정을 거쳐서 새로운 사용자에게 부여될 수도 있다. 클라우드 서버(4)는 이를 활용하여 사용자 간의 온라인 개인정보 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오프라인에서 명함을 교환한 제1 사용자와 제2 사용자 사이에 온라인 개인정보를 교환하는 경우, 클라우드 서버(4)의 수신부(42)는 제1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코드 데이터를 수신한다(S21). 이러한 코드 데이터는 제1 사용자가 제2 사용자의 명함에 인쇄된 고유 식별코드를 스캔함으로써 얻어진 것으로서, 제2 사용자 고유의 정보를 의미한다. 클라우드 서버(4)에서는 데이터베이스(41)를 조회하여 수신된 코드 데이터에 대응되는 제2 사용자를 특정하고(S22), 특정된 제2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송신부(43)에 의하여 제1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에 제공한다(S23). 제1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제2 사용자의 개인정보는, 데이터베이스(41)에 저장된 제2 사용자의 개인정보 전체일 수도 있으며, 또는 제2 사용자의 개인정보 중 타인에게 공개될 것으로 지정된 일부 정보일 수도 있다. 전술한 과정은 제2 사용자가 클라우드 서버(4)를 이용하여 제1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조회하는 경우에도 대응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클라우드 서버(4)는 각 사용자에게 온라인 주소록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클라우드 서버(4)의 클라우드 명함 관리부(44)는 가입절차를 거친 각 사용자에 대응되는 온라인 주소록을 생성하고, 사용자가 사용자 장치를 이용하여 접속할 경우 적절한 인증 과정을 거쳐 온라인 주소록에 기록된 정보를 사용자 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것과 같이 제1 사용자가 제2 사용자의 식별코드를 조회하였을 경우, 클라우드 명함 관리부(44)에서는 제2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제1 사용자의 온라인 주소록에 저장할 수 있다(S24).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오프라인에서 만난 상대방들의 정보를 하나하나 사용자 장치에 저장하거나 온라인 주소록에 기록할 필요가 없으며, 상대방의 고유 식별코드를 스캔하는 간단한 동작에 의하여 상대방의 명함 정보를 자신의 온라인 주소록에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와 같이 생성된 온라인 주소록을 자신의 휴대전화 주소록으로 다운로드하거나, 또는 온라인 주소록을 이메일 등으로 전송하거나 다른 애플리케이션으로 내보내는 등 임의의 형태로 활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른 고유 식별코드를 이용한 개인정보 조회 및 제공 방법에 의한 동작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개인정보 조회 및 제공 방법에 의한 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segment)들은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 내에 있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2 : 사용자 장치 3 : 유무선 네트워크
4 : 클라우드 서버 11 : 스캔부
12 : 통신부 13 : 명함 관리부
41 : 데이터베이스 42 : 수신부
43 : 송신부 44 : 클라우드 명함 관리부
100 : 명함 210 : 제1 영역
220 : 제2 영역 221, 222, 223 : 하위 영역
1000 : 코드 영역 1100, 1200 : 개인정보가 인쇄된 영역
2100 : 점 2200 : 선

Claims (12)

  1. 필름체; 및
    상기 필름체 상에 위치하며 사용자의 고유 식별코드가 인쇄된 코드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고유 식별코드는,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에게 발급된 것으로서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미리 저장된 상기 사용자의 개인정보에 대응되고, 원 또는 타원 형상을 가지며, 사용자의 개인 식별정보를 나타내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의 외주부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지역정보를 나타내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2 영역의 최외각에 위치하며 국가 구분을 나타내는 제1 하위 영역 및 상기 제1 하위 영역의 안쪽에 위치하며 국가에 비해 규모가 작은 지역 구분을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제2 하위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각각은 하나 이상의 점 및 하나 이상의 선을 포함하여 상기 고유 식별코드가 지문인식센서에 의하여 스캔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함.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체 상에 위치하며 상기 사용자의 개인정보가 인쇄된 영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함.
  4. 제1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에 구비된 지문인식센서를 이용하여 명함에 인쇄된 고유 식별코드를 스캔하는 단계로서, 상기 고유 식별코드는 개별 사용자를 특정하도록 클라우드 서버에 의해 발급된 것인 상기 스캔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장치가 상기 고유 식별코드를 스캔하여 얻어진 코드 데이터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장치가,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미리 저장된 사용자별 코드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한 결과 획득된, 상기 코드 데이터에 대응되는 제2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고유 식별코드는, 원 또는 타원 형상을 가지며, 사용자의 개인 식별정보를 나타내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의 외주부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지역정보를 나타내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2 영역의 최외각에 위치하며 국가 구분을 나타내는 제1 하위 영역 및 상기 제1 하위 영역의 안쪽에 위치하며 국가에 비해 규모가 작은 지역 구분을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제2 하위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각각은 하나 이상의 점 및 하나 이상의 선을 포함하여 상기 고유 식별코드가 상기 지문인식센서에 의하여 스캔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정보 조회 방법.
  5. 삭제
  6. 클라우드 서버가, 제1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에 구비된 지문인식센서를 이용하여 명함에 인쇄된 고유 식별코드를 스캔함으로써 얻어진 코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고유 식별코드는 개별 사용자를 특정하도록 클라우드 서버에 의해 발급된 것인, 상기 수신하는 단계;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미리 저장된 사용자별 코드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함으로써 상기 코드 데이터에 대응되는 제2 사용자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미리 저장된 상기 제2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사용자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고유 식별코드는, 원 또는 타원 형상을 가지며, 사용자의 개인 식별정보를 나타내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의 외주부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지역정보를 나타내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2 영역의 최외각에 위치하며 국가 구분을 나타내는 제1 하위 영역 및 상기 제1 하위 영역의 안쪽에 위치하며 국가에 비해 규모가 작은 지역 구분을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제2 하위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각각은 하나 이상의 점 및 하나 이상의 선을 포함하여 상기 고유 식별코드가 상기 지문인식센서에 의하여 스캔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정보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상기 제2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의 온라인 주소록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정보 제공 방법.
  8. 제1 사용자에 의해 사용됨으로써, 개별 사용자를 특정하도록 클라우드 서버에 의해 발급되어 명함에 인쇄된 고유 식별코드를 스캔하도록 구성된 지문인식센서를 포함하는 스캔부;
    상기 지문인식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고유 식별코드를 스캔함으로써 얻어진 코드 데이터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미리 저장된 사용자별 코드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한 결과 획득된, 상기 코드 데이터에 대응되는 제2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된 통신부; 및
    상기 제2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포함하는 명함 정보를 관리하도록 구성된 명함 관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고유 식별코드는, 원 또는 타원 형상을 가지며, 사용자의 개인 식별정보를 나타내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의 외주부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지역정보를 나타내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2 영역의 최외각에 위치하며 국가 구분을 나타내는 제1 하위 영역 및 상기 제1 하위 영역의 안쪽에 위치하며 국가에 비해 규모가 작은 지역 구분을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제2 하위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각각은 하나 이상의 점 및 하나 이상의 선을 포함하여 상기 고유 식별코드가 상기 지문인식센서에 의하여 스캔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장치.
  9. 삭제
  10. 사용자별 코드 데이터 및 개인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제1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에 구비된 지문인식센서를 이용하여 명함에 인쇄된 고유 식별코드를 스캔함으로써 얻어진 코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부;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함으로써, 상기 수신부에 수신된 상기 코드 데이터에 대응되는 제2 사용자를 결정하며, 상기 제2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사용자 장치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송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고유 식별코드는, 원 또는 타원 형상을 가지며, 사용자의 개인 식별정보를 나타내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의 외주부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지역정보를 나타내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2 영역의 최외각에 위치하며 국가 구분을 나타내는 제1 하위 영역 및 상기 제1 하위 영역의 안쪽에 위치하며 국가에 비해 규모가 작은 지역 구분을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제2 하위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각각은 하나 이상의 점 및 하나 이상의 선을 포함하여 상기 고유 식별코드가 상기 지문인식센서에 의하여 스캔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서버.
  11. 제 10항에 있어서,
    사용자별 온라인 주소록을 저장하는 클라우드 명함 관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클라우드 명함 관리부는 상기 제2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의 온라인 주소록에 저장하도록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서버.
  12. 지문인식센서를 포함하는 제1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와 결합되어,
    개별 사용자를 특정하도록 클라우드 서버에 의해 발급되어 명함에 인쇄된 고유 식별코드를 상기 지문인식센서를 이용하여 스캔하는 단계;
    상기 고유 식별코드를 스캔함으로써 얻어진 코드 데이터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미리 저장된 사용자별 코드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한 결과 획득된, 상기 코드 데이터에 대응되는 제2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포함하는 명함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실행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고유 식별코드는, 원 또는 타원 형상을 가지며, 사용자의 개인 식별정보를 나타내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의 외주부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지역정보를 나타내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2 영역의 최외각에 위치하며 국가 구분을 나타내는 제1 하위 영역 및 상기 제1 하위 영역의 안쪽에 위치하며 국가에 비해 규모가 작은 지역 구분을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제2 하위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각각은 하나 이상의 점 및 하나 이상의 선을 포함하여 상기 고유 식별코드가 상기 지문인식센서에 의하여 스캔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비일시적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50172708A 2015-12-04 2015-12-04 사용자 고유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명함, 이를 이용한 개인정보 조회 또는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사용자 장치 및 클라우드 서버 KR1017384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2708A KR101738467B1 (ko) 2015-12-04 2015-12-04 사용자 고유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명함, 이를 이용한 개인정보 조회 또는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사용자 장치 및 클라우드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2708A KR101738467B1 (ko) 2015-12-04 2015-12-04 사용자 고유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명함, 이를 이용한 개인정보 조회 또는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사용자 장치 및 클라우드 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8467B1 true KR101738467B1 (ko) 2017-05-23

Family

ID=59050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2708A KR101738467B1 (ko) 2015-12-04 2015-12-04 사용자 고유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명함, 이를 이용한 개인정보 조회 또는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사용자 장치 및 클라우드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846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08786A (zh) * 2017-12-18 2018-06-01 丁晗秋 校园卡管理系统
KR102036075B1 (ko) * 2018-10-18 2019-10-24 주식회사 에스트렐라노바 명함 정보 전달 방법 및 그 사용자 단말
WO2021241797A1 (ko) * 2020-05-28 2021-12-02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바이스 간 데이터 교환 방법 및 이 방법을 실행하는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6661B1 (ko) * 2012-10-09 2013-09-10 신현섭 클라우드 ocr 명함 정보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6661B1 (ko) * 2012-10-09 2013-09-10 신현섭 클라우드 ocr 명함 정보 관리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08786A (zh) * 2017-12-18 2018-06-01 丁晗秋 校园卡管理系统
KR102036075B1 (ko) * 2018-10-18 2019-10-24 주식회사 에스트렐라노바 명함 정보 전달 방법 및 그 사용자 단말
WO2021241797A1 (ko) * 2020-05-28 2021-12-02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바이스 간 데이터 교환 방법 및 이 방법을 실행하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98708B2 (en) Business card information exchange method combining character recognition and image matching
US20150169262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fulfillment of a print request
JP2019525316A (ja) 二次元コード情報クエリ方法、サーバ、クライアント、及びシステム
KR101738467B1 (ko) 사용자 고유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명함, 이를 이용한 개인정보 조회 또는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사용자 장치 및 클라우드 서버
US961278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searching for peripheral device
US20120287460A1 (en) Methods and systems of mobile discovery and printing configuration
WO2017101550A1 (zh) 一种基于nfc的打印方法及打印系统
US20130304861A1 (en) Document workflow architecture
US9311039B2 (en) Cloud printing system and method using image forming apparatus
US8982403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ext-aware printing service
JP6340275B2 (ja) 筆記内容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
US10162583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inting
JP2010205138A (ja) 文書管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10200331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erforming structure-preserving obfuscation on emails
US20130107314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loud printing
JP2016020058A (ja) 画像形成装置、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US856053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ontent management system,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managing contents
US20140132984A1 (en) Information transmitting apparatus and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US9632733B2 (en) Personal print server
JP6123278B2 (ja) データ作成装置およびデータ作成方法
CN114077586A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信息终端和信息处理系统
JP5929126B2 (ja) 印刷データ受信装置、画像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140198339A1 (en) Identification of a print service provider
JP2019105905A (ja) 名刺情報登録装置、名刺情報登録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943897B2 (ja) 移動体端末、印刷システム、印刷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