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8006B1 -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8006B1
KR101908006B1 KR1020120018854A KR20120018854A KR101908006B1 KR 101908006 B1 KR101908006 B1 KR 101908006B1 KR 1020120018854 A KR1020120018854 A KR 1020120018854A KR 20120018854 A KR20120018854 A KR 20120018854A KR 101908006 B1 KR101908006 B1 KR 1019080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module
portable terminal
delete delete
area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8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7305A (ko
Inventor
서재일
김영균
이승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188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8006B1/ko
Priority to CN2013200780998U priority patent/CN203204496U/zh
Publication of KR20130097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73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8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80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31Cover glas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모듈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디스플레이 모듈은 디스플레이 모듈에 구비된 뷰 영역;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구비되고, 상기 뷰 영역과 일체형인 논-뷰 영역으로 구성되고, 상기 논-뷰 영역에 구비된 다수 개의 각진 외곽 모서리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곽 모서리를 커팅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DISPLAY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THEREWITH}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 단말기의 외관 디자인에 영향을 미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휴대 단말기는 단순한 음성 통화나 메시지 전송 등이 간단한 기능만을 수행하여도 사용하는데 지장이 없었으나, 점차 멀티미디어 환경이 도래하면서, 유저는 보다 많은 기능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를 요구하고 있다. 제조업자도 유저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 고기능의 휴대 단말기 개발에 전념하고 있다.
한편, 휴대 단말기는 경량, 소형, 슬림 등을 고려하여 유저의 휴대 편리성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런 휴대 단말기에 장착되는 주요 부품들 중, 데이터 입력장치나 데이터 출력 장치가 매우 중요하다.
휴대 단말기에 채용되는 데이터 입력 장치는 종래에는 주로 누름 방식으로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식이 주류를 이루었으나, 현재에는 터치 방식으로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식이 각광받고 있고, 향후 터치 방식이나 동작 또는 모션 인식 등의 방식으로 원하는 데이터 입력방식이 발전될 것이다.
데이터 출력 장치는 과거에는 주로 엘씨디 모듈이 사용되었고, 현재에는 엘씨디 모듈 이외에 아몰레드 모듈이 사용되며, 향후 슬림화에 유리하고, 저전력 이점이 있는 아몰레드 모듈이 점차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휴대 단말기(10) 중, 현재 각광받고 있는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피씨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종래의 휴대 단말기(10)는 전면에 디스플레이(100)가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100) 상부에 스피커(110)와 카메라 모듈(112)이 배치된다. 아울러, 상기 디스플레이(100) 하부에 온/오프 스위치(114)가 배치되고, 상기 온/오프 스위치(114) 좌우측으로 제1,2터치 영역(116,118)이 배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100)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윈도우 또는 터치 윈도우를 포함하는 것으로, 외부에서는 윈도우를 통해 후술하는 디스플레이 모듈(도 2에 도시됨)의 뷰 영역을 지칭하며, 사용자에게 데이터가 표시되어서,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된 데이터를 볼 수 있는 영역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기(10) 전면에는 상기 구성 부품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으로 검은 색상의 BM(Black Matrix) 영역(BM)이 위치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휴대 단말기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모듈(120)의 전면은 크게 디스플레이된 데이터를 볼 수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서 두 개의 영역으로 구분된다. 상기 두 개의 영역은 뷰 영역(121)(거의 대부분을 차지함)과, 논-뷰 영역인 엘디아이(LDI) 영역(122)을 의미한다. 상기 뷰 영역(121)은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어 사용자가 볼 수 있는 영역을 의미하고, 상기 엘디아이 영역(121)은 디스플레이 모듈(120)에 구비되지만, 사용자가 볼 수 없는 영역으로서, 외부에서는 BM 영역에 의해 보이지 않는 구조로 이루어 진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20)은 두 개의 연성 회로를 구비하는데, 제1연성 회로(FPCB1)는 뷰 영역(121) 저면에 구비되고, 다른 연성 회로(FPCB2)는 엘디아이 영역(122)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20)은 대략적으로 평탄한 직사각형 패널 형상으로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뷰 영역(121)과 엘디아이 영역(122)도 직사각형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20)은 4개의 외곽 모서리들(123)들, 즉 상부에 서로 대치하는 좌우 외곽 모서리와, 하부에 서로 대치하는 좌우 외곽 모서리를 구비한다.
한편, 현재 출시되는 스마트 폰과 같은 휴대 단말기는 BM 영역(BM)을 최소화하고, 뷰 영역(121)을 극대화에 유리한 디스플레이 모듈 장착을 추구하고 있다.
휴대성을 고려하여 무한정으로 디스플레이 모듈의 뷰 영역을 크게 할 수는 없으며, 휴대 단말기의 BM 영역이 크면, 외관 디자인에도 좋지 않아서, 외관 디자인 제약을 받게 된다. 특히, 휴대 단말기는 BM 영역이 작고, 뷰 영역이 클수록 디자이너의 입장에서 휴대 단말기의 외관 디자인이 수월하다.
도 3,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서리 영역에 곡률을 주어서 외관 디자인이 이루어지는 휴대 단말기에서, BM 영역을 최소화하고, 뷰 영역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종래의 디스플레이 모듈(120)을 휴대 단말기에 본체 케이스(11)에 외곽 모서리 영역에 장착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20) 하부에 있는 좌우 외곽 모서리(123)는 본체 케이스(11) 좌우 외곽 모서리 영역에 장착해야 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20)은 SVR(Super View Resin) 공정에 의해 윈도우(12)가 일체로 부착되어 본체 케이스(11)에 장착된다.
하지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곽 좌우 모서리에 부착되는 디스플레이 모듈(120)과 일체형인 윈도우(12)를 본체 케이싱(11)에 부착 공간의 협소함으로 인하여, 윈도우(12)가 부착된 디스플레이 모듈(120) 외곽 모서리 부분을 본체 케이싱(11)에 부착하기 난해하고, 테이핑 영역, 즉 양면 테이프(13)를 이용한 부착 면적이 작아서 조립성 관점에서 문제가 있다.
아울러, 상기 구조는 휴대 단말기의 좌우 외곽 모서리 영역의 구조적 강성이 약해져서, 낙하 등에 취약한 문제가 있고, 이를 고려하여 휴대 단말기의 외곽 모서리 디자인에 제약, 즉 휴대 단말기의 외곽 모서리 곡률을 크게 제공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참조부호 14는 표시부 브라켓을 말한다.
결국, 종래의 디스플레이 모듈은 휴대 단말기에 채용되어서, BM 영역을 최소화하고, 뷰 영역을 극대화하는데 한계가 있어서, 휴대 단말기의 외관 디자인에 한계를 제공하게 된다. 이는 종래의 디스플레이 모듈로는 휴대 단말기의 외곽 모서리 영역에 배치하여 장착하기 쉽지 않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모듈 외곽 모서리를 커팅하여 휴대 단말기에 장착함으로서, BM 영역을 최소화하고, 뷰 영역을 극대화하는데 유리한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윈도우가 일체화된 디스플레이 모듈을 본체 케이스에 장착하기 용이하여 조립성이 개선된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외관 디자인 및 휴대 단말기의 외곽 모서리 영역의 디자인에 제약을 받지 않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뷰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구비된 다수개의 각진 외곽 모서리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곽 모서리를 커팅한다.
또한, 본 발명은 뷰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구비된 다수개의 각진 외곽 모서리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곽 모서리를 라운드 형상으로 처리한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모듈에 구비된 뷰 영역;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구비되고, 상기 뷰 영역과 일체형인 논-뷰 영역으로 구성되고, 상기 논-뷰 영역에 구비된 다수 개의 각진 외곽 모서리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곽 모서리를 커팅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 케이스; 및 뷰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 케이스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구비된 다수 개의 각진 외곽 모서리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곽 모서리를 커팅하여, 상기 본체 케이스 외곽 모서리 영역에 근접하게 장착된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 케이스; 및 뷰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 케이스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구비된 다수 개의 각진 외곽 모서리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곽 모서리를 상기 본체 케이스 외곽 모서리 영역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커팅하여 장착된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모듈의 외곽 모서리를 커팅하여 휴대 단말기 외곽 모서리 영역에 근접하게 장착함으로서, 휴대 단말기의 BM 영역을 최소화하고, 뷰 영역이 극대화되어, 휴대 단말기의 외관 디자인의 제약을 해결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모듈의 실장 문제를 해결하였다.
도 1은 종래의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종래의 휴대 단말기에 채용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종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휴대 단말기의 외곽 모서리에 채용한 상태의 일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종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휴대 단말기의 외곽 모서리에 채용할 경우에 발생하는 문제점을 나타내는 일부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이 장착된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이 장착된 휴대 단말기의 하나의 외곽 모서리 영역을 일부 절개하여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을 휴대 단말기 외곽 모서리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을 나타내는 평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에 채용되는 기술로서, 특히, 상기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능한 모든 정보통신 기기들을 지칭한다. 휴대 정보기기는 사용자와 항시 휴대되어져야 하기 때문에, 편리한 휴대성을 고려하여 경량이면서, 소형이고, 슬림한 것이 휴대가 편리하며, 사용자의 관점에서 시각적, 청각적, 촉각적인 감성이 매우 중요해 지고 있다. 아울러, 휴대 정보기기는 항시 휴대하기 때문에 외관 디자인이 중요하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휴대 단말기의 일예로서, 셀룰러 폰, 스마트 폰(smart phone),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단말기, WCDMA 단말기,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단말기, E-Book, 휴대용 컴퓨터(Notebook, Tablet PC 등)가 포함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이 채용된 휴대 단말기(30)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이 적용된 휴대 단말기(30)는 전면에 디스플레이(300)(도 5에는 윈도우 또는 터치 윈도우 만이 사용자에게 보여짐)가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300) 상측으로 스피커(310)와 카메라 모듈(312)(카메라 렌즈)이 배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300)는 후술하는 디스플레이 모듈(320)(도 6에 도시됨)의 뷰 영역(view area)이 윈도우를 통해 보여지는 부분을 말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 전면은 디스플레이와, 스피커 및 카메라 모듈 영역을 제외하고, 나머지 영역은 BM 영역(BM)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30)의 디스플레이 모듈은 종래의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와 비교하여, 디스플레이 모듈의 외곽 모서리를 휴대 단말기 본체 케이스의 외곽 모서리에 더 근접하게 배치하여, BM 영역을 최소화하면서 뷰 영역을 극대화한 것이다. 후술하겠지만 본 발명은 윈도우가 부착된 디스플레이 모듈을 본체 케이스에 부착하는데 용이한 구조를 제공한다.
이하에는 휴대 단말기에 채용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320)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20)은 대략 다각형, 구체적으로 사각형 패널 형상으로서, 특히 직사각형 패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20)은 뷰 영역(321)과, 외부에서 보이지 않는 논-뷰 영역(non-view area)인 엘디아이 영역(322)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뷰 영역(321)은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어 사용자가 볼 수 있는 영역을 의미하고, 상기 엘디아이 영역(121)은 디스플레이 모듈(320) 하단에 구비되지만,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된 데이터를 볼 수 없는 영역으로서, 외부에서는 BM 영역으로 간주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20)은 대략적으로(substantially) 평탄한 직사각형 패널형으로 구성되어서, 다수 개의 외곽 모서리들(323a;323b)(edge)을 구비한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사각 형상(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형상 포함)으로 구성된다면, 상기 외곽 모서리들(323a;323b)은 4개가 구비된다. 이러한 일례가 도 6에 도시되었다. 상기 4개의 외곽 모서리들 중, 상부에 있는 좌우 외곽 모서리(323a)는 상기 뷰 영역(321)에 위치하고, 하부에 있는 좌우 외곽 모서리(323b)는 상기 논-뷰 영역인 엘디아이(LDI;LCD Drive IC)) 영역(322)에 위치한다. 상기 언급된 외곽 모서리라는 의미는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가장 외곽에서 각진 부위를 지칭한다. 통상적으로 직사각형은 서로 대칭인 4개의 모서리를 구비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20)은 다수 개의 각진 외곽 모서리들(323a;323b)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곽 모서리가 커팅되어 삭제된다. 후술하겠지만, 상기 커팅된 부분은 휴대 단말기 외관 디자인과 조립성에 기여한다. 상기 커팅 공정은 외곽 모서리(323a;323b) 일부를 절개하는 공정으로서, C-커팅 공정으로 수행된다. 상기 좌우 모서리(323b)에서 커팅된 부분(325)은 삼각 기둥 형상이다.
이 때,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커팅되는 좌우 외곽 모서리(323b)는 상기 뷰 영역(321)에 위치한 외곽 모서리(323a)가 아니라, 상기 논-뷰 영역인 엘디아이 영역(322)에 있는 좌우 외곽 모서리(323b)에서 각각 이루어진다. 상기 각각의 좌우 모서리(323b)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20)에 좌우 대칭으로 형성된다. 상기 커팅 공정에 따라서, 상기 좌우 외곽 모서리(323b)는 각각 좌우 제1경사면(324)을 구비한다. 상기 좌우 제1경사면(324)은 각각 평탄한 면으로서, 각각 수직 벽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좌우 외곽 모서리(323b)는 커팅 공정에 의해서, 상기 좌우 경사면(324)이 형성되어 짐으로서, 상기 좌우 외곽 모서리(323b)는 각각 두 개의 각진 부분을 구비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 좌우 외곽 모서리(323b)는 가장 각진 부분이 커팅되어, 기존에 비해 보다 곡률 형상에 가까운 형상을 가지게 된다. 달리, 상기 좌우 외곽 모서리(323b)가 각각 구비한 2개의 모서리들을 추가적으로 커팅하여서, 더욱 곡률 형상에 가깝게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제1경사면(324)은 대략 45도 정도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제1경사면(324)의 커팅된 경사 각도는 휴대 단말기의 외곽 모서리부분 디자인에 따라서 변경가능하다.
상기 뷰 영역(321)에는 저면에 제1연성 회로(FPCB1)가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엘디아이 영역(322)에 제2연성 회로(FPCB2)가 배치되는데, 상기 커팅된 영역 바로 옆에 배치된다.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20)은 좌우 외곽 모서리가 커팅되는데, 구체적으로 상기 논-뷰(non-view) 영역인 엘디아이 영역(322)의 좌우 외곽 모서리가 커팅되는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20)은 브라켓(34)을 이용하여 본체 케이스(31)에 장착된다. 그러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20)의 좌우 외곽 모서리는 각각 상기 본체 케이스(31) 외곽 모서리 영역에 보다 근접하게 장착된다. 도 7에는 우측 외곽 모서리만의 장착 상태가 도시되었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20)은 윈도우(32;도 8에 도시됨)와 부착된 상태로 상기 브라켓(34)에 장착된다. 상기 브라켓(34)은 이후 '디스플레이 브라켓'이라 지칭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20)이 디스플레이 브라켓(34)에 장착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20)에 구비된 제1경사면(324)과 간극으로 대면하는 제2경사면(340)이 상기 디스플레이 브라켓(34)에 구비된다. 상기 제2경사면(340)은 수직 벽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2경사면(324,340)은 서로 간극지게 대면한다.
상기 표시부 브라켓(34)에는 테이핑 영역이 구비되어, 후술하는 윈도우가 부착된다. 상기 테이핑 공정은 양면 테이프(33)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20)을 상기 디스플레이 브라켓(34)에 부착하여 고정하는 과정을 말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케이스 좌우 외곽 모서리에 부착되는 디스플레이 모듈(320)과 일체형인 윈도우(32)를 본체 케이싱(31) 외곽 모서리에 부착하는 공정에서, 부착 면적이나 부착 공간이 기존에 비해서 넓어져서, 상기 윈도우(32)가 부착된 디스플레이 모듈(320) 외곽 모서리 부분을 본체 케이싱(21) 외곽 모서리에 테이핑하기가 용이하고, 부착력도 증가된다. 상기 테이핑 영역, 즉 양면 테이프(33)를 이용한 부착은 부착 면적이 넓어지고, 부착 공간도 커져서 디스플레이 모듈 부착 공정이 용이하다.
도 9에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420)이 도시되었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420)을 설명함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420)의 하부 좌우 모서리 영역의 커팅되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도 6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모듈과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외곽 모서리의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420)은 다수개의 외곽 모서리들(423a;423b)을 구비한다. 상기 다수개의 외곽 모서리(423a;423b)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곽 모서리를 라운드 형상으로 처리한다. 상기 외곽 모서리의 라운드 형상 처리는 커팅 공정으로 수행되거나, 연마 공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라운드 형상은 소정의 곡률 반경을 가진 형상을 포함한다.
상기 외곽 모서리들 중, 하부에 있는 좌우 외곽 모서리(423b)는 각각 라운드 형상으로 처리된다. 이러한 형상으로, 상기 좌우 모서리는 곡면을 구비한다.
아울러, 도면에는 미도시되었지만,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420)이 디스플레이 브라켓을 이용하여 본체 케이스 외곽 모서리에 근접하게 장착되면, 상기 좌우 모서리는 디스플레이 브라켓(미도시됨)의 좌우 모서리 영역에 배치된다. 아울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좌우 외곽 모서리 곡면(424)에 대면하는 곡면(미 도시됨)이 디스플레이 브라켓에 간극지게 구비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은 엘씨디 모듈이거나, 아몰레드 모듈을 포함하며, 대략적으로 직사각형의 평탄한 패널형으로 한정될 필요는 없다. 또한, 본 발명은 휘어지는 디스플레이 모듈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휘어지는 디스플레이 모듈이라도, 뷰 영역이 다각 형상, 예를 들어 사각 형상이나 직사각형 뷰 영역을 가진다면, 소정의 외곽 모서리를 커팅하여 휴대 단말기에 동일한 원리로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의 커팅 형상은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커팅 형상은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의 커팅 형상은 휴대 단말기 외곽 모서리 영역에 따른 형상으로 커팅 또는 연마되어서, 휴대 단말기에 장착될 수 있다. 이런 구조인 경우, 디스플레이 브라켓은 디스플레이 모듈의 커팅 형상과 대면하게 간극지게 대면하는 형상으로 제작된다.

Claims (23)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본체 케이스; 및
    윈도우 부분 및 비윈도우 부분이 적층 구성된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뷰 영역 및 상기 뷰 영역과 일체형인 논-뷰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비윈도우 부분 중 상기 논-뷰 영역에 다수 개의 각진 외곽 모서리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곽 모서리를 커팅함에 따라, 상기 커팅된 모서리에 대응한 상기 윈도우 부분의 논-뷰 영역과 상기 본체 케이스 외곽 모서리 영역이 서로 대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디스플레이 브라켓을 이용하여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 공정은 C-커팅 공정으로 수행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대략적으로 평탄한 사각형 패널로 구성되어서, 4개의 외곽 모서리들을 구비하고, 상기 사각형은 직사각형이 바람직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커팅되는 부분은 상기 4개의 외곽 모서리들 중, 하부에 위치한 좌우 모서리이고, 상기 각각의 좌우 모서리는 서로 대칭으로 상기 본체 케이스 좌우 외곽 모서리 영역에 간극지게 장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커팅된 외곽 모서리에 평탄한 제1경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제1경사면과 간극지게 대면하는 제2경사면이 상기 디스플레이 브라켓에 구비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경사면은 상기 디스플레이 브라켓의 외곽 모서리영역에 구비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2. 삭제
  23. 삭제
KR1020120018854A 2012-02-24 2012-02-24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1019080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8854A KR101908006B1 (ko) 2012-02-24 2012-02-24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CN2013200780998U CN203204496U (zh) 2012-02-24 2013-02-20 显示模块及具备该显示模块的便携式终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8854A KR101908006B1 (ko) 2012-02-24 2012-02-24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8231A Division KR101959372B1 (ko) 2018-08-22 2018-08-22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7305A KR20130097305A (ko) 2013-09-03
KR101908006B1 true KR101908006B1 (ko) 2018-10-15

Family

ID=49148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8854A KR101908006B1 (ko) 2012-02-24 2012-02-24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08006B1 (ko)
CN (1) CN203204496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08973A (ja) * 2007-06-29 2009-01-15 Hitachi Displays Ltd 液晶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2854A (ko) * 2007-03-09 2008-09-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소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08973A (ja) * 2007-06-29 2009-01-15 Hitachi Displays Ltd 液晶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3204496U (zh) 2013-09-18
KR20130097305A (ko) 2013-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132020A1 (en) Electronic device with side speaker hole
CN104052838A (zh) 具有显示模块的电子装置
JP7241896B2 (ja) 電子機器、表示画面アセンブリ及びカバープレート
WO2014070330A1 (en) New phone construction/lens design to reduce lens borders
JP6862554B2 (ja) 表示装置アセンブリ、電子機器、およびそれらの組み立て方法
CN110992827A (zh) 柔性膜、面板组件及显示器
CN210075346U (zh) 一种电子设备
CN201278545Y (zh) 移动电话的液晶屏结构
CN110687968B (zh) 电子设备及其装配方法
CN107896261B (zh) 移动终端及其显示模组
CN203482537U (zh) 一种电子设备
JP2007264365A (ja) 両面表示型液晶モジュール
JP7228713B2 (ja) モバイル端末及びミドルフレーム
CN211928483U (zh) 电子设备
KR101959372B1 (ko)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CN209823799U (zh) 移动终端和手机中框
KR101908006B1 (ko)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CN209823797U (zh) 电子设备、显示屏组件和盖板
CN209787210U (zh) 移动终端和手机中框
EP4207230A1 (en) Key and electronic device
CN202261417U (zh) 外壳及应用该外壳的便携式电子装置
CN112859409A (zh) 显示面板、显示面板组件及电子设备
CN112859423A (zh) 显示组件及显示装置
JP4540599B2 (ja) 携帯端末
CN217008090U (zh) 笔记本电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