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8005B1 - 지능형 카메라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 Google Patents

지능형 카메라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8005B1
KR101908005B1 KR1020160166578A KR20160166578A KR101908005B1 KR 101908005 B1 KR101908005 B1 KR 101908005B1 KR 1020160166578 A KR1020160166578 A KR 1020160166578A KR 20160166578 A KR20160166578 A KR 20160166578A KR 101908005 B1 KR101908005 B1 KR 1019080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hild
subject
image
stereo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6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5552A (ko
Inventor
이재준
Original Assignee
(주)케이아이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아이오티 filed Critical (주)케이아이오티
Priority to KR1020160166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8005B1/ko
Publication of KR20180065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55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8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80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71Image signal generators wherein the generated image signals comprise depth maps or disparity ma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0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57Colour asp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mage Analysis (AREA)
  • Studio Device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미아 실종이 접수됨에 따라 실종 아동의 동선을 추적하여 해당 아동의 최종 위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지능형 카메라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이 개시된다. 지능형 카메라 시스템은 스테레오 영상 획득부들, 깊이 정보 획득부들, 분석 단말 서버, 및 통합 관제서버를 포함한다. 스테레오 영상 획득부들은 사람이나 사물을 포함하는 피사체를 촬영하여 스테레오 영상을 생성한다. 깊이 정보 획득부들은 스테레오 영상 획득부들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피사체의 깊이 정보를 획득한다. 분석 단말 서버는 스테레오 영상 획득부들 각각으로부터 촬영된 스테레오 영상들을 제공받고 깊이 정보 획득부들 각각으로부터 깊이 정보들을 제공받아, 스테레오 영상 획득부와 피사체와의 거리를 분석하고 색상 정보를 수집한다. 통합 관제서버는 분석 단말 서버에서 분석된 거리 및 수집된 색상 정보를 근거로 미아의 동선을 추적한다.

Description

지능형 카메라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INTELLIGENT CAMERA SYSTEM AND MANAG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지능형 카메라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미아 실종이 접수됨에 따라 실종 아동의 동선을 추적하여 해당 아동의 최종 위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지능형 카메라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백화점이나 면세점 등의 대규모 쇼핑몰 또는 유명한 관광지에는 하루에 적게는 수백에서 많게는 수만 명에 이르는 사람들이 방문한다. 이러한 곳에서는 방문 고객을 분석한 정보가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방문 고객의 수, 성별, 연령대에 따른 분포 등 고객 유형에 대한 정보는 마케팅에 활용될 수 있고, 일 평균 방문객 수, 요일 별 방문객 수, 시간대, 계절별 또는 특정 시기에 따른 방문객 수의 변화 등에 관한 정보는 혼잡 예측 또는 매장 및 시설 운영의 효율성 향상에 크게 도움이 된다. 이러한 고객 분석 정보의 활용은 결과적으로 매출 증대나 비용 절감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최근 특정 지역의 출입자 검출 및 출입자 계수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출입자를 검출 또는 출입자를 계수하는 방법은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는 방법, 비디오 카메라를 이용한 방법 등의 다양한 방법이 존재한다. 종래의 출입자를 계수하는 방법은 2D 카메라 또는 한 대의 3D 카메라를 이용하는 방식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한편, 정지된 복수의 피사체 또는 이동하는 복수의 피사체를 촬영하여 이를 정확하게 검출하는 것은, 방범용 CCTV, 매장에 방문하는 고객의 선별, 이동하는 차량의 움직임 감지, 주차장의 빈 자리 감지 등의 분야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이동 또는 정지된 피사체를 촬영한 뒤 이를 각각의 개별적인 피사체로 검출해야 한다.
이러한 복수의 피사체를 검출하는 방법으로 제안된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1377394호(2014년 3월 17일, 등록)(스테레오 카메라를 이용한 매장 방문 고객 계수 시스템)에서 제안된 바 있는데, 상기한 종래기술은 한 쌍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매장을 방문하는 고객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52342호 (2014. 10. 13., 등록)(감시카메라 유닛 및 그 구동방법) 한국등록특허 제10-1377397호 (2014. 03. 17., 등록)(스테레오 카메라를 이용한 매장 방문 고객 계수 시스템) 한국등록특허 제10-1619839호 (2016. 05. 03., 등록)(팬 틸트 줌(pan-tilt-zoom)이 가능한 스테레오 카메라를 이용한 피사체의 크기와 거리 검출장치)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 착안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피사체의 색상 정보를 근거로 상하의 옷 색상을 구분하여 피사체의 신장 정보 및 촬영된 시간 정보를 함께 저장하고, 미아 실종이 접수됨에 따라 실종 아동의 동선을 추적하여 해당 아동의 최종 위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지능형 카메라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지능형 카메라 시스템의 운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일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카메라 시스템은, 복수의 스테레오 영상 획득부들, 복수의 깊이 정보 획득부들, 분석 단말 서버, 및 통합 관제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스테레오 영상 획득부들은 사람이나 사물을 포함하는 피사체를 촬영하여 스테레오 영상을 생성한다. 상기 깊이 정보 획득부들은 상기 스테레오 영상 획득부들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피사체의 깊이 정보를 획득한다. 상기 분석 단말 서버는 상기 스테레오 영상 획득부들 각각으로부터 촬영된 스테레오 영상들을 제공받고 상기 깊이 정보 획득부들 각각으로부터 깊이 정보들을 제공받아, 상기 스테레오 영상 획득부와 피사체와의 거리를 분석하고 색상 정보를 수집한다. 상기 통합 관제서버는 상기 분석 단말 서버에서 분석된 거리 및 수집된 색상 정보를 근거로 미아의 동선을 추적한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스테레오 영상 획득부는 좌측 영상을 촬영하는 제1 카메라 및 우측 영상을 촬영하는 제2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깊이 정보 획득부는 적외선 센서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깊이 정보 획득부는 깊이 카메라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분석 단말 서버는, 상기 스테레오 영상 획득부와 피사체와의 거리를 분석하는 거리 분석부; 피사체의 신장을 추정하는 신장 추정부; 피사체의 색상 정보를 수집하는 색상 수집부; 및 색상 정보를 근거로 피사체가 착용한 상하의 옷 색상을 구분하는 상하의 구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통합 관제서버는, 상하의 구분된 색상 코드, 신장 정보, 시간 정보, 카메라 아이디를 포함하는 구분 영상 정보를 저장하는 구분 영상 저장부; 상하의 동일한 색상 코드, 신장 정보, 시간 정보, 카메라 아이디를 포함하는 통일 영상 정보를 저장하는 통일 영상 저장부; 미아 실정이 접수됨에 따라, 저장된 영상 정보에 해당 아동 정보가 존재하는지를 체크하여 해당 아동 정보가 존재하는 것으로 체크되면, 아동의 동선을 추적하는 동선 추적부; 및 해당 아동의 최종 위치 정보가 획득되면 해당 아동의 최종 위치 정보를 출력하고, 해당 아동의 최종 위치 정보가 획득되지 않은 것으로 체크되면 해당 아동의 조회 불가 메시지를 출력하는 정보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일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카메라 시스템의 운용 방법은, 복수의 스테레오 영상 획득부들을 통해 스테레오 영상을 촬영한다. 이어, 상기 스테레오 영상 획득부에 인접 배치된 깊이 정보 획득부들을 통해 피사체의 깊이 정보를 획득한다. 이어, 상기 깊이 정보를 근거로 상기 스테레오 영상 획득부와 피사체와의 거리를 분석하고 피사체의 신장을 추정한다. 이어, 피사체의 색상 정보를 수집한다. 이어, 상기 색상 정보를 근거로 피사체가 착용한 상하의 옷 색상을 구분한다. 이어, 상하의 구분이 가능하면 상하의 구분된 색상 코드, 신장 정보, 시간 정보, 카메라 아이디를 포함하는 영상 정보를 저장한다. 이어, 상하의 구분이 불가능하면 상하의 동일한 색상 코드, 신장 정보, 시간 정보, 카메라 아이디를 포함하는 영상 정보를 저장한다. 이어, 미아 실정이 접수됨에 따라, 저장된 영상 정보에 해당 아동 정보가 존재하는지를 체크한다. 이어, 해당 아동 정보가 존재하는 것으로 체크되면, 아동의 동선을 추적한다. 해당 아동의 최종 위치 정보가 획득되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해당 아동의 최종 위치 정보가 획득되는 것으로 체크되면 해당 아동의 최종 위치 정보를 출력한다. 해당 아동의 최종 위치 정보가 획득되지 않은 것으로 체크되면 해당 아동의 조회 불가 메시지를 출력한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피사체의 깊이 정보는 적외선 출사를 통해 획득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피사체의 깊이 정보는 깊이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에서 획득될 수 있다.
이러한 지능형 카메라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에 의하면, 피사체의 색상 정보를 근거로 상하의 옷 색상을 구분하여 피사체의 신장 정보 및 피사체에 대한 촬영 시간 정보를 함께 저장하고, 미아 실종이 접수됨에 따라 실종 아동의 동선을 추적하여 해당 아동의 최종 위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카메라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카메라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카메라 시스템의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카메라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카메라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카메라 시스템은 스테레오 영상 획득부(100), 깊이 정보 획득부(200), 분석 단말 서버(300) 및 통합 관제 서버(4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스테레오 영상 획득부(100)는 스테레오 카메라이고, 깊이 정보 획득부(200)는 적외선 센서인 것을 그 일례로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스테레오 영상 획득부(100)는 복수개로 구성되어 서로 다른 영역들에 설치되고, 깊이 정보 획득부(200) 역시 복수개로 구성되어 서로 다른 영역들에 설치된 스테레오 영상 획득부(100)에 인접 배치된다.
스테레오 카메라(100)는 사람이나 사물을 포함하는 피사체를 촬영하여 스테레오 영상을 생성한다. 예를들어, 스테레오 카메라(100)는 두대의 컬러 카메라(좌측 컬러 카메라 및 우측 컬러 카메라)로 구성되어 고해상도의 스테레오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적외선 센서(200)는 스테레오 카메라(100)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피사체에 적외선 출사를 통해 깊이 정보를 획득한다.
분석 단말 서버(300)는 거리 분석부(310), 신장 추정부(320), 색상 수집부(330), 상하의 구분부(340) 및 정보 전송부(350)를 포함하고, 스테레오 카메라(100)들 각각으로부터 촬영된 스테레오 영상들을 제공받고 상기 적외선 센서(200)들 각각으로부터 깊이 정보들을 제공받아, 피사체와의 거리를 분석하고 색상 정보를 수집한다. 바람직하게는 사람과의 거리를 분석하고 해당 사람이 착용하는 옷의 색상 정보를 수집한다.
거리 분석부(310)는 스테레오 카메라(100)와 피사체와의 거리를 분석한다.
신장 추정부(320)는 피사체의 신장을 추정한다.
색상 수집부(330)는 피사체의 색상 정보를 수집한다.
상하의 구분부(340)는 색상 정보를 근거로 상하의 옷 색상을 구분한다. 상기한 상하의 옷 색상의 구분 및 분석은 비전 기술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통상적으로 인간은 두 개의 눈의 시차를 이용해 사물을 입체적으로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원리를 활용하여 두 대의 카메라를 사용하여 거리 정보 등을 계산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피사체가 착용한 옷 색상을 근거로 상의와 하의를 구분할 수도 있다.
정보 전송부(350)는 상하의 구분된 색상 코드, 신장 정보, 시간 정보, 카메라 아이디를 포함하는 구분 영상 정보나 상하의 동일한 색상 코드, 신장 정보, 시간 정보, 카메라 아이디를 포함하는 통일 영상 정보를 통합 관제 서버(400)에 전송한다. 이러한 정보 전송은 유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될 수도 있고,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될 수도 있고, 인터넷을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통합 관제 서버(400)는 정보 수신부(410), 구분 영상 저장부(420), 통일 영상 저장부(430), 동선 추적부(440) 및 정보 출력부(450)를 포함하고, 상기 분석 단말 서버(300)에서 분석된 거리 및 수집된 색상 정보를 근거로 미아의 동선을 추적한다.
정보 수신부(410)는 분석 단말 서버(300)의 정보 전송부(350)에서 제공되는 각종 정보들을 수신한다.
구분 영상 저장부(420)는 상하의 구분된 색상 코드, 신장 정보, 시간 정보, 카메라 아이디를 포함하는 구분 영상 정보를 저장한다. 통일 영상 저장부(430)는 상하의 동일한 색상 코드, 신장 정보, 시간 정보, 카메라 아이디를 포함하는 통일 영상 정보를 저장한다. 동선 추적부(440)는 미아 실정이 접수됨에 따라, 저장된 영상 정보에 해당 아동 정보가 존재하는지를 체크하여 해당 아동 정보가 존재하는 것으로 체크되면, 아동의 동선을 추적한다. 정보 출력부(450)는 해당 아동의 최종 위치 정보가 획득되면 해당 아동의 최종 위치 정보를 출력하고, 해당 아동의 최종 위치 정보가 획득되지 않은 것으로 체크되면 해당 아동의 조회 불가 메시지를 출력한다.
예를들어, 옷의 색상으로 상의는 초록색을, 하의는 파란색의 옷을 착용하고, 신장이 150센티미터인 아동이 실정되었다는 미아 발생 신고가 통합 관제 서버(400)에 접수되면, 통합 관제 서버(400)는 기저장된 영상정보의 분석을 통해 해당 아동 정보가 존재하는지 조회한다.
기저장된 영상정보에 해당 아동 정보가 존재하는 것으로 체크되면, 통합 관제 서버(400)는 해당 아동 정보의 동선 추적 동작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스테레오 카메라들(100) 각각에서 촬영되어 저장된 영상에서 해당 아동의 동선을 추적하여 최종 위치 정보 등이 관리자측에 제공된다. 예를들어, 동선 추적 결과, 2016년 11월 30일 15시 35분 30초 현재 A구역 3번 카메라에서 송출된 영상에서 추적 대상인 해당 아동이 검색되었다는 최종 위치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한편, 기저장된 영상정보에 해당 아동 정보가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체크되면, 통합 관제 서버(400)는 스테레오 카메라들(100) 각각에서 촬영되는 영상에서 해당 아동 정보가 존재하는지를 체크하도록 분석 단말 서버(300)에 요청하고, 그 결과가 관리자측에 제공된다. 예를들어, 아동 정보 조회 결과, 2016년 11월 30일 15시 35분 30초 현재 A구역 3번 카메라에서 송출된 영상에서 해당 아동 정보가 검색되었다는 최종 위치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스테레오 카메라와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피사체의 스테레오 영상과 깊이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고해상도의 스테레오 영상을 획득하는 스테레오 카메라와 저해상도의 깊이 영상을 획득하는 깊이 카메라를 이용하여 피사체의 스테레오 영상과 깊이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이처럼, 스테레오 카메라와 깊이 카메라로 구성되는 경우, 동작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영상 획득단계로서, 두 대의 컬러 카메라로 고해상도의 스테레오 영상을 획득하고, 깊이 카메라로 저해상도의 깊이 영상을 획득한다. 이어, 3차워 영상 보정단계로서, 각 영상을 다시점 영상 합성에 이용할 수 있도록 컬러 및 깊이 데이터를 변형 및 처리한다. 이어, 3차원 영상 재현단계로서, 최종 획득한 컬러영상과 깊이 영상을 이용하여 다시점 영상을 생성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카메라 시스템의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3b을 참조하면, 스테레오 카메라(100)는 사람이나 사물과 같은 피사체에 대한 스테레오 영상을 스테레오 카메라(100)를 통해 촬영한다(단계 S100).
적외선 센서(200)는 사람이나 사물과 같은 피사체에 적외선을 출사하여 깊이 정보를 획득한다(단계 S102). 상기한 스테레오 카메라(100)를 통해 스테레오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는 상기한 적외선을 출사하여 깊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에 이어 수행될 수도 있고,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분석 단말 서버(300)는 스테레오 카메라와 사람이나 사물과 같은 피사체와의 거리를 분석하고 피사체의 신장을 추정한다(단계 S104). 상기한 스테레오 카메라와 피사체와의 거리 분석은 거리 분석부(310)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상기한 피사체의 신장 추정은 신장 추정부(3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분석 단말 서버(300)는 사람이나 사물과 같은 피사체의 색상 정보를 수집한다(단계 S106). 상기한 피사체의 색상 정보 수집은 색상 수집부(33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분석 단말 서버(300)는 색상 정보를 근거로 상의의 옷 색상과 하의의 옷 색상을 구분한다(단계 S108). 상기한 상의의 옷 색상과 하의의 옷 색상의 구분은 상하의 구분부(34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통합 관제 서버(400)는 상하의 구분된 색상 코드, 신장 정보, 시간정보, 카메라 아이디를 포함하는 구분 영상 정보와 상하의 동일한 색상 코드, 신장 정보, 시간 정보, 카메라 아이디를 포함하는 통일 영상 정보를 저장한다(단계 S110). 상기한 구분 영상 정보는 구분 영상 저장부(420)에 저장될 수 있고, 상기한 통일 영상 정보는 통일 영상 저장부(430)에 저장될 수 있다.
통합 관제 서버(400)는 미아 실종이 접수되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112). 이때 접수되는 실종 미아 정보는 상하의 옷 색상 정보, 신장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112에서 미아 실종이 접수되지 않은 것으로 체크되면, 단계 S100으로 피드백한다.
단계 S112에서 미아 실종이 접수된 것으로 체크되면, 통합 관제 서버(400)는 단계 S110에서 저장된 영상 정보에서 실종 미아에 대한 아동 정보를 조회한다(단계 S114).
통합 관제 서버(400)는 해당 아동 정보가 존재하는지를 체크한다(단계 S116).
단계 S116에서 해당 아동 정보가 존재하는 것으로 체크되면, 통합 관제 서버(400)는 아동의 동선을 추적한다(단계 S118). 아동의 동선 추적은 동선 추적부(44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통합 관제 서버(400)는 해당 아동의 최종 위치 정보가 획득되는지를 체크한다(단계 S120).
단계 S120에서 해당 아동의 최종 위치 정보가 획득되는 것으로 체크되면, 통합 관제 서버(400)는 해당 아동의 최종 위치 정보를 출력한다(단계 S122). 상기한 해당 아동의 최종 위치 정보는 정보 출력부(45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단계 S120에서 해당 아동의 최종 위치 정보가 획득되지 않은 것으로 체크되면, 통합 관제 서버(400)는 해당 아동의 조회 불가 메시지를 출력한다(단계 S124). 상기한 해당 아동의 조회 불가 메시지 출력은 정보 출력부(45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단계 S116에서 해당 아동 정보가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체크되면, 실시간으로 영상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영상 정보를 저장한 후(단계 S128), 단계 S114로 피드백한다.
상기한 실시간으로 영상 정보를 수집하고 저장하는 단계 S128는 단계 S100 내지 단계 S110에서 수행된 바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스테레오 카메라 200 : 적외선 센서
300 : 분석 단말 서버 400 : 통합 관제 서버
310 : 거리 분석부 320 : 신장 추정부
330 : 색상 수집부 340 : 상하의 구분부
350 : 정보 전송부 410 : 정보 수신부
420 : 구분 영상 저장부 430 : 통일 영상 저장부
440 : 동선 추적부 450 : 정보 출력부

Claims (2)

  1. 사람이나 사물을 포함하는 피사체를 촬영하여 스테레오 영상을 생성하는 복수의 스테레오 영상 획득부들-상기 스테레오 영상 획득부는 좌측 영상을 촬영하는 제1 카메라 및 우측 영상을 촬영하는 제2 카메라를 포함하는 스테레오 카메라인 것;
    상기 스테레오 영상 획득부들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피사체의 깊이 정보를 획득하는 복수의 깊이 정보 획득부들-상기 깊이 정보 획득부는 적외선 센서인 것;
    상기 스테레오 영상 획득부들 각각으로부터 촬영된 스테레오 영상들을 제공받고 상기 깊이 정보 획득부들 각각으로부터 깊이 정보들을 제공받아, 상기 스테레오 영상 획득부와 피사체와의 거리를 분석하고 색상 정보를 수집하되, 사람과의 거리를 분석하고 해당 사람이 착용하는 옷의 색상 정보를 수집하는 분석 단말 서버; 및
    상기 분석 단말 서버에서 분석된 거리 및 수집된 색상 정보를 근거로 미아의 동선을 추적하는 통합 관제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분석 단말 서버가,
    상기 스테레오 영상 획득부와 피사체와의 거리를 분석하는 거리 분석부;
    피사체의 신장을 추정하는 신장 추정부;
    피사체의 색상 정보를 수집하는 색상 수집부; 및
    색상 정보를 근거로 피사체가 착용한 상하의 옷 색상을 구분하는 상하의 구분부를 필수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통합 관제서버가,
    상하의 구분된 색상 코드, 신장 정보, 시간 정보, 카메라 아이디를 포함하는 구분 영상 정보를 저장하는 구분 영상 저장부;
    상하의 동일한 색상 코드, 신장 정보, 시간 정보, 카메라 아이디를 포함하는 통일 영상 정보를 저장하는 통일 영상 저장부;
    미아 실종이 접수됨에 따라, 저장된 영상 정보에 해당 아동 정보가 존재하는지를 체크하여 해당 아동 정보가 존재하는 것으로 체크되면, 아동의 동선을 추적하는 동선 추적부; 및
    해당 아동의 최종 위치 정보가 획득되면 해당 아동의 최종 위치 정보를 출력하고, 해당 아동의 최종 위치 정보가 획득되지 않은 것으로 체크되면 해당 아동의 조회 불가 메시지를 출력하는 정보 출력부를 필수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카메라 시스템.
  2. 삭제
KR1020160166578A 2016-12-08 2016-12-08 지능형 카메라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KR1019080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6578A KR101908005B1 (ko) 2016-12-08 2016-12-08 지능형 카메라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6578A KR101908005B1 (ko) 2016-12-08 2016-12-08 지능형 카메라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5552A KR20180065552A (ko) 2018-06-18
KR101908005B1 true KR101908005B1 (ko) 2018-10-15

Family

ID=62765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6578A KR101908005B1 (ko) 2016-12-08 2016-12-08 지능형 카메라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800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6131A (ja) * 2000-03-23 2001-09-28 Minolta Co Ltd 監視システム
JP2011205587A (ja) * 2010-03-26 2011-10-13 Olympus Corp マルチバンドステレオ撮像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7397B1 (ko) 2009-10-16 2014-03-2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Ⅲ족 질화물 표면 격자 반사체
KR101732135B1 (ko) * 2010-11-05 2017-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영상통신장치 및 3차원 영상통신장치의 영상처리방법
JP2013191059A (ja) * 2012-03-14 2013-09-26 Dainippon Printing Co Ltd 迷子通知案内システム、迷子通知案内方法、目撃情報配信サーバ、及び、プログラム
KR101452342B1 (ko) 2013-04-04 2014-10-23 주식회사 이오씨 감시카메라 유닛 및 그 구동방법
KR101619838B1 (ko) * 2015-12-09 2016-05-13 공간정보기술 주식회사 다수 스테레오 카메라를 이용한 피사체 공간이동 추적 시스템
KR101619839B1 (ko) 2015-12-31 2016-05-13 공간정보기술 주식회사 팬 틸트 줌(pan-tilt-zoom)이 가능한 스테레오 카메라를 이용한 피사체의 크기와 거리 검출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6131A (ja) * 2000-03-23 2001-09-28 Minolta Co Ltd 監視システム
JP2011205587A (ja) * 2010-03-26 2011-10-13 Olympus Corp マルチバンドステレオ撮像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5552A (ko) 2018-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39820B2 (ja) 対象識別方法、対象識別装置、及び分類器訓練方法
KR102335045B1 (ko) 깊이 카메라 기반 사람 객체를 판별하는 방법 및 장치
US9124778B1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disparity-based tracking and analysis of objects in a region of interest
US9898829B2 (en) Monitoring apparatus and system using 3D information of images and monitoring method using the same
CN104902246B (zh) 视频监视方法和装置
TWI580273B (zh) 監視系統
US10839227B2 (en) Queue group leader identification
US7321386B2 (en) Robust stereo-driven video-based surveillance
EP290326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event from plurality of photographed images
US20080172781A1 (en) System and method for obtaining and using advertising information
US20090160975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Improved Image Processing to Provide Retroactive Image Focusing and Improved Depth of Field in Retail Imaging Systems
KR20160062880A (ko) 카메라 및 레이더를 이용한 교통정보 관리시스템
US20190258852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system,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20180082436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system, and image processing method
KR102096230B1 (ko) 도착 레인으로 합병되는 이동 아이템의 출발 레인을 결정
JP3388087B2 (ja) 物体検出装置
CA2670021A1 (en) System and method for estimating characteristics of persons or things
KR20170006356A (ko) 이차원 영상 기반 고객 분석 방법 및 장치
KR102550673B1 (ko) 방문객 출입 통계 분석 방법 및 장치
JP2009194711A (ja) 領域利用者管理システムおよびその管理方法
KR101908005B1 (ko) 지능형 카메라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KR102584708B1 (ko) 과소 및 과밀 환경을 지원하는 군중위험관리시스템 및 방법
JP3384425B2 (ja) 移動物体監視計測装置
US7346193B2 (en) Method for detecting object traveling direction
JP5909712B1 (ja) 動線分析システム、カメラ装置及び動線分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