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7290B1 - 이동형 의료기기의 제동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형 의료기기의 제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7290B1
KR101907290B1 KR1020170001221A KR20170001221A KR101907290B1 KR 101907290 B1 KR101907290 B1 KR 101907290B1 KR 1020170001221 A KR1020170001221 A KR 1020170001221A KR 20170001221 A KR20170001221 A KR 20170001221A KR 101907290 B1 KR101907290 B1 KR 1019072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ng
gear
interlocking
medical device
bra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1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0467A (ko
Inventor
김주형
Original Assignee
김주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형 filed Critical 김주형
Priority to KR10201700012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7290B1/ko
Publication of KR20180080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04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7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72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405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the apparatus being movable or portable, e.g. handheld or mounted on a trolle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4Plaster of Paris bandages; Other stiffening bandages
    • A61F13/041Accessories for stiffening bandages, e.g. cast liners, heel-pie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4Plaster of Paris bandages; Other stiffening bandages
    • A61F13/041Accessories for stiffening bandages, e.g. cast liners, heel-pieces
    • A61F13/048Braces for connecting two cast parts, e.g. hinged cast br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544Plasters form or structure
    • A61F2013/00553Plasters form or structure with detachable parts
    • A61F2013/00565Plasters form or structure with detachable parts with hook and loop-type fastener connect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ursing (AREA)
  • Biophys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의료기기를 제동하는 이동형 의료기기의 제동장치는, 이동형 의료기기에 설치된 본체부; 본체부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이동형 의료기기의 이동바퀴가 놓인 바닥면을 가압하여 이동형 의료기기를 제동하는 브레이크부; 브레이크부의 제동을 조작하는 제 1 조작부재와 브레이크부의 제동을 해제하는 제 2 조작부재가 구비되고, 제1 조작부재와 제2조작부재가 바닥면에 대해 상향 경사 또는 하향 경사지게 상호 간에 엇갈리게 이동형 의료기기의 외면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조작부; 및 브레이크부의 안착턱에 맞닿게 위치된 연동가압바, 연동가압바에 결합되고 본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조작연동축, 조작연동축의 일측에 설치되어 제 1 조작부재와 맞물리는 제 1 기어, 조작연동축의 타측에 설치된 제 2 기어, 및 제 2 기어와 제 2 조작부재와 맞물리게 결합되어 조작연동축과 별개로 본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아이들기어가 구비되어, 제 1 조작부재 또는 제 2 조작부재의 작동이 브레이크부의 작동에 연동되게 본체부에 설치된 조작연동부를 포함하고, 제 1 조작부재가 바닥면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이동되면, 조작연동축이 제 1 회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연동가압바가 안착턱을 밀어냄에 따라 브레이크부가 바닥면을 가압토록 작동되고, 제 2 조작부재가 아이들기어에 의해 조작연동축과 연동되어 제 1 회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바닥면에 대해 상향 경사지게 이동되어, 제 1 조작부재의 작동시 브레이크부가 바닥면을 가압하여 이동형 의료기기가 제동되고, 제 2 조작부재의 작동시 브레이크부의 바닥면의 상부로 이동되어 이동형 의료기기의 제동을 해제토록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이동형 의료기기의 제동장치{Braking apparatus for portable medical apparatus}
본 발명은 이동형 의료기기의 제동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이동바퀴과 별개로 설치된 브레이크부를 이용하여, 조작자가 용이하게 이동형 의료기기를 제동할 수 있는 이동형 의료기기의 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료용 이미징 시스템은 x-선 시스템, 컴퓨터 단층 촬영(computerized tomography, CT) 시스템 등과 같은 다양한 이미징 양식을 포함한다. 의료용 이미징 시스템은 예를 들어 환자를 통과하는 x-선과 같은 에너지 공급원에 대한 노출을 통해, 환자와 같은 대상의 이미지를 발생시킨다. 발생된 이미지는 많은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 내의 내부 결함이 검출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내부 구조 또는 정렬에 있어서의 변화가 측정될 수 있다. 대상 내의 유체 유동이 또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이미지는 환자 내의 물체의 존재 또는 부존재를 나타낼 수 있다. 의료용 진단 이미징으로부터 획득된 정보는 의료 및 제조를 포함한 많은 분야에 적용된다. 의료용 이미징 시스템은 의료 기관 내에 설치하여 방문하는 진료 대상을 검진하므로 부피가 크고 상당히 무거우며 고가이다.
한편, 응급 상황에서 골절 등의 부상을 입은 환자가 발생한 경우에, 신속한 조치가 필요하다. 특히, 골절로 인한 위험 및 긴급 상황에 신속하게 대처하지 못해서 환자의 상태가 더욱 악화되어, 후속 치료의 어려움은 물론 돌이킬 수 없는 후유증을 발생시키기도 한다.
이에 따라, 간이한 장비를 통해 응급상황에서 신속하게 X선 영상을 촬영 및 진단할 수 있게 하고, 이를 통해 응급조치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안의 모색이 요청된다. 이러한 실정을 반영하여 장소를 변경한 상태에서 방사선 진단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 개발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고, 관련된 기술개발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도 1에는 종래의 이동형 이미징 진단기기가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이동형 이미징 진단기기는 이동형몸체(1). 이동바퀴(2) 및 스토퍼(3)로 이루어진다. 이동형몸체(1)는 C-암, 엑스레이튜브 등을 지지하는 장치이다.
이동형몸체(1)는 이동바퀴(2)가 구비되어, 장소이동이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이동형몸체(1)에는 이동 후의 이동바퀴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3)가 마련된다. 스토퍼(3)는 이동바퀴(2)를 바닥면을 향해 눌러 이동바퀴(2)의 이동을 제한하는 것이다.
다만, 이러한 종류의 스토퍼(3)은 이동바퀴(2)를 세게 가압하는 경우에, 이동바퀴(2)의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조작자가 제대로 스토퍼(3)를 누르지 않으면, 이동바퀴(2)가 바닥면에 고정되어 있지 않아, 이동형몸체(1)로 외부 힘이 가해졌을 때, 이동형몸체(1)가 움직일 수 있어, 이미징 촬영의 정확도를 떨어뜨릴 염려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00904호에는 포터블 엑스선 영상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이동바퀴과 별개로 설치된 브레이크부를 이용하여, 조작자가 용이하게 이동형 의료기기를 제동할 수 있는 이동형 의료기기의 제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조작자가 페달을 밟는 방식으로, 브레이크부의 가압부재의 위치를 조정하여, 이동형 의료기기를 용이하게 제동할 수 있는 이동형 의료기기의 제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의료기기를 제동하는 이동형 의료기기의 제동장치는, 이동형 의료기기에 설치된 본체부; 본체부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이동형 의료기기의 이동바퀴가 놓인 바닥면을 가압하여 이동형 의료기기를 제동하는 브레이크부; 브레이크부의 제동을 조작하는 제 1 조작부재와 브레이크부의 제동을 해제하는 제 2 조작부재가 구비되고, 제1 조작부재와 제2조작부재가 바닥면에 대해 상향 경사 또는 하향 경사지게 상호 간에 엇갈리게 이동형 의료기기의 외면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조작부; 및 브레이크부의 안착턱에 맞닿게 위치된 연동가압바, 연동가압바에 결합되고 본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조작연동축, 조작연동축의 일측에 설치되어 제 1 조작부재와 맞물리는 제 1 기어, 조작연동축의 타측에 설치된 제 2 기어, 및 제 2 기어와 제 2 조작부재와 맞물리게 결합되어 조작연동축과 별개로 본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아이들기어가 구비되어, 제 1 조작부재 또는 제 2 조작부재의 작동이 브레이크부의 작동에 연동되게 본체부에 설치된 조작연동부를 포함하고, 제 1 조작부재가 바닥면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이동되면, 조작연동축이 제 1 회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연동가압바가 안착턱을 밀어냄에 따라 브레이크부가 바닥면을 가압토록 작동되고, 제 2 조작부재가 아이들기어에 의해 조작연동축과 연동되어 제 1 회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바닥면에 대해 상향 경사지게 이동되어, 제 1 조작부재의 작동시 브레이크부가 바닥면을 가압하여 이동형 의료기기가 제동되고, 제 2 조작부재의 작동시 브레이크부의 바닥면의 상부로 이동되어 이동형 의료기기의 제동을 해제토록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연동가압바는, 제 2 조작부재의 조작에 의해 조작연동축이 제 1 회전방향과 반대인 제 2 회전방향으로 회전될 때, 연동가압바의 가압면이 안착턱과 맞닿지 않게 이동되어, 안착턱에 가하던 힘을 해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조작연동부는, 조작연동축과 이격되게 연동가압바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연동가압바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롤러를 더 포함하고, 가이드롤러는, 조작연동축이 제 1 회전방향으로 회전될 때, 안착턱을 따라 전진이동되면서 연동가압바의 가압면이 안착턱에 맞닿도록 하고, 조작연동축이 제 2 회전방향으로 회전될 때, 안착턱을 따라 후진이동되면서 연동가압바의 가압면이 안착턱과 맞닿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브레이크부는, 전면에 안착턱이 돌출되게 마련된 이동부재; 바닥면을 가압하는 가압부재; 이동부재와 가압부재를 연결하는 가이드봉; 및 본체부에 결합되어, 가이드봉의 상하이동을 가이드하는 고정가이드부재를 포함하고, 가압부재는, 가이드봉의 이동방향으로 가이드봉과 함께 이동되면서, 제 1 조작부재의 조작에 의해 연동가압바가 안착턱을 눌러 이동부재가 하강이동할 때, 바닥면에 맞닿아 바닥면을 가압하여 이동형 의료기기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브레이크부는 가이드봉과 가압부재에 연결된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탄성부재는 제 2 조작부재의 조작에 의해 연동가압바가 안착턱을 누르던 힘이 제거되면 가이드봉으로 탄성력을 제공하여 이동부재가 원래위치로 되돌아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조작부재는, 제 1 기어보다 큰 반경을 가지고 제 1 기어와 맞물리는 형상을 가진 제 1 조작기어와, 제 1 조작기어와 제 1 페달을 연결하는 제 1 조작봉으로 이루어지고, 제 1 조작기어는 제 1 조작봉이 본체부의 바닥면에 대해 경사지게 본체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제 1 페달이 본체부의 바닥면을 향해 하부로 이동될 때 제 1 조작봉으로부터 힘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조작부재는, 아이들기어보다 큰 반경을 가지고 아이들기어에 맞물리는 형상을 가진 제 2 조작기어와, 제 2 조작기어와 제 2 페달을 연결하는 제 2 조작봉으로 이루어지고, 제 2 조작기어는 제 2 조작봉이 제 1 조작봉과 서로 다른 방향으로 경사지게 위치되도록 본체부에 설치되어, 제 1 조작기어의 회전시 제 2 기어와 아이들기어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제 1 조작기어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고, 제 2 페달이 본체부의 바닥면을 향해 하부로 이동될 때 아이들기어를 회전시켜 브레이크부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이동바퀴과 별개로 설치된 브레이크부를 이용하여, 조작자가 용이하게 이동형 의료기기를 제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조작자가 페달을 밟는 방식으로, 브레이크부의 가압부재의 위치를 조정하여, 이동형 의료기기를 용이하게 제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동형 의료기기를 바닥면에 고정할 때에는 제 1 조작부재를 이용하여 브레이크부가 바닥면을 가압토록 작동되고, 이동형 의료기기를 이용할 때는 제 2 조작부재를 이용하여 브레이크부가 바닥면에 대한 가압을 해제토록 작동하여, 초보조작자라도 손쉽게 이동형 의료기기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기술과 달리 이동형 의료기기의 이동바퀴에 힘을 가하여, 이동바퀴의 이동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이동바퀴와 별개로 설치된 브레이크부를 이용하여 이동형 의료기기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어, 이동바퀴에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아 이동바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스토퍼가 설치된 이동형 의료진단기기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C형암이 설치된 이동형 의료기기에 이동형 의료기기의 제동장치가 설치된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엑스레이튜브가 설치된 이동형 의료기기에 이동형 의료기기의 제동장치가 설치된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브레이크부가 바닥면을 가압하지 않은 작동될 때, 이동형 의료기기의 제동장치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는 브레이크부가 바닥면을 가압하게 작동될 때, 이동형 의료기기의 제동장치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는 제 1 조작부재가 설치된 방향에서 바라본 이동형 의료기기의 제동장치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6은 제 2 조작부재가 설치된 방향에서 바라본 이동형 의료기기의 제동장치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7은 도 3의 X-X을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의료기기의 제동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의료기기의 제동장치(100)는 이동형 의료기기(10)의 이동을 제한하는 장치이다. 이동형 의료기기에는 엑스레이튜브, C형암, 이미징 진단기기 등 다양한 의료기기가 설치될 수 있다. 도 2a에는 C형암이 설치된 이동형 의료기기에 제동장치(100)가 설치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b에는 엑스레이튜브가 설치된 이동형 의료기기에 제동장치(100)가 설치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의료기기의 제동장치(100)는 본체부(110), 조작연동부(120), 조작부 및 브레이크부(140)를 포함한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10)는 이동형 의료기기(10)에 설치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10)에는 조작연동부(120), 조작부 및 브레이크부(140)가 설치된다. 본체부(110)는 상부가 개방된 구조를 가진다.
본체부(110)는 본체바닥플레이트(111), 제 1 측면플레이트(112), 제 1 격벽플레이트(113), 제 2 측면플레이트(114) 및 제 2 격벽플레이트(115)로 이루어진다. 제 1 측면플레이트(112)와 제 2 측면플레이트(114)는 상호 간에 이격되어, 본체바닥플레이트(111)에 설치된다. 제 1 측면플레이트(112)와 제 2 측면플레이트(114)는 후술할 조작연동축(121)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제 1 격벽플레이트(113)는 제 1 측면플레이트(112)와 이격되어, 본체바닥플레이트(111)에 설치된다. 제 1 측면플레이트(112)와 제 1 격벽플레이트(113)에는 제 1 조작부재(131)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제 2 격벽플레이트(115)는 제 2 측면플레이트(114)와 이격되어, 본체바닥플레이트(111)에 설치된다. 제 2 측면플레이트(114)와 제 2 격벽플레이트(115)에는 제 2 조작부재(132)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조작부는 브레이크부(140)의 상하이동을 조작하는 것이다. 조작부는 브레이크부(140)와 이격되어 이동형 의료기기(10)의 외면으로 돌출되게 위치되고, 본체부(1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조작부는 제 1 조작부재(131)와 제 2 조작부재(132)를 구비하여, 이동형 의료기기(10)의 제동 또는 제동해제를 개별적으로 수행토록 할 수 있다. 제 1 조작부재(131)는 이동형 의료기기의 제동장치(100)의 제동을 조작하고, 제 2 조작부재(132)는 이동형 의료기기의 제동장치(100)의 제동해제를 조작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크부(140)가 바닥면을 가압하지 않을 때, 이동형 의료기기의 제동장치(100)는 제 1 조작부재(131)의 제 1 조작봉(131a)이 본체바닥플레이트(111)에 대해 상향 경사지게 위치되고, 제 2 조작부재(132)의 제 2 조작봉(132a)이 본체바닥플레이트(111)에 대해 하향 경사지게 설계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조작부재(131)는 제 1 조작봉(131a), 제 1 페달(131b) 및 제 1 조작기어(131c)로 이루어진다. 제 1 조작봉(131a)은 본체바닥플레이트(111)에 대해 경사지게 상향경사지게 위치되어, 지렛대 역할을 한다. 제 1 조작부재(131)는 조작연동부(120)의 일측에 연결된다.
제 1 조작봉(131a)의 일단에는 제 1 페달(131b)이 설치된다. 제 1 페달(131b)은 이동형 의료기기(10)의 외부로 돌출되게 위치된다. 제 1 페달(131b)은 조작자에 의해 힘이 가해지는 부분이다.
제 1 조작봉(131a)의 타단에는 제 1 조작기어(131c)가 설치된다. 제 1 조작기어(131c)는 제 1 측면플레이트(112)와 제 1 격벽플레이트(113)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제 1 조작기어(131c)는 제 1 기어(122)와 맞물리게 설치된다.
제 1 조작기어(131c)는 제 1 기어(122)보다 큰 반경을 가져, 제 1 조작기어(131c)가 조금만 움직이더라도 제 1 기어(122)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지렛대 역할을 하는 제 1 조작봉(131a)과 제 1 조작기어(131c)에 의해, 제 1 페달(131b)로 적은 힘을 가하더라도, 조작연동축(121)을 회전시킬 수 있어, 브레이크부(140)의 하부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 1 조작기어(131c)는 제 1 페달(131b)이 본체부(110)의 바닥면을 향해 하부로 이동될 때 제 1 조작봉(131a)으로부터 힘을 전달받아 제 2 회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제 1 기어(122)를 제 1 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회전방향은 반시계방향이고, 제 2 회전방향은 시계방향을 예로 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조작부재(132)는 조작연동부(120)의 타측에 연결된다. 제 2 조작부재(132)는 제 2 조작봉(132a), 제 2 페달(132b) 및 제 2 조작기어(132c)로 이루어진다. 제 2 조작봉(132a)은 제 1 조작봉(131a)이 본체바닥플레이트(111)에 대해 상향경사지게 위치될 때, 본체바닥플레이트(111)에 대해 하향경사지게 위치된다. 제 2 조작봉(132a)은 지렛대 역할을 한다.
제 2 조작봉(132a)의 일단에는 제 2 페달(132b)이 설치된다. 제 2 페달(132b)은 이동형 의료기기(10)의 외부로 돌출되게 위치된다. 제 2 페달(132b)은 조작자에 의해 힘이 가해지는 부분이다.
제 2 조작봉(132a)의 타단에는 제 2 조작기어(132c)가 설치된다. 제 2 조작기어(132c)는 제 2 측면플레이트(114)와 제 2 격벽플레이트(115)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제 2 조작기어(132c)는 아이들기어(129)보다 큰 반경을 가지고 아이들기어(129)와 맞물리는 형상을 가진다.
제 2 조작기어(132c)는 제 1 조작기어(131c)의 제 2 회전방향으로의 회전시, 제 2 기어(123)와 아이들기어(129)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제 1 회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제 2 조작봉(132a)이 본체바닥플레이트(111)에 대해 상향경사지게 위치된다. 이때, 제 1 조작봉(131a)은 본체바닥플레이트(111)에 대해 하향경사지게 위치되고, 제 2 조작봉(132a)은 본체바닥플레이트(111)에 대해 상향경사지게 위치된다.
한편, 제 2 조작봉(132a)이 본체바닥플레이트(111)에 대해 상향경사지게 위치된 상태에서, 제 2 페달(132b)이 본체부(110)의 바닥면을 향해 하부로 이동될 때, 제 2 조작기어(132c)는 제 2 조작봉(132a)으로부터 힘을 전달받아 제 2 회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아이들기어(129)를 제 1 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제 2 기어(123)는 제 2 조작기어(132c)의 회전시 아이들기어(129)와 연동되어, 제 2 회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연동가압바(125)는 조작연동축(121)에 의해 제 2 회전방향으로 회전되고, 브레이크부(140)는 상부로 이동된다.
조작연동부(120)는 조작부와 브레이크부(140)의 작동에 연동가능하게, 조작부와 브레이크부(140)에 연결된다. 조작연동부(120)는 본체부(1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조작연동부(120)는 제 1 조작부재(131)의 조작시 브레이크부(140)가 바닥면을 향해 아래로 내려가도록 브레이크부(140)의 위치를 조정하고, 제 2 조작부재(132)의 조작시 브레이크부(140)가 바닥면과 이격되도록 브레이크부(140)의 위치를 조정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연동부(120)는 조작연동축(121), 제 1 기어(122), 제 2 기어(123), 연동가압바(125), 가이드롤러(126) 및 아이들기어(129)를 포함한다.
조작연동축(121)은 브레이크부(140)와 조작부 사이에서 본체부(1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조작연동축(121)은 제 1 측면플레이트(112)와 제 2 측면플레이트(114)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조작연동축(121)은 연동가압바(125)가 브레이크부(140)의 안착턱(142)에 맞닿게 위치된다. 연동가압바(125)는 제 1 기어(122)와 제 2 기어(123) 사이에 위치된다. 연동가압바(125)는 조작연동축(121)의 회전시 조작연동축(121)과 함께 회전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연동축(121)의 일단에는 제 1 기어(122)가 마련된다. 제 1 기어(122)는 제 1 조작기어(131c)와 맞물리게 결합되는 기어이다. 제 1 기어(122)는 제 1 조작기어(131c)보다 작은 반경을 가진다.
조작연동축(121)의 타단에는 제 2 기어(123)가 마련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기어(123)는 아이들기어(129)를 통해 제 2 조작기어(132c)에 연결된다. 아이들기어(129)는 공회전하는 기어이다.
아이들기어(129)는 제 2 기어(123)와 제 2 조작기어(132c)에 맞물리게 결합된다. 아이들기어(129)는 제 2 조작기어(132c)보다 작은 반경을 가진다. 아이들기어(129)는 제 2 기어(123)와 제 2 조작기어(132c)가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공회전기어이다.
연동가압바(125)는 제 1 조작부재(131)에 의한 제 1 기어(122)의 회전시 안착턱(142)을 가압하여, 브레이크부(140)가 바닥면을 향해 아래로 내려가도록 한다. 안착턱(142)은 브레이크부(140)의 이동부재(141)의 전면으로 돌출되게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연동가압바(125)는 조작연동축(121)의 회전방향으로 회전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동가압바의 가압면(125a)이 안착턱(142)과 맞닿아, 안착턱(142)이 바닥면을 향해 하부로 이동되도록 안착턱(142)을 밀어낸다. 연동가압바(125)는 안착턱(142)을 바닥면을 향해 하부로 밀어낼 때, 브레이크부(140)의 제 1 가압부재(147)와 제 2 가압부재(149)가 바닥면을 가압토록 할 수 있다. 이때, 브레이크부(140)의 제 1 가압부재(147)와 제 2 가압부재(149)는 바닥면에 고정되어, 이동형 의료기기(10)의 이동을 제한한다.
연동가압바(125)는 제 2 조작부재(132)의 조작에 의해 조작연동축(121)이 제 2 회전방향으로 회전될 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동가압바의 가압면(125a)이 안착턱(142)과 맞닿지 않게 이동된다. 이때, 연동가압바(125)는 안착턱(142)에 가하던 힘을 해제한다.
본 실시예서, 연동가압바(125)에는 가이드롤러(126)가 더 설치된다. 가이드롤러(126)는 연동가압바(125)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가이드롤러(126)는 연동가압바(125)의 종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가이드롤러(126)는 조작연동축(121)과 이격되게 위치된다. 가이드롤러(126)는 연동가압바(125)과 안착턱(142) 간의 마찰력을 최소화시켜, 조작연동축(121)의 회전시 연동가압바(125)가 보다 원활하게 안착턱(142)을 밀어내도록 할 수 있다.
조작연동축(121)이 제 1 회전방향으로 회전될 때, 가이드롤러(126)는 안착턱(142)을 따라 전진이동되면서 연동가압바의 가압면(125a)이 안착턱(142)에 맞닿도록 한다. 도 4에는 연동가압바의 가압면(125a)이 안착턱(142)에 맞닿은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조작연동축(121)이 제 2 회전방향으로 회전될 때, 가이드롤러(126)는 안착턱(142)을 따라 후진이동되면서 연동가압바의 가압면(125a)이 안착턱(142)과 맞닿지 않게 이동된다. 도 3에는 연동가압바의 가압면(125a)이 안착턱(142)에 맞닿지 않은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브레이크부(14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브레이크부(140)는 이동형 의료기기(10)의 이동바퀴(20)가 놓인 바닥면을 가압하여 이동형 의료기기(10)의 이동을 제한한다. 브레이크부(140)는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바닥면을 가압 또는 가압해제토록 작동된다. 브레이크부(140)는 제 1 조작부재(131)의 조작시 바닥면을 향해 하부로 이동되면서 바닥면을 가압하고, 제 2 조작부재(132)의 조작시 바닥면과 이격되게 상부로 이동되면서 바닥면에 대한 가압을 해제한다.
브레이크부(140)는 본체부(110)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브레이크부(140)는 이동부재(141), 가압부재(147, 149), 가이드봉(143, 145), 고정가이드부재(146a, 146b) 및 탄성부재(148a, 148b)를 포함한다.
이동부재(141)는 본체바닥플레이트(111)와 이격되게 위치된다. 이동부재(141)는 제 1 측면플레이트(112)와 제 2 측면플레이트(114) 사이에서,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위치된다. 이동부재(141)의 전면에는 안착턱(142)이 마련된다.
안착턱(142)은 이동부재(141)의 전면에 돌출되게 마련된다. 안착턱(142)은 연동가압바(125)가 안착되는 부분이다. 안착턱(142)은 조작연동축(121)의 회전시 연동가압바(125)의 가이드롤러(126)가 전진이동 또는 후진이동가능하게 마련된다.
이동부재(141)에는 가이드봉이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가이드봉에 대해 제 1 가이드봉(143)과 제 2 가이드봉(145)으로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가이드봉(143)과 제 2 가이드봉(145)은 이동부재(141)와 가압부재를 연결한다. 제 1 가이드봉(143)과 제 2 가이드봉(145)은 고정가이드부재(146a, 146b)에 의해 지지된다. 고정가이드부재(146a, 146b)는 본체바닥플레이트(111)에 설치된다.
고정가이드부재(146a, 146b)는 제 1 가이드봉(143)과 제 2 가이드봉(145)을 상하이동가능하게 가이드한다. 제 1 가이드봉(143)과 제 2 가이드봉(145)은 고정가이드부재에 의해 본체바닥플레이트(111)에 연결된다.
가압부재(147, 149)는 가이드봉의 이동방향으로 가이드봉과 함께 이동되면서, 제 1 조작부재(131)의 조작에 의해 연동가압바(125)가 안착턱(142)을 눌러 이동부재(141)가 하강이동할 때, 바닥면에 맞닿아 바닥면을 가압하여 이동형 의료기기(10)의 움직임을 제한한다. 가압부재는 제 1 가이드봉(143) 및 제 2 가이드봉(145)의 하부로의 이동시 바닥면을 가압한다.
본 실시에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 1 가이드봉(143)에 결합된 가압부재에 대해 제 1 가압부재(147)로 지칭하고, 제 2 가이드봉(145)에 결합된 가압부재에 대해 제 2 가압부재(149)로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가압부재(147)는 제 1 가압본체(147a), 제 1 가압판(147b) 및 제 1 지지부재(147c)로 이루어진다. 제 1 가압부재(147)에는 제 1 탄성부재(148a)가 내장된다. 제 1 가압판(147b)은 제 1 가압본체(147a)의 하부에 결합된다. 제 1 가압판(147b)은 바닥면과의 접촉시 마찰력이 큰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지지부재(147c)는 제 1 가압판(147b)의 상부로 이격되게 제 1 가압본체(147a)에 설치된다. 제 1 지지부재(147c)는 제 1 가이드봉(143)의 상하이동을 가이드한다. 제 1 지지부재(147c)에는 제 1 가이드봉(143)의 이동을 제한하는 가이드봉걸림턱이 마련된다.
제 1 가압부재(147)의 내부에는 제 1 탄성부재(148a)가 설치된다. 제 1 탄성부재(148a)는 제 1 가이드봉(143)과 제 1 가압판(147b)에 연결된다. 제 1 탄성부재(148a)는 제 1 조작부재(131)의 조작에 의해 연동가압바(125)가 안착턱(142)을 누를 때 제 1 가이드봉(143)에 의해 압축되면서, 제 1 가압판(147b)으로 힘을 가한다. 제 1 탄성부재(148a)는 제 2 조작부재(132)의 조작에 의해 연동가압바(125)가 안착턱(142)을 누르던 힘이 제거되면 제 1 가이드봉(143)으로 탄성력을 제공하여 이동부재(141)가 원래위치로 되돌아가게 한다.
제 2 가압부재(149)는 제 2 가압본체(149a), 제 2 가압판(149b) 및 제 2 지지부재(149c)로 이루어진다. 제 2 가압부재(149)에는 제 2 탄성부재(148b)가 내장된다. 제 2 가압부재(149)는 제 1 가압부재(147)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바, 이하에서는 제 2 가압부재(149)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이동형 의료기기의 제동장치(100)의 작동방식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도 5 및 도 6에는 브레이크부(140)가 바닥면을 가압하지 않은 작동될 때, 이동형 의료기기의 제동장치(100)의 사시도가 개시되어 있다. 도 4에는 브레이크부(140)가 바닥면을 가압하게 작동될 때, 이동형 의료기기의 제동장치(10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우선, 이동형 의료기기(10)를 바닥면에 고정하고자 할 때, 이동형 의료기기의 제동장치(100)의 작동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브레이크부(140)가 바닥면을 가압하지 않을 때, 제 1 조작부재(131)의 제 1 조작봉(131a)은 본체바닥플레이트(111)에 대해 상향 경사지게 위치되고, 제 2 조작부재(132)의 제 2 조작봉(132a)은 본체바닥플레이트(111)에 대해 하향 경사지게 위치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조작봉(131a)이 본체바닥플레이트(111)에 대해 상향경사지게 위치될 때, 연동가압바(125)는 가압면(125a)이 안착턱(142)과 맞닿지 않게 위치되고, 제 2 조작봉(132a)은 본체바닥플레이트(111)에 대해 하향경사지게 위치된다.
조작자에 의해, 제 1 페달(131b)이 바닥면을 향해 아래로 내려갈 때, 제 1 조작기어(131c)는 제 2 회전방향으로 회전된다. 제 1 기어(122)는 제 1 조작기어(131c)와 맞물려 제 1 회전방향으로 회전된다. 연동가압바(125)는 조작연동축(121)의 제 1 회전방향으로의 회전시, 안착턱(142)으로 하부로 밀어낸다. 이때, 가이드롤러(126)는 안착턱(142)을 따라 이동부재(141)를 향해 전진이동되면서, 연동가압바(125)가 보다 쉽게 안착턱(142)을 밀어내게 할 수 있다.
이때, 이동부재(141)는 안착턱(142)에 의해 본체바닥플레이트(111)를 향해 하부로 이동된다. 제 1 가이드봉(143)과 제 2 가이드봉(145)은 이동부재(141)와 함께 하부로 내려가면서, 제 1 가압부재(147)와 제 2 가압부재(149)가 바닥면에 맞닿게 이동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동가압바(125)는 가압면(125a)이 안착턱(142)과 맞닿으면서 안착턱(142)에 대해 세워진 상태이다.
조작자에 의해, 제 1 페달(131b)이 바닥면을 향해 아래로 내려갈 때, 제 2 조작부재(132)는 별다른 힘이 가해지지 않더라도 조작연동부(120)와 연동되어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제 1 페달(131b)이 바닥면을 향해 아래로 내려가면서 조작연동축(121)이 제 1 회전방향으로 회전될 때, 아이들기어(129)는 제 2 기어(123)와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제 2 조작기어(132c)가 조작연동축(121)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제 2 조작기어(132c)는 제 1 회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본체바닥플레이트(111)에 대해 하향경사지게 위치된 제 2 조작봉(132a)을 본체바닥플레이트(111)에 대해 상향경사지게 위치되도록 작동된다.
다음으로, 이동형 의료기기(10)를 이동시킬 때, 이동형 의료기기의 제동장치(100)의 작동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이동형 의료기기의 제동장치(100)에 의해 이동형 의료기기(10)가 바닥면에 고정된 상태일 때, 이동형 의료기기의 제동장치(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이다.
제 1 조작부재(131)의 제 1 조작봉(131a)은 본체바닥플레이트(111)를 향해 하향경사지게 위치되고, 제 2 조작부재(132)의 제 2 조작봉(132a)은 본체바닥플레이트(111)에 대해 상향경사지게 위치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형 의료기기의 제동장치(100)에 의해 이동형 의료기기(10)가 바닥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이동부재(141)는 제 1 측면플레이트(112)와 제 2 측면플레이트(114) 사이에 삽입되게 위치되고, 제 1 가압부재(147)와 제 2 가압부재(149)는 바닥면에 맞닿게 위치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제 2 페달(132b)로 힘이 가해져 제 2 조작봉(132a)이 본체바닥플레이트(111)에 대해 하향경사지게 이동되면, 제 2 조작기어(132c)는 제 2 회전방향으로 회전된다.
제 2 조작기어(132c)의 제 2 회전방향으로의 회전시, 아이들기어(129)는 반시계반향으로 회전된다. 아이들기어(129)가 제 1 회전방향으로 회전될 때, 제 2 기어(123)는 제 2 회전방향으로 회전된다.
조작연동축(121)은 제 2 기어(123)에 의해 제 2 회전방향으로 회전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동가압바의 가압면(125a)이 안착턱(142)과 맞닿지 않게 연동가압바(125)의 위치를 조작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롤러(126)는 이동부재(141)에 대해 멀어지게 후진이동된다. 연동가압바(125)는 가이드롤러(126)에 의해 안착턱(142)에서 보다 용이하게 후진이동된다.
연동가압바의 가압면(125a)이 안착턱(142)과 맞닿지 않게 위치도면서 연동가압바(125)가 안착턱(142)으로 힘을 가하지 않을 때, 이동부재(141)는 제 1 탄성부재(148a) 및 제 2 탄성부재(148b)의 탄성력에 의해 원래 상부로 이동된다. 이때, 제 1 가압부재(147)와 제 2 가압부재(149)는 제 1 가이드봉(143)과 제 2 가이드봉(145)에 의해 이동부재(141)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바닥면에서 이격된다.
연동가압바(125)가 안착턱(142)으로 힘을 가하지 않게 작동될 때, 제 1 조작부재(131)는 조작연동축(121)의 회전에 연동되어, 제 1 회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제 1 조작봉(131a)이 본체바닥플레이트(111)에 대해 상향경사지게 위치되도록 작동된다.
본 발명은 이동형 의료기기(10)를 바닥면에 고정할 때에는 제 1 조작부재(131)를 이용하여 브레이크부(140)가 바닥면을 가압토록 작동되고, 이동형 의료기기(10)를 이용할 때는 제 2 조작부재(132)를 이용하여 브레이크부(140)가 바닥면에 대한 가압을 해제토록 작동하여, 초보조작자라도 손쉽게 이동형 의료기기(1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기술과 달리 이동형 의료기기(10)의 이동바퀴(20)에 힘을 가하여, 이동바퀴(20)의 이동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이동바퀴(20)와 별개로 설치된 브레이크부(140)를 이용하여 이동형 의료기기(1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어, 이동바퀴(20)에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아 이동바퀴(2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100: 이동형 의료기기의 제동장치 110: 본체부
111: 본체바닥플레이트 120: 조작연동부
121: 조작연동축 122: 제 1 기어
123: 제 2 기어 125: 연동가압바
126: 가이드롤러 129: 아이들기어
131: 제 1 조작부재 131a: 제 1 조작봉
131b: 제 1 페달 131c: 제 1 조작기어
132: 제 2 조작부재 132a: 제 2 조작봉
132b: 제 2 페달 132c: 제 2 조작기어
140: 브레이크부 141: 이동부재
142: 안착턱 143: 제 1 가이드봉
145: 제 2 가이드봉 147: 제 1 가압부재
149: 제 2 가압부재

Claims (8)

  1. 이동형 의료기기를 제동하는 이동형 의료기기의 제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형 의료기기에 설치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이동형 의료기기의 이동바퀴가 놓인 바닥면을 가압하여 상기 이동형 의료기기를 제동하는 브레이크부;
    상기 브레이크부의 제동을 조작하는 제 1 조작부재와 상기 브레이크부의 제동을 해제하는 제 2 조작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조작부재와 상기 제2조작부재가 상기 바닥면에 대해 상향 경사 또는 하향 경사지게 상호 간에 엇갈리게 상기 이동형 의료기기의 외면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조작부; 및
    상기 브레이크부의 안착턱에 맞닿게 위치된 연동가압바, 상기 연동가압바에 결합되고 상기 본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조작연동축, 상기 조작연동축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조작부재와 맞물리는 제 1 기어, 상기 조작연동축의 타측에 설치된 제 2 기어, 및 상기 제 2 기어와 상기 제 2 조작부재와 맞물리게 결합되어 상기 조작연동축과 별개로 상기 본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아이들기어가 구비되어, 상기 제 1 조작부재 또는 상기 제 2 조작부재의 작동이 상기 브레이크부의 작동에 연동되게 상기 본체부에 설치된 조작연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조작부재가 상기 바닥면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이동되면, 상기 조작연동축이 제 1 회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연동가압바가 상기 안착턱을 밀어냄에 따라 상기 브레이크부가 상기 바닥면을 가압토록 작동되고, 상기 제 2 조작부재가 상기 아이들기어에 의해 상기 조작연동축과 연동되어 상기 제 1 회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바닥면에 대해 상향 경사지게 이동되어,
    상기 제 1 조작부재의 작동시 상기 브레이크부가 상기 바닥면을 가압하여 상기 이동형 의료기기가 제동되고, 상기 제 2 조작부재의 작동시 상기 브레이크부의 상기 바닥면의 상부로 이동되어 상기 이동형 의료기기의 제동을 해제토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의료기기의 제동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가압바는, 상기 제 2 조작부재의 조작에 의해 상기 조작연동축이 상기 제 1 회전방향과 반대인 제 2 회전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연동가압바의 가압면이 상기 안착턱과 맞닿지 않게 이동되어, 상기 안착턱에 가하던 힘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의료기기의 제동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연동부는, 상기 조작연동축과 이격되게 상기 연동가압바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연동가압바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롤러는,
    상기 조작연동축이 상기 제 1 회전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안착턱을 따라 전진이동되면서 상기 연동가압바의 가압면이 상기 안착턱에 맞닿도록 하고,
    상기 조작연동축이 상기 제 2 회전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안착턱을 따라 후진이동되면서 상기 연동가압바의 가압면이 상기 안착턱과 맞닿지 않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의료기기의 제동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부는,
    전면에 상기 안착턱이 돌출되게 마련된 이동부재;
    상기 바닥면을 가압하는 가압부재;
    상기 이동부재와 상기 가압부재를 연결하는 가이드봉; 및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봉의 상하이동을 가이드하는 고정가이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가이드봉의 이동방향으로 상기 가이드봉과 함께 이동되면서, 상기 제 1 조작부재의 조작에 의해 상기 연동가압바가 상기 안착턱을 눌러 상기 이동부재가 하강이동할 때, 상기 바닥면에 맞닿아 상기 바닥면을 가압하여 상기 이동형 의료기기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의료기기의 제동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부는 상기 가이드봉과 상기 가압부재에 연결된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 2 조작부재의 조작에 의해 상기 연동가압바가 상기 안착턱을 누르던 힘이 제거되면 상기 가이드봉으로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이동부재가 원래위치로 되돌아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의료기기의 제동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조작부재는, 상기 제 1 기어보다 큰 반경을 가지고 상기 제 1 기어와 맞물리는 형상을 가진 제 1 조작기어와, 상기 제 1 조작기어와 제 1 페달을 연결하는 제 1 조작봉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조작기어는 상기 제 1 조작봉이 상기 본체부의 바닥면에 대해 경사지게 상기 본체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 1 페달이 상기 본체부의 바닥면을 향해 하부로 이동될 때 상기 제 1 조작봉으로부터 힘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의료기기의 제동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조작부재는, 상기 아이들기어보다 큰 반경을 가지고 상기 아이들기어에 맞물리는 형상을 가진 제 2 조작기어와, 상기 제 2 조작기어와 제 2 페달을 연결하는 제 2 조작봉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조작기어는 상기 제 2 조작봉이 상기 제 1 조작봉과 서로 다른 방향으로 경사지게 위치되도록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조작기어의 회전시 상기 제 2 기어와 상기 아이들기어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 1 조작기어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제 2 페달이 상기 본체부의 바닥면을 향해 하부로 이동될 때 상기 아이들기어를 회전시켜 상기 브레이크부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의료기기의 제동장치.






KR1020170001221A 2017-01-04 2017-01-04 이동형 의료기기의 제동장치 KR1019072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1221A KR101907290B1 (ko) 2017-01-04 2017-01-04 이동형 의료기기의 제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1221A KR101907290B1 (ko) 2017-01-04 2017-01-04 이동형 의료기기의 제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0467A KR20180080467A (ko) 2018-07-12
KR101907290B1 true KR101907290B1 (ko) 2018-10-11

Family

ID=62919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1221A KR101907290B1 (ko) 2017-01-04 2017-01-04 이동형 의료기기의 제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72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5287B1 (ko) * 2020-05-29 2020-10-13 탄탄안전 주식회사 구조물의 균열길이 점검을 위한 안전진단장치
KR102492130B1 (ko) * 2021-06-23 2023-01-26 국방과학연구소 위치 가변 페달 시스템 및 하우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1626Y1 (ko) 2006-04-24 2006-07-14 신혜연 손수레제동장치
US20070289098A1 (en) 2006-06-16 2007-12-20 Po-Chuan Tsai Castor having efficiently locking function
CN204106411U (zh) * 2014-08-01 2015-01-21 厦门纬嘉运动器材有限公司 一种病床刹车装置
CN204895531U (zh) 2015-08-10 2015-12-23 深圳迈瑞生物医疗电子股份有限公司 超声诊断设备、联动式中央刹车控制系统及其驱动装置
US20160353901A1 (en) 2015-06-05 2016-12-08 Sauder Manufacturing Co. Floor brake assembly for an article of furnitur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1626Y1 (ko) 2006-04-24 2006-07-14 신혜연 손수레제동장치
US20070289098A1 (en) 2006-06-16 2007-12-20 Po-Chuan Tsai Castor having efficiently locking function
CN204106411U (zh) * 2014-08-01 2015-01-21 厦门纬嘉运动器材有限公司 一种病床刹车装置
US20160353901A1 (en) 2015-06-05 2016-12-08 Sauder Manufacturing Co. Floor brake assembly for an article of furniture
CN204895531U (zh) 2015-08-10 2015-12-23 深圳迈瑞生物医疗电子股份有限公司 超声诊断设备、联动式中央刹车控制系统及其驱动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0467A (ko) 2018-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17548B2 (en) Integrated multi-mode mammography/tomosynthesis x-ray system and method
KR101907290B1 (ko) 이동형 의료기기의 제동장치
JP4628793B2 (ja) 組織露光制御、トモシンセシス及び動的視野処理を具備するフルフィールドマンモグラフィー
US5851180A (en) Traction-inducing compression assembly for enhanced tissue imaging
JP5373450B2 (ja) 生検装置及び生検装置の動作方法
US20120136234A1 (en) Apparatus
JPH0331240B2 (ko)
CN102440757A (zh) 肛门直肠检查的方法和装置
US20120136235A1 (en) Apparatus
JP2003520629A (ja) 医療診断テーブル用の横臥面
JP2010069241A (ja) 乳房断層画像撮影装置
JP5693184B2 (ja) 生体情報取得装置
KR101454082B1 (ko) X선 촬영장치
CN102843974A (zh) 测量设备
US11399789B2 (en) Compression unit for a combined x-ray and ultrasound examination device, examination device and method
US7453982B1 (en) System and method to acquire radiological images of an imaged subject
EP2395905A1 (en) Interface device, imaging system and method for rim-imaging
CN112004474B (zh) 压缩臂设备和方法
JPWO2017056533A1 (ja) マンモグラフィ装置、放射線画像撮影方法、及び放射線画像撮影プログラム
JP5642617B2 (ja) 放射線画像撮影装置及び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
US20160367206A1 (en) Digital mammography device
CN110115593A (zh) 乳房x射线照相系统
CN108618793A (zh) 乳房x射线摄影装置
KR102011382B1 (ko) 맘모그래피 장치
US20170172530A1 (en) An integrated device for conducting mammography, tomosynthesis and stereotactic biopsy in multipos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