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7191B1 - 확장형 캠핑카 - Google Patents

확장형 캠핑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7191B1
KR101907191B1 KR1020180055974A KR20180055974A KR101907191B1 KR 101907191 B1 KR101907191 B1 KR 101907191B1 KR 1020180055974 A KR1020180055974 A KR 1020180055974A KR 20180055974 A KR20180055974 A KR 20180055974A KR 101907191 B1 KR101907191 B1 KR 1019071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folded
weight
parts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5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륙정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륙정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륙정공
Priority to KR1020180055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71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7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71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3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 B60P3/34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the living accommodation being expansible, collapsible or capable of rearrange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8Fireproof paints including high temperature resistant pa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57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4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with hinged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2Tents combined or specially associated with other devices
    • E04H15/06Tents at least partially supported by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04H15/44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 E04H15/48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foldable, i.e. having pivoted or hinged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확장형 캠핑카에 관한 발명으로, 주행이 가능한 차량부; 상기 차량부 후방에 결합되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결합되고, 수직 방향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 덮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확장형 캠핑카{Extended camper}
본 발명은 확장형 캠핑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주행이 가능한 차량부 후방에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결합되는 본체부와 본체부 상부에 수직 방향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 덮개부가 결합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 확장형 캠핑카에 관한 것이다.
최근, 레저 활동의 증가로 인해 수면시설과 취사시설을 갖춘 레저용 차량들이 등장하면서, 승합차 또는 캠핑카와 같은 레저차량과 레저활동에 적합하도록 다양한 목적의 장비들을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목적으로, 캠핑카의 내부는 다양한 생활설비를 갖추기 위하여 내부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는 배치설계가 핵심 기술이다.
한편, 캠핑카는 주행 시에 차량의 차폭 제한으로 어느 정도 이상의 폭으로 형성할 수 없는 제약이 있으며, 이는 캠핑카 실내공간의 크기의 제약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로 인해, 캠핑카 실내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기술이 다수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자유로운 활동으로서 활동을 행하는 일 그 자체가 목적인 레저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고, 이러한 추세에 맞춰 기존과 다른 다양한 레저용품이 개발, 생산되고 있으며, 그 중 하나가 차량의 루프 위에 텐트를 설치하여 마치 이동식 주택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흔히 카 펜션(car pension)이라 불리는 루프탑 텐트 또는 확장형 캠핑카가 각광을 받고 있는 추세이다.
도 1은 종래의 확장형 캠핑카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서와 같이, 차량부(1) 후방에 종래 본체부(2)가 결합되고 내부에는 일반인 3~4명이 동시에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내부에서 취사 및 취침 등의 이용시설로 사용 가능하다. 이러한 루프탑 텐트는, 차량의 루프에 구비되고 루프레일과 클램프로 이루어진 탈착수단과 탈착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지지베이스체와 이 지지베이스체의 상부에 구비되고 펼쳤을 때 일정공간을 형성하고 사용 후 접음이 가능한 텐트체로 이루어지며, 텐트체는 펼쳤을 때 일정공간을 형성하는 텐트천과 텐트천의 양측 또는 어느 한 측면에 마련된 지퍼식 출입문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텐트체를 접었을 때 텐트체의 외부를 감싸도록 하는 커버가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차량의 다양한 규제로 인하여 종래의 확장형 캠핑카의 본체부(2)는 성인 2인이 누워서 수면하기에는 매우 좁은 공간이다.
또한, 외부에서 생활하기 위한 도구 및 장비를 모두 수용할 수 있는 수납공간도 많이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현재 차량의 다양한 규제를 수용 할 수 있고, 레저활동을 위한 캠핑카의 목적에 부합할 수 있는 다양한 수납공간과 생활 시설을 갖추기 위해 공간의 확장 및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재질면에 있어서도 종래 확장형 캠핑카 또는 루프탑 텐트의 경우 텐트체의 외부를 감싸 씌운 커버가 비닐 재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차량의 이동시에 커버가 날리거나 또는 심한 소음이 발생되거나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커버가 날리거나 할 경우에는 후방차량의 안전운전에 방해를 주게 되고 커버가 찢어지거나 하는 피해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대개의 커버를 텐트체에 묶어 고정하기 위해 지퍼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비교적 더운 여름철이나 봄 또는 가을철에는 큰 무리가 없는 반면 추운 겨울철의 경우에는 캠핑자 대부분이 두꺼운 장갑을 착용하거나 또는 두꺼운 장갑을 벗더라도 추운 기온에 의해 캠핑자의 손이 굳어져 힘을 가하지 못하기 때문에 지퍼를 열거나 닫는 동작을 취함에 있어서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관련된 종래의 기술로 공간확장형 하드쉘 루프탑 텐트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차량의 루프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하부 케이스와, 개폐수단에 의해 상기 하부 케이스를
폐쇄하거나 개방하는 상부 케이스를 포함하는 차량용 루프탑 텐트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되는 확장 플레이트, 양단부가 상기 확장 플레이트의 후미 양 측부에 각각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지폴 및 적어도 상기 상부 케이스, 상기 지지폴 및 상기 확장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텐트 천을 포함하고, 상기 확장 플레이트는 상기 하부 케이스와 중첩되도록 위치하는 제1 위치와, 상기 하부 케이스로부터 최대로 인출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지지폴은 상기 확장 플레이트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할 경우에는 상기 확장 플레이트와 인접하도록 위치되고,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할 경우에는 상기 텐트 천에 의해 상측으로 들어 올려지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하부케이스로부터 확장플레이트의 인출과 함께 텐트 천에 의해 지지폴이 들어 올려지도록 이루어져 있으나, 텐트를 펼치기 위해서는 먼저 하부케이스로부터 확장플레이트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인출하여야 함에 따라 설치성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특히, 좁은 공간에서 확장플레이트가 하부케이스로부터 슬라이딩 인출하는 과정에서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 및 확장플레이트를 모두 연결하는 텐트천이 찢어짐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 확장형 캠핑카의 수요 증대에 더불어 위와 같은 문제점은 지속적인 개선이 필요한 부분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83626호
본 발명은 확장형 캠핑카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행이 가능한 차량부 후방에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결합되는 본체부와 본체부 상부에 수직 방향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 덮개부를 결합하여 종래의 캠핑카의 부족한 공간을 확장 및 개선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확장형 캠핑카는 주행이 가능한 차량부; 상기 차량부 후방에 결합되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결합되고, 수직 방향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 덮개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확장형 캠핑카의 상기 덮개부에는 상기 본체부의 상면에 결합되는 하부 케이스부; 상기 하부 케이스부의 상면에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는 상부 케이스부; 및 상기 하부 케이스부와 상기 상부 케이스부의 사이에 위치되어 사면을 이루되, 접힘으로 인해 상기 하부 케이스부와 상기 상부 케이스부를 맞닿게 하는 주름 접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확장형 캠핑카의 상기 덮개부에는, 상기 주름 접힘부에 삽입되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연장부;를 더 구비하되, 상기 연장부는 제1 연장부와 제2 연장부로 형성되고, H 형상의 상기 제2 연장부 외측면에 상기 제1 연장부의 내측면이 맞닿아 수직방향으로 힌지 결합되되, 상기 제1 연장부의 내측면에 상기 제2 연장부가 수용되어 상기 연장부가 내부로 접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확장형 캠핑카의 상기 덮개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본체부의 후방으로 갈수록 수직방향의 높이가 높아지는 형상의 경사 케이스부; 및 상기 경사 케이스부와 상기 본체부를 잇되, 삼면을 이루는 격벽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확장형 캠핑카의 상기 덮개부는, 상기 경사 케이스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부를 잇는 링크부; 및 상기 경사 케이스부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 되도록 승강 또는 하강 시키는 유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확장형 캠핑카의 상기 링크부는 제1 링크부 및 제2 링크부를 구비하되, X-자 형태로 상기 제1 링크부와 상기 제2 링크부가 교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확장형 캠핑카의 상기 덮개부는 주름 접힘부 또는 격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주름 접힘부 또는 격벽부는 천막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천막 재질의 표면은 난염 및 방수 코팅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확장형 캠핑카는 본체부 상부에 결합되는 덮개부가 제1 실시 예와 제2 실시 예로 나뉘는 구성으로 인해 다양한 효과를 제시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덮개부는 상부 케이스부와 하부 케이스부 사이의 주름 접힘부의 링크 구조로 인하여 열림 및 닫힘 상태로 구현될 수 있는 장점으로 본체부의 공간을 그대로 수직방향 높이로 더 활용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덮개부는 경사 케이스부와 본체부 사이에 격벽부가 형성되고, 격벽부의 실린더구조로 인하여 공간을 확장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덮개부를 닫게 되면, 다양한 규제에 부합하면서 외부 저항을 줄여 차량 연비를 개선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덮개부의 열게 되면 레저활동의 캠핑카의 목적에 부합하는 공간을 최대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편리성과 활용성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인 캠핑카와는 달리 마트나 아파트 지하 주차장 진출입이 가능하고, 외관 상 출퇴근 차로도 거부감 없이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캠핑카의 일반적인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확장형 캠핑카의 측면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확장형 캠핑카의 전체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연장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연장부의 측면에서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확장형 캠핑카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확장형 캠핑카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확장형 캠핑카의 열림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링크부의 확대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확장형 캠핑카의 열림 상태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 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이하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길이 방향"이란, 도 2를 기준으로 x축 방향이며, "폭 방향"이란, 도 2를 기준으로 y축 방향이다. 또한, "수직 방향"이란, 도 2를 기준으로 z축 방향이다. 또한, 상부란 "수직 방향"에서 위쪽 방향을 의미하고, 하부란 "수직 방향"에서 아래쪽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내측이란 동일부재에서 상대적으로 중심에 가까운 쪽을 의미한다. 또한, 전방이란, 차량부의 주행 방향에서 앞쪽을 의미하고, 후방이란 그 반대 쪽이다.
도 1은 종래의 캠핑카의 일반적인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확장형 캠핑카의 측면도이다. 또한, 도 3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확장형 캠핑카의 전체 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연장부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연장부의 측면에서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확장형 캠핑카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확장형 캠핑카의 측면도이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확장형 캠핑카의 열림 상태의 측면도이다. 또한,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링크부의 확대도이다. 또한,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확장형 캠핑카의 열림 상태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확장형 캠핑카는 차량부(1), 본체부(10), 덮개부(100)를 포함한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차량부(1)와 본체부(10)를 설명하도록 한다.
차량부(1)는 통상적인 6~12인승 승합차의 차체의 후방부 및 상판 지붕을 본체부(10) 및 덮개부(100)의 형태로 개조한 것이다. 따라서, 통상시에는 덮개부(100)가 닫힌 상태로 출퇴근이나 주차시에는 통상의 승합차 형태로 무리 없이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차량부(1) 후방에 결합되는 본체부(10)의 내부에는 일반인 3~4명이 동시에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내부에서 취사 및 취침 등의 이용시설로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확장형 캠핑카에서 덮개부(100)는 제1 실시 예와 제2 실시 예로 구분 할 수 있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확장형 캠핑카의 덮개부(100)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에서와 같이, 제1 실시 예에서의 덮개부(100)는 상부 케이스부(120)와 하부 케이스부(130)로 구비된다.
본체부(10)의 상부에 하부 케이스부(130)의 하부가 결합되고, 하부 케이스부(130)의 상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이 이격 되어 상부 케이스부(120)가 위치된다.
또한, 상부 케이스부(120)와 하부 케이스부(130)는 평행으로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부 케이스부(120)와 하부 케이스부(130)의 사이에는 주름 접힘부(131)가 결합된다. 주름 접힘부(131)는 상부 케이스부(120)의 하부와 하부 케이스부(130)의 상부를 잇고, 사면을 이루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공간의 형성으로 인해, 성인 2인의 침대 공간이 확보가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위와 같은 공간 형성으로 성인 또는 아동의 취침 공간으로 활용 할 수 있고, 이 외의 다른 저장 공간 등으로 사용자의 임의에 따라 사용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주름 접힘부(131)의 재질은 천막 재질이 바람직하며 천막 재질의 유연하게 구부러지는 성질로 인해 접힘이 가능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천막 재질은 보다 구체적으로 폴리에스터나 폴리프로필렌 소재의 일반사 또는 원착사(Dope dyed yarn)로 직조한 두터운 형태(씨실과 날실 각각이 300~3,000데니어)의 차양막 및 천막지의 원단을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천막 재질의 표면은 난염 및 방수 코팅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코팅층은 난염 및 방수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코팅층을 형성한 것이다.
상기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는 방법은 당업자의 선택에 의해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코팅 조성물은 구체적으로 인계 방염제; 실란 화합물; 계면활성제; 바인더; 분산제; 용매 및 기타 첨가제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인계 방염제는 인산 에스테르, 적인, 포스파젠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실란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8048200007-pat00001
[화학식 2]
Figure 112018048200007-pat00002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학식 1 및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실란 화합물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 및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실란 화합물은 분자간의 인력이 작아, 발수성을 나타낼 수 있다. 이에,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란 화합물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실란 화합물을 각각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보다, 이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발수성이 더욱 상승된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베타인계 계면활성제이며, 보다 구체적으로 알킬베타인계, 아미드베타인계, 술포베타인계, 히드록시술포베타인계, 아미도술포베타인계 및 포스포베타인계, 이미다졸리늄베타인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바인더는 아크릴계 바인더, 우레탄계 바인더, 실리콘계 바인더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보다 구체적으로 실리콘계 바인더이며, 보다 더 구체적으로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하이드로실록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분산제는 카본계 필러의 분산제로 당업계에서 채용하는 공지된 성분을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폴리에스테르계 분산제, 폴리페닐렌에테르계 분산제, 폴리올레핀계 분산제,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분산제, 폴리아릴레이트계 분산제, 폴리아미드계 분산제, 폴리아미드이미드계 분산제, 폴리아릴설폰계 분산제, 폴리에테르이미드계 분산제, 폴리에테르설폰계 분산제, 폴리페닐렌 설피드계 분산제, 폴리이미드계 분산제; 폴리에테르케톤계분산제, 폴리벤족사졸계 분산제, 폴리옥사디아졸계 분산제, 폴리벤조티아졸계 분산제, 폴리벤즈이미다졸계 분산제, 폴리피리딘계 분산제, 폴리트리아졸계 분산제, 폴리피롤리딘계 분산제, 폴리디벤조퓨란계 분산제, 폴리설폰계 분산제, 폴리우레아계 분산제, 폴리우레탄계 분산제, 폴리포스파젠계 분산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용매는 물, 알코올류 용매, 할로겐 함유 탄화수소류 용매, 케톤류 용매, 셀로솔브류 용매 및 아미이드류 용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기타 첨가제는 자외선 차단제로, 상기 자외선 차단제는 옥시벤존(Oxybenzone), 벤조페논(Benzophenone), 신나메이트(Cinnamate)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코팅 조성물은 용매를 포함하며, 상기 용매 100 중량부에 대하여, 인계 방염제 20 내지 40 중량부; 실란 화합물 20 내지 40 중량부; 계면활성제 5 내지 10 중량부; 바인더 10 내지 20 중량부; 분산제 3 내지 5 중량부; 및 기타 첨가제 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에탄올 100 중량부; 인산 에스테르 20 내지 40 중량부; 실란 화합물 20 내지 40 중량부; 포스포베타인 5 내지 10 중량부; 폴리디메틸실록산 10 내지 20 중량부; 폴리아미드이미드계 분산제 3 내지 5 중량부 및 자외선 차단제 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코팅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을 혼합하여, 코팅액을 제조하면, 상기 코팅액에 천막 재질을 침지시키고, 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시켜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으나, 코팅층의 형성 방법은 당업자가 선택할 수 있는 방법을 제한 없이 이용 가능하다.
혹은 주름 접힘부(131)는 판재일 수 있다.
주름 접힘부(131)가 내부 방향을 향하여 접히게 되면 상부 케이스부(120)의 하부와 하부 케이스부(130)의 상부가 맞닿게 되어, 내부에 공간이 제거되며 이를 닫힘 상태라고 칭한다.
이와 반대로, 주름 접힘부(131)를 펼침으로써 상부 케이스부(120)와 하부 케이스부(130) 사이에 소정의 거리가 이격 되어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열림 상태라고 지칭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임의에 따라 본 발명의 확장형 캠핑카를 사용 시에는 주름 접힘부(131)의 상태를 열림 상태로 조작 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는 주차, 주행 등의 활동으로 확장형 캠핑카의 내부 공간을 미사용 시에는 주름 접힘부(131)의 상태를 닫힘 상태로 조작하여 공간을 최소화 함으로써 확장형 캠핑카 외형 크기의 제한을 받지 않는 장점의 효과가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연장부(132)를 설명하도록 한다.
주름 접힘부(131)의 내측면에 연장부(132)가 삽입되고, 연장부(132)는 주름 접힘부(131)의 측면에 복수 개로 삽입되어 양 측면에 대칭의 형상으로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지지력이 증대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연장부(132)는 제1 연장부(1321), 제2 연장부(1322) 및 고정핀(1323)으로 구비된다.
H-자 형태의 제2 연장부(1322)의 일 단부가 하부 케이스부(130)의 상부와 힌지부(114)를 통해 힌지 결합이 되고, 제2 연장부(1322)의 타단부와 제1 연장부(1321)의 일단부가 힌지부(114)를 통해 힌지 결합이 되고, 제1 연장부(1321)의 타단부와 상부 케이스부(120)의 하부가 힌지부(114)를 통해 힌지 결합이 되는 형상으로 수직방향으로 총 3개의 링크구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1 연장부(1321)의 내측면에 제2 연장부(1322)의 외측면이 맞닿는 형상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접힘 구조를 제공함과 동시에 연장부(132)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연장부(132)의 사용 예시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5와 같이, 링크 구조로 인하여 제1 연장부(1321)의 내측면에 제2 연장부(1322)의 외측면이 맞닿아 접혀 들어가는 형상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형상으로 인해 링크구조의 접힘 운동 시, 제2 연장부(1322)의 몸체가 제1 연장부(1321)의 내측면으로 접혀 들어 감으로써 연장부(132)와 함께 결합된 주름 접힘부(131)가 동시에 내부로 접히게 된다.
따라서, 연장부(132)의 링크 구조로 접힘 운동이 발생함에 따라 연장부(132)와 결합된 주름 접힘부(131)도 동시에 내부방향으로 접힘으로 상부 케이스부(120)와 하부 케이스부(130)가 맞닿게 된다.
위와 같이, 상부 케이스부(120)와 하부 케이스부(130)가 맞닿음으로써, 주름 접힘부(131) 내부의 공간이 생성 및 제거가 되고, 사용자는 임의대로 외부 상황에 맞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편리함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주름 접힘부(131)의 내부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6과 같이, 차량의 주행방향을 기준으로 후방에 본체부(10)와 주름 접힘부(131)의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형상으로 인해, 본체부(10)와 주름 접힘부(131)의 후방의 공간은 서로 공유 할 수 있는 공간이 됨으로써, 성인이 들어가 허리를 필 수 있을 정도의 높이가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캠핑카 본연의 목적에 따라 공간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고,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확장형 캠핑카의 덮개부(100)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덮개부(100)는 경사 케이스부(110), 격벽부(111), 유압부(112), 링크부(113)가 구비된다.
경사 케이스부(110)는 본체부(10)의 상부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과 같이 측면에서 봤을 때, 경사 케이스부(110)의 일단부는 본체부(10)의 상부와 힌지결합이 되고, 차량부(1)의 후방으로 갈수록 타단부는 수직방향으로 높이가 높아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본체부(10)의 상부와 경사 케이스부(110)의 사이에는 삼면을 이루는 격벽부(111)가 삽입되고, 격벽부(111)는 천막 재질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천막 재질의 유연한 구부러지는 성질로 인하여 접힘이 가능하게 되어 격벽부(111)의 접힘 시, 경사 케이스부(110)와 본체부(10)가 맞닿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격벽부는 주름 접힘부의 천막 재질과 동일한 소재인 폴리에스터나 폴리프로필렌 소재의 일반사 또는 원착사(Dope dyed yarn)로 직조한 두터운 형태(씨실과 날실 각각이 300~3,000데니어)의 차양막 및 천막지의 원단을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난염 및 방수를 위한 표면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유압부(112) 및 링크부(113)를 설명하도록 한다.
유압부(112)는 차량부(1)의 후방에 위치되고, 경사 케이스부(110)와 본체부(10) 사이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9에서와 같이, 경사 케이스부(110)의 양 측면에 위치되되, 한 쌍으로 대칭을 이루는 형상으로 구비한다.
이때, 유압부(112)는 유압에 의해 직선왕복운동을 하는 피스톤과 피스톤을 내부로 수용하는 실린더 몸체를 포함한다. 이때, 유압부(112)가 아닌 공압, 액츄에이터 방식 등에 의해 실린더가 직선왕복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유압부(112)의 기능으로 인하여 경사 케이스부(110)의 후방을 팝업 시킬 수 있는 동시에 팝업된 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유압부(112)가 유압에 의해 직선왕복운동을 하면 격벽부(111)가 펼쳐지게 되고, 경사 케이스부(110)와 본체부(10) 사이의 소정의 거리가 이격 되어 공간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확장되는 공간으로 인해 사용자는 편리에 따라 공간을 자유롭게 사용 할 수 있어 편리성과 효율성이 극대화 되는 효과가 있다.
링크부(113)는 제1 링크부(1131)와 제2 링크부(1132)로 구비되되, 서로 교차되는 X-자 형상으로 경사 케이스부(110)와 본체부(10)를 잇는 형상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9와 같이 유압부(112)의 전방에 위치하고, 경사 케이스부(110)의 양 측면에 위치되어 한 쌍으로 대칭을 이루어 결합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형상의 링크부(113)는 유압부(112)가 승강 또는 하강의 운동시 전방에서 경사 케이스부(110)와 본체부(10)가 일정 간격 이상을 벗어나지 않도록 잡아주고 지지해주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아울러, 링크부(113)의 X-자 형상의 구조로 인해 작은 공간 소요만으로도 안정된 지지력을 가질 수 있어 효율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제조예: 방염 및 방수 원단의 제조]
1. 코팅 조성물의 제조
에탄올에 인산 에스테르, 실란 화합물, 포스포베타인,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아마이드계 분산제 및 옥시벤존을 넣고 혼합하여,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란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구매하여 1:1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이용하였다:
[화학식 1]
Figure 112018048200007-pat00003
[화학식 2]
Figure 112018048200007-pat00004
보다 구체적인 코팅 조성물의 함량은 하기 표 1과 같다.
CT1 CT2 CT3 CT4 CT5
에탄올 100 100 100 100 100
인산 에스테르 10 20 30 40 50
실란 화합물 10 20 30 40 50
포스포베타인 1 5 7 10 15
폴리디메틸실록산 5 10 15 20 30
폴리아마이드계 분산제 1 3 4 5 7
옥시벤존 5 5 5 5 5
(단위 중량부)
2. 코팅층의 형성
폴리프로필렌 소재의 원착사(Dope dyed yarn)로 직조한 두터운 형태(씨실과 날실 각각이 300~3,000데니어)의 차양막을 코팅 조성물에 침지시키고, 건조기를 이용하여 145 내지 155℃에서 건조시켜 코팅층을 형성하였다.
[실험예: 방염 및 방수 효과]
상기 코팅층을 형성한 차양막에 대해서 방염 및 방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코팅층을 형성하기 위한 코팅 조성물의 차이에 따라 분류하였으며, 방염 및 방수 효과 확인을 위하여 고어텍스(GT)를 이용하여 비교 실험을 진행하였다.
발수도는 원단의 표면에 물을 뿌려 물이 묻는 정도를 평가하였으며, 1 내지 5급으로 분류하고, 숫자가 높을수록 발수도가 우수함을 의미한다.
방화도는 소방방재청 고시 제2012-114호 마이크로버어너법에 의거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CT1 CT2 CT3 CT4 CT5 GT
발수도(급) 1 2 3 2 1 2
방화도 잔염시간(초) 4 2 1.8 2 2 3
탄화거리(cm) 10 9 7 8.5 8.5 9
상기 실험 결과에 의하면, CT2 내지 CT4는 방수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고어텍스와 비교하여 동등 또는 그 이상의 방수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으며, 방화도 또한,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이하,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확장형 캠핑카는 제2 실시 예와 달리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경사가 증대되도록 경사 케이스부(11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닫힘 상태에서는 지면을 기준으로 경사 케이스부(110)가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경사가 증대되고, 열림 상태에서는 경사 케이스부(110)가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경사가 증대되는 형태이다. 이때, 제3 실시 예는 제2 실시 예의 구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차량부, 2:종래 본체부,
10:본체부, 100:덮개부,
110:경사 케이스부, 111:격벽부,
112:유압부, 113:링크부,
1131:제1 링크부, 1132:제2 링크부,
114:힌지부, 120:상부 케이스부,
130:하부 케이스부, 131:주름 접힘부,
132:연장부, 1321:제1 연장부,
1322:제2 연장부, 1323:고정핀.

Claims (7)

  1. 주행이 가능한 차량부;
    상기 차량부 후방에 결합되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결합되고, 수직 방향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 덮개
    부;를 포함하며,
    상기 덮개부는 주름 접힘부 또는 격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주름 접힘부 또는 격벽부는 천막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천막 재질의 표면은 난염 및 방수 코팅층이 형성되며,
    상기 코팅층은 난염 및 방수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며,
    상기 코팅 조성물은 에탄올을 용매로 포함하며,
    상기 에탄올 100 중량부; 인산 에스테르 20 내지 40 중량부; 실란 화합물 20 내지 40 중량부; 포스포베타인 5 내지 10 중량부; 폴리디메틸실록산 10 내지 20 중량부; 폴리아미드이미드계 분산제 3 내지 5 중량부 및 자외선 차단제 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실란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 및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인
    확장형 캠핑카:
    [화학식 1]
    Figure 112018073019586-pat00015

    [화학식 2]
    Figure 112018073019586-pat00016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면에 결합되는 하부 케이스부;
    상기 하부 케이스부의 상면에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는 상부 케이스부;및
    상기 하부 케이스부와 상기 상부 케이스부의 사이에 위치되어 사면을 이루되,
    접힘으로 인해 상기 하부 케이스부와 상기 상부 케이스부를 맞닿게 하는 주름 접힘부;를 구비하는 확장형 캠핑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주름 접힘부에 삽입되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연장부;를 더 구비하되,
    상기 연장부는 제1 연장부와 제2 연장부로 형성되고,
    H 형상의 상기 제2 연장부 외측면에 상기 제1 연장부의 내측면이 맞닿아 수직방향으로 힌지 결합되되, 상기 제1 연장부의 내측면에 상기 제2 연장부가 수용되어 상기 연장부가 내부로 접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캠핑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본체부의 후방으로 갈수록 수직방향의 높이가 높아지는 형상의 경사 케이스부; 및
    상기 경사 케이스부와 상기 본체부를 잇되, 삼면을 이루는 격벽부;를 구비하는 확장형 캠핑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경사 케이스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부를 잇는 링크부; 및
    상기 경사 케이스부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 되도록 승강 또는 하강 시키는 유압부;를 구비하는 확장형 캠핑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 제1 링크부 및 제2 링크부를 구비하되, X-자 형태로 상기 제1 링크부와 상기 제2 링크부가 교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캠핑카.


  7. 삭제
KR1020180055974A 2018-05-16 2018-05-16 확장형 캠핑카 KR1019071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974A KR101907191B1 (ko) 2018-05-16 2018-05-16 확장형 캠핑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974A KR101907191B1 (ko) 2018-05-16 2018-05-16 확장형 캠핑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7191B1 true KR101907191B1 (ko) 2018-10-12

Family

ID=63876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5974A KR101907191B1 (ko) 2018-05-16 2018-05-16 확장형 캠핑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719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4740B1 (ko) 2020-02-05 2020-06-18 박영호 상층부의 폭 가변 확장이 가능한 복층형 카라반
KR20200103512A (ko) 2019-02-22 2020-09-02 박만규 접이식 캠핑 하우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12352B2 (ja) * 1996-04-25 2002-08-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可動ルーフ装置
KR101771155B1 (ko) * 2016-03-31 2017-08-24 오린태 루프탑 텐트의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12352B2 (ja) * 1996-04-25 2002-08-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可動ルーフ装置
KR101771155B1 (ko) * 2016-03-31 2017-08-24 오린태 루프탑 텐트의 개폐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3512A (ko) 2019-02-22 2020-09-02 박만규 접이식 캠핑 하우스
KR102124740B1 (ko) 2020-02-05 2020-06-18 박영호 상층부의 폭 가변 확장이 가능한 복층형 카라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7191B1 (ko) 확장형 캠핑카
US20210249988A1 (en) Collapsible shelter
US10328780B2 (en) Tonneau cover system with automatic stowing latch
WO2016172874A1 (zh) 折叠式扩容房车
US1001709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 rear slide-out compartment in a recreational vehicle for increasing interior space
CN109072606A (zh) 可伸缩的遮蔽件
CN107264419B (zh) 用于机动车辆的可展开的、可扩展的存储总成
CN105905024A (zh) 一种内部空间可扩展的旅居车
CN205652018U (zh) 一种多功能房车
CN205930460U (zh) 一种内部空间可扩展的旅居车
CN109109727A (zh) 一种硬顶房车的后部拓展结构
KR101495568B1 (ko) 승용차 상부에 설치가능한 확장형 텐트
CA3035354C (en) Expandable vehicle shelter system and method
CN114734905A (zh) 折叠厢房及其折叠房车
US20100154684A1 (en) Tray table and related methods
KR101009648B1 (ko) 접철식 이동형 확장주택
US7334827B1 (en) Slide-out gliding system for recreational vehicles
CN211714746U (zh) 一种多功能车顶硬帐篷
CN210191301U (zh) 一种可扩展的房车车厢
CN215361104U (zh) 一种车载帐篷和车辆
JP2002114106A (ja) 車両の物品収容構造
CN115158145B (zh) 一种全自动扩展平台、操作方法及旅居车
CN217892633U (zh) 一种车厢用扩展平台及旅居车
AU762619B2 (en) A caravan
GB2116918A (en) Extendable mobile accomodation uni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