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7085B1 - 조립식 마감판넬장치 - Google Patents

조립식 마감판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7085B1
KR101907085B1 KR1020170064107A KR20170064107A KR101907085B1 KR 101907085 B1 KR101907085 B1 KR 101907085B1 KR 1020170064107 A KR1020170064107 A KR 1020170064107A KR 20170064107 A KR20170064107 A KR 20170064107A KR 101907085 B1 KR101907085 B1 KR 1019070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support frame
coupling joint
elastic ring
finishing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4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홍우
김정훈
박성원
권영빈
Original Assignee
신홍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홍우 filed Critical 신홍우
Priority to KR10201700641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70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7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70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fixed by means of spring 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시공 및 유지보수 편의성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대상벽체에 결합되는 서포트프레임; 중앙부가 상기 서포트프레임의 일단부에 밀착 결합되되 상기 서포트프레임으로부터 폭방향 양측으로 돌출된 외곽부에 연계결합부가 형성되어 상기 서포트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단 배치되는 복수의 결합베이스; 및 상기 대상벽체를 커버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각 연계결합부에 착탈되는 결합조인트가 구비된 마감판넬을 포함하는 조립식 마감판넬장치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조립식 마감판넬장치{assembly type finishing panel apparatus}
본 발명은 조립식 마감판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공 및 유지보수 편의성이 개선되는 조립식 마감판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및 선박 등의 구조물에는 내부 구역을 주거공간, 화장실, 창고 등 용도에 따라 구획하기 위한 벽체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벽체는 구조물의 내구성 및 안전성을 고려하여 철근 콘크리트, 강판, 섬유강화수지 등 고강도의 구조재료로 구성되며, 구조물의 시공 및 건조 최종단계에서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외관을 제공하기 위해 마감 처리된다.
한편, 종래에는 페인트, 벽지, 타일 등의 마감재를 도포 및 접착하는 마감 처리를 통해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질감이나 디자인을 구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종래의 마감재는 벽체에 도포되거나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는 과정에서, 천장이나 바닥 등 마감 처리 대상인 벽체와 무관한 부분에 오염을 유발하는 경우가 많고, 숙련도에 따라 시공 품질의 편차가 크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마감 처리 이후, 마감재의 건조를 위한 추가 시간이 요구되므로 전반적인 시공 기간이 증가되어 불편함을 유발하였다. 이로 인해, 마감재의 변색/파손에 따른 유지보수나 교체를 위한 재시공 과정에 많은 비용이 소모되며, 긴 시공기간으로 인한 부가적인 불편함을 유발하므로 소비자의 여러 가지 요구에 대한 탄력적인 대응이 힘들고 만족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806359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시공 및 유지보수 편의성이 개선되는 조립식 마감판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대상벽체에 결합되는 서포트프레임; 중앙부가 상기 서포트프레임의 일단부에 밀착 결합되되 상기 서포트프레임으로부터 폭방향 양측으로 돌출된 외곽부에 연계결합부가 형성되어 상기 서포트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단 배치되는 복수의 결합베이스; 및 상기 대상벽체를 커버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각 연계결합부에 착탈되는 결합조인트가 구비된 마감판넬을 포함하며, 상기 각 결합베이스는 중앙부에 체결부재가 관통되는 체결홀이 형성되는 판 형상의 지지몸체부와, 상기 지지몸체부의 타단부에 일체로 돌설되되 상기 서포트프레임의 폭방향 양측단부를 감싸 면접촉 및 형합되도록 상기 서포트프레임의 폭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 한 쌍의 지지돌기를 포함하되, 상기 각 지지돌기는 타단부가 상기 대상벽체에 밀착 지지되도록 상기 서포트프레임의 두께에 대응되는 두께로 돌설되며, 상기 연계결합부는 상기 지지몸체부의 일면부로부터 상기 지지돌기의 내부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결합조인트는 상기 연계결합부의 단면적을 초과하는 크기로 구비되어 상기 연계결합부의 테두리에 안착되는 베이스바디부와, 상기 베이스바디부의 타단부에 돌설되어 상기 연계결합부에 끼움 고정되는 탄성링돌기를 포함하되, 상기 탄성링돌기는 상기 연계결합부의 단면적을 초과하는 최대단면적을 갖되 타단부가 상기 연계결합부의 단면적 미만으로 협소화되며, 상기 탄성링돌기에는 상기 연계결합부에 대한 삽입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변형유도홀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변형유도홀은 상기 탄성링돌기에서 상기 연계결합부의 단면적을 초과하도록 구비된 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바디부의 일단부에는 외주를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 판넬결합돌기가 돌설되되, 상기 마감판넬에는 상기 판넬결합돌기가 회전 체결되는 조인트결합부가 구비되며, 상기 탄성링돌기는 상기 연계결합부의 깊이 이하의 삽입방향 최대변형크기를 갖도록 구비되되, 상기 베이스바디부의 테두리에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함몰된 그립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마감판넬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종래에 상기 대상벽체가 타일/벽지나 페인트 등으로 직접 시공되는 것과 달리, 이미 마감 처리되거나 별도의 마감처리가 불필요하도록 구비된 마감판넬이 서포트프레임 및 결합베이스를 통해 대상벽체에 설치되며 간접적인 마감 처리가 이루어지므로 시공 및 유지보수 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둘째, 상기 결합조인트의 탄성링돌기가 상기 서포트프레임에 결합된 결합베이스의 연계결합부와 정렬된 상태에서 마감판넬을 대상벽체측으로 가압하기만 하면, 탄성링돌기가 연계결합부에 끼움되며 압축되되 탄성 복원력을 통한 팽창 방향의 압력으로 고정되므로 제품의 시공 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셋째, 상기 결합베이스에 돌설된 지지돌기가 서포트프레임의 양측단부를 감싸 형합됨과 동시에 대상벽체의 표면에 밀착되어 좌우/상하방향의 유격공간이 제거되므로 선박 등에 적용된 마감판넬의 흔들림 및 그에 따른 소음 발생량이 최소화되어 고급화된 내장 인테리어가 가능하다.
넷째, 상기 베이스바디부가 결합베이스에 밀착되며 상기 탄성링돌기의 삽입 깊이를 제한함에 따라 복수의 결합조인트가 결합베이스를 따라 정렬되어 마감판넬의 표면 굴곡이 최소화되므로 제품의 시공 품질이 개선됨과 더불어, 결합베이스 및 결합조인트 간의 유격공간이 제거되어 마감판넬의 흔들림 및 그에 따른 소음 발생량이 최소화되므로 더욱 고급화된 내장 인테리어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마감판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마감판넬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마감판넬장치의 결합베이스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마감판넬장치의 분해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마감판넬장치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마감판넬장치에서 결합조인트 및 마감판넬의 변형예를 나타낸 분해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마감판넬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마감판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마감판넬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마감판넬장치의 결합베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마감판넬장치의 분해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마감판넬장치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따른 조립식 마감판넬장치에 결합조인트 및 마감판넬의 변형예를 나타낸 분해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립식 마감판넬장치(100)는 서포트프레임(10), 결합베이스(20), 그리고 마감판넬(3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서포트프레임(10)은 대상벽체(m)에 결합되는 지지구조체로, 대상벽체(m)에 대한 결합이 용이하면서도 내구성이 뛰어난 합판(plywood) 등의 건축재료로 구비되되, 사각단면을 갖는 바(bar) 형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대상벽체(m)는 일반적인 건축물이나 선박 등에서 구조물의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을 구획하거나, 내부공간을 주거, 화장실, 창고 등과 같이 용도에 따라 구획하는 다양한 벽체를 포괄하는 의미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대상벽체(m)는 상기 내부공간과 대향되는 마감면이 구조물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하나 이상의 평탄부(m1,m3)와, 연속 배치된 두 평탄부(m1,m3) 사이를 소정의 각도로 연결하는 절곡부(m2)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포트프레임(10)은 상기 각 평탄부(m1,m3)를 따라 설치되되, 각 평탄부(m1,m3)의 면적과 각 평탄부(m1,m3)를 커버하기 위한 마감판넬(30)의 면적에 따라 배열 및 개수가 설정된다.
예를 들어, 상기 서포트프레임(10)은 각 평탄부(m1,m3)의 테두리에 인접한 부분을 따라 사각틀 형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각 평탄부(m1,m3) 및 각 마감판넬(30)의 상하방향 길이 또는 좌우방향 폭에 따라 사각틀 내부에 상하 또는 좌우방향으로 추가 배열되며 격자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즉, 하나의 평탄부(m1,m3)에는 하나 이상의 서포트프레임(10)이 설치될 수 있으며, 각 서포트프레임(10)은 동일한 좌우방향 폭, 전후방향 두께를 갖도록 규격화되되 상이한 길이를 갖도록 구비되되, 좌우방향 폭 및 전후방향 두께가 동일한 정사각단면으로 구비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각 서포트프레임(10)은 타단부가 대상벽체(m)의 마감면에 밀착되도록 결합되며, 대상벽체(m)의 소재에 따라 구조용 접착제, 스크류, 못 등을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포트프레임(10)의 타단부는 상기 대상벽체(m)의 마감면과 대향되는 타단면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결합베이스(20)는 중앙부가 상기 서포트프레임(10)의 일단부에 밀착 결합되되, 상기 서포트프레임(10)으로부터 폭방향 양측으로 돌출된 외곽부에 연계결합부(21)가 형성된다.
즉, 상기 결합베이스(20)는 상기 서포트프레임(10)의 폭을 초과하는 폭을 갖도록 구비되되, 중앙부가 서포트프레임(10)의 일면부에 밀착된 상태에서 서포트프레임(10)의 양측으로 돌출된 부분에 원형단면의 홀 또는 홈 형상으로 한 쌍의 연계결합부(21)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베이스(20)는 상기 서포트프레임(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결합된다. 즉, 하나의 서포트프레임(10)에는 하나 이상의 결합베이스(20)가 결합되며, 결합베이스(20)의 결합 위치 및 배치 개수는 각 평탄부(m1,m3) 및 각 마감판넬(30)의 면적에 따라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상기 마감판넬(30)의 지지를 위한 소형의 결합베이스(20)가 대상벽체(m)에 직접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대상벽체(m)와 넓은 접촉면적을 갖도록 결합되는 서포트프레임(10)을 연계하여 설치되므로 구조적인 안정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감판넬(30)의 위치에 따라 복수의 결합베이스(20)에 대한 설치 위치를 일일이 설정하는 것이 아니라, 마감판넬(30)에 대응되는 위치로 서포트프레임(10)이 설치되면 각 서포트프레임(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결합베이스(20)에 대한 설치 위치가 한번에 설정될 수 있어 시공 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마감판넬(30)은 상기 대상벽체(m)를 커버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마감판넬(30)은 강도 및 내구성이 뛰어난 합판(plywood) 등의 건축재료를 소재로 한 판형상으로 구비된다.
여기서, 하나의 마감판넬(30)은 각 평탄부(m1,m3)의 면적 이하의 면적을 갖도록 구비되되, 복수의 마감판넬(30)은 각각의 단부가 상호 연속 배열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대상벽체(m) 전체의 평탄부(m1,m3) 및 절곡부(m2)를 커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감판넬(30)의 타단부에는 상기 각 연계결합부(21)에 착탈되는 결합조인트(40)가 구비된다. 즉, 상기 마감판넬(30)에는 대상벽체(m), 대상벽체(m)에 설치된 서포트프레임(10), 서포트프레임(10)에 설치된 결합베이스(20) 등과 대향되는 타면부에 결합조인트(4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결합조인트(40)는 상기 마감판넬(30)이 상기 대상벽체(m)에 설치될 최종 위치에서, 각 결합베이스(20)의 연계결합부(21)와 대향되는 부분에 구비되며, 하나의 마감판넬(30)에는 하나 이상의 결합조인트(40)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조인트(40)는 상기 연계결합부(21)에 착탈되되, 상기 결합조인트(40) 및 상기 연계결합부(21)가 결합됨에 따라 상기 마감판넬(30)이 결합베이스(20) 및 서포트프레임(10)에 지지되어 상기 대상벽체(m)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감판넬(30)의 일단부(32)는 페인트, 벽지, 유광 또는 무광으로 색조처리된 합성수지, 폼수지, 인테리어 필름 등에 의해 마감 처리될 수 있으며, 상기 마감판넬(30) 자체가 색조처리된 합성수지 등으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마감판넬(30)의 일단부에 타일 등이 덧댐되거나, 상기 마감판넬(30)의 일단부가 타일 형상으로 가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상기 대상벽체(m)의 마감면이 타일/벽지나 페인트 등으로 직접 시공되는 것이 아니라, 결합베이스(20) 및 서포트프레임(10)을 통해 착탈되되 이미 마감 처리되거나 별도의 마감처리가 불필요한 마감판넬(30)을 통해 간접적으로 마감 처리되므로 신속하면서도 편리한 시공이 가능하다.
즉, 수직 배열된 대상벽체(m)와 달리, 대상벽체(m)의 각 평탄부(m1,m3) 면적 또는 평탄부(m1,m3) 면적의 이하로 구비된 마감판넬(30)은 작업 위치 및 방법의 제한이 적어 작업 난이도가 낮으므로 자체적인 마감 처리가 매우 용이하다.
또한, 상기 대상벽체(m)의 각 평탄부(m1,m3)에 하나 또는 둘 정도의 마감판넬(30)이 결합조인트(40) 및 결합베이스(20) 간 결합으로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접착제나 페인트 등을 이용한 마감 처리와 달리 별도의 건조 시간이 요구되지 않아 실내공간이 즉시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최초 시공 공정뿐만 아니라, 유지보수나 리모델링 등을 위한 재시공의 편의성 및 효율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마감판넬(30)은 기설정된 비율로 분할되어 상기 대상벽체(m)의 평탄부(m1)를 커버하는 복수의 베이스판넬(30a,30b)과, 상기 대상벽체(m)의 절곡부(m2)에 인접 배치된 베이스판넬(30a,30b) 간의 이격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원호형관체의 라운드판넬(30c)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베이스판넬(30a,30b)은 평탄한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평탄부(m1)를 커버하는 부분으로, 상기 평탄부(m1)의 상하방향 길이 또는 좌우방향 폭에 따라 복수로 분할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베이스판넬(30a,30b)은 상기 평탄부(m1)의 전체면적 중 기설정된 비율로 분할된 부분에 대응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복수의 베이스판넬(30a,30b)이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다단 배열됨에 따라 평탄부(m1)가 커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평탄부(m1)의 상하방향 길이가 긴 경우에는 평탄부(m1)의 상부영역, 하부영역 각각에 대응되는 크기의 베이스판넬(30a,30b)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평탄부의 좌우 폭이 넓은 경우에는 상기 평탄부의 좌측영역, 우측영역 각각에 대응되는 크기의 베이스판넬이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하나의 평탄부는 상하 또는 좌우방향으로 2단 이상 분할되거나, 상하 및 좌우로 동시 분할되는 것도 가능하며, 분할된 각각에 대응되는 면적으로 각 베이스판넬이 구비된다.
이처럼, 수직 배열된 대면적의 대상벽체(m)를 직접 마감 처리하는 종래와 달리, 소면적의 마감판넬(30)은 작업 위치 및 방법의 제한 없이 편리하게 마감 처리될 수 있으며, 마감처리가 완료된 마감판넬(30)가 대상벽체(m)에 장착되어 신속하면서도 편리한 시공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평탄부(m1)의 전체면적은 절곡부(m2)측 인접 영역을 제외한 부분의 면적을 의미한다. 즉, 상기 베이스판넬(30a,30b)은 상기 평탄부(m1)의 상단 및 하단 테두리를 완전하게 커버하되, 상기 절곡부(m2)와 인접한 부분이 노출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판넬(30a,30)의 폭방향 단부로부터 외측으로 노출된 부분에 설치된 결합베이스(20) 또는 연계결합부(21)를 통해 상기 라운드판넬(30c)이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라운드판넬(30c)에 의해 상기 베이스판넬(30a,30b)로부터 노출된 절곡부(m2) 및 절곡부(m2)에 인접한 평탄부(m1,m3)가 커버될 수 있다.
여기서, 이격단부는 절곡부(m2)의 일측 평탄부(m1)에 설치된 베이스판넬(30a,30b)의 폭방향 타측단부 및 절곡부(m2)의 타측 평탄부(m3)에 설치된 베이스판넬의 폭방향 일측단부를 의미한다.
이때, 상기 라운드판넬(30c)은 기설정된 곡률로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폭방향 양단부가 양측 평탄부(m1,m3)에 설치된 각 베이스판넬의 이격단부에 접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실질적인 대상벽체(m)의 절곡부(m2) 형상과 무관하게 베이스판넬(30a,30b) 간의 연결부분이 라운딩 처리될 수 있다.
즉, 대상벽체(m)의 절곡부(m2)가 곡면형태의 라운드판넬(30c)에 의해 커버되므로, 선박 등의 롤링시 승객이 절곡부(m2)에 부딪혀 다치는 등의 안전사고가 예방될 수 있으며, 시각장애인, 노약자 등을 위한 특수 실내공간에 적합한 고안전성의 마감 인테리어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포트프레임(10)은 상기 베이스판넬(30a,30b) 및 상기 라운드판넬(30c)의 경계라인(10c), 상기 베이스판넬(30a,30b) 사이의 경계라인(10b)을 포함하는 기설정된 권장결합라인을 따라 다단 배열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권장결합라인은 상기 평탄부(m1,m3)의 상단 및 하단 테두리, 종단부측 테두리 등 마감판넬(3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테두리영역으로 기설정될 수 있다. 즉, 마감판넬(30)의 테두리 부분에 대한 들썩임을 방지할 수 있는 위치로 기설정된다.
그리고, 상기 권장결합라인은 상기 평탄부(m1,m3)의 면적에 따라 분할된 베이스판넬(30a,30b) 간의 경계라인(10c), 절곡부(m2)에 따라 분할된 베이스판넬(30a,30b) 및 라운드판넬(30c) 간의 경계라인(10b)을 더 포함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각 경계라인(10b,10c)을 따라 설치된 서포트프레임(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결합베이스(20)가 설치되면, 각각의 결합베이스(20)는 경계라인(10b,10c)에 인접한 두 판넬의 테두리를 따라 배열된 두 열의 결합조인트(40)가 결합되는 두 열의 연계결합부(21)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판넬 간 연결부분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결합베이스(20)는 판 형상의 지지몸체부(20a)와, 상기 지지몸체부(20a)의 타단부에 일체로 돌설된 한 쌍의 지지돌기(20b)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이때, 상기 연계결합부(21)는 상기 지지몸체부(20a)의 일면부로부터 상기 지지돌기(20b)의 내부를 따라 형성되되, 상기 지지돌기(20b)를 완전하게 관통한 홀 형상 또는 지지돌기(20b)를 부분적으로 관통한 홈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몸체부(20a)의 중앙부에는 체결홀(22)이 관통 형성되어, 나사(p) 등의 체결부재를 통해 상기 서포트프레임(1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돌기(20b)는 상기 지지몸체부(20a)의 타단부 양측에 상기 서포트프레임(10)의 폭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도록 돌설되며, 각각이 상기 서포트프레임(10)의 전후방향 두께에 대응되는 두께를 갖도록 돌설된다.
여기서, 전후방향은 대상벽체(m)의 마감면을 기준으로 한 수선방향으로, 마감면으로부터 가까워지고 멀어지는 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몸체부(20a)가 상기 서포트프레임(10)의 일단부에 밀착 결합되면, 상기 지지돌기(20b)의 내측면이 상기 서포트프레임(10)의 폭방향 양측단부를 감싸 면접촉 및 형합된다. 즉, 상기 결합베이스(20)의 타단부에는 상기 지지돌기(20b) 사이를 따라 서포트프레임(10)의 폭방향 양측단부 및 일단부를 감싸 형합되는 형합홈(23)이 형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지지돌기(20b)의 타단부가 상기 대상벽체(m)의 표면에 밀착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결합베이스(20)의 좌우 또는 상하방향 유동이 최소화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베이스(20)를 통해 지지되는 마감판넬(30)이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어 제품의 시공 품질이 개선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결합베이스(20)가 대상벽체(m) 및 서포트프레임(10) 양자에 면접촉되며 좌우/상하방향의 유격공간이 제거된 상태에서 마감판넬(30)을 지지하므로, 선박 등에 적용된 마감판넬(30)의 흔들림 및 그에 따른 소음 발생량이 최소화되어 고급화된 내장 인테리어가 가능하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결합조인트(40)는 상기 연계결합부(21)의 테두리에 안착되는 베이스바디부(40a)와, 상기 베이스바디부(40a)의 타단부에 돌설되어 상기 연계결합부(21)에 끼움 고정되는 탄성링돌기(40b)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결합조인트(40)는 높은 강도를 가지면서도 소정의 탄성을 갖는 수지 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후술될 베이스바디부(40a), 탄성링돌기(40b), 판넬결합돌기(40c)는 결합조인트(40)의 각 부분을 기능에 따라 지칭하는 것으로 베이스바디부(40a), 탄성링돌기(40b), 판넬결합돌기(40c)는 하나의 부재로 일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베이스바디부(40a)는 상기 연계결합부(21)의 단면적을 초과하는 크기의 판 형상으로 구비되되, 상기 탄성링돌기(40b)의 삽입 깊이를 제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링돌기(40b)는 상기 베이스바디부(40a)의 타단면 중앙부에 돌설되되, 구형 또는 상기 연계결합부(21)에 삽입되는 방향으로부터 직교되는 방향의 단면적이 원형으로 구비된 원통형으로 구비되며, 상기 연계결합부(21)의 단면적을 초과하는 최대단면적을 갖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탄성링돌기(40b)는 상기 연계결합부(21)에 삽입되는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연계결합부(21)의 단면적을 초과하도록 구비된다.
상세히,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탄성링돌기(40b)가 상기 연계결합부(21)와 정렬된 상태에서 마감판넬(30)을 대상벽체(m)측으로 가압하면, 탄성링돌기(40b)가 연계결합부(21)에 끼움된다.
이때, 상기 탄성링돌기(40b)는 상기 연계결합부(21)을 향한 삽입시 상기 연계결합부(21)의 단면적을 초과하는 단면적을 갖는 부분이 상기 연계결합부(21) 내부의 좁은 공간에서 압축되고, 팽창 방향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연계결합부(21)의 내면에 압착된다. 이에 따라, 탄성링돌기(40b)가 연계결합부(21)의 내부에 고정되고 마감판넬(30) 및 결합조인트(40)가 대상벽체(m)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감판넬(30)이 대상벽체(m)로부터 이격되도록 당겨지면, 상기 탄성링돌기(40b)가 연계결합부(21)로부터 이탈되고 결합조인트(40) 및 결합베이스(20)가 분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마감판넬(30)의 손쉬운 착탈이 가능하므로 시공 및 유지보수 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링돌기(40b)의 외면 또는 상기 연계결합부(21)의 내면에는 요철부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상호 간의 접촉 마찰력이 증대되어 결합조인트(40) 또는 마감판넬(30)이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링돌기(40b)의 타단부는 상기 연계결합부(21)의 단면적 미만으로 협소화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탄성링돌기(40b)의 협소화된 타단부를 통해 상기 연계결합부(21)의 내부에 대한 초기 삽입 위치가 안내되어 더욱 용이한 조립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탄성링돌기(40b)에는 상기 연계결합부(21)에 대한 삽입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변형유도홀(41)이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변형유도홀(41)은 상기 탄성링돌기(40b)에서 상기 연계결합부(21)의 단면적을 초과하도록 구비된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탄성링돌기(40b)의 탄성 변형량이 증대될 수 있으며, 탄성링돌기(40b) 및 연계결합부(21)의 결합시 과도한 마찰 또는 변형 압력으로 인한 파손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변형유도홀(41)은 상기 탄성링돌기(40b)의 단면적 및 상기 연계결합부(21)의 단면적 간 편차가 보상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변형유도홀(41)은 상기 탄성링돌기(40b)에서 상기 연계결합부(21)의 단면적으로부터 가장 큰 단면적 편차를 갖는 최대단면적 부분에 최대내경부가 배치되되, 최대단면적 부분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단면적 또는 내경이 감소되도록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탄성링돌기(40b)는 최대단면적 부분에서 탄성 변형량이 가장 크고 최대단면적 부분에서 멀어질수록 탄성변형량이 감소된다. 즉, 상기 탄성링돌기(40b)의 각 부분에서 탄성 복원력으로 인한 고정력이 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탄성링돌기(40b) 및 연계결합부(21)의 결합이 더욱 안정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링돌기(40b)는 상기 연계결합부(21)의 전후방향 깊이 이하의 삽입방향 최대변형크기를 갖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탄성링돌기(40b)가 상기 연계결합부(21)에 삽입되면, 상기 연계결합부(21)의 단면적에 따라 상기 탄성링돌기(40b)의 최대단면적 부분이 반경방향 내측으로 압축되며, 상기 연계결합부(21)에 대한 삽입방향인 전후 두께방향의 길이가 증가되도록 탄성 변형된다.
이때, 최대변형크기는 상기 탄성링돌기(40b)에서 연계결합부(21)의 단면적을 초과하는 부분이 상기 연계결합부(21)의 협소화된 내부공간으로 완전하게 삽입되어 변형이 완료된 상태에서의 탄성링돌기(40b)의 전후 두께방향 길이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탄성링돌기(40b)가 상기 연계결합부(21) 내부로 완전하게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바디부(40a)가 상기 지지몸체부(20a)의 표면에 밀착될 수 있다.
즉, 상기 마감판넬(30)의 타단부에 복수 배열된 결합조인트(40)가 서포트프레임(10)을 따라 설치된 복수의 결합베이스(20)의 표면을 따라 정렬 배치될 수 있으며, 복수의 결합베이스(20) 및 복수의 결합조인트(40) 간 결합간격의 편차로 인한 마감판넬(30)의 표면 굴곡이 최소화되어 제품의 시공 품질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바디부(40a)가 상기 지지몸체부(20a)에 면접촉되며, 진동시 소음을 유발할 수 있는 유격공간이 제거되므로 선박 등에 적용된 마감판넬(30)의 흔들림 및 그에 따른 소음 발생량이 최소화되어 더욱 고급화된 내장 인테리어가 가능하다.
한편, 상기 베이스바디부(40a)의 일단부에는 외주를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 판넬결합돌기(40c)가 돌설되되, 상기 마감판넬(30)에는 상기 판넬결합돌기(40c)가 회전 체결되는 조인트결합부(31)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조인트결합부(31)는 상기 판넬결합돌기(40c)에 대응되는 홈 또는 홀로 구비되되, 내주를 따라 상기 판넬결합돌기(40c)의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결합조인트(40) 및 마감판넬(30)의 조립 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바디부(40a)의 테두리에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함몰된 그립홈(42)이 형성되며, 상기 그립홈(42)이 작업자의 손이나 스냅링 플라이어 등의 공구를 통해 물림되어 결합조인트(40)가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다.
즉, 상기 결합조인트(40)는 원주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마감판넬(30)에 결합되되, 마감판넬(30)과 함께 수선방향으로 가압되고 당겨져 상기 결합베이스(20)에 착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마감판넬(30)의 착탈시 상기 결합조인트(40)의 분리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바디부(40a)의 일단부에는 접착제 등이 추가 도포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에는 그립홈(42)의 내측으로 유입된 접착제가 베이스바디부(40a)의 회전을 제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물론, 도 6a와 같이, 상기 마감판넬(230)의 두께가 얇은 경우에는 상기 결합조인트(240)는 탄성링돌기(240b)와 베이스바디부(240a)를 포함하여 구비되되, 상기 베이스바디부(240a)의 일단부는 평탄하게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바디부(240a)의 일단부는 접착제를 통해 상기 마감판넬(23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베이스바디부(240a) 및 마감판넬(230) 사이에 도포된 접착제가 상기 베이스바디부(240a)의 양측 테두리에 형성된 그립홈(42)의 내측으로 유입되어 경화됨에 따라 베이스바디부(240a) 및 마감판넬(230)가 더욱 일체감 있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 6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마감판넬(230)에는 상기 결합조인트(40)의 체결을 위한 너트베이스(350)가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너트베이스(350)는 상기 판넬조립돌기(40c)가 체결되는 너트본체(350b)와, 상기 너트본체(350b)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되어 추가 접착면적을 제공하는 접착날개부(350a)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마감판넬의 두께로 인한 제한 없이 결합조인트가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한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0: 조립식 마감판넬장치 10: 서포트프레임
20: 결합베이스 30: 마감판넬
40: 결합조인트

Claims (5)

  1. 대상벽체에 결합되는 서포트프레임;
    중앙부가 상기 서포트프레임의 일단부에 밀착 결합되되 상기 서포트프레임으로부터 폭방향 양측으로 돌출된 외곽부에 연계결합부가 형성되어 상기 서포트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단 배치되는 복수의 결합베이스; 및
    상기 대상벽체를 커버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각 연계결합부에 착탈되는 결합조인트가 구비된 마감판넬을 포함하며,
    상기 각 결합베이스는 중앙부에 체결부재가 관통되는 체결홀이 형성되는 판 형상의 지지몸체부와, 상기 지지몸체부의 타단부에 일체로 돌설되되 상기 서포트프레임의 폭방향 양측단부를 감싸 면접촉 및 형합되도록 상기 서포트프레임의 폭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 한 쌍의 지지돌기를 포함하되, 상기 각 지지돌기는 타단부가 상기 대상벽체에 밀착 지지되도록 상기 서포트프레임의 두께에 대응되는 두께로 돌설되며,
    상기 연계결합부는 상기 지지몸체부의 일면부로부터 상기 지지돌기의 내부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결합조인트는 상기 연계결합부의 단면적을 초과하는 크기로 구비되어 상기 연계결합부의 테두리에 안착되는 베이스바디부와, 상기 베이스바디부의 타단부에 돌설되어 상기 연계결합부에 끼움 고정되는 탄성링돌기를 포함하되, 상기 탄성링돌기는 상기 연계결합부의 단면적을 초과하는 최대단면적을 갖되 타단부가 상기 연계결합부의 단면적 미만으로 협소화되며,
    상기 탄성링돌기에는 상기 연계결합부에 대한 삽입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변형유도홀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변형유도홀은 상기 탄성링돌기에서 상기 연계결합부의 단면적을 초과하도록 구비된 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바디부의 일단부에는 외주를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 판넬결합돌기가 돌설되되, 상기 마감판넬에는 상기 판넬결합돌기가 회전 체결되는 조인트결합부가 구비되며,
    상기 탄성링돌기는 상기 연계결합부의 깊이 이하의 삽입방향 최대변형크기를 갖도록 구비되되, 상기 베이스바디부의 테두리에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함몰된 그립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마감판넬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70064107A 2017-05-24 2017-05-24 조립식 마감판넬장치 KR1019070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4107A KR101907085B1 (ko) 2017-05-24 2017-05-24 조립식 마감판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4107A KR101907085B1 (ko) 2017-05-24 2017-05-24 조립식 마감판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7085B1 true KR101907085B1 (ko) 2018-10-11

Family

ID=63865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4107A KR101907085B1 (ko) 2017-05-24 2017-05-24 조립식 마감판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708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0852B1 (ko) * 2010-07-30 2011-12-08 주식회사 백림종합건축사사무소 내/외장 패널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0852B1 (ko) * 2010-07-30 2011-12-08 주식회사 백림종합건축사사무소 내/외장 패널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50581B2 (en) Cork-based tile for privacy apparatuses and method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AU2018238972B2 (en) Finishing panel fixing device
KR101548905B1 (ko) 이탈방지를 강화한 금속천장재 고정장치
US3298147A (en) Detachable building trim
US9493945B2 (en) Wall panel connecting system for modular building units
KR101907085B1 (ko) 조립식 마감판넬장치
KR101365959B1 (ko) 인테리어 타일형 실내 벽체 마감재
US6421961B1 (en) Modular organizer
US3075621A (en) Wall panel and process of assembling same
KR102360590B1 (ko) 천장몰딩용 연결기구
KR101911829B1 (ko) 전시장 부스용 바닥 구조물
KR20140003660U (ko) 천정몰딩 시공체
EP2784247B1 (en) Fence or building cladding
JP6856249B2 (ja) 内装用石膏ボードの取付装置と取付方法
KR20170119498A (ko) 패널 마감용 클립 브라켓
JPH0349001Y2 (ko)
JP3911281B2 (ja) 可動コマ用バネと、そのバネを使用したレール用可動コマと、その可動コマを使用した物品取付け用スライド材及びそれを使用した物品取付け構造
JP3376522B2 (ja) 建物用手摺
KR20000003120A (ko) 건축내장용 천장재
JP6848386B2 (ja) 丸パイプの接続構造
JP2559726Y2 (ja) 天井材取り付け構造
KR101782785B1 (ko) 마감타일 고정장치
KR100663748B1 (ko) 파티션
JPH0960426A (ja) プラスチックドア枠及びその施工方法
JPH0626660Y2 (ja) 天井シ−ト張設用廻り縁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