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6475B1 - 구강관리장치 - Google Patents

구강관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6475B1
KR101906475B1 KR1020170073960A KR20170073960A KR101906475B1 KR 101906475 B1 KR101906475 B1 KR 101906475B1 KR 1020170073960 A KR1020170073960 A KR 1020170073960A KR 20170073960 A KR20170073960 A KR 20170073960A KR 101906475 B1 KR101906475 B1 KR 1019064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eth
space
user
oral
cil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3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환
Original Assignee
이종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환 filed Critical 이종환
Priority to KR1020170073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64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6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64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46B9/045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specially adapted for cleaning a plurality of tooth surfaces simultaneous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for multiple sensor units attached to the patient, e.g. using a body or personal area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2Ergometry; Measuring muscular strength or the force of a muscular blow
    • A61B5/224Measuring muscular strength
    • A61B5/228Measuring muscular strength of masticatory organs, e.g. detecting dental for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36Devices acting between upper and lower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3/00Gum mass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ntist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Epidemi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아에 끼운 상태에서 씹는 과정을 통해서 치아에 낀 플라그를 비롯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잇몸을 마사지하며 치아와 잇몸을 고정함에 따라 구강 구조를 교정함과 동시에 센서가 구비되어 수신된 구강정보를 통하여 사용자가 구강건강을 확인할 수 있는 구강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른, 본 발명은 양치질 대용과 잇몸 마사지를 통해서 치과질환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고 장기간 사용시에 부정교합을 비롯하여 치아교정에 효과가 있으며 치주염 및 충치 예방하는 효과가 있고 구강 구조 교정을 통해 이갈이, 코골이, 사각턱 등을 교정하는 효과가 있으며 친환경적 베이킹 파우더 등과 같이 사용하면 미백 효과가 있고 씹는 운동을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용자별 또는 국민 보건에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구강관리장치 {ORAL CARE DEVICE}
본 발명은 구강관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치아에 끼운 상태에서 씹는 과정을 통해서 치아에 낀 플라그를 비롯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잇몸을 마사지하며 치아와 잇몸을 고정함에 따라 구강 구조를 교정함과 동시에 센서가 구비되어 수신된 구강정보를 통하여 사용자가 구강건강을 확인할 수 있는 구강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구강 건강을 위하여 치과 의료업계에서 하루 3번, 식사 후 3분 이내에 3분 동안 하는 3, 3, 3 양치질을 권고하고 있지만, 여러 가지 이유에 의해서 3, 3, 3 양치질을 지키지 못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고 있었다.
이 중에서, 일반적인 칫솔을 사용하기 어려운 사용자는 더욱 3, 3, 3 양치질을 지키지 못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함에 따라 손쉽게 양치질 할 수 있는 마우스피스형 칫솔이 개발되고 있는데 대표적으로 대한민국등로특허공보 제10-1195723호인 마우스피스형 칫솔은 윗니와 아랫니가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상부와 하부에 형성된 몸체부, 상기 삽입홈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앞니, 송곳니 및 앞어금니를 포함하여 닦아주는 제 1 브러쉬부, 상기 제 1 브러쉬부와 연동회전됨과 동시에 양측 길이방향으로 전후진 가능하게 각각 설치되어 뒤어금니를 닦아주는 제 2 브러쉬부, 및 상기 제 1, 2 브러쉬부를 정역회전시켜주는 구동부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줄을 반복적으로 잡아 당기는 동안에 원만한 양치질을 할 수 있다고 하지만, 줄을 반복적으로 잡아당김에 따라 잔고장이 많고 설계가 복잡하여 수리가 어려우며 사용자의 잇몸을 보호하기 위한 기술은 없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95723호(2012.10.29 공고)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씹는 과정을 통해서 이빨에 낀 플라그를 비롯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잇몸을 마사지하여 구상을 건강하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다른 목적은 잇몸의 건강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가 구강 건강상태를 확인하고 이를 대처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구강관리장치는 윗니를 포함한 상부 잇몸이 끼워 고정되면서 윗니가 끼워지는 제 1 공간 내부에 다수의 섬모가 구비된 상부 고정틀과; 아랫니를 포함한 하부 잇몸이 끼워 고정되면서 아랫니가 끼워지는 제 2 공간 내부에 다수의 섬모가 구비된 하부 고정틀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상부 고정틀과, 하부 고정틀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해결 수단으로 한다.
다음, 상기 상부 고정틀의 제 1 공간과 연속된 상부 잇몸이 끼워지는 제 2 공간과 상기 하부 고정틀의 제 3 공간과 연속된 하부 잇몸이 끼워지는 제 4 공간에 섬모, 돌기, 섬모와 돌기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되는 것을 해결 수단으로 한다.
다음, 상기 일체형으로 형성된 상기 상부 고정틀과 상기 하부 고정틀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해결 수단으로 한다.
다음, 상기 일체형으로 형성된 상부 고정틀과 하부 고정틀은 잇몸의 열을 감지하는 다수의 열감지 센서부와; 씹는 압력을 감지하는 다수의 압력 센서부와; 상기 다수의 열감지 센서부에서 감지한 다수의 온도데이터와 상기 다수의 열감지 센서부에서 감지한 다수의 압력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부; 및 상기 다수의 열감지 센서부, 상기 다수의 압력 센서부, 상기 송신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로 이루어진 것을 해결 수단으로 한다.
다음, 상기 전송부는 상기 다수의 온도데이터와 다수의 압력데이터를 사용자 이동통신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다수의 온도데이터와 다수의 압력데이터를 통해서 구강상태 질병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어플리케이션이 구비된 것을 해결 수단으로 한다.
다음, 상기 전송부는 상기 다수의 온도데이터와 다수의 압력데이터가 사용자 이동통신단말기에 전송하면 사용자 이동통신단말기가 수집한 다수의 온도데이터와 다수의 압력데이터를 서버에 전송함에 따라 상기 서버에서 전송된 현제의 데이터들을 통해서 분석된 구강정보를 이동통신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해결 수단으로 한다.
다음, 상기 전원부는 치아의 씹는 과정을 통해서 전원이 생성되는 발진장치로 구성된 것을 해결 수단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양치질 대용과 잇몸 마사지를 통해서 치과질환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고 장기간 사용시에 부정교합을 비롯하여 치아교정에 효과가 있으며 치주염 및 충치 예방하는 효과가 있고 구강 구조 교정을 통해 이갈이, 코골이, 사각턱 등을 교정하는 효과가 있으며 친환경적 베이킹 파우더 등과 같이 사용하면 미백 효과가 있고 씹는 운동을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용자별 또는 국민 보건에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강관리장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 고정틀과 하부 고정틀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 고정트르이 제 2 공간, 하부 고정틀의 제 4 공간에 섬모와 돌기가 구성되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통홀이 형성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열감지센서, 다수의 압력센서 구성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이동통신단말기에 온도데이터와 압력데이터를 전송하는 구성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최적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강관리장치 구성도로서, 상기 구강관리장치는 상부 고정틀(10)과 하부 고정틀(20)로 구성되되 일체형으로 구성된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상부 고정틀(10)은 윗니를 포함한 상부 잇몸이 끼워 고정되면서 윗니가 끼워지는 제 1 공간(11) 내부에 다수의 섬모(30)가 구비된다.
예컨대, 상기 상부 고정틀(10)은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공간(11)에 윗니가 끼워지고 제 2 공간(12)에 상부 잇몸이 끼워 고정되게 구성되고 상기 제 2 공간(12)에 대해서 아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 상부 고정틀(10)을 제작하기 위해서 사용자의 윗니를 포함한 그 상부 잇몸의 구강구조를 스캐닝한다.
상기 윗니를 포함한 그 상부 잇몸의 구강구조 스캐닝은 엑스레이 촬영, 3D 프린터 중 어느 하나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이외에 다른 구강구조를 스캐닝하는 다른 수단도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 고정틀(10)은 무해한 실리콘 특히, 액상 실리콘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되 강도나 탄성을 달리할 필요가 있는 부분은 무해한 천연고무 등 별도의 소재를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후, 사용자의 구강 구조에 맞게 상부 고정틀(10)이 제작되면 윗니가 끼워지는 제 1 공간(11)에 다수의 섬모(30)를 구성한다.
즉, 도 2에 도시된 (a)와 같이, 상기 다수의 섬모(30)를 구성하면 사용자의 씹는 운동을 통해서 윗니 사이의 이물질 제거를 비롯하여 윗니에 잔존하는 플라그를 제거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하부 고정틀(20)은 아랫니를 포함한 하부 잇몸이 끼워 고정되면서 아랫니가 끼워지는 제 3 공간(21) 내부에 다수의 섬모(30)가 구비된다.
예컨대, 상기 하부 고정틀(20)은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공간(21)에 아냇니가 끼워지고 제 4 공간(22)에 하부 잇몸이 끼워 고정되게 구성되고 상기 제 4 공간(22)에 대해서 아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 하부 고정틀(20)을 제작하기 위해서 상기 상부 고정틀(10)과 같이 하부 고정틀(20)을 제작하기 위해서 사용자의 윗니를 포함한 그 상부 잇몸의 구강구조를 스캐닝한다.
상기 아랫니를 포함한 그 하부 잇몸의 구강구조 스캐닝은 윗니를 포함한 그 상부 잇몸의 구강구조 스캐닝과 같이 엑스레이 촬영, 3D 프린터 중 어느 하나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이외에 다른 구강구조를 스캐닝하는 다른 수단도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 고정틀(20)은 상기 상부 고정틀(10)과 같이 무해한 실리콘 특히, 액상 실리콘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되 강도나 탄성을 달리할 필요가 있는 부분은 무해한 천연고무 등 별도의 소재를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후, 사용자의 구강 구조에 맞게 하부 고정틀(20)이 제작되면 아랫니가 끼워지는 제 3 공간(21)에 다수의 섬모(30)를 구성한다.
즉, 도 2에 도시된 (b)와 같이, 상기 다수의 섬모(30)를 구성하면 사용자의 씹는 운동을 통해서 아랫니 사이의 이물질 제거를 비롯하여 아랫니에 잔존하는 플라그를 제거하는 작용을 한다.
따라서, 상기 상부 고정틀(10)과 하부 고정틀(20)은 일체형으로 형성함에 따라 씹는 운동을 통해서 윗니와 아랫니 사이의 이물질 제거를 비롯하여 아랫니에 잔존하는 플라그를 동시에 제거하는 작용을 한다.
아울러, 상기 씹는 운동은 베이킹 파우더 등을 같이 사용하면 미백되는 작용을 한다.
한편, 상기 상부 고정틀(10)의 제 1 공간(11)과 연속된 상부 잇몸이 끼워지는 제 2 공간(12)과 상기 하부 고정틀(20)의 제 3 공간(21)과 연속된 하부 잇몸이 끼워지는 제 4 공간(22)에 섬모(30), 돌기(40), 섬모(30)와 돌기(40)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상부 고정틀(10)은 도 3에 도시된 (a)와 같이, 제 2 공간(12)에 섬모(30)와 돌기(40)가 형성됨에 따라 씹는 운동을 통해서 상부 잇몸을 마사지 하는 작용을 하며 상기 도 3의 (a)는 섬모(30)와 돌기(40)로 예시하였지만, 섬모(30) 또는 돌기(40)로 형성하여도 상부 잇몸을 마사지하는 작용을 한다.
또한, 상기 하부 고정틀(20)은 도 3에 도시된 (b)와 같이, 제 4 공간(22)에 섬모(30)와 돌기(40)가 형성됨에 따라 씹는 운동을 통해서 하부 잇몸을 마사지 하는 작용을 하며 상기 도 3의 (b)는 섬모(30)와 돌기(40)로 예시하였지만, 섬모(30) 또는 돌기(40)로 형성하여도 상부 잇몸을 마사지하는 작용을 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 일체형으로 형성된 상부 고정틀(10)과 하부 고정틀(20)은 씹는 운동을 반복하여도 탈착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일체형으로 형성된 상기 상부 고정틀(10)과 상기 하부 고정틀(20)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에 관통홀(50)을 형성할 수도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물을 이용하여 이물질을 비롯한 플라그를 제거하고자 물을 사용할 때 상기 제 1, 2, 3, 4 공간(11, 12, 21, 22)에 물이 유입되면 이를 배출하고자 관통홀(50)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때, 관통홀(5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윗니, 아랫니 밖으로 형성하는 것도 바람직하고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윗니, 아랫니 내부 즉 사용자의 혀 쪽으로 유입되게 형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며, 이를 조합하여 상기 상부 고정틀(10)은 윗니, 아랫니 밖으로 상기 하부 고정틀(20)은 사용자의 혀 쪽으로 유입되게 하는 등 다양한 조합으로 형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 상기 일체형으로 형성된 상부 고정틀(10)과 하부 고정틀(20)은 잇몸의 열을 감지하는 다수의 열감지 센서부(60)와, 씹는 압력을 감지하는 다수의 압력 센서부(70)와, 상기 다수의 열감지 센서부(60)서 감지한 다수의 온도데이터와 상기 다수의 압력 센서부(70)에서 감지한 다수의 압력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부(80) 및 상기 다수의 열감지 센서부(60), 상기 다수의 압력 센서부(70), 상기 전송부(8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90)가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열감지 센서(60)를 상부 잇몸 부근, 하부 잇몸 부근에 각각 하나만 도시하였으나 이는 단면도로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다수의 윗니, 다수의 아랫니를 지지하는 잇몸에서 온도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하여 잇몸 부근에 다수개 구성하여 온도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온도데이터를 수집하는 이유는 상기 온도데이터를 통해 구강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도 5에 도시된 (a)와 같이, 다수의 압력 센서(70)를 상부 잇몸, 하부 잇몸 그 중앙부근에 하나만 도시하였으나 이는 단면도로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다수의 윗니, 다수의 아랫니가 씹는 운동을 통해서 압력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하여 다수의 윗니, 다수의 아랫니가 씹는 운동시 압력데이터를 용이하게 수집할 수 있는 부분에 다수개 형성하여 압력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표적으로, 어금니부근, 송곳니부근, 앞니부근에 배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압력데이터를 수집하는 이유는 상기 압력데이터를 통하여 치아 교정에 활용되는 작용을 한다.
상기 전송부(80)은 다수의 온도데이터와 다수의 압력데이터를 전송한다.
즉, 상기 전송부(80)는 일체형으로 형성된 상기 상부 고정틀(10)과 상기 하부 고정틀(20) 중 어느 하나에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전송부(80)는 도 5에 도시된 (b)와 같이 하부 고정틀(20)의 어금니 뒷부분에 형성하였지만 이외에 상부 고정틀(20)에 또는 다른 부근에 여러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원부(90)는 상기 다수의 압력 센서부(70), 상기 전송부(80)에 전원을 공급한다.
예컨대, 상기 전원부(90)는 도 5에 도시된 (b)와 같이 하부 고정틀(20)의 어금니 뒷부분에 형성하였지만 이외에 상부 고정틀(20)에 또는 다른 부근에 여러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전송부(90)는 상기 다수의 온도데이터와 다수의 압력데이터를 사용자 이동통신단말기(100)에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상기 수신한 다수의 온도데이터와 다수의 압력데이터를 통해서 구강상태 질병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어플리케이션이 구비된다.
즉, 사용자 이동통신단말기(100)는 도 6에 도시된 (a)와 같이 전송부(90)에서 직접 다수의 온도데이터와 다수의 압력데이터를 수신하면 사용자 이동통신단말기(100)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온도데이터인 경우는 다수의 열감지 센서가 수집한 온도가 동일하면 정상으로 판단하고 국부적으로 차이가 나면 치주염 등 다른 질병으로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또한, 사용자 이동통신단말기(100)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압력데이터인 경우는 다수의 압력 센서가 구간별로 특히 중앙보다 양쪽에 구성된 압력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통해서 압력차가 심하면 부정교합 등 다른 질병으로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예를들어, 압력데이터를 통해서 오른쪽, 왼쪽의 씹는 압력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차이가 심하면 부정교합 등에 해당된다고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이다.
다음, 상기 전송부(80)는 상기 다수의 온도데이터와 다수의 압력데이터가 사용자 이동통신단말기(100)에 전송하면 사용자 이동통신단말기(100)가 수집한 다수의 온도데이터와 다수의 압력데이터를 서버(200)에 전송함에 따라 상기 서버(200)에서 전송된 현제의 데이터들을 통해서 분석된 구강정보를 사용자 이동통신단말기(100)에 전송한다.
즉, 상기 전송부(80)는 도 6에 도시된 (a)와 같이 서버(200)가 다수의 온도데이터와 다수의 입력데이터를 수신하면 이를 분석한다.
이때, 분석은 사용자 이동통신단말기(100)보다 하드웨어, 소프트웨어적으로 분석의 범위를 확대해서 분석할 수 있는 바, 대표적으로 수집된 데이터를 빅데이터화하고 이를 통해 분석된 정보를 사용자 이동통신단말기(100)에 전송하는 것이다.
대표적으로 상기 서버(200)는 일부 잇몸 온도가 상승하면 치주염이 발생할 수 있고 체온이 올라갔으면 몸에 열이 있는 것 같으며 체온이 상승했으니 몸에 열이 있는 것 같다 등 다양한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이동통신단말기(100)에 전송하는 것입니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압력데이터가 축적되어 빅데이터가 됨에 따라 수신되는 압력데이터를 통해서 씹는 습관을 분석하여 신규형태 제작시 실리콘 강도를 부분적으로 다르게 하여 교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전원부(80)는 치아의 씹는 과정을 통해서 전원이 생성되는 발진장치로 구성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전원부(80)는 건전지, 충전지를 활용할 수 있지만, 발진장치를 통해서 스스로 전원이 생성되고 공급되도록 하는 것도 매우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고, 이상에서 사용된 특정한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일 뿐,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고,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상부 고정틀 11 : 제 1 공간
12 : 제 2 공간 20 : 하부 고정틀
21 : 제 3 공간 22 : 제 4 공간
30 : 섬모 40 : 돌기
50 : 관통홀 60 : 다수의 열감지 센서부
70 : 다수의 압력 센서부 80 : 전송부
90 : 전원부 100 : 사용자 이동통신단말기
200 : 서버

Claims (7)

  1. 사용자의 윗니를 포함한 그 상부 잇몸의 구강구조를 스캐닝하여 제작되고, 윗니가 끼워지는 제 1 공간 내부에 사용자의 씹는 운동 중 윗니 사이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윗니에 잔존하는 플라그를 제거하는 다수의 섬모가 구비되며, 상기 제1 공간에 연속되고 상기 상부 잇몸이 끼워 고정되게 구성된 제 2 공간에 섬모, 돌기, 섬모와 돌기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된 상부 고정틀;
    사용자의 아랫니를 포함한 그 하부 잇몸의 구강구조를 스캐닝하여 제작되며, 상기 상부 고정틀과 일체형으로 구성되되, 아랫니가 끼워지는 제 3 공간 내부에 사용자의 씹는 운동 중 아랫니 사이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아랫니에 잔존하는 플라그를 제거하는 다수의 섬모가 구비되며, 상기 제 3 공간에 연속되고 상기 하부 잇몸이 끼워 고정되게 구성된 제 4 공간에 섬모, 돌기, 섬모와 돌기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된 하부 고정틀;
    잇몸의 열을 감지하는 다수의 열감지 센서부와;
    씹는 압력을 감지하는 다수의 압력 센서부와;
    상기 다수의 열감지 센서부에서 감지한 다수의 온도데이터와 상기 다수의 압력 센서부에서 감지한 다수의 압력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부;
    상기 다수의 열감지 센서부, 상기 다수의 압력 센서부, 상기 전송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상기 전송부로부터 전송된 다수의 온도데이터와 다수의 압력데이터를 수신하고, 다수의 열감지 센서부가 수집한 온도가 동일하면 정상으로 판단하고 국부적으로 차이가 나면 구강상태 질병으로 판단하며, 다수의 압력 센서부가 수집한 압력의 차이를 통해 구강상태 질병을 판단하는 어플리케이션이 구비된 사용자 이동통신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관리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으로 형성된 상기 상부 고정틀과 상기 하부 고정틀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관리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이동통신단말기가 전송한 다수의 온도데이터와 다수의 압력데이터를 수신하여 분석하고, 분석된 정보를 사용자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며, 압력데이터가 축적되어 빅데이터가 됨에 따라 수신되는 압력데이터를 통해 사용자의 씹는 습관을 분석하여 상부 고정틀 및 하부 고정틀의 신규형태 제작 시 실리콘 강도를 부분적으로 다르게 하는 치아교정 정보를 생성하는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관리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치아의 씹는 과정을 통해서 전원이 생성되는 발진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관리장치.
KR1020170073960A 2017-06-13 2017-06-13 구강관리장치 KR1019064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3960A KR101906475B1 (ko) 2017-06-13 2017-06-13 구강관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3960A KR101906475B1 (ko) 2017-06-13 2017-06-13 구강관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6475B1 true KR101906475B1 (ko) 2018-12-05

Family

ID=64743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3960A KR101906475B1 (ko) 2017-06-13 2017-06-13 구강관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64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9381A (ko) * 2019-03-25 2020-10-20 주식회사 리더스덴탈 치과적 기구물 제조방법,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23879A (ja) 2008-06-10 2011-08-25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歯をブラッシングするためのマウスピース
KR101449724B1 (ko) * 2014-02-21 2014-10-15 현기봉 구강세정장치
JP2015066402A (ja) 2013-10-01 2015-04-13 片木 敦子 衛生洗浄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23879A (ja) 2008-06-10 2011-08-25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歯をブラッシングするためのマウスピース
JP2015066402A (ja) 2013-10-01 2015-04-13 片木 敦子 衛生洗浄装置
KR101449724B1 (ko) * 2014-02-21 2014-10-15 현기봉 구강세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9381A (ko) * 2019-03-25 2020-10-20 주식회사 리더스덴탈 치과적 기구물 제조방법,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168539B1 (ko) * 2019-03-25 2020-10-21 주식회사 리더스덴탈 치과적 기구물 제조방법,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04713B2 (en) Process and resulting product for matching a mouthpiece for cleaning teeth to a user's oral geometry
KR101866180B1 (ko) 마우스피스형 칫솔
BR0113080A (pt) Dispositivo de cuidado oral, e, método de higiene oral
KR101944714B1 (ko) 마우스피스형 구강 세정장치
US9554874B2 (en) Dental devices and methods for treating one or more teeth
US20040074035A1 (en) Flexible toothbrush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906475B1 (ko) 구강관리장치
CN105232166A (zh) 隐形无托槽牙齿矫正器
CN111067801B (zh) 智能牙胶、牙齿状态检测系统及方法
CN111629687B (zh) 洁牙装置、嘴件以及洁牙装置的载体结构
KR102057149B1 (ko) 구강 세정기 및 그 제어 방법
CN107149506A (zh) 一种预防儿童龋齿的涂氟装置及其制作方法
CN112972043A (zh) 一种具有检测功能的个性化牙刷及其制造方法
KR102139071B1 (ko) 교정미백장치
JP2012249977A (ja) 内視鏡用マウスピース
CN112449587B (zh) 振动式牙齿清洁装置、有机硅外壳、牙垫及其制造方法
CN214857671U (zh) 牙齿振动矫正装置
KR101784608B1 (ko) 통공이 형성된 잇몸부를 구비한 의치
CA3106397C (en) Device for cleaning teeth
US20230115305A1 (en) Oral tray and method
CN220512946U (zh) 一种牙齿清洁器
CN201356210Y (zh) 牙弓型全口牙刷
US20220322817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Mouthpiece Toothbrush And Mouthpiece Toothbrush
KR102154805B1 (ko) 모니터링 기능이 구비된 전동 칫솔
CN207804416U (zh) 一种预防儿童龋齿的涂氟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