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6335B1 - 분리에 대응 가능한 유무선 통신 시스템 및 장치 - Google Patents

분리에 대응 가능한 유무선 통신 시스템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6335B1
KR101906335B1 KR1020170077356A KR20170077356A KR101906335B1 KR 101906335 B1 KR101906335 B1 KR 101906335B1 KR 1020170077356 A KR1020170077356 A KR 1020170077356A KR 20170077356 A KR20170077356 A KR 20170077356A KR 101906335 B1 KR101906335 B1 KR 1019063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module
communication
wireless communication
wired
antenn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7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엽
황정훈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077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63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6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63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3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d archite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리에 대응 가능한 유무선 통신 시스템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제1 통신 모듈을 구비한 이동 장치, 이에 대응하여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제2 통신 모듈과 통신선으로 연결된 제어 장치를 포함하며, 통신 모듈의 결합 상태에서는 유선 통신을 수행하고 분리 상태에서는 안테나의 기울기를 조정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특정 통신 모듈을 다른 통신 모듈과의 무선 통신을 중계하는 중계기로 기능하도록 하여 원활한 통신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분리에 대응 가능한 유무선 통신 시스템 및 장치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capable of separating}
본 발명은 통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통신 모듈이 분리됨에 따라 유선 통신 방식에서 무선 통신 방식으로 전환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분리에 대응 가능한 유무선 통신 시스템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재해나 재난 현장을 이동하며 탐사를 진행하고 감지한 정보를 외부의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는 무인 탐사 장치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무인 탐사 장치는 예측이 불가능한 극한의 상황에서도 탐사를 진행할 수 있고, 인간이 직접 탐사를 진행해야 함에 따른 안전 사고의 위험을 방지한다.
무인 탐사 장치는 외부의 제어 장치로부터 무선 통신을 이용해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동작하고 탐지 결과를 다시 제어 장치로 제공하여 사용자가 탐사 지역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그런데 무인 탐사 장치가 재난 재해 현장을 촬영한 영상과 같은 대용량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고속의 대용량 통신이 가능한 유선 케이블을 이용해 제어 장치와 무인 탐사 장치를 연결하여 통신을 수행해야 하는데, 유선 케이블은 물리적 길이에 한계가 있고, 장애물의 존재나 돌발 상황이 발생함에 따라 유선 케이블을 연결한 상태로 무인 탐사 장치가 이동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한편 무인 탐사 장치가 무선 통신을 이용해 작은 용량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장애물의 존재나 돌발 상황의 발생에 따라 무선 통신 품질이 저하되는 반면, 탐사 지역에 무선 통신을 위한 기지국이나 중계기를 설치하는 것은 불가능하여 제어 장치와의 원활한 통신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60770호 (2014.05.21. 공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특정 장치와 통신선을 이용해 특정 통신 모듈을 연결하고, 해당 특정 통신 모듈을 다른 장치의 통신 모듈에 결합하여 유선 통신을 수행하되, 통신 모듈들이 분리되는 경우 통신선에 연결된 특정 통신 모듈이 분리된 위치에서 다른 통신 모듈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중계기로 기능하도록 함으로써 원활한 통신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분리에 대응 가능한 유무선 통신 시스템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분리에 대응 가능한 유무선 통신 시스템은,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제1 통신 모듈을 구비한 이동 장치, 및 상기 제1 통신 모듈과 결합되어 유선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제1 통신 모듈과 분리되면 무선 통신을 수행하되 기울기 센서를 이용해 기울어짐을 감지하여 무선 통신을 위한 안테나의 각도를 변경하는 제2 통신 모듈과 통신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이동 장치와 통신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분리에 대응 가능한 유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 모듈은, 상기 제1 통신 모듈에 포함된 안테나의 각도에 대응하여 안테나 각도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분리에 대응 가능한 유무선 통신 시스템은,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제2 통신 모듈과 통신선으로 연결된 제어 장치, 및 상기 제2 통신 모듈과 결합되어 유선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제2 통신 모듈과 분리되면 무선 통신을 수행하되 기울기 센서를 이용해 기울어짐을 감지하여 무선 통신을 위한 안테나의 각도를 변경하는 제1 통신 모듈을 구비하여 상기 제어 장치와 통신하는 이동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분리에 대응 가능한 유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모듈은, 상기 제2 통신 모듈에 포함된 안테나의 각도에 대응하여 안테나 각도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분리에 대응 가능한 유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모듈과 상기 제2 통신 모듈은, 포고 핀을 이용해 유선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분리에 대응 가능한 유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모듈은, 상기 제2 통신 모듈과의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2 통신 모듈의 외면을 눌러 결합 상태를 유지하는 걸쇠, 상기 걸쇠가 상기 제2 통신 모듈의 외면과 접촉하는 동작을 조절하는 리니어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분리에 대응 가능한 유무선 통신 장치는, 이동 장치에 구비되어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제1 통신 모듈, 및 상기 이동 장치와 통신하는 제어 장치와 통신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통신 모듈과 결합되어 유선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제1 통신 모듈과 분리되면 무선 통신을 수행하되 기울기 센서를 이용해 기울어짐을 감지하여 무선 통신을 위한 안테나의 각도를 변경하는 제2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분리에 대응 가능한 유무선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 모듈은, 상기 제1 통신 모듈에 포함된 안테나의 각도에 대응하여 안테나 각도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분리에 대응 가능한 유무선 통신 장치는, 제어 장치와 통신선으로 연결되어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제2 통신 모듈, 및 상기 제어 장치와 통신하는 이동 장치에 구비되고, 상기 제2 통신 모듈과 결합되어 유선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제2 통신 모듈과 분리되면 무선 통신을 수행하되, 기울기 센서를 이용해 기울어짐을 감지하여 무선 통신을 위한 안테나의 각도를 변경하는 제1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분리에 대응 가능한 유무선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모듈은, 상기 제2 통신 모듈에 포함된 안테나의 각도에 대응하여 안테나 각도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분리에 대응 가능한 유무선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모듈과 상기 제2 통신 모듈은, 포고 핀을 이용해 유선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분리에 대응 가능한 유무선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모듈은, 상기 제2 통신 모듈과의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2 통신 모듈의 외면을 눌러 결합 상태를 유지하는 걸쇠, 상기 걸쇠가 상기 제2 통신 모듈의 외면과 접촉하는 동작을 조절하는 리니어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분리에 대응 가능한 유무선 통신 시스템 및 장치에 따르면, 유선 통신의 수행 도중 통신 모듈이 외력이나 주변 상황에 따라 분리되는 경우에도, 통신선에 연결된 특정 통신 모듈이 분리된 위치에서 다른 통신과의 무선 통신을 중계하는 중계기로 기능하여 원활한 통신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유선 통신을 수행하던 통신 모듈들이 분리됨에 따라 무선 통신으로 전환하는 경우, 기울어진 정도에 따라 안테나의 각도를 조절하거나, 상대방 통신 모듈의 안테나 각도에 맞게 안테나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무선 통신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유선 통신을 수행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유무선 통신 장치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통신 장치가 분리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통신 모듈과 제2 통신 모듈의 결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상황에 맞게 유선 통신에서 무선 통신으로 전환하여 원활한 통신 상태를 유지하는 기술과 관련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유선 통신을 수행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유무선 통신 장치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통신 장치가 분리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통신 모듈과 제2 통신 모듈의 결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유무선 통신 시스템은 이동 장치(100) 및 제어 장치(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동 장치(100)는 제어 장치(200)의 제어에 따라 위치를 이동하며 동작하는 장치로서, 재해나 재난이 발생한 지역에서 이동하며 탐사를 수행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이동 장치(100)는 제1 통신 모듈(10)을 구비하여 제어 장치(200)와의 통신을 수행하고, 제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하며, 이동 장치(100)나 주변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제어 장치(200)로 전송한다.
제어 장치(200)는 사용자의 입력 신호에 따라 이동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 장치(200)는 통신선(1)을 이용해 연결된 제2 통신 모듈(20)을 구비하여 이동 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하고, 이동 장치(100)의 동작을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하며, 이동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는 형태로 출력한다.
이때 이동 장치(100)에 구비된 제1 통신 모듈(10)과, 제어 장치(200)와 통신선으로 연결된 제2 통신 모듈(20)은, 각각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이동 장치(100)에 구비된 제1 통신 모듈(10)과, 제어 장치(200)와 통신선(1)을 이용해 연결된 제2 통신 모듈(20)이 결합된 상태에서, 제1 통신 모듈(10)과 제2 통신 모듈(20)은 유선 통신을 수행하여 이동 장치(100)와 제어 장치(200) 사이의 정보 교환을 지원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이동 장치(100)에 구비된 제1 통신 모듈(10)과, 제어 장치(200)와 통신선(1)을 이용해 연결된 제2 통신 모듈(20)이 분리된 상태에서, 제1 통신 모듈(10)과 제2 통신 모듈(20)은 무선 통신으로 전환 수행하여 이동 장치(100)와 제어 장치(200) 사이의 정보 교환을 지원한다.
이 경우 제어 장치(200)와 통신선(1)을 통해 연결된 제2 통신 모듈(20)은, 제1 통신 모듈(10)과 분리된 위치에 놓인 상태로 제1 통신 모듈(10)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제1 통신 모듈(10)로부터의 통신 데이터를 통신선(1)을 통해 제어 장치(200)로 전달하고 제어 장치(200)로부터 통신선(1)을 통해 수신한 통신 데이터를 제1 통신 모듈(10)로 전달하는 무선 통신 중계기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제1 통신 모듈(10)은 이동 장치(100)의 자세 변화에 따라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울기 센서(17)를 구비한다. 그리고 제어 장치(200)와 통신선(1)을 이용해 연결된 제2 통신 모듈(20)도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울기 센서(27)를 구비한다.
기울기 센서(17, 27)는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기울어진 정도를 판단하여 제1 통신 모듈(10) 또는 제2 통신 모듈(20)이 중력 방향으로부터 얼마만큼 기울어진 자세를 취하고 있는지를 감지한다.
한편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제1 통신 모듈(10)은 무선 통신을 위한 안테나(11)를 구비하고, 제2 통신 모듈(20)은 무선 통신을 위한 안테나(21)를 구비한다.
제1 통신 모듈(10)은 기울기 센서(17)에서 감지한 기울기에 따라 안테나(11)의 각도를 변경하여 최적의 무선 통신을 위한 안테나(11)의 방향을 유지한다. 예를 들어 제2 통신 모듈(20)의 안테나(21)가 수직 방향을 유지한다고 가정하면, 제1 통신 모듈(10)은 기울기 센서(17)에서 감지한 기울기에 따라 안테나(11)가 수직 방향을 유지하도록 그 각도를 변경하여 제2 통신 모듈(20)과의 무선 통신 효율이 높아지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제2 통신 모듈(20)은 기울기 센서(27)에서 감지한 기울기에 따라 안테나(21)의 각도를 변경하여 최적의 무선 통신을 위한 안테나(21)의 방향을 유지한다.
한편 제1 통신 모듈(10)은 제2 통신 모듈(20)과의 무선 통신을 통해 수신한 안테나(21)의 각도 정보를 참조하여 안테나(11)의 각도를 변경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제1 통신 모듈(10)은 안테나(11)가 제2 통신 모듈(20)의 안테나(21)와 대응하는 각도를 유지하도록 하여 원활한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통신 모듈(20)은 제1 통신 모듈(10)과의 무선 통신을 통해 수신한 안테나(11)의 각도 정보를 참조하여 이에 대응하도록 안테나(21)의 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통신 모듈(10)과 제2 통신 모듈(20)은 서로 결합된 상태로 유선 통신을 수행하고, 분리됨에 따라 무선 통신으로 전환하여 통신 상태를 유지하는데, 이를 위해 제1 통신 모듈(10)은 데이터 통신을 위한 포고 핀(12)과 전력 공급을 위한 포고 핀(13) 및 통신 회로를 실장한 인쇄 회로 기판(14)을 구비하고, 제2 통신 모듈(20)은 데이터 통신을 위한 포고 핀(22)과 전력 공급을 위한 포고 핀(23)을 구비한다.
포고 핀(pogo pin)은 두 개의 인쇄 회로 기판 사이에 일시적인 접속을 위해 사용되는 핀으로서, 실린더 형태로 서로 맞물린 핀들의 내부 공간에 스프링을 구비하고, 포고 핀의 끝단에 접촉이 이루어지면 스프링의 탄성을 이용해 지지하는 형태로 접속 상태를 유지한다.
제1 통신 모듈(10)과 제2 통신 모듈(20)은 포고 핀(12, 13, 22, 23)을 구비함으로써,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포고 핀(22, 23)을 이용해 전력을 공급하면서 포고 핀(12, 13)을 이용해 유선 통신을 수행하고, 서로 분리되는 경우 포고 핀(12, 13, 22, 23)의 탄성을 이용해 용이하게 분리되어 손상없이 자연스럽게 분리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1 통신 모듈(10)은, 제1 통신 모듈(10)과 제2 통신 모듈(20) 사이의 결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걸쇠(15)와 리니어 액추에이터(linear actuator)(16)를 구비한다.
걸쇠(15)는 제1 통신 모듈(10)이 제2 통신 모듈(20)과 결합된 상태에서 제2 통신 모듈(20)의 외면과 접촉하여 누름으로서 결합 상태를 유지하는 외력을 가하는 역할을 한다.
리니어 액추에이터(16)는 걸쇠(15)를 상하로 선운동시켜, 걸쇠(15)가 제2 통신 모듈(20)의 외면에 접촉하는 동작을 조절한다.
도 6에서 리니어 액추에이터(16)는 걸쇠(15)를 상측으로 밀어올려 제1 통신 모듈(10)과 제2 통신 모듈(20)의 분리가 용이한 상태를 형성하고, 도 7에서 리니어 액추에이터(16)는 걸쇠(15)가 제2 통신 모듈(20)의 외면에 접촉하여 외력을 가하도록 하측으로 내려 제1 통신 모듈(10)과 제2 통신 모듈(20)의 결합 상태를 유지한다.
리니어 액추에이터(16)는 이동 장치(100)로부터 제1 통신 모듈(10)로 전달된 제어 신호나, 제어 장치(200)로부터 제2 통신 모듈(20)을 통해 제1 통신 모듈(10)로 전달된 제어 신호에 따라 걸쇠(15)의 동작을 제어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와 도면에서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1: 통신선
10: 제1 통신 모듈
11, 21: 안테나
12, 13, 22, 23: 포고 핀
14: 인쇄 회로 기판
15: 걸쇠
16: 리니어 액추에이터
17, 27: 기울기 센서
20: 제2 통신 모듈
100: 이동 장치
200: 제어 장치

Claims (12)

  1.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제1 통신 모듈을 구비한 이동 장치; 및
    상기 제1 통신 모듈과 결합되어 유선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제1 통신 모듈과 분리되면 무선 통신을 수행하되 기울기 센서를 이용해 기울어짐을 감지하여 무선 통신을 위한 안테나의 각도를 변경하는 제2 통신 모듈과 통신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이동 장치와 통신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통신 모듈은,
    상기 제2 통신 모듈과의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2 통신 모듈의 외면을 눌러 결합 상태를 유지하는 걸쇠; 및
    상기 걸쇠가 상기 제2 통신 모듈의 외면과 접촉하는 동작을 조절하는 리니어 액추에이터;
    를 포함하는 분리에 대응 가능한 유무선 통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 모듈은,
    상기 제1 통신 모듈에 포함된 안테나의 각도에 대응하여 안테나 각도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에 대응 가능한 유무선 통신 시스템.
  3.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제2 통신 모듈과 통신선으로 연결된 제어 장치; 및
    상기 제2 통신 모듈과 결합되어 유선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제2 통신 모듈과 분리되면 무선 통신을 수행하되 기울기 센서를 이용해 기울어짐을 감지하여 무선 통신을 위한 안테나의 각도를 변경하는 제1 통신 모듈을 구비하여 상기 제어 장치와 통신하는 이동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통신 모듈은,
    상기 제2 통신 모듈과의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2 통신 모듈의 외면을 눌러 결합 상태를 유지하는 걸쇠; 및
    상기 걸쇠가 상기 제2 통신 모듈의 외면과 접촉하는 동작을 조절하는 리니어 액추에이터;
    를 포함하는 분리에 대응 가능한 유무선 통신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모듈은,
    상기 제2 통신 모듈에 포함된 안테나의 각도에 대응하여 안테나 각도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에 대응 가능한 유무선 통신 시스템.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모듈과 상기 제2 통신 모듈은,
    포고 핀을 이용해 유선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에 대응 가능한 유무선 통신 시스템.
  6. 삭제
  7. 이동 장치에 구비되어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제1 통신 모듈; 및
    상기 이동 장치와 통신하는 제어 장치와 통신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통신 모듈과 결합되어 유선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제1 통신 모듈과 분리되면 무선 통신을 수행하되 기울기 센서를 이용해 기울어짐을 감지하여 무선 통신을 위한 안테나의 각도를 변경하는 제2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통신 모듈은,
    상기 제2 통신 모듈과의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2 통신 모듈의 외면을 눌러 결합 상태를 유지하는 걸쇠; 및
    상기 걸쇠가 상기 제2 통신 모듈의 외면과 접촉하는 동작을 조절하는 리니어 액추에이터;
    를 포함하는 분리에 대응 가능한 유무선 통신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 모듈은,
    상기 제1 통신 모듈에 포함된 안테나의 각도에 대응하여 안테나 각도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에 대응 가능한 유무선 통신 장치.
  9. 제어 장치와 통신선으로 연결되어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제2 통신 모듈; 및
    상기 제어 장치와 통신하는 이동 장치에 구비되고, 상기 제2 통신 모듈과 결합되어 유선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제2 통신 모듈과 분리되면 무선 통신을 수행하되, 기울기 센서를 이용해 기울어짐을 감지하여 무선 통신을 위한 안테나의 각도를 변경하는 제1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통신 모듈은,
    상기 제2 통신 모듈과의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2 통신 모듈의 외면을 눌러 결합 상태를 유지하는 걸쇠; 및
    상기 걸쇠가 상기 제2 통신 모듈의 외면과 접촉하는 동작을 조절하는 리니어 액추에이터;
    를 포함하는 분리에 대응 가능한 유무선 통신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모듈은,
    상기 제2 통신 모듈에 포함된 안테나의 각도에 대응하여 안테나 각도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에 대응 가능한 유무선 통신 장치.
  11. 제7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모듈과 상기 제2 통신 모듈은,
    포고 핀을 이용해 유선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에 대응 가능한 유무선 통신 장치.
  12. 삭제
KR1020170077356A 2017-06-19 2017-06-19 분리에 대응 가능한 유무선 통신 시스템 및 장치 KR1019063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7356A KR101906335B1 (ko) 2017-06-19 2017-06-19 분리에 대응 가능한 유무선 통신 시스템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7356A KR101906335B1 (ko) 2017-06-19 2017-06-19 분리에 대응 가능한 유무선 통신 시스템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6335B1 true KR101906335B1 (ko) 2018-10-12

Family

ID=63876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7356A KR101906335B1 (ko) 2017-06-19 2017-06-19 분리에 대응 가능한 유무선 통신 시스템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633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1059B1 (ko) * 2013-10-29 2015-04-10 주식회사 유디존테크놀로지 무선전력전송에 의한 디지털 도어락 장치 및 무선전력 전송 방법
KR101681316B1 (ko) * 2016-06-13 2016-12-02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심해 탐사용 다관절 해저 로봇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1059B1 (ko) * 2013-10-29 2015-04-10 주식회사 유디존테크놀로지 무선전력전송에 의한 디지털 도어락 장치 및 무선전력 전송 방법
KR101681316B1 (ko) * 2016-06-13 2016-12-02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심해 탐사용 다관절 해저 로봇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212207B (zh) 摄像模块电气架构
IL188349A0 (en) Surveillance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forbidden movement along a predetermined path
WO201400749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antennas
DE60028466D1 (de) Antennensystem mit Fernsteuerung der Antennenkeulenneigung
KR100484118B1 (ko) 이동전화용 이동 변환기
US20190116627A1 (en)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data communication of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US20190288387A1 (en) Directional antenna tracking method and communication device
US20140340995A1 (en) Underwater communication system
WO2007037481A1 (ja) 無線通信システム
US20140113591A1 (en) Authentication method between communication devices
JP2010051089A (ja) 非接触送電システム
KR101906335B1 (ko) 분리에 대응 가능한 유무선 통신 시스템 및 장치
KR102217564B1 (ko) 전자기기 및 그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
KR20080113693A (ko)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방법
JP2022121739A (ja) ロボット操作装置
JP2004165964A (ja) 通信機能を有する移動体の移動方法および通信方法
KR20130121466A (ko) 에너지 전송 시스템에서 무선 에너지 전송 장치 및 방법
JP6996759B2 (ja)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077605B2 (ja) 通信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KR100656056B1 (ko) 반도체 제조 장치 조정 방법
KR20230062520A (ko) 카메라 시스템에서의 무선 전력 전송
JP2006132265A (ja) 建設機械の遠隔無線操縦システム
CN217656627U (zh) 一种自动跟踪天线云台系统
KR102183216B1 (ko) 5g 인빌딩 중계기의 동기 신호를 이용한 통신 단말의 위치 추적 장치 및 방법
WO2023233968A1 (ja) 光通信装置、光通信方法、及び光通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