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5747B1 - 듀얼 튜너에서의 간섭 제거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듀얼 튜너에서의 간섭 제거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5747B1
KR101905747B1 KR1020120070368A KR20120070368A KR101905747B1 KR 101905747 B1 KR101905747 B1 KR 101905747B1 KR 1020120070368 A KR1020120070368 A KR 1020120070368A KR 20120070368 A KR20120070368 A KR 20120070368A KR 101905747 B1 KR101905747 B1 KR 1019057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ner
frequency
main
sub
oscil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0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3021A (ko
Inventor
김보용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70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5747B1/ko
Publication of KR20140003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30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5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57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0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 H04B1/12Neutralising, balancing, or compensation arrangements
    • H04B1/123Neutralising, balancing, or compensation arrangements using adaptive balancing or compensation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07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 H04N21/4263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involving specific tuning arrangements, e.g. two tun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21Circuitry for suppressing or minimising disturbance, e.g. moiré or hal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Noise Elimination (AREA)

Abstract

실시 예는 2개 이상의 튜너 각각에서의 OSC (OSCILLATOR,발진주파수)를 서로 다르게 설정하여 튜너간의 간섭을 배제시키는 것에 관한 것이다.
Main 튜너와 Sub 튜너에 인가되는 oscillator(발진주파수)의 중심 주파수(f0)에 +a (0도 포함)의 주파수를 Main 튜너에, 상기 a에 대응되는 -b의 주파수를 Sub 튜너에 인가하여 서로 다르게 함으로써 성능 저하를 방지한다.

Description

듀얼 튜너에서의 간섭 제거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FOR ELEMINATING INTERFERENCE}
실시 예는 원-캔(ONE-CAN) 타입의 듀얼 튜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2개 이상의 튜너 각각에서의 OSC (OSCILLATOR,발진주파수)를 서로 다르게 설정하여 튜너간의 간섭을 배제시키는 것에 관한 것이다.
Channel Browser에 사용되는 ONE-CAN Dual Tunner는 두 개의 Tunner 상호 간의 간섭이 문제를 발생한다. Tunner 내부에는 OSC라는 주파수 발진 성분이 있는데 두 개의 Tunner가 동일한 OSC를 발생시킬 때 상호간의 간섭으로 인해 DTV 감도 열화, Analog 화면 Beat가 생긴다.
도 1은 종래 듀얼 튜닝 시스템의 블록도 (100)이다.
도 1에 도시된 종래 디지털 TV용 듀얼 튜닝 시스템은, 안테나(ANT)로부터의 RF 신호중 제1 선택 채널에 해당되는 RF 신호를 IF 신호로 변환하는 제1 싱글 컨버젼 튜너(101)와, 상기 안테나(ANT)로부터의 RF 신호중 제2 선택 채널에 해당되는 RF 신호를 IF 신호로 변환하는 제2 싱글 컨버젼 튜너(103)를 포함한다.
그런데, 종래의 디지털 TV용 듀얼 튜닝 시스템은, 동일한 컨버젼 방식을 채택하는 두개의 튜너(메인 튜너와 서브 튜너) 사이에 동일한 주파수 또는 인접 주파수간의 간섭현상으로 인하여 정상적인 TV 수신 동작을 수행할 수 없기 때문에, 하나의 패키지에 2개의 튜너부를 구현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중간주파수(IF)가 36MHz인 DVB-T 단말기에 대해서, 먼저, 상기 제1 싱글 컨버젼 튜너(101)와 상기 제2 싱글 컨버젼 튜너(103)에서 동일한 채널을 선택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면, 상기 제1 싱글 컨버젼 튜너(101)에서 RF 800MHz를 선택했을시 발진주파수는 836MHz가 되고, 또한 상기 제2 싱글 컨버젼 튜너(103)에서 RF 800MHz를 선택했을시 발진주파수는 836MHz가 되어, 상기 제1 싱글 컨버젼 튜너(101)와 상기 제2 싱글 컨버젼 튜너(103)의 각 중간주파수가 동일하게 되므로 서로 중간주파수간 간섭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주파수 간섭을 피하기 위해서, 상기 제1 싱글 컨버젼 튜너(101)와 상기 제2 싱글 컨버젼 튜너(103)는, 하나의 패키지에 구현되지 못하고, 별도의 각각의 패키지로 제작되어, 하나의 세트에는 서로 별도의 패키지로 제작된 2개의 튜너가 장착되어 설치된다.
이 경우에는, 각 튜너는 각각 별도의 패키지로 제작되어야 하므로, 튜닝 시스템을 소형화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도 2는 종래의 다른 듀얼 튜닝 시스템의 블록도 (200)이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Main Tunner 1 (201)와 Sub Tuner 2 (203)가 동일 채널을 선국 할 때 동일한 OSC 가 발진하면서 화면에 비트 및 감도 열화가 발생한다. 예를 들어 Main Tunner가 10ch을 선국하고 있을 때, Sub Tunner 가 10 Ch을 선국하게 되면 성능 열화가 생긴다.
실시 예는 원-캔(ONE-CAN) 타입의 듀얼 튜닝 시스템에서 각 Tunner의 간섭을 배제하는 것을 제안한다.
실시 예는 2개 이상의 튜너 각각에서의 OSC (OSCILLATOR,발진주파수)를 서로 다르게 설정하여 튜너간의 간섭을 배제하는 것을 제안한다.
실시 예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거, Main 튜너와 Sub 튜너에 인가되는 기존의 Oscilator 발진 주파수에다 미리 정한 주파수(0포함)를 플러스하여 Main 튜너에 인가하고, 미리 정한 주파수를 마이너스하여 Sub 튜너에 인가하는 것을 제안한다.
실시 예는 Main 튜너와 Sub 튜너에 각각 입력되는 발진 주파수 (OSC)의 차이는 채널 상호간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채널의 Bandwidth (대역폭, 6MHZ) 이상이 되도록 설정하는 것을 제안하나, 요즘에는 6MHZ 대역으로 3개 이상의 채널이 가능해지고 있으므로 상기 6MHZ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더 적어질 수도 있고 필요 시 더 커질 수도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듀얼 튜너에서의 간섭 제거 장치는, 메인 튜너 및 서브 튜너가 하나의 패키지로 제작된 원-캔(ONE-CAN) 타입의 듀얼 튜닝 장치에 있어서,
메인 튜너 및 서브 튜너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튜너 발진주파수(OSC)에 인가될 미리 정한 주파수 값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부;및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미리 정한 주파수 값이 메인 튜너 및 서브 튜너 중에서 하나 이상의 튜너 발진주파수에 인가되는 것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따른 듀얼 튜너에서의 간섭 제거 방법은, 복수개의 튜너가 하나의 패키지로 제작되는 단계; 메인 튜너 및 서브 튜너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튜너 발진주파수에 인가될 주파수가 서로 다르게 설정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주파수가 발진 주파수에 인가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동작된다.
실시 예는 원-캔(ONE-CAN) 타입의 듀얼 튜닝 시스템에서 각 Tunner간의 간섭을 배제할 수 있다.
제어부의 제어에 의거, Main 튜너와 Sub 튜너에 인가되는 기존의 Oscilator 발진 주파수에다 미리 정한 주파수를 플러스 또는 동일한 주파수를 Main 튜너에 입력하고, 미리 정한 주파수를 마이너스하여 Sub 튜너에 입력하는 함으로써 Main Tunner 1 (201)와 Sub Tuner 2 (203)와 가 동일 채널을 선국할 때에도 서로 다른 OSC 가 발진 되기 때문에 화면에 비트 및 감도 열화가 발생하지 않는다.
도 1은 종래 듀얼 튜닝 시스템의 블록도
도 2는 종래의 다른 듀얼 시스템 블록도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듀얼 시스템 블록도
도 4는 실시 예에 따른 듀얼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듀얼 튜너에서의 간섭 제거 장치 및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 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는 해당되는 실시 예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동작 및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동작/의미로서 본 실시 예를 파악하여야 됨을 밝혀두고자 한다.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OSC는 발진회로 또는 발진회로에 의한 발진주파수를 나타낸다.
또한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구성간에 연결, 접속 또는 접촉되었다 함은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 다른 매체 또는 다른 소자 등을 통한 기구적 연결, 전기적 연결 또는 유/무선 연결된 경우도 포함된다.
이하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듀얼 시스템 블록도이고 도 4는 실시 예에 따른 듀얼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메인 튜너 및 서브 튜너가 하나의 패키지로 제작된 원-캔(ONE-CAN) 타입의 듀얼 튜닝 장치(300)에 있어서, 메인 튜너 (301) 및 서브 튜너(303)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튜너 발진주파수(OSC)에 인가될 미리 정한 주파수 값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부 (305);및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미리 정한 주파수 값이 메인 튜너 및 서브 튜너 중에서 하나 이상의 튜너 발진주파수에 인가되는 것을 제어하는 제어부 (307);를 포함하여 동작된다.
상기에서 메인 튜너 및 서브 튜너의 발진 주파수를 서로 다르게 하기 위해 인가되는 주파수 크기 차이는 1개 채널의 주파수 대역폭 이상으로 해야 상호 간섭을 배제 시킬 수 있다.
하나의 실시 예로써, 상기 미리 정한 주파수값이 인가된 상태에서의 상기 메인튜너 및 서브 튜너에서의 발진 주파수 (OSC)는 적어도 6 MHZ가 차이 나도록 하는 것이 좋으나, 요즘에는 기술의 발달로 인해 1채널인 6MHZ 대역으로 3개 이상의 채널가능해 지고 있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Main 튜너와 Sub 튜너에 인가되는 oscillator(발진주파수)의 중심 주파수(f0)에 +a (0도 포함)의 주파수를 Main 튜너에, 상기 a에 대응되는 -b의 주파수를 Sub 튜너에 인가하여 성능 저하를 방지한다.
상기에서, 메인 튜너는 Auto search 및 주 화면을 선국한다. 그리고 서브 튜너는 상기 메인 튜너에서 검색한 채널들을 한 채널씩 돌아가면서 채널 브라우징을 수행한다.
상기에서 메인 튜너와 서브 튜너에서의 OSC를 서로 다르게 하는 데 있어서, 튜너간의 간섭을 배제하기 위한 미리 설정된 주파수 차를 위해 각 튜너에 인가될 주파수가 서로 대응되게 설정되어 메모리부에 저장된다.
예를 들어, 메인 튜너의 OSC에 인가될 주파수가 0이라면 서브 튜너의 OSC에는 - 6MHZ가 인가될 것이고, 메인 튜너에 인가될 주파수가 + 1이라면 서브 튜너에 인가될 주파수는 -5가 될 것이다.
상기 인가될 수치는 서로 바뀌어서 각 튜너의 OSC에 인가될 수도 있다.
도 4는 실시 예에 따른 듀얼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로써, 복수개의 튜너가 하나의 패키지로 제작된다. (S 401)
메인 튜너 및 서브 튜너의 OSC를 서로 다르게 하기 위해, 메인 튜너 및 서브 튜너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튜너 발진주파수에 인가될 주파수가 설정된다. (S 403).
상기 설정된 주파수가 발진 주파수에 인가된다. (S 405).
상기 설정된 주파수를 OSC에 인가되는 방식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즉, 하나의 실시 예로써, 메인 튜너의 OSC에 인가될 주파수가 0이라면 서브 튜너의 OSC에는 - 6MHZ가 인가될 것이고, 메인 튜너에 인가될 주파수가 + 1이라면 서브 튜너에 인가될 주파수는 -5가 될 것이다.
또한 본 실시 예의 기술적은 사상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된다.
따라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며, 이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에 속한다 할 것이다.
301 : 메인튜너, 303 : 서브 튜너, 305 : 메모리부 : 307 : 제어부

Claims (5)

  1. 메인 튜너 및 서브 튜너가 하나의 패키지로 제작된 원-캔(ONE-CAN) 타입의 듀얼 튜닝 장치에 있어서,
    메인 튜너 및 서브 튜너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튜너 발진주파수(OSC)에 인가될 미리 정한 주파수 값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부;및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미리 정한 주파수 값이 메인 튜너 및 서브 튜너 중에서 하나 이상의 튜너 발진주파수에 인가되는 것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튜너는 오토 써치 및 주화면을 선국하고, 상기 서브 튜너는 상기 메인 튜너에서 검색한 채널들을 한 채널씩 돌아가면서 채널 브라우징을 수행하며,
    상기 미리 정한 주파수 값이 인가된 상태에서의 상기 메인튜너 및 상기 서브 튜너에서의 발진 주파수 (OSC)는 적어도 6 MHZ가 차이 나고,
    상기 튜너 발진주파수의 중심 주파수에 0을 포함하는 + 주파수를 상기 메인 튜너에 인가하고, 상기 튜너 발진주파수의 중심 주파수에 - 주파수를 상기 서브 튜너에 인가하는 듀얼 튜너에서의 간섭 제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메인 튜너 및 서브 튜너의 발진 주파수를 서로 다르게 하기 위해 인가되는 주파수 크기 차이는 채널의 주파수 대역폭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튜너에서의 간섭 제거 장치.
  3. 삭제
  4. 복수개의 튜너가 하나의 패키지로 제작되는 단계;
    오토 써치 및 주화면을 선국하는 메인 튜너 및 상기 메인 튜너에서 검색한 채널들을 한 채널씩 돌아가면서 채널 브라우징을 수행하는 서브 튜너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튜너 발진주파수에 인가될 주파수가 서로 다르게 설정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주파수가 발진 주파수에 인가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미리 정한 주파수 값이 인가된 상태에서의 상기 메인튜너 및 서브 튜너에서의 발진 주파수 (OSC)는 적어도 6 MHZ가 차이 나고,
    상기 튜너 발진주파수의 중심 주파수에 0을 포함하는 + 주파수를 상기 메인 튜너에 인가하고, 상기 튜너 발진주파수의 중심 주파수에 - 주파수를 상기 서브 튜너에 인가하는 듀얼 튜너에서의 간섭 제거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메인 튜너 및 서브 튜너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튜너 발진주파수에 인가될 주파수는 1개 채널의 주파수 대역폭 이상 차이 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튜너에서의 간섭 제거 방법.
KR1020120070368A 2012-06-28 2012-06-28 듀얼 튜너에서의 간섭 제거 장치 및 방법 KR1019057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0368A KR101905747B1 (ko) 2012-06-28 2012-06-28 듀얼 튜너에서의 간섭 제거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0368A KR101905747B1 (ko) 2012-06-28 2012-06-28 듀얼 튜너에서의 간섭 제거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021A KR20140003021A (ko) 2014-01-09
KR101905747B1 true KR101905747B1 (ko) 2018-12-05

Family

ID=50139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0368A KR101905747B1 (ko) 2012-06-28 2012-06-28 듀얼 튜너에서의 간섭 제거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574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68339A (ja) * 2009-05-18 2010-11-25 Panasonic Corp 選局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128553D0 (en) * 2001-11-29 2002-01-23 Zarlink Semiconductor Ltd Tuner arrangement and set top box
KR100764372B1 (ko) * 2005-10-11 2007-10-08 삼성전기주식회사 디지털 tv용 원-캔(one-can)타입의 듀얼 튜닝시스템
KR20100069764A (ko) * 2008-12-17 2010-06-2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튜닝 시스템을 구동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68339A (ja) * 2009-05-18 2010-11-25 Panasonic Corp 選局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021A (ko) 2014-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36106B2 (ja) Pll回路およびそのic
US7904024B2 (en) System and method of eliminating or minimizing Lo-Related interference from tuners
KR20070057269A (ko) 동조기들로부터 lo 관련 간섭을 제거 또는 최소화하는시스템 및 방법
JP2008546273A (ja) 自己整合結合式共振器フィルタ回路およびそれを組み込む広帯域チューナ回路
JP6204455B2 (ja) 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US8862648B2 (en) Fast filter calibration apparatus
CN105122825A (zh) 接收装置
KR101905747B1 (ko) 듀얼 튜너에서의 간섭 제거 장치 및 방법
US20080025445A1 (en) Tunable narrow band filter
JP2010213061A (ja) 受信装置
JP2009273102A (ja) 周波数変換回路とこれを用いた高周波受信部
KR20100069764A (ko) 튜닝 시스템을 구동하는 방법
US8958017B2 (en) Reception apparatus and electronic equipment
US9215013B2 (en) Reception apparatus and electronic equipment
US20140267920A1 (en) Receiving apparatus and receiving method
KR20060060174A (ko)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30068752A (ko) 텔레비전 수신기 및 텔레비전 수신기의 간섭 배제 방법
KR20170027568A (ko) 방송신호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14141573A1 (ja) 受信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1255927B1 (ko) 간섭 배제 기능을 개선한 실리콘 튜너
KR20130039180A (ko) 텔레비전 수신기 및 텔레비전 수신기의 간섭 배제 방법
JP2006042054A (ja) Pll回路、テレビジョン受信機、及びテレビジョン受信機のビート改善方法
KR20110024857A (ko) 채널 검색방법 및 그 채널 검색방법을 이용한 rf 신호 처리장치
JP2015082668A (ja) Pllシンセサイザ
JP2011019169A (ja) 受信チュー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