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5718B1 - 축 정렬 조정장치 - Google Patents

축 정렬 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5718B1
KR101905718B1 KR1020170035620A KR20170035620A KR101905718B1 KR 101905718 B1 KR101905718 B1 KR 101905718B1 KR 1020170035620 A KR1020170035620 A KR 1020170035620A KR 20170035620 A KR20170035620 A KR 20170035620A KR 101905718 B1 KR101905718 B1 KR 1019057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bolt
target device
axial alignment
female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5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6770A (ko
Inventor
윤정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화피에스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화피에스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화피에스시
Priority to KR1020170035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5718B1/ko
Publication of KR20180106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67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5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57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 G01B5/25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3/00Specially shaped nuts or heads of bolts or screws for rotations by a to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3/00Features common to bolt and n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기계 정비 및 설치 과정 중 축 정렬 작업 시 대상기기를 원하는 방향으로 필요한 만큼 정확히 이동시켜 대상기기의 축 정렬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축 정렬 조정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축 정렬 조정장치는, 축 정렬 조정 대상기기와 대상기기를 지지하는 베이스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댐퍼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고정되는 홀더부와, 홀더부와 결합되며 홀더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대상기기의 측면부 하단과 대향되는 일측에 볼트체결홀이 형성되는 볼트체결부와, 볼트체결홀에 체결되며 대상기기의 축 정렬 작업 시 볼트체결홀을 통해 전진 이동함에 따라 대상기기의 측면부 하단을 가압하여 대상기기를 이동시킴으로써 대상기기의 축 정렬 위치를 조정하는 조정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축 정렬 조정장치{APPARATUS FOR ADJUSTING SHAFT ALIGNMENT}
본 발명은 축 정렬 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계 정비 및 설치 과정 중 대상기기의 피구동축과 구동축 간의 축 중심을 일치시키는 대상기기의 축 정렬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축 정렬(Shaft alignment)이라고 함은 기계정비 및 설치 작업 시 동력을 전달받는 피구동측의 축 중심과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측의 축 중심을 일치시키는 것을 말하며, 축 중심을 일치시키는 이유는 불필요한 동력에 의한 전기에너지 저감, 기계부품의 손상 방지, 이상 소음 및 진동 저감을 위해서이다.
이러한 축 정렬 작업은 구동측과 피구동측에 축 정렬 측정 장비를 설치하고, 피구동축과 구동축을 동시에 회전시켜 축 정렬 측정 장비가 데이터를 취득하며, 계산된 만큼 대상기기의 위치를 조정하여 적정 기준치 이내로 조정한다.
일반 기계설비는 베이스 프레임(Base frame)에 위치 조정을 할 수 있도록 자키볼트를 설치하게 되어 있으나, 해당 풍력대상기기에 설치된 베이스 프레임에는 댐퍼(Damper)로 인해 대상기기 하단부(Foot)와 베이스 프레임 간의 높이와 거리가 너무 커서 자키볼트를 설치할 수 없어 턴버클로 좌우 조정을 하고, 체인블럭으로 축간 거리를 조정하였다.
그로 인해, 종래에는 안정적이고 세밀하게 대상기기를 이동할 수 없었고, 그 준비과정과 조정과정이 복잡하고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기계 정비 및 설치 과정 중 축 정렬 작업 시 대상기기를 원하는 방향으로 필요한 만큼 정확히 이동시켜 대상기기의 축 정렬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축 정렬 조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축 정렬 조정장치는, 축 정렬 조정 대상기기와 상기 대상기기를 지지하는 베이스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댐퍼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고정되는 홀더부; 상기 홀더부와 결합되며, 상기 홀더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대상기기의 측면부 하단과 대향되는 일측에 볼트체결홀이 형성되는 볼트체결부; 및 상기 볼트체결홀에 체결되며, 상기 대상기기의 축 정렬 작업 시 상기 볼트체결홀을 통해 전진 이동함에 따라 상기 대상기기의 측면부 하단을 가압하여 상기 대상기기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대상기기의 축 정렬 위치를 조정하는 조정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더부는, 상기 댐퍼의 외주면 일측 반원을 감싸는 반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측에 암나사홈이 형성되는 제 1 홀더; 상기 댐퍼의 외주면 타측 반원을 감싸는 반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홀더의 암나사홈과 대응되는 양측에 볼트관통홀이 형성되는 제 2 홀더; 및 상기 제 1 홀더와 상기 제 2 홀더가 상기 댐퍼의 외주면을 감싼 상태에서 상기 볼트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암나사홈에 체결되어 상기 제 1 홀더와 상기 제 2 홀더를 고정하는 홀더체결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볼트체결부는, 상기 제 1 홀더와 결합되는 상기 제 2 홀더의 반대측에 형성된 암나사홈에 나사 결합되도록 볼트가 관통하는 볼트관통홀이 상기 제 2 홀더의 암나사홈과 대응되게 형성되고, 중앙 일측 돌출부에 상기 볼트체결홀이 상기 대상기기의 측면부 하단과 대향되게 형성되는 볼트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볼트플레이트는, 상기 제 2 홀더와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일측에 볼트관통홀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제 2 홀더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타측에 상기 조정볼트가 체결되는 볼트체결홀이 형성되도록 T자 형상의 블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축 정렬 조정장치는, 상기 홀더부와 상기 볼트체결부 사이의 길이를 연장하도록 설치되는 길이연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길이연장부는, 상기 제 2 홀더와 상기 볼트플레이트 사이에 상기 조정볼트의 이동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길이연장봉을 포함하되, 상기 길이연장봉은 일단에 수나사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제 2 홀더의 암나사홈에 체결되고, 타단에 암나사홈이 형성되어 상기 볼트플레이트의 볼트관통홀을 관통하는 볼트가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축 정렬 조정장치에 따르면, 기계 정비 및 설치 과정 중 피구동축과 구동축 간의 축 정렬 작업 시 베이스 프레임과 대상기기 하단부 사이의 거리가 너무 멀어 자키볼트 설치가 용이하지 않을 때 계산된 조정량만큼 대상기기를 전후좌우 원하는 방향으로 필요한 만큼 정확히 이동시켜 대상기기의 축 정렬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발전기와 같은 대상기기의 하단에 조립 설치하기 때문에 많은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고 조립과 분해가 용이해 정비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환경적인 영향으로 발전기를 후방으로 이동이 곤란하였던 것도 해결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 정렬 조정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축 정렬 조정장치의 홀더부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축 정렬 조정장치의 볼트체결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 정렬 조정장치에서 길이연장부를 조립한 상태에서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 정렬 조정장치에서 길이연장부를 제거한 상태에서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 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는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 정렬 조정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축 정렬 조정장치의 홀더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4는 축 정렬 조정장치의 볼트체결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축 정렬 조정장치(10)는 홀더부(100), 볼트체결부(200), 조정볼트(300) 및 길이연장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부(100)는 축 정렬 조정 대상기기(1, 도 5 참조)와 대상기기(1)를 지지하는 베이스 프레임(3, 도 5 참조) 사이에 설치되는 댐퍼(5, 도 5 참조)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축 정렬 조정 대상기기(1)는 발전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축을 구비하는 기계설비는 모두 적용될 수 있다.
홀더부(100)는 중앙부에 댐퍼(5)의 외주면이 삽입되도록 중공홀(101)이 형성되며, 댐퍼(5)의 다양한 직경에 적용할 수 있도록 홀더부(100)는 한 쌍의 홀더(110, 120)가 댐퍼(5)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조립되는 구성으로 제작될 수 있다.
홀더부(100)는 제 1 홀더(110), 제 2 홀더(120) 및 홀더체결볼트(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홀더(110)는 댐퍼(5)의 외주면 일측 반원을 감싸도록 반원호 형상의 홀더플레이트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홀더(110)의 중앙부에는 볼트(미도시)가 체결될 수 있도록 암나사홀(111)이 관통 형성되고, 제 1 홀더(110)의 양측에는 암나사홈(113)이 전후방향으로 형성된다.
제 2 홀더(120)는 댐퍼(5)의 외주면 타측 반원을 감싸도록 반원호 형상의 홀더플레이트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홀더(110)와 제 2 홀더(120)는 댐퍼(5)의 외주면 좌측과 우측에서 댐퍼(5)를 완전히 감싸도록 결합된다.
또한, 제 2 홀더(120)의 중앙부에는 볼트(미도시)가 체결될 수 있도록 암나사홀(121)이 관통 형성되고, 제 2 홀더(120)의 양측에는 제 1 홀더(110)의 암나사홀(113)과 대응되도록 볼트관통홀(123)이 전후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 2 홀더(120)는 제 1 홀더(110)와 결합되는 반대측에 중앙부를 중심으로 좌우측에 암나사홈(125)이 형성된다.
홀더체결볼트(130)는 제 1 홀더(110)와 제 2 홀더(120)가 댐퍼(5)의 외주면을 감싼 상태에서 볼트관통홀(123)을 관통하여 암나사홈(113)에 체결되어 제 1 홀더(110)와 제 2 홀더(120)를 고정한다.
볼트체결부(200)는 홀더부(100)와 결합되며, 홀더부(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대상기기(1)의 측면부 하단(1a)과 대향되는 일측에 볼트체결홀(201)이 형성된다.
볼트체결부(200)는 제 1 홀더(110)와 결합되는 제 2 홀더(120)의 반대측에 형성된 암나사홈(125)에 나사 결합되도록 볼트(220)가 관통하는 볼트관통홀(205)이 제 2 홀더(120)의 암나사홈(125)과 대응되게 형성되고, 중앙 일측 돌출부(211)에 볼트체결홀(201)이 대상기기(1)의 측면부 하단(1a)과 대향되게 형성되는 볼트플레이트(210)를 포함할 수 있다.
볼트플레이트(210)는 제 2 홀더(120)와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일측에 볼트관통홀(201, 203, 205)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제 2 홀더(120)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타측에 조정볼트(300)가 체결되는 볼트체결홀(201)이 형성되도록 T자 형상의 블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조정볼트(300)는 볼트체결홀(201)에 체결되며, 대상기기(1)의 축 정렬 작업 시 볼트체결홀(201)을 통해 전진 이동함에 따라 대상기기(1)의 측면부 하단(1a)을 가압하여 대상기기(1)를 원하는 방향으로 필요한 만큼 정확히 이동시킴으로써 대상기기(1)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조정볼트(300)는 통상의 자키볼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길이연장부(400)는 홀더부(100)와 볼트체결부(200) 사이의 길이를 연장하도록 설치된다. 이를 통해 대상기기(1)를 축방향으로 이동시 길이연장부(400)를 사용하여 조정볼트(300)가 대상기기(1)의 측면부 하단(1a)을 가압하여 밀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길이연장부(400)는 제 2 홀더(120)와 볼트플레이트(210) 사이에 조정볼트(300)의 이동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길이연장봉(410)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길이연장봉(410)은 일단에 수나사돌기(411)가 형성되어 제 2 홀더(120)의 암나사홈(125)에 체결되고, 타단에 암나사홈(412)이 형성되어 볼트플레이트(210)의 볼트관통홀(205)을 관통하는 볼트(220)가 체결된다.
한편, 길이연장부(400)를 빼고 홀더부(100)와 볼트체결부(200)를 조립할 경우에는 볼트(220)가 볼트플레이트(210)의 볼트관통홀(205)을 관통하여 제 2 홀더(120)의 암나사홈(125)에 직접 체결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 정렬 조정장치에서 길이연장부를 조립한 상태에서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 정렬 조정 대상기기(1)와 대상기기(1)를 지지하는 베이스 프레임(3) 사이에 설치되는 댐퍼(5)의 외주면을 홀더부(100)가 감싸도록 고정하고, 대상기기(1)를 축방향으로 이동 시 길이연장부(400)를 홀더부(100)와 볼트체결부(200) 사이에 추가 조립하여 조정볼트(300)가 대상기기(1)의 측면부 하단(1a)을 가압하여 밀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도록 한다. 이처럼 길이연장부(400)를 사용하여 대상기기(1)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조정볼트(300)로 축간 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이때, 조정볼트(300)는 볼트체결부(200)의 볼트체결홀(201)에 체결되며, 대상기기(1)의 축 정렬 작업 시 볼트체결홀(201)을 통해 전진 이동함에 따라 대상기기(1)의 측면부 하단(1a)을 가압하여 대상기기(1)를 원하는 방향으로 필요한 만큼 정확히 이동시킴으로써 대상기기(1)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 정렬 조정장치에서 길이연장부를 제거한 상태에서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연장부(400)를 빼고 조립하여 조정볼트(300)로 대상기기(1)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축 정렬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축 정렬 조정장치(10)에 따르면, 기계 정비 및 설치 과정 중 피구동축과 구동축 간의 축 정렬 작업 시 베이스 프레임(3)과 대상기기(1) 하단부 사이의 거리가 너무 멀어 자키볼트 설치가 용이하지 않을 때 계산된 조정량만큼 대상기기(1)를 전후,좌우 원하는 방향으로 필요한 만큼 정확히 이동시켜 대상기기(1)의 축 정렬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발전기와 같은 대상기기(1)의 하단(1a)에 조립 설치하기 때문에 많은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고 조립과 분해가 용이해 정비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환경적인 영향으로 발전기를 후방으로 이동이 곤란하였던 것도 해결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초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축 정렬 조정장치 100 : 홀더부
110 : 제 1 홀더 120 : 제 2 홀더
130 : 홀더체결볼트 200 : 볼트체결부
210 : 볼트플레이트 300 : 조정볼트
400 : 길이연장부 410 : 길이연장봉

Claims (6)

  1. 축 정렬 조정 대상기기와 상기 대상기기를 지지하는 베이스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댐퍼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고정되는 홀더부;
    상기 홀더부와 결합되며, 상기 홀더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대상기기의 측면부 하단과 대향되는 일측에 볼트체결홀이 형성되는 볼트체결부; 및
    상기 볼트체결홀에 체결되며, 상기 대상기기의 축 정렬 작업 시 상기 볼트체결홀을 통해 전진 이동함에 따라 상기 대상기기의 측면부 하단을 가압하여 상기 대상기기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대상기기의 축 정렬 위치를 조정하는 조정볼트;를 포함하는 축 정렬 조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는,
    상기 댐퍼의 외주면 일측 반원을 감싸는 반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측에 암나사홈이 형성되는 제 1 홀더;
    상기 댐퍼의 외주면 타측 반원을 감싸는 반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홀더의 암나사홈과 대응되는 양측에 볼트관통홀이 형성되는 제 2 홀더; 및
    상기 제 1 홀더와 상기 제 2 홀더가 상기 댐퍼의 외주면을 감싼 상태에서 상기 볼트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암나사홈에 체결되어 상기 제 1 홀더와 상기 제 2 홀더를 고정하는 홀더체결볼트;를 포함하는 축 정렬 조정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체결부는,
    상기 제 1 홀더와 결합되는 상기 제 2 홀더의 반대측에 형성된 암나사홈에 나사 결합되도록 볼트가 관통하는 볼트관통홀이 상기 제 2 홀더의 암나사홈과 대응되게 형성되고, 중앙 일측 돌출부에 상기 볼트체결홀이 상기 대상기기의 측면부 하단과 대향되게 형성되는 볼트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축 정렬 조정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플레이트는, 상기 제 2 홀더와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일측에 볼트관통홀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제 2 홀더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타측에 상기 조정볼트가 체결되는 볼트체결홀이 형성되도록 T자 형상의 블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 정렬 조정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축 정렬 조정장치는,
    상기 홀더부와 상기 볼트체결부 사이의 길이를 연장하도록 설치되는 길이연장부를 더 포함하는 축 정렬 조정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연장부는,
    상기 제 2 홀더와 상기 볼트플레이트 사이에 상기 조정볼트의 이동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길이연장봉을 포함하되,
    상기 길이연장봉은 일단에 수나사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제 2 홀더의 암나사홈에 체결되고, 타단에 암나사홈이 형성되어 상기 볼트플레이트의 볼트관통홀을 관통하는 볼트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 정렬 조정장치.
KR1020170035620A 2017-03-21 2017-03-21 축 정렬 조정장치 KR1019057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5620A KR101905718B1 (ko) 2017-03-21 2017-03-21 축 정렬 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5620A KR101905718B1 (ko) 2017-03-21 2017-03-21 축 정렬 조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6770A KR20180106770A (ko) 2018-10-01
KR101905718B1 true KR101905718B1 (ko) 2018-10-11

Family

ID=63865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5620A KR101905718B1 (ko) 2017-03-21 2017-03-21 축 정렬 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571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9630Y1 (ko) 1997-12-02 2000-04-01 김형국 회전장치의축정렬용홀더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9630Y1 (ko) 1997-12-02 2000-04-01 김형국 회전장치의축정렬용홀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6770A (ko) 2018-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054369A1 (en) Motor mounting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e
ATE461014T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schraubverbindung zwischen einem ersten bauteil und mindestens einem weiteren bauteil
KR101905718B1 (ko) 축 정렬 조정장치
KR101360193B1 (ko) 회전 연동구조를 구비한 광학계 렌즈 리테이너 조립용 원형 치공구
KR20040002756A (ko) 플렉서블 프린트배선판의 절단방법
KR200484009Y1 (ko) 전동기용 기어커플링 취외장치
US10300645B2 (en) Injection device and axial-center position adjusting method
CN204827837U (zh) 液压系统可调节同轴度的电机油泵组合装置
US20160096301A1 (en) Drive mechanism of injection molding machine
CN210431117U (zh) 一种基于可调节电机张紧结构的简易电机座
KR101422092B1 (ko) 범퍼 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범퍼 천공 방법
CN104810965A (zh) 可调节偏心块装置
KR20200095515A (ko) 발전기 스테이터 코어의 슬롯 내의 다시 조여질 수 있는 웨지 시스템을 조이기 위한 공구 시스템
KR101892985B1 (ko) 전기 기계
KR200490083Y1 (ko) 동기식 절삭 가공기의 공구 교환 구동 장치
CN104139267B (zh) 负荷开关或断路器壳体总成用焊接工装
KR101382123B1 (ko) 로터의 밸런싱 검사를 위한 지지장치
CN104454663A (zh) 立式旋转机结合装置及立式旋转机械装置
TWM531986U (zh) 渦卷式空壓機
JP2018084243A (ja) 一軸アクチュエータ装置
CN217798202U (zh) 一种折弯机同步机构及折弯机
JP5879130B2 (ja) プレス装置
CN219740156U (zh) 一种双转子电机装配工装
CN219855456U (zh) 一种塑料切粒机用便拆式切割刀具
CN210475842U (zh) 音圈驱动装置及激光加工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