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5510B1 - 옥외 소화전 - Google Patents

옥외 소화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5510B1
KR101905510B1 KR1020170052126A KR20170052126A KR101905510B1 KR 101905510 B1 KR101905510 B1 KR 101905510B1 KR 1020170052126 A KR1020170052126 A KR 1020170052126A KR 20170052126 A KR20170052126 A KR 20170052126A KR 101905510 B1 KR101905510 B1 KR 1019055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volving
revolving nut
rod
drainage
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2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5032A (ko
Inventor
박세훈
정인지
Original Assignee
육송(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육송(주) filed Critical 육송(주)
Publication of KR20180105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50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5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55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 E03B9/04Column hydra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 Valve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와 보도 경계상에 설치되는 옥외 소화전에 관한 것으로서, 나사 체결된 리볼빙 너트와 어퍼 로드 중 어느 하나에 배수로가 형성되어 밸브 시트의 닫힘 상태까지 최대한 체결되더라도 리볼빙 너트의 내부 공간에 잔류한 물이 배수로를 통해 자연스럽게 빠지게 하여 리볼빙 너트의 동파를 방지한 옥외 소화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옥외 소화전{outdoor hydrant}
본 발명은 도로와 보도 경계상에 설치되는 옥외 소화전에 관한 것으로서, 나사 체결된 리볼빙 너트와 어퍼 로드 중 어느 하나에 배수로가 형성되어 밸브 시트의 닫힘 상태까지 최대한 체결되더라도 리볼빙 너트의 내부 공간에 잔류한 물이 배수로를 통해 자연스럽게 빠지게 하여 리볼빙 너트의 동파를 방지한 옥외 소화전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옥외 소화전은 특허문헌에 기재된 것이 제안되어 있다.
종래 옥외 소화전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레인 구멍(P)이 가공된 지하 물탱크(도시하지 않음)의 베이스(1)와 연결하되 지하로 매설된 미들 바디(2A)와 지상으로 노출되는 어퍼 바디(2B)의 연결로 이루어진 스탠드 파이프(2)와, 어퍼 바디(2B)의 상단 양측에 수평방향으로 위치하여 소방용 호스와 연결되는 호스연결관(3)과, 어퍼 바디(2B) 상단 중앙에 위치하되 그 내부에는 승강용 로드(5)의 상단측과 나사산(4A)에 의해 체결되는 리볼빙 너트(4)와, 스탠드 파이프(2)의 미들 바디 및 어퍼 바디(2A)(2B)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되, 리볼빙 너트(4)의 회전에 따라 소방용수의 방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승강용 로드(5)와, 승강용 로드(5)의 하단부 축 상에 결합되어 회전하지 않고 상하로 왕복운동하게 시트 링에 배치되는 가이드(6)와, 승강용 로드(5)의 하단부와 결합하되, 가이드(6)의 승강에 따라 지하 물탱크에 저장된 소방용수를 스탠드 파이프(2)를 통해 지상으로 방수시키도록 개폐동작하는 디스크(7)로 이루어진 구조로서, 이하 미설명된 도면부호 8은 호스연결관(3)의 캡이다.
승강용 로드(5)는 리볼빙 너트(4)와 나사 체결되는 어퍼 로드(5a)와, 어퍼 로드(5a)와 체결요소로 결합되는 샤프트(5b)를 포함한다.
리볼빙 너트(4)는 커버(12)가 어퍼 바디(2B)에 체결되면서 가압되어 회전만 가능하다.
승강용 로드(5)는 회전하지 않고 상하 이동하는 가이드(6)에 함께 이동한다.
따라서, 캡(8)을 열고 호스연결관(3)에 소방용 호스(도시하지 않음)를 연결한 후, 작업자가 어퍼 바디(2B)의 상단 중앙에 위치하는 리볼빙 너트(4)의 렌치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리볼빙 너트(4)의 내부에 가공된 나사산(4A)에 일측 끝단이 연결되면서 미들 바디 및 어퍼 바디(2A)(2B)에 수직으로 세워진 승강용 로드(5)가 하방향으로 내려가는 동시에 가이드(6)도 연동되면서 디스크(7)가 밸브 시트를 개방시켜 소방용수를 토출시키게 된다.
한편, 작업자가 리볼빙 너트(4)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리볼빙 너트(4)의 내부에 가공된 나사산(4A)에 일측 끝단이 연결된 승강용 로드(5)가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바, 승강용 로드(5)의 상방향 이동과 동시에 가이드(6)가 연동되면서 디스크(7)가 밸브 시트를 폐쇄시킴으로써, 스탠드 파이프(2)의 미들 바디 및 어퍼 바디(2A)(2B)와 호스연결관(3)을 통한 소방용수의 지상 방수는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러한 옥외 소화전은 화재 진압 또는 점검을 위해 소방용수를 토출시키는데, 이때 리볼빙 너트(4)와 어퍼 로드(5a) 나사 체결 사이로 소방용수가 타고 들어와서 리볼빙 너트(4) 내부의 내부 공간(S)에 잔류하게 된다.
특히 리볼빙 너트(4)와 어퍼 로드(5a)의 체결위치가 호스연결관(3) 바로 근처에 있기 때문에 소방용수가 나사 체결 간극을 타고 역류하기 더 쉽다.
리볼빙 너트(4)의 내부 공간(S)에 잔류한 소방용수는 화재나 점검이 끝난 후 리볼빙 너트(4)를 돌리면 어퍼 로드(5a)의 하단까지 닿을 때까지 위로 당겨져(도 5 참조), 밸브 시트가 닫혀 소방용수를 차단시킨다.
그러나, 최종적으로 잠긴 체결된 나사산 간의 간극이 생기지 않아(어퍼 로드의 수나사산이 없는 위치에서 체결되기 때문에) 내부 공간(S)에 잔류한 소방용수가 빠져나오지 못해, 도 9의 점선에 보이듯 겨울철에 얼어서 리볼빙 너트(4)가 동파(균열)로 A/S가 빈번하게 요청을 받고 있다.
내부 공간(S)은 어퍼 로드(5a)의 수나사봉이 승강 공간의 역할도 한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09667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밸브 시트가 닫힌 상태에서 리볼빙 너트의 내부 공간에 소방용수가 잔류되지 않고 배수시켜 리볼빙 너트의 동파를 확실히 방지한 옥외 소화전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옥외 소화전은, 소방용수가 유입되는 베이스, 소방용수가 토출되는 어퍼 바디, 상기 베이스와 상기 어퍼 바디 사이를 연결하는 미들 바디를 포함하는 스탠드 파이프; 상기 베이스의 밸브 시트를 개폐하는 디스크부; 상기 어퍼 바디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리볼빙 너트; 상기 리볼빙 너트와 체결되는 어퍼 로드와, 상기 어퍼 로드와 상기 디스크부를 연결하는 샤프트로 이루어진 승강용 로드; 상기 리볼빙 너트 또는 상기 어퍼 로드에 형성되는 배수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기재된 옥외 소화전에 있어서, 상기 리볼빙 너트는 하단에 개구를 갖는 수직홈과, 상기 수직홈의 하측 내주면에 형성되는 암나사를 포함하고, 상기 어퍼 로드는 상기 암나사와 체결되는 수나사봉과, 상기 샤프트와 연결되는 연결봉과, 상기 수나사봉과 상기 연결봉 사이에 형성되는 스커트부를 포함하되, 상기 배수로는 상기 수나사봉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1배수홈과, 상기 제1배수홈에서 상기 스커트부의 일측 외주면까지 연장되는 제2배수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기재된 옥외 소화전에 있어서, 상기 리볼빙 너트는 하단에 개구를 갖는 수직홈과, 상기 수직홈의 하측 내주면에 형성되는 암나사를 포함하고, 상기 어퍼 로드는 상기 암나사와 체결되는 수나사봉과, 상기 샤프트와 연결되는 연결봉과, 상기 수나사봉과 상기 연결봉 사이에 형성되는 스커트부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봉의 내면에는 상기 샤프트의 상단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배수로는 상기 삽입홈과 서로 통하게 상기 어퍼 로드의 중심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는 배수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리볼빙 너트 또는 어퍼 로드에 배수로가 형성됨으로써, 리볼빙 너트의 내부 공간에 물이 잔류하더라도 배수로를 통해 아래로 자연스럽게 빠지기 때문에 잔류되는 물에 의한 리볼빙 너트의 동파가 확실히 방지될 수 있다.
특히, 가공(내측 가공과 외측 가공)이나 강도(두께) 측면에서 어퍼 로드의 수나사봉 외주면에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제1배수홈과 제2배수홈을 둠으로써, 수나사봉의 최하단(스커트부 경계 가까이)까지 리볼빙 너트와 체결되어 나사 간의 간극이 없더라도 항상 외부로 노출되는 제2배수홈을 통해 확실히 배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배수홈과 제2배수홈은 리볼빙 너트에 대해 수나사봉이 체결된 위치가 어디든 상관없이 리볼빙 너트의 내부 공간에 잔류한 물이 항상 배수되게 하여 동파를 확고히 방지한다.
또한, 제1배수홈과 제2배수홈 대신에 수나사봉의 중심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배수홀을 형성하면, 나사산 간의 체결에 따른 무간극과 관계없이 리볼빙 너트의 내부에 고인 물이 배수홀을 통해 항상 아래로 빠지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옥외 소화전을 도시한 일측 단면도.
도 1a 및 도 1b은 도 1의 A 및 B 부분을 확대한 도.
도 2는 도 1의 리볼빙 너트와 어퍼 로드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나사 체결된 결합도.
도 4는 본 발명의 밸브 시트가 열린 상태에서 나사 체결된 리볼빙 너트와 어퍼 로드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밸브 시트가 닫힌 상태에서 나사 체결된 리볼빙 너트와 어퍼 로드의 단면도로서, 제1배수홈과 제2배수홈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밸브 시트가 닫힌 상태에서 나사 체결된 리볼빙 너트와 어퍼 로드의 단면도로서, 배수홀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7 및 도 8은 종래 옥외 소화전을 도시한 외관 정면도 및 단면도.
도 9는 종래 리볼빙 너트의 동파가 생긴 사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하는데, 종래의 것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옥외 소화전을 도시한 일측 단면도이고, 도 1a 및 도 1b은 도 1의 A 및 B 부분을 확대한 도이고, 도 2는 도 1의 리볼빙 너트와 어퍼 로드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나사 체결된 결합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밸브 시트가 열린 상태에서 나사 체결된 리볼빙 너트와 어퍼 로드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밸브 시트가 닫힌 상태에서 나사 체결된 리볼빙 너트와 어퍼 로드의 단면도로서, 제1배수홈과 제2배수홈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밸브 시트가 닫힌 상태에서 나사 체결된 리볼빙 너트와 어퍼 로드의 단면도로서, 배수홀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옥외 소화전은 베이스(1), 미들 바디(2A), 어퍼 바디(B)를 포함하는 스탠드 파이프(2)와, 베이스(2)의 밸브 시트(22)를 개폐하는 디스크부(7)와, 어퍼 바디(B)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리볼빙 너트(4)와, 리볼빙 너트(4)와 체결되는 어퍼 로드(50a)와, 어퍼 로드(50a)와 디스크부(7)를 연결하는 샤프트(5b)로 이루어진 승강용 로드(50)와, 리볼빙 너트(4) 또는 어퍼 로드(50a)에 형성되는 배수로(52;6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배수로(52;60)의 구성에 의해서, 리볼빙 너트(4)의 내부 공간(S)에 물이 잔류하더라도 배수로(52;60)를 통해 쉽게 빠지기 때문에 도 9와 같은 리볼빙 너트(4)의 동파가 확실히 방지될 수 있다.
배수로는 크게 리볼빙 너트(4)의 내주면에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배수홈(미도시), 어퍼 로드(50a)의 외주면에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2배수홈(61,63), 어퍼 로드(50a)의 중심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배수홀(52)로 구현 가능하다.
리볼빙 너트(4)의 내주면에 배수홈이 형성되는 경우 내측 가공으로 두께가 얇아져 강도도 그만큼 약해지고, 어퍼 로드(50a)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경우 외측 가공으로 내측 가공보다 가공이 쉽고 강도의 저하도 미미하기 때문에, 제1실시예에서는 도 2 내지 도 5와 같이 어퍼 로드(50a)의 외주면에 배수로(60)가 홈의 형태로 형성된 것을 기준으로 이하에서 설명한다.
소방용수가 유입되는 베이스(1), 미들 바디(2A) 및 소방용수가 토출되는 어퍼 바디(2B)는 플랜지 이음되고, 베이스(1)와 미들 바디(2A)는 지하에 어퍼 바디(2B)는 지상에 노출된다.
베이스(1)에는 도 1b와 같이 밸브 시트(22)가 형성된다.
밸브 시트(22)는 베이스(1)의 내측에 설치된 시트 링(20)에 의해 형성된다.
시트 링(20)은 후술되는 디스크부(7)의 가이드(6)의 승강돌기(미도시)가 시트 링(20)의 승강홈(미도시)을 따라 승강만 가이드 하게 한다.
디스크부(7)는 디스크(7a)와 디스크 바텀(7b), 디스크(7a)와 디스크 바텀(7b) 사이의 가장자리에 배치 설치되는 시트 패킹(7c)을 포함한다.
디스크(7a)의 상면에는 가이드(6)가 설치되어 있다.
시트 패킹(7c)이 시트 링(20)의 밸브 시트(22)를 개폐하게 된다.
도면 부호 P는 오토 드레인 밸브이다.
어퍼 바디(2B)에는 도 1과 같이 상단에는 리볼빙 너트(4)가 설치되고, 소방용수가 토출되는 측면에는 호스연결관(3)과 캡(8)이 설치되어 있다.
리볼빙 너트(4)는 하단이 개구이고 그 위로 올라갈수록 빈 공간이 형성되는 수직홈(4B)과, 수직홈(4B)의 하측 내주면에 형성되는 암나사(4A)로 이루어진다.
즉, 리볼빙 너트(4)는 어퍼 바디(2B)의 상단에 노출되는 제1리볼빙 몸체(4a), 어퍼 바디(2B)의 상단 관통공(11)에 삽입되는 제2리볼빙 몸체(4b)와, 제1리볼빙 몸체(4a)와 제2리볼빙 몸체(4b) 사이에 형성되어 어퍼 바디(2B)의 상단에 걸리는 제3리볼빙 플랜지(4c)를 포함한다.
제1리볼빙 몸체(4a)의 내부에는 실질적으로 빈 공간(S)이 형성되고,
제2리볼빙 몸체(4b)의 내부에는 암나사산(A)이 형성되어 있고, 그 외주면에는 둘레를 따라 오링(4d)이 끼워지는 오링홈(4b')이 형성되어 있다.
제1리볼빙 몸체(4a)의 상면에는 항상 외부로 노출되어 소켓용 공구로 회전시키기 쉽게 다각형의 렌치(4')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제1리볼빙 몸체(4a)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어퍼 바디(2B)의 상단에 볼트 고정되는 커버(12)가 더 설치된다.
커버(12)는 리볼빙 너트(4)가 회전만 가능하게 눌러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1리볼빙 너트(4a)와 커버(12) 사이에 트러스트 베어링(10)이 설치되어, 리볼빙 너트(4)의 회전을 보다 스무스하게 한다.
또한, 도 1a와 같이 트러스트 베어링(10)이 제3리볼빙 플랜지(4c)의 상면을 눌러주는 형태로 커버(12)에 감싸여 리볼빙 너트(4)가 위로 올라는 것을 확실히 방지한다.
또한, 커버(12)의 상면에는 레인 패킹(13)이 더 설치되는 것이 좋다.
어퍼 로드(50a)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암나사(4A)와 체결되는 수나사봉(51a)과, 샤프트(5b)와 연결되는 연결봉(53a)과, 수나사봉(51a)과 연결봉(53a) 사이에 형성되는 스커트부(55a)를 포함한다.
수나사봉(51a)의 길이는 수직홈(4B)의 깊이보다 짧다(도 5 참조).
그러나 수나사봉(51a)의 수나사(51a') 길이는 암나사(4A)의 길이보다 길어서, 승강할 때 체결되지 않는 부분이 없어 확실한 승강 작동을 행하게 한다.
연결봉(53a)의 내면에는 샤프트(5b)의 상단이 삽입되는 삽입홈(53a')이 형성되고, 그 수평방향으로 볼트가 끼워지는 관통공(53a'')이 형성되어 있다.
스커트부(55a)는 아래로 내려갈수록 직경이 점점 커지는 형상이다.
배수로(60)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나사봉(51a)의 외주면에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1배수홈(61)과, 제1배수홈(61)에서 스커트부(55a)의 일측 외주면까지 연장되는 제2배수홈(63)을 포함한다.
제1배수홈(61)은 도 4와 같이 리볼빙 너트(4)에 대해 어퍼 로드(50a)의 수나사봉(51a)이 아래로 내려와 밸브 시트(22)가 열렸을 때 배수로 역할을 한다.
제2배수홈(63)은 도 5와 같이 리볼빙 너트(4)에 대해 어퍼 로드(50a)의 수나사봉(51a)이 위로 올라와 밸브 시트(22)가 닫혔을 때 배수로 역할을 한다.
즉, 수나사봉(51a)이 최대한 위로 올라가 최하단까지 체결되면 나사산끼리 체결되지 않아 간극이 없을 수 있어, 이 경우 제2배수홈(63)이 최종 배수구 역할을 하여 어떠한 체결 위치에서도 리볼빙 너트(4)의 내부 공간(S)에 잔류한 물이 항상 배수되게 한다.
한편, 도 6과 같이 수나사봉(51a)의 중심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배수홀(52)이 형성되어도 좋다.
보다 정확히는 배수홀(52)은 연결봉(53a)의 삽입홈(53a')과 서로 통하게 어퍼 로드(50a)의 중심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리볼빙 너트(4)와 어퍼 로드(50a)의 꽉 끼는 체결과 무관하게 리볼빙 너트(4)의 내부 공간(S)에 물이 잔류하더라도 배수홀(52)로 빠져 동파가 확실히 방지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됨을 부언한다.
1 : 베이스 2 : 스탠드 파이프
2A : 미들 바디 2B : 어퍼 바디
4 : 리볼빙 너트 4A : 암나사
4B : 수직홈 5b : 샤프트
7 : 디스크부 22 : 밸브 시트
50 : 승강용 로드 50a : 어퍼 로드
51a : 수나사봉 52 : 배수홀
53a : 연결봉 55a : 스커트부
60 : 배수로 61 : 제1배수홈
63 : 제2배수홈

Claims (3)

  1. 삭제
  2. 베이스(1), 미들 바디(2A), 어퍼 바디(B)를 포함하는 스탠드 파이프(2)와, 베이스(2)의 밸브 시트(22)를 개폐하는 디스크부(7)와, 어퍼 바디(B)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리볼빙 너트(4)와, 리볼빙 너트(4)와 체결되는 어퍼 로드(50a)와, 어퍼 로드(50a)와 디스크부(7)를 연결하는 샤프트(5b)로 이루어진 승강용 로드(50)와, 어퍼 로드(50a)에 형성되는 배수로(60)를 포함하되,
    리볼빙 너트(4)는 하단이 개구인 수직홈(4B)과, 수직홈(4B)의 하측 내주면에 형성되는 암나사(4A)를 포함하고,
    어퍼 로드(50a)는 암나사(4A)와 체결되는 수나사봉(51a)과, 샤프트(5b)와 연결되는 연결봉(53a)과, 수나사봉(51a)과 연결봉(53a) 사이에 형성되는 스커트부(55a)를 포함하되,
    배수로(60)는 수나사봉(51a)의 외주면에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1배수홈(61)과, 제1배수홈(61)에서 스커트부(55a)의 일측 외주면까지 연장되는 제2배수홈(63)을 포함하여,
    제1배수홈(61)은 리볼빙 너트(4)에 대해 어퍼 로드(50a)의 수나사봉(51a)이 아래로 내려와 밸브 시트(22)가 열렸을 때 배수로 역할을 하고,
    제2배수홈(63)은 리볼빙 너트(4)에 대해 어퍼 로드(50a)의 수나사봉(51a)이 위로 올라와 밸브 시트(22)가 닫혔을 때 배수로 역할을 하는 옥외 소화전.
  3. 삭제
KR1020170052126A 2017-03-14 2017-04-24 옥외 소화전 KR1019055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031732 2017-03-14
KR1020170031732 2017-03-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5032A KR20180105032A (ko) 2018-09-27
KR101905510B1 true KR101905510B1 (ko) 2018-10-08

Family

ID=63719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2126A KR101905510B1 (ko) 2017-03-14 2017-04-24 옥외 소화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55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4796B1 (ko) * 2020-12-21 2021-09-27 육송(주) 옥외 지상식 소화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0920B1 (ko) 2020-08-24 2022-11-25 주식회사 엠에스엘 콤프레서 옥외 소화전의 커버장치
CN112376647A (zh) * 2020-11-09 2021-02-19 杭州智缤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5g技术的室外取水栓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5657Y1 (ko) * 2005-04-13 2005-09-13 원승연 지상형 옥외 소화전
KR101420711B1 (ko) * 2014-02-21 2014-07-22 영동금속(주) 앵글 밸브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5657Y1 (ko) * 2005-04-13 2005-09-13 원승연 지상형 옥외 소화전
KR101420711B1 (ko) * 2014-02-21 2014-07-22 영동금속(주) 앵글 밸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4796B1 (ko) * 2020-12-21 2021-09-27 육송(주) 옥외 지상식 소화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5032A (ko) 2018-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5510B1 (ko) 옥외 소화전
KR200449186Y1 (ko) 지상소화전
KR101167608B1 (ko) 지상 소화전
KR20100013783A (ko) 옥내소화전방수구
US7314057B2 (en) Pedestal hydrant
US20060260043A1 (en) Threaded mack washer
KR20110133208A (ko) 배수장치를 구비한 방수형 맨홀
KR101931691B1 (ko) 준비작동식 밸브 겸용 일제 개방 밸브
JP6856211B2 (ja) 排水装置
KR102304796B1 (ko) 옥외 지상식 소화전
CN212506655U (zh) 防臭地漏
KR20150084477A (ko) 상수도용 부동전
KR102318589B1 (ko) 싱크홀 방지부가 형성된 부동전 구조
KR200209667Y1 (ko) 지하 매설식 소화전
KR200473511Y1 (ko) 동파방지 수도꼭지
KR100557904B1 (ko) 동파방지용 부동 급수주
KR101194158B1 (ko) 상수도용 부동전
US8607373B2 (en) Pool fluid control system
KR100912107B1 (ko) 다기능 제수밸브
KR20110001956U (ko) 지하식 소화전
KR200448696Y1 (ko) 옥내소화전 방수구
CN203640019U (zh) 一种防爆防毒防臭多功能地漏
JP2001146768A (ja) 消火栓
KR102304795B1 (ko) 옥외 지상식 소화전
KR20240126253A (ko) 잔류수 퇴수가 용이한 부동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