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0920B1 - 옥외 소화전의 커버장치 - Google Patents

옥외 소화전의 커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0920B1
KR102470920B1 KR1020200106193A KR20200106193A KR102470920B1 KR 102470920 B1 KR102470920 B1 KR 102470920B1 KR 1020200106193 A KR1020200106193 A KR 1020200106193A KR 20200106193 A KR20200106193 A KR 20200106193A KR 102470920 B1 KR102470920 B1 KR 1024709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gauge
cover
holder
fire hydrant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6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5461A (ko
Inventor
성시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에스엘 콤프레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에스엘 콤프레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에스엘 콤프레서
Priority to KR1020200106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0920B1/ko
Publication of KR20220025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54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0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09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 E03B9/04Column hydrants
    • E03B9/06Cov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에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밖에서 불을 끄는 기능으로 건축물에 대한 연소확대를 방지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옥외(屋外) 소화전에서 내부 압력을 확인하기 위해 설치되는 압력계 등을 보호하는 커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소화전 송수구에 압력계를 설치하여 압력 점검 시 커버를 분리하지 않고도 수시로 또는 필요 시 압력을 점검할 수 있는 한편, 압력계 홀더를 적용하여 압력계 설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설치 정확도를 높일 수 있고, 보호 커버를 적용하여 압력계 보호는 물론 외부의 먼지, 돌, 빗물 등의 오염 요인을 막을 수 있는 옥외 소화전의 커버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옥외 소화전의 커버장치{COVER DEVICE FOR OUTDOOR FIRE HYDRANT}
본 발명은 옥외 소화전의 커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에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밖에서 불을 끄는 기능으로 건축물에 대한 연소확대를 방지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옥외(屋外) 소화전에서 내부 압력을 확인하기 위해 설치되는 압력계 등을 보호하는 커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화전은 건축물의 내부 또는 외부에서의 화재 발생 시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하기 위해 소방호스를 연결하여 소방용수를 공급하는 소방 시설물로서, 이러한 소방 시설물은 건축물의 내부에 설치되는 옥내 소화전과 건축물의 외부에 설치되는 옥외 소화전으로 구분된다.
여기서, 옥외 소화전은 건축물의 외부에 설치되어 건축물 내부의 화재를 진압함과 동시에 인접한 건축물로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소화전이며, 이러한 옥외 소화전에는 규정된 방수압력과 방수량을 제공하는 별도의 가압송수장치에 의해 공급되는 소방용수를 소방호스 등의 소방설비로 공급하기 위한 송수구가 갖추어져 있다.
이와 같은 옥외 소화전은 주변을 통행하는 사람들에게 항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보통 옥외 소화전에는 각종 잠금 부위가 쉽게 열리지 않도록 하기 위한 잠금 장치, 송수구의 마감 기능은 물론 점검 시에 열거나 닫을 수 있는 덮개 등이 설치된다.
일 예로서, 옥외 소화전을 점검하기 위해서는 먼저 송수구의 덮개를 열고, 소화전 상단부의 나사봉을 시계 반대방향으로 돌리면 밸브가 개방되어 소방용수가 옥외 소화전에 유입되면서 압력이 상승하고, 소방용수가 송수구로 토출되는 것을 확인하여 옥외 소화전을 점검하였다.
이는 소방용수의 유입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나, 옥외 소화전 밸브의 고무패킹 파손 등으로 인한 누수 등은 확인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옥외 소화전의 경우 소화전 주기적인 작동 검사 때 커버를 분리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또 겨울철 내부에 물이 샐 때 얼어붙어 풀리지 않는 문제점이 있으며, 주기적으로 소화전 상부의 밸브를 열어 송수 물 압력을 점검할 때 별도의 압력 확인 키트를 연결하여 작업을 해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0-0000668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21902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27444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105032호 등록특허공보 제10-1048027호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소화전 송수구에 압력계를 설치하여 압력 점검 시 커버를 분리하지 않고도 수시로 또는 필요 시 압력을 점검할 수 있는 한편, 압력계 홀더를 적용하여 압력계 설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설치 정확도를 높일 수 있고, 보호 커버를 적용하여 압력계 보호는 물론 외부의 먼지, 돌, 빗물 등의 오염 요인을 막을 수 있는 옥외 소화전의 커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옥외 소화전의 커버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상기 옥외 소화전의 커버장치는 소화전 본체의 송수구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전면부에 홀더 안착홈과 관통홀, 그리고 커버 설치부를 가지는 메인 커버와, 전면부에 압력계 안착홈과 관통홀을 가지면서 메인 커버의 홀더 안착홈에 설치되는 압력계 홀더와, 전면의 게이지가 외부로 노출 가능하고 압력계 홀더의 압력계 안착홈에 설치되는 압력계와, 상기 메인 커버의 커버 설치부에 설치되어 압력계 홀더를 눌러서 고정시키는 보호 커버와, 상기 압력계의 보호를 위하여 압력계 홀더의 전면에 개폐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는 덮개를 포함한다.
이러한 옥외 소화전의 커버장치는 메인 커버의 홀더 안착홈에 형성되는 링 홈에 설치되면서 압력계 홀더의 후면과 밀착되어 물이 새는 것을 막아주는 O-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인 커버에 형성되는 홀더 안착홈의 내면과 압력계 홀더의 외면 사이에는 압력계 홀더의 설치 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장치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계의 게이지는 표시 압력 구간을 컬러부로 구획하면서 표시하여 작업자가 압력계의 현재 압력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압력계 홀더에는 드레인 밸브를 설치하여 소화전 내부 압력이 기 설정 압력을 초과하면 드레인 밸브가 열리면서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거나, 또는 작업자의 주기적인 점검 시에 수조작을 통해 드레인 밸브를 열어서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옥외 소화전의 커버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옥외 소화전의 송수구에 압력계를 설치하여 압력 점검 시 보호 커버를 젖힌 상태에서 압력계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압력 점검 작업을 수시로 또는 필요 시 언제든지 간편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압력계 설치 시 압력계 홀더에 압력계를 장착한 상태 그대로 메인 커버측에 삽입하여 설치할 수 있으므로, 압력계 설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압력계 게이지 방향을 정확히 맞출 수 있는 등 압력계 설치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압력계의 전면을 덮어줄 수 있는 보호 커버를 적용하여 압력계 보호는 물론 외부의 먼지, 돌, 빗물 등의 오염 요인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압력계의 게이지에 표시 압력 구간에 따라 컬러를 넣어 줌으로써, 작업자가 손쉽게 압력을 확인 및 판단할 수 있는 등 옥외 소화전 정비 및 관리에 대한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옥외 소화전의 송수구에 설치되는 메인 커버를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하여 외부에서도 소화전 내부 상황을 쉽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섯째, 메인 커버에 안전밸브를 설치하여 일정 압력 이상이면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옥외 소화전의 관리, 취급, 사용 등과 관련한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옥외 소화전의 커버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옥외 소화전의 커버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옥외 소화전의 커버장치에서 압력계의 게이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장치를 설치한 옥외 소화전을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옥외 소화전의 커버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옥외 소화전의 커버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옥외 소화전의 커버장치는 소화전 본체(10)의 송수구(11)에 설치되는 메인 커버(15)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 커버(15)는 내주면에 암나사부(27a)를 가지는 원형의 커버로서, 이때의 암나사부(27a)를 이용하여 소화전 본체(10)의 송수구(11)에 있는 수나사부(28a)에 체결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이러한 메인 커버(15)의 전면부에는 원형의 커버 설치부(14)가 동심원상으로 연장 형성되고, 이렇게 형성되는 커버 설치부(14)의 내측 영역에는 원형으로 파여 있는 형태의 홀더 안착홈(12)이 형성되는 동시에 이때의 홀더 안착홈(12)의 바닥 중심부에는 관통홀(13a)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관통홀(13a)은 송수구(11)의 내측과 압력계(19)측을 서로 연통시켜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 설치부(14)의 외주면에는 수나사부(28b)가 형성되어 이곳에 보호 커버(21)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암나사부(27b)가 체결될 수 있게 되고, 홀더 안착홈(12)의 바닥에는 관통홀(13a)의 주위로 링 홈(22)이 형성되어 이곳에 O-링(23)이 안착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메인 커버(15)는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메인 커버(15)가 소화전 본체(10)의 송수구(11)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즉 소화전 본체(10)의 송수구(11)에서 메인 커버(15)를 열지 않은 상태에서도 소화전 본체(10)의 내부 상황, 예를 들면 송수구(11) 내에 소방용수가 채워져 있는 상황 등을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메인 커버(15)의 외주면에는 외주부 둘레를 따라가면서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 개의 돌기 형태로 이루어진 그립부(29)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메인 커버(15)를 열고 닫을 때 그립부(29)에 공구 등을 걸어서 메인 커버(29)를 손쉽게 돌릴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옥외 소화전의 커버장치는 압력계(19)의 설치를 위한 수단으로 압력계 홀더(17)를 포함한다.
상기 압력계 홀더(17)는 2단 원통형의 블록 형태로서, 압력계(19)를 수용한 상태로 메인 커버(15)측에 설치된다.
이러한 압력계 홀더(17)에는 전면부에 원형의 압력계 안착홈(16)이 형성되고, 이렇게 형성되는 압력계 안착홈(16)의 바닥 중심부에는 홀더 두께를 관통하는 관통홀(13b)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압력계 홀더(17)에 형성되는 관통홀(13b)은 메인 커버(15)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홀(13a)과 통하게 되고, 결국 압력계 홀더(17)의 압력계 안착홈(16) 내에 압력계(19)가 설치되면, 이때의 압력계(19)는 소화전 본체(10)의 내부에 작용하는 물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압력계 홀더(17)는 소화전 내부 압력이 기 설정 압력을 초과하는 경우 소화전 내부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거나, 또는 작업자의 주기적인 점검 시에 수조작을 통해 열어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드레인 밸브(26)를 포함하며, 이때의 드레인 밸브(26)는 압력계 홀더(17)의 전면 일측에 설치되어 소화전 내부와 통할 수 있게 된다.
일 예로서, 상기 드레인 밸브(26)는 압력증가에 따라 서서히 개방되는 릴리프 밸브(Relief valve), 순간적으로 개방되는 세이프티 밸브(Safety valve), 릴리프 밸브와 세이프티 밸브의 중간 정도인 릴리프 세이프티 밸브(Relief safety valve) 등이 적용될 수 있고, 또는 일반 소방용 드레인 밸브가 적용될 수 있다.
이렇게 압력계 홀더(17)의 일측에 드레인 밸브(26)를 설치하고 소화전 내부의 물 압력이 최대 설정 압력을 초과하면 소화전 본체(10)의 내부 물을 배출시켜 압력을 조절해줌으로써, 옥외 소화전 자체 보호는 물론 옥외 소화전 주변을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압력계 홀더(17)는 압력계(19)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개폐 가능한 덮개(20)를 포함한다.
상기 덮개(20)는 투명 또는 불투명의 원형 덮개로서, 상단부의 힌지장치(31)를 이용하여 압력계 홀더(17)의 상측에 지지됨과 더불어 하단부의 잠금장치(32)를 이용하여 압력계 홀더(17)의 하측에 공지의 원터치 방식으로 록/언록 가능하게 되는 구조로 설치되며, 이에 따라 아래쪽의 잠금장치(32)를 푼 다음 덮개(20)를 위로 젖히게 되면 덮개(20)는 윗쪽의 힌지장치(31)를 이용하여 회전되면서 열릴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압력계 홀더(17)에 전면에 개폐가 가능한 덮개(20)가 설치되므로서, 압력계 홀더(17)의 안쪽에 있는 압력계(19)를 먼지, 돌, 비 등의 오염물질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옥외 소화전의 커버장치는 실질적으로 소화전 본체(10)의 내부에 작용하는 물의 압력을 측정하는 수단으로 압력계(19)를 포함한다.
상기 압력계(19)는 공지의 매입형 일반 압력계, 예를 들면 소화전 밸브 압력계 등과 같은 압력계를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압력계(19)는 압력계 홀더(17)에 형성되어 있는 압력계 안착홈(16)의 내부에 삽입되면서 관통홀(13b)측에 나사 체결 등의 고정 구조로 설치되며, 이때의 압력계(19)의 후면부에 있는 압력측정부는 압력계 홀더(17)의 관통홀(13b) 내에 위치되면서 메인 커버(15)의 관통홀(13a)을 통해 소화전 본체(10)의 내부 환경에 속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압력계 안착홈(16)의 내부에 설치되는 압력계(19)는 전면의 게이지(18)가 외부로 노출되며, 이에 따라 보호 커버(21)의 덮개(20)만 열게 되면 압력계(19)의 게이지(18)가 그대로 노출되므로, 작업자는 압력계(19)의 압력, 즉 게이지(18)의 눈금이 가리키는 압력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압력계(19)의 게이지(18)는 작업자가 압력값을 쉽게 확인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를 위하여,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압력계(19)의 게이지(18)는 눈금과 숫자로 표시되어 있는 압력 구간이 컬러부(25)로 구획되면서 표시되어 작업자가 압력계(19)의 현재 압력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게이지(18)의 컬러부(25)로 표시되어 있는 안전 압력 구간에 눈금자가 위치를 확인하는 것만으로 압력계(19)의 현재 압력이 적정한 상태인지, 부족한 상태인지, 초과한 상태인지를 손쉽게 구분하여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일 예로서, 상기 게이지(21)의 컬러부(28)는 0∼3㎏/㎠의 범위는 적색, 3∼7㎏/㎠의 범위는 녹색, 7∼10㎏/㎠의 범위는 노란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옥외 소화전의 커버장치는 압력계(19)가 속해 있는 압력계 홀더(17)를 최종적으로 고정시켜주는 수단으로 보호 커버(21)를 포함한다.
상기 보호 커버(21)는 내주면에 암나사부(27b)가 형성되어 있는 원형의 캡 형태로 이루어진 커버로서, 이러한 암나사부(27b)를 이용하여 메인 커버(15)의 커버 설치부(14)에 형성되어 있는 수나사부(28b)에 체결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보호 커버(21)의 내측 캡 바닥면에는 가압부(30)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때의 가압부(30)는 보호 커버(21)가 메인 커버(15)의 커버 설치부(14)에 설치된 상태에서 압력계 홀더(17)의 전면부 가장자리 둘레를 눌러서 고정시켜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옥외 소화전의 커버장치는 소화전 본체(10)의 내부 물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O-링(23)을 포함한다.
상기 O-링(23)은 메인 커버(15)측과 압력계 홀더(17)측 사이에 개재되어 두 부품 간의 틈새를 통해 물이 누출되지 않게 막아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메인 커버(15)의 홀더 안착홈(12)에는 바닥부의 관통홀(13a) 주위로 원형의 링 홈(22)이 설치되고, 이렇게 설치되는 링 홈(22)에 O-링(23)이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홀더 안착홈(12) 내에 압력계 홀더(17)가 삽입 설치되면, 압력계 홀더(17)의 후면이 O-링(23)에 밀착되고, 이와 더불어 보호 커버(21)의 체결에 의해 압력계 홀더(17)가 밀리면서 O-링(23)이 압착되므로서, 메인 커버(15)측과 압력계 홀더(17)측 간의 틈새가 완벽하게 실링될 수 있게 되고, 결국 압력계(19)측과의 연통을 위해 뚫어놓은 관통홀(13a)을 통한 물의 누출 문제를 완전히 배제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O-링(23)의 설치와 관련한 링 홈(22)의 경우, 메인 커버(15)측과 압력계 홀더(17)측에 모두 형성할 수 있거나, 또는 메인 커버(15)측과 압력계 홀더(17)측 중 어느 한쪽에 형성할 수 있거나, 또는 메인 커버(15)측과 압력계 홀더(17)측에 모두에 형성하지 않고 그대로 O-링(23)을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옥외 소화전의 커버장치는 압력계 홀더(17)와 함께 압력계(19)를 설치할 때 압력계(19)의 방향을 정확하게 맞출 수 있도록 해주는 수단으로 가이드장치(24)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장치(24)는 메인 커버(15)의 홀더 안착홈(12)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34)과 압력계 홀더(17)에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33)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홈(34)은 홀더 안착홈(12)의 내주면에 축선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형성되는 홈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상기 가이드 돌기(33)는 압력계 홀더(17)의 외주면에 축선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형성되는 돌기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메인 커버(15)의 홀더 안착홈(12)에 압력계 홀더(17)를 설치할 때, 가이드 돌기(33)의 위치를 가이드 홈(34)의 위치에 맞춘 다음, 가이드 돌기(33)를 가이드 홈(34)에 끼우면서 압력계 홀더(17)를 밀어 넣게 되면, 압력계 홀더(17)의 설치 방향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된다.
결국, 상기 압력계 홀더(17)의 압력계 안착홈(16)에 압력계(19)를 바른 자세로 설치한 다음, 다시 말해 게이지(18)의 눈금 구간의 정중앙과 압력계 홀더(17)에 있는 가이드 돌기(33)가 동일한 수직선상에 오도록 맞춘 상태로 압력계(19)를 설치한 다음, 홀더 안착홈(12)의 내주면 상단 정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 홈(34)에 가이드 돌기(33)를 맞춰 끼워서 압력계 홀더(17)를 설치하게 되면, 압력계(19)를 정자세로 똑바르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장치를 설치한 옥외 소화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축물의 외부에는 건축물 내부의 화재를 진압하고 인접한 건축물로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옥외 소화전(100)이 설치되며, 이렇게 설치되는 옥외 소화전(100)의 소화전 본체(10)에 있는 송수구(11)에는 커버장치(110)가 설치된다.
상기 커버장치(110)는 송수구(11)에 차례로 설치되는 메인 커버(15)와 보호 커버(21), 그리고 보호 커버(21)의 내측으로 설치되는 압력계(19) 및 압력계 홀더(17)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커버장치(110)를 이용한 소화전 압력 점검 시, 작업자가 압력계 홀더(17)에 있는 덮개(20)의 잠금장치(32)를 푼 다음, 덮개(20)를 윗쪽으로 젖혀서 열게 되면, 압력계(19)의 게이지(18)가 그대로 노출되므로, 작업자는 압력계(19)의 게이지(18)에서 눈금자가 가리키는 눈금을 확인하는 것만 만으로 소화전의 소방용수 압력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옥외 소화전(100)의 점검 시, 소화전 나사봉을 돌려서 소화전 밸브를 개방시키게 되면, 소방용수가 소화전 본체(10)로 유입되면서 압력이 상승하게 되고, 이때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메인 커버(15)를 통해 소화전 본체(10)의 내부로 소방용수가 유입된 것을 확인함과 더불어 덮개(20)를 열고 압력계(19)의 게이지(19)를 확인함으로써, 옥외 소화전(100)의 점검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옥외 소화전의 송수구에 압력계를 설치하여 압력 점검 시 커버를 분리하지 않고도 압력을 점검할 수 있고, 압력계가 내장되는 압력계 홀더를 적용하여 압력계 설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설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새로운 커버장치를 갖춘 옥외 소화전을 제공함으로써, 옥외 소화전의 압력 점검작업 및 유지관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10 : 소화전 본체
11 : 송수구
12 : 홀더 안착홈
13a,13b : 관통홀
14 : 커버 설치부
15 : 메인 커버
16 : 압력계 안착홈
17 : 압력계 홀더
18 : 게이지
19 : 압력계
20 : 덮개
21 : 보호 커버
22 : 링 홈
23 : O-링
24 : 가이드장치
25 : 컬러부
26 : 드레인 밸브
27a,27b : 암나사부
28a,28b : 수나사부
29 : 그립부
30 : 가압부
31 : 힌지장치
32 : 잠금장치
33 : 가이드 돌기
34 : 가이드 홈

Claims (5)

  1. 내주면에 암나사부(27a)를 가지는 원형의 커버로서, 상기 암나사부(27a)를 이용하여 건축물 외부에 설치되어 있는 옥외 소화전의 소화전 본체(10)의 송수구(11)에 있는 수나사부(28a)에 체결되는 구조로 설치되고, 외주면에는 외주부 둘레를 따라가면서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 개의 돌기 형태로 이루어진 그립부(29)가 형성됨에 따라 메인 커버(15)를 열고 닫을 때 그립부(29)에 공구를 걸어서 메인 커버(29)를 손쉽게 돌릴 수 있게 되며, 전면부에 홀더 안착홈(12)과 관통홀(13a), 그리고 커버 설치부(14)를 가지는 메인 커버(15);
    전면부에 압력계 안착홈(16)과 관통홀(13b)을 가지면서 메인 커버(15)의 홀더 안착홈(12)에 설치되는 압력계 홀더(17);
    전면의 게이지(18)가 외부로 노출 가능하고 압력계 홀더(17)의 압력계 안착홈(16)에 설치되는 압력계(19);
    상기 메인 커버(15)의 커버 설치부(14)에 설치되어 압력계 홀더(17)를 눌러서 고정시키는 보호 커버(21);
    상기 압력계(19)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투명 또는 불투명의 원형 덮개로서, 상단부의 힌지장치(31)를 이용하여 압력계 홀더(17)의 상측에 지지됨과 더불어 하단부의 잠금장치(32)를 이용하여 압력계 홀더(17)의 하측에 원터치 방식으로 록/언록 가능하게 되는 구조로 설치됨에 따라 아래쪽의 잠금장치(32)를 푼 다음 위로 젖히게 되면 윗쪽의 힌지장치(31)를 이용하여 회전되면서 열릴 수 있게 되고, 상기 압력계 홀더(17)의 전면에 개폐가 가능하게 설치되므로서 압력계 홀더(17)의 안쪽에 있는 압력계(19)를 먼지, 돌, 비와 같은 오염물질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덮개(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 소화전의 커버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커버(15)에 형성되는 홀더 안착홈(12)의 내면과 압력계 홀더(17)의 외면 사이에는 압력계 홀더(17)의 설치 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장치(2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 소화전의 커버장치.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력계 홀더(17)에는 드레인 밸브(26)가 설치되어 소화전 내부 압력이 기 설정 압력을 초과하면 드레인 밸브(26)가 열리면서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 소화전의 커버장치.
KR1020200106193A 2020-08-24 2020-08-24 옥외 소화전의 커버장치 KR1024709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6193A KR102470920B1 (ko) 2020-08-24 2020-08-24 옥외 소화전의 커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6193A KR102470920B1 (ko) 2020-08-24 2020-08-24 옥외 소화전의 커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5461A KR20220025461A (ko) 2022-03-03
KR102470920B1 true KR102470920B1 (ko) 2022-11-25

Family

ID=80818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6193A KR102470920B1 (ko) 2020-08-24 2020-08-24 옥외 소화전의 커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09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9643B1 (ko) * 2022-12-29 2023-11-08 (주)에이치에스씨엠티 수도관 압력 모니터링이 가능한 소화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2563Y1 (ko) * 2004-03-24 2004-06-05 코리아세이프티주식회사 소화기의 압력계 고정 장치
KR100878489B1 (ko) * 2008-07-17 2009-01-13 신라파이어 주식회사 개폐확인 장치가 구비된 소화전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186Y1 (ko) 2008-07-11 2010-06-23 중앙공업 주식회사 지상소화전
KR101167608B1 (ko) 2010-05-03 2012-07-27 신진정공 주식회사 지상 소화전
KR101048027B1 (ko) 2011-01-12 2011-07-13 주식회사 장원 옥외소화전 안전표시커버
KR20130016486A (ko) * 2011-08-08 2013-02-18 (주)화이어대상 옥외소화전설비의 밸브구조
KR101598806B1 (ko) 2014-08-29 2016-03-18 황선우 소화전
KR101905510B1 (ko) 2017-03-14 2018-10-08 육송(주) 옥외 소화전
KR20200000071U (ko) * 2018-06-29 2020-01-08 성정례 소방용 압력계
KR20200011624A (ko) * 2018-07-18 2020-02-04 대명기계공업 주식회사 소화 설비의 과압 방지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2563Y1 (ko) * 2004-03-24 2004-06-05 코리아세이프티주식회사 소화기의 압력계 고정 장치
KR100878489B1 (ko) * 2008-07-17 2009-01-13 신라파이어 주식회사 개폐확인 장치가 구비된 소화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5461A (ko) 2022-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83410A (en) Adjustable drop nipple for sprinkler heads
KR200449186Y1 (ko) 지상소화전
US6945731B1 (en) Subterranean utility marker
US4651771A (en) Hydrant protective cap and cover structure and operating wrench therefor
KR102470920B1 (ko) 옥외 소화전의 커버장치
KR102181151B1 (ko) 누수 감지 소화전
KR100981985B1 (ko) 유량계 착탈이 용이한 지하수 상부 밀폐장치
KR20150105890A (ko) 압력체크용 소화전
KR100878489B1 (ko) 개폐확인 장치가 구비된 소화전
KR200418492Y1 (ko) 다목적 앵글밸브
KR20120021589A (ko) 밀폐식 상부 보호공 장치
KR102280287B1 (ko) 회전식 옥외소화전
KR101138739B1 (ko) 지하수 상부 보호공의 배관 연결장치
KR101274883B1 (ko) 전송기함
KR200299278Y1 (ko) 수도계량기 보호통 뚜껑
KR101909388B1 (ko) 스프링클러설비용 과압방지 밸브체
KR200414294Y1 (ko) 테스트용 오리피스 및 투명점검구가 구비된 알람밸브드레인 연결관
KR200411780Y1 (ko) 가스배관 보링 검지공 보호구
KR20110008057U (ko) 상수도밸브 보호실용 철개
US11525248B2 (en) Integrated access box
KR200336866Y1 (ko) 제수변용 맨홀의 철개
WO2012008712A2 (ko) 맞춤형 소화전 및 그 제조설치방법
KR200497430Y1 (ko) 가스설비 잔압 확인장치
KR200398767Y1 (ko) 조립식 상수도용 맨홀
KR200496556Y1 (ko) 방식전위측정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