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4009B1 - 자동화 공정용 교육장비 - Google Patents

자동화 공정용 교육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4009B1
KR101904009B1 KR1020180097344A KR20180097344A KR101904009B1 KR 101904009 B1 KR101904009 B1 KR 101904009B1 KR 1020180097344 A KR1020180097344 A KR 1020180097344A KR 20180097344 A KR20180097344 A KR 20180097344A KR 101904009 B1 KR101904009 B1 KR 1019040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it
plc
kits
engaging member
eng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7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찬호
Original Assignee
권찬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찬호 filed Critical 권찬호
Priority to KR1020180097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40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4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40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5/00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5/02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of industrial processes; of machinery
    • G09B25/025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of industrial processes; of machinery hydraulic; pneuma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ogrammable Control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LC, 제1 커넥터, 전원공급기기를 포함하는 PLC 키트; 제2 커넥터, 입출력 포트, 구동장치, 자동화 공정용 구성품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공정용 키트; 상기 PLC 키트 또는 복수 개의 상기 공정용 키트를 서로 연결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PLC 키트 또는 복수 개의 상기 공정용 키트 일측면에 구비되는 제1걸림부재; 상기 제1걸림부재와 걸림결합되도록 다른 상기 PLC 키트 또는 상기 공정용 키트 타측면에 구비되는 제2걸림부재; 상기 제1걸림부재와 상기 제2걸림부재가 걸림결합되면 상기 제1걸림부재와 상기 제2걸림부재의 결합상태를 유지시키는 착탈부; 상기 제1걸림부재와 상기 제2걸림부재가 걸림결합되면 상기 PLC 키트 또는 복수 개의 상기 공정용 키트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연결부; 및 상기 착탈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제1걸림부재와 상기 제2걸림부재가 걸림결합된 후에 상기 착탈부의 후크부재 위치 및 각도를 감지하고, 상기 후크부재의 각도 및 위치에 따라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키트들 사이에 발생되는 높이 차이 및 각도 차이를 판단하여 상기 PLC 키트 또는 상기 공정용 키트의 각도 및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연결부를 이루는 제1접속단자와 제2접속단자를 서로 대향되는 높이에 배치시키는 높이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화 공정용 교육장비 {TRAINING EQUIPMENT FOR AUTOMATION PROCESSES}
본 발명은 자동화 공정용 교육장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PLC, 제1 커넥터, 전원공급기기를 포함하는 PLC 키트, 및 제2 커넥터, 입출력 포트, 구동장치, 자동화 공정용 구성품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공정용 키트를 포함하고, 공정용 키트는, 자동화 공정용 구성품이 서로 다르게 또는 동일하게 구성되는 복수 개의 공정용 키트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한 배치 결합으로 교육용 자동화 공정 라인을 구축하고, 상기 PLC 키트에 구비되는 제1 커넥터와 자동화 공정 라인으로 구축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해당 공정용 키트 각각에 구비되는 제2커넥터를 연결하여 구동되고, 다수 개의 키트를 원터치 방식으로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고, 키트가 설치되는 다양한 지형에서 복수 개의 키트가 서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높이로 서로 연결될 수 있는 자동화 공정용 교육장비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산업이 급속도로 발전하여 거의 모든 분야의 산업 공정이 자동화 공정으로 이루어져 있고, 혹은 변화 되어가고 있고, 산업 공정의 자동화 공정에 필요한 대표적인 기술이 바로 각종 제어를 자동 제어할 수 있는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이다.
자동화 공정에 요구되는 PLC는 기본적인 시퀀스 제어기능과 수치 연산기능 및 논리 회로를 추가한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가 가능하도록 만든 제어 장치로서, 시퀀스 제어 뿐만 아니라 타 장비와의 피드백 제어, 디지털 제어, 통신 기능 제어 등이 탑재되어 있어 각 종 산업 기기 및 자동화 공정 구성에 있어서 핵심적인 기능을 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PLC제어를 하기 위해서는 정확하게 습득된 기술적 지식을 필요로 하므로 이에 대한 교육이 필수로 요망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시판 혹은 교육현장에서 사용하고 있는 PLC 교육장비는 일률적이고 획일화 되어있어, 실제 산업 현장에서 요구 되고 있는 기술을 습득하는데 있어 그 한계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 할 수 있는 PLC 교육장비로는 자동화 공정 교육용 테이블과 PLC 실습장비 컨트롤 박스 형식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들 PLC 교육장비들은 프로파일 테이블로 받침대를 형성하여 하부에는 바퀴를 장착 이동 가능하게 설계 되어 있으며, 테이블에 PLC와 교육 라인이 부착되어 있는 형태이다.
그런데 상기한 기존의 PLC 교육장비들은 실험용 부품이 이미 부착되어 있고, 고정되어 있는 형식이기 때문에, 새로운 부품을 추가로 연결 및 결합 할 수가 없다.
이로 인하여, 자동화 공정 라인으로서의 교육이 아니라 단순한 컨베이어 물류 이동, 혹은 위치 이동장비로서의 단순한 과정만을 교육할 수 밖에 없는 현실이다.
실제 산업 현장에서는 각 자동화 공정이 모두 연결되어 있는 라인 형태이며, 각 구간별로 피드백을 통하여 제품을 생산하기 때문에, 이러한 기존의 PLC 교육장비들로는 실제 산업 현장과 동일한 자동화 라인을 구성할 수 없어 실제 산업 현장에서 요구 되고 있는 기술을 만족할 수준으로 습득할 수 없고, PLC 프로그래밍 교육/실습을 다양하게 진행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자동화 공정 교육용 장비가 개발되었으며,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화 공정 교육용 장비는, PLC, 제1 커넥터, 전원공급기기를 포함하는 PLC 키트와, 제2 커넥터, 입출력 포트, 구동장치, 자동화 공정용 구성품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공정용 키트를 포함하고, 공정용 키트는, 자동화 공정용 구성품이 서로 다르게 또는 동일하게 구성되는 복수 개의 공정용 키트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한 배치 결합으로 교육용 자동화 공정 라인을 구축하고, PLC 키트에 구비되는 제1 커넥터와 상기 자동화 공정 라인으로 구축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해당 공정용 키트 각각에 구비되는 제2 커넥터를 연결하여 구동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43131호(2017년 12월 29일 공개, 발명의 명칭 : 자동화 공정 교육용 장비)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장비는, 다수 개의 키트가 연속되게 연결될 때에 다수 개의 키트를 서로 연결하는 결합용 부품이 네오디뮴 자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키트들 사이에 결합력이 높지 않아 작은 외력에 의해 키트들이 서로 분리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키트들 사이에 전기적 연결을 행하는 별도의 연결작업이 요구되므로 복수 개의 키트를 연결하는 작업이 용이하지 않고, 경사면이나 서로 높이가 다른 지면에 다수 개의 키트를 연결할 때에 각각의 키트 높이를 조절해야 하므로 다수 개의 키트를 서로 동일한 높이로 연결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PLC, 제1 커넥터, 전원공급기기를 포함하는 PLC 키트, 및 제2 커넥터, 입출력 포트, 구동장치, 자동화 공정용 구성품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공정용 키트를 포함하고, 공정용 키트는, 자동화 공정용 구성품이 서로 다르게 또는 동일하게 구성되는 복수 개의 공정용 키트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한 배치 결합으로 교육용 자동화 공정 라인을 구축하고, 상기 PLC 키트에 구비되는 제1 커넥터와 자동화 공정 라인으로 구축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해당 공정용 키트 각각에 구비되는 제2커넥터를 연결하여 구동되고, 다수 개의 키트를 원터치 방식으로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고, 키트가 설치되는 다양한 지형에서 복수 개의 키트가 서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높이로 서로 연결될 수 있는 자동화 공정용 교육장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PLC, 제1 커넥터, 전원공급기기를 포함하는 PLC 키트; 제2 커넥터, 입출력 포트, 구동장치, 자동화 공정용 구성품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공정용 키트; 상기 PLC 키트 또는 복수 개의 상기 공정용 키트를 서로 연결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PLC 키트 또는 복수 개의 상기 공정용 키트 일측면에 구비되는 제1걸림부재; 상기 제1걸림부재와 걸림결합되도록 다른 상기 PLC 키트 또는 상기 공정용 키트 타측면에 구비되는 제2걸림부재; 상기 제1걸림부재와 상기 제2걸림부재가 걸림결합되면 상기 제1걸림부재와 상기 제2걸림부재의 결합상태를 유지시키는 착탈부; 상기 제1걸림부재와 상기 제2걸림부재가 걸림결합되면 상기 PLC 키트 또는 복수 개의 상기 공정용 키트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연결부; 및 상기 착탈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제1걸림부재와 상기 제2걸림부재가 걸림결합된 후에 상기 착탈부의 후크부재 위치 및 각도를 감지하고, 상기 후크부재의 각도 및 위치에 따라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키트들 사이에 발생되는 높이 차이 및 각도 차이를 판단하여 상기 PLC 키트 또는 상기 공정용 키트의 각도 및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연결부를 이루는 제1접속단자와 제2접속단자를 서로 대향되는 높이에 배치시키는 높이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착탈부는, 제1걸림부재에 구비되고,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결합홈부와, 결합홈부에 삽입되어 제1걸림부재와 제2걸림부재의 결합상태를 유지시키도록 제2걸림부재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후크부재와, 후크부재를 제2걸림부재 외측으로 가압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와, 제1걸림부재와 제2걸림부재 사이의 간격으로 삽입되면서 후크부재를 후퇴시키면서 제1걸림부재와 제2걸림부재의 결합상태를 해제시키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걸림부재에 구비되는 상기 제1접속단자; 상기 제1접속단자로부터 상기 PLC 키트 또는 상기 공정용 키트 내측으로 상기 제1걸림부재를 따라 형성되는 제1통로; 상기 제2걸림부재에 구비되는 상기 제2접속단자; 상기 제2접속단자로부터 상기 PLC 키트 또는 상기 공정용 키트 내측으로 상기 제2걸림부재를 따라 형성되는 제2통로; 및 상기 제1접속단자 및 상기 제2접속단자로부터 상기 PLC 키트 또는 상기 공정용 키트 내부로 상기 제1통로 및 상기 제2통로를 따라 연장되는 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화 공정용 교육장비는, PLC 키트, 컴프레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정용 키트를 실제 산업 현장에서 적용되는 다양한 자동화 공정 라인 형태에 대응하도록 배치하여 결합용 부품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교육자가 원하는 대로 실제 산업 현장과 동일한 자동화 라인을 구축할 수 있어, PLC 프로그래밍 교육 및 실습을 다양하게 진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화 공정용 교육장비는, PLC 키트, 컴프레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정용 키트 각각을 결합용 부품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분해 및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교육 및 실습이 가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관 및 이송이 간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화 공정용 교육장비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다양하게 배치 결합되는 공정용 키트를 한 대의 PLC 키트로 제어할 수 있고, 다수 개의 키트를 손쉽게 연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화 공정용 교육장비는, 다수 개의 키트를 손쉽게 연결하고, 경사지나 서로 높이가 다른 지형에 설치되는 키트가 평형을 유지하면서 서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높이로 연결게 하는 결합부, 연결부 및 높이조절부가 구비되므로 다수 개의 키트를 서로 연결할 때에 수평을 유지시키는 작업 및 키트의 높이를 조절하는 작업이 생략될 수 있어 교육장비를 설치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공정용 교육장비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공정용 교육장비의 키트 내부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공정용 교육장비의 키트 외부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공정용 교육장비의 컨베이어 키트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공정용 교육장비의 컨베이어 키트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공정용 교육장비의 키트 배치예가 도시된 제1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공정용 교육장비의 키트 배치예가 도시된 제2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공정용 교육장비의 결합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공정용 교육장비의 결합부 및 연결부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공정용 교육장비의 연결부 및 결하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공정용 교육장비의 연결부 및 결합부의 해제작업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공정용 교육장비의 높이조절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화 공정용 교육장비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공정용 교육장비가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공정용 교육장비의 키트 내부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공정용 교육장비의 키트 외부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공정용 교육장비의 컨베이어 키트가 도시된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공정용 교육장비의 컨베이어 키트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공정용 교육장비의 키트 배치예가 도시된 제1예시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공정용 교육장비의 키트 배치예가 도시된 제2예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공정용 교육장비의 결합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공정용 교육장비의 결합부 및 연결부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또한,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공정용 교육장비의 연결부 및 결하부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공정용 교육장비의 연결부 및 결합부의 해제작업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공정용 교육장비의 높이조절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공정용 교육장비는, PLC 키트(100), 제1 내지 제N 공정용 키트(200-1, 200-2, 200-3, ‥, 200-N), 컴프레셔(300), 결합부(400)를 포함한다.
PLC 키트(100)는, 후술할 제1 내지 제N 공정용 키트(200-1, 200-2, 200-3, ‥, 200-N) 각각을 제어할 수 있도록, 기본적으로 PLC(110), 전원공급기기(120), 제1 커넥터(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PLC 키트(100)는, 개인용 컴퓨터(도시하지 않음)에 연결하여, 후술할 제1 내지 제N 공정용 키트(200-1, 200-2, 200-3, ‥, 200-N) 각각으로부터 피드백된 정보를 바탕으로 개인용 컴퓨터의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PLC 논리 회로 및 시퀀스 회로 등을 작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실제 산업 현장과 동일한 공정용 장비를 구동하는 법을 교육할 수 있게 한다.
PLC(110)는, 기본적인 시퀀스 제어기능과 수치 연산기능 및 논리 회로를 추가한 [0028]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가 가능하도록 만든 제어 장치로서, 시퀀스 제어뿐만 아니라 타 장비와의 피드백 제어, 디지털 제어, 통신 기능 제어 등이 탑재되어 있어 각 종 산업 기기 및 자동화 공정 구성에 있어서 핵심적인 기능을 하는 기기이다.
전원공급기기(120)는, 외부의 전기를 PLC(110)에 공급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1 커넥터(130)는, PLC 키트(100)를 후술할 제1 내지 제N 공정용 키트(200-1, 200-2, 200-3, ‥, 200-N) 각각과 케이블(500)로 연결할 수 있게 한다. 제1 커넥터(130)는 D-SUB 커넥터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PLC 키트(100)는 기본 구성요소로서 PLC(110), 전원공급기기(120), 제1 커넥터(130)가 구비될 수 있지만,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부가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PLC 키트(100)의 구성 및 작용 등의 내용은 하나의 예시일 뿐 본 실시예를 한정하는 것이 아님을 밝혀둔다.
PLC 키트(100)의 하우징 내부에는, PLC(110)와, PLC(110) 내부에 전원 공급을 위한 차단기(140), 노이즈 필터(150), DC24V 제어를 위한 전원공급기기(120) 등의 구성 요소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PLC 키트(100)의 하우징 외부에는, PLC(110)와 연동할 수 있는 HMI터치 패널(160), 후술할 제1 내지 제N 공정용 키트(200-1, 200-2, 200-3, ‥, 200-N) 각각과 연결할 수 있는 제1 커넥터(130)가 부착될 수 있으며, 또한, 실제 산업 현장과 동일한 기본 제어 스위치(170)가 부착되어 있어 실제 산업현장과 동일하게 제어 할 수 있도록 제작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N 공정용 키트(200-1, 200-2, 200-3, ‥, 200-N) 각각은, 교육 및 실습용으로서, 실제 산업 현장에서 적용되는 다양한 자동화 공정 라인을 이루는 개별 자동화 공정 장비에 대응하여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제작될 수 있으며, 기본적으로 제2 커넥터(210), 입출력 포트(220), 구동장치(230), 원 터치 피팅(240), 압력작동기(250)를 포함하며, 이에 더하여 자동화 공정용 구성품(26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N 공정용 키트(200-1, 200-2, 200-3, ‥, 200-N) 각각은, 여러 종류의 공정용 키트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컨베이어 키트(200-1), 방향전환용 키트(200-2), 위치이동형 로더 키트(200-3) 등일 수 있다.
제2 커넥터(210)는, 제1 내지 제N 공정용 키트(200-1, 200-2, 200-3, ‥, 200-N) 각각에 동일 또는 유사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제1 내지 제N 공정용 키트(200-1, 200-2, 200-3, ‥, 200-N) 각각을 PLC 키트(100)와 케이블(500)로 연결할 수 있게 한다.
제2 커넥터(210)는, PLC 키트(100)에 구비되는 제1 커넥터(130)와 동일할 수 있으며, D-SUB 커넥터일 수 있다.
입출력 포트(220)는, 제1 내지 제N 공정용 키트(200-1, 200-2, 200-3, ‥, 200-N) 각각에 동일 또는 유사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케이블(500)을 이용하여 제1 및 제2 커넥터(130, 210)를 연결함에 의해 제1 내지 제N 공정용 키트(200-1, 200-2, 200-3, ‥, 200-N) 각각에 구비되는 구동장치(230) 등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하고, 제1 내지 제N 공정용 키트(200-1, 200-2, 200-3, ‥, 200-N) 각각과 PLC 키트(100) 사이의 피드백을 구현할 수 있게 한다.
구동장치(230)는, 제1 내지 제N 공정용 키트(200-1, 200-2, 200-3, ‥, 200-N) 각각에 동일 또는 유사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입출력 포트(220)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구동되어 제1 내지 제N 공정용 키트(200-1, 200-2, 200-3, ‥, 200-N) 각각이 가동될 수 있도록 한다. 구동장치(230)는, 모터일 수 있다.
원 터치 피팅(240)은, 제1 내지 제N 공정용 키트(200-1, 200-2, 200-3, ‥, 200-N) 각각에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압력공급라인(600)을 통해 후술할 컴프레셔(300)에 연결되어 후술할 압력작동기(250)가 작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원 터치 피팅(240)은, 공정용 키트의 종류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N 공정용 키트(200-1, 200-2, 200-3, ‥, 200-N) 중에서 제1 공정용 키트(200-1)가 컨베이어 키트(200-1)인 경우에는 구동형 체인(280) 스토퍼 용도로 사용될 공압 실린더 또는 유압 실린더와 같은 후술할 압력작동기(250)가 필요 구성 요소이므로 압력작동기(250)를 작동시키기 위해 구비되어야 하지만, 제2 공정용 키트(200-2) 또는 제3 공정용 키트(200-3)가 방향전환용 키트(200-2) 또는 위치이동형 로더 키트(200-3)인 경우에는 압력작동기(250)와 같은 공압 또는 유압을 이용하여 작동되는 구성이 필요 없기 때문에 구비할 필요가 없다.
압력작동기(250)는, 제1 내지 제N 공정용 키트(200-1, 200-2, 200-3, ‥, 200-N) 각각에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원 터치 피팅(240)을 통해 후술할 컴프레셔(300)가 연결되면 공압 또는 유압을 제공받아 작동될 수 있고, 압력작동기(250)는 공압 실린더 또는 유압 실린더일 수 있다.
자동화 공정용 구성품(260)은, 제1 내지 제N 공정용 키트(200-1, 200-2, 200-3, [0042] ‥, 200-N) 각각에 구비될 수 있으며, 실제 산업 현장에서 다양한 자동화 공정 라인을 이루는 다양한 개별 자동화 공정 장비에 대응되도록 제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동화 공정용 구성품(260)은 제1 내지 제N 공정용 키트(200-1, 200-2, 200-3, ‥, 200-N) 각각마다 다르게 구성될 수 있으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자동화 공정용 구성품(260)의 구성 관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 1 내지 도 3을 다시 참고하고 도 4 및 도 5를 참고하여, 제1 내지 제N 공정용 키트(200-1, 200-2, 200-3, ‥, 200-N) 중에서 제1 공정용 키트(200-1)가 컨베이어 키트(200-1)일 경우를 예를 들어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에서, 자동화 공정용 구성품(260)은 제1 내지 제N 공정용 키트(200-1, 200-2, 200-3, ‥, 200-N) 각각마다 다르게 구성되는 것을 설명하였지만, 자동화 공정 라인을 구축함에 있어 적어도 2개 이상 동일한 공정용 키트가 사용될 경우도 있으므로 이러한 해당 공정용 키트는 자동화 공정용 구성품(260)이 동일하게 구성됨은 물론이다.
컴프레셔(300)는, 제1 내지 제N 공정용 키트(200-1, 200-2, 200-3, ‥, 200-N) 각각에 선택적으로 구비되는 원 터치 피팅(240)에 압력공급라인(600)을 연결하여 압력작동기(250)에 공압 또는 유압을 공급할 수 있고, 이러한 컴프레셔(300)는, 에어 컴프레셔 또는 오일 컴프레셔일 수 있으며, 압력작동기(250)는 공압 실린더 또는 유압실린더일 수 있다.
결합부(400)는, 제1 내지 제N 공정용 키트(200-1, 200-2, 200-3, ‥, 200-N) 중에서 실제 산업 현장에서 적용되는 다양한 자동화 공정 라인 형태에 대응하도록 적어도 2개 이상 배치할 경우 이들 상호간을 고정 결합할 수 있도록 제작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다시 참고하고 도 4 및 도 5를 참고하여, 제1 내지 제N 공정용 키트(200-1, 200-2, 200-3, ‥, 200-N) 중에서 제1 공정용 키트(200-1)가 컨베이어 키트(200-1)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컨베이어 키트(200-1)는, 프로파일(270)을 이용하여 기본 프레임을 제작하고, 컨베이어 구동을 위하여 구동장치(230)로서 모터를 설치하여 구동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샤프트(281), 스프라켓(282), 체인(283)을 이용하여 구동형 체인(280)을 제작하고, 구동형 체인(280)을 이용하여 파레트 소재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고, 스토퍼 용도의 압력작동기(250)와, 이 압력작동기(250)를 동작할 수 있는 솔레노이드 밸브(290)를 사용하여 출력 신호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압력작동기(250)는 공압 실린더 또는 유압 실린더일 수 있다.
압력작동기(250)의 높이는 프로파일(270)의 홈을 이용하여 조정 가능토록 만들 수 있으며, 마그네틱 센서를 압력작동기(250)에 부착하여 입력 신호를 피드백 할 수 있도록 하고, 포토 센서를 이용하여 압력작동기(250)의 동작여부를 제어 하도록 하는 등 실제 산업 현장에서 사용하고 있는 체인 컨베이어와 동일하게 제작할 수 있다.
컨베이어 키트(200-1)의 제어를 위하여 제어박스(도면부호 미도시)를 제작하고, 제어박스 내부에 입출력 포트(220)를 부착하고, 또한 제어박스에는 솔레노이드 밸브(290)의 매니폴드에 연결되는 원 터치 피팅(240)이 설치된다.
입출력 포트(220)는, PLC 키트(100)에 구비되는 제1 커넥터(130)와 컨베이어 키트(200-1)에 구비되는 제2 커넥터(210)를 연결함에 의해 컨베이어 키트(200-1)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고, 컨베이어 키트(200-1)와 PLC 키트(100) 사이의 피드백을 구현할 수 있게 한다.
원 터치 피팅(240)은, 압력공급라인(600)으로 컴프레셔(300)를 연결하여 압력작동기(250)가 작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로써 컨베이어 키트(200-1)는, 제어박스에 구비되는 원 터치 피팅(240)을 통해 압력공급라인(600)을 연결하고, 제2 커넥터(210)를 케이블(500)을 통해 제1 커넥터(130)와 연결함에 의해 구동이 가능하며, 이후 PLC 키트(100)에 개인용 컴퓨터를 연결하여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PLC 논리 회로 및 시퀀스 회로 등을 작성하면, 실제 산업 현장과 동일한 컨베이어 장비를 구동하는 법을 교육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공정 교육용 장비(1)의 구성 요소에 대하여 설명하였고, 또한 제1 내지 제N 공정용 키트(200-1, 200-2, 200-3, ‥, 200-N) 중에서 제1 공정용 키트(200-1)가 컨베이어 키트(200-1)인 경우에 컨베이어 키트(200-1)에 PLC 키트(100)와 컴프레셔(300)를 연결하여 PLC 프로그래밍 교육 및 실습하는 것을 예로써 설명하였는바, 이하에서는, 도 6 및 도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정용 키드들(200-1, 200-2, 200-3, ‥, 200-N)을 어떻게 배치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하며, 이를 통해 본 발명이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도 6 및 도 7은 제1 내지 제N 공정용 키트(200-1, 200-2, 200-3, ‥, 200-N) 중에서, 제1, 제2, 제3 공정용 키트(200-1, 200-2, 200-3)가 컨베이어 키트(200-1), 방향전환용 키트(200-2), 위치이동형 로더 키트(200-3)인 경우 이들 3 종류의 공정용 키트(200-1, 200-2, 200-3)를 이용하여 교육자가 실제 산업 현장의 실제 자동화 공정 라인과 동일 또는 유사한 자동화 공정 라인을 구축하는 것을 예시한 것이다.
도 6의 제1 예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PLC 프로그래밍 교육 및 실습을 위한 자동화 공정 라인은, 2개의 컨베이어 키트(200-1), 1개의 방향전환용 키트(200-2), 1개의 위치이동형 로더 키트(200-3)를 테이블(2) 상에 실제 자동화 공정 라인 형태로 배치하고, 결합부(400)로 상호 결합시켜 교육 및 실습용 자동화 공정 라인을 구축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2개의 컨베이어 키트(200-1) 중에서, 어느 하나의 컨베이어 키트(200-1)는 투입 되는 소재를 이송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고, 다른 하나의 컨베이어 키트(200-1)는 가공 완료된 소재를 배출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방향전환용 키트(200-2)는 소재 투입 측에 배치된 컨베이어 키트(200-1)로부터 이송된 소재의 방향을 전환시켜 위치이동형 로더 키트(200-3)로 전달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위치이동형 로더 키트(200-3)는 방향전환용 키트(200-2)에서 방향 전환된 소재를 가공완료 소재 배출 측에 배치된 컨베이어 키트(200-1)로 위치 이동시킬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7의 제2 예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PLC 프로그래밍 교육 및 실습을 위한 자동화 공정 라인은, 4개의 컨베이어 키트(200-1), 1개의 방향전환용 키트(200-2), 1개의 위치이동형 로더 키트(200-3)를 테이블(2) 상에 실제 자동화 공정 라인 형태로 배치하고, 결합부(400)로 상호 결합시켜 교육 및 실습용 자동화 공정 라인을 구축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4개의 컨베이어 키트(200-1) 중에서, 어느 하나의 컨베이어 키트(200-1)는 투입 되는 소재를 이송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고, 다른 하나의 컨베이어 키트(200-1)는 가공 완료된 소재를 배출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고, 또 다른 하나의 컨베이어 키트(200-1)는 불량 소재를 배출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나머지 하나의 컨베이어 키트(200-1)는 공정 라인 중간에 배치될 수 있다. 방향전환용 키트(200-2)는 소재 투입 측에 배치된 컨베이어 키트(200-1)로부터 이송된 소재의 방향을 전환시켜 NG 소재 배출 측에 배치된 컨베이어 키트(200-1) 또는 공정 라인 중간에 배치된 컨베이어 키트(200-1)로 전달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위치이동형 로더 키트(200-3)는 공정 라인 중간에 배치된 컨베이어 키트(200-1)로부터 이송된 소재를 가공완료 소재 배출 측에 배치된 컨베이어 키트(200-1)로 위치 이동시킬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3 종류의 공정용 키트(200-1, 200-2, 200-3)를 이용하여 교육 및 실습용 자동화 공정 라인을 구축한 것을 설명하였지만, 제1 내지 제N 공정용 키트(200-1, 200-2, 200-3, ‥, 200-N)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교육자의 의도와 교육 방식에 따라 더욱 다양한 교육 및 실습용 자동화 공정 라인을 설계 구축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6 또는 도 7과 같이, 교육 및 실습용 자동화 공정 라인을 구축한 후, 전술한 바와 같이, 컨베이어 키트(200-1), 방향전환용 키트(200-2), 위치이동형 로더 키트(200-3) 각각에 PLC 키트(100)를 연결하고, 컨베이어 키트(200-1)에 컴프레셔(300)를 연결함에 의해 자동화 공정 교육용 장비(1)의 구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PLC 키트(100), 컴프레셔(300),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정용 키트(200-1, 200-2, 200-3, ‥, 200-N)를 실제 산업 현장에서 적용되는 다양한 자동화 공정 라인 형태에 대응하도록 배치하여 결합부(400)로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교육자가 원하는 대로 실제 산업 현장과 동일한 자동화 라인을 구축할 수 있어, PLC 프로그래밍 교육 및 실습을 다양하게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PLC 키트(100), 컴프레셔(300),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정용 키트([0068] 200-1, 200-2, 200-3,‥, 200-N) 각각을 결합부(400)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분해 및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교육 및 실습이 가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관 및 이송이 간편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다양하게 배치 결합되는 공정용 키트(200-1, 200-2, 200-3, ‥, 200-N)를 한 대의 PLC 키트(100)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결합부(400)는, PLC 키트 또는 복수 개의 상기 공정용 키트 일측면에 구비되는 제1걸림부재(412)와, 제1걸림부재(412)와 걸림결합되도록 다른 PLC 키트 또는 공정용 키트 타측면에 구비되는 제2걸림부재(414)와, 제1걸림부재(412)와 제2걸림부재(414)가 걸림결합되면 제1걸림부재(412)와 제2걸림부재(414)의 결합상태를 유지시키는 착탈부와, 제1걸림부재(412)와 제2걸림부재(414)가 걸림결합되면 PLC 키트 또는 복수 개의 공정용 키트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연결부(430)와, 착탈부의 작동에 의해 제1걸림부재(412)와 제2걸림부재(414)가 걸림결합된 후에 착탈부의 후크부재(417) 위치 및 각도를 감지하고, 후크부재(417)의 각도 및 위치에 따라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키트들 사이에 발생되는 높이 차이 및 각도 차이를 판단하여 PLC 키트 또는 공정용 키트의 각도 및 높이를 조절하여 연결부(430)를 이루는 제1접속단자(432)와 제2접속단자(434)를 서로 대향되는 높이에 배치시키는 높이조절부(450)를 포함한다.
따라서 PLC 키트 또는 복수 개의 공정용 키트를 연결할 때에는 평면 형상이 'ㄱ'모양으로 형성되는 제1걸림부재(412)와, 평명 형상이 'ㄴ'모양으로 형성되는 제2걸림부재(414)를 서로 걸림결합시켜 복수 개의 키트를 서로 연결하는데, 이때, 착탈부의 작동에 의해 제1걸림부재(412)와 제2걸림부재(414) 사이의 걸림결합이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착탈부는, 제1걸림부재(412)에 구비되고,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결합홈부(416)와, 결합홈부(416)에 삽입되어 제1걸림부재(412)와 제2걸림부재(414)의 결합상태를 유지시키도록 제2걸림부재(414)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후크부재(417)와, 후크부재(417)를 제2걸림부재(414) 외측으로 가압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418)와, 제1걸림부재(412)와 제2걸림부재(414) 사이의 간격으로 삽입되면서 후크부재(417)를 후퇴시키면서 제1걸림부재(412)와 제2걸림부재(414)의 결합상태를 해제시키는 가압부재(419)를 포함한다.
결합홈부(416)는, 제1걸림부재(412) 내벽에 수직방향으로 길게 장홈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므로 서로 높이가 다른 지형에서 복수 개의 키트가 연결되어도 후크부재(417)는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결합홈부(416)에 삽입되므로 걸림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제1걸림부재(412)와 제2걸림부재(414) 사이의 걸림결합이 이루어진 후에는 높이조절부(450)의 작동에 의해 후크부재(417)의 높이 및 배치되는 각도가 감지되어 제어부에 송신되므로 서로 연결되는 키드 사이의 높이 차이와 각도 차이를 제어부에서 판단할 수 있게 되고, 제어부로부터 송신되는 구동신호에 따라 높이조절부(450)가 구동되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키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높이 및 각도로 배치되면서 연결부(430)의 연결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높이와 각도를 유지시키게 된다.
본 실시예의 연결부(430)는, 제1걸림부재(412)에 구비되는 제1접속단자(432)와, 제1접속단자(432)로부터 PLC 키트 또는 공정용 키트 내측으로 상기 제1걸림부재(412)를 따라 형성되는 제1통로(437)와, 제2걸림부재(414)에 구비되는 제2접속단자(434)와, 제2접속단자(434)로부터 PLC 키트 또는 공정용 키트 내측으로 제2걸림부재(414)를 따라 형성되는 제2통로(438)와, 제1접속단자(432) 및 제2접속단자(434)로부터 PLC 키트 또는 공정용 키트 내부로 제1통로(437) 및 제2통로(438)를 따라 연장되는 케이블(436)을 포함한다.
높이조절부(450)의 작동에 의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키트가 동일하거나 유사한 높이 및 각도를 유지하게 되면 제1접속단자(432)와 제2접속단자(434)가 서로 대향되는 높이에 동일 직선 상에 배치되므로 작업자는 제1걸림부재(412)와 제2걸림부재(414)가 더 밀착되도록 한 쌍의 키트를 슬라이딩시키면 제1접속단자(432)가 제2접속단자(434)에 삽입되면서 한 쌍의 키트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공급 및 신호의 전달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부(450)는, 키트를 지지하도록 저면으로부터 지면 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지지대(470)와, 지지대(470)의 하단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케이스(454)와, 지지대(470) 하단에 설치되고, 케이스(454) 내부에 유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지지패널(456)과, 지지패널(456)의 저면과 케이스(454) 바다면 사이에 개재되는 볼부재(436)와, 볼부재(436)를 전후 또는 좌우 방향으로 유동시키면서 지지대(470)의 각도를 조절하는 조절실린더(458)와, 결함홈부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길게 설치되고, 결합홈부(416)에 삽입되는 후크부재(417)의 위치 및 각도를 감지하여 제어부에 위치신호 및 각도시호를 송신하는 근거리감지센서(452)를 포함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한 쌍의 키트를 서로 인접하게 배치시켜 제1걸림부재(412)와 제2걸림부재(414)를 걸림결합시키면 근거리감지센서(452)에서 후크부재(417)의 위치 및 각도를 감지하여 제어부에 신호를 송신하고, 제어부에서 판단되는 후크부재(417)의 높이 및 각도가 설정범위 내에 포함되지 않으면 구동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제어부에서 송신되는 구동신호에 따라 조절실린더(458)로부터 로드가 출몰되면 볼부재(436)가 전후 또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지지패널(456)의 각도를 조절하므로 키트가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키트의 각도를 변화시키고, 조절실린더(458)로부터 출몰되는 로드에 의해 케이스(454)가 승강되면서 키트를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조절실린더(458) 로드는, 조절실린더(458)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출몰되면서 볼부재(436)를 이동시키는 제1로드(458a)와, 조절실린더(458)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출몰되면서 케이스(454)의 높이를 조절하는 제2로드(458b)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1로드(458a)가 조절실린더(458) 내측으로 삽입되면 볼부재(436)를 조절실린더(458) 측으로 당기게 되므로 조절실린더(458) 측의 지지패널(456) 단부가 상승하면서 지지대(470)를 반대 측으로 기울어지게 하면서 수평을 조절하고, 이때, 제1로드(458a)가 조절실린더(458)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조절실린더(458) 내측에 구비되는 작동유체를 제2로드(458b) 측으로 가압하므로 제2로드(458b)가 케이스(454) 저면 측으로 돌출되면서 조절실린더(458)가 위치되는 케이스(454)의 단부를 지면으로부터 상승시키면서 키트의 각도 조절 및 키트의 높이 조절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로드(458a)와 제2로드(458b)는 서로 연동되게 설치될 수 있고, 별도의 작동 공간에 제1로드(458a) 및 제2로드(458b)가 설치되어 각각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이로써, PLC, 제1 커넥터, 전원공급기기를 포함하는 PLC 키트, 및 제2 커넥터, 입출력 포트, 구동장치, 자동화 공정용 구성품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공정용 키트를 포함하고, 공정용 키트는, 자동화 공정용 구성품이 서로 다르게 또는 동일하게 구성되는 복수 개의 공정용 키트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한 배치 결합으로 교육용 자동화 공정 라인을 구축하고, 상기 PLC 키트에 구비되는 제1 커넥터와 자동화 공정 라인으로 구축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해당 공정용 키트 각각에 구비되는 제2커넥터를 연결하여 구동되고, 다수 개의 키트를 원터치 방식으로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고, 키트가 설치되는 다양한 지형에서 복수 개의 키트가 서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높이로 서로 연결될 수 있는 자동화 공정용 교육장비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자동화 공정용 교육장비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자동화 공정용 교육장비가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교육장비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자동화 공정용 교육장비 2: 테이블
100: PLC 키트 110: PLC
120: 전원공급기기 130: 제1 커넥터
140: 차단기 150: 노이즈 필터
160: HMI터치 패널 170: 제어 스위치
200-1, 200-2, 200-3, ‥, 200-N: 제1 내지 제N 공정용 키트
210: 제2 커넥터 220: 입출력 포트
230: 구동장치 240: 원 터치 피팅
250: 압력작동기 260: 자동화 공정용 구성품
270: 프로파일 280: 구동형 체인
281: 샤프트 282: 스프라켓
283: 체인 290: 솔레노이드 밸브
300: 컴프레셔 400: 결합부
412 : 제1걸림부재 414 : 제2걸림부재
416 : 결합홈부 417 : 후크부재
418 : 탄성부재 419 : 가압부재
430 : 연결부 432 : 제1접속단자
434 : 제2접속단자 436 : 케이블
437 : 제1통로 438 : 제2통로
450 : 높이조절부 452 : 근거리감지센서
454 : 케이스 456 : 지지패널
457 : 볼부재 458 : 조절실린더
500: 케이블 600: 압력공급라인

Claims (3)

  1. PLC, 제1 커넥터, 전원공급기기를 포함하는 PLC 키트;
    제2 커넥터, 입출력 포트, 구동장치, 자동화 공정용 구성품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공정용 키트;
    상기 PLC 키트 또는 복수 개의 상기 공정용 키트를 서로 연결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PLC 키트 또는 복수 개의 상기 공정용 키트 일측면에 구비되는 제1걸림부재;
    상기 제1걸림부재와 걸림결합되도록 다른 상기 PLC 키트 또는 상기 공정용 키트 타측면에 구비되는 제2걸림부재;
    상기 제1걸림부재와 상기 제2걸림부재가 걸림결합되면 상기 제1걸림부재와 상기 제2걸림부재의 결합상태를 유지시키는 착탈부;
    상기 제1걸림부재와 상기 제2걸림부재가 걸림결합되면 상기 PLC 키트 또는 복수 개의 상기 공정용 키트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연결부; 및
    상기 착탈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제1걸림부재와 상기 제2걸림부재가 걸림결합된 후에 상기 착탈부의 후크부재 위치 및 각도를 감지하고, 상기 후크부재의 각도 및 위치에 따라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키트들 사이에 발생되는 높이 차이 및 각도 차이를 판단하여 상기 PLC 키트 또는 상기 공정용 키트의 각도 및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연결부를 이루는 제1접속단자와 제2접속단자를 서로 대향되는 높이에 배치시키는 높이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 공정용 교육장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부는,
    상기 제1걸림부재에 구비되고,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결합홈부;
    상기 결합홈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1걸림부재와 상기 제2걸림부재의 결합상태를 유지시키도록 상기 제2걸림부재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후크부재;
    상기 후크부재를 상기 제2걸림부재 외측으로 가압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제1걸림부재와 상기 제2걸림부재 사이의 간격으로 삽입되면서 상기 후크부재를 후퇴시키면서 상기 제1걸림부재와 상기 제2걸림부재의 결합상태를 해제시키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 공정용 교육장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걸림부재에 구비되는 상기 제1접속단자;
    상기 제1접속단자로부터 상기 PLC 키트 또는 상기 공정용 키트 내측으로 상기 제1걸림부재를 따라 형성되는 제1통로;
    상기 제2걸림부재에 구비되는 상기 제2접속단자;
    상기 제2접속단자로부터 상기 PLC 키트 또는 상기 공정용 키트 내측으로 상기 제2걸림부재를 따라 형성되는 제2통로; 및
    상기 제1접속단자 및 상기 제2접속단자로부터 상기 PLC 키트 또는 상기 공정용 키트 내부로 상기 제1통로 및 상기 제2통로를 따라 연장되는 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 공정용 교육장비.
KR1020180097344A 2018-08-21 2018-08-21 자동화 공정용 교육장비 KR1019040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344A KR101904009B1 (ko) 2018-08-21 2018-08-21 자동화 공정용 교육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344A KR101904009B1 (ko) 2018-08-21 2018-08-21 자동화 공정용 교육장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4009B1 true KR101904009B1 (ko) 2018-11-28

Family

ID=64561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7344A KR101904009B1 (ko) 2018-08-21 2018-08-21 자동화 공정용 교육장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40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9956A (ko) 2019-12-04 2021-06-14 김병준 메카트로닉스 자동화 교육장비용 케이스 프레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9956A (ko) 2019-12-04 2021-06-14 김병준 메카트로닉스 자동화 교육장비용 케이스 프레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364747A1 (en) Magnetic coupling device with at least one of asensor arrangement and a degauss capability
KR101904009B1 (ko) 자동화 공정용 교육장비
US20220016789A1 (en) Tool stocker, interchangeable tool, robot apparatus, robot system, control method of robot system, and storage medium
US7896711B2 (en) Modular electrical bus system
CN107690683A (zh) 显示模块、显示装置及组装和拆卸显示模块的方法
KR100787186B1 (ko) 모듈식 다기능 멀티 핸드 그리퍼장치
US6302266B1 (en) Conveyor control system employing zone control module
JPH07500408A (ja) 電空制御器
KR101782986B1 (ko) Plc 자동화 응용실습장치
US6297612B1 (en) Motion control coupling apparatus
CN107919050A (zh) 一种串联工业机器人基础实训台
CN105424960A (zh) 配量设备
DE60016681T2 (de) Magnet-Wegeventil für einen Verteilerblock mit einer Relais-Vorrichtung
JP4122500B2 (ja) 電磁弁
JPH071298A (ja) ユニット型物品生産装置とそれを使用した物品生産ラインシステム
CN107708942B (zh) 电动机安装装置及方法
JP2010082753A (ja) ワーク圧入装置
CN210312218U (zh) 模块化输送系统
KR20170143131A (ko) 자동화 공정 교육용 장비
KR101545622B1 (ko) 케이블 풀링 시스템
KR20140062848A (ko) 이동식 용접로봇의 제어시스템
JP2018047516A (ja) 部品支持装置、制御方法および製造方法
WO2019009337A1 (ja) フレキシブル製造システム
US20180155130A1 (en) Method for controlling variable production line using skid-type variable workbench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CN106738177B (zh) 一种用于生产钢带箱的锁扣装订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