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3644B1 - 음용수를 용이하게 따를 수 있는 노약자용 물병 거치대 - Google Patents

음용수를 용이하게 따를 수 있는 노약자용 물병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3644B1
KR101903644B1 KR1020180057307A KR20180057307A KR101903644B1 KR 101903644 B1 KR101903644 B1 KR 101903644B1 KR 1020180057307 A KR1020180057307 A KR 1020180057307A KR 20180057307 A KR20180057307 A KR 20180057307A KR 101903644 B1 KR101903644 B1 KR 1019036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bottle
holder
air
water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7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환
Original Assignee
이지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환 filed Critical 이지환
Priority to KR1020180057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36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3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36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2Glass or bottle holders
    • A47G23/0241Glass or bottle holders for bottles; Decan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04For person with a handicap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08Illum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14Sound
    • A47G2200/143Sound producing means

Landscapes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음용수를 용이하게 따를 수 있는 노약자용 물병 거치대는, 사각의 띠 형상으로 지면에 안착되는 지지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 양 측변의 양 단에서 상 방향으로 각각 연장된 한 쌍의 제 1,2 기립 프레임을 구비한 지지체; 상기 기립 프레임의 상단에 장착된 힌지를 매개로 상기 기립 프레임 사이에서 회동되는 것으로서, 링 형상으로 물병의 외주면 하부를 감싸는 제 1 홀더와, 상기 제 1 홀더와 높이 차이를 두고 상기 물병의 외주면 상부를 감싸는 제 2 홀더 및, 상기 제 1 홀더에서 상기 물병의 밑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제 1 홀더를 가로지르는 받침 프레임과, 서로 마주보는 방향에서 상기 제 1,2 홀더를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을 구비한 이동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음용수를 용이하게 따를 수 있는 노약자용 물병 거치대{Water bottle holder for elderly and infirm people who can easily follow drinking water}
본 발명은 음용수를 용이하게 따를 수 있는 노약자용 물병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병을 직접 손에 쥐지 않고도 물병을 거치한 상태에서 간단한 누름 동작을 통해 음용수를 따를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어린이나 노인, 장애인과 같이 팔을 사용하는 것이 자유롭지 못한 사용자들이 단순한 누름 방식으로 용이하게 음용수를 따를 수 있으면서, 음용수를 따른 이후 다시 원래의 거치 위치로 돌아올 수 있는 구조를 갖춘 물병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병은 플라스틱이나 유리 등으로 제조되는 것으로서, 보통 1리터 이상의 용량을 가지므로, 물병 자체의 무게를 합치게 되면 1킬로가 넘는 무게를 든 상태로 기울여 물을 따라야 하는데, 이는 일반적인 성인에게는 쉬운 일이지만 유아동이나 장애인, 노인에게는 이러한 무게가 상당한 부담으로 작용한다.
또한, 사람은 하루에 수 리터에 달하는 물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정수기를 구비하지 않은 가정의 경우, 자주 물을 따라 마시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므로 매번 물을 따라 마실 때 마다 이러한 무게를 견디지 못하는 노약자들에게는 물을 마시는 것도 하나의 일이 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제 20-0442273호 ‘병 거치대’가 개시되어 있다.
해당 고안은 거치동작이 간편하면서도 액상의 내용물을 쉽게 따라서 사용할 수 있도록 마련된 병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물병의 거치를 바닥부를 감싸는 거치 프레임과, 목부를 감싸는 파지부를 통해 물병을 기울일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였지만, 이와 같은 고안은 실제 가정에서 사용되는 물병의 경우 다양한 목부의 형태나 길이, 체적 등을 가질 수 있다는 점에서 특정한 사이즈의 물병만을 거치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다른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 10-1653263호 ‘병 거치대’가 개시되어 있다.
해당 발명은 적어도 일 부분이 유선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 측에 무게중심을 이동시키는 물이 유입되는 유체 유입구가 구비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고, 적어도 일 부분이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부; 및 상기 본체부에 파지 가능하게 구비되고, 용기를 지지하는 파지부;를 포함하는 병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병을 항상 눕힌 상태로 보관해야 하기 때문에 뚜껑이 존재하지 않는 병을 거치하기에는 다소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도록 물병을 직접 손에 쥐지 않고도 물병을 거치한 상태에서 간단한 누름 동작을 통해 음용수를 따를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어린이나 노인, 장애인과 같이 팔을 사용하는 것이 자유롭지 못한 사용자들이 단순한 누름 방식으로 용이하게 음용수를 따를 수 있으면서, 음용수를 따른 이후 다시 원래의 거치 위치로 돌아올 수 있는 구조를 갖춘 물병 거치대를 개발할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물병을 거치한 상태에서 단순 누름 동작을 통해 물병을 기울여 물병에 보관된 음용수를 따를 수 있는 물병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물병을 물병 거치대에 거치하였을 때, 물병의 무게중심이 회동되는 가상의 축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하여 음용수를 따른 이후 누름을 멈추면 자동으로 원래 위치로 복원될 수 있도록 한 물병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물병 외주면을 감싸는 홀더에 물병이 쉽게 빠질 수 없도록 신축 밴드를 두른 물병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물병의 사용 경과에 따라 물병의 외주면을 보다 타이트하게 잡아 물병이 빠지지 않도록 하는 신축 밴드의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용수를 용이하게 따를 수 있는 노약자용 물병 거치대는, 사각의 띠 형상으로 지면에 안착되는 지지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 양 측변의 양 단에서 상 방향으로 각각 연장된 한 쌍의 제 1,2 기립 프레임을 구비한 지지체; 상기 기립 프레임의 상단에 장착된 힌지를 매개로 상기 기립 프레임 사이에서 회동되는 것으로서, 링 형상으로 물병의 외주면 하부를 감싸는 제 1 홀더와, 상기 제 1 홀더와 높이 차이를 두고 상기 물병의 외주면 상부를 감싸는 제 2 홀더 및, 상기 제 1 홀더에서 상기 물병의 밑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제 1 홀더를 가로지르는 받침 프레임과, 서로 마주보는 방향에서 상기 제 1,2 홀더를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을 구비한 이동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한 쌍의 상기 제 1 기립 프레임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이동체의 회동 시 상기 제 1,2 홀더 사이에 위치한 상기 물병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제 1,2 홀더는, 신축성 재질로서 상기 제 1,2 홀더를 둘러싸는 링 형상의 신축 밴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덧붙여, 상기 제 2 홀더를 둘러싸는 신축 밴드는, 일 측에 공기 유입공이 형성되어 내부에 공기가 충진될 수 있는 중공이 구비된 튜브이고, 상기 물병 거치대는, 펌핑에 의해 공기를 압축시킬 수 있고 압축된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 주입기와, 상기 공기 주입기가 거치되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의 일 측에 형성된 공기 주입기 홀더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용수를 용이하게 따를 수 있는 노약자용 물병 거치대에 의하면,
1) 물병을 거치한 상태에서 단순 누름 동작을 통해 물병을 기울여 물병에 보관된 음용수를 따를 수 있고,
2) 물병을 물병 거치대에 거치하였을 때, 물병의 무게중심이 회동되는 가상의 축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하여 음용수를 따른 이후 누름을 멈추면 자동으로 원래 위치로 복원될 수 있으며,
3) 홀더에 신축 밴드를 둘러 물병 외주면을 감싸는 홀더에 물병이 쉽게 빠질 수 없도록 하고,
4) 물병의 사용 경과에 따라 물병의 외주면을 보다 타이트하게 잡아 물병이 빠지지 않도록 하는 신축 밴드의 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물병 거치대의 기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물병 거치대의 확장된 구조를 적용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신축 밴드에 공기 주입을 하기 위한 공기 주입기 및 공기 주입기 홀더를 적용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지지 프레임으로 둘러싸인 영역에 구비되는 보조체를 통해 신축 밴드에 공기주입을 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보조체의 접촉 센싱을 통한 펌핑 구동의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보조체의 물리적 접촉을 통한 레버-펌핑 구동의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물병 거치대의 기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물병 거치대의 확장된 구조를 적용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물병(10) 거치대는, 물병(10)을 거치한 상태에서 물병(10)을 기울여 음용수를 따라낼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여기서 물병(10)은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1.5리터 사이즈의 페트병을 기준으로 설명하되, 그 외에도 제 1,2 홀더에 끼워질 수 있는 사이즈라면 다양한 크기의 물병(10)이 활용될 수 있으며, 물병(10)의 형상은 제한되지 않는다.
먼저, 물병(10) 거치대를 이루는 지지체(100)는 지면으로부터 물병(10) 거치대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사각의 띠 형상으로 연장된 상태에서 지면에 안착되는 지지 프레임(110)과, 이 지지 프레임(110)의 양 측변 양 단에서 각각 상 방향으로 기립 연장된 기립 프레임을 구비한다.
여기서 지지체(100)의 경우, 물병(10)의 무게와 물병(10)에 담겨진 음용수의 무게를 견뎌야 하는데, 물병(10)이 1.5리터 사이즈라고 할 때, 적어도 1.5kg 이상의 무게를 견딜 수 있는 자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지름이 3mm 내지 10mm 정도의 금속 심재가 활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수 있는데, 일 실시예로서 5mm정도의 철재 심재를 기준으로 구성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을 이어간다.
먼저, 이 철재 심재를 구부리거나 혹은 일정한 길이로 잘라 프레임을 형성하여 각 프레임을 암수 결합으로 조립하거나 용접하는 방법을 통해 결합시킨다.
이 때, 지지 프레임(110)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사각의 띠 형상을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지면에 지지되기에 바람직한 구조라고 할 수 있으며, 기립 프레임의 경우에도 지지 프레임(110)의 양 측변의 양 단에서 각각 상 방향을 향해 연장되도록 구성한다. 이 때, 기립 프레임의 경우 지지 프레임(110)의 어느 한 측변에서 이 측변의 양 단에서 각각 연장될 때에 수직으로 연장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별도로 연장된 단부를 다시 연결하는 프레임이 필요하게 된다. 다만, 이렇게 불필요한 연결을 배제하기 위해서는 끝이 첨예하게 형성되도록 기울이되, 양 단부에서 연장된 각 기립 프레임이 서로 만나도록 기울여 지지 프레임(110)의 측변과 함께 마치 삼각의 띠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지지 프레임(110)의 폭은 다양한 물병(10)의 외관을 고려하여 약 120~170mm 사이를 갖도록 구성하고, 기립 프레임의 기립된 높이 또한 약 200~250mm 사이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후술할 이동체(200)와 연계하여 그 이유를 설명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이동체(200)의 길이를 언급하는 부분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토록 한다.
나아가 두 개의 기립 프레임이 만나는 부위에는 후술할 이동체(200)의 연결 프레임(240)과 힌지를 매개로 직접 연결될 수도 있겠지만 바람직하게는 힌지를 매개로 회동이 용이하도록 원형의 홈을 더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체(200)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동체(200)는 기립 프레임의 상단에 장착된 힌지를 매개로 기립 프레임 사이에서 회동되는 것으로서, 진자운동과 같이 한 번 힘을 받으면 그 관성으로 계속해서 포물선 형상을 그리며 왕복 운동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동체(200)도 물병(1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지지체(10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이 때, 이동체(200)의 구조는, 링 형상으로 구비되되, 물병(10)의 외주면 중 하부에 위치한 외주면을 감싸는 제 1 홀더(210)와, 이 제 1 홀더(210)와 높이 차이를 두고 구비되어 물병(10)의 외주면(높이 차이가 발생하려면 물병(10)의 외주면 중 하부가 아닌 상부 측에 위치할 것이다.)을 감싸는 제 2 홀더(220) 및 제 1 홀더(210)에서 물병(10)의 하단이 빠져 나가지 않도록 물병(10)이 안착되는 받침대 역할을 하는 받침 프레임(230)과, 서로 마주보는 방향에서 제 1,2 홀더를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240)으로 구성된다.
이 때 연결 프레임(240)에서 제 2 홀더(220)가 위치하는 부위에서 제 2 홀더(220)가 장착되는 반대 측 면에 바로 기립 프레임의 상단에 위치하는 힌지와 연결될 수 있는 별도의 돌출 프레임과 같은 구성이 더 포함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 제 2 홀더(220)가 장착된 부위를 기준으로 이동체(200)가 지지체(100)로부터 회동할 수 있는 구성을 갖게 된다.
여기서 제 1 홀더(210)와 제 2 홀더(220)는 물병(10)을 둘러싸는 것으로서, 물병(10)의 외경을 고려하여 그 내경을 약 100~130mm 사이로 구성하는 것이 좋으며, 되도록 제 1 홀더(210)와 제 2 홀더(220)는 연결 프레임(240)의 양 단부에 각각 위치하도록 구비하면서, 동시에 연결 프레임(240)의 길이도 약 150~190mm 사이를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물병(10)의 무게중심에 있는데, 물병(10)의 무게중심은 바로 이동체(200)가 왕복 운동을 할 때에 물병(10)이 빠르게 원래의 정지된 위치로 복원되려면 바로 이 무게중심을 얼마나 낮게 형성하느냐에 그 효율이 달려있기 때문이다.
즉, 물병(10)을 기울여 음용수를 따라낸 이후, 일반적으로는 물병(10)을 기울인 손을 떼어 냄으로써 물병(10)이 왕복 운동을 하게 되는데, 이 때 물병(10)이 최초와 같이 곧게 세워져 있지 않으면 물병(10)의 음용수가 넘쳐 흘러나와 바닥에 쏟아지거나 음용수에 과도한 거품이 발생하는 경우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 때, 물병(10)이 왕복하는 진자운동 중에 빠르게 원래의 기립된 위치로 돌아오려면 무게중심은 되도록 아래를 향하도록 위치되는 것이 그 구조상 용이한 구조라고 할 수 있다. 무게중심은 아래를 향할수록 쉽게 넘어지지 않으며, 원래대로 돌아가려는 힘인 복원력이 커지게 되는 현상을 활용하는 것이다.
여기서 앞선 설명에서 기립 프레임의 높이와 연결 프레임(240)의 높이 및 제 1,2 홀더의 위치가 본 구동과 연관이 있다고 하였는데, 1.5리터 사이즈의 생수병을 보면, 제조업체마다 일부 달라질 수는 있겠지만, 대부분 앞서 언급한 사이즈 범위 내의 크기를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중에 판매중인 k사의 1.5리터 생수병의 경우 그 높이는 약 32.5cm이며, 따라서 절반에 해당하는 높이는 약 16cm이며, 이는 기립 프레임의 길이보다 짧을뿐더러, 연결 프레임(240)의 경우에도 약 15~19cm정도의 길이를 갖기 때문에 약 16cm 이상의 길이를 갖도록 구성하게 된다면, 무게중심을 계속해서 낮게 위치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게 됨은 물론이다.)
특히 물병(10)이 직접적으로 거치되는 부위는 이동체(200)이며, 제 1 홀더(210)가 물병(10)의 하부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제 2 홀더(220)는 물병(10)의 외주면 일 측이자 보통 물병(10)의 외주면에서 중앙을 기준으로 약간 높은 위치를 둘러싸게 된다.
이는 물병(10)에 음용수가 가득 차 있을 때, 그 무게중심은 물병(10)의 중앙부위를 가리키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에 물병(10)을 이동체(200)에 거치하게 되면, 제 2 홀더(220)는 앞서 설명한 물병(10)의 중앙부위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한 상태로 물병(10)의 외주면을 둘러싸게 된다.
따라서 음용수가 최대로 존재할 때에도 그 무게중심은 힌지를 매개로 회동되는 부위보다 낮은 위치에 존재하므로, 자연스럽게 음용수를 소비한 이후에도 그 무게중심은 지속적으로 제 2 홀더(220)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하게 되며, 따라서 앞서 언급한 것처럼 무게중심이 중심선보다 낮은 곳에 위치하게 되어 복원력이 커지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지지 프레임(110)은, 그 측변을 기준으로 어느 하나의 단부로부터 연장된 제 1 기립 프레임(121)과, 다른 하나의 단부로부터 연장된 제 2 기립 프레임(122)으로 구성되되, 여기서 제 1 기립 프레임(121) 사이를 연결하는 스토퍼(12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스토퍼(123)는 2 개의 마주보는 기립 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는 것으로서, 이동체(200)가 기립 프레임 사이에서 왕복 회전할 때에, 과도한 왕복 운동을 방지하기 위해 물병(10)이 접촉되어 이동하는 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는 구성이다. 이 스토퍼(123)는 물병(10)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 때 물병(10)을 과도하게 들어 올렸다가 놓는 경우에는 위치 에너지가 운동 에너지로 변환되면서 강력한 힘으로 왕복운동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므로 스토퍼(123)가 위치하게 되면 이러한 왕복운동 시 발생한 에너지를 흡수하여, 다시 말해 충돌을 통해 에너지를 분산시킴으로써 보다 빠른 속도로 이동체(200)가 원래의 기립된 위치로 복원될 수 있도록 보조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스토퍼(123)에는 자성체를 적용할 수도 있는데, 물병(10)에 추가적인 자성체를 달거나 혹은 연결 프레임(240)이나 제 1,2 홀더 중 어느 하나에 자성체를 달아 자성체의 인력이나 척력을 활용하여 상술한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 1,2 홀더의 외주면에는 신축성 재질로 형성되어 제 1,2 홀더를 각각 둘러싸는 신축 밴드(2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신축 밴드(250)는 고무나 실리콘, 합성수지 등 일반적으로 신축성 및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좋으며, 이러한 신축 밴드(250)는 제 1,2 홀더와 물병(10)의 외주면 사이에 위치하여 물병(10)이 이동체(200)에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특히 이동체(200)를 기울였을 때에 물병(10)이 이동체(200)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 것이다.
여기서 신축 밴드(250)의 경우 복수의 시험 결과에 따라 두께가 0.1 내지 2mm 정도의 두께와 금속 심재의 지름과 같거나 혹은 보다 큰 지름을 갖도록 구성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제 1,2 홀더 구조와 홀더에 신축 밴드(250)를 둘러 착용시켰을 때, 과연 이동체(200)에 힘을 가해 이동체(200)를 기울이더라도 물병(10)이 계속해서 안정적으로 이동체(200)에 위치하고 있는지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으며, 따라서 다음의 안정성 실험을 2가지 실시예를 통해 수행하였다.
<실시예 1>
제 1 시료는 지지체에서 지지 프레임의 폭을 145mm, 기립 프레임의 높이를 220mm로 하고, 연결 프레임의 길이가 155mm, 제 1,2 홀더의 내경이 110mm 인 것을 기준으로 하였으며, 특히 제 1,2 홀더에 씌워진 신축 밴드의 경우 지름 5mm와 두께 0.1mm의 고무재질을 사용하였으며, 연결 프레임(240)은 5mm 직경의 철재 와이어를 활용하였다. 또한 이 경우에는 스토퍼를 적용하지 않았다.
물병에는 음용수를 최대로 주입한 상태에서 동일한 잔에 동일한 양의 음용수를 따라내는 것을 기준으로 실험하였으며, 그 실험결과는 다음의 표 1에 나타난 결과와 같다.
지지 프레임(110) 폭 기립 프레임의 높이 연결 프레임(240)의 길이 제 1,2 홀더의 내경 신축 밴드(250)의 지름 신축 밴드(250)의 두께 연결 프레임(240)의 직경 물병(10)이 이동된 거리
145mm 220mm 155mm 110mm 5mm 0.1mm 5mm 10mm
여기서 연결 프레임의 길이는 155mm로, 물병이 이동된 거리는 이 중 약 6%정도에 해당하는 10mm이다. 물론 물병 내부에 음용수의 양도 줄어들기 때문에 다음 시험 시 동일한 거리만큼 물병이 이동된다고는 할 수 없겠으나, 반복 사용 시 지속적으로 물병을 눌러주어 이동체에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사용자의 주의가 필요함은 물론이다.
다만, 물병을 연속적으로 기울이는 것이 아니라면, 10mm가 이동되더라도 음용수를 따르고 난 이후에 다시 물병(10)이 세워지게 될 때 중력의 영향으로 물병이 이동된 길이만큼을 다시 후퇴하여 정상적인 안착을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실시예 2>
제 2 시료는 지지체에서 지지 프레임의 폭을 145mm, 기립 프레임의 높이를 220mm로 하고, 연결 프레임의 길이가 155mm, 제 1,2 홀더의 내경이 110mm 인 것을 기준으로 하였으며, 특히 제 1,2 홀더에 씌워진 신축 밴드의 경우 지름 10mm와 두께 1mm의 고무재질을 사용하였으며, 연결 프레임은 5mm 직경의 철재 와이어를 활용하였다. 또한 물병의 흔들림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스토퍼를 적용하였다.
더 나아가 물병과 제 1,2 홀더(신축 밴드)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제 1,2 홀더는 각각 동일한 홀더를 2개 연속하여 구비토록 하였다.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물병에는 음용수를 최대로 주입한 상태에서 동일한 잔에 동일한 양의 음용수를 따라내는 것을 기준으로 실험하였으며, 그 실험 결과는 다음의 표 2에 나타난 결과와 같다.
지지 프레임(110) 폭 기립 프레임의 높이 연결 프레임(240)의 길이 제 1,2 홀더의 내경 신축 밴드(250)의 지름 신축 밴드(250)의 두께 연결 프레임(240)의 직경 물병(10)이 이동된 거리
145mm 220mm 155mm 110mm 10mm 1mm 5mm 5mm
여기서 연결 프레임의 길이는 155mm로, 물병이 이동된 거리는 이 중 약 3%정도에 해당하는 5mm이다. 이는 실험결과 1에 비해 약 200%의 효율을 나타내고 있으며, 특히 5mm정도의 길이라면 연속 사용 시에도 중력에 의해 충분히 그 거리를 짧은 시간동안 좁힐 수 있는 길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스토퍼(123)는 제 1,2 홀더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데, 이는 물병(10)의 외주면에 스토퍼(123)가 부딪히도록 구성되는 것이며, 따라서 물병(10)이 흔들릴 때에 물병(10)의 외주면이 스토퍼(123)에 닿으면서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역할도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때, 발생하는 충격량은
Figure 112018049322092-pat00001
로 나타낼 수 있는데,
(여기서 I는 충격량, f는 스토퍼(123)가 물병(10)에 닿을 때 발생하는 충격력,
Figure 112018049322092-pat00002
는 물병(10)과 스토퍼(123)가 접촉하는 시간을 의미한다.)
따라서 I는 충격력과 접촉하는 시간에 따라 변동하므로, 결론적으로 접촉하는 시간을 늘릴수록 충격력을 줄일 수 있다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접촉하는 시간을 늘리려면 스토퍼(123)가 제 1,2 프레임에 접촉하는 것보다는 물병(10)에 직접 접촉하도록 하는 것이 더욱 접촉시간을 늘릴 수 있으면서도 발생하는 충격을 물병(10)에 수용된 음용수를 통해 완화시킬 수 있는 구성을 갖추게 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두 실험결과를 통해 살펴보면, 신축 밴드(250)는 그 두께와 지름이 두꺼울수록, 프레임의 수를 늘려 접촉 면적을 증가시킬수록, 나아가 물병(10)의 왕복 운동을 줄일 수 있도록 스토퍼(123)를 적용하는 것이 물병(10)을 기울인 이후 왕복 운동에 의해 물병(10)이 밀려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앞서 실험결과에서도 보이듯이 제 1,2 홀더를 둘러싸는 신축 밴드(250)는 그 두께나 지름이 두꺼울수록 물병(10)과 접촉하는 면적이 넓어지게 되므로 그만큼 물병(10)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며, 특히 물병(10)이 유리와 같이 단단한 재질로 구성되지 않는 한 물병(10) 내부에 수용된 음용수의 남은 용량에 따라 음용수가 없는 부위가 쉽게 형태가 변화할 수 있다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제 1,2 홀더를 통해 물병(10)의 외주면을 둘러싸고 있다고 하더라도 물병(10) 내부에 음용수가 충분히 존재하지 않아 제 1,2 홀더 중 어느 하나가 위치하는(제 2 홀더(220)가 상부에 위치하므로 제 2 홀더(220)가 먼저 이러한 상황에 놓이게 된다.) 영역에 음용수가 더 이상 존재하지 않을 수가 있다. 이 때 제 2 홀더(220)를 통해 물병(10) 둘레를 둘러싸더라도 물병(10)은 용이하게 그 형태가 변형되면서 제 2 홀더(220)로부터 타이트하게 잡히지 않고 쉽게 빠져나와버리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특히 가장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큰 제 2 홀더(220)를 둘러싸는 신축 밴드(250)를 튜브로 형성할 수 있다.
튜브는 일 측에 유입공이 형성되어 내부에 공기가 충진될 수 있는 중공을 구비하는 것으로서, 여기서 유입공은 사용자 조작 혹은 별도의 동작이나 구동을 통해 개폐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일종의 밸브 역할을 하는 구성으로서, 일 실시예로서 원형의 유입공을 형성하고 유입공에 신축성 막을 씌운 상태에서 이 막을 방사형으로 갈라 복수의 유입공 편을 형성하되 각 유입공 편이 서로 일정 면적만큼 겹치게 구성하게 되면, 외력이 발생하지 않는 한 유입공이 막힌 상태를 유지하다가 외력에 의해 유입공 편이 눌려 서로 겹쳐진 부위가 이격되면서 틈새가 발생하여 유입공이 개방되는 구조를 갖출 수 있다.
다른 구성으로서, 물놀이용 튜브와 같은 구조에서 활용되는 공기 주입구(251)와 같이 유입공의 내측에 별도의 신축성 막을 더 장착하되, 신축성 막의 둘레 부위에 복수 개의 공기 유통공(251)을 형성한다. 따라서 튜브의 내부에 공기가 꽉 차있게 되면, 공기 유통공(251)은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튜브의 표면에 밀착되어 공기가 빠져나갈 틈을 발생시키지 않으며, 유입공을 통해 공기를 주입하게 되면, 공기 압력에 의해 막이 튜브의 표면으로부터 밀려나 공기 유통공(251)이 노출되면서 튜브 내부로 바람을 넣을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신축 밴드에 공기 주입을 하기 위한 공기 주입기 및 공기 주입기 홀더를 적용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이 유입공에 사용자가 직접 입을 대어 바람을 불어넣는 것은 물병(10)이 거치된 상태의 제 2 홀더(220)에 입을 대는 것부터 어려운 작업이므로, 입을 대어 바람을 넣기 보다는 다른 보조적인 구성으로서 공기 주입기(300)를 활용할 수 있다.
공기 주입기(300)는 펌핑에 의해 공기를 압축시킬 수 있고 이 압축된 공기를 배출하는 것으로서, 풍선과 같은 고무공이나 주사기나 피스톤 구조 등이 이 공기 주입기(300)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구조는 공지된 공기주입용 펌프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물병(10) 거치대에서 지지 프레임(110)의 일 측에는 이 공기 주입기(300)를 거치할 수 있는 별도의 공기 주입기 홀더(31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공기 주입기 홀더(310)는 공기 주입기(300)가 거치될 수 있도록 고리나 판 등의 구성을 갖출 수 있는데, 이러한 공기 주입기 홀더(310)에 공기 주입기(300)를 얹거나 걸어 펌프가 고정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공기 주입기(300)가 항상 물병(10) 거치대 주변에 구비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필요시에 공기 주입기 홀더(310)로부터 공기 주입기(300)를 떼어내어 공기 주입기(300)에서 공기가 배출되는 부분을 제 2 홀더(220)의 유입공에 끼워 펌핑하는 것으로 제 2 홀더(220)가 물병(10)에 용이하게 접촉할 수 있는 구조를 갖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지지 프레임으로 둘러싸인 영역에 구비되는 보조체를 통해 신축 밴드에 공기주입을 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보조체의 접촉 센싱을 통한 펌핑 구동의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보조체의 물리적 접촉을 통한 레버-펌핑 구동의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또한, 아예 이 공기 주입기(300)를 일체형으로 구비하는 구조도 고려될 수 있다.
즉, 공기 주입기(300)를 지지체(100) 주변에 구비되도록 할 수 있으되, 이것을 보조체(400)라 명명할 수 있다. 나아가, 공기 주입기(300)로부터 제 2 홀더(220)의 신축 밴드(250)에 구비된 주입구(251)를 연결하여 압축된 공기를 제공하는 별도의 연결관(440)이 더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연결관(440)이 너풀거리는 것은 미관상 좋지 않은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지지 프레임(110)을 활용할 수 있다. 지지 프레임(110)은 바닥면으로부터 제 2 홀더(220)를 연결할 때에 가장 가깝게 위치하는 고정체로서, 지지 프레임(110)의 내측 혹은 외측면에 이 연결관(440)을 부착시켜 연결관(440)을 통해 압축된 공기가 제 2 홀더(220)로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도면에서는 일 예시로서, 제 1 기립 프레임(121)에 연결관(440)을 부착시킨 것을 나타내었다.)
여기서, 펌핑 작용을 하는 공기 주입기(300)가 항시 제 2 홀더(220)에 연결되는 것으로 구성되는 바, 이때에는 앞선 구성처럼 단일 유입공만으로는 공기를 주입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공기를 배출하기가 까다롭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제 2 홀더(220)를 내부에 공기가 충진될 수 있는 중공이 구비된 상태에서 중공에 충진된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252)와, 공기의 주입이 가능하되 역방향으로의 공기 흐름이 차단되는 원웨이 밸브가 구비된 주입구(251)의 2개의 홈을 형성할 수 있다.
배출구(252)는 기존의 유입구와 유사한 구성으로서, 이 때 배출구(252)는 단순히 중공에 위치한 공기를 빼 내는 용도로서만 활용하는 것이며, 주입구(251)는 원웨이 밸브를 구비한 상태에서 앞서 설명한 연결관(440)을 통해 연결되어 공기를 주입받는 데에 활용하는 홈을 의미한다.
특히 원웨이 밸브의 경우 한 쪽 방향으로만 공기의 유통이 가능하게 하는 구성으로서, 앞서 설명한 물놀이용 튜브의 주입구(251) 방식과 유사한 방식의 밸브들을 총칭하는 것인데, 다시 말해 공기의 흐름이 일 방향으로만 전달되고 그 반대방향으로는 공기의 흐름이 전달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밸브기구의 총칭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즉 공기 주입기(300)로부터 제 2 홀더(220)를 향한 방향으로의 공기 전달은 가능하고, 반대로 제 2 홀더(220)로부터 공기 주입기(300)를 향한 방향으로의 공기 흐름은 자동으로 차단되도록 하는 밸브를 총칭하는 것으로 사용하기로 한다.
이러한 원웨이 밸브는 예를 들면 축구공에 에어를 불어넣을 때 사용하는 축구공에 부착된 밸브도 포함될 수 있을 것임은 당연하고, 유체의 흐름 통로 상에 설치되어 일 방향으로만 유체가 흐르도록 하는 체크밸브도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더욱 간단한 구성으로, 공기가 통과하는 구멍의 일측에 일종의 막을 설치하여 이러한 막이 공기의 일 방향 흐름에 대하여 개방되고 그 역방향의 흐름에 대해서는 막히도록 하는 밸브 기구도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또, 경우에 따라서는 그리고 이러한 원웨이 밸브에 별도의 조작을 가하거나 혹은 별도의 기구를 삽입하여 이 원웨이 주입구(251)를 통해서도 공기의 배출 제어가 가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체크밸브 또는 일종의 막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이 부위에 일정한 도구를 삽입함으로서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따라서 특수한 상황에서는 이 원웨이 주입구(251)도 일종의 배출구(252)로서 활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물론 용도와 다른 사용방법이므로 그 효율은 배출용도만 갖는 배출구(252)보다는 떨어지게 될 것이다.)
나아가, 이러한 제 2 홀더(220)와 이동체(200)는 지지체(100)로부터 왕복 회동 운동을 하게 되는데, 이 때 문제로 작용할 수 있는 것이 바로 연결관(440)이다.
연결관(440)은 기본적으로는 공기가 유통될 수 있는 일자 형태의 관을 의미하는 것이되, 이 일자 형태의 관은 이동체(200)의 왕복 회동 운동 시에 계속해서 강한 스트레스를 받게 된다. 물론 연결관(440)을 연질의 재질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그 스트레스가 비교적 덜 할 수도 있겠으나, 여전히 왕복 운동 시에 발생하는 스트레스를 문제가 없을 정도로 줄였다고 할 수는 없을 것이다.
따라서 연결관(440)에서 제 2 홀더(220)와 연결되는 부위(다시 말해 제 2 홀더(220)의 원웨이 주입구(251)와 연결되는 부위에는 주름 구조를 적용한 주름부를 두어 마치 자바라와 같은 형상으로 왕복 회동에 대응되어 용이하게 변형되면서 움직일 수 있는 구조를 갖출 수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음료수를 마실 때 사용하는 빨대를 예로 들 수 있는데, 이 빨대를 힘을 주어 꺾어보면, 주름이 진 부위는 다양한 방향으로 꺾거나 회전시키더라도 큰 문제없이 계속해서 변형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변형에 강한 구조인 주름구조를 이러한 문제 발생 우려가 높은 부위에 적용하여 스트레스로 인한 파손 우려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제, 지지 프레임(110)을 둘러싸인 영역에 구비되는 보조체(400)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보조체(400)는 이동체(200)의 회동 시 접촉을 센싱하여 전자적인 구성으로 공기 주입기(300)를 구동시키는 구조 혹은 이동체(200)의 회동 시 직접 접촉하면서 회동되어 물리적인 구조로 공기 주입기(300)를 구동시키는 구조를 선택적으로 갖출 수 있다.
먼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자적인 구성을 기본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이동체(200)의 회동 시 이동체(200)와 접촉되어 발생된 스위치의 접촉 신호를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변환부(430)(혹은 레버 : 410)가 구비될 수 있다. 스위치의 경우 일종의 접촉 센서를 의미하며, 따라서 이동체(200)가 보조체(400)의 상부를 지나면서 이 스위치를 건드리도록 구성하여야 하는 바,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위로 볼록한 형상으로 보조체(400)를 구성한 상태에서 가장 높은 부위에 스위치를 달아 접촉을 센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위치에서 접촉이 발생한 것을 센싱하면, 이후 실질적인 직선운동을 수행하는 변환부(430)가 더 위치하게 된다. 변환부(430)는 모터(431)와, 스위치의 접촉 센싱 여부에 따라 스위치가 접촉되면 정방향 회전을, 접촉이 해제되면 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모터(431)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부(432), 모터(431)의 정방향 혹은 역방향 회전을 통해 회전하면서 왕복 직선운동하는 샤프트(433)로 구성된다.
이 때, 모터(431)의 경우 단순히 샤프트(433)를 정역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스텝모터(431)를 일반적으로 사용할 수 있겠으나, 더 나아가 샤프트(433)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모터(431) 내부 혹은 샤프트(433)와 닿는 다른 임의의 부위 중 어느 하나에 상술한 나사산과 대응되는 나사산을 구비토록 한다면, 정역 회전 시 나사산을 따라 직선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스위치와 이동체(200)가 접촉하는 시간이 다소 짧기 때문에 구동부(432)의 경우 빠른 속도로 모터(431)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성하거나 혹은 접촉 센싱이 발생한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동안 모터(431)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후 변환부(430)의 직선 운동력을 전달받아 압축 공기를 생성하는 공기 주입기(300)가 위치할 수 있는데, 이 공기 주입기(300) 역시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연결관(440)과 내통된 실린더(421)를 기본으로 한 상태에서 이 실린더(421)에 삽입된 상태로 왕복하는 밀대(422)를 구비하되, 여기서 밀대(422)는 일종의 피스톤과 같은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 밀대(422)를 실린더(421)에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423)을 구비하여 모터(431)가 역방향 회전할 때에 용이하게 원래 위치로 밀대(422)를 이동시킬 수 있는 별도의 구동부(420)의 구성을 더 갖추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외에도 물리적인 구조로도 상술한 구성을 갖출 수 있는데, 먼저 접촉을 감지하는 스위치가 과거 백열전구를 on/off시킬 때 사용하는 레버식 스위치와 유사한 형태를 갖는 레버(410)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레버(410)는 이동체(200)와 접촉한 이후 이동체(200)의 회동 방향을 따라 함께 밀려나면서 회전 운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 때, 변환부(430)는 이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시킬 수 있도록 별도의 크랭크 암을 통해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할 수 있다. 물론, 크랭크 암과 레버의 효과적인 힘 전달을 위해서는 그 사이에 별도의 링크를 더 두어 두 구성이 서로 연계되어 힘의 방향을 바꿀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여야 할 것이다. 이렇게 변환된 힘은 상술한 공기 주입부의 구성에서 밀대(422)를 실린더(421) 내부에서 왕복 운동시킬 수 있어 압축공기를 발생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공기 주입기(300)는 이 외에도 풍선이나 고무공과 같이 신축성을 갖되 이 공기 주입기(300)에 외력이 가해져 압력을 받았을 때, 공기 주입기(300) 내부에 위치하던 공기를 압축하여 불어낼 수 있는 구조를 갖출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기본적인 구조는 지지 프레임(110) 사이에 보조체(400)가 위치한 상태에서 이동체(200)를 왕복 회동하도록 한다면, 이동체(200)의 하부와 이동체(200)에 수용된 물병(10)의 하부가 이 보조체(400)의 일 측에 접촉되면서 공기 주입기(300)를 구동시켜 압축된 공기를 배출하는 구조를 갖출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 나아가, 제 2 홀더(220)에서 물병(10)을 둘러싸는 내주면 일 측에는 물병(10)의 접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접촉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제 2 홀더(220)의 외주면 혹은 내주면이나 그 외 물병(10) 거치대의 일 측 혹은 물병(10) 거치대 주변에 스피커나 LED와 같은 별도의 알림장치(253)도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접촉센서와 알림장치(253)는 제 2 홀더(220)의 내측 공간을 따라 회로가 인쇄되거나 혹은 전선 등 전자구성들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들은 연결관(440)에도 동일한 구성을 가진 상태로 연장되어 알림장치(253)까지 연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접촉센서는 제 2 홀더(220)가 물병(10)의 외주면에 접촉하고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으로서, 실제로 제 2 홀더(220)가 물병(10)의 외주면에 접촉한 상태는 물병(10)을 기울여도 되는 안전한 상태이고, 제 2 홀더(220)가 물병(10)의 외주면에 접촉하지 않은 상태는 물병(10)을 기울일 경우 물병(10)이 이동부로부터 빠져나올 우려가 있는 위험한 상태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접촉센서가 제 2 홀더(220)와 물병(10)의 외주면이 서로 접촉하지 않은 상태라고 판단한 경우에 알림장치(253)를 통해 안내음(예를 들어 ‘삐’소리와 같은 고주파음이나 음성 안내 메시지 등)이나 안내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물병(10)을 기울이기에 부적합한 상태라는 것을 표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이러한 안내음이나 안내광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출력된 이후에 사용자에 의해 이동체(200)가 회동하면서 레버를 구동시켜 접촉센서를 통해 물병(10) 외주면이 제 2 홀더(220)의 내주면에 접촉된 것으로 감지되면, 다시 사용자에게 물병(10) 거치대를 사용할 수 있다는 안내를 보낼 수 있도록 앞서 제공된 안내음 및 안내광과 다른 보조 안내음 및 보조 안내광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도록 하는 접촉 안내파트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안내음은 고주파음이 종료됨을 알리는 신호음이 될 수도 있으며, 보조 안내광의 경우 기존 안내광과 다른 색상으로 조사되거나(이 경우 LED는 복수의 색상을 갖는 발광소자가 하나의 모듈에 구비되는 것을 활용할 수 있다.) 혹은 특정한 패턴으로 안내광의 종료를 알리는 방법도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물병(10) 거치대 구성들은 식탁 등에 물병(10)을 거치할 때에 일종의 장식물과 같이 활용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 LED나 스피커 등이 구비되면 장식적인 기능을 부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로 하여금 자주 이러한 효과를 보기 위해 물병(10) 거치대를 구동하는 것을 유도할 수 있어 사용자로 하여금 사용상의 재미를 통해 사용의미를 더욱 부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용수를 용이하게 따를 수 있는 노약자용 물병 거치대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물병 100: 지지체
110: 지지 프레임 121: 제 1 기립 프레임
122: 제 2 기립 프레임 123: 스토퍼
200: 이동체 210: 제 1 홀더
220: 제 2 홀더 230: 받침 프레임
240: 연결 프레임 250: 신축밴드
251: 통공, 주입구 252: 배출구
253: 알림장치 300: 공기 주입기
310: 공기 주입기 홀더 400: 보조체
410: 변환부(레버) 420: 구동부
421: 실린더 422: 밀대
423: 스프링 430: 변환부
431: 모터 432: 구동부
433: 샤프트 440: 연결관

Claims (10)

  1. 음용수를 용이하게 따를 수 있는 노약자용 물병 거치대로서,
    사각의 띠 형상으로 지면에 안착되는 지지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 양 측변의 양 단에서 상 방향으로 각각 연장된 한 쌍의 제 1,2 기립 프레임을 구비한 지지체;
    상기 기립 프레임의 상단에 장착된 힌지를 매개로 상기 기립 프레임 사이에서 회동되는 것으로서, 링 형상으로 물병의 외주면 하부를 감싸는 제 1 홀더와, 상기 제 1 홀더와 높이 차이를 두고 상기 물병의 외주면 상부를 감싸는 제 2 홀더 및, 상기 제 1 홀더에서 상기 물병의 밑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제 1 홀더를 가로지르는 받침 프레임과, 서로 마주보는 방향에서 상기 제 1,2 홀더를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을 구비한 이동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2 홀더는, 신축성 재질로서 상기 제 1,2 홀더를 둘러싸는 링 형상의 신축 밴드를 구비하되, 상기 신축 밴드는,
    내부에 공기가 충진될 수 있는 중공이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중공의 일 측에 상기 중공에 충진된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와, 공기의 주입이 가능하되 역방향으로의 공기 흐름이 차단되는 원웨이 밸브가 구비된 주입구를 포함하는 튜브이고,
    상기 물병 거치대는,
    상기 지지 프레임으로 둘러싸인 영역에 입체적으로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이동체의 회동 시 상기 이동체와 접촉되어 발생된 스위치의 접촉 신호를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변환부 및, 상기 변환부의 직선 운동력을 전달받아 압축 공기를 생성하는 공기 주입기를 포함하는 보조체;와,
    상기 압축 공기를 상기 주입구에 공급하도록 상기 기립 프레임을 따라 연장된 연결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를 용이하게 따를 수 있는 노약자용 물병 거치대.
  2. 제 1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제 1 기립 프레임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이동체의 회동 시 상기 제 1,2 홀더 사이에 위치한 상기 물병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를 용이하게 따를 수 있는 노약자용 물병 거치대.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주입기는,
    상기 연결관과 내통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삽입 왕복하는 밀대 및, 상기 밀대를 상기 실린더에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변환부는,
    모터와, 상기 스위치의 접촉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모터를 구동하는 구동부 및, 상기 모터의 정역 회전으로 상기 밀대를 밀거나 당기도록 왕복 직선 운동하는 샤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를 용이하게 따를 수 있는 노약자용 물병 거치대.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홀더에는,
    안내음을 출력하는 스피커 및 안내광을 조사하는 LED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알림장치와,
    상기 제 2 홀더의 내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물병 외주면의 접촉 여부를 감지하는 접촉센서 및,
    상기 접촉센서에서 상기 물병의 외주면과의 비 접촉 감지 시 상기 알림장치를 통해 안내음 및 안내광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비 접촉 안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를 용이하게 따를 수 있는 노약자용 물병 거치대.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비 접촉 안내부는,
    상기 안내음 및 안내광 중 어느 하나의 출력 시 상기 접촉센서를 통해 상기 물병 외주면의 접촉을 판단하면 상기 안내음 및 안내광과 다른 보조 안내음 및 보조 안내광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접촉 안내파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를 용이하게 따를 수 있는 노약자용 물병 거치대.
  9. 삭제
  10. 삭제
KR1020180057307A 2018-05-18 2018-05-18 음용수를 용이하게 따를 수 있는 노약자용 물병 거치대 KR1019036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7307A KR101903644B1 (ko) 2018-05-18 2018-05-18 음용수를 용이하게 따를 수 있는 노약자용 물병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7307A KR101903644B1 (ko) 2018-05-18 2018-05-18 음용수를 용이하게 따를 수 있는 노약자용 물병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3644B1 true KR101903644B1 (ko) 2018-10-02

Family

ID=63864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7307A KR101903644B1 (ko) 2018-05-18 2018-05-18 음용수를 용이하게 따를 수 있는 노약자용 물병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36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0101121A1 (de) 2020-01-18 2021-07-22 Manfred Löffler Zur Einhandbedienung geeignete Haltevorrichtung zum Halten, insbesondere von Behältnissen mit Verschlussdeckeln, in einer verdrehsicheren zum Öffnen des Verschlusses geeigneten Posi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3263B1 (ko) 2016-01-15 2016-09-06 한재승 병 거치대
KR101822391B1 (ko) 2016-01-27 2018-01-26 주식회사 마크에이트 물의 섭취량 관리가 가능한 스마트 물병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3263B1 (ko) 2016-01-15 2016-09-06 한재승 병 거치대
KR101822391B1 (ko) 2016-01-27 2018-01-26 주식회사 마크에이트 물의 섭취량 관리가 가능한 스마트 물병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0101121A1 (de) 2020-01-18 2021-07-22 Manfred Löffler Zur Einhandbedienung geeignete Haltevorrichtung zum Halten, insbesondere von Behältnissen mit Verschlussdeckeln, in einer verdrehsicheren zum Öffnen des Verschlusses geeigneten Posi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98074B2 (en) Motorized vacuum/pressure pump and stopper
US5154112A (en) Aeration of liquids
US20070060873A1 (en) Milking apparatus
KR101903644B1 (ko) 음용수를 용이하게 따를 수 있는 노약자용 물병 거치대
CA2377073A1 (en) Multiple-dose bottle with dosage nozzle for liquids, particularly for pharmaceutical products
CN203487612U (zh) 新型马桶
ATE459427T1 (de) Dosierventil und -pumpe für fluidstoffe
TW201503930A (zh) 保齡球支承托架
US6702635B2 (en) Inflatable chair
CA3045537A1 (en) Bottom-to-top liquid filling system
CN210192363U (zh) 一种泵结构非按压式取液分配器
KR20010098539A (ko) 이미용 의자의 다리부
TWM630447U (zh) 流體填充式分娩區防壓裝置
KR20160037606A (ko) 펌프식 치약 디스펜서 및 이를 포함하는 치약용기
CN110623577A (zh) 一种机械给皂器
CN211559860U (zh) 一种机械给皂器
CN210543513U (zh) 一种生物药品制造的新型液体脱气装置
JP2006015004A (ja) 搾乳器
US20140105735A1 (en) Liquid pump device
CN2315883Y (zh) 一种水瓶气囊
CN216418064U (zh) 一种脚踏消毒机
KR101367635B1 (ko) 펌핑식 튜브용기
JP3228070U (ja) ポンプ式容器用足踏みスタンド
KR102637030B1 (ko) 다목적 컵 세척기
CN207822904U (zh) 一种化妆品实验真空乳化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