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3606B1 - 조명기구 결합 보조 장치 - Google Patents
조명기구 결합 보조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03606B1 KR101903606B1 KR1020160164156A KR20160164156A KR101903606B1 KR 101903606 B1 KR101903606 B1 KR 101903606B1 KR 1020160164156 A KR1020160164156 A KR 1020160164156A KR 20160164156 A KR20160164156 A KR 20160164156A KR 101903606 B1 KR101903606 B1 KR 10190360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ssage
- moving member
- connector
- magnet
- fixing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8—Devices for easy attachment to any desired place, e.g. clip, clamp, magnet
- F21V21/096—Magnetic devic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6—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coupling devices, e.g. conn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조명기구 결합 보조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 결합 보조 장치는, 벽면에 고정되어 전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하우징부, 및 상기 제1 하우징부의 일면에 마련되는 제1 자석부를 포함하는 고정부; 및 상기 제1 하우징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하우징부, 상기 제2 하우징부의 일면에 상기 제1 자석부와 대응하도록 마련되는 제2 자석부, 및 상기 제2 하우징부에 마련되고 조명기구가 결합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조명기구의 결합 및 결합 해제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기술과 관련된다.
천장 또는 벽면에 고정되는 조명기구로는 형광등, LED 형광등 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조명기구들은 소모품으로서, 일정시간 이상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기능이 저하되어 교체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천장 또는 벽면 상단에 고정되는 조명기구들은 사람의 키보다 높은 곳에 장착되어 교체가 쉽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조명기구들은 고정 장치로부터의 이탈에 따른 낙하를 방지하기 위해 고정 장치에 강하게 결합되므로, 교체 시 결합 및 결합의 해제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조명기구의 결합 및 결합 해제가 용이한 조명기구 결합 보조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 결합 보조 장치는, 벽면에 고정되어 전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하우징부, 및 상기 제1 하우징부의 일면에 마련되는 제1 자석부를 포함하는 고정부; 및 상기 제1 하우징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하우징부, 상기 제2 하우징부의 일면에 상기 제1 자석부와 대응하도록 마련되는 제2 자석부, 및 상기 제2 하우징부에 마련되고 조명기구가 결합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부를 포함한다.
상기 조명기구 결합 보조 장치는, 상기 제1 자석부와 상기 제2 자석부의 자기결합을 넘어서는 외력에 의해 상기 고정부와 상기 커넥터부간의 거리를 이격시켜 결합을 해제시키는 결합 해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 해제부는, 상기 고정부에서 상기 고정부의 내부 방향 및 외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마련되는 제1 결합 해제부, 및 상기 고정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1 결합 해제부가 상기 내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고정부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커넥터부를 밀어내며, 상기 고정부로 인입되어 상기 제1 결합 해제부를 상기 외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결합 해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 해제부는, 상기 고정부의 외부에서 내부를 향하는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고정부에 마련되는 제1 통로, 상기 제1 통로 내에 삽입되고 상기 제1 통로를 따라 인입 및 인출되도록 마련되는 제1 이동부재, 및 상기 제1 통로로부터 상기 제1 이동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 통로의 일단에 돌출하여 마련되는 이탈 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 해제부는,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상기 고정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고정부에 마련되는 제2 통로, 상기 제2 통로 내에 삽입되고 상기 제1 이동부재가 인입되는 경우 상기 제2 통로를 따라 인출되며, 상기 제2 통로를 따라 인입되어 상기 제1 이동부재를 인출시키도록 마련되는 제2 이동부재, 및 상기 제2 이동부재의 일측에 돌출 마련되고 상기 고정부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고정부와 상기 커넥터부 간 결합을 해제시키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이동부재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단면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이동부재는, 상기 제2 이동부재의 인출방향을 따라 단면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도록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제1 이동부재의 일측과 맞닿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명기구 결합 보조 장치는, 상기 고정부와 상기 커넥터부의 결합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고정부의 일단 양측에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결합 해제부를 이용하여 조명기구의 결합 해제가 용이한 조명기구 결합 보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자석부를 이용하여 조명기구의 결합이 용이한 조명기구 결합 보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 결합 보조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부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 결합 보조 장치의 분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 해제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부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 결합 보조 장치의 분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 해제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 결합 보조 장치(10)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 결합 보조 장치(10)는 조명기구의 탈부착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장치로서, 고정부(100) 및 커넥터부(200)를 포함한다. 이때, 조명기구는 예를 들어, 형광등, LED 전구 등일 수 있다.
고정부(100)는 벽면에 고정되어 전원부(미도시)(예를 들어, 220V 등의 상용 전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자석의 인력을 이용하여 커넥터부(200)와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100)는 천장 벽면에 고정되고, 고정부(100)에 결합되는 커넥터부(200)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일 예시로서, 고정부(100)는 측벽, 외벽 등에 고정되고, 고정부(100)에 결합되는 커넥터부(2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고정부(100)의 구성은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커넥터부(200)는 자석의 인력을 이용하여 고정부(10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부(200)는 조명기구와 결합되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넥터부(200)는 일단에 조명기구를 삽입 결합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타단에 고정부(10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커넥터부(200)의 구성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조명기구의 결합 및 결합 해제가 용이한 조명기구 결합 보조 장치(10)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명기구의 수명이 다한 경우 사용자는 고정부(100)로부터 커넥터부(200)를 쉽게 결합 해제하고, 커넥터부(200)에서 조명기구를 결합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새로운 조명기구를 커넥터부(200)에 결합하고, 자석의 인력을 이용하여 커넥터부(200)를 고정부(100)에 쉽게 결합함으로써 조명기구를 쉽게 교체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1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 결합 보조 장치(10)에서 커넥터부(200)가 탈착된 측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100)는 제1 하우징부(110) 및 제1 자석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부(110)는 벽면에 고정되어 전원부(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제1 하우징부(110)는 벽면에 고정되는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 외부 틀일 수 있다. 또한, 제1 하우징부(110)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과 같은 비전도성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일 예시로서, 제1 하우징부(110)는 직육면체 형상 외에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플라스틱 외 다른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하우징부(110)는 일단이 커넥터부(200)와 결합하도록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하우징부(110)는 일단이 직사각형 형상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일 예시로서, 제1 하우징부(110)는 직사각형 형상 외에 다른 형상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하우징부(110)는 내부에 전원부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커넥터부(200)로 공급하기 위한 도전선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 하우징부(110)는 커넥터부(200)와 결합되는 단면에 커넥터부(200)와 전기적으로 결합하여 커넥터부(20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도성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자석부(120)는 제1 하우징부(110)의 일면에 마련된다. 예를 들어, 제1 자석부(120)는 제1 하우징부(110)의 일단 상단에 고정되어 마련되는 제1-1 자석부(121) 및 제1 하우징부(110)의 일단 하단에 고정되어 마련되는 제1-2 자석부(122)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일 예시로서, 제1 자석부(120)는 하나의 자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제1 자석부(120)가 직사각형 형상의 자석으로 표현되었으나, 제1 자석부(120)는 직사각형 외에 다른 형상의 자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부(200)의 사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3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부(200)를 정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3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부(200)를 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부(200)는 제2 하우징부(210), 제2 자석부(220) 및 커넥터(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하우징부(210)는 제1 하우징부(1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제2 하우징부(210)는 제1 하우징부(110)에 결합되는 외부 틀일 수 있다. 또한, 제2 하우징부(210)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과 같은 비전도성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일 예시로서, 제2 하우징부(210)는 플라스틱 외 다른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2 하우징부(210)는 고정부(100)와 전기적으로 결합하여 고정부(1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전도성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하우징부(210)는 제1 하우징부(110)의 전도성 단자와 대응되는 전도성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하우징부(210)는 내부에 고정부(100)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커넥터(130)로 제공하기 위한 도전선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자석부(220)는 제2 하우징부(210)의 일면에 제1 자석부(120)와 대응하도록 마련된다. 예를 들어, 제2 자석부(220)는 제1 자석부(120)와 대응하여 제2 하우징부(210)의 일단 상단에 고정되어 마련되는 제2-1 자석부(221) 및 제2 하우징부(210)의 일단 하단에 고정되어 마련되는 제2-2 자석부(222)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일 예시로서, 제2 자석부(220)는 하나의 자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제2 자석부(220)가 직사각형 형상의 자석으로 표현되었으나, 제2 자석부(220)는 직사각형 외에 다른 형상의 자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커넥터(130)는 제2 하우징부(210)에 마련되고 조명기구가 결합된다. 예를 들어, 커넥터(130)는 제2 하우징부(210)의 일단에 조명기구가 삽입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커넥터(130)는 제2 하우징부(210) 내부에 포함된 도전선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고, 공급받은 전원을 조명기구에 공급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 결합 보조 장치(10)는 결합 해제부(300) 및 가이드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결합 해제부(300)는 제1 자석부(120)와 제2 자석부(220)의 자기결합을 넘어서는 외력에 의해 고정부(100)와 커넥터부(200)간의 거리를 이격시켜 결합을 해제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 해제부(300)는 제1 자석부(120) 및 제2 자석부(220) 간 인력에 따라 커넥터부(200)에 작용하는 힘과 반대 방향으로 커넥터부(200)를 밀 수 있다. 이때, 결합 해제부(300)는 제1 자석부(120)와 제2 자석부(220)간 인력보다 더 큰 힘을 커넥터부(200)에 가함으로써, 고정부(100)와 커넥터부(200)간의 거리를 이격시킬 수 있다. 한편, 결합 해제부(300)의 구성 및 동작 방법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가이드부(400)는 고정부(100)와 커넥터부(200)의 결합을 가이드하도록 고정부(100)의 일단 양측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부(400)는 고정부(100)의 일단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제1 가이드부(410), 고정부(100)의 일단 타측에 돌출 형성되는 제2 가이드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커넥터부(200)가 고정부(100)에 결합하는 경우, 커넥터부(200)는 제1 가이드부(410) 및 제2 가이드부(420) 사이에 위치하여 가이드됨으로써 고정부(100)에 정확하게 결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 결합 보조 장치(10)의 분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 해제부(300)는 제1 결합 해제부(310) 및 제2 결합 해제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 해제부(310)는 고정부(100)에서 고정부(100)의 내부 방향 및 외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결합 해제부(310)는 고정부(100)의 상부에서 내부로 이동하거나 고정부(100)의 내부에서 상부로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일 예시로서, 제1 결합 해제부(310)는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1 결합 해제부(310)는 제1 통로(311), 제1 이동부재(312) 및 이탈 방지부(3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통로(311)는 고정부(100)의 외부에서 내부를 향하는 제1 방향을 따라 고정부(100)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통로(311)는 제1 방향을 따라 고정부(100)의 일 표면에서 고정부(100)의 내부로 마련되는 사각기둥 형상을 갖는 통로일 수 있다. 또한 이때, 제1 방향은 고정부(100)의 상부에서 내부를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일 예시로서, 제1 통로(311)는 사각기둥 외에 다른 형상을 갖는 통로일 수 있으며, 제1 방향은 고정부(100)의 상부에서 내부를 향하는 방향 외에 다른 방향일 수 있다.
제1 이동부재(312)는 제1 통로(311) 내에 삽입되고 제1 통로(311)를 따라 인입 및 인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이동부재(312)는 제1 통로(311)의 단면에 맞닿도록 마련되어 제1 통로(311)를 따라 인입 및 인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1 이동부재(312)는 제1 방향을 따라 단면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이동부재(312)는 삼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이동부재(312)는 제1 방향을 따라 단면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도록 하기 위해 누운 삼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이동부재(312)는 제1 방향과 수직한 단면이 직사각형 형상을 갖도록 누운 삼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 방향을 따라 단면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이동부재(312)는 경사면이 제2 결합 해제부(320)와 맞닿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이동부재(312)는 누운 삼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윗면, 밑면 및 기둥의 일면이 제1 통로(311)와 맞닿으며 기둥의 다른 일면이 제2 결합 해제부(320)와 맞닿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탈 방지부(313)는 제1 통로(311)로부터 제1 이동부재(312)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제1 통로(311)의 일단에 돌출하여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탈 방지부(313)는 고정부(100)의 표면에 형성되는 제1 통로(311)의 일단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이탈 방지부(313)는 예를 들어, 내부에 빈 공간을 가지며 제1 통로(311)의 단면과 동일한 형상인 직사각형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이탈 방지부(313)는 제1 이동부재(312)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이탈 방지부(313)의 내부에 형성되는 빈 공간의 단면이 제1 통로(311)의 단면보다 좁은 단면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일 예시로서, 이탈 방지부(313)는 다른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결합 해제부(320)는 고정부(100) 내에 마련되고 제1 결합 해제부(310)가 내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고정부(100)로부터 인출되어 커넥터부(200)를 밀어내며, 고정부(100)로 인입되어 제1 결합 해제부(310)를 외부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결합 해제부(320)는 고정부(100) 내에 마련되고 고정부(100)의 전방에서 내부로 이동하거나 고정부(100)의 내부에서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일 예시로서, 제2 결합 해제부(320)는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2 결합 해제부(320)는 제2 통로(321), 제2 이동부재(322) 및 돌출부(3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통로(321)는 제1 방향과 수직한 고정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부(100)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통로(321)는 제1 방향과 수직한 고정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부(100)의 내부에 마련되는 제2-1 통로, 및 제 2-1 통로와 연결되며 제 2-1 통로의 방향을 따라 고정부(100)의 내부에서 고정부(100)의 일 표면으로 마련되는 제2-2 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1 통로는 제2 이동부재(322)가 이동하도록 제2 이동부재(322)의 형상과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2 통로는 돌출부(323)가 이동하도록 돌출부(323)의 형상과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1 통로는 제1 방향과 수직한 고정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사각기둥 형상을 갖는 통로일 수 있다. 또한, 제2-2 통로는 제2-1 통로의 일단과 연결되고, 제2-1 통로의 단면보다 좁은 단면을 갖는 원기둥 형상을 갖는 통로일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일 예시로서, 제2-1 통로 및 제2-2 통로의 형상은 다른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통로(321)는 예를 들어, 고정부(100)의 내부에서 고정부의 전방을 향하는 통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1 통로 및 제2-2 통로는 고정부(100)의 내부에서 전방을 향하는 통로일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일 예시로서, 제2 통로(321)는 다른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이동부재(322)는 제2 통로(321) 내에 삽입되고 제1 이동부재(312)가 인입되는 경우 제2 통로(321)를 따라 인출되며, 제2 통로(321)를 따라 인입되어 제1 이동부재(312)를 인출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이동부재(322)는 제2 통로(321)의 단면에 맞닿도록 마련되어 제2 통로(321)를 따라 인입 및 인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2 이동부재(322)는 제2 이동부재(322)의 인출방향을 따라 단면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도록 형성되고, 일측이 제1 이동부재(312)의 일측과 맞닿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이동부재(322)는 제2 이동부재(322)의 인출방향을 따라 단면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도록 제1 이동부재(312)의 경사면과 맞닿는 경사면을 갖는 누운 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이동부재(322)는 윗면 및 밑면이 제2 통로(321)와 맞닿고, 경사면이 제1 이동부재(312)와 맞닿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323)는 제2 이동부재(322)의 일측에 돌출 마련되고 고정부(100)로부터 인출되어 고정부(100)와 커넥터부(200) 간 결합을 해제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부(323)는 고정부(100)의 외부 측에 위치한 제2 이동부재(322)의 일측에 원기둥 형상으로 돌출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일 예시로서, 돌출부(323)는 제2 통로(321)를 통해 고정부(100)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는 형상이면, 원기둥 외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만약, 제2 결합 해제부(320)가 인출되는 경우, 돌출부(323)는 고정부(100)의 외부로 인출되어 커넥터부(200)에 외력을 가할 수 있다. 이때, 돌출부(323)가 고정부(100)에 가하는 외력이 제1 자석부(120)와 제2 자석부(220)의 자기결합을 넘어서는 경우, 고정부(100)와 커넥터부(200)간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또한 만약, 커넥터부(200)가 돌출부(323)에 외력을 가하는 경우, 제2 결합 해제부(320)는 고정부(100)로 인입될 수 있다. 이때, 돌출부(323)는 고정부(100) 내부까지 인입될 수 있다. 또한 이에 따라, 제1 결합 해제부(310)는 고정부(100)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결합 해제부(300)는 고정부(100) 내에 마련될 수 있으나, 이는 발명의 설명을 위한 일 예시로서 결합 해제부(300)는 커넥터부(200) 내에 마련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 해제부(3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 결합 보조 장치(10)에서 커넥터부(200)가 탈착된 도면으로, 도 5의 (a)는 제2 결합 해제부(320)가 인입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 도 5의 (b)는 제1 결합 해제부(310)가 인입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결합 해제부(320)가 고정부(100)의 내부로 인입되는 경우 제1 결합 해제부(310)는 고정부(100)의 표면까지 인출된다. 반면, 제1 결합 해제부(310)가 인입되는 경우 제2 결합 해제부(320)는 고정부(100)의 외부로 인출되어 커넥터부(200)에 외력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조명기구의 결합 및 결합 해제가 용이한 조명기구 결합 보조 장치(10)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조명기구의 교체를 원하는 경우, 사용자는 제1 이동부재(312)를 눌러 제1 이동부재(312)에 외력을 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이동부재(312)는 제1 통로(311)를 따라 인입되고, 제2 이동부재(322)를 밀어 인출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이동부재(322)와 연결된 돌출부(323)는 제2 이동부재(322)의 인출에 따라 함께 인출되고, 돌출부(323)는 커넥터부(200)를 밀어 외력을 가할 수 있다. 이때, 만약 커넥터부(200)에 가해진 외력이 제1 자석부(120)와 제2 자석부(220)간 자기결합보다 큰 경우 커넥터부(200)와 고정부(100)간 결합이 해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결합 해제된 커넥터부(200)에서 조명기구를 교체할 수 있다.
사용자가 조명기구가 교체된 커넥터부(200)를 고정부(100)에 결합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가이드부(400)를 따라 커넥터부(200)를 고정부(1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커넥터부(200)를 고정부(100) 쪽으로 밀어 외력을 가하면, 커넥터부(200)는 돌출부(323)를 밀어 돌출부(323)를 고정부(100) 내부로 인입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돌출부(323)에 연결된 제2 이동부재(322)는 제2 통로(321)를 따라 인입되고, 제2 이동부재(322)는 제1 이동부재(312)를 밀어 인출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이동부재(312)는 제1 통로(311)를 따라 인출되고, 이탈 방지부(313)에 걸림으로써 이동을 정지할 수 있다. 한편, 커넥터부(200)는 고정부(100)와 인접하여 제1 자석부(120)와 제2 자석부(220)간 자기결합으로 고정부(1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전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조명기구 결합 보조 장치
100: 고정부
110: 제1 하우징부
120: 제1 자석부
200: 커넥터부
210: 제2 하우징부
220: 제2 자석부
230: 커넥터
300: 결합 해제부
310: 제1 결합 해제부
311: 제1 통로
312: 제1 이동부재
313: 이탈 방지부
320: 제2 결합 해제부
321: 제2 통로
322: 제2 이동부재
323: 돌출부
400: 가이드부
100: 고정부
110: 제1 하우징부
120: 제1 자석부
200: 커넥터부
210: 제2 하우징부
220: 제2 자석부
230: 커넥터
300: 결합 해제부
310: 제1 결합 해제부
311: 제1 통로
312: 제1 이동부재
313: 이탈 방지부
320: 제2 결합 해제부
321: 제2 통로
322: 제2 이동부재
323: 돌출부
400: 가이드부
Claims (6)
- 벽면에 고정되어 전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하우징부, 및 상기 제1 하우징부의 일면에 마련되는 제1 자석부를 포함하는 고정부;
상기 제1 하우징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하우징부, 상기 제2 하우징부의 일면에 상기 제1 자석부와 대응하도록 마련되는 제2 자석부, 및 상기 제2 하우징부에 마련되고 조명기구가 결합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부; 및
상기 고정부와 상기 커넥터부의 결합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고정부의 일단 양측에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조명기구 결합 보조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명기구 결합 보조 장치는, 상기 제1 자석부와 상기 제2 자석부의 자기결합을 넘어서는 외력에 의해 상기 고정부와 상기 커넥터부간의 거리를 이격시켜 결합을 해제시키는 결합 해제부를 더 포함하는, 조명기구 결합 보조 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결합 해제부는,
상기 고정부에서 상기 고정부의 내부 방향 및 외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마련되는 제1 결합 해제부; 및
상기 고정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1 결합 해제부가 상기 내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고정부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커넥터부를 밀어내며, 상기 고정부로 인입되어 상기 제1 결합 해제부를 상기 외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결합 해제부를 포함하는, 조명기구 결합 보조 장치.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 해제부는, 상기 고정부의 외부에서 내부를 향하는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고정부에 마련되는 제1 통로, 상기 제1 통로 내에 삽입되고 상기 제1 통로를 따라 인입 및 인출되도록 마련되는 제1 이동부재, 및 상기 제1 통로로부터 상기 제1 이동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 통로의 일단에 돌출하여 마련되는 이탈 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 해제부는,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상기 고정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고정부에 마련되는 제2 통로, 상기 제2 통로 내에 삽입되고 상기 제1 이동부재가 인입되는 경우 상기 제2 통로를 따라 인출되며, 상기 제2 통로를 따라 인입되어 상기 제1 이동부재를 인출시키도록 마련되는 제2 이동부재, 및 상기 제2 이동부재의 일측에 돌출 마련되고 상기 고정부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고정부와 상기 커넥터부 간 결합을 해제시키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조명기구 결합 보조 장치.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부재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단면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이동부재는, 상기 제2 이동부재의 인출방향을 따라 단면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도록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제1 이동부재의 일측과 맞닿도록 형성되는, 조명기구 결합 보조 장치.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64156A KR101903606B1 (ko) | 2016-12-05 | 2016-12-05 | 조명기구 결합 보조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64156A KR101903606B1 (ko) | 2016-12-05 | 2016-12-05 | 조명기구 결합 보조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64042A KR20180064042A (ko) | 2018-06-14 |
KR101903606B1 true KR101903606B1 (ko) | 2018-10-02 |
Family
ID=62629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64156A KR101903606B1 (ko) | 2016-12-05 | 2016-12-05 | 조명기구 결합 보조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03606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57557B1 (ko) * | 2008-04-10 | 2008-09-09 | (주)대화엔지니어링 | 공동주택의 실내조명등 탈착구조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60838B1 (ko) * | 2002-03-12 | 2004-12-09 | 조용만 | 조명등 |
KR200446837Y1 (ko) * | 2007-09-07 | 2009-12-03 | 주식회사 디에스이 | 등기구 |
KR100960884B1 (ko) | 2008-03-04 | 2010-06-04 | (주)데코물산 | 형광등 교체가 용이한 형광등기구 |
KR101511643B1 (ko) * | 2013-09-03 | 2015-04-14 |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착탈식 소켓이 구비된 등기구 장치 |
-
2016
- 2016-12-05 KR KR1020160164156A patent/KR10190360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57557B1 (ko) * | 2008-04-10 | 2008-09-09 | (주)대화엔지니어링 | 공동주택의 실내조명등 탈착구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64042A (ko) | 2018-06-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133910B2 (ja) | 照明設備、ランプ、照明設備における支持部、ランプにおける支持要素、ホルダ及びソケット | |
US20170112010A1 (en) | Field replaceable power supply cartridge | |
US8356915B2 (en) | Lighting device | |
KR101409961B1 (ko) | 전등 커버 결합구 | |
KR101674649B1 (ko) | 조명등기구의 천장 결합장치 | |
KR101373216B1 (ko) | 감전보호 베이스를 가지는 직관형 엘이디램프 | |
KR101690374B1 (ko) | 라인 타입 조명장치 | |
WO2018107592A1 (zh) | 一种led高棚灯 | |
KR200476879Y1 (ko) | 자석착탈형 led등기구 | |
KR101903606B1 (ko) | 조명기구 결합 보조 장치 | |
KR102235275B1 (ko) | Led 조명등용 레일 및 연결 기구 | |
KR101170374B1 (ko) | 천장 부착형 led 등기구 | |
KR101285184B1 (ko) | 다운라이트 등기구 | |
KR101064637B1 (ko) | 분리형 플러그형 어댑터 | |
KR101720510B1 (ko) | 매립형 조명 장치 및 매립형 조명 장치 커버 | |
JP2013143288A (ja) | 照明器具 | |
US9512967B2 (en) | Straight type lamp | |
KR101875686B1 (ko) | 탄성 체결방식 엘이디 직부등 | |
KR101796981B1 (ko) | 매립형 등기구의 안정기 조립구조 | |
KR101656849B1 (ko) | 캠핑용 스트링 조명장치 | |
CN211289977U (zh) | 一种组装式灯具 | |
EP3203145A1 (en) | A lighting device | |
US10113733B1 (en) | Connector for light fixture | |
CN109737327B (zh) | Led灯 | |
KR102093068B1 (ko) | 직착등 장착용 마운팅 부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