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5686B1 - 탄성 체결방식 엘이디 직부등 - Google Patents

탄성 체결방식 엘이디 직부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5686B1
KR101875686B1 KR1020170080661A KR20170080661A KR101875686B1 KR 101875686 B1 KR101875686 B1 KR 101875686B1 KR 1020170080661 A KR1020170080661 A KR 1020170080661A KR 20170080661 A KR20170080661 A KR 20170080661A KR 101875686 B1 KR101875686 B1 KR 1018756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elastic
base frame
cove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0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철주
이재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남영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남영전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남영전구
Priority to KR1020170080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56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5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56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4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4Recessed bases
    • F21V21/041Moun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lse ceiling panels or partition walls made of plates
    • F21V21/042Moun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lse ceiling panels or partition walls made of plates using clamping means, e.g. for clamping with panel or wall
    • F21V21/044Moun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lse ceiling panels or partition walls made of plates using clamping means, e.g. for clamping with panel or wall with elastically deformable elements, e.g. spring tong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Securing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성 체결방식 엘이디 직부등에 관한 것으로써, 개시된 본 발명은 베이스프레임의 바깥면에 엘이디모듈과 전장부가 구비되고 상기 엘이디모듈과 전장부가 보호되면서 엘이디모듈의 광이 확산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바깥쪽으로 커버가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안쪽면 중앙에는 체결구멍이 형성되는 조명본체 및 천장에 고정될 수 있도록 표면에 복수의 나사공이 형성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중앙에 중심부가 관통된 원통형으로 하향 돌출되면서 상기 체결구멍에 결합되는 체결부로 이루어진 고정브래킷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탄성 체결방식 엘이디 직부등{Spring fastening type LED lamp}
본 발명은 엘이디 직부등이 천장에 결합된 고정브래킷을 통해 탄성 체결방식으로 고정되는 탄성 체결방식 엘이디 직부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사용되는 등기구는 필라멘트를 이용한 백열전구나 형광체를 이용한 형광등과 같은 방전램프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전램프는 높은 구동 전압을 가지기 때문에 전력의 승압으로 인한 에너지 소모가 크고, 폐기시 인체나 환경에 유해한 수은 등의 방전가스를 배출함에 따라 환경 오염의 원인이 되고 재활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유럽연합(EU)에서는 전기·전자제품에 납·수은·카드뮴 등의 중금속과 PBB(PolyBromide Binpenyl)·PBDE(PolyBrominated Diphenyl Ether) 등과 같은 유해물질의 사용을 금하는 특정 유해물질 사용제한 규약(RoHS : Restriting the use of Hazardous Substances)과 폐전기·전자제품의 재활용 비용을 생산자가 부담하도록 하는 전기·전자기기폐기물처리지침(WEEE : Waste Electrical and Electronic Equipment Directive)을 제정하여 2006년 7월 1일부터 이를 시행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이하 "엘이디"라 한다)를 광원으로 하는 등기구가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엘이디는 기존 광원에 비하여 극소형이며, 수명이 반영구적이고, 소비전력이 적으며, 에너지 효율이 높고, 수은이나 납 등의 유해물질을 포함하지 않아 친환경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다.
한편, 엘이디 직부등은 조명본체를 천장에 고정시키는 형태로 조명본체를 천장에 고정시키기 위해 브래킷이 사용되며, 그 시공과정은 브래킷을 천장에 먼저 고정시킨 후, 조명본체의 커버를 제거한 상태에서 조명본체를 천장에 고정된 브래킷에 나사 체결한 다음 다시 커버를 조명본체에 설치해야 함에 따라 시공의 과정이 복잡하고 작업성이 불량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120088호(2014.10.13. 공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조명본체의 커버 전체를 제거할 필요 없이 천장에 결합된 고정브래킷에 조명본체를 간단하고 신속하게 탈착시킬 수 있는 탄성 체결방식 엘이디 직부등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될 필요는 없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은 베이스프레임의 바깥면에 엘이디모듈과 전장부가 구비되고 상기 엘이디모듈과 전장부가 보호되면서 엘이디모듈의 광이 확산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바깥쪽으로 커버가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안쪽면 중앙에는 체결구멍이 형성되는 조명본체와,
천장에 고정될 수 있도록 표면에 복수의 나사공이 형성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중앙에 중심부가 관통된 원통형으로 하향 돌출되면서 상기 체결구멍에 결합되는 체결부로 이루어진 고정브래킷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더 바람직하게 체결부는 선단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절개되는 절개부가 외측둘레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절개부를 사이에 두고 복수의 탄성부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 중 하나 이상의 단부 외측둘레에 걸림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탄성부는 선단부가 안쪽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브래킷의 고정부 표면에는 상기 체결부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탄성가압부가 형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탄성가압부는 ∧ 형으로 절개홈과, 상기 절개홈에 의해 탄성력을 가지는 상기 절개홈 안쪽의 고정부 표면에 형성된 가압돌기가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체결구멍에는 하향 돌출되는 걸림턱이 연장 형성되어 상기 체결구멍을 끼워지는 상기 탄성부의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턱 선단부에 탄력적으로 걸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조명본체의 커버 중심부에는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구멍에는 상기 커버로부터 탈착 가능한 보조커버가 설치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구멍의 내주면 사방에는 걸림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보조커버의 마주하는 양측면에는 상기 걸림홈에 탄력적으로 끼워져 탈착될 수 있도록 걸림편이 형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보조커버의 걸림편이 형성된 양측면에는 안쪽으로 함몰된 끼움홈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의 탄성 체결방식 엘이디 직부등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즉, 고정브래킷이 천장에 미리 설치된 상태에서 고정브래킷에 구비된 탄성돌기에 조명본체의 안쪽면에 형성된 체결구멍을 일치시켜 끼우면 조명본체가 천장에 간단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조명본체의 커버에 구비되는 보조커버를 제거한 상태에서는 조명본체를 고정브래킷에 더욱 정확하고 간편하게 탈착시킬 수 있어 설치 작업자 및 이용자의 편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여기서, 이와 같이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한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탄성 체결방식 엘이디 직부등의 조명본체와 고정브래킷이 결합된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탄성 체결방식 엘이디 직부등의 조명본체와 고정브래킷이 분리된된 상태를 예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탄성 체결방식 엘이디 직부등의 조명본체를 구성하는 베이스프레임과 커버와 보조커 및 고정브래킷의 분리 상태를 예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탄성 체결방식 엘이디 직부등의 조명본체를 구성하는 베이스프레임과 커버와 보조커 및 고정브래킷의 분리 상태를 예시한 다른 분리 사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탄성 체결방식 엘이디 직부등의 조명본체로부터 보조커버가 분리된 상태를 예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탄성 체결방식 엘이디 직부등의 조명본체와 결합되는 고정브래킷을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탄성 체결방식 엘이디 직부등의 조명본체와 결합되는 고정브래킷을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8a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탄성 체결방식 엘이디 직부등의 조명본체와 고정브래킷이 결합되기 전 상태를 예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8b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탄성 체결방식 엘이디 직부등의 조명본체와 고정브래킷이 결합된 상태를 예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내용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탄성 체결방식 엘이디 직부등은 서로 결합되는 베이스프레임과 커버의 내부로 엘이디모듈과 전장부가 구비되는 조명본체 및 그러한 조명본체를 천장에 탈착시키기 위한 고정브래킷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로 크게 구분될 수 있으며, 이하 예시되는 도면을 통해 각 구성요소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조명본체(100)는,
엘이디의 광이 조사되는 등기구로써, 베이스프레임(110)과 그러한 베이스프레임(110)의 바깥쪽에 엘이디모듈과 전장부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베이스프레임(110)의 외측테두리에 결합되는 커버(130)를 포함하며, 베이스프레임(110)의 바깥면에 설치되는 엘이디모듈은 엘이디소자와 기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전장부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정류하여 엘이디모듈을 발광시키며, 제어부를 통해 엘이디모듈의 발광을 제어할 수 있다.
베이스프레임(110)은 도면에서와 같이 사각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천장과 마주하게 되는 베이스프레임(110)의 상면에는 강성의 유지를 위한 리브살과 함께 중심부에 체결구멍(120)이 형성되고, 이러한 체결구멍(120)에는 후술되는 고정브래킷(200)의 체결부(220)가 탈착된다.
베이스프레임(110)의 중심부는 소정 깊이로 함몰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고정브래킷(200)의 체결부(220)가 체결구멍(120)에 끼워질 때 고정브래킷(200) 전체가 이러한 함몰된 부분으로 끼워져 내재되도록 안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베이스프레임(110)의 함몰되는 부분은 고정브래킷(200)의 외형과 상응한 형상으로 구성되거나, 고정브래킷(200)의 외형이 내재될 수 있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베이스프레임(110)의 함몰되는 부분으로 고정브래킷(200)이 끼워져 안착되면 베이스프레임(110)은 천장과 밀착될 수 있다.
베이스프레임(110)의 저면에는 체결구멍(120)을 감싸는 형태로 하향 돌출된 격벽이 형성될 수 있으며, 그러한 격벽의 내부에는 SMPS와 같이 전장부를 구성하는 부품이 수용될 수 있다.
격벽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는 베이스프레임(110)의 저면에는 전선통과홀이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전선통과홀은 베이스프레임(110) 상에서 격벽 내부는 물론 격벽 외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격벽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는 베이스프레임(110)의 저면에는 전장부를 구성하는 부품과의 연결을 위한 전원접속단자부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베이스프레임(110)은 예시된 도면을 통해 사각의 형태로 예시되었지만, 베이스프레임(110)의 형상은 사각의 형태로 정해질 필요는 없으며, 원형 또는 타원형 및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고정브래킷(200)은,
전술한 조명본체(100)를 천장에 고정 시키거나 필요에 따라 천장으로부터 분리시키고자 할 때 사용되며, 상면이 천장에 접면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저면으로는 조명본체(100)가 결합된다.
고정브래킷(200)은 도면에서와 같이 사각의 형태가 될 수 있으며, 표면에는 천장에 체결부재를 통해 결합시키기 위한 복수의 나사공(212)이 관통 형성되고 저면 중심에는 하향 돌출되어 전술한 베이스프레임(110)의 체결구멍(120)에 탈착될 수 있도록 체결부(220)가 형성된다.
고정브래킷(200)은 일 예로 사각의 형상을 가지면서 그 표면에는 체결부재를 통해 천장에 고정될 수 있도록 복수의 나사공(211)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고정부(210)와, 그러한 고정부(210)의 중앙에 저면으로부터 하향 돌출되면서 중심부가 관통된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전술한 베이스프레임(110)의 체결구멍(120)에 탈착되는 체결부(220)로 구성될 수 있다.
고정부(210)는 나사공(211)을 구성함에 있어서, 그 형상이 원형은 물론 위치조절을 위하여 장공의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고, 나사공(211)은 장공이면서 직선의 형태는 물론 만곡진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고정부(210)의 저면으로부터 하향 돌출된 체결부(220)는 탄성력을 가질 수 있으며, 그 바람직한 실시 예로 돌출된 아래쪽 선단부에서 위쪽 고정부(210)를 향하여 체결부(220)의 길이방향으로 슬릿홈 형태의 절개부(221)가 소정 길이로 형성되고, 이러한 절개부(221)는 체결부(220)의 외측둘레를 따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다수개가 형성되고, 이에 따라 절개부(221)를 사이에 두고 다수개의 탄성부(222)가 만들어지게 되면서 이러한 각 탄성부(222)는 절개부(221)에 의해 체결부(220)의 중심쪽으로 탄성력을 가지면서 움직이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체결부(220)가 네개의 절개부(221)를 통해 체결부(220)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하는 네개의 탄성부(222)로 구성되고, 이 중 마주하는 한 쌍의 탄성부(222)는 단부 외측둘레에 걸림돌기(223)가 형성된 것이며, 이러한 걸림돌기(223)는 마주하는 두 쌍 모두에 형성될 수도 있다.
체결부(220)는 절개부(221)의 개수에 따라 두개 또는 세개 또는 다섯개 이상의 탄성부(222)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걸림돌기(223)는 탄성부(222) 중 어느 하나에만 형성될 수도 있고, 마주하는 탄성부(222) 또는 마주하지 않으면서 탄성부(222)에 복수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
걸림돌기(223)는 탄성부(222)의 선단부에서 고정부(210)를 향하는 쪽으로 벌어지면서 쐐기 형태로 경사지게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체결부(220)가 베이스프레임(110)의 체결구멍(120)에 탄력적으로 체결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베이스프레임(110)의 체결구멍(120) 내측둘레에 소정 길이로 하향 돌출되는 원통형의 걸림턱(121)을 연장 형성함으로써, 체결부(220)가 체결구멍(120)에 끼워질 때 탄성부(222)의 걸림돌기(223)가 걸림턱(121)의 내측둘레를 따라 이동되면서 각 탄성부(222)는 탄성력을 가지면서 안쪽으로 모여지고, 이후 걸림돌기(223)가 걸림턱(121)의 내측둘레를 벗어나게 되면 모여진 탄성부(222)가 원위치 되면서 걸림돌기(223)가 걸림턱(121)의 선단부에 걸리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체결부(220)가 체결구멍(120)에 고정된 상태에서 체결부(220)를 체결구멍(120)으로부터 분리하고자 경우에는 걸림턱(121)의 걸려 있는 탄성부(222)의 걸림돌기(223)를 안쪽으로 밀어준 상태에서 베이스프레임(110)을 잡아당기면 체결부(220)로부터 체결구멍(120)이 쉽게 분리될 수 있다.
체결부(220)가 체결구멍(120)으로 결합될 때 고정부(210)의 표면은 베이스프레임(110)의 안쪽면과 접면되며, 고정부(210)의 표면과 베이스프레임(110)의 안쪽면 사이에 유격이 발생되지 않도록 고정부(210)에 복수의 탄성가압부(212)가 구비될 수 있다.
탄성가압부(212)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가 설치되어 구성될 수도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체결부(220)를 중심으로 고정부(210)의 표면 사방에 ∧ 형으로 절개홈(213)을 각각 형성하고, 그러한 절개홈(213)의 안쪽으로 가압돌기(214)를 돌출 형성시켜 가압돌기(214)가 절개홈(213)을 통해 탄성력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체결부(220)가 체결구멍(120)에 결합되면서 고정부(210)의 표면과 베이스프레임(110)의 안쪽면이 서로 접면될 때 가압돌기(214)의 가압력이 베이스프레임(110)의 안쪽면에 가해지면서 고정부(210)와 베이스프레임(110)이 유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조명본체(100)에는 커버(130)가 설치되며, 조명본체(100)의 베이스프레임(110)에 형성된 체결구멍(120)을 고정브래킷(200)의 체결부(220)에 끼워 고정시킨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조명본체(100)를 고정브래킷(200)으로부터 다시 분리시키고자 할 경우, 조명본체(100)의 베이스프레임(110)과 결합된 커버(130)를 먼저 분리시킨 상태에서 체결부(220)로부터 베이스프레임(110)의 체결구멍(120)을 분리시킬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로 조명본체(100)를 고정브래킷(200)에 보다 간편하게 탈착시킬 수 있도록 커버(130)의 중심부에 구멍(131)을 형성하고, 그러한 구멍(131)에 탁착될 수 있는 보조커버(140)를 설치함으로써, 고정브래킷(200)의 체결부(220)에 베이스프레임(110)의 체결구멍(120)을 끼울 때 베이스프레임(110)으로부터 커버(130)를 분리하지 않고, 커버(130)로부터 보조커버(140)를 분리한 상태에서 체결구멍(120)을 체결부(220)에 간단하게 결합시킬 수 있으며, 고정브래킷(200)으로부터 조명본체(100)를 분리하는 경우에도 커버(130)로부터 보조커버(140)만을 분리한 후 체결부(220)로부터 체결구멍(120)을 간단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보조커버(140)가 커버(130)의 구멍(131)으로부터 탈착되도록 구성함에 있어서, 일 예로 보조커버(140)가 구멍(131)에 체결수단으로 통해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다른 예로 구멍(131)과 보조커버(140)의 한쪽은 서로 힌지결합되고 다른 한쪽은 서로 억지끼움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고, 또 다른 예로 구멍(131)의 내측둘레와 보조커버(140)의 외측둘레에 자석부재가 설치되어 자력을 통해 서로 탈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예시된 도면과 같이 구멍(131) 내측둘레의 마주하는 양측으로 걸림홈(132)을 각각 형성하고, 보조커버(140)의 마주하는 양측에는 그러한 걸림홈(132)에 탄력적으로 끼워져 탈착될 수 있는 탄성력을 가지는 걸림편(14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커버(130)의 구멍(131) 내측둘레에서 마주하는 양쪽에만 걸림홈(132)이 형성되는 경우, 보조커버(140)의 걸림편(141)을 걸림홈(132)으로 끼워넣을 때 방향이 정해지게 됨에 따라 커버(130)의 구멍(131) 내측둘레 사방에 서로 마주하도록 걸림홈(132)을 형성하게 되면 보조커버(140)의 걸림편(141)이 구멍(131)의 걸림홈(132)에 끼워질 때 방향이 정해지지 않고 간편하게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보조커버(140)에 걸림편(141)이 형성되는 경우, 커버(130)의 구멍(131)으로부터 보조커버(140)를 분리시킬 때, 보조커버(140)의 걸림편(141)을 작동시켜 구멍(131)의 걸림홈(132)으로부터 분리가 될 수 있도록 걸림편(141)이 형성된 보조커버(140)의 양측면에 안쪽으로 함몰되는 끼움홈(142)을 각각 형성함으로써, 사용자는 그러한 끼움홈(142)으로 공구 등을 집어넣어 걸림편(141)을 안쪽으로 밀어 작동시켜주면 보조커버(140)의 걸림편(141)이 구멍(131)의 걸림홈(132)으로부터 쉽게 분리되어 구멍(131)에서 보조커버(140)를 간단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조명본체(100)와 고정브래킷(200)의 조립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천장에 고정브래킷(200)이 설치되며, 고정브래킷(200)의 고정부(210)에 구비된 나사공(212)을 통해 체결부재를 끼운 후 천장의 설치부위에 그러한 체결부재를 체결시켜 결합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조명본체(100)를 구성하고 있는 베이스프레임(110)의 체결구멍(120)을 고정브래킷(200)의 체결부(220)에 일치시켜 끼워넣으면 체결부(220)의 탄성부(222)에 구비된 걸림돌기(223)가 체결구멍(120)의 걸림턱(121) 내주면을 따라 탄성력을 가지면서 이동되다가 걸림턱(121)을 벗어나 원상태가 되면서 걸림돌기(223)가 걸림턱(121)의 선단부에 걸리게 되어 조명본체(100)는 고정브래킷(200)에 고정된다.
이때, 고정브래킷(200)의 고정부(210) 표면은 베이스프레임(110)의 바깥면에 접면되면서 고정부(210)의 사방에 위치한 탄성가압부(212)의 가압돌기(214)가 절개홈(213)에 의한 탄성력을 가지게 되면서 베이스프레임(110)의 체결구멍(120) 주변을 가압하게 됨에 따라 체결부(220)에 체결된 베이스프레임(110)의 불필요한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
여기서, 조명본체(100)를 고정브래킷(200)에 고정시킴에 있어 조명본체(100)에 커버(130)가 설치된 상태에서 커버(130)에 의해 베이스프레임(110)의 체결구멍(120)이 가려진 상태가 되어 체결구멍(120)을 고정브래킷(200)의 체결부(220)에 신속하게 일치시키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보조커버(141)의 끼움홈(142)으로 공구를 끼워넣은 후 걸림편(141)을 안쪽으로 밀어 보조커버(141)를 커버(130)로부터 분리한 후 커버(130)의 구멍(131)을 통해 보이게 되는 베이스프레임(110)의 체결구멍(120)을 고정브래킷(200)의 체결부(220)에 일치시켜 결합시켜주면 조명본체(100)와 고정브래킷(200)의 결합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조명본체(100)를 고정브래킷(200)으로부터 분리시킬 경우, 커버(130) 전체를 제거할 필요 없이 커버(130)로부터 보조커버(140)를 분리한 후 체결구멍(120)의 걸림턱(121)에 걸려 있는 탄성부(222)의 걸림돌기(223)를 안쪽으로 눌러 체결부(220)로부터 체결구멍(120)을 쉽게 분리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조명본체 110 : 베이스프레임
120 : 체결구멍 121 : 걸림턱
130 : 커버 131 : 구멍
132 : 걸림홈 140 : 보조커버
141 : 걸림편 142 : 끼움홈
200 : 고정브래킷 210 : 고정부
211 : 나사공 212 : 탄성가압부
213 : 절개홈 214 : 가압돌기
220 : 체결부 221 : 절개부
222 :탄성부 223 : 걸림돌기

Claims (9)

  1. 베이스프레임의 바깥면에 엘이디모듈과 전장부가 구비되고 상기 엘이디모듈과 전장부가 보호되면서 엘이디모듈의 광이 확산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바깥쪽으로 커버가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안쪽면 중앙에는 체결구멍이 형성되는 조명본체; 및
    천장에 고정될 수 있도록 표면에 복수의 나사공이 형성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중앙에 중심부가 관통된 원통형으로 하향 돌출되면서 상기 체결구멍에 결합되는 체결부로 이루어진 고정브래킷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브래킷의 고정부 표면에는 상기 체결부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탄성가압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체결방식 엘이디 직부등.
  2. 제 1 항에 있어서,
    체결부는,
    선단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절개되는 절개부가 외측둘레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절개부를 사이에 두고 복수의 탄성부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 중 하나 이상의 단부 외측둘레에 걸림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체결방식 엘이디 직부등.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선단부가 안쪽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체결방식 엘이디 직부등.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가압부는,
    ∧ 형으로 절개홈과, 상기 절개홈에 의해 탄성력을 가지는 상기 절개홈 안쪽의 고정부 표면에 형성된 가압돌기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체결방식 엘이디 직부등.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체결구멍에는 하향 돌출되는 걸림턱이 연장 형성되어 상기 체결구멍을 끼워지는 상기 탄성부의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턱 선단부에 탄력적으로 걸리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체결방식 엘이디 직부등.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본체의 커버 중심부에는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구멍에는 상기 커버로부터 탈착 가능한 보조커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체결방식 엘이디 직부등.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의 내주면 사방에는 걸림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보조커버의 마주하는 양측면에는 상기 걸림홈에 탄력적으로 끼워져 탈착될 수 있도록 걸림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체결방식 엘이디 직부등.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커버의 걸림편이 형성된 양측면에는 안쪽으로 함몰된 끼움홈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체결방식 엘이디 직부등.
KR1020170080661A 2017-06-26 2017-06-26 탄성 체결방식 엘이디 직부등 KR1018756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0661A KR101875686B1 (ko) 2017-06-26 2017-06-26 탄성 체결방식 엘이디 직부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0661A KR101875686B1 (ko) 2017-06-26 2017-06-26 탄성 체결방식 엘이디 직부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5686B1 true KR101875686B1 (ko) 2018-07-06

Family

ID=62920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0661A KR101875686B1 (ko) 2017-06-26 2017-06-26 탄성 체결방식 엘이디 직부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56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7048B1 (ko) 2020-11-13 2021-06-18 정홍준 조명 설치용 장착하우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0912A (ja) * 1991-07-15 1993-01-2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引掛シーリングローゼツト用照明器具取付金具の取付位置決めアダプタ
KR20120002542U (ko) * 2010-10-04 2012-04-13 태원전기산업 주식회사 직착등 결합구조
US20170175960A1 (en) * 2015-12-16 2017-06-22 Minka Lighting, Inc. Bracket mount assembly for light fixtur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0912A (ja) * 1991-07-15 1993-01-2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引掛シーリングローゼツト用照明器具取付金具の取付位置決めアダプタ
KR20120002542U (ko) * 2010-10-04 2012-04-13 태원전기산업 주식회사 직착등 결합구조
US20170175960A1 (en) * 2015-12-16 2017-06-22 Minka Lighting, Inc. Bracket mount assembly for light fixture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Yeelight 설명서(2017.05.19.)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7048B1 (ko) 2020-11-13 2021-06-18 정홍준 조명 설치용 장착하우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8856B1 (ko) 조명등 장착장치
EP3312504B1 (en) Led ceiling lamp
KR20100100169A (ko) 발광 장치
EP2994692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trofit mounting and wiring small aperture recessed lighting
KR20160130697A (ko) 천장 고정형 등기구
KR101764216B1 (ko) 천장 고정용 엘이디 등기구의 커버 고정구
KR200476879Y1 (ko) 자석착탈형 led등기구
KR101879996B1 (ko) 조명등의 투광판 장착장치
KR101875686B1 (ko) 탄성 체결방식 엘이디 직부등
KR200483908Y1 (ko) Led 평판조명등
JP4838867B2 (ja) 照明装置
KR101396595B1 (ko) Led 조명기구
JP6731628B2 (ja) 非常用照明装置
KR101955998B1 (ko) 회전조립식 고정브래킷을 갖는 엘이디 직부등
JP6796803B2 (ja) 照明器具
KR200480026Y1 (ko) 절연 베리어를 갖는 led램프 어셈블리
KR20190004432A (ko) 설치 위치 조절이 가능한 엘이디등
JP2016091947A (ja) 照明器具
US10845029B2 (en) Under cabinet light fixtures
KR20170006815A (ko) 엘이디 등기구의 천장 고정장치
KR101597412B1 (ko) 천정 고정형 엘이디 등기구
JP2011138796A (ja) 照明装置
KR200236556Y1 (ko) 조명기구의 반사갓 결합구조
KR101629079B1 (ko) 조명 장치
JP6830192B2 (ja) 照明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