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3097B1 - 목침 - Google Patents

목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3097B1
KR101903097B1 KR1020160130595A KR20160130595A KR101903097B1 KR 101903097 B1 KR101903097 B1 KR 101903097B1 KR 1020160130595 A KR1020160130595 A KR 1020160130595A KR 20160130595 A KR20160130595 A KR 20160130595A KR 101903097 B1 KR101903097 B1 KR 1019030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rvical
height
cervical vertebra
user
verteb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0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9369A (ko
Inventor
공인구
Original Assignee
공인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인구 filed Critical 공인구
Priority to KR1020160130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3097B1/ko
Priority to PCT/KR2017/011111 priority patent/WO2018070747A1/ko
Publication of KR20180039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93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3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30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81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09Rigid frame construc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수면 중 목의 균형이 유지되도록 척추 중 목뼈를 이루는 경추를 바르게 정렬하여 신체의 균형을 유지할 있는 목침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침은,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부와, 몸체부의 상면 일측변의 중앙에 하방으로 오목하게 함몰 형성되어 사용자의 경추를 지지하는 경추받침부와, 경추받침부의 후방에 경추받침부보다 낮게 위치하도록 몸체부의 상면에서 소정 깊이만큼 함몰 형성되어 사용자의 후두부를 삽입 지지하는 머리받침부와, 몸체부의 양측에 경추받침부 및 머리받침부보다 높게 형성되어 사용자의 머리 좌우 측면을 지지하는 머리측면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목침{WOODEN PILLOW}
본 발명은 나무로 만든 베개인 목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면 중 목의 균형이 유지되도록 척추 중 목뼈를 이루는 경추를 바르게 정렬하여 신체의 균형을 유지할 있는 목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베개가 너무 푹신하면 경추를 지탱하지 못해 목에 무리를 주게 되고 통기성이 떨어지며, 베개가 너무 딱딱하면 신경이 눌리고 혈관이 좁아져 혈액순환에 방해가 된다. 또한, 화학 섬유로 만들어진 베개는 우리 신체의 거부로 몸의 조절 기능을 잃게 된다.
한편, 나무로 만든 베개인 목침은 나무의 감촉이 서늘하면서도 체온을 은근하게 유지해 주어 잠을 자거나 쉴 때 많이 사용하며, 나무의 자연적인 무늬와 나무 특유의 향과 푸근함으로 사용자의 거부감이 없이 친화력이 좋다.
그러나, 종래의 목침은 반구형상으로 형성되어 목 부위만을 지지하므로 목의 균형을 바르게 유지하지 못하고 경추에 무리한 압력을 가하게 되어 추골 동맥이 압박을 받아 혈류 장애로 불면증, 두통, 피로감 등이 증가하며, 혈류 부족으로 인하여 빈혈, 어지러움증 등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의 신체 조건이 각각 다르기 때문에 사용자의 체형에 맞는 맞춤형 목침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39547호(2013.12.10. 공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2627호(2005.12.02. 공고)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수면 중 목의 균형이 유지되도록 척추 중 목뼈를 이루는 경추를 바르게 정렬하여 신체의 균형을 유지할 있는 목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목적은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목침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목침은,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면 일측변의 중앙에 하방으로 오목하게 함몰 형성되어 사용자의 경추를 지지하는 경추받침부; 상기 경추받침부의 후방에 상기 경추받침부보다 낮게 위치하도록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서 소정 깊이만큼 함몰 형성되어 사용자의 후두부를 삽입 지지하는 머리받침부; 및 상기 몸체부의 양측에 상기 경추받침부 및 상기 머리받침부보다 높게 형성되어 사용자의 머리 좌우 측면을 지지하는 머리측면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추받침부는 경추에 대하여 상향으로 라운드지게 곡면 처리되어 경추를 C자 형태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머리받침부의 함몰부위 최저 높이(H1), 상기 경추받침부의 상향곡면 최고 높이(H2), 상기 경추받침부의 상향곡면 최저 높이(H3)를 1 : 1.4~2.4 : 1.1~1.5 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침은,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상기 몸체부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제 1 높이조절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 1 높이조절부는, 상기 몸체부의 하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제 1 너트홀; 및 상기 제 1 너트홀들에 각각 체결되어 회전에 따라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다수의 제 1 높이조절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침은, 상기 경추받침부가 상기 몸체부의 상면 일측변의 중앙에 형성된 경추받침장착부에 삽입되어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고,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상기 경추받침부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제 2 높이조절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 2 높이조절부는, 상기 경추받침부의 외측면 및 상기 경추받침장착부의 내측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승강가이드돌기; 상기 경추받침부의 외측면 및 상기 경추받침장착부의 내측면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승강가이드돌기가 삽입되는 승강가이드홈; 상기 경추받침장착부의 저면에 형성되는 제 2 너트홀; 및 하부에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 2 너트홀에 체결되고 상부에 회전축부가 형성되어 상기 경추받침부에 형성된 축홀에 삽입되며, 측부에 회전판이 형성되는 제 2 높이조절볼트;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판을 회전시키면 상기 수나사부가 상기 제 2 너트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하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경추받침부가 상기 승강가이드돌기와 상기 승강가이드홈에 의해 승강 가이드 되면서 상기 경추받침부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목침은, 장변과 단변으로 이루어진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면 일측 장변의 중앙에 형성된 경추받침장착부에 삽입되어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면이 하방으로 오목하게 함몰 형성되어 사용자의 경추를 지지하는 경추받침부; 상기 경추받침부의 후방에 상기 경추받침부보다 낮게 위치하도록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서 소정 깊이만큼 반원형상으로 함몰 형성되어 사용자의 후두부를 삽입 지지하는 머리받침부; 상기 몸체부의 양측에 상기 경추받침부 및 상기 머리받침부보다 높게 형성되어 사용자의 머리 좌우 측면을 지지하는 머리측면지지부;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상기 몸체부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상기 몸체부의 하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제 1 너트홀과, 상기 제 1 너트홀들에 각각 체결되어 회전에 따라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다수의 제 1 높이조절볼트를 구비하는 제 1 높이조절부; 및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상기 경추받침부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경추받침장착부의 저면에 형성되는 제 2 너트홀과, 하부에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 2 너트홀에 체결되고 상부에 회전축부가 형성되어 상기 경추받침부에 형성된 축홀에 삽입되며, 측부에 회전판이 형성되어 회전판이 회전함에 따라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제 2 높이조절볼트를 구비하는 제 2 높이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침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경추받침과 머리받침을 통해 목의 균형이 유지되도록 경추를 바르게 정렬하여 신체의 균형을 바로 잡을 수 있다. 따라서, 경추가 바르게 정렬되어 추골 동맥이 펴지므로 뇌 혈류가 잘 이루어져 불면증, 두통, 피로감 등이 해소되고, 혈액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빈혈, 어지러움증이 사라지며, 낮 동안 흐트러졌던 신체의 균형이 목침을 베고 있는 동안 재 정렬되므로 스트레스 등으로 인한 질병 치료에 큰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머리의 혈액 흐름을 원활하게 하므로 뇌 혈류 증가로 인하여 피로 회복과 신경계 안정으로 인하여 전신의 말초까지 긴장 완화와 평안을 가져올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수험생과 정신적 피로가 많은 사람이나 육체 노동으로 인한 근육피로 등의 회복이 빨라진다. 특히, 성장기 아이들에게 사용하면 성장에 필요한 호르몬 조절 작용이 잘 되므로 성장을 유도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은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목침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므로 사용자 각각의 체형에 따라 맞춤형으로 제작이 가능하다.
다섯째, 본 발명은 화학 제품이 아닌 천연의 나무로 만들어지므로 인체와의 친화력이 좋고 거부감이 없으며 누구든지 쉽게 사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목침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목침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목침의 정면도.
도 4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목침에 사용자의 머리를 받쳐주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목침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목침의 저면도.
도 8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목침에 사용자의 머리를 받쳐준 상태에서 목침의 높이 조절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목침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목침의 분해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목침에 사용자의 머리를 받쳐준 상태에서 목침의 높이 조절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 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는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목침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목침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목침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목침(10)은 몸체부(100), 경추받침부(200), 머리받침부(300) 및 머리측면지지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침(10)은 편백 나무, 오동 나무, 소나무 등의 향기와 인체와의 친화력이 있는 나무 등을 사용하므로 나무 특유의 자연향으로 안정을 취함으로 숙면에 큰 도움이 된다.
몸체부(100)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되, 바람직하게는 장변과 단변에 의해 이루어진 하면(101), 하면(101)에서 일정 높이에 위치하는 상면(102)을 갖추어 전면(103), 후면(104) 및 양측면(105)이 포함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한, 몸체부(100)의 각 모서리는 라운드 곡면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추받침부(200)는 몸체부(100)의 상면(102) 일측 장변의 중앙에 하방으로 오목하게 함몰 형성되어 사용자의 경추(1, 도 5 참조)를 지지한다.
또한, 경추받침부(200)는 경추(1)에 대하여 상향으로 라운드지게 곡면 처리되어 경추(1)를 C자 형태로 지지함으로써 목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경추받침부(200)의 상면에 순면패드(미도시)를 부착하여 경추(1) 부위에 부드러운 감촉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순면패드를 다수 개 겹쳐 사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경추받침부(20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도 있다.
머리받침부(300)는 경추받침부(200)의 후방에 경추받침부(200)보다 낮게 위치하도록 몸체부(100)의 상면(102)에서 소정 깊이만큼 함몰 형성되어 사용자의 후두부(2)를 삽입 지지한다.
또한, 머리받침부(300)는 함몰부위가 원형으로 형성되되,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후두부(2)가 삽입되어 받쳐지도록 머리받침부(300)의 함몰부위 측면이 라운드지면서 저면(301)이 평평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머리받침부(300)는 일측이 경추받침부(200)와 라운드지게 연결되고 타측이 몸체부(100)의 일측면에 반원 형태로 개구되게 형성될 수 있다.
머리측면지지부(400)는 몸체부(100)의 양측에 경추받침부(200) 및 머리받침부(300)보다 높게 형성되어 사용자의 머리 좌우 측면을 지지하면서 머리 좌우 틀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침(10)은 몸체부(100)의 하면으로부터 머리받침부(300)의 함몰부위 최저 높이(H1), 경추받침부(200)의 상향곡면 최고 높이(H2), 경추받침부(200)의 상향곡면 최저 높이(H3)를 1 : 1.4~2.4 : 1.1~1.5 으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목침은 H1, H2, H3의 높이를 아래 표 1과 같이 제작할 수 있다.
실시예 H1 H2 H3 높이비(H1:H2:H3)
1 22mm 40mm 25mm 1 : 1.81 : 1.13
2 17mm 38mm 25mm 1 : 1.40 : 1.47
3 17mm 37mm 25mm 1 : 2.17 : 1.47
4 15mm 36mm 20mm 1 : 2.40 : 1.33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목침(10)을 실시예1과 같이 제작할 경우, 몸체부(100)의 하면(101)으로부터 머리받침부(300)의 함몰부위 최저 높이(H1)를 22mm, 경추받침부(200)의 상향곡면 최고 높이(H2)를 40mm, 경추받침부(200)의 상향곡면 최저 높이(H3)를 25mm 로 형성할 수 있다. 즉, H1 : H2 : H3의 높이비를 1 : 1.81 : 1.13 으로 설정한다.
또한, 목침(10)을 실시예2와 같이 제작할 경우, 몸체부(100)의 하면(101)으로부터 머리받침부(300)의 함몰부위 최저 높이(H1)를 17mm, 경추받침부(200)의 상향곡면 최고 높이(H2)를 38mm, 경추받침부(200)의 상향곡면 최저 높이(H3)를 25mm 로 형성할 수 있다. 즉, H1 : H2 : H3의 높이비를 1 : 1.40 : 1.47 으로 설정한다.
또한, 목침(10)을 실시예3과 같이 제작할 경우, 몸체부(100)의 하면(101)으로부터 머리받침부(300)의 함몰부위 최저 높이(H1)를 17mm, 경추받침부(200)의 상향곡면 최고 높이(H2)를 37mm, 경추받침부(200)의 상향곡면 최저 높이(H3)를 25mm 로 형성할 수 있다. 즉, H1 : H2 : H3의 높이비를 1 : 2.17 : 1.47 으로 설정한다.
또한, 목침(10)을 실시예4와 같이 제작할 경우, 몸체부(100)의 하면으로부터 머리받침부(300)의 함몰부위 최저 높이(H1)를 15mm, 경추받침부(200)의 상향곡면 최고 높이(H2)를 36mm, 경추받침부(200)의 상향곡면 최저 높이(H3)를 20mm 로 형성할 수 있다. 즉, H1 : H2 : H3의 높이비를 1 : 2.40 : 1.33 으로 설정한다.
이와 같이, 몸체부(100)의 하면(101)으로부터 머리받침부(300)의 함몰부위 최저 높이(H1), 경추받침부(200)의 상향곡면 최고 높이(H2), 경추받침부(200)의 상향곡면 최저 높이(H3)의 비를 1 : 1.4~2.4 : 1.1~1.5 으로 형성하여 목침(10)을 제작하면,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경추받침부(200)와 머리받침부(300)의 높이를 최적화하여 경추(1)에 무리한 압력이 가해지지 않도록 하며, 수면 중 목의 균형이 유지되도록 척추(3) 중 목뼈를 이루는 경추(1)를 바르게 정렬하여 신체의 균형을 바로 잡을 수 있다. 그런데 본 실시예와 달리, H1 : H2 : H3의 높이비를 1 : 1.4~2.4 : 1.1~1.5 으로 설정되지 않게 목침(10)을 제작할 경우에는 머리받침부(300)의 높이에 비해 경추받침부(200)의 높이가 너무 높게 되어 경추(1)에 무리한 압력이 가해지게 되고, 혹은 경추받침부(200)의 높이가 너무 낮게 되어 경추(1)를 제대로 지탱하지 못해 목의 균형을 바르게 유지하지 못하게 됨에 따라 신체의 균형이 틀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와 같이 H1 : H2 : H3의 높이비를 1 : 1.4~2.4 : 1.1~1.5 으로 설정되게 목침(10)을 제작하여 경추받침부(200)와 머리받침부(300)의 높이를 최적화함으로써, 목의 균형이 유지되도록 경추를 바르게 정렬하여 신체의 균형을 바로 잡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목침에 사용자의 머리를 받쳐주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목침(10)은 사용자의 후두부(2)가 머리받침부(300)에 삽입 지지됨과 아울러 경추(1)가 경추받침부(200)에 의해 C자 형태로 지지된다. 이때,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경추받침부(200)와 머리받침부(300)의 높이를 최적화하여 경추(1)에 무리한 압력이 가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수면 중 목의 균형이 유지되도록 척추 중 목뼈를 이루는 경추(1)를 바르게 정렬하여 신체의 균형을 바로 잡을 수 있다.
또한, 몸체부(100)의 양측에 경추받침부(200) 및 머리받침부(300)보다 높게 형성된 머리측면지지부(400)에 의해 사용자의 머리 좌우 측면을 지지하면서 머리 좌우 틀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목침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목침의 저면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목침(20)은 몸체부(100), 경추받침부(200), 머리받침부(300), 머리측면지지부(400) 및 제 1 높이조절부(510)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높이조절부(510)를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한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제 1 실시예와 상이한 구성인 제 1 높이조절부(510)에 대해서만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높이조절부(510)는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목침 몸체부(10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제 1 높이조절부(510)는 제 1 너트홀(511), 제 1 높이조절볼트(513), 지지판(515) 및 스프링(517)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너트홀(511)은 몸체부(100)의 하면(101)에 다수 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 1 너트홀(511)은 몸체부(100)의 하면(101)에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제 1 너트홀(511)은 경추받침부(200)에 대응하는 일측 장변방향과 양측 단변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제 1 높이조절볼트(513)는 제 1 너트홀(511)들에 각각 체결되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다. 이러한 제 1 높이조절볼트(513)는 드라이버(미도시)를 이용하여 회전시킬 수 있다.
지지판(515)은 몸체부(100)의 하면(101)에 다수 배치되고, 제 1 높이조절볼트(513)가 관통하도록 관통공(516)이 제 1 너트홀(511)과 각각 대응되게 형성된다. 이때, 지지판(515)의 관통공(516) 직경을 볼트헤드부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함으로써 제 1 높이조절볼트(513)로부터 지지판(515)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스프링(517)은 제 1 높이조절볼트(513)가 관통한 상태에서 몸체부(100)의 하면(101)과 지지판(515)의 사이에 개재됨으로써, 제 1 높이조절볼트(513)의 높이 조절시 지지판(515)에 탄성을 제공하여 목침(20)의 하부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8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목침에 사용자의 머리를 받쳐준 상태에서 목침의 높이 조절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목침(20)은 드라이버로 제 1 높이조절볼트(513)를 회전시키면 제 1 높이조절볼트(513)가 제 1 너트홀(511)에 대하여 나사 회전하면서 상대적으로 상하로 이동함에 따라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목침 몸체부(10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목침(20)의 머리받침부(300)와 경추받침부(200)를 통해 사용자의 후두부(2)와 경추(1)를 받쳐준 상태에서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목침 몸체부(100)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므로 사용자 각각의 체형에 따라 맞춤형으로 목침(20)을 제작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목침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목침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목침(30)은 몸체부(100), 경추받침부(200), 머리받침부(300), 머리측면지지부(400), 제 1 높이조절부(510) 및 제 2 높이조절부(520)를 포함하되, 상기 경추받침부(200) 및 상기 제 2 높이조절부(520)를 제외하고는 도 6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한 상기 제 2 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제 2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제 2 실시예와 상이한 구성인 경추받침부(200) 및 제 2 높이조절부(520)에 대해서만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경추받침부(200)는 몸체부(100)의 상면(102) 일측 장변의 중앙에 형성된 경추받침장착부(110)에 삽입되어 승강 가능하게 장착된다. 경추받침부(200)는 양쪽 외측면에 후술할 승강가이드돌기(521)가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경추받침장착부(110)의 양쪽 내측면에 형성되는 후술할 승강가이드홈(522)에 삽입됨으로써, 후술할 제 2 높이조절볼트(524)의 회전 시 경추받침부(200)는 회전하지 않고 상하로 승강 이동하게 된다.
경추받침부(200)는 상면이 하방으로 오목하게 함몰 형성되어 사용자의 경추(1)를 지지한다. 또한, 경추받침부(200)는 하부 양측면에 절개부(201)가 형성되어 제 2 높이조절볼트(524)의 회전판(527)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제 2 높이조절부(520)는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경추받침부(20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제 2 높이조절부(520)는 승강가이드돌기(521), 승강가이드홈(522), 제 2 너트홀(523) 및 제2 높이조절볼트(524)를 포함할 수 있다.
승강가이드돌기(521)는 경추받침부(100)의 외측면 및 경추받침장착부(110)의 내측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고, 승강가이드홈(522)은 경추받침부(100)의 외측면 및 경추받침장착부(110)의 내측면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어 승강가이드돌기(521)가 삽입된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가이드돌기(521)를 경추받침부(200)의 양쪽 외측면에 상하로 길게 형성하고, 승강가이드홈(522)을 경추받침장착부(110)의 양쪽 내측면에 상하로 길게 형성하여 승강가이드돌기(521)가 삽입되게 구성할 수 있다. 혹은,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승강가이드돌기(521)를 경추받침부(200)의 양쪽 외측면에 상하로 길게 형성하고, 승강가이드홈(522)을 경추받침장착부(110)의 양쪽 내측면에 상하로 길게 형성하여 승강가이드돌기(521)가 삽입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제 2 너트홀(523)은 경추받침장착부(110)의 저면에 형성된다.
제 2 높이조절볼트(524)는 하부에 수나사부(525)가 형성되어 제 2 너트홀(523)에 체결되고 상부에 회전축부(526)가 형성되어 경추받침부(200)에 형성된 축홀(미도시)에 삽입되며, 측부에 회전판(527)이 형성되어 손으로 회전판을 회전시킴에 따라 제 2 높이조절볼트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목침에 사용자의 머리를 받쳐준 상태에서 목침의 높이 조절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목침(30)은 사용자가 손으로 제 2 높이조절볼트(524)의 회전판(527)을 회전시키면 수나사부(525)가 제 2 너트홀(523)에 대하여 회전하면서 상대적으로 상하로 이동함에 따라 제 2 높이조절볼트(524)의 상부에 결합된 경추받침부(200)가 승강가이드돌기(521)와 승강가이드홈(522)에 의해 상하로 승강 이동하면서 회전이 저지됨에 따라 경추받침부(20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목침(30)의 머리받침부(300)와 경추받침부(200)를 통해 사용자의 후두부(2)와 경추(1)를 함께 받쳐준 상태에서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목침 경추받침부(200)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므로 사용자 각각의 체형에 따라 맞춤형으로 목침(30)을 제작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목침에 따르면, 경추받침부와 머리받침부를 통해 목의 균형이 유지되도록 경추(1)를 바르게 정렬하여 신체의 균형을 바로 잡을 수 있다. 따라서, 경추(1)가 바르게 정렬되어 추골 동맥이 펴지므로 뇌 혈류가 잘 이루어져 불면증, 두통, 피로감 등이 해소되고, 혈액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빈혈, 어지러움증이 사라지며, 낮 동안 흐트러졌던 신체의 균형이 목침을 베고 있는 동안 재 정렬되므로 스트레스 등으로 인한 질병 치료에 큰 효과가 있다.
또한, 머리의 혈액 흐름을 원활하게 하므로 뇌 혈류 증가로 인하여 피로 회복과 신경계 안정으로 인하여 전신의 말초까지 긴장 완화와 평안을 가져올 수 있다.
또한, 수험생과 정신적 피로가 많은 사람이나 육체 노동으로 인한 근육피로 등의 회복이 빨라진다. 특히, 성장기 아이들에게 사용하면 성장에 필요한 호르몬 조절 작용이 잘 되므로 성장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목침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므로 사용자 각각의 체형에 따라 맞춤형으로 제작이 가능하다.
또한, 화학 제품이 아닌 천연의 나무로 만들어지므로 인체와의 친화력이 좋고 거부감이 없으며 누구든지 쉽게 사용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초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20, 30 : 목침 100 : 몸체부
110 : 경추받침장착부 200 : 경추받침부
300 : 머리받침부 400 : 머리측면지지부
510 : 제 1 높이조절부 511 : 제 1 너트홀
513 : 제 1 높이조절볼트 515 : 지지판
517 : 스프링 520 : 제 2 높이조절부
521 : 승강가이드돌기 522 : 승강가이드홈
523 : 제 2 너트홀 524 : 제 2 높이조절볼트
525 : 수나사부 526 : 회전축부
527 : 회전판

Claims (6)

  1.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면 일측변의 중앙에 하방으로 오목하게 함몰 형성되어 사용자의 경추를 지지하는 경추받침부;
    상기 경추받침부의 후방에 상기 경추받침부보다 낮게 위치하도록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서 소정 깊이만큼 함몰 형성되어 사용자의 후두부를 삽입 지지하는 머리받침부;
    상기 몸체부의 양측에 상기 경추받침부 및 상기 머리받침부보다 높게 형성되어 사용자의 머리 좌우 측면을 지지하는 머리측면지지부;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상기 몸체부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제 1 높이조절부; 및
    상기 경추받침부가 상기 몸체부의 상면 일측변의 중앙에 형성된 경추받침장착부에 삽입되어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고,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상기 경추받침부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제 2 높이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높이조절부는,
    상기 몸체부의 하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제 1 너트홀; 및 상기 제 1 너트홀들에 각각 체결되어 회전에 따라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다수의 제 1 높이조절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높이조절부는,
    상기 경추받침부의 외측면 및 상기 경추받침장착부의 내측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승강가이드돌기; 상기 경추받침부의 외측면 및 상기 경추받침장착부의 내측면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승강가이드돌기가 삽입되는 승강가이드홈; 상기 경추받침장착부의 저면에 형성되는 제 2 너트홀; 및 하부에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 2 너트홀에 체결되고 상부에 회전축부가 형성되어 상기 경추받침부에 형성된 축홀에 삽입되며, 측부에 회전판이 형성되는 제 2 높이조절볼트;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판을 회전시키면 상기 수나사부가 상기 제 2 너트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하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경추받침부가 상기 승강가이드돌기와 상기 승강가이드홈에 의해 승강 가이드 되면서 상기 경추받침부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추받침부는 경추에 대하여 상향으로 라운드지게 곡면 처리되어 경추를 C자 형태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침.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머리받침부의 함몰부위 최저 높이(H1), 상기 경추받침부의 상향곡면 최고 높이(H2), 상기 경추받침부의 상향곡면 최저 높이(H3)를 1 : 1.4~2.4 : 1.1~1.5 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침.
  4. 삭제
  5. 삭제
  6. 장변과 단변으로 이루어진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면 일측 장변의 중앙에 형성된 경추받침장착부에 삽입되어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면이 하방으로 오목하게 함몰 형성되어 사용자의 경추를 지지하는 경추받침부;
    상기 경추받침부의 후방에 상기 경추받침부보다 낮게 위치하도록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서 소정 깊이만큼 반원형상으로 함몰 형성되어 사용자의 후두부를 삽입 지지하는 머리받침부;
    상기 몸체부의 양측에 상기 경추받침부 및 상기 머리받침부보다 높게 형성되어 사용자의 머리 좌우 측면을 지지하는 머리측면지지부;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상기 몸체부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상기 몸체부의 하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제 1 너트홀과, 상기 제 1 너트홀들에 각각 체결되어 회전에 따라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다수의 제 1 높이조절볼트를 구비하는 제 1 높이조절부; 및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상기 경추받침부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경추받침장착부의 저면에 형성되는 제 2 너트홀과, 하부에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 2 너트홀에 체결되고 상부에 회전축부가 형성되어 상기 경추받침부에 형성된 축홀에 삽입되며, 측부에 회전판이 형성되어 회전판이 회전함에 따라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제 2 높이조절볼트를 구비하는 제 2 높이조절부;를 포함하는 목침.
KR1020160130595A 2016-10-10 2016-10-10 목침 KR1019030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0595A KR101903097B1 (ko) 2016-10-10 2016-10-10 목침
PCT/KR2017/011111 WO2018070747A1 (ko) 2016-10-10 2017-10-10 목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0595A KR101903097B1 (ko) 2016-10-10 2016-10-10 목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9369A KR20180039369A (ko) 2018-04-18
KR101903097B1 true KR101903097B1 (ko) 2018-10-01

Family

ID=61905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0595A KR101903097B1 (ko) 2016-10-10 2016-10-10 목침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03097B1 (ko)
WO (1) WO20180707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71371A (zh) * 2018-11-21 2019-01-11 湖南康宝源科技实业有限公司 一种远红外负离子抗菌功能保健颈椎枕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936Y1 (ko) * 2009-10-16 2010-06-08 황종범 부위별 쿠션 높이 조절이 가능한 베개
KR101575894B1 (ko) * 2014-07-24 2015-12-08 노근호 베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6563A (ja) * 1994-11-01 1996-05-21 Koji Mizukami 高さが調節できる枕
KR200441231Y1 (ko) * 2007-01-23 2008-07-31 신혜리 기능성 베개
KR20080098247A (ko) * 2007-05-04 2008-11-07 이영수 디스크 치료용 목침
KR20150007629A (ko) * 2013-07-12 2015-01-21 구남서 기능성 최면 베개
KR101641203B1 (ko) * 2015-04-03 2016-07-20 주식회사 센텀소프트 지압용 베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936Y1 (ko) * 2009-10-16 2010-06-08 황종범 부위별 쿠션 높이 조절이 가능한 베개
KR101575894B1 (ko) * 2014-07-24 2015-12-08 노근호 베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9369A (ko) 2018-04-18
WO2018070747A1 (ko) 2018-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57735B1 (en) Therapeutic sleeping pillow
US9095231B2 (en) Pillow
US20130205504A1 (en) Surgical head support
US11497670B2 (en) Surgical mask positioning system
CN109259914A (zh) 一种脊柱外科用矫正装置
KR102364405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경추베개
KR20180068037A (ko) 경추 교정 베개
KR101903097B1 (ko) 목침
KR20170133002A (ko) 안마 베개
US20220167748A1 (en) Chair having open shoulder backrest
KR101909046B1 (ko) 베개
KR101784975B1 (ko) 서로 다른 사이즈의 체형에 사용될 수 있는 듀얼 베개
KR101930643B1 (ko) 베개
KR200475142Y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베개
KR20170074496A (ko) 기능성 베개
US11484123B2 (en) Dynamic postural device
KR20200137197A (ko) 지지력이 상승된 경추 보호용 베개
KR101895003B1 (ko) 기능성 베개
KR102467584B1 (ko) 스트레칭용 베개
KR101964154B1 (ko) 기능성 베개
KR102547827B1 (ko) 베개
KR102386785B1 (ko) 온열 효과를 제공하는 경추 마사지 장치
CN209996650U (zh) 多向调节玻切体位桌
KR20190084378A (ko) 경추지지용 가변형 베개 받침틀
KR20220016534A (ko) 메모리폼 베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