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7584B1 - 스트레칭용 베개 - Google Patents

스트레칭용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7584B1
KR102467584B1 KR1020210076914A KR20210076914A KR102467584B1 KR 102467584 B1 KR102467584 B1 KR 102467584B1 KR 1020210076914 A KR1020210076914 A KR 1020210076914A KR 20210076914 A KR20210076914 A KR 20210076914A KR 102467584 B1 KR102467584 B1 KR 1024675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face portion
spine
pillow
stretching
vertic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6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석관
Original Assignee
(주)드로브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드로브로스 filed Critical (주)드로브로스
Priority to KR1020210076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75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7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75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81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83Surface of interface
    • A61H2201/169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surface, e.g. material, relief, texture or indicia
    • A61H2201/1695Enhanced pressure effect, e.g. substantially sharp projections, needles or pyram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4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nec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칭용 베개의 하면부는, 상면부의 경추 또는 척추가 놓이는 상하 방향으로 상기 하면부가 롤링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중심이 볼록한 곡면을 가져, 상면부의 상단에 무게가 가해지면, 상면부의 하단이 위쪽으로 들리게 되고, 상면부의 하단에 무게가 가해지면, 상면부의 상단이 위쪽으로 들리게 되며, 상면부의 경추 또는 척추가 놓이는 방향의 직각 방향인 좌우 방향으로 하면부가 롤링할 수 있도록 좌우 방향으로 중심이 볼록한 곡면을 가져, 상면부의 좌측 또는 우측에 무게가 가해지면, 상면부의 좌측 또는 우측 중 무게가 가해지는 반대편이 위쪽으로 들리게 되며, 상면부는, 사각 형상 모서리에 방사 방향으로 형성된 4개의 지압돌기부 및 상면부의 경추 또는 척추가 놓이는 상하 방향으로 좌우측 지압돌기부 쌍에 의해 상기 지압돌기부보다 낮은 골 형상으로 형성된 경추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트레칭용 베개{Stretching pillow}
본 발명은 베개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뒷목이나 허리를 받친 상태에서 롤링을 통해 스트레칭을 할 수 있는 스트레칭용 베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베개는 잠을 자거나 휴식을 위하여 누울 때 머리에 괴거나, 목에 괴어 인체의 머리 또는 목을 받쳐주는 침구류 이다.
통상, 베개는 일정한 규격의 높이로 제작되어 유통되는데,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목이나 머리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시켜주거나, 고개를 돌릴 때 쿠션 력을 유지시키는 용도로만 제작되고 사용되고 있을 뿐이다.
한편, 목침이나 돌 베개 등의 딱딱한 베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경추(頸椎)부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지만 두부(頭部) 및 경추(頸椎)부 혹은 뒷덜미 부분의 근육과 골격에 무리가 가고, 혈액순환이 방해받기 쉬우며 근육이나 신경의 손상을 초래할 수도 있다. 따라서 베개의 높이가 너무 낮은 상태로 되거나 견고한 경도를 갖는 상태로 베개가 되어 사용자의 경추부에 대한 정상적인 만곡을 유지하지 못할 뿐 아니라 뇌의 순환을 방해하여 숙면을 취하지 못하게 한다.
컴퓨터 사용 등 평소 고개를 많이 숙이고 일을 하는 사람은 등이 굽고 뒷덜미(고개)는 앞으로 쭉빠져 있는, 이른바 거북목 증후군이 있는 사람들은 높은 베개를 선호하지만, 너무 높은 베개를 사용하면 긴장된 근육이 혈액의 흐름이 방해할 수 있고, 경추 뼈의 C자형 곡선이 반대로 꺾이는 등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
또는 깃털이나 솜으로 충진된 베개를 사용하는 경우, 안락한 느낌을 받을 수 있지만 지나치게 푹신하여 두부와 목이 파묻혀 정상적인 경추부의 곡선을 유지할 수 없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베개를 높고 넓게 만들어 사용하지만 이 경우에도 베개의 중심이 두부의 무게 중심을 벗어나 베개가 두부에서 빠져 나가는 경향이 있으므로 경추부의 비정상적인 만곡을 초래한다.
자세교정을 위한 베개도 시판되고 있는데 목의 정상 만곡을 유지하기 위해 고안되었으나 사람의 두부 내지 목의 뒷덜미 전체적인 형상에 일치하는 데에 한계가 있고 착용감이 만족스럽지 못하는 문제점이 부각 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단순히 자세를 유지하기 위한 용도가 아닌 사용자의 척추를 바른 자세로 스트레칭 하여 지압을 가할 수 있는 베개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발명은 척추를 스트레칭 하고 지압을 가할 수 있는 베개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른 자세로 목이나 척추를 상하 좌우로 굴리게 하여 근육 이완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베개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트레칭용 베개는, 사용자의 경추 또는 척추 받침 시 경추나 척추를 받치는 부위를 수용하는 사각 형상의 상면부; 상기 상면부에 대응하는 사각 형상의 하면부; 및 상기 상면부와 하면부를 좌측 및 우측에서 연결하는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면부는, 상기 상면부의 경추 또는 척추가 놓이는 상하 방향으로 상기 하면부가 롤링할 수 있도록 상기 상하 방향으로 중심이 볼록한 곡면을 가져, 상기 상면부의 상단에 무게가 가해지면, 상기 상면부의 하단이 위쪽으로 들리게 되고, 상기 상면부의 하단에 무게가 가해지면, 상기 상면부의 상단이 위쪽으로 들리게 되며, 상기 상면부의 경추 또는 척추가 놓이는 방향의 직각 방향인 좌우 방향으로 상기 하면부가 롤링할 수 있도록 상기 좌우 방향으로 중심이 볼록한 곡면을 가져, 상기 상면부의 좌측 또는 우측에 무게가 가해지면, 상기 상면부의 좌측 또는 우측 중 무게가 가해지는 반대편이 위쪽으로 들리게 되며, 상기 상면부는, 상기 사각 형상 모서리에 방사 방향으로 형성된 4개의 지압돌기부; 및 상기 상면부의 상기 경추 또는 척추가 놓이는 상하 방향으로 좌우측 지압돌기부 쌍에 의해 상기 지압돌기부보다 낮은 골 형상으로 형성된 경추홈;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면부는, 상기 상면부의 좌우 끝단에 배치되고, 상기 측면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어 형성된 지지 가드부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 가드부는, 상기 상면부의 좌우 끝단에서 상기 지압돌기부 사이에 상하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중심부는 상기 상면부의 중앙을 향해 돌출되고, 상하 끝단은 상기 중심부에서 멀어질수록 좁아지며, 상기 상면부의 중앙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측면부로 이어지는 영역까지 더 높이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면부는, 상기 지압돌기부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에서,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다수의 통기 홈; 및 상기 각각의 통기 홈에 상기 통기 홈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상기 통기 홈보다 얇게 함몰되어 형성된 통기 보조 홈;이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통기 보조 홈은, 상하 방향 끝단으로 갈수록 깊이가 얇아지며, 상하 방향 끝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진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트레칭용 베개는 상기 통기 홈들 중 적어도 일부의 통기 홈에서 상기 하면부까지 길게 이어진 골이 형성된 제1 통기 골; 및 상기 지지가드부의 상기 상면부 중앙 영역에 위치한 가장 자리 영역을 따라 길게 이어진 골이 형성된 제2 통기 골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트레칭용 베개는, 내측 중앙에 상기 지압돌기부를 향해 X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 경도를 갖는 중심 코어부; 상기 중심 코어부를 둘러싸고 상기 제1 경도보다 낮은 제2 경도를 갖는, 중간부; 및 상기 중간부를 둘러싸고 상기 제2 경도보다 낮은 제3 경도를 가지며, 상기 상면부, 상기 하면부 및 상기 측면부까지 형성되는 외층부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칭 베개는, 경추, 요추 등 척추를 바른 자세로 스트레칭 하고 지압을 가하며, 이에 따라 근육 이완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목이나 척추를 중심에 두고, 상하, 좌우 사선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지렛대의 원리로 반대편 방향이 들려 올라 다양한 방향으로 지압을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칭 베개를 다양한 방향에서 본 모습을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칭 베개를 다양한 방향에서 본 모습을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칭 베개(100)는 상면부(110), 하면부(120) 및 측면부(130)로 크게 구분될 수 있다.
상면부(110)는 사용자의 경추 또는 척추 받침 시 상기 경추가 척추를 받치는 부위를 수용하는 사각 형상의 면이다. 도 1에서, 스트레칭 베개(100)의 상면 부분 전체가 상면부(110)에 해당될 수 있다.
또한, 하면부(120)는 상기 상면부에 대응하는 사각 형상의 바닥면이며, 측면부(130)는 상면부(110)와 하면부(120)를 좌측 및 우측에서 연결하는 면이다.
즉, 스트레칭 베개(100)는 상면부(110)와 하면부(120)가 위쪽 및 아래쪽에서는 직접 연결되고, 좌측 및 우측에서는 측면부(130)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하면부(120)는 상면부(110)의 경추 또는 척추가 놓이는 상하 방향으로 상기 하면부가 롤링할 수 있도록 상기 상하 방향으로 중심이 볼록한 곡면을 갖는다. 이에 따라 하면부(120)는, 상면부(110)의 상단에 무게가 가해지면, 상면부의 하단이 위쪽으로 들리게 되고, 상면부(110)의 하단에 무게가 가해지면, 상면부의 상단이 위쪽으로 들리게 된다.
또한, 하면부(120)는, 상면부(110)의 경추 또는 척추가 놓이는 방향의 직각 방향인 좌우 방향으로 상기 하면부가 롤링할 수 있도록 상기 좌우 방향으로 중심이 볼록한 곡면을 갖는다. 이에 따라 하면부(120)는 상면부(110)의 좌측 또는 우측에 무게가 가해지면, 상기 상면부의 좌측 또는 우측 중 무게가 가해지는 반대편이 위쪽으로 들리게 된다.
그리고, 상면부(110)는, 사각 형상 모서리에 방사 방향으로 형성된 4개의 지압돌기부(111_a, 111_b, 111_c, 111_d) 및 상기 상면부의 상기 경추 또는 척추가 놓이는 상하 방향으로 좌우측 지압돌기부 쌍에 의해 상기 지압돌기부보다 낮은 골 형상으로 형성된 경추홈(113)을 포함한다.
4개의 지압돌기부(111_a, 111_b, 111_c, 111_d)는 각각 상면부(110)의 우측 상단, 좌측 상단, 우측 하단, 좌측 하단에 형성되고, 일 끝단은 상면부(110)의 모서리 쪽에 형성되고 다른 끝단은 상면부(110)의 중심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방사형태로 배치된다.
지압돌기부(111_a, 111_b, 111_c, 111_d) 각각은 중앙 부근이 높고, 주변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형상을 갖는다. 지압돌기부(111_a, 111_b, 111_c, 111_d) 각각은 상면부(110)의 곡면 형태에 따라 상대적인 높이를 갖기 때문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 부근이 상대적으로 높지만, 상면부(110)의 곡면이 하면부(120)와 맞닿도록 급격히 아래로 내려가는 형상을 갖기 때문에 베개(100)의 측면에서 봤을 때는 중앙부가 상면부(110)의 중심 쪽에 있는 끝단보다 더 낮게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경추홈(113)은 4개의 지압돌기부(111_a, 111_b, 111_c, 111_d)에 의해 형성되는 세로 방향의 홈이다. 이 경추홈(113)을 통해 척추, 즉, 경추, 흉추, 요추, 미추가 바른 자세로 놓이게 된다.
지렛대 원리를 이용할 수 있는 둥근 바닥의 하면부(120)의 롤링을 통해, 이러한 지압돌기부(111_a, 111_b, 111_c, 111_d)가 척추와 근육에 지압을 효과적으로 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효과는 목 뿐만 아니라, 허리와 골반에도 동일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면부(110)는 상기 상면부의 좌우 끝단에 배치되고, 상기 측면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어 형성된 지지 가드부(112_a, 112_b)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 가드부(112_a, 112_b)는, 상면부(110)의 좌우 끝단에서 상기 지압돌기부(111_a 내지 111_d) 사이에 상하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우측의 제1 지지 가드부(112_a)는 우측 상단 지압돌기부(111_a)와 우측 하단 지압돌기부(111_c) 사이에서 우측 측면부(130)에서 위쪽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좌측의 제2 지지 가드부(112_b)는 좌측 상단 지압돌기부(111_b)와 좌측 하단 지압돌기부(111_d) 사이에서 좌측 측면부(130)에서 위쪽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지지 가드부(112_a, 112_b)는, 그 중심부는 상기 상면부의 중앙을 향해 돌출되고, 상하 끝단은 상기 중심부에서 멀어질수록 좁아지며, 상기 상면부의 중앙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측면부로 이어지는 영역까지 더 높이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 가드부(112_a, 112_b)는 사용자가 좌우 방향으로 너무 큰 힘으로 롤링을 하더라도, 사용자의 목이나 허리가 스트레칭용 베개(100)를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하고, 스트레칭용 베개(100)가 뒤집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제공하여, 안정적인 사용감을 제공한다.
한편, 도 1 내지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상면부(110)에는, 상기 지압돌기부(111_a 내지 111_d)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에서,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다수의 통기 홈(114) 및 상기 각각의 통기 홈(114)에 상기 통기 홈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상기 통기 홈보다 얇게 함몰되어 형성된 통기 보조 홈(115)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통기 보조 홈(115)은, 상하 방향 끝단으로 갈수록 깊이가 얇아지며, 상하 방향 끝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갖는다.
또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스트레칭용 베개(110)는 통기 홈들(114) 중 적어도 일부의 통기 홈(114)에서 하면부까지 길게 이어진 골이 형성된 제1 통기 골(116) 및 상기 지지가드부(112_a, 112_b)의 상면부(110) 중앙 영역에 위치한 가장 자리 영역을 따라 길게 이어진 골이 형성된 제2 통기 골(117)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통기 홈(114), 보조 통기 홈(115), 제1 통기 골(116) 및 제2 통기 골(117)을 통해 사용자가 목이나 허리를 스트레칭용 베개(100) 위에 밀착시켜 받친 상태에서 오랜 시간 사용하더라도, 공기의 순환을 방해하지 않아, 사용자의 피부에 공기가 계속 제공될 수 있는 효과가 있어, 사용시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 과가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칭용 베개(100)는, 내측 중앙에 상기 지압돌기부를 향해 X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 경도를 갖는 중심 코어부, 상기 중심 코어부를 둘러싸고 상기 제1 경도보다 낮은 제2 경도를 갖는, 중간부, 및 상기 중간부를 둘러싸고 상기 제2 경도보다 낮은 제3 경도를 가지며, 상기 상면부, 상기 하면부 및 상기 측면부까지 형성되는 외층부로 구성되어, 오랫동안 사용해도 형태가 변형되지 않고 인체공학적인 디자인을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칭 베개는,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되어 척추 기립근과 뭉친 근육을 적절히 자극해 줄 수 있으며, 경추, 요추 등 척추를 바른 자세로 스트레칭 하고 지압을 가하며, 이에 따라 근육 이완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목이나 척추를 중심에 두고, 상하, 좌우 사선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지렛대의 원리로 반대편 방향이 들려 올라 다양한 방향으로 지압을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스트레칭용 베개 110: 상면부
120; 하면부 130: 측면부
111_a, 111_b, 111_c, 111_d: 지압돌기부
112_a, 112_b : 지지가드부 113: 경추홈
114: 통기 홈 115: 보조 통기 홈
116; 제1 통기 골 117: 제2 통기 골

Claims (7)

  1. 사용자의 경추 또는 척추 받침 시 경추나 척추를 받치는 부위를 수용하는 사각 형상의 상면부;
    상기 상면부에 대응하는 사각 형상의 하면부; 및
    상기 상면부와 하면부를 좌측 및 우측에서 연결하는 측면부;
    를 포함하고,
    상기 하면부는, 상기 상면부의 경추 또는 척추가 놓이는 상하 방향으로 상기 하면부가 롤링할 수 있도록 상기 상하 방향으로 중심이 볼록한 곡면을 가져, 상기 상면부의 상단에 무게가 가해지면, 상기 상면부의 하단이 위쪽으로 들리게 되고, 상기 상면부의 하단에 무게가 가해지면, 상기 상면부의 상단이 위쪽으로 들리게 되며, 상기 상면부의 경추 또는 척추가 놓이는 방향의 직각 방향인 좌우 방향으로 상기 하면부가 롤링할 수 있도록 상기 좌우 방향으로 중심이 볼록한 곡면을 가져, 상기 상면부의 좌측 또는 우측에 무게가 가해지면, 상기 상면부의 좌측 또는 우측 중 무게가 가해지는 반대편이 위쪽으로 들리게 되며,
    상기 상면부는,
    상기 사각 형상 모서리에 방사 방향으로 형성된 4개의 지압돌기부; 및
    상기 상면부의 상기 경추 또는 척추가 놓이는 상하 방향으로 좌우측 지압돌기부 쌍에 의해 상기 지압돌기부보다 낮은 골 형상으로 형성된 경추홈;
    을 포함하고,
    상기 상면부는,
    상기 상면부의 좌우 끝단에 배치되고, 상기 측면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어 형성된 지지 가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 가드부는,
    상기 상면부의 좌우 끝단에서 상기 지압돌기부 사이에 상하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중심부는 상기 상면부의 중앙을 향해 돌출되고, 상하 끝단은 상기 중심부에서 멀어질수록 좁아지며,
    상기 상면부의 중앙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측면부로 이어지는 영역까지 더 높이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칭용 베개.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부는,
    상기 지압돌기부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에서,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다수의 통기 홈; 및
    상기 각각의 통기 홈에 상기 통기 홈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상기 통기 홈보다 얇게 함몰되어 형성된 통기 보조 홈;
    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칭용 베개.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 보조 홈은, 상하 방향 끝단으로 갈수록 깊이가 얇아지며, 상하 방향 끝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칭용 베개.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칭용 베개는
    상기 통기 홈들 중 적어도 일부의 통기 홈에서 상기 하면부까지 길게 이어진 골이 형성된 제1 통기 골; 및
    상기 지지가드부의 상기 상면부 중앙 영역에 위치한 가장 자리 영역을 따라 길게 이어진 골이 형성된 제2 통기 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칭용 베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칭용 베개는,
    내측 중앙에 상기 지압돌기부를 향해 X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 경도를 갖는 중심 코어부;
    상기 중심 코어부를 둘러싸고 상기 제1 경도보다 낮은 제2 경도를 갖는, 중간부; 및
    상기 중간부를 둘러싸고 상기 제2 경도보다 낮은 제3 경도를 가지며, 상기 상면부, 상기 하면부 및 상기 측면부까지 형성되는 외층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칭용 베개.
KR1020210076914A 2021-06-14 2021-06-14 스트레칭용 베개 KR1024675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6914A KR102467584B1 (ko) 2021-06-14 2021-06-14 스트레칭용 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6914A KR102467584B1 (ko) 2021-06-14 2021-06-14 스트레칭용 베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7584B1 true KR102467584B1 (ko) 2022-11-16

Family

ID=84235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6914A KR102467584B1 (ko) 2021-06-14 2021-06-14 스트레칭용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758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9680B1 (ko) * 2014-09-02 2015-10-13 이상옥 지압용 베개
KR101904119B1 (ko) * 2018-03-21 2018-10-04 강준한 목 받침 기능성 경추 이완장치
KR200489782Y1 (ko) * 2018-08-16 2019-08-07 (주)드로브로스 3중 구조 베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9680B1 (ko) * 2014-09-02 2015-10-13 이상옥 지압용 베개
KR101904119B1 (ko) * 2018-03-21 2018-10-04 강준한 목 받침 기능성 경추 이완장치
KR200489782Y1 (ko) * 2018-08-16 2019-08-07 (주)드로브로스 3중 구조 베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27267A (en) Therapeutic sleeping pillow
US8161588B1 (en) Anti-aging pillow
US11596247B2 (en) Pillow for healthy ergonomic positioning of the neck and spine
US20130047339A1 (en) Orthopedic pillow for sound sleep
KR101690957B1 (ko) C자형 경추 유지를 통한 일자목 및 거북목 교정에 도움이 되는 목 교정베개
KR200487972Y1 (ko) 거북목 및 라운드 솔더 교정용 흉추 베개
US20140075677A1 (en) Neck support pillow
KR101966297B1 (ko) 라운드형 베개
KR200469632Y1 (ko) 수면자세 교정용 베개
KR101635472B1 (ko) 기능성 베개
KR101930643B1 (ko) 베개
KR20150049415A (ko) 기능성 날개 베개
KR102467584B1 (ko) 스트레칭용 베개
JP2005046553A (ja) 健康枕
KR20140130885A (ko) 경추베개
KR102475466B1 (ko) 교정용 경추베개
KR102563803B1 (ko) 베개
KR200469631Y1 (ko) 안면 주름방지용 베개
KR20170074496A (ko) 기능성 베개
JPH0723840A (ja)
CN210228430U (zh) 一种脊椎曲度牵引器
KR102630894B1 (ko) 2중 구조 베개
KR20180029328A (ko) 매트리스
KR102503206B1 (ko) 베개
KR200369166Y1 (ko) 기능성 인체공학적 베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