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3051B1 - Eleva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Elevat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3051B1
KR101903051B1 KR1020160182428A KR20160182428A KR101903051B1 KR 101903051 B1 KR101903051 B1 KR 101903051B1 KR 1020160182428 A KR1020160182428 A KR 1020160182428A KR 20160182428 A KR20160182428 A KR 20160182428A KR 101903051 B1 KR101903051 B1 KR 1019030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link
roller
elevating
horizonta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24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77763A (en
Inventor
김응욱
김인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스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스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스온
Priority to KR1020160182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3051B1/en
Publication of KR20180077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776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3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305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2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spended from ropes, cables, or chains or screws and movable along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9Other lift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승강 장치를 개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폴(pole)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승강 가능한 승강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구비되고, 상기 폴의 외면에 접촉한 상태로, 상기 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승강 가능한 승강 어셈블리; 및 상기 승강 어셈블리와 연결되고, 상기 승강 어셈블리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reby starting the elevating apparatus. An elevating device capable of elevating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a p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housing; A lifting and lowering assembly provided in the housing and capable of being lifted and lower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awl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pawl; And a power transmitting member connected to the elevating assembly and transmitting power to the elevating assembly.

Description

승강 장치{ELEVATING APPARATUS}[0001] ELEVATING APPARATUS [0002]

아래의 실시 예는 승강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following embodiment relates to a lifting device.

폐쇄회로 시스템을 가진 영상장치는 최근 급격한 수요의 증대와 함께 다양한 산업에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산업용, 교육용, 의료용, 교통 관제용, 방재용, 방범용, 화상정보 전달용 등 여러 분야에서 주요 기술로 자리 잡고 있는 기술로써, 화상의 송수신을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하여 수신대상 이외는 임의로 수신할 수 없도록 한다.Imaging devices with closed circuit systems have been used in a variety of industries with the recent rapid increase in demand. Especially, it is a technology that has become a major technology in various fields such as industrial use, education use, medical use, traffic control, disaster prevention, crime prevention, image information transmission, etc. It transmits and receives image by wired or wireless, I can not do it.

한편, 고속도로, 주요도로, 인도, 건널목 등을 비춰주는 가로등 및 조명장치는 전세계의 다양한 국가에서 활용하고 있는 장치로써, 어두운 밤을 비춰주어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해준다. 가로등은 인도, 건널목, 주요도로 등 일정범위를 비추기 위해 일정 높이의 폴을 가설하여 상부에 조명장치를 설치하게 된다. 이를 통해 조명장치가 일정범위의 시야를 비출 수 있도록 해 준다.On the other hand, street lights and lighting devices that illuminate highways, highways, India, crossings, etc., are used in various countries around the world, allowing them to illuminate the dark night and gain visibility. Street lamps are installed with a pole at a certain height to illuminate a certain range such as India, crossing roads, and main roads, and lighting devices are installed on the upper part. This allows the illuminator to illuminate a range of fields of view.

최근 가로등은 조명장치의 밝기 및 에너지 절감, 폴의 심미성 향상에 대한 연구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태양열 에너지, 풍력 에너지 등 친환경 에너지를 이용한 다양한 방식과 형태의 가로등이 설치되고 있다.In recent years, researches and developments have been made on the improvement of the brightness and energy of the lighting apparatus and the esthetics of the pole, and street lamps of various types and shapes using solar energy and wind energy are installed.

앞선 영상장치 및 조명장치는 저지대가 아닌 고지대에 있을수록 그 시야와 범위가 넓어져 보다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 또한, 전자장비인 영상장치 또는 조명장치는 물 또는 물리적인 충격에 약하기 때문에 이를 보호할 수단이 필요하다.The more advanced the imaging device and the lighting device are, the more the visibility and the range is expanded as it is in a high place rather than a low place, so that it can be operated more efficiently. In addition, a video apparatus or a lighting apparatus, which is an electronic apparatus, is vulnerable to water or a physical impact, and a means for protecting the apparatus is necessary.

또한, 영상장치 및 조명장치뿐만 아니라 신호를 알려주는 장치, 스피커, 통신장치 등등 높은 곳에 위치하여 효율이 증대되는 다양한 장치들도 이를 보호할 수 있고,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 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다.In addition, a variety of devices, such as a video device and a lighting device, as well as a device for notifying a signal, a speaker, a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like, which are located at a high level and increase in efficiency, are required to be able to protect it and to operate it more efficiently.

이러한 방법을 해결하기 위해 가로등, 브라켓, 폴, 신호등과 함께 감시지역의 높은 곳에 배치하도록 하여 홍수 또는 다양한 충격에 대해 보호 받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시야를 넓힐 수 있어서 보다 넓은 범위를 감시 또는 시야를 확보 할 수 있도록 하여 설치비의 단가를 줄일 수 있도록 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is necessary to arrange it at a high place in the surveillance area together with a street light, a bracket, a pole, and a traffic light so as to be protected against flood or various impacts. In addition, the field of view can be widened so that a wider area can be monitored or a field of view can be secured, thereby reducing the installation cost.

그러나, 다양한 장치들을 높은 곳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사다리 또는 리프트 장비를 이용하여 설치자가 직접 높은 곳에 올라가서 작업을 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설치자가 직접 높은 곳에 올라가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장비 운용에 대한 비용이 발생하게 되며, 유지보수 시 또한 많은 시간과 비용이 발생하게 된다.However, in order to install various devices on a high place, there is a problem that a ladder or a lift equipment is used so that the installer directly goes to a high place to work. In order for the installer to ascend directly to the high place, a lot of time and equipment operation costs are incurred, and maintenance time and cost also occur.

또한 분리 시에도 높은 곳에서 장치를 분리하여 교체하거나 정비하기 위해서는 지상까지 직접 올라가서 분리를 하거나 고공장비를 이용하여 내려야 하는데 고공작업의 특성상 작업이 쉽지 않으며, 작업자는 항상 추락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Also, in order to remove or replace the equipment from the high place, it is necessary to go up directly to the ground and separate it or use the high-tech equipment. Due to the nature of the high-level work, it is not easy to work and the worker is always exposed to the risk of falling.

따라서, 작업자가 고공작업을 하지 않도록 용이하게 장치를 승하강 시킬 수 있어 유지보수 및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고, 보다 높은 곳에 장치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작동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된다.Therefore, it is required to develop a technique that can raise and lower the apparatus easily so that the operator does not perform the high-level work, thereby facilitating maintenance and installation, and enabling the apparatus to be installed at a higher place, do.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적은, 폴을 따라 승강하면서도 편심이 발생하지 않는 승강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to provide an elevating apparatus that does not cause eccentricity while ascending and descending along a pole.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적은, 하강하는 경우, 폴에 밀착함으로써 자유낙하 되는 것이 방지되는 승강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to provide an elevating device in which, when it is lowered, it is prevented from falling freely by being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pawl.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적은, 폴의 면적 변화에 관계 없이 승강이 가능한 승강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to provide a lifting device capable of lifting regardless of changes in the area of the pawl.

일 실시 예에 따른 폴(pole)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승강 가능한 승강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구비되고, 상기 폴의 외면에 접촉한 상태로, 상기 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승강 가능한 승강 어셈블리; 및 상기 승강 어셈블리와 연결되고, 상기 승강 어셈블리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An elevating device capable of elevating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a p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housing; A lifting and lowering assembly provided in the housing and capable of being lifted and lower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awl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pawl; And a power transmitting member connected to the elevating assembly and transmitting power to the elevating assembly.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승강 어셈블리는, 상기 하우징의 양측에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수평 프레임; 상기 한 쌍의 수평 프레임을 수직으로 연결하고, 상기 수평 프레임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수평 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1샤프트 및 제2샤프트; 상기 제1샤프트 및 제2샤프트에 각각 구비되는 롤러; 및 상기 제1샤프트 및 제2샤프트를 연결하고, 상기 제1샤프트 및 제2샤프트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링크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lifting assembly includes a pair of horizontal frame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housing so as to face each other; A first shaft and a second shaft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horizontal frame so as to vertically connect the pair of horizontal frames and move along the horizontal frame; A roller provided on the first shaft and the second shaft, respectively; And a link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shaft and the second shaft, and adjusting a distance between the first shaft and the second shaft.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수평 프레임은, 중심을 기준으로 양쪽에 각각 형성되는 가이드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샤프트 및 제2샤프트는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각각 상기 가이드 홈에 연결될 수 있다.The horizontal frame includes guide grooves formed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center, and the first shaft and the second shaft can be connected to the guide grooves so as to be slidable along the guide grooves, respectively. have.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수평 프레임은, 상기 가이드 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가이드 홈 내에서 회전 가능한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샤프트 및 제2샤프트는, 상기 가이드 부재에 연결될 수 있다.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rizontal frame further includes a guide member slidably connected to the guide groove and rotatable in the guide groove, and the first shaft and the second shaft may be connected to the guide member .

일 측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상기 폴이 제1샤프트 및 제2샤프트 사이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폴의 외면에 접촉하면서 회전하도록, 상기 제1샤프트 및 제2샤프트에 배치될 수 있다.On one side, the roller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shaft and the second shaft so as to rotate while contac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pole, with the pol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shaft and the second shaft.

일 측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 중심이 상기 수평 프레임의 중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 링크; 일측이 상기 회전 링크의 양 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1샤프트 및 제2샤프트에 각각 연결되는 보조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부는, 상기 회전 링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샤프트 및 제2샤프트를 상기 수평 프레임의 중심으로부터 동일 간격만큼 이격 시킬 수 있다. The link portion includes: a rotating link whose center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center of the horizontal frame; And an auxiliary link rotatab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rotary link on one side and an auxiliary link on the other sid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shaft and the second shaft, One shaft and the second shaft may be spaced equally from the center of the horizontal frame.

일 측에 있어서, 상기 롤러가 상기 폴로부터 이격되지 않도록, 상기 롤러를 상기 폴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pressing portion that presses the roller in the direction of the pole so that the roller is not separated from the pole at one side.

일 측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내부에 삽입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업쇼버; 일측은 상기 롤러의 양측을 감싸도록 상기 제1샤프트 또는 제2샤프트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가압부재와 연결되는 가이드블록; 및 상기 업쇼버를 상기 하우징에 고정하기 위한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essure applicat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essing portion comprises: an absorber including a spring and a pressing member inserted into the spring; A guide block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first shaft or the second shaft so as to surround both sides of the roller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pressing member; And a bracket for fixing the absorber to the housing.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승강 어셈블리는 복수개가 구비되고, 각각의 승강 어셈블리는, 상하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On one side, a plurality of the lift assemblies are provided, and each of the lift assemblies can be arranged vertically side by side.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승강 장치는, 상기 동력전달부재의 동력 전달방향을 전환하도록, 상기 동력전달부재와 연결되는 고정도르래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vat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fixed sheave connected to the power transmitting member to switch a power transmission direction of the power transmitting member.

일 실시 예에 따른 승강 장치는, 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도, 한 쪽으로 기우는 편심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elev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can prevent the eccentric phenomenon that tilts to one side while mov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awl.

일 실시 예에 따른 승강 장치는, 하강하는 경우에 자유낙하 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장치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The elev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can prevent the apparatus from being damaged by preventing free fall when the elevating apparatus descends.

일 실시 예에 따른 승강 장치는, 폴의 면적 변화에 관계없이 용이한 승강이 가능할 수 있다.The elev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can be easily raised and lowered regardless of the change in the area of the pawl.

일 실시 예에 따른 승강 장치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lift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승강 장치의 내부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승강 장치의 내부 측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승강 장치의 내부 평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승강 장치의 내부 정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링크부의 정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링크부의 정면도이다.
도 7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승강 장치의 내부 평면도이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승강 어셈블리의 작동도이다.
도 9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승강 장치의 상하 이동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e specification,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serve to further the understanding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invention,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1 is an internal perspective view of a lif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n internal side view of a lif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n internal plan view of the elevating apparatu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4 is an internal elevational view of an elev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5 is a front view of a link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6 is a front view of a link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7 is an internal plan view of a lif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8 is an operational view of a lifting assemb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9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lift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이하,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symbo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best of an understanding clear.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s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s.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Quo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Quot;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components included in any one embodiment and the components including common functions will be described using the same names in other embodiments. Unless otherwise stated, the description of any one embodiment may be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e overlapping scope.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승강 장치의 내부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승강 장치의 내부 측면도이며,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승강 장치의 내부 평면도이고,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승강 장치의 내부 정면도이며,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링크부(240)의 정면도이고,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링크부(240)의 정면도이다.FIG. 1 is an internal perspective view of an elev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inner side view of an elev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3 is an internal plan view of the elev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5 is a front view of the link portion 2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6 is a front view of the link portion 2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승강 장치(1)는, 폴(Pole, p)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승강 장치(1)는, 폴(p)의 상부에 설치되는 기기, 예를 들어, 감시용 카메라 등의 기기를 폴(p)을 따라 승강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승강 장치(1)는, 폴(p)의 크기나 형상에 관계 없이, 폴(p)을 따라 슬라이딩 함으로써, 폴(p)에 설치되는 기기를 안정적으로 승하강 시키고, 안정적인 유지보수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승강 장치(1)는, 하우징(10), 승강 어셈블리(20), 동력전달부재(30) 및 고정도르래(5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to 4, the elevat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can move up and dow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awl (p). The elevating device 1 can elevate and elevate device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aws p, for example, a surveillance camera or the like along the pawl p. In this case, the elevating device 1 slides along the pawl p regardless of the size or shape of the pawl p, thereby stably lifting and lowering the equipment installed on the pawl p and performing stable maintenance . The lifting device 1 may include a housing 10, a lifting assembly 20, a power transmitting member 30, and a fixed sheave 50.

하우징(10)은, 폴(p)에 설치되어 폴(p)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0)은 내부에 폴(p)이 삽입 가능하도록, 상하면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하우징(10)의 상하면을 폴(p)이 관통할 수 있다. 하우징(10)은 폴(p)의 상부에 위치하기 위한 기기, 예를 들어, 감시 카메라와 같은 기기가 설치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비록, 도면에서는 하우징(10)이 박스(box)형태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하우징(10)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폴(p)의 크기나 형상, 하우징(10)에 설치되는 기기의 종류에 따라 하우징(10)의 크기 및 형태는 실질적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The housing 10 can be installed on the pawl p and move along the pawl p. For example, the housing 10 may include openings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so that the pawls p can be inserted therein. In other words, the pole p can penetrate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housing 10. The housing 10 may be formed such that a device such as a surveillance camera can be installed for positioning the device on the top of the pole p. Although the shape of the housing 10 is not limited to the box 10, the size and shape of the pawl 10, the shape of the housing 10, The size and shape of the housing 10 may vary substantially.

승강 어셈블리(20)는, 하우징(10) 내에 구비되고, 폴(p)의 외면에 접촉함으로써, 폴(p)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승강 장치(1)를 승강 시킬 수 있다. 승강 어셈블리(20)는, 수평 프레임(210), 제1샤프트(220a), 제2샤프트(220b), 롤러(230) 및 링크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lifting and lowering assembly 20 is provided in the housing 10 and can raise and lower the lifting apparatus 1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p. The lifting assembly 20 may include a horizontal frame 210, a first shaft 220a, a second shaft 220b, a roller 230, and a link portion 240.

수평 프레임(210)은, 하우징(10)의 양측에 서로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수평 프레임(210)은 승강 장치(1)가 폴(p)에 설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폴(p)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길이 방향을 가질 수 있다. 수평 프레임(210)은, 중심을 기준으로 양쪽에 각각 형성되는 가이드부(211a, 211b)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가이드부(211a, 211b)는 수평 프레임(2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211a, 211b)는, 예를 들어, 수평 프레임(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가이드부(211a, 211b)가 수평 프레임(210)의 면을 관통하는 홈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일 예시에 불과하며, 가이드부(211a, 211b)는 레일 형태로 형성되거나, 수평 프레임(210)의 일면에 형성되는 슬롯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horizontal frame 210 may be disposed on opposite sides of the housing 10 so as to face each other. The horizontal frame 210 may have a longitudin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awl p on the basis of a state where the lifting device 1 is installed on the pawl p. The horizontal frame 210 may include guide portions 211a and 211b formed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center. The guide portions 211a and 211b may be form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horizontal frame 210. The guide portions 211a and 211b may be formed in a groove shap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rizontal frame 210, for example. Although the guide portions 211a and 211b are shown as grooves passing through the surface of the horizontal frame 210, the guide portions 211a and 211b are formed in a rail shape And a slot formed on one side of the horizontal frame 210.

제1샤프트(220a) 및 제2샤프트(220b)는 수평 프레임(210)에 연결될 수 있다. 제1샤프트(220a) 및 제2샤프트(220b)는 한 쌍의 수평 프레임(210)을 수직으로 연결하고, 수평 프레임(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샤프트(220a) 및 제 2샤프트는 수평 프레임(210)에 형성되는 각각의 가이드부(211a, 211b)에 연결됨으로써, 가이드부(211a, 211b)를 따라 슬라이딩 할 수 있다. 제1샤프트(220a) 및 제2샤프트(220b)는, 가이드부(211a, 211b)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가이드부(211a, 211b) 내에서 회전 가능한 가이드 부재(221a, 221b)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부재는, 제1샤프트(220a) 및 제2샤프트(220b)의 양측에 구비되어, 제1샤프트(220a) 및 제2샤프트(220b)가 가이드부(211a, 211b) 내에서 회전함과 동시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The first shaft 220a and the second shaft 220b may be connected to the horizontal frame 210. The first shaft 220a and the second shaft 220b can vertically connect the pair of horizontal frames 210 and mo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rizontal frame 210. [ For example, the first shaft 220a and the second shaft may be connected to the respective guide portions 211a and 211b formed in the horizontal frame 210, thereby sliding along the guide portions 211a and 211b. The first shaft 220a and the second shaft 220b include guide members 221a and 221b that are slidably connected to the guide portions 211a and 211b and are rotatable within the guide portions 211a and 211b . The guide members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shaft 220a and the second shaft 220b so that the first shaft 220a and the second shaft 220b rotate within the guide portions 211a and 211b , And can be slidable.

롤러(230)는 폴(p)의 외면에 접촉 가능하도록, 제1샤프트(220a) 및 제2샤프트(220b)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샤프트(220a) 및 제2샤프트(220b) 사이에 폴(p)이 위치하는 상태에서, 롤러(230)는 폴(p)의 외면에 접촉가능하도록 제1샤프트(220a) 및 제2샤프트(220b)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롤러(230)는 폴(p)의 외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짐으로써, 폴(p)의 외면과 선접촉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p)의 단면이 도 3과 같이, 정8면체의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롤러(230)는 폴(p)의 모서리에 대응하도록, 내측으로 오목하게 각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반면, 폴(p)의 단면이 원형인 경우에는, 롤러(230)는 폴(p)의 원주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롤러(230)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으며, 실질적으로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롤러(230)는 각각의 샤프트(220a, 220b)를 축으로 회전 할 수 있으며, 가이드 부(211a, 211b)에 대한 샤프트(220a, 220b)의 회전에 따라서도 회전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롤러(230)는 롤러(230) 자체의 회전과, 샤프트(220a, 220b)의 회전을 통해 하나 이상의 회전 자유도를 가질 수 있다.The roller 230 may be provided on the first shaft 220a and the second shaft 220b, respectively, so as to be able to contact the outer surface of the pole p. For example, in a state in which the pawl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shaft 220a and the second shaft 220b, the roller 230 rotates the first shaft 220a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paw p, And the second shaft 220b. In this case, the roller 230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urface of the pawl p, thereby making lin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pawl p. For example, in the case where the cross section of the pole p is formed into a polygonal shape of a regular octahedron as shown in Fig. 3, the roller 230 has a recessed inner shape concave to correspond to the edge of the pole p . On the other hand, when the cross section of the pawl p is circular, the roller 230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aw p. As a result, the shape of the roller 230 is not limited, and can have substantially various shapes. The rollers 230 can rotate about the respective shafts 220a and 220b and can rotat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shafts 220a and 220b with respect to the guide portions 211a and 211b. In other words, the roller 230 may have one or more rotational degrees of freedom through rotation of the roller 230 itself and rotation of the shafts 220a, 220b.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링크부(240)는, 제1샤프트(220a) 및 제2샤프트(220b)를 연결하고, 제1샤프트(220a) 및 제2샤프트(220b)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링크부(240)는 승강 장치(1)가 위치한 폴(p)의 단면에 따라, 제1샤프트(220a) 및 제2샤프트(220b) 사이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각각의 샤프트(220a, 220b)에 구비된 롤러(230)가 폴(p)의 외면에 접촉하도록 할 수 있다. 링크부(240)는, 회전 링크(241) 및 보조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5 and 6, the link portion 240 connects the first shaft 220a and the second shaft 220b, and the interval between the first shaft 220a and the second shaft 220b is Can be adjusted. In other words, the link portion 240 adjusts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shaft 220a and the second shaft 220b along the cross-section of the pole p where the lifting device 1 is located, And 220b may contact the outer surface of the pawl p. The link portion 240 may include a rotating link 241 and an auxiliary link.

회전 링크(241)는 수평 프레임(210)의 중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 링크(241)의 중심은, 수평 프레임(210)의 중심에 피봇(pivot)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회전 링크(241)의 피봇 연결 부위는, 수평 프레임(210)의 가이드부(211a, 211b)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The rotary link 241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center of the horizontal frame 210. For example, the center of the rotating link 241 may be pivotally connected to the center of the horizontal frame 210. In this case, the pivotal connection portion of the rotation link 241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guide portions 211a and 211b of the horizontal frame 210. [

보조 링크(242)는, 회전 링크(241) 및 샤프트(220a, 220b)를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 링크(242)는 양측이 회전 링크(241) 및 샤프트(220a, 220b)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조 링크(242)는 회전 링크(241)의 일측과 제1샤프트(220a)를 연결되는 제 1 보조 링크(242a)와, 회전 링크(241)의 타측과 제2샤프트(220b)를 연결하는 제 2 보조 링크(242b)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하나의 회전 링크(241)의 양측에 제 1 보조 링크(242a) 및 제 2 보조 링크(242b)가 각각 연결되고, 제 1 보조 링크(242a) 및 제 2 보조 링크(242b)를 통해 회전 링크(241)의 양측이 각각 제1샤프트(220a) 및 제2샤프트(220b)에 연결됨으로써, 회전 링크(241)의 회전에 따라 제1샤프트(220a) 및 제2샤프트(220b) 사이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The auxiliary link 242 can connect the rotating link 241 and the shafts 220a, 220b. For example, the auxiliary link 242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rotating link 241 and the shafts 220a and 220b, respectively. Specifically, the auxiliary link 242 includes a first auxiliary link 242a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rotating link 241 and the first shaft 220a, and a second auxiliary link 242b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rotating link 241 and the second shaft 220b. And a second auxiliary link 242b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links. In other words, the first auxiliary link 242a and the second auxiliary link 242b are connected to both sides of one rotating link 241, and the first auxiliary link 242a and the second auxiliary link 242b Both sides of the rotary link 241 are connected to the first shaft 220a and the second shaft 220b respectively so that the rotation of the rotary link 241 causes the first and second shafts 220a, The spacing can be adjusted.

링크부(240)는, 하나의 수평 프레임(210)에 연결되는 2개의 회전 링크(24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와 같이, 수평 프레임(210)의 중심에 2개의 회전 링크(241)가 피봇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회전 링크(241)의 양측은 보조 링크(242)를 통해 제1샤프트(220a) 및 제2샤프트(220b)와 연결될 수 있다. 제1샤프트(220a) 및 제2샤프트(220b)에는, 각각 2개의 보조 링크(242)가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서로 피봇 연결되는 2개의 회전 링크(241)는 승강 장치(1)의 승강에 따라,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1샤프트(220a) 및 제2샤프트(220b)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반면, 도 5와 같이, 링크부(240)는 하나의 수평 프레임(210)에 연결되는 하나의 회전 링크(241)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The link portion 240 may include two rotating links 241 connected to one horizontal frame 210. [ For example, as shown in FIG. 5, two rotating links 241 can be pivotally connected to the center of the horizontal frame 210. In this case, both sides of each rotating link 241 can be connected to the first shaft 220a and the second shaft 220b through the auxiliary link 242. [ Two auxiliary links 242 can be connected to the first shaft 220a and the second shaft 220b, respectively. In this case, the two rotation links 241 pivotally connected to each other can be rotated in different directions in accordance with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of the elevating apparatus 1, and the intervals between the first shaft 220a and the second shaft 220b can be adjusted have.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5, the link unit 240 may include only one rotation link 241 connected to one horizontal frame 210.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링크부(240)는 회전 링크(241)의 회전에 따라, 접철됨으로써, 제 1 샤프트(220a) 및 제 2 샤프트(220b)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 링크(241)가 수평 프레임(210)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 하는 경우, 제1샤프트(220a) 및 제2샤프트(220b)는 가이드부(211a, 211b)를 따라, 수평 프레임(210)의 중심 방향으로 슬라이딩 할 수 있다. 반면, 회전 링크(241)가 수평 프레임(210)에 대하여 수평한 방향으로 회전 하는 경우, 제 1 샤프트(220a) 및 제 2 샤프트(220b)는 수평 프레임(210)의 양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샤프트(220a) 및 제 2 샤프트(220b) 사이의 간격이 폴(p) 단면의 크기에 따라 조절됨으로써, 제 1 샤프트(220a) 및 제 2 샤프트(220b) 각각에 구비된 롤러(230)가 폴(p)의 외면에 접촉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승강 어셈블리(20)가 폴(p)의 외면의 양측을 동일한 힘으로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승강 어셈블리(20)가 한 쪽으로 편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link portion 240 can be adjusted to the interval between the first shaft 220a and the second shaft 220b by being folde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link 241. [ For example, when the rotary link 241 rotate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horizontal frame 210, the first shaft 220a and the second shaft 220b are moved along the guide portions 211a and 211b, And can slide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of the frame 210. On the other hand, when the rotary link 241 rotat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frame 210, the first shaft 220a and the second shaft 220b can slide in both directions of the horizontal frame 210 . Therefore, the interval between the first shaft 220a and the second shaft 220b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ross-section of the pawl p, so that the rollers (not shown) provided in each of the first shaft 220a and the second shaft 220b 230 can contact the outer surface of the pawl p. According to this structure, since the lifting and lowering assembly 20 can support both sides of the outer surface of the pawl with the same forc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ifting and lowering assembly 20 from eccentric to one side.

승강 어셈블리(20)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승강 어셈블리(20)는 도 1과 같이, 상하로 나란히 배치됨으로써, 폴(p)의 외면을 상하로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승강 어셈블리(20)가 폴(p)의 외면을 안정적으로 지지함으로써, 승강 장치(1)가 한 쪽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비록, 도면에서는 승강 어셈블리(20)가 2개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일 예시에 불과하며, 승강 어셈블리(20)가 3개 이상으로 구비되어, 폴(p)의 외면을 지지하는 구성도 당연히 가능하다.A plurality of lifting and lowering assemblies 20 may be provided.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the lifting and lowering assembly 20 is vertically arranged so as to support the outer surface of the pawl up and down. 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elevation assembly 20 can stably support the outer surface of the pawl, thereby preventing the elevation device 1 from tilting to one side. Although two elevating assemblies 20 are shown in the figure,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it is of course possible to provide three or more elevating assemblies 20 to support the outer surface of the p .

동력전달부재(30)는, 승강 장치(1)가 폴(p)의 외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외력을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력전달부재(30)는, 사용자 또는 구동 장치와 연결되어, 승강 어셈블리(20)가 폴(p)의 외면을 따라 승강하도록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동력전달부재(30)는 승강 어셈블리(20)가 폴(p)의 외면을 따라 슬라이딩 하도록, 승강 어셈블리(20)에 수평 방향의 힘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력전달부재(30)는, 승강 어셈블리(20)의 제1샤프트(220a) 및 제2샤프트(220b)에 연결되고, 제1샤프트(220a) 및 제2샤프트(220b)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외력을 전달함으로써, 승강 장치(1)가 상승하는 과정에서, 각각의 샤프트(220a, 220b)에 구비된 롤러(230)가 폴(p)의 외면에 밀착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동력전달부재(30)는 제1샤프트(220a) 및 제2샤프트(220b)의 가이드부재에 연결됨으로써, 동력이 승강 어셈블리(20)에 전달되는 경우에, 제1샤프트(220a) 및 제2샤프트(220b)를 수평 프레임(210)의 내측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The power transmitting member 30 can transmit an external force such that the elevating device 1 moves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paw p. For example, the power transmitting member 30 can be connected to a user or a driving device so that the lifting assembly 20 can transmit power to move up and down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paw p. The power transmitting member 30 can also provide a horizontal force to the lifting assembly 20 so that the lifting assembly 20 slides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paw. For example, the power transmitting member 30 is connected to the first shaft 220a and the second shaft 220b of the lifting assembly 20, and the first shaft 220a and the second shaft 220b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roller 230 provided on each of the shafts 220a and 220b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pole p in the process of raising the elevating apparatus 1 by transmitting the external forc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gap is narrowed . For example, one power transmitting member 30 is connected to the guide members of the first shaft 220a and the second shaft 220b so that when the power is transmitted to the lifting assembly 20, 220a and the second shaft 220b to the inside of the horizontal frame 210. [

동력전달부재(30)의 형태 및 재질은 한정되지 않으며, 로프 또는 체인의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동력전달부재(30)는 스테인레스, 강선등의 강성이 높은 재질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동력전달부재(30)가 승강 장치(1)를 지지하면서도, 끊어지지 않을 정도로 충분한 강성을 가질 수 있다.The shape and material of the power transmitting member 30 is not limited, and may be in the form of a rope or a chain. Further, the power transmitting member 30 may be a material having high rigidity such as stainless steel or steel wire. According to such a structure, the power transmitting member 30 can support the elevating device 1 and can have sufficient rigidity to the extent that it is not broken.

고정 도르래는, 동력전달부재(30)와 연결되어, 동력전달부재(30)의 동력 전달방향을 전환할 수 있다. 동력전달부재(30)가 승강 장치(1)를 승강시키는 경우에, 동력전달부재(30)의 힘의 전달방향은 승강 장치(1)의 승강 방향, 즉, 지면에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이 경우, 고정 도르래는, 동력전달부재(30)와 연결되어, 동력전달부재(30)를 제1샤프트(220a) 및 제2샤프트(220b)에 연결되도록 전환시킴으로써, 동력전달부재(30)의 수직 방향의 힘을 수평 방향으로 전환할 수 있다.The fixed pulley is connected to the power transmitting member 30 to switch the power transmitting direction of the power transmitting member 30. [ In the case where the power transmitting member 30 lifts the elevating device 1, the direction of transmission of the force of the power transmitting member 30 may be the direction of elevation of the elevating device 1, that is,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In this case, the fixed pulley is connected to the power transmitting member 30 to switch the power transmitting member 30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shaft 220a and the second shaft 220b, The force in the vertical direction can be switched to the horizontal direction.

도 7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승강 장치의 내부 평면도이다.7 is an internal plan view of a lif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7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승강 장치(1)는, 하우징(10), 승강 어셈블리(20), 동력전달부재(30), 고정 도르래 및 가압부(40)를 포함할 수 있다.7, the elevating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housing 10, a lifting assembly 20, a power transmitting member 30, a fixed sheave and a pressing unit 40. [

가압부(40)는, 승강 장치(1)가 승강하는 상태에서, 제1샤프트(220a) 및 제2샤프트(220b)에 구비된 롤러(230)가 폴(p)의 외면으로부터 이격되지 않도록, 롤러(230)를 폴(p)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가압부(40)는, 승강 장치(1)가 하강하는 경우에, 롤러(230)를 폴(p)의 외면에 밀착시킴으로써, 승강 장치(1)가 자유낙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가압부(40)는, 브라킷(430), 업쇼버(410)(absorber) 및 가이드블록(420)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essing portion 40 is formed so that the rollers 230 provided on the first shaft 220a and the second shaft 220b are not separate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p- The roller 230 can be pressed in the direction of the pawl (p). The pressing portion 40 can prevent the elevating device 1 from falling freely by bringing the roller 230 into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paw p when the elevating device 1 descends. The pressing portion 40 may include a bracket 430, an absorber 410, and a guide block 420.

브라킷(430)은 하우징(10)에 구비되어, 업쇼버(410)의 일측을 지지할 수 있다. 브라킷(430)은 예를 들어, 도 5와 같이, 수평 프레임(210)에 수직한 방향으로 하우징(10)에 구비될 수 있다. 브라킷(430)은 업쇼버(410)의 일측을 지지함으로써, 업쇼버(410)가 롤러(230)를 가압하도록 지탱할 수 있다.The bracket 430 may be provided on the housing 10 to support one side of the absorber 410. The bracket 430 may be provided on the housing 1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horizontal frame 21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The bracket 430 supports one side of the absorber 410 so that the absorber 410 can pressurize the roller 230.

업쇼버(410)는 롤러(230)를 폴(p)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업쇼버(410)는, 승강 장치(1)의 승강에 따라 폴(p)의 단면이 변화하는 경우에, 제1샤프트(220a) 및 제2샤프트(220b)에 각각 구비된 롤러(230)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거나, 줄어드는 경우에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업쇼버(410)는 스프링과, 스프링의 내부에 삽입되는 가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스프링은 롤러(230)를 폴(p)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고, 가압부재는 스프링의 탄성력 작용방향을 지지할 수 있다. 가압부재는 폴(p)의 단면에 따라 제1샤프트(220a) 및 제2샤프트(220b)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하고, 스프링은 롤러(230)를 폴(p)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롤러(230)를 항상 폴(p)의 외면에 밀착시킬 수 있다.The absorber 410 can press the roller 230 in the direction of the pawl (p). The absorber 410 is disposed between the rollers 230 provided on the first shaft 220a and the second shaft 220b in the case where the cross section of the pawls p changes as the elevating device 1 is lifted or lowered It is possible to mitigate the impact that occurs when the gap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nds is narrowed or decreased. For example, the absorber 410 may include a spring and a biasing member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spring. In this case, the spring provides an elastic force to press the roller 230 in the direction of the pawl (p), and the pressing member can support the elastic force acting direction of the spring. The pressing member is moved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shaft 220a and the second shaft 220b along the section of the pawl p and the spring urges the roller 230 in the direction of the pawl p, 230 can always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pawl p.

가이드블록(420)은, 업쇼버(410)의 일측과 연결되고, 롤러(230)의 양측을 감쌀 수 있다. 즉, 가이드 블록(420)은 도 7과 같이, 롤러(230)의 양측, 다시 말해, 제1샤프트(220a) 및 제2샤프트(220b)에 연결됨으로써, 샤프트에 대한 롤러(230)의 위치를 고정하고, 업쇼버(410)에 의한 가압력이 롤러(230)에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The guide block 420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absorber 410 and can cover both sides of the roller 230. That is, the guide block 420 is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roller 230, that is, to the first shaft 220a and the second shaft 220b, as shown in FIG. 7, so that the position of the roller 230 relative to the shaft So that the pressing force by the absorber 410 can be transmitted to the roller 230.

롤러(230)에 대한 가압부(40)의 가압력은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업쇼버(410)의 가압부재의 길이가 변경되거나, 브라켓(430)에 대한 업쇼버(410)의 설치 위치가 조절됨으로써, 가압부(40)가 롤러를 가압하는 정도가 변경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롤러(230)에 대한 가압부(40)의 가압력이 조절됨으로써, 폴(p)에 대한 승강 장치(1)의 하강 속도가 조절될 수 있다. The pressing force of the pressing portion 40 against the roller 230 can be adjusted. For example, when the length of the pressing member of the absorber 410 is changed or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absorber 410 relative to the bracket 430 is adjusted, the degree to which the pressing portion 40 presses the roller is changed . As a result, by controlling the pressing force of the pressing portion 40 against the roller 230, the descending speed of the elevating device 1 relative to the pawl p can be adjusted.

결과적으로, 가압부(40)는 승강 장치(1)가 폴(p)의 외면을 따라 하강하는 경우에, 롤러(230)가 폴(p)의 외면에 밀착하도록 가압함으로써, 승강 장치(1)가 자유낙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승강 장치(1)의 급격한 하강으로, 승강 장치(1)가 손상되거나, 승강 장치(1)를 작동하는 사용자가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a result, when the elevating device 1 descends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pawl p, the pressurizing portion 40 presses the roller 230 so as to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paw p, It is possible to prevent free fall. Therefore, the abrupt descent of the elevating apparatus 1 can prevent the elevating apparatus 1 from being damaged or injuring the user who operates the elevating apparatus 1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승강 어셈블리(20)의 작동도이고, 도 9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승강 장치(1)의 상하 이동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FIG. 8 is an operational view of the lifting assembly 2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nd FIG. 9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up-down movement of the lifting device 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8을 참조하면, 승강 어셈블리(20)는, 폴(p)의 단면변화에 따라 제1샤프트(220a) 및 제2샤프트(220b) 사이의 간격이 조절됨으로써, 롤러(230)가 폴(p)의 외면에 접촉하도록 할 수 있다. 8,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shaft 220a and the second shaft 220b is adjusted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in the cross section of the pawl p, As shown in Fig.

도 8과 같이, 폴(p)의 단면이 달라지는 경우, 링크부(240)는 접철작동을 통해, 제1샤프트(220a) 및 제2샤프트(220b)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p)의 단면이 줄어드는 경우, 링크부(240)의 회전 링크(241)는 수평 프레임(210)에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회전 링크(241)의 회전에 따라, 회전 링크(241)의 양측에 연결된 제 1 보조 링크(242a) 및 제 2 보조 링크(242b)도 회전하게 된다. 이 경우, 각각의 보조 링크는 수평 프레임(210)의 중심부로 이동하게 되면서, 제1샤프트(220a) 및 제2샤프트(220b)를 서로 가까워 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샤프트(220a) 및 제2샤프트(220b)에 구비된 롤러(230) 사이의 간격이 함께 줄어들면서, 롤러(230)가 폴(p)의 외면에 지속적으로 접촉하도록 할 수 있다. 8, when the cross section of the pawl p varies, the link portion 240 can adjust the gap between the first shaft 220a and the second shaft 220b through a folding operation. The rotation link 241 of the link portion 240 is rota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horizontal frame 210 and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link 241 causes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link 241, The first auxiliary link 242a and the second auxiliary link 242b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rotating link 241 are also rotated. In this case, each of the auxiliary links may be moved to the center of the horizontal frame 210, so that the first shaft 220a and the second shaft 220b may slide in directions approaching each other. Therefore, the interval between the rollers 230 provided on the first shaft 220a and the second shaft 220b is reduced, so that the rollers 230 can be continuously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paw.

반면, 승강 장치(1)의 승강에 따라, 폴(p)의 단면이 넓어지는 경우, 링크부(240)의 회전 링크(241)는 수평 프레임(210)에 수평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보조 링크가 회전함으로써, 제1샤프트(220a) 및 제2샤프트(220b)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제1샤프트(220a) 및 제2샤프트(220b)에 구비된 롤러(230)는 폴(p)의 외면에 접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elevation device 1 is lifted or lowered, the cross section of the pawl widens, the rotation link 241 of the link portion 240 rotat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the horizontal frame 210, As the auxiliary link rotates, the first shaft 220a and the second shaft 220b can slide in directions away from each other. Also in this case, the rollers 230 provided on the first shaft 220a and the second shaft 220b can mainta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paw p.

결과적으로, 폴(p)의 단면변화에 관계없이, 롤러(230)가 항상 폴(p)의 외면에 접촉하기 때문에, 승강 어셈블리(20)는 승강 장치(1)의 균형을 유지하면서 승강 장치(1)의 승강을 가이드 할 수 있다.As a result, since the roller 230 is always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p pawl irrespective of the change in the cross-section of the pawl p, the lifting and lowering assembly 20 can lift the lifting device 1 1 can be guided up and down.

도 9를 참조하면, 동력전달부재(30)를 통해 전달되는 외력이 제거되면, 승강 장치(1)는 폴(p)의 외면을 따라 하강하게 된다. 이 경우, 가압부(40)는, 제1샤프트(220a) 및 제2샤프트(220b)에 구비된 롤러(230)를 폴(p)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롤러(230)를 폴(p)의 외면에 밀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롤러(230)가 폴(p)의 외면에 압착됨에 따라, 마찰로 인한 브레이크 효과가 발생하여, 승강 장치(1)가 자유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승강 어셈블리(20)는 폴(p)의 단면에 대응하여, 제1샤프트(220a) 및 제2샤프트(220b)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기 때문에, 승강 장치(1)가 폴(p)의 단면의 크기 변화에 관계없이 안정적으로 하강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when the external force transmitted through the power transmitting member 30 is removed, the elevating device 1 descends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pole p. In this case, the pressing portion 40 presses the rollers 230 provided on the first shaft 220a and the second shaft 220b in the direction of the paw p, And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Therefore, as the roller 230 is pressed onto the outer surface of the paw p, a braking effect due to friction occurs, thereby preventing the lifting device 1 from falling freely. In this case also, since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shaft 220a and the second shaft 220b is adjusted corresponding to the cross section of the pawl p, Can be stably lowered regardless of the size chang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cross section.

정리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승강 장치(1)는, 승강 어셈블리(20)를 통해 폴(p)의 외면을 지지하면서 승강 작동하게 되고, 링크부(240)의 작동을 통해 항상 폴(p)의 외면에 접촉함으로써, 승강 장치(1)의 편심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압부(40)의 작용을 통해, 롤러(230)를 폴(p)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승강 장치(1)가 자유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summary, the elevat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operated to raise and lower while suppor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p p via the lifting and lowering assembly 2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levation device 1 from being eccentrically moved. Further, by the action of the pressing portion 40, the roller 230 is pressed in the direction of the paw p, thereby preventing the lifting device 1 from falling freely.

이상과 같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실시 예들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isclosed for illustrative purpose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ddi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as disclosed in the accompanying claims. For example, it is contemplated that the techniques described may b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than the described methods, and / or that components of the described structures, devices, and the like may be combined or combined in other ways than the described methods, Appropriate results can be achieved even if they are replaced or replaced.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 예들 및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equivalents to other embodiments and the claims are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1: 승강 장치
10: 하우징
20: 승강 어셈블리
210: 수평 프레임
220: 샤프트
230: 롤러
240: 링크부
241: 회전 링크
242: 보조 링크
30: 동력전달부재
40: 가압부
50: 고정도르래
1: lifting device
10: Housing
20: lifting assembly
210: Horizontal frame
220: Shaft
230: Rollers
240:
241: Rotation link
242: Secondary link
30: Power transmission member
40:
50: Fixed Pulley

Claims (10)

폴(pole)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승강 가능한 승강 장치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구비되고, 상기 폴의 외면에 접촉한 상태로, 상기 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승강 가능한 승강 어셈블리; 및
상기 승강 어셈블리와 연결되고, 상기 승강 어셈블리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 어셈블리는,
상기 하우징의 양측에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수평 프레임;
상기 한 쌍의 수평 프레임을 수직으로 연결하고, 상기 수평 프레임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수평 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1샤프트 및 제2샤프트;
상기 제1샤프트 및 제2샤프트에 각각 구비되는 롤러; 및
상기 제1샤프트 및 제2샤프트를 연결하고, 상기 제1샤프트 및 제2샤프트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링크부를 포함하는, 승강장치.
An elevating device capable of elevating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a pole,
housing;
A lifting and lowering assembly provided in the housing and capable of being lifted and lower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awl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pawl; And
And a power transmitting member connected to the elevating assembly and transmitting power to the elevating assembly,
The elevating assembly includes:
A pair of horizontal frames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housing;
A first shaft and a second shaft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horizontal frame so as to vertically connect the pair of horizontal frames and move along the horizontal frame;
A roller provided on the first shaft and the second shaft, respectively; And
And a link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shaft and the second shaft, and adjusting a distance between the first shaft and the second shaf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프레임은, 중심을 기준으로 양쪽에 각각 형성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샤프트 및 제2샤프트는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각각 상기 가이드부에 연결되는, 승강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orizontal frame includes a guide portion formed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center,
Wherein the first shaft and the second shaft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guide portion so as to be slidable along the guide por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샤프트 및 제2샤프트는, 상기 가이드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가이드부 내에서 회전 가능한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하는, 승강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irst shaft and the second shaft further comprise a guide member slidably connected to the guide portion and rotatable within the guide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상기 폴이 제1샤프트 및 제2샤프트 사이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폴의 외면에 접촉하면서 회전하도록, 상기 제1샤프트 및 제2샤프트에 배치되는, 승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oller is disposed on the first shaft and the second shaft so as to rotate while contac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pole in a state in which the pole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shaft and the second shaf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
중심이 상기 수평 프레임의 중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 링크;
일측이 상기 회전 링크의 양 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1샤프트 및 제2샤프트에 각각 연결되는 보조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부는, 상기 회전 링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샤프트 및 제2샤프트를 상기 수평 프레임의 중심으로부터 동일 간격만큼 이격시키는, 승강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rotating link whose center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center of the horizontal frame;
And an auxiliary link having one side rotatably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rotary link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first shaft and the second shaft,
Wherein the link portion separates the first shaft and the second shaft from the center of the horizontal frame by an equal distance in accordance with rotation of the rotating lin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가 상기 폴로부터 이격되지 않도록, 상기 롤러를 상기 폴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를 더 포함하는, 승강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ressing portion for pressing the roller in the direction of the pole so that the roller is not separated from the pol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내부에 삽입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업쇼버;
일측은 상기 롤러의 양측을 감싸도록 상기 제1샤프트 또는 제2샤프트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가압부재와 연결되는 가이드블록; 및
상기 업쇼버를 상기 하우징에 고정하기 위한 브라켓을 포함하는, 승강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pressing portion
An absorber including a spring and a pressing member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spring;
A guide block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first shaft or the second shaft so as to surround both sides of the roller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pressing member; And
And a bracket for fixing the absorber to the hou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어셈블리는 복수개가 구비되고,
각각의 승강 어셈블리는, 상하로 나란히 배치되는, 승강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lurality of lifting and lowering assemblies are provided,
Wherein each of the lifting and lowering assemblies is arranged vertically side by s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재의 동력 전달방향을 전환하도록, 상기 동력전달부재와 연결되는 고정도르래를 더 포함하는, 승강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fixed sheave connected to the power transmitting member to switch a power transmission direction of the power transmitting member.

KR1020160182428A 2016-12-29 2016-12-29 Elevating apparatus KR10190305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2428A KR101903051B1 (en) 2016-12-29 2016-12-29 Eleva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2428A KR101903051B1 (en) 2016-12-29 2016-12-29 Elevat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7763A KR20180077763A (en) 2018-07-09
KR101903051B1 true KR101903051B1 (en) 2018-10-01

Family

ID=62919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2428A KR101903051B1 (en) 2016-12-29 2016-12-29 Elevat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3051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5695A (en) 2019-02-01 2020-08-11 주식회사 이스온 Pole elevating link apparatus and pole elevating system having the same
KR20210143049A (en) 2020-05-19 2021-11-26 주식회사 이스온 Pole elevating moving apparatus and pole elevating system having the same
KR20240002407A (en) 2022-06-29 2024-01-05 주식회사 이스온 Pole elevating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7791B1 (en) * 2021-07-07 2023-09-12 주식회사 이스온 Pole elevating moving apparatus and pole elevating system having the s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35762A (en) 2003-07-17 2005-02-10 Inaba Denki:Kk Mounting device for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14630B2 (en) * 1997-12-12 1999-07-05 株式会社アラマキテクニカ Column type lifting device
KR100838234B1 (en) * 2006-08-10 2008-06-1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Safety unit and safety device with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35762A (en) 2003-07-17 2005-02-10 Inaba Denki:Kk Mounting device for apparatu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5695A (en) 2019-02-01 2020-08-11 주식회사 이스온 Pole elevating link apparatus and pole elevating system having the same
KR20210143049A (en) 2020-05-19 2021-11-26 주식회사 이스온 Pole elevating moving apparatus and pole elevating system having the same
KR20240002407A (en) 2022-06-29 2024-01-05 주식회사 이스온 Pole elevat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7763A (en) 2018-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3051B1 (en) Elevating apparatus
KR101758202B1 (en) Elevating link apparatus and structure of the Pole
KR101819207B1 (en) Multi-purpose pole with type of elevation
US10899586B2 (en) Crane position indicator
KR101344995B1 (en) Safety equipment of train platform
KR101291728B1 (en) Cctv pole system capable of moving camera up and down
DE602005016731D1 (en) MANUALLY ACTUATED JALOUSIE
KR101610214B1 (en) Lighting tower of the rise and fall
KR100741525B1 (en) Street lamp
KR101163530B1 (en) A support structure object for a road traffic equipment and construction method
KR102560658B1 (en) Work boarding device
KR101063308B1 (en) Elevating lighting tower equipped with system for preventing lifting frame from falling
KR102168234B1 (en) Pole elevating link apparatus and pole elevating system having the same
KR101056442B1 (en) Elevator type support structure for cctv
KR20140110282A (en) Elevator for CCTV camera
CN204224033U (en) A kind of elevator craning cage
KR101950247B1 (en) Safe lifting system for vertical track
JPH06176614A (en) Device for raising and lowering lighting fixture of stanchion-mounted illuminating light
KR101067013B1 (en) Support device with arm to movie an electronic apparatus
CN216952824U (en) Street lamp pole with advertisement display position
US20230193692A1 (en) Safety apparatus for passengers or pedestrians
KR102204632B1 (en) Position variable CCTV and construction method
KR101195143B1 (en) Gondola of wire lift type for buinding management
SU948827A2 (en) Rope tension monitoring device
KR101056843B1 (en) Light lift operating shutoff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