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2068B1 - Lift Type CCTV Pole - Google Patents

Lift Type CCTV Po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2068B1
KR102442068B1 KR1020220021317A KR20220021317A KR102442068B1 KR 102442068 B1 KR102442068 B1 KR 102442068B1 KR 1020220021317 A KR1020220021317 A KR 1020220021317A KR 20220021317 A KR20220021317 A KR 20220021317A KR 102442068 B1 KR102442068 B1 KR 1024420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
elevating
camera
motor
type instal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13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재복 강
최병노
Original Assignee
강재복
최병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재복, 최병노 filed Critical 강재복
Priority to KR1020220021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206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2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206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16M11/046Allowing translations adapted to upward-downward translation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gnetic Heads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 Superconductor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mounting pole for lifting a camera.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unting pole for lifting the camera may comprise: a fixed post extending from an installation surface to an upper side; an elevating post on which the camera is installed and detachably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fixed post; and an elevating module which lifts the elevating post to the upper end of the fixed post and secures the elevating post to the upper end of the fixed pos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safety of an operator as well as work convenience.

Description

카메라 인양식 설치기둥{Lift Type CCTV Pole}Camera lift type installation pole {Lift Type CCTV Pole}

본 발명은 카메라 인양식 설치기둥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낮은 곳에서 카메라를 설치한 뒤 이를 높은 곳까지 인양하여 고정하는 카메라 인양식 설치기둥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mera lifting type installation po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mera lifting type installation pole which is fixed by lifting it up to a high place after installing the camera in a low place.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는 특정 수신자를 대상으로 화상을 전송하는 시스템으로서, 흔히 ‘폐쇄 회로 텔레비전’이라고도 하며, 특정 건축물이나 시설물에서 특정 수신자를 대상으로 유선 또는 특수 무선 전송로를 이용해 화상을 전송하기 때문에 산업용, 교육용, 의료용, 교통관제용 감시, 방재용 및 사내의 화상 정보 전달용 등 매우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CCTV (closed circuit television) is a system that transmits images to specific recipients. It is also often called 'closed circuit television'. Therefore, it is used for a wide variety of purposes such as industrial, educational, medical, traffic control monitoring, disaster prevention, and internal image information delivery.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교통관제나 범죄 예방을 위하여 주요 도로뿐만 아니라, 보안이 필요한 은행이나 관공서 등 주요 건물뿐만 아니라, 골목길 등과 같은 우범지대에도 많은 수의 CCTV가 설치되어 범죄 예방 및 억제 효과에 기여하고 있다.In particular, in Korea, a large number of CCTVs have been installed not only on major roads, but also in major buildings such as banks and government offices that require security, as well as in crime zones such as alleys, contributing to the prevention and deterrence of crime.

또한, 교통관제용 CCTV 등은 보다 넓은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카메라를 높은 곳에 설치하여 운용하는데, 카메라가 실외에 설치됨으로 인해 주기적인 점검 및 유지보수가 필요하다.In addition, CCTV for traffic control is operated by installing a camera in a high place in order to secure a wider field of view, but periodic inspection and maintenance are required because the camera is installed outdoors.

그런데, 카메라가 높은 곳에 설치되므로, 유지보수를 위해서는 높은 곳까지 작업자가 올라가야 해서, 안전사고의 발생위험이 크며 작업이 오래 걸리고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camera is installed in a high place, the operator has to climb to a high place for maintenance, which increases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and takes a long time and is difficult to work.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카메라를 낮은 곳에서 탈거 및 설치한 뒤에 높은 곳까지 인양하여 설치할 수 있는 카메라 인양식 설치기둥을 제공하는 것이 과제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mera lifting type installation post that can be installed by lifting to a high place after removing and installing the camera from a low place.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설치면으로부터 상부 측으로 연장된 고정 포스트; 카메라가 설치되며, 상기 고정 포스트의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 포스트; 및 상기 승강 포스트를 상기 고정 포스트의 상단까지 끌어올려 상기 고정 포스트의 상단에 상기 승강 포스트를 안착시켜 고정하는 승강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모듈은, 상기 고정 포스트의 상단에 결합되는 가이드 하우징; 일측 끝단이 상기 승강 포스트의 하단에 결합된 체인; 상기 가이드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체인을 이동시키는 제1스프라켓; 상기 체인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인양식 설치기둥이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xing post extending from the installation surface to the upper side; an elevating post on which a camera is installed and detachably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fixed post; and an elevating module for lifting the elevating post up to the upper end of the fixed post and seating the elevating post on the upper end of the fixed post to fix the elevating module, wherein the elevating module includes: a guide housing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fixed post; a chain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elevating post; a first sprocket rotatably coupled to the guide housing to move the chain; A camera lifting type installation post including a; a driving unit for moving the chain in a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is provided.

상기 고정 포스트는, 상단에 상기 승강 포스트가 안착되는 시트부가 형성될 수 있다.The fixing post may be formed with a seat portion on which the elevating post is seated.

상기 승강 포스트는, 상기 승강 포스트의 하부측을 형성하며, 상기 시트부에 삽입되어 안착되는 플러그부; 상기 플러그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며, 카메라가 고정되는 마운팅 바아;를 포함할 수 있다.The elevating post may include a plug part forming a lower side of the elevating post and being inserted and seated in the seat unit; It may include; a mounting bar extending upwardly from the plug part, to which the camera is fixed.

상기 승강모듈은, 상기 체인에 의해 끌어올려지는 상기 승강 포스트를, 상기 고정 포스트의 상기 시트부까지 안내하는 안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elevating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guide for guiding the elevating post pulled up by the chain to the seat portion of the fixed post.

삭제delete

상기 안내부는, 상기 가이드 하우징의 양측 테두리 둘레에 일단은 하측을 바라보도록 개구되고, 타단은 상기 시트부의 상단까지 형성되며, 상기 일단과 타단의 사이가 역U자 형태로 굴곡 형성되어, 뒤집힌 상태에서 인양되는 승강 포스트를 정자세로 반전시키면서 상기 시트부까지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The guide portion, one end is opened to face the lower side around the periphery of both sides of the guide housing, the other end is formed up to the upper end of the sheet portion, between the one end and the other end is bent in an inverted U shape, in an inverted state a guide rail guiding to the seat portion while inverting the lifted elevating post in an upright position;

상기 체인은, 상기 승강 포스트의 플러그부의 중심 상측 또는, 상기 마운팅 바아의 하단에 설치되며, 상기 플러그부의 일측은 상기 제1스프라켓 및 상기 가이드 하우징의 상기 가이드 레일이 수용되도록 개구된 만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만입부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상기 승강 포스트가 상기 가이드 하우징까지 끌어올려졌을 때 상기 가이드 하우징의 상기 가이드 레일에 삽입되도록 돌출된 가이드 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The chain is installed above the center of the plug part of the elevating post or at the lower end of the mounting bar, and one side of the plug part has an indentation that is opened to accommodate the first sprocket and the guide rail of the guide housing, A guide protrusion protruding to be inserted into the guide rail of the guide housing when the elevating post is pulled up to the guide housing may be provided on opposite surfaces of the indentation.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스프라켓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모터; 상기 모터를 상기 가이드 하우징에 결합시키는 부싱; 상기 승강 포스트가 상기 고정 포스트에 안착되었을 때, 상기 모터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리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may include a motor for rotating the first sprocket in a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a bushing coupling the motor to the guide housing; When the elevating post is seated on the fixing post, a limiter for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motor; may include.

상기 구동부는, 상기 고정 포스트의 일측에 결합되는 모터 하우징; 상기 모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체인이 감기는 제2스프라켓; 상기 모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제2스프라켓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모터; 상기 모터를 상기 모터 하우징에 결합시키는 부싱; 상기 승강 포스트가 상기 고정 포스트에 안착되었을 때, 상기 모터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리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may include a motor housing coupled to one side of the fixing post; a second sprocket installed on the motor housing to wind the chain; a motor installed in the motor housing to rotate the second sprocket in a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a bushing coupling the motor to the motor housing; When the elevating post is seated on the fixing post, a limiter for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motor; may include.

상기 리미터는, 상기 부싱에 결합되며, 상기 부싱의 직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레버; 상기 레버의 움직임에 의해 눌려지는 스위치;를 포함하여, 상기 승강 포스트가 상기 고정 포스트에 안착되었을 때, 상기 모터의 회전 반발력에 의해 상기 부싱이 회전되며, 그에 따라 상기 레버가 상기 스위치를 누르도록 구비될 수 잇다.The limiter may include a lever coupled to the bushing and extending radially outwardly of the bushing; a switch pressed by the movement of the lever; including, when the lifting post is seated on the fixed post, the bushing is rotated by the rotational repulsive force of the motor, so that the lever presses the switch can be

상기 레버의 상기 부싱의 외측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의 일 지점을 탄성 지지하는 레버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lever may further include a lever support for elastically supporting a point of a portion extending outwardly of the bushing of the lever.

상기 고정 포스트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 포스트에 안착된 상기 승강 포스트를 지지하는 포스트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post support part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fixing post to support the elevating post seated on the fixing post.

상기 포스트 지지부는, 상기 고정 포스트에 결합되며 상기 고정 포스트보다 상측으로 더 연장되는 수직부; 상기 수직부로부터 상기 승강 포스트의 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며, 상기 승강 포스트가 인입되어 지지되도록 상기 승강 포스트 측이 개구되어 만입 형성된 슬롯이 형성된 수평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st support portion may include: a vertical portion coupled to the fixing post and extending upward more than the fixing post; It may include; a horizontal portion extending from the vertical portion to the side of the lifting post is bent, the lifting post side is opened so that the indentation of the slot is formed indented so that the lifting post is supported.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인양식 설치기둥은 카메라 설치 및 탈거 작업을 지면에서 할 수 있어 작업편의성은 물론 작업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camera lifting type installation p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and removed from the ground, so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safety of the operator as well as the convenience of operation.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ffects, and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inferred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r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인양식 설치기둥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인양식 설치기둥의 상측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인양식 설치기둥의 승강 포스트의 플러그부 및 마운팅 바아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인양식 설치기둥의 승강 포스트가 지면 인근까지 하강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인양식 설치기둥의 승강 포스트가 인양되면서 고정 포스트 상단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인양식 설치기둥의 승강모듈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인양식 설치기둥의 승강모듈 및 구동부의 분해사시도 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인양식 설치기둥의 승강모듈 및 구동부의 단면도 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인양식 설치기둥이 정회전 상태일 때의 리미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인양식 설치기둥의 승강 포스트의 인양이 완료되어 고정 포스트에 고정되었을 때의 구동부의 단면도 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인양식 설치기둥의 승강 포스트의 인양이 완료되어 고정 포스트에 고정되었을 때의 리미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인양식 설치기둥의 구동부가 고정 포스트의 하측에 구비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인양식 설치기둥의 장력인가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camera lifting type installation po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upper side of the camera lifting type installation po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plug portion and the mounting bar of the lifting post of the camera lifting type installation po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levating post of the camera lifting-type installation pole is lowered to the vicinity of the grou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the elevating post of the camera lifting type installation post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fixed post while being lif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 of the elevating module of the camera lifting type installation po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lifting module and a driving unit of a camera lifting type installation colum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levating module and the driving unit of the camera lifting type installation colum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 limiter when the camera lifting type installation post in a forward rotation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riving unit when the lifting of the lifting post of the camera lifting type installation post is completed and fixed to the fixed po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showing a limiter when the lifting of the lifting post of the camera lifting type installation post is completed and fixed to the fixed po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riving unit of the camera lifting type installation post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fixing po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tension applying part of the camera lifting type installation po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도면에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implement them.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from the drawings,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단어와 용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고,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발명자가 용어와 개념을 정의할 수 있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words and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ed in their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but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 that the inventor can define terms and concepts in order to best describe his invention.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그러므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해당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해당 구성은 본 발명의 출원시점에서 이를 대체할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가 있을 수 있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correspond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 configuration may be replaced by various There may be equivalents and variations.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설명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are intended to describe the exist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와 바로 접하여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연결"되어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로 직접 연결되는 것뿐만 아니라 간접적으로 서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한다.The presence of an element "in front", "behind", "above" or "below" of another element means that, unless otherwise specified, it is in direct contact with another element, such as "front", "behind", "above" or "below". It includes not only those disposed under the “lower part” but also cases in which another component is disposed in the middle. In addition, when a component is "connected" with another component, it includes not only direct connection to each other but also indirect connection to each other unless otherwise specified.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50) 인양식 설치기둥(100)을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camera 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 type of installation pillar 100.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50) 인양식 설치기둥(100)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50) 인양식 설치기둥(100)의 상측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camera 50 lifting type installation pos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amera 50 lifting type installation pos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showing the upper side of the enlarged.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50) 인양식 설치기둥(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포스트(110), 승강 포스트(120) 및 승강모듈(130)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 the camera 50 lifting type installation post 1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may include a fixed post 110 , a lifting post 120 , and a lifting module 130 .

상기 고정 포스트(110)는, 설치면으로부터 상부 측으로 연장되는 기둥 형태일 수 있다. The fixing post 110 may be in the form of a pillar extending upward from the installation surface.

상기 고정 포스트(110)는 중공의 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부단은 상기 승강 포스트(120)의 안착을 위해 개구될 수도 있다.The fixing post 110 may be formed in a hollow tube shape, and the upper end may be opened for seating of the elevating post 120 .

상기 승강 포스트(120)는 카메라(50)가 설치되며, 상기 고정 포스트(110)의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elevating post 120 has a camera 50 installed therein, and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fixing post 110 .

또한, 상기 승강모듈(130)은 상기 승강 포스트(120)를 상기 고정 포스트(110)의 상단까지 끌어올려 상기 고정 포스트(110)의 상단에 상기 승강 포스트(120)를 안착시켜 고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vating module 130 may raise the elevating post 120 up to the upper end of the fixing post 110 and seat the elevating post 120 on the upper end of the fixed post 110 to be fixed.

한편, 상기 고정 포스트(110)의 상단에는 상기 승강 포스트(120)가 안착되는 시트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시트부(112)는 상기 승강 포스트(120)의 하단부가 일부 삽입된 상태에서 안착되도록 하측으로 만입되도록 라운드 지거나 또는 개구될 수 있다(도 6참조).Meanwhile, a seat portion 112 on which the elevating post 120 is seated may be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fixing post 110 . The seat portion 112 may be rounded or opened so as to be indented downward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elevating post 120 is seated in a partially inserted state (see FIG. 6 ).

상기 승강 포스트(12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부(122)와 마운팅 바아(124)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2 and 3 , the lifting post 120 may include a plug part 122 and a mounting bar 124 .

상기 플러그부(122)는, 상기 승강 포스트(120)의 하부측을 형성하며, 상기 시트부(112)에 삽입되어 안착되는 부분이다.The plug part 122 forms a lower side of the elevating post 120 , and is inserted and seated in the seat part 112 .

상기 플러그부(122)는 안정적인 안착을 위해 전체적으로 둥근 구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The plug part 122 may form a part of an overall round sphere for stable seating.

또한, 상기 플러그부(122)의 테두리는 상기 시트부(112)의 테두리에 결쳐지도록 외측 둘레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im of the plug part 122 may be formed to protrude outwardly so as to fit over the rim of the sheet part 112 .

상기 마운팅 바아(124)는, 상기 플러그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며, 카메라(50)가 고정될 수 있다.The mounting bar 124 may extend upwardly from the plug, and the camera 50 may be fixed thereto.

한편, 상기 승강모듈(13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승강 포스트(120)를 상기 고정 포스트(110)의 상단까지 끌어올려, 상기 승강 포스트(120)의 플러그부(122)를 상기 고정 포스트(110)의 시트부(112)에 안착시키는 구성요소이며,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하우징(132), 체인(134), 제1스프라켓(136) 및 구동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elevating module 130 raises the elevating post 120 to the upper end of the fixed post 110 , and attaches the plug 122 of the elevating post 120 to the fixed post. It is a component to be seated on the seat portion 112 of the 110, and as shown in FIGS. 2 and 6, the guide housing 132, the chain 134, the first sprocket 136, and the driving unit 150. may include

상기 가이드 하우징(132)은 상기 고정 포스트(110)의 상단에 결합되며, 한쌍의 플레이트가 소정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guide housing 132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fixing post 110 , and a pair of plates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이 때, 상기 가이드 하우징(132)의 상단은 상기 고정 포스트(110)의 시트부(112)보다 더 높은 위치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하우징(132)은 상기 시트부(112)에 연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upper end of the guide housing 132 is form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seat portion 112 of the fixing post 110 , and the guide housing 132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seat portion 112 . can

한편, 상기 체인(134)은 일측 끝단이 상기 승강 포스트(120)의 하단에 결합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인(134)은 상기 승강 포스트(120)의 플러그의 중심 상측 또는 상기 마운팅 바아(124)의 하단에 설치될 수 있다.Meanwhile, one end of the chain 134 may be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elevating post 120 . That is, as shown in FIG. 3 , the chain 134 may be installed above the center of the plug of the elevating post 120 or at the lower end of the mounting bar 124 .

상기 제1스프라켓(136)은 상기 가이드 하우징(132)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외주의 톱니에 상기 체인(134)이 결합되어 회전되면서 상기 체인(134)을 이동시킬 수 있다.The first sprocket 136 is rotatably mounted between the guide housings 132 , and the chain 134 is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y teeth to move the chain 134 while rotating.

그리고, 상기 구동부(150)는 상기 체인(134)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부(150)는 상기 가이드 하우징(132)에 설치되어 상기 제1스프라켓(136)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승강 포스트(120)를 끌어올려 인양하거나 또는 하강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iving unit 150 is provided to move the chain 134 in a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In this embodiment, the driving unit 150 is installed in the guide housing 132 to rotate the first sprocket 136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to lift the lifting post 120 to lift or lower it. can be

한편, 상기 체인(134)에 의해 끌어올려지는 상기 승강 포스트(120)를 상기 고정 포스트(110)의 상기 시트부(112)까지 안내하는 안내부(140)가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a guide unit 140 for guiding the lifting post 120 pulled up by the chain 134 to the seat portion 112 of the fixing post 110 may be provided.

상기 안내부(140)는, 가이드 레일(142) 및 가이드 돌기(144)를 포함할 수 있다.The guide unit 140 may include a guide rail 142 and a guide protrusion 144 .

상기 가이드 레일(142)은 상기 가이드 하우징(132)의 양측 테두리 둘레에 형성되며, 일단은 상기 가이드 하우징(132)의 상기 고정 포스트(110)의 직경방향 외측을 향하는 측에 하측을 바라보도록 개구되어 형성되며, 타단은 상기 가이드 하우징(132)의 상기 고정 포스트(110)를 향하는 측에서 상기 시트부(112)의 상단까지 형성되며 마찬가지로 하측을 향하도록 형성 될 수 있다. The guide rail 142 is formed around both edges of the guide housing 132, and one end of the guide housing 132 is opened on the radially outward side of the fixing post 110 of the guide housing 132 to face downward. is formed, and the other end is formed from the side facing the fixing post 110 of the guide housing 132 to the upper end of the seat unit 112 and may be formed to face downward as well.

또한, 상기 승강 포스트(12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인(134)에 매달려 뒤집힌 상태로 인양되는데, 이러한 상태의 승강 포스트(120)를 다시 뒤집어 상기 고정 포스트(110)의 시트부(112)에 안착시켜야 하므로, 상기 가이드 레일(142)은 상기 일단과 타단의 사이가 역 U자 형태로 굴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2 and 3 , the lifting post 120 is lifted upside down by hanging on the chain 134 , and the lifting post 120 in this state is turned over again and the seat of the fixing post 110 . Since it needs to be seated on the part 112 , the guide rail 142 may be formed by bending between one end and the other end in an inverted U-shape.

또한, 상기 플러그부(122)의 일측은 상기 제1스프라켓(136)의 외주면 또는 상기 가이드 하우징(132)의 가이드 레일(142)이 수용되도록 개구된 만입부(126)가 형성되며, 상기 만입부(126)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상기 승강 포스트(120)가 상기 가이드 하우징(132)까지 끌어올려졌을 때 상기 가이드 하우징(132)의 상기 가이드 레일(142)에 삽입되도록 돌출된 가이드 돌기(144)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one side of the plug part 122 is formed with an indentation part 126 that is opened to accommodat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sprocket 136 or the guide rail 142 of the guide housing 132 , and the indentation part A guide protrusion 144 protruding to be inserted into the guide rail 142 of the guide housing 132 when the elevating post 120 is pulled up to the guide housing 132 on the opposite surfaces of the 126 . may be provided.

이 때, 상기 가이드 돌기(144)는 상기 플러그 부의 평면상 중심점에서 지름방향 외측으로 이격된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guide protrusion 144 may be formed at a point spaced apart from the central point in the planar view of the plug part in a radial direction.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 포스트(120)가 상기 체인(134)에 의해 거꾸로 뒤집힌 상태로 인양되다가 상기 가이드 하우징(132)까지 인양되면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 포스트(120)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144)가 상기 가이드 하우징(132)의 가이드 레일(142)로 삽입될 수 있다. That is, as shown in FIG. 6 , when the lifting post 120 is lifted upside down by the chain 134 in an upside-down state and then lifted up to the guide housing 132 , as shown in a of FIG. 5 , the A guide protrusion 144 formed on the elevating post 120 may be inserted into the guide rail 142 of the guide housing 132 .

이 때, 상기 승강 포스트(120)의 베이스에 만입부(126)가 형성되므로, 상기 제1스프라켓(136)의 외주둘레 일부와 상기 가이드 하우징(132)의 둘레 일부가 상기 만입부(126)의 내측으로 수용될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indentation portion 126 is formed in the base of the elevating post 120 , a portion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sprocket 136 and a portion of the circumference of the guide housing 132 are formed of the indentation portion 126 . can be accommodated inwardly.

상기 가이드 돌기(144)가 상기 가이드 레일(142)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체인(134)에 의해 더욱 당겨지면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 포스트(120)가 상기 가이드 레일(142)을 따라 이동되면서 자세가 반전되어 직립될 수 있다. When the guide protrusion 144 is further pulled by the chain 134 in a state in which the guide protrusion 144 is inserted into the guide rail 142, as shown in FIG. ), the posture can be reversed and upright.

이 상태에서 상기 체인(134)에 의해 더욱 당겨지게 되면,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 포스트(120)의 플러그가 상기 고정 포스트(110)의 시트부(112)에 안착되며, 상기 체인(134)이 계속 당겨져 그 장력에 의해 상기 승강 포스트(120)가 상기 고정 포스트(110)에 결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If it is further pulled by the chain 134 in this state, the plug of the elevating post 120 is seated on the seat portion 112 of the fixing post 110, as shown in FIG. As the chain 134 is continuously pulled, a state in which the elevating post 120 is coupled to the fixing post 110 may be maintained by the tension thereof.

그리고, 상기 승강 포스트(120)를 하강시키고자 할 때는 상기 모터(152)를 반대방향으로 역회전 시키면 상기한 바와 역순으로 상기 승강 포스트(120)가 이동되어 상기 승강 포스트(120)가 상기 시트부(112)에서 분리되어 하강될 수 있다.And, when the elevating post 120 is to be lowered, if the motor 152 is reversely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elevating post 120 is moved in the reverse order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elevating post 120 is the seat portion. It can be separated and descended at (112).

한편, 상기 승강 포스트(120)가 상기 시트부(112)에 안착되었을 때, 상기 승강 포스트(120)를 고정하며 지지하는 포스트 지지부(170)가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elevating post 120 is seated on the seat unit 112 , a post support unit 170 for fixing and supporting the elevating post 120 may be provided.

상기 포스트 지지부(17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부(172)와 수평부(174)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 the post support part 170 may include a vertical part 172 and a horizontal part 174 .

상기 수직부(172)는 상기 고정 포스트(110)에 결합되며 상기 고정 포스트(110)보다 상측으로 더 연장될 수 있다.The vertical portion 172 is coupled to the fixing post 110 and may extend further upward than the fixing post 110 .

상기 수평부(174)는 상기 수직부(172)로부터 상기 승강 포스트(120)의 마운팅 바아(124) 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며, 상기 마운팅 바아(124)를 향하는 측에 상기 시트부(112)에 안착되는 승강 포스트(120)의 마운팅 바아(124)가 인입되어 수용되는 슬롯(176)이 만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horizontal portion 174 is bent and extended from the vertical portion 172 toward the mounting bar 124 of the elevating post 120 , and is seated on the seat portion 112 on the side facing the mounting bar 124 . A slot 176 into which the mounting bar 124 of the elevating post 120 is retracted and accommodated may be indented.

따라서, 상기 승강 포스트(120)가 상기 지지부에 안착되면서 상기 승강 포스트(120)의 마운팅 바아(124)가 상기 슬롯(176)에 삽입되어 상기 포스트 지지부(170)에 지지됨으로써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ly, as the elevating post 120 is seated on the support portion, the mounting bar 124 of the elevating post 120 is inserted into the slot 176 and supported by the post support portion 170 , thereby improving stability. .

이 때, 상기 수평부(174)에는 상기 마운팅 바아(124)가 상기 슬롯(176)이 수용되었는지를 감지하는 센서(178)가 구비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a sensor 178 for detecting whether the slot 176 is accommodated in the mounting bar 124 may be provided on the horizontal portion 174 .

한편, 상기 구동부(15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체인(134)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요소로서, 본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부(15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152)와 부싱(154) 또는 리미터(160)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driving unit 150 is a component that moves the chain 134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In this embodiment, the driving unit 150 is configured as shown in FIGS. 6 and 7 . , it may include a motor 152 and a bushing 154 or a limiter 160 .

상기 모터(152)는 상기 제1스프라켓(136)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체인(134)을 이동시킬 수 있다. The motor 152 may move the chain 134 by rotating the first sprocket 136 in a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또한, 상기 부싱(154)은 상기 모터(152)와 상기 가이드 하우징(132)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모터(152)를 상기 가이드 하우징(132)에 결합시키도록 구비된다.In addition, the bushing 154 is provided between the motor 152 and the guide housing 132 to couple the motor 152 to the guide housing 132 .

이 때, 상기 부싱(154)은 자체의 탄성 또는 상기 모터(152)의 회전축의 둘레방향으로 유격을 가져, 상기 모터(152)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정각도 회전 또는 뒤틀림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ushing 154 may have its own elasticity or play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rotation shaft of the motor 152, so that it can be rotated or twisted at a certain angle around the rotation shaft of the motor 152. .

또한, 상기 리미터(160)는 승강 포스트(120)가 상기 고정 포스트(110)에 안착되었을 때, 상기 모터(152)의 작동을 중지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miter 160 may be provided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motor 152 when the elevating post 120 is seated on the fixing post 110 .

여기서, 상기 리미터(160)는, 레버(162), 스위치(164) 및 레버 지지부(166)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limiter 160 may include a lever 162 , a switch 164 and a lever support 166 .

상기 레버(162)는, 일단이 상기 부싱(154)에 결합되어 상기 부싱(154)의 직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lever 162 may have one end coupled to the bushing 154 to extend radially outward of the bushing 154 .

그리고, 상기 스위치(164)는 상기 가이드 하우징(132)에 구비되어 상기 레버(162)의 움직임에 의해 눌려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witch 164 may be provided in the guide housing 132 to be pressed by the movement of the lever 162 .

또한, 상기 레버 지지부(166)는, 상기 레버(162)의 상기 부싱(154)의 외측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의 일 지점을 탄성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In addition, the lever support part 166 may be provided to elastically support a point of the portion extending outwardly of the bushing 154 of the lever 162 . In this embodiment, the example supported by the spring is described, but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즉, 상기 부싱(154)이 자체의 탄성 또는 상기 모터(152)의 회전축의 둘레방향으로 유격을 가져, 상기 모터(152)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정각도 회전 또는 뒤틀림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레버(162)가 상기 부싱(154)에 결합되어 연장되므로, 상기 레버(162)는 상기 부싱(154)의 뒤틀림 또는 회전을 따라 같이 이동될 수 있고, 이동되면서 상기 리미터(160)의 스위치(164)를 누를 수 있다.That is, the bushing 154 has its own elasticity or play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rotation shaft of the motor 152, so that it can be rotated or twisted at a certain angle around the rotation shaft of the motor 152, and the lever Since the 162 is coupled to the bushing 154 and extended, the lever 162 can be moved along with the twist or rotation of the bushing 154, and as it moves, the switch 164 of the limiter 160 is moved. can be pressed.

이 때, 상기 리미터(160)의 스위치(164)가 눌려질 경우, 상기 구동부(150)의 작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switch 164 of the limiter 160 is pressed, it is possible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150.

즉, 상기 구동부(150)가 정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승강 포스트(120)가 인양될 때에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미터(160)의 레버(162)가 상기 스위치(164)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모터(152)가 구동되며, 상기 모터(152)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제1스프라켓(136)이 회전되어 상기 체인(134) 및 상기 승강 포스트(120)가 인양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driving unit 150 is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the lifting post 120 is lifted, the lever 162 of the limiter 160 moves from the switch 164 as shown in FIGS. 8 and 9 . The motor 152 is driven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first sprocket 136 is rotated by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152 to lift the chain 134 and the lifting post 120 .

한편, 상기 승강 포스트(120)가 상기 고정 포스트(110)의 시트부(112)에 안착될 경우, 상기 체인(134)의 이동이 제한되며 더불어 상기 제1스프라켓(136) 및 상기 모터(152)도 더 이상 회전되지 못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elevating post 120 is seated on the seat portion 112 of the fixing post 110 , the movement of the chain 134 is limited, and the first sprocket 136 and the motor 152 . can no longer rotate.

이 때,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스프라켓(136)이 회전되지 못하므로, 상기 모터(152)의 회전력은 상기 제1스프라켓(136)이 아닌 상기 모터(152)를 회전시킬 수 있다. At this time, as shown in FIGS. 10 and 11 , since the first sprocket 136 cannot be rotated,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152 is applied to the motor 152, not the first sprocket 136. can be rotated

따라서, 상기 모터(152)가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되며, 그에 따라 상기 부싱(154) 또한 회전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motor 152 is rotated as shown in FIGS. 10 and 11 , and accordingly, the bushing 154 can also be rotated.

상기 부싱(154)에 결합된 레버(162) 또한 회전되며, 상기 레버(162)가 회전되면서 상기 레버(162)의 끝단이 상기 스위치(164)를 누르게 되며, 상기 스위치(164)가 눌려짐이 감지되면 상기 승강 포스트(120)가 상기 시트부(112)에 안착되었다고 판단하여 상기 모터(152)의 작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The lever 162 coupled to the bushing 154 is also rotated, and as the lever 162 is rotated, the end of the lever 162 presses the switch 164, and the switch 164 is pressed. When it is detected, it is determined that the lifting post 120 is seated on the seat part 112 , and the operation of the motor 152 may be stopped.

상기 모터(152)의 작동이 중지된 후에는 상기 레버 지지부(166)의 탄성에 의해 상기 레버(162) 및 부싱(154)이 원위치로 회전되면서 상기 스위치(164)의 눌림 상황이 해제될 수 있다.After the operation of the motor 152 is stopped, the lever 162 and the bushing 154 are rotated to their original positions due to the elasticity of the lever support part 166 , and the pressing situation of the switch 164 may be released. .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모터(152)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미터(160) 또는 상기 센서(178)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통해 상기 모터(152)를 제어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controller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motor 152 may be provided.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motor 152 through a signal input from the limiter 160 or the sensor 178 .

즉, 상기 리미터(160)와 상기 센서(178)에서 접촉 신호가 모두 감지될 때에는 상기 승강 포스트(120)가 상기 시트부(112)에 안착되었다고 판단하여 상기 모터(152)의 작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또한, 승강 포스트(120)가 상기 시트부(112)에 안착되었다고 판단된 후, 사용자의 입력이 없었음에도 상기 센서(178)의 접촉 신호가 사라질 경우, 상기 고정 포스트(110)에 작용되는 장력이 헐거워 상기 고정 포스트(110)가 흔들리고 있다고 판단하여 상기 모터(152)를 회전시켜 상기 승강 포스트(120)를 하측에서 잡아당기는 힘을 증가시켜 상기 승강 포스트(120)의 고정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That is, when both the contact signals are detected by the limiter 160 and the sensor 178, it is determined that the lifting post 120 is seated on the seat part 112, and the operation of the motor 152 can be stopped. have. In addition, after it is determined that the elevating post 120 is seated on the seat part 112 , when the contact signal of the sensor 178 disappears even if there is no user input, the tension applied to the fixing post 110 is It is determined that the fixing post 110 is shaking because it is loose, and the motor 152 is rotated to increase the pulling force of the lifting post 120 from the lower side, thereby increasing the fixing force of the lifting post 120 .

한편, 상기 카메라(50) 이외에도 상기 구동부(150)의 유지보수가 필요할 상황이 발생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구동부(150)의 모터(152) 등이 높은 위치에 설치되면 작업자 또한 높은 위치까지 올라가야 하므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250)를 상기 고정 포스트(110)의 지면 인근에 설치할 수도 있다.Meanwhile, in addition to the camera 50 , there may be a situation in which maintenance of the driving unit 150 is required. At this time, when the motor 152 of the driving unit 150 is installed at a high position, the operator also has to climb to a high position, so as shown in FIG. It can also be installed near the ground.

이 때, 상기 구동부(250)는, 모터 하우징(256), 제2스프라켓(258), 모터(252) 및 리미터(260)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driving unit 250 may include a motor housing 256 , a second sprocket 258 , a motor 252 , and a limiter 260 .

상기 모터 하우징(256)의 상기 고정 포스트(110)의 지면 인근 높이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It may be coupled to one side of the height near the ground of the fixing post 110 of the motor housing 256 .

상기 제2스프라켓(258)은 상기 모터 하우징(256)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체인(134)이 감길 수 있다. The second sprocket 258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motor housing 256 and the chain 134 can be wound.

물론, 상기 제2스프라켓(258) 이외에도 복수개의 스프라켓이 추가될 수 있을 것이다.Of course, a plurality of sprockets may be added in addition to the second sprocket 258 .

상기 모터(252)는 상기 모터 하우징(256)에 설치되고, 상기 제2스프라켓(258)에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2스프라켓(258)을 정역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체인(134)을 이동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motor 252 is installed in the motor housing 256 and is provided to transmit a driving force to the second sprocket 258 to move the chain 134 by rotating the second sprocket 258 forward and reverse. can be provided.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모터를 상기 모터 하우징에 결합시키는 부싱(미도시)가 전술한 실시예의 부싱(154)와 유사하게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 bushing (not shown) for coupling the motor to the motor housing may be provided similarly to the bushing 154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상기 리미터(260)는 전술한 리미터(260)와 유사하게, 상기 승강 포스트(120)가 상기 고정 포스트(110)에 안착되었을 때, 상기 모터(252)의 작동을 중지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limiter 260 may be provided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motor 252 when the elevating post 120 is seated on the fixing post 110 , similarly to the above-described limiter 260 .

따라서, 작업자가 상기 카메라(50)뿐만 아니라, 구동부(250)의 유지보수도 편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operator can conveniently and safely perform maintenance of not only the camera 50 but also the driving unit 250 .

한편, 상기 승강 포스트(120)가 상기 고정 포스트(110)에 안착되어 고정된 상태에서는 상기 승강 포스트(120)가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어 있으나, 상기 승강 포스트(120)가 상기 고정 포스트(110)의 상부로 인양되는 과정 또는 상기 고정 포스트(110)로부터 탈거되어 하부로 하강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승강 포스트(120)가 고정되지 아니한 자유단 상태이므로 바람이나 외력 등에 의해 흔들릴 수 있으며, 이는 장비나 시설의 파손 또는 안전사고를 야기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a state in which the elevating post 120 is seated and fixed on the fixed post 110 , the elevating post 120 is fixed without moving, but the elevating post 120 is the fixed post 110 . In the process of lifting upward or in the process of being detached from the fixed post 110 and descending to the lower part, the lifting post 120 is in a free end state that is not fixed, so it may be shaken by wind or external force, which may cause damage to equipment or facilities. Or it may cause a safety accident.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승강 포스트(120)가 상기 고정 포스트(110)에 고정되지 아니한 상태일 때에 상기 승강 포스트(120) 또는 상기 체인(134)에 장력을 인가하여, 상기 승강 포스트(120)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장력 인가부(182)가 더 구비될 수 있다.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this problem, when the elevating post 120 is not fixed to the fixing post 110, tension is applied to the elevating post 120 or the chain 134, and the elevating post ( A tension applying unit 182 that prevents the 120 from shaking may be further provided.

상기 장력 인가부(182)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182) 및 고정핀(184)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3 , the tension applying unit 182 may include a wire 182 and a fixing pin 184 .

상기 와이어(182)는, 일단이 상기 승강 포스트(120) 또는 상기 체인(134)의 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 포스트(110)의 하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고정핀(184)은 상기 와이어(182)의 끝단에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182)의 끝단을 상기 고정 포스트(110)에 선택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The wire 182, one end is connected to the elevating post 120 or the chain 134, the other end is extended to the lower side of the fixing post 110, the fixing pin 184 is the wire ( 182),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fix the end of the wire 182 to the fixing post (110).

상기 고정 포스트(110)의 측면에는 상기 고정핀(184)이 삽입되는 홀(186)이 높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와이어(182)가 시간 또는 기후 또는 반복사용시 늘어날 수 있음을 대비하기 위한 것이다.One or more holes 186 into which the fixing pins 184 are inserted may be provided at a side surface of the fixing post 110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height direction. This is to prepare for the possibility that the wire 182 may be stretched over time, weather, or repeated use.

따라서, 상기 승강 포스트(120)의 인양 또는 하강시 등 상기 승강 포스트(120)가 상기 고정 포스트(110)에 고정되지 아니한 상태일 때에는 작업자가 상기 와이어(182)를 당겨 상기 승강 포스트(120)가 흔들리지 않도록 상기 승강 포스트(120)에 장력을 인가하면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elevating post 120 is not fixed to the fixed post 110, such as when lifting or lowering the elevating post 120, the operator pulls the wire 182 and the elevating post 120 is The operation may be performed while applying tension to the elevating post 120 so as not to be shaken.

이 때, 상기 체인(134)의 끝단은 상기 승강 포스트(120)와 결합된 지점으로부터 더 연장되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 포스트(120)가 상기 고정 포스트(110)에 안착되어 고정이 완료되었을 때, 상기 체인(134)이 상기 제1스프라켓(136)에 치합된 후 끝단이 지면측을 바라보도록 연장되며, 그 끝단에 상기 와이어(182)가 결합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end of the chain 134 further extends from the point where it is coupled to the elevating post 120 , and as shown in FIG. 13 , the elevating post 120 is seated on the fixing post 110 . When the fixing is completed, after the chain 134 is engaged with the first sprocket 136 , the end is extended to face the ground side, and the wire 182 may be coupled to the en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presented herei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dd or change compon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pirit. Other embodiments can be easily proposed by , deletion, addition, etc., but this will als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50: 카메라 100: 설치기둥
110: 고정 포스트 112: 시트부
120: 승강 포스트 122: 플러그부
124: 마운팅 바아 126: 만입부
130: 승강모듈 132: 가이드 하우징
134: 체인 136: 제1스프라켓
140: 안내부 142: 가이드 레일
144: 가이드 돌기 150: 구동부
152: 모터 154: 부싱
160: 리미터 162: 레버
164: 스위치 166: 레버 지지부
170: 포스트 지지부 172: 수직부
174: 수평부 176: 슬롯
178: 센서
50: camera 100: installation column
110: fixing post 112: seat portion
120: elevating post 122: plug part
124: mounting bar 126: indentation
130: elevating module 132: guide housing
134: chain 136: first sprocket
140: guide 142: guide rail
144: guide projection 150: driving unit
152: motor 154: bushing
160: limiter 162: lever
164: switch 166: lever support
170: post support 172: vertical portion
174: horizontal portion 176: slot
178: sensor

Claims (14)

설치면으로부터 상부 측으로 연장된 고정 포스트;
카메라가 설치되며, 상기 고정 포스트의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 포스트; 및
상기 승강 포스트를 상기 고정 포스트의 상단까지 끌어올려 상기 고정 포스트의 상단에 상기 승강 포스트를 안착시켜 고정하는 승강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모듈은,
상기 고정 포스트의 상단에 결합되는 가이드 하우징;
일측 끝단이 상기 승강 포스트의 하단에 결합된 체인;
상기 가이드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체인을 이동시키는 제1스프라켓;
상기 체인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
를 포함하는 카메라 인양식 설치기둥.
a fixing post extending upwardly from the installation surface;
an elevating post on which a camera is installed and detachably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fixed post; and
an elevating module for raising the elevating post to an upper end of the fixed post and fixing the elevating post by seating the elevating post on the upper end of the fixed post;
including,
The elevating module is
a guide housing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fixing post;
a chain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elevating post;
a first sprocket rotatably coupled to the guide housing to move the chain;
a driving unit for moving the chain in a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A camera lifting type installation pol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포스트는,
상단에 상기 승강 포스트가 안착되는 시트부가 형성되는, 카메라 인양식 설치기둥.
According to claim 1,
The fixing post is
A camera lift-type installation column in which a seat portion on which the elevating post is seated is formed on the upper en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포스트는,
상기 승강 포스트의 하부측을 형성하며, 상기 시트부에 삽입되어 안착되는 플러그부;
상기 플러그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며, 카메라가 고정되는 마운팅 바아;
를 포함하는, 카메라 인양식 설치기둥.
3. The method of claim 2,
The lifting post is
a plug part which forms a lower side of the elevating post and is inserted and seated in the seat part;
a mounting bar extending upwardly from the plug part and to which the camera is fixed;
Including, a camera lift-type installation pole.
삭제delet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모듈은, 상기 체인에 의해 끌어올려지는 상기 승강 포스트를, 상기 고정 포스트의 상기 시트부까지 안내하는 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인양식 설치기둥.
4. The method of claim 3,
The elevating module further comprises a guide for guiding the elevating post pulled up by the chain to the seat portion of the fixed post, the camera lifting type installation pos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상기 가이드 하우징의 양측 테두리 둘레에 일단은 하측을 바라보도록 개구되고, 타단은 상기 시트부의 상단까지 형성되며, 상기 일단과 타단의 사이가 역U자 형태로 굴곡 형성되어, 뒤집힌 상태에서 인양되는 승강 포스트를 정자세로 반전시키면서 상기 시트부까지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
상기 체인은, 상기 승강 포스트의 플러그부의 중심 상측 또는, 상기 마운팅 바아의 하단에 설치되며,
상기 플러그부의 일측은 상기 제1스프라켓 및 상기 가이드 하우징의 상기 가이드 레일이 수용되도록 개구된 만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만입부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상기 승강 포스트가 상기 가이드 하우징까지 끌어올려졌을 때 상기 가이드 하우징의 상기 가이드 레일에 삽입되도록 돌출된 가이드 돌기가 구비되는, 카메라 인양식 설치기둥.
6. The method of claim 5,
The guide is
One end of the guide housing is opened to face the lower side around both edges of the guide housing, and the other end is formed up to the upper end of the seat portion, and between the one end and the other end is bent in an inverted U shape, and the lifting post is lifted in an inverted state. a guide rail for guiding to the seat portion while inverting the upright posture;
The chain is installed above the center of the plug part of the elevating post or at the lower end of the mounting bar,
One side of the plug part is formed with an indentation that is opened to accommodate the first sprocket and the guide rail of the guide housing,
A camera lifting type installation post provided with a guide projection protruding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guide rail of the guide housing when the elevating post is pulled up to the guide housing on the opposite surfaces of the indent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스프라켓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모터;
상기 모터를 상기 가이드 하우징에 결합시키는 부싱;
상기 승강 포스트가 상기 고정 포스트에 안착되었을 때, 상기 모터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리미터;
를 포함하는, 카메라 인양식 설치기둥.
According to claim 1,
The driving unit,
a motor rotating the first sprocket in a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a bushing coupling the motor to the guide housing;
a limiter for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motor when the elevating post is seated on the fixed post;
Including, a camera lift-type installation po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고정 포스트의 일측에 결합되는 모터 하우징;
상기 모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체인이 감기는 제2스프라켓;
상기 모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제2스프라켓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모터;
상기 모터를 상기 모터 하우징에 결합시키는 부싱;
상기 승강 포스트가 상기 고정 포스트에 안착되었을 때, 상기 모터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리미터;
를 포함하는, 카메라 인양식 설치기둥.
According to claim 1,
The driving unit,
a motor housing coupled to one side of the fixing post;
a second sprocket installed on the motor housing to wind the chain;
a motor installed in the motor housing to rotate the second sprocket in a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a bushing coupling the motor to the motor housing;
a limiter for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motor when the elevating post is seated on the fixed post;
Including, a camera lift-type installation pole.
제7항 또는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미터는,
상기 부싱에 결합되며, 상기 부싱의 직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레버;
상기 레버의 움직임에 의해 눌려지는 스위치;
를 포함하여,
상기 승강 포스트가 상기 고정 포스트에 안착되었을 때, 상기 모터의 회전 반발력에 의해 상기 부싱이 회전되며, 그에 따라 상기 레버가 상기 스위치를 누르도록 구비되는, 카메라 인양식 설치기둥.
9.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7 or 8,
The limiter is
a lever coupled to the bushing and extending radially outwardly of the bushing;
a switch pressed by the movement of the lever;
including,
When the lifting post is seated on the fixed post, the bushing is rotated by the rotational repulsive force of the motor, and accordingly the lever is provided to press the switch, the camera lifting type installation post.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상기 부싱의 외측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의 일 지점을 탄성 지지하는 레버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인양식 설치기둥
10. The method of claim 9,
Further comprising a lever support for elastically supporting a point of a portion extending outwardly of the bushing of the lever, the camera lifting type installation pos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포스트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 포스트에 안착된 상기 승강 포스트를 지지하는 포스트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인양식 설치기둥.
According to claim 1,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fixed post, the camera lifting type installation post further comprising a post support for supporting the elevating post seated on the fixed post.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 지지부는,
상기 고정 포스트에 결합되며 상기 고정 포스트보다 상측으로 더 연장되는 수직부;
상기 수직부로부터 상기 승강 포스트의 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며, 상기 승강 포스트가 인입되어 지지되도록 상기 승강 포스트 측이 개구되어 만입 형성된 슬롯이 형성된 수평부;
를 포함하는, 카메라 인양식 설치기둥.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post support part,
a vertical portion coupled to the fixing post and extending upwardly more than the fixing post;
a horizontal portion extending from the vertical portion to the side of the lifting post and having an indented slot formed by opening the side of the lifting post so that the lifting post is retracted and supported;
Including, a camera lift-type installation po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포스트가 상기 고정 포스트에 고정되지 아니한 상태일 때에 상기 승강 포스트 또는 상기 체인에 장력을 인가하여, 상기 승강 포스트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장력 인가부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인양식 설치기둥.
The method of claim 1,
By applying a tension to the elevating post or the chain when the elevating post is not fixed to the fixed post, the elevating post further comprises a tension applying unit for preventing the elevating post from shaking, the camera lifting type installation post.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 인가부는,
일단이 상기 승강 포스트 또는 상기 체인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 포스트의 하측으로 연장된 와이어를 포함하는, 카메라 인양식 설치기둥.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tension applying unit,
One end is connected to the elevating post or the chain, and the other end includes a wire extending below the fixing post, the camera lifting type installation post.
KR1020220021317A 2022-02-18 2022-02-18 Lift Type CCTV Pole KR10244206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1317A KR102442068B1 (en) 2022-02-18 2022-02-18 Lift Type CCTV Po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1317A KR102442068B1 (en) 2022-02-18 2022-02-18 Lift Type CCTV Po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2068B1 true KR102442068B1 (en) 2022-09-07

Family

ID=83278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1317A KR102442068B1 (en) 2022-02-18 2022-02-18 Lift Type CCTV Po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2068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36068A (en) * 1995-06-07 1996-12-17 Babcock Hitachi Kk Camera elevating/descending support pole
KR200429331Y1 (en) * 2006-08-10 2006-10-20 정연덕 Up and down structure of camera for closed-circuit television
KR101037631B1 (en) * 2010-12-13 2011-05-30 주식회사 대로 Elevator type support structure for cctv
KR101074084B1 (en) * 2011-04-13 2011-10-17 주식회사 대로 Elevator type support structure for cctv
KR101848835B1 (en) * 2017-10-13 2018-05-24 (주)오티에스 Lifting device for CCTV camera and such
KR101921702B1 (en) * 2018-09-17 2018-11-23 최영춘 Lifting device for cctv
JP2020022080A (en) * 2018-08-01 2020-02-06 株式会社ウイル Antenna mounting device, mounting method, and maintenance inspection method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36068A (en) * 1995-06-07 1996-12-17 Babcock Hitachi Kk Camera elevating/descending support pole
KR200429331Y1 (en) * 2006-08-10 2006-10-20 정연덕 Up and down structure of camera for closed-circuit television
KR101037631B1 (en) * 2010-12-13 2011-05-30 주식회사 대로 Elevator type support structure for cctv
KR101074084B1 (en) * 2011-04-13 2011-10-17 주식회사 대로 Elevator type support structure for cctv
KR101848835B1 (en) * 2017-10-13 2018-05-24 (주)오티에스 Lifting device for CCTV camera and such
JP2020022080A (en) * 2018-08-01 2020-02-06 株式会社ウイル Antenna mounting device, mounting method, and maintenance inspection method
KR101921702B1 (en) * 2018-09-17 2018-11-23 최영춘 Lifting device for cctv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90311B2 (en) Lifting device for high-altitude installation equipment
KR101291728B1 (en) Cctv pole system capable of moving camera up and down
US3609898A (en) Vertically adjustable sign
KR101848835B1 (en) Lifting device for CCTV camera and such
US4115845A (en) Automatic locking and support device for high mast lighting structure
US3958116A (en) Luminaire ring lowering mechanism
KR101758202B1 (en) Elevating link apparatus and structure of the Pole
US5386867A (en) Venetian blind
KR102442068B1 (en) Lift Type CCTV Pole
KR101903051B1 (en) Elevating apparatus
KR102050020B1 (en) Up and down apparatus of highly mounted equipment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20100024884A (en) Lifting device of lighting-lamp
US3862744A (en) Automatic locking of high-level luminaires
KR101647766B1 (en) Up and down type cctv camera system
CN210886986U (en) Triggered construction site warning device
JP3559537B2 (en) Chain gate
US4661894A (en) Stabilizing device for luminaire support ring
JPH0526645Y2 (en)
JP2679919B2 (en) lift device
CN219916575U (en) Automatic descending device for signboards
CN219828337U (en) Intelligent corridor monitoring device of building
JP3231939B2 (en) Winder wire retaining device
CA1101394A (en) Luminaire raising and lowering system
JP4235777B2 (en) Lifting lighting device
KR100559431B1 (en) An apparatus for preventing press mold soundproofing cover from fall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