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2759B1 - 다기능 가공배전선로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다기능 가공배전선로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2759B1
KR101902759B1 KR1020180010235A KR20180010235A KR101902759B1 KR 101902759 B1 KR101902759 B1 KR 101902759B1 KR 1020180010235 A KR1020180010235 A KR 1020180010235A KR 20180010235 A KR20180010235 A KR 20180010235A KR 101902759 B1 KR101902759 B1 KR 1019027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insulator
support
pins
vertical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0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청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청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청평
Priority to KR1020180010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27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2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27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53Suspension clamps and clips for electric overhead lines not suspended to a supporting wi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24Insulators apertured for fixing by nail, screw, wire, or bar, e.g. diabolo, bobbi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38Fittings, e.g. caps; Fastening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가공배전선로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주(P)에 설치되는 고정밴드(11)와; 고정밴드(11)의 우측에 설치되는 지지대(12)와; 수직판(13)의 상측에 좌우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전후로 나란하게 위치하는 제1,2관통홀(13a,13b)과, 수직판(13)의 하측에 좌우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전후로 나란하게 위치하는 제3,4관통홀(13c,13d)을 구비하여, 지지대(12)의 우측에 설치되는 수직판(13) 및; 수직판(13)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설치되는 제1,2수평판(14,15)을 갖춘 고정기구(10)와:
고정기구(10)의 제1,2수평판(14,15)을 상하로 관통하여, 상측이 제1수평판(14)의 상방으로 돌출되고, 하측이 제2수평판(15)의 하방으로 돌출되는 애자고정핀(21)과; 제1수평판(14)의 상면에 위치하고, 상기 애자고정핀(21)에 나사산 체결되는 제1고정너트(22)와; 제2수평판(15)의 하면에 위치하고, 상기 애자고정핀(21)에 나사산 체결되는 제2고정너트(23) 및; 제1,2수평판(14,15)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애자고정핀(21)에 설치되는 애자(24)를 갖춘 제1애자기구(20)와:
제1지지부재(30)의 제1고정바(31)의 좌측에 상하로 개구된 고정홀(31a)이 형성되고, 수직판(13)의 제1관통홀(13a)에 삽탈가능하게 삽입되며, 좌측이 수직판(13)의 좌방으로 돌출되고, 우측이 수직판(13)의 우방으로 돌출되는 제1고정바(31)와; 제1지지부재(30)의 제2고정바(32)의 좌측에 상하로 개구된 고정홀(32a)이 형성되고, 수직판(13)의 제2관통홀(13b)에 삽탈가능하게 삽입되며, 좌측이 수직판(13)의 좌방으로 돌출되고, 우측이 수직판(13)의 우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1고정바(31)와 전후로 이격되게 구비되는 제2고정바(32) 및; 상기 제1,2고정바(31,32)의 우측에 구비되고, 좌방으로 개구되어 상기 애자고정핀(21)이 걸리는 걸림홈(33a)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2고정바(31,32)를 연결하는 지지판(33)을 갖춘 제1지지부재(30)와:
제2지지부재(40)의 제1고정바(41)의 좌측에 상하로 개구된 고정홀(41a)이 형성되고, 수직판(13)의 제3관통홀(13c)에 삽탈가능하게 삽입되며, 좌측이 수직판(13)의 좌방으로 돌출되고, 우측이 수직판(13)의 우방으로 돌출되는 제1고정바(41)와; 제2지지부재(40)의 제2고정바(42)의 좌측에 상하로 개구된 고정홀(42a)이 형성되고, 수직판(13)의 제4관통홀(13d)에 삽탈가능하게 삽입되며, 좌측이 수직판(13)의 좌방으로 돌출되고, 우측이 수직판(13)의 우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1고정바(41)와 전후로 이격되게 구비되는 제2고정바(42) 및; 상기 제1,2고정바(41,42)의 우측에 구비되고, 좌방으로 개구되어 상기 애자고정핀(21)이 걸리는 걸림홈(43a)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2고정바(41,42)를 연결하는 지지판(43)을 갖추고서, 제1지지부재(30)와 상하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2지지부재(40)와:
제1,2지지부재(30,40)의 지지판(33,43)을 상하로 관통하여, 상측이 제1지지부재(30)의 지지판(33)의 상방으로 돌출되고, 하측이 제2지지부재(40)의 지지판(43)의 하방으로 돌출되는 애자고정핀(51)과; 제1지지부재(30)의 지지판(33)의 상면에 위치하고, 상기 애자고정핀(51)에 나사산 체결되는 제1고정너트(52)와; 제1지지부재(30)의 지지판(33)의 하면에 위치하고, 상기 애자고정핀(51)에 나사산 체결되는 제2고정너트(53)와; 제2지지부재(40)의 지지판(43)의 상면에 위치하고, 상기 애자고정핀(51)에 나사산 체결되는 제3고정너트(54)와; 제2지지부재(40)의 지지판(43)의 하면에 위치하고, 상기 애자고정핀(51)에 나사산 체결되는 제4고정너트(55) 및; 제1,2지지부재(30,40)의 지지판(33,43)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애자고정핀(51)에 설치되는 애자(56)를 갖춘 제2애자기구(50)와:
상방으로 개구된 유입홀(61a)과, 연결체(61)의 내부에 좌우로 형성되고 유입홀(61a)과 연통되는 이동공간(61b)을 구비한 연결체(61)와; 연결체(61)의 유입홀(61a)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는 상부마개(62)와; 제1,2핀(63,64)의 내부에 상하로 각각 형성되어 연결체(61)의 이동공간(61b)과 각각 연통되는 낙유공간(63a,64a)과, 제1,2핀(63,64)의 상측 측부에 하방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각각 형성되고 상측이 낙유공간(63a,64a)과 각각 연통되며 하측이 제1,2핀(63,64)의 외부로 각각 개구되는 제1삽입홀(63b,64b)과, 제1,2핀(63,64)의 하측 측부에 하방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각각 형성되고 상측이 낙유공간(63a,64a)과 각각 연통되며 하측이 제1,2핀(63,64)의 외부로 각각 개구되는 제2삽입홀(63c,64c)과, 제1,2핀(63,64)의 하측에 상하로 각각 개구되게 형성되고 낙유공간(63a,64a)과 각각 연통되는 배출홀(63d,64d)을 각각 갖추고서, 제1,2지지부재(30,40)의 제1고정바(31,41)의 고정홀(31a,41a) 및 제1,2지지부재(30,40)의 제2고정바(32,42)의 고정홀(32a,42a)에 각각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되, 제1,2핀(63,64)의 제1삽입홀(63b,64b)이 제1지지부재(30)의 제1,2고정바(31,32)의 고정홀(31a,32a)에 각각 연통되고 제1,2핀(63,64)의 제2삽입홀(63c,64c)이 제2지지부재(40)의 제1,2고정바(41,42)의 고정홀(41a,42a)에 각각 연통되게 삽입되는 제1,2핀(63,64) 및; 제1,2핀(63,64)의 배출홀(63d,64d)에 각각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고, 제1,2핀(63,64)보다 폭이 좁은 제1,2하부마개(65,66)와; 제1,2하부마개(65,66)에 상측에 각각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고 제1,2핀(63,64)의 낙유공간(63a,64a)에 각각 배치되는 제1,2가이드바(68,69) 및; 내부에 관통홀(67a)이 형성되고, 상측에 관통홀(67a)과 연통되고 상방으로 개구된 받침홈(67b)이 형성되어, 상기 받침홈(67b)이 제1,2핀(63,64)의 낙유공간(63a,64a)으로 각각 돌출되도록 제1,2핀(63,64)의 제1,2삽입홀(63b,64b,63c,64c)에 각각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되, 상측이 제1,2가이드바(68,69)에 각각 접촉되게 삽입되는 다수의 삽입체(67)로 구성된 핀기구(6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기능 가공배전선로 고정장치{Fixing Equipment Of Aerial Power Distribution Line}
본 발명은 다기능 가공배전선로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의 배전시 22.9㎸의 특고압을 배전전압으로 하여 전기공급 장소의 주상변압기까지 공급하여 배전용 주상변압기에서 220V, 380V의 저압으로 변환한 다음 일반 가정이나 산업체 등의 전기 수요자에게 공급하게 된다.
이때, 전주에 설치되는 고정밴드, 스트랍, 애자 등을 통해 가공배전선이 가설되어, 가공배전선로가 설치된다.
종래에는 고정밴드, 스트랍, 애자를 이용하여 가공배전선로를 설치할 시, 가공배전선로에 풍력과 같은 외력이 작용하면, 스트랍이 회전하여 스트랍과 애자 간의 연결이 느슨해져 스트랍과 애자 간의 결속이 약해지고, 이에 따라 가공배전선로의 안정적 설치에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58927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가공배전선로를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다기능 가공배전선로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주(P)에 설치되는 고정밴드(11)와; 고정밴드(11)의 우측에 설치되는 지지대(12)와; 수직판(13)의 상측에 좌우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전후로 나란하게 위치하는 제1,2관통홀(13a,13b)과, 수직판(13)의 하측에 좌우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전후로 나란하게 위치하는 제3,4관통홀(13c,13d)을 구비하여, 지지대(12)의 우측에 설치되는 수직판(13) 및; 수직판(13)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설치되는 제1,2수평판(14,15)을 갖춘 고정기구(10)와:
고정기구(10)의 제1,2수평판(14,15)을 상하로 관통하여, 상측이 제1수평판(14)의 상방으로 돌출되고, 하측이 제2수평판(15)의 하방으로 돌출되는 애자고정핀(21)과; 제1수평판(14)의 상면에 위치하고, 상기 애자고정핀(21)에 나사산 체결되는 제1고정너트(22)와; 제2수평판(15)의 하면에 위치하고, 상기 애자고정핀(21)에 나사산 체결되는 제2고정너트(23) 및; 제1,2수평판(14,15)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애자고정핀(21)에 설치되는 애자(24)를 갖춘 제1애자기구(20)와:
제1지지부재(30)의 제1고정바(31)의 좌측에 상하로 개구된 고정홀(31a)이 형성되고, 수직판(13)의 제1관통홀(13a)에 삽탈가능하게 삽입되며, 좌측이 수직판(13)의 좌방으로 돌출되고, 우측이 수직판(13)의 우방으로 돌출되는 제1고정바(31)와; 제1지지부재(30)의 제2고정바(32)의 좌측에 상하로 개구된 고정홀(32a)이 형성되고, 수직판(13)의 제2관통홀(13b)에 삽탈가능하게 삽입되며, 좌측이 수직판(13)의 좌방으로 돌출되고, 우측이 수직판(13)의 우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1고정바(31)와 전후로 이격되게 구비되는 제2고정바(32) 및; 상기 제1,2고정바(31,32)의 우측에 구비되고, 좌방으로 개구되어 상기 애자고정핀(21)이 걸리는 걸림홈(33a)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2고정바(31,32)를 연결하는 지지판(33)을 갖춘 제1지지부재(30)와:
제2지지부재(40)의 제1고정바(41)의 좌측에 상하로 개구된 고정홀(41a)이 형성되고, 수직판(13)의 제3관통홀(13c)에 삽탈가능하게 삽입되며, 좌측이 수직판(13)의 좌방으로 돌출되고, 우측이 수직판(13)의 우방으로 돌출되는 제1고정바(41)와; 제2지지부재(40)의 제2고정바(42)의 좌측에 상하로 개구된 고정홀(42a)이 형성되고, 수직판(13)의 제4관통홀(13d)에 삽탈가능하게 삽입되며, 좌측이 수직판(13)의 좌방으로 돌출되고, 우측이 수직판(13)의 우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1고정바(41)와 전후로 이격되게 구비되는 제2고정바(42) 및; 상기 제1,2고정바(41,42)의 우측에 구비되고, 좌방으로 개구되어 상기 애자고정핀(21)이 걸리는 걸림홈(43a)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2고정바(41,42)를 연결하는 지지판(43)을 갖추고서, 제1지지부재(30)와 상하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2지지부재(40)와:
제1,2지지부재(30,40)의 지지판(33,43)을 상하로 관통하여, 상측이 제1지지부재(30)의 지지판(33)의 상방으로 돌출되고, 하측이 제2지지부재(40)의 지지판(43)의 하방으로 돌출되는 애자고정핀(51)과; 제1지지부재(30)의 지지판(33)의 상면에 위치하고, 상기 애자고정핀(51)에 나사산 체결되는 제1고정너트(52)와; 제1지지부재(30)의 지지판(33)의 하면에 위치하고, 상기 애자고정핀(51)에 나사산 체결되는 제2고정너트(53)와; 제2지지부재(40)의 지지판(43)의 상면에 위치하고, 상기 애자고정핀(51)에 나사산 체결되는 제3고정너트(54)와; 제2지지부재(40)의 지지판(43)의 하면에 위치하고, 상기 애자고정핀(51)에 나사산 체결되는 제4고정너트(55) 및; 제1,2지지부재(30,40)의 지지판(33,43)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애자고정핀(51)에 설치되는 애자(56)를 갖춘 제2애자기구(50)와:
상방으로 개구된 유입홀(61a)과, 연결체(61)의 내부에 좌우로 형성되고 유입홀(61a)과 연통되는 이동공간(61b)을 구비한 연결체(61)와; 연결체(61)의 유입홀(61a)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는 상부마개(62)와; 제1,2핀(63,64)의 내부에 상하로 각각 형성되어 연결체(61)의 이동공간(61b)과 각각 연통되는 낙유공간(63a,64a)과, 제1,2핀(63,64)의 상측 측부에 하방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각각 형성되고 상측이 낙유공간(63a,64a)과 각각 연통되며 하측이 제1,2핀(63,64)의 외부로 각각 개구되는 제1삽입홀(63b,64b)과, 제1,2핀(63,64)의 하측 측부에 하방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각각 형성되고 상측이 낙유공간(63a,64a)과 각각 연통되며 하측이 제1,2핀(63,64)의 외부로 각각 개구되는 제2삽입홀(63c,64c)과, 제1,2핀(63,64)의 하측에 상하로 각각 개구되게 형성되고 낙유공간(63a,64a)과 각각 연통되는 배출홀(63d,64d)을 각각 갖추고서, 제1,2지지부재(30,40)의 제1고정바(31,41)의 고정홀(31a,41a) 및 제1,2지지부재(30,40)의 제2고정바(32,42)의 고정홀(32a,42a)에 각각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되, 제1,2핀(63,64)의 제1삽입홀(63b,64b)이 제1지지부재(30)의 제1,2고정바(31,32)의 고정홀(31a,32a)에 각각 연통되고 제1,2핀(63,64)의 제2삽입홀(63c,64c)이 제2지지부재(40)의 제1,2고정바(41,42)의 고정홀(41a,42a)에 각각 연통되게 삽입되는 제1,2핀(63,64) 및; 제1,2핀(63,64)의 배출홀(63d,64d)에 각각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고, 제1,2핀(63,64)보다 폭이 좁은 제1,2하부마개(65,66)와; 제1,2하부마개(65,66)에 상측에 각각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고 제1,2핀(63,64)의 낙유공간(63a,64a)에 각각 배치되는 제1,2가이드바(68,69) 및; 내부에 관통홀(67a)이 형성되고, 상측에 관통홀(67a)과 연통되고 상방으로 개구된 받침홈(67b)이 형성되어, 상기 받침홈(67b)이 제1,2핀(63,64)의 낙유공간(63a,64a)으로 각각 돌출되도록 제1,2핀(63,64)의 제1,2삽입홀(63b,64b,63c,64c)에 각각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되, 상측이 제1,2가이드바(68,69)에 각각 접촉되게 삽입되는 다수의 삽입체(67)로 구성된 핀기구(6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고정기구(10)와 제1,2지지부재(30,40)와 핀기구(60)의 연결구조를 통해, 제1,2애자(20,50)의 회전 및 좌우 이동을 제한하여, 가공배전선이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바람이 강할 시 가공배전선을 안정적으로 고정하여, 가공배전선 간의 충돌을 방지함으로써, 안정적인 가공배전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가공배전선로 고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정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X-X선 부분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Y-Y선 부분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핀기구를 설명하기 위해 도 3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2핀 설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 3의 일부를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2핀의 삽입체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3의 Z-Z선 부분 단면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고정기구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가공배전선로 고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정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X-X선 부분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Y-Y선 부분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핀기구를 설명하기 위해 도 3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2핀 설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 3의 일부를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2핀의 삽입체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3의 Z-Z선 부분 단면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고정기구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가공배전선로 고정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가공배전선로 고정장치는 고정기구(10)와, 제1애자기구(20)와, 제1지지부재(30)와, 제2지지부재(40)와, 제2애자기구(50) 및, 핀기구(6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기구(10)는 고정밴드(11)와, 지지대(12)와, 수직판(13) 및, 제1수평판(14,15)을 갖춘다.
상기 고정밴드(11)는 전주(P)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밴드(11)는 전주(P)를 밴드 타입으로 감싸, 전주(P)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지지대(12)는 고정밴드(11)의 우측에 우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상기 수직판(13)은 수직판(13)의 상측에 좌우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서로 전후로 나란하게 위치하는 제1,2관통홀(13a,13b)과, 수직판(13)의 하측에 좌우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서로 전후로 나란하게 위치하는 제3,4관통홀(13c,13d)을 구비하여, 지지대(12)의 우측에 설치된다.
상기 제1,2수평판(14,15)은 수직판(13)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설치되어, 우방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1애자기구(20)는 애자고정핀(21)과, 제1고정너트(22)와, 제2고정너트(23) 및, 애자(24)를 갖춘다.
상기 애자고정핀(21)은 고정기구(10)의 제1,2수평판(14,15)을 상하로 관통하여, 상측이 제1수평판(14)의 상방으로 돌출되고, 하측이 제2수평판(15)의 하방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1고정너트(22)는 제1수평판(14)의 상면에 위치하고, 상기 애자고정핀(21)에 나사산 체결된다.
상기 제2고정너트(23)는 제2수평판(15)의 하면에 위치하고, 상기 애자고정핀(21)에 나사산 체결된다.
상기 애자(24)는 제1,2수평판(14,15)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애자고정핀(21)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애자(24)를 상기 애자고정핀(21)에 설치하는 방식은 공지의 다양한 방식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1,2고정너트(22,23)를 통해 상기 애자고정핀(21)을 제1,2수평판(14,15)에 설치하지만, 상기 애자고정핀(21)을 제1,2수평판(14,15)에 고정할 수 있으면, 공지의 다양한 고정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재(30)는 제1고정바(31)와, 제2고정바(32) 및, 지지판(33)을 갖춘다.
상기 제1고정바(31)는 제1지지부재(30)의 제1고정바(31)의 좌측에 상하로 개구된 고정홀(31a)이 형성되고, 수직판(13)의 제1관통홀(13a)에 삽탈가능하게 삽입되며, 좌측이 수직판(13)의 좌방으로 돌출되고, 우측이 수직판(13)의 우방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2고정바(32)는 제1지지부재(30)의 제2고정바(32)의 좌측에 상하로 개구된 고정홀(32a)이 형성되고, 수직판(13)의 제2관통홀(13b)에 삽탈가능하게 삽입되며, 좌측이 수직판(13)의 좌방으로 돌출되고, 우측이 수직판(13)의 우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1고정바(31)와 전후로 이격되게 구비된다.
상기 지지판(33)은 상기 제1,2고정바(31,32)의 우측에 구비되고, 좌방으로 개구되어 상기 애자고정핀(21)이 걸리는 걸림홈(33a)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2고정바(31,32)를 연결한다.
상기 제2지지부재(40)는 제1고정바(41)와, 제2고정바(42) 및, 지지판(43)을 갖추고서, 제1지지부재(30)와 상하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즉 제2지지부재(40)는 제1지지부재(30)보다 하방에 위치한다.
상기 제1고정바(41)는 제2지지부재(40)의 제1고정바(41)의 좌측에 상하로 개구된 고정홀(41a)이 형성되고, 수직판(13)의 제3관통홀(13c)에 삽탈가능하게 삽입되며, 좌측이 수직판(13)의 좌방으로 돌출되고, 우측이 수직판(13)의 우방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2고정바(42)는 제2지지부재(40)의 제2고정바(42)의 좌측에 상하로 개구된 고정홀(42a)이 형성되고, 수직판(13)의 제4관통홀(13d)에 삽탈가능하게 삽입되며, 좌측이 수직판(13)의 좌방으로 돌출되고, 우측이 수직판(13)의 우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1고정바(41)와 전후로 이격되게 구비된다.
상기 지지판(43)은 상기 제1,2고정바(41,42)의 우측에 구비되고, 좌방으로 개구되어 상기 애자고정핀(21)이 걸리는 걸림홈(43a)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2고정바(41,42)를 연결한다.
상기 제2애자기구(50)는 애자고정핀(51)과, 제1고정너트(52)와, 제2고정너트(53)과, 제3고정너트(54)와, 제4고정너트(55) 및, 애자(56)을 갖춘다.
상기 애자고정핀(51)은 제1,2지지부재(30,40)의 지지판(33,43)을 상하로 관통하여, 상측이 제1지지부재(30)의 지지판(33)의 상방으로 돌출되고, 하측이 제2지지부재(40)의 지지판(43)의 하방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1고정너트(52)는 제1지지부재(30)의 지지판(33)의 상면에 위치하고, 상기 애자고정핀(51)에 나사산 체결된다.
상기 제2고정너트(53)는 제1지지부재(30)의 지지판(33)의 하면에 위치하고, 상기 애자고정핀(51)에 나사산 체결된다.
상기 제3고정너트(54)는 제2지지부재(40)의 지지판(43)의 상면에 위치하고, 상기 애자고정핀(51)에 나사산 체결된다.
상기 제4고정너트(55)는 제2지지부재(40)의 지지판(43)의 하면에 위치하고, 상기 애자고정핀(51)에 나사산 체결된다.
상기 애자(56)는 제1,2지지부재(30,40)의 지지판(33,43)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애자고정핀(51)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애자(56)를 상기 애자고정핀(21)에 설치하는 방식은 공지의 다양한 방식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1,2,3,4고정너트(52,53,54,55)를 통해 상기 애자고정핀(51)을 제1,2지지부재(30,40)의 지지판(33,43)에 설치하지만, 상기 애자고정핀(51)을 제1,2지지부재(30,40)의 지지판(33,43)에 고정할 수 있으면, 공지의 다양한 고정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핀기구(60)는 연결체(61)와, 상부마개(62)와, 제1,2핀(63,64)와, 제1,2하부마개(65,66)와, 제1,2가이드바(68,69) 및, 삽입체(67)를 갖춘다.
상기 연결체(61)는 상방으로 개구된 유입홀(61a)과, 연결체(61)의 내부에 좌우로 형성되고 유입홀(61a)과 연통되는 이동공간(61b)을 갖춘다.
상기 상부마개(62)는 연결체(61)의 유입홀(61a)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된다.
상기 제1,2핀(63,64)은 낙유공간(63a,64a)과, 제1삽입홀(63b,64b)과, 제2삽입홀(63c,64c) 및, 배출홀(63d,64d)을 각각 갖춘다.
상기 낙유공간(63a,64a)은 제1,2핀(63,64)의 내부에 상하로 각각 형성되어, 연결체(61)의 이동공간(61b)과 각각 연통된다.
상기 제1삽입홀(63b,64b)은 제1,2핀(63,64)의 상측 측부에 하방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각각 형성되고, 상측이 낙유공간(63a,64a)과 각각 연통되며, 하측이 제1,2핀(63,64)의 외부로 각각 개구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삽입홀(63b,64b)은 제1,2핀(63,64)에 각각 2개씩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다수 개가 제1,2핀(63,64)에 각각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삽입홀(63c,64c)은 제1,2핀(63,64)의 하측 측부에 하방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각각 형성되고, 상측이 낙유공간(63a,64a)과 각각 연통되고 하측이 제1,2핀(63,64)의 외부로 각각 개구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삽입홀(63c,64c)은 제1,2핀(63,64)에 각각 2개씩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다수 개가 제1,2핀(63,64)에 각각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배출홀(63d,64d)는 제1,2핀(63,64)의 하측에 상하로 각각 개구되게 형성되고, 낙유공간(63a,64a)과 각각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제1,2핀(63,64)은 제1,2지지부재(30,40)의 제1고정바(31,41)의 고정홀(31a,41a) 및 제1,2지지부재(30,40)의 제2고정바(32,42)의 고정홀(32a,42a)에 각각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되, 제1,2핀(63,64)의 제1삽입홀(63b,64b)이 제1지지부재(30)의 제1,2고정바(31,32)의 고정홀(31a,32a)에 각각 연통되고 제1,2핀(63,64)의 제2삽입홀(63c,64c)이 제2지지부재(40)의 제1,2고정바(41,42)의 고정홀(41a,42a)에 각각 연통되게 삽입된다.
상기 제1,2하부마개(65,66)는 제1,2핀(63,64)의 배출홀(63d,64d)에 각각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고, 제1,2핀(63,64)보다 폭이 좁다.
상기 제1,2가이드바(68,69)는, 하단이 제1,2하부마개(65,66)의 상측에 각각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고, 제1,2핀(63,64)의 낙유공간(63a,64a)에 각각 배치된다.
상기 삽입체(67)는 내부에 관통홀(67a)이 형성되고, 상측에 관통홀(67a)과 연통되고 상방으로 개구된 받침홈(67b)이 형성되어, 상기 받침홈(67b)이 제1,2핀(63,64)의 낙유공간(63a,64a)으로 각각 돌출되도록 제1,2핀(63,64)의 제1,2삽입홀(63b,64b,63c,64c)에 각각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되, 상측이 제1,2가이드바(68,69)에 각각 접촉되게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서 삽입체(67)는 제1,2핀(63,64)의 제1,2삽입홀(63b,64b,63c,64c)에 각각 대응되게 다수 개가 구비된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에서는 제1,2지지부재(30,40)에 제2애자기구(50)를 설치한 후, 제1애자기구(20)가 설치된 고정기구(10)에 제1,2지지부재(30,40)를 설치한다. 이때 제1,2지지부재(30,40)의 제1,2,3,4고정바(31,32,41,42)는 고정기구(10)의 수직판(13) 좌방으로 돌출된다. 여기서 핀기구(60)를 제1,2,3,4고정바(31,32,41,42)에 설치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설치되고 제1애자기구(20) 또는 제2애자기구(50)에 가공배전선(미도시)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가공배전선은 별도의 클램프 등에 의해 제1,2애자기구(20,50)에 고정된다.
한편, 상기 핀기구(60)를 제1,2지지기구(30,40)에 설치하기 전에, 핀기구(60)의 조립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핀기구(60)의 제1,2하부마개(65,66)에 제1,2가이드바(68,69)를 각각 설치한 후, 제1,2가이드바(68,69)가 제1,2핀(63,64)의 낙유공간(63a,64a)에 각각 삽입되도록, 제1,2하부마개(65,66)를 제1,2핀(63,64)에 각각 설치한다.
이후, 상기 핀기구(60)의 다수의 삽입체(67)을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한다. 이때 상기 삽입체(67)의 상측이 제1,2가이드바(68,69)에 각각 접촉하면서 상기 삽입체(67)가 상기 핀기구(60)에 설치된다. 그러면 상기 각각의 삽입체(67)의 하측을 절단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체(67)의 하측면이 제1,2핀(63,64)의 외면과 상하로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핀기구(60)를 제1,2,3,4고정바(31,32,41,42)에 설치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풍력이 발생하여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후로 회전력이 발생하면, 핀기구(60)의 고정에 의해 제1,2지지부재(30,40)가 회전하지 않아, 가공배전선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핀기구(60)에 의해 제1,2지지부재(30,40)의 좌우 이동이 제한되어, 가공배전선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핀기구(60)의 제1,2핀(63,64)과 제1,2지지부재(30,40)의 고정홀(31a,32a,41a,42a)의 접촉부에 녹이 슬거나 이물질이 끼면, 본 발명을 수리하기 위해 핀기구(60)를 제1,2지지부재(30,40)에서 분리할 시 분리가 쉽지 않다.
따라서, 상기 핀기구(60)를 제1,2지지부재(30,40)에서 분리하기 위해, 상기 핀기구(60)의 제1,2핀(63,64)과 제1,2지지부재(30,40)의 고정홀(31a,32a,41a,42a)의 접촉부에 윤활유를 뿌리게 되는 데, 윤활유가 상기 접촉부의 중앙부까지 이동하지 않게 되면, 핀기구(60)를 제1,2지지부재(30,40)에서 분리하기 쉽지 않다.
이때, 상기 핀기구(60)를 제1,2지지부재(30,40)에서 분리하기 위해서는 강제적으로 제1,2핀(63,64)의 하단부를 상방으로 가격하게 되는 데, 이럴 경우 본 발명의 구성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윤활유를 상기 접촉부의 중앙부까지 이동시키지 못할 시, 핀기구(60)의 상부마개(62)를 연 후, 핀기구(60)의 연결체(61)의 이동공간(61b)에 윤활유를 공급한다. 그러면 상기 윤활유는 제1,2핀(63,64)의 낙유공간(63a,64a)을 따라 이동하고, 이때 제1,2가이드바(68,69)에 의해 안내되면서 각각의 삽입체(67)로 흐른다. 여기서 상기 삽입체(67)로 흐른 윤활유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촉부의 중앙부까지 이동하여, 상기 핀기구(60)의 제1,2핀(63,64)이 제1,2지지부재(30,40)의 고정홀(31a,32a,41a,42a)로부터 쉽게 분리된다. 특히 작업자가 소유한 윤활유의 양이 많지 않을 경우 상기와 같은 윤활유 공급 방식은 매우 효율적이다.
한편, 본 발명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2가이드바(68,69)를 제1,2하부마개(65,66)에 결합시키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제1,2가이드바(68,69)를 제1,2하부마개(65,66)를 결합시키지 않으면, 도 12와 같이 제1,2핀(63,64)의 낙유공간(63a,64a)을 이루는 면을 윤활유가 흐르면서 각각의 삽입체(67)로 윤활유가 유입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2가이드바(68,69)를 제1,2하부마개(65,66)를 결합시키지 않으면, 제1,2핀(63,64)의 낙유공간(6a,64a)에 수용된 윤활유를 제거하기 위해, 제1,2하부마개(65,66)을 열기가 편리하다.
여기서, 상기 제1,2가이드바(68,69)를 제거하는 윤활유 공급 방식은, 작업자가 소유한 윤활유의 양이 많을 경우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고정기구(10)와 제1,2지지부재(30,40)와 핀기구(60)의 연결구조를 통해, 제1,2애자(20,50)의 회전 및 좌우 이동을 제한하여, 가공배전선이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바람이 강할 시 가공배전선을 안정적으로 고정하여, 가공배전선 간의 충돌을 방지함으로써, 안정적인 가공배전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T'자 형의 핀기구(60)를 제1,2지지부재(30,40)에 삽탈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간단한 조작을 통해 제1,2애자(20,50)의 회전 및 좌우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삽입체(67)를 제1,2핀(63,64)에 설치할 시, 제1,2가이드바(68,69)를 통해 삽입체(67)의 위치 설정을 할 수 있어, 정확한 위치에 삽입체(67)을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2가이드바(68,69)에 의해, 윤활유가 고정핀기구(60)의 제1,2핀(63,64)과, 제1,2지지부재(30,40)의 고정홀(31a,32a,41a,42a)의 접촉부 중앙으로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어, 고정핀기구(60)를 제1,2지지부재(30,40)으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윤활유가 제1,2가이드바(68,69)를 따라 흘러 삽입체(67)로 안정적으로 유입되어, 적은 량의 윤활유를 사용하여 충분한 윤활 효과를 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2핀(63,64)의 낙유공간(63a,64a)에 윤활유를 가둘 수 있어, 윤활유의 재활용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은 제1,2애자기구(20,50)의 위치 이동을 방지하여 가공배전선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가공배전선을 안정적으로 지지함으로써 가공배전선과 가공배전선을 잇는 점퍼선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며, 핀기구(60)의 용이한 분리를 통해 유지보수가 쉽다는 의미에서, 본 발명의 명칭 및 청구대상을 다기능 가공배전선로 고정장치로 정의한다.
10; 고정기구 20; 제1애자기구
30; 제1지지부재 40; 제2지지부재
50; 제2애자기구 60; 핀기구

Claims (1)

  1. 전주(P)에 설치되는 고정밴드(11)와; 고정밴드(11)의 우측에 설치되는 지지대(12)와; 수직판(13)의 상측에 좌우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전후로 나란하게 위치하는 제1,2관통홀(13a,13b)과, 수직판(13)의 하측에 좌우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전후로 나란하게 위치하는 제3,4관통홀(13c,13d)을 구비하여, 지지대(12)의 우측에 설치되는 수직판(13) 및; 수직판(13)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설치되는 제1,2수평판(14,15)을 갖춘 고정기구(10)와:
    고정기구(10)의 제1,2수평판(14,15)을 상하로 관통하여, 상측이 제1수평판(14)의 상방으로 돌출되고, 하측이 제2수평판(15)의 하방으로 돌출되는 애자고정핀(21)과; 제1수평판(14)의 상면에 위치하고, 상기 애자고정핀(21)에 나사산 체결되는 제1고정너트(22)와; 제2수평판(15)의 하면에 위치하고, 상기 애자고정핀(21)에 나사산 체결되는 제2고정너트(23) 및; 제1,2수평판(14,15)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애자고정핀(21)에 설치되는 애자(24)를 갖춘 제1애자기구(20)와:
    제1지지부재(30)의 제1고정바(31)의 좌측에 상하로 개구된 고정홀(31a)이 형성되고, 수직판(13)의 제1관통홀(13a)에 삽탈가능하게 삽입되며, 좌측이 수직판(13)의 좌방으로 돌출되고, 우측이 수직판(13)의 우방으로 돌출되는 제1고정바(31)와; 제1지지부재(30)의 제2고정바(32)의 좌측에 상하로 개구된 고정홀(32a)이 형성되고, 수직판(13)의 제2관통홀(13b)에 삽탈가능하게 삽입되며, 좌측이 수직판(13)의 좌방으로 돌출되고, 우측이 수직판(13)의 우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1고정바(31)와 전후로 이격되게 구비되는 제2고정바(32) 및; 상기 제1,2고정바(31,32)의 우측에 구비되고, 좌방으로 개구되어 상기 애자고정핀(21)이 걸리는 걸림홈(33a)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2고정바(31,32)를 연결하는 지지판(33)을 갖춘 제1지지부재(30)와:
    제2지지부재(40)의 제1고정바(41)의 좌측에 상하로 개구된 고정홀(41a)이 형성되고, 수직판(13)의 제3관통홀(13c)에 삽탈가능하게 삽입되며, 좌측이 수직판(13)의 좌방으로 돌출되고, 우측이 수직판(13)의 우방으로 돌출되는 제1고정바(41)와; 제2지지부재(40)의 제2고정바(42)의 좌측에 상하로 개구된 고정홀(42a)이 형성되고, 수직판(13)의 제4관통홀(13d)에 삽탈가능하게 삽입되며, 좌측이 수직판(13)의 좌방으로 돌출되고, 우측이 수직판(13)의 우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1고정바(41)와 전후로 이격되게 구비되는 제2고정바(42) 및; 상기 제1,2고정바(41,42)의 우측에 구비되고, 좌방으로 개구되어 상기 애자고정핀(21)이 걸리는 걸림홈(43a)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2고정바(41,42)를 연결하는 지지판(43)을 갖추고서, 제1지지부재(30)와 상하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2지지부재(40)와:
    제1,2지지부재(30,40)의 지지판(33,43)을 상하로 관통하여, 상측이 제1지지부재(30)의 지지판(33)의 상방으로 돌출되고, 하측이 제2지지부재(40)의 지지판(43)의 하방으로 돌출되는 애자고정핀(51)과; 제1지지부재(30)의 지지판(33)의 상면에 위치하고, 상기 애자고정핀(51)에 나사산 체결되는 제1고정너트(52)와; 제1지지부재(30)의 지지판(33)의 하면에 위치하고, 상기 애자고정핀(51)에 나사산 체결되는 제2고정너트(53)와; 제2지지부재(40)의 지지판(43)의 상면에 위치하고, 상기 애자고정핀(51)에 나사산 체결되는 제3고정너트(54)와; 제2지지부재(40)의 지지판(43)의 하면에 위치하고, 상기 애자고정핀(51)에 나사산 체결되는 제4고정너트(55) 및; 제1,2지지부재(30,40)의 지지판(33,43)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애자고정핀(51)에 설치되는 애자(56)를 갖춘 제2애자기구(50)와:
    상방으로 개구된 유입홀(61a)과, 연결체(61)의 내부에 좌우로 형성되고 유입홀(61a)과 연통되는 이동공간(61b)을 구비한 연결체(61)와; 연결체(61)의 유입홀(61a)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는 상부마개(62)와; 제1,2핀(63,64)의 내부에 상하로 각각 형성되어 연결체(61)의 이동공간(61b)과 각각 연통되는 낙유공간(63a,64a)과, 제1,2핀(63,64)의 상측 측부에 하방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각각 형성되고 상측이 낙유공간(63a,64a)과 각각 연통되며 하측이 제1,2핀(63,64)의 외부로 각각 개구되는 제1삽입홀(63b,64b)과, 제1,2핀(63,64)의 하측 측부에 하방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각각 형성되고 상측이 낙유공간(63a,64a)과 각각 연통되며 하측이 제1,2핀(63,64)의 외부로 각각 개구되는 제2삽입홀(63c,64c)과, 제1,2핀(63,64)의 하측에 상하로 각각 개구되게 형성되고 낙유공간(63a,64a)과 각각 연통되는 배출홀(63d,64d)을 각각 갖추고서, 제1,2지지부재(30,40)의 제1고정바(31,41)의 고정홀(31a,41a) 및 제1,2지지부재(30,40)의 제2고정바(32,42)의 고정홀(32a,42a)에 각각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되, 제1,2핀(63,64)의 제1삽입홀(63b,64b)이 제1지지부재(30)의 제1,2고정바(31,32)의 고정홀(31a,32a)에 각각 연통되고 제1,2핀(63,64)의 제2삽입홀(63c,64c)이 제2지지부재(40)의 제1,2고정바(41,42)의 고정홀(41a,42a)에 각각 연통되게 삽입되는 제1,2핀(63,64) 및; 제1,2핀(63,64)의 배출홀(63d,64d)에 각각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고, 제1,2핀(63,64)보다 폭이 좁은 제1,2하부마개(65,66)와; 제1,2하부마개(65,66)에 상측에 각각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고 제1,2핀(63,64)의 낙유공간(63a,64a)에 각각 배치되는 제1,2가이드바(68,69) 및; 내부에 관통홀(67a)이 형성되고, 상측에 관통홀(67a)과 연통되고 상방으로 개구된 받침홈(67b)이 형성되어, 상기 받침홈(67b)이 제1,2핀(63,64)의 낙유공간(63a,64a)으로 각각 돌출되도록 제1,2핀(63,64)의 제1,2삽입홀(63b,64b,63c,64c)에 각각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되, 상측이 제1,2가이드바(68,69)에 각각 접촉되게 삽입되는 다수의 삽입체(67)로 구성된 핀기구(6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가공배전선로 고정장치.
KR1020180010235A 2018-01-26 2018-01-26 다기능 가공배전선로 고정장치 KR1019027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235A KR101902759B1 (ko) 2018-01-26 2018-01-26 다기능 가공배전선로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235A KR101902759B1 (ko) 2018-01-26 2018-01-26 다기능 가공배전선로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2759B1 true KR101902759B1 (ko) 2018-10-01

Family

ID=63877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0235A KR101902759B1 (ko) 2018-01-26 2018-01-26 다기능 가공배전선로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27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38749A (zh) * 2018-12-04 2019-04-16 国网江苏省电力有限公司无锡供电分公司 一种架空输电线路保护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1417B1 (ko) 2006-04-04 2006-07-19 주식회사 한성종합기술단건축사사무소 길이조절이 가능한 확장 애자 고정용 스트랍장치
KR100966616B1 (ko) * 2010-04-28 2010-06-29 배규보 가공 배전선로의 인류애자 설치용 인류스트랍
KR101791968B1 (ko) * 2017-04-26 2017-11-01 주식회사 영진기술단 전력구 내 안정적 배전을 위한 지중배전선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1417B1 (ko) 2006-04-04 2006-07-19 주식회사 한성종합기술단건축사사무소 길이조절이 가능한 확장 애자 고정용 스트랍장치
KR100966616B1 (ko) * 2010-04-28 2010-06-29 배규보 가공 배전선로의 인류애자 설치용 인류스트랍
KR101791968B1 (ko) * 2017-04-26 2017-11-01 주식회사 영진기술단 전력구 내 안정적 배전을 위한 지중배전선 연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38749A (zh) * 2018-12-04 2019-04-16 国网江苏省电力有限公司无锡供电分公司 一种架空输电线路保护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4074B1 (ko) 다운 파워 바이스
KR101902759B1 (ko) 다기능 가공배전선로 고정장치
EP2093479A1 (de) Aufhängevorrichtung mit einer horizontal anzuordnenden Trägerschiene
DE3714196C2 (de) Versorgungsbalken für die Intensivpflege
KR101586709B1 (ko) 조명기구 고정용 레이스 웨이
KR101879321B1 (ko) 변전선 지지가 가능한 가공배전선 고정기구
EP0877459B1 (de) Kabelanschlusskasten, insbesondere für den Einbau in Lichtmasten
KR101902758B1 (ko)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용 애자기구
KR20180016135A (ko) 변류기
EP0434951B1 (de) Kabelkanal
CN215225506U (zh) 一种建筑虚拟仿真用实训装置
JP2012032225A (ja) 導通検査治具の取付構造
EP2068410A1 (de) Gerätehalterung zur universellen Befestigung von Installationsgeräten und Vorrichtungen an Leitungsführungskanälen
CN207335744U (zh) 一种视觉试验平台
KR20080001513U (ko) 가로등용 단자함 설치대
CN210172891U (zh) 列车横梁焊接夹具
CN210102385U (zh) 绝缘试验用固定工装
CN218103894U (zh) 安装辅助件和微模块
WO2020100033A1 (en) Device for allowing correct mutual positioning of adjacent busbar modules
CN220538991U (zh) 光伏玻璃幕墙龙骨系统
US10027095B1 (en) Retrofit kit for a power switch box
JP2509085Y2 (ja) 分電盤
KR20130004254U (ko) 저압 배전반용 버스바 조립 구조
DE102011053523A1 (de) Wechselrichter
CN209860375U (zh) 一种开关柜底板结构及开关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