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2682B1 - 마스크팩 2차 접지장치 - Google Patents

마스크팩 2차 접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2682B1
KR101902682B1 KR1020170007207A KR20170007207A KR101902682B1 KR 101902682 B1 KR101902682 B1 KR 101902682B1 KR 1020170007207 A KR1020170007207 A KR 1020170007207A KR 20170007207 A KR20170007207 A KR 20170007207A KR 101902682 B1 KR101902682 B1 KR 1019026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pack
grounding
upper portion
folded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7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4300A (ko
Inventor
최환
최강
Original Assignee
최환
최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환, 최강 filed Critical 최환
Priority to KR1020170007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2682B1/ko
Publication of KR20180084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43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2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26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3/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 B65B63/04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for folding or winding articles, e.g. gloves or stocking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22Face shaping devices, e.g. chin straps; Wrinkle removers, e.g. stretching the sk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14Packaging paper or like sheets, envelopes, or newspapers, in flat, folded, or rolled form
    • B65B25/145Packaging paper or like sheets, envelopes, or newspapers, in flat, folded, or rolled form packaging fold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10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 B65B35/24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by endless belt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5/00Folding thin material
    • B65H45/02Folding limp material without application of pressure to define or form crease lines
    • B65H45/04Folding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5/00Folding thin material
    • B65H45/12Folding articles or webs with application of pressure to define or form crease lines
    • B65H45/18Oscillating or reciprocating blade f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2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belts or chains, e.g. between belts or chains
    • B65H5/021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belts or chains, e.g. between belts or chains by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4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 B65H2301/443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4432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having an operating surface contacting only one face of the material, e.g. roller
    • B65H2301/44322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having an operating surface contacting only one face of the material, e.g. roller bel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5Folding, unfo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으로 접혀진 마스크팩의 전방을 먼저 접고, 다음 공정에서 마스크팩의 후방을 접음에 따라, 반 접힌 마스크팩의 전, 후방을 접는 제2접지부를 간단히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마스크팩 2차 접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1접지부에서 반이 접혀진 마스크팩을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수평 이동시키면서 반으로 접힌 마스크팩의 전, 후방을 접어 외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접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접지부는 상기 제1접지부의 상부에 내측에서 외측의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부가 외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하나 이상의 이송벨트를 가지는 수평 이동수단과 상기 제1접지부의 상부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벨트를 따라 이동되는 반 접힌 마스크팩의 전방을 접는 전방 접지수단과 상기 전방 접지수단의 외측에 구비되어 전방이 접힌 마스크팩의 후방을 접는 후방 접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마스크팩 2차 접지장치{Secondary folding apparatus of mask packs}
본 발명은 마스크팩 2차 접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반으로 접혀진 마스크팩의 전방을 먼저 접고, 다음 공정에서 마스크팩의 후방을 접음에 따라, 반 접힌 마스크팩의 전, 후방을 접는 제2접지부를 간단히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마스크팩 2차 접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얼굴의 미용, 보습 등의 효과를 얻기 위해 마스크팩을 널리 사용하고 있다. 마스크팩은 얼굴을 덮어 일시적으로 외기를 차단하여 보습에 의해 피부 축적된 노폐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시트에 유수분과 그리고 필요에 따라 기능성 앰플을 수용한 것이다.
이러한 마스크팩은 앰플을 피부에 전달하는 컨테이너 역할을 하는 것으로 마스크팩의 시트는 순면 시트, 초극세사 그린 시트, 저자극 나노 시트, 바이오셀룰로오스 시트와 같이 요구되는 기능에 따라 다양한 재료의 시트로부터 눈부분과 입부분을 절취한 대체로 둥근 형태로 제조된다.
일반적으로 마스크팩은 시트에서 얼굴 모양의 둥근 형상으로 절단한 다음, 눈과 입 부분을 절취하여 접지하여 낱개로 포장재에 포장하여 제조하며, 이러한 제조공정들은 개별적으로 이루어지거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하여 일련의 연속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종래의 마스크팩 제조장치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16-0025861호의 "마스크팩 제조장치"(이하, "종래의 마스크팩 제조장치"라 한다.)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마스크팩 제조장치는 마스크팩 시트롤로 부터 시트를 공급하는 시트 공급부와 상기 시트에서 펀칭에 의해 마스크팩들을 절취하고 눈과 입부분에 대응된 구멍을 형성하는 마스크팩 펀칭부와 상기 마스크팩 펀칭부에서 절취되어 이송된 복수의 마스크팩들을 픽업기를 통한 공기 흡착을 통해 펀칭부 양측에 각각 제공된 후속 공정라인으로 번갈아 이송하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 양측의 공정라인인 실리콘 벨트의 배출측으로 마스크팩을 이동시킨 후 실리콘 벨트를 정지 시킨 상태에서 접지 블레이드를 상승시켜 마스크팩을 절반으로 접지시키는 제1접지부와 상기 제1접지부에서 절반으로 접지된 마스크팩의 양측부를 접철시켜 절반으로 접지된 마스크팩을 1/3로 접지하는 제2접지부와 상기 제2접지부에서 접혀진 마스크팩들을 벨트의 배출측에서 하부로 낙하시켜 개별 봉투에 담아 포장하는 마스크팩 포장부를 포함한다.
그런데, 종래의 마스크팩 제조장치의 제2접지부는 절반으로 접지된 마스크팩의 양측을 동시에 접지함으로써, 제2접지부의 구조가 복잡하여 고장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제2접지부에서 접지 불량이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16-0025861호 "마스크팩 제조장치"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반으로 접혀진 마스크팩의 전방을 먼저 접고, 다음 공정에서 마스크팩의 후방을 접음에 따라, 반 접힌 마스크팩의 전, 후방을 접는 제2접지부를 간단히 구성 할 수 있도록 하는 마스크팩 2차 접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팩 2차 접지장치"는 제1접지부에서 반이 접혀진 마스크팩을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수평 이동시키면서 반으로 접힌 마스크팩의 전, 후방을 접어 외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접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접지부는 상기 제1접지부의 상부에 내측에서 외측의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부가 외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하나 이상의 이송벨트를 가지는 수평 이동수단과 상기 제1접지부의 상부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벨트를 따라 이동되는 반 접힌 마스크팩의 전방을 접는 전방 접지수단과 상기 전방 접지수단의 외측에 구비되어 전방이 접힌 마스크팩의 후방을 접는 후방 접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팩 2차 접지장치"의 상기 수평 이동수단은 상기 제1접지부(51)의 상부 외측에 구비되는 상부 회전축에 감겨지게 횡방향으로 구비되고 각각의 상부에는 상기 반 접힌 마스크팩이 올려지는 하나 이상의 상기 이송벨트와 각 상기 이송벨트의 상부 내측에 횡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반 접힌 마스크팩을 수평으로 눕히고 반 접힌 마스크팩의 상부를 눌러주는 상부 누름 와이어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팩 2차 접지장치"의 상기 전방 접지수단은 상기 이송벨트의 상부에 이격되게 구비되어 구동에 의해 승강되는 제1승강대와; 상기 제1승강대의 외측면에 고정되고, 하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각 상기 이송벨트의 상부 전방에 상부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제1승강대의 하강을 통해 상기 이송벨트에 올려져 이송이 정지된 반 접힌 마스크팩의 중앙 전방을 눌러주는 횡방향 전방 누름판을 가지는 전방 누름부재와; 상기 제1승강대의 외측면에 구동에 의해 전, 후방의 수평 이동이 가능하게 구비되고, 하부에는 상기 횡방향 전방 누름판의 전방 상부에 배치되어 후방의 이동을 통해 상기 마스크팩의 전방을 포개지게 접는 횡방향 전방 접지판을 가지는 전방 접지부재와; 상기 제1승강대의 외측인 각 이송벨트의 상부에 구비되어 마스크팩을 눌러주고 구동에 의해 외측을 중심으로 내측이 상승 가능한 제1누름 와이어벨트와; 상기 전방 누름판이 상부에 위치된 이송벨트의 전방에 전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전방 누름판의 하강시 반 접힌 마스크팩의 전방을 상향지게 절곡시키는 황방향 전방 수직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팩 2차 접지장치"의 상기 후방 접지수단은 상기 전방 접지수단의 외측인 각 이송벨트의 상부에 구비되고 구동에 의해 수직으로 승강되는 제2승강대와 상기 제2승강대의 외측면에 고정되고, 하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며 각 상기 이송벨트의 상부 후방에 상부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제2승강대의 하강을 통해 상기 이송벨트에 올려져 이송이 정지된 전방이 접힌 마스크팩의 중앙 후방을 눌러주는 횡방향 후방 누름판을 가지는 후방 누름부재와; 상기 제2승강대의 외측면에 구동에 의해 전, 후방의 수평 이동이 가능하게 구비되고 하부에는 상기 횡방향 후방 누름판의 후방 상부에 배치되어 전방의 이동을 통해 상기 마스크팩의 후방을 포개지게 접는 횡방향 후방 접지판을 가지는 후방 접지부재와; 상기 제2승강대의 외측인 각 이송벨트의 상부에 구비되어 마스크팩을 눌러주고 구동에 의해 외측을 중심으로 내측이 상승 가능한 제2누름 와이어벨트와 상기 후방 누름판이 상부에 위치된 이송벨트의 후방에 후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후방 누름판의 하강시 전방이 접힌 마스크팩의 후방을 상향지게 절곡시키는 횡방향 후방 수직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반으로 접혀진 마스크팩의 전방을 먼저 접고, 다음 공정에서 마스크팩의 후방을 접음에 따라, 반 접힌 마스크팩의 전, 후방을 접는 제2접지부를 간단히 구성함으로써 제2접지부의 고장을 줄일 수 있고, 제2접지부에서 접지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팩 2차 접지장치가 장착된 마스크팩 제조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도 1a는 장치 전체를 개략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b는 접지수단의 횡단면도이고,
도 1c는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제2접지부를 나타낸 것으로,
도 2a는 정단면도이고,
도 2b는 사시도이며.
도 2c는 전방 접지수단을 외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2d는 후방 접지수단을 외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전방 접지수단을 작동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3a는 반 접힌 마스크팩이 제1접지부에 이동되어 정지된 상태를 외측에서 본 단면도이고,
도 3b는 횡방향 전방 누름판이 하강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3c는 반 접힌 마스크팩의 전방이 접힌 상태를 나타내며,
도 3d는 횡방향 전방 접지판이 전방으로 복귀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후방 접지수단을 작동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4a는 전방이 접힌 마스크팩이 제2접지부에 이동되어 정지된 상태를 외측에서 본 단면도이고,
도 4b는 횡방향 전방 누름판이 하강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4c는 전방이 접힌 마스크팩의 후방이 접힌 상태를 나타내며,
도 4d는 횡방향 전방 접지판이 전방으로 복귀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팩 2차 접지장치가 장착된 마스크팩 제조장치를 나타낸 도면들이고, 도 2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제2접지부를 나타낸 도면들이며, 도 3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전방 접지수단을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들이고, 도 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후방 접지수단을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팩 2차 접지장치는 1차적으로 반으로 접혀 공급되는 하나 이상의 마스크팩(P)을 수평으로 이동시키면서 전, 후방을 1/3씩 접는 장치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팩 2차 접지장치는 마스크팩 제조장치에 장착되는 것이다.
먼저, 마스크팩 제조장치는 여러 장치가 알려져 있는데, 일예로 첨부된 도면에서는 후방에 배치되는 시트 공급부(1)와 상기 시트 공급부(1)의 전방에 배치되는 와이어 컨베이어(2)와 절취하여 제조된 마스크팩(P)을 상기 와이어 컨베이어(2)의 상부에 공급하는 롤 절취 성형부(3)와 상기 와이어 컨베이어(2)의 전방에 구비되어 와이어 컨베이어(2)에서 전방으로 이동되는 마스크팩(P)들을 전방으로 공급하는 마스크팩 공급수단(4)과 상기 마스크팩 공급수단(4)의 전방 일측이나 양측에 좌우 방향으로 구비되어 마스크팩(P)을 포장을 위해 접는 접지수단(5)을 포함하는 마스크팩 제조장치를 도시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팩 2차 접지장치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지수단(5)이 내측(이하, 상기 마스트팩 공급수단인 중앙 방향을 "내측"이라하고, 내측에서 양측 방향을"외측"이라 한다.)에 구비되는 제1접지부(51)의 상부 외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팩 2차 접지장치는 상기 제1접지부(51)의 상부 외측에 구비되는 제2접지부(54)를 포함한다.
상기 제2접지부(54)는 상기 제1접지부(51)의 상부에 내측에서 외측의 방향으로 배치되어 반 접힌 마스크팩(P)을 1/3으로 접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제2접지부(54)는 상기 제1접지부(51)의 상부에 내측에서 외측의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부가 외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하나 이상의 이송벨트(551)를 가지는 수평 이동수단(55)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2접지부(54)는 반 접힌 마스크팩(P)의 전방과 후방을 순차적으로 접을 수 있도록, 상기 제1접지부(51)의 상부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벨트(551)를 따라 이동되는 반 접힌 마스크팩(P)의 전방을 1/3접는 전방 접지수단(56)과 상기 전방 접지수단(56)의 외측에 구비되어 전방이 접힌 마스크팩(P)의 후방을 1/3접는 후방 접지수단(57)을 더 포함한다.
상기 수평 이동수단(55)은 상기 제1접지부(51)의 상부 외측에 구비되는 상부 회전축(532)에 감겨지고 외측의 풀리에 감겨져 횡방향으로 형성되고 각각의 상부에는 상기 반 접힌 마스크팩(P)이 올려지는 하나 이상의 상기 이송벨트(551)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수평 이동수단(55)은 각각의 상기 이송벨트(551)의 상부 내측에 횡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반 접힌 마스크팩(P)을 수평으로 눕히고 반 접힌 마스크팩(P)의 상부를 눌러주는 상부 누름 와이어벨트(552)를 더 포함한다.
상기 상부 누름 와이어벨트(552)는 상기 내측 종방향 회전축과 외측 종방향 회전축과 상기 내측 종방향 회전축과 외측 종방향 회전축의 사이에 연결되는 전후 두 개의 수평 이송와이어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전방 접지수단(56)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누름 와이어벨트(552)의 상부에 이격되게 구비되고 수직 실린더(S)에 의해 수직으로 승강되는 제1승강대(561)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전방 접지수단(56)은 상기 제1승강대(561)의 외측면에 고정되고, 하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각 상기 이송벨트(551)의 상부 전방에 상부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제1승강대(561)의 하강을 통해 상기 이송벨트(551)에 올려져 이송이 정지된 반 접힌 마스크팩(P)의 중앙 전방을 눌러주는 횡방향 전방 누름판(563)을 가지는 전방 누름부재(56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전방 접지수단(56)은 상기 제1승강대(561)의 외측면에 수평 실린더(S)에 의해 전, 후방의 수평 이동이 가능하게 구비되고 하부에는 상기 횡방향 전방 누름판(563)의 전방 상부에 배치되어 후방의 이동을 통해 상기 마스크팩(P)의 전방을 포개지게 접는 횡방향 전방 접지판(565)을 가지는 전방 접지부재(564)를 포함하고, 상기 제1승강대(561)의 외측인 각 이송벨트(551)의 상부에 구비되어 마스크팩(P)을 눌러주고 외측을 중심으로 내측이 상승 가능한 제1누름 와이어벨트(566)를 포함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전방 접지수단(56)은 상기 전방 누름판(563)이 상부에 위치된 이송벨트(551)의 전방에 전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전방 누름판(563)의 하강시 반 접힌 마스크팩(P)의 전방을 상향지게 절곡시키는 황방향 전방 수직판(567)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누름 와이어벨트(566)는 외측을 중심으로 내측을 상승시켜 상기 횡방향 전방 접지판(565)이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외측 종방향 회전축(566a)과 상기 이송벨트(551)의 전, 후방 폭보다 전, 후방 폭이 작은 내측 풀리(566b)와 상기 외측 종방향 회전축(566a)과 내측 풀리(566b)에 연결되는 전후 두 개의 수평 이송 와이어(566c)와 상기 내측 풀리(566b)의 중심축에 내측 단부가 연결되고 외측 단부가 모터(M)에 의해 회전되는 종방향 회전축(566e)에 연결 고정되는 각도 변경링크(566d)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 전방 접지수단(56)을 통해 반 접힌 마스크팩(P)의 전방을 접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상기 이송벨트(551)의 상부에 올려진 반 접힌 마스크팩(P)이 상기 제1승강대(561)의 외측에 이동되어 정지된다.
다음 상기 수직 실린더(S)가 하강되어 제1승강대(561)가 하강됨으로써, 제1승강대(561)의 외측면에 구비된 횡방향 전방 누름판(563)이 반 접힌 마스크팩(P)의 중앙 전방을 눌러주게 되고, 상기 횡방향 전방 접지판(565)이 하강된다. 그러면, 반 접힌 마스크팩(P)의 중앙 전방이 하부로 눌러져 하부로 이동되고, 반 접힌 마스크팩(P)의 전방이 이송벨트(551)의 전방에 위치된 횡방향 전방 수직판(567)의 상단에 밀착됨으로써 반 접힌 마스크팩(P)의 전방이 상향지게 절곡되고, 전방이 상향지게 절곡된 반 접힌 마스크팩(P)의 전방이 상기 횡방향 전방 접지판(565)의 후방에 위치된다. 즉 상기 횡방향 전방 누름판(563)이 반 접힌 마스크팩(P)의 중앙 전방을 눌러주게 되면 이송벨트(551)가 하부로 눌러지게 됨으로써, 반 접힌 마스크팩(P)의 중앙 전방이 하부로 이동되는 것이다.
다음 상기 모터(M)가 작동되어 상기 각도 변경링크(566d)의 내측을 상부로 들어줌으로써, 상기 제1누름 와이어벨트(566)의 내측단부를 들어줌에 따라, 제1누름 와이어벨트(566)의 하부와 반 접힌 마스크팩(P)의 사이에 상기 횡방향 전방 접지판(565)의 통과 공간이 형성된다.
다음 상기 수평 실린더(S)가 후진 작동되어 상기 횡방향 전방 접지판(565)이 후방으로 이동됨으로써, 반 접힌 마스크팩(P)의 전방이 상부로 적층되게 접힌다. 그리고, 상기 수평 실린더(S)가 다시 원위치로 전진 작동되어 횡방향 전방 접지판(565)이 원위치로 복귀된다.
다음 상기 모터(M)가 작동되어 각도 변경링크(566d)의 내측을 하부로 내려줌으로써, 상기 제1누름 와이어벨트(566)의 내측 단부가 하강되어 제1누름 와이어벨트(566)의 내측이 상기 전방이 접힌 마스크팩(P)의 상면에 밀착된다.
그런 다음, 상기 이송벨트(551)가 작동됨으로써 전방이 접힌 마스크팩(P)이 상기 후방 접지수단(57)으로 이동 공급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후방 접지수단(57)은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 접지수단(56)의 외측인 각 이송벨트(551)의 상부에 구비되고 수직 실린더(S)에 의해 수직으로 승강되는 제2승강대(571)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후방 접지수단(57)은 제2승강대(571)의 외측면에 고정되고, 하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며 각 상기 이송벨트(551)의 상부 후방에 상부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제2승강대(571)의 하강을 통해 상기 이송벨트(551)에 올려져 이송이 정지된 전방이 접힌 마스크팩(P)의 중앙 후방을 눌러주는 횡방향 후방 누름판(573)을 가지는 후방 누름부재(57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후방 접지수단(57)은 상기 제2승강대(571)의 외측면에 수평 실린더(S)에 의해 전, 후방의 수평 이동이 가능하게 구비되고 하부에는 상기 횡방향 후방 누름판(573)의 후방 상부에 배치되어 전방의 이동을 통해 상기 마스크팩(P)의 후방을 포개지게 접는 횡방향 후방 접지판(575)을 가지는 전방 접지부재(564)를 포함하고, 상기 제2승강대(571)의 외측인 각 이송벨트(551)의 상부에 구비되어 마스크팩(P)을 눌러주고 외측을 중심으로 내측이 상승 가능한 제2누름 와이어벨트(576)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제2누름 와이어벨트(576)는 외측을 중심으로 내측을 상승시켜 상기 횡방향 전방 접지판(565)이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외측 종방향 종방향 회전축(576a)과 상기 이송벨트(551)의 전, 후방 폭보다 전, 후방 폭이 작은 내측 풀리(576b)와 상기 외측 종방향 회전축(576a)과 내측 풀리(576b)에 연결되는 전후 두 개의 수평 이송 와이어(576c)와 상기 내측 풀리(576b)의 중심축에 내측 단부가 연결되고 외측 단부가 모터(M)에 의해 회전되는 종방향 회전축(576e)에 연결 고정되는 각도 변경링크(576d)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 후방 접지수단(57)을 통해 전방이 접힌 마스크팩(P)의 후방을 접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상기 이송벨트(551)에 상부에 올려진 전방이 접힌 마스크팩(P)이 상기 제2승강대(571)의 외측에 이동되어 정지된다.
다음 상기 수직 실린더(S)가 하강되어 제2승강대(571)를 하강시킴으로써, 제2승강대(571)의 외측면에 구비된 횡방향 후방 누름판(573)이 전방이 접힌 마스크팩(P)의 중앙 후방을 눌러주게 되고, 상기 횡방향 전방 접지판(575)이 하강된다. 그러면, 전방이 접힌 마스크팩(P)의 중앙 후방이 하부로 눌러져 하부로 이동되고, 전방이 접힌 마스크팩(P)의 후방이 이송벨트(551)의 후방에 위치된 횡방향 후방 수직판(577)의 상단에 밀착됨으로써 전방이 접힌 마스크팩(P)의 후방이 상향지게 절곡되고, 후방이 상향지게 절곡된 전방이 접힌 마스크팩(P)의 후방이 상기 횡방향 전방 접지판(565)의 전방에 위치된다. 즉 상기 횡방향 후방 누름판(573)이 전방이 접힌 마스크팩(P)의 중앙 후방을 눌러주게 되면 이송벨트(551)가 하부로 눌러지게 됨으로써, 전방이 접힌 마스크팩(P)의 중앙 후방이 하부로 이동되는 것이다.
다음 상기 모터(M)가 작동되어 상기 각도 변경링크(576d)의 내측을 상부로 들어줌으로써, 상기 제2누름 와이어벨트(576)의 내측단부를 들어줌에 따라, 제2누름 와이어벨트(576)의 하부와 전방이 접힌 마스크팩(P)의 사이에 횡방향 후방 접지판(575)의 통과 공간이 형성된다.
다음 상기 수평 실린더(S)가 전진 작동되어 상기 횡방향 후방 접지판(575)이 전방으로 이동됨으로써, 전방이 접힌 마스크팩(P)의 후방이 상부로 적층되게 접힌다. 그리고, 상기 수평 실린더(S)가 다시 원위치로 후진 작동되어 횡방향 후방 접지판(575)이 원위치로 복귀된다.
다음 상기 모터(M)가 작동되어 각도 변경링크(576d)의 내측을 하부로 내려줌으로써, 상기 제2누름 와이어벨트(576)의 내측 단부가 하강되어 제2누름 와이어벨트(576)의 하부가 상기 전, 후방이 모두 접힌 마스크팩(P)의 상면에 밀착된다.
그런 다음, 상기 이송벨트(551)가 작동됨으로써 전, 후방이 모두 접힌 마스크팩(P)이 상기 봉투 포장수단(6)으로 이동 공급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제1접지부(51)를 통해 반으로 접혀진 마스크팩(P)의 전방을 전방 접지수단(56)을 통해 먼저 접고, 다음 공정에서 후방 접지수단(57)을 통해 전방이 접혀진 마스크팩(P)의 후방을 접음에 따라, 반 접힌 마스크팩(P)의 전, 후방을 접는 제2접지부(54)를 간단히 구성함으로써 제2접지부(54)의 고장을 줄일 수 있고, 제2접지부(54)에서 접지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로 줄일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 시트 공급부 2 : 와이어 컨베이어
3 : 롤 절취 성형부 4 : 마스크팩 공급수단
5 : 접지수단
51 : 제1접지부 54 : 제2접지부
55 : 수평 이동수단 56 : 전방 접지수단
57 : 후방 접지수단
551 : 이송벨트 552 : 상부 누름 와이어벨트
561 : 제1승강대 562 : 전방 누름부재
563 : 횡방향 전방 누름판 564 : 전방 접지부재
565 : 횡방향 전방 접지판 566 : 제1누름 와이어벨트
567 : 횡방향 전방 수직판
571 : 제2승강대 572 : 후방 누름부재
573 : 횡방향 후방 누름판 574 : 후방 접지부재
575 : 횡방향 후방 접지판 576 : 제2누름 와이어벨트
577 : 횡방향 후방 수직판

Claims (6)

  1. 제1접지부(51)에서 반이 접혀진 마스크팩(P)을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수평 이동시키면서 반으로 접힌 마스크팩(P)의 전, 후방을 접어 외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접지부(54)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접지부(54)는 상기 제1접지부(51)의 상부에 내측에서 외측의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부가 외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하나 이상의 이송벨트(551)를 가지는 수평 이동수단(55)과, 상기 제1접지부(51)의 상부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벨트(551)를 따라 이동되는 반 접힌 마스크팩(P)의 전방을 접는 전방 접지수단(56)과, 상기 전방 접지수단(56)의 외측에 구비되어 전방이 접힌 마스크팩(P)의 후방을 접는 후방 접지수단(57),을 포함하며,
    상기 전방 접지수단(56)은 상기 이송벨트(551)의 상부에 이격되게 구비되어 구동에 의해 승강되는 제1승강대(561)와; 상기 제1승강대(561)의 외측면에 고정되고, 하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각 상기 이송벨트(551)의 상부 전방에 상부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제1승강대(561)의 하강을 통해 상기 이송벨트(551)에 올려져 이송이 정지된 반 접힌 마스크팩(P)의 중앙 전방을 눌러주는 횡방향 전방 누름판(563)을 가지는 전방 누름부재(562)와; 상기 제1승강대(561)의 외측면에 구동에 의해 전, 후방의 수평 이동이 가능하게 구비되고, 하부에는 상기 횡방향 전방 누름판(563)의 전방 상부에 배치되어 후방의 이동을 통해 상기 마스크팩(P)의 전방을 포개지게 접는 횡방향 전방 접지판(565)을 가지는 전방 접지부재(564)와; 상기 제1승강대(561)의 외측인 각 이송벨트(551)의 상부에 구비되어 마스크팩(P)을 눌러주고 구동에 의해 외측을 중심으로 내측이 상승 가능한 제1누름 와이어벨트(566); 상기 전방 누름판(563)이 상부에 위치된 이송벨트(551)의 전방에 전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전방 누름판(563)의 하강시 반 접힌 마스크팩(P)의 전방을 상향지게 절곡시키는 황방향 전방 수직판(567);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 접지수단(57)은 상기 전방 접지수단(56)의 외측인 각 이송벨트(551)의 상부에 구비되고 구동에 의해 수직으로 승강되는 제2승강대(571)와; 상기 제2승강대(571)의 외측면에 고정되고, 하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며 각 상기 이송벨트(551)의 상부 후방에 상부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제2승강대의 하강을 통해 상기 이송벨트(551)에 올려져 이송이 정지된 전방이 접힌 마스크팩(P)의 중앙 후방을 눌러주는 횡방향 후방 누름판(573)을 가지는 후방 누름부재(572)와; 상기 제2승강대(571)의 외측면에 구동에 의해 전, 후방의 수평 이동이 가능하게 구비되고 하부에는 상기 횡방향 후방 누름판(573)의 후방 상부에 배치되어 전방의 이동을 통해 상기 마스크팩(P)의 후방을 포개지게 접는 횡방향 후방 접지판(575)을 가지는 후방 접지부재(574)와; 상기 제2승강대(571)의 외측인 각 이송벨트(551)의 상부에 구비되어 마스크팩(P)을 눌러주고 구동에 의해 외측을 중심으로 내측이 상승 가능한 제2누름 와이어벨트(576)와; 상기 후방 누름판(573)이 상부에 위치된 이송벨트(551)의 후방에 후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후방 누름판(573)의 하강시 전방이 접힌 마스크팩(P)의 후방을 상향지게 절곡시키는 횡방향 후방 수직판(57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2차 접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이동수단(55)은
    상기 제1접지부(51)의 상부 외측에 구비되는 상부 회전축(532)에 감겨지게 횡방향으로 구비되고 각각의 상부에는 상기 반 접힌 마스크팩(P)이 올려지는 하나 이상의 상기 이송벨트(551)와
    각 상기 이송벨트(551)의 상부 내측에 횡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반 접힌 마스크팩(P)을 수평으로 눕히고 반 접힌 마스크팩(P)의 상부를 눌러주는 상부 누름 와이어벨트(55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2차 접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누름 와이어벨트(566)는
    외측 종방향 회전축(566a)과 상기 이송벨트(551)의 전, 후방 폭보다 전, 후방 폭이 작은 내측 풀리(566b)와 상기 외측 종방향 회전축(566a)과 내측 풀리(566b)에 연결되는 전후 두 개의 수평 이송 와이어(566c)와 상기 내측 풀리(566b)의 중심축에 내측 단부가 연결되고 외측 단부가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종방향 회전축(566e)에 연결 고정되는 각도 변경링크(566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2차 접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누름 와이어벨트(576)는
    외측 종방향 회전축(576a)과 상기 이송벨트(551)의 전, 후방 폭보다 전, 후방 폭이 작은 내측 풀리(576b)와 상기 외측 종방향 회전축(576a)과 내측 풀리(576b)에 연결되는 전후 두 개의 수평 이송 와이어(576c)와 상기 내측 풀리(576b)의 중심축에 내측 단부가 연결되고 외측 단부가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종방향 회전축(576e)에 연결 고정되는 각도 변경링크(576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2차 접지장치.
  5. 삭제
  6. 삭제
KR1020170007207A 2017-01-16 2017-01-16 마스크팩 2차 접지장치 KR1019026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7207A KR101902682B1 (ko) 2017-01-16 2017-01-16 마스크팩 2차 접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7207A KR101902682B1 (ko) 2017-01-16 2017-01-16 마스크팩 2차 접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4300A KR20180084300A (ko) 2018-07-25
KR101902682B1 true KR101902682B1 (ko) 2018-11-07

Family

ID=63058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7207A KR101902682B1 (ko) 2017-01-16 2017-01-16 마스크팩 2차 접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26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5363A (ko) 2019-08-02 2021-02-10 이명수 마스크팩 포장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46254A (zh) * 2020-06-08 2020-09-11 龙岩隆飞立创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一次性医用口罩生产用上料装置及其使用方法
CN111977443B (zh) * 2020-09-16 2022-04-15 健尔康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纱布折叠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39569A (ja) * 2002-05-24 2003-12-02 Hakko Shokai:Kk 生地部材の折り畳み方法及び装置
KR101651803B1 (ko) * 2016-03-03 2016-08-26 최정회 마스크팩 제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5861A (ko) 2014-08-28 2016-03-09 광성주식회사 구근작물 수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39569A (ja) * 2002-05-24 2003-12-02 Hakko Shokai:Kk 生地部材の折り畳み方法及び装置
KR101651803B1 (ko) * 2016-03-03 2016-08-26 최정회 마스크팩 제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5363A (ko) 2019-08-02 2021-02-10 이명수 마스크팩 포장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4300A (ko) 2018-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1802B1 (ko) 마스크팩 포장용 마스크팩 접지장치
KR101651803B1 (ko) 마스크팩 제조장치
KR101902682B1 (ko) 마스크팩 2차 접지장치
JP3466000B2 (ja) 積重ね方法及び装置
EP1065162B1 (en) Cross-lapping machine for continuously creasing, folding and cross-lapping corrugated board material
CN107963491A (zh) 一种接料带的粘接机
KR20180009871A (ko) 마스크 팩 자동 절첩장치
JP2012533493A (ja) ビニール袋の折畳・積層装置
KR200475955Y1 (ko) 유리 포장장치
KR20190138952A (ko) 마스크팩 이송포장장치
KR101722882B1 (ko) 마스크팩용 시트의 2차 절첩장치
EP0634321B1 (en) Packaging machine for wrapping books or the like
US6971979B1 (en) Folded box gluing machine for producing folded boxes from blanks
CN108423409A (zh) 相框切角机用分类输送装置
JP3653481B2 (ja) インターフォルダ
KR101089703B1 (ko) 패턴지 상자 자동 접지장치
KR102408601B1 (ko) 자동 접지 분리식 티슈 제조장치
JPH0640575Y2 (ja) 切断閉曲線入りガラス板の折割装置
JP2017071432A (ja) 脱気装置および包装機
CN113059818B (zh) 一种平面口罩打片机
CN110435230A (zh) 一种缓冲纸垫成型机及一种缓冲纸垫的成型方法
CN221024412U (zh) 一种纸箱装箱机的进纸装置
CN217295182U (zh) 一种纸制品包装机的托包整形灌包机构
KR102402867B1 (ko) 과자 포장지용 열융착장치
CN217533407U (zh) 一种布料码垛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