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1968B1 - 핸드피스의 안전위치를 인식하여 레이저빔을 제한하는 의료용 레이저 치료장치 - Google Patents

핸드피스의 안전위치를 인식하여 레이저빔을 제한하는 의료용 레이저 치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1968B1
KR101901968B1 KR1020170021868A KR20170021868A KR101901968B1 KR 101901968 B1 KR101901968 B1 KR 101901968B1 KR 1020170021868 A KR1020170021868 A KR 1020170021868A KR 20170021868 A KR20170021868 A KR 20170021868A KR 101901968 B1 KR101901968 B1 KR 1019019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piece
laser beam
unit
sensing
sen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1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5405A (ko
Inventor
이현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로
Priority to KR1020170021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1968B1/ko
Publication of KR20180095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54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19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19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6Skin treatment other than tan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 A61B18/2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 A61B18/203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applying laser energy to the outside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 A61B18/2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 A61B18/2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the beam being directed along or through a flexible conduit, e.g. an optical fibre; Couplings or hand-pie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7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using laser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988Means for storing information, e.g. calibration constants, or for preventing excessive use, e.g. usage, service life coun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2Operational features
    • A61B2560/0223Operational features of calibration, e.g. protocols for calibrating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26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omprising light transmitting means, e.g. optical fib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3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3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 A61N2005/0644Handheld applica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 Laser Surger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핸드피스의 안전위치를 인식하여 레이저빔을 제한하는 의료용 레이저 치료장치 의료용 레이저 치료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레이저빔을 발생시키는 레이저 발진장치를 수용하는 본체부, 본체부로부터 연장되어 레이저빔을 유도하는 광섬유케이블, 광섬유케이블에 연결되어 본체부로부터 레이저빔을 제공받아 환부에 레이저빔을 조사하는 핸드피스, 본체부 일측에 형성되어 핸드피스 중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거치되는 거치부, 거치부 내측에 설치되어 핸드피스가 거치부에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인식하는 적어도 하나의 감지부, 감지부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핸드피스로부터 레이저빔이 조사되는 것을 제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핸드피스의 안전위치를 인식하여 레이저빔을 제한하는 의료용 레이저 치료장치{Laser treatment apparatus for the limit the laser beam with reference the safety position of handpiece}
본 발명은 핸드피스의 안전위치를 인식하여 레이저빔을 제한하는 의료용 레이저 치료장치 의료용 레이저 치료장치에 관한 것이다.
레이저빔을 이용한 치료는 피부를 손상시키지 않고 피부의 온도를 상승시키며 세포 재생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레이저 치료는 피부 결 개선과 수술후 흉터 등을 치유하는데 많이 사용되고 있다.
현재에는 치료장치를 이용해 치료효과를 보다 높일 수 있는 장치 및 방법 등에 관해 많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개발된 장치 및 방법의 대다수는 환부를 보다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치료하는데 초점이 맞춰져 있을 뿐, 핸드피스의 오작동에 의한 사고를 방지시킬 수 있는 장치에 대해서는 고려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현재 개발된 대다수의 장치들은 사용자의 부주의 등에 의해 작동되는 핸드피스에 의한 사고에 대해서는 미연에 방지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26431호(2010.03.10)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핸드피스의 거치위치를 검출해 핸드피스가 오작동 되지 않도록 하여, 핸드피스의 오작동에 의한 장치 내부의 소손을 방지시킬 수 있는 의료용 레이저치료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장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피스의 안전위치를 인식하여 레이저빔을 제한하는 의료용 레이저 치료장치 의료용 레이저 치료장치는 내부에 레이저빔을 발생시키는 레이저 발진장치를 수용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레이저빔을 유도하는 광섬유케이블, 상기 광섬유케이블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부로부터 상기 레이저빔을 제공받아 환부에 상기 레이저빔을 조사하는 핸드피스, 상기 본체부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핸드피스 중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거치되는 거치부, 상기 거치부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핸드피스가 상기 거치부에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인식하는 적어도 하나의 감지부, 상기 감지부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핸드피스로부터 상기 레이저빔이 조사되는 것을 제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감지부는, 상기 거치부의 입구측에 제1감지부와 상기 제1감지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거치부의 내측에 설치된 제2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감지부로부터 상기 감지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제2감지부로부터 상기 감지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핸드피스로부터 상기 레이저빔이 조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감지부와 상기 제2감지부로부터 모두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핸드피스로부터 조사되는 상기 레이저빔의 광량을 조절할 수 있는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대기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캘리브레이션 대기모드에서 캘리브레이션 수행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핸드피스로부터 조사되는 상기 레이저빔의 광량을 조절하여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2감지부는,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수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핸드피스는 일단부에 상기 발광부와 상기 수광부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빛을 차단하는 차단편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핸드피스가 거치부에 정상 거치되었을 때에는 레이저 보정 기능을 수행하여 일정한 세기의 레이저빔이 출력될 수 있도록 하고, 핸드피스가 거치부에 비정상 거치되었을 때에는 레이저빔의 출력을 차단해 거치부가 소손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핸드피스의 비정상 적인 거치상태에서 레이저빔의 출력을 완전히 차단하여 레이저 발진기의 노후화를 감소 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료용 레이저 치료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핸드피스가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된 상태 및 거치부에 거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은 도 2의 핸드피스가 거치부에 거치되지 않았을 때를 나타낸 거치부 내측의 계략적인 계통도이다.
도 4는 도 2의 핸드피스가 거치부에 비정상 거치되었을 때를 나타낸 거치부 내측의 계략적인 계통도이다.
도 5는 도 2의 핸드피스가 거치부에 정상 거치되었을 때를 나타낸 거치부 내측의 계략적인 계통도이다.
도 6은 핸드피스가 거치부에 정상 거치되어, 핸드피스에서 조사되는 레이저빔이 캘리브레이션 되는 상태를 나타낸 파형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핸드피스의 안전위치를 인식하여 레이저빔을 제한하는 의료용 레이저 치료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료용 레이저 치료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핸드피스가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된 상태 및 거치부에 거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은 도 2의 핸드피스가 거치부에 거치되지 않았을 때를 나타낸 거치부 내측의 계략적인 계통도이다.
의료용 레이저 치료장치(1)는 핸드피스(30)가 거치부(40)에서 분리되었을 때 핸드피스(30)나 본체부(10)에 설치된 스위치(버튼부(31) 및 발판스위치(S)) 등에서 레이저빔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 거치부(40)에 거치되었을 때 핸드피스(30)나 본체부(10)에 설치된 스위치 등에서 레이저빔의 제어를 차단할 수 있다. 특히, 의료용 레이저 치료장치(1)는 핸드피스(30)가 거치부(40)에 거치된 상태를 감지하여 거치 상태가 정상일 때 핸드피스(30)에서 출력되는 레이저빔의 광량을 보정하고, 거치 상태가 비정상 일 때 핸드피스(30)에서 레이저빔이 출력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의료용 레이저 치료장치(1)는 핸드피스(30)가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부(40)에서 분리되어 환자(W)의 환부에 접할 때에는 항상 일정한 세기의 레이저빔을 조사할 수 있다. 그리고, 핸드피스(30)가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부(40)에 삽입되어 거치될 때에는 거치부(40)에 거치된 상태를 감지하여 거치상태에 따라 레이저빔을 일정한 세기로 보정하거나, 핸드피스(30)에서 레이저빔의 출력을 원천적으로 차단해 내부가 소손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의료용 레이저 치료장치(1)는 본체부(10), 본체부(10)에 광섬유 케이블(20)로 연결되는 핸드피스(30), 본체부(10)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핸드피스(30)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부(40), 거치부(40) 내측에 설치되는 감지부(50), 감지부(50)와 연결되어 감지신호를 입력받는 제어부(70) 등을 구성요소로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의료용 레이저 치료장치(1)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체부(10)는 외부에서 전원을 인가받아, 레이저빔을 발생시키는 레이저 발진장치(11)를 작동시켜, 일정한 파장의 레이저빔을 생성할 수 있다. 본체부(10)는 복수 개의 레이저 발진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레이저빔을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본체부(10)의 일측에는 전기를 전달하는 전선과 레이저빔을 전달하는 광섬유(optical fiber)가 함께 절연체로 피복된 광섬유 케이블(20)이 연장 연결된다.
광섬유 케이블(20)은 핸드피스(30)와 연결되어 본체부(10)에서 핸드피스(30)로 레이저빔을 유도하여 전달하고,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 광섬유 케이블(20)은 본체부(10)의 일측면에 길이가 조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광섬유 케이블(20)은 본체부(10)의 상단부에 설치된 케이블 받침대(15)에 지지되며, 길이가 가변 될 때 케이블 받침대(15)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케이블 받침대(15)는 광섬유 케이블(20)이 당겨지는 힘에 대응하여 높이가 조절되어, 광섬유 케이블(20)의 곡률을 작게 유지하여 핸드피스(30)에 레이저빔이 원할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핸드피스(30)는 광섬유 케이블(20)을 통해 레이저빔을 제공받아 제어하며 환자(W)의 환부에 조사할 수 있다. 이러한 핸드피스(30)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하여 레이저빔을 조사할 수 있으며, 거치부(40)에 용이하게 거치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핸드피스(30)는 일측면에는 레이저빔을 출력을 제어하는 버튼부(31)와 레이저빔이 출력되는 앞단에는 레이저빔을 한 곳으로 모으는 렌즈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렌즈부(32) 하단에는 핸드피스(30)가 거치부(40)에 정상적으로 거치될 수 있도록 하고, 거치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차단편(3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차단편(33)은 핸드피스(30)의 내측으로 일부 만입된 홈의 중앙에서 수직으로 돌출된 돌기로 형성될 수 있다.
거치부(40)는 본체부(10)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핸드피스(30)를 거치시킬 수 있다. 일례로, 거치부(40)는 본체부(10)의 전면에 만입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핸드피스의 일부를 삽입하여 거치시킬 수 있다.
거치부(40)의 내측에는 핸드피스(30)의 삽입 여부를 인식하는 적어도 하나의 감지부(50), 레이저빔의 광량을 검출하는 광량검출부(60), 감지부(50) 및 광량검출부(60)과 연결되어 레이저빔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70) 등이 설치될 수 있다.
감지부(50)는 핸드피스(30)가 거치부(40) 내측으로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이러한 감지부(50)는 전기를 인가받아 빛을 출력하는 발광부(51a, 52a), 발광부(51a, 52a)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발광부(51a, 52a)에서 출력한 빛을 감지하여 전기로 출력하는 수광부(51b, 52b)가 한 쌍으로 이루어진 광센서로 구성 될 수 있다.
감지부(50)는 거치부(40)의 입구측에 설치된 제1감지부(51)와 제1감지부(51)로부터 이격되어 거치부(40)의 내측에 설치된 제2감지부(52)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감지부(51)는 핸드피스(30)가 거치부(40)로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정확히 감지하여 정확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고, 제2감지부(52)는 핸드피스(30)의 차단편(33)이 정위치에 거치되었는지 여부를 정확히 감지하여 정확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일례로, 제1감지부(51)와 제2감지부(52)는 발광부(51a, 52a)와 수광부(51b, 52b)사이에 핸드피스(30)의 일부가 개재되었을 때, 제어부(70)에서 디지털 신호인'0'으로 감지할 수 있는 전기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발광부(51a, 52a)와 수광부(51b, 52b)사이에 핸드피스(30)가 개재되지 않았을 때, 제어부(70)에서 디지털 신호'1'로 감지할 수 있는 전기를 출력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감지부(51)와 제2감지부(52)는 핸드피스(30)를 감지하며 제어부(70)가 디지털 신호인'0'및 디지털 신호인'1'로 감지할 수 있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명세서 상에서는 감지부(50)가 제어부(70)에서 디지털 신호'0'으로 감지할 수 있게 생성한 전기신호를 감지신호로 정의한다.
광량검출부(60)는 핸드피스(30)에서 출력되는 레이저빔을 측정하여 레이저빔의 광량이 일정하게 출력될 수 있도록 하는 전기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광량검출부(60)는 핸드피스(30)가 정상 거치된 상태에서, 핸드피스(30)의 렌즈부(32)와 평행한 위치에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 광량검출부(60)는 핸드피스(30)에서 출력되는 레이저빔을 온전히 입사하여, 레이저빔의 광량 및 레이저빔의 온도를 정확히 측정해 전기신호로 출력한다. 이때, 전기신호는 캘리브레이션 수행신호가 될 수 있다. 광량검출부(60)는 캘리브레이션 수행신호를 제어부(70)로 전송한다.
제어부(70)는 감지부(50)에서 입력되는 감지신호와 광량검출부(60)에서 출력되는 전기신호를 연산하여, 핸드피스(30)에서 출력되는 레이저빔의 광량을 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70)는 마이크로 컨트롤러(MCU: Micro Controller Unit)로 형성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70)는 제1감지부(51)와 제2감지부(52)와 연결된 부정합(NOR)게이트, 광량검출부(60)와 연결되어 전기신호를 인가받으며 부정합게이트에서 인가되는 출력된 신호로 온/오프되는 스위치, 제1감지부(51)와 제2감지부(52)와 연결되는 논리곱(AND)게이트, 스위치에서 인가되는 신호를 반전하는 부정(NOT)게이트, 스위치에서 인가되는 신호를 기준신호로 변환해 레이저 발진장치(11)에 인가하는 컨트롤러 등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로 형성될 수 있다.
제어부(70)는 이러한 복수 개의 반도체 소자들의 연결을 통해 제1감지부(51)와 제2감지부(52)로부터 디지털 신호'0'이 입력될 경우, 핸드피스(30)로부터 출력되는 레이저빔의 광량을 조절할 수 있는 캘리브레이션 대기모드로 전환한다. 그리고, 캘리브레이션 대기모드 상태에서 광량검출부(60)에서 출력되는 검출신호 즉, 캘리브레이션 수행신호가 입력되면, 입력되는 캘리브래이션 수행신호에 대응해 핸드피스(30)의 레이저빔의 광량을 조절하는 캘리브레이션 수행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70)는 캘리브레이션 수행모드가 진행될 때, 레이저빔의 세기를 제어하는 각종 스위치의 작동을 차단하여, 사용자에 의해 레이저빔의 세기가 조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핸드피스가 거치부에 거치되지 않았을 때와 핸드피스가 거치부에 거치되었을 때, 감지부(50)와 제어부(70)간에 작동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은 도 2의 핸드피스가 거치부에 거치되지 않았을 때를 나타낸 거치부 내측의 계략적인 계통도이고, 도 4는 도 2의 핸드피스가 거치부에 비정상 거치되었을 때를 나타낸 거치부 내측의 계략적인 계통도이고, 도 5는 도 2의 핸드피가 거치부에 정상 거치되었을 때를 나타낸 거치부 내측의 계략적인 계통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부(40)에 핸드피스(30)가 거치되지 않았을 때, 제1감지부(51)와 제2감지부(52)는 모두 제어부(70)가 디지털 신호'1'로 감지할 수 있는 제1감지신호를 출력하여 제어부(70)에 인가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는 제어부(70)가 부정합게이트, 논리곱게이트, 스위치, 부정게이트, 합게이트 및 컨트롤러 등으로 구성되는 것을 일례로 하여 제어부(70)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제어부(70)는 이러한 반도체 소자들의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와 다른 다양한 소자들의 연결을 통해 핸드피스(30)의 위치를 검출하고 레이저빔의 광량을 조정할 수 있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것에 한에서 다양하게 변형되어 형성될 수 있다.
거치부(40)에 핸드피스(30)가 거치되지 않았을 때, 부정합게이트는 제1감지부(51)와 제2감지부(52)로부터 디지털 신호'1'에 해당하는 신호를 입력받아 디지털 신호'0'에 해당하는 제1제어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논리곱게이트는 제1감지부(51)와 제2감지부(52)로부터 디지털 신호'1'에 해당하는 신호를 입력받아 디지털 신호'1'에 해당하는 제2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스위치는 디지털 신호'0'인 부정합게이트로부터 제1제어신호를 인가받아 개방상태를 유지하여 광량검출부(60)에서 발생되는 캘리브레이션 수행신호가 제어부(70)에 전달되지 않도록하고, 컨트롤러는 논리곱게이트에서 제2제어신호를 인가받고, 스위치에서 인가되는 캘리브레이션 수행신호를 연산해 레이저 발진장치(11)로 인가하여 레이저 발진장치(11)에서 일정세기의 레이저빔이 조사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부정게이트는 스위치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0'에 해당하는 제3제어신호를 반전하여 디지털 신호'1'에 해당하는 제4제어신호를 생성해 버튼부(31) 및 발판스위치(S)에 인가하여 핸드피스(30)에서 조사되는 레이저빔이 제어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핸드피스(30)는 거치부(40)에 거치되지 않았을 때, 일정한 세기의 레이저빔을 조사할 수 있고, 버튼부(31) 및 발판스위치(S)를 이용하여 외부로 출력되는 레이저빔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부(40)에 핸드피스(30)가 삽입되었으나, 핸드피스(30)의 차단편(33)이 제2감지부(52) 사이에 삽입되지 않았을 때 즉, 핸드피스(30)가 비정상적으로 거치되었을 때, 제1감지부(51)는 제어부(70)가 디지털 신호'1'로 감지할 수 있는 제1감지신호를 출력하고, 제2감지부(52)는 제에버(70)가 디지털 신호'0'로 감지할 수 있는 감지신호를 출력하여 제어부(70)에 인가할 수 있다.
이때, 부정합게이트는 제1감지부(51)로부터 디지털 신호'1'에 해당하는 제1감지신호를 입력받고, 제2감지부(52)로부터 디지털 신호'0'에 해당하는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디지털 신호'0'에 해당하는 제1제어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논리곱게이트는 디지털 신호'0'에 해당하는 제2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스위치는 부정합게이트로부터 디지털 신호'1'인 제1제어신호를 인가받아 단락상태를 유지하여 광량검출부(60)에서 출력되는 캘리브레이션 수행신호가 제어부(70)로 입력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스위치는 캘리브레이션 대기모드를 형성한다. 이때, 컨트롤러는 논리곱게이트에 인가된 디지털 신호'0'와 캘리브레이션 수행신호를 연산해 레이저 발진장치(11)로 인가하여 레이저 발진장치(11)에서 레이저빔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부정게이트는 스위치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1'에 해당하는 제3제어신호를 반전하여 디지털 신호'0'에 해당하는 제4제어신호를 생성해 버튼부(31) 및 발판스위치(S)에 인가하여 핸드피스(30)에서 레이저빔이 출력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핸드피스(30)가 거치부(40)에 비정상 거치되었을 때, 의료용 레이저 치료장치(1)는 핸드피스(30)에서 레이저빔의 출력을 차단하여 캘리브레이션 수행모드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며, 내부의 반도체소자들의 소손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피스(30)의 차단편(33)이 제2감지부(52) 사이에 개재되면서 거치부(40)에 핸드피스(30)가 정상적으로 거치되었을 때, 제1감지부(51)와 제2감지부(52)는 모두 제어부(70)가 디지털 신호'0'로 감지할 수 있는 감지신호를 출력하여 제어부(70)에 인가할 수 있다.
제어부(70)의 부정합게이트는 제1감지부(51)와 제2감지부(52)로부터 감지신호(디지털 신호'0')를 입력받아 디지털 신호'1'에 해당하는 제1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논리곱게이트는 디지털 신호'0'에 해당하는 제2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스위치는 제1제어신호를 인가받아 단락상태를 유지하여 광량검출부(60)에서 출력되는 캘리브레이션 수행신호가 제어부(70)로 입력될 수 있도록 캘리브레이션 대기모드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스위치는 부정합게이트로부터 디지털 신호'1'인 제1제어신호를 인가받아 단락상태를 유지하여 광량검출부(60)에서 발생되는 캘리브레이션 수행신호가 제어부(70)에 전달되도록 할 수 하고, 논리곱게이트는 제1감지부(51)와 제2감지부(52)로부터 제1제어신호를 입력받아 디지털 신호'1'에 해당하는 제2제어신호를 레이저 발진장치(11)로 인가하여 레이저 발진장치(11)에서 일정세기의 레이저빔이 조사될 수 있도록 한다.
광량검출부(60)는 핸드피스(30)에서 조사되는 레이저빔의 광량 또는 레이저빔의 온도를 측정하여, 측정된 값에 대응하는 캘리브레이션 수행신호를 출력해 제어부(70)에 인가한다.
도 6을 참조하여, 캘리브레이션 수행신호가 출력되어 캘리브레이션 모드가 수행되는 상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은 핸드피스가 거치부에 정상 거치되어, 핸드피스에서 조사되는 레이저빔이 캘리브레이션 되는 상태를 나타낸 파형도이다.
제어부(70)에 캘리브레이션 수행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70)는 캘리브레이션 수행신호에 대응해 레이저 발진장치(11)에 인가되는 전기량을 조절해 인가하여, 레이저빔의 광량세기를 기준세기로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핸드피스(30)에서 출력되는 레이저빔이 기준세기(I1)로 출력되다가, 레이저 발진장치(11)의 노후화 등에 인해 출력되는 레이저빔의 광량의 세기가 기준세기(I1) 보다 크게 된 경우, 광량검출부(60)는 기준신호 보다 큰 캘리브레이션 수행신호를 출력한다. 제어부(70)는 기준신호 보다 큰 캘리브레이션 수행신호를 입력받아, 캘리브레이션 수행신호와 반비례 되는 전기신호를 출력해 레이저 발진부(11)에 인가하여 핸드피스(30)에서 출력되는 레이저빔의 광량을 감소시키며 기준세기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핸드피스(30)에서 출력되는 레이저빔이 기준세기(I1)로 출력되다가, 외부 요인에 인해 출력되는 레이저빔의 광량의 세기가 기준세기(I1)보다 작게 된 경우, 광량검출부(60)는 기준신호 보다 작은 캘리브레이션 수행신호를 출력한다.
제어부(70)는 기준신호 보다 작은 캘리브레이션 수행신호를 입력받아, 캘리브레이션 수행신호와 반비례되는 전기신호를 출력해 레이저 발진부(11)에 인가하여 핸드피스(30)에서 출력되는 레이저빔의 광량을 증가시키며 기준세기로 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70)는 캘리브레이션 수행신호가 입력되면, 캘리브레이션 수행신호에 대응하여 핸드피스(30)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빔을 항상 기준세기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의료용 레이저 치료장치 10: 본체부
11: 레이저 발진장치 15: 케이블 받침대
20: 광섬유 케이블 30: 핸드피스
31: 버튼부 32: 렌즈부
33: 차단편 40: 거치부
50: 감지부 51: 제1감지부
52: 제2감지부 60: 광량검출부
70: 제어부 W: 환자
S: 발판스위치

Claims (6)

  1. 내부에 레이저빔을 발생시키는 레이저 발진장치를 수용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레이저빔을 유도하는 광섬유케이블;
    상기 광섬유케이블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부로부터 상기 레이저빔을 제공받아 환부에 상기 레이저빔을 조사하는 핸드피스;
    상기 본체부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핸드피스 중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거치되는 거치부;
    상기 거치부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핸드피스가 상기 거치부에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인식하는 적어도 하나의 감지부, 상기 감지부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핸드피스로부터 상기 레이저빔이 조사되는 것을 제한하는 제어부; 및
    상기 거치부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핸드피스로부터 조사되는 상기 레이저빔의 광량을 검출하는 광량검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감지부는, 상기 거치부의 입구측에 설치된 제1감지부와, 상기 제1감지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거치부의 내측에 설치되되 상기 제1감지부와 상기 광량검출부 사이에 개재된 제2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감지부는,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수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핸드피스는 일단부에 상기 발광부와 상기 수광부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빛을 차단하는 차단편이 형성되고,
    상기 제1감지부와 상기 제2감지부로부터 모두 상기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레이저빔의 광량을 조절할 수 있는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 대기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광량검출부는 상기 핸드피스로부터 조사되는 상기 레이저빔을 입사받아 캘리브레이션 수행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입력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캘리브레이션 대기모드에서 상기 캘리브레이션 수행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핸드피스로부터 조사되는 상기 레이저빔의 광량을 조절하여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는 의료용 레이저 치료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감지부로부터 상기 감지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제2감지부로부터 상기 감지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핸드피스로부터 상기 레이저빔이 조사되는 것을 차단하는 의료용 레이저 치료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70021868A 2017-02-17 2017-02-17 핸드피스의 안전위치를 인식하여 레이저빔을 제한하는 의료용 레이저 치료장치 KR1019019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1868A KR101901968B1 (ko) 2017-02-17 2017-02-17 핸드피스의 안전위치를 인식하여 레이저빔을 제한하는 의료용 레이저 치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1868A KR101901968B1 (ko) 2017-02-17 2017-02-17 핸드피스의 안전위치를 인식하여 레이저빔을 제한하는 의료용 레이저 치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5405A KR20180095405A (ko) 2018-08-27
KR101901968B1 true KR101901968B1 (ko) 2018-09-27

Family

ID=63455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1868A KR101901968B1 (ko) 2017-02-17 2017-02-17 핸드피스의 안전위치를 인식하여 레이저빔을 제한하는 의료용 레이저 치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19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2729A (ko) 2020-09-28 2022-04-05 웰스메디텍 주식회사 저출력 레이저 치료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4772B1 (ko) 2018-11-26 2020-09-10 주식회사 리메드 의료용 레이저 장치를 위한 안전장치
KR102188170B1 (ko) * 2019-04-04 2020-12-07 (주)아그네스메디컬 플라즈마 피부 미용장치
KR102358955B1 (ko) * 2020-06-23 2022-02-07 주식회사 티에스젠 레이저 핸드피스 출력 듀얼 캘리브레이션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51208A (ja) 2004-08-12 2006-02-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レーザ出力制御装置及びレーザ治療装置
KR101654111B1 (ko) 2016-01-28 2016-09-05 김근식 직류전원을 이용한 의료용 광출력장치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6431A (ko) 2008-08-29 2010-03-10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레이저 치료기용 캘리브레이션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51208A (ja) 2004-08-12 2006-02-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レーザ出力制御装置及びレーザ治療装置
KR101654111B1 (ko) 2016-01-28 2016-09-05 김근식 직류전원을 이용한 의료용 광출력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2729A (ko) 2020-09-28 2022-04-05 웰스메디텍 주식회사 저출력 레이저 치료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5405A (ko) 2018-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1968B1 (ko) 핸드피스의 안전위치를 인식하여 레이저빔을 제한하는 의료용 레이저 치료장치
MX2020013815A (es) Deteccion de retroalimentacion para un dispositivo de tratamiento.
RU2421114C1 (ru) Оптический депиляционный прибор
JP6097314B2 (ja) エネルギーベースの皮膚トリートメントのための装置
KR20080017393A (ko) 레이저 교정 방법 및 시스템
US10646273B2 (en) Apparatus for irradiating laser
EP3539615A1 (en) Rhinitis therapeut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rhinitis therapeutic device
US20170128131A1 (en) Multi-function laser irradiating apparatus
JP2006523122A (ja) エネルギー治療装置からのエネルギーの漏洩を検知並びに低減するための方法、システム、及び装置
EP2148614B1 (en) Apparatu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skin
KR20230107383A (ko) 레이저 빔의 정렬을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KR101944057B1 (ko) 레이저 치료용 피드백 시스템
KR101590117B1 (ko) 눈의 수술적 치료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과, 이러한 유형의 시스템을 교정하기 위한 방법
JP2008289810A (ja) 光脱毛機器
JP2018526041A (ja) 光学系
JP2021029944A (ja) 光治療装置及び光治療装置の作動方法
JP2008178572A (ja) 光体毛成長調節装置
JP7302788B2 (ja) 光治療装置及び光治療装置の作動方法
KR20220004173A (ko) 광 치료 장치 및 광 치료 장치의 작동 방법
JP4330398B2 (ja) レーザ治療装置
JP2005102930A (ja) 皮膚血流改善用光照射装置
JP2004349425A (ja) レーザ装置
JP4404586B2 (ja) レーザ治療装置
KR20080114399A (ko) 열원을 이용한 피부 개선 기기의 부작용 방지 온도제어기의 오작동 감시 장치
KR101374286B1 (ko) 의료용 레이저 조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