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1885B1 - 순간온수연수기의 절수 예측 방법 - Google Patents

순간온수연수기의 절수 예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1885B1
KR101901885B1 KR1020120087919A KR20120087919A KR101901885B1 KR 101901885 B1 KR101901885 B1 KR 101901885B1 KR 1020120087919 A KR1020120087919 A KR 1020120087919A KR 20120087919 A KR20120087919 A KR 20120087919A KR 101901885 B1 KR101901885 B1 KR 1019018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requency
saving
flow
he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7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1407A (ko
Inventor
이병필
이규량
정한영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7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1885B1/ko
Publication of KR20140021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14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18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18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7/00Control of flow
    • G05D7/06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05D7/0617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specially adapted for fluid materials
    • G05D7/0623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specially adapted for fl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et value given to the control ele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03Downstream control, i.e. outlet monitoring, e.g. to check the treating agents, such as halogens or ozone, leaving the proces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05Processes using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 C02F2209/006Processes using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comprising a software program or a logic diagra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0Liquid flow 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4Time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순간온수연수기의 절수 예측 방법은 (a) 연수기의 출수유로에 설치된 유량 센서를 통해 상기 출수유로로 유동하는 유체의 유동 주파수(Fi)를 측정하는 단계; (b) 절수 기준 주파수(FB)를 상기 측정된 유동 주파수(Fi)로 갱신하는 단계; (c) 상기 측정된 유동 주파수(Fi)가 감소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d) 상기 측정된 유동 주파수(Fi)가 감소하는 경우, 상기 절수 기준 주파수(FB)와 상기 유동 주파수(Fi)의 차이값이 기 설정된 절수 판단 기준값(β)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e) 상기의 차이값이 상기 절수 판단 기준값(β) 이상인 경우, 상기 연수기 내에 설치된 히터 및 펌프의 작동을 정지하는 단계; (f) 상기 절수 기준 주파수(FB)를 상기 히터 및 펌프의 작동이 정지된 시점에서의 유동 주파수(Fi)로 고정하는 단계; 및 (g) 상기 히터 및 펌프의 작동 정지 이후 측정되는 유동 주파수(Fi)가 상기 절수 기준 주파수(FB)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연수기 출수단의 유량 변동 사항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수전구를 잠그는 절수 행위 여부를 사전에 예측함으로써 순간온수연수기의 절수를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순간온수연수기의 절수 예측 방법{Method for predicting water saving at instant warmwater softener}
본 발명은 순간온수연수기의 절수 예측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히터 및 펌프를 거쳐 연수기의 출수단으로 유동하는 유체의 유량 변동 사항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수전구의 개방 여부를 예측함으로써 순간온수연수기의 절수를 예측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순간온수연수기는 일반적으로 연수기 내로 유입되는 원수에 대해 온수장치를 이용해 가열하고 이를 연수화하여 사용함으로써 연수 및 온수 기능을 일체화하여 사용하게 된다.
순간온수연수기는 종래에 순간 온수기에 의해 발생된 온수를 연수로 바꾸어 사용하기 위해서는 연수기를 별도 설치해야 하고, 또한 설치공간의 확보와 연수기의 설치에 따른 경제적인 손실이 크다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착안된 것으로서, 하나의 시스템을 일체화하여 구성함으로써 사용성이 증대된다는 데에 특징이 있게 된다.
한편, 종래에 사용되는 순간온수연수기의 일반적인 구조는 수전구를 통해서 입수되는 물이 펌프를 거쳐 연수탱크를 통과한 후 히터탱크에서 가열되어 유량센서를 통과한 후 샤워헤드로 출수되는 형태를 이룬다.
상기의 구조에서, 유량센서는 연수기 내부의 물의 유무 판단과 펌프 및 히터를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즉, 유량센서는 유입되는 물의 유무를 판단하여 물이 유입되고 있다고 판단하면 히터와 펌프를 동작시키고, 물이 없다고 판단하면 히터와 펌프를 정지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반면, 상기 유량센서가 출수단에 위치한 순간온수연수기 시스템은 샤워부스의 수전구를 차단하여도 제품 내부의 잔여 유량으로 유량센서가 물이 있다고 판단하여 유량센서가 정지할 때까지 히터와 펌프가 동작되게 된다.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순간온수연수기 시스템을 이용한 시간에 따른 유량 변동 과정을 살핀다. 가로축의 시간은 샤워부스의 수전구를 시간 t1 동안 개방한후 폐쇄하는 과정을 지시한다. 세로축의 유량은 순간온수연수기의 출수단에 위치한 유량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유체량을 나타내는 것이다.
먼저, 샤워부스의 수전구를 개방하는 경우에 유량은 계속적으로 증가하여 시간 t1에 이를때 최대가 된다(a 구간 참조). 이후, 샤워부스의 수전구를 폐쇄하는 경우에 점점 감소하여 t2 에서 감지되는 유량이 없게 된다.
즉, t1에서 t2에 이르는 b구간은 사용자가 샤워부스의 수전구를 잠근 상태로서 온수를 사용할 의사가 없는 상태인데 반해, 유량센서에 의해 계속적으로 유체가 있다는 것으로 감지되어져 히터 및 펌프의 가동을 지속하게 한다.
상기와 같이, 수전구로 추가적인 원수의 유입이 없는 상태에서 히터 및 펌프를 계속적으로 가동하는 경우에는 히터탱크 내부의 물 온도가 급상승하게 되는 원인이 되며, 사용자가 물을 잠그고 즉시 다시 사용할 경우 화상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더불어, 수전구를 잠그고 수초간 펌프가 동작되어 소음에 대한 고통은 물론 제품의 고장을 의심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히터 및 펌프를 거쳐 연수기의 출수단으로 유동하는 유체의 유량 주파수가 절수기준 주파수보다 일정값 이하로 감소하면 절수로 판단하여 상기 히터 및 펌프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절수 예측으로 상기 히터와 펌프가 정지한 후에 정지 시점보다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체의 유량 주파수가 감지되면 상기 히터와 펌프의 재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순간온수연수기의 절수 예측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에 따른 순간온수연수기의 절수 예측 방법은 (a) 연수기의 출수유로에 설치된 유량 센서를 통해 상기 출수유로로 유동하는 유체의 유동 주파수(Fi)를 측정하는 단계; (b) 절수 기준 주파수(FB)를 상기 측정된 유동 주파수(Fi)로 갱신하는 단계; (c) 상기 측정된 유동 주파수(Fi)가 감소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d) 상기 측정된 유동 주파수(Fi)가 감소하는 경우, 상기 절수 기준 주파수(FB)와 상기 유동 주파수(Fi)의 차이값이 기 설정된 절수 판단 기준값(β)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e) 상기의 차이값이 상기 절수 판단 기준값(β) 이상인 경우, 상기 연수기 내에 설치된 히터 및 펌프의 작동을 정지하는 단계; (f) 상기 절수 기준 주파수(FB)를 상기 히터 및 펌프의 작동이 정지된 시점에서의 유동 주파수(Fi)로 고정하는 단계; 및 (g) 상기 히터 및 펌프의 작동 정지 이후 측정되는 유동 주파수(Fi)가 상기 절수 기준 주파수(FB)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a) 단계 이후에, (a1) 상기 유동 주파수가 기설정된 최저 유량 주파수(α)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b) 단계는, 연속적으로 동일한 상기 유동 주파수(Fi)를 측정하는 경우에만 상기 절수 기준 주파수(FB)를 상기 측정된 유동 주파수(Fi)로 갱신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유동 주파수가 증가하는 경우에 상기 (b) 단계를 반복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c) 단계 이후에, (c1) 상기 절수 기준 주파수(FB)를 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a1) 단계에서 상기 유동 주파수가 기설정된 상기 최저 유량 주파수 이상인 경우에, 상기 히터 및 펌프의 작동을 개시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e) 단계는, 상기 측정된 유동 주파수(Fi)가 감소하는 경우에, 상기 절수 판단 기준값(β)이 2번 이상 연속적으로 누적되어 판단되는 경우에 절수로 판단하여 상기 히터 및 펌프의 작동을 정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g) 단계에서, 상기 유동 주파수가 상기 절수 기준 주파수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b) 단계를 반복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g) 단계 이후에, (h) 상기 (g) 단계에서, 상기 유동 주파수가 상기 상기 절수 기준 주파수 미만인 경우에는 기설정된 유량조절 기준시간을 경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기설정된 유량조절 기준시간을 경과한 경우에는 상기 (b) 단계를 반복하는 것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순간온수연수기의 절수 예측 방법은 연수기 출수단의 유량 변동 사항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수전구를 잠그는 절수 행위 여부를 사전에 예측함으로써 순간온수연수기의 절수를 가능하게 한다.
구체적으로는, 펌프 및 히터를 거쳐 연수기의 출수단으로 유동하는 유체의 유량 주파수가 절수기준 주파수보다 일정값 이하로 감소하면 절수로 판단하여 상기 히터 및 펌프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절수 예측으로 상기 히터와 펌프가 정지한 후에 정지 시점보다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체의 유량 주파수가 감지되면 상기 히터와 펌프의 재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수전구로 추가적인 원수의 유입이 없는 상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소음을 차단하는 한편 전력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순간온수연수기의 사용성 및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순간온수연수기에서 수전구 개방 여부에 따라 히터 및 펌프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순간온수연수기의 절수를 예측하는 과정을 시계열적으로 배열한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절수를 예측하는 과정을 보이기 위해 유량센서에서 시간에 따른 유량 변동 사항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그래프,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절수를 예측하는 과정을 보이기 위해 유량센서에서 시간에 따른 유량 변동 사항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순간온수연수기의 절수 예측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순간온수연수기의 절수 예측 방법 설명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순간온수연수기의 절수 예측 방법을 살핀다.
본 발명에서는 순간온수연수기의 출수단에 설치되는 유량센서에서 직접적으로 측정되는 유체의 유동 주파수를 Fi 로 정의하고, 절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절수 기준 주파수를 FB 로 정의한다.
먼저, 사용자는 온수의 사용을 위해 순간온수연수기의 수전구를 개방한다.
수전구를 통해서 입수되는 물은 펌프 및 연수탱크를 통과한 후 유량센서를 통과하면서 유체의 유동 주파수인 Fi 가 측정된다(S10).
본 발명에서는 일정 유량 이상인 경우에만 펌프 및 히터를 가동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최저 유량 주파수를 α로 설정하고, Fi 가 α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0).
상기 S20 단계에서 Fi 가 α 이상인 경우에는 히터 및 펌프를 동작하게 한다(S22). 즉, 일정 유량 이상이 유량센서를 통과한다고 확인되는 경우에만 히터 및 펌프를 동작하게 함으로써 불필요한 히터의 가동으로 발생하는 과열 또는 펌프의 과동작으로 인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최저 유량 주파수α를 출수 기준 2.0LPM(liter per minute)에 해당하는 13Hz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일단 유량이 감지되는 경우에는 일정시간 펌프 동작을 유지하게 하는 버퍼 구역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버퍼 구역은 순간온수연수기의 출수단을 통해 출수되는 최소한의 유량을 확보할 수 있게 한다. 즉, 저수압 상태에서는 초기 출수시에 출수 유량의 변동이 발생하므로 일예로 최저 유량 주파수α를 감지한 이후 3초 정도의 시간 동안은 펌프의 연속적인 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더불어, 일정 유량 이상이 유량센서를 통과한다고 확인되는 경우에는 절수 기준 주파수를 FB 를 유동 주파수인 Fi 로 실시간으로 재설정한다(S24). 즉, 유량센서를 통해 센싱되는 유량 값이 계속적으로 상승하는 경우에는 상기 측정된 Fi 값을 FB 으로 갱신하여 설정한다.
이후에는, 유동 주파수인 Fi 가 감소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S30).
상기 S30 단계에서 Fi 가 감소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Fi 중 유량 최대점을 FB 로 고정한다(S32).
한편, 상기 S30 단계에서 Fi 가 증가하거나 현 수준을 유지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계속적으로 S22 단계를 유지한다.
상기 S32 단계에서 FB 를 고정한 이후에, 절수 기준 주파수 FB 와 유동 주파수인 Fi 와의 차이값이 절수 판단 기준값인 β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40). 여기에서, 상기 절수 판단 기준값인 β는 절수 기준 주파수 FB 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이 가능할 수 있다.
절수 판단 기준값 β는 가동중인 히터 및 펌프의 작동을 정지하게 할 수 있도록 설정한 유량의 감소되는 척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유량센서에서 측정되는 유량의 감소되는 정도가 상기 β에 도달하는 경우에는 수전구를 닫는 것으로 판단하여 히터 및 펌프의 작동을 정지할 수 있다.
삭제
상기 S40 단계에서, FB-Fi 값이 β이상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제어부는 히터 및 펌프의 작동을 정지하게 한다(S42).
상기 S42 단계 이후에는, 절수 기준 주파수인 FB 를 상기 히터 및 펌프의 작동이 정지된 시점의 유동 주파수로 고정한다(S44). 즉, 히터 및 펌프의 작동을 정지하는 시점에서 Fi 값을 FB 에 대입한다.
히터 및 펌프의 작동이 정지되고 소정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유량센서는 순간온수연수기의 출수단을 통한 유체의 흐름 유무를 감지한다(S50).
상기 S50 단계에서, 유량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순간온수연수기 내부를 유동하는 유체 유동이 없다는 것이므로 더 이상의 절수 판단을 행하지 아니하고 종료한다.
상기 S50 단계에서, 유량이 감지되는 경우에는 유동 주파수인 Fi 가 절수 기준 주파수인 FB 와 같거나 상회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60). 이는 히터 및 펌프의 작동이 정지된 시점에서의 유량을 유지하거나 이를 초과하는 유량 상태를 갖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다.
상기 S60 단계에서, 유동 주파수인 Fi 가 절수 기준 주파수인 FB 이상인 경우에는 S22 단계를 반복하게 한다. 즉, 출수단을 통한 유체의 유량이 FB 이상으로서 다시 일정량을 유지하거나 상승 모드에 있는 경우에는 히터 및 펌프의 작동을 개시하고, 다시금 절수 판단 과정을 반복하게 한다.
상기 S60 단계에서, 유동 주파수인 Fi 가 절수 기준 주파수인 FB 보다 작은 경우에는 유량은 계속 감지되지만 유체의 유동량이 감소한 상태를 의미하는 것이므로 제어부에 기설정된 값인 유량조절 기준시간이 경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70).
상기 S70 단계에서, 유량조절 기준시간 이상으로 유지되는 경우에는 S22 단계를 반복하게 한다. 즉, 출수단을 통한 유체의 유량이 히터 정지시의 FB 미만이지만 꾸준히 유량이 감지되는 경우에는 히터 및 펌프의 작동을 개시하고, 다시금 절수 판단 과정을 반복하게 한다.
상기 S70 단계에서, 유량조절 기준시간 미만으로 유지되는 경우에는 이상의 절수 판단을 행하지 아니하고 종료한다.
이하, 도 3의 그래프를 참조하여 유량 감지를 통한 절수 판단 과정과 히터의 제어 과정을 다시 한번 살피도록 한다. 도 3에서 가로축은 시간을 나타내고, 세로축은 수전구의 개방 여부에 따라 출수단의 유량센서에서 감지되는 유량 주파수 값을 나타낸다.
상기 도 3에서는 가로축의 시간을 c 내지 f 영역으로 구획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c 영역은 최저 유량 확보 구간으로서 t3 에서 유량 주파수가 α가 되어 최저 유량 주파수에 도달하게 된다. 즉, t3 를 기점으로 제어부는 히터 및 펌프를 구동하게 한다.
d 영역은 유량 증가 구간으로서 t4 에 이르기까지 계속적으로 유량의 증가가 이루어진다. 즉, 계속적으로 유량이 증가하여 t4 에서 유량이 최고 정점을 이룬다.
e 영역은 유량 감소 구간으로서 t4 를 최고점으로 t5 에 이르기까지 계속적으로 유량의 감소가 이루어진다. 즉, 유량 주파수의 감소폭이 절수 판단 기준값인 β에 이르게 되어 제어부는 히터 및 펌프의 구동을 정지하도록 지시한다.
f 영역은 재가동 판단 영역으로서, 히터 및 펌프의 구동 정지후 다시 구동을 해도 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일예로 출수단에서의 유량 감소가 수전구의 잠금으로 인한 것인지 일시적인 유압 변동으로 인한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출수단에서의 유량 감소가 수전구의 장기적인 잠금에서 기인한 것인지 일시적인 잠금에서 기인한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f 영역에서는 설명을 위해 유량 변동과정을 A,B,C 선도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다.
A 선도는 유동 주파수 Fi 가 절수 판단을 행하는 상태에서의 절수 기준 주파수인 FB 를 상회하는 경우로서 일시적인 유압 변동 또는 수전구의 일시적인 잠금 상태로부터 기인된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상기 A 선도의 특성을 보이는 경우에는 히터 및 펌프를 재가동하게 된다.
B 선도는 절수 판단을 행한 이후에 유동 주파수 Fi 가 일정한 유량 상태를 지속하는 경우로서, 이 경우는 수전구를 개방 각도를 조절하여 출수되는 유량을 조절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상기 B 선도에서는 A 선도와 마찬가지로 히터 및 펌프를 재가동하게 된다.
C 선도는 t6 에 이르는 시점까지 계속적으로 유량이 감소하여 더 이상의 유량이 감지되지 않음으로써 제어부는 히터 및 펌프의 구동 정지 상태를 확정하게 된다.
한편, 도 4의 그래프를 참조하여 유량 감지를 통한 절수 판단 과정과 히터의 제어 과정에 대한 다른 실시예에 대해 살핀다. 상기 도 4에서 나타내는 실시예는 순간적인 압력 변동 등의 이유로 유량이 일시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절수 기준 주파수가 갱신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순간적으로 유량이 일시적으로 감소함에 따라 절수 판단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4와 도 3에서의 실시예의 차이는 절수 기준 주파수 FB를 유동 주파수인 Fi로 재설정하는 과정 및 절수 판단하는 과정에 있으므로,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차별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S24 단계에서, 절수 기준 주파수 FB를 재설정하는 과정에 있어서, 도 3은 일정 유량 이상이 유량센서를 통과한다고 확인되는 경우에는 절수 기준 주파수 FB를 유동 주파수인 Fi로 실시간으로 재설정하지만, 도 4에서는 2번 이상 연속적으로 동일한 유동 주파수를 감지하는 경우에만 절수 기준 주파수 FB를 재설정한다.
즉, 도 4를 참조하면 t4 에서 1차 감지를 하고 t4' 에서 2차 감지를 하는 경우에 절수 기준 주파수 FB 를 갱신한다. 여기에서, t4' 와 t4 사이의 간격을 절수 기준 주파수 갱신 확인 구간으로 정의한다.
한편, S40 단계에서는 유량 주파수의 감소폭이 절수 판단 기준값인 β이상으로 연속적으로 2번 이상 누적되어 판단되는 경우에 절수로 판단하여 히터 및 펌프의 작동을 정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순간온수연수기의 절수 예측 방법은 연수기 출수단의 유량 변동 사항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수전구를 잠그는 절수 행위 여부를 사전에 예측함으로써 순간온수연수기의 절수를 가능하게 한다. 궁극적으로 본 발명은 수전구로 추가적인 원수의 유입이 없는 상태에서 펌프 및 히터의 작동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소음을 차단하는 한편 전력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의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a) 연수기의 출수유로에 설치된 유량 센서를 통해 상기 출수유로로 유동하는 유체의 유동 주파수(Fi)를 측정하는 단계;
    (b) 절수 기준 주파수(FB)를 상기 측정된 유동 주파수(Fi)로 갱신하는 단계;
    (c) 상기 측정된 유동 주파수(Fi)가 감소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d) 상기 측정된 유동 주파수(Fi)가 감소하는 경우, 상기 절수 기준 주파수(FB)와 상기 유동 주파수(Fi)의 차이값이 기 설정된 절수 판단 기준값(β)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e) 상기의 차이값이 상기 절수 판단 기준값(β) 이상인 경우, 상기 연수기 내에 설치된 히터 및 펌프의 작동을 정지하는 단계;
    (f) 상기 절수 기준 주파수(FB)를 상기 히터 및 펌프의 작동이 정지된 시점에서의 유동 주파수(Fi)로 고정하는 단계; 및
    (g) 상기 히터 및 펌프의 작동 정지 이후 측정되는 유동 주파수(Fi)가 상기 절수 기준 주파수(FB)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간온수연수기의 절수 예측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후에,
    (a1) 상기 유동 주파수가 기설정된 최저 유량 주파수(α)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간온수연수기의 절수 예측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연속적으로 동일한 상기 유동 주파수(Fi)를 측정하는 경우에만 상기 절수 기준 주파수(FB)를 상기 측정된 유동 주파수(Fi)로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간온수연수기의 절수 예측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유동 주파수(Fi)가 증가하는 경우에 상기 (b) 단계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간온수연수기의 절수 예측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이후에,
    (c1) 상기 절수 기준 주파수(FB)를 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간온수연수기의 절수 예측 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a1) 단계에서 상기 유동 주파수(Fi)가 기설정된 상기 최저 유량 주파수(α) 이상인 경우에, 상기 히터 및 펌프의 작동을 개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간온수연수기의 절수 예측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상기 측정된 유동 주파수(Fi)가 감소하는 경우에,
    상기 절수 판단 기준값(β)이 2번 이상 연속적으로 누적되어 판단되는 경우에 절수로 판단하여 상기 히터 및 펌프의 작동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간온수연수기의 절수 예측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g) 단계에서,
    상기 유동 주파수(Fi)가 상기 절수 기준 주파수(FB)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b) 단계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간온수연수기의 절수 예측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g) 단계 이후에,
    (h) 상기 (g) 단계에서, 상기 유동 주파수(Fi)가 상기 절수 기준 주파수(FB) 미만인 경우에는 기설정된 유량조절 기준시간을 경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간온수연수기의 절수 예측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유량조절 기준시간을 경과한 경우에는 상기 (b) 단계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간온수연수기의 절수 예측 방법.
KR1020120087919A 2012-08-10 2012-08-10 순간온수연수기의 절수 예측 방법 KR1019018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7919A KR101901885B1 (ko) 2012-08-10 2012-08-10 순간온수연수기의 절수 예측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7919A KR101901885B1 (ko) 2012-08-10 2012-08-10 순간온수연수기의 절수 예측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1407A KR20140021407A (ko) 2014-02-20
KR101901885B1 true KR101901885B1 (ko) 2018-11-22

Family

ID=50267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7919A KR101901885B1 (ko) 2012-08-10 2012-08-10 순간온수연수기의 절수 예측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18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42398A4 (en) 2018-08-23 2022-04-20 Sekisui Chemical Co., Ltd. INTERMEDIATE LAYER FOR LAMINATED GLASS, LAMINATED GLASS AND GLASS STRUCTUR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6002A (ja) 2002-02-28 2003-09-10 Tomoe Shokai:Kk 温度制御装置および温度制御方法
KR101090952B1 (ko) 2010-11-12 2011-12-13 (주)케이디씨텍 유체진동방식 유량측정장치의 측정 보정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6002A (ja) 2002-02-28 2003-09-10 Tomoe Shokai:Kk 温度制御装置および温度制御方法
KR101090952B1 (ko) 2010-11-12 2011-12-13 (주)케이디씨텍 유체진동방식 유량측정장치의 측정 보정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1407A (ko) 2014-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55575C1 (ru) Способ регулирования температуры горячей воды в системе горячего водоснабжения при низком расходе воды
RU2516159C2 (ru) Прерывание оценки измерительных величин в автоматической водоумягчительной установке при наличии заданных рабочих ситуаций
JP6879081B2 (ja) 漏水検出装置
EP2966367B1 (en) Hot water apparatus and failure notification method for hot water apparatus
JP4996130B2 (ja) 熱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N104633945A (zh) 燃气热水器的控制方法及系统及燃气热水器
US20180024574A1 (en) Water heater appliance and a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JP2019073868A (ja) 排水管詰まり検知システム及び排水管詰まり検知プログラム
US20120016527A1 (en) Gas shutoff device
KR101901885B1 (ko) 순간온수연수기의 절수 예측 방법
CN110736259B (zh) 一种零冷水供热水系统及其控制方法
JP5587358B2 (ja) 熱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5365134B2 (ja) 洗浄装置
US20140033993A1 (en) Hydrogen gas buildup prevention in hot water heaters
CN105066451A (zh) 燃气热水器及其出水温度控制方法和热水系统
JP2007224534A (ja) 貯水装置
CN111850956B (zh) 洗衣机、洗衣机的控制方法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6186366B2 (ja) 給水装置
JP4761154B2 (ja) 浴槽洗浄装置
KR101524765B1 (ko) 온수공급기의 제어장치 및 방법
JP2006132891A (ja) 給湯装置
JP2014070858A (ja) 給湯機
JP5225714B2 (ja) 給湯システム
CN113897764B (zh) 上排水洗衣机及其排水控制方法
JP6299382B2 (ja) 湯水混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