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1425B1 - 애완 동물 케이지 - Google Patents

애완 동물 케이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1425B1
KR101901425B1 KR1020180053646A KR20180053646A KR101901425B1 KR 101901425 B1 KR101901425 B1 KR 101901425B1 KR 1020180053646 A KR1020180053646 A KR 1020180053646A KR 20180053646 A KR20180053646 A KR 20180053646A KR 101901425 B1 KR101901425 B1 KR 1019014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ge
accommodation space
pet
odor
blowing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3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광종
Original Assignee
최광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광종 filed Critical 최광종
Priority to KR1020180053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14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1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14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236Transport boxes, bags, cages, baskets, harnesses for animals; Fittings therefor
    • A01K1/0254Bags or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5Devices for use in keeping domestic animals, e.g. fittings in housings or dog be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4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sorbent material, e.g. activated carb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75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 G01N21/77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 G01N21/78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producing a change of colour
    • G01N21/783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producing a change of colour for analysing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61L2209/111Sensor means, e.g. motion, brightness, scent, contaminant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4Filtering mea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Plasma & Fusion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애완 동물 케이지가 개시된다. 애완 동물 케이지는, 애완 동물이 내부에 수용되는 수용 공간이 형성되며, 수용 공간에 연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케이지 바디와 개구부에 설치되어 수용 공간의 공기를 외기 방향으로 송풍하는 송풍팬과, 개구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수용 공간에 포함된 냄새를 제거하는 필터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애완 동물 케이지{CAGE FOR PET}
본 발명은 애완 동물의 분변 등에서 발생된 악취의 제거가 가능한 애완 동물 케이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케이지의 내부에는 강아지 또는 고양이 등의 애완동물로부터 분변이 발생될 수 있다.
즉, 케이지는 강아지 또는 고양이 등의 애완 동물이 수용된 상태에서 이동이 용이하도록 마련되는 것으로, 수용된 시간에 따라 애완 동물로부터 발생된 분변에 의해 악취 등의 냄새가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케이지의 내부에서 분변 등에 의해 악취가 발생되는 경우, 애완 동물의 수용 환경이 오염되고, 주변 환경이 함께 오염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10-2017-0122605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강아지 또는 고양이 등의 애완 동물이 수용되는 케이지로부터 악취 등의 냄새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애완 동물 케이지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애완 동물이 내부에 수용되는 수용 공간이 형성되며, 수용 공간에 연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케이지 바디와 개구부에 설치되어 수용 공간의 공기를 외기 방향으로 송풍하는 송풍팬과, 개구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수용 공간에 포함된 냄새를 제거하는 필터부재를 포함한다.
케이지 바디는,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메인 바디와, 메인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송풍팬과 필터부재가 설치되는 덮개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부재는 활성탄 필터일 수 있다.
케이지 바디에는 수용 공간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냄새를 센싱하는 냄새 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냄새 센서는, 케이지 바디에 설치되어 수용 공간의 내부에서 발생된 냄새를 일으키는 냄새를 일으키는 휘발성 분자와 결합하는 경우 색이 변하는 색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송풍팬이 설치되어 케이지 바디의 내부 공기를 외기 방향으로 배출하면서, 배출되는 공기를 필터부재에 의해 필터링하면서 배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애완 동물 케이지의 내부에서 애완 동물의 분변 등에 의해 발생되는 악취는 효과적으로 제거되는 것이 가능한 바, 외부 공기의 오염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 만족도의 향상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애완 동물 케이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애완 동물 케이지의 필터부재가 분해된 상태에서 케이지 바디의 요부를 절개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애완 동물 케이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애완 동물 케이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애완 동물 케이지를 다른 측면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애완 동물 케이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애완 동물 케이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애완 동물 케이지의 필터부재가 분해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애완 동물 케이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애완 동물 케이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애완 동물 케이지를 다른 측면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애완 동물 케이지(100)는, 애완 동물이 내부에 수용되는 수용 공간(11)이 형성되며 수용 공간(11)에 연통되는 개구부(14a)가 형성된 케이지 바디(10)과, 개구부(14a)에 설치되어 수용 공간(11)의 공기를 외기 방향으로 송풍하는 송풍팬(20)과, 개구부(14a)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수용 공간(11)에 포함된 냄새를 제거하는 필터부재(30)를 포함한다.
케이지 바디(10)는 내부에 애완 동물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것으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케이지 바디(10)는 본 실시예에서 강아지 또는 고양이 등의 애완 동물이 수용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고양이 등의 배변이 처리되는 화장실 또는 곤충 등이 사육되는 용도로 적절하게 변경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이하에서 설명하는 케이지 바디(10)는 배변이 발생되는 곤충 또는 애완 동물을 수용하는 다양한 형태로 적절하게 변경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지 바디(10)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가장자리의 일부분이 라운드 형상으로 적절하게 변경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케이지 바디(10)는 설치 장소의 바닥면에 내구성을 유지한 상태로 안정적으로 위치되도록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케이지 바디(10)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질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질고 동일 또는 유사 강도를 갖는 소정의 재질로 적절하게 변경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케이지 바디(10)의 수용 공간(11)의 저면에는 수용 공간(11)에 수용된 애완 동물로부터 발생되는 분변이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케이지 바디(10)의 수용 공간의 내부에서는 분변 등으로부터 악취 등의 냄새가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지 바디(10)에는 수용 공간(11)으로부터 발생되는 악취 등의 냄새의 제기를 위한 송풍팬(20)과 필터부재(3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지 바디(10)는,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메인 바디(12)와, 메인 바디(12)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송풍팬(20)과 필터부재(30)가 설치되는 덮개 바디(14)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바디(12)는 바닥면에 위치되는 것으로, 바닥면에 안정적으로 위치되도록 저면에 편평면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애완 동물이 위치되는 수용 공간(11)이 형성될 수 있다.
메인 바디(12)의 상측에는 덮개 바디(14)가 착탈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지 바디(10)는 메인 바디(12)와 덮개 바디(14)로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육면체의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송풍팬(20)은 덮개 바디(14)에 설치되어 수용 공간(11)의 내부 공기를 외기로 순환되도록 설치되는 바, 수용 공간(11)에서 발생된 악취 등의 냄새의 적절한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송풍팬(20)은 덮개 바디(14)에 형성된 개구부(14a)에 설치되어, 수용 공간(11)의 내부 공기를 외기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적절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개구부(14a)는 수용 공간(11)과 연통되게 형성되고, 송풍팬(20)은 개구부(14a)에 설치되는 바, 송풍팬(20)의 회전 작동에 의해 수용 공간(11)에서 발생되는 악취 등의 냄새는 케이지 바디(10)의 외부로 적절하게 배출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개구부(14a)에는 송풍팬(20)의 상측으로 수용 공간(11)에서 발생된 악취 등의 냄새를 제거하는 필터부재(30)가 설치될 수 있다.
필터부재(30)는 개구부(14a)의 상측 즉, 송풍팬(20)이 설치된 상측에서 개구부(14a)에 삽입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송풍팬(20)의 작동에 따라 수용 공간(11)의 내부 공기는 외기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필터부재(30)에 의해 필터링된 상태로 배출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케이지 바디(10)의 내부 공기에 포함된 악취 등은 필터부재(30)에 의해 효과적으로 제거되는 것이 가능하여, 주변 환경 오염을 방지하며 사용자 만족도의 향상이 가능하다.
필터부재(30)는 케이지 바디(10) 내부의 수용 공간(11)에서 애완 동물의 분변 등으로부터 발생되는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도록 활성탄 필터로 적용될 수 있다.
물론 필터부재(30)는 활성탄 필터로 반드시 적용되는 것은 아니고, 악취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소정의 필터로 적절하게 변경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애완 동물 케이지(100)는, 송풍팬(20)이 설치되어 케이지 바디(10)의 내부 공기를 외기 방향으로 배출하면서, 배출되는 공기를 필터부재(30)에 의해 필터링하면서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애완 동물 케이지(100)의 내부에서 애완 동물의 분변 등에 의해 발생되는 악취는 효과적으로 제거되는 것이 가능한 바, 외부 공기의 오염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 만족도의 향상이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애완 동물 케이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와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부재를 말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애완 동물 케이지(200)의 케이지 바디(10)에는 수용 공간(11)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냄새를 센싱하는 냄새 센서(110)가 설치될 수 있다.
냄새 센서(110)는, 케이지 바디(10)에 설치되어 수용 공간(11)의 내부에서 발생된 냄새를 일으키는 냄새를 일으키는 휘발성 분자와 결합하는 경우 색이 변하는 색소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냄새 센서(110)의 색상 변화를 확인하여, 오염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하여 송풍팬(20)의 작동 제어를 원활하게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케이지 바디 11...수용 공간
12...메인 바디 14...덮개 바디
14a..개구부 20...송풍팬
30...필터부재 110..냄새 센서

Claims (4)

  1. 애완 동물이 내부에 수용되는 수용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 공간에 연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케이지 바디;
    상기 개구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 공간의 내부 공기를 상기 케이지 바디의 외부로 배출하는 송풍팬;
    상기 개구부에 착탈 가능하되, 상기 개구부에 삽입된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수용 공간의 내부 공기가 상기 송풍팬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수용 공간의 내부 공기에 포함된 악취를 제거하는 활성탄 필터로 이루어진 필터부재; 및
    상기 케이지 바디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 공간의 내부 공기에 포함된 악취를 일으키는 휘발성 분자와 결합할 때 색이 변하는 색소를 갖는 냄새 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냄새 센서는 사용자가 상기 색소의 색상 변화 확인이 용이하도록 상기 케이지 바디에 설치되는
    애완 동물 케이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 바디는,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메인 바디; 및
    상기 메인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송풍팬과 상기 필터부재가 설치되는 덮개 바디;
    를 포함하는 애완 동물 케이지.
  3. 삭제
  4. 삭제
KR1020180053646A 2018-05-10 2018-05-10 애완 동물 케이지 KR1019014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646A KR101901425B1 (ko) 2018-05-10 2018-05-10 애완 동물 케이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646A KR101901425B1 (ko) 2018-05-10 2018-05-10 애완 동물 케이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1425B1 true KR101901425B1 (ko) 2018-09-21

Family

ID=63720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3646A KR101901425B1 (ko) 2018-05-10 2018-05-10 애완 동물 케이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14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4462B1 (ko) * 2022-07-04 2023-05-18 박태룡 고양이 화장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82130A1 (ja) 2004-02-27 2005-09-09 Dai-Dan Co., Ltd. 実験動物飼育装置
JP2008527975A (ja) 2004-12-13 2008-07-31 イノビーブ,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畜産用収容システム及び構成要素
KR200469220Y1 (ko) * 2012-07-31 2013-10-02 최주연 애견 집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82130A1 (ja) 2004-02-27 2005-09-09 Dai-Dan Co., Ltd. 実験動物飼育装置
JP2008527975A (ja) 2004-12-13 2008-07-31 イノビーブ,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畜産用収容システム及び構成要素
KR200469220Y1 (ko) * 2012-07-31 2013-10-02 최주연 애견 집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4462B1 (ko) * 2022-07-04 2023-05-18 박태룡 고양이 화장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17920A (en) Domestic pets' chamberpot
US3908597A (en) Self straining animal litter box
US10477831B2 (en) Self-drying litter box
US20180199535A1 (en) Techniques for enhanced litter management and handling
US9420758B2 (en) Waste scoop containment system
KR101901425B1 (ko) 애완 동물 케이지
US4926794A (en) Domestic pets' chamberpot
CN110996655A (zh) 动物用厕所
EP4118958A1 (en) Animal toilet
US5682705A (en) Trap
WO2008092243A1 (en) Animal litter
KR101762367B1 (ko) 애완용 동물의 화장실
CN113454402A (zh) 空气净化器
US20200390057A1 (en) Animal litter box apparatus
CN113490413A (zh) 卵孵化和幼虫分离装置和方法
CA3094107C (en) Animal litter box apparatus
US10117960B2 (en) Air treating apparatus for pet sanitary station and methods of mounting and dosing said apparatus
CA2119523C (en) Animal trap
KR20220038322A (ko) 고양이 화장실의 필터링 커버장치
KR102090701B1 (ko) 이중 거름 장치
KR20040095064A (ko) 애완동물 배설물 처리장치
GB2071980A (en) Bait holder
KR102570435B1 (ko) 스크래쳐 부재가 교체 가능한 스크래쳐
US806130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malicious odors from a cat litter receptacle
JP2016158620A (ja) 動物用トイ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