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0435B1 - 스크래쳐 부재가 교체 가능한 스크래쳐 - Google Patents

스크래쳐 부재가 교체 가능한 스크래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0435B1
KR102570435B1 KR1020230060712A KR20230060712A KR102570435B1 KR 102570435 B1 KR102570435 B1 KR 102570435B1 KR 1020230060712 A KR1020230060712 A KR 1020230060712A KR 20230060712 A KR20230060712 A KR 20230060712A KR 102570435 B1 KR102570435 B1 KR 1025704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atcher
hole
base plate
fasten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0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예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예스지크리에이티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예스지크리에이티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예스지크리에이티브
Priority to KR1020230060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04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0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04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2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e.g. mazes or labyrinths for animals ; Electric shock devices ; 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A01K15/024Scratching devices, e.g. for ca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2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e.g. mazes or labyrinths for animals ; Electric shock devices ; 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A01K15/025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크래쳐 부재가 교체 가능한 스크래쳐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최하부에 배치되는 제1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의 형상에 대응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배치되며, 고양이가 선호하는 선호 물질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이 형성되도록 관통 형성된 수용홀을 구비하는 제2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의 형상에 대응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배치되며, 스크래쳐 부재가 장착되거나 탈거되는 착탈 공간이 형성되도록 관통 형성된 스크래쳐홀을 구비하는 스크래쳐 착탈 플레이트; 및 상기 스크래쳐홀의 형상에 대응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고양이가 발톱으로 긁는 스크래칭 동작을 할 수 있도록 상부면에 요철이 반복 형성된 스크래쳐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크래쳐 부재가 교체 가능한 스크래쳐{Scratcher with interchangeable scratcher member}
본 발명은 스크래쳐 부재가 교체 가능한 스크래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크래쳐 부재를 손쉽게 교체 가능한 스크래쳐에 관한 것이다.
반려동물(Companion Animal)이란 사람과 더불어 사는 동물로, 동물이 인간에게 주는 여러 혜택을 존중하며 사람의 장난감이 아닌 더불어 살아가는 존재로 보는 의미가 담겨있다.
반려동물 중 특히 고양이(Cat)는 인류로부터 오랫동안 사랑을 받고 있는 반려동물이다. 고양이는 반려견보다 청결하고 경계심이 많아 친해지려면 시간이 필요한 동물이다. 이러한 고양이의 매력에 끌려 반려동물로서 고양이를 키우는 인구가 급증하고 있다.
고양이는 스크래칭(cat scratching)을 하는 습성이 있다. 고양이 자신의 앞 발톱을 거친 표면의 사물에 대고 반복적으로 긁는 행동을 스크래칭이라고 한다. 고양이는 영역을 표시하고 기분을 표현할 때 날카로운 새 발톱이 꼭 필요하다. 이를 유지하기 위해선 발톱 갈기를 해야만 한다. 고양이 발톱은 특이하게도 여러 겹으로 되어 있다. 시간이 지나면 안쪽의 새 발톱이 밀고 올라와 바깥쪽 발톱이 너덜너덜 해지는데, 이때 고양이들은 발톱을 긁어 바깥의 죽은 발톱을 제거한다. 그래서 발톱을 간 장소 근처에서 반달 모양의 죽은 바깥 발톱을 발견할 수 있다.
고양이는 할퀸 흔적을 남겨 영역을 표시하거나, 맹렬한 발톱 갈기로 흥분을 가라앉히고 안정감을 찾거나, 몸을 둥글게 말고 자다 깼을 때 발톱을 갈아 어깨와 등 근육을 풀 목적으로 스크래칭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양이가 눈치 보지 않고 마음껏 긁을 수 있는 가구인 스크래쳐는 고양이 반려인의 필수품이다. 스크래쳐가 있으면 고양이는 신체적 정서적인 안정감을 느낄 수 있고, 동시에 집안의 가구를 보호할 수 있다.
고양이가 발톱을 깊숙이 넣고 갈아 각질을 성공적으로 제거하려면 스크래쳐 표면은 거칠어야 한다. 그래서 스크래쳐는 보통 나무, 삼줄, 골판지, 천으로 제작된다.
그런데 기존 스크래쳐는 제작을 위해 접착제를 이용하여 스크래쳐 판을 하나 하나 일일이 접착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제작 시간이 오래 걸리고, 제작이 번거로우며, 접착제와 같은 화학성분으로 인해 반려동물의 건강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278909호
본 발명은 체결 부재를 이용하여 스크래쳐 부재를 착탈시킴으로써 손쉽게 스크래쳐 부재가 교체 가능한 스크래쳐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크래쳐 부재가 교체 가능한 스크래쳐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최하부에 배치되는 제1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의 형상에 대응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배치되며, 고양이가 선호하는 선호 물질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이 형성되도록 관통 형성된 수용홀을 구비하는 제2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의 형상에 대응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배치되며, 스크래쳐 부재가 장착되거나 탈거되는 착탈 공간이 형성되도록 관통 형성된 스크래쳐홀을 구비하는 스크래쳐 착탈 플레이트; 및 상기 스크래쳐홀의 형상에 대응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고양이가 발톱으로 긁는 스크래칭 동작을 할 수 있도록 상부면에 요철이 반복 형성된 스크래쳐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스크래쳐홀의 하부에 위치하고, 관통 형성된 제1 체결홀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스크래쳐홀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체결홀과 연통되도록 관통 형성된 제2 체결홀을 구비하고, 상기 스크래쳐 부재는 상기 제1 체결홀 및 상기 제2 체결홀과 연통되도록 관통 형성된 제3 체결홀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크래쳐 부재가 교체 가능한 스크래쳐는 상기 제1 체결홀, 상기 제2 체결홀 및 상기 제3 체결홀을 통과하는 제1 체결 부재; 및 상기 제1 체결 부재와 체결되어 상기 스크래쳐홀에 장착된 상기 스크래쳐 부재를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시키는 제2 체결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홀은 상기 스크래쳐홀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스크래쳐홀에 장착된 상기 스크래쳐 부재는 상기 수용홀의 상부를 덮을 수 있다.
상기 스크래쳐 부재는 돌출부와 홈부로 구성된 상기 요철이 상부면에 형성되고, 상기 스크래쳐홀의 테두리 영역과 가까울수록 이웃한 돌출부와 홈부 간의 높이차가 낮아지도록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크래쳐 착탈 플레이트는 상기 스크래쳐홀의 테두리 영역에 상기 스크래칭 동작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도록 손상 방지 부재가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체결 부재를 이용하여 스크래쳐 부재를 착탈시킴으로써 손쉽게 스크래쳐 부재가 교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크래쳐 부재가 교체 가능한 스크래쳐의 일 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크래쳐 부재가 교체 가능한 스크래쳐의 다른 예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크래쳐 부재가 교체 가능한 스크래쳐의 일 예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크래쳐 부재가 교체 가능한 스크래쳐의 다른 예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크래쳐 부재가 교체 가능한 스크래쳐의 일 예의 상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크래쳐 부재가 교체 가능한 스크래쳐의 다른 예의 상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크래쳐 부재가 교체 가능한 스크래쳐의 스크래쳐 부재가 탈거된 일 예의 상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크래쳐 부재가 교체 가능한 스크래쳐의 스크래쳐 부재가 탈거된 다른 예의 상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 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 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 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 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 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착용자 기기와 제2 착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착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 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 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컨텍스트 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컨텍스트 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크래쳐 부재가 교체 가능한 스크래쳐의 일 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크래쳐 부재가 교체 가능한 스크래쳐의 다른 예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크래쳐 부재가 교체 가능한 스크래쳐의 일 예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크래쳐 부재가 교체 가능한 스크래쳐의 다른 예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크래쳐 부재가 교체 가능한 스크래쳐의 일 예의 상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크래쳐 부재가 교체 가능한 스크래쳐의 다른 예의 상부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크래쳐 부재가 교체 가능한 스크래쳐의 스크래쳐 부재가 탈거된 일 예의 상부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크래쳐 부재가 교체 가능한 스크래쳐의 스크래쳐 부재가 탈거된 다른 예의 상부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크래쳐 부재가 교체 가능한 스크래쳐(100)는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0), 제2 베이스 플레이트(120), 스크래쳐 착탈 플레이트(130), 스크래쳐 부재(140), 제1 체결 부재(150) 및 제2 체결 부재(1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최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크래쳐 부재가 교체 가능한 스크래쳐(100)의 최하부에 배치되어 다른 구성 요소를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두껍고 단단하게 널빤지 모양으로 형성된 종이인 판지 2장 사이에 물결 모양으로 골이 진 종이를 붙인 골판지일 수 있다.
이때,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크래쳐 부재가 교체 가능한 스크래쳐(100)의 최하부에 배치되어 다른 구성 요소를 지지하는 한, 다양한 종류의 골판지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후술되는 스크래쳐 착탈 플레이트(130)에 형성된 스크래쳐홀(131)의 하부에 위치하고, 관통 형성된 제1 체결홀(112)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1 체결홀(112)은 복수일 수 있다.
이러한, 제1 체결홀(112)은 제1 체결 부재(150) 및 제2 체결 부재(160)가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0), 제2 베이스 플레이트(120), 스크래쳐 착탈 플레이트(130) 및 스크래쳐 부재(140)를 체결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다.
구체적인, 제1 체결홀(112)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플레이트 형상, 즉 평판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도 1,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양이의 발자국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도 2,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꽃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베이스 플레이트(120)는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형상에 대응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베이스 플레이트(12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크래쳐 부재가 교체 가능한 스크래쳐(100)가 제조되는 과정에서,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상부에 배치되고, 하부면이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상부면에 접착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베이스 플레이트(120)는 두껍고 단단하게 널빤지 모양으로 형성된 종이인 판지 2장 사이에 물결 모양으로 골이 진 종이를 붙인 골판지일 수 있다.
이때, 제2 베이스 플레이트(120)는 상술된 골판지 종류외 다양한 종류의 골판지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제2 베이스 플레이트(120)는 고양이가 선호하는 선호 물질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이 형성되도록 관통 형성된 수용홀(121)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선호 물질은 고양이가 선호하는 물질이라면, 그 종류가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호 물질은, 캣잎 및 고양이 간식일 수 있다.
한편, 상술된 수용 공간은 상술된 수용홀(121)이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상부면과 스크래쳐 부재(140)의 하부면에 의해 밀폐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상부에 수용홀(121)이 형성된 제2 베이스 플레이트(120)이 배치되면, 하부는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상부면에 의해 폐쇄되고, 측면은 수용홀(121)의 테두리 영역에 의해 둘러 싸여지며, 상부가 개방된 수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후, 제2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상부에 배치되는 스크래쳐 착탈 플레이트(130)의 스크래쳐홀(131)에 스크래쳐 부재(140)가 장착되면, 상술된 수용 공간의 상부는 스크래쳐 부재(140)의 하부면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이때, 수용 공간에는 사용자에 의해 선호 물질이 수용될 수 있고, 선호 물질이 수용된 상태에서, 스크래쳐 부재(140)가 덮어져 밀폐될 수 있다.
이러한, 수용홀(121)은 복수일 수 있다.
한편, 제2 베이스 플레이트(120)는 후술되는 스크래쳐 착탈 플레이트(130)에 형성된 스크래쳐홀(131)의 하부에 위치하고, 제1 체결홀(112)과 연통되도록 관통 형성된 제2 체결홀(122)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2 체결홀(122)은 복수일 수 있다.
이러한, 제2 체결홀(122)은 제1 체결 부재(150) 및 제2 체결 부재(160)가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0), 제2 베이스 플레이트(120), 스크래쳐 착탈 플레이트(130) 및 스크래쳐 부재(140)를 체결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다.
구체적인, 제2 체결홀(122)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제2 베이스 플레이트(120)는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형상에 대응되는 플레이트 형상, 즉 평판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베이스 플레이트(120)는 도 1,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양이의 발자국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베이스 플레이트(120)는 도 2,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꽃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스크래쳐 착탈 플레이트(130)는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형상에 대응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스크래쳐 착탈 플레이트(13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크래쳐 부재가 교체 가능한 스크래쳐(100)가 제조되는 과정에서, 제2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상부에 배치되고, 하부면이 제2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상부면에 접착될 수 있다.
이러한, 스크래쳐 착탈 플레이트(130)는 두껍고 단단하게 널빤지 모양으로 형성된 종이인 판지 2장 사이에 물결 모양으로 골이 진 종이를 붙인 골판지일 수 있다.
이때, 스크래쳐 착탈 플레이트(130)는 상술된 골판지 종류외 다양한 종류의 골판지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스크래쳐 착탈 플레이트(130)는 스크래쳐 부재(140)가 장착되거나 탈거되는 착탈 공간이 형성되도록 관통 형성된 스크래쳐홀(131)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스크래쳐홀(131)은 상술된 수용홀(121)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스크래쳐홀(131)에 의해 형성되는 착탈 공간은 수용홀(121)에 의해 형성되는 수용 공간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다르게 설명하면, 제2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상부에 스크래쳐홀(131)이 형성된 스크래쳐 착탈 플레이트(130)가 배치되면, 하부는 제2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상부면 일부와 수용 공간에 의해 폐쇄되고, 측면은 스크래쳐홀(131)의 테두리 영역에 의해 둘러 싸여지며, 상부가 개방된 착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후, 스크래쳐 착탈 플레이트(130)의 스크래쳐홀(131)에는 스크래쳐 부재(140)가 사용자에 의해 삽입되어 장착되거나 분리되어 탈거될 수 있다.
이러한, 스크래쳐홀(131)은 복수일 수 있다.
스크래쳐 착탈 플레이트(130)는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형상에 대응되는 플레이트 형상, 즉 평판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크래쳐 착탈 플레이트(130)는 도 1,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양이의 발자국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스크래쳐 착탈 플레이트(130)는 도 2,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꽃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스크래쳐 착탈 플레이트(130)는 스크래쳐홀(131)의 테두리 영역에 고양이의 스크래칭 동작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도록 손상 방지 부재가 부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손상 방지 부재는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되 스크래쳐홀(131)의 테두리 영역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고양이의 스크래칭 동작 시, 고양이의 발톱이 스크래쳐 착탈 플레이트(130)에 충돌하는 현상을 방지하여, 스크래쳐 착탈 플레이트(13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스크래쳐 부재(140)는 스크래쳐홀(131)의 형상에 대응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고양이가 발톱으로 긁는 스크래칭 동작을 할 수 있도록 상부면에 요철이 반복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크래쳐 부재(140)는 스크래쳐홀(131)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르게 설명하면, 스크래쳐 부재(140)는 스크래쳐홀(131)에 의해 형성된 착탈 공간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스크래쳐 부재(140)는 두껍고 단단하게 널빤지 모양으로 형성된 종이인 판지 1장에 물결 모양으로 골이 진 종이를 붙인 골판지일 수 있다.
즉, 스크래쳐 부재(140)는 판지 상부에 붙혀지고 물결 모양으로 골이 진 종이로 상술된 요철이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크래쳐 부재(140)는 돌출부와 홈부로 구성된 요철이 상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와 홈부 각각은 소정의 형성 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되되, 상술된 소정의 형성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부와 홈부가 교차하여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크래쳐 부재(140)는 스크래쳐홀(131)에 장착 및 삽입 시, 스크래쳐홀(131)의 테두리 영역과 가까울수록 이웃한 돌출부와 홈부 간의 높이차가 낮아지도록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반대로 설명하면,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크래쳐 부재(140)는 스크래쳐홀(131)에 장착 및 삽입 시, 스크래쳐홀(131)의 테두리 영역과 멀수록 이웃한 돌출부와 홈부 간의 높이차가 높아지도록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다르게 설명하면, 스크래쳐 부재(140)는 중심 영역(무게 중심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내의 영역)에 가까울수록 이웃한 돌출부와 홈부 간의 높이차가 높아지도록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크래쳐 부재(140)는 고양이가 스크래칭 동작을 하는데 있어서, 중심 영역에서 스크래칭 동작에 대한 더 높은 저항력을 제공함으로써, 고양이가 스크래쳐홀(131)의 테두리 영역과 근접한 영역 보다 중심 영역에서 스크래칭 동작을 하도록 유도하여 스크래칭 동작에 의한 스크래쳐 착탈 플레이트(13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스크래쳐 부재(140)는 스크래쳐홀(131)에 삽입 및 장착시, 제1 체결홀(112) 및 제2 체결홀(122)의 상부에 위치하고, 제1 체결홀(112) 및 제2 체결홀(122)과 연통되도록 관통 형성된 제3 체결홀(142)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3 체결홀(142)은 복수일 수 있다.
이러한, 제3 체결홀(142)은 제1 체결 부재(150) 및 제2 체결 부재(160)가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0), 제2 베이스 플레이트(120), 스크래쳐 착탈 플레이트(130) 및 스크래쳐 부재(140)를 체결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다.
구체적인, 제3 체결홀(142)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크래쳐 부재(140)는 관통 형성된 환풍홀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환풍홀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크래쳐 부재(140)가 스크래쳐홀(131)에 삽입 및 장착 시, 하부에 위치하는 수용 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킴으로써, 수용 공간에 수용된 선호 물질의 냄새를 외부로 유출시킬 수 있다.
즉, 수용 공간에 수용된 선호 물질로부터 풍겨지는 냄새(고양이가 선호하는 냄새)는 환풍홀을 통해 수용 공간에서 외부로 유출되어, 고양이가 맡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양이는 선호 물질로부터 풍겨지는 냄새가 나는 스크래쳐 부재(140)에 대해 더욱더 흥미를 갖고 스크래칭 동작을 할 수 있다.
제1 체결 부재(150)는 제1 체결홀(112), 제2 체결홀(122) 및 제3 체결홀(142)을 통과하여 제2 체결 부재(160)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체결 부재(150)는 상부면이 평면인 나사 형상으로 형성되고, 스크래쳐 부재(140)의 상부에서, 제1 체결홀(112), 제2 체결홀(122) 및 제3 체결홀(142)을 차례로 통과하고, 제1 체결홀(112), 제2 체결홀(122) 및 제3 체결홀(142)을 차례로 통과한 상태에서 제2 체결 부재(160)와 결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체결 부재(150)는 숫나사산이 구비되고, 제2 체결 부재(160)는 암나사산이 구비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제1 체결 부재(150)와 제2 체결 부재(160)는 나사결합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체결 부재(150)와 제2 체결 부재(160) 사이에는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0), 제2 베이스 플레이트(120), 스크래쳐 착탈 플레이트(130) 및 스크래쳐 부재(140)가 배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반대로, 제1 체결 부재(150) 및 제2 체결 부재(160)가 회전되어 나사 결합이 해제되는 경우, 스크래쳐 부재(140)는 사용자에 의해 스크래쳐 착탈 플레이트(130)로부터 손쉽게 분리 및 탈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고양이의 스크래칭 동작에 의해 스크래쳐 부재(140)가 손상되면, 손상된 스크래쳐 부재(140)만을 손쉽게 분리 및 탈거하여 손상되지 않은 다른 스크래쳐 부재(140)를 장착함으로써, 스크래쳐 부재(140)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1 체결 부재(150)는 나사 형상으로 형성되되, 나사 머리의 상부면이 평면으로 형성되고, 직선으로 함입된 복수의 스크래쳐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1 체결 부재(150)는 제1 체결홀(112), 제2 체결홀(122) 및 제3 체결홀(142)을 차례로 통과한 상태에서 제2 체결 부재(160)와 나사 결합하기 위해 회전되는 과정에서 복수의 스크래쳐홈의 방향이 스크래쳐 부재(140)에 형성된 요철을 구성하는 돌출부와 홈부가 형성된 소정의 형성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양이가 스크래칭 동작 시, 발톱으로 스크래쳐 부재(140)를 돌출부와 홈부가 형성된 소정의 형성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긁는 과정에서, 발톱이 제1 체결 부재(150)의 상부면과 충돌하더라도, 발톱이 스크래쳐홈을 따라 삽입되어 이동됨으로써, 고양이의 발톱에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스크래쳐 부재가 교체 가능한 스크래쳐
110: 제1 베이스 플레이트
120: 제2 베이스 플레이트
130: 스크래쳐 착탈 플레이트
140: 스크래쳐
150: 제1 체결 부재
160: 제2 체결 부재

Claims (6)

  1.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최하부에 배치되는 제1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의 형상에 대응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배치되며, 고양이가 선호하는 선호 물질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이 형성되도록 관통 형성된 수용홀을 구비하는 제2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의 형상에 대응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배치되며, 스크래쳐 부재가 장착되거나 탈거되는 착탈 공간이 형성되도록 관통 형성된 스크래쳐홀을 구비하는 스크래쳐 착탈 플레이트; 및
    상기 스크래쳐홀의 형상에 대응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고양이가 발톱으로 긁는 스크래칭 동작을 할 수 있도록 상부면에 요철이 반복 형성된 스크래쳐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스크래쳐홀의 하부에 위치하고, 관통 형성된 제1 체결홀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스크래쳐홀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체결홀과 연통되도록 관통 형성된 제2 체결홀을 구비하고,
    상기 스크래쳐 부재는
    상기 제1 체결홀 및 상기 제2 체결홀과 연통되도록 관통 형성된 제3 체결홀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체결홀, 상기 제2 체결홀 및 상기 제3 체결홀을 통과하는 제1 체결 부재; 및
    상기 제1 체결 부재와 체결되어 상기 스크래쳐홀에 장착된 상기 스크래쳐 부재를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시키는 제2 체결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크래쳐 부재는
    돌출부와 홈부로 구성된 상기 요철이 상부면에 형성되되, 무게 중심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내의 영역인 중심 영역에 가까울수록 이웃한 돌출부와 홈부 간의 높이차가 높아지도록 상기 요철이 형성되고, 상기 스크래쳐홀에 장착 및 삽입 시, 상기 스크래쳐홀의 테두리 영역과 가까울수록 이웃한 돌출부와 홈부 간의 높이차가 낮아지도록 상기 요철이 형성되고,
    상기 스크래쳐 부재는
    상기 스크래쳐홀에 장착 및 삽입 시,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수용 공간과 외부를 연통시켜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된 상기 선호 물질의 냄새가 외부로 유출되도록 하는 환풍홀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스크래쳐 착탈 플레이트는
    상기 스크래쳐홀의 테두리 영역에 상기 스크래칭 동작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도록 손상 방지 부재가 부착되고,
    상기 제1 체결 부재는
    나사 형상으로 형성되되, 나사 머리의 상부면에 함입된 복수의 스크래쳐홈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스크래쳐홈은
    상기 고양이의 발톱이 상기 제1 체결 부재의 상부면과 충돌 시, 내측으로 상기 고양이의 발톱이 삽입되어 상기 제1 체결 부재의 상부면과 상기 고양이의 발톱의 충돌로 인한 상기 고양이 발톱의 손상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래쳐 부재가 교체 가능한 스크래쳐.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홀은
    상기 스크래쳐홀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스크래쳐홀에 장착된 상기 스크래쳐 부재는 상기 수용홀의 상부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래쳐 부재가 교체 가능한 스크래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래쳐 부재는
    돌출부와 홈부로 구성된 상기 요철이 상부면에 형성되고, 상기 스크래쳐홀의 테두리 영역과 가까울수록 이웃한 돌출부와 홈부 간의 높이차가 낮아지도록 요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래쳐 부재가 교체 가능한 스크래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래쳐 착탈 플레이트는
    상기 스크래쳐홀의 테두리 영역에 상기 스크래칭 동작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도록 손상 방지 부재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래쳐 부재가 교체 가능한 스크래쳐.
KR1020230060712A 2023-05-10 2023-05-10 스크래쳐 부재가 교체 가능한 스크래쳐 KR1025704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0712A KR102570435B1 (ko) 2023-05-10 2023-05-10 스크래쳐 부재가 교체 가능한 스크래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0712A KR102570435B1 (ko) 2023-05-10 2023-05-10 스크래쳐 부재가 교체 가능한 스크래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0435B1 true KR102570435B1 (ko) 2023-08-24

Family

ID=87841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0712A KR102570435B1 (ko) 2023-05-10 2023-05-10 스크래쳐 부재가 교체 가능한 스크래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0435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47770A1 (en) * 2000-02-17 2001-12-06 Pontes Regina M. Pet toy
JP3099719U (ja) * 2003-08-06 2004-04-15 大宮 崇史 飼猫の爪研ぎ用シート
US20110079183A1 (en) * 2009-10-05 2011-04-07 Sportpet Designs, Inc. Attractant enhanced apparatus for cats
US20130333629A1 (en) * 2012-06-14 2013-12-19 Worldwise, Inc. Replaceable cat scratcher
KR200479241Y1 (ko) * 2015-01-05 2016-01-06 김지연 고양이 스크래쳐세트
KR101867795B1 (ko) * 2018-01-16 2018-07-17 박현도 고양이 스크래쳐
KR102278909B1 (ko) 2020-03-05 2021-07-16 이승철 놀이 기구로도 사용할 수 있는 고양이 집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47770A1 (en) * 2000-02-17 2001-12-06 Pontes Regina M. Pet toy
JP3099719U (ja) * 2003-08-06 2004-04-15 大宮 崇史 飼猫の爪研ぎ用シート
US20110079183A1 (en) * 2009-10-05 2011-04-07 Sportpet Designs, Inc. Attractant enhanced apparatus for cats
US20130333629A1 (en) * 2012-06-14 2013-12-19 Worldwise, Inc. Replaceable cat scratcher
KR200479241Y1 (ko) * 2015-01-05 2016-01-06 김지연 고양이 스크래쳐세트
KR101867795B1 (ko) * 2018-01-16 2018-07-17 박현도 고양이 스크래쳐
KR102278909B1 (ko) 2020-03-05 2021-07-16 이승철 놀이 기구로도 사용할 수 있는 고양이 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42350B2 (en) Containers with anti-slip provisions
US7765956B2 (en) Cat scratching system
US9420758B2 (en) Waste scoop containment system
JP6173145B2 (ja) 動物用トイレ
US20100300367A1 (en) Animal waste pad holder
US11129356B2 (en) Nestable cat litter box
JP6192468B2 (ja) 動物用トイレの包装体
US10440932B2 (en) Apparatus for maintaining a pet waste receptacle
US20100071628A1 (en) Portable Waste box and Absorbent Pad Holder for Housebreaking Dogs
US20070084413A1 (en) Easy access litter box
US20180103608A1 (en) Dog kennel mat
US20140261223A1 (en) Pet Scratcher
KR102570435B1 (ko) 스크래쳐 부재가 교체 가능한 스크래쳐
KR101441318B1 (ko) 조립식 캣타워
KR20190084698A (ko) 캣타워와 스크래쳐 기능이 부가된 고양이 모래박스
US20140299727A1 (en) Holder for a pet toy
KR101818193B1 (ko) 고양이 스크래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492618Y1 (ko) 반려 동물 스크래쳐
CN114650729A (zh) 用于动物收容组件的玩具/训练工具
KR20120027885A (ko) 깔개를 구비한 병아리 운반상자
US20200245588A1 (en) Cat litter box
EP2147593A2 (en) Containers with anti-slip provisions
US6412442B1 (en) Pet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
US7469660B1 (en) Combined dwelling and play area for cats and like feline animals
US20200288664A1 (en) Litter Box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