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1058B1 - 조리용 진공압력용기 - Google Patents

조리용 진공압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1058B1
KR101901058B1 KR1020170044525A KR20170044525A KR101901058B1 KR 101901058 B1 KR101901058 B1 KR 101901058B1 KR 1020170044525 A KR1020170044525 A KR 1020170044525A KR 20170044525 A KR20170044525 A KR 20170044525A KR 101901058 B1 KR101901058 B1 KR 1019010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pressure
container
container body
coo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4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문
Original Assignee
킴스쿡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킴스쿡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킴스쿡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44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10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1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10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용 진공압력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 내부의 압력을 용이하게 조정하여 압력에 따라 밥이나 국, 찌개, 생선요리 등 다양한 최적의 요리를 할 수 있으면서 용기 내에 증가되는 압력에 의해 증기를 뚜껑을 통하여 자동으로 배출하다가 조리가 완료된 이후에는 용기에 자동적으로 진공이 가능하게 밀폐가 유지되게 하기 위한 조리용 진공압력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조리용 진공압력용기는 내용물을 담아 조리할 수 있는 것으로, 내부에 상기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를 밀폐하는 용기뚜껑과, 상기 용기본체의 양측면에 구비된 용기손잡이부와, 상기 용기뚜껑의 상면에 고정되되 상하 관통홀이 형성된 뚜껑손잡이부, 및 상기 관통홀을 따라 상기 뚜껑손잡이부 내측에 장착된 압력부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또한, 용기뚜껑은 용기본체 내부를 볼 수 있는 투명덮개와, 상기 투명덮개의 외곽 테두리를 감싸는 뚜껑프레임과, 상기 뚜껑프레임 내주면에 끼움장착되는 패킹, 및 상기 뚜껑프레임 양측을 지지하는 리브(rib)를 포함한다.
또한, 용기손잡이부는 용기본체의 상부 외측면에 고정되는 손잡이몸체와, 상기 손잡이몸체를 감싸면서 상기 용기본체 중심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에 안착된 용기뚜껑이 열리지 않도록 리브를 고정시키는 슬라이딩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압력부는 공기 흐름으로 소리를 발생시키는 휘슬판이 관통홀이 지나는 뚜껑손잡이부 내에 고정되고, 용기본체 내부압력에 따라 상하 승강하는 압력밸브가 상기 휘슬판과 소정 높이 이격되게 상기 뚜껑손잡이부 내에 장착되며, 상기 압력밸브의 상측에 압력무게캡이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므로, 용기본체 내부가 소정 압력 이상이면 상기 휘슬판을 통하여 휘슬(whistle) 소리가 발생한다.

Description

조리용 진공압력용기{Vacuum pressure vessel for cooking}
본 발명은 조리용 진공압력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 내부의 압력을 용이하게 조정하여 압력에 따라 밥이나 국, 찌개, 생선요리 등 다양한 최적의 요리를 할 수 있으면서 용기 내에 증가되는 압력에 의해 증기를 뚜껑을 통하여 자동으로 배출하다가 조리가 완료된 이후에는 용기에 자동적으로 진공이 가능하게 밀폐가 유지되게 하기 위한 조리용 진공압력용기에 관한 것이다.
진공 가능한 용기는 끓일 때에는 조리실 내부가 팽창하여 압력밸브를 통해 공기를 배출시키면서 평상시와 같은 용기로서 사용 가능하다.
다 끓인 후 식히면 조리실 내부가 수축하여 압력밸브를 통해 외부 공기의 내부로의 유입을 차단하고, 뚜껑을 계속 아래로 당기는 펌핑(pumping)과 같은 기능을 하면서 내부를 진공화시켜 뚜껑이 용기에 붙어 떨어지지 않게 된다.
이 진공상태로 그대로 내용물을 보관하면 진공을 유지하는 동안에는 음식물이 상하는 것을 방지하여 계속 끓여 보관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시킬 수 있다.
진공상태의 해제는 다시 끓이거나 압력밸브를 잡고 올리면 된다.
즉, 현재 주물이나 다이캐스팅 또는 스텐레스로 절곡하여 제조되는 용기에 진공이 가능토록 한 용기의 기능은 가열에 의하여 끓일 때에는 용기 본체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증기에 의하여 팽창하게 되고, 이러한 팽창압력은 뚜껑에 형성된 압력밸브를 통해 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게 되면서 조리용 용기로서 사용되는 것이다.
그러나 끓인 후 잠시 보관을 위하여 식히게 되면 용기 본체의 내부에서 팽창되었던 본체의 내부 압력이 서서히 수축하게 되는 반면에 용기뚜껑에 장착된 압력밸브는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의 유입을 차단하게 되면서 용기뚜껑을 계속 아래로 당기게 되면서 용기뚜껑에 장착된 패킹이 용기 본체의 받침 테두리에 더욱 밀착되면서 본체 내부을 감압토록 하여 진공이 가능하게 하여 용기뚜껑이 용기 본체에 덮여진 상태에서 임의적인 분리가 불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감압상태로 그대로 조리되어진 조리물을 보관하면 외부로부터의 공기가 본체 내의 조리물로 유입되지 않게 되므로 조리된 음식물이 변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다가 본체 내부의 이러한 감압상태의 해제를 위하여는 다시 열을 가하여 끓이거나 또는 압력밸브를 조작하여 외부의 공기가 본체의 내부로 통하도록 되면 뚜껑을 쉽게 열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일반적으로 압력용기는 조리물(밥이나 찜 등)이 내장된 밀폐 용기를 전기나 가스의 가열수단으로 가열하여 취사를 하는데, 취사도중 용기 내부가 고압으로 유지되어 물의 끊는점이 상승되고, 이로써 양질의 조리를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압력용기에는 통상 내부 압력의 적절한 유지를 위해 증기를 배출하는 압력조절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사용되고 있는 압력조절장치는 조리의 종류에 관계없이 압력용기의 내부 압력이 일정하게 설정되어 있고, 이 설정된 내부 압력 이상으로 압력이 증가하는 경우에는 개방 조작되어 증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종래 사용되고 있는 압력용기는 조리되는 조리의 종류에 따라 증기 배출압력을 달리하여야 함에도 불구하고 항상 설정된 압력 이상이면 개방 조작되기 때문에 증기 배출압력을 달리하는 조리 종류에 맞추어 적정한 배출 압력 조절이 불가능하다는 점과, 이로 인한 양질의 조리가 불가능한 점이 있었고, 용기 본체에서 용기뚜껑을 분리해서 열고 조리된 내용물을 꺼내는 경우, 상기 용기뚜껑이 고열에 증기를 함유하고 있어 적당히 안치할 곳을 찾지 못하고 불편해 하는 등 여러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진공 가능한 용기의 장점을 살리면서 종래 압력용기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 절실히 필요하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25785호, 발명의 명칭 '압력변화가 용이한 뚜껑을 구비한 진공가능한 밀폐냄비' (등록일 2013.10.30.)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 및 필요성에 의해서 창출된 것으로, 용기 내부의 압력을 용이하게 조정하여 압력에 따라 밥이나 국, 찌개, 생선요리 등 다양한 최적의 요리를 할 수 있으면서 용기 내에 증가되는 압력에 의해 증기를 뚜껑을 통하여 자동으로 배출하다가 조리가 완료된 이후에는 용기에 자동적으로 진공이 가능하게 밀폐가 유지되게 하는 조리용 진공압력용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조리용 진공압력용기는 내용물을 담아 조리할 수 있는 것으로, 내부에 상기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를 밀폐하는 용기뚜껑과, 상기 용기본체의 양측면에 구비된 용기손잡이부와, 상기 용기뚜껑의 상면에 고정되되 상하 관통홀이 형성된 뚜껑손잡이부, 및 상기 관통홀을 따라 상기 뚜껑손잡이부 내측에 장착된 압력부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또한, 용기뚜껑은 용기본체 내부를 볼 수 있는 투명덮개와, 상기 투명덮개의 외곽 테두리를 감싸는 뚜껑프레임과, 상기 뚜껑프레임 내주면에 끼움장착되는 패킹, 및 상기 뚜껑프레임 양측을 지지하는 리브(rib)를 포함한다.
또한, 용기손잡이부는 용기본체의 상부 외측면에 고정되는 손잡이몸체와, 상기 손잡이몸체를 감싸면서 상기 용기본체 중심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에 안착된 용기뚜껑이 열리지 않도록 리브를 고정시키는 슬라이딩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압력부는 공기 흐름으로 소리를 발생시키는 휘슬판이 관통홀이 지나는 뚜껑손잡이부 내에 고정되고, 용기본체 내부압력에 따라 상하 승강하는 압력밸브가 상기 휘슬판과 소정 높이 이격되게 상기 뚜껑손잡이부 내에 장착되며, 상기 압력밸브의 상측에 압력무게캡이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므로, 용기본체 내부가 소정 압력 이상이면 상기 휘슬판을 통하여 휘슬(whistle) 소리가 발생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기본체 내부의 압력을 압력무게캡으로 조정 변경하여 압력에 따라 밥이나 국, 찌개, 생선요리 등 다양한 최적의 요리를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조리시 용기본체 내 소정 압력 이상에 대해 공기 또는 증기를 압력부를 통하여 자동으로 외부로 배출하고 조리가 완료된 이후에는 외부공기가 용기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용기본체 내부를 자동적으로 진공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조리 종류에 맞추어 적정한 배출 압력을 조정할 수 있고 이로 인한 양질의 조리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고정슬롯부에 리브 끝단을 삽입시켜 용기뚜껑을 용이하게 거치(据置)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조리용 진공압력용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조리용 진공압력용기의 용기뚜껑을 거치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단면도.
도 6은 도 5의 'B' 부분을 확대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압력부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조리용 진공압력용기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8의 'C' 부분을 확대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압력부 작동 상태를 도시한 예시적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압력무게캡을 적용한 예시적인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 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 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 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는다. 편평하다고 도시되거나 설명된 영역은 일반적으로 걸치거나/거칠고 비선형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날카로운 각도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된 부분은 라운드질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영역은 원래 대략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들의 형태는 영역의 정확한 형태를 도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를 좁히려고 의도된 것도 아니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다른 실시 예에서 대응하거나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조리용 진공압력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조리용 진공압력용기의 용기뚜껑을 거치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B' 부분을 확대한 도면.
또한, 도 7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압력부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조리용 진공압력용기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C'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압력부 작동 상태를 도시한 예시적인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압력무게캡을 적용한 하나의 예시적인 도면이다.
본 발명은 진공 가능한 용기의 장점을 살리고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조리 종류에 맞추어 적정히 압력을 조정할 수 있고 용기 밀폐가 간편하며 용기뚜껑을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게 완성하였다.
따라서 도면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조리용 진공압력용기(100)는 내용물을 담아 조리할 수 있는 것으로, 내부에 상기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용기본체(110)와, 상기 용기본체(110)의 상부를 밀폐하는 용기뚜껑(120)과, 상기 용기본체(110)의 양측면에 구비된 용기손잡이부(130)와, 상기 용기뚜껑(120)의 상면에 고정되되 상하 관통홀(140h)이 형성된 뚜껑손잡이부(140), 및 상기 관통홀(140h)을 따라 상기 뚜껑손잡이부(140) 내측에 장착된 압력부(15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또한, 용기뚜껑(120)은 용기본체(110) 내부를 볼 수 있는 투명덮개(121)와, 상기 투명덮개(121)의 외곽 테두리를 감싸는 뚜껑프레임(123)과, 상기 뚜껑프레임(123) 내주면에 끼움장착되는 패킹(125), 및 상기 뚜껑프레임(123) 양측을 지지하는 리브(rib)(127)를 포함한다.
또한, 용기손잡이부(130)는 용기본체(110)의 상부 외측면에 고정되는 손잡이몸체(131)와, 상기 손잡이몸체(131)를 감싸면서 상기 용기본체(110) 중심방향으로 슬라이딩(sliding)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용기본체(110)의 상부에 안착된 용기뚜껑(120)이 열리지 않도록 리브(127)를 고정시키는 슬라이딩부재(133)를 포함한다.
또한, 압력부(150)는 용기본체(110) 내부압력에 따라 상하 승강하는 압력밸브(153)가 관통홀(140h)이 형성된 뚜껑손잡이부(140) 내에 고정되고, 상기 압력밸브(153)의 상측에 압력무게캡(155)이 탈착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압력부(150)에는 공기 흐름으로 소리를 발생시키는 휘슬판(151)이 압력밸브(153) 하측으로 소정 이격되게 삽입되어 용기본체(110) 내부가 소정 압력 이상이면 상기 휘슬판(151)을 통하여 휘슬(whistle) 소리가 발생한다.
또한, 압력무게캡(155)은 조리 종류별로 무게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압력무게캡(155)은 적어도 2개 이상으로 나누어 그 중 하나 또는 2개 이상 결합구성하여 무게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압력무게캡(155)에 다른 압력무게캡을 부착하여 무게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슬라이딩부재(133)를 용기본체(110) 중심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 용기손잡이부(130) 상면에 리브(127) 끝단에 대응되는 삽입 가능한 고정슬롯부(135)가 나타나 상기 고정슬롯부(135)에 상기 리브(127) 끝단을 삽입시켜 상기 용기뚜껑(120)을 세워 거치(据置)시킨다.
또한, 압력밸브(153)는 상부걸림턱(153-1), 하부걸림턱(153-2) 및 상기 상부걸림턱(153-1)과 하부걸림턱(153-2)을 연결하는 중공연결부재(153-3)를 형성하여 상기 상부걸림턱(153-1)에 의해 상기 관통홀(140h)이 닫혀있다가 상기 용기본체(110) 내부압력이 상승하여 소정 압력 이상되면 상기 상부걸림턱(153-1)을 밀어 상기 관통홀(140h)이 열리지만 상기 하부걸림턱(153-2)이 상기 뚜껑손잡이부 내에 걸려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그럼,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조리용 진공압력용기(1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조리용 진공압력용기(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용기본체(110)와 용기뚜껑(120)과 용기손잡이부(130)와 뚜껑손잡이부(140) 및 압력부(150)로 구분할 수 있다.
용기본체(1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용물을 담아 조리할 수 있도록 내부에 상기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즉, 용기본체(110)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의 용기로 내부에 조리실을 형성하도록 바닥과 상기 바닥의 가장자리에서 위로 측벽이 형성될 수 있고, 스텐레스(stainless) 금속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용기본체(110) 외부 형상은 사용 용도 또는 사용자 기호에 맞게 타원형, 다각형 또는 기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용기뚜껑(120)은 용기본체(110)의 상부에 안착되어 밀폐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용기본체(110) 상부 개방된 입구 형상에 대응되게 구성된다.
또한, 용기뚜껑(12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110) 내부를 볼 수 있는 투명덮개(121)와, 상기 투명덮개(121)의 외곽 테두리를 감싸는 뚜껑프레임(123)과, 상기 뚜껑프레임(123) 내주면에 끼움장착되는 패킹(125), 및 상기 뚜껑프레임(123) 양측을 지지하는 리브(rib)(127)를 포함한다.
여기서, 투명덮개(12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110)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용기본체(110) 상부 개방된 입구 형상에 대응되게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구성된다. 다만, 투명덮개(121) 형상은 사용 용도 또는 사용자 기호에 맞게 다각형 또는 기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투명덮개(121)는 용기본체(110)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하게 형성하고 강화유리(glass) 재질일 수 있다.
뚜껑프레임(123)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덮개(121)의 외곽 테두리를 감싸도록 환형(ring shape)으로 뼈대를 구성하고, 후술하는 패킹(125)이 삽입되어 투명덮개(121) 테두리를 고정한다.
뚜껑프레임(123)은 용기뚜껑(120) 외곽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튼튼한 금속재질로 구성되며, 스텐레스(stainless) 재질일 수 있다.
패킹(125)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덮개(121)와 뚜껑프레임(123) 사이에 개입되어 투명덮개(121)와 뚜껑프레임(123) 사이를 밀봉되도록 뚜껑프레임(123) 내주면에 끼움장착된다.
패킹(packing)(125)은 투명덮개(121)와 뚜껑프레임(123) 사이에 물이나 공기가 새지 않고 완벽히 밀봉되도록 패킹(packing)력이 높은 부재로, 폴리우레탄 또는 고무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리브(rib)(127)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뚜껑손잡이부(140) 일측과 연결되고 뚜껑프레임(123) 일측과 연결하여 뚜껑손잡이부(140) 양측으로 연장되어 뚜껑프레임(123) 양측을 지지한다.
또한, 리브(rib)(127)는 방사상으로 갈수록 소정 각도 하향으로 기울어지게 형성하여 후술하는 슬라이딩부재(133)에 의해서 용기뚜껑(120)이 용기본체(110)에 견고하게 압착되도록 한다.
또한, 리브(rib)(127)는 스텐레스(stainless)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용기손잡이부(130)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110)의 양측면에 구비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용기손잡이부(130)는 용기본체(110)의 상부 외측면에 고정되는 손잡이몸체(131)와, 상기 손잡이몸체(131)를 감싸면서 상기 용기본체(110) 중심방향으로 슬라이딩(sliding)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용기본체(110)의 상부에 안착된 용기뚜껑(120)이 열리지 않도록 리브(127)를 고정시키는 슬라이딩부재(133)를 포함한다.
손잡이몸체(13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쉽게 파지(把持)할 수 있도록 플레이트 형상으로 돌출되어 용기본체(110)의 상부 외측면에 형성된다.
또한, 손잡이몸체(131)는 후술하는 슬라이딩부재(131)가 용이하게 슬라이딩되도록 중앙을 지나는 소정 폭의 가이드홈(131-1)이 상부에 형성되고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가이드돌출부(131-2)가 하부에 형성된다.
또한, 손잡이몸체(131)는 전기절연성, 기계적 강도 및 내열성 등이 우수한 재질이 좋으며, 베이클라이트(bakelite) 합성수지 재질일 수 있다.
슬라이딩부재(133)는 손잡이몸체(131)를 감싸는 'ㄷ'자 형상으로, 상부는 가이드홈(131-1)을 따라 움직이고, 하부는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가이드슬롯이 형성되어 가이드돌출부(131-2)를 따라 움직인다.
또한, 슬라이딩부재(133)는 용기본체(110) 중심방향으로 슬라이딩(sliding)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용기본체(110)의 상부에 안착된 용기뚜껑(120)이 열리지 않도록 용기본체(110) 중심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가이드홈(131-1)에 안착된 리브(127) 상측을 막아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슬라이딩부재(133)는 중심으로 갈수록 리브(127) 상측을 압착하여 용기뚜껑(120)와 용기본체(110) 사이를 견고하게 밀폐한다.
또한, 슬라이딩부재(133)는 스텐레스(stainless) 금속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고정슬롯부(135)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110) 중심방향과 수직하게 소정 깊이의 슬롯(slot)이 형성되어 리브(127) 끝단을 삽입시킬 수 있다.
따라서, 슬라이딩부재(133)를 용기본체(110) 중심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 용기손잡이부(130) 상면에 리브(127) 끝단에 대응되는 삽입 가능한 고정슬롯부(135)가 나타나 상기 고정슬롯부(135)에 상기 리브(127) 끝단을 삽입시켜 상기 용기뚜껑(120)을 세워 거치(据置)시킬 수 있게 된다.
뚜껑손잡이부(140)는 도 1, 도 2 및 7을 참고하면 용기뚜껑(120)을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용기뚜껑(120) 상면으로 소정 높이 돌출되는 파지(把持)부로, 용기뚜껑(120)의 상면에 돌출 고정된다.
또한, 뚜껑손잡이부(14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부(141) 및 뚜껑체결부(143)로 구성되고, 투명덮개(121)을 중간에 개입시켜 상측에 뚜껑부(141)를, 하측에 뚜껑체결부(143)를 위치하여 체결시켜 용기뚜껑(120)에 고정한다.
뚜껑부(141)는 전기절연성, 기계적 강도 및 내열성 등이 우수한 재질이 좋으며, 베이클라이트(bakelite) 합성수지 재질일 수 있다.
뚜껑체결부(143)는 마찰계수가 적고 내마모성이 좋으며 인장강도 및 충격강도가 상당히 강한 재질이 좋으며, 폴리아미드(PA66) 합성수지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압력부(150)는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홀(140h)을 따라 뚜껑손잡이부(140) 내측에 장착되어 용기본체(110) 내부압력을 조정하고 소정 압력이상이면 내부 공기가 외부로 배출하면서 휘슬(whistle) 소리가 발생하도록 한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압력부(15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휘슬판(151), 압력밸브(153), 및 압력무게캡(155)을 포함한다.
휘슬판(151)은 상하 관통된 중앙홀(151h)을 통하여 공기 흐름으로 소리를 발생시키는 얇은 두께의 부재로, 관통홀(140h)이 형성된 뚜껑손잡이부(140) 내에 수평하게 고정된다.
또한, 휘슬판(151)은 스텐레스(stainless) 금속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압력밸브(153)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걸림턱(153-1), 하부걸림턱(153-2) 및 상부걸림턱(153-1)와 하부걸림턱(153-2)를 연결하는 중공연결부재(153-3)로 형성된다.
또한, 압력밸브(153)는 용기본체(110) 내부압력에 따라 상하 승강할 수 있도록 휘슬판(151)과 소정 높이 이격되게 뚜껑손잡이부(140) 내에 장착된다.
특히, 압력밸브(153)는 복원력이 높은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뚜껑부(141) 내측에 형성된 공간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압력밸브(153)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걸림턱(153-1)에 의해 관통홀(140h)이 닫혀있다가 용기본체(110) 내부압력이 상승하여 소정 압력 이상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걸림턱(153-1)을 밀어 관통홀(140h)이 열리지만 하부걸림턱(153-2)이 뚜껑걸림부(141-1)에 걸려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압력밸브(153)는 경제적이고 제작이 용이한 실리콘(silicone) 합성수지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압력무게캡(155)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밸브(153)의 상측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소정 크기의 캡(cap)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압력무게캡(155)은 압력부(150)가 작동하는 데 중요한 기능을 담당한다.
압력무게캡(155)은 그 형상이 다양할 수 있으나 소정 무게를 가지고 있어 용기본체(110) 내의 공기 또는 증기를 소정 압력까지 관통홀(140h)이 개방되지 않고 폐쇄되도록 한다.
예를 들면, 압력무게캡(155)은 그 무게에 따라 상(上), 중(中), 하(下)로 구분하여 구비하고, 상대적으로 고압인 압력에 조리 가능한 밥이나 찜 등은 무게가 상(上)인 압력무게캡(155)을 압력밸브(153)에 부착하고, 상대적으로 중압에서 요리가 가능한 생선 등은 무게가 중(中)인 압력무게캡(155)을 압력밸브(153)에 부착하며, 상대적으로 저압에서 조리가 가능한 야채나, 찌개 등은 무게가 하(下)인 압력무게캡(155)을 압력밸브(153)에 부착하여, 조리에 최적인 압력으로 설정되도록 하여 양질의 조리가 될 수 있게 한다.
즉, 본 발명은 조리 종류별로 무게가 다른 압력무게캡(155)을 부착하여 용기본체(110) 내부 압력에 차이를 두어 압력부(150)가 작동하도록 한다.
또한, 압력부(15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무게캡(155)에 다른 압력무게캡(155'), 또 다른 압력무게캡(155")을 추가적으로 부착하여 무게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압력무게캡(155)은 적어도 2개 이상으로 나누어 그 중 하나 또는 2개 이상 결합구성하여 무게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압력무게캡(155)의 무게는 동일한 재질에 압력무게캡(155)의 외형 크기를 달리하여 형성할 수 있고, 동일한 외형 크기에 비중이 다른 재질을 사용하여 구분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색상이나 기호, 문자, 도형 등을 압력무게캡(155) 표면에 표시하여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압력무게캡(155)은 경제적이고 제작이 용이한 실리콘(silicone) 합성수지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압력부(150)는 용기본체(110) 내부가 소정 압력 이상이면 휘슬(whistle) 소리를 발생시켜 조리 결과를 사용자에게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조리용 진공압력용기(100)는 진공용기 기능을 하는데, 조리시 용기본체(110) 내부가 소정 압력 이상되어 압력부(150)를 통해 공기 또는 증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조리를 완성하고, 조리가 끝나면 용기본체(110) 내부가 수축하여 압력부(150)를 통해 외부 공기가 내부로 유입을 차단하면서 용기뚜껑(120)을 계속 아래로 당겨 내부를 진공화시켜 용기뚜껑(120)이 용기본체(110)에 붙어 떨어지지 않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진공상태로 그대로 내용물을 보관하면 진공을 유지하는 동안에는 음식물이 상하는 것을 방지하여 계속 끓여 보관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진공상태의 해제할 경우, 다시 열을 가하여 끓이거나 압력부(150)를 조작하여 외부의 공기가 용기본체(110)의 내부로 통하도록 하면 용기뚜껑(120)을 쉽게 열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조리용 진공압력용기(100)는 진공용기 기능과 압력용기 기능을 겸하고 있는데, 종래에는 조리의 종류에 관계없이 압력용기의 내부 압력이 일정하게 설정되어 있고, 이 설정된 내부 압력 이상으로 압력이 증가하는 경우에는 개방 조작되어 증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조리의 종류에 따라 증기 배출압력을 달리하지 못하여 항상 설정된 압력 이상이면 개방 조작되기 때문에 증기 배출압력을 달리하는 조리 종류에 맞추어 적정한 배출 압력 조절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을 해결하였고, 이로 인한 양질의 조리가 불가능한 문제점도 해결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조리용 진공압력용기(100)는 용기본체(110)에서 용기뚜껑(120)을 분리해서 열고 조리된 내용물을 꺼내는 경우, 상기 용기뚜껑(120)이 고열에 증기를 함유하고 있어 적당히 거치할 곳을 찾지 못해 불편해 하는 문제점을 고정슬롯부(135)에 리브(127) 끝단을 삽입시켜 상기 용기뚜껑(120)을 세워 거치(据置)시킬 수 있게 하므로 해결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조리용 진공압력용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용기본체(110) 내부의 압력을 압력무게캡(155)으로 조정 변경하여 압력에 따라 밥이나 국, 찌개, 생선요리 등 다양한 최적의 요리를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조리시 용기본체(110) 내 소정 압력 이상에 대해 공기 또는 증기를 압력부(150)를 통하여 자동으로 외부로 배출하고 조리가 완료된 이후에는 외부공기가 용기본체(1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용기본체(110) 내부를 자동적으로 진공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조리 종류에 맞추어 적정한 배출 압력을 조정할 수 있고 이로 인한 양질의 조리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고정슬롯부(135)에 리브(127) 끝단을 삽입시켜 용기뚜껑(120)을 용이하게 거치(据置)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본 발명이 제안하는 진공압력용기
110 : 용기본체
120 : 용기뚜껑
130 : 용기손잡이부
140 : 뚜껑손잡이부
150 : 압력부

Claims (5)

  1. 내용물을 담아 조리할 수 있는 조리용 진공압력용기에 있어서,
    내부에 상기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를 밀폐하는 용기뚜껑과,
    상기 용기본체의 양측면에 구비된 용기손잡이부와,
    상기 용기뚜껑의 상면에 고정되되 상하 관통홀이 형성된 뚜껑손잡이부, 및
    상기 관통홀을 따라 상기 뚜껑손잡이부 내측에 장착된 압력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용기뚜껑은,
    상기 용기본체 내부를 볼 수 있는 투명덮개와, 상기 투명덮개의 외곽 테두리를 감싸는 뚜껑프레임과, 상기 뚜껑프레임 내주면에 끼움장착되는 패킹, 및 상기 뚜껑프레임 양측을 지지하되 방사상으로 소정 각도 하향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된 리브(rib)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손잡이부는,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 외측면에 고정되는 손잡이몸체와, 상기 손잡이몸체를 감싸면서 상기 용기본체 중심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에 안착된 상기 용기뚜껑이 열리지 않도록 상기 리브를 고정시키는 'ㄷ'자 형상의 슬라이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부재를 상기 용기본체 중심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 상기 용기손잡이부 상면에 상기 리브 끝단에 대응되는 삽입 가능한 고정슬롯부가 나타나 상기 고정슬롯부에 상기 리브 끝단을 삽입시켜 상기 용기뚜껑을 세워 거치(据置)시키고,
    상기 압력부는 상기 용기본체 내부압력에 따라 상하 승강하는 압력밸브가 상기 관통홀이 형성된 상기 뚜껑손잡이부 내에 장착되고, 상기 압력밸브의 상측에 조리 종류별로 무게가 다른 압력무게캡이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압력밸브 하측으로 공기 흐름으로 소리를 발생시키는 휘슬판이 소정 이격되게 삽입되어 상기 용기본체 내부가 소정 압력 이상이면 상기 휘슬판을 통하여 휘슬(whistle) 소리가 발생하고,
    상기 압력밸브는 상부걸림턱, 하부걸림턱 및 상기 상부걸림턱과 하부걸림턱을 연결하는 중공연결부재를 형성하여 상기 상부걸림턱에 의해 상기 관통홀이 닫혀있다가 상기 용기본체 내부압력이 상승하여 상기 소정 압력 이상되면 상기 상부걸림턱을 밀어 상기 관통홀이 열리지만 상기 하부걸림턱이 상기 뚜껑손잡이부 내에 걸려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진공압력용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무게캡은 적어도 2개 이상으로 나누어 그 중 하나 또는 2개 이상 결합구성하여 무게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진공압력용기.
  5. 삭제
KR1020170044525A 2017-04-06 2017-04-06 조리용 진공압력용기 KR1019010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4525A KR101901058B1 (ko) 2017-04-06 2017-04-06 조리용 진공압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4525A KR101901058B1 (ko) 2017-04-06 2017-04-06 조리용 진공압력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1058B1 true KR101901058B1 (ko) 2018-11-02

Family

ID=64328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4525A KR101901058B1 (ko) 2017-04-06 2017-04-06 조리용 진공압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10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24815A1 (ko) * 2020-12-10 2022-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 기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2738Y1 (ko) * 2000-10-20 2001-05-15 세광알미늄주식회사 압력솥의 신호추 조립구조
KR200271679Y1 (ko) * 2002-01-04 2002-04-10 주식회사 킴스핸들 팽창공기를 배출시키는 조리용기 뚜껑용 손잡이
KR200281836Y1 (ko) * 2002-04-03 2002-07-13 주식회사 에스앤더블유 인더스트리 압력솥의 압력조절장치
KR101325785B1 (ko) * 2013-08-08 2013-11-20 주식회사 로이첸 압력변화가 용이한 뚜껑을 구비한 진공가능한 밀폐냄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2738Y1 (ko) * 2000-10-20 2001-05-15 세광알미늄주식회사 압력솥의 신호추 조립구조
KR200271679Y1 (ko) * 2002-01-04 2002-04-10 주식회사 킴스핸들 팽창공기를 배출시키는 조리용기 뚜껑용 손잡이
KR200281836Y1 (ko) * 2002-04-03 2002-07-13 주식회사 에스앤더블유 인더스트리 압력솥의 압력조절장치
KR101325785B1 (ko) * 2013-08-08 2013-11-20 주식회사 로이첸 압력변화가 용이한 뚜껑을 구비한 진공가능한 밀폐냄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24815A1 (ko) * 2020-12-10 2022-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 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50915B1 (en) Microwave moisture lock cover
KR102183354B1 (ko) 저-압력 조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취사 용기
JP3143343U (ja) 吸着カップ蓋
US8205768B2 (en) Container lid and associated assembly
US8247751B2 (en) Microwave pressure cooker
KR101901058B1 (ko) 조리용 진공압력용기
KR101006178B1 (ko) 간이형 떡 찜 세트
WO2018158034A1 (en) Cooking vessel having lid with integrated opening for pouring off cooking liquid
US9737169B2 (en) Universal lid
KR101433097B1 (ko) 조리용 진공냄비
KR102058296B1 (ko) 다용도 조리용기
KR200437807Y1 (ko) 밀폐형 용기 뚜껑
JP2013192661A (ja) 蒸し器および蒸し器を備えた電気炊飯器
JP2021053275A (ja) 保温調理器
KR101482075B1 (ko) 조리용기의 뚜껑
KR20170056737A (ko) 즉석식품 조리용기의 수용홈이 구비된 즉석식품 조리장치
KR101685441B1 (ko) 접이식 손잡이를 가지는 저장용기용 밀폐 덮개
KR101720428B1 (ko) 전자레인지용 조리용기의 뚜껑
JP2011183105A (ja) 電子レンジ調理容器
KR20160116259A (ko) 조리용기용 패킹
KR20170111304A (ko) 진공 냄비
KR20190012877A (ko) 인체에 유해성이 발생되지 않도록 사용되는 플라스틱 전자렌지용 찜용기
CA2508856A1 (en) Suction cup lid
JP2015037954A (ja) 電子レンジ用容器
WO2020113315A1 (en) Microwave coffee ma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