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9706B1 - 릴 받침대 - Google Patents

릴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9706B1
KR101899706B1 KR1020170008835A KR20170008835A KR101899706B1 KR 101899706 B1 KR101899706 B1 KR 101899706B1 KR 1020170008835 A KR1020170008835 A KR 1020170008835A KR 20170008835 A KR20170008835 A KR 20170008835A KR 101899706 B1 KR101899706 B1 KR 1018997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reel
base plate
support
sl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8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5297A (ko
Inventor
김대현
Original Assignee
김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현 filed Critical 김대현
Priority to KR1020170008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9706B1/ko
Publication of KR20180085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52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9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97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0Supports for ro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5Drying-steam generat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11/00Supports: rac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48/00Supports
    • Y10S248/912Plural, selectively usable, article engag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69/00Work holders
    • Y10S269/907Work holder for fishing flies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릴 받침대(90)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베이스 플레이트(10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상면에 구성되어 릴(R)을 받치는 지지부(20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20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상면에 형성되고 릴(R)의 릴풋(F)이 삽입되는 슬롯(213)이 관통된 고정바(210, BAR)와, 상기 고정바(210)에 대향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상면에 형성되고 릴(R)의 릴풋(F)이 삽입되는 슬롯(221)이 관통되고, 상기 릴풋(F)을 클램핑하는 가동바(220)를 포함한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릴(R)의 양측 릴풋(F)을 상기 양측의 슬롯(213, 221)에 끼운 후 상기 가동바(220)로 상기 릴풋(F)을 홀딩하게 되면, 릴(R)을 전시하기 용이하도록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릴 받침대 {REEL PROP}
본 발명은 릴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릴의 전시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지지할 뿐만 아니라, 릴을 건조시키는 기능을 발휘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 애호가들은 낚시 용품을 안전하게 보존할 뿐만 아니라, 전시 가능하도록 비치함으로써, 실내 장식 기능도 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 선행기술문헌(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54206호)에서는 낚시용품 거치대가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낚시용품 거치대는 다수 대의 낚시대를 세워서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내부에는 아래위로 다수 개의 선반이 비치되어 릴이라든지 루어 내지는 낚시바늘, 낚시줄 등을 비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이 경우 상기 릴(REEL)은 도 1에서 도시한 것처럼, 낚시대에 장착되도록 전후방으로 돌출된 릴풋이, 바닥면에 지지된 상태로 와인딩부가 상방을 향하도록 세워지면, 릴의 모양이 제대로 파악되고 보기 좋은 이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릴풋은 폭이 좁기 때문에 지지 기능을 하기 어려워서, 상기 릴은 넘어진 상태로 전시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릴의 외양을 제대로 감상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일례로, 사람은 누워 있는 것보다 서 있는 게 그 사람의 외양을 더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처럼, 릴도 상기 릴풋이 바닥면에 지지되도록 하여 세워진 상태로 전시되는 게 전시 효과가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릴의 릴풋을 지지하여 세울 수 있는 기술은 제시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상기 릴은 낚시를 하고 나서 세척한 후 보존할 경우 잔존하는 수분으로 인해서 부속이 부식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특히 감겨 있는 낚시줄 사이사이에 곰팡이가 피는 등 나쁜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54206호 (2011년 06월 14일)
본 발명에 의한 릴 받침대는 다음 사항을 해결하고자 한다.
첫째, 릴의 릴풋은 폭이 좁기 때문에 지지 기능을 하기 어렵고, 이로 인해서, 릴은 넘어진 상태로 전시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릴의 외양을 제대로 감상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즉, 상기 릴의 릴풋을 용이하게 지지하여 릴의 와인딩부가 상방을 향하도록 세워진 상태가 되도록 한다. 따라서, 외관 확인이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전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둘째, 상기 릴은 낚시를 하고 나서 세척한 후 보존할 경우, 잔존하는 수분으로 인해서 부속이 부식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특히, 감겨 있는 낚시줄 사이사이에 곰팡이가 피는 등 나쁜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즉, 상기 릴을 받친 상태에서 송풍에 의해서 수분을 건조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의한 릴 받침대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구성되어 릴(REEL)을 받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형성되고 릴의 릴풋이 삽입되는 슬롯이 관통된 고정바(BAR)와, 상기 고정바에 대향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형성되고 릴의 릴풋이 삽입되는 슬롯이 관통되고, 상기 릴풋을 클램핑하는 가동바를 포함한다.
상기 가동바는,
상기 고정바에 대향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형성된 지지바와, 상기 지지바에서 상기 고정바의 대향면에 밀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슬롯이 관통된 클램핑바(CLAMPING BAR)와, 상기 지지바와 클램핑바를 밀착 및 이탈시키는 결속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결속수단은,
상기 지지바와 클램핑바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볼트를 포함한다.
또는, 상기 지지바와 클램핑바를 관통하는 것으로서 양측 단부에 헤드가 형성된 샤프트와, 상기 지지바와 상기 지지바에 대응되는 헤드 사이에 개재되도록, 상기 샤프트를 수용하는 압축스프링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가동바는 다른 예로서,
상기 고정바에 대향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형성된 지지바와, 상기 지지바에서, 상기 고정바의 반대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상기 지지바를 향하여 회동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지지바보다 높이가 높은 회동바를 포함한다.
상기 회동바는,
관통된 상기 슬롯과, 상기 슬롯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지지바에 걸리는 후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양측으로 대향하도록 형성되고 릴의 릴풋이 삽입되는 슬롯이 관통된 것으로서, 상기 릴풋을 클램핑하는 2개의 가동바를 포함한다.
상기 가동바는 또다른 예로서,
상호 대향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형성된 2개의 지지바와, 상기 지지바의 외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상기 지지바를 향하여 회동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지지바보다 높이가 높은 회동바를 포함한다.
상기 회동바는,
관통된 상기 슬롯과, 상기 슬롯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지지바에 걸리는 후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각각의 구성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면에 연결되어 바닥에 지지되는 레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면에 장착된 팬과, 상기 팬과 통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관통하는 송풍구를 포함한다.
상기 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의 릴 받침대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첫째, 상기 가동바에 의해서 릴을 세운 상태에서 양측의 릴풋을 클램핑할 수 있다. 따라서, 전시가 용이하도록 릴을 세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릴을 세울 수 있기 때문에 장식 기능의 효과도 있다.
둘째, 상기 릴을 세척한 후, 본 발명에 지지시킨 후, 상기 팬에 전기를 인가하게 되면, 상기 송풍구를 통해서 릴 쪽으로 바람을 공급하게 됨으로써, 릴을 건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부품이 부식하거나 낚시줄 사이 내지는 부품에 곰팡이 피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낚시대에 장착되는 일반적일 릴을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릴 받침대로서 제1실시예에 의한 릴 받침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릴 받침대로서 제1실시예에 의한 릴 받침대에 릴이 지지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릴 받침대로서 제2실시예에 의한 릴 받침대에 릴이 지지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릴 받침대로서 제3실시예에 의한 릴 받침대에 릴이 지지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릴 받침대로서 제4실시예에 의한 릴 받침대에 릴이 지지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일반적으로 릴(R)은 낚시대에 장착되기 위해서 양측으로 돌출된 릴풋(F)이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릴풋(F)을 클램핑하여 릴(R)이 세워진 상태로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 및 사용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릴 받침대로서 제1실시예에 의한 릴 받침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릴 받침대로서 제1실시예에 의한 릴 받침대에 릴이 지지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릴 받침대(90)는, 베이스 플레이트(100)가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상면에 구성되어 릴(R)을 받치는 지지부(200)가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20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상면에 형성되고 릴(R)의 일측 릴풋(F)이 삽입되는 슬롯(213)이 관통된 고정바(210, BAR)가 구성되고, 상기 고정바(210)에 대향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상면에 형성되고 릴(R)의 상대측 릴풋(F)이 삽입되는 슬롯(221)이 관통되며, 상기 릴풋(F)을 클램핑하는 가동바(220)가 구성된다.
상기 가동바(220)는, 상기 고정바(210)에 대향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상면에 지지바(223)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바(223)에서 상기 고정바(210)의 대향면(M)에 밀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슬롯(221)이 관통된 클램핑바(225, CLAMPING BAR)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바(223)와 클램핑바(225)를 밀착 및 이탈시키는 결속수단(230)이 구성된다.
상기 고정바(210)와 클램핑바(225)에 형성된 슬롯(213, 221)의 높이는 수평하게 배치된다.
상기 결속수단(230)은, 상기 지지바(223)와 클램핑바(225)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볼트(231)와 상기 볼트(231)에 체결되는 너트(233)가 구성된다. 또는, 상기 클램핑바(225)와 지지바(223) 중 어느 일측에 형성된 볼트홀과, 상대측에 형성되어 상기 볼트홀에 대응되는 것으로서 상기 볼트(231)가 체결되는 탭홀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볼트(231)의 정역 회전에 의해서 클램핑바(225)를 지지바(223)에 밀착시켜 고정할 수도 있고, 이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고정바(210)의 슬롯(213)과 가동바(220)의 슬롯(221)에 릴(R)의 양측 릴풋(F)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클램핑바(225)가 결속수단(230)에 의해서 지지바(223)에 밀착된 상태에서는 릴(R)의 홀딩이 가능하고 결속수단(230)을 해제하여 클램핑바(225)를 지지바(223)에서 이격시키게 되면, 릴(R)의 이탈이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바(210)와 가동바(220)의 상호 거리가 조정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하면에 연결되어 바닥에 지지되는 레그(110)가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하면에 장착된 팬(300)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팬(300)과 통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를 관통하는 송풍구(117)가 구성된다. 상기 팬(300)의 두께는 레그(110)의 길이보다 얇게 형성됨으로써, 팬(300)으로 공기의 유입이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의 사용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볼트(231)를 풀어 클램핑바(225)를 지지바(223)로부터 이탈시킨 상태에서, 상기 고정바(210)의 슬롯(213)과 클램핑바(225)의 슬롯(221)에 릴(R)의 양측 릴풋(F)을 끼운다. 그러고 나서, 상기 볼트(231)를 죄어서 클램핑바(225)를 지지바(223)에 밀착시킨다. 그러면, 릴(R)의 릴풋(F)은 고정바(210)와 클램핑바(225) 사이에 갇힌 상태가 되어 이탈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방으로 세워진 상태가 되므로 효율적인 전시가 가능하다.
또한, 릴(R)을 세척한 후, 상기 과정으로 릴 받침대(90)에 지지시킨 후, 상기 팬(300)에 전기를 인가하게 되면, 상기 송풍구(117)를 통해서 릴(R) 쪽으로 바람을 공급하게 됨으로써, 릴(R)을 건조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제2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릴 받침대로서 제2실시예에 의한 릴 받침대에 릴이 지지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릴 받침대(90)의 제2실시예는, 상기 제1실시예에서 결속수단(230)만 상이하고 다른 구성은 모두 동일하다.
상기 결속수단(230)의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지지바(223)와 클램핑바(225)를 관통하는 것으로서 양측 단부에 헤드(237)가 형성된 샤프트(235)가 구성되고, 상기 지지바(223)와 상기 지지바(223)에 대응되는 헤드(237) 사이에 개재되도록, 상기 샤프트(235)를 수용하는 압축스프링(239)이 구성된다. 즉, 지지바(223)를 사이에 두고 외측에는 클램핑바(225)가 배치되고, 내측에는 압축스프링(239)이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클램핑바(225)를 잡고 외측방으로 당기게 되면 압축스프링(239)이 압축되면서, 클램핑바(225)는 지지바(223)에서 이탈하게 되고, 놓게 되면 지지바(223)에 밀착된 상태가 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바(210)의 슬롯(213)과 가동바(220)의 슬롯(221)에 릴(R)의 양측 릴풋(F)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클램핑바(225)가 상기 압축스프링(239)의 팽창에 의해서 지지바(223)에 밀착된 상태에서는 릴(R)의 홀딩이 가능하고, 압축스프링(239)을 압축시켜 클램핑바(225)를 지지바(223)에서 이격시키게 되면, 릴(R)의 이탈이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바(210)와 가동바(220)의 상호 거리가 조정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2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의 사용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클램핑바(225)를 잡아당겨서 이탈시킨 상태에서, 상기 고정바(210)의 슬롯(213)과 클램핑바(225)의 슬롯(221)에 릴(R)의 양측 릴풋(F)을 끼운다. 그러고 나서, 상기 클램핑바(225)를 놓아서 압축스프링(239)을 팽창시켜, 클램핑바(225)를 지지바(223)에 밀착시킨다. 그러면, 릴(R)의 릴풋(F)은 고정바(210)와 클램핑바(225) 사이에 갇힌 상태가 되어 이탈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방으로 세워진 상태가 되므로 효율적인 전시가 가능하다.
또한, 릴(R)을 세척한 후, 상기 과정으로 릴 받침대(90)에 지지시킨 후, 상기 팬(300)에 전기를 인가하게 되면, 상기 송풍구(117)를 통해서 릴(R) 쪽으로 바람을 공급하게 됨으로써, 릴(R)을 건조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제3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릴 받침대로서 제3실시예에 의한 릴 받침대에 릴이 지지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릴 받침대(90)는, 베이스 플레이트(100)가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상면에 구성되어 릴(R)을 받치는 지지부(200)가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20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상면에 형성되고 릴(R)의 일측 릴풋(F)이 삽입되는 슬롯(213)이 관통된 고정바(210, BAR)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바(210)에 대향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상면에 형성되고 릴(R)의 상대측 릴풋(F)이 삽입되는 슬롯(221)이 관통되며, 상기 릴풋(F)을 클램핑하는 가동바(220)가 구성된다.
상기 가동바(220)는, 상기 고정바(210)에 대향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상면에 지지바(223)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바(223)에서, 상기 고정바(210)의 반대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상면에, 상기 지지바(223)를 향하여 회동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지지바(223)보다 높이가 높은 회동바(224)가 구성된다.
상기 회동바(224)는, 상기 슬롯(221)이 관통되고, 상기 슬롯(221)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지지바(223)에 걸리는 후크(226)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바(210)와 회동바(224)에 형성된 슬롯(213, 221)의 높이는 수평하게 배치된다.
상기 회동바(224)는 일례로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상면에 형성된 돌출부에 핀이음되어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회동바(224)를 지지바(223) 쪽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후크(226)가 지지바(223)의 상단을 타고 넘어서 지지바(223)에 걸리게 된다. 그리고 반대 방향으로 회동바(224)를 돌리게 되면 상기 후크(226)는 지지바(223)의 상단을 넘어서 이탈하게 된다. 이처럼, 후크(226)가 용이하게 지지바(223)에 걸림과 이탈이 반복되도록 탄성을 구비한 재료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하면에 연결되어 바닥에 지지되는 레그(110)가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하면에 장착된 팬(300)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팬(300)과 통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를 관통하는 송풍구(117)가 구성된다. 상기 팬(300)의 두께는 레그(110)의 길이보다 얇게 형성됨으로써, 팬(300)으로 공기의 유입이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3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의 사용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회동바(224)가 지지바(223)로부터 이탈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바(210)의 슬롯(213)과 회동바(224)의 슬롯(221)에 릴(R)의 양측 릴풋(F)을 끼운다. 그러고 나서, 상기 회동바(224)를 지지바(223) 쪽으로 힘을 가하여 돌리게 되면, 상기 후크(226)가 지지바(223)의 상단을 타고 넘어서 지지바(223)에 걸리게 된다. 그러면, 릴(R)의 릴풋(F)은 고정바(210)와 회동바(224) 사이에 갇힌 상태가 되어 이탈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방으로 세워진 상태가 되므로 효율적인 전시가 가능하다.
또한, 릴(R)을 세척한 후, 상기 과정으로 릴 받침대(90)에 지지시킨 후, 상기 팬(300)에 전기를 인가하게 되면, 상기 송풍구(117)를 통해서 릴(R) 쪽으로 바람을 공급하게 됨으로써, 릴(R)을 건조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제4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릴 받침대로서 제4실시예에 의한 릴 받침대에 릴이 지지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릴 받침대(90)의 제4실시예는, 상기 제3실시예에서 고정바(210)가 구성되지 않고, 양측에 상기 가동바(220)가 상호 대향하도록 구성된다. 이외의 모든 구성은 상기 제3실시예와 동일하다.
상기 제3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의 사용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양측의 상기 회동바(224)가 지지바(223)로부터 이탈된 상태에서, 양측의 상기 회동바(224)의 슬롯(221)에 릴(R)의 양측 릴풋(F)을 각각 끼운다. 그러고 나서, 상기 회동바(224)를 지지바(223) 쪽으로 힘을 가하여 돌리게 되면, 상기 후크(226)가 지지바(223)의 상단을 타고 넘어서 지지바(223)에 걸리게 된다. 그러면, 릴(R)의 릴풋(F)은 양측의 회동바(224) 사이에 갇힌 상태가 되어 이탈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방으로 세워진 상태가 되므로 효율적인 전시가 가능하다.
또한, 릴(R)을 세척한 후, 상기 과정으로 릴 받침대(90)에 지지시킨 후, 상기 팬(300)에 전기를 인가하게 되면, 상기 송풍구(117)를 통해서 릴(R) 쪽으로 바람을 공급하게 됨으로써, 릴(R)을 건조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례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90: 릴 받침대 100: 베이스 플레이트
110: 레그 200: 지지부
210: 고정바 213: 슬롯
220: 가동바 221: 슬롯
223: 지지바 225: 클램핑바
230: 결속수단 231: 볼트
233: 너트 235: 샤프트
237: 헤드 239: 압축스프링
223: 지지바 224: 회동바
226: 후크

Claims (8)

  1. 베이스 플레이트(10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상면에 구성되어 릴(R)을 받치는 지지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하면에 연결되어 바닥에 지지되는 레그(11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하면에 장착된 팬(300)과,
    상기 팬(300)과 통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를 관통하는 송풍구(11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받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20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상면에 형성되고 릴(R)의 릴풋(F)이 삽입되는 슬롯(213)이 관통된 고정바(210, BAR)와,
    상기 고정바(210)에 대향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상면에 형성되고 릴(R)의 릴풋(F)이 삽입되는 슬롯(221)이 관통되고, 상기 릴풋(F)을 클램핑하는 가동바(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받침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바(220)는,
    상기 고정바(210)에 대향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상면에 형성된 지지바(223)와,
    상기 지지바(223)에서 상기 고정바(210)의 대향면(M)에 밀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슬롯(221)이 관통된 클램핑바(225, CLAMPING BAR)와,
    상기 지지바(223)와 클램핑바(225)를 밀착 및 이탈시키는 결속수단(2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받침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수단(230)은,
    상기 지지바(223)와 클램핑바(225)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볼트(23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받침대.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수단(230)은,
    상기 지지바(223)와 클램핑바(225)를 관통하는 것으로서 양측 단부에 헤드(237)가 형성된 샤프트(235)와,
    상기 지지바(223)와 상기 지지바(223)에 대응되는 헤드(237) 사이에 개재되도록, 상기 샤프트(235)를 수용하는 압축스프링(23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받침대.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바(220)는,
    상기 고정바(210)에 대향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상면에 형성된 지지바(223)와,
    상기 지지바(223)에서, 상기 고정바(210)의 반대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상면에, 상기 지지바(223)를 향하여 회동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지지바(223)보다 높이가 높은 회동바(224)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바(224)는,
    관통된 상기 슬롯(221)과,
    상기 슬롯(221)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지지바(223)에 걸리는 후크(2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받침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20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상면에 양측으로 대향하도록 형성되고 릴(R)의 릴풋(F)이 삽입되는 슬롯(213, 221)이 관통된 것으로서, 상기 릴풋(F)을 클램핑하는 2개의 가동바(220)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바(220)는,
    상호 대향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상면에 형성된 2개의 지지바(223)와,
    상기 지지바(223)의 외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상면에 상기 지지바(223)를 향하여 회동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지지바(223)보다 높이가 높은 회동바(224)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바(224)는,
    관통된 상기 슬롯(221)과,
    상기 슬롯(221)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지지바(223)에 걸리는 후크(2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받침대.
  8. 삭제
KR1020170008835A 2017-01-18 2017-01-18 릴 받침대 KR1018997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8835A KR101899706B1 (ko) 2017-01-18 2017-01-18 릴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8835A KR101899706B1 (ko) 2017-01-18 2017-01-18 릴 받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5297A KR20180085297A (ko) 2018-07-26
KR101899706B1 true KR101899706B1 (ko) 2018-09-17

Family

ID=63047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8835A KR101899706B1 (ko) 2017-01-18 2017-01-18 릴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97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4666A (ko) 2019-03-29 2020-10-07 김기범 낚시릴용 진열 보관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7566B2 (ja) 1998-02-09 2000-04-04 株式会社長田中央研究所 動物用診療ユニット
JP3217044B2 (ja) 1999-09-22 2001-10-09 眞治 藤木 竿状物保持具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206Y1 (ko) 2009-04-23 2011-06-21 오지영 낚시용품 거치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7566B2 (ja) 1998-02-09 2000-04-04 株式会社長田中央研究所 動物用診療ユニット
JP3217044B2 (ja) 1999-09-22 2001-10-09 眞治 藤木 竿状物保持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4666A (ko) 2019-03-29 2020-10-07 김기범 낚시릴용 진열 보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5297A (ko) 2018-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29148B1 (en) Improved rack
US2708324A (en) Artificial christmas tree
KR101118088B1 (ko) 빨래 건조대
US3942869A (en) Projection screen unit
KR101899706B1 (ko) 릴 받침대
US3417764A (en) Knock-down awning device and package
KR20170001285U (ko) 난간 설치용 건조대
KR200469090Y1 (ko) 접이식 빨래건조대
US2302233A (en) Collapsible clothes stand
KR101035237B1 (ko) 전열 빨래 건조대
US20100078396A1 (en) Towel holder
CN202095997U (zh) 可伸缩晾衣架
CN212140130U (zh) 晾衣架
CN207721627U (zh) 一种伸缩式新型衣服撑子
CN2706500Y (zh) 双架折叠式挂衣架
CN215328890U (zh) 一种可折叠伸缩晾衣架
CN215674521U (zh) 投影幕布支架
JPH0724191A (ja) 折りたたみ式物干し台
CN107881719A (zh) 一种可拆卸晾衣架
JP3188409B2 (ja) 布団干し装置
KR20140095629A (ko) 빨래고정장치를 갖는 접이식 빨래건조대
CN216017085U (zh) 一种防倾倒的家用音响
CN215366432U (zh) 一种免安装w型落地式晒衣架
CN210425846U (zh) 栏杆型双层干燥架
CN112716246A (zh) 一种家用衣服挂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