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5237B1 - 전열 빨래 건조대 - Google Patents

전열 빨래 건조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5237B1
KR101035237B1 KR1020090133896A KR20090133896A KR101035237B1 KR 101035237 B1 KR101035237 B1 KR 101035237B1 KR 1020090133896 A KR1020090133896 A KR 1020090133896A KR 20090133896 A KR20090133896 A KR 20090133896A KR 101035237 B1 KR101035237 B1 KR 1010352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transfer
guide
laundry
drying rack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3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홍찬
정우진
Original Assignee
김은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은정 filed Critical 김은정
Priority to KR1020090133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52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5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52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08Folding stan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02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mounted on pillars, e.g. rotatably
    • D06F57/04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mounted on pillars, e.g. rotatably and having radial arms, e.g. collap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26B23/04Heating arrangements using electric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열 빨래 건조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빨래 건조대 내부에 열선을 배선하여 빨래를 빠르게 건조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별도의 받침대 없이도 이를 접이식으로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스위치(110)를 구비하여 외부전원을 입력받는 제어부(190)가 마련된 몸체부(100)와; 상기 제어부(190)에 접속되어 공급되는 전원에 따라 발열을 하는 전열선이 그 내부에 배선된 전열 파이프(200)와; 상기 전열 파이프(200)를 상기 몸체부(100)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되, 상기 전열 파이프(200)가 상기 몸체부(100)로부터 소정 각도를 선택적으로 유지하도록 하는 접이부(300)로 구성되어, 열선이 배선된 빨래 건조대를 통해 장마철 등에도 빨래를 빠르게 건조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상하 높이 조절 및 코드의 리트랙터, 바퀴 등 각종 편의장치는 물론 누전 방지구조를 채택하고 있어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접이식 구조이면서 타이머를 구비하고 온도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한정된 공간 내에서는 난방장치로도 활용할 수 있어 제품의 상품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빨래, 건조대, 전열선, 제어부, 파이프, 접이, 조절, 타이머

Description

전열 빨래 건조대{Electric heating dryer for laundry}
본 발명은 전열 빨래 건조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빨래 건조대 내부에 열선을 배선하여 빨래를 빠르게 건조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별도의 받침대 없이도 이를 접이식으로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장치로써, 열선이 배선된 빨래 건조대를 통해 장마철 등에도 빨래를 빠르게 건조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상하 높이 조절 및 코드의 리트랙터, 바퀴 등 각종 편의장치는 물론 누전 방지구조를 채택하고 있어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접이식 구조이면서 타이머를 구비하고 온도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한정된 공간 내에서는 난방장치로도 활용할 수 있어 제품의 상품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빨래 건조대는 빨래를 널어서 건조시키는 다양한 형태의 물품이다.
이러한 빨래 건조대는 가능하면 많은 수의 빨래를 널어 빠른 시간 내에 건조 시킬 수 있으면서도, 미사용 시에는 보관을 위해 보다 작은 부피를 차지하도록 하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인 빨래 건조대는 통상 자연적인 증발을 통해 빨래의 건조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장마철과 같이 습도가 높을 경우에는 건조 시간이 많이 요구되어 전열(電熱)을 이용하는 전열 빨래 건조대가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전열 빨래 건조대에 대한 일 예가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3431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열 빨래 건조대의 일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로, 종래의 전열 빨래 건조대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의 공급에 따라 발열하는 다수의 전열판(1)이 제어장치(2)에 의해 제어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전열을 이용하여 기존에 비해 빠르게 빨래를 건조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전열 빨래 건조대는 일반적인 접이식 건조대를 개선한 것으로, 접거나 펴는 동작이 매우 불편할 뿐 아니라, 이동 설치가 난해하며, 특히, 전열판(1)이 항상 회전하는 연결구조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누전의 위험이 항상 존재하며, 받침대를 항상 이용해야만 한다는 등 여러가지 기술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열선이 배선된 빨래 건조대를 통해 장마철 등에도 빨래를 빠르게 건조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상하 높이 조절 및 코드의 리트랙터, 바퀴 등 각종 편의장치는 물론 누전 방지구조를 채택하고 있어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접이식 구조이면서 타이머를 구비하고 온도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한정된 공간 내에서는 난방장치로도 활용할 수 있어 제품의 상품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전열 빨래 건조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스위치를 구비하여 외부전원을 입력받는 제어부가 마련된 몸체부와; 상기 제어부에 접속되어 공급되는 전원에 따라 발열을 하는 전열선이 그 내부에 배선된 전열 파이프와; 상기 전열 파이프를 상기 몸체부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되, 상기 전열 파이프가 상기 몸체부로부터 소정 각도를 선택적으로 유지하도록 하는 접이부로 구성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때, 상기 접이부는, 상기 전열 파이프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하는 회동암과; 상기 몸체부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회동암이 일시적으로 걸리는 걸림홈과, 상기 회동암의 복귀를 안내하는 복귀 안내가이드가 형성된 가이드브래킷과; 상기 가이드브래킷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제어부에는 외부전원을 입력받기 위한 전원선 및 플러그가 연결되고,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전원선을 탄력적으로 권취 시키는 리트랙터가 마련되거나, 상기 몸체부의 저면에는 구름수단이 마련되어, 이동 설치가 용이한 것이 양호하다.
이와 더불어, 상기 전열선은 유연한 합성수지로 피복된 동시에, 상기 전열선은 기밀된 상기 제어부 내에서 접속되어, 누전을 예방하는 것이 적절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는 온도 컨트롤러 및 온도 센서가 마련되어 최고 온도를 임의로 설정 가능하며 설정된 소정 온도 이하로 상기 전열선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 가능하고, 상기 제어부에는 별도의 타이머가 접속되어 설정 시간의 경과에 따라 자동으로 상기 전열선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상기 몸체부는 상하 2단 이상으로 분할 형성되고, 다수의 높이 조절홀 및 높이 조절핀을 통해 슬라이드 형태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열선이 배선된 빨래 건조대를 통해 장마철 등에도 빨래를 빠르게 건조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상하 높이 조절 및 코드의 리트랙터, 바퀴 등 각종 편의장치는 물론 누전 방지구조를 채택하고 있어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접이식 구조이면서 타이머를 구비하고 온도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한정된 공간 내에서는 난방장치로도 활용할 수 있어 제품의 상품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발명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전열 빨래 건조대의 일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전열 빨래 건조대의 일 예에 대한 작동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전열 빨래 건조대에 있어서 접이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전열 빨래 건조대에 있어서 접이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하는 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전열 빨래 건조대에 있어서 높이 조절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전열 빨래 건조대에 있어서 제어부를 도시하는 도이다.
본 발명의 전열 빨래 건조대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제어부(190)가 마련되는 몸체부(100)와, 전열선이 그 내부에 배선된 전열 파이프(200)와, 그리고 상기 전열 파이프(200)가 상기 몸체부(100)로부터 소정 각도를 선택적으로 유지하도록 하는 접이부(300)로 구성되어, 전열을 이용하여 빨래를 신속하게 강제 건조시키는 동시에, 접이부(300)를 통해 전열 파이프(200)를 손쉽게 접거나 펼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을 극대화시키는 것을 그 기술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에 있어서 전열 파이프(200)가 다단으로 형성된 예를 도 2 내지 도 6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고, 이후 상기 전열 파이프(200)가 1단으로 형성된 예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다단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전열 빨래 건조대를 설명하면, 몸체부(100)는 뼈대를 이루는 구성으로, 높은 강성을 지닌 다각형 또는 원형의 중공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몸체부(100)에 제어부(190)가 마련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몸체부(100) 내부에 내장형으로 설치될 수도 있으며, 도시한 바와 같이 커넥터(191)를 통해 상기 몸체부(100)의 외부에 외장형으로 설치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몸체부(100)는 좁은 면적에서도 많은 양의 빨래를 건조시킬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설치 안정성을 도모하기 위해 그 하부를 다수의 다리로 분할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몸체부(100)의 상단에는 이불을 널 수도 있고 보다 높은 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이불 건조대(160)를 부가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러한 이불 건조대(160)는 상기 몸체부(100) 보다 다소 길게 설정하는 것이 적절하다.
이와 더불어, 상기 몸체부(100)의 하부에는 신발 건조대(170)를 부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00)의 일측에는 상기 제어부(190)를 푸시버튼 형식으로 '온(ON)' 또는 '오프(OFF)'로 조작하여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단속하기 위한 스위치(110)가 마련된다.
여기에서, 상기 스위치(110)는 투명 재질의 합성수지로 덮여있어, 그 외부에서 상기 스위치(110)의 상태를 손쉽게 인지할 수 있는 동시에, 이 스위치(110)를 용이하게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스위치(110)에 물이 직접적으로 닿는 것도 예방하게 된다.
다음으로, 전열 파이프(200)는 그 내부에 미도시한 전열선이 배선되는 것으로, 상기 전열선은 전원의 공급에 따라 비례적으로 발열을 실시하게 되며, 이 전열선은 상기 제어부(190)에 접속되어 있어, 상기 제어부(19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따라 발열을 하게 된다.
그리고, 접이부(300)는 상기 전열 파이프(200)를 상기 몸체부(100)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전열 파이프(200)가 상기 몸체부(100)로부터 소정 각도를 선택적으로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즉, 빨래를 건조시키고자 할 때에는 도 3과 같이 상기 전열 파이프(200)가 대략 수평을 유지하도록 펼쳐지고, 미사용 시에는 도 2와 같이 대략 수직하게 접어서 보관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접이부(300)는 기존과 같이 별도로 조작하거나 외부로 노출된 받침대의 조작 없이, 상기 전열 파이프(200)가 상기 몸체부(100)로부터 소정 각도를 선택적으로 유지하도록 하는 구성을 구현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접이부(300)는 다양한 실시형태로 구현이 가능하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열 파이프(200)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하는 회동암(310)과; 상기 몸체부(100)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회동암(310)이 일시적으로 걸리는 걸림홈(321)과, 상기 회동암(310)의 복귀를 안내하는 복귀 안내가이드(322)가 형성된 가이드브래킷(320)과; 상기 가이드브래킷(320)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330)로 이루어진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접이부(300)는 회동암(310), 가이드브래킷(320), 그리고 탄성체(330)로 이루어진 것으로, 우선 상기 회동암(310)은 그 일측이 상기 전열 파이프(200)에 고정되어 있고, 그 고정위치를 중심으로 상기 전열 파이프(200)와 상기 회동암(310)이 일체로 회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회동암(310)의 타측은 라운드 가공되어 그 중앙에 가이드핀(311)이 두께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도 좋지만, 이 가이드핀(311)은 아래에서 설명할 가이드브래킷(320)과 반복적으로 접촉이 이루어지므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별물의 가이드핀(311)을 두께방향으로 관통하여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회동암(310)에 대응하는 가이드브래킷(320)은 대략 수직하게 위치하여 그 하부가 상기 몸체부(100)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그 상부는 아래에서 설명할 탄성체(330)가 연결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가이드브래킷(320)의 형상은 상기 회동암(310)의 가이드핀(311)을 안내하도록 2단의 가이드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하에서는 위쪽에 위치하는 제1가이드(323)와 아래쪽에 위치하는 제2가이드(324)라고 지칭한다.
이때, 상기 제1가이드(323)와 제2가이드(324) 사이에는 일시적으로 상기 회동암(310)의 가이드핀(311)이 걸쳐져 상기 전열 파이프(200)가 대략 수평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걸림홈(32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브래킷(320)의 내부에는 상기 회동암(310)의 가이드핀(311)이 복귀할 수 있도록 복귀 안내가이드(322)가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탄성체(330)는 코일 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져 상기 가이드 브래킷(320)이 항상 수직하게 위치하도록 탄성 지지하는 구성요소인 것이다.
즉, 상기 전열 파이프(200)가 6시 방향을 향하고 있을 때 상기 회동암(310)은 12시 방향을 향하고 있으며,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전열 파이프(200)에 빨래를 널기 위해 도 5의 (a)와 같이 상기 전열 파이프(200)를 들어올리면, 상기 전열 파이프(200)와 회동암(310)이 함께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회동암(310)의 가이드핀(311)이 상기 가이드브래킷(320)의 제1가이드(323)를 타고 이동하게 되면서, 상기 가이드브래킷(320)은 도 5의 (b)와 같이 일시적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후, 상기 전열 파이프(200)가 대략 10시 방향을 가리킬 무렵 상기 제1가이드(323)를 타고 이동하던 가이드핀(311)이 상기 가이드브래킷(320)의 걸림홈(321) 내에 들어가게 되면, 도 5의 (c)와 같이 탄성체(330)에 의해 상기 가이드브래킷(32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서 '딸깍'하는 접촉음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들어올리던 전열 파이프(200)를 놓으면 상기 회동암(310)의 가이드핀(311)이 상기 가이드브래킷(320)의 걸림홈(321)에 걸리게 됨으로써, 상기 전열 파이프(200)는 9시 방향을 향하여 수평하게 지지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원 발명의 전열 빨래 건조대는 별도의 조작 없이도 단순히 전열 파이프(200)를 들어올리는 동작만으로 상기 전열 파이프(200)를 일시적으로 수평하게 고정시켜 빨래를 손쉽게 널어 건조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후, 다시 상기 전열 파이프(200)를 접고자 할 때에는 수평하게 걸쳐진 상기 전열 파이프(200)를 도 5의 (d)와 같이 더 들어올리면 상기 회동암(310)의 가이 드핀(311)이 상기 가이드브래킷(320)의 걸림홈(321)으로부터 빠져 나와 제2가이드(324)에 접촉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브래킷(320)은 다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며, 상기 가이드핀(311)이 상기 제2가이드(324)를 모두 통과하게 되면, 상기 가이드핀(311)은 도 5의 (e)와 같이 상기 가이드브래킷(320)의 복귀 안내가이드(322) 내부로 들어가게 되며, 이후, 상기 가이드핀(311)은 도 5의 (f)와 같이 상기 복귀 안내가이드(322)를 통해 12시 방향으로 복귀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전열 파이프(200)는 다시 6시 방향을 향하여 접혀지고, 상기 가이드브래킷(320)은 상기 탄성체(330)에 의하여 다시 대략 수직하게 복귀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상기 접이부(300)의 동작에 의해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별도의 받침대를 조작할 필요 없이 단지 상기 전열 파이프(200)를 들어올리는 동작으로 손쉽게 전열 파이프(200)를 접었다 펼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90)에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외부전원을 입력받기 위한 전원선(120) 및 플러그(130)가 연결되고, 상기 몸체부(100)에는 상기 전원선(120)을 탄력적으로 권취 시키는 리트랙터가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제어부(190)에 플러그(130)를 구비한 전원선(120)이 접속되어, 이 플러그(130) 및 전원선(120)을 통해 상기 제어부(190)가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양호하다.
이때, 상기 제어부(190)가 위에서 설명한 내장형일 경우, 상기 전원선(120)을 탄력적으로 권취 시키기 위해 미도시한 리트랙터를 상기 몸체부(100)의 내부에 마련하는 것이 양호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190)가 도시한 바와 같이 외장형일 경우에는 커넥터(191)를 이용하는 동시에, 상기 제어부(190)를 상기 몸체부(100)에 선택적으로 걸어서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고리 등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전열 빨래 건조대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90)를 내장형으로 하여 리트랙터를 적용할 경우, 상기 전원선(120)을 리트랙터로부터 당겨 플러그(130)를 콘센트에 손쉽게 꽂아서 사용할 수도 있고, 미 사용 시에는 상기 플러그(130)를 뽑은 후 상기 전원선(120)을 당겼다 놓으면 상기 리트랙터에 의해 전원선(120)이 스스로 권취 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0)의 저면에는 구름수단(140)이 마련되어, 이동 설치가 용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몸체부(100)의 분할된 다리 저면에 각각 360도로 회전하는 롤러와 같은 구름수단(140)을 두어, 사용자가 본 발명의 전열 빨래 건조대를 손쉽게 이동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러한 구름수단(140)에 미도시한 스토퍼를 부가하여 원하는 위치에서 움직이는 것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열선은 유연한 합성수지로 피복된 동시에, 상기 전열선은 기밀된 상기 제어부(190) 내에서 접속되어, 누전을 예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전열선은 유연한 재질의 합성수지로 피복 되어 있어 기본적으로 누전을 예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이러한 전열선이 오직 기밀이 유지되는 상기 제어부(190) 내에서만 단자에 접속되도록 하여 상기 접이부(300)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누전 또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90)에는 도 8과 같이 온도 컨트롤러(192) 및 온도 센서가 마련되어 최고 온도를 임의로 설정 가능하며 설정된 소정 온도 이하로 상기 전열선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 가능한 것이 양호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전열 파이프(200)의 최고 온도를 설정할 수 있는 온도 컨트롤러(192)를 마련하고, 이와 함께 별도의 온도 센서를 마련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전열 파이프(200)의 온도를 설정할 수도 있고, 설정된 온도에 이르면 능동적으로 전원을 조절하여 상기 전열 파이프(200)가 항상 설정된 온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과열도 예방할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로 전열을 실시할 수 있음으로써, 과열에 의한 화재나 화상 등을 예방할 수도 있고, 빨래의 손상 또한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뿐 아니라, 상기 제어부(190)에는 별도의 타이머(193)가 접속되어 설정 시간의 경과에 따라 자동으로 상기 전열선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 가능한 것도 가능하며, 이를 통해 사용자가 외출하는 등 잠시 자리를 비워도 원하는 시간동안 빨래를 건조시키는 것도 가능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열 파이프(200)의 온도 컨트롤러(192) 및 타이머(193) 적용에 따라 본 발명의 전열 빨래 건조대를 한정된 공간에 설치할 경우 난방장치로 활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있어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00)는 상하 2단 이상으로 분할 형성되고, 다수의 높이 조절홀(151) 및 높이 조절핀(152)을 통해 슬라이드 형태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즉, 상기 몸체부(100)를 상하로 2단 이상 다단 분할 형성하여, 그 연결 부위에 높이 조절홀(151) 및 높이 조절핀(152)을 적용하는 것으로, 상기 몸체부(100)의 설치 높이를 사용자가 임의로 조절할 수도 있어 빨래의 종류에 따라 전열 파이프(200)의 상하 간격도 조절할 수 있고, 미 사용 시 더욱 낮은 높이로 조절하여 보관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도 7은 본 발명의 전열 빨래 건조대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로서, 1단의 전열 파이프(200)를 구비한 실시예이다.
도 7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전열 빨래 건조대는 1단의 전열 파이프(200)를 구비하여 벽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는 제어부(190)가 내장형으로 적용되었으며, 상기 접이부(300)의 외형만 다를 뿐 그 작동구조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동일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열 빨래 건조대는 기본적으로 전열 파이프(200)의 전열에 의해 빨래를 건조시킬 수 있으며, 특히 접이부(300)를 구비하고 있어 별도의 받침대 사용 없이도 손쉽게 전열 파이프(200)를 수평하게 고정시킬 수도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뿐 아니라, 상기 스위치(110)는 투명 재질의 합성수지로 덮여 있고, 상기 전열 파이프(200) 내에 배선된 전열선 또한 오직 기밀이 유지되는 제어부(190) 내에서만 접속되기 때문에 누전에 대한 위험을 크게 줄일 수 있어 사용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전열 빨래 건조대는 상단에 이불 건조대(160)가 형성되어 이불을 전용으로 건조시킬 수 있음은 물론 보강의 효과도 도모하며, 상기 몸체부(100)의 하단에 구름수단(140)이 마련되어 빨래를 널어놓은 상태에서도 손쉽게 밀어서 그 설치위치를 변경시키는 것도 가능하며, 이동시킨 후에는 스토퍼를 이용하여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게 된다.
그리고, 높이 조절홀(151) 및 높이 조절핀(152)을 통해 상기 몸체부(100)의 높이도 원하는 높이로 손쉽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열 빨래 건조대는 기존의 빨래 건조대에 비해 사용의 편의성뿐 아니라 사용자의 누전에 대한 안전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는 탁월한 이점을 지닌 발명인 것이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례로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의 도면이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종래의 전열 빨래 건조대의 일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열 빨래 건조대의 일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전열 빨래 건조대의 일 예에 대한 작동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전열 빨래 건조대에 있어서 접이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전열 빨래 건조대에 있어서 접이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하는
도,
도 6은 본 발명의 전열 빨래 건조대에 있어서 높이 조절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전열 빨래 건조대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전열 빨래 건조대에 있어서 제어부를 도시하는 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몸체부 110 : 스위치
120 : 전원선 130 : 플러그
140 : 구름수단 151 : 높이 조절홀
152 : 높이 조절핀 160 : 이불 건조대
170 : 실발 건조대 190 : 제어부
191 : 커넥터 192 : 온도 컨트롤러
193 : 타이머 200 : 전열 파이프
300 : 접이부 310 : 회동암
311 : 가이드핀 320 : 가이드브래킷
321 : 걸림홈 322 : 복귀 안내가이드
323 : 제1가이드 324 : 제2가이드
330 : 탄성체

Claims (8)

  1. 스위치를 구비하여 외부전원을 입력받는 제어부가 마련된 몸체부와; 상기 제어부에 접속되어 공급되는 전원에 따라 발열을 하는 전열선이 그 내부에 배선된 전열 파이프와; 상기 전열 파이프를 상기 몸체부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되, 상기 전열 파이프가 상기 몸체부로부터 소정 각도를 선택적으로 유지하도록 하는 접이부로 구성된 전열 빨래 건조대에 있어서,
    상기 접이부는,
    상기 전열 파이프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하는 회동암과;
    상기 몸체부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회동암이 일시적으로 걸리는 걸림홈과, 상기 회동암의 복귀를 안내하는 복귀 안내가이드가 형성된 가이드브래킷과;
    상기 가이드브래킷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 빨래 건조대.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외부전원을 입력받기 위한 전원선 및 플 러그가 연결되고,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전원선을 탄력적으로 권취 시키는 리트랙터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 빨래 건조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저면에는 구름수단이 마련되어, 이동 설치가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 빨래 건조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열선은 유연한 합성수지로 피복된 동시에, 상기 전열선은 기밀된 상기 제어부 내에서 접속되어, 누전을 예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 빨래 건조대.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온도 컨트롤러 및 온도 센서가 마련되어 최고 온도를 임의로 설정 가능하며 설정된 소정 온도 이하로 상기 전열선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 빨래 건조대.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별도의 타이머가 접속되어 설정 시간의 경과에 따라 자동으로 상기 전열선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 빨래 건조대.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하 2단 이상으로 분할 형성되고, 다수의 높이 조절홀 및 높이 조절핀을 통해 슬라이드 형태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 빨래 건조대.
KR1020090133896A 2009-12-30 2009-12-30 전열 빨래 건조대 KR1010352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3896A KR101035237B1 (ko) 2009-12-30 2009-12-30 전열 빨래 건조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3896A KR101035237B1 (ko) 2009-12-30 2009-12-30 전열 빨래 건조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5237B1 true KR101035237B1 (ko) 2011-05-23

Family

ID=44366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3896A KR101035237B1 (ko) 2009-12-30 2009-12-30 전열 빨래 건조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523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0982B1 (ko) * 2012-10-12 2014-06-23 김양현 다기능 접이식 빨래 건조대
KR101507348B1 (ko) * 2014-01-16 2015-03-31 (주)와이케이내쇼날 건조대
CN113551292A (zh) * 2020-09-28 2021-10-26 陈修芳 一种安全系数高的室内暖通供热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6294U (ko) * 1997-12-19 1999-07-15 전주범 세탁기의 파워코드 길이조절장치
JP2008055137A (ja) * 2006-09-01 2008-03-13 Sincere Internatl Trading Co Ltd 折畳式衣類加温器
KR20080035936A (ko) * 2006-10-21 2008-04-24 주식회사 맑은전자 다목적용 건조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6294U (ko) * 1997-12-19 1999-07-15 전주범 세탁기의 파워코드 길이조절장치
JP2008055137A (ja) * 2006-09-01 2008-03-13 Sincere Internatl Trading Co Ltd 折畳式衣類加温器
KR20080035936A (ko) * 2006-10-21 2008-04-24 주식회사 맑은전자 다목적용 건조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0982B1 (ko) * 2012-10-12 2014-06-23 김양현 다기능 접이식 빨래 건조대
KR101507348B1 (ko) * 2014-01-16 2015-03-31 (주)와이케이내쇼날 건조대
CN113551292A (zh) * 2020-09-28 2021-10-26 陈修芳 一种安全系数高的室内暖通供热设备
CN113551293A (zh) * 2020-09-28 2021-10-26 陈修芳 一种能够避免热量浪费的室内暖通供热设备
CN113551294A (zh) * 2020-09-28 2021-10-26 陈修芳 一种高度可调节的室内暖通供热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22909A1 (en) Drying apparatus
US3866336A (en) Decorative laundry dryer
KR101118088B1 (ko) 빨래 건조대
KR101035237B1 (ko) 전열 빨래 건조대
JP6810847B2 (ja) 家庭用のシャツ干し装置
KR20110007533U (ko) 다단 접이식 빨래 건조대
KR20090000074U (ko) 건조대 겸용 행거 구조
CN209353123U (zh) 一种镶嵌式新型折叠晾衣架
KR101090023B1 (ko) 빨래 건조대용 열풍 건조장치
KR100966023B1 (ko) 스탠드형 빨래 건조대 겸용 옷걸이대
KR20110084006A (ko) 다리미판이 내장된 화장대
KR101822379B1 (ko) 수납식 세탁물 건조대
JP3111050U (ja) 室内衣類乾燥機
KR101547334B1 (ko) 거치형 헤어드라이기
KR20120059137A (ko) 빨래건조대
CN106149323A (zh) 立式便携烘干衣架
JP2003311097A (ja) ラックを利用した物干し
KR200472428Y1 (ko) 실내 부착용 접이식 세탁물 건조대
KR20150004071U (ko) 빨래건조대 겸용 옷걸이대
KR101163193B1 (ko) 세탁물 건조대
KR20130107685A (ko) 헤어드라이어 겸용 접이식 옷걸이
KR101487428B1 (ko) 노출식 빨래 건조대
KR20170124825A (ko) 건조대
CN209568280U (zh) 一种便于移动折叠型晾衣架
JP6989189B1 (ja) 自立支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