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9586B1 - 핸드카트 밑판 및 상기 밑판을 사용한 핸드카트 - Google Patents

핸드카트 밑판 및 상기 밑판을 사용한 핸드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9586B1
KR101899586B1 KR1020177008115A KR20177008115A KR101899586B1 KR 101899586 B1 KR101899586 B1 KR 101899586B1 KR 1020177008115 A KR1020177008115 A KR 1020177008115A KR 20177008115 A KR20177008115 A KR 20177008115A KR 101899586 B1 KR101899586 B1 KR 1018995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means
piece
cart
delete delete
plat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8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1580A (ko
Inventor
타오 천
촨룽 판
룽 한
Original Assignee
치구 인터랙티브 테크놀로지 씨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치구 인터랙티브 테크놀로지 씨오., 엘티디. filed Critical 치구 인터랙티브 테크놀로지 씨오.,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70091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15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9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95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1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provisions for nesting or stacking, e.g. shopping trolleys
    • B62B3/1404Means for facilitating stowing or transporting of the trolleys; Antitheft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1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provisions for nesting or stacking, e.g. shopping trolle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1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provisions for nesting or stacking, e.g. shopping trolleys
    • B62B3/1408Display devices mounted on it, e.g. advertisement displays
    • B62B3/1416Display devices mounted on it, e.g. advertisement displays mounted on the ha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1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provisions for nesting or stacking, e.g. shopping trolleys
    • B62B3/1408Display devices mounted on it, e.g. advertisement displays
    • B62B3/1424Electronic displa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1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provisions for nesting or stacking, e.g. shopping trolleys
    • B62B3/1468Additional t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22Microcars, e.g. golf ca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핸드카트 밑판을 제공하는 것으로, 헤드부와 테일부를 포함하는 판체, 상기 판체 상의 상기 헤드부에 근접하여 설치된 제1잠금 수단, 상기 판체 상의 상기 테일부에 근접하여 설치된 제2잠금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2잠금 수단과 상기 제1잠금 수단의 위치는 서로 대응되고, 양자의 구조는 상호 매치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한 앞뒤 두 개의 핸드카트 밑판이 나란히 겹칠 때, 앞에 위치한 판체의 테일부와 뒤에 위치한 판체의 헤드부는 제1잠금 수단과 제2잠금 수단을 통하여 서로 로킹된다. 이렇게 제조된 핸드카트는 앞뒤로 겹칠 때 더 편리하고, 갑자기 멈추거나 회전할 때 쉽게 뒤집히지 않으며, 직원들이 앞뒤 두 개 핸드카트를 함께 고정할 때 소요되는 시간을 효과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핸드카트 밑판 및 상기 밑판을 사용한 핸드카트{HANDCART BOTTOM PANEL AND HANDCART USING SAID BOTTOM PANEL}
본 발명은 차량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뒤집힘을 방지하는 핸드카트 밑판 및 멀티미디어 핸드카트에 관한 것이다.
공항 등 면적이 비교적 크고, 환경이 복잡한 공공장소에서, 지시표시가 번잡하여, 사람들은 목적지를 정확하게 찾아내고 신속하게 도착하기 힘들어 한다. 현재에 스마트 이동 서비스 단말을 구비한 멀티미디어 핸드카트 등 소형차량을 공공장소에 배치하여 사람들이 사용하도록 제공한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핸드카트는 사람들을 도와서 물품들을 운송하고, 또한 핸드카트 상에 설치된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는 사람들을 목적지에 신속하게 도착하도록 안내하고 사용자에게 편리를 제공한다. 멀티미디어 핸드카트의 빈번한 사용으로 인하여 핸드카트의 이동 서비스 단말의 전지를 자주 충전하여야 한다. 직원들은 기존의 멀티미디어 핸드카트들을 앞뒤로 겹쳐서, 충전 연결 장치를 통하여 직렬회로를 구성한 후, 충전 지점까지 밀고가서 다수의 핸드카트에 대해 충전을 한다. 공공장소에는 사람들이 붐비어, 사람 또는 짐 등의 장애물을 만나면 갑자기 멈추거나 또는 회전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기존의 멀티미디어 핸드카트는 여러 개를 겹쳐서 밀고 갈 때, 앞뒤 두 카트의 프레임 사이에 제한 장치가 결여되어, 갑자기 멈추거나 또는 회전할 때, 핸드카트는 쉽게 중심을 잡지 못하고 앞으로 기울거나, 옆으로 기울거나 뒤집힐 수도 있다. 더 심한 것은, 핸드카트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가 파손될 수도 있다. 이외에, 여러 개 멀티미디어 핸드카트를 겹쳐 모아서 밀고 갈때, 앞뒤 두 개 멀티미디어 핸드카트의 충전 연결 장치를 어떻게 정확하고 확실하게 연결하여 직원들의 회로 검사에 소요하는 시간을 축소하는 것도 현재에 시급히 해결해야 할 문제이다.
종래 기술에서 존재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핸드카트 밑판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핸드카트 밑판은, 헤드부와 테일부를 포함하는 판체, 상기 판체 상의 상기 헤드부에 근접하여 설치된 제1잠금 수단, 상기 판체 상의 상기 테일부에 근접하여 설치된 제2잠금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잠금 수단과 상기 제2잠금 수단의 위치는 서로 대응되고, 양자의 구조는 상호 매치된다.
본 발명의 앞뒤 두 개의 핸드카트 밑판이 나란히 겹칠 때, 앞에 위치한 판체의 테일부와 뒤에 위치한 판체의 헤드부는 제1잠금 수단과 제2잠금 수단을 통하여 서로 로킹된다. 이렇게 제조된 핸드카트는 앞뒤로 겹칠 때 더 편리하고, 갑자기 멈추거나 회전할 때 뒤집히지 않으며, 직원들이 앞뒤 두 개 핸드카트를 함께 고정할 때 소요되는 시간을 효과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방식에서, 상기 테일부의 너비는 상기 헤드부의 너비보다 크고 상기 테일부에는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판체는 두 개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잠금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상기 두 개 측면부의 외벽에 설치되고, 상기 제2잠금 수단은 상기 제1잠금 수단이 위치하는 측면부의 내벽에 설치된다.
본 실시방식의 판체의 테일부는 수납공간을 형성하여, 두 개 판체가 앞뒤로 나란히 겹칠 때, 뒤에 위치하는 판체의 헤드부가 앞에 위치하는 판체의 테일부에 들어가게 되며, 즉 뒤에 위치하는 판체의 일부분이 앞에 위치하는 판체에 들어간다. 전방 판체 측면부 내벽에 설치된 제2잠금 수단과 후방 판체 측면부 외부에 설치된 제1잠금 수단은 서로 로킹된다. 이렇게 설치된 유리한 점은 직원들이 아주 용이하게 두 개 판체를 위치 고정할 수 있고, 뒤에 위치하는 판체를 앞에 위치하는 판체의 수납공간에 밀어 넣을 수 있으며, 제1잠금 수단과 제2잠금 수단으로 로킹을 완료한다.
잠금 수단의 매칭을 더 간단하고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부 실시방식에서, 상기 제1잠금 수단은 수 잠금 수단이고, 상기 제2잠금 수단은 암 잠금 수단이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방식에서, 상기 제1잠금 수단은 측면부에 가로로 외부로 돌출된 제한편을 포함하고, 상기 제2잠금 수단은 제한홈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한편과 제한홈은 기본상 동일한 수평면에 위치하고, 양자의 길이방향은 일치하며, 상기 제한편의 최대 가로너비는 상기 테일부의 너비와 상기 헤드부의 너비의 차이보다 작거나 같으며, 상기 제한홈의 홈 길이는 상기 제한편의 길이보다 크거나 같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방식에서, 상기 제한편은 호형 제한편이고, 이로써 직원들이 힘이 들지 않게 제한편을 제한홈에 밀어 넣을 수 있고, 부품 사이의 상호 마찰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사용수명을 향상시켰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방식에서, 상기 제1잠금 수단은 호형 래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2잠금 수단은 경사 피스를 포함하며, 상기 경사 피스는 상기 테일부에 상대적으로 근접하는 오르막과 상기 테일부를 상대적으로 멀리하는 내리막을 형성하고, 상기 호형 래치의 위치와 상기 경사 피스의 위치는 기본상 동일한 수평면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방식에서, 상기 제한홈의 높이는 상기 제한편의 두께보다 크고, 상기 판체의 두께보다 작다.
판체 상에는 제한편 및 제한홈, 호형 래치와 경사 피스가 설치되어, 이로써 제한홈의 형상은 경사된 형상과 상호 매치되고, 또는 제한홈의 높이는 제한편의 두께보다 약간 크므로 제한편은 일정한 상승과 하강의 공간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방식에서, 상기 오르막의 경사도는 상기 내리막의 경사도보다 작거나 같으며, 이로써 호형 래치는 상대적으로 완만하게 오르막으로 슬라이딩하고, 상대적으로 신속하게 내리막으로 슬라이딩한다. 호형 래치는 최종적으로 내리막을 이탈하여 경사 피스에 의해 잠금 고정된다.
상기 과정에서, 판체는 천천히 들리고, 신속히 하락한다. 판체의 헤드부에는 아래로 돌출된 호형 동편(?~튬)이 설치되고, 테일부에는 편 상의 동편이 충전 연결부재로서 설치되는 경우, 뒷차의 도전성 동편은 앞차의 도전성 동편 위에 직접 얹혀지고, 동편 사이에 마찰이 생기지 않고, 전기적 연결로 인한 동편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방식에서, 상기 호형 래치는 상기 판체에 비하여 비교적 낮은 제1높이와 비교적 높은 제2높이를 형성하고, 상기 제1높이를 유지하는 경향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방식에서, 상기 호형 래치는 탄성 장치 또는 자기 신축성에 의하여 상기 제1높이를 유지하는 경향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방식에서, 상기 경사 피스는 상기 판체에 비하여 비교적 낮은 제3높이와 비교적 높은 제4높이를 구비하고, 상기 제4높이를 유지하는 경향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방식에서, 상기 경사 피스는 탄성 장치 또는 자기 신축성에 의하여 상기 제4높이를 유지하는 경향을 가진다.
호형 래치와 경사 피스의 강성(剛性) 접촉을 방지하기 위하여, 탄성 장치를 설치하여 호형 래치와 경사 피스 중의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의하여 눌리울 때 일정한 범위 내에서 변위가 생기게 한다. 호형 래치와 경사 피스 자체도 일정한 신축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설치는 양자 지간에 마찰을 견디는 범위를 초과하여 사용수명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유지보수 성본을 절감시킬 수 있다.
이외에, 본 발명은 상기 밑판을 사용한 핸드카트를 더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방식에서, 상기 핸드카트는, 상기 판체 상방에 위치하는 플레이어 홀더; 일단이 상기 플레이어 홀더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판체의 헤드부에 고정 연결되는 프레임 몸체; 및 상기 플레이어 홀더 상에 설치되고 상기 플레이어 홀더를 상대로 회전하는 멀티미디어 플레이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핸드카트는 구조가 간단하고, 프레임 몸체, 밑판과 플레이어 홀더는 탈착 가능하며, 수송이 편리하다. 단지 핸드카트 밑판 상의 잠금 장치만을 통하여, 직원들의 차량들을 겹쳐서 모으는 과정을 잘 도모할 수 있다. 이러한 핸드카트를 겹쳐 모아서 충전 구역에 밀고 가는 과정에서, 잠금 장치는 앞뒤 카트을 서로 로킹함으로써, 뒤집힘, 분리가 발생하기 어렵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핸드카트는 구조가 간단하고, 프레임 몸체, 밑판과 플레이어 홀더는 탈착 가능하며, 수송이 편리하다. 단지 핸드카트 밑판 상의 잠금 장치만을 통하여, 직원들의 차량들을 겹쳐서 모으는 과정을 잘 도모할 수 있다. 이러한 핸드카트를 겹쳐 모아서 충전 구역에 밀고 가는 과정에서, 잠금 장치는 앞뒤 카트을 서로 로킹함으로써, 뒤집힘, 분리가 발생하기 어렵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방식의 멀티미디어 핸드카트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2는 도1의 A파트(제1잠금 장치)를 확대하여 나타낸 개략도;
도3은 도1의 B파트(제2잠금 장치)를 확대하여 나타낸 개략도;
도4A는 밑판 하부에 위치한 충전 연결 장치의 전방 연결 단부를 나타낸 개략도;
도4B는 밑판 하부에 위치한 충전 연결 장치의 후방 연결 단부를 나타낸 개략도;
도5A는 앞뒤 카트 로킹 시, 호형 래치가 경사 피스의 오르막에 위치할 때를 나타낸 개략도;
도5B는 호형 래치가 도5A의 상태에 있을 때, 밑판과 충전 연결 장치의 위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6A는 앞뒤 카트 로킹 시, 호형 래치가 경사 피스의 완만부에 위치할 때를 나타낸 개략도;
도6B는 호형 래치가 도6A의 상태에 있을 때, 밑판과 충전 연결 장치의 위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7A는 앞뒤 카트 로킹 시, 호형 래치가 경사 피스의 내리막에 위치할 때를 나타낸 개략도;
도7B는 호형 래치가 도7A의 상태에 있을 때, 밑판과 충전 연결 장치의 위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방식의 잠금 수단을 구비하는 멀티미디어 핸드카트를 나타내는 바, 주로 밑판(6), 프레임 몸체(1), 밑판(6)의 밑부분에 설치된 충전 연결 장치(4)(도1에서 미도시, 도4A 내지 도7B를 참조) 및 플레이어 홀더(3) 상에 힌지 결합된 멀티미디어 플레이어(5)를 포함한다. 프레임 몸체(1)는 상부 삽입 연결 단부(11)와 하부 삽입 연결 단부(12)를 구비한다. 플레이어 홀더(3)는 상부 삽입 연결 단부(11)와 프레임 몸체(1)를 삽입 연결한 후, 리벳으로 고정시킨다. 밑판(6)은 하부 삽입 연결 단부(12)와 프레임 몸체(1)를 삽입 연결한 후, 리벳으로 고정시킨다. 이러한 연결 방식은 용접점 노출을 방지하고, 핸드카트의 전체가 보다 미적이게 하고, 동시에 탈착 수송에 편리하다. 멀티미디어 플레이어(5)의 디스플레이 평면은 통상 위로 향해 설치되고, 멀티미디어 플레이어(5)는 플레이어 홀더(3)를 상대로 일정한 각도 내에서 회전하며, 이로써 사용자가 부동한 시각으로 열람할 수 있게 한다.
도1 내지 도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바퀴가 형성된 밑판(6)에는 판체(2)가 형성된다. 판체(2)에 근접한 헤드부의 양측에는 대면하는 제1잠금 수단이 설치되고, 판체(2)에 근접한 테일부의 양측에는 대면하는 제2잠금 수단이 설치되며, 제1잠금 수단과 제2잠금 수단의 구조는 서로 매치되고 위치는 상응된다. 제1잠금 수단은 수 잠금 수단이고, 제2잠금 수단은 암 잠금 수단이다. 제1잠금 수단은 제한편(24)과 호형 래치(21)를 포함하고, 제2잠금 수단은 제한홈(23)과 경사 피스(22)를 포함한다. 그들의 구체적인 구조는 아래에 설명하기로 한다. 이로써, 두 개 핸드카트가 앞뒤로 겹쳐질 때, 제1잠금 수단과 제2잠금 수단은 상호 배합되고, 이로써 두 개 핸드카트는 함께 고정된다.
나아가, 판체(2)의 테일부의 너비는 판체(2)의 헤드부의 너비 보다 크고, 판체(2)의 테일부에는 수납공간이 형성된다. 판체(2)는 좌측과 우측 두 개 측면부를 포함하고, 제1잠금 수단은 상기 두 개 측면부의 적어도 하나의 외벽에 설치되고, 제2잠금 수단은 상기 제1잠금수단이 위치하는 측면부의 내벽에 설치되며, 즉 제1잠금 수단과 제2잠금 수단은 쌍으로 설치된다.
도4A 내지 도7B를 참조하면, 충전 연결 장치(4)는, 판체(2)의 헤드부의 하부표면에 설치된 호형 동편(41)과 판체(2)의 테일부의 상부표면에 설치된 편상(튬?)의 동편(42)을 포함한다.
제1잠금 수단의 제한편(24)은 판체(2)의 측면부의 외벽에 설치되고, 제한편(24)은 호형의 돌기이다. 제2잠금 수단의 제한홈(23)은 판체(2)의 측면부의 내벽에 설치되고, 제한홈(23)은 내벽이 관통되거나 또는 광통되지 않은 오목홈이다. 제한편(24)과 제한홈(23)의 위치는 기본상 동일한 수평면에 위치하고, 양자의 길이방향은 일치하다. 제한편(24)의 최대 가로너비는 판체(2)의 테일부의 너비와 판체(2)의 헤드부의 너비의 차이보다 작거나 같다. 제한홈(23)의 홈 길이는 상기 제한편(24)의 길이보다 크거나 같다. 제한홈(23)의 높이는 제한편(24)의 두께보다 크고, 판체(2)의 측면부의 두께보다 작다. 뒤에 위치한 핸드카트의 헤드부가 앞에 위치한 핸드카트의 테일부의 수납공간으로 진입할 때, 후방 핸트카트의 제한편(24)은 전방 핸드카트의 제한홈(23)으로 진입하고, 이로써 전방과 후방의 핸드카트가 상호 로킹되며, 후방의 핸드카트가 전방의 핸드카트의 수납공간에 진입되는 깊이를 제한한다.
제1잠금 수단의 호형 래치(21)는 판체(2)의 측면부의 외벽에 설치되고, 호형 래치(21)는 하방을 향하여 연장된 돌기이다. 제2잠금 수단의 경사 피스(22)는 판체(2)의 측면부의 내벽에 설치되고, 경사 피스(22)는 횡단면이 대체적으로 제형을 이루는 경사 블록이다. 경사 피스(22)는 적어도 판체(2)의 테일부에 상대적으로 근접하는 오르막(223)과 판체(2)의 테일부를 상대적으로 멀리하는 내리막(221)을 형성하며, 오르막(223)의 경사도는 내리막(221)의 경사도보다 작거나 같다. 호형 래치(21)의 위치와 상기 경사 피스(22)의 위치는 기본상 동일한 수평면에 위치한다. 본 실시방식에서, 경사 피스(22)에는 오르막(223)과 내리막(221) 사이에 위치하는 완만한 중부(222)가 더 형성된다.
도5A 내지 도7B는 두 개 핸드카트가 로킹될 때, 경사 피스(22)과 호형 래치(21)의 위치 관계 및 충전 연결 장치(4)가 대응 상태에서의 위치를 나타낸다.
앞뒤 두 개 핸드카트의 앞뒤가 로킹될 때, 후방 차가 천천히 전방 카트에 접근한다. 도5A와 도5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 카트의 호형 래치(21)는 전방 카트의 경사 피스(22)의 오르막(223) 상에서 슬라이딩하고, 후방 카트의 판체(2)는 약간 들리는 추세를 가지고, 후방 카트의 판체(2) 헤드부에 설치된 호형 동편(41)과 전방 카트의 판체(2) 테일부에 설치된 편상 동편(42)은 접촉하지 않는다.
도6A와 도6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 카트가 진일보로 전방 카트로 이동함에 따라, 후방 카트의 호형 래치(21)는 전방 카트의 경사 피스(22)의 완만 중부(222) 상에서 슬라이딩한다. 후방 카트의 판체(2)의 헤드부가 위로 들린다. 후방 카트의 판체(2) 헤드부에 설치된 호형 동편(41)과 전방 카트의 판체(2) 테일부에 설치된 편상 동편(42)은 접촉하지 않는다.
도7A과 도7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 카트의 판체(2)의 헤드부가 전방 카트의 판체(2)의 테일부의 수납공간에 완전히 진입할 때, 후방 카트의 호형 래치(21)는 전방 카트의 경사 피스(22)의 내리막(221) 상에서 슬라이딩하고, 최종적으로 내리막(221)을 이탈한다. 이때, 후방 카트의 판체(2)의 헤트부는 약간 아래로 경사진다. 후방 카트의 판체(2) 헤드부에 설치된 호형 동편(41)과 전방 카트의 판체(2) 테일부에 설치된 편상 동편(42)은 순간 접촉된다. 이러한 설치는 앞뒤 두 개 카트가 겹쳐지는 과정에서 호형 동편(41)과 편상 동편(42) 사이에 상호 마찰이 발생하여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오르막(223), 완만 중부(222) 및 내리막(221)이 설치되고 오르막(223)의 경사도는 내리막(221)의 경사도보다 작거나 같다. 그리하여 작업자는 판체(2)의 경사 방향 및 후방의 핸드카트를 밀 때 인가된 힘의 크기를 기반으로, 용이하게 앞뒤 두 개 핸드카트의 상대적 위치를 판단하여, 상대적으로 신속하게 앞뒤 두 카트의 겹침과 로킹을 실현한다. 여기서 이해해야 할 것은, 도5A 내지 도7B의 겹치는 과정을 실현할 때, 전방 카트의 제한홈(23)과 후방 카트의 제한편(24)도 동시에 상호 로킹된다.
해당분야 당업자가 이러한 잠금 수단 방식을 두 개 이상의 상기 구조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핸드카트에 응용하는 것은 자명하고, 이로써 빠른 시간 내에 다수의 핸드카트의 겹침과 로킹을 실현할 수 있다. 겹침과 로킹이 완료된 핸드카트의 충전 연결 장치(4)가 전기 회로 직렬연결을 형성하여, 신속하게 핸드카트에 대해 충전한다. 본 발명의 충전 연결 장치(4)는 본 발명의 출원인이 제201320614839.5호 중국 실용신안특허에서 공개한 전기적 연결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해당 중국 실용신안특허의 전부 내용은 본 발명에서 공개한 내용에 병합된다.
본 실시방식에서 제공한 핸드카트를 사용하는 경우, 직원들은 앞뒤로 겹쳐진 다수의 핸드카트를 함께 충전 구역으로 용이하게 밀고갈 수 있으므로, 반복적으로 전방 카트와 후방 카트의 상호 위치를 조정하거나 또는 반복적으로 충전 연결 장치(4)가 확실하게 연결되었는지 검사할 필요가 없게 되어, 행진 과정에서 앞뒤 카트가 잠금 수단이 결여하여 뒤집히고, 분리되거나 또는 전기 회로 연결이 불안정한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방식에서, 호형 래치(21)와 경사 피스(22)의 강성(剛性) 접촉을 방지하기 위하여, 탄성 장치를 설치하여 호형 래치(21)와 경사 피스(22) 중의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의하여 눌릴때일정한 범위 내에서 변위가 생긴다. 예를 들면, 호형 래치(21)는 판체(2)에 비하여 비교적 낮은 제1높이와 비교적 높은 제2높이를 형성하고, 호형 래치(21)는 탄성 장치 또는 자기 신축성에 의하여 상기 제1높이를 유지하는 경향을 가지며, 이로써 호형 래치(21)가 경사 피스(22)에 접촉할 때 호형 래치(21)가 이동하지만, 경사 피스(22)의 강성 충돌 또는 마찰은 없기 때문에, 양자의 사용수명을 감소시키지 않는다. 해당분야 당업자가 당연히 이해해야할 것은, 반대되는 설치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는 바, 경사피스(22)는 판체(2)에 비하여 비교적 낮은 제3높이와 비교적 높은 제4높이를 구비하고, 경사 피스(22)는 탄성 장치 또는 자체의 신축성을 통하여 제4높이를 유지하는 경향을 가지며, 이러한 것들은 모두 사용수명을 연장하여 유지보수 성본을 낮출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각종 실시예에 대해 상세한 설명을 하였다. 해당분야 당업자라면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한정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상황하에, 실시방식에 대하여 각종 수정, 변경과 변화를 진행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청구범위에 대한 해석은 전체적으로 해석해야 하고 명세서와 일치하는 가장 넓은 범위에 부합되어야 하며, 예시 또는 명세서 중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Claims (24)

  1. 프레임 몸체, 플레이어 홀더, 밑판 및 충전 연결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몸체의 일단이 플레이어 홀더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밑판과 연결되며, 상기 충전 연결 장치는 상기 밑판의 밑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밑판 상에는 호형 래치와 경사 피스가 설치되고, 상기 호형 래치와 상기 경사 피스는 상호 매치되는 구조를 구비하고, 상기 밑판 상에는 제한홈과 제한편이 더 설치되고, 상기 제한홈과 상기 제한편은 상호 매치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한편은 상기 밑판의 헤드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한홈은 상기 밑판의 끝단에 설치되고, 상기 제한편은 상기 호형 래치의 상방에 위치하고, 상기 제한편은 밑판의 외측을 향해 연장된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한홈은 상기 경사 피스의 상방에 위치하는, 제한 장치가 형성된 멀티미디어 핸드카트.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호형 래치는 상기 밑판의 헤드부에 위치하고, 상기 경사 피스는 상기 밑판의 끝단에 위치하고; 상기 호형 래치는 상기 밑판하방을 향해 형성된 돌기이고; 상기 경사 피스의 횡단면의 형상은 상협하관의 제형을 이루고, 그 상표면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기타 표면은 모두 평면을 이루는, 제한 장치가 형성된 멀티미디어 핸드카트.
  3.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경사 피스의 상표면은, 오르막, 중부 및 내리막을 포함하고, 상기 경사 피스의 오르막과 내리막은 모두 경사각을 이루며, 상기 오르막의 경사각은 상기 내리막의 경사각보다 크고, 상기 중부는 플랫폼을 이루는, 제한 장치가 형성된 멀티미디어 핸드카트.
  4. 청구항 3 에 있어서,
    상기 충전 연결 장치는 앞단과 끝단을 가지고, 상기 충전 연결 장치의 앞단과 끝단에는 모두 도전성 부재가 설치되고; 두개 또는 다수의 상기 제한 장치가 형성된 멀티미디어 핸드카트를 앞뒤로 겹치고, 전방 카트의 상기 호형 래치가 후방 카트의 상기 경사 피스의 오르막 상에서 슬라이딩할 때, 전방 카트의 상기 충전 연결 장치의 끝단 상의 도전성 부재와 후방 카트의 상기 충전 연결 장치의 앞단 상의 도전성 부재는 접촉하지 않고; 전방 카트의 상기 호형 래치가 후방 카트의 상기 경사 피스의 중부에서 슬라이딩할 때, 전방 카트의 상기 충전 연결 장치의 끝단 상의 도전성 부재와 후방 카트의 상기 충전 연결 장치의 앞단 상의 도전성 부재는 접촉하지 않고; 전방 카트의 상기 호형 래치가 후방 카트의 상기 경사 피스의 내리막을 슬라이딩한 후, 전방 카트의 상기 충전 연결 장치의 끝단 상의 도전성 부재와 후방 카트의 상기 충전 연결 장치의 앞단 상의 도전성 부재는 긴밀히 접촉하는, 제한 장치가 형성된 멀티미디어 핸드카트.
  5. 헤드부와 테일부를 포함하는 판체, 상기 판체 상의 상기 헤드부에 근접하여 설치된 제1잠금 수단, 상기 판체 상의 상기 테일부에 근접하여 설치된 제2잠금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2잠금 수단과 상기 제1잠금 수단의 위치는 서로 대응되고, 양자의 구조는 상호 매치되고, 상기 테일부의 너비는 상기 헤드부의 너비보다 크고 상기 테일부에는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판체는 두 개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잠금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상기 두 개 측면부의 외벽에 설치되고, 상기 제2잠금 수단은 상기 제1잠금 수단이 위치하는 측면부의 내벽에 설치되는, 핸드카트 밑판.
  6. 청구항 5 에 있어서,
    상기 제1잠금 수단은 측면부에 가로로 외부로 돌출된 제한편을 포함하고, 상기 제2잠금 수단은 제한홈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한편과 제한홈의 위치는 기본상 동일한 수평면에 위치하고, 양자의 길이방향은 일치하며, 상기 제한편의 최대 가로너비는 상기 테일부의 너비와 상기 헤드부의 너비의 차이보다 작거나 같으며, 상기 제한홈의 홈 길이는 상기 제한편의 길이보다 크거나 같은, 핸드카트 밑판.
  7. 청구항 6 에 있어서,
    상기 제1잠금 수단은 호형 래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2잠금 수단은 경사 피스를 포함하며, 상기 경사 피스는 상기 테일부에 상대적으로 근접하는 오르막과 상기 테일부를 상대적으로 멀리하는 내리막을가지고, 상기 호형 래치의 위치와 상기 경사 피스의 위치는 기본상 동일한 수평면에 위치하는, 핸드카트 밑판.
  8. 청구항 7 에 있어서,
    상기 오르막의 경사도는 상기 내리막의 경사도보다 작거나 같은, 핸드카트 밑판.
  9. 청구항 8 에 있어서,
    상기 호형 래치는 상기 판체에 비하여 낮은 제1높이와 높은 제2높이를 가지고, 상기 제1높이를 유지하는 경향을 가지고; 상기 호형 래치는 탄성 장치 또는 자기 신축성에 의하여 상기 제1높이를 유지하는 경향을 가지는, 핸드카트 밑판.
  10. 청구항 9 에 있어서,
    상기 경사 피스는 상기 판체에 비하여 낮은 제3높이와 높은 제4높이를 구비하고, 상기 제4높이를 유지하는 경향을 가지고; 상기 경사 피스는 탄성 장치 또는 자기 신축성에 의하여 상기 제4높이를 유지하는 경향을 가지는, 핸드카트 밑판.
  11.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10 중의 어느 한 항의 핸드카트 밑판;
    상기 판체 상방에 위치하는 플레이어 홀더;
    일단이 상기 플레이어 홀더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판체의 헤드부에 고정 연결되는 프레임 몸체; 및
    상기 플레이어 홀더 상에 설치되고, 상기 플레이어 홀더에 대해 회전하는 멀티미디어 플레이어를 포함하는, 핸드카트.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KR1020177008115A 2014-09-25 2015-09-24 핸드카트 밑판 및 상기 밑판을 사용한 핸드카트 KR1018995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20557929.XU CN204161416U (zh) 2014-09-25 2014-09-25 具有限位装置的多媒体手推车
PCT/CN2015/090537 WO2016045603A1 (zh) 2014-09-25 2015-09-24 手推车底板及采用该底板的手推车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1580A KR20170091580A (ko) 2017-08-09
KR101899586B1 true KR101899586B1 (ko) 2018-09-17

Family

ID=52535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8115A KR101899586B1 (ko) 2014-09-25 2015-09-24 핸드카트 밑판 및 상기 밑판을 사용한 핸드카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0214231B2 (ko)
EP (1) EP3199422A4 (ko)
JP (1) JP6422574B2 (ko)
KR (1) KR101899586B1 (ko)
CN (1) CN204161416U (ko)
WO (1) WO20160456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4161416U (zh) * 2014-09-25 2015-02-18 无锡知谷网络科技有限公司 具有限位装置的多媒体手推车
CN105552673A (zh) * 2016-02-05 2016-05-04 无锡知谷网络科技有限公司 连接器,安全控制装置,充电装置和移动设备
US11808401B2 (en) * 2022-04-07 2023-11-07 Richard Postrel Adjustable display device assembl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3071613U (zh) * 2013-01-10 2013-07-17 无锡知谷网络科技有限公司 可充电的移动设备
CN203481526U (zh) * 2013-09-30 2014-03-12 无锡知谷网络科技有限公司 新型连接器、车架结构及使用该车架结构的车辆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350308B2 (de) * 1973-10-06 1976-08-26 Fa. Konrad Wiedemann, 3001 Mellendorf Transportfahrzeug fuer stapelbare einkaufswagen
US3907322A (en) * 1974-07-08 1975-09-23 Keizo Kiryu Collapsible hand truck
US6315306B1 (en) * 1997-09-12 2001-11-13 Csia Research Foundation Nestable wheelchair
US6264216B1 (en) * 2000-02-15 2001-07-24 Carol Wilson Multi-purpose cart
US7448476B2 (en) * 2002-11-08 2008-11-11 Smart Carte, Inc. Brake assembly and control mechanism for a cart, and method
US6926291B1 (en) * 2003-03-26 2005-08-09 V. John Ondrasik Shopping cart
CN201484459U (zh) * 2009-08-21 2010-05-26 美固龙金属制品(中国)有限公司 一种手推车用的插脚组合件
US8516864B2 (en) * 2009-09-10 2013-08-27 Compx International Inc. Electronic latch mechanism
CN102774408A (zh) * 2012-07-12 2012-11-14 江阴市长乐新科技电源有限公司 一种推车
CN203544055U (zh) * 2013-09-04 2014-04-16 赵文威 一种手推车
CN203496964U (zh) * 2013-09-30 2014-03-26 无锡知谷网络科技有限公司 连接器、车架结构及使用该车架结构的车辆
CN204161416U (zh) * 2014-09-25 2015-02-18 无锡知谷网络科技有限公司 具有限位装置的多媒体手推车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3071613U (zh) * 2013-01-10 2013-07-17 无锡知谷网络科技有限公司 可充电的移动设备
CN203481526U (zh) * 2013-09-30 2014-03-12 无锡知谷网络科技有限公司 新型连接器、车架结构及使用该车架结构的车辆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45603A1 (zh) 2016-03-31
KR20170091580A (ko) 2017-08-09
US20170305451A1 (en) 2017-10-26
CN204161416U (zh) 2015-02-18
US20180099685A1 (en) 2018-04-12
JP6422574B2 (ja) 2018-11-14
JP2017536280A (ja) 2017-12-07
EP3199422A1 (en) 2017-08-02
US10214231B2 (en) 2019-02-26
EP3199422A4 (en) 2017-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9586B1 (ko) 핸드카트 밑판 및 상기 밑판을 사용한 핸드카트
US9966712B1 (en) Battery plug-in device for material handling equipment
KR100738705B1 (ko)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용 스탠드
US8899703B2 (en) Pressing-type unlocking track
EP3235748B1 (en) Foldable container
CN106374068A (zh) 电池组的锁紧机构
CN111251918A (zh) 充电仓、含其的充电架、换电站和储能站
JP2006116314A (ja) ゴルフバッグをゴルフカーへ取り付ける方法および装置
US20170361857A1 (en) Trolley with limit structure
KR101651686B1 (ko) 접속 단자 개폐 장치
WO2016011949A1 (zh) 可折叠容器
CN203481526U (zh) 新型连接器、车架结构及使用该车架结构的车辆
CN212685267U (zh) 充电仓、含其的充电架、换电站和储能站
JP2014184801A (ja) 台車
CN204096363U (zh) 一种发动机盖料架
CN102249031B (zh) 栈板及采用该栈板的服务器组合装置
CN213043146U (zh) 电连接器插拔机构
CN2917124Y (zh) 具有锁扣装置的dv摄像机电池充放电座
CN205335530U (zh) 一种光通信模块拉环式解锁装置
CN216784845U (zh) 一种挪车装置
CN209805013U (zh) 一种充电插接头
CN204668607U (zh) 用于电子卡连接器的推杆
CN211559114U (zh) 一种台面可拓展的bms实训台
CN211223454U (zh) 一种转运装置
CN112217933B (zh) 一种带无线充电功能的手机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