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9512B1 - 고온 소각 장치 - Google Patents

고온 소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9512B1
KR101899512B1 KR1020180058209A KR20180058209A KR101899512B1 KR 101899512 B1 KR101899512 B1 KR 101899512B1 KR 1020180058209 A KR1020180058209 A KR 1020180058209A KR 20180058209 A KR20180058209 A KR 20180058209A KR 101899512 B1 KR101899512 B1 KR 1018995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incineration
ash
ai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8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지운
배영호
Original Assignee
홍지운
배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지운, 배영호 filed Critical 홍지운
Priority to KR1020180058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95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9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95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24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having a vertical, substantially cylindrical, combustion cha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44Details; Accessories
    • F23G5/442Waste feed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00Removing ash, clinker, or slag from combustion chambers
    • F23J1/02Apparatus for removing ash, clinker, or slag from ash-pits, e.g. by employing trucks or conveyors, by employing suction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5/00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 F23J15/02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purifiers, e.g. for removing noxious material
    • F23J15/022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purifiers, e.g. for removing noxious material for removing solid particulate material from the gasflow
    • F23J15/025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purifiers, e.g. for removing noxious material for removing solid particulate material from the gasflow using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5/00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 F23J15/06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coo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LSUPPLYING AIR OR NON-COMBUSTIBLE LIQUIDS OR GASES TO COMBUSTION APPARATUS IN GENERAL ; VALVES OR DAMPER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IR SUPPLY OR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INDUCING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1/00Passages or apertures for delivering primary air for combus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asification And Melting Of Was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온 소각 장치에 관한 것으로, 소각 대상물을 수용하여 소각 대상물을 연소시키는 원통 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마련되어 소각되는 제품에 공기를 공급하는 분사노즐을 구비한 소각부와; 상기 본체에서 고온 연소를 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상기 분사노즐로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부와; 상기 본체의 바닥에 개구된 개구부를 개폐하는 게이트부와; 투입되어 연소된 소각재를 상기 개구부로 배출 가능하게 상기 본체의 바닥을 회전하는 스크레이퍼를 구비한 회전부와; 상기 게이트부로부터 배출되는 소각재를 본체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재회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간단하고 편리하게 소각물을 교반하여 소각 처리 능력을 배가시키면서 소각된 고온의 재를 안전하게 배출할 수 있는 고온 소각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온 소각 장치 {High-temperature Incineration Device}
본 발명은, 고온 소각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소각되는 원료 투입, 소각된 후 재의 배출 및 제거를 효율적이면서 간단하고 편리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고온 소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발생하는 각종 생활 쓰레기와, 산업현장에서 발생되는 산업폐기물들에 의한 환경오염이 심화됨에 따라 폐기물에 의한 2차 오염을 방지하고,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려는 시도가 지속적으로 모색되고 있다. 또한, 폐기물량이 날로 증가하는 추세에 비추어 볼 때 폐기물에 대한 처리과정은 그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이러한 폐기물의 주요 처리 방법으로는 대형소각 시설을 만들어서 수집 운반된 쓰레기를 소각시키기 위해 연료를 이용하여 연소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대형 소각 시설은 막대한 초기 설치비용과 운영관리 비용이 소요되며, 수집 운반의 문제와 소각재 처리 문제 등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일반 생활 폐기물 중 음식물 찌꺼기, 야채, 동물 뼈 등과 농어촌의 특수 폐기물, 예를 들면, 어패류, 동물 사체 등의 처리물의 비중이 큰 경우 소각 처리가 어렵다, 그 이유는 이러한 처리물이 소각로 하부에 적체되고 하중에 의해 원활한 산소공급이 어렵게 되므로 처리시간이 오래 걸릴뿐만 아니라 처리량에도 제한을 받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으로서 이동설치가 가능한 산업폐기물 처리장치에 관한 연구개발이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의료폐기물, 산업폐기물 등 특수 폐기물 처리를 위한 저온 열분해 소각 장치에 관한 연구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저온 열분해 소각 장치는 비닐, 플라스틱 등의 열량이 높은 폐기물의 연소처리 시는 고온으로 인하여 과열이 되어 매연이 발생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수분함유량이 많은 폐기물은 완전 연소처리가 어려워 소각 처리물을 구분하여 소각 처리해야 하며, 환경유해 물질인 다이옥신 등을 제거하기 위해 별도의 2차 연소장치를 설치해야 하므로 전력소모를 많이 필요로 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저온 열분해 소각 장치는 처리물에 따라서 처리시간이 길어서 1일 처리 용량의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고안한 것으로 등록특허공보 제11795339호 (2017.11.07. 공고) 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소각 방법의 경우 원통형의 내부에 쌓여진 소각재가 쌓이는 경우 이를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소각로 내의 온도가 높은 경우에도 보다 효과적으로 소각재를 제거하여 가동 시간을 증대시키고 운전을 자동화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하고 편리하게 소각물을 교반하여 소각 처리 능력을 배가시키면서 소각된 고온의 재를 안전하게 배출할 수 있는 고온 소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집진기를 고열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라인 공냉식 열교환기를 설치하여 집진 능력을 향상시키고 소각을 하는 과정에서 소각로 내부의 열기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소각물을 교반하여 소각처리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안전하게 소각된 재를 제거할 수 있는 고온 소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소각되는 제품을 투입, 소각, 집진, 소각된 재처리를 완전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는 고온 소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온 소각 장치에 있어서, 소각 대상물을 수용하여 소각 대상물을 연소시키는 원통 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마련되어 소각되는 제품에 공기를 공급하는 분사노즐을 구비한 소각부와; 상기 본체에서 고온 연소를 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상기 분사노즐로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부와; 상기 본체의 바닥에 개구된 개구부를 개폐하는 게이트부와; 투입되어 연소된 소각재를 상기 개구부로 배출 가능하게 상기 본체의 바닥을 회전하는 스크레이퍼를 구비한 회전부와; 상기 게이트부로부터 배출되는 소각재를 본체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재회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 소각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에서 연소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스와 재를 포함하는 배출가스를 포집하는 집진부와; 상기 본체와 연결되어 상기 배출가스를 안내하는 내측안내덕트와, 외기가 상기 집진부측으로 유입되도록 안내하여 외기와 배출가스가 혼합되도록 상기 내측 안내덕트와 결합된 외부공기덕트를 포함하는 에어믹스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부는 상기 본체의 중앙에 상기 스크레이퍼를 회전시키는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과 내주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 가능하게 함몰 형성된 외부 및 내부그루브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을 상측에서 덮는 회전축커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축의 상측의 상기 본체에 인접된 재질은 STS310S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로 소각 대상이 되는 소재를 투입하는 투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투입부의 단부에는 상기 본체의 열기, 재가 상기 투압부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투입커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하고 편리하게 소각물을 교반하여 소각 처리 능력을 배가시키면서 소각된 고온의 재를 안전하게 배출할 수 있는 고온 소각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집진기를 고열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라인 공냉식 열교환기를 설치하여 집진 능력을 향상시키고 소각을 하는 과정에서 소각로 내부의 열기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소각물을 교반하여 소각처리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안전하게 소각된 재를 제거할 수 있는 고온 소각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소각되는 제품을 투입, 소각, 집진, 소각된 재처리를 완전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는 고온 소각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온 소각 장치의 레이아웃,
도 2는 도 1의 요부를 부분적으로 절단한 평면도,
도 3a 및 도 3b는 도 1의 요부인 소각부 중앙의 회전부 단면도 및 평면도,
도 4a 및 도 4b는 회전축과 고정플랜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a 및 도 5b는 게이트부 및 재회수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에어믹스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른 고온 소각 장치(100, 이하에서 ‘소각 장치’라 함)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온 소각 장치의 레이아웃이고, 도 2는 도 1의 요부를 부분적으로 절단한 평면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도 1의 요부인 소각부 중앙의 회전부 단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회전축과 고정플랜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a 및 도 5b는 게이트부 및 재회수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에어믹스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소각 장치(1000)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각 대상물을 수용하여 소각 대상물을 연소시키는 원통 형상의 본체(1110)와, 상기 본체(1110) 내부에 마련되어 소각되는 제품에 공기를 공급하는 분사노즐(1130)을 구비한 소각부(1100)와; 상기 본체(1110)에서 고온 연소를 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110)의 상기 분사노즐(1130)로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부(1500)와; 상기 본체(1110)의 바닥에 개구된 개구부(미도시)를 개폐하는 게이트부(1400)와; 투입되어 연소된 소각재를 상기 개구부로 배출 가능하게 상기 본체(1110)의 바닥을 회전하는 스크레이퍼(1350)를 구비한 회전부(1300)와; 상기 게이트부(1400)로부터 배출되는 소각재를 본체(1110)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재회수부(1450):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소각 장치(1000)는, 소각되는 원재료를 소각부(1100)로 투입하는 투입부(1200)와, 소각부(1100)에서 발생한 가스 및 분진, 재 등을 유입시켜 분진, 재 등을 포집하는 집진부(1800)와, 소각부(1100)에서 배출되는 높은 온도의 배출가스와 외부 공기가 혼합될 수 있도록 집진부(1800)와 소각부(1100) 사이에 배치된 에어믹스부(1600)와, 배출되는 고온의 배출가스와 열교환을 하여 온수 등을 배출시킬 수 있는 열교환부(170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각부(1100)는 상하 방향으로 내부가 비어 있고 하측은 막혀서 바닥을 형성하고 일정한 두께의 내화물(예를 들면, 앵커에 캐스터블(castable)이 시공된 형태)로 되고 상측은 연소된 고온의 가스에 부분적으로 분진, 재 등이 배출되는 배출 가스 라인이 결합된 형태의 본체(1110)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1110)의 중앙 하측에는 연소를 위한 공기가 주입되는 공기 분사노즐(1130)이 구비되고, 본체(1110)의 측면 일측에는 본체(1110) 내부에서 소각되는 제품을 연소시키 위해 경유 등을 고압으로 분무시켜줄 수 있는 연료노즐(1553)이 복수로 구비되며, 본체(1110)의 측면 타측에는 본체(1110) 내부로 소각되는 원소재를 투입하는 투입부(1200)가 결합되어 있다.
투입부(1200)는 소각되는 원소재를 수용하는 투입호퍼(1210)와, 투입호퍼(1210)의 하측에 결합되어 투입호퍼(1210)에 수용된 원소재를 본체(1110)로 이송시키는 스크류를 포함하는 투입스크류(1230)와, 투입스크류(1230)의 최단부에 결합되어 자중으로 투입스크류(1230)의 개구부(미도시)를 닫아 본체(1110) 내부에서 소각되는 과정에서 고온의 열, 분진 등이 투입스크류(1230) 측을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역류방지도어(125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부(1300)는 본체(1110)의 바닥 중앙부에 결합되어 회전하면서 소각되는 원소재를 회전시키거나 소각된 재를 게이트부(1400)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한다. 회전부(1300)는 모터를 포함하는 감속기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축(1320)과, 회전축(132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면서 본체(1110)에 결합된 고정플랜지(1360)와, 본체(1110) 내측에 회전축(1320)의 상측에 결합되어 회전축(1320)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소각된 재나 소각될 원소재가 회전축(1320)으로 유입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회전축커버(1340)와, 회전축커버(1340)에 결합되어 회전하면서 본체(1110)의 바닥에 수용된 원소재 또는 재를 긁어서 이동시킬 수 있는 스크레이퍼(1350)와, 회전축(1320)의 내측에 결합되어 분사노즐(1130)을 결합하고 공기의 통로를 형성하는 노즐고정부(1310)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축(1320)에는, 도 3 및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회전을 할 수 있도록 형성된 틈새 사이로 재 등이 유입되는 경우 유입된 재가 본체(11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내주측과 외주측에 예를 들면 네 개의 상하 방향으로 함몰 형성된 내부 및 외부그루브(1323, 1325)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그루브(1323, 1325)는 재를 배출시킬 뿐만 아니라 공기가 유입되는 통로가 되어 고온의 열로 인해 회전축(1320)이 팽창하는 등의 변형을 예방할 수 있다. 이러한 내부 및 외부그루브(1323, 1325)와 연통할 수 있도록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플랜지(1360)의 내측에는 관통 형성된 에어홀(1363)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회전축(1320)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열에 의하여 산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본체(1110)의 바닥에서 일정한 높이(도 4a의 'H1' 참조)의 재질을 STS310S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축커버(1340)는 회전축(1320)의 상측에 결합되어 본체(1110) 내부에서 스크레이퍼(1350)와 결합되어 스크레이퍼(135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회전축커버(1340)는 본체(1110) 내부의 재 등이 회전축(1320)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외경측에는 역 U자형의 걸림턱(1345)이 형성되어 있고 내경측에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점점 높아지는 형상의 커버스커트(134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회전부(1300)에서 소각될 원재료를 본체(1110) 내부에서 스크레이퍼(1350)로 회전시키고 소각된 재를 스크레이퍼(1350)가 회전되면서 본체(1110) 바닥의 재를 게이트부(1400)로 안내할 수 있으므로 소각 능력을 배가시킬 수 있고 고온의 본체(1110) 내부의 열기가 존재함에서 자동으로 소각된 재를 안전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게이트부(1400)는 도 3,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10)의 바닥에 형성된 개구부(미도시)를 개폐하여 소각된 재를 재회수부(1450)로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 게이트부(1400)는 본체(1110)의 반경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개구부를 밀폐 내지 개폐할 수 있도록 역 T자형으로 고온 등에 변형이 되지 않도록 두꺼운 두께의 게이트도어(1410)와, 게이트도어(1410)가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도어안내가이드(1430)와, 게이트도어(1410)가 본체(1110)의 반경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하는 도어실린더(1440)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재회수부(1450)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부(1400)의 하측에 결합되어 게이트부(1400)에서 배출되는 연소하고 남은 찌꺼기, 재 등을 본체(1110) 외부로 배출시켜 재 등을 수거할 수 있도록 한다. 재회수부(1450)는 배출된 재를 이송시킬 수 있도록 스크류를 포함하는 재회수스크류(1453)와. 재회수스크류(1453)에 동력을 제공하는 재회수구동부(1455)를 포함하며, 게이트부(1400)와 결합되어 재가 유입되는 투입구(1451)와, 유입된 재가 이동하여 배출되는 배출구(1457)를 구비하고 있다.
송풍부(1500)는 본체(1110) 내부로 연소시 필요한 공기를 공급하며 공기를 본체(1110)측으로 유입시키는 송풍기(1511)와, 송풍기(1511)에서 본체(1110)로 공기를 안내하는 송풍라인(1513)으로 이루어져 있다.
연료부(1550)는, 본체(1110) 내부에서 원소재가 연소될 수 있도록 경유를 포함하는 연료를 공급해 주며,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탱크(1551)와, 본체(1110) 내부에 결합되어 연료를 분사시키는 연료노즐(1553)과, 연료탱크(1551)의 연료를 연료노즐(1553)로 안내해 주는 연료라인(1555)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연료노즐(1553)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로 구비되어 본체(1110)의 중심축선과 일정하게 설정된 각도로 경사진 방향(도 2의 'Θ1' 참조)으로 연료를 분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분사에 의해 연료가 중앙에 마련된 공기 분사노즐(1130)을 향하여 분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에어믹스부(1600)는,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110)와 연결되어 상기 배출가스를 안내하는 내측안내덕트(1610)와, 외기가 상기 집진부(1800)측으로 유입되도록 안내하여 외기와 배출가스가 혼합되도록 상기 내측안내덕트(1610)의 외측에 내측안내덕트(1610)와 결합된 외부공기덕트(162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어믹스부(1600)는 소각부(1100)의 용량, 배출가스의 량, 집진부(1800)의 송풍 등력 등에 따라 복수로 구비될 수 있고 일례로 두 개가 연속되어 설치된 예가 도 1이다.
외부공기덕트(1620)는, 내측안내덕트(1610)를 내측에 수용할 수 있도록 내측안내덕트(1610)보다 외경이 더 크고 더 큰 외경 영역을 통해 외기가 유입될 수 있다. 외부공기덕트(1620)는 덕트본체(1621), 콘부재(1623), 결합부재(1625), 길이조절부재(1627)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덕트본체(1621)는 내측안내덕트(1610)보다 큰 외경을 가지며 내측에 내측안내덕트(1610)가 지지될 수 있는 덕트내측가이드(1621a)를 포함한다. 콘부재(1623)는 덕트본체(1621)에서 콘 형상으로 점점 더 외경이 적어지는 영역으로 내측에 소각부(1100)에 유입되는 고온의 공기와 턱트본체(1110)의 내측과 내측안내덕트(1610) 외측의 공간 사이로 유입되는 상온의 외부 공기가 보다 용이하게 혼합될 수 있도록 비틀린 형상의 혼합블레이드(1623a)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부재(1625)는 외부 공기와 소각부(1100)에 배출되는 고온의 공기가 혼합되어 집진부(1800)로 안내되도록 한다. 결합부재(1625)에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된 길이조절부재(1627)가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집진부(1800)에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력과 소각부(1100)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가스, 분진 등의 배출되는 힘에 의해 외부 공기를 에어믹스부(1600)로 유입시켜 고온의 공기가 냉각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간단한 구조에 의해 보다 효과적으로 고온의 공기를 냉각시킬 수 있어 냉각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열교환기와 같은 복잡한 구조를 배제시킬 수 있어 경제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출원인의 시험결과에 따르면 약 1200도 정도의 고온의 가스가 에어믹스부(1600)를 통과하는 경우 고온의 가스가 약 500~300도 정도로 냉각이 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에어믹스부는 일종의 배출가스 덕트라인에서 고온의 배출가스와 외부 공기를 혼합하는 라인타입 공냉식 열교환기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기 냉각을 통해 집진부에서는 집진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집진부(1800)는 소각부(1100) 하류에 연결되어 소각부(1100) 내부에서 발생한 분진을 포집하는 백필터(미도시), 백필터 후방에 설치되어 소각부(1100)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송풍기(미도시)와, 백필터에 의해 포집된 입자를 저장하는 호퍼(미도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백필터는 고온의 공기와 접하기 때문에 카본을 포함하는 고온에 견디는 재질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하고 편리하게 소각물을 교반하여 소각 처리 능력을 배가시키면서 소각된 재를 배출할 수 있는 고온 소각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집진기를 고열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라인 공냉식 열교환기를 설치하여 집진 능력을 향상시키고 소각을 하는 과정에서 소각로 내부의 열기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소각물을 교반하여 소각처리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안전하게 소각된 재를 제거할 수 있는 고온 소각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소각되는 제품을 투입, 소각, 집진, 소각된 재처리를 완전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는 고온 소각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도시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100 : 소각 장치 1100 : 소각부
1110 : 본체 1130 : 분사노즐
1200 : 투입부 1210 : 투입호퍼
1230 : 투입스크류 1250 : 역류방지도어
1300 : 회전부 1310 : 노즐고정부
1320 : 회전축 1323, 1325 : 내부 및 외부그루브
1340 : 회전축커버 1343 : 커버스커트
1345 : 걸림턱 1350 : 스크레이퍼
1360 : 고정플랜지 1363 : 에어홀
1400 : 게이트부 1410 : 게이트도어
1430 : 도어안내가이드 1440 : 게이트도어실린더
1450 : 재회수부 1453 : 회수스크류
1455 : 회수구동부 1451, 1457 : 투입구, 배출구
1500 : 송풍부 1511 : 송풍기
1513 : 송풍라인 1550 : 연료부
1551 : 연료탱크 1553 : 연료노즐
1555 : 연료라인
1600 : 에어믹스부 1610 : 내측안내덕트
1620 : 외부공기덕트 1621 : 덕트본체
1621a : 덕트내측가이드 1623 : 콘부재
1623a : 혼합블레이드 1625 : 결합부재
1627 : 길이조절부재 1700 : 열교환부
1800 : 집진부

Claims (5)

  1. 고온 소각 장치에 있어서,
    소각 대상물을 수용하여 소각 대상물을 연소시키는 원통 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마련되어 소각되는 제품에 공기를 공급하는 분사노즐을 구비한 소각부와;
    상기 본체에서 고온 연소를 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상기 분사노즐로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부와;
    상기 본체의 바닥에 개구된 개구부를 개폐하는 게이트부와;
    투입되어 연소된 소각재를 상기 개구부로 배출 가능하게 상기 본체의 바닥을 회전하는 스크레이퍼를 구비한 회전부와;
    상기 게이트부로부터 배출되는 소각재를 본체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재회수부: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부는 상기 본체의 중앙에 상기 스크레이퍼를 회전시키는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과 내주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 가능하게 함몰 형성된 외부 및 내부그루브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을 상측에서 덮는 회전축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 소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서 연소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스와 재를 포함하는 배출가스를 포집하는 집진부와;
    상기 본체와 연결되어 상기 배출가스를 안내하는 내측안내덕트와, 외기가 상기 집진부측으로 유입되도록 안내하여 외기와 배출가스가 혼합되도록 상기 내측 안내덕트와 결합된 외부공기덕트를 포함하는 에어믹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 소각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상측의 상기 본체에 인접된 재질은 STS310S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 소각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로 소각 대상이 되는 소재를 투입하는 투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투입부의 단부에는 상기 본체의 열기, 재가 상기 투압부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투입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 소각 장치.
KR1020180058209A 2018-05-23 2018-05-23 고온 소각 장치 KR1018995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8209A KR101899512B1 (ko) 2018-05-23 2018-05-23 고온 소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8209A KR101899512B1 (ko) 2018-05-23 2018-05-23 고온 소각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9512B1 true KR101899512B1 (ko) 2018-09-18

Family

ID=63718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8209A KR101899512B1 (ko) 2018-05-23 2018-05-23 고온 소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95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1337B1 (ko) * 2021-04-20 2022-07-14 이경록 다종 폐기물을 고온으로 소각 처리하는 무공해 연소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3813B1 (ko) * 2005-03-10 2007-05-04 (주)청원에너지 연속식 건류가스 발생장치
KR100997348B1 (ko) * 2010-04-27 2010-12-06 (주)코리엔텍 폐기물의 건류 소각장치
KR101055854B1 (ko) * 2010-08-26 2011-08-09 (주)코리엔텍 폐기물 건류 소각장치
KR101437933B1 (ko) * 2012-10-08 2014-09-11 에코매니지먼트코리아홀딩스 주식회사 폐기물 소각과 슬러지 건조 처리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3813B1 (ko) * 2005-03-10 2007-05-04 (주)청원에너지 연속식 건류가스 발생장치
KR100997348B1 (ko) * 2010-04-27 2010-12-06 (주)코리엔텍 폐기물의 건류 소각장치
KR101055854B1 (ko) * 2010-08-26 2011-08-09 (주)코리엔텍 폐기물 건류 소각장치
KR101437933B1 (ko) * 2012-10-08 2014-09-11 에코매니지먼트코리아홀딩스 주식회사 폐기물 소각과 슬러지 건조 처리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1337B1 (ko) * 2021-04-20 2022-07-14 이경록 다종 폐기물을 고온으로 소각 처리하는 무공해 연소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38583B2 (ja) 高温熱分解焼却炉
CN105157032B (zh) 磁化裂解装置
CN207797062U (zh) 一种有机固体废弃物热解焚烧炉及其系统
KR100312137B1 (ko) 열분해식 폐기물 자동 소각장치
CN111023100A (zh) 一种化学实验室垃圾焚烧处理系统
KR101237761B1 (ko) 비산재 분리 기능을 갖는 원심형 연속 연소장치
KR101899512B1 (ko) 고온 소각 장치
CN110425547A (zh) 一种含油污泥处理成套设备
KR100898175B1 (ko) 소각 보일러
KR102223686B1 (ko) 악취 제거장치가 내장된 고효율 폐기물처리 설비
KR102015724B1 (ko) 고온 소각 장치
KR101971932B1 (ko) 친환경 다층고온 소각장치
KR100983631B1 (ko) 유기성 폐기물 탄화 시스템
KR20130009534A (ko) 음식물처리장치가 탑재된 청소차량
CN112283710B (zh) 一种在高原环保高效的焚烧炉热量回收循环利用装置
KR102335402B1 (ko) 고효율 고온 소각 장치
KR101919604B1 (ko) 고온 소각 장치
KR100294422B1 (ko) 소각 가스로
JP2004239470A (ja) 肉粉等廃棄物の燃焼方法
CN106765175B (zh) 生活垃圾焚烧处理系统
KR102190765B1 (ko) 다층 고온 열분해 소각장치
JP3002694B2 (ja) 高分子系廃棄物の焼却装置
KR100284651B1 (ko) 고온 열분해식 자동 소각장치
KR200241617Y1 (ko) 소각로의 건류가스 발생장치
KR20020018911A (ko) 연소통이 회전되는 고체 연료 연소버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