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9499B1 - 원터치 도어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원터치 도어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9499B1
KR101899499B1 KR1020110031487A KR20110031487A KR101899499B1 KR 101899499 B1 KR101899499 B1 KR 101899499B1 KR 1020110031487 A KR1020110031487 A KR 1020110031487A KR 20110031487 A KR20110031487 A KR 20110031487A KR 101899499 B1 KR101899499 B1 KR 1018994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touch
ratchet bolt
displacement mean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1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8878A (ko
Inventor
박한영
Original Assignee
박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한영 filed Critical 박한영
Publication of KR20120108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88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9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94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8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38Sliding handles, e.g. push butt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8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 E05C1/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 E05C1/16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the handle or member moving essentially in a plan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wing or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2Automatic catches, i.e. released by pull or pressure on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6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in which the securing part if formed or carried by a spring and moves only by distortion of the spring, e.g. sn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 도어의 개폐장치와 같이 도어 손잡이를 돌려 래칫볼트를 움직여 도어프레임의 걸림홈에서 빼내는 방식이 아니라, 단순히 터치부재(일종의 손잡이)를 밀거나 당기는 원터치 동작에 의하여 쉽게 도어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한 원터치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도어 개폐장치는 도어에 장착되고 회전축과 진퇴축 및 경사면과 걸림면을 갖는 래칫볼트;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선회하여 함몰된 래칫볼트가 돌출되도록 하는 복귀수단; 도어에 장착되고 상기 래칫볼트를 걸림상태에 머물도록 하는 제1탄성부재; 도어에 장착되고 상기 진퇴축과 연결된 변위수단; 및 상기 변위수단을 움직이고 도어의 내외면에 각각 구비된 제1 및 제2 터치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원터치 도어 개폐장치{QUICK OPEN AND SHUT APPARATUS FOR DOOR}
본 발명은 기존 도어의 개폐장치와 같이 도어 손잡이를 돌린 후 밀거나 당기는 투스텝(two step) 동작에 의하여 래칫볼트를 움직여 도어프레임의 걸림홈에서 빼내는 방식이 아니라,
단순히 터치부재(일종의 손잡이)를 밀거나 당기는 원터치 동작에 의하여 쉽게 도어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한 원터치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도어 개폐장치의 제1구현예에 대한 절개 사시도.
도 1c 및 도 1d는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도어 개폐장치의 요부를 이루는 래칫볼트와 변위수단, 중계부재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e는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도어 개폐장치의 제2구현예에 대한 절개 사시도.
도 1f는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도어 개폐장치의 제3구현예에 대한 절개도면.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도어 개폐장치의 제1, 제4, 제5 구현예에 대한 비교도면.
도 2b 및 도 2c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도어 개폐장치의 요부를 이루고 제4 및 제5 구현예에 해당하는 래칫볼트와 변위수단, 중계부재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d 및 도 2e는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도어 개폐장치의 제4 및 제5 구현예에 대한 동작 관련 도면.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도어 개폐장치에서 도어 손잡이(핸들)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a, 도 4b, 도 4c및 도 4d는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도어 개폐장치의 제6구현예에 대한 절개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도어 개폐장치의 제1구현예에서 도어를 닫고 여는 동작과 관련된 도면들.
도 6a 내지 도 6h는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도어 개폐장치를 위한 잠금수단과 관련된 도면들.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도어 개폐장치의 제1구현예는
도어에 장착되고 회전축과 진퇴축 및 경사면과 걸림면을 갖는 래칫볼트;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선회하여 함몰된 래칫볼트가 돌출되도록 하는 복귀수단;
도어에 장착되고 상기 래칫볼트를 걸림상태에 머물도록 하는 제1탄성부재;
도어에 장착되고 상기 진퇴축과 연결된 변위수단; 및
상기 변위수단을 움직이고 도어의 내외면에 각각 구비된 제1 및 제2 터치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도어 개폐장치의 제2구현예는
도어에 장착되고 회전축과 진퇴축 및 경사면과 걸림면을 갖는 래칫볼트;
도어프레임의 걸림홈에 장착되고 상기 래칫볼트를 경사면과 접촉시 후퇴하는 걸림부재;
도어에 장착되고 상기 진퇴축과 연결된 변위수단; 및
상기 변위수단을 움직이고 도어의 내외면에 각각 구비된 제1 및 제2 터치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도어 개폐장치에서
제1터치부재는 당김동작에 의하여 변위수단을 움직이고, 제2터치부재는 미는 동작에 의하여 변위수단을 움직이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1터치부재는 변위수단의 결합부위에 유격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2터치부재가 움직일 때 비연동되며,
상기 제1탄성부재의 탄성을 상기 래칫볼트를 전달하는 중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도어 개폐장치에서
상기 중계부재는 체류부를 갖고, 상기 변위수단은 상기 체류부에 결합되는 걸림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1 및 제2 터치부재는 제1 및 제2 스프링에 의하여 탄지되고, 제1 및 제2 터치부재는 안정된 직선운동을 보조하는 가이드부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도어 개폐장치(A)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1a, 도 1b 및 도 6a를 참고하여 특정하면,
전방은 제1터치부재(40A)측이고 주로 실내이며, 후방은 제2터치부재(40A)측이고 주로 실외이고,
노출방향은 하우징(H)의 노출패널(H2) 우측을 의미하고, 수납방향은 그 반대인 하우징(H) 내부측을 의미한다.
먼저, 도 1a, 도 1b, 도 1c, 도 1d와 도 6a 및 도 6f(다양한 방향에서 관찰하고 절개한 도면들을 도시함)는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도어 개폐장치(A)의 제1구현예에 대한 절개 사시도인데,
장착성 향상을 위한 실린더형 하우징(H)은 도어(D)의 장착부에 장착되며, 상기 하우징(H)에 내장된 래칫볼트(10)는 도어 측면에 구비된 노출패널(H2)(도 1b 참조)의 구멍(H2a)으로 출몰함에 따라 도어프레임(F)(도 6f 참조)의 걸림홈(F1)에 걸려 도어가 폐쇄상태를 유지하고 해제되어 도어가 개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어(D)(도 6f 참조)에 하우징(H)을 통하여(하우징에 내장된 후) 장착되는 래칫볼트(10)는 회전축(11A)과 진퇴축(11B) 및 경사면(11a)과 걸림면(11b)을 갖는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도어 개폐장치(A)는 역시 도어에 장착되고(하우징을 통하여)
상기 래칫볼트(10)가 도 1a의 상태를 유지하게 하여 도어프레임(F)의 걸림홈(F1)에 래칫볼트(10)가 걸려 도어의 닫힘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복귀수단이 구비되는데,
구체적으로 상기 복귀수단은 코일스프링(S2), 보다 구체적으로 도 1d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회전축(11A)과 진퇴축(11B) 각각에 구비된 비틀림코일 스프링(S2a)(S2b)으로, 회전축(11A)과 진퇴축(11B)을 중심으로 탄성을 가하여 래칫볼트(10)의 돌출, 직립, 닫힘 상태를 유지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도어 개폐장치(A)는 도어(D)에 장착되고 상기 래칫볼트(10)를 걸림상태에 머물도록 하는 제1탄성부재(S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도어 개폐장치(A)는 도어에 장착되고(하우징을 통하여) 상기 진퇴축(11B)과 연결된 변위수단(30), 및
상기 변위수단(30)을 움직이고 도어의 내외면에 각각 구비되며, 종래 도어와 같은 도어 손잡이(핸들) 역할을 하나 밀거나 당기는 원터치 동작에 의하여 래칫볼트(10)를 움직이는 제1 및 제2 터치부재(40A)(40B)를 더 포함한다.
도 1a, 도 1b, 도 1c, 도 1d와,
도 5a 및 도 5b 각각은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도어 개폐장치의 제1구현예에서 도어를 닫고 여는 동작과 관련된 도면들인데, 이들 도면을 살펴보면,
제1터치부재(40A)는 당김동작에 의하여 당김대(45A) 단부(45a)가 스윙부재(31)의 작용부(31A)를 움직이면
스윙부재(31)는 스윙축(31S)(도 1d 참조)을 중심으로 선회하여 전방으로 스윙 운동하여 변위수단(30)의 연결부(30a)(도 1c 참조, [A]는 분해사시도, [B]는 결합사시도)를 당기면
변위수단(30)의 걸림부(33)가 중계부재(50)의 체류부(53)에서 벗어나 분리되고,
사용자가 도어를 밀고 당기는 힘이 래칫볼트(10)의 진퇴축(11B)을 하우징(H) 내부로 끌어당기므로 회전축(11A)을 중심으로 선회하면서 래칫볼트(10)의 경사면(11a)이 하우징 내로 들어오고 걸림면(11b)이 노출패널(H2)의 구멍(H2a)에 내측에 위치하게 되어
도어프레임(F)의 걸림홈(F1)에서 래칫볼트(10)가 빠지게 되므로 도어(D)의 개방이 가능하게 된다.
제1터치부재(40A)를 당기는 힘과 도어를 여는 힘이 사라지고, 도어의 개방으로 도어가 도어프레임에서 벗어나 래칫볼트를 누르는 힘이 사라지면, 래칫볼트(10)는
상기 회전축(11A)을 중심으로 선회하여 함몰된 래칫볼트(10)가 돌출되도록 하는 복귀수단, 구체적으로 코일스프링, 보다 구체적으로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 타입으로 상기 회전축(11A)과 상기 진퇴축(11B)각각에 구비된 제2탄성부재(S2a)(S2b)에 의하여 다시 회전축(11A)을 중심으로 선회하여 래칫볼트(10)의 선회 돌출 복귀 동작이 이루어지고,
다시 변위수단(30)의 걸림부(33)가 중계부재(50)의 체류부(53)에 걸려 구속되어 래칫볼트의 임의 함몰, 후퇴, 수납이 방지되며,
스윙부재(31)는 스윙축(31S)에 구비된 스프링(31s)(도 1d 참조)에 의하여 다음 개방동작을 대비한다.
이에 비하여 제2터치부재(40B)는 미는 동작에 의하여 밀대(45B) 단부(45b)가
스윙부재(31)의 작용부(31B)를 밀어 움직이면 스윙부재(31)는 스윙축(31S)(도 1d 참조)을 중심으로 선회하여 전방으로 스윙 운동하여 변위수단(30)의 연결부(30a)(도 1c([A]는 분해사시도, [B]는 결합사시도) 및 도 1d 참조)를 당기면
변위수단(30)의 걸림부(33)가 중계부재(50)의 체류부(53)에서 벗어나 분리되어
래칫볼트(10)의 진퇴축(11B)을 당겨 래칫볼트(10)가 회전축(11A)을 중심으로 선회하여 하우징(H)에 내장된다. 이하의 동작은 제1터치부재(40A)와 관련하여 설명한 방식과 같다.
도 4a 및 도 4b의 제6 변형예와 달리, 제1변형예에서는 도어(D)를 닫으면 도어프레임(F)의 걸림홈(F1)을 구성하는 통상의 금속부재와 래칫볼트(10)의 경사면(11a)이 접촉하게 되면서,
래칫볼트(10)가 후퇴함에 따라 변위수단(30)의 걸림부(33)가 중계부재(50)의 체류부(53)에 결합되어 상호 구속되므로
변위수단(30) 및 중계부재(50)는 함께 하우징(H) 내부로 후퇴하게 되고,
도 1c와 같이 중계부재(50)의 밀판(51)에 의하여
도어에 장착되고 상기 래칫볼트(10)를 걸림상태에 머물도록 하는 제1탄성부재(S1)가 밀려
단면이 원형인 바타입의 안내체(S1a)가 연동 후퇴함에 따라 안정되게 수축하게 되어
래칫볼트(10)가 선회운동 없이 수평운동을 하여 함몰되어 노출패널(H2)의 구멍(H2a) 내부로 들어와 도어의 닫힘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코일스프링 형태인 제1탄성부재(S1)의 노출방향 단부는 중계부재(50)의 밀판(51)과 접촉하며, 수납방향 단부는 하우징(H)의 걸림턱(H3)(도 1c [B] 및 도 1d 참조)에 구속되며,
안내체(S1a)는 중계부재(50)에 결합 고정되어 있다.
도 1a 내지 도 1d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터치부재(40A)(40B)는 기본적으로 도어의 내외에 각각 구비되고, 하우징(H)에 고정된 제1 및 제2스프링(41A)(41B)에 의하여 탄지되는데,
이 두 스프링은 콘 타입 스프링이며, 각 터치부재의 당김대(45A)와 밀대(45B) 외주면에 구비되어
제1 및 제2 터치부재(40A)(40B) 각각을 내외측으로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비하여 도 1e에는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도어 개폐장치(A)의 제2구현예에 대한 절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제1구현예와 달리 제1 및 제2 터치부재(40A)(40B) 각각이 주름관 타입의 스프링(41m)에 의하여 탄지되는 형태이다.
또 도 1d [A]와 도 1a 내지 도 1c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도어 개폐장치(A)는 하우징(H)이 두 분체(Ha)(Hb)로 되어 억지끼움이나 볼트 결합, 용접결합, 밴드 결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된다.
이 하우징(H) 수납방향측 단부(특히 분체(Ha))에는 결합홀(Hh)이 형성되어 있어
제1 및 제2 터치부재(40A)(40B)에서 도어측면과 접하는 디스크(42A)(42B)(도 1a, 도 6d [A], 도 6e 참조)의 결합 돌기(44a)(44b)에 의한 리벳팅 또는 볼트 결합이 가능하다.
한편, 도 1d [A]에서 스윙부재(31)는 수납측 단부에 형성된 축공(31H)과 하우징(H) 분체(Ha) 수납측 단부에 형성된 대응 축공(31h)에 스윙축(31S)이 스프링(31s)을 개재한 상태로 조립되는 형태로 하우징(H)에 결합된다.
도 6a 및 도 1a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터치부재(40A)(40B)는 연장된 원통부재(40a)(40b)를 갖고, 이 원통부재(40a)(40b)가 각 디스크(42A)(42B)의 연장 슬리브(42a)(42b)에 암수 결합되어 안정된 전후진 동작이 보장된다. 이 원통부재(40a)(40b) 및 슬리브(42a)(42b)의 암수결합 형태는 도 1a, 도 1e 및 도 6a와 도 1b, 도 1f에서 서로 다른데 이는 다양한 구현형태를 나타내기 위한 것일 뿐이다.
한편, 상기 각 디스크(42A)(42B)는 도어의 내외측과 접하는데, 도 6d 및 도 6e와 도 6a 내지 도 6c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내외측 디스크(42A)(42B)의 접면에는 하우징(H)과의 결합을 위하여 결합 돌기(44a)(44b)가 형성되어 있고,
두 디스크(42A)(42B)의 상호 결합을 위하여 상하 엇갈린 위치에는 각각 상호 암수결합되는 암돌기(44A,44A')와 수돌기(44B)(44B')가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에는 당김대(45A)와 밀대(45B)의 관통을 위한 삽입홀(40h)이 형성되어 있고,
터치부재(40A)(40B)의 안정된 전후진 동작을 돕는 그네형 가이드부재(43A)(43B)의 고정축(43s)(도 6c 참조) 역할을 하는 장착돌기(42C)(42D)가 공통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도 6d [A]에서, 내측 디스크(42A)의 접면에는 잠금수단(60)을 이루는 레버(61)를 위한 통공(48A)이 형성되어 있고,
제1터치부재(40A)의 당김시 잠금상태에 있는 잠금쇠(63)를 들어 올려 언록킹 상태가 되도록 하는 제1 및 제2 매개레버(64)(66)(도 6c 참조)의 장착을 위한 축설돌기(46A)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6e [A] 및 [B]에서, 외측 디스크(42B)의 접면에는 잠금수단(60)을 이루는 열쇠뭉치(65)를 이루는 연동봉(65B)(도 6c 참조)을 위한 통공(48B)이 형성되어 있고, 이 통공(48B) 주변에는 두 스토퍼(48b)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잠금쇠(63)를 위한 축설돌기(46B)가 형성되어 있고, 이 축설돌기(46B) 주변에는 역시 스토퍼(46b)가 형성되어 있고, 잠금쇠(63)의 록킹 및 언록킹, 2가지 상황 고정을 위한 스프링 설치돌기(46b')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1d에서 상기 래칫볼트(10), 변위수단(30), 중계부재(50)를 위한 구성요소는 하우징(H)에 내장되는데,
노출방향 단부에는 래칫볼트 출몰 구멍(H2a)이 형성되고 도어의 측면에 결합되고 커버 역할을 하는 노출패널(H2)이 구비되며,
래칫볼트(10) 등이 유격 없이 수납되도록 별도의 내부패널(H2A)이 구비되어 있고,
래칫볼트(10)의 회전축(11A) 및 진퇴축(11B) 각각은 복귀수단인 제2탄성부재(S2a)(S2b)를 개재한 상태로 중계부재(50) 및 변위수단(30)과 결합되어 있다.
또 제1 및 제2 터치부재(40A)(40B)의 동작과 무관한 래칫볼트(10)의 수납시 중계부재(50)를 가이드 하는 안내판(Hc)이 전방에 배열되어 있고,
도 1d [B]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중계부재(50)의 안내판(Hc) 접촉면에는 롤러(50w)가 구비되어 있어 터치부재(40A)(40B)와 무관한 [래칫볼트(10)-변위수단(30)-중계부재(50) 조립체]의 후퇴동작을 일으키는
도어 닫힘 동작시의 래칫볼트의 경사면(11a)에 작용하는 전후진 방향 힘에 수직 방항으로 상기 [조립체]가 연동함에 있어 보다 원활한 동작을 보장하게 된다.
상기 하우징(H)에는 패널 타입의 두 가이더(H1)가 구비되어 있고, 각 가이더(H1)의 슬릿(H1a)에는 중계부재(50)(상대적으로 큰 슬릿에 결합) 및 변위수단(30)(상대적으로 작은 슬릿에 결합)이 관통 결합되어 있어 안정된 수평 이동이 가능하다.
나아가 변위수단(30)의 연결부(30a)는 스윙부재(31)의 양 분지부(31a)에 의하여 구속되어
제1 및 제2 터치부재(40A)(40B)의 당기고 미는 동작에 따라 스윙부재(31)가 스윙축(S)을 중심으로 움직이면서 변위수단(30)의 당김 동작(래칫볼트(10)의 선회 운동으로 이어짐)이 가능하게 되는데,
도 5a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터치부재(40A)(40B)의 동작과 무관한 래칫볼트(10)의 수납시에는 스윙부재(31)의 양 분지부(31a) 사이의 장홈을 따라 스윙부재(31)와 무관하게 변위수단(30)의 연결부(30a)(즉, [래칫볼트(10)-변위수단(30)-중계부재(50) 조립체])가 수납방향측으로 움직이게 된다.
다음으로 도 1a 내지 도 1d와 도 6a 내지 도 6h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스프링(41A)(41B)에 의하여 탄지되는 제1 및 제2 터치부재(40A)(40B)는 요동 없이 안정된 직선운동을 보장하기 위한 가이드부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터치부재의 안정된 전후진 운동은 기본적으로 제1 및 제2 터치부재(40A)(40B)의 원통부재(40a)(40b)와 각 디스크(42A)(42B)의 연장 슬리브(42a)(42b)의 암수결합 구조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추가적으로 각 터치부재의 안정된 전후진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가이드 부재는 제1 및 제2 터치부재(40A)(40B) 마다 전후에 구비된 그네형 운동편 타입의 가이드부재(43A)(43B)로, 각 제1 및 제2 터치부재(40A)(40B)의 안정된 전후진 동작을 보장한다.
상기 가이드부재(43A)(43B)를 이루는 그네형 운동편은 6c와 도 6a, 도 6b 및 도 6g의 좌측 상부 첫 번째 도면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디스크(42A)(42B)측 방향 한 쌍의 분리형 운동편(43a')(43b')과, 반대 방향에 구비된 연결형 운동편(43a)(43b)으로 이루어지고(도 6b [A] 및 도 6e [A] 참조),
각 운동편 하단은 디스크(42A)(42B)의 하부 마주보는 면에 구비된 장착돌기(42C)(42D)에 고정축(43s)을 통하여 결합되고,
각 운동편 상단은 제1 및 제2 터치부재(40A)(40B)의 당김대(45A) 및 밀대(45B)와 연결되는 스윙체(47A)(47B)(도 6b [B] 및 도 6d [B] 참조)에 변위축(43s')(도 6c 참조)을 통하여 결합된다.
도 6b 및 도 6d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이 스윙체(47A)(47B)는 당김대(45A) 및 밀대(45B) 단부의 결합슬리브(45a')(45b')에 형성된 구멍(45a")(45b")에 결합핀을 통하여 조립되도록 각각 핀홀(47a')이 형성되어 있고,
도 6b [B] 및 도 6d [B]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각 스윙체(47A)(47B)는 중공(47a)이 형성되어 있어 여기에 당김대(45A) 및 밀대(45B)가 삽입되고,
변위축(43s')을 형성하는 축핀을 통하여 연결형 운동편(43a)(43b)과 분리형 운동편(43a')(43b')이 결합되는 핀홀(47b)(47c)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 제1터치부재(40A)의 당김시 잠금상태에 있는 잠금쇠(63)를 들어 올려 언록킹 상태가 되도록 제1매개레버(64)(도 6c 참조)의 제1단부(64a)와 접촉하는 언록킹돌기(47d)가 제1터치부재측 제1스윙체(47A)에 형성되어 있다.
이이 비하여 도 1f는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도어 개폐장치의 제3구현예에 대한 절개도면이 도시되어 있는데,
도 1a 등의 제1구현예와 달리 대안적인 가이드부재로 당김대(45A) 및 밀대(45B) 각각을 감싸는 슬리브(43m)가 도시되어 있다.
또 도 1e 및 도 1f와 도 1a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터치부재와 변위수단의 결합부위, 즉 제1터치부재(40A)의 당김대(45A)와 스윙부재(31) 사이에는 유격(45S)이 형성되어 있어,
제1터치부재(40A)의 당김대(45A)가 움직이는 경우(전방으로의 당김 동작시)에는 즉각 당김대 단부(45a)(도 1a 참조)와 스윙부재(31)의 작용부(31A)가 연동되어 움직인다.
그러나 제2터치부재(40B)의 밀대(45B)를 전방으로 미는 경우에는 밀대의 단부(45b)(도 1a 참조)와 스윙부재(31)의 작용부(31B)(31A)는 움직이지만
유격(45S)으로 인하여 제1터치부재(40A)의 당김대(45A)는 스윙부재(31)와 연동되지 않는다.
상기 스윙부재(31)의 작용부(31A)는 당김대(45A) 단부(45a)의 형상에 맞게 중앙은 폭이 럼고 양단부는 폭이 좁은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 당김대(45A) 단부(45a)를 삽입한 후 회전시키면 당김대 단부의 이탈이 방지되어 조립이 가능한 형태로 되어 있는데,
볼트나 리벳 체결 방식, 기타 별도의 수단을 이용하지 않고 단순하게 암수결합을 구현하는 방식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도입될 수 있다.
한편, 도 4a, 도 4b와 도 4d의 일련의 래칫볼트(10m)와 관련된 여러 동작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도어 개폐장치의 제6구현예에 대한 절개 사시도를 보면,
변형된 래칫볼트(10m)는 출몰 방식이 직선운동에 의한 동작은 없고,
제1 또는 제2 터치부재의 당김 또는 미는 동작에 따라 스윙부재(31)가 전후로 움직여 연결부(30a)를 기점으로 변위수단(30m1)을 당기게 되고,
변위수단(30m1)의 걸림부(33m1)가 체류부(53m1)에서 벗어나면서 사용자가 도어를 당기거나 밀어 가압하는 힘에 의하여
회전축(11A)을 중심으로 진퇴축(11B)이 당겨지고 복귀수단인 제2탄성부재(S2m)는 변형되면서
회전축(11A)을 중심으로 선회하여 경사면(11a)(도 1a 참조)이 내부로 들어오게 되어
래칫볼트(10m)가 내측(좌측)으로 함몰 수납되면서 도어프레임(F)의 걸림홈(F1)에서 벗어나 도어의 열림이 가능하다.
래칫볼트(10m)의 돌출 복귀시에는 역시 회전축(11A)(또는 진퇴축(11B), 또는 이 둘 모두)에 구비된 복귀수단인 제2탄성부재(S2m)의 힘에 의하여 래칫볼트가 선회하여 다시 선회 돌출하게 된다.
이 때 변위수단(30m1)의 걸림부(33m)는 체류부(53m)(제1실시예의 중계부재와 무관한 지칭이며, 도 1c에서의 가이더(H1)와 같은 역할을 하는 슬릿이 형성된 판상부재에 구비되어 있다)의 턱에 걸려 래칫볼트의 임의 선회가 방지되도록 되어 있으며,
이러한 걸림부 및 체류부의 기능은 이하에서 상술하는 도 1a의 제1구현예와 같다.
제1 또는 제2 터치부재의 동작 없이 문을 닫는 경우에는 변위수단(30m1)의 걸림부(33m1)가 체류부(53m1)에 결합되어 구속된 상태에서
래칫볼트(10m)는 회전축(11A)을 중심으로 선회하여 경사면(11a)이 도어프레임(F)의 걸림홈(F1)에 구비된 걸림부재(F2)를 가압함에 따라 스프링(미도시 됨)이 수축되면서 선회축(F2a)을 중심으로 선회, 후퇴함에 따라 걸림홈(F1)에 래칫볼트(10m)의 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또 도 4b와 도 4c [A] 및 [B]에는 래칫볼트(10m)에 강제 닫힘 레버(13)가 구비되어 있어
도어 측면과 도어프레임의 틈새가 균일하지 못하고, 시간경과에 따라 도어 및 도어프레임이 변형되어 틈새 크기가 변형되는 경우,
도어를 닫았을 때 래칫볼트(10m)가 완전히 도어프레임(F)의 걸림홈(F1)에 꼭 맞지 않아
래칫볼트(10m)의 완전 돌출이 방해되고, 이에 따라 도어의 닫힘이 불가능해지거나
문의 닫힘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게 되어 풍압이나 기타 힘에 의하여 임의로 열리게 되는 사태가 발생되는 상황이 일어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제1 또는 제2 터치부재의 당김 또는 미는 동작에 따라 래칫볼트(10m)가 내측(좌측)으로 함몰 수납되면서 도어프레임(F)의 걸림홈(F1)에서 벗어나 도어의 열림이 가능하게 된 다음,
다시 도어를 닫게 되면 강제닫힘레버(13)가 도어프레임의 걸림홈 주변부, 특히 걸림홈 입구를 형성하는 금속부재 노출면과 접촉함에 따라,
연결부(13a)(도면에서는 축핀이 생략되고 구멍만 보임)를 중심으로 힘이 작용하여 래칫볼트(10m)를 들어 올려 차츰 돌출되도록 하여, 강제로 래칫볼트가 도어프레임의 걸림홈에 결합되게 한다.
도 4b 및 도 4c에서 래칫볼트(10m)와 강제 닫힘 레버(13)는 일체형으로 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연결부(13a)를 중심으로 축핀(미도시됨)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고, 이 축핀에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미도시됨)이 구비되어 있는 형태여서
지렛대 역할을 하는 강제 닫힘 레버(13)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을 통하여 힘을 래칫볼트(10m)에 전달하여 래칫볼트의 강제 돌출 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도 4b 및 도 4c에서 래칫볼트(10m)와 강제 닫힘 레버(13)는 일종의 복귀수단으로 도 4a에서와 같은 복귀수단인 제2탄성부재(S2m)와 함께 사용되거나, 제2탄성부재(S2m)는 생략되고 강제 닫힘 레버(13)만을 도입할 수 있다.
나아가 도 1a에 도시된 제1실시예의 복귀수단인 두 비틀림 코일스프링(S2a,S2b)과 함께 이 강제 닫힘 레버를 도입하거나, 비틀림 코일스프링(S2a,S2b)은 생략하고 이 강제 닫힘 레버만을 사용하여 복귀수단을 구현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a [A], [B], [C]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도어 개폐장치의 제1, 제4, 제5 구현예에 대한 비교도면이고, 도 2b 및 도 2c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도어 개폐장치의 요부를 이루고 제4 및 제5 구현예에 해당하는 래칫볼트와 변위수단, 중계부재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d 및 도 2e는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도어 개폐장치의 제4 및 제5 구현예에 대한 동작 관련 도면을 살펴 본다.
도 2a의 비교도면과 같이, 하우징, 변위수단, 중계부재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도 2a의 [B], 도 2b, 도 2d의 제4구현예와 같이, 하우징(Hm)의 가이더(H1m)는 하우징 외통에 절개되어 형성된 안내홈 형태인 것이 가능하고(이에 대응하여 중계부재(50m)에는 유도돌기(55m)이 형성되어 있다),
중계부재(50m)는 변위수단(30m)을 상대적으로(제5구현예에 비하여) 부분 수용하는 형태일 수 있다. 그 구체 동작은 도 1a 및 도 1d에서와 같다.
또 도 2a [C], 도 2c, 도 2e의 제5구현예와 같이, 하우징은 변형되고, 가이더는 하우징 외통에 절개되어 형성된 안내홈 형태이고,
중계부재(50m1)는 변위수단(30m1)을 상대적으로(제4구현예에 비하여) 완전히 수용하는 형태일 수 있다. 그 구체 동작은 도 1a 및 도 1d에서와 같다.
다음으로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도어 개폐장치에서 도어 손잡이(핸들)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로,
디자인의 다양성 보장과 상대적으로 고급 및 고가 제품에 대한 차별화를 위한 핸들을 제공하거나, 어린이나 노약자, 환자를 위하여 보다 넓은 접촉면적을 갖는 핸들을 제공하거나, 화재시 등의 비상시 사용되는 방화도어 등의 비상문을 위한 핸들의 제안이 가능하다.
도 3a는 수평형 터치부재(40m)로 긴 막대 형상이고, 상부에는 밀거나 당기는 경우의 터치하는 힘이 고르게 변위수단(30)에 전달되도록 하는 지지부(40s)가 구비되어 있다.
도 3b는 수직형 터치부재(40m1)로 역시 긴 막대 형상이고, 상부에는 밀거나 당기는 경우의 터치하는 힘이 고르게 변위수단(30)에 전달되도록 하는 지지부(40s)가 구비되어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도어 개폐장치는 통상의 도어와 같이 잠금수단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a 내지 도 6e를 비롯하여 6f, 도 6g, 도 6h는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도어 개폐장치를 위한 잠금수단과 관련된 도면이다.
상기 잠금수단(60)은 제1디스크(42A)의 통공(48A)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내측에 복귀스프링(61s)을 갖는 잠금레버(61)와, 잠금쇠(63), 열쇠뭉치(65) 등으로 구성된다.
이 잠금레버(61)의 단부 누름돌기(61a)에 의하여 잠금쇠(63)의 잠금단부(63a) 상면이 눌리는 경우(도 6e [A] 참조)
잠금쇠(63)는 제2디스크(42B)의 축설돌기(46B)를 중심으로 선회하여 잠금단부(63a)(도 6e [A] 참조)가
밀대(48B) 단부의 결합슬리브(45b')에 형성된 구멍(45a")(45b")에 결합핀을 통하여 조립되도록 각각 핀홀(47a')을 갖는 제2스윙체(47B)의 진퇴를 막게 되어, 외부에서 열쇠를 이용하지 않고 도어를 개방할 수 없다.
잠금(록킹)동작시에는 도어 내측과 외측 모두에서 잠금레버(61)를 돌려 잠금쇠(63)가 제2스윙체(47B)의 전방으로의 움직임을 차단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해제(언록킹)동작시에는 먼저 실내측에서는 단순히 제1터치부재(40A)를 당기면
제1스프링(41A)이 수축되면서 당김대(45A)가 당겨지고, 결합슬리브(45a')에 체결된 제1스윙체(47A)(도 6b 참조)가
디스크(42A)의 하부 장착돌기(42C)에 고정축(43s)을 통하여 결합된, 가이드부재(43A)인 연결형 운동편(43a)과 분리형 운동편(43a')과
변위축(43s')을 통하여 핀홀(47b)(47c)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안정되게 전방으로 움직이게 되고,
도 6c 및 도 6d에서와 같이, 제1스윙체(47A)의 상부 언록킹돌기(47d)가 축설돌기(46A)의 디스크측 제1축공(46a)에 축설된 제1매개레버(64)의 제1단부(64a)를 들어 올리고
제1매개레버(64)의 제2단부(64b)가 축설돌기(46A)의 디스크측 제2축공(46b)에 축설된 제2매개레버(66)의 제1단부(66a)를 가압하므로 제2단부(66b)가 상승하여
최종적으로 잠금쇠(63)의 잠금단부(63a) 하면을 들어 올리게 되므로
내부에서 제1터치부재(40A)를 움직여 문을 열고 나간 후 문이 닫힌 상황이 되는 경우에 잠금상태가 해제되므로 열쇠 없이도 외부에서 제2터치부재(40B)를 밀어 문을 개방할 수 있다.
잠금쇠(63)의 구속단부(63b)는 잠금쇠의 잠금 및 해제 상태 동작에 따라 제2디스크(42B)에 구비된 두 스토퍼(46b)와 접촉하면서 선회 각도가 제한되고,
또 잠금쇠(63)의 축설돌기(46B)에는 비틀림코일스프링이 구비되어 있고, 이 비틀림코일스프링의 하단부는 스프링 설치돌기(46b')에 구속되어 잠금쇠(63)의 록킹 및 언록킹 상태의 동작이 정지 고정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구성은 마치 휴대전화 중 슬라이드 폰의 개폐상태를 고정하는 형태로 탄성을 발휘하는 공지의 스프링의 기능과 같은 것이어서 구체적인 구조에 대한 설명 및 도면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도 6b 및 도 6c와 도 6f 내지 도 6h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외측에서의 해제(언록킹)동작은 열쇠를 통하여 이루어지는데,
꼭맞는 열쇠를 열쇠뭉치(65)의 열쇠구멍에 꽂고 돌리면,
구동봉(65A)이 회전하면서 상호 베벨기어(65a)(65b)를 통하여 결합된 연동봉(65B)을 돌리게 되고,
이 연동봉(65B)의 단부에 형성된 체결홀(65h)(도 6e [B] 참조)에 결합된 해제부재(65B')의 해제단부(65b')가 잠금쇠(63)의 잠금단부(63a) 하면을 들어 올리게 되므로 제2터치부재를 밀어 문을 여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외부에서 제2터치부재(40B)를 밀면
밀대(45B)의 결합슬리브(45b')에 체결된 제2스윙체(47B)(도 6e [B] 참조)가
디스크(42B)의 하부 장착돌기(42C)에 고정축(43s)을 통하여 결합된, 가이드부재(43B)인 연결형 운동편(43b)과 분리형 운동편(43b')(도 6a 참조)과
변위축(43s')을 통하여 핀홀(47b)(47c)에 결합되어 있으므로(도 6c 참조)
제2스프링(41B)이 수축되면서 밀대(45B)가 안정되게 전진하고,
스윙부재(31)의 작용부(31B)를 가압하게 되어 앞서 설명한, 래칫볼트의 선회, 함몰, 수납 동작이 이루어져 도어의 개방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레버(61)와 상기 연동봉(65B)에는 각각 복귀스프링(61s)(65s)이 구비되어 있어,
복귀스프링(61s)은 레버(61)의 누름돌기(61a)가 항상 잠금쇠(63)의 잠금단부(63a)를 가압하지 않은 상태에 머물도록 하고,
복귀스프링(65s)은 해제부재(65B')의 해제단부(65b')가 잠금쇠(63)의 잠금단부(63a)와 접촉하지 않은 상태, 즉 스윙체(47B)의 전진을 막는 상태에 있는 잠금쇠(63)의 잠금단부(63a)의 선회 하강 상태에서도 해제단부(65b')가 잠금단부(63a)와 접촉하지 않은 상태에 머물도록 한다.
이상의 설명에서 도어 개폐장치와 관련된 통상의 공지된 기술을 생략되어 있으나,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를 추측 및 추론하고 재현할 수 있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도어 개폐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예들 들어 제1 및 제2 터치부재(40A)(40B)가 각각 밀고 당기는 동작에 의하여 작동된다는 것은 통상적으로 실내에 설치되는 도어가 어느 일방향으로만 개방(주로 실내측)되는 현실에 맞게 기술을 구현한 것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실외측으로만 개방되는 도어나 실내외 양측으로 개방되는 도어인 경우에도 변형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

  1. 도어에 장착되고 회전축과 진퇴축 및 경사면과 걸림면을 갖는 래칫볼트;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선회하여 함몰된 래칫볼트가 돌출되도록 하는 복귀수단;
    도어에 장착되고 상기 래칫볼트를 걸림상태에 머물도록 하는 제1탄성부재;
    도어에 장착되고 상기 진퇴축과 연결된 변위수단; 및
    상기 변위수단을 움직이고 도어의 내외면에 각각 구비된 제1 및 제2 터치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제1터치부재는 당김동작에 의하여 변위수단을 움직이고,
    제2터치부재는 미는 동작에 의하여 변위수단을 움직이고,
    상기 제1터치부재는 변위수단의 결합부위에 유격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2터치부재가 움직일 때 비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도어 개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부재의 탄성을 상기 래칫볼트를 전달하는 중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도어 개폐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부재는 체류부를 갖고,
    상기 변위수단은 상기 체류부에 결합되는 걸림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도어 개폐장치.
  4. 삭제
  5. 삭제
KR1020110031487A 2011-03-23 2011-04-06 원터치 도어 개폐장치 KR1018994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5689 2011-03-23
KR20110025689 2011-03-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8878A KR20120108878A (ko) 2012-10-05
KR101899499B1 true KR101899499B1 (ko) 2018-09-19

Family

ID=4728042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1487A KR101899499B1 (ko) 2011-03-23 2011-04-06 원터치 도어 개폐장치
KR1020110031488A KR101899497B1 (ko) 2011-03-23 2011-04-06 원터치 도어 개폐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1488A KR101899497B1 (ko) 2011-03-23 2011-04-06 원터치 도어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18994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18155B2 (ja) 2013-08-01 2018-04-25 国立大学法人九州大学 化合物、発光材料および有機発光素子
KR20180000276U (ko) 2016-07-18 2018-01-29 송복석 도어 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9497B1 (ko) 2018-09-19
KR20120108879A (ko) 2012-10-05
KR20120108878A (ko) 2012-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44333B2 (ja) リッド開閉装置
US8267441B2 (en) Operating device for lock
US9850692B2 (en) Glove box for an automobile
US11006747B2 (en) Drive device for a movable furniture part
MX2011001433A (es) Sistema de seguro de inclinacion de ventana.
EP1900894A1 (en) Modular closure latch mechanism
KR101899499B1 (ko) 원터치 도어 개폐장치
EP2385199B1 (en) Anti-panic lock adapted to doors
KR100945694B1 (ko) 데드볼트 자동 후진구조를 갖는 모티스
EP3619380B1 (en) A handle assembly for a window or door leaf
KR101913935B1 (ko) 접이식 도어용 잠금장치
KR101663162B1 (ko) 로테이터블 래치볼트를 갖는 도어락
JP2022528311A (ja) 可動の家具部分のための駆動装置
EP3660247A1 (en) Lock and button mechanism for use in a door or a window
JP5521928B2 (ja) 框内蔵型施錠装置
CN113250545B (zh) 转动触发机构、把手及内外互开的锁定装置
KR101943733B1 (ko) 슬라이딩 창호용 그립형 잠금장치
KR101891784B1 (ko) 래치볼트가 임의로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도어록 모티스
EP2385198A2 (en) Electromechanical lock adapted to doors
KR200381043Y1 (ko) 도어록의 잠금 및 해제장치
KR200475685Y1 (ko) 미닫이 창문용 가압식 손잡이
JP7244933B2 (ja) 反転ラッチ錠
JP4158708B2 (ja) ラッチ装置、扉及び収納家具
CN212453983U (zh) 锁具
EP3085862B1 (en) Multifunction handle for fire do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