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9498B1 - 감지모듈을 이용한 도로 안내장치 - Google Patents

감지모듈을 이용한 도로 안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9498B1
KR101899498B1 KR1020160130576A KR20160130576A KR101899498B1 KR 101899498 B1 KR101899498 B1 KR 101899498B1 KR 1020160130576 A KR1020160130576 A KR 1020160130576A KR 20160130576 A KR20160130576 A KR 20160130576A KR 101899498 B1 KR101899498 B1 KR 1018994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ng
sensing module
upper block
signal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0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9360A (ko
Inventor
양일승
이혁
Original Assignee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주)유신피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주)유신피플 filed Critical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305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9498B1/ko
Publication of KR20180039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93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9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94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29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specially adapted for signalling by sound or vibrations, e.g. rumble strips; specially adapted for enforcing reduced speed, e.g. speed bump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2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treadles built into the roa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상에 함몰 설치되며 상부에서 작용하는 하중에 의해 하부방향으로 외력을 전달하는 상부블록, 평탄화 작업이 완료된 바닥의 상부에서 상기 상부블록의 하부에 적층형태로 배치되며, 상부로부터의 전달되는 외력을 완충시키는 베이스, 일부가 파이프 형태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상부블록과 상기 베이스 사이에 적층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상부블록으로부터 발생된 외력에 압력을 감지하는 감지모듈 및 상기 감지모듈에서 감지된 변위진동이 기 설정된 설정값 이상인 경우 음향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감지모듈을 이용한 도로 안내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감지모듈을 이용한 도로 안내장치{Road Guide Device Using the Sensing Module}
본 발명은 감지모듈을 이용한 도로 안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로의 바닥 내부에 직선 또는 곡선 형태의 감지모듈을 구비하여 보행자의 유무를 판단하고 이를 안내하는 감지모듈을 이용한 도로 안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도로안내장치의 경우 대부분 횡단보도의 안전시스템으로 설치되는데, 종래의 경우 신호등 하단에 버튼을 눌러 신호를 확인하는 낮은 수준으로 설치되어 있다.
특히 시각장애인의 경우 실질적으로 버튼을 누르기 힘들어 제대로 된 활용을 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직접 조작하는 방법 대신 횡단보다나 교차로 등에 사용자가 위치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고 능동적으로 음성 안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들이 개발되었다.
기존에 개발된 도로안내장치의 경우 적외선 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사용되고 있으며, 횡단보도 등에서 폭 이격 배치된 적외선 센서를 구비하여 대기선 양쪽에 설치한다.
그리고 발광부와 수광부로 구비된 적외선 센서를 통해 가상의 대기선 사이에 보행자가 위치하였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의 경우 고도의 정밀함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날씨 등의 외부요인에 의한 오작동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적외선 감지센서의 설치를 위한 POST가 도로 변에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보행자나 차량에 의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적외선 센서 방법을 통한 도로 안내장치의 경우 오작동이 자주 발생하며, 내구성이 낮아 지속적인 보수가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보행자의 대기 공간이 곡선인 경우 실제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기 위해 다량의 센서를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을 위한 도로 안내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 가능한 감지모듈을 이용하여 직선형태의 도로뿐만 아니라 교차로 등의 곡선으로 이루어진 도로에도 설치 가능하며, 외부 요인으로 인한 오작동을 저감시킬 수 있는 감지모듈을 이용한 도로 안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로상에 함몰 설치되며 상부에서 작용하는 하중에 의해 하부방향으로 외력을 전달하는 상부블록, 평탄화 작업이 완료된 바닥의 상부에서 상기 상부블록의 하부에 적층형태로 배치되며, 상부로부터의 전달되는 외력을 완충시키는 베이스, 일부가 파이프 형태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상부블록과 상기 베이스 사이에 적층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상부블록으로부터 발생된 외력에 압력을 감지하는 감지모듈 및 상기 감지모듈에서 감지된 변위진동이 기 설정된 설정값 이상인 경우 음향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감지모듈은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적층되며 길게 형성된 감지파이프 및 상기 감지파이프에 연결되어 기 설정된 전기적 신호를 지속적으로 송수신하며 수신되는 전기적 신호의 변화를 통해 상기 감지파이프의 변위진동을 감지하는 신호감지유닛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파이프는 전도성 금속으로 구성되며 내부가 밀폐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파이프는 길이방향에 따른 적어도 일부가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감지유닛은 상기 감지파이프에 연결되어 전기적 신호를 지속적으로 송신하고 수신하여 이를 측정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송수신부에서 수신된 전기적 신호를 일정한 형태로 변환하는 신호변환부를 포함하며, 상기 신호변환부에서 변환된 상기 전기적 신호의 변화를 통해 변위진동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모듈은 상기 베이스와 상기 상부블록 사이에서 상기 감지파이프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감지블록에 의해 상기 감지파이프에 일정 수준 이상의 압력이 가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패드는 상기 베이스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강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는 상대적으로 더 큰 강성을 가지며, 상기 감지모듈과의 사이에 적층형태로 배치되어 상기 감지모듈에 의해 하부로 전달되는 하중을 완충 및 분산시키는 뎀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적층형태로 배치된 상기 베이스, 상기 감지모듈의 둘레를 감싸며 상기 상부블록 이외의 외력이 상기 감지모듈에 작용하는 것을 차단하는 외부진동 차단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은 별도의 교통신호제어기와 연동되며, 상기 감지모듈에서 감지된 감지정보와 감지영역에서의 교통신호에 대응해 음향신호의 발생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감지모듈을 이용한 도로 안내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도로나 인도의 바닥에 매설되는 감지모듈을 구비하여 상부에 보행자가 위치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고 음성안내를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감지모듈은 길게 형성된 금속제의 감지파이프 및 감지파이프의 변위진동을 감지하는 신호감지유닛을 포함하며, 감지파이프가 다양한 형태로 제작 가능함으로써, 직선 형태의 감지영역뿐만 아니라 곡선 형태로 감지영역을 형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셋째, 별도의 교통신호제어기와 연동하여 단순히 감지영역상에 위치한 보행자를 감지할 뿐만 아니라, 교통신호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음향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안내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도로 안내장치에서 측면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의 도로 안내장치에서 도로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의 도로 안내 장치가 횡단보도가 설치된 교차로에 적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1의 도로 안내장치에서 감지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및
도 6은 도 5의 감지모듈에서 송수신부가 감지한 전기적 신호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일반적인 도로나 인도 등에 매설되어 보행자나 수래 등이 감지영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 음성안내가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안내장치는 교차로나, 횡단보도 등 보행자가 상황에 따라 횡단 가능한 지역에 구비되어, 보행자가 위험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로 안내장치는, 횡단보도가 구비된 교차로의 인도에 설치된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감지모듈을 이용한 도로 안내장치의 구성에 대해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안내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도로 안내장치에서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의 도로 안내장치에서 도로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도 3의 도로 안내 장치가 횡단보도가 설치된 교차로에 적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안내장치는 크게 상부블록(100), 베이스(300), 감지모듈(200), 제어모듈(400) 및 외부진동 차단부재(500)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블록(100)은 일반적인 단위 블록 형태로 형성되어 도로 또는 인도의 바닥에 매설되며, 상면이 외부로 노출된다.
여기서, 상부블록(100)은 상면에 일정한 패턴 등이 형성될 수 있으며, 보행자가 보행 시 이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시각장애인들 역시 패턴을 통해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블록(100)은 복수 개의 블록이 연속하여 인도상에 배치된 상태이며, 이와 달리 하나의 부재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상부블록(100)은 보행자 또는 다른 하중체가 상부에 위치하는 경우 하부방향으로 하중을 전달하여 후술하는 상기 감지모듈(200)이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베이스(300)는 상기 상부블록(100)의 하부에 적층형태로 배치되며, 상기 상부블록(100)에 의해 하부로 전달되는 외력을 완충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300)는 상기 상부블록(100)의 하부에서 도로 내부에 매설된 상태로 배치되며, 신축 가능한 소재로 외력을 완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300)는 스펀지나 고무 등으로 이루어지며, 약 10mm의 두께로 평탄화 작업이 이루어진 바닥의 상부에 적층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300)는 상기 상부블록(100)과의 사이에서 상면에 별도의 뎀핑부(310)를 포함한다.
상기 뎀핑부(310)는 상기 베이스(300)보다 상대적으로 큰 강성을 가지며, 일반적인 고무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300)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분산 및 완충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뎀핑부(310)는 후술하는 상기 감지모듈(200)의 하부에서 적층형태로 배치되어 상기 상부블록(100)에 작용하는 하중을 저감시킨다.
여기서, 상기 뎀핑부(310)는 상기 상부블록(100)에 의해 발생된 외력이 상기 감지모듈(200)에 전달되며, 상기 감지모듈(200)에 작용하는 하중을 분산시켜 안정적으로 완충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감지모듈(200)은 상기 뎀핑부(310)의 상면 일부에만 구비되며, 상기 상부블록(100)에 의해 하부방향으로 가압된다.
그러나 상기 뎀핑부(310)가 상기 베이스(300)보다 상대적으로 큰 강성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감지모듈(200)을 지지함으로써 작용하는 하중이 고르게 분산되어 상기 베이스(300)로 전달된다.
이에 따라, 상기 뎀핑부(310)가 상기 감지모듈(200)을 지지함으로써 발생되는 압력이 분산되어 상기 베이스(300)에 의해 압력을 완충시켜 상기 감지모듈(200)에 과도한 압력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베이스(300)가 구성되어 상기 상부블록(100)에 보행자가 위치하더라도 발생되는 압력을 완충함으로써 후술하는 상기 감지모듈(200)에 작용하는 압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감지모듈(200)은, 상기 상부블록(100)과 상기 베이스(300) 사이에 구비되며 적어도 일부가 파이프형태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상부블록(100)으로부터 발생된 외력에 의한 변위진동을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감지모듈(200)은 크게 감지파이프(210), 신호감지유닛(220) 및 지지패드(230)를 포함한다.
상기 감지파이프(210)는 상기 베이스(300)의 상면에 적층되며 길게 형성되어 보행자가 상기 상부블록(100)상에 위치하는 경우 하중을 감지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감지파이프(210)는 전도성 금속재로 구성되어 길게 형성되며 내부가 밀폐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감지파이프(2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뎀핑부(310)의 상면 일부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블록(100)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외력을 전달받아 변위진동이 발생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감지파이프(21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구리 관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뎀핑부(310)와 상기 상부블록(100) 사이에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감지파이프(210)는 길게 형성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일부가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감지파이프(210)는 단순한 직선뿐만 아니라 곡선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설치 위치의 제약에서 벗어나 다양한 장소에 설치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어서, 상기 신호감지유닛(220)은, 상기 감지파이프(210)에 연결되어 기 설정된 전기적 신호(P)를 지속적으로 송수신하며 수신되는 전기적 신호(P)의 변화를 통해 상기 감지파이프(210)의 변위진동을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신호감지유닛(220)은 상기 감지파이프(210)에 연결되어 기 설정된 전기적 신호(P)를 상기 감지파이프(210)로 송신한다. 그리고 송신된 상기 전기적 신호(P)는 상기 감지파이프(210)를 타고 수신되어 상기 신호감지유닛(220)이 수신한다.
즉, 상기 신호감지유닛(220)은 상기 감지파이프(210)로 전기적 신호(P)를 송수신하여 수신되는 상기 전기적 신호(P)의 변화 여부를 감지한다.
여기서, 상기 신호감지유닛(220)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Gunn 다이오드 오실레이터로서, 본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구리로 이루어진 상기 감지파이프(210)에 고주파를 발진하여 전달하고, 수신되는 전기적 신호(P)를 감지한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행자가 상기 상부블록(100)상에 위치하는 경우 하중에 의해 상기 감지파이프(210)에 압력이 전달되어 변위진동이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감지파이프(210)에 변위진동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신호감지유닛(220)에서 수신되는 전기적 신호(P)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신호감지유닛(220)이 구성됨으로써, 상기 감지파이프(210)에 외력이 작용하여 변위진동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신호감지유닛(220)에서 감지되는 상기 전기적 신호(P)가 변화하며, 이에 따라 상기 상부블록(100)의 상부에 보행자가 위치하였는지 여부를 알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감지모듈(200)에서 상기 지지패드(230)는 상기 베이스(300)와 상기 상부블록(100) 사이에서 상기 감지파이프(210)와 인접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블록(100)에 의해 상기 감지파이프(210)에 일정 수전 이상의 압력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한다.
지지패드는 상부블록 및 베이스의 사이에서 감지파이프의 외주연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감지파이프가 상부블록 및 베이스에 접촉하는 부분을 제외한 부분의 적어도 일부에 인접 배치될 수 있다. 지지패드는 적어도 한 쌍이 감지파이프를 사이에 두고 대향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감지모듈(200)은 상기 감지파이프(210)의 횡 방향에 따른 양측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상부블록(100)의 하중을 지지한다.
이때, 상기 지지패드(230)는 상기 베이스(300)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강성을 가지며 상기 감지파이프(210)의 직경에 대응하는 상하 높이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패드(230)는 상기 상부블록(100)의 하중을 지지하며, 상기 감지파이프(210)에 일정 수준 이상의 압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파손 및 오작동이 발생하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지지패드(230)는 상기 감지파이프(210)가 상기 상부블록(100)과 상기 베이스(300) 사이에서 파손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에 따른 일정한 공간을 형성해 줄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지지패드(230)는 상기 상부블록(100)이 하부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는 경우 일부 수축은 하지만 탄성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감지파이프(210)에 일정 수준 이상의 압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지지패드는, 베이스보다 큰 강성을 가지고 감지파이프의 최대 수축 두께 이상의 높이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감지파이프에 일정 수준 이상의 압력이 가해지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감지모듈(200)은, 상기 감지파이프(210), 신호감지유닛(220) 및 지지패드(230)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블록(100)과 상기 베이스(300) 사이에서 상기 상부블록(100)의 상부에 보행자가 위치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모듈(400)은 상기 감지모듈(200)에서 감지된 상기 변위진동을 전달받아 상기 상부블록(100) 상에 보행자가 위치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에 대응하여 안내신호를 발생시키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모듈(400)은 상기 감지모듈(200)에서 감지된 상기 변위진동이 기 설정된 설정값 이상인 경우 별도의 스피커(S)를 통해 음향신호 또는 알람 등을 발생시켜 보행자에게 해당 정보를 안내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교차로나 횡단보도 또는 열차의 안전선 등에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안내장치가 설치되는 경우, 보행자가 안전선 내부에 위치할 때 이를 감지하여 위험 안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어모듈(400)은 별도의 교통신호제어기와 연동되며, 상기 감지모듈(200)에서 감지된 감지정보와 감지영역(A)에서의 교통신호에 대응하여 음향신호의 발생여부를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 안내장치는 횡단보도가 구비된 교차로에 설치될 수 있으며, 횡단보도와 인접한 위치에 라인 형태로 감지영역(A)을 형성하여 매설된다.
이때, 상기 감지파이프(210)는 상기 감지영역(A)의 형태에 대응하여 길이방향에 따른 일부가 절곡되어 곡선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감지영역(A)상에서 상기 상부블록(100)의 상부에 보행자가 위치하는 경우 상기 감지모듈(200)은 이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모듈(400)은 상기 교통신호 제어기와 연동하여 횡단보도의 신호가 초록불인 경우 음향신호를 발생하지 않거나 횡단에 알맞은 내용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모듈(200)에 의해 상기 감지영역(A)에서 보행자가 감지되었으나 횡단보도의 신호가 붉은색인 경우 위험에 대한 음향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모듈(400)은 설치장소에 대응하여 감지영역(A)에서 보행자의 유무가 감지되더라도, 상황에 따라 알맞은 형태의 상기 음향신호가 발생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안내장치는 상기 상부블록(100), 상기 베이스(300), 상기 감지모듈(200) 및 상기 제어모듈(400)을 포함하며, 횡단보도나 교차로 등의 바닥에 매설되어 상부에 보행자가 위치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고, 음향신호를 통해 보행자를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파이프(210)의 변위진동을 통해 보행자가 감지영역(A)에 위치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종래의 적외선방식으로는 설치가 어려웠던 교차로나 곡선 형태의 도로 또는 인도에도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안내장치에서 상술한 상부블록(100), 상기 베이스(300), 상기 감지모듈(200) 및 상기 제어모듈(400)뿐만 아니라, 외부로부터 의도하지 않게 유입되는 진동을 차단하기 위한 별도의 외부진동 차단부재(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외부진동 차단부재(500)는 적층형태로 배치된 상기 베이스(300), 상기 감지모듈(200)의 둘레를 감싸며 상기 상부블록(100) 이외의 외력이 상기 감지모듈(200)에 작용하는 것을 차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외부진동 차단부재(500)는 일반적으로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구성되어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외력을 완충시켜 상기 감지모듈(20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 외부진동 차단부재(5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을 따라 일정 높이를 가지며 상기 감지모듈(200)의 측면을 감싸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감지모듈(200)에 상부블록(100) 이외의 다른 방식으로 진동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안내장치는 상기 상부블록(100)과 상기 베이스(300) 및 상기 감지모듈(200)이 교차로나, 횡단보도에 인접한 인도의 바닥에 매설되며, 안전라인 형태로 상기 감지영역(A)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바닥에 매립됨으로써 외부의 충격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실제 보행자와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안내장치의 감지모듈(200)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도 1의 도로 안내장치에서 감지모듈(20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감지모듈(200)에서 송수신부(222)가 감지한 전기적 신호(P)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상기 신호감지유닛(220)은 상기 전기적 신호(P)를 발생시켜 상기 감지파이프(210)에 전달하고 이를 다시 수신하는 송수신부(222) 및 상기 송수신부(222)에서 수신된 상기 전기적 신호(P)를 일정한 형태로 변환하는 신호변환부(224)를 포함한다.
상기 송수신부(222)는 상기 감지파이프(210)에 연결되어 상기 전기적 신호(P)를 지속적으로 송신하고 수신하여 이를 측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송수신부(222)는 gunn오실레이터로 구성되어 고주파를 송 수신한다. 여기서 gunn오실레이터란 gunn다이오드를 이용하여 고추파를 발생시키는 발진기로, GaAs같은 반도체 물질을 이용한 N형반도체에 전압을 인가하여 음저항을 이용해 진동이 발생된다.
이와 같은 특징을 이용하여 상기 송수신부(222)는 전기적 신호(P)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상기 송수신부(222)는 지속적으로 수신되는 전기적 신호(P)를 감지하여 상기 감지파이프(210)에 외력이 작용하여 변위진동이 발생되는 경우 변화된 상기 전기적 신호(P)를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송수신부(222)에서 수신되는 상기 전기적 신호(P)는 상기 감지파이프(210)에서 변위진동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특정한 변화 없이 균일하게 수신되지만, 변위진동이 발생한 경우 수신되는 상기 전기적 신호(P)가 변화한다.
이와 같이 상기 송수신부(222)는 상기 감지파이프(210)에 연결되어 전기적 신호(P)를 송수신하며, 수신되는 전기적 신호(P)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신호변환부(224)는 상기 송수신부(222)에서 수신된 전기적 신호(P)를 일정한 형태로 변환하는 회로 구성으로, Mixer, Amp, Low Pass Filter 등으로 구성되어 수신된 상기 전기적 신호(P)를 증폭 및 변환시킨다.
그리고 상기 신호변환부(224)에 의해 변환된 상기 전기적 신호(P)는 상기 제어모듈(400)로 전달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신호감지유닛(2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송수신부(222)를 통해 전기적 신호(P)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상부블록(100) 상부에 보행자가 위치하였는지를 알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안내장치를 살펴보았으며, 단순히 교차로나 횡단보도뿐만 아니라, Safe Line이 필요한 다양한 장소에 설치되어 감지영역(A)상에 보행자가 위치하였는지를 감지하고, 상황에 따라 능동적으로 음향신호를 통해 안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단순히 적외선센서나, 압전센서가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 가능한 감지파이프(210)를 이용함으로써 설치 장소의 제약에서 벗어나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상부블록
200: 감지모듈
210: 감지파이프
220: 신호감지유닛
230: 지지패드
300: 베이스
310: 뎀핑부
400: 제어모듈
500: 외부진동 차단부재
P: 전기적 신호
A: 감지영역

Claims (10)

  1. 굴곡져 형성되는 교차로의 인도에 설치되되 횡단보도와 인접한 부분의 적어도 일부에 함몰 설치되며 상부에서 작용하는 하중에 의해 하부방향으로 외력을 전달하는 상부블록;
    평탄화 작업이 완료된 바닥의 상부에서 상기 상부블록의 하부에 적층형태로 배치되며, 상부로부터의 전달되는 외력을 완충시키는 베이스;
    일부가 파이프 형태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상부블록과 상기 베이스 사이에 적층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상부블록으로부터 발생된 외력에 압력을 감지하는 감지모듈; 및
    상기 감지모듈에서 감지된 변위진동이 기 설정된 설정값 이상인 경우 음향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감지모듈은,
    상기 상부블록 및 상기 베이스의 사이에 적층되며 길게 형성되고, 길이방향에 따른 적어도 일부가 굴곡되는 감지파이프; 및
    상기 상부블록 및 상기 베이스의 사이에서 상기 감지파이프의 외주연에 인접하게 배치되되 상기 감지파이프가 상기 상부블록 및 상기 베이스에 접촉하는 부분을 제외한 부분의 적어도 일부에 인접 배치되며, 상기 감지파이프를 사이에 두고 대향배치되는 적어도 한 쌍의 지지패드
    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패드는, 상기 베이스보다 큰 강성을 가지고 상기 감지파이프의 최대 수축 두께 이상의 높이를 가져 상기 감지파이프에 일정 수준 이상의 압력이 가해지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
    감지모듈을 이용한 도로 안내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파이프는,
    전도성 금속으로 구성되며 내부가 밀폐되어 형성되는 감지모듈을 이용한 도로 안내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모듈은,
    상기 감지파이프에 연결되어 기 설정된 전기적 신호를 지속적으로 송수신하며 수신되는 전기적 신호의 변화를 통해 상기 감지파이프의 변위진동을 감지하는 신호감지유닛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신호감지유닛은,
    상기 감지파이프에 연결되어 전기적 신호를 지속적으로 송신하고 수신하여 이를 측정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송수신부에서 수신된 전기적 신호를 일정한 형태로 변환하는 신호변환부; 를 포함하며,
    상기 신호변환부에서 변환된 상기 전기적 신호의 변화를 통해 변위진동을 감지하는 감지모듈을 이용한 도로 안내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대적으로 더 큰 강성을 가지며, 상기 감지모듈과의 사이에 적층형태로 배치되어 상기 감지모듈에 의해 하부로 전달되는 하중을 완충 및 분산시키는 뎀핑부를 더 포함하는 감지모듈을 이용한 도로 안내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적층형태로 배치된 상기 베이스, 상기 감지모듈의 둘레를 감싸며 상기 상부블록 이외의 외력이 상기 감지모듈에 작용하는 것을 차단하는 외부진동 차단부재를 더 포함하는 감지모듈을 이용한 도로 안내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별도의 교통신호제어기와 연동되며, 상기 감지모듈에서 감지된 감지정보와 감지영역에서의 교통신호에 대응해 음향신호의 발생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모듈을 이용한 도로 안내장치.
KR1020160130576A 2016-10-10 2016-10-10 감지모듈을 이용한 도로 안내장치 KR1018994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0576A KR101899498B1 (ko) 2016-10-10 2016-10-10 감지모듈을 이용한 도로 안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0576A KR101899498B1 (ko) 2016-10-10 2016-10-10 감지모듈을 이용한 도로 안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9360A KR20180039360A (ko) 2018-04-18
KR101899498B1 true KR101899498B1 (ko) 2018-09-19

Family

ID=62082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0576A KR101899498B1 (ko) 2016-10-10 2016-10-10 감지모듈을 이용한 도로 안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94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5213B1 (ko) * 2019-03-26 2021-03-1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보도블럭을 이용한 신호등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110273392B (zh) * 2019-04-16 2021-11-05 四川大学 一种自适应升降减速带
KR102065677B1 (ko) * 2019-09-26 2020-02-17 주식회사 세이프업 충격완화 및 수분흡수 기능의 친환경 바닥재를 이용한 횡단보도용 바닥신호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9360A (ko) 2018-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9498B1 (ko) 감지모듈을 이용한 도로 안내장치
US9704643B2 (en) Contact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power feeder and power receiver for use in the same
US9072650B2 (en) System and method for guiding the walking direction of the visually impaired using RFID blocks
US9546466B2 (en) Dish for use in a manhole
JP2006281989A (ja) 車両用衝突物体判別装置及び車両用衝突情報検出装置
CN105164607A (zh) 触觉控制界面
JP6394711B2 (ja) 駐車支援装置及び駐車支援方法
WO2009001991A1 (en) Voice guidance apparatus for visually handicapped
CN110027947A (zh) 电梯系统和以高准确度定位电梯轿厢的方法
JP2010115062A (ja) 発電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6217568B2 (ja) エレベータの注意喚起システム
CN108137289B (zh) 具有监控装置的人类运输装置
JP2018127868A (ja) 高速道路に敷設するメカトロニクス逆走警告装置
US6016109A (en) Mobile unit support system
JP2008018831A (ja) パンタグラフ位置検出装置及びパンタグラフ位置検出方法
KR970049357A (ko) 전자기 스타일러스 신호 검출방법 및 장치
US20060137913A1 (en) Electromagnetic loop sensor for measuring dynamic loads applied to a roadway by road traffic
KR101311503B1 (ko) 운전자의 단말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5805922B2 (ja) 方向検出装置
JP2005032205A (ja) 歩行者用通報装置
KR20170107161A (ko) 매트형 출입자 감지 장치 및 감지 방법
KR101950343B1 (ko) 스마트 로드 시스템의 차량의 과적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
JP2010287161A (ja) 歩行者検知システム
JP4777110B2 (ja) パンタグラフ位置検出装置
KR102194205B1 (ko) 운전자 위험상황 예방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