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9455B1 - Attached digital auxiliary door lock - Google Patents

Attached digital auxiliary door lo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9455B1
KR101899455B1 KR1020160161615A KR20160161615A KR101899455B1 KR 101899455 B1 KR101899455 B1 KR 101899455B1 KR 1020160161615 A KR1020160161615 A KR 1020160161615A KR 20160161615 A KR20160161615 A KR 20160161615A KR 101899455 B1 KR101899455 B1 KR 1018994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door lock
driving
smart device
upp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16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61907A (en
Inventor
전충광
Original Assignee
전충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충광 filed Critical 전충광
Priority to KR1020160161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9455B1/en
Publication of KR20180061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190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9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945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5Opening, closing of the circuit
    • E05B2047/0054Opening, closing of the circuit using microprocessor, printed circui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94Mechanical aspects of remotely controlled locks
    • E05B2047/0095Mechanical aspects of locks controlled by telephone signals, e.g. by mobile phone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착형 디지털 보조도어락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도어의 내측에 위치하는 보조 도어락의 외면에 설치되어 스마트기기와의 무선통신에 의해 자동으로 도어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고, 기존의 도어락에 설치되어 불필요하다고 판단될 경우 제거가 용이하도록 하며, 커버부를 분리시켜 수동으로 잠금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홀더핸들을 구비하고, 홀더핸들의 외측 원주면을 따라 일부가 파지된 걸림턱이 형성되어 제2 기어가 회전하면서 걸림턱 구간에 걸리게 되면 제2 기어가 공회전하도록 하여 유사 시 사용자의 수동조작에 의해 잠금이 해제될 수 있도록 하는 부착형 디지털 보조도어락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기존의 도어락 외면에 탈부착되는 부착형 디지털 보조도어락에 있어서, 상부프레임; 상부프레임의 상측에 장착되어 탈분리 가능한 커버부; 제1 기어, 제1 기어와 외접하여 형성되어 제1 기어의 회전운동에 의해 회동하는 제2 기어, 기존의 도어락 래치가 설치되는 공간으로, 기존의 도어락 래치의 일부가 노출될 수 있도록 개구된 공간이 형성되는 아답터핸들, 제2 기어가 안착되어 제2 기어의 회전운동을 가이드하는 홀더핸들, 상부로 돌출형성되어 하방으로 누르면 내부에 장착된 구동모터에 입력신호를 전달하는 버튼부를 포함하는 다수의 부품이 내장되는 기어박스; 상부프레임의 하부에 장착되어 기어박스가 구비되는 하부프레임; 하부프레임의 내부에 위치하고, 스마트기기 또는 버튼부로부터 구동신호를 전달받아 장치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및 버튼부의 입력신호 또는 스마트기기의 구동신호에 의해 구동모터를 구동 또는 정지시키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마이크로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부착형 디지털 보조도어락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ttachable digital sub-door lock. More specifically, the door can be opened and closed automatically by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mart device, which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auxiliary door lock located on the inner side of the door, so that it can be easily removed when it is installed in the existing door lock. And a holder handle for releasing the lock manually by separating the cover portion. When the second gear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jaw portion while the second jaw is rotat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der handle, And the second gear is idly rotated so that the lock can be released by manual operation of the user in a similar state.
To this e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ttaching type digital auxiliary door lock detachably attached to an outer surface of a door lock, comprising: an upper frame; A cover part detachably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upper frame; A second gear which is formed by circumscribing the first gear and the first gear and is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first gear, a space in which a part of the existing door lock latch is exposed to the space where the existing door lock latch is installed, And a button portion that is protruded from the upper portion and is pressed downward to transmit an input signal to a drive motor mounted inside the adapter handle. A gear box with parts embedded therein; A lower frame mounted on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frame and equipped with a gear box; A driving motor which is located inside the lower frame and receives a driving signal from the smart device or the button unit and provides driving force to the device; And a microcontroller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driving or stopping the driving motor by an input signal of the button unit or a driving signal of the smart device.

Description

부착형 디지털 보조도어락{omitted}Attachable Digital Auxiliary Door Locks {omitted}

본 발명은 부착형 디지털 보조도어락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도어의 내측에 위치하는 보조 도어락의 외면에 설치되어 스마트기기와의 무선통신에 의해 자동으로 도어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고, 기존의 도어락에 설치되어 불필요하다고 판단될 경우 제거가 용이하도록 하며, 커버부를 분리시켜 수동으로 잠금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홀더핸들을 구비하고, 홀더핸들의 외측 원주면을 따라 일부가 파지된 걸림턱이 형성되어 제2 기어가 회전하면서 걸림턱 구간에 걸리게 되면 제2 기어가 공회전하도록 하여 유사 시 사용자의 수동조작에 의해 잠금이 해제될 수 있도록 하는 부착형 디지털 보조도어락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ttachable digital sub-door lock. More specifically, the door can be opened and closed automatically by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mart device, which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auxiliary door lock located on the inner side of the door, so that it can be easily removed when it is installed in the existing door lock. And a holder handle for releasing the lock manually by separating the cover portion. When the second gear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jaw portion while the second jaw is rotat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der handle, And the second gear is idly rotated so that the lock can be released by manual operation of the user in a similar state.

도어락은 가정, 원룸, 회사 등 외부로부터 불법침입을 방지하고, 내부 시설물의 안전 내부를 보안하기 위하여 개발된 도어 잠금 및 개폐장치로서, 일반적으로 도어락은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입력된 비밀번호가 저장된 것과 일치하는 경우 도어락과 연동하여 도어를 개방하도록 하는 비밀번호 개폐방식으로 이용되고 있다. A door lock is a door lock and opening / closing device developed to prevent illegal intrusion from the outside such as a home, a one-room, a company, and to secure the inside of a facility. Generally, And is used as a password opening / closing method for opening the door in cooperation with the door lock.

최근 들어 내부 시설의 보안을 위한 잠금장치의 사용량이 많아짐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잠금장치와, 이를 보안하기 위한 보안방법에 관한 기술이 급증하고 있다. In recent years, as the use of locks for security of internal facilities has increased, various types of locks and security techniques for securing them have been increasing rapidly.

한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5-0004569호(2015.12.23.공개), "비밀번호 도어락을 구비한 보안시스템"(이하, 선행기술문헌)이 개시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Korean Laid-Ope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15-0004569 (published on December 23, 2015), "Security System with Password Door Lock"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document) is disclosed.

상기 선행기술문헌은 비밀번호 도어락과 보안서버를 포함하고, 보안서버는 무선통신모듈, 제어모듈을 포함하고, 비밀번호 도어락은 복수개의 비밀번호 키를 구비하며, 복수개의 비밀번호의 키의 입력에 응답하거나, 출입통제 카드를 읽어 신원검증메세지를 수신하며, 신원검증메세지에 따라 신원검증을 하여 검증에 통과되면 잠금해제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고, 제어모듈은 무선통신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신원검증결과 검증에 통과되고, 보안상태가 감시상태일 때, 보안상태를 해제상태로 설정하도록 한다. The security server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a control module. The password door lock includes a plurality of password keys. The security server includes a plurality of password keys, The control module reads the control card, receives the identity verification message, verifies the identity according to the identity verification message, and performs the unlocking operation when the verification is passed. The control modul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sets the security state to the released state when the security state is the monitoring state.

일반적으로 종래의 도어락은 선행기술문헌과 같이 도어 벽면이나, 도어 외벽에만 설치되어 도어를 개폐하도록 하고,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도어의 잠금 또는 해제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나, 도어 안쪽에서 문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는 장치 및 시스템의 개발은 미비한 실정이다. Background Art [0002] Generally, a conventional door lock is provided only on a door wall or on an outer wall of a door to open and close the door and keep the door locked or unlocked using a password. The development of devices and systems that have not yet been developed is in short supply.

본 발명은 기존의 도어락에 설치되어 스마트기기와의 무선통신에 의해 자동으로 도어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고, 불필요시 탈착이 용이하도록 하며, 유사 시 수동조작에 의해 잠금이 해제될 수 있도록 하는 부착형 디지털 보조도어락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lock device which is installed in an existing door lock and which is capable of automatically opening and closing a door by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smart device and facilitating detachment when not needed, The purpose is to provide digital auxiliary door lock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부착형 디지털 보조도어락은 기존의 도어락 외면에 탈부착되는 부착형 디지털 보조도어락에 있어서, 상부프레임; 상부프레임의 상측에 장착되어 탈분리 가능한 커버부; 제1 기어, 제1 기어와 외접하여 형성되어 제1 기어의 회전운동에 의해 회동하는 제2 기어, 기존의 도어락 래치가 설치되는 공간으로, 기존의 도어락 래치의 일부가 노출될 수 있도록 개구된 공간이 형성되는 아답터핸들, 제2 기어가 안착되어 제2 기어의 회전운동을 가이드하는 홀더핸들, 상부로 돌출형성되어 하방으로 누르면 내부에 장착된 구동모터에 입력신호를 전달하는 버튼부를 포함하는 다수의 부품이 내장되는 기어박스; 상부프레임의 하부에 장착되어 기어박스가 구비되는 하부프레임; 하부프레임의 내부에 위치하고, 스마트기기 또는 버튼부로부터 구동신호를 전달받아 장치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및 버튼부의 입력신호 또는 스마트기기의 구동신호에 의해 구동모터를 구동 또는 정지시키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마이크로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ttachable digital sub-assembly door detachably attached to an outer surface of a door lock, A cover part detachably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upper frame; A second gear which is formed by circumscribing the first gear and the first gear and is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first gear, a space in which a part of the existing door lock latch is exposed to the space where the existing door lock latch is installed, And a button portion that is protruded from the upper portion and is pressed downward to transmit an input signal to a drive motor mounted inside the adapter handle. A gear box with parts embedded therein; A lower frame mounted on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frame and equipped with a gear box; A driving motor which is located inside the lower frame and receives a driving signal from the smart device or the button unit and provides driving force to the device; And a microcontroller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driving or stopping the driving motor by an input signal of the button unit or a driving signal of the smart device.

또한, 홀더핸들의 외측 원주면을 따라 일부가 파지된 걸림턱이 형성되어 제2 기어의 회전 시 걸림턱 구간에 걸리게 되면 제2 기어가 공회전하도록 하여 유사 시 사용자의 물리적인 힘에 의해 잠금이 해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engaging jaw is partially gripp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der handle and is caught by the engaging jaw portion during rotation of the second gear, the second gear is idly rotated so that the lock is released by the user's physical force Gt; and / or < / RTI >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디지털 도어락은 스마트기기와의 연동에 의해 열림 또는 열림이 해제되도록 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ttachment type digital door lock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opening or opening being released by interlocking with the smart device.

본 발명에 의하면 도어의 내측에 위치하는 보조 도어락의 외면에 설치되어 스마트기기와의 무선통신에 의해 자동으로 도어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고, 기존의 도어락에 설치되어 불필요하다고 판단될 경우 제거가 용이하도록 하는 데 그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oor can be automatically opened and closed by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smart device by being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auxiliary door lock located inside the door, and can be installed in the existing door lock, It is effective in doing.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커버부를 분리하여 수동조작으로 잠금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홀더핸들을 구비하고, 홀더핸들의 외측 원주면을 따라 일부가 파지된 걸림턱이 형성되어 제2 기어가 회전하면서 걸림턱 구간에 걸리게 되면 제2 기어가 공회전하도록 하여 유사 시 사용자의 물리적인 힘에 의해 잠금이 해제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holder handle for separating the cover portion and releasing the lock by manual operation, and a latching protrusion, which is partially hel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der handle, The second gear is allowed to idle when it is caught in the engaging jaw section, so that the lock can be released by the physical force of the user in the like.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기어의 회동을 온/오프하도록 장착되는 스탑스위치를 장착함으로써 제2 기어가 회전을 하면서 특정 지점에 위치하면 자동으로 제2 기어의 회전을 멈추도록 하는 데 그 효과가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top switch is mounted to turn on / off the gear, the rotation of the second gear is automatically stopped when the second gear rotates and is positioned at a specific point .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디지털 보조도어락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디지털 보조도어락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디지털 보조도어락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디지털 보조도어락의 측면도, 및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디지털 보조도어락의 측면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ttachable digital sub-do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ttachable digital sub-do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lan view of an attachable digital sub-do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view of an attachable digital sub-do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side perspective view of an attachable digital sub-do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In addition,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but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variously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디지털 보조도어락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디지털 보조도어락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디지털 보조도어락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디지털 보조도어락의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디지털 보조도어락의 측면 사시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ttachable digital sub-do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ttachable digital sub-do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ide view of an attachable digital sub door lock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side perspective view of an attachable digital sub door lock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디지털 보조도어락(1000)은 상부프레임(100), 커버부(110), 하부프레임(120), 기어박스(130), 구동모터(140), 제1 기어 (150), 피니언기어(152), 제2 기어(160), 아댑터 핸들(170), 홀더핸들(180), 버튼부(190), 전원공급부(192), 및 스탑스위치(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1 to 5, an attachable digital sub-door lock 100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frame 100, a cover 110, a lower frame 120, a gear box 130, The drive motor 140, the first gear 150, the pinion gear 152, the second gear 160, the adapter handle 170, the holder handle 180, the button portion 190, the power supply portion 192, And a stop switch (200).

상부프레임(100)은 아답터노출부(102), 홀더핸들노출부(104), 전원공급부노출부(106), 및 기어확인창(108)를 포함하는 다수의 개구부로 이루어진다. The upper frame 100 is comprised of a plurality of openings including an adapter exposure portion 102, a holder handle exposure portion 104, a power supply exposure portion 106, and a gear verification window 108.

아답터노출부(102)는 상부프레임(100)에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고, 아답터 핸들(170)이 노출되어 아답터 핸들(170)을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The adapter exposure unit 102 is formed in the upper frame 100 to have a predetermined size, and the adapter handle 170 is exposed to rotate the adapter handle 170.

홀더핸들노출부(104)는 홀더핸들(180)이 노출될 수 있도록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고, 노출된 홀더핸들(180)을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The holder handle exposed portion 104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size so that the holder handle 180 can be exposed, so that the exposed holder handle 180 can be rotated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전원공급부노출부(106)는 장치의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2)가 노출될 수 있도록 한다. The power supply exposure portion 106 allows the power supply portion 192 for powering the device to be exposed.

기어확인창(108)은 제1 기어 (150)와 제2 기어(160)가 서로 맞물리며 회전하는 구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소정의 크기로 형성된다.The gear check window 108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size so that the first gear 150 and the second gear 160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nd can be rotated.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어확인창(108)은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내측으로 굽어진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그 이외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 2, the gear check window 108 may be bent inward with a predetermined angle, or may be formed in another shape.

여기서, 기어확인창(108)의 형상을 특정한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Here, the shape of the gear check window 108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one.

도어락(109)의 일측면에는 투명창(111)을 형성하여 내부 기어의 구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투명창(111)의 재질은 아크릴재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투명창의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A transparent window 111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door lock 109 to confirm the driving state of the internal gear. Here, the material of the transparent window 111 may be an acrylic material or the like, and the material of the transparent window is not limited thereto.

커버부(110)는 외부로부터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보호하는 덮개의 기능을 한다. The cover 110 functions as a lid for protecting the foreign matter from flowing from the outside.

커버부(110)는 상부프레임(100)의 아답터노출부(102)와 기어확인창(108)과 상응하는 위치에 개구된 공간이 형성되어 기어와 기어확인 및 아답터 노출이 가능하도록 한다.The cover 110 has a spac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adapter exposure portion 102 of the upper frame 100 and the gear check window 108 to enable gear and gear check and adapter exposure.

커버부(110)는 외측에 디자인적인 요소가 가미되는 다양한 이미지 등이 삽입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외관상의 미려함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The cover 110 may include a variety of images or the like that are attached to the outside with a design element, thereby enhancing the beauty of the appearance.

하부프레임(120)은 기어박스(130)과 전원공급부(192)가 고정되어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그 형상은 기어박스(13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기어박스(130)의 하부 형상에 맞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lower frame 120 is fixed to the gear box 130 and the power supply unit 192 so that the gear box 130 can be inserted into the gear box 130 .

상부프레임(100)과 하부프레임(120) 간을 체결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부(112)가 구비될 수 있다. At least one fastening portion 112 may be provided for fastening between the upper frame 100 and the lower frame 120.

기어박스(130)는 다수의 기어와, 아답터핸들(170), 홀더핸들(180), 버튼부(190), 및 스탑스위치(200)를 포함하는 다수의 부품을 내장한다. The gear box 130 incorporates a number of components including a plurality of gears, an adapter handle 170, a holder handle 180, a button portion 190, and a stop switch 200.

보다 구체적으로, 기어는 제1 기어(150)와, 제1 기어(150)에 외접하여 회전하는 제2 기어(160)로 구성되며, 제1 기어(150)의 회전에 의해 제2 기어(160)에 맞물려있던 제2 기어(160)가 회전하도록 한다. More specifically, the gear includes a first gear 150 and a second gear 160 that rotates circumscribed to the first gear 150. The rotation of the first gear 150 causes the second gear 160 So that the second gear 160 engaged with the second gear 160 is rotated.

제1 기어(150)의 하부에는 피니언기어(152)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피니언기어(152)의 하부에 구동모터(140)의 회전축이 상호 맞물리도록 형성된다. A pinion gear 152 is formed vertically below the first gear 150 and a rotational shaft of the drive motor 140 is engaged with a lower portion of the pinion gear 152.

버튼부(190)는 기어박스(130)의 상부로 돌출형성되어 버튼을 하방으로 누르면, 내부 구동모터(140)에 동작이 수행된다. The button portion 190 protrudes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gear box 130 and is pressed downward to operate the internal drive motor 140.

스탑스위치(200)는 기어의 회동을 온/오프하도록 장착되는 스위치로, 제2 기어(160)가 회전을 하면서 특정 지점에 위치하면 자동으로 제2 기어(160)의 회전을 멈추도록 한다. The stop switch 200 is a switch that is mounted to turn on / off the rotation of the gear. When the second gear 160 rotates, the stop switch 200 automatically stops the rotation of the second gear 160.

아답터 핸들(170)은 하부가 다각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프레임(120)의 관통구에 삽입되고, 홀더핸들(180)의 개구된 공간으로 삽입되어 끼워진다. The lower portion of the adapter handle 170 is formed in a polygonal shape and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of the lower frame 120 and inserted into the open space of the holder handle 180.

홀더핸들(180)에는 제2 기어(160)가 장착되고, 제2 기어(160)의 회전운동을 가이드한다.A second gear 160 is mounted on the holder handle 180 and guides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second gear 160.

삭제delete

마이크로컨트롤러(미도시)는 버튼부(190)의 입력신호 또는 스마트기기(미도시)의 구동신호에 의해 구동모터를 구동 또는 정지시키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킨다. A microcontroller (not shown)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driving or stopping the driving motor by an input signal of the button unit 190 or a driving signal of a smart device (not show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디지털 보조도어락은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스마트기기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하여 기어박스의 일측에 무선통신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attachable digital door lock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not shown) on one side of the gear box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to and from a smart device connected to a wired / wireless network.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디지털 보조도어락을 작동시킬 수 있는 방식은 버튼부(190)의 누름동작과, 스마트기기(미도시)의 애플리케이션을 활셩화시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작동방식이 있다. The manner in which the attachable digital assistant door lock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perated includes a push operation of the button unit 190 and an application using an application by activating an application of a smart device (not shown) .

삭제delet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디지털 보조도어락과 스마트기기와의 무선통신 방식으로는 W-CDMA, 블루투스, 와이파이, 지그비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무선통신 방식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Various types of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W-CDMA, Bluetooth, Wi-Fi, and ZigBee may be applied to the attachment type digital assist door lock and the sma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디지털 보조도어락은 후면에 접착이면테이프를 포함하는 부착부재를 이용하여 기존의 도어락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도어락으로부터 제거가 용이하도록 하는 데 그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ttachment type digital sub-door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an existing door lock using an attachment member including a tape if the backing is adhered to the back surface, thereby facilitating removal from the existing door lock. have.

본 발명에서 도시한 도면은 장치에 포함되는 부품과, 이에 대한 구동방식을 설명하기 위하여 일 실시예로서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상술한 바에 따라 다른 형상으로도 변형 가능함을 밝혀둔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drawings shown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shown as an example for explaining a component included in the apparatus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modified into other shapes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substitu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as disclosed in the accompanying claims. will be.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intended to illustrate and not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 도어락 래치
100 -상부프레임 102 - 아답터노출부
104 - 홀더핸들노출부 106 - 전원공급부노출부
108 - 기어확인창 109 - 도어락
110 - 커버부 111 - 투명창
112 - 체결부 120 - 하부프레임
130 - 기어박스 140 - 구동모터
150 - 제1 기어 152 - 피니언기어
160 - 제2 기어 170 - 아댑터 핸들
180 - 홀더핸들 182 - 걸림턱
190 - 버튼부 192 - 전원공급부
200 - 스탑스위치
1000 - 부착형 디지털 보조도어락
A - Door lock latch
100 - upper frame 102 - adapter exposed portion
104 - holder handle exposed portion 106 - power supply exposed portion
108 - Gear check window 109 - Door lock
110 - cover part 111 - transparent window
112 - fastening part 120 - lower frame
130 - gear box 140 - drive motor
150 - First gear 152 - Pinion gear
160 - Second gear 170 - Adapter handle
180 - holder handle 182 - jaw
190 - Button part 192 - Power supply part
200 - Stop Switch
1000 - Attachable digital auxiliary door lock

Claims (3)

기존의 도어락 외면에 탈부착되는 부착형 디지털 보조도어락에 있어서,
제1 기어와 제2 기어가 서로 맞물리며 회전하는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기어확인창이 구비되는 상부프레임;
상부프레임의 하부에 장착되어 기어박스와 전원공급부가 고정되어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하부프레임;
상부프레임의 상측에 장착되어 탈분리 가능한 커버부;
제1 기어,
제1 기어와 외접하여 형성되어 제1 기어의 회전운동에 의해 회동하는 제2 기어,
일측은 제1 기어와 연결되고, 타측은 구동모터에 연결되어 구동모터에 의한 구동력을 제1 기어에 전달하는 피니언기어,
외주면에 제2 기어가 구비되고 제2 기어의 회전운동에 의해 회전하는 홀더핸들,
도어락이 끼워지도록 소정의 개방부가 형성되고, 외측면에 홀더핸들이 끼워져 홀더핸들과 연동되어 회동되는 아답터핸들,
일측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돌출형성부위를 하방으로 누르면 내부에 장착된 구동모터에 입력신호를 전달하는 버튼부,
스마트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 구비되는 무선통신모듈,
하부프레임의 내부에 위치하고, 스마트기기 또는 버튼부로부터 구동신호를 전달받아 기어박스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버튼부의 입력신호 또는 스마트기기의 구동신호에 의해 구동모터를 구동 또는 정지시키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마이크로컨트롤러, 및
기어의 회동을 온/오프하도록 하는 스위치로, 제2 기어가 회전을 하면서 특정 지점에 위치하면 자동으로 제2 기어의 회전을 멈추도록 하는 스탑스위치
를 포함하는 기어박스
를 포함하고,
기어박스는 스마트기기와 무선통신 방식으로 연동되어 도어락의 열림 또는 열림을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형 디지털 보조도어락.
In an attachable digital auxiliary door lock detachably attached to an outer surface of an existing door lock,
An upper frame provided with a gear check window for confirm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gear and the second gear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nd rotating;
A lower frame mounted on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frame so that the gear box and the power supply unit can be fixedly mounted;
A cover part detachably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upper frame;
The first gear,
A second gear formed circumscribely to the first gear and rotated by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first gear,
A pinion gear which is connected to the first gear at one side and is connected to the drive motor at the other side for transmitting the driving force by the driving motor to the first gear,
A second gear i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is rotated by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second gear Holder handle,
An adapter handl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opening portion for the door lock to be inserted therein, a holder handle fitted on an outer side thereof,
A button part for projecting an input signal to a driving motor mounted inside when the projecting part is pressed downward,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o and from a smart device,
A driving motor which is located inside the lower frame and receives a driving signal from the smart device or the button unit and provides a driving force to the gear box,
A microcontroller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driving or stopping the driving motor by an input signal of the button unit or a driving signal of the smart device;
A switch for turning on / off the rotation of the gear, a stop switch for automatically stopping the rotation of the second gear when the second gear is positioned at a specific point while rotating,
≪ / RTI >
Lt; / RTI >
Wherein the gear box is interlocked with the smart devi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manner to release the opening or opening of the door lock.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60161615A 2016-11-30 2016-11-30 Attached digital auxiliary door lock KR10189945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1615A KR101899455B1 (en) 2016-11-30 2016-11-30 Attached digital auxiliary door lo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1615A KR101899455B1 (en) 2016-11-30 2016-11-30 Attached digital auxiliary door loc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1907A KR20180061907A (en) 2018-06-08
KR101899455B1 true KR101899455B1 (en) 2018-09-17

Family

ID=62600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1615A KR101899455B1 (en) 2016-11-30 2016-11-30 Attached digital auxiliary door lo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945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92262B (en) * 2019-07-24 2021-06-15 深圳易举易动科技有限公司 Express delivery cabinet structure and multi-functional intelligent cabin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1907A (en) 2018-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9373B1 (en) Locker digital door-lock
KR101899455B1 (en) Attached digital auxiliary door lock
KR101597914B1 (en) Locking Apparatus for a mosquito net
DK1863987T5 (en) Key box for locked storage of encrypted access items - such as access cards and keys
CN108868406A (en) Emergent escape windows
CN208830850U (en) Emergent escape windows
KR101876476B1 (en) Electronic door lock device with safty lock
KR101357359B1 (en) door outside handle covers protection structure is lost for automobile
JP2016075134A (en) Indoor side locking device
JP5816521B2 (en) Locking device
JP2007120277A (en) Hinged door partly-opening device for car
KR101615899B1 (en) Door handle with a lock release function for emergency evacuation
KR20130072055A (en) Door stopper system
KR101990693B1 (en) Locking device for screens preventing crimees and insections
KR101182458B1 (en) Hnadgrip for locker
JP4235065B2 (en) Security system
US20200317286A1 (en) Device for th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of a top box or a suitcase for motorcycles and for hooking and releasing said suitcase or top box to/from the motorcycle
CN206429150U (en) It is a kind of to carry out secondary antitheft electronic password lock antitheft door
JP5679708B2 (en) Digital door lock for easy installation
KR101990692B1 (en) Locking device for screens preventing crimees and insections
JP3832590B2 (en) Anti-theft device for vending machines.
KR200486251Y1 (en) Door lock with two-way locking function
KR102155984B1 (en) A door device
KR101950948B1 (en) Safe handle apparutus
CN209942427U (en) Key box coded lock and key box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