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9027B1 - 차량의 카본 슬러지 제거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의 카본 슬러지 제거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99027B1 KR101899027B1 KR1020170149375A KR20170149375A KR101899027B1 KR 101899027 B1 KR101899027 B1 KR 101899027B1 KR 1020170149375 A KR1020170149375 A KR 1020170149375A KR 20170149375 A KR20170149375 A KR 20170149375A KR 101899027 B1 KR101899027 B1 KR 10189902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essure
- hole
- transfer hole
- washing solution
- cleaning liqui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B77/04—Cleaning of, preventing corrosion or erosion in, or preventing unwanted deposits in, combustion engin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percharg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기메니폴드의 흡기라인에 퇴적 및 고착되는 카본 슬러지를 제거하기 위한 세척액을 분사하는 차량의 카본 슬러지 제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로틀바디와 흡기메니폴드의 연결 부위에 결합되며, 내측 둘레면에는 세척액이 분사되는 분사노즐 및 고압의 터보압력이 이송되는 제1고압이송홀이 형성되고, 외측 둘레면에는 분사노즐과 연통되는 세척액주입홀 및 제1고압이송홀과 연통되는 제2고압이송홀이 형성된 어댑터; 및 세척액이 저장되며, 세척액주입홀과 연결되는 세척액이송홀이 형성되고, 단방향 체크밸브가 형성되어 제2고압이송홀과 연결되는 고압가스주입홀이 형성된 세척액저장탱크;를 포함하며, 단방향 체크밸브는 제1고압이송홀을 통해 유입된 터보압력이 세척액저장탱크 내부로 유입되도록 형성되며, 유입된 터보압력에 의해 저장된 세척액이 세척액이송홀을 통해 세척액주입홀로 이송되어 분사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카본 슬러지 제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의 카본 슬러지 제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동차의 흡기라인(공기필터를 통과한 공기가 터보장치를 통과한 이후부터 실린더의 흡기밸브 입구까지)을 클리닝(세척)하기 위한 차량의 카본 슬러지 제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젤(터보)엔진은 매연 및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저감시키기 위해 배기가스를 재연소시키는 배기가스순환(EGR)방식을 적용하고 있다.
자동차 시동 후 주행을 위해 가속페달을 밟을 시 엔진회전수가 상승하게 되는데, 이때 터보장치가 동작한다. 터보장치란 압축공기를 생성하여 엔진에 더 많은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장치로써, 터보차저 내부에는 터보부스트 날개를 보호할 목적으로 소량의 엔진오일이 주입된다. 주입된 소량의 엔진오일은 압축공기를 통해 엔진 흡기에서 엔진 내부로 소량씩 주입되는 연료와 함께 연소된다.
모든 디젤 자동차는 터보차저가 장착되어 있으며, 매연과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EGR 배기가스 재연소 밸브가 부착되어 있다. EGR 밸브 열림시 배출가스가 압축공기와 섞여 재연소되는 방식인데, 터보차저로 유입되는 엔진오일이 고온의 배출가스를 만나면서 카본 슬러지가 생성되며, 이와 같이 생성된 카본 슬러지는 흡기라인에 퇴적 및 고착되는 구조적인 문제점을 안고 있다.
즉, 자동차의 흡기메니폴드 및 흡기메니폴드의 주변에 연결되어 있는 흡기라인 전체에 지속적으로 고착되는 카본 슬러지로 인해 출력(성능)저하, 매연 및 고장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밖에 없는 구조이다.
도 1의 (a)는 1년 전에 흡기클리닝을 실시한 차량(카니발 2.2R)으로 1년 동안 누적된 흡기메니폴드의 입구에 쌓인 카본 슬러지를 나타낸 사진이며, 이는 전체적인 공기흡입량과 속도를 제공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 문제발생의 구조적인 원인이다.
또한, 도 1의 (b)는 에어컨트롤 밸브에 쌓인 카본슬러지를 나타낸 사진으로, 공기흐름이 늦어져서 차량의 반응을 함께 늦추므로 성능 뿐 아니라 불완전연소로 이어지는 악영향을 유발시킨다.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국내등록특허 제10-1200940호에서 흡기메니폴드의 클리닝 장치를 소개한 바 있으나, 클리닝을 위한 용액이 세척용 용액이 아닌 자동차연료(경유)를 사용하며, 분사압력을 자동차의 연료펌프의 압력을 이용하여 연료파이프를 분기하여 구성하고, 연료 인젝터를 흡기포트에 추가로 설치하는 복잡한 구조를 갖는다.
또한,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7233호에서 흡기 클리닝장치를 소개한 바 있으나, 차량 자체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시스템이 아닌 정비소에 있는 컴프레서를 이용한 압축공기를 사용하여 분사하는 장비이므로, 주기적인 점검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차량 구조의 변경없이 간단한 구조를 갖는 시스템을 연결하고, 세척액만 보충하여 사용하면서 상시 클리닝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한 차량의 카본 슬러지 제거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자동차의 흡기라인(공기필터를 통과한 공기가 터보장치를 통과한 이후부터 실린더의 흡기 밸브 입구까지)을 클리닝함으로써, 자동차 설계기준의 공기공급량을 항시 유지하여 신차수준의 공해방지기능을 지속시킬 수 있는 차량의 카본 슬러지 제거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세척액을 분사하기 위한 분사압력을 별도의 추가 장비없이 차량 내부에서 발생하는 터보압력을 이용하여 해결한 차량의 카본 슬러지 제거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차량의 종류와 운행패턴에 따라 세척액의 분사량과 분사 간격 등을 조절할 수 있는 차량의 카본 슬러지 제거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차량의 카본 슬러지 제거시스템은, 스로틀바디와 흡기메니폴드의 연결 부위에 결합되며, 내측 둘레면에는 세척액이 분사되는 분사노즐 및 고압의 터보압력이 이송되는 제1고압이송홀이 형성되고, 외측 둘레면에는 상기 분사노즐과 연통되는 세척액주입홀 및 상기 제1고압이송홀과 연통되는 제2고압이송홀이 형성된 어댑터; 및 세척액이 저장되며, 상기 세척액주입홀과 연결되는 세척액이송홀이 형성되고, 단방향 체크밸브가 형성되어 상기 제2고압이송홀과 연결되는 고압가스주입홀이 형성된 세척액저장탱크;를 포함하며, 상기 단방향 체크밸브는 상기 제1고압이송홀을 통해 유입된 터보압력이 상기 세척액저장탱크 내부로 유입되도록 형성되며, 유입된 터보압력에 의해 저장된 세척액이 상기 세척액이송홀을 통해 상기 세척액주입홀로 이송되어 상기 분사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어댑터 내측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 상기 세척액이송홀과 상기 세척액주입홀 사이에 형성된 솔레노이드밸브; 및 상기 압력센서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에 연결된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압력센서에 의한 압력감지를 통해 일정 압력 이상에서만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를 개방시켜 세척액을 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의 개방되는 시간 및 개방되는 주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솔레노이드밸브가 개방되기 위한 기준 압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구조 변경없이 본 발명을 간단히 추가(연결)할 수 있으며, 장착한 상태에서 세척액만 보충하여 사용하면서 항시 클리닝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유지/보수/관리가 용이하고, 공해물질 배출량을 저감시킴은 물론, 차량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차량 자체적으로 발생하는 터보압력을 이용하여 세척액을 분사시키는 구조로써, 압력 발생을 위한 별도의 추가장비가 필요치 않으며, 자동차의 흡기라인(공기필터를 통과한 공기가 터보장치를 통과한 이후부터 실린더의 흡기 밸브 입구까지)을 클리닝함으로써, 자동차 설계기준의 공기공급량을 항시 유지하여 신차 수준의 공해방지기능을 지속시킬 수 있다.
또한, 압력센서와 제어부를 통해 세척액의 분사량과 분사 간격 등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차량의 종류와 운전자의 운행 패턴에 맞춰 최적의 조건으로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자동차의 흡기라인에 고착된 카본 슬러지를 나타낸 도면 대용 사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카본 슬러지 제거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카본 슬러지 제거시스템을 적용한 차량과 일반차량의 차량 수명에 따른 공해물질배출량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카본 슬러지 제거시스템을 적용한 테스트 차량의 실제 클리닝 상태를 일반차량과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대용 사진,
도 5는 흡기클리닝을 실시한 베라크루즈 차량에 본 발명을 적용하기 전 매연농도를 측정한 도면 대용 사진,
도 6은 도 5의 베라크루즈 차량에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카본 슬러지 제거시스템을 적용 후 1,000㎞ 주행 뒤 매연 농도를 측정한 결과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카본 슬러지 제거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카본 슬러지 제거시스템을 적용한 차량과 일반차량의 차량 수명에 따른 공해물질배출량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카본 슬러지 제거시스템을 적용한 테스트 차량의 실제 클리닝 상태를 일반차량과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대용 사진,
도 5는 흡기클리닝을 실시한 베라크루즈 차량에 본 발명을 적용하기 전 매연농도를 측정한 도면 대용 사진,
도 6은 도 5의 베라크루즈 차량에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카본 슬러지 제거시스템을 적용 후 1,000㎞ 주행 뒤 매연 농도를 측정한 결과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카본 슬러지 제거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개념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카본 슬러지 제거시스템을 적용한 차량과 일반차량의 차량 수명에 따른 공해물질배출량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카본 슬러지 제거시스템을 적용한 테스트 차량의 실제 클링닝 상태를 일반차량과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대용 사진이고, 도 5는 흡기클리닝을 실시한 베라크루즈 차량에 본 발명을 적용하기 전 매연농도를 측정한 도면 대용 사진이며, 도 6은 도 5의 베라크루즈 차량에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카본 슬러지 제거시스템을 적용 후 1,000㎞ 주행 뒤 매연 농도를 측정한 결과표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차량용 카본 슬러지 제거시스템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인 차량용 카본 슬러지 제거시스템은 흡기메니폴드(10)의 흡기라인에 퇴적 및 고착되는 카본 슬러지를 제거하기 위한 세척액을 분사하는 장치로써, 어댑터(100)와 세척액저장탱크(20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어댑터(100)는 흡기메니폴드(10)와 스로틀바디밸브(21)가 구비된 스로틀바디(20)의 연결부위에 함께 연결되도록 플랜지 타입의 연결부(도면부호 미기재)가 형성된다. 스로틀바디(20)에는 인터쿨러호스(30)가 연결된다.
어댑터(100)에는 내측에 홀(도면부호 미기재)이 형성되며, 형성된 홀은 흡기메니폴드(10)와 스로틀바디(20)에 형성된 홀에 대응되는 면적을 갖는다. 어댑터(100)의 둘레면에는 플랜지 타입의 체결홀(도면부호 미기재)이 형성되어 볼트로 체결되며, 홀의 내측 둘레면에는 세척액이 분사되는 분사노즐(110)과 고압의 터보압력이 이송되는 제1고압이송홀(130)이 형성된다.
분사노즐(110) 및 제1고압이송홀(130)이 형성된 어댑터(100)의 상부 외측 둘레면에는 세척액주입홀(120)과 제2고압이송홀(140)이 형성되며, 세척액주입홀(120)은 분사노즐(110)과 연통되고, 제2고압이송홀(140)은 제1고압이송홀(130)과 연통된다.
세척액저장탱크(200)는 어댑터(100)와 연결되며, 어댑터(100)로 세척액을 공급하고, 공급된 세척액은 분사노즐(110)을 통해 분사되는 구조를 갖는다.
세척액저장탱크(200)는 원기둥 형상의 일정 압력에 견디는 용기로 구성할 수 있으며, 상부에 용액주입구(230), 세척액이송홀(210) 및 고압가스주입홀(220)이 형성된다.
용액주입구(230)는 개폐되는 구조를 가지며, 용액주입구(230)를 통해 세척액을 주입한다. 세척액저장탱크(200)에는 세척액의 잔량을 확인하기 위한 세척액게이지(미도시)가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세척액이송홀(210)은 세척액주입홀(120)과 이송호스 등을 통해 연결된다.
고압가스주입홀(220)도 제2고압이송홀(140)과 이송호스 등을 통해 연결되며, 미도시 하였으나 터보장치를 통해 고압의 터보압력이 유입되면, 유입된 터보압력은 제1고압이송홀(130)을 통해 제2고압이송홀(140)을 거쳐 고압가스주입홀(220)로 이송되어 세척액저장탱크(200)의 내부로 고압의 터보압력이 주입된다. 고압가스주입홀(220)에는 단방향 체크밸브(221)가 형성되어 배출되지 않고 주입만 되도로 구성된다.
주입된 터보압력에 의해 세척액저장탱크(200)에 저장된 세척액은 세척액이송홀(210)을 통해 세척액주입홀(120)을 거쳐 분사노즐(110)을 통해 분사된다.
이때, 분사된 세척액은 차량의 가속시 더 많은 공기를 흡입하게 되는데, 이때, 발생되는 터보압력에 의해 분사된 세척액도 함께 흡입되면서 카본슬러지가 제거되는 원리이다.
세척액이송홀(210)의 하부, 즉, 세척액이송홀(210)과 연결된 세척액저장탱크(200)의 내부로는 바닥면까지 연결된 세척액흡입관(211)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할 경우 차량 자체적으로 발생하는 터보압력에 의해 세척액을 분사시킬 수 있으나, 차량 가속시마다 세척액이 분사되므로 세척액이 너무 과다하게 분사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어댑터(100) 내측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300)와 세척액이송홀(210)과 세척액주입홀(120) 사이에 형성된 솔레노이드밸브(400) 및 압력센서(300)와 솔레노이드밸브(400)에 연결되어 컨트롤하는 제어부(500)를 더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어댑터(100)의 홀 내측 둘레면에는 제1압력감지홀(150)이 형성되고, 제1압력감지홀(150)과 연통된 제2압력감지홀(160)이 어댑터(100)의 외측 둘레면 상부에 형성되며, 제2압력감지홀(160)에는 압력센서(300)가 연결된다. 물론, 어댑터(100) 내측의 압력감지를 할 수 있는 구조라면, 압력센서(300)의 위치는 얼마든지 변경할 수 있다.
솔레노이드밸브(400)는 평상시 폐쇄되었다가 압력센서(300)에 의한 압력감지를 통해 일정 압력 이상에서만 개방되도록 동작한다.
제어부(500)를 통해 솔레노이드밸브(400)의 개방되는 시간 및 개방되는 주기(간격)을 조절할 수 있으며, 솔레노이드밸브(400)가 개방되기 위한 기준 압력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이 가속되는 순간에만 분사하게 되는데, 분사 유무를 결정하는 것은 차량이 가속되는 순간에 흡기메니폴드(10) 및 인터쿨러호스(30) 내에서 발생하는 터보압력을 감지하여 분사를 결정하게 된다.
따라서, 차량 주행 중 터보장치 작동시 발생한 압력을 압력센서(300)에서 감지하고, 감지된 압력수치가 설정된 압력 이상일 경우에만 솔레노이드밸브(400)가 개방되어 세척액저장탱크(200)에 저장된 세척액이 어댑터(100)의 분사노즐(110)을 통해 분사되며, 차량의 종류나 운전자의 운전행태에 따라 분사주기와 분사시간을 다르게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세척액은 공지된 세척액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거나, 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을 적용한 차량과 일반차량의 수명에 따라 차량으로부터 배출되는 공해유발총량을 비교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인 차량용 카본 슬러지 제거시스템을 실제 테스트 차량(카니발 2.2R엔진)에 적용한 상태에서 약 600㎞ 주행 뒤 분해하여 촬영한 사진으로써, 본 발명을 적용하기 이전의 사진과 비교하였다.
도 4의 (a)는 본 발명을 적용하기 전 상태 사진이며, 도 4의 (b)는 본 발명을 적용한 상태에서 약 600㎞ 주행 뒤 분해하여 촬영한 사진이고, 도 4의 (c)는 본 발명을 적용한 상태에서 약 1,600㎞ 주행 뒤 분해하여 촬영한 사진이다.
본 발명을 적용하기 전의 엔진헤드입구의 경우 불규칙하게 누적되어 있던 단단한 하드카본 형태의 슬러지가 본 발명을 적용한 후 약 600㎞ 주행 뒤에는 세척액에 의해 불규칙한 표면이 고르게 깍여나간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약 1,600㎞ 주행 뒤에는 입구 및 내부의 카본이 거의 깍여나간 상태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흡입공기의 양과 흐름을 결정하는 주입구 부분으로 가장 중요한 흡기메니폴드(10)의 경우 본 발명을 적용하기 전에 비해 본 발명을 적용한 후 약 600㎞ 주행 뒤에는 안쪽까지 두껍게 누적되어 있던 카본 슬러지가 고르게 깍여나간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약 1,600㎞ 주행 뒤에는 공기의 흐름이 완전하게 보장될 수 있도록 내부까지 매끄럽게 클리닝이 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에어크리너를 거친 후 가장 먼저 공기를 단속하는 부분인 스로틀바디(20)의 경우에도 본 발명을 적용한 후 약 600㎞ 주행 뒤에는 전체적으로 클리닝이 고르게 진행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약 1,600㎞ 주행 뒤에는 대부분의 카본이 깨끗하게 클리닝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었다.
도 5는 흡기클리닝을 실시한 베라크루즈 차량에 본 발명을 적용하기 전 매연농도를 측정한 도면 대용 사진이고, 도 6은 도 5의 베라크루즈 차량에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카본 슬러지 제거시스템을 적용 후 1,000㎞ 주행 뒤 매연 농도를 측정한 결과표이다.
베라크루즈 차량은 최근 차량정기검사를 위해 흡기클리닝을 3개월 전에 실시했던 차량으로 장착전(도 5 참조)에도 비교적 낮은 수치의 매연 농도가 측정되었다.
그러나,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인 차량의 카본 슬러지 제거시스템을 장착 후 총 1,000㎞ 주행 뒤 재 측정한 결과 매연 농도 테스트 결과는 신차기준인 10 보다도 더 낮은 수치로 확인되었다.
10 : 흡기메니폴드 20 : 스로틀바디
21 : 스로틀바디밸브 30 : 인터쿨러호스
100 : 어댑터 110 : 분사노즐
120 : 세척액주입홀 130 : 제1고압이송홀
140 : 제2고압이송홀 150 : 제1압력감지홀
160 : 제2압력감지홀
200 : 세척액저장탱크 210 : 세척액이송홀
211 : 세척액흡입관 220 : 고압가스주입홀
221 : 단방향 체크밸브 230 : 용액주입구
300 : 압력센서 400 : 솔레노이드밸브
500 : 제어부
21 : 스로틀바디밸브 30 : 인터쿨러호스
100 : 어댑터 110 : 분사노즐
120 : 세척액주입홀 130 : 제1고압이송홀
140 : 제2고압이송홀 150 : 제1압력감지홀
160 : 제2압력감지홀
200 : 세척액저장탱크 210 : 세척액이송홀
211 : 세척액흡입관 220 : 고압가스주입홀
221 : 단방향 체크밸브 230 : 용액주입구
300 : 압력센서 400 : 솔레노이드밸브
500 : 제어부
Claims (4)
- 스로틀바디와 흡기메니폴드의 연결 부위에 결합되며, 내측 둘레면에는 세척액이 분사되는 분사노즐 및 고압의 터보압력이 이송되는 제1고압이송홀이 형성되고, 외측 둘레면에는 상기 분사노즐과 연통되는 세척액주입홀 및 상기 제1고압이송홀과 연통되는 제2고압이송홀이 형성된 어댑터; 및
세척액이 저장되며, 상기 세척액주입홀과 연결되는 세척액이송홀이 형성되고, 단방향 체크밸브가 형성되어 상기 제2고압이송홀과 연결되는 고압가스주입홀이 형성된 세척액저장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단방향 체크밸브는 상기 제1고압이송홀을 통해 유입된 터보압력이 상기 세척액저장탱크 내부로 유입되도록 형성되며, 유입된 터보압력에 의해 저장된 세척액이 상기 세척액이송홀을 통해 상기 세척액주입홀로 이송되어 상기 분사노즐을 통해 분사되며,
상기 어댑터 내측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가 포함되고,
상기 세척액이송홀과 상기 세척액주입홀 사이에 형성되며, 평상시 폐쇄되었다가 상기 압력센서에 의한 압력감지 통해 일정 압력 이상에서만 개방되도록 동작하는 솔레노이드밸브;가 포함되고,
상기 압력센서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에 연결되어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의 개방되는 시간 및 개방되는 주기를 조절하고,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의 기준 압력을 조절하는 제어부;가 포함되며,
상기 제어부는 압력센서에 의한 압력감지를 통해 일정 압력 이상에서만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를 개방시켜 세척액을 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카본 슬러지 제거시스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49375A KR101899027B1 (ko) | 2017-11-10 | 2017-11-10 | 차량의 카본 슬러지 제거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49375A KR101899027B1 (ko) | 2017-11-10 | 2017-11-10 | 차량의 카본 슬러지 제거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99027B1 true KR101899027B1 (ko) | 2018-10-29 |
Family
ID=64101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49375A KR101899027B1 (ko) | 2017-11-10 | 2017-11-10 | 차량의 카본 슬러지 제거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99027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37390B1 (ko) * | 2019-02-28 | 2020-07-24 | 정재성 | 차량의 카본 슬러지 제거시스템 |
KR20230047716A (ko) | 2021-10-01 | 2023-04-10 |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 가스유로의 이물질 제거장치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4077400A (ja) * | 2012-10-11 | 2014-05-01 | Mitsubishi Heavy Ind Ltd | 吸気フィルタ洗浄装置及び吸気フィルタ洗浄方法 |
KR200477233Y1 (ko) * | 2014-12-05 | 2015-05-28 | 김석모 | 자동차의 흡기장치를 클리닝하는 흡기 클리닝 장치 |
-
2017
- 2017-11-10 KR KR1020170149375A patent/KR10189902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4077400A (ja) * | 2012-10-11 | 2014-05-01 | Mitsubishi Heavy Ind Ltd | 吸気フィルタ洗浄装置及び吸気フィルタ洗浄方法 |
KR200477233Y1 (ko) * | 2014-12-05 | 2015-05-28 | 김석모 | 자동차의 흡기장치를 클리닝하는 흡기 클리닝 장치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37390B1 (ko) * | 2019-02-28 | 2020-07-24 | 정재성 | 차량의 카본 슬러지 제거시스템 |
KR20230047716A (ko) | 2021-10-01 | 2023-04-10 |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 가스유로의 이물질 제거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U2700465C2 (ru) |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варианты) улучшения продувки канистры улавливания топливных паров | |
US8926763B2 (en) | Method for cleaning internal parts of gasoline engines | |
EP1970544A3 (en) | Internal combustion engine system and method | |
KR101899027B1 (ko) | 차량의 카본 슬러지 제거시스템 | |
CN101302965A (zh) | 用于识别柴油发动机内燃料类型的方法 | |
JP4803007B2 (ja) | 内燃機関の制御装置 | |
US20080283100A1 (en) | Method for cleaning internal parts of gasoline engines | |
US20080060680A1 (en) | Bulk supply apparatus and method for cleaning a combustion engine system | |
CN102979637A (zh) | 内燃机的控制装置及控制方法 | |
CN101440737A (zh) | 用于内燃机尾气处理供气方法及其装置 | |
JP4957401B2 (ja) | 内燃機関の燃料噴射システム | |
CN207554189U (zh) | 一种混合燃烧的双燃料发动机 | |
CN104989528A (zh) | 一种抑制直喷发动机进气管路积碳生成的装置 | |
US9181829B2 (en) | Exhaust gas purification device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KR102137390B1 (ko) | 차량의 카본 슬러지 제거시스템 | |
JP2003074371A (ja) | エンジンの吸気系洗浄装置 | |
RU147655U1 (ru) | Топливно-воздушный отделитель и система двигателя | |
CN102374050A (zh) | 用于操作柴油发动机的方法 | |
JP6625002B2 (ja) | 凝縮水分散装置 | |
EP2735722B1 (en) | Fuel system for an excavator | |
JP2021152357A (ja) | 圧縮天然ガス自動車 | |
US20180320643A1 (en) | Vehicle servicing equipment and techniques | |
CN110462189A (zh) | 用于曲轴箱的通风的系统 | |
JP4798497B2 (ja) | 内燃機関におけるセンサ洗浄装置 | |
WO2004025108A1 (en) | Additive injector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nd injection method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