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8958B1 - 변기 장치 - Google Patents
변기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98958B1 KR101898958B1 KR1020170102825A KR20170102825A KR101898958B1 KR 101898958 B1 KR101898958 B1 KR 101898958B1 KR 1020170102825 A KR1020170102825 A KR 1020170102825A KR 20170102825 A KR20170102825 A KR 20170102825A KR 101898958 B1 KR101898958 B1 KR 10189895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ilet
- toilet seat
- seat
- end surface
- case cove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0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2
- 210000001217 buttock Anatomy 0.000 description 5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102100028162 ATP-binding cassette sub-family C member 3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2100028187 ATP-binding cassette sub-family C member 6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1000986633 Homo sapiens ATP-binding cassette sub-family C member 3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1000986621 Homo sapiens ATP-binding cassette sub-family C member 6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1001014572 Homo sapiens MARCKS-related protein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6010063659 Avers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194 climb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877 deodor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74 electromagnetic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9142 excr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608 fec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02 hot air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34 transmitt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700 uri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30—Seats having provisions for heating, deodorising or the like, e.g. ventilating, noise-damping or cleaning devices
- A47K13/305—Seats with heating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04—Buffers for sea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2—Hin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07—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by diffusing deodorants in lavatori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022—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for sensing the radiation of moving bodies
- G01J5/0025—Living bodi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14—Supports; Fastening devices; Arrangements for mounting thermometers in particular loc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ilet Supplies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과제) 양호한 사용감의 변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해결 수단) 기능부와, 기능부를 덮는 케이스 커버를 갖고, 변기 상에 부착되는 본체부와, 케이스 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변기의 상방에 있어서 사용자의 착좌를 가능하게 하는 폐쇄 상태와, 변기의 상면을 노정시키는 개방 상태로 이동하는 변좌를 구비하고, 케이스 커버는 전방을 향함에 따라 높이가 낮아지는 연장부와, 연장부의 후방에 형성되어 변좌를 축지지하는 변좌 축지지부를 갖고, 변좌는 폐쇄 상태에 있어서 케이스 커버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제 1 부분과, 폐쇄 상태에 있어서 제 1 부분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기립하고, 연장부 상에 겹쳐 변좌 축지지부에 축지지되는 제 2 부분을 갖고, 변좌 축지지부의 상단면은 전방을 향함에 따라 높이가 낮아져 제 2 부분의 상단면과 대략 연속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장치이다.
(해결 수단) 기능부와, 기능부를 덮는 케이스 커버를 갖고, 변기 상에 부착되는 본체부와, 케이스 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변기의 상방에 있어서 사용자의 착좌를 가능하게 하는 폐쇄 상태와, 변기의 상면을 노정시키는 개방 상태로 이동하는 변좌를 구비하고, 케이스 커버는 전방을 향함에 따라 높이가 낮아지는 연장부와, 연장부의 후방에 형성되어 변좌를 축지지하는 변좌 축지지부를 갖고, 변좌는 폐쇄 상태에 있어서 케이스 커버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제 1 부분과, 폐쇄 상태에 있어서 제 1 부분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기립하고, 연장부 상에 겹쳐 변좌 축지지부에 축지지되는 제 2 부분을 갖고, 변좌 축지지부의 상단면은 전방을 향함에 따라 높이가 낮아져 제 2 부분의 상단면과 대략 연속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장치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의 형태는 일반적으로 변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체부와 이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변좌를 갖는 변기 장치가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이러한 변기 장치에 있어서 본체부와 변좌 사이에 큰 단차를 갖는 구성이 알려져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변좌에 대하여 깊게 앉았을 때에 둔부의 일부가 본체부에 강하게 닿아 사용자에 혐오감을 부여해 버릴 가능성이 있었다.
이 때문에 변기 장치에서는 사용자가 변좌에 대하여 깊게 앉았을 경우에도 사용자에 혐오감을 부여해 버리는 것을 억제하고, 편리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요망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의 인식에 의거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양호한 사용감의 변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 1 발명은 기능부와, 상기 기능부를 덮는 케이스 커버를 갖고, 변기 상에 부착되는 본체부와, 상기 케이스 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상기 변기의 상방에 있어서 사용자의 착좌를 가능하게 하는 폐쇄 상태와, 상기 변기의 상면을 노정시키는 개방 상태로 이동하는 변좌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 커버는 전방을 향함에 따라 높이가 낮아지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후방에 형성되어 상기 변좌를 축지지하는 변좌 축지지부를 갖고, 상기 변좌는 상기 폐쇄 상태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커버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제 1 부분과, 상기 폐쇄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기립하고, 상기 연장부 상에 겹쳐 상기 변좌 축지지부에 축지지되는 제 2 부분을 갖고, 상기 변좌 축지지부의 상단면은 전방을 향함에 따라 높이가 낮아지고, 상기 제 2 부분의 상단면과 대략 연속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장치이다.
이 변기 장치에 의하면, 케이스 커버의 상단면이 변좌의 상단면과 대략 연속면을 형성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변좌에 대하여 깊게 앉았을 경우에도 사용자에 혐오감을 부여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양호한 사용감의 변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제 2 발명은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변좌 축지지부의 상단면의 최전단의 좌우 방향을 향하는 높이 변화는 상기 제 2 부분의 상단면의 최후단의 좌우 방향을 향하는 높이 변화와 대략 동일하며, 상기 변좌 축지지부의 상단면의 중앙부는 후방을 향함에 따라 높아지는 변화량이 상기 변좌 축지지부의 상단면의 측단부의 후방을 향함에 따라 높아지는 변화량보다 크고, 상기 제 2 부분의 상단면의 중앙부는 전방을 향함에 따라 낮아지는 변화량이 상기 제 2 부분의 상단면의 측단부의 전방을 향함에 따라 낮아지는 변화량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장치이다.
이 변기 장치에 의하면, 제 2 부분의 상단면의 중앙부를 제 2 부분의 상단면의 측단부보다 낮게 함으로써 제 2 부분의 상단면의 형상을 인체의 둔부의 형상에 맞춰 앉은 자리의 편안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변좌 축지지부의 상단면의 중앙부를 변좌 축지지부의 상단면의 측단부보다 높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둔부가 변좌 축지지부의 상단면에 닿았을 때에 혐오감을 억제하면서 케이스 커버 상에 올라 있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아차리게 할 수 있다. 혐오감을 부여해 버리는 것을 억제하면서 사용자를 변좌의 적정한 위치로 유도할 수 있다.
제 3 발명은 제 1 또는 제 2 발명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상기 변좌를 덮는 폐쇄 상태와, 상기 변좌를 노정시키는 개방 상태로 이동하는 변기 덮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 커버는 상기 변좌 축지지부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변기 덮개를 축지지하는 변기 덮개 축지지부를 갖고, 상기 변좌 축지지부의 상단면의 전후 방향의 길이는 상기 변기 덮개 축지지부의 상단면의 전후 방향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장치이다.
이 변기 장치에 의하면, 변좌 축지지부의 상단면의 전후 방향의 길이를 변기 덮개 축지지부의 상단면의 전후 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변좌에 대하여 깊게 앉았을 경우에도 사용자에 혐오감을 부여해 버리는 것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 커버와 변좌를 보다 일체적으로 보이게 하여 변기 장치의 의장성을 높일 수 있다.
제 4 발명은 제 1 내지 제 3 발명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변좌는 상기 제 2 부분의 후단에 형성되어 상기 변좌 축지지부에 축지지되는 한쌍의 힌지부를 갖고, 상기 한쌍의 힌지부의 상단면은 사각형상이며, 상기 제 2 부분의 상단면 및 상기 변좌 축지지부의 상단면과 대략 연속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장치이다.
이 변기 장치에 의하면, 케이스 커버와 변좌를 보다 일체적으로 보이게 하여 변기 장치의 의장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양호한 사용감의 변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에 의한 변기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에 의한 변기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에 의한 변기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에 의한 변기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실시형태에 의한 변기 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실시형태에 의한 변기 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실시형태에 의한 변기 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실시형태에 의한 변기 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실시형태에 의한 변기 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실시형태에 의한 변기 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실시형태에 의한 변기 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참고예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3은 실시형태에 의한 변기 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실시형태에 의한 변기 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에 의한 변기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에 의한 변기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에 의한 변기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실시형태에 의한 변기 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실시형태에 의한 변기 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실시형태에 의한 변기 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실시형태에 의한 변기 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실시형태에 의한 변기 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실시형태에 의한 변기 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실시형태에 의한 변기 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참고예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3은 실시형태에 의한 변기 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실시형태에 의한 변기 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 중 마찬가지의 구성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은 적당히 생략한다.
도 1~도 3은 실시형태에 의한 변기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기 장치(2)는 변좌 장치(4)와 수세식 서양 변기(이하, 설명의 편의상 간단히 「변기」라고 칭함)(6)를 구비한다. 변좌 장치(4)는 변기(6) 상에 부착된다. 변좌 장치(4)는 변기(6)에 대해서 일체적으로 부착해도 좋고, 변기(6)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부착해도 좋다. 변기(6)는 변기 장치(2)에 필요에 따라 설치되며, 생략 가능하다. 또한, 도 2 및 도 3에서는 편의적으로 변기(6)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변좌 장치(4)는 변좌(10)와, 변기 덮개(12)와, 본체부(14)를 갖는다. 변기 덮개(12)는 변좌 장치(4)에 필요에 따라 설치되며, 생략 가능하다. 변좌(10)와 변기 덮개(12)는 본체부(14)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여기에서 본원 명세서에 있어서는 변좌(10)에 앉은 사용자로부터 볼 때, 상방을 「상방」으로 하고, 변좌(10)에 앉은 사용자로부터 볼 때, 하방을 「하방」으로 한다. 또한, 개방된 상태의 변기 덮개(12)에 등을 지고, 변좌(10)에 앉은 사용자로부터 볼 때, 전방을 「전방」으로 하고, 후방을 「후방」으로 하고, 우측을 「우측방」으로 하고, 좌측을 「좌측방」으로 한다.
변기(6)는 보울부(6a)를 갖는다. 보울부(6a)는 하방으로 함몰되는 오목형상이다. 변기(6)는 보울부(6a)에 있어서 사용자의 소변이나 대변 등의 배설물을 받는다.
변좌 장치(4)의 본체부(14)는 변기(6)의 보울부(6a)보다 후방 부분의 위에 부착된다. 본체부(14)는 케이스 커버(20)를 갖는다. 본체부(14)는 케이스 커버(20)에 있어서 변좌(10) 및 변기 덮개(12)를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한다.
케이스 커버(20)는 연장부(22)와 변좌 축지지부(24)와 변기 덮개 축지지부(26)를 갖는다. 연장부(22)는 전방을 향함에 따라 높이가 낮아진다. 연장부(22)는 전방을 향해서 연속적으로 하강 경사하고 있다. 또한, 연장부(22)는 만곡 오목면(28)을 갖는다. 만곡 오목면(28)은 연장부(22)의 좌우 방향의 중앙부에 형성되고, 보울부(6a)의 개구단의 형상을 따라 오목형상으로 만곡하고 있다.
변좌 축지지부(24)는 연장부(22)의 후방에 설치되어 변좌(10)를 축지지한다. 변기 덮개 축지지부(26)는 변좌 축지지부(24)의 후방에 설치되어 변기 덮개(12)를 축지지한다.
변좌(10)는 케이스 커버(20)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며, 폐쇄 상태와 개방 상태로 이동한다. 변좌(10)의 폐쇄 상태는 변기(6)의 상방에 있어서 사용자의 착좌를 가능하게 하는 상태이다(도 1에 나타낸 상태). 변좌(10)의 개방 상태는 변기(6)의 상면(6u)을 노정시키는 상태이다(도 2에 나타낸 상태).
변좌(10)는 변좌 본체(30)와 한쌍의 힌지부(31, 32)와 완충 부재(34)를 갖는다. 변좌 본체(30)는 보울부(6a)를 노정시키는 개구부(30a)를 갖는다. 변좌 본체(30)는 폐쇄 상태에 있어서 보울부(6a)의 외측 가장자리를 둘러싸도록 변기(6) 상에 설치되고, 개구부(30a)를 통해 보울부(6a)를 노정시킨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변좌(10)에 앉은 상태로 보울부(6a)에 배설을 행할 수 있다. 이 예에서는 관통 구멍형상의 개구부(30a)가 형성된, 소위 O형의 변좌 본체(30)를 나타내고 있다. 변좌 본체(30)는 O형에 한정되는 일 없이 U자형 등이어도 좋다. 개구부(30a)는 관통 구멍형상에 한정되는 일 없이 노치형상이어도 좋다. 사용 상태(사용자가 착좌 가능한 상태)의 변좌 본체(30)를 상방으로부터 본 형상은 환형상 또는 U자형상이다.
힌지부(31, 32)는 변좌 본체(30)의 후단에 설치되어 있다. 변좌 본체(30)는 힌지부(31, 32)를 통해 케이스 커버(20)의 변좌 축지지부(24)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된다. 힌지부(31)는 변좌 본체(30)의 후단 우단에 설치된다. 힌지부(32)는 변좌 본체(30)의 후단 좌단에 설치된다. 변좌 본체(30)는 힌지부(31, 32)로 변좌 축지지부(24)를 끼움으로써 힌지부(31, 32)를 통해 케이스 커버(20)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된다.
완충 부재(34)는 변좌 본체(30)의 하단면(30b)에 설치된다. 완충 부재(34)에는, 예를 들면 고무 등의 탄성 재료가 사용된다. 완충 부재(34)는, 예를 들면 폐쇄 상태에 있어서 변기(6)의 상면(6u)에 접촉하여 변좌 본체(30)를 지지한다. 이에 따라 변기(6)나 변좌 본체(30)의 스크래치나 파손 등을 억제할 수 있다. 완충 부재(34)는, 예를 들면 변좌 본체(30)의 하단면(30b)에 복수 설치된다. 완충 부재(34)의 수는 임의의 수이어도 좋다. 완충 부재(34)는 1개이어도 좋다.
변기 덮개(12)는 케이스 커버(20)의 변기 덮개 축지지부(26)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변좌(10)를 덮는 폐쇄 상태(도 3에 나타낸 상태)와, 변좌(10)를 노정시키는 개방 상태(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상태)로 이동한다. 변기 덮개(12)는 폐쇄 상태에 있어서 변좌(10) 및 변기(6)의 보울부(6a)를 덮는다.
변기 덮개(12)는 덮개 본체(36)와 수하부(38)를 갖는다. 덮개 본체(36)는 폐쇄 상태에 있어서 변좌(10)의 상방을 덮는다. 수하부(38)는 덮개 본체(36)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수하되고, 폐쇄 상태에 있어서 변좌(10)의 측방을 덮는다.
도 4는 실시형태에 의한 변기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좌(10)는 가열부(40)와, 온도 검지 센서(42)를 내장한다. 가열부(40)는 변좌(10)의 내부에 설치된다. 가열부(40)는 통전에 따라 발열함으로써 변좌(10)의 착좌면(사용자의 엉덩이가 접하는 면)(SF)을 내측으로부터 가열한다. 가열부(40)는 소위 히터이다. 가열부(40)에는, 예를 들면 저항 가열 수단이나 전자 유도에 의해 가열을 행하는 유도 가열 수단 등이 사용된다.
온도 검지 센서(42)는, 예를 들면 변좌(10)의 착좌면(SF)의 온도를 검지한다. 착좌면(SF)의 온도는 온도 검지 센서(42)에 의해 직접적으로 검지해도 좋고, 온도 검지 센서(42)의 출력을 기초로 계산에 의해 구해도 좋다.
본체부(14)는 기능부(50)를 갖는다. 기능부(50)는, 예를 들면 제어부(52)와 착좌 검지 센서(54)와 인체 검지 센서(56)를 갖는다. 기능부(50)는 케이스 커버(2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다. 즉, 케이스 커버(20)는 기능부(50)를 덮는다.
착좌 검지 센서(54)는 사용자가 변좌(10)에 착좌하기 직전에 있어서 변좌(10)의 상방에 존재하는 인체나, 변좌(10)에 착좌한 사용자를 검지할 수 있다. 착좌 검지 센서(54)는 변좌(10)에 착좌한 사용자뿐만 아니라, 변좌(10)의 상방에 존재하는 사용자를 검지해도 좋다. 이러한 착좌 검지 센서(54)로서는, 예를 들면 적외선 투수광식의 측거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착좌 검지 센서(54)는 사용자가 착좌했을 때의 하중에 의해 ON/OFF가 행해지는 스위치이어도 좋다. 착좌 검지 센서(54)는 사용자의 착좌의 검지에 응답하여 착좌의 검지를 나타내는 신호를 제어부(52)에 출력한다.
인체 검지 센서(56)는 변기(6)의 전방에 있는 사용자, 즉 변좌(10)로부터 전방으로 이간된 위치에 존재하는 사용자를 검지한다. 즉, 인체 검지 센서(56)는 화장실에 입실해서 변좌(10)에 근접해 온 사용자를 검지한다. 이러한 인체 검지 센서(56)로는, 예를 들면 적외선 투수광식의 측거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인체 검지 센서(56)는 인체의 검지에 응답하여 인체의 검지를 나타내는 신호를 제어부(52)에 출력한다.
제어부(52)는 착좌 검지 센서(54) 및 인체 검지 센서(56)와 접속됨과 아울러, 변좌(10)의 가열부(40) 및 온도 검지 센서(42)와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52)는 온도 검지 센서(42)로부터의 검지 신호에 의거하여 가열부(40)로의 통전량을 제어한다.
제어부(52)는, 예를 들면 비사용 시에는 가열부(40)로의 통전을 정지 또는 통전량을 적게 해서 변좌(10)의 착좌면(SF)을 조금 낮은 온도로 설정하고, 사용 시에는 가열부(40)로의 통전량을 크게 해서 변좌(10)의 착좌면(SF)을 급속 가열함으로써 착좌면(SF)을 적정 온도로 승온시키는 즉난 운전 모드를 실행한다.
제어부(52)는 가열부(40)로의 통전량을 억제한 대기 상태에 있어서 인체 검지 센서(56)의 검지 결과를 기초로 사용자의 검지를 행한다. 제어부(52)는 인체 검지 센서(56)에 의해 사용자를 검지하면, 가열부(40)로의 통전량을 크게 하고, 미리 설정된 설정 온도로 변좌(10)의 착좌면(SF)의 온도를 가열한다.
이때, 인체 검지 센서(56)에 의한 사용자의 검지로부터 사용자가 변좌(10)에 착좌할 때까지의 시간을 통계에 의해 미리 구해 둔다. 제어부(52)는 이 시간보다 짧은 시간으로 설정 온도까지의 가열을 완료시킨다. 이에 따라 착좌면(SF)의 온도가 낮은 상태인 채 사용자가 변좌(10)에 착좌해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대기 상태의 온도로부터 설정 온도로의 급속한 가열을 사용자에게 체감시켜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어부(52)는, 예를 들면 온도 검지 센서(42)의 검지 결과를 기초로 착좌면(SF)의 온도가 설정 온도까지 상승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제어부(52)는 설정 온도까지 상승한 것을 확인하면, 착좌면(SF)의 온도가 설정 온도에 실질적으로 일정해지도록 가열부(40)로의 통전량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52)는 착좌면(SF)의 온도를 설정 온도까지 상승시킨 후, 착좌면(SF)의 온도를 설정 온도로 보온하는 제어를 행한다. 이에 따라 쾌적한 온도의 변좌(10)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2)는, 예를 들면 착좌 검지 센서(54)의 검지 결과를 기초로 사용자가 변좌(10)로부터 멀어진 것을 검지하고, 이 검지에 응답하여 착좌면(SF)의 온도를 설정 온도로부터 대기 상태의 온도로 낮춘다.
제어부(52)는 즉난 운전 모드에 한정되는 일 없이, 예를 들면 착좌면(SF)의 온도를 항상 설정 온도로 보온하는 보온 운전 모드를 행해도 좋다. 제어부(52)는, 예를 들면 즉난 운전 모드나 보온 운전 모드 등의 복수의 운전 모드를 스위칭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이 기능부(50)는, 예를 들면 변좌(10)의 착좌면(SF)을 난방하는 난방 변좌 기능을 갖는다. 기능부(50)는, 예를 들면 변좌(10)에 앉은 사용자의 「엉덩이」 등을 향해 물(온수나 냉수)을 분출하여 사용자의 「엉덩이」 등을 세정하는 위생 세정 기능을 가져도 좋다. 또한, 변좌(10)에 앉은 사용자의 「엉덩이」 등을 향해서 온풍을 블로잉하여 건조시키는 「온풍 건조 기능」이나 「탈취 기능」이나 「실내 난방 기능」 등의 각종 기능을 더 가져도 좋다. 기능부(50)의 기능은 상기에 한정되는 일 없이 변기 장치(2)에 있어서 사용되는 임의의 기능이면 좋다.
도 5는 실시형태에 의한 변기 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좌(10)의 변좌 본체(30)는 제 1 부분(61)과 제 2 부분(62)을 갖는다. 제 1 부분(61)은 폐쇄 상태에 있어서 케이스 커버(20)보다 전방에 위치한다. 제 2 부분(62)은 폐쇄 상태에 있어서 제 1 부분(61)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기립하고, 연장부(22) 상에 겹친다. 힌지부(31, 32)는 제 2 부분(62)의 후단에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 2 부분(62)은 케이스 커버(20)에 축지지된다. 또한, 도 5에서는 편의적으로 변기(6) 및 변기 덮개(12)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제 2 부분(62)의 측면 하단(62a)은 폐쇄 상태에 있어서 연장부(22)의 측면 상단(22a)과 대략 평행하다. 변좌(10) 및 본체부(14)를 측방으로부터 본 상태에 있어서 제 2 부분(62)의 측면 하단(62a)과 연장부(22)의 측면 상단(22a) 사이에 형성되는 상하 방향의 간극(SP1)은 전후 방향을 따라 실질적으로 일정하다. 여기에서 「측면 하단(62a)과 측면 상단(22a)이 대략 평행」이란, 예를 들면 측면 하단(62a)과 측면 상단(22a)이 상하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는 영역의 전체에 걸쳐 간극(SP1)의 길이의 편차가 2㎜ 이하의 상태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간극(SP1)의 길이의 편차가 1㎜ 이하의 상태이다.
연장부(22)는 전방을 향해 연속해서 하강 경사하고 있다. 제 2 부분(62)의 측면 하단(62a)은 폐쇄 상태에 있어서 제 2 부분(62)의 후단(62b)으로부터 연장부(22)의 전단(22f)까지 연장부(22)의 측면 상단(22a)과 대략 평행하다.
또한, 힌지부(32)의 측면은 사각형상이다. 힌지부(32)의 측면은 제 2 부분(62)의 측면과 연속한다. 그리고 힌지부(32)의 측면 하단(32a)은 폐쇄 상태에 있어서 연장부(22)의 측면 상단(22a)과 대략 평행하다. 또한, 「사각형상」에는, 예를 들면 사각형의 각이 둥글게 된 것, 사각형의 각 변이 약간 만곡하고 있는 것 등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힌지부(31)의 구성은 힌지부(32)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같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실시형태에 의한 변기 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기 덮개(12)는 제 1 영역(71)과 제 2 영역(72)을 갖는다. 제 1 영역(71)은 폐쇄 상태에 있어서 케이스 커버(20)보다 전방에 위치한다. 제 2 영역(72)은 폐쇄 상태에 있어서 제 1 영역(71)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기립하여 연장부(22) 상에 겹쳐 케이스 커버(20)에 축지지된다.
변기 덮개(12)의 제 2 영역(72)의 좌우 방향의 폭은 케이스 커버(20)의 좌우 방향의 폭과 실질적으로 같다. 변기 덮개(12)의 제 2 영역(72)의 측면은 폐쇄 상태에 있어서 케이스 커버(20)의 측면과 대략 연속면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변기 덮개(12)를 폐쇄한 상태의 변기 장치(2)의 의장성을 높일 수 있다.
제 2 영역(72)의 측면 하단(72a)은 폐쇄 상태에 있어서 연장부(22)의 측면 상단(22a)과 대략 평행하다. 제 2 영역(72)의 측면 하단(72a)은 바꾸어 말하면 제 2 영역(72)에 있어서의 수하부(38)의 하단이다. 변기 덮개(12) 및 본체부(14)를 측방으로부터 본 상태에 있어서 제 2 영역(72)의 측면 하단(72a)과 연장부(22)의 측면 상단(22a) 사이에 형성되는 상하 방향의 간극(SP2)은 전후 방향을 따라 실질적으로 일정하다.
간극(SP2)은, 예를 들면 1㎜ 이상 5㎜ 이하이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변기 덮개(12)의 하단이 본체부(14)에 접촉하는 것을 억제하면서 변기 덮개(12)를 폐쇄한 상태의 변기 장치(2)의 의장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제 1 영역(71)의 수하부(38)의 하단은 폐쇄 상태에 있어서 변좌 본체(30)보다 하방이며, 또한 완충 부재(34)의 하단보다 상방에 위치한다. 즉, 폐쇄 상태의 변기 덮개(12)를 측방으로부터 본 상태에 있어서 수하부(38)는 변좌 본체(30)의 전체를 덮는다.
수하부(38)의 전단면(38a)은 폐쇄 상태에 있어서 하방을 향함에 따라 후퇴하도록 변화한다. 즉, 수하부(38)의 전단면(38a)은 역테이퍼형상으로 경사하고 있다. 수하부(38)의 전단면(38a)은 직선형상으로 경사시켜도 좋고, 곡선형상으로 만곡시켜도 좋다.
도 7은 실시형태에 의한 변기 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의 A1-A2선 단면을 나타낸다.
도 2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장부(22)의 상단면(22u)은 전방을 향함에 따라 높이가 낮아짐과 아울러, 측방을 향함에 따라 높이가 낮아지도록 변화한다. 바꾸어 말하면, 연장부(22)의 상단면(22u)은 측방을 향함에 따라 완만하게 하강 경사한다.
변좌 본체(30)의 제 2 부분(62)의 하단면(30b)은 폐쇄 상태에 있어서 측방을 향함에 따라 높이가 낮아지도록 연장부(22)의 상단면(22u)을 따라 변화한다. 변좌 본체(30)의 제 2 부분(62)의 하단면(30b)은 폐쇄 상태에 있어서 측방을 향함에 따라 완만하게 하강 경사한다.
연장부(22)의 상단면(22u)은, 예를 들면 볼록 곡면형상이다. 변좌 본체(30)의 제 2 부분(62)의 하단면(30b)은, 예를 들면 오목 곡면형상이다. 제 2 부분(62)의 하단면(30b)의 소정 위치의 곡률은, 예를 들면 폐쇄 상태에 있어서 소정 위치와 대향하는 위치의 연장부(22)의 상단면(22u)의 곡률과 대략 동일하다. 제 2 부분(62)의 하단면(30b)의 소정 위치의 곡률은, 예를 들면 폐쇄 상태에 있어서 소정 위치와 대향하는 위치의 연장부(22)의 상단면(22u)의 곡률의 0.9배 이상 1.1배 이하이다. 바꾸어 말하면,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제 2 부분(62)의 하단면(30b)은 연장부(22)의 상단면(22u)과 대략 평행하다.
연장부(22)의 상단면(22u)은 볼록 곡면형상에 한정되는 일 없이, 예를 들면 직선형상으로 경사시켜도 좋다. 마찬가지로 변좌 본체(30)의 제 2 부분(62)의 하단면(30b)은 오목 곡면형상에 한정되는 일 없이, 예를 들면 직선형상으로 경사시켜도 좋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폐쇄 상태에 있는 변좌(10)의 하단면(30b)의 최하점(MLP1)은 연장부(22)의 상단면(22u)의 최상점(MHP)보다 하방에 위치한다. 폐쇄 상태에 있는 변좌(10)의 하단면(30b)의 최하점(MLP1)은 측방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연장부(22)에 겹친다.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폐쇄 상태에 있는 변기 덮개(12)의 수하부(38)의 최하점(MLP2)은 연장부(22)의 상단면(22u)의 최상점(MHP)보다 하방에 위치한다. 폐쇄 상태에 있는 변기 덮개(12)의 수하부(38)의 최하점(MLP2)은 측방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연장부(22)에 겹친다.
연장부(22)의 상단면(22u)의 좌우 방향의 중앙 부분의 높이의 변화율은 연장부(22)의 상단면(22u)의 측단 부분의 높이의 변화율보다 작다. 상단면(22u)의 중앙 부분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면형상이며 측방을 향함에 따라 경사가 커진다.
변좌 본체(30)의 제 2 부분(62)의 하단면(30b)의 중앙 부분의 높이의 변화율은 제 2 부분(62)의 하단면(30b)의 측단 부분의 높이의 변화율보다 작다. 제 2 부분(62)의 하단면(30b)의 중앙 부분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면형상이며, 측방을 향함에 따라 경사가 커진다.
또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변좌 본체(30)의 제 2 부분(62)의 상단면(30u)(착좌면(SF))의 중앙 부분의 높이(H11)는 변좌 본체(30)의 제 2 부분(62)의 상단면(30u)의 측단부의 높이(H12)보다 낮다. 변좌 본체(30)의 제 2 부분(62)의 상단면(30u)은, 예를 들면 오목 곡면형상이다.
도 8은 실시형태에 의한 변기 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있어서 파선으로 둘러싼 영역(B1)을 확대해서 나타낸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기 덮개(12)의 수하부(38)의 내측면(38n)의 하단부는 제 2 영역(72)에 있어서 하방을 향함에 따라 외측으로 넓어지도록 변화한다. 수하부(38)는 내측면(38n)을 외측을 향해서 경사시킴으로써 하단부를 테이퍼형상으로 형성한다. 제 2 영역(72)의 수하부(38)의 하단부는 하방을 향함에 따라 얇아진다.
수하부(38)의 내측면(38n)은 직선형상으로 경사시켜도 좋고, 곡선형상으로 만곡시켜도 좋다. 수하부(38)의 내측면(38n)의 경사 각도(θ)는, 예를 들면 10° 이상 30° 이하 정도이다. 경사 각도(θ)는 상기에 한정되는 일 없이 임의의 각도이어도 좋다.
도 9는 실시형태에 의한 변기 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C1-C2선 단면을 나타낸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기 덮개(12)의 수하부(38)는 제 1 영역(71)에 있어서는 테이퍼형상을 갖지 않는다. 제 1 영역(71)에 있어서의 수하부(38)는 상단부로부터 하단부까지 실질적으로 같은 두께이다. 제 1 영역(71)에 있어서 수하부(38)의 내측면(38n)은 상단부로부터 하단부까지 대략 직선형상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제 1 영역(71)에 있어서의 수하부(38)의 하단의 폭(W1)은 제 2 영역(72)에 있어서의 수하부(38)의 하단의 폭(W2)(도 8 참조)보다 넓다.
또한, 상기에 한정되는 일 없이 제 1 영역(71)의 수하부(38)의 하단부에 테이퍼형상을 형성해도 좋다. 제 1 영역(71)에 있어서 수하부(38)의 내측면(38n)의 하단부를 하방을 향함에 따라 외측으로 넓어지도록 변화시켜도 좋다. 즉, 변기 덮개(12)의 수하부(38)의 하단부의 전체에 테이퍼형상을 형성해도 좋다.
도 10은 실시형태에 의한 변기 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1의 D1-D2선 단면을 나타낸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좌 축지지부(24)의 상단면(24u)은 전방을 향함에 따라 높이가 낮아진다. 변좌 축지지부(24)의 상단면(24u)은 전방을 향해서 연속적으로 하강 경사하고 있다.
변기 덮개 축지지부(26)의 상단면(26u)은 전방을 향함에 따라 높이가 낮아진다. 변기 덮개 축지지부(26)의 상단면(26u)은, 예를 들면 변좌 축지지부(24)의 상단면(24u)과 대략 평행하다. 변좌 축지지부(24)의 상단면(24u)의 전후 방향의 길이(LG1)는 변기 덮개 축지지부(26)의 상단면(26u)의 전후 방향의 길이(LG2)보다 길다.
도 11은 실시형태에 의한 변기 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변좌 본체(30) 및 변좌 축지지부(24)에 관한 부분을 확대해서 나타낸다.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좌 축지지부(24)의 상단면(24u)은 변좌 본체(30)의 제 2 부분(62)의 상단면(30u)(착좌면(SF))과 대략 연속면을 형성한다. 변좌 축지지부(24)의 상단면(24u)의 최전단의 좌우 방향을 향하는 높이 변화는 제 2 부분(62)의 상단면(30u)의 최후단의 좌우 방향을 향하는 높이 변화와 대략 동일하다(예를 들면, 도 1 참조). 바꾸어 말하면, 변좌 축지지부(24)의 상단면(24u)의 최전단은 제 2 부분(62)의 상단면(30u)의 최후단과 대략 평행하다. 변좌 축지지부(24)의 상단면(24u)의 최전단의 좌우 방향을 향하는 높이 변화 및 제 2 부분(62)의 상단면(30u)의 최후단의 좌우 방향을 향하는 높이 변화는, 예를 들면 대략 수평하다.
여기에서 「대략 연속면 」 이란, 예를 들면 좌우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가상선(VL)과 접선(TL1)이 이루는 각도(α1)가 5° 이하이며 가상선(VL)과 접선(TL2)이 이루는 각도(α2)가 5° 이하인 상태이다. 가상선(VL)은 좌우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변좌 본체(30)의 상단면(30u)의 후단과 변좌 축지지부(24)의 상단면(24u)의 전단을 연결하는 가상적인 선이다. 접선(TL1)은 좌우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변좌 본체(30)의 상단면(30u)의 후단부에 대한 접선이다. 접선(TL2)은 좌우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변좌 축지지부(24)의 상단면(24u)의 전단부에 대한 접선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참고예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좌 본체(30)의 상단면(30u)과 변좌 축지지부(24)의 상단면(24u) 사이에 큰 단차가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는 각도(α1, α2)의 적어도 한쪽이 5°보다 커진다. 마찬가지로 도 1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좌 본체(30)의 상단면(30u)의 경사각도가 변좌 축지지부(24)의 상단면(24u)의 경사각도와 크게 다른 경우에도 각도(α1, α2)의 적어도 한쪽이 5°보다 커진다. 또한, 접선(TL1)과 수평면을 이루는 각도는 18.5°로, 접선(TL2)과 수평면이 이루는 각도는 23.5°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접선(TL2)과 수평면의 각도는 22°~40°의 범위로 설정된다.
이와 같이 가상선(VL)과 접선(TL1)이 이루는 각도(α1)를 5° 이하로 하고, 가상선(VL)과 접선(TL2)이 이루는 각도(α2)를 5° 이하로 한다. 이에 따라 변좌 본체(30)의 상단면(30u)과 변좌 축지지부(24)의 상단면(24u)을 대략 연속한 면으로서 인식시킬 수 있다. 변곡점을 중심으로 볼록 방향으로 각각의 각도가 설정되며, 각도차는 10° 이하가 바람직하고, 5° 이하가 더 바람직하다. 볼록 방향이면 케이스 커버(20)에 접촉하기 어렵기 때문에 쾌적성이 유지된다(히터에 의해 따뜻하게 할 수 없기 때문에 찬 케이스 커버(20)에 접촉할 가능성이 낮아진다). 또한, 오목 방향의 경우에는 변좌(10)와 케이스 커버(20) 양쪽이 접촉하여 사용자가 알아차리기 쉽다.
도 13은 실시형태에 의한 변기 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3의 E1-E2선 단면을 나타낸다.
도 7에 관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변좌 본체(30)의 제 2 부분(62)의 상단면(30u)(착좌면(SF))의 중앙 부분의 높이(H11)는 변좌 본체(30)의 제 2 부분(62)의 상단면(30u)의 측단부의 높이(H12)보다 낮다.
한편,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변좌 축지지부(24)의 상단면(24u)의 중앙부의 높이(H21)는 변좌 축지지부(24)의 상단면(24u)의 측단부의 높이(H22)보다 높다. 변좌 축지지부(24)의 상단면(24u)은, 예를 들면 볼록 곡면형상이다.
이와 같이 변좌 축지지부(24)의 상단면(24u)의 중앙부는 후방을 향함에 따라 높아지는 변화량이 변좌 축지지부(24)의 상단면(24u)의 측단부의 후방을 향함에 따라 높아지는 변화량보다 크다. 그리고 제 2 부분(62)의 상단면(30u)의 중앙부는 전방을 향함에 따라 낮아지는 변화량이 제 2 부분(62)의 상단면(30u)의 측단부의 전방을 향함에 따라 낮아지는 변화량보다 크다.
도 14는 실시형태에 의한 변기 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힌지부(32)의 상단면(32u)은 상면으로부터 볼 때, 사각형상이다. 힌지부(32)의 상단면(32u)은 변좌 본체(30)의 제 2 부분(62)의 상단면(30u) 및 변좌 축지지부(24)의 상단면(24u)과 대략 연속면을 형성한다. 힌지부(32)의 상단면(32u)은, 예를 들면 변좌 본체(30)의 상단면(30u)과 연속한다.
또한, 힌지부(32)의 상단면(32u)의 형상은 사각형상에 한정되는 일 없이 임의의 형상이어도 좋다. 힌지부(31)의 구성은 힌지부(32)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같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사각형상」 및 「대략 연속면」의 정의는 상술한 것과 마찬가지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한 변기 장치(2)에 의하면 제 2 부분(62)의 측면 하단(62a)을 폐쇄 상태에 있어서 연장부(22)의 측면 상단(22a)과 대략 평행으로 함으로써 변좌(10)와 케이스 커버(20) 간의 간극이 불균일한 경우에 비해 의장성을 높일 수 있다. 양호한 의장성의 변기 장치(2)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간극을 대략 일정하게 함으로써 불균일한 경우에 비해 제 2 부분(62)의 측면 및 연장부(22)의 측면을 닦기 쉽게 하여 청소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연장부(22)를 전방을 향해 연속해서 하강 경사시켜 제 2 부분(62)의 측면 하단(62a)을 폐쇄 상태에 있어서 제 2 부분(62)의 후단으로부터 연장부(22)의 전단까지 연장부(22)의 측면 상단(22a)과 대략 평행으로 함으로써 연장부(22)의 전단과 변좌(10)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을 억제하고, 변기 장치(2)의 의장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또한, 힌지부(31, 32)의 측면을 사각형상으로 하고, 제 2 부분(62)의 측면과 연속시키며, 또한 폐쇄 상태에 있어서 연장부(22)의 측면 상단(22a)과 대략 평행으로 함으로써 힌지부(31, 32)와 케이스 커버(20)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을 억제하고, 변기 장치(2)의 의장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또한, 제 2 영역(72)의 측면 하단(72a)을 폐쇄 상태에 있어서 연장부(22)의 측면 상단(22a)과 대략 평행으로 함으로써 변기 덮개(12)를 폐쇄한 상태에 있어서의 변기 장치(2)의 의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변기 장치(2)에서는 연장부(22)의 상단면(22u)을 전방을 향함에 따라 높이가 낮아짐과 아울러, 측방을 향함에 따라 높이가 낮아지도록 변화시켰다. 그리고 변좌 본체(30)의 제 2 부분(62)의 하단면(30b)을 개방 상태에 있어서 측방을 향함에 따라 높이가 낮아지도록 연장부(22)의 상단면(22u)을 따라 변화시켰다. 변좌 본체(30)의 하단면(30b)과 연장부(22)의 상단면(22u) 사이에 차가운 공기가 들어갔다고 해도 차가운 공기는 하방으로 내려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변좌 본체(30)의 하단면(30b) 및 연장부(22)의 상단면(22u)의 경사를 따라서 외부로 쉽게 배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착좌면(SF)의 가열을 행할 경우에 착좌면(SF)의 온도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착좌면(SF)의 온도 저하를 억제한 변기 장치(2)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 커버(20)와 변좌(10)가 접촉하는 것에 의한 소리나 스크래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연장부(22)의 상단면(22u)이 측방을 향함에 따라 완만하게 하강 경사 함으로써 상단면(22u)에 단차가 있을 경우 등에 비해 상단면(22u)을 쉽게 닦을 수 있다. 변기 장치(2)의 청소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또한, 제 2 부분(62)의 하단면(30b)의 소정 위치의 곡률을 폐쇄 상태에 있어서 소정 위치와 대향하는 위치의 연장부(22)의 상단면(22u)의 곡률과 대략 동일하게 함으로써 변좌 본체(30)의 하단면(30b)과 연장부(22)의 상단면(22u) 사이에 들어간 찬 공기를 보다 외부로 쉽게 배출시킬 수 있다. 착좌면(SF)의 온도 저하를 보다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폐쇄 상태에 있는 변좌(10)의 하단면(30b)의 최하점을 연장부(22)의 상단면(22u)의 최상점보다 하방에 위치시킴으로써 변좌 본체(30)의 하단면(30b)과 연장부(22)의 상단면(22u) 사이에 찬 공기가 들어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착좌면(SF)의 온도 저하를 보다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4) 및 변좌(10)를 측방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간극이 보이지 않게 되어 변기 장치(2)의 의장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연장부(22)의 상단면(22u)의 중앙 부분의 높이의 변화율을 연장부(22)의 상단면(22u)의 측단 부분의 높이의 변화율보다 작게 하고, 변좌 본체(30)의 제 2 부분(62)의 하단면(30b)의 중앙 부분의 높이의 변화율을 제 2 부분(62)의 하단면(30b)의 측단 부분의 높이의 변화율보다 작게 한다. 이에 따라 변좌 본체(30)의 하단면(30b)이 측단 부분으로부터 중앙 부분까지 동일한 변화율로 변화하는 경우에 비해 강도가 필요한 변좌(10)의 측면부를 보강할 수 있고, 강도가 그다지 필요 없는 변좌(10)의 중앙부를 얇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착좌면(SF)의 온도 저하를 억제하면서 변기 장치(2)의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변기 장치(2)에서는 변좌 축지지부(24)의 상단면(24u)이 제 2 부분(62)의 상단면(30u)과 대략 연속면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변좌(10)에 대하여 깊게 앉았을 경우에도 사용자에 혐오감을 부여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변좌 축지지부(24)의 상단면(24u)의 부분에 의해 착좌면(SF)이 넓어진 인상을 주어 사용자에게 안심감을 부여할 수 있다. 변좌 축지지부(24)의 상단면(24u)과 제 2 부분(62)의 상단면(30u)이 불연속한 경우에 비해 변기 장치(2)의 의장성을 높일 수 있다. 양호한 사용 방법의 변기 장치(2)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 2 부분(62)의 상단면(30u)의 중앙부를 제 2 부분(62)의 상단면(30u)의 측단부보다 낮게 함으로써 제 2 부분(62)의 상단면(30u)의 형상을 인체의 둔부의 형상에 맞춰 앉은 자리의 편안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변좌 축지지부(24)의 상단면(24u)의 중앙부를 변좌 축지지부(24)의 상단면(24u)의 측단부보다 높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둔부가 변좌 축지지부(24)의 상단면(24u)에 닿았을 때의 혐오감을 억제하면서 케이스 커버(20) 상에 올라 있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아차리게 할 수 있다. 혐오감을 부여해 버리는 것을 억제하면서 사용자를 변좌(10)의 적정한 위치로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변좌 축지지부(24)의 상단면(24u)의 전후 방향의 길이를 변기 덮개 축지지부(26)의 상단면(26u)의 전후 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변좌(10)에 대하여 깊게 앉았을 경우에도 사용자에게 혐오감을 부여해 버리는 것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 커버(20)와 변좌(10)를 보다 일체적으로 보이게 하여 변기 장치(2)의 의장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힌지부(31, 32)의 상단면을 사각형상으로 하고, 제 2 부분(62)의 상단면(30u) 및 변좌 축지지부(24)의 상단면(24u)과 대략 연속면을 형성함으로써 케이스 커버(20)와 변좌(10)를 보다 일체적으로 보이게 하여 변기 장치(2)의 의장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또한, 변기 장치(2)에서는 수하부(38)의 내측면(38n)의 하단부가 하방을 향함에 따라 외측으로 넓어지도록 변화한다. 이에 따라 수하부(38)의 하단이 케이스 커버(20)에 접촉했을 때에 수하부(38)의 하단이 외측으로 넓어지고, 케이스 커버(20)에 가해지는 힘을 외측으로 보낼 수 있다. 따라서 의장성의 저하를 초래하는 일 없이 변기 덮개(12) 상에 사용자가 올랐을 경우 등에도 본체부(14)의 스크래치나 파손을 억제하고, 높은 신뢰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연장부(22)의 상단면(22u)이 측방을 향함에 따라 높이가 낮아지도록 변화함으로써 수하부(38)의 하단이 케이스 커버(20)에 접촉했을 때에 수하부(38)의 하단을 보다 외측으로 쉽게 넓힐 수 있다. 본체부(14)의 스크래치나 파손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폐쇄 상태에 있는 변기 덮개(12)의 수하부(38)의 최하점이 연장부(22)의 상단면(22u)의 최상점보다 하방에 위치함으로써 본체부(14) 및 변기 덮개(12)를 측방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간극이 보이지 않아 변기 장치(2)의 의장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또한, 변기 덮개(12)의 제 1 영역(71)의 하단의 폭을 제 2 영역(72)의 하단의 폭보다 넓게 함으로써 변기 덮개(12)를 손으로 개폐할 때에 제 1 영역(71)의 하단을 쥐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제 1 영역(71)의 하단이 변기(6) 등에 접촉했을 때에 변기(6)나 변기 덮개(12)의 스크래치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수하부(38)의 하단이 폐쇄 상태에 있어서 변좌 본체(30)보다 하방이며, 완충 부재(34)의 하단보다 상방에 위치함으로써 측방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변좌 본체(30)의 시인을 억제하여 변기 장치(2)의 의장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의장성을 높이면서 변기 덮개(12)의 변기(6)로의 접촉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변좌 본체(30)와 변기(6) 상단의 간극으로부터의 공기의 흐름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난방 기능을 갖는 변좌(10)의 경우 변좌(10)의 보온성을 높이게 되어 변기 장치(2)의 에너지 절약이 된다.
또한, 수하부(38)의 전단면(38a)이 폐쇄 상태에 있어서 하방을 향함에 따라 후퇴하도록 변화함으로써 수하부(38)의 하단을 변좌 본체(30)의 하방까지 연장시켰을 경우에도 수하부(38)의 전단면(38a)에 손이 닿기 쉽게 하여 변기 덮개(12)를 손으로 개폐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들 기술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형태에 관해서 당업자가 적당히 설계 변경을 추가한 것도 본 발명의 특징을 구비하고 있는 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예를 들면, 변기 장치(2) 등이 구비하는 각 요소의 형상, 치수, 재질, 배치 등은 예시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당히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가 구비하는 각 요소는 기술적으로 가능한 한에 있어서 조합시킬 수 있고, 이들을 조합시킨 것도 본 발명의 특징을 포함하는 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2 : 변기 장치 4 : 변좌 장치
6 : 변기 10 : 변좌
12 : 변기 덮개 14 : 본체부
20 : 케이스 커버 22 : 연장부
24 : 변좌 축지지부 26 : 변기 덮개 축지지부
28 : 만곡 오목면 30 : 변좌 본체
31, 32 : 힌지부 34 : 완충 부재
36 : 덮개 본체 38 : 수하부
40 : 가열부 42 : 온도 검지 센서
50 : 기능부 52 : 제어부
54 : 착좌 검지 센서 56 : 인체 검지 센서
61 : 제 1 부분 62 : 제 2 부분
71 : 제 1 영역 72 : 제 2 영역
6 : 변기 10 : 변좌
12 : 변기 덮개 14 : 본체부
20 : 케이스 커버 22 : 연장부
24 : 변좌 축지지부 26 : 변기 덮개 축지지부
28 : 만곡 오목면 30 : 변좌 본체
31, 32 : 힌지부 34 : 완충 부재
36 : 덮개 본체 38 : 수하부
40 : 가열부 42 : 온도 검지 센서
50 : 기능부 52 : 제어부
54 : 착좌 검지 센서 56 : 인체 검지 센서
61 : 제 1 부분 62 : 제 2 부분
71 : 제 1 영역 72 : 제 2 영역
Claims (5)
- 기능부와, 상기 기능부를 덮는 케이스 커버를 갖고, 변기 상에 부착되는 본체부와,
상기 케이스 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상기 변기의 상방에 있어서 사용자의 착좌를 가능하게 하는 폐쇄 상태와, 상기 변기의 상면을 노정시키는 개방 상태로 이동하는 변좌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 커버는,
전방을 향함에 따라 높이가 낮아지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후방에 형성되어 상기 변좌를 축지지하는 변좌 축지지부를 갖고,
상기 변좌는,
상기 폐쇄 상태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커버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제 1 부분과,
상기 폐쇄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기립하고, 상기 연장부 상에 겹쳐 상기 변좌 축지지부에 축지지되는 제 2 부분을 갖고,
상기 변좌 축지지부의 상단면은 전방을 향함에 따라 높이가 낮아져 상기 제 2 부분의 상단면과 연속면을 형성하고,
상기 변좌 축지지부의 상단면의 최전단의 좌우 방향을 향하는 높이 변화는 상기 제 2 부분의 상단면의 최후단의 좌우 방향을 향하는 높이 변화와 동일하고,
상기 변좌 축지지부의 상단면의 중앙부는 후방을 향함에 따라 높아지는 변화량이 상기 변좌 축지지부의 상단면의 측단부의 후방을 향함에 따라 높아지는 변화량보다 크고,
상기 제 2 부분의 상단면의 중앙부는 전방을 향함에 따라 낮아지는 변화량이 상기 제 2 부분의 상단면의 측단부의 전방을 향함에 따라 낮아지는 변화량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상기 변좌를 덮는 폐쇄 상태와, 상기 변좌를 노정시키는 개방 상태로 이동하는 변기 덮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 커버는 상기 변좌 축지지부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변기 덮개를 축지지하는 변기 덮개 축지지부를 갖고,
상기 변좌 축지지부의 상단면의 전후 방향의 길이는 상기 변기 덮개 축지지부의 상단면의 전후 방향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장치. - 기능부와, 상기 기능부를 덮는 케이스 커버를 갖고, 변기 상에 부착되는 본체부와,
상기 케이스 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상기 변기의 상방에 있어서 사용자의 착좌를 가능하게 하는 폐쇄 상태와, 상기 변기의 상면을 노정시키는 개방 상태로 이동하는 변좌와,
상기 케이스 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상기 변좌를 덮는 폐쇄 상태와, 상기 변좌를 노정시키는 개방 상태로 이동하는 변기 덮개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 커버는,
전방을 향함에 따라 높이가 낮아지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후방에 형성되어 상기 변좌를 축지지하는 변좌 축지지부를 갖고,
상기 변좌는,
상기 폐쇄 상태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커버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제 1 부분과,
상기 폐쇄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기립하고, 상기 연장부 상에 겹쳐 상기 변좌 축지지부에 축지지되는 제 2 부분을 갖고,
상기 변좌 축지지부의 상단면은 전방을 향함에 따라 높이가 낮아져 상기 제 2 부분의 상단면과 연속면을 형성하고,
상기 케이스 커버는 상기 변좌 축지지부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변기 덮개를 축지지하는 변기 덮개 축지지부를 갖고,
상기 변좌 축지지부의 상단면의 전후 방향의 길이는 상기 변기 덮개 축지지부의 상단면의 전후 방향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변좌 축지지부의 상단면의 최전단의 좌우 방향을 향하는 높이 변화는 상기 제 2 부분의 상단면의 최후단의 좌우 방향을 향하는 높이 변화와 동일하고,
상기 변좌 축지지부의 상단면의 중앙부는 후방을 향함에 따라 높아지는 변화량이 상기 변좌 축지지부의 상단면의 측단부의 후방을 향함에 따라 높아지는 변화량보다 크고,
상기 제 2 부분의 상단면의 중앙부는 전방을 향함에 따라 낮아지는 변화량이 상기 제 2 부분의 상단면의 측단부의 전방을 향함에 따라 낮아지는 변화량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장치.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좌는 상기 제 2 부분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변좌 축지지부에 축지지되는 한쌍의 힌지부를 갖고,
상기 한쌍의 힌지부의 상단면은 사각형상이며, 상기 제 2 부분의 상단면 및 상기 변좌 축지지부의 상단면과 연속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6-159954 | 2016-08-17 | ||
JP2016159954A JP6249061B1 (ja) | 2016-08-17 | 2016-08-17 | トイレ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20102A KR20180020102A (ko) | 2018-02-27 |
KR101898958B1 true KR101898958B1 (ko) | 2018-09-14 |
Family
ID=59631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02825A KR101898958B1 (ko) | 2016-08-17 | 2017-08-14 | 변기 장치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10448791B2 (ko) |
EP (1) | EP3284376B1 (ko) |
JP (1) | JP6249061B1 (ko) |
KR (1) | KR101898958B1 (ko) |
CN (1) | CN107752887B (ko) |
TW (1) | TWI671051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D895086S1 (en) * | 2018-06-05 | 2020-09-01 | Coway Co., Ltd. | Bidet |
CN110025248B (zh) * | 2019-05-23 | 2021-11-16 | 东莞市杰伦塑胶灯饰有限公司 | 一种马桶坐垫 |
USD894355S1 (en) * | 2019-05-28 | 2020-08-25 | Zhejiang IKAHE Sanitary Ware Co., Ltd | Intelligent toilet seat cover |
JP7342633B2 (ja) * | 2019-11-08 | 2023-09-12 | 株式会社アイシン | 便座 |
USD1022164S1 (en) * | 2023-09-26 | 2024-04-09 | Hunan Dache Technology Co., Ltd | Bidet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065546A (ja) | 2002-08-06 | 2004-03-04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トイレ装置 |
WO2011092877A1 (ja) | 2010-02-01 | 2011-08-04 | Murase Hideyuki | 便座洗浄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931920B1 (ja) * | 2006-02-13 | 2007-06-20 | 東陶機器株式会社 | 衛生洗浄装置及びトイレ装置 |
TW200745421A (en) * | 2006-02-13 | 2007-12-16 | Toto Ltd | Sanitary flushing device and toilet device |
JP4999049B2 (ja) * | 2006-05-31 | 2012-08-15 | Toto株式会社 | 便座装置及びトイレ装置 |
JP2007267918A (ja) * | 2006-03-31 | 2007-10-18 | Toto Ltd | 便座装置及びトイレ装置 |
WO2007114298A1 (ja) | 2006-03-31 | 2007-10-11 | Toto Ltd. | 衛生洗浄装置及びトイレ装置 |
JP4664237B2 (ja) * | 2006-05-31 | 2011-04-06 | Toto株式会社 | 便座装置及びトイレ装置 |
JP5103633B2 (ja) * | 2007-07-11 | 2012-12-19 | 株式会社リコー | 周回光路装置およびリングレーザジャイロ |
JP2011000216A (ja) * | 2009-06-17 | 2011-01-06 | Toto Ltd | 水洗式大便器 |
JP5862921B2 (ja) | 2011-03-29 | 2016-02-16 | Toto株式会社 | 暖房便座装置 |
JP6351935B2 (ja) * | 2013-07-10 | 2018-07-04 | 中日本ハイウェイ・エンジニアリング名古屋株式会社 | 便座装置 |
-
2016
- 2016-08-17 JP JP2016159954A patent/JP6249061B1/ja active Active
-
2017
- 2017-08-09 CN CN201710675333.8A patent/CN107752887B/zh active Active
- 2017-08-14 KR KR1020170102825A patent/KR101898958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7-08-15 US US15/677,148 patent/US10448791B2/en active Active
- 2017-08-16 TW TW106127723A patent/TWI671051B/zh active
- 2017-08-16 EP EP17186463.0A patent/EP328437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065546A (ja) | 2002-08-06 | 2004-03-04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トイレ装置 |
WO2011092877A1 (ja) | 2010-02-01 | 2011-08-04 | Murase Hideyuki | 便座洗浄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3284376A1 (en) | 2018-02-21 |
EP3284376B1 (en) | 2019-11-13 |
JP2018027173A (ja) | 2018-02-22 |
US20180049608A1 (en) | 2018-02-22 |
US10448791B2 (en) | 2019-10-22 |
JP6249061B1 (ja) | 2017-12-20 |
CN107752887A (zh) | 2018-03-06 |
KR20180020102A (ko) | 2018-02-27 |
TW201811247A (zh) | 2018-04-01 |
CN107752887B (zh) | 2020-07-21 |
TWI671051B (zh) | 2019-09-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98958B1 (ko) | 변기 장치 | |
KR101920744B1 (ko) | 변기 장치 | |
JP4830439B2 (ja) | トイレ装置 | |
KR101853713B1 (ko) | 변기 장치 | |
JP2007097937A (ja) | 便座装置 | |
JP6845463B2 (ja) | トイレ装置 | |
JP2010022751A (ja) | 暖房便座装置 | |
JP2021122368A (ja) | 便座 | |
JP2010172363A (ja) | 暖房便座装置 | |
KR200434970Y1 (ko) | 양변기시트 | |
JP2021122369A (ja) | 便座装置 | |
JP2011177388A (ja) | 暖房便座装置 | |
JP2007105094A (ja) | 便座装置 | |
JP2014031615A (ja) | 便器 | |
JP2005102797A (ja) | 便座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