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8113B1 - 블로우 코일을 갖는 직류차단기 - Google Patents
블로우 코일을 갖는 직류차단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98113B1 KR101898113B1 KR1020170178377A KR20170178377A KR101898113B1 KR 101898113 B1 KR101898113 B1 KR 101898113B1 KR 1020170178377 A KR1020170178377 A KR 1020170178377A KR 20170178377 A KR20170178377 A KR 20170178377A KR 101898113 B1 KR101898113 B1 KR 10189811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ow
- coil
- blocking
- fixed terminal
- termin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4
- 230000004907 flux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6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04071 soo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1/00—Air-break switches for high tension without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1/02—Detai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59—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switc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for ensuring operation of the switch at a predetermined point in the AC cycle
- H01H33/596—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switc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for ensuring operation of the switch at a predetermined point in the AC cycle for interrupting D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rc-Extinguishing Devices That Are Switch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단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 및 제2 블로우 코일에 의해 형성되는 자속의 방향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2개의 차단부로 구성된 직류차단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2개의 차단부로 구성된 직류차단기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2개의 차단부로 구성된 직류차단기의 회로구성을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4개의 차단부로 구성된 직류차단기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4개의 차단부로 구성된 직류차단기의 회로구성을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120: 스위칭부 122: 고정단자
124: 가동단자 130: 하우징
210: 제1 블로우 코일 220: 제2 블로우 코일
Claims (9)
-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 및 제2 차단부;
상기 제1 차단부와 상기 제2 차단부 사이에 배치된 제1 블로우 코일(Blow Coil);
상기 제1 차단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블로우 코일과 대향되도록 배치된 제2 블로우 코일; 및
상기 제2 차단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블로우 코일과 대향되도록 배치된 제3 블로우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블로우 코일은 상기 제1 및 제2 블로우 코일 사이에서 제1 자속을 발생시켜 상기 제1 차단부의 개방시 발생되는 아크를 상기 제1 차단부의 상측인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1 및 제3 블로우 코일은 상기 제1 및 제3 블로우 코일 사이에서 제2 자속을 발생시켜 상기 제2 차단부의 개방시 발생되는 아크를 상기 제2 차단부의 상측인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전원공급부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차단부에 제1 레벨의 전압이 인가될 때 상기 제1 및 제2 차단부가 개방상태이면 상기 제1 내지 제3 블로우 코일에는 상기 제1 레벨의 전압과 상기 제1 차단부에 인가되는 제2 레벨의 전압간의 차전압에 해당하는 제3 레벨의 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우 코일을 갖는 직류차단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단부 및 제2 차단부는 고정단자 및 상기 고정단자에 접촉되거나 상기 고정단자로부터 이격되도록 이동하는 가동단자를 포함하고,
일단은 상기 제1 차단부의 가동단자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 차단부의 고정단자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차단부와 상기 제2 차단부를 직렬로 연결시키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우 코일을 갖는 직류 차단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단부의 고정단자에는 제1 극성의 전원이 인가되고, 상기 제2 차단부의 가동단자에는 상기 제1 극성과 반대되는 제2 극성의 전원이 인가되며,
상기 제1 내지 제3 블로우 코일에서 제1 극성의 전원이 인가되는 제1 단자들은 상기 제2 차단부의 고정단자에 공통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내지 제3 블로우 코일에서 제2 극성의 전원이 인가되는 제2 단자들은 상기 제2 차단부의 가동단자에 공통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우 코일을 갖는 직류차단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단자에서 상기 가동단자 방향인 제3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고,
상기 제1 자속은 상기 제2 블로우 코일에서 상기 제1 블로우 코일 방향인 상기 제1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자속은 상기 제2 블로우 코일에서 상기 제3 블로우 코일 방향인 상기 제1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차단부에서 발생된 아크는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3 방향에 수직한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우 코일을 갖는 직류차단기. - 제1항에 있어서,
전원공급부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차단부에 제1 레벨의 전압이 인가될 때 상기 제1 및 제2 차단부가 투입상태이면 상기 제1 내지 제3 블로우 코일은 0전위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우 코일을 갖는 직류차단기. - 삭제
- 고정단자;
상기 고정단자에 접촉되거나 상기 고정단자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이동하는 가동단자;
상기 고정단자 및 상기 가동단자를 커버하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가동단자가 상기 고정단자로부터 이격될 때 발생되는 아크를 소호시키는 소호부;
상기 제1 하우징의 제1 측면에 형성된 제1 홈에 일부가 삽입되는 제1 블로우 코일;
상기 제1 하우징의 제2 측면에 형성된 제2 홈에 일부가 삽입되는 제2 블로우 코일을 포함하는 제1 차단부; 및
상기 제1 차단부의 상기 제1 측면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제2 하우징을 포함하는 제2 차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블로우 코일은 상기 제1 및 제2 블로우 코일 사이에서 자속을 발생시켜 상기 가동단자가 상기 고정단자로부터 이격될 때 발생되는 아크를 상기 소호부로 이동시키고,
전원공급부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차단부에 제1 레벨의 전압이 인가될 때 상기 제1 및 제2 차단부가 개방상태이면 상기 제1 및 제2 블로우 코일에는 상기 제1 레벨의 전압과 상기 제1 차단부에 인가되는 제2 레벨의 전압간의 차전압에 해당하는 제3 레벨의 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우 코일을 갖는 직류차단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단자에 제1 극성의 전원이 인가되고 상기 가동단자에 제2 극성의 전원이 인가될 때 상기 자속은 상기 제2 블로우 코일에서 상기 제1 블로우 코일 방향인 제1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단자에서 상기 가동단자 방향인 제3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고,
상기 아크는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3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우 코일을 갖는 직류차단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에 인접한 상기 제2 하우징의 제3 측면에는 상기 제1 블로우 코일 중 상기 제1 홈 내에 삽입되지 않은 영역이 삽입되는 제3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우 코일을 갖는 직류차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08503 | 2017-08-28 | ||
KR20170108503 | 2017-08-28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98113B1 true KR101898113B1 (ko) | 2018-09-12 |
Family
ID=63592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78377A Active KR101898113B1 (ko) | 2017-08-28 | 2017-12-22 | 블로우 코일을 갖는 직류차단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98113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0222345A1 (ko) * | 2019-05-02 | 2020-11-05 | 인텍전기전자주식회사 | 차단기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019160A (ja) * | 2003-06-25 | 2005-01-20 | Sumitomo Electric Ind Ltd | 直流リレー |
JP2010287455A (ja) * | 2009-06-12 | 2010-12-24 | Denso Corp | 電磁継電器 |
KR20140012034A (ko) * | 2011-05-23 | 2014-01-29 | 후지 덴키 기기세이교 가부시끼가이샤 | 회로 차단기 |
KR20160038838A (ko) | 2014-09-30 | 2016-04-07 | 러씽찬띠안(우시)유씨안공스 | 직류 회로 차단유닛 및 직류 회로 차단기 |
-
2017
- 2017-12-22 KR KR1020170178377A patent/KR101898113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019160A (ja) * | 2003-06-25 | 2005-01-20 | Sumitomo Electric Ind Ltd | 直流リレー |
JP2010287455A (ja) * | 2009-06-12 | 2010-12-24 | Denso Corp | 電磁継電器 |
KR20140012034A (ko) * | 2011-05-23 | 2014-01-29 | 후지 덴키 기기세이교 가부시끼가이샤 | 회로 차단기 |
KR20160038838A (ko) | 2014-09-30 | 2016-04-07 | 러씽찬띠안(우시)유씨안공스 | 직류 회로 차단유닛 및 직류 회로 차단기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0222345A1 (ko) * | 2019-05-02 | 2020-11-05 | 인텍전기전자주식회사 | 차단기 |
KR20200127510A (ko) * | 2019-05-02 | 2020-11-11 | 인텍전기전자 주식회사 | 차단기 |
KR102191196B1 (ko) * | 2019-05-02 | 2020-12-15 | 인텍전기전자 주식회사 | 차단기 |
CN112136199A (zh) * | 2019-05-02 | 2020-12-25 | 因泰克电气电子有限公司 | 断路器 |
CN112136199B (zh) * | 2019-05-02 | 2024-03-12 | 因泰克电气电子有限公司 | 断路器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7601492B2 (ja) | 短絡電流に耐え、消弧することができる直流リレー | |
JP5684650B2 (ja) | 電磁接触器 | |
US11521817B2 (en) | Switching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a switching device | |
WO2013108291A1 (ja) | 回路遮断器 | |
JP6103489B2 (ja) | 直流開閉器の消弧機構、および当該消弧機構を有する直流開閉器並びに直流遮断器 | |
JP2013508926A (ja) | 向上した消弧性能を有する回路安全装置 | |
KR101953292B1 (ko) | 양방향 스위치 접점 장치 | |
JPH10154448A (ja) | 直流開閉器 | |
JP7402329B2 (ja) | アーク経路形成部及びそれを含む直流リレー | |
KR20160038838A (ko) | 직류 회로 차단유닛 및 직류 회로 차단기 | |
EP3266029B1 (en) | High voltage compact fusible disconnect switch device with magnetic arc deflection assembly | |
KR101898113B1 (ko) | 블로우 코일을 갖는 직류차단기 | |
EP3139395B1 (en) | Electromagnetically assisted arc quench with pivoting permanent magnet | |
JP2013008698A (ja) | 回路遮断器 | |
CN113424284B (zh) | 用于切换器件的触点单元和切换器件 | |
JP6044927B2 (ja) | 直流開閉器および直流遮断器 | |
CN110574135B (zh) | 具有改进的永磁灭弧的开关装置 | |
JP7601491B2 (ja) | 高電圧アーク消去システムおよび高電圧アーク消去システムを備える電気スイッチングデバイス | |
JP7690680B2 (ja) | アーク経路形成部およびこれを含む直流リレー | |
JP7689626B2 (ja) | アーク経路形成部およびこれを含む直流リレー | |
JP7631617B2 (ja) | アーク経路形成部およびこれを含む直流リレー | |
JP7689623B2 (ja) | アーク経路形成部およびこれを含む直流リレー | |
EP4177918A1 (en) | Systems of switching contacts with self-compensation of holm's repulsion and switching devices comprising same | |
KR102483841B1 (ko) | 향상된 절연 능력을 갖는 직류 양방향 아크 소호 스위치 | |
US20250149282A1 (en) | Arc path formation unit and direct current relay comprising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22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5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8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9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9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8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8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8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9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