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7464B1 - 면역관문을 극복한 면역세포 및 상기 면역세포를 포함한 약제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면역관문을 극복한 면역세포 및 상기 면역세포를 포함한 약제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7464B1
KR101897464B1 KR1020170088269A KR20170088269A KR101897464B1 KR 101897464 B1 KR101897464 B1 KR 101897464B1 KR 1020170088269 A KR1020170088269 A KR 1020170088269A KR 20170088269 A KR20170088269 A KR 20170088269A KR 101897464 B1 KR101897464 B1 KR 1018974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cells
gly
leu
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8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9040A (ko
Inventor
김찬혁
권용준
이영호
이지연
이형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큐로셀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큐로셀,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큐로셀
Priority to PCT/KR2017/007505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8012895A1/ko
Publication of KR20180009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90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7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74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12N15/79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 C12N15/85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for animal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14Blood; Artificial blood
    • A61K35/17Lymphocytes; B-cells; T-cells; Natural killer cells; Interferon-activated or cytokine-activated lymphocy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705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4/70503Immunoglobulin superfamily
    • C07K14/7051T-cell receptor (TcR)-CD3 complex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2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6/3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from tumour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11DNA or RNA fragments; Modified forms thereof; Non-coding nucleic acids having a biological activity
    • C12N15/113Non-coding nucleic acids modulating the expression of genes, e.g. antisense oligonucleotides; Antisense DNA or RNA; Triplex- forming oligonucleotides; Catalytic nucleic acids, e.g. ribozymes; Nucleic acids used in co-suppression or gene silenc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34Cells from the blood or the immune syste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6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non-natural combinations of immunoglobulin fragments
    • C07K2317/62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non-natural combinations of immunoglobulin fragments comprising only variable region components
    • C07K2317/622Single chain antibody (scFv)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9/00Fusion polypeptid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Immunology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Cell 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Hemat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Toxic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Vir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면역관문을 극복한 면역세포, 그 제조방법 및 상기 면역세포를 포함한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키메라 항원 수용체(CAR) 및 면역관문 수용체 발현을 억제하는 숏헤어핀 리보핵산(shRNA)이 동시에 발현되도록 유전적으로 조작된 면역관문을 극복한 면역세포, 그 제조방법 및 상기 면역세포를 포함한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면역세포에 유전적으로 키메라 항원수용체 또는 단일클론 TCR과 면역관문 수용체 발현을 억제하는 shRNA를 동시에 발현하도록 하여 면역관문 수용체 발현 억제를 위한 별도의 항체 치료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면역관문 수용체의 발현을 억제할 수 있어 항체치료제의 부작용을 겪지 않으면서도 항암효과 등 CAR-또는 단일클론 TCR을 이용해 조작된 면역세포의 치료효과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고 환자의 경제적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면역관문을 극복한 면역세포 및 상기 면역세포를 포함한 약제학적 조성물{IMMUNE CELL OVERCOMING IMMUNE CHECKPOINT SIGNALING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SAID IMMUNE CELL}
본 발명은 면역관문을 극복한 면역세포 및 상기 면역세포를 포함한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키메라 항원 수용체(CAR) 또는 단일클론 티세포수용체(T cell receptor, TCR); 및 면역관문 수용체의 발현을 저해하는 숏헤어핀 리보핵산(RNA)이 동시에 발현되도록 유전적으로 조작된 면역관문을 극복한 면역세포 및 상기 면역세포를 포함한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환자 혹은 공여자의 몸에서 분리한 티세포(T-cell) 혹은 자연살해세포(NK cell)를 체외에서 배양하여 다시 환자몸에 투여하는 과정을 거치는 면역세포를 이용한 항암 치료법이 최근 새로운 암치료법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1]. 특히 체외 배양과정 중에 바이러스 등을 이용하여 새로운 유전 정보를 주입한 후 증식하는 과정을 거친 면역 세포는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높은 항암효과를 가진다는 것이 보고되었다[2]. 이 때 T세포에 주입되는 유전정보는 항원(TARGET)에 높은 친화력을 갖도록 조작된 단일 클론 T세포 수용체 (T cell receptor, TCR) 혹은 키메라 항원 수용체 (CAR, Chimeric Antigen Receptor)가 주로 사용된다. 이렇게 조작된 면역세포는 기존에 내재하는 항원 특이성에 구애받지 않고 항원인 암세포를 인식, 공격하여 세포 사멸을 유도하게 된다. 특히 T 세포를 CAR 수용체를 이용하여 유전적으로 조작하는 방법은 1989년 Eshhar및 그의 동료들이 최초로 제안하여 "T-body"라는 이름으로 불렀다[3]. 그 이후로 연구자들에 의해 CAR의 디자인은 여러 세대의 진화를 거치게 되는데, 현재 임상에서 주로 사용되는 CAR의 구조는 단일사슬단편항체(single chain variable fragment, scFv : 항원에 대한 특이성을 부여) domain, spacer domain(scFv와 세포막간의 거리를 조절), transmembrane domain, 그리고 intracellular signaling domain (ISD)으로 구성된다. ISD는 다시 한개 또는 여러개의 costimulatory domain (CD28, CD137, or OX40: T 세포의 in vivo 증식 및 긴 수명에 기여)과 TCR signaling domain (CD3 zeta: T세포의 활성화에 기여)으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만들어진 카수용체를 발현하도록 조작된 T세포는 높은 특이성으로 스스로 항원발현 암세포를 인식하여 활성화된 다음 효율적으로 암세포의 사멸을 유도함과 동시에, 체내에서 기하급수적으로 증식하고 오래 살아있게 된다. 예를 들어, B세포의 특이 항원인 CD19을 타깃하도록 만들어진 카티세포(CART-19)가 B-세포 백혈병 환자에 투여되었을 때 1,000 ~ 10,000배 까지 증식되고 수년간 체내에서 살아있음이 보고 되었다 [4, 5]. 그 결과, CART-19은 기존의 화학치료 요법 등으로 효과를 보지 못한 말기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 (B-ALL)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에서 90%의 놀라운 완전 반응 (complete response) 을 보여 초기 연구자임상단계에서 이례적으로 글로벌 제약회사에 라이센스되었으며, 카티 세포치료제 최초로 2017년 미국 식약청의 승인을 앞두고 있다. 그 외에도 대부분의 대형 제약회사들이 이 분야에 뛰어들고 있고 바이오텍에 대한 투자와 창업 또한 매우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등, 카티세포를 이용한 치료법이 앞으로 항암 치료산업의 패러다임을 바꿀 수도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모으고 있다.
그런데, 면역세포, 가령 T세포의 표면에는 CTLA-4 나 PD-1 같은 면역관문 수용체들이 존재한다. 본래 이 수용체들은 T 세포가 지나치게 활성화되어 세포사멸 되거나 자가 면역을 일으키는 것을 조절하기 위한 안전장치이나, 암세포들, 특히 고형암은 이 점을 악용하여 T 세포에 의한 면역감시를 피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암세포가 PDL-1 리간드를 표면에 발현하게 되면 T 세포가 암세포를 인식하여 활성화되더라도 곧 PD-1수용체로부터 전해지는 활성저해 시그널링으로 인해 소진(exhaustion)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면역관문(immune checkpoint)들에 의해 T 세포의 활성이 저해되는 것을 막기 위해 anti-CTLA4 나 anti-PD-1 등의 단일 클론 항체들이 개발되었고, 이들 항체를 이용하여 면역관문을 차단함으로써 T 세포의 전반적인 면역 기능을 향상시키는 치료가 여러 고형암에서 효능을 보이고 있다.
카티세포도 결국 활성화된 T 세포의 세포 독성에 의존하는 치료제이기 때문에, 카티세포 주변에 면역억제 환경이 존재하게 되면 치료효과에 큰 저해 요인으로 작용한다. 실제로 B-세포 백혈병에서 보여졌던 놀라운 치료효과에 비해 아직 고형암 (solid tumor)을 타깃하도록 제작된 CAR-T 들은 임상에서 희망적인 치료효과를 보인 예가 드문데, 이는 혈액암과는 달리 고형암은 부분적으로 면역억제 환경 (immune-suppressive tumor microenvironments)을 형성하여 카티세포의 활성과 증식을 억제하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또한, B세포 혈액암 내에서도, CART-19을 이용한 치료가 90%에 달하는 반응을 보인 급성 백혈병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ALL) 환자들과는 달리 림프종 (lymphoma, 20-50% 반응율)[6] 이나 만성 백혈병 (chronic lymphoblastic leukemia, CLL, ~20 %의 반응율)[7] 환자들의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낮은 치료효과를 보인다는 것이 보고되었다.
그와 더불어 림프종에 의해 형성되는 tumor microenvironment에 programmed death ligand-1 (PDL-1)과 같은 면역억제 리간드가 발현되고, 그에 따라 암조직 내에 존재하는 T세포의 기능이 소진된 형질을 보인다는 것이 보고되었다[8]. 또한 CLL환자에게서 얻은 T 세포는 활성은 이미 많이 소진된 형질을 보이고 높은 정도의 PD-1, CD160, CD244와 같은 면역관문 수용체의 발현을 보임이 보고되었다[9].
따라서 이렇게 낮아진 카티세포의 활성을 회복시키기 위해 anti-CTLA나 anti-PD-1 blocking 항체와 카티세포를 동시에 사용할 경우 항암 효과가 높아진다는 전임상 결과가 보고되었고[10, 11], 현재 이러한 컴비네이션을 이용한 임상시험이 진행 중이다. 그러나, 이러한 항체와 카티세포 co-therapy의 문제점은, 몸 전체에 퍼진 항체가 카티세포 뿐 아니라 다른 몸 안에 존재하는 모든 T 세포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자가 면역 증상과 같은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고가의 항체치료제를 세포치료제와 병행하여 사용함으로 인해 생기는 치료비용 부담의 증가 또한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카티세포에 면역관문을 억제할 수 있도록 세포 내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시도가 최근 있었다. 국제특허공개공보 WO2016/069282호에는 TCR α 쇄, TCR β 쇄, 베타-2 마이크로글로불린, 및 FAS로 이루어지는 그룹 중에서 선택된 내인성 유전자 발현을 하향조절할 수 있는 핵산을 갖고 표적 세포상의 표면 항원에 대한 친화성을 포함하는 변형된 T 세포 수용체(TCR)를 암호화하는 핵산 또는 키메릭 항원 수용체(CAR)를 암호화하는 전기천공된 핵산을 추가로 포함하는 변형된 T 세포의 생성을 위한 조성물 및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12]. 상기 문헌에 따르면 CRISPR/Cas9등의 유전자 가위를 이용하여 내인성 유전자의 발현을 knock-out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전술한 문헌의 방법으로 제조된 카티세포는 제조방법이 다소 복잡할 뿐 아니라 제조수율이 낮고 생산 비용이 높은 문제가 있다.
12. WO2016/069282 A1 15. DE 3,218,121 16. 유럽특허 제52,322호 17. 유럽 특허 제36,676호 18. 유럽 특허 제88,046호 19. 유럽 특허 제143,949호 20. 유럽 특허 제142,641호 21. 일본 특허 제83-118008호 22. 미국 특허 제4,485,045호 23. 미국특허 제4,544,545호 24. 유럽 특허 제102,324호
1.Rosenberg, S.A. and N.P. Restifo, Adoptive cell transfer as personalized immunotherapy for human cancer. Science, 2015. 348(6230): p. 62-68. 2.Ma, Q., R.M. Gonzalo-Daganzo, and R.P. Junghans, Genetically engineered T cells as adoptive immunotherapy of cancer. Cancer Chemother Biol Response Modif, 2002. 20: p. 315-41. 3.Gross, G., T. Waks, and Z. Eshhar, Expression of immunoglobulin-T-cell receptor chimeric molecules as functional receptors with antibody-type specificity. Proc Natl Acad Sci U S A, 1989. 86(24): p. 10024-8. 4.Kalos, M., et al., T cells with chimeric antigen receptors have potent antitumor effects and can establish memory in patients with advanced leukemia. Sci Transl Med, 2011. 3(95): p. 95ra73. 5.Porter, D.L., et al., Chimeric antigen receptor-modified T cells in chronic lymphoid leukemia. N Engl J Med, 2011. 365(8): p. 725-33. 6.Ramos, C.A., H.E. Heslop, and M.K. Brenner, CAR-T Cell Therapy for Lymphoma. Annu Rev Med, 2016. 67: p. 165-83. 7.Porter, D.L., et al., Chimeric antigen receptor T cells persist and induce sustained remissions in relapsed refractory chronic lymphocytic leukemia. Sci Transl Med, 2015. 7(303): p. 303ra139. 8.Ansell, S.M., Targeting immune checkpoints in lymphoma. Curr Opin Hematol, 2015. 22(4): p. 337-42. 9.Riches, J.C., et al., T cells from CLL patients exhibit features of T-cell exhaustion but retain capacity for cytokine production. Blood, 2013. 121(9): p. 1612-21. 10.John, L.B., M.H. Kershaw, and P.K. Darcy, Blockade of PD-1 immunosuppression boosts CAR T-cell therapy. Oncoimmunology, 2013. 2(10): p. e26286. 11.Gargett, T., et al., GD2-specific CAR T Cells Undergo Potent Activation and Deletion Following Antigen Encounter but can be Protected From Activation-induced Cell Death by PD-1 Blockade. Mol Ther, 2016. 13.Epstein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82: 3688-3692 (1985). 14. Hwang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77: 4030-4034 (1980).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면역관문 수용체 발현 억제를 위한 별도의 항체 치료제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면역관문 수용체의 발현을 억제하면서 키메라 항원 수용체의 기능을 발휘하도록 하여 면역세포 치료효과를 향상시킨 면역세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상기 면역관문을 극복한 면역세포를 포함한 면역세포 치료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면역세포의 핵산서열에 있어서, 키메라 항원 수용체(CAR) 또는 단일클론 티세포 수용체(TCR)을 코딩하는 염기서열; 및 면역관문 수용체의 발현을 저해하는 숏헤어핀 리보핵산(shRNA)을 코딩하는 염기서열을 동시에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핵산서열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숏헤어핀 리보핵산(shRNA)을 코딩하는 염기서열은 PD-1, CTLA-4, LAG-3 및 TIM-3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면역관문 수용체를 타깃으로 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핵산서열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숏헤어핀 리보핵산(shRNA)을 코딩하는 염기서열이 PD-1 및 TIM-3를 동시에 타깃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핵산서열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숏헤어핀 리보핵산(shRNA)을 코딩하는 염기서열이 서열번호 2 내지 12의 PD-1 타깃 염기서열, 서열번호 13 내지 35의 TIM-3 타깃 염기서열, 서열번호 36 내지 42의 LAG-3 타깃 염기서열 및 서열번호 43 내지 51의 CTLA-4 타깃 염기서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염기서열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핵산서열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키메라 항원 수용체(CAR) 또는 단일클론 T세포 수용체 의 타겟이 5T4, 알파 5β1-인테그린, 707-AP, AFP, ART-4, B7H4, BAGE, β-카테닌/m, Bcr-abl, MN/CIX 항원, CA125, CAMEL, CAP-1, CASP-8, CD4, CD19, CD20, CD22, CD25, CDC27/m, CD30, CD33, CD52, CD56, CD80, CDK4/m, CEA, CT, Cyp-B, DAM, EGFR, ErbB3, ELF2M, EMMPRIN, EpCam, ETV6-AML1, G250, GAGE, GnT-V, Gp100, HAGE, HER-2/new, HLA-A*0201-R170I, HPV-E7, HSP70-2M, HST-2, hTERT(또는 hTRT), iCE, IGF-1R, IL-2R, IL-5, KIAA0205, LAGE, LDLR/FUT, MAGE, MART-1/melan-A, MART-2/Ski, MC1R, 미오신/m, MUC1, MUM-1, MUM-2, MUM-3, NA88-A, PAP, 프로테이나제-3, p190 마이너 bcr-abl, Pml/RARα, PRAME, PSA, PSM, PSMA, RAGE, RU1 또는 RU2, SAGE, SART-1 또는 SART-3, 서바이빈, TEL/AML1, TGFβ, TPI/m, TRP-1, TRP-2, TRP-2/INT2, VEGF, WT1, NY-Eso-1 및 NY-Eso-B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인간 종양항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핵산서열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CAR 수용체의 아미노산 서열이 서열번호 52 내지 54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과 90% 이상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핵산서열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키메라 항원 수용체(CAR) 또는 단일클론 티세포 수용체(TCR)를 코딩하는 염기서열 및 면역관문 수용체의 발현을 저해하는 숏헤어핀 리보핵산(RNA)을 코딩하는 염기서열을 포함한 벡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숏헤어핀 리보핵산(shRNA)을 코딩하는 염기서열은 PD-1, CTLA-4, LAG-3 및 TIM-3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면역관문 수용체를 타깃으로 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벡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숏헤어핀 리보핵산(shRNA)을 코딩하는 염기서열이 PD-1 및 TIM-3를 동시에 타깃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벡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숏헤어핀 리보핵산(shRNA)을 코딩하는 염기서열은 서열번호 2 내지 12의 PD-1 타깃 염기서열, 서열번호 13 내지 35의 TIM-3 타깃 염기서열, 서열번호 36 내지 42의 LAG-3 타깃 염기서열 및 서열번호 43 내지 51의 CTLA-4 타깃 염기서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염기서열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벡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키메라 항원 수용체(CAR) 또는 단일클론 티세포 수용체(TCR)의 타겟이 5T4, 알파 5β1-인테그린, 707-AP, AFP, ART-4, B7H4, BAGE, β-카테닌/m, Bcr-abl, MN/CIX 항원, CA125, CAMEL, CAP-1, CASP-8, CD4, CD19, CD20, CD22, CD25, CDC27/m, CD30, CD33, CD52, CD56, CD80, CDK4/m, CEA, CT, Cyp-B, DAM, EGFR, ErbB3, ELF2M, EMMPRIN, EpCam, ETV6-AML1, G250, GAGE, GnT-V, Gp100, HAGE, HER-2/new, HLA-A*0201-R170I, HPV-E7, HSP70-2M, HST-2, hTERT(또는 hTRT), iCE, IGF-1R, IL-2R, IL-5, KIAA0205, LAGE, LDLR/FUT, MAGE, MART-1/melan-A, MART-2/Ski, MC1R, 미오신/m, MUC1, MUM-1, MUM-2, MUM-3, NA88-A, PAP, 프로테이나제-3, p190 마이너 bcr-abl, Pml/RARα, PRAME, PSA, PSM, PSMA, RAGE, RU1 또는 RU2, SAGE, SART-1 또는 SART-3, 서바이빈, TEL/AML1, TGFβ, TPI/m, TRP-1, TRP-2, TRP-2/INT2, VEGF, WT1, NY-Eso-1 및 NY-Eso-B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인간 종양항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벡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CAR 수용체의 아미노산 서열이 서열번호 52 내지 54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과 90% 이상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벡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키메라 항원 수용체(CAR) 또는 단일클론 티세포 수용체(TCR); 및 면역관문 수용체의 발현을 저해하는 숏헤어핀 리보핵산(RNA)이 동시에 발현되도록 유전적으로 조작된 면역관문을 극복한 면역세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숏헤어핀 리보핵산(shRNA)은 PD-1, CTLA-4, LAG-3 및 TIM-3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면역관문 수용체를 타깃으로 하여 그 발현을 저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관문을 극복한 면역세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숏헤어핀 리보핵산(shRNA)이 PD-1 및 TIM-3 면역관문 수용체를 동시에 타깃으로 하여 그 발현을 저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관문을 극복한 면역세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키메라 항원 수용체(CAR) 또는 단일클론 TCR의 타겟이 5T4, 알파 5β1-인테그린, 707-AP, AFP, ART-4, B7H4, BAGE, β-카테닌/m, Bcr-abl, MN/CIX 항원, CA125, CAMEL, CAP-1, CASP-8, CD4, CD19, CD20, CD22, CD25, CDC27/m, CD30, CD33, CD52, CD56, CD80, CDK4/m, CEA, CT, Cyp-B, DAM, EGFR, ErbB3, ELF2M, EMMPRIN, EpCam, ETV6-AML1, G250, GAGE, GnT-V, Gp100, HAGE, HER-2/new, HLA-A*0201-R170I, HPV-E7, HSP70-2M, HST-2, hTERT(또는 hTRT), iCE, IGF-1R, IL-2R, IL-5, KIAA0205, LAGE, LDLR/FUT, MAGE, MART-1/melan-A, MART-2/Ski, MC1R, 미오신/m, MUC1, MUM-1, MUM-2, MUM-3, NA88-A, PAP, 프로테이나제-3, p190 마이너 bcr-abl, Pml/RARα, PRAME, PSA, PSM, PSMA, RAGE, RU1 또는 RU2, SAGE, SART-1 또는 SART-3, 서바이빈, TEL/AML1, TGFβ, TPI/m, TRP-1, TRP-2, TRP-2/INT2, VEGF, WT1, NY-Eso-1 및 NY-Eso-B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인간 종양항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관문을 극복한 면역세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CAR 수용체의 아미노산 서열이 서열번호 52 내지 54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과 90% 이상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관문을 극복한 면역세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면역세포가 T세포, 자연살해세포, 세포독성 T 림프구 및 조절용 T 세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관문을 극복한 면역세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상기 면역관문을 극복한 면역세포를 포함한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이 담체, 부형제, 희석제, 항산화제, 보존제, 착색제, 향미제 및 희석제, 유화제, 현탁제, 용매, 충전제, 벌크화제, 완충제, 전달 비히클, 등장제, 공용매, 습윤제, 복합화제, 완충제, 항균제 및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부형제 또는 비히클을 추가로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병증의 치료가 필요한 피험자에게 유효량의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을 투여함을 포함하는, 피험자의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병증이 암인 피험자의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암이 유방암, 전립선암, 난소암, 자궁경부암, 피부암, 췌장암, 결장직장암, 신장암, 간암, 뇌암, 림프종, 백혈병, 폐암,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피험자의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간단한 방법으로 면역관문 수용체 발현 억제를 위한 별도의 항체 치료제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면역관문 수용체의 발현을 억제하면서 키메라 항원 수용체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면역관문을 극복한 면역세포를 제공하여 고형암을 비롯한 암치료에 있어 면역세포 치료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면역관문 수용체의 발현을 저해하는 short hairpin RNA(shRNA)와 CAR의 발현 카세트를 둘 다 포함하는 two-in-one 카바이러스 플라스미드의 구조도
도 2는 인간 PD-1 발현을 억제하는 shPD -1과 CD19 표적 CAR가 동시에 발현되는 two-in-one 카바이러스 플라스미드를 이용해 제조한 CAR T 세포에서 CAR를 발현유지와 PD-1 발현 감소를 확인한 FACS DATA
도 3은 3가지 유전자(ΔLNGFR : 정제용, CD19-CAR : CD19 항원 타겟팅용, shPD -1: PD-1 발현 억제용)가 동시에 발현되는 two-in-one 카바이러스 플라스미드를 이용해 제조한 CAR T세포를 LNGFR 특이적 항체로 정제한 후 순도를 확인한 FACS DATA
도 4는 도 3에서 정제한 ΔLNGFR-CART19/shGFP와 ΔLNGFR-CART19/shPD - 1 T 세포를 CD3과 CD28 항체로 3일간 자극을 준 후 CAR-T 세포 내 PD-1 발현 감소를 확인한 FACS DATA
도 5는 PD-L1 과발현 K562 세포주 (K562-CD19-PD-L1)의 PD-L1 발현을 확인한 FACS DATA
도 6은 도 3에서 정제한 ΔLNGFR-CART19/shGFP와 ΔLNGFR-CART19/shPD - 1 T 세포에 반복적으로 CAR와 PD-1 수용체 매개성 자극을 가한 CAR-T 세포 제작 과정에 대한 설명도
도 7은 shPD -1에 의한 PD-1 발현 억제가 반복적인 자극 시에도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있음을 확인한 FACS DATA
도 8은 반복적인 자극에 따른 CAR-T 세포의 세포독성능 감소가 PD-1 발현 억제에 의해 현저히 완화됨을 확인한 DATA.
도 9는 도 6에서 제조된 CAR T 세포의 분화에 PD-1 발현 억제가 미치는 영향을 CD8, CD4 아형 내 CD45RA 및 CCR7 표면 항원 발현으로 확인한 FACS DATA
도 10은 도 6에서 제조된 CAR T 세포의 증식에 PD-1 발현 억제가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CFSE를 라벨링한 후 감마 조사 K562-CD19-PD-L1 세포주와 5일간 동시 배양 하여 CSFE 형광 희석 정도로 세포 증식을 확인한 FACS DATA
도 11은 인간 TIM-3 발현을 억제하는 shTIM - 3와 CD19 표적 CAR가 동시에 발현하는 CAR T 세포 내 TIM-3 발현 감소를 확인한 FACS DATA
도 12는 두 가지 shRNA(shPD -1shTIM -3), CD19 CAR, 그리고 LNGFR 유전자가 동시에 발현되는 two-in-one 카바이러스 플라스미드 구성에 관한 모식도
도 13은 마우스 U6 프로모터 3` 말단에 다중 클로닝 자리를 삽입한 pLV-ΔLNGFR_P2A_CD19-CAR_shPD -1_MCS two-in-one 카바이러스 플라스미드를 제작하는 과정
도 14는 도 13의 플라스미드에 hU6 - shPD - 1mU6 - shTIM - 3 카세트를 -><-(양방향)으로 삽입한 pLV-ΔLNGFR_P2A_CD19-CAR_hU6-shPD-1-><-mU6-shTIM-3 two-in-one 카바이러스 플라스미드를 제작하는 과정
도 15는 도 13의 플라스미드에 hU6 - shPD - 1mU6 - shTIM - 3 카세트를 <-->(양방향의 역)으로 삽입한 pLV-ΔLNGFR_P2A_CD19-CAR_hU6-shPD-1-><-mU6-shTIM-3 two-in-one 카바이러스 플라스미드를 제작하는 과정
도 16은 도 14과 도 15의 two-in-one 카바이러스 플라스미드로 제작한 CAR-T 세포를 LNGFR 항체를 이용하여 정제한 후 순도를 확인한 FACS DATA
도 17은 도 16에서 정제한 ΔLNGFR-CART19/hU6-shPD-1-> <-shTIM-3-mU6 T 세포와 ΔLNGFR-CART19/shPD-1-hU6<- ->U6-shTIM-3 T 세포를 CD3와 CD28 항체로 3일간 자극을 준 후 CAR-T 세포 내 PD-1과 TIM-3의 발현이 동시에 감소함을 확인한 FACS DATA
이하에서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면역세포는 유전공학적으로 처리되거나 처리되지 않은 인체 또는 동물 유해 면역세포 모두를 의미할 수 있으며, 특별한 언급이 없으면 경우에 따라 키메라 항원 수용체 변형 티세포(CAR modified T-cell), T 세포 수용체 변형 티세포 (TCR modified T-cell) 또는 키메라 항원 수용체 변형 자연살해세포(CAR modified NK cell), T 세포 수용체 변형 자연살해세포 (TCR modified NK cell) 등 카-변형된 면역세포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별한 언급이 없더라도 어떤 면역세포를 의미하는지 구분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 면역세포의 예로는 T세포, 자연살해세포, 세포독성 T 림프구 및 조절용 T 세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면역관문 수용체의 발현을 저해하는 short hairpin RNA(shRNA)와 CAR의 발현 카세트를 동시에 포함하는 two-in-one 카바이러스 플라스미드의 일실시예의 구조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키메라 항원 수용체(CAR)를 코딩하는 염기서열 및 면역관문 수용체의 발현을 저해하는 숏헤어핀 리보핵산(RNA)을 코딩하는 염기서열을 포함한 핵산서열과 벡터를 제공하며, 또한 상기 벡터를 이용하여 CAR와 면역관문 수용체의 발현을 저해하는 shRNA를 동시에 발현하는 면역세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CAR 또는 단일클론 티세포 수용체(TCR)는 특별히 그 구조나 구성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일반적으로 세포외 도메인인 단일사슬단편항체(single chain variable fragment, scFv : 항원에 대한 특이성을 부여) 도메인(domain), 스페이서 도메인(spacer domain:scFv와 세포막간의 거리를 조절), 막통과 도메인(transmembrane domain) 및 세포내 신호전달 도메인(intracellular signaling domain, ISD)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CAR 수용체의 아미노산 서열이 CD19, CD22 및/또는 LNGFR_P2A_CD19-CAR에 해당하는 서열번호인 52 내지 54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상기 아미노산 서열과 90% 이상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CAR의 세포외 도메인은 1종의 항원 또는 리간드에만 결합하는 것일 수도 있고, 2종 이상의 항원 또는 리간드에 결합하는 세포외 도메인일 수도 있다. 세포외 도메인은 표적으로 하는 항원을 인식하는 항체 또는 상기 항원과 상호작용하는 분자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이 항원은 예를 들면, 바이러스항원, 세균(특히 감염성 세균)항원, 기생충항원, 특정한 병상에 관계된 표적세포 상의 세포표면 마커(예를 들면 종양항원)이나 면역 관련 세포의 표면분자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항원의 예를 들면, 레트로바이러스과(retroviridae, 예를 들면, HIV-1 및 HIV-LP와 같은, 인간 면역부전 바이러스), 피코루나바이러스과(Picornaviridae, 예를 들면, 폴리오바이러스, A형 간염바이러스, 엔테로바이러스, 인간 콕사키바이러스, 라이노바이러스, 에코바이러스), 풍진바이러스, 코로나바이러스, 수포성 구내염 바이러스, 광견병 바이러스, 에볼라 바이러스,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멈프스바이러스, 홍역바이러스, 호흡기합포체 바이러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B형 간염 바이러스, 파보바이러스, 아데노위르스과(Adenoviridae), 포진바이러스과[Herpesviridae, 예를 들면, 1형 및 2형의 단순포진 바이러스(HSV),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 시토메갈로바이러스(CMV), 헤르페스바이러스], 폭스바이러스과(Poxviridae, 예를 들면, 천연두 바이러스, 백시니아바이러스, 폭스바이러스), C형 간염 바이러스에 유래하는 항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항원으로서, 포도상구균속(Staphylococci)의 균종, 연쇄구균속(Streptococcus)의 균종, 대장균(Escherichia coli)의 균종, 슈우도모나드속(Pseudomonas)의 균종 및 살모넬라속(Salmonella)의 균종에 유래하는 항원일 수 있다. 특히, 감염성 세균, 예를 들면, 헬리코박터피로리(Helicobacter pyloris), 레지오넬라 뉴모필리아(Legionella pneumophilia), 마이코박테리움속(Mycobacteriasps)의 균종(예를 들면, M.tuberculosis, M.avium, M.intracellulare, M.kansaii, M.gordonea), 황색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aureus), 임균(Neisseria gonorrhoeae), 수막염균(Neisseria meningitidis), 리스테리아균(Listeriamonocytogenes), 화농연쇄구균(Streptococcus pyogenes), A군 연쇄구균, B군 연쇄구균(Streptococcusagalactiae), 폐렴연쇄 구균(Streptococcus pneumoniae), 파상풍균(Clostridiumtetani)에 유래하는 항원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항원으로써 5T4, 알파 5β1-인테그린, 707-AP, AFP, ART-4, B7H4, BAGE, β-카테닌/m, Bcr-abl, MN/CIX 항원, CA125, CAMEL, CAP-1, CASP-8, CD4, CD19, CD20, CD22, CD25, CDC27/m, CD30, CD33, CD52, CD56, CD80, CDK4/m, CEA, CT, Cyp-B, DAM, EGFR, ErbB3, ELF2M, EMMPRIN, EpCam, ETV6-AML1, G250, GAGE, GnT-V, Gp100, HAGE, HER-2/new, HLA-A*0201-R170I, HPV-E7, HSP70-2M, HST-2, hTERT(또는 hTRT), iCE, IGF-1R, IL-2R, IL-5, KIAA0205, LAGE, LDLR/FUT, MAGE, MART-1/melan-A, MART-2/Ski, MC1R, 미오신/m, MUC1, MUM-1, MUM-2, MUM-3, NA88-A, PAP, 프로테이나제-3, p190 마이너 bcr-abl, Pml/RARα, PRAME, PSA, PSM, PSMA, RAGE, RU1 또는 RU2, SAGE, SART-1 또는 SART-3, 서바이빈, TEL/AML1, TGFβ, TPI/m, TRP-1, TRP-2, TRP-2/INT2, VEGF, WT1, NY-Eso-1 또는 NY-Eso-B 등의 종양항원일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항원은 인간 종양항원(암세포)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종양항원 또는 암세포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며 키메라 항원 수용체 티-세포 또는 자연살해 세포인 면역세포가 작용하여 항암활성을 나타내는 것이면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암세포는 CD19-양성 세포일 수 있다. 암세포는 CD19-양성 B 림프구일 수 있다. 암세포는 Her2-양성 세포일 수 있다. Her2-양성 세포는 Her2-양성 유방암세포일 수 있다. 표적 세포는 BCMA-양성 세포일 수 있다. 암세포는 BCMA-양성 다발성 골수종 세포일 수 있다. 암세포는 CS1-양성 세포일 수 있다. CS1-양성 세포는 다발성 골수종 세포일 수 있다. 암세포는 EGFRvIII-양성 세포일 수 있다. 암세포는 EGFRvIII-양성 교모세포종 세포일 수 있다. 암세포는 CD20-양성 세포일 수 있다. 암세포는 CD22-양성 세포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종양항원는 CD19-양성 세포일 수 있다. 암세포는 CD19-양성 B 림프구일 수 있다. 암세포는 Her2-양성 세포일 수 있다. Her2-양성 세포는 Her2-양성 유방암세포일 수 있다. 표적 세포는 BCMA-양성 세포일 수 있다. 암세포는 BCMA-양성 다발성 골수종 세포일 수 있다. 암세포는 CS1-양성 세포일 수 있다. CS1-양성 세포는 다발성 골수종 세포일 수 있다. 암세포는 EGFRvIII-양성 세포일 수 있다. 암세포는 EGFRvIII-양성 교모세포종 세포일 수 있다. 암세포는 CD20-양성 세포일 수 있다. 암세포는 CD22-양성 세포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CAR는 상기 CAR의 항원 결합 도메인을 세포내 도메인에 연결하는 막관통 도메인을 포함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상기 막관통 도메인은 상기 CAR 중의 도메인 중 하나 이상과 자연적으로 결합된다. 일부 예에서, 상기 막관통 도메인은, 상기와 같은 도메인이 동일하거나 상이한 표면 막 단백질의 막관통 도메인에 결합하여 수용체 복합체의 다른 구성원들과의 상호작용을 최소화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 아미노산 치환에 의해 선택되거나 변형될 수 있다. 상기 CAR의 세포내 도메인 또는 달리 세포질 도메인은 상기 CAR이 발현되는 세포의 활성화를 담당한다. 따라서
"세포내 도메인"이란 용어는 상기 활성화 신호를 전달하기에 충분한 세포내 도메인의 임의의 부분을 포함함을 의미한다. 상기 CAR의 세포내 도메인은 신호 활성화 및/또는 전달에 책임이 있는 도메인을 포함한다. 상기 세포내 도메인은 신호 활성화를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 생화학적 변화, 또는 상기 세포의 대사, 모양, 유전자 발현의 변경에 대한 다른 반응, 또는 키메릭 세포내 신호전달 분자의 활성화에 대한 다른 세
포 반응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 위한 세포내 도메인의 예는 비제한적으로 상기 T 세포 수용체(TCR)의 세포질 부분, 및 항원 수용체 연동에 따른 신호 전달을 개시하기 위해 협력하여 작용하는 임의의 보조-자극 분자뿐만 아니라 이들 요소의 임의의 유도체 또는 변체 및 동일한 기능 능력을 갖는 임의의 합성 서열을 포함한다. 상기 CAR의 세포내 도메인은 CD3, CD27, CD28, ICOS, 4-1BB, PD-1, T 세포 수용체(TCR), 이들의 임의의 유도체 또는 변체, 동일한 기능 능력을 갖는 이들의 임의의 합성 서열,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부터의 적어도 하나의 신호전달 도메인과 같은 보조-자극 분자의 임의의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AR의 구조와 발현방법 및 그 제조방법 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모두 잘 알 수 있을 것이므로 본 명세서에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하지 않기로 한다.
본 발명의 면역관문을 극복한 면역세포는 CAR 또는 단일클론 TCR을 발현함과 동시에 면역관문 수용체의 발현을 저해하는 shRNA를 발현하도록 설계되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저해'라는 용어는 '저해되지' 않은 상태에 비해 해당 면역관문 수용체의 발현이 60%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50%, 40%, 30%, 20%, 10%, 5% 또는 1% 이하, 수준으로 억제된 경우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shRNA의 역할은 면역관문 수용체의 유전자 mRNA에 상보적으로 결합함으로써 세포내의 RNA 간섭 (RNA interference) 작용기작을 통한 mRNA의 분해를 유도, 궁극적으로 해당 면역관문 수용체 단백질의 발현을 억제한다. 상기 shRNA는 면역관문 수용체들, 예를 들면 공지의 면역관문 수용체인 PD-1, CTLA-4, LAG-3 또는 TIM-3 등을 타깃하여 면역관문 수용체의 발현을 억제하도록 하였으며, 따라서 이러한 벡터를 이용해 엔지니어드된 카티세포는 CAR 수용체 또는 단일클론 TCR를 통하여 암세포를 타깃하는 능력을 가짐과 동시에, 암세포로부터 유도되는 면역관문 시그널에 덜 민감하게 반응함으로써 보다 향상된 항암효과를 보이게 된다. 이렇게 추가적인 항체 치료제를 사용하지 않고 면역관문 수용체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CAR-T 세포를 비롯한 면역세포의 기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면역관문 수용체의 차단 효과가 카티세포 등의 면역세포에만 국한되기 때문에 기존 관역관문 차단 항체치료제 사용시 수반되는 시스테믹한 부작용을 낮출 수 있고, 아울러 고가의 항체치료제를 요하지 않아 경제적인 이득이 크다 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WO2016/069282호에는 CAR 발현 및 내인성 유전자 발형 억제를 위하여 1단계로 CAR 형질 도입후 내인성 유전자 억제를 위한 CRISPR의 도입시 세포 천공 과정을 거치는 등 매우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 해서 생산성 및 수율이 크게 저하된다. 반면, 본 발명은 CAR 발현 및 면역관문 수용체의 발현을 억제하는 형질을 하나의 벡터를 이용하여 면역세포에 한 번의 형질도입과정으로 동시발현이 가능하도록 하여 제조공정이 단순하고 생산성 및 수율이 높은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shRNA는 PD-1, CTLA-4, LAG-3 및 TIM-3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면역관문 수용체의 발현을 저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PD-1, CTLA-4, LAG-3 및 TIM-3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2종 이상의 면역관문 수용체의 발현을 저해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특히, 최근 PD-1만을 저해했을 때는 TIM-3가 오히려 증가한다는 사실이 보고된 바 있다. 따라서, PD-1 면역관문 수용체의 저해를 목적으로 할 때, 적어도 PD-1 및 TIM-3 두 수용체를 동시에 저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염기서열 목록 중 서열번호 2 내지 51은 상기 면역관문 수용체의 발현을 억제하도록 shRNA를 발현하는 염기서열로, 서열번호 2 내지 12의 PD-1 타깃 염기서열, 서열번호 13 내지 35의 TIM-3 타깃 염기서열, 서열번호 36 내지 42의 LAG-3 타깃 염기서열 및 서열번호 43 내지 51의 CTLA-4 타깃 염기서열이다. 상기 염기서열은 하기 표 2에도 정리되어 있다. 상기 shRNA가 타겟하는 면역관문 수용체, 특히 인간 면역관문 수용체의 기능, 구조 및 염기서열 등은 공지의 사실(예를 들면, 인간 PD-1, PDL-1 및 TIM-3의 염기서열은 각각 NCBI Reference Sequence: NM_005018.2, NCBI Reference Sequence: NM_014143.3 및 NCBI Reference Sequence: NM_032782.4)이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모두 잘 알 수 있을 것이므로 본 명세서에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하지 않기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면역관문을 극복한 면역세포를 포함한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부형제 또는 비히클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서 사용하기 위한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부형제, 또는 비히클은 담체, 부형제, 희석제, 항산화제, 보존제, 착색제, 향미제 및 희석제, 유화제, 현탁제, 용매, 충전제, 벌크화제, 완충제, 전달 비히클, 등장제, 공용매, 습윤제, 복합화제, 완충제, 항균제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중성 완충 식염수 또는 혈청 알부민과 혼합된 식염수는 예시적인 적절한 담체이다. 약제학적 조성물은 조성물은 항산화제, 예컨대 아스코브산; 저분자량 폴리펩타이드; 단백질, 예컨대 혈청 알부민, 젤라틴 또는 면역글로불린; 친수성 중합체, 예컨대 폴리비닐피롤리돈; 아미노산, 예컨대 글리신, 글루타민, 아스파라긴, 알기닌 또는 라이신; 단당류, 이당류, 및 글루코스, 만노스 또는 덱스트린을 비롯한 기타 탄수화물; 킬레이트제, 예컨대 EDTA; 당 알코올, 예컨대 만니톨 또는 솔비톨; 염-형성 반대이온, 예컨대 나트륨; 및/또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예컨대 트윈(Tween), 플루로닉스(pluronics) 또는 폴리에틸렌글라이콜(PEG)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로서, 적합한 등장 증강제는 알칼리 금속 할로겐화물(바람직하게는 염화나트륨 또는 염화칼륨), 만니톨, 솔비톨 등을 포함한다. 적합한 보존제는 염화벤즈알코늄, 티메로살, 펜에틸 알코올, 메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클로르헥시딘, 솔브산 등을 포함한다. 과산화수소는 또한 보존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적합한 공용매는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및 PEG를 포함한다. 적합한 복합화제는 카페인, 폴리비닐피롤리돈,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또는 하이드록시-프로필-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을 포함한다. 적합한 계면활성제 또는 습윤제는 솔비탄 에스터, 폴리솔베이트, 예컨대 폴리솔베이트 80, 트로메타민, 레시틴, 콜레스테롤, 틸록사팔 등을 포함한다. 완충제는 전통적인 완충제, 예컹대 아세트산염, 붕산염, 시트르산염, 인산염, 중탄산염 또는 트리스-HCl일 수 있다. 아세트산염 완충제는 약 pH 4 내지 5.5일 수 있고, 트리스 완충제는 약 pH 7 내지 8.5일 수 있다. 추가적인 약제학적 작용제는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8th Edition, A. R. Gennaro, ed., Mack Publishing Company, 1990]을 참고할 수 있다.
조성물은 액체 형태로 또는 동결건조 또는 냉동 건조된 형태일 수 있고, 하나 이상의 동결보호제, 부형제, 계면활성제, 고분자량 구조적 첨가제 및/또는 벌크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수크로스, 락토스 또는 트레할로스와 같은 비환원당인 동결보호제가 포함된다. 동결보호제의 양은 일반적으로 재구성 시, 얻어진 제형이 고장성 또는 약간 고장성 제형이 또한 적합할 수 있다고 해도, 등장성일 수 있도록 포함된다. 추가로, 동결보호제의 양은 동결건조시 허용가능하지 않은 양의 단백질의 분해 및/또는 응집을 방지하기에 충분하여야 한다. 사전 동결건조된 제형에서 당(예를 들어, 수크로스, 락토스, 트레할로스)에 대한 예시적인 동결보호제는 약 10mM 내지 약 400mM이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계면활성제는, 예를 들어,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이온성 계면활성제, 예컨대 폴리솔베이트(예를 들어, 폴리솔베이트 20, 폴리솔베이트 80); 폴록사머(예를 들어, 폴록사머 188); 폴리(에틸렌 글리콜) 페닐에터(예를 들어, 트리톤); 도데실황산나트륨(SDS); 라우릴황산나트륨; 나트륨 옥틸 글리코사이드; 라우릴-, 미리스틸-, 리놀레일- 또는 스테아릴-설포베타인; 라우릴-, 미리스틸-, 리놀레일- 또는 스테아릴-사르코신; 리놀레일, 미리스틸- 또는 세틸-베타인; 라우로아미도프로필-, 코카미도프로필-, 리놀레아미도프로필-, 미리스타미도프로필-, 팔미도프로필-, 또는 아이소스테아르아미도프로필-베타인(예를 들어, 라우로아미도프로필); 미리스트아미도프로필-, 팔미도프로필-, 또는 아이소스테아르아미도프로필-다이메틸아민; 나트륨 메틸 코코일-, 또는 2나트륨 메틸 오페일-타우레이트; 및 모나쿠아트(MONAQUAT)(상표명)가 포함된다. 사전 동결건조된 제형에 존재할 수 있는 계면활성제의 예시적 양은 약 0.001 내지 0.5%이다. 고분자량 구조적 첨가제(예를 들어, 충전제, 결합제)는, 예를 들어, 아카시아, 알부민, 알긴산, 인산칼슘(2염기성), 셀룰로스, 카복시메틸셀룰로스, 카복시메틸셀룰로스 나트륨,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미정질 셀룰로스, 덱스트란, 덱스트린, 덱스트레이트, 수크로스, 타일로스, 전호화 전분, 황산칼슘, 아밀로스, 글리신, 벤토나이트, 말토스, 솔비톨, 에틸셀룰로스, 인산수소이나트륨, 인산나트륨, 파이로아황산나트륨, 폴리비닐 알코올, 젤라틴, 글루코스, 구아검, 액체 글루코스, 압축성 당,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말토덱스트린,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포비돈, 알긴산나트륨, 트래거캔스 미정질 셀룰로스, 전분 및 제인을 포함할 수 있다. 고분자량 구조적 첨가제의 예시적 농도는 0.1중량% 내지 10중량%이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벌크화제(예를 들어, 만니톨, 글리신)이 포함될 수 있다.
조성물은 비경구 투여에 적합한 형태일 수 있다. 예시적인 조성물은 당업자에게 이용가능한 임의의 경로, 예컨대 동맥내, 피하, 정맥내, 근육내, 복강내, 대뇌내(뇌실내), 뇌혈관내, 근육내, 안구내, 동맥내 또는 병변내 경로에 의해 동물 내로 주사 또는 주입에 적합하다. 비경구 제형은 전형적으로 선택적으로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보존제를 함유하는 멸균, 무발열원, 등장성 수용액일 수 있다.
비수성 용매의 예는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식물성 오일, 예컨대 올리브 오일, 및 주사용 유기에스터, 예컨대 에틸 올레이트이다. 수성 담체는 물, 알코올/수용액, 식염수 및 완충 매질을 포함하는 에멀전 또는 현탁액을 포함한다. 비경구 비히클은 염화나트륨 용액, 링거 덱스트로스, 덱스트로스 및 염화나트륨, 젖산링거 또는 고정유를 포함한다. 정맥내 비히클은 유체 및 영양분 보충제, 전해질 보충제, 예컨대 링거 덱스트로스에 기반한 것 등을 포함한다. 또한, 예를 들어 항미생물제, 항산화제, 킬레이트제, 비활성 기체 등과 같은 보존제 및 다른 첨가제가 존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16th Ed., Mack Eds., 1980]을 참조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약제학적 조성물은 생성물의 국소 농도 및/또는 특정 국소환경에서 증가된 안정성 또는 반감기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제어 또는 지속된 전달을 위해 제형화될 수 있다. 조성물은 폴리락트산, 폴리글리콜산 등과 같은 중합체 화합물의 미립자 제제와 함께 본 명세서에 개시된 면역세포 뿐만 아니라 활성제의 제어 또는 지속 방출을 제공하고, 이어서 데포 주사로서 전달될 수 있는 작용제, 예컨대 생분해성 기질, 주사용 마이크로스피어, 마이크로캡슐 입자, 마이크로캡슐, 생분해성 입자 비드, 리포좀 및 이식가능한 전달 장치의 제형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지속- 또는 제어된-전달 수단을 제형화하기 위한 기법은 공지되어 있으며, 다양한 중합체가 약물의 지속적 방출 및 전달을 위해 개발되고 사용되었다. 이러한 중합체는 전형적으로는 생분해성 및 생체적합성이다. 온도 또는 pH 민감성 특성을 이용한 거울상체 중합체 또는 폴리펩타이드 세그먼트 및 하이드로겔의 복합체화에 의해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중합체 하이드로겔은 생활성 단백질 작용제(예를 들어, 상당히 긴 CDR3을 포함하는 항체)를 트래핑함 있어서 수반되는 약한 그리고 수성의 조건 때문에 약물 데포 효과를 제공하는데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WO93/15722호에서 약제학적 조성물의 전달을 위한 제어 방출 다공성 중합체 마이크로입자의 설명을 참고한다. 이 목적을 위한 적합한 물질은 폴리락타이드(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3,773,919호 참조), 폴리-(a-하이드록시카복실산)의 중합체, 예컨대 폴리-D-(-)-3-하이드록시뷰티르산 (EP 133,988A), L-글루탐산 및 감마 에틸-L-글루타메이트의 공중합체(Sidman et al., Biopolymers, 22: 547-556 (1983)), 폴리(2-하이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Langer et al., J. Biomed. Mater. Res., 15: 167-277 (1981), 및 Langer, Chem. Tech., 12: 98-105 (1982)),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또는 폴리-D(-)-3-하이드록시뷰티르산을 포함한다. 다른 생분해성 중합체는 폴리(락톤), 폴리(아세탈), 폴리(오쏘에스터) 및 폴리(오쏘카보네이트)를 포함한다. 지속 방출 조성물은 또한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몇몇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리포좀을 포함할 수 있다(예를 들어, 문헌[Eppstein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82: 3688-92 (1985)] 참조). 담체 그 자체 또는 그의 분해 생성물은 표적 조직에서 비독성이어야 하며, 상태를 추가로 악화시키지 않아야 한다. 이는 표적 장애의 동물 모델에서 일상적 선별에 의해, 또는 이러한 모델이 이용가능하지 않다면 정상 동물에서 결정될 수 있다. 지속 방출을 위한 재조합 단백질의 마이크로캡슐화는 인간 성장 호르몬(rhGH), 인터페론-(rhIFN-), 인터류킨-2 및 MN rgp120에 의해 성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들 단백질의 지속 방출 제형은 그의 생체적합성 및 넓은 범위의 생분해성 특성에 기인하여 폴리-락트-코글리콜산(PLGA) 중합체를 이용하여 개발되었다. PLGA, 락트산 및 글리콜산의 분해 생성물은 인간 신체 내에서 빠르게 클리어런스될 수 있다. 게다가, 이 중합체의 분해능력은 그의 분자량 및 조성에 따를 수 있다.
생접착성 중합체는 또한 본 개시내용에서 또는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과 함께 사용을 위해 고려된다. 생접착제는 장기간의 시간 기간 동안 생물학적 기질에 접착될 수 있는 합성 및 천연 유래 물질이다. 예를 들어, 카보폴 및 폴리카보필은 둘 다 폴리(아크릴산)의 합성 가교 유도체이다. 천연 유래 물질에 기반한 생접착성 전달시스템은, 예를 들어 하이알루로난으로서도 알려진 하이알루론산을 포함한다. 하이알루론산은 D-글루쿠론산 및 N-아세틸-D-글루코사민의 잔기로 이루어진 천연 유래 뮤코다당류이다. 하이알루론산은 결합조직에서뿐만 아니라 활액 내 그리고 눈의 유리체 및 안방수 내를 포함하는, 척추동물의 세포밖 조직 기질에서 발견된다. 하이알루론산의 에스테르화된 유도체는 생체적합성 및 생분해성인 전달에서 사용을 위해 마이크로스피어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되었다(예를 들어, 문헌[Cortivo et al., Biomaterials (1991) 12:727-730; 유럽 특허 제517,565호; 제WO96/29998호; Illum et al., J. Controlled Rel. (1994) 29:133-141] 참조).
생분해성과 비-생분해성 중합체 기질은 둘 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전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이러한 중합체 기질은 천연 또는 합성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생분해성 기질이 바람직하다. 방출이 일어나는 시간 기간은 중합체의 선택에 기반한다. 전형적으로, 몇 시간 내지 3 내지 12개월의 범위에 있는 기간에 따른 방출이 가장 바람직하다. 생분해성 전달 시스템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합성 중합체는 락트산 및 글리콜산의 중합체, 폴리아마이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알킬렌, 폴리알킬렌 글리콜,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비닐 에터, 폴리비닐 에스터, 폴리-비닐 할로겐화물,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글리콜라이드, 폴리실록산, 폴리무수물, 폴리우레탄 및 이들의 공중합체, 폴리(부트산), 폴리(발레르산), 알킬 셀룰로스, 하이드록시알킬 셀룰로스, 셀룰로스 에터, 셀룰로스 에스터, 나이트로 셀룰로스, 아크릴산 및 메트아크릴산 에스터의 중합체, 메틸 셀룰로스, 에틸 셀룰로스,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스,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 셀룰로스, 하이드록시뷰틸 메틸 셀룰로스, 셀룰로스 아세트산염, 셀룰로스 프로피온산염, 셀룰로스아세테이트 뷰티레이트,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 카복실에틸 셀룰로스, 셀룰로스 트라이아세테이트, 셀룰로스 설페이트 나트륨염, 폴리(메틸 메트아크리레이트), 폴리(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뷰틸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아이소뷰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아이소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라우릴 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페닐 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메틸 아크릴레이트), 폴리(아이소프로필 아크릴레이트), 폴리(아이소뷰틸 아크릴레이트), 폴리(옥타데실 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염화폴리 비닐, 폴리스타이렌 및 폴리비닐피롤리돈의 중합체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천연 중합체는 덱스트란 및 셀룰로스, 콜라겐, 화학물질, 이의 유도체(화학적 기의 치환, 첨가, 예를 들어, 알킬, 알킬렌, 하이드록실화, 산화 및 당업자에 의해 일상적으로 이루어지는 다른 변형), 알부민 및 다른 친수성 단백질, 제인 및 다른 프롤라민 및 소수성 단백질,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이들 물질은 효소적 가수분해 또는 생체내에서 물에 대한 노출에 의해, 표면 또는 벌크 부식에 의해 분해된다. 중합체는 선택적으로 수 중에서 그의 중량의 약 90%까지를 흡수하고, 추가로 선택적으로 다가 이온 또는 다른 중합체와 가교되는 하이드로겔의 형태일 수 있다(예를 들어, 제WO 04/009664호, 제WO 05/087201호, Sawhney, et al., Macromolecules, 1993, 26, 581-587 참조). 전달은 또한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 에스터 및 지방산 또는 중성 지방, 예컨대 모노-다이-및 트라이-글리세라이드; 하이드로겔 방출 시스템; 실라스틱 시스템; 펩타이드 기반 시스템; 왁스 코팅; 통상적인 결합제 및 부형제를 이용하는 압축 정제; 부분적으로 융합된 이식물 등과 같은 스테롤을 포함하는 지질인 비-중합체 시스템을 포함한다. 생성물을 함유하는 리포좀은, 예를 들어 선행기술문헌 13 내지 24와 같은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약제학적 조성물은 흡입, 예를 들어 건조 분말로서 제형화될 수 있다. 흡입 용액은 또한 에어로졸 전달을 위한 액화 추진제로 제형화될 수 있다. 또 다른 제형에서, 용액은 네뷸라이징될 수 있다. 폐 투여를 위한 추가적인 약제학적 조성물은, 예를 들어, 화학적으로 변형된 단백질의 폐 전달을 개시하는 제WO 94/20069호에 기재된 것을 포함한다. 폐 전달을 위해, 입자 크기는 폐에 대한 전달에 적합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입자 크기는 1㎛ 내지 5㎛일 수 있지만; 그러나, 예를 들어, 각각의 입자가 상당히 다공성이라면, 더 큰 입자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특정 제형은 경구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방식으로 투여되는 제형은 정제 및 캡슐과 같은 고체 제형의 조제에서 관습적으로 사용되는 담체와 함께 또는 담체 없이 제형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캡슐은 생체이용가능성이 최대화되고, 사전-전신성 분해가 최소화될 때 위장관 내 지점에서 제형의 활성 부분을 방출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추가적인 작용제는 선택적 결합제의 흡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포함될 수 있다. 희석제, 향미제, 저융점 왁스, 식물성 오일, 윤활제, 현탁제, 정제 붕해제 및 결합제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제제는 정제의 제조에 적합한 비 독성 부형제와의 혼합물로 본 명세서에 개시된 CAR-면역세포의 효과적인 양을 수반할 수 있다. 멸균수 또는 다른 적절한 비히클 중에서 정제를 용해시킴으로써, 용액은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적합한 부형제는 비활성 희석제, 예컨대 탄산칼슘, 탄산나트륨 또는 중탄산나트륨, 락토스 또는 인산칼슘; 또는 결합제, 예컨대 전분, 젤라틴 또는 아카시아; 또는 윤활제, 예컨대 스테아르산마그네슘, 스테아르산 또는 탈크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한 약제학적 제형은 의도된 투여 경로, 전달 형식 및 목적으로 하는 투약량에 따라서 본 개시내용 및 제형화 기법의 일반적인 지식에 비추어 결정될 수 있다. 투여방식에도 불구하고, 효과적인 용량은 환자 체중, 표면적 또는 기관 크기에 따라서 계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각각의 제형을 수반하는 치료를 위한 적절한 투약량을 결정하기 위한 계산의 추가적인 정제는 당업계에서 일상적으로 이루어지며, 당업계에서 일상적으로 수행되는 작업의 영역 내에 있다. 적절한 투약량은 적절한 용량-반응 데이터의 사용을 통해 확인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를 들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실험 조건 등을 변형 또는 변경하더라도 그러한 변형 등이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하기 표1 내지 5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된 프라이머, 각 면역관문 수용체를 타겟으로 하여 그 발현을 억제하는 shRNA, CAR을 코딩하는 핵산염기, 상기 shRNA 카세트 및 CAR 및 shRNA의 동시발현을 위한 조합 플라스미드의 경우를 정리한 것이다.
프라이머SEQ ID # 염기서열(5` > 3`)
1 GTACCGTTAACGATCCGACGCCGCCATCTCT
2 TACTGGTTAACCAAAAAGGAACCCATTCCTGAAATTAT
TCTCTTGAAATAATTTCAGGAATGGGTTCCAAACAAGGCTTTTCTCCAAGG
3 TACTGGTTAACCAAAAACCTTCCCTGTGGTTCTATTAT
TCTCTTGAAATAATAGAACCACAGGGAAGGCAAACAAGGCTTTTCTCCAAGG
4 TACTGGTTAACCAAAAACCTGTGGTTCTATTATATTAT
TCTCTTGAAATAATATAATAGAACCACAGGCAAACAAGGCTTTTCTCCAAGG
5 TACTGGTTAACCAAAAATCTCGGCATGGACGAGCTGTA
TCTCTTGAAATAATATAATAGAACCACAGGCAAACAAGGCTTTTCTCCAAGG
6 CTTGGTTCATTCTCAAGCCTC
7 GTTGATTGTCGACTTAGCGAGGG
8 GGGGATCCCCCCATCAGTCCGCAAAG
9 AAGTTAGTAGCTCCGCTTCCCCACCTCTTGAAGGCTATGTAGG
10 CCAATTTAAATATTTACTAATGTCCTGACTTGCCCTGCAACTG
11 TCGGCCGGCCATGAGGATATTTGC
12 TCTTAATTAATTACGTCTCCTCCAAATGTGTATCACTTTG
13 GGTATACTCTAGACATATGGCTAGCACTAGTCAAAAACCTGTGGTTC
14 TTGTACCGTTAACGATCCGACGCCGC
15 TGACTAGTCAAAAACCTGTGGTTCTATTATATTATTCTCTTGAAATAATATAATAGAACCACAGGCGGTGTTTCGTCCTTTCCACAAGATATATAAAGCCAA
16 GTACCGTTAACAAGGTCGGGCAGGAAGAGGGCCTATTTCCCATGATTCCT
17 AGGACTAGTCAAAAAGGAATTCGCTCAGAAGAAATCTCT
18 CTAGCTAGCGATCCGACGCCGCCATCT
19 ATGTTAACCAAAAACCTGTGGTTCTATTATATTATTCTCTTG
20 TCACTAGTAAGGTCGGGCAGGAAGAGGGCCTATT
21 TAGGCCCTCACTAGTGATCCGACGCCGCC
22 CTAGCTAGCCAAAAAGGAATTCGCTCAGAAGAAATCTC
23 CGGTTAACCAAAAAGATGAAAGGGATGTGAATTATTCTCTTGAAATAATTCACATCCCTTTCATCAAACAAGGCTTTTCTCCAAGGGATATTTA
24 CGGTTAACCAAAAAGGGAGCCTCCCTGATATAAATTCTCTTGAAATTTATATCAGGGAGGCTCCCAAACAAGGCTTTTCTCCAAGGGATATTTA
25 CGGTTAACCAAAAAGGAATTCGCTCAGAAGAAATCTCTTGAATTTCTTCTGAGCGAATTCCAAACAAGGCTTTTCTCCAAGGGATATTTA
26 CGGTTAACCAAAAAGGACCAAACTGAAGCTATATTTCTCTTGAAAATATAGCTTCAGTTTGGTCCAAACAAGGCTTTTCTCCAAGGGATATTTA
27 AAGAGGTGGGGAAGCGGAGCTACTAACTTCAGCCTGCTGAAGCAGGCTGGCGACGTGGAGGAGAACCCTGGACCTGCCTTACCAGTGACCGCCTTGCTCCTGCCGCTGGCCTTGCTGCTCCACGCCGCCAGGCCGGACATCCAGATGACACAGACTACATCCTCCCTGTCTGCCTCTCTGGGAGACAGAGTCACCATCAGTTGCAGGGCAAGTCAGGACATTAGTAAATATTTAAATTG
타깃유전자 shRNA SEQ ID # 염기서열 (5`> 3`)
GFP 1 TCTCGGCATGGACGAGCTGTA
hPD -1 2 TGGAACCCATTCCTGAAATTA
3 GGAACCCATTCCTGAAATTAT
4 GAACCCATTCCTGAAATTATT
5 ACCCATTCCTGAAATTATTTA
6 CCCATTCCTGAAATTATTTAA
7 CCTTCCCTGTGGTTCTATTAT
8 CTTCCCTGTGGTTCTATTATA
9 TTCCCTGTGGTTCTATTATAT
10 TCCCTGTGGTTCTATTATATT
11 CCCTGTGGTTCTATTATATTA
12 CCTGTGGTTCTATTATATTAT
hTIM -3 13 GATGAAAGGGATGTGAATTAT
14 GGGAGCCTCCCTGATATAAAT
15 GGAATTCGCTCAGAAGAAA
16 GGACCAAACTGAAGCTATATT
17 AGAACTTTGGTTTCCTTTAAT
18 ATGAAAGGGATGTGAATTATT
19 TCTTATCTTCGGCGCTTTAAT
20 CTTATCTTCGGCGCTTTAATT
21 TTATCTTCGGCGCTTTAATTT
22 GAGGAGCCCAATGAGTATTAT
23 AGGAGCCCAATGAGTATTATT
24 ATAGATCCAACCACCTTATTT
25 ATGTCATTGCCTCTGTATTTA
26 TGTCATTGCCTCTGTATTTAA
27 ACCACCATGCCCAGCTAATTT
28 TGTTGAGATTTAGGCTTATTT
29 GACCAAACTGAAGCTATATTT
30 AGGCCTTCAGCAATCTATATT
31 GGCCTTCAGCAATCTATATTA
32 GAGTGGTCCCTAAACTTAAAT
33 AGTGGTCCCTAAACTTAAATT
34 GTGGTCCCTAAACTTAAATTT
35 CTAACACAAATATCCACAT
hLAG -3 36 TCAGCAGCCCAGTCCAAATAA
37 CAGCAGCCCAGTCCAAATAAA
38 TCAACGTCTCCATCATGTATA
39 CAACGTCTCCATCATGTATAA
40 CTGGAGACAATGGCGACTTTA
41 CTCAGCAGCCCAGTCCAAATA
42 AGCAGCCCAGTCCAAATAAAC
hCTLA -4 43 GGGATCAAAGCTATCTATATA
44 GGATCAAAGCTATCTATATAA
45 GGCAACGGAACCCAGATTTAT
46 TGAAGAAGAGAGTCCATATTT
47 TTGGATGCGGAACCCAAATTA
48 AGCATCACTTGGGATTAATAT
49 TGATGTGGGTCAAGGAATTAA
50 AGCGAGGGAGAAGACTATATT
51 TTTACGTATGAGACGTTTATA
CAR SEQ ID # 서열
#52
(CD22-CAR)
QVQLQQSGPGLVKPSQTLSLTCAISGDSVSSNSAAWNWIRQSPSRGLEWLGRTYYRSKWYNDYAVSVKSRITINPDTSKNQFSLQLNSVTPEDTAVYYCAREVTGDLEDAFDIWGQGTMVTVSSGGGGSGGGGSGGGGSDIQMTQSPSSLSASVGDRVTITCRASQTIWSYLNWYQQRPGKAPNLLIYAASSLQSGVPSRFSGRGSGTDFTLTISSLQAEDFATYYCQQSYSIPQTFGQGTKLEITTTPAPRPPTPAPTIASQPLSLRPEACRPAAGGAVHTRGLDFACDIYIWAPLAGTCGVLLLSLVITLYCKRGRKKLLYIFKQPFMRPVQTTQEEDGCSCRFPEEEEGGCELRVKFSRSADAPAYKQGQNQLYNELNLGRREEYDVLDKRRGRDPEMGGKPRRKNPQEGLYNELQKDKMAEAYSEIGMKGERRRGKGHDGLYQGLSTATKDTYDALHMQALPPR
#53
(CD19-CAR)
MALPVTALLLPLALLLHAARPDIQMTQTTSSLSASLGDRVTISCRASQDISKYLNWYQQKPDGTVKLLIYHTSRLHSGVPSRFSGSGSGTDYSLTISNLEQEDIATYFCQQGNTLPYTFGGGTKLEITGGGGSGGGGSGGGGSEVKLQESGPGLVAPSQSLSVTCTVSGVSLPDYGVSWIRQPPRKGLEWLGVIWGSETTYYNSALKSRLTIIKDNSKSQVFLKMNSLQTDDTAIYYCAKHYYYGGSYAMDYWGQGTSVTVSSTTTPAPRPPTPAPTIASQPLSLRPEACRPAAGGAVHTRGLDFACDIYIWAPLAGTCGVLLLSLVITLYCKRGRKKLLYIFKQPFMRPVQTTQEEDGCSCRFPEEEEGGCELRVKFSRSADAPAYKQGQNQLYNELNLGRREEYDVLDKRRGRDPEMGGKPRRKNPQEGLYNELQKDKMAEAYSEIGMKGERRRGKGHDGLYQGLSTATKDTYDALHMQALPPR
#54
( LNGFR _ P2A _CD19-CAR)
MGAGATGRAMDGPRLLLLLLLGVSLGGAKEACPTGLYTHSGECCKACNLGEGVAQPCGANQTVCEPCLDSVTFSDVVSATEPCKPCTECVGLQSMSAPCVEADDAVCRCAYGYYQDETTGRCEACRVCEAGSGLVFSCQDKQNTVCEECPDGTYSDEANHVDPCLPCTVCEDTERQLRECTRWADAECEEIPGRWITRSTPPEGSDSTAPSTQEPEAPPEQDLIASTVAGVVTTVMGSSQPVVTRGTTDNLIPVYCSILAAVVVGLVAYIAFKRWGSGATNFSLLKQAGDVEENPGPALPVTALLLPLALLLHAARPDIQMTQTTSSLSASLGDRVTISCRASQDISKYLNWYQQKPDGTVKLLIYHTSRLHSGVPSRFSGSGSGTDYSLTISNLEQEDIATYFCQQGNTLPYTFGGGTKLEITGGGGSGGGGSGGGGSEVKLQESGPGLVAPSQSLSVTCTVSGVSLPDYGVSWIRQPPRKGLEWLGVIWGSETTYYNSALKSRLTIIKDNSKSQVFLKMNSLQTDDTAIYYCAKHYYYGGSYAMDYWGQGTSVTVSSTTTPAPRPPTPAPTIASQPLSLRPEACRPAAGGAVHTRGLDFACDIYIWAPLAGTCGVLLLSLVITLYCKRGRKKLLYIFKQPFMRPVQTTQEEDGCSCRFPEEEEGGCELRVKFSRSADAPAYKQGQNQLYNELNLGRREEYDVLDKRRGRDPEMGGKPRRKNPQEGLYNELQKDKMAEAYSEIGMKGERRRGKGHDGLYQGLSTATKDTYDALHMQALPPR
shRNA 카세트SEQ ID 서열(5`-> 3`)

shRNA 카세트염기서열
GTTAACGATCCGACGCCGCCATCTCTAGGCCCGCGCCGGCCCCCTCGCACAGACTTGTGGGAGAAGCTCGGCTACTCCCCTGCCCCGGTTAATTTGCATATAATATTTCCTAGTAACTATAGAGGCTTAATGTGCGATAAAAGACAGATAATCTGTTCTTTTTAATACTAGCTACATTTTACATGATAGGCTTGGATTTCTATAAGAGATACAAATACTAAATTATTATTTTAAAAAACAGCACAAAAGGAAACTCACCCTAACTGTAAAGTAATTGTGTGTTTTGAGACTATAAATATCCCTTGGAGAAAAGCCTTGTTTGNNNNNNNNNNNNNNNNNNNNNTTCAAGAGA NNNNNNNNNNNNNNNNNNNNN TTTTTGGTTAAC
#55
PD-1 shRNA - hU6 염기서열
GTTAACAAGGTCGGGCAGGAAGAGGGCCTATTTCCCATGATTCCTTCATATTTGCATATACGATACAAGGCTGTTAGAGAGATAATTAGAATTAATTTGACTGTAAACACAAAGATATTAGTACAAAATACGTGACGTAGAAAGTAATAATTTCTTGGGTAGTTTGCAGTTTTTAAAATTATGTTTTAAAATGGACTATCATATGCTTACCGTAACTTGAAAGTATTTCGATTTCTTGGCTTTATATATCTTGTGGAAAGGACGAAACACCGCCTGTGGTTCTATTATATTATTTCAAGAGAATAATATAATAGAACCACAGGTTTTTGACTAGT
#56
PD-1 shRNA - hU6 -> <-
TIM-3 shRNA - mU6 염기서열
GTTAACAAGGTCGGGCAGGAAGAGGGCCTATTTCCCATGATTCCTTCATATTTGCATATACGATACAAGGCTGTTAGAGAGATAATTAGAATTAATTTGACTGTAAACACAAAGATATTAGTACAAAATACGTGACGTAGAAAGTAATAATTTCTTGGGTAGTTTGCAGTTTTTAAAATTATGTTTTAAAATGGACTATCATATGCTTACCGTAACTTGAAAGTATTTCGATTTCTTGGCTTTATATATCTTGTGGAAAGGACGAAACACCGCCTGTGGTTCTATTATATTATTTCAAGAGAATAATATAATAGAACCACAGGTTTTTGACTAGTCAAAAAGGAATTCGCTCAGAAGAAATCTCTTGAATTTCTTCTGAGCGAATTCCAAACAAGGCTTTTCTCCAAGGGATATTTATAGTCTCAAAACACACAATTACTTTACAGTTAGGGTGAGTTTCCTTTTGTGCTGTTTTTTAAAATAATAATTTAGTATTTGTATCTCTTATAGAAATCCAAGCCTATCATGTAAAATGTAGCTAGTATTAAAAAGAACAGATTATCTGTCTTTTATCGCACATTAAGCCTCTATAGTTACTAGGAAATATTATATGCAAATTAACCGGGGCAGGGGAGTAGCCGAGCTTCTCCCACAAGTCTGTGCGAGGGGGCCGGCGCGGGCCTAGAGATGGCGGCGTCGGATCGCTAGC
#57
PD-1 shRNA - hU6 <- ->
TIM-3 shRNA - mU6 염기서열
GTTAACCAAAAACCTGTGGTTCTATTATATTATTCTCTTGAAATAATATAATAGAACCACAGGCGGTGTTTCGTCCTTTCCACAAGATATATAAAGCCAAGAAATCGAAATACTTTCAAGTTACGGTAAGCATATGATAGTCCATTTTAAAACATAATTTTAAAACTGCAAACTACCCAAGAAATTATTACTTTCTACGTCACGTATTTTGTACTAATATCTTTGTGTTTACAGTCAAATTAATTCTAATTATCTCTCTAACAGCCTTGTATCGTATATGCAAATATGAAGGAATCATGGGAAATAGGCCCTCTTCCTGCCCGACCTTACTAGTGATCCGACGCCGCCATCTCTAGGCCCGCGCCGGCCCCCTCGCACAGACTTGTGGGAGAAGCTCGGCTACTCCCCTGCCCCGGTTAATTTGCATATAATATTTCCTAGTAACTATAGAGGCTTAATGTGCGATAAAAGACAGATAATCTGTTCTTTTTAATACTAGCTACATTTTACATGATAGGCTTGGATTTCTATAAGAGATACAAATACTAAATTATTATTTTAAAAAACAGCACAAAAGGAAACTCACCCTAACTGTAAAGTAATTGTGTGTTTTGAGACTATAAATATCCCTTGGAGAAAAGCCTTGTTTGGAATTCGCTCAGAAGAAATTCAAGAGATTTCTTCTGAGCGAATTCCTTTTTGGCTAGC
플라스미드 ID # 플라스미드
#1 pLV-CD19-CAR_shGFP
#2 pLV-CD19-CAR_shPD -1
#3 pLV-ΔLNGFR_P2A_CD19-CAR_shGFP
#4 pLV-ΔLNGFR_P2A_CD19-CAR_shPD -1
#5 pSMOUW_IRES_Puro
#6 pSMOUW_hPD-L1_IRES_Puro
#7 pLV-CD19-CAR_shTIM -3 #13
#8 pLV-CD19-CAR_shTIM -3 #14
#9 pLV-CD19-CAR_shTIM -3 #15
#10 pLV-CD19-CAR_shTIM -3 #16
#11 pLV-ΔLNGFR_P2A_CD19-CAR_shPD -1_MCS
#12 pLV-ΔLNGFR_P2A_CD19-CAR_hU6-shPD -1_MCS
#13 pLV-ΔLNGFR_P2A_CD19-CAR_hU6-shPD -1-> <-mU6-shTIM -3
#14 pLV-ΔLNGFR_P2A_CD19-CAR_hU6-shPD -1(reverse)_MCS
#15 pLV-ΔLNGFR_P2A_CD19-CAR_hU6-shPD - 1<- ->mU6-shTIM -3
실시예 1. shPD-1 와 CD19-CAR를 동시에 발현하는 엔지니어드 T 세포의 제조.
2세대 lentiviral CAR 플라스미드에 기반하여 CD19-CAR 유전자가 EF1-alpha 프로모터에 의해 조절되도록 클로닝하였다. CD19 표적 단일가닥 가변부위 (FMC63 scFv)_CD8 hinge-세포막 도메인_4-1BB 신호 도메인-CD3z 신호 도메인으로 구성된 CAR SEQ ID #2와 렌티바이러스 플라스미드 pLV-GFP를 BamH1, Sal1 제한효소 처리 한 후 ligation하여 pLV-CD19-CAR 렌티바이러스 플라스미드 ID #1를 제작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하여 CD19-CAR와 shRNA의 발현이 각각 EF1-alpha 프로모터와 마우스 U6 프로모터에 의해 조절되는 도 1의 플라스미드를 제작하고자 하였다. 마우스 U6 프로모터 기반 shRNA 발현 플라스미드를 프라이머 SEQ ID #1, #4, #5로 PCR 증폭하여 PD-1 또는 GFP 타깃 shRNA를 포함하는 shRNA 카세트 PCR 산물을 얻었다. shRNA 카세트 염기서열 (표 4의 shRNA 카세트 염기서열 #1) 은 표4에 정리하였으며, 아래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NNNNNNNNNNNNNNNNNNNNN(21bp) 또는 NNNNNNNNNNNNNNNNNNNNN(19bp) 은 센스 shRNA 염기서열이며, NNNNNNNNNNNNNNNNNNNNN(21bp) 또는 NNNNNNNNNNNN NNNNNNN(19bp)는 안티센스 shRNA 염기서열이다. 센스와 안티센스 shRNA seq 중간에 TTCAAGAGA Linker를 삽입하여 U6 프로모터 3`에 위치시켰다. 그리고, 마우스 U6 프로모터에 의한 전사종결 시 필요한 TTTTT를 shRNA 3`에 위치시켰다. shGFP 또는 shPD-1 포함하는 shRNA 카세트 산물을 Hpa1 제한효소 처리 후 Hpa1 제한효소 와 CIP 처리한 pLV-CD19-CAR 플라스미드를 ligation하여 shRNA SEQ ID #1을 포함하는 pLV-CD19-CAR_shGFP: 플라스미드 ID #1와 shRNA SEQ ID #12를 포함하는 pLV-CD19-CAR_shPD -1 : 플라스미드 ID #2를 제작하였다. 플라스미드 #1, #2와 패키징 플라스미드 pMDL g/p, pRSVrev, 그리고 pMDG.1를 HEK293 T세포에 lipofectamine을 이용하여 transfection 하였고, 48시간 경과 후 렌티바이러스가 포함된 세포배양액을 얻었다. 인간 혈액으로부터 ficoll-paque 용액을 이용하여 말초혈액단색세포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 PBMC)를 분리하였고, 인간 CD3, CD28 타깃 항체를 이용하여 T-세포를 특이적으로 활성화하였다. T-세포의 초기 활성화 1-2일 경과 후 앞서 얻어진 바이러스를 이용해 transduction 하였다. 이후 만들어진 CAR-T세포는 5% 인간 혈장 그리고 인간 IL2를 포함하는 AIM-V 배양액을 이용하여 배양하였다. Transduction 후 7일 째, 인간 CD3, CD28 타깃 항체로 3일간 자극을 준 후, CAR, PD-1 타깃 항체를 활용하여 유세포분석을 하였다. 도 2는 인간 PD-1 발현을 억제하는 shPD -1과 CD19 표적 CAR가 동시에 발현되는 two-in-one 카바이러스 플라스미드를 이용해 제조한 CAR T 세포에서 CAR를 발현유지와 PD-1 발현 감소를 확인한 FACS DATA이다. 도 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shGFP를 발현하는 CD19-CAR T 세포 중 PD-1+ 세포가 25% 내외 일 때, shPD -1 발현하는 CD19-CAR T 세포 중 PD-1+ 세포는 4% 내외 였다. 이를 통해, T 세포에서 CAR 발현과 PD-1 발현 억제를 동시에 할 수 있는 CAR-T세포 제조 기술을 확립하였다.
실시예 2. (( 1) shPD -1 발현 카세트, (2)LNGFR (Low-affinity nerve growth factor receptor), 그리고  (3) CD19-CAR를 동시에 발현하는 엔지니어드 T 세포 제조)
PBMC에 Transduction한 후 순수한 CAR-T 세포만 분리하고자, T 세포에 존재하지 않는 세포 표면 수용체 중, CAR 및 TCR 신호 활성화를 유도하지 않으면서 해당 수용체의 신호전달이 차단된 엔지니어드 세포 표면 수용체인 ΔLNGFR (cytoplasmic domain truncated LNGFR)이 발현하는 pLV-CD19-CAR_shGFP, pLV-CD19-CAR_shPD-1 플라스미드를 제작하고자 하였다. pMACS-ΔLNGFR 플라스미드 (miltenyibiotec, Germany)를 프라이머 SEQ ID #8, #9를 활용해 PCR 산물을 얻었다. P2A를 포함하는 프라이머 SEQ ID #27, ΔLNGFR PCR product, 그리고 프라이머 SEQ ID #8, #10을 이용해 Overlap PCR을 하였다. Overlap PCR 산물을 BamH1, Swa1 제한 효소 처리 후 BamH1, Swa1 제한 효소 처리된 플라스미드 ID #1, #2와 ligation 해서 CAR SEQ ID #3이 포함된 pLV-ΔLNGFR_P2A_CD19-CAR_shGFP 플라스미드 ID #3과 pLV-ΔLNGFR_P2A_CD19-CAR_shPD-1 플라스미드 #4를 제작하였다. 플라스미드 ID #3, #4를 이용해 렌티바이러스를 만든 후 PBMC에 Transduction해 CAR-T 세포를 제조하였다. Transduction 후 6일 째, 순수한 CAR-T 세포를 획득하고자 MACSelect LNGFR System (miltenyibiotec, Germany)을 사용하였고, LNGFR 타깃 항체를 이용해 유세포분석을 통해 CAR-T 세포의 순도를 확인하였다. 도 3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90% 내외의 LNGFR+인 CD19-CAR_shGFP 또는 CD19-CAR_shPD - 1 T 세포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인간 CD3, CD28 타깃 항체를 이용하여 T-세포를 3일간 자극을 준 후 분리한 CAR-T 세포의 PD-1 발현을 확인해 보았다. 도 4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ΔLNGFR-P2A-CD19-CAR_shGFP T 세포 중 PD-1+ T 세포는 25~27% 내외였지만, ΔLNGFR-P2A-CD19-CAR_shPD-1 T 세포 중 PD-1+ T 세포는 2% 내외임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 (CD19, PD-L1을 동시에 발현하는 인간 만성 골수성 백혈병 세포주 K562-CD19-PD-L1 확립)
인간 PD-L1 발현 렌티바이러스 벡터를 구축하여 PD-L1 과발현 K562-CD19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인간 PD-L1 염기서열을 합성한 후 프라이머 #11, #12를 활용해 PCR 산물을 얻었다. PCR 산물을 Fse1, Pac1 제한효소 처리 후 Fse1, Pac1 제한효소 처리된 렌티바이러스 플라스미드 ID #5 pSMOUW_IRES_Puro와 ligation 해서 PD-L1 발현 렌티바이러스 플라스미드 ID #6을 구축하였다. 렌티바이러스 플라스미드 #5, #6과 패키징 플라스미드 pMDL g/p, pRSVrev, 그리고 pMDG.1를 HEK293 T세포에 lipofectamine을 이용하여 transfection 하였고, 48시간 경과 후 세포배양액으로부터 렌티바이러스를 얻었다. 해당 바이러스를 K562-CD19 세포주에 Transduction 하여 K562-CD19-PD-L1 세포주를 확립하였다. K562-CD19-PD-L1 세포주의 CD19, PD-L1 타깃 항체를 이용해 유세포분석을 하였다. 도 5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K562-CD19 세포주에서 PD-L1은 발현하지 않는 반면, K562-CD19-PD-L1 세포주에서는 거의 모든세포가 PD-L1을 발현하였다. 또한, CD19 발현은 K562-CD19-PD-L1 세포주와 K562-CD19 세포주 간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위 실험을 바탕으로, PD-L1과 CD19이 동시에 발현하는 K562 세포주를 확립하게 되었다.
실시예 4. (반복적인 항원 자극에 의한 CAR-T 세포 탈진(Exhaustion)시 PD-1 발현 감소가 CD19-CAR T 세포독성능에 미치는 영향 확인)
ΔLNGFR을 활용해 분리한 ΔLNGFR-P2A-CD19-CAR_shGFP T 세포와 ΔLNGFR-P2A-CD19-CAR_shPD-1 T세포에 지속적으로 항원 특이적 자극을 가해 세포 탈진을 유도한 후 PD-1 발현 감소가 CD19-CAR T 세포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CAR-T 세포 2x106개를 감마 조사한 K562-CD19-PD-L1 세포주 2x106개와 공동 배양 하였다. 3일 후 MACSelect LNGFR System (miltenyibiotec, Germany)로 CAR-T 세포만 분리 한 후 4일간 5% 인간 혈장 그리고 인간 IL2를 포함하는 AIM-V 배양액에 넣어 배양하였다. 이를 3회 반복함으로서 항원 특이적 자극을 1, 2, 3회 받은 CD19 CAR_shGFP 와 CD19_shPD-1 T 세포를 획득하였다 (도 8). 항원 특이적 자극을 가함에도 shPD-1에 의한 PD-1 발현 억제가 유지되고 있는지 확인하였다. 도 9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CD19-CAR_shPD-1 T 세포는 CD19-CAR_shGFP T 세포 대비 낮은 수준의 PD-1 발현을 유지하는 것으로 보아 CD19-CAR_shPD-1 T 세포에서 PD-1의 발현 감소가 shPD-1에 의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 다음으로, 항원 특이적 자극을 받은 횟수에 따라 PD-1 발현이 CAR-T 세포독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해 보았다. CellVue® Claret Far Red (sigma) 로 라벨링한 2x105 CAR-T 세포를 K562-CD19-PD-L1 세포주 2x105 개와 공동 배양하였다. 3일 후 7-AAD를 염색하여 CAR-T 세포의 세포독성능을 확인해 보았다. 세포독성능 %는 100 (100 x ( 1 - (7-AAD-ClaretRed+% / ClaretRed+ %))로 계산하였으며, 상대적 세포독성능 (Relative cytotoxic activity)은 [각기 다른 횟수로 자극을 받은 CAR-T 세포 세포독성능 % / 자극을 받지 않은 CAR-T 세포독성능 %]으로 계산하였다. 도 8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자극을 받은 횟수가 증가할수록 CAR-T 세포의 세포독성능이 감소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PD-1의 발현이 억제된 CD19-CAR_shPD-1 T세포 (자극 받기전 CD19-CAR_shPD-1 T 세포의 세포독성능 대비 17.7% 감소)는 CD19-CAR_shGFP T 세포 (자극 받기 전 CD19-CAR_shGFP T 세포의 세포독성능 대비 61.3% 감소)보다 세포독성능의 감소폭이 현저히 낮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5. (반복적인 항원 자극에 의한 CAR-T 세포 탈진(Exhaustion)시 PD-1 발현 감소가 CD19-CAR T 분화 및 증식능에 미치는 영향 확인)
CD45RA, CCR7, CD8, CD4 타깃 항체를 이용하여 반복적인 자극을 받은 CD8+ 또는 CD4+ CAR-T 세포의 분화 정도를 유세포 분석기로 분석하였다. 도 9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반복적인 자극을 가함에도 불구하고 CD19 -CAR_shPD-1 T 세포는 CD19-CAR_shGFP T 세포 보다 더 많은 Effector T 세포 (TEFF ; CCR7-CD45RA+ T 세포) 아형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2회 반복 자극을 준 CAR-T 세포의 증식능 변화를 관찰하고자, CellTrace™ CFSE (Thermofisher)를 라벨링한 CAR-T 세포를 감마 조사 K562-CD19-PD-L1 세포주와 동시 배양 하였다. 5일 후 유세포 분석기로 CAR-T 세포의 증식정도를 확인해 본 결과, CD19-CAR_shPD-1 T 세포가 CD19-CAR_shGFP T 세포보다 더 잘 증식하였다 (도 10).
실시예 6. ( shTIM -3 및 CD19-CAR를 발현하는 엔지니어드 T 세포의 제조)
shTIM-3와 CD19 표적 CAR가 동시에 발현되는 플라스미드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플라스미드 ID #4를 프라이머 SEQ ID #23, #24, #25, #26, #1을 활용해 shTIM-3-mU6 카세트가 포함된 PCR 산물을 만들었다. PCR 산물을 Hpa1 제한효소 처리 한 후 Hpa1 제한효소, CIP 처리된 플라스미드 ID #4와 ligation 해서 TIM-3 표적 shRNA (shRNA SEQ ID #13, #14, #15, #16)와 CD19-CAR가 동시에 발현하는 pLV-CD19-CAR_shGFP 플라스미드 ID #7, #8, #9, #10을 제작하였다. PBMC에 Transduction 후 7일 째, 인간 CD3, CD28 타깃 항체로 3일간 자극을 준 후, CAR, TIM-3 타깃 항체로 이용해 유세포분석을 하였다. 도 11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shRNA SEQ ID #14가 CD19-CAR-T 세포의 TIM-3 발현을 가장 잘 억제하였다.
실시예 7.( shPD -1 , shTIM -3 , CD19-CAR가 동시에 발현하는 렌티바이러스 플라스미드 제작)
shPD-1, shTIM-3, 그리고 CD19-CAR의 발현이 각각 인간 U6 프로모터 (hU6), 마우스 U6 프로모터 (mU6), 그리고 EF1-alpha 프로모터에 의해 조절되는 렌티바이러스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두 가지 shRNA가 동시에 발현되는 플라스미드는 도 12에 보여주는 바와 같이 각 shRNA 카세트가 (1) 양방향성(shPD-1-hU6 shTIM-3-mU6)와 (2) 양방향성의 역(shPD-1-hU6 shTIM-3-mU6) 염기서열로 구성되도록 제작하였다. 이를 위해, (1) 다중클로닝자리 삽입 (2) shPD-1의 마우스 U6 프로모터를 인간 U6 프로모터로 전환 (3) shTIM-3 삽입 (4) shTIM-3shPD-1의 위치 전환과 같은 클로닝을 수행하였다. pLV-ΔLNGFR_P2A_CD19-CAR_shPD-1 플라스미드 #4의 shPD-1-mU6 3` 부분에 다중클로닝자리 (MCS, Multiple cloning site)를 삽입하고자, 프라이머 SEQ ID #13, #14를 이용해 shPD-1-mU6 3`의 Hpa1 제한효소 인식부위가 BstZ171-Xba1-Nde1-Bmt1-Spe1 다중클로닝자리로 변형된 PCR 산물 (416 bp)을 만들었다. 이후 PCR 산물은 BstZ171, Hpa1 제한효소 처리하고 플라스미드 #4는 Hpa1 제한효소, CIP를 처리한 후 blunt end ligation을 통해 shPD-1-mU6-MCS 염기서열 (shRNA 카세트 SEQ ID #2)을 포함하는 pLV-ΔLNGFR_P2A_CD19-CAR_shPD-1_MCS 플라스미드 ID #11을 제작하였다 (도 13). 그 후, shPD-1의 발현이 마우스 U6 프로모터 대신에 인간 U6 프로모터에 의해서 발현되도록 플라스미드를 구축하였다. LentiCRISPR V2 플라스미드를 프라이머 SEQ ID #15, #16을 사용해 인간 U6 프로모터를 포함하는 PCR 산물을 얻었다. PCR 산물을 Hpa1, Spe1 제한효소 처리 후 Hpa1, Spe1 제한효소 처리된 플라스미드 ID #11에 ligation 하여 shPD-1-hU6 염기서열 (shRNA 카세트 SEQ ID #3)가 포함된 pLV-ΔLNGFR_P2A_CD19-CAR_hU6-shPD-1_MCS 플라스미드 ID #12을 제작하였다. shTIM-3-mU6 카세트를 플라스미드 ID #12에 삽입하여 shTIM-3shPD-1이 동시에 발현하는 플라스미드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shTIM-3-mU6 카세트를 포함하는 PCR 산물은 플라스미드 ID #9와 프라이머 SEQ ID #17, #18을 이용해 얻었다. PCR 산물을 Bmt1, Spe1 제한효소 처리 후 Bmt1, Spe1 제한효소 처리된 플라스미드 ID #12에 ligation 하여 양방향(shPD-1-hU6 shTIM-3-mU6) 염기서열 (shRNA 카세트 SEQ ID #4)로 구성된 pLV-ΔLNGFR_P2A_CD19-CAR_hU6-shPD-1mU6-shTIM-3 플라스미드 ID #13을 제작하였다 (도 14). 두가지 shRNA 카세트가 양방향의 역(shPD-1-hU6 shTIM-3-mU6)으로 구성된 플라스미드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플라스미드 ID #13을 프라이머 SEQ ID #19, #20 사용하여 PCR 산물을 얻었다. Spe1, Hpa1 제한 효소 처리한 후 같은 제한 효소 처리한 플라스미드 ID #11에 삽입하여 pLV-ΔLNGFR_P2A_CD19-CAR_hU6-shPD-1 (reverse)_MCS 플라스미드 ID #14를 제작하였다. 그 후 플라스미드 ID #14와 프라이머 SEQ ID #21, #22을 이용해 PCR 산물을 얻었다. Bmt1, Spe1 제한 효소 처리한 후 같은 제한효소 처리한 플라스미드 ID #14에 ligation 해서 최종적으로 양방향의 역(shPD -1-hU6 shTIM -3-mU6) 염기서열 (shRNA 카세트 SEQ ID #5) 이 포함된 pLV-ΔLNGFR_P2A_CD19-CAR_hU6-shPD -1mU6-shTIM-3 플라스미드 ID #15를 제작하였다 (도 15).
실시예 8.( shPD -1, shTIM -3 , CD19-CAR가 동시에 발현된 CAR-T 세포 제조.)
플라스미드 #3, #11, #12, #13, #15와 패키징 플라스미드 pMDL g/p, pRSVrev, 그리고 pMDG.1를 HEK293 T세포에 lipofectamine을 이용하여 transfection 하였고, 48시간 경과 후 렌티바이러스가 포함된 세포배양액을 얻었다. 인간 혈액으로부터 ficoll-paque 용액을 이용하여 말초혈액단색세포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 PBMC)를 분리하였고, 인간 CD3, CD28 타깃 항체를 이용하여 T-세포를 특이적으로 활성화하였다. T-세포의 초기 활성화 1-2일 경과 후 앞서 얻어진 바이러스를 이용해 transduction 하였다. 이후 만들어진 CAR-T세포는 5% 인간 혈장 그리고 인간 IL2를 포함하는 AIM-V 배양액을 이용하여 배양하였다. Transduction 후 6일 째, 순수한 CAR-T 세포를 획득하고자 MACSelect LNGFR System (miltenyibiotec, Germany)을 사용하였고, LNGFR 타깃 항체를 이용해 유세포분석을 통해 CAR-T 세포의 순도를 확인하였다. 도 16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80% 내외의 LNGFR+인 CAR-T 세포를 얻을 수 있었다. 분리한 CAR-T 세포에 인간 CD3, CD28 타깃 항체로 3일간 자극을 주어 PD-1, TIM-3 발현을 유도한 후, CAR-T 세포의 PD-1, TIM-3 발현을 CAR, PD-1, TIM-3 타깃 항체를 활용하여 유세포분석을 하였다. 도 17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U6 프로모터에 따른 PD-1 발현 감소를 확인해 보았다. 인간 U6 프로모터는 기존 마우스 U6 프로모터와 유사하게 PD-1 발현을 억제했다. 두번째로, 동시에 발현시킨 두 개의 shRNA가 PD-1과 TIM-3의 발현 감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shPD - 1shTIM - 3를 동시에 발현하는 CD19-CAR T 세포에서 관찰되는 PD-1, TIM-3 발현 감소 정도가 shPD -1 또는 shTIM -3가 단독으로 발현하는 CD19-CAR T 세포의 발현 감소 정도와 유사함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shRNA 카세트의 방향 구성이 타겟 유전자의 발현감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확인해 보았다. hU6-shPD - 1mU6-shTIM -3 와 hU6-shPD - 1mU6-shTIM -3 발현 CD19-CAR T 세포에서 TIM-3의 발현 감소 정도는 유사하였으나, PD-1의 발현 감소는 hU6-shPD - 1mU6-shTIM -3가 더 뛰어난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과적으로, 두 가지 면역 관문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함과 동시에 CAR를 발현할 수 있는 면역세포 치료제 제조 기술을 확보하게 되었다.
앞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10> CUROCELL BIOTHERAPEUTICS INC. <120> IMMUNE CELL OVERCOMING IMMUNE CHECKPOINT SIGNALING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SAIID IMMUNE CELL <130> PN16049P1 <150> KR 10-2016-0089161 <151> 2016-07-14 <160> 57 <170> KoPatentIn 3.0 <210> 1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hRNA target seuence for GFP <400> 1 tctcggcatg gacgagctgt a 21 <210> 2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PD-1-1 <400> 2 tggaacccat tcctgaaatt a 21 <210> 3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PD-1-2 <400> 3 ggaacccatt cctgaaatta t 21 <210> 4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PD-1-3 <400> 4 gaacccattc ctgaaattat t 21 <210> 5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PD-1-4 <400> 5 acccattcct gaaattattt a 21 <210> 6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PD-1-5 <400> 6 cccattcctg aaattattta a 21 <210> 7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PD-1-6 <400> 7 ccttccctgt ggttctatta t 21 <210> 8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PD-1-7 <400> 8 cttccctgtg gttctattat a 21 <210> 9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PD-1-8 <400> 9 ttccctgtgg ttctattata t 21 <210> 10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PD-1-9 <400> 10 tccctgtggt tctattatat t 21 <210> 11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PD-1-10 <400> 11 ccctgtggtt ctattatatt a 21 <210> 12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PD-1-11 <400> 12 cctgtggttc tattatatta t 21 <210> 13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TIM-3-1 <400> 13 gatgaaaggg atgtgaatta t 21 <210> 14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TIM-3-2 <400> 14 gggagcctcc ctgatataaa t 21 <210> 15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TIM-3-3 <400> 15 ggaattcgct cagaagaaa 19 <210> 16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TIM-3-4 <400> 16 ggaccaaact gaagctatat t 21 <210> 17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TIM-3-5 <400> 17 agaactttgg tttcctttaa t 21 <210> 18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TIM-3-6 <400> 18 atgaaaggga tgtgaattat t 21 <210> 19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TIM-3-7 <400> 19 tcttatcttc ggcgctttaa t 21 <210> 20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TIM-3-8 <400> 20 cttatcttcg gcgctttaat t 21 <210> 21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TIM-3-9 <400> 21 ttatcttcgg cgctttaatt t 21 <210> 22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TIM-3-10 <400> 22 gaggagccca atgagtatta t 21 <210> 23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TIM-3-11 <400> 23 aggagcccaa tgagtattat t 21 <210> 24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TIM-3-12 <400> 24 atagatccaa ccaccttatt t 21 <210> 25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TIM-3-13 <400> 25 atgtcattgc ctctgtattt a 21 <210> 26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TIM-3-14 <400> 26 tgtcattgcc tctgtattta a 21 <210> 27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TIM-3-15 <400> 27 accaccatgc ccagctaatt t 21 <210> 28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TIM-3-16 <400> 28 tgttgagatt taggcttatt t 21 <210> 29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TIM-3-17 <400> 29 gaccaaactg aagctatatt t 21 <210> 30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TIM-3-18 <400> 30 aggccttcag caatctatat t 21 <210> 31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TIM-3-19 <400> 31 ggccttcagc aatctatatt a 21 <210> 32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TIM-3-20 <400> 32 gagtggtccc taaacttaaa t 21 <210> 33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TIM-3-21 <400> 33 agtggtccct aaacttaaat t 21 <210> 34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TIM-3-22 <400> 34 gtggtcccta aacttaaatt t 21 <210> 35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TIM-3-23 <400> 35 ctaacacaaa tatccacat 19 <210> 36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LAG-3-1 <400> 36 tcagcagccc agtccaaata a 21 <210> 37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LAG-3-2 <400> 37 cagcagccca gtccaaataa a 21 <210> 38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LAG-3-3 <400> 38 tcaacgtctc catcatgtat a 21 <210> 39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LAG-3-4 <400> 39 caacgtctcc atcatgtata a 21 <210> 40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LAG-3-5 <400> 40 ctggagacaa tggcgacttt a 21 <210> 41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LAG-3-6 <400> 41 ctcagcagcc cagtccaaat a 21 <210> 42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LAG-3-7 <400> 42 agcagcccag tccaaataaa c 21 <210> 43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CTLA-4-1 <400> 43 gggatcaaag ctatctatat a 21 <210> 44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CTLA-4-2 <400> 44 ggatcaaagc tatctatata a 21 <210> 45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CTLA-4-3 <400> 45 ggcaacggaa cccagattta t 21 <210> 46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CTLA-4-4 <400> 46 tgaagaagag agtccatatt t 21 <210> 47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CTLA-4-5 <400> 47 ttggatgcgg aacccaaatt a 21 <210> 48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CTLA-4-6 <400> 48 agcatcactt gggattaata t 21 <210> 49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CTLA-4-7 <400> 49 tgatgtgggt caaggaatta a 21 <210> 50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CTLA-4-8 <400> 50 agcgagggag aagactatat t 21 <210> 51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CTLA-4-9 <400> 51 tttacgtatg agacgtttat a 21 <210> 52 <211> 46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D22-CAR <400> 52 Gln Val Gln Leu Gln Gln Ser Gly Pro Gly Leu Val Lys Pro Ser Gln 1 5 10 15 Thr Leu Ser Leu Thr Cys Ala Ile Ser Gly Asp Ser Val Ser Ser Asn 20 25 30 Ser Ala Ala Trp Asn Trp Ile Arg Gln Ser Pro Ser Arg Gly Leu Glu 35 40 45 Trp Leu Gly Arg Thr Tyr Tyr Arg Ser Lys Trp Tyr Asn Asp Tyr Ala 50 55 60 Val Ser Val Lys Ser Arg Ile Thr Ile Asn Pro Asp Thr Ser Lys Asn 65 70 75 80 Gln Phe Ser Leu Gln Leu Asn Ser Val Thr Pro Glu Asp Thr Ala Val 85 90 95 Tyr Tyr Cys Ala Arg Glu Val Thr Gly Asp Leu Glu Asp Ala Phe Asp 100 105 110 Ile Trp Gly Gln Gly Thr Met Val Thr Val Ser Ser Gly Gly Gly Gly 115 120 125 Ser Gly Gly Gly Gly Ser Gly Gly Gly Gly Ser Asp Ile Gln Met Thr 130 135 140 Gln Ser Pro Ser Ser Leu Ser Ala Ser Val Gly Asp Arg Val Thr Ile 145 150 155 160 Thr Cys Arg Ala Ser Gln Thr Ile Trp Ser Tyr Leu Asn Trp Tyr Gln 165 170 175 Gln Arg Pro Gly Lys Ala Pro Asn Leu Leu Ile Tyr Ala Ala Ser Ser 180 185 190 Leu Gln Ser Gly Val Pro Ser Arg Phe Ser Gly Arg Gly Ser Gly Thr 195 200 205 Asp Phe Thr Leu Thr Ile Ser Ser Leu Gln Ala Glu Asp Phe Ala Thr 210 215 220 Tyr Tyr Cys Gln Gln Ser Tyr Ser Ile Pro Gln Thr Phe Gly Gln Gly 225 230 235 240 Thr Lys Leu Glu Ile Thr Thr Thr Pro Ala Pro Arg Pro Pro Thr Pro 245 250 255 Ala Pro Thr Ile Ala Ser Gln Pro Leu Ser Leu Arg Pro Glu Ala Cys 260 265 270 Arg Pro Ala Ala Gly Gly Ala Val His Thr Arg Gly Leu Asp Phe Ala 275 280 285 Cys Asp Ile Tyr Ile Trp Ala Pro Leu Ala Gly Thr Cys Gly Val Leu 290 295 300 Leu Leu Ser Leu Val Ile Thr Leu Tyr Cys Lys Arg Gly Arg Lys Lys 305 310 315 320 Leu Leu Tyr Ile Phe Lys Gln Pro Phe Met Arg Pro Val Gln Thr Thr 325 330 335 Gln Glu Glu Asp Gly Cys Ser Cys Arg Phe Pro Glu Glu Glu Glu Gly 340 345 350 Gly Cys Glu Leu Arg Val Lys Phe Ser Arg Ser Ala Asp Ala Pro Ala 355 360 365 Tyr Lys Gln Gly Gln Asn Gln Leu Tyr Asn Glu Leu Asn Leu Gly Arg 370 375 380 Arg Glu Glu Tyr Asp Val Leu Asp Lys Arg Arg Gly Arg Asp Pro Glu 385 390 395 400 Met Gly Gly Lys Pro Arg Arg Lys Asn Pro Gln Glu Gly Leu Tyr Asn 405 410 415 Glu Leu Gln Lys Asp Lys Met Ala Glu Ala Tyr Ser Glu Ile Gly Met 420 425 430 Lys Gly Glu Arg Arg Arg Gly Lys Gly His Asp Gly Leu Tyr Gln Gly 435 440 445 Leu Ser Thr Ala Thr Lys Asp Thr Tyr Asp Ala Leu His Met Gln Ala 450 455 460 Leu Pro Pro Arg 465 <210> 53 <211> 48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D19-CAR <400> 53 Met Ala Leu Pro Val Thr Ala Leu Leu Leu Pro Leu Ala Leu Leu Leu 1 5 10 15 His Ala Ala Arg Pro Asp Ile Gln Met Thr Gln Thr Thr Ser Ser Leu 20 25 30 Ser Ala Ser Leu Gly Asp Arg Val Thr Ile Ser Cys Arg Ala Ser Gln 35 40 45 Asp Ile Ser Lys Tyr Leu Asn Trp Tyr Gln Gln Lys Pro Asp Gly Thr 50 55 60 Val Lys Leu Leu Ile Tyr His Thr Ser Arg Leu His Ser Gly Val Pro 65 70 75 80 Ser Arg Phe Ser Gly Ser Gly Ser Gly Thr Asp Tyr Ser Leu Thr Ile 85 90 95 Ser Asn Leu Glu Gln Glu Asp Ile Ala Thr Tyr Phe Cys Gln Gln Gly 100 105 110 Asn Thr Leu Pro Tyr Thr Phe Gly Gly Gly Thr Lys Leu Glu Ile Thr 115 120 125 Gly Gly Gly Gly Ser Gly Gly Gly Gly Ser Gly Gly Gly Gly Ser Glu 130 135 140 Val Lys Leu Gln Glu Ser Gly Pro Gly Leu Val Ala Pro Ser Gln Ser 145 150 155 160 Leu Ser Val Thr Cys Thr Val Ser Gly Val Ser Leu Pro Asp Tyr Gly 165 170 175 Val Ser Trp Ile Arg Gln Pro Pro Arg Lys Gly Leu Glu Trp Leu Gly 180 185 190 Val Ile Trp Gly Ser Glu Thr Thr Tyr Tyr Asn Ser Ala Leu Lys Ser 195 200 205 Arg Leu Thr Ile Ile Lys Asp Asn Ser Lys Ser Gln Val Phe Leu Lys 210 215 220 Met Asn Ser Leu Gln Thr Asp Asp Thr Ala Ile Tyr Tyr Cys Ala Lys 225 230 235 240 His Tyr Tyr Tyr Gly Gly Ser Tyr Ala Met Asp Tyr Trp Gly Gln Gly 245 250 255 Thr Ser Val Thr Val Ser Ser Thr Thr Thr Pro Ala Pro Arg Pro Pro 260 265 270 Thr Pro Ala Pro Thr Ile Ala Ser Gln Pro Leu Ser Leu Arg Pro Glu 275 280 285 Ala Cys Arg Pro Ala Ala Gly Gly Ala Val His Thr Arg Gly Leu Asp 290 295 300 Phe Ala Cys Asp Ile Tyr Ile Trp Ala Pro Leu Ala Gly Thr Cys Gly 305 310 315 320 Val Leu Leu Leu Ser Leu Val Ile Thr Leu Tyr Cys Lys Arg Gly Arg 325 330 335 Lys Lys Leu Leu Tyr Ile Phe Lys Gln Pro Phe Met Arg Pro Val Gln 340 345 350 Thr Thr Gln Glu Glu Asp Gly Cys Ser Cys Arg Phe Pro Glu Glu Glu 355 360 365 Glu Gly Gly Cys Glu Leu Arg Val Lys Phe Ser Arg Ser Ala Asp Ala 370 375 380 Pro Ala Tyr Lys Gln Gly Gln Asn Gln Leu Tyr Asn Glu Leu Asn Leu 385 390 395 400 Gly Arg Arg Glu Glu Tyr Asp Val Leu Asp Lys Arg Arg Gly Arg Asp 405 410 415 Pro Glu Met Gly Gly Lys Pro Arg Arg Lys Asn Pro Gln Glu Gly Leu 420 425 430 Tyr Asn Glu Leu Gln Lys Asp Lys Met Ala Glu Ala Tyr Ser Glu Ile 435 440 445 Gly Met Lys Gly Glu Arg Arg Arg Gly Lys Gly His Asp Gly Leu Tyr 450 455 460 Gln Gly Leu Ser Thr Ala Thr Lys Asp Thr Tyr Asp Ala Leu His Met 465 470 475 480 Gln Ala Leu Pro Pro Arg 485 <210> 54 <211> 78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NGFR_P2A_CD19-CAR <400> 54 Met Gly Ala Gly Ala Thr Gly Arg Ala Met Asp Gly Pro Arg Leu Leu 1 5 10 15 Leu Leu Leu Leu Leu Gly Val Ser Leu Gly Gly Ala Lys Glu Ala Cys 20 25 30 Pro Thr Gly Leu Tyr Thr His Ser Gly Glu Cys Cys Lys Ala Cys Asn 35 40 45 Leu Gly Glu Gly Val Ala Gln Pro Cys Gly Ala Asn Gln Thr Val Cys 50 55 60 Glu Pro Cys Leu Asp Ser Val Thr Phe Ser Asp Val Val Ser Ala Thr 65 70 75 80 Glu Pro Cys Lys Pro Cys Thr Glu Cys Val Gly Leu Gln Ser Met Ser 85 90 95 Ala Pro Cys Val Glu Ala Asp Asp Ala Val Cys Arg Cys Ala Tyr Gly 100 105 110 Tyr Tyr Gln Asp Glu Thr Thr Gly Arg Cys Glu Ala Cys Arg Val Cys 115 120 125 Glu Ala Gly Ser Gly Leu Val Phe Ser Cys Gln Asp Lys Gln Asn Thr 130 135 140 Val Cys Glu Glu Cys Pro Asp Gly Thr Tyr Ser Asp Glu Ala Asn His 145 150 155 160 Val Asp Pro Cys Leu Pro Cys Thr Val Cys Glu Asp Thr Glu Arg Gln 165 170 175 Leu Arg Glu Cys Thr Arg Trp Ala Asp Ala Glu Cys Glu Glu Ile Pro 180 185 190 Gly Arg Trp Ile Thr Arg Ser Thr Pro Pro Glu Gly Ser Asp Ser Thr 195 200 205 Ala Pro Ser Thr Gln Glu Pro Glu Ala Pro Pro Glu Gln Asp Leu Ile 210 215 220 Ala Ser Thr Val Ala Gly Val Val Thr Thr Val Met Gly Ser Ser Gln 225 230 235 240 Pro Val Val Thr Arg Gly Thr Thr Asp Asn Leu Ile Pro Val Tyr Cys 245 250 255 Ser Ile Leu Ala Ala Val Val Val Gly Leu Val Ala Tyr Ile Ala Phe 260 265 270 Lys Arg Trp Gly Ser Gly Ala Thr Asn Phe Ser Leu Leu Lys Gln Ala 275 280 285 Gly Asp Val Glu Glu Asn Pro Gly Pro Ala Leu Pro Val Thr Ala Leu 290 295 300 Leu Leu Pro Leu Ala Leu Leu Leu His Ala Ala Arg Pro Asp Ile Gln 305 310 315 320 Met Thr Gln Thr Thr Ser Ser Leu Ser Ala Ser Leu Gly Asp Arg Val 325 330 335 Thr Ile Ser Cys Arg Ala Ser Gln Asp Ile Ser Lys Tyr Leu Asn Trp 340 345 350 Tyr Gln Gln Lys Pro Asp Gly Thr Val Lys Leu Leu Ile Tyr His Thr 355 360 365 Ser Arg Leu His Ser Gly Val Pro Ser Arg Phe Ser Gly Ser Gly Ser 370 375 380 Gly Thr Asp Tyr Ser Leu Thr Ile Ser Asn Leu Glu Gln Glu Asp Ile 385 390 395 400 Ala Thr Tyr Phe Cys Gln Gln Gly Asn Thr Leu Pro Tyr Thr Phe Gly 405 410 415 Gly Gly Thr Lys Leu Glu Ile Thr Gly Gly Gly Gly Ser Gly Gly Gly 420 425 430 Gly Ser Gly Gly Gly Gly Ser Glu Val Lys Leu Gln Glu Ser Gly Pro 435 440 445 Gly Leu Val Ala Pro Ser Gln Ser Leu Ser Val Thr Cys Thr Val Ser 450 455 460 Gly Val Ser Leu Pro Asp Tyr Gly Val Ser Trp Ile Arg Gln Pro Pro 465 470 475 480 Arg Lys Gly Leu Glu Trp Leu Gly Val Ile Trp Gly Ser Glu Thr Thr 485 490 495 Tyr Tyr Asn Ser Ala Leu Lys Ser Arg Leu Thr Ile Ile Lys Asp Asn 500 505 510 Ser Lys Ser Gln Val Phe Leu Lys Met Asn Ser Leu Gln Thr Asp Asp 515 520 525 Thr Ala Ile Tyr Tyr Cys Ala Lys His Tyr Tyr Tyr Gly Gly Ser Tyr 530 535 540 Ala Met Asp Tyr Trp Gly Gln Gly Thr Ser Val Thr Val Ser Ser Thr 545 550 555 560 Thr Thr Pro Ala Pro Arg Pro Pro Thr Pro Ala Pro Thr Ile Ala Ser 565 570 575 Gln Pro Leu Ser Leu Arg Pro Glu Ala Cys Arg Pro Ala Ala Gly Gly 580 585 590 Ala Val His Thr Arg Gly Leu Asp Phe Ala Cys Asp Ile Tyr Ile Trp 595 600 605 Ala Pro Leu Ala Gly Thr Cys Gly Val Leu Leu Leu Ser Leu Val Ile 610 615 620 Thr Leu Tyr Cys Lys Arg Gly Arg Lys Lys Leu Leu Tyr Ile Phe Lys 625 630 635 640 Gln Pro Phe Met Arg Pro Val Gln Thr Thr Gln Glu Glu Asp Gly Cys 645 650 655 Ser Cys Arg Phe Pro Glu Glu Glu Glu Gly Gly Cys Glu Leu Arg Val 660 665 670 Lys Phe Ser Arg Ser Ala Asp Ala Pro Ala Tyr Lys Gln Gly Gln Asn 675 680 685 Gln Leu Tyr Asn Glu Leu Asn Leu Gly Arg Arg Glu Glu Tyr Asp Val 690 695 700 Leu Asp Lys Arg Arg Gly Arg Asp Pro Glu Met Gly Gly Lys Pro Arg 705 710 715 720 Arg Lys Asn Pro Gln Glu Gly Leu Tyr Asn Glu Leu Gln Lys Asp Lys 725 730 735 Met Ala Glu Ala Tyr Ser Glu Ile Gly Met Lys Gly Glu Arg Arg Arg 740 745 750 Gly Lys Gly His Asp Gly Leu Tyr Gln Gly Leu Ser Thr Ala Thr Lys 755 760 765 Asp Thr Tyr Asp Ala Leu His Met Gln Ala Leu Pro Pro Arg 770 775 780 <210> 55 <211> 33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D-1 shRNA-hU6 <400> 55 gttaacaagg tcgggcagga agagggccta tttcccatga ttccttcata tttgcatata 60 cgatacaagg ctgttagaga gataattaga attaatttga ctgtaaacac aaagatatta 120 gtacaaaata cgtgacgtag aaagtaataa tttcttgggt agtttgcagt ttttaaaatt 180 atgttttaaa atggactatc atatgcttac cgtaacttga aagtatttcg atttcttggc 240 tttatatatc ttgtggaaag gacgaaacac cgcctgtggt tctattatat tatttcaaga 300 gaataatata atagaaccac aggtttttga ctagt 335 <210> 56 <211> 70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D-1 shRNA-hU6 -> <TIM-3 shRNA-mU6 <400> 56 gttaacaagg tcgggcagga agagggccta tttcccatga ttccttcata tttgcatata 60 cgatacaagg ctgttagaga gataattaga attaatttga ctgtaaacac aaagatatta 120 gtacaaaata cgtgacgtag aaagtaataa tttcttgggt agtttgcagt ttttaaaatt 180 atgttttaaa atggactatc atatgcttac cgtaacttga aagtatttcg atttcttggc 240 tttatatatc ttgtggaaag gacgaaacac cgcctgtggt tctattatat tatttcaaga 300 gaataatata atagaaccac aggtttttga ctagtcaaaa aggaattcgc tcagaagaaa 360 tctcttgaat ttcttctgag cgaattccaa acaaggcttt tctccaaggg atatttatag 420 tctcaaaaca cacaattact ttacagttag ggtgagtttc cttttgtgct gttttttaaa 480 ataataattt agtatttgta tctcttatag aaatccaagc ctatcatgta aaatgtagct 540 agtattaaaa agaacagatt atctgtcttt tatcgcacat taagcctcta tagttactag 600 gaaatattat atgcaaatta accggggcag gggagtagcc gagcttctcc cacaagtctg 660 tgcgaggggg ccggcgcggg cctagagatg gcggcgtcgg atcgctagc 709 <210> 57 <211> 70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D-1 shRNA-hU6 <- ->TIM-3 shRNA-mU6 <400> 57 gttaaccaaa aacctgtggt tctattatat tattctcttg aaataatata atagaaccac 60 aggcggtgtt tcgtcctttc cacaagatat ataaagccaa gaaatcgaaa tactttcaag 120 ttacggtaag catatgatag tccattttaa aacataattt taaaactgca aactacccaa 180 gaaattatta ctttctacgt cacgtatttt gtactaatat ctttgtgttt acagtcaaat 240 taattctaat tatctctcta acagccttgt atcgtatatg caaatatgaa ggaatcatgg 300 gaaataggcc ctcttcctgc ccgaccttac tagtgatccg acgccgccat ctctaggccc 360 gcgccggccc cctcgcacag acttgtggga gaagctcggc tactcccctg ccccggttaa 420 tttgcatata atatttccta gtaactatag aggcttaatg tgcgataaaa gacagataat 480 ctgttctttt taatactagc tacattttac atgataggct tggatttcta taagagatac 540 aaatactaaa ttattatttt aaaaaacagc acaaaaggaa actcacccta actgtaaagt 600 aattgtgtgt tttgagacta taaatatccc ttggagaaaa gccttgtttg gaattcgctc 660 agaagaaatt caagagattt cttctgagcg aattcctttt tggctagc 708

Claims (23)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키메라 항원 수용체(CAR) 또는 단일클론 티세포 수용체(TCR)을 코딩하는 염기서열; 및
    면역관문 수용체의 발현을 저해하는 2종의 숏헤어핀 리보핵산(shRNA)을 코딩하는 염기서열을 포함하고,
    상기 2종의 숏헤어핀 리보핵산을 코딩하는 염기서열은 PD-1 및 TIM-3를 각각 타깃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벡터.
  8. 삭제
  9. 삭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2종의 숏헤어핀 리보핵산(shRNA)을 코딩하는 염기서열은 서열번호 2 내지 12의 PD-1 타깃 염기서열로 구성된 군 및 서열번호 13 내지 35의 TIM-3 타깃 염기서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각각 선택된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벡터.
  11. 삭제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CAR의 아미노산 서열이 서열번호 52 내지 54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과 90% 이상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벡터.
  13. 제7항에 따른 벡터를 이용하여 상기 키메라 항원 수용체(CAR) 또는 단일클론 티세포 수용체(TCR); 및 상기 2종의 숏헤어핀 리보핵산(shRNA)이 동시에 발현되도록 유전적으로 조작된 면역관문을 극복한 면역세포.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세포는 T세포, 자연살해세포, 세포독성 T 림프구 및 조절용 T 세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관문을 극복한 면역세포.
  19. 제13항에 따른 면역세포를 포함하는 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담체, 부형제, 희석제, 항산화제, 보존제, 착색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용매, 충전제, 벌크화제, 완충제, 전달 비히클, 등장제, 공용매, 습윤제, 복합화제, 항균제 및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부형제 또는 비히클을 추가로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KR1020170088269A 2016-07-14 2017-07-12 면역관문을 극복한 면역세포 및 상기 면역세포를 포함한 약제학적 조성물 KR1018974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7/007505 WO2018012895A1 (ko) 2016-07-14 2017-07-13 면역관문을 극복한 면역세포 및 상기 면역세포를 포함한 약제학적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89161 2016-07-14
KR1020160089161 2016-07-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9040A KR20180009040A (ko) 2018-01-25
KR101897464B1 true KR101897464B1 (ko) 2018-09-13

Family

ID=61093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8269A KR101897464B1 (ko) 2016-07-14 2017-07-12 면역관문을 극복한 면역세포 및 상기 면역세포를 포함한 약제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746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90230A1 (en) * 2013-12-19 2015-06-25 Novartis Ag Human mesothelin chimeric antigen receptors and uses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90230A1 (en) * 2013-12-19 2015-06-25 Novartis Ag Human mesothelin chimeric antigen receptors and uses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9040A (ko) 2018-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355728A1 (en) Peptidic chimeric antigen receptor t cell switches and uses thereof
US10800828B2 (en) Switchable non-scFv chimeric receptors, switch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to treat cancer
WO2018012895A1 (ko) 면역관문을 극복한 면역세포 및 상기 면역세포를 포함한 약제학적 조성물
CN109071656B (zh) 检查点调节物拮抗剂
US20220073597A1 (en) Chimeric antigen receptor effector cell switches with humanized targeting moieties and/or optimized chimeric antigen receptor interacting domains and uses thereof
CN112739717A (zh) 三特异性拮抗剂
TW201803897A (zh) Flt3之嵌合受體及其使用方法
CN112105632A (zh) 细胞因子融合蛋白
KR20220061977A (ko) Cd39 발현 세포의 adcc 표적화를 통해 t 세포 매개 면역 반응을 촉진 및 강화하기 위한 방법 및 조성물
US20220048996A1 (en) Antibody molecules that bind cd137 and ox40
KR20160022370A (ko) 면역요법을 위한 조성물 및 방법
US20220008515A1 (en) Method of treating a tumor with a combination of il-7 protein and an immune checkpoint inhibitor
WO2021041878A1 (en) Pharmaceutical formulations and dosage regimens for multi-specific binding proteins that bind her2, nkg2d, and cd16 for cancer treatment
US20230272041A1 (en) Formulation, Dosage Regimen, and Manufacturing Process for Heterodimeric FC-Fused Proteins
US20230322894A1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glioblastoma
KR102399028B1 (ko) 이중-특이적 항원-결합 폴리펩티드
KR101897464B1 (ko) 면역관문을 극복한 면역세포 및 상기 면역세포를 포함한 약제학적 조성물
JP2022528422A (ja) インターロイキン2(il2)およびインターフェロン(ifn)を含む治療
TW202334208A (zh) 用於治療癌症的組合療法
WO2023083868A1 (en) Tlr7 agonist and combinations for cancer treatment
KR20240074772A (ko) 항-pd-l1/il-10 융합 단백질을 이용한 질병 치료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