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7151B1 - 수동 조작 전환 레버 및 공기압 제거를 위한 배기부를 포함하는 자동밸브용 디클러치 - Google Patents

수동 조작 전환 레버 및 공기압 제거를 위한 배기부를 포함하는 자동밸브용 디클러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7151B1
KR101897151B1 KR1020170149534A KR20170149534A KR101897151B1 KR 101897151 B1 KR101897151 B1 KR 101897151B1 KR 1020170149534 A KR1020170149534 A KR 1020170149534A KR 20170149534 A KR20170149534 A KR 20170149534A KR 101897151 B1 KR101897151 B1 KR 1018971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exhaust
worm gear
worm wheel
pneumatic actu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9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광
Original Assignee
(주) 티엠지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티엠지코리아 filed Critical (주) 티엠지코리아
Priority to KR1020170149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71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7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71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for mounting on, or in combination with, hand-actuated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21Shaft support structures, e.g. partition walls, bearing eyes, casing walls or covers with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3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toothed gea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21Shaft support structures, e.g. partition walls, bearing eyes, casing walls or covers with bearings
    • F16H2057/0213Support of worm gear shaf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 외면에 인접하게 위치된 공압식 액추에이터;상기 공압식 액추에이터에 의해 자동 조작되는 밸브축 및 상기 밸브축 외주면에 형성된 웜휠을 포함하는 자동밸브;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는 일단부에 수동핸들이 결합되고, 상기 웜휠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상기 웜휠 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웜휠에 치합되는 웜기어; 상기 하우징 일측에 위치되고 상기 웜기어와 편심 결합되어 회전됨에 따라 상기 웜기어를 회동시키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 외측면에 결합되어 조작됨에 따라 상기 회전부를 회전시키는 레버를 포함하는 조작부; 및 상기 조작부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상기 조작부가 조작됨에 따라 상기 공압식 액추에이터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는 조작됨에 따라 상기 회전부를 회전시키며 상기 웜휠 및 상기 웜기어가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의 제1 위치 또는 상기 웜휠 및 상기 웜기어가 치합된 상태의 제2 위치로 이동되며, 상기 배기부는 상기 레버가 상기 제2 위치로 이동됨에 따라 작동되는, 수동 조작 전환 레버 및 공기압 제거를 위한 배기부를 포함하는 자동밸브용 디클러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동 조작 전환 레버 및 공기압 제거를 위한 배기부를 포함하는 자동밸브용 디클러치{Declutch for automatic valve including manual operation switching lever and exhaust portion for pneumatic air discharg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수동 조작 전환 레버 및 공기압 제거를 위한 배기부를 포함하는 자동밸브용 디클러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밸브는 배관 내의 유체의 유량, 압력,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목적으로 유체의 통로를 열거나 닫도록 하는 장치를 밸브라 하는데 이러한 밸브에 설치하여 자동조작으로 밸브의 개폐를 조작함에 있어 정전이나 고장 시 수동으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기어가 붙었다 떨어졌다 하는 방식이 되어야만 가능하다.
하지만, 아래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09040호와 같이, 종래의 디클러치는 한 손으로는 고정핀을 해제하고 다른 손으로는 디클러칭 핸들을 조작하여 밸브의 수동-자동 조작 전환을 구현할 수 있는 바, 전환 간 양손이 필요한 점에서 작업자의 조작이 매우 불편하였고, 정전이나 고장 시 수동조작으로의 전환이 신속히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존재하였다.
또한, 상기 자동조작 수단으로 공압 액추에이터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자동밸브는 정전이나 액추에이터 고장 시 수동 모드로 전환되어 조작되어야 하는데, 이 때, 에어 액추에이터 내부에 에어가 잔류하는 경우 수동 핸들에 이한 조작이 용이하지 않는 문제가 존재하였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409040호(2006.02.09)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정전이나 밸브 자동 조작을 위한 수단의 고장 시 한번의 동작으로 신속하게 수동조작으로의 전환이 용이한 수동 조작 전환 레버 및 공기압 제거를 위한 배기부를 포함하는 자동밸브용 디클러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정전이나 밸브 자동 조작을 위한 수단의 고장 시 한 손으로 레버를 파지함과 동시에 엄지손가락으로 누름버튼을 단순 가압함으로써 수동조작으로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는 바, 작업자의 편의성이 증대된 수동 조작 전환 레버 및 공기압 제거를 위한 배기부를 포함하는 자동밸브용 디클러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수동조작으로 전환함과 동시에 공압식 액추에이터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수동 핸들에 의한 밸브 조작이 용이하게 하는 자동밸브용 디클러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 상기 하우징 외면에 인접하게 위치된 공압식 액추에이터; 상기 공압식 액추에이터에 의해 자동 조작되는 밸브축 및 상기 밸브축 외주면에 형성된 웜휠을 포함하는 자동밸브;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는 일단부에 수동핸들이 결합되고, 상기 웜휠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상기 웜휠 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웜휠에 치합되는 웜기어; 상기 하우징 일측에 위치되고 상기 웜기어와 편심 결합되어 회전됨에 따라 상기 웜기어를 회동시키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 외측면에 결합되어 조작됨에 따라 상기 회전부를 회전시키는 레버를 포함하는 조작부; 및 상기 조작부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상기 조작부가 조작됨에 따라 상기 공압식 액추에이터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는 조작됨에 따라 상기 회전부를 회전시키며 상기 웜휠 및 상기 웜기어가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의 제1 위치 또는 상기 웜휠 및 상기 웜기어가 치합된 상태의 제2 위치로 이동되며, 상기 배기부는 상기 레버가 상기 제2 위치로 이동됨에 따라 작동되는, 수동 조작 전환 레버 및 공기압 제거를 위한 배기부를 포함하는 자동밸브용 디클러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는, 상기 회전부의 외주면에 힌지 결합되고, 일측면에 상기 레버의 회전 반경을 제한하기 위한 가이드스토퍼가 형성된 고정디스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디스크는 외주면의 상기 레버의 상기 제1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함입되어 형성된 제1 잠금홈 및 상기 제2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함입되어 형성된 제2 잠금홈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레버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잠금홈 및 상기 제2 잠금홈에 삽입 가능한 잠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버는 외측면이 손으로 감쌀 수 있도록 곡면으로 형성되고, 길이방향 일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삽입홀이 형성된 파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잠금부는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는 누름버튼; 상기 삽입홀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누름버튼에 탄성을 부여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누름버튼 일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잠금홈에 삽입 가능한 잠금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는, 상기 회전부 외측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상기 웜기어와 동축으로 결합된 캠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캠부재는 상기 웜기어가 회동됨에 따라 동반 회동되어 상기 배기부를 작동할 수 있다.
상기 배기부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왕복 운동 가능한 배기축;
상기 케이스 일측에서 상기 공압식 액추에이터와 연결되어 상기 공압식 액추에이터 내부의 공기가 유동 가능한 액추에이터 연결부; 및 상기 케이스의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된 배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기부는 상기 케이스의 상기 레버 측 일단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레버가 상기 제2 위치로 이동됨에 따라 회전되는 배기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배기축은 상기 배기버튼이 회전됨에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배기구는 상기 배기축이 이동됨에 따라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정전이나 밸브 자동 조작을 위한 수단의 고장 시 한번의 동작으로 신속하게 수동조작으로의 전환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정전이나 밸브 자동 조작을 위한 수단의 고장 시 한 손으로 레버를 파지함과 동시에 엄지손가락으로 누름버튼을 단순 가압함으로써 수동조작으로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는 바, 작업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수동조작으로 전환함과 동시에 공압식 액추에이터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수동 핸들에 의한 밸브 조작이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밸브용 디클러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밸브용 디클러치의 자동조작 모드에서 내부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밸브용 디클러치의 수동조작 모드에서 내부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4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밸브용 디클러치의 자동조작 모드에서 레버 및 웜기어의 구동을 나타낸 도면이고, (b)는 수동조작 모드에서 레버 및 웜기어의 구동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6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밸브용 디클러치의 자동조작 모드에서 웜기어의 위치에 따른 캠부재 및 배기부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b)는 수동조작 모드에서 웜기어의 위치에 따른 캠부재 및 배기부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7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밸브용 디클러치의 자동조작 모드에서 배기부의 내부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b)는 수동조작 모드에서 배기부의 내부 모습을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밸브용 디클러치(1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밸브용 디클러치(10)의 자동조작 모드에서 내부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밸브용 디클러치(10)의 수동조작 모드에서 내부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 조작 전환 레버 및 공기압 제거를 위한 배기부를 포함하는 자동밸브용 디클러치(10)는 하우징(100), 밸브축(310) 및 밸브축(310) 외주면에 형성된 웜휠(320)을 포함하는 자동밸브(300), 하우징(100) 외면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상기 자동밸브(300)의 밸브축(310)을 자동 조작하는 공압식 액추에이터(200), 웜휠(320)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웜휠(320) 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웜휠(320)에 치합될 수 있는 웜기어(400), 웜기어(400)와 편심 결합되어 회전됨에 따라 웜기어(400)를 회동시키는 회전부(510) 및 회전부(510) 외측면에 결합되어 조작됨에 따라 회전부(510)를 회전시키는 레버(520)를 포함하는 조작부(500) 및 조작부(500)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조작부(500)가 조작됨에 따라 공압식 액추에이터(20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레버(520)는 작업자에 의해 조작됨에 따라 회전부(510)를 회전시키며 웜휠(320) 및 웜기어(400)가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의 제1 위치(자동조작 모드) 또는 웜휠(320) 및 웜기어(400)가 치합된 상태의 제2 위치(수동조작 모드)로 이동되며 배기부(600)는 레버(520)가 제2 위치로 이동됨에 따라 작동될 수 있다. 배기부(600) 작동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조작부(500)는 회전부(510)의 외주면에 힌지 결합되고, 일측면에 레버(520)의 회전 반경을 제한하기 위한 가이드스토퍼(531)가 형성된 고정디스크(53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가이드스토퍼(531)를 통해, 레버(520)의 제1 위치 및 제2 위치로의 정확한 각도의 회전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레버(520)가 제1 위치에 위치된 경우 하우징(100) 내부의 웜휠(320) 및 웜기어(400)는 상호 치합되지 않은 상태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있는 바, 웜기어(400)의 하우징(100) 외부로 노출되는 일단부에 결합된 수동핸들(410)이 조작되어도 상기 밸브축(310)은 조작되지 않고, 공압식 액추에이터(200)에 의해 자동조작만 가능하다.
한편, 정전 또는 공압식 액추에이터(200) 이상 등으로 밸브축(310)의 자동조작이 불가능한 경우, 작업자는 상기 레버(520)를 제2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에 따라, 레버(520)와 결합된 회전부(510)에 편심 결합된 웜기어(400)가 회전부(510)의 회전중심 축을 기준으로 편심 회전될 수 있고, 하우징(100) 내부의 웜휠(320) 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웜휠(320)과 치합됨으로써 웜기어(400)에 결합된 수동핸들(410)에 의해 수동조작 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밸브용 디클러치(10)는 하우징(100)의 수동핸들(410) 측 외측면에 위치되고 일측은 상기 하우징(100) 외부로 노출된 웜기어(400) 일단과 결합되며 타측은 수동핸들(410)과 결합되는 기어박스(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어박스(700)는 수동핸들(410)에 기어비를 제공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작업자가 상기 수동핸들(410)을 조작함에 있어 작은 힘으로도 상기 자동밸브(300)를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다.
도 4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밸브용 디클러치(10)의 자동조작 모드에서 레버(520) 및 웜기어(400)의 구동을 나타낸 도면이고, (b)는 수동조작 모드에서 레버(520) 및 웜기어(400)의 구동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520)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5를 참조하면, 상술한 고정디스크(530)는 외주면의 레버(520)의 제1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함입되어 형성된 제1 잠금홈(532a) 및 제2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함입되어 형성된 제2 잠금홈(532b)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예시적으로 상기 제1 잠금홈(532a) 및 상기 제2 잠금홈(532b)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약 90°의 각도를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레버(5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일부가 제1 잠금홈(532a) 및 제2 잠금홈(532b)에 삽입 가능한 잠금부(522) 및 외측면이 손으로 감쌀 수 있도록 곡면으로 형성되고, 길이방향 일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삽입홀(521a)이 형성된 파지부(52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잠금부(522)는 파지부(521)의 삽입홀(521a)에 삽입되는 누름버튼(522a), 삽입홀(521a)의 내부에 위치되어 누름버튼(522a)에 탄성을 부여하는 누름버튼(522b) 및 누름버튼(522a) 일측면에 결합되어 잠금홈에 삽입 가능한 잠금돌기(522c)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파지부(521) 하측에는 상기 잠금돌기(522c)가 안내되어 이동될 수 있는 안내홀(521b)이 더 형성될 수 있고, 작업자에 의해 누름버튼(522a)이 가압됨에 따라 누름버튼(522a)에 결합된 잠금돌기(522c)가 안내홀(521b)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밸브용 디클러치(10)의 자동조작 모드 및 수동조작 모드의 전환 방법을 서술하면, 자동모드에서 상기 레버(520)는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위치에 위치된 상태로 레버(520)의 잠금돌기(522c)가 제1 잠금홈(532a)에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다.
이 때, 정전 또는 공압식 액추에이터(200)의 고장 등으로 수동조작 모드로 전환이 필요한 경우, 작업자는 레버(520)의 누름버튼(522a)을 가압함으로써 제1 잠금홈(532a)에 삽입되어 위치되어 있던 잠금돌기(522c)를 고정디스크(530)의 외측으로(도면상 전방 방향) 이동시킬 수 있다. 나아가, 레버(520)의 이동을 구속하던 잠금돌기(522c)가 상기 제1 잠금홈(532a)에서 이탈됨에 따라 상기 레버(520)는 제2 위치로 이동될 수 있고, 작업자가 가압하고 있던 누름버튼(522a)을 놓음으로써 잠금돌기(522c)는 다시 이동되어 제2 잠금홈(532b)에 삽입 및 위치될 수 있고, 이는 도 4의 (b)에 도시되었다.
한편, 도 4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버(520)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됨에 따라 회전부(510)에 편심 결합된 웜기어(400)는 회전부(510)의 회전 중심축에 대하여 편심 회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밸브용 디클러치(10)의 레버(520) 파지부(52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손으로 감쌀 수 있도록 곡면으로 형성됨으로써 안정되게 파지될 수 있고, 작업자는 상기 파지부(521)를 파지한 상태에서 사람의 손 중 가장 악력이 강한 엄지손가락을 이용하여 누름버튼(522a)을 가압할 수 있는 바, 용이하고 편리하게 레버(520)를 조작할 수 있고, 필요 시 한번의 동작으로 신속하게 수동조작으로의 전환이 가능하다.
도 6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밸브용 디클러치(10)의 자동조작 모드에서 웜기어(400)의 위치에 따른 캠부재(540) 및 배기부(600)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b)는 수동조작 모드에서 웜기어(400)의 위치에 따른 캠부재(540) 및 배기부(600)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밸브용 디클러치(10)의 자동조작 모드에서 배기부(600)의 내부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b)는 수동조작 모드에서 배기부(600)의 내부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부(500)는 회전부(510) 외측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웜기어(400)와 동축으로 결합된 캠부재(540)를 포함할 수 있고, 캠부재(540)는 웜기어(400)가 회동됨에 따라 동반 회동되어 배기부(600)를 작동할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레버(520)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됨에 따라 웜기어(400)에 동축으로 결합된 캠부재(540) 역시 웜기어(400)와 함께 회전부(510)의 회전 중심축을 기준으로 편심 회전될 수 있고, 도 6의 (a)에서 도 6의 (b)와 같이 이동되어 상기 배기부(600)를 작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기부(600)는 케이스(610), 케이스(610) 내부에서 왕복 운동 가능한 배기축(620), 케이스(610) 일측에서 공압식 액추에이터(200)와 연결되어 공압식 액추에이터(200) 내부의 공기가 유동 가능한 액추에이터 연결부(630) 및 케이스(610)의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된 배기구(6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610)의 레버(520) 측 일단에 힌지 결합되고 레버(520)가 제2 위치로 이동됨에 따라 회전되는 배기버튼(660)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배기축(620)은 상기 배기버튼(660)이 회전됨에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도 6의 (a)와 같이, 상기 배기축(620)은 적어도 일부가 케이스(610) 외부의 배기버튼(660) 측으로 돌출되어 노출될 수 있고, 레버(520)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되어 캠부재(540)가 회동됨에 따라, 도 6의 (b)와 같이, 배기버튼(660)에 의해 케이스(610) 내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이 때 상기 캠부재(540)는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배기버튼(660)에서 케이스(610)와 힌지 결합된 측과 반대 측 말단에는 롤러(661)가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캠부재(540)가 회동되어 배기버튼(660)을 조작함에 있어서, 롤러(661)가 캠부재(540)에 밀착되어 회전되는 바, 사용에 의한 배기버튼(660)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고 배기버튼(660) 조작 간 발생할 수 있는 마찰 소음 등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610) 내부는 도 7에 도시된 배기부(600)와 같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기축(620)은 케이스(610) 내부의 공간을 분할하고 배기축(620) 상에 형성되어 케이스(610) 내에서 배기축(620)과 함께 왕복 운동될 수 있는 제1 스풀부재(621a) 및 제2 스풀부재(621b)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제1 및 제2 스풀부재(621b)(621a, 621b)가 이동됨에 따라 공압식 액추에이터(200) 내부 공기의 유로가 변경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밸브용 디클러치(10)는 하우징(100) 외측에 상기 공압식 액추에이터(200)의 공기압을 조절하는 차압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배기부(600)는 상기 차압부(800)와 연결되는 차압부 연결부(6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배기구(640) 및 차압부 연결부(65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610) 일측면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액추에이터 연결부(630)는 상기 케이스(610) 타측에서 상기 배기구(640) 및 차압부 연결부(650)가 형성된 위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520)가 제1 위치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배기축(620)은 일부가 케이스(610)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위치되어 제2 스풀부재(621b)가 공압식 액추에이터(200)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하측의 배기구(640)로 유입되는 것을 제한하고 제1 스풀부재(621a)는 차압부 연결부(650)의 높이보다 상측에 위치되어 공압식 액추에이터(200)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차압부(800)로 유입될 수 있다.
한편,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버(520)가 제2 위치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배기축(620)은 배기버튼(660)에 의해 가압되어 케이스(610) 내부에서 하측으로 이동되고, 그에 따라 제1 스풀부재(621a) 및 제2 스풀부재(621b) 역시 하측으로 이동되어 제1 스풀부재(621a)가 공압식 액추에이터(200)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차압부(800)로 유입되는 것을 제한하고, 제2 스풀부재(621b)는 배기구(640)의 형성 높이보다 하측에 위치되어 공압식 액추에이터(200)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배기구(640)로 배출될 수 있다.
위와 같이, 상기 레버(520)가 제2 위치에 위치됨에 따라 배기부(600)가 작동되고 공압식 액추에이터(200) 내부의 공기가 배기구(64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밸브용 디클러치(10)는 밸브축(310)의 수동조작을 방해하는 공압식 액추에이터(200)의 내부 공기를 제거할 수 있고, 작업자는 수동 핸들에 의한 자동밸브(300)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 자동밸브용 디클러치
100 : 하우징
200 : 공압식 액추에이터
300 : 자동밸브
310 : 밸브축
320 : 웜휠
400 : 웜기어
410 : 수동핸들
500 : 조작부
510 : 회전부
520 : 레버
521 : 파지부
521a : 삽입홀
521b : 안내홀
522 : 잠금부
522a : 누름버튼
522b : 탄성부재
522c : 잠금돌기
530 : 고정디스크
531 : 가이드스토퍼
532a : 제1 잠금홈
532b : 제2 잠금홈
540 : 캠부재
600 : 배기부
610 : 케이스
620 : 배기축
621a : 제1 스풀부재
621b : 제2 스풀부재
630 : 액추에이터 연결부
640 : 배기구
650 : 차압부 연결부
660 : 배기버튼
661 : 롤러
700 : 기어박스
800 : 차압부

Claims (8)

  1. 하우징;
    상기 하우징 외면에 인접하게 위치된 공압식 액추에이터;
    상기 공압식 액추에이터에 의해 자동 조작되는 밸브축 및 상기 밸브축 외주면에 형성된 웜휠을 포함하는 자동밸브;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는 일단부에 수동핸들이 결합되고, 상기 웜휠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상기 웜휠 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웜휠에 치합되는 웜기어;
    상기 하우징 일측에 위치되고 상기 웜기어와 편심 결합되어 회전됨에 따라 상기 웜기어를 회동시키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 외측면에 결합되어 조작됨에 따라 상기 회전부를 회전시키는 레버를 포함하는 조작부; 및
    상기 조작부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상기 조작부가 조작됨에 따라 상기 공압식 액추에이터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는 조작됨에 따라 상기 회전부를 회전시키며 상기 웜휠 및 상기 웜기어가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의 제1 위치 또는 상기 웜휠 및 상기 웜기어가 치합된 상태의 제2 위치로 이동되며,
    상기 배기부는 상기 레버가 상기 제2 위치로 이동됨에 따라 작동되는, 수동 조작 전환 레버 및 공기압 제거를 위한 배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작부는,
    상기 회전부의 외주면에 힌지 결합되고, 일측면에 상기 레버의 회전 반경을 제한하기 위한 가이드스토퍼가 형성된 고정디스크;를 더 포함하는, 자동밸브용 디클러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디스크는 외주면의 상기 레버의 상기 제1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함입되어 형성된 제1 잠금홈 및 상기 제2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함입되어 형성된 제2 잠금홈을 포함하고,
    상기 레버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잠금홈 및 상기 제2 잠금홈에 삽입 가능한 잠금부를 포함하는, 자동밸브용 디클러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외측면이 손으로 감쌀 수 있도록 곡면으로 형성되고, 길이방향 일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삽입홀이 형성된 파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잠금부는,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는 누름버튼;
    상기 삽입홀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누름버튼에 탄성을 부여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누름버튼 일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잠금홈에 삽입 가능한 잠금돌기를 포함하는, 자동밸브용 디클러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회전부 외측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상기 웜기어와 동축으로 결합된 캠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캠부재는 상기 웜기어가 회동됨에 따라 동반 회동되어 상기 배기부를 작동하는, 자동밸브용 디클러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기부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왕복 운동 가능한 배기축;
    상기 케이스 일측에서 상기 공압식 액추에이터와 연결되어 상기 공압식 액추에이터 내부의 공기가 유동 가능한 액추에이터 연결부; 및
    상기 케이스의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된 배기구;를 포함하는, 자동밸브용 디클러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배기부는 상기 케이스의 상기 레버 측 일단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레버가 상기 제2 위치로 이동됨에 따라 회전되는 배기버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기축은 상기 배기버튼이 회전됨에 따라 이동되는, 자동밸브용 디클러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는 상기 배기축이 이동됨에 따라 개방 또는 폐쇄되는, 자동밸브용 디클러치.
KR1020170149534A 2017-11-10 2017-11-10 수동 조작 전환 레버 및 공기압 제거를 위한 배기부를 포함하는 자동밸브용 디클러치 KR1018971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9534A KR101897151B1 (ko) 2017-11-10 2017-11-10 수동 조작 전환 레버 및 공기압 제거를 위한 배기부를 포함하는 자동밸브용 디클러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9534A KR101897151B1 (ko) 2017-11-10 2017-11-10 수동 조작 전환 레버 및 공기압 제거를 위한 배기부를 포함하는 자동밸브용 디클러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7151B1 true KR101897151B1 (ko) 2018-09-10

Family

ID=63593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9534A KR101897151B1 (ko) 2017-11-10 2017-11-10 수동 조작 전환 레버 및 공기압 제거를 위한 배기부를 포함하는 자동밸브용 디클러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715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9040Y1 (ko) 2005-12-08 2006-02-20 김만진 수동조작이 가능한 자동밸브
KR101028505B1 (ko) * 2010-07-19 2011-04-11 김대용 수동조작으로의 전환이 가능한 자동밸브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9040Y1 (ko) 2005-12-08 2006-02-20 김만진 수동조작이 가능한 자동밸브
KR101028505B1 (ko) * 2010-07-19 2011-04-11 김대용 수동조작으로의 전환이 가능한 자동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75665B1 (en) Grease gun
TWI477362B (zh) A single tool is used to switch the pneumatic tool that reverses and adjusts the speed
WO2019184466A1 (zh) 一种分离式排气的压力锅
US7537027B2 (en) Valve with duel outlet ports
EP2411184B1 (en) Pneumatic power wrench with a exhaust air outlet unit
JP6139438B2 (ja) 開閉操作弁の操作部固定具
US20120085036A1 (en) Rotating mechanism
CA2549989A1 (en) Screwdriver with ratchet mechanism
JPH10306877A (ja) 流体流量制御バルブ及び作動機構
JP2014508902A (ja) クイック接続流体カップリング
KR101897151B1 (ko) 수동 조작 전환 레버 및 공기압 제거를 위한 배기부를 포함하는 자동밸브용 디클러치
US9951882B2 (en) Handwheel cap
US11536379B2 (en) Ball valve and valve operating method
US6105605A (en) System for rolling up hoses
KR100836868B1 (ko) 자동밸브용 디클러치
JPWO2019064720A1 (ja) ワンタッチ式ロックバルブと原料容器
KR101642135B1 (ko) 밸브의 개폐보조장치
US20120000558A1 (en) Mixing valve device switchable to different outlet
KR102223833B1 (ko) 공압 지연 차단 방식 밸브 셔터
CN107510358B (zh) 压力锅及其手柄开合机构
KR200400995Y1 (ko) 가스안전 이중밸브
KR101767739B1 (ko) 밸브 장치 및 밸브 장치를 구비한 에어 공구
JP5816669B2 (ja) 噴霧器
KR102431236B1 (ko) 개폐 레버형 소방 피스톨 노즐
CA2990925A1 (en) Faucets providing additional control for water flo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